KR100438686B1 - 컴퓨터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감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8686B1
KR100438686B1 KR10-1999-7004384A KR19997004384A KR100438686B1 KR 100438686 B1 KR100438686 B1 KR 100438686B1 KR 19997004384 A KR19997004384 A KR 19997004384A KR 100438686 B1 KR100438686 B1 KR 1004386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ircuit
microcomputer
output
standb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4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53357A (ko
Inventor
니시베야스시
가와라자키요시하루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카이리카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00053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53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86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86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0703Error or fault processing not based on redundancy, i.e. by taking additional measures to deal with the error or fault not making use of redundancy in operation, in hardware, or in data representation
    • G06F11/0751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 G06F11/0754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 G06F11/0757Error or fault detection not based on redundancy by exceeding limits by exceeding a time limit, i.e. time-out, e.g. watchdo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4Resett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04Error avoid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bugging And Monito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적절히 감시할 수 없는 상태에서 마이컴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워치독회로에서 출력하는 리세트신호에 의해, 마이컴이 기동됨과 동시에, 판정회로의 출력신호가 리세트된다. 그 뒤, 기동된 마이컴에서 클럭신호가 입력되면, 판정회로는 워치독회로에 클럭신호를 출려감과 동시에, 출려신호를 셋트하나, 마이컴이 기동한 때에 스탠바이신호를 검출하고 있으면, 클럭신호의 출력과 출력신호의 셋트를 정지한다. 이에 의해, AND회로에서 워치독회로에 스탠바이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워치독회로에서의 리세트신호의 송출이 반복되어, 마이컴이 작동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Description

컴퓨터 감시장치{Computer Monitor Device}
종래로부터 배터리를 전원으로 하는 마이크로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함.)를 이용한 시스템에서는, 마이컴을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배터리의 전력소비를 저감하기 위해 마이컴을 스탠바이모드로 하여 프로그램의 실행을 정지시킨다. 또, 마이컴을 이용한 시스템에서는 마이컴에서 소정의 신호(예를 들면 클럭신호를 기초로 생성된 신호, 이하 '클럭신호'라고 함)가 출력되고 있는지의 여부로 마이컴의 상태를 감시하고 이 클럭신호를 검출하지 않게 된 때에 마이컴이 비정상이라고 판단하여, 마이컴을 재기동시키는 신호(이하 '재기동신호'라 함)를 출력하는 마이컴 감시회로 (워치독-Watch Dog-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마이컴이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함으로써 상기 클럭신호의 출력도 정지하므로, 마이컴 감시회로가 재기동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해야 할 마이컴이 재기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는 마이컴의 재기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마이컴이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할 때에 출력하는 신호(이하 '스탠바이모드'라 함)를검출한 때에는, 마이컴 감시회로도 스탠바이모드에 이행하도록 하고있다. 즉, 마이컴감시회로에서는 스탠바이 신호를 검출하면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여 마이컴의 감시기능을 정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마이컴과 마이컴 감시회로를 구비한 시스템의 일례로는, 차량의 파워윈도우 시스템이 있다. 이 파워윈도우 시스템에서는 스위치 조작에 따라 마이컴이 릴레이 등을 제어하여 도어글래스를 승강시키기 위한 모터를 작동시킨다. 이때, 마이컴의 폭주 등에 의해 모터의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이컴 감시회로에 의해 마이컴의 작동상태를 감시하고 마이컴이 비정상적으로 작동한다고 판단된 때에는 마이컴에 재기동신호를 출력한다.
한편, 파워윈도우 시스템에서는 스위치조작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 제어계와 SW제어계(스위치에 의한 직접제어)를 구비하여, 통상 마이컴제어계에 의해 모터가 제어되나, 마이컴이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한 때나, 마이컴 감시회로의 동작상태에서 마이컴의 동작에 지장이 발생했다고 판단될 때는 SW제어계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마이컴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지 않더라도 모터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마이컴 포트나 마이컴 감시회로의 입력단자에 고장 등이 발생한 경우에, 마이컴 감시회로에 잘못되어 스탠바이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로 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마이컴 감시회로는 마이컴에 이상이 생겨 재기동신호를 출력하고 있는 때이더라도 스탠바이 신호를 검출하고 있으므로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게 되어 본래의 기능인 마이컴의 감시를 정지해 버린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재기동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는 스탠바이 신호를 검출해도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오류의 스탠바이신호를 검출하고 있는 상태에서 기동되어도, 마이컴의 감시를 가능하게 한 마이컴 감시회로가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마이컴 감시회로에서는 마이컴을 기동할 때에 워치독회로에서 출력되는 리세트신호를 검출한 뒤, 클럭신호를 검출하기 전에 스탠바이신호를 검출한 때에는 스탠바이신호를 무시하고 클럭신호에 의거한 마이컴의 감시를 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 마이컴 감시회로에서는 마이컴의 상태를 적절히 감시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마이컴이 적절하게 작동하고 있으면 마이컴의 감시를 계속하게 된다. 이 때문에 예컨대, 마이컴이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여 클럭신호가 정지한 때에는 마이컴을 재기동시킨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사실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적절하게 마이컴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을 때만 마이컴의 감시를 행하는 컴퓨터 감시장치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파워윈도우 시스템 등에 설치되는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는 컴퓨터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운전석측 도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개략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파워윈도우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a는 판정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논리회로도이고, 도 3b 내지 도 3d는 각각 도 3a에 나타낸 논리회로도에 기초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4는 릴레이 제어회로의 일례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5는 릴레이 제어회로의 작동을 나타낸 타이밍챠트이다.
