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9518B1 - 엔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엔진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9518B1
KR0139518B1 KR1019920026250A KR920026250A KR0139518B1 KR 0139518 B1 KR0139518 B1 KR 0139518B1 KR 1019920026250 A KR1019920026250 A KR 1019920026250A KR 920026250 A KR920026250 A KR 920026250A KR 0139518 B1 KR0139518 B1 KR 0139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ntrol
start switch
state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5211A (ko
Inventor
이종덕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1019920026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9518B1/ko
Publication of KR940015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52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9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9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NSTARTING OF COMBUSTION ENGINES; STARTING AIDS FOR SUCH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N11/00Starting of engines by means of electric motors
    • F02N11/08Circuits or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tarting of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시동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상태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와이어의 오결선으로 인한 구동방지와 엔진 제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원과 연결되어 자동차의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시동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구동기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 제어장치와, 상기 엔진 제어장치와 시동 스위치에 연결되어 시동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엔진 제어장치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기로 이루어져 있는 엔진 제어장치.

Description

엔진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엔진 제어장치의 블럭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장치의 블럭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엔진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이 발명은 엔진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동장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시동 스위치가 오프된 상태에서 엔진 제어장치의 오결선이나 고장으로 인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엔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엔진 제어장치는 시동 스위치의 동작과는 무관하게 전원단자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이 인가되면 항상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종래의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종래의 엔진 제어장치의 구성은 전원(B+)에 연결되어 있는 감지부(1)와, 전원(B+)과 감지부(1)에 연결되어 있는 엔진 제어장치(2)와, 엔진 제어장치(2)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기(3)와, 구동기(3)와 전원(B+)에 연결되어 있는 시동스위치(S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엔진 제어장치(2)는 감지부(1)와 연결되어 있는 엔진 제어부(21)와, 엔진 제어부(21)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 출력부(2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종래의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전원(B+)과 연결되어 있는 시동스위치(S1)가 온되면 구동기(3)에 동작 가능한 전원(B+)이 인가되므로 구동기(3)는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나 감지부(1)와 엔진 제어장치(2)는 시동스위치(S1)의 동작과 무관하게 전원(B+)에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B+)이 인가되면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시동 스위치(S1)가 오프상태일 경우 구동기(3)에 전원(B+)이 인가되지 않으므로 구동기(3)는 동작 가능한 상태가 아니므로 동작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B+)이 인가되면 감지부(1)가 동작하여 엔진 제어장치(2)의 엔진 제어부(21)로 해당하는 신호를 인가한다. 그러므로 엔진 제어부(21)는 감지부(1)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자동차의 상태 변화에 맞게 구동 출력부(22)를 동작시킨다.
따라서 구동 출력부(22)는 감지부(1)에서 감지된 자동차의 상태에 따라 구동기(3)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시동 스위치(S1)가 온상태일 경우에 구동기(3)는 엔진 제어장치(2)의 구동 출력부(22)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정상적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시동 스위치(S1)가 오프상태일 경우 구동기(3)는 동작 가능한 상태가 아니므로 엔진 제어장치(2)의 구동 출력부(22)에서 제어신호가 인가될 경우에는 구동기(3)는 동작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종래의 엔진 제어장치(2)는 시동 스위치(S1)의 동작상태에 무관하게 동작하므로 시동 스위치(S1)가 오프시 와이어 오결선으로 인하여 구동 출력부(22)에서 동작신호가 출력하여 구동기(3)가 오동작하고 엔진 제어장치(2)의 동작으로 인한 엔진 제어장치(2)가 파손되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감소시킨다.
그리고 실제적인 구동기(3)의 동작과 무관하게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가 발생한다. 또한 시동 스위치(S1)의 오결선으로 구동기(3)에 전원이 바로 인가되어 시동 스위치(S1)의 구동 제어없이 구동기(3)가 오동작할 수 있어 엔진제어의 초기시동에 지장을 준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동 스위치의 동작에 따라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상태가 제어될 수 있도록 하여 불필요한 전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와이어의 오결선으로 인한 구동방지와 엔진 제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전원과 연결되어 자동차의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시동 시위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구동기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 제어장치와, 상기 엔진 제어장치와 시동 스위치에 연결되어 시동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엔진 제어장치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기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장치의 블럭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다른 엔진 제어부의 동작 순서도이다.