도 6a 내지 도 6b는 각각 제어회로의 작동을 나타낸 타이밍챠트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컴퓨터의 기동에 앞서 기동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기동된 컴퓨터로부터 소정의 주기로 출력되는 제1의 신호가 소정시간 정지한 때에 해당 컴퓨터에 기동신호를 출력하는 기동수단과, 상기 컴퓨터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제2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 상기 기동수단의 동작을 정시시키는 기동정지수단과, 상기 제2의 신호의 비검출상태에서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1의 신호를 상기 기동수단에 출력하는 신호출력수단과, 상기 기동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기동정지수단의 작동정지를 시키는 제3의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신호출력수단에서 상기 제1의신호가 출력된 때에 제3의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기동동작판정수단과, 상기 기동동작판정수단이 상기 제3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 상기 입력되어 있는 제2의 신호의 상기 기동정지수단으로의 출력을 정지하는 동작감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하면, 컴퓨터에서 소정의 주기로 출력되는 제1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게 되어 소정시간 경과하면, 기동수단에 의해 기동신호를 출력한다. 또, 기동정지수단은 컴퓨터가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고 있을 때에 출력하는 제2의 신호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기동수단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기동수단에는 신호출력수단을 통하여 제1의 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있고, 신호출력수단은, 제2의 신호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제1의 신호가 입력되어도 제1의 신호를 기동수단에 출력하지 않는다.
또, 기동동작판정수단은 기동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제3의 신호를 출력하나, 신호출력수단에서 출력되는 제1의 신호에 의해, 이 제3의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고, 동작감시수단은 제2의 신호를 검출함으로써, 이 제2의 신호를 기동정지수단에 출력하지만, 제3의 신호를 검출하고 있을 때는 기동정지수단에 제2의 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기동수단이 출력하는 기동신호에 의해 컴퓨터가 기동된 때에, 잘못되어 제2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으면 기동판정수단에서 제3의 신호가 출력되어 기동수단으로의 제2의 신호의 출력을 정지한다. 또, 신호출력수단이 기동수단에 제1의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시동수단이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기동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컴퓨터는 순차 입력되는 기동신호에 의해 기동되게 된다.
이와 같이, 잘못되어 제2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 컴퓨터가 기동된 때에는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기동신호를 출력하고, 컴퓨터는 그 때마다 기동되기 때문에 조작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컴퓨터를 적절히 감시할 수 없는 상태에서 컴퓨터가 기동되는 일은 없다. 바꿔 말하면, 컴퓨터를 적절히 감시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닌 때에는 컴퓨터를 기동시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는 상기 기동동작 판정수단이 제3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는 컴퓨터가 적절히 작동하고 있지 않는지, 컴퓨터의 작동을 적절히 관리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닌지를 판정할 수 있어, 기동동작 판정수단 및 동작감시수단의 출력으로부터 마이컴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감시(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예컨대 파워윈도우 시스템의 컴퓨터의 감시용에 본 발명을 적용한 때에는, 제2의 신호 및 제3의 신호의 비검출상태 때에만 컴퓨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으므로 이 판단결과에 의거하여 마이컴제어계와 SW제어계의 절환을 하면 좋다.
도 1에는 차량의 운전석측 도어(12)의 내부구조가 나타나 있다. 운전석 측의 도어(12)의 내부에는 본 실시예에 적용한 파워윈도우 시스템(10)에 이용되는 모터(14)가 구비되어 있다. 이 모터(14)에는 윈도우 레귤레이터부(16)가 연결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윈도우 레귤레이터부(16)로서 소위 와이어식을 이용하고 있으며, 모터(14)의 구동축에 취부된 회전판(14A)에 와이어(미도시)의 중간부가 감겨져있다. 이 와이어의 단부는 각각 도어글래스(18)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챤넬(20)에 연결되어 있으며, 더욱이 지지챤넬(20)은 메인가이드(22)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이에 의해 모터(14)가 정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챤넬(20)이 메인가이드 (22)를 따라 이동하고, 도어글래스(18)가 글래스가이드(24)를 따라 상하이동(승강)한다. 또, 윈도우 레귤레이터부(16)의 구성은 와이어식에 한하지 않고, X아암식이나, 모터 자체가 랙을 따라 이동하는 소위 모터자주식 등을 이용해도 좋다.
도어글래스(18)는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상승되면, 주위단부가 도어(12)의 프레임(12A)내에 설치된 고무제의 웨더스트립(미도시)에 맞추어져 도어프레임(12A)의 열린 부위가 닫힌다. 또, 도어글래스(18)는 모터(14)의 구동에 의해 하강됨으로써, 닫혀져 있던 프레임(12A)내의 열린 부위를 개방하도록 되어있다.
도 2에는 파워윈도우 시스템(10)의 모터(14)를 구동시키는 제어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어계는 도시하지 않은 CPU, ROM, RAM 및 각종의 인터페이스가 버스에 의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는 마이크로 컴퓨터(이하 '마이컴'이라 함)(30)와 제어회로(32)를 구비하고 있고, 제어회로(32)는 워치독회로(34), 판정회로(36), AND회로 (38) 및 릴레이제어회로(40)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워치독회로(34), 판정회로 (36) 및 AND회로(38)에 의해 본 발명을 적용한 마이컴 감시장치(28)가 구성되어 있다.
마이컴(30)과 릴레이제어회로(40)에는, 도어글래스(18)를 상승시키기 위한 UP스위치(SWU)와 도어글래스(18)를 하강시키기 위한 DOWN스위치(SWD)가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마이컴(30)은 UP스위치(SWU)가 켜진 것을 검출하면, 전용선(42A)을 통하여 릴레이제어회로(40)에 UP신호를 출력하고, 또 DOWN스위치(SWD)가 켜진 것을 검출하면, 전용선(42B)을 통하여 릴레이제어회로(40)에 DOWN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릴레이 제어회로(40)에는 UP스위치(SWU) 및 DOWN스위치(SWD)가 켜지면, 스위치배선(44A, 44B)을 통하여 SWUP 신호 및 SWDOWN신호가 각각 입력된다.
마이컴(30)은 통상의 작동상태에서는 예컨대, 클럭신호 등에 동기(同期)시켜 생성한 신호 등의 소정의 주기의 신호를 제1의 신호(이하 '클럭신호(ck)'라 함)로서 제어회로(32)에 출력한다. 이 클럭신호(ck)는 제어회로(32)의 판정회로(36)에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마이컴(30)은 제어회로(32)에 제2의 신호로서 스탠바이신호(st)를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이 스탠바이신호(st)는 판정회로(36) 및 AND회로(38)에 입력되도록 되어있고, 또 이 AND회로(38)에서 스탠바이신호(st)에 따른 신호(스탠바이신호(ST)라 함)가 워치독회로(34)에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마이컴(30)은 절전 등을 위해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할 때에 스탠바이신호(st)를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판정회로(36)는 스탠바이신호(st)를 검출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클럭신호 (ck)가 입력됨으로써, 이 클럭신호(ck)에 따른 신호(이하'클럭신호(CK)'라 함)를 출력한다. 이 클럭신호(CK)는 제1의 신호로서 판정회로(36)에서 워치독회로 (34)에 출력된다.
워치독회로(34)는 기동정지수단과 기동수단을 구성하고 있어, 예컨대 클럭신호(CK)가 입력됨으로써 리세트/스타트되는 타이머회로를 구비하고, 이 타이머회로에 의한 계측시간이 소정의 시간에 달하여 타임업함으로써, 기동신호(리세트신호 (RS))를 출력한다, 이 리세트신호(RS)는, 제어회로(32)로부터 마이컴(30)에 입력되도록 되어있어, 마이컴(30)은 리세트신호 (RS)가 입력됨으로써 기동 내지는 재기동된다. 워치독회로(34)는 AND회로(38)에서 스탠바이신호(st)에 따른 스탠바이신호 (ST)가 입력됨으로써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한다.
즉, 워치독회로(34)는 소정의 주기로 클럭신호(CK)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는, 리세트신호(RS)를 출력하지는 않으나, 클럭신호(CK)가 입력되지않게 되면, 리세트신호(RS)를 출력하여 마이컴(30)을 재기동시키도록 되어있다. 또, 리세트신호(RS)는 H레벨에서 L레벨로 절환되는 신호로 한다.
워치독회로(34)는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함으로써 타이머의 작동을 정지한다. 이에 의해 마이컴(30)이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여 클럭신호(CK)의 출력을 정지해도 워치독회로(34)가 리세트신호(RS)를 출력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즉, 워치독회로 (34)는 마이컴(30)에서 출력되는 스탠바이신호(st)에 따른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됨으로써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여 마이컴(30)의 감시를 정지하도록 되어있다. 또,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한 워치독회로(34)는 스탠바이신호(st)에 따른 스탠바이신호(ST)가 정지하면 마이컴(30)의 감시를 재개하도록 되어있다.
도 3a에 도시한 것처럼, 판정회로(36)는 신호출력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인버터회로(46)와 AND회로(47) 및 기동동작 판정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는 RS플립플롭회로(RS-FF, 이하 'FF회로(46)'라 함)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AND회로(47)에는 인버터회로(46)를 통하여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됨과 동시에 클럭신호(ck)가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이에 의해 AND회로(47)는 클럭신호(ck)와 인버터회로(46)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탠바이신호(st)에 따라 클럭신호(CK)를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이 클럭신호(CK)는, 상기 워치독회로(34)에 출력됨과 동시에 FF회로(48)에 셋트신호 (S)로서 출력된다.
또, FF회로(48)에는 워치독회로(34)가 출력하는 리세트신호(RS)가 리세트신호(R)로서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FF회로(48)는 리세트신호(R)가 입력됨으로써 출력신호(Q)를 리세트하도록 되어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리세트된 출력신호(Q)가 제3의신호로 되어있다.
즉, 도 3b에 도시한 것처럼 판정회로(36)에서는,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되어있지 않은 상태에서 클럭신호(ck)가 입력됨으로써 FF회로(48)에 셋트신호가 입력된다. 이에 따라 FF회로(48)의 출력신호(Q)가 셋트되어 H레벨로 유지된다. 또, 판정회로(36)에서는 리세트신호(RS)가 입력됨으로써 출력신호(Q)가 리세트되어 유지되며, 제3의 신호로서 출력된다. 또, 도 3c에 나타낸 것처럼 FF회로(48)에서는 다시 리세트신호(S)가 입력됨으로써 출력신호(Q)가 셋트되어 제3의 신호의 출력이 정지된다.
한편, 도 3c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것처럼, 판정회로(36)에서는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됨으로써 클럭신호(ck)가 입력되어도 클럭신호(CK) 및 셋트신호(S)가 출력되지 않도록 되어있다. 이때, 리세트신호(R)가 입력됨으로써 출력신호(Q)가 리세트된다. 또, 워치독회로(34)는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차량의 점화스위치가 켜져, 전원전압(Vcc)이 인가되면 리세트신호(RS)를 출력하여 마이컴(30)을 기동한다.
따라서, 도 3d에 나타낸 것처럼 판정회로(36)에서는, 전원전압(Vcc)의 공급이 개시됨으로써 워치독회로(34)에서 출력되는 리세트신호(R)에 의해 리세트되나, 이때, 스탠바이신호(st)를 검출하고 있으면 클럭신호(ck)가 입력되어도 클럭신호 (CK)를 출력하지 않음과 동시에, 판정회로(36)의 출력신호(Q)가 리세트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도 2에 나타낸 것처럼, 상기 AND회로(38)는 본 발명의 동작감시수단으로서 설치되어 있으며, 스탠바이신호(st)와 함께 판정회로(36)의 출력신호(Q)가 입력된다. 이 AND회로(38)에서는 마이컴(30)이 스탠바이신호(st)를 출력한 때에 출력신호(Q)에 따라 스탠바이신호(ST)를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즉, AND회로(38)에서는 출력신호(Q)가 리세트되어 있을 때에 스탠바이신호(st)에 따라 스탠바이신호(ST)를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도 4에는 릴레이제어회로(40)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다. 이 릴레이제어회로 (40)에는 4개의 AND회로(50, 52, 54, 56)가 설치되어 있어 각각의 AND회로(50∼56)의 한쪽의 입력단자에는 마이컴(40)에서 출력되는 UP신호, UP스위치(SWu)의 SWUP신호, 마이컴(40)의 DOWN신호 및 DOWN스위치(SWD)의 SWDOWN신호가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또,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릴레이제어회로(40)에는 AND회로(38)에서 출력되는 스탠바이신호(ST)와, 판정회로(36)에서 출력되는 출력신호(Q)가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도 4에 나타낸 것처럼 스탠바이신호(ST)와 출력신호(Q)는 OR회로(74)에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또 출력신호(Q)는 인버터회로(76)를 통하여 반전된 신호(Q*)로서 OR회로(74)에 입력된다.
AND회로(52, 56)의 다른 쪽의 입력단자에는 OR회로(74)에서 출력된 신호가 입력되고, 또 AND회로(50, 54)에는 OR회로(74)의 출력신호가 인버터회로(56)에 의해 반전되어 입력되도록 되어있다.
AND회로(50, 52)의 출력단자는 각각 OR회로(60)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이OR회로(60)의 출력단자가 트랜지스터(62)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또 AND회로 (54, 56)의 출력단자는 OR회로(64)의 입력단자에 접속되며, 이 OR회로(64)의 출력단자가 트랜지스터(66)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이에 따라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스탠바이신호(ST) 또는 출력신호(Q)를 반전한 신호(Q*)가 L레벨일 때에는 AND회로(50, 54)의 출력에 의해 OR회로(60, 64)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트랜지스터(62, 66)를 구동한다. 또 스탠바이신호(ST) 또는 출력신호(Q)를 반전한 신호(Q*)가 H레벨일 때에는 AND회로(52, 54)의 출력에 의해 OR회로(60, 64)에서 출력된 신호가 트랜지스터(62, 66)를 구동하도록 되어있다. 트랜지스터(62, 66)의 각각은 구동됨으로써 모터UP신호 및 모터DOWN신호를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62)에서 출력되는 모터UP신호는 릴레이 (68)의 릴레이 코일(68A)에 입력되고, 트랜지스터(66)의 모터DOWN신호는 릴레이 (70)의 릴레이 코일(70A)에 입력된다.
릴레이(68, 70)의 공통단자(68C, 70C)사이에는 모터(14)가 접속되어 있다. 또, 릴레이(68, 70)의 작동상태에서 공통단자(68C, 70C)에 접속되는 접점(68B, 70B)은 모터(14)를 구동하는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72)의 +측의 단자(72a)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접점(68D, 70D)은 배터리(72)의 -측의 단자(72b)와 마찬가지로 접지(어스)되어 있다.
이에 따라, 릴레이 제어회로(40)에서 출력되는 모터UP신호에 의해 릴레이 (68)의 릴레이코일(68A)이 여자(勵磁)됨으로써 공통단자(68C)가 접점(68B)에 접속되고 모터(14)가 윈도우글래스(18)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또, 릴레이 제어회로(40)에서 출력되는 모터DOWN신호에 의해 릴레이(70)의 릴레이코일(70A)이 여자됨으로써 공통단자(70C)가 접점(70B)에 접속되고, 모터(14)가 윈도우글래스 (18)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파워윈도우 시스템(10)은 미도시된 차량의 점화스위치가 켜져 전원전력(Vcc)이 구동전력으로서 공급되면, 구동가능하게 된다. 또 워치독회로(34)는 전원전압 (Vcc)이 공급됨으로써 리세트신호(RS)를 출력한다. 이 리세트신호(RS)에 의해 마이컴(30)이 기동된다. 마이컴(30)은 기동을 개시하면, 소정의 주기로 클럭신호(ck)를 출력한다. 이에 의해 워치독회로(34)는 마이컴(30)의 감시를 개시한다.
한편, 판정회로(36)는 클럭신호(ck)가 입력되면, 클럭신호(CK)를 워치독회로 (38)에 출력함과 동시에, 리세트되어 있던 출력신호(Q)가 셋트되어 H레벨로 유지된다. 이 출력신호(Q)는 판정회로(36)에 의한 마이컴(30)의 작동상태의 판정신호로서 AND회로(38)에 출력된다. 즉, 마이컴(30)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을 때에는 판정회로(36)에서 소정의 판정신호가 출력된다.
AND회로(38)에서는 판정회로(36)에서의 출력신호(Q)가 셋트되어 있을 때에는, 마이컴(30)에서 출력되는 스탠바이신호(st)에 따라 스탠바이신호(ST)를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이 때문에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때에는 L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릴레이 제어회로(40)에서는 스탠바이신호(ST)가 출력되어 있지 않을 때에(L레벨), 마이컴(30)에서 UP스위치(SWu) 및 DOWN스위치(SWD)의 조작에 따라 출력되는 UP신호 및 DOWN신호에 따라 AND회로(50, 54)가 출력을 절환한다. 이에 의해 트랜지스터(62, 66)가 구동되며, 윈도우글래스(18)의 승강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6a에 나타낸 것처럼 마이컴(30)에서 스탠바이신호(st)가 출력되면, AND회로(38)는 판정회로(36)의 출력신호(Q)와 함께 이 스탠바이신호(st)에 따른 스탠바이신호(ST)를 출력한다(H레벨). 이 스탠바이신호(ST)는, 릴레이 제어회로 (40)와 함께 워치독회로(34)에 입력된다.
워치독회로(34)에서는, 마이컴(30)에서 출력된 스탠바이신호(st)에 따른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됨으로써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한다. 이로 인해 소비전력의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릴레이 제어회로(40)에서는 스탠바이신호(ST)(H레벨)가 입력되면, 마이컴(30)에서 입력되는 UP신호 및 DOWN신호에 불구하고 AND회로(50, 54)의 출력이 L레벨이 된다. 이 때문에 트랜지스터(62, 66)는 AND회로(52, 56)의 출력에 기초하여 구동되도록 된다.
도 6a에 도시된 것처럼, 워치독회로(34)는,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면, 마이컴(30)의 감시를 중단하고 있기 때문에, 마이컴(30)에서 클럭신호(ck)에 따른 클럭신호(CK)가 입력되지 않아도 마이컴(30)을 재기동시키는 리세트신호(RS)를 마이컴 (30)에 출력하는 일은 없다.
워치독회로(34)는 스탠바이신호(st)의 송출이 정지되면, 스탠바이모드가 해제된다. 또, 판정회로(36)는 스탠바이신호(st)가 정지되면, 마이컴(30)에서 송출되는 클럭신호(ck)에 따른 클럭신호(CK)의 출력이 가능하게 된다.
그 뒤, 스탠바이모드를 해제한 마이컴(30)에서 클럭신호(ck)가 송출되면, 판정회로(36)는 워치독회로(34)에 클럭신호(CK)를 출력한다. 워치독회로(34)는 판정회로(36)에서 입력되는 클럭신호(CK)에 기초한 마이컴(30)의 감시를 개시한다.
이 때, 예를 들면, 스탠바이신호(st)를 출력하고 있지 않는 마이컴(30)에서의 클럭신호(ck)의 송출이 정지되면, 워치독회로(34)에 클럭신호(CK)가 입력되지 않게 된다. 워치독회로(34)는 소정시간 클럭신호 (CK)가 입력되지 않게 되면, 마이컴 (30)에 리세트신호(RS)를 출력하여 마이컴(30)의 재기동을 한다. 이 워치독회로 (34)에서 출력되는 리세트신호(RS)는 판정회로 (36)에 리세트신호(R)로서 입력되도록 되어있어, 판정회로(36)에서는 리세트신호(R)가 입력됨으로써 출력신호(Q)를 L레벨로 절환하여 유지한다. 이에 따라 AND회로(38)에서는 스탠바이신호(st)의 여하에 불구하고 스탠바이신호(ST)를 출력하는 일은 없다.
리세트된 출력신호(Q)는 릴레이 제어회로(40)에도 출력되도록 되어있어, 도 5에 나타낸 것처럼 릴레이 제어회로(40)에서는 리세트된 출력신호(Q)가 입력됨으로써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되었을 때와 마찬가지로 AND회로(52, 56)에서 출력에 의해 트랜지스터(62, 66)가 구동되도록 된다.
이와 같이, 마이컴감시장치(28)에서는, 잘못되어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되어도, 워치독회로(34)가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마이컴(30)을 재기동하기 위한 리세트신호(RS)를 출력하여, 마이컴(30)의 재기동을 할 수 있다. 또, 릴레이제어회로(40)에서는 마이컴감시장치(28)에서 입력되는 판정회로(36)의 출력신호(Q)에 의거하여 UP스위치(SWU) 및 DOWN스위치(SWD)의 조작에 따라 직접 모터(14)를 제어하도록 절환되므로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 마이컴감시장치(28)에서는 오류로 입력되어 있는 스탠바이신호(st)가 정지함으로써 정상적으로 마이컴(30)의 감시를 개시할 수 있다.
그런데, 마이컴감시장치(28)에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된 상태에서, 전원전압(Vcc)이 입력되는 등으로 마이컴(30)이 재기동되는 일이 있다. 도 6(b)에는 그 일례로서 전원(Vcc)이 투입되었을 때 마이컴감시장치(28)가 스탠바이신호 (st)를 검출하고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워치독회로(34)는 전원전압(Vcc)이 인가됨으로써 리세트신호(RS)를 출력하여 마이컴(30)의 기동을 한다. 이에 의해 판정회로(36)의 출력신호(Q)가 리세트된다. 그 다음 마이컴(30)이 적절히 기동하면, 마이컴(30)에서 판정회로(36)에 클럭신호(ck)가 출력되도록 된다. 이 때, 판정회로에는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되어 있기 때문에, 클럭신호(ck)가 입력되어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클럭신호(CK)의 출력을 정지한다. 따라서, 리세트신호(RS)(R)에 리세트된 FF회로(48)의 출력신호 (Q)가 리세트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AND회로(38)에는 리세트된 출력신호(Q)가 입력되기 때문에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되어 있어도 스탠바이신호(ST)가 출력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워치독회로 (34)는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마이컴(30)의 감시를 계속한다.
여기서, 판정회로(36)에서 워치독회로(34)로의 클럭신호(CK)의 출력이 정지하고 있기 때문에, 워치독회로(34)는 소정시간 경과할 때마다 리세트신호(RS)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마이컴(30)은 소정의 시간간격으로 입력되는 리세트신호에 의한 기동이 반복되며, 적절한 동작이 정지된다. 또, 도 6b에서는 실선으로 소정의 시간마다 출력되는 클럭신호(ck)를 나타내고 있으나, 실제로는 워치독회로(34)에서 출력되는 리세트신호(RS)에 의한 재기동이 반복되기 대문에 도 6b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클럭신호(CK)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적용한 마이컴감시장치(28)에서는 마이컴(30)을 기동시킨 때에 스탠바이신호(st)가 입력되어 있어도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하지 않고, 더욱이 마이컴(30)을 기동하기 위한 리세트신호(RS)의 송출을 반복한다. 이에 의해 마이컴이 적당히 작동되지 않도록 하고있다. 즉, 마이컴감시장치(28)에서는 마이컴을 적절히 감시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기 때문에 마이컴(30)이 기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마이컴(30)의 상태에 이상이 생기거나 마이컴 (30)이 스탠바이모드에 이행하는 것을 검출하지 못하고 스탠바이모드에 이행한 마이컴을 기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마이컴감시장치(28)에서는 오류의 스탠바이신호(st)를 검출하고 있을 때에는 리세트신호(RS)의 송출을 반복하므로, 이 반복송출되는 리세트신호(RS)를 검출하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마이컴(30) 내지 마이컴(30)을 감시하는 마이컴감시장치(28)사이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것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은, 제2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는 상태에서 컴퓨터가 기동되어도, 기동수단이 제1의 신호를 검출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기동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컴퓨터의 동작을 적절히 감시할 수 없는 상태에서, 컴퓨터가 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가 적절히 작동되지 않는 것이 감지되지 못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운전석측의 도어(12)를 예로 차량에 설치되는 파워윈도우 시스템(1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이에 그치지 않고 컴퓨터를 이용한 각종의 제어시스템에 있어 클럭신호 등에 따라 컴퓨터에서 일정의 주기로 출력되는 제1의 신호와 컴퓨터에서 소정의 타이밍으로 출력되는 제2의 신호에 기초한 컴퓨터감시 및 감시의 정지를 하는 컴퓨터감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2)

  1. 컴퓨터의 기동에 앞서 기동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기동된 컴퓨터에서 소정의 주기로 출력되는 제1의 신호가 소정시간 정지한 때에 해당 컴퓨터에 기동신호를 출력하는 기동회로와,
    상기 컴퓨터가 소정의 타이밍으로 출력하는 제2의 신호가 입력되어 있을 때에 상기 기동회로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기동정지회로와.
    상기 제2의 신호의 비검출상태에서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제1의 신호를 상기 기동회로에 출력하는 신호출력회로와,
    상기 기동신호가 입력됨으로써 상기 기동정지회로의 작동정지를 하는 제3의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상기 신호출력회로에서 상기 제1의 신호가 출력되었을 때 제3의 신호의 출력을 정지하는 기동동작 판정회로와,
    상기 기동동작 판정회로가 상기 제3의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 상기 입력되어 있는 제2의 신호의 상기 기동정지회로에의 출력을 정지하는 동작감시회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감시장치.
  2. 제1항에서,
    제1의 신호는 컴퓨터의 클럭신호이며, 제2의 신호는 컴퓨터가 스탠바이모드로 이행할 때에 출력하는 스탠바이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감시장치.
KR10-1999-7004384A 1996-12-02 1997-12-01 컴퓨터 감시장치 KR1004386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201896A JP3586529B2 (ja) 1996-12-02 1996-12-02 コンピュータ監視装置
JP8-322018 1996-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53357A KR20000053357A (ko) 2000-08-25
KR100438686B1 true KR100438686B1 (ko) 2004-07-02

Family

ID=18139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4384A KR100438686B1 (ko) 1996-12-02 1997-12-01 컴퓨터 감시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385733B1 (ko)
EP (1) EP0997818B1 (ko)
JP (1) JP3586529B2 (ko)
KR (1) KR100438686B1 (ko)
DE (1) DE69716484T2 (ko)
WO (1) WO19980252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69403B2 (ja) * 2010-11-30 2015-08-26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監視装置及び電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3254A (ja) * 1982-11-04 1984-05-14 Oki Electric Ind Co Ltd ウオツチドツグタイマ
JPS60263235A (ja) * 1984-06-12 1985-12-2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マイクロコンピユ−タシステム
JPS61296443A (ja) 1985-06-24 1986-12-27 Mitsubishi Electric Corp ウオツチドツグ・タイマ
JPS63229536A (ja) * 1987-03-18 1988-09-26 Sharp Corp 電子機器の監視装置
US5175845A (en) * 1988-12-09 1992-12-29 Dallas Semiconductor Corp. Integrated circuit with watchdog timer and sleep control logic which places IC and watchdog timer into sleep mode
KR910014609A (ko) * 1990-01-23 1991-08-31 야마무라 가쯔미 마이크로 펌프 관리 제어 방법 및 장치
JPH0561726A (ja) 1991-03-07 1993-03-12 Mazda Motor Corp 故障検出装置
FR2692379B1 (fr) * 1991-10-04 1996-08-14 Aerospatiale Ste Nat Indle Procede de detection et de passivation de pannes dans un systeme de traitement de donnees, et systeme de traitement de donnees adapte a sa mise en oeuvre
JPH05189272A (ja) 1992-01-16 1993-07-30 Honda Motor Co Ltd コントローラ
US5784627A (en) * 1996-01-24 1998-07-21 Advanced Micro Devices, Inc. Integrated timer for power management and watchdog func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85733B1 (en) 2002-05-07
KR20000053357A (ko) 2000-08-25
EP0997818B1 (en) 2002-10-16
DE69716484T2 (de) 2003-08-07
EP0997818A4 (en) 2000-10-18
JP3586529B2 (ja) 2004-11-10
WO1998025207A1 (fr) 1998-06-11
JPH10161911A (ja) 1998-06-19
EP0997818A1 (en) 2000-05-03
DE69716484D1 (de) 2002-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6428B2 (en) Method of diagnosing main relay by use of electronic control unit and electronic control unit
KR101082313B1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이퍼 시스템
EP1892825B1 (en) Redundant motor driving circuit
JP3800002B2 (ja) Cpuの消費電力低減方法、電子装置および消費電力低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0438687B1 (ko) 컴퓨터 감시장치
KR100438686B1 (ko) 컴퓨터 감시장치
US6219598B1 (en) Automotive controller maintaining operation of controlled device when a microcomputer overruns and cannot be reset
US6269450B1 (en) Computer monitoring device
JP5582748B2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
JP2002174162A (ja) 原動機始動用制御装置
JPH1173203A (ja) 電子制御装置
JP3693226B2 (ja) マイコンのバックアップ装置及び自動車用パワーウインドウ制御装置
JPH10124348A (ja) コンピュータ監視装置及びパワーウィンドウシステム
JP4182700B2 (ja) 車両用システム制御装置
JPH04239899A (ja) 車載用多重伝送システム
KR0139518B1 (ko) 엔진 제어장치
KR100197107B1 (ko) 출력 액츄에이터 자기진단시 진단오류 방지방법
JPS62204791A (ja) 洗濯機の制御装置
JPH11272505A (ja) コンピュータ監視装置
KR0142761B1 (ko) 전자기기의 전원 자동 절체회로
JPH06241191A (ja) 電動ポンプの交互自動運転制御システム
JP2021126995A (ja) 車両用電子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電子制御装置の制御方法
JP2521264B2 (ja) ポンプ駆動装置
JPH05161389A (ja) モータ駆動装置
JP2001014002A (ja) マイコンの動作停止時のバックアップ方法及びマイコンのバックアップ装置及び自動車用パワーウインドウ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