제2도를 참고로 하여 이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B+)에 연결되어 자동차의 동작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1)와, 상기 감지부(1)와 연결되어 있는 엔진 제어장치(20)와, 엔진 제어장치(20)와 연결되어 있는 구동기(3)와, 구동기(3)와 전원(B+)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시동 스위치(S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엔진 제어장치(20)는 감지부(1)와 연결되어 있는 엔진 제어부(201)와, 시동 스위치(S1)와 연결되어 있는 시동 스위치 감지부(23)와, 시동 스위치 감지부(23)와, 엔진 제어부(201)에 입력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AND게이트(AND21)와, AND게이트(AND21)의 출력단자와 구동기(3)에 연결되어 있는 구동 출력부(22)로 이루어져 있다.
제3도를 참고로 하여 엔진 제어부(201)의 동작 순서도를 살펴보면, 동작을 시작하는 단계(100)와, 시동 스위치 감지부(23)의 신호를 판독하는 단계(200)와, 시동 스위치(S1)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300)와, 시동 스위치(S1)가 온상태일 경우에 고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400)와,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500)와, 시동 스위치(S1)가 오프상태일 경우 저레벨의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600)와, 동작을 종료하는 단계(70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발명의 동작을 다음과 같다.
먼저, 시동 스위치(S1)의 동작과 무관하게 전원(B+)이 인가되면 엔진 제어장치(20)의 엔진 제어부(201)는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엔진 제어장치(20)의 엔진 제어부(201)는 시동 스위치 감지부(23)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판독하여 시동 스위치(S1)의 상태를 판단한다. 시동 스위치(S1)가 온상태일 경우에는 시동 스위치 감지부(23)에서 고레벨인 신호가 출력되고 시동 스위치(S1)가 오프상태일 경우에는 시동 스위치 감지부(23)에서 저레벨인 신호가 출력되어 엔진 제어부(201)와 AND게이트(AND21)의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시동 스위치(S1)가 온상태일 경우에 시동 스위치 감지부(23)에서 AND게이트(AND21)와 입력단자로 고레벨인 신호가 인가되고, 엔진제어에 맞는 구동신호가 엔진 제어부(201)에서출력되어 엔진 제어부(201)에 의한 신호가 구동출력부(22)의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따라서 엔진 제어부(201)의 신호에 의하여 구동 출력부(22)는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리고 엔진 제어부(201)는 감지부(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받아들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시동 스위치 감지부(23)에서 엔진 출력부(201)로 인가되는 신호가 저레벨인 L일 경우 엔진 제어부(201)는 시동 스위치(S1)의 상태를 오프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엔진 제어부(201)는 AND게이트(AND21)의 입력단자로 고레벨인 신호를 출력하지 않으므로 AND게이트(AND21)는 저레벨인 L신호가 구동 출력부(22)로 출력된다.
그러므로 구동 출력부(22)의 출력단자에서 구동기(3)를 동작 대기상태로 만들어 와이어의 오결선으로 인한 구동기(3)의 동작을 수행하지 못하게 한다.
그리고 구동기(3)의 동작 상태로 시동 스위치(S1)의 온/오프상태에 따라 제어되므로 시동 스위치(S1)가 온상태일 경우만 동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발명의 효과는 시동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엔진 제어장치의 동작 상태가 제어되므로 시동 스위치가 오프일 경우에 구동기와 무관하게 동작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시동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엔진 제어장치가 동작될 수 있도록 하므로 엔진 제어장치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동작으로 인한 고장과 전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전원과 연결되어 자동차의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와 연결되어 시동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구동기의 동작을 전기적으로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엔진 제어장치와; 상기 엔진 제어장치와 시동 스위치에 연결되어 시동 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엔진 제어장치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구동기로 이루어져 있는 엔진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엔진 제어장치는 시동 스위치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시동 스위치 감지부와, 시동 스위치의 신호에 따라 출력신호와 동작 상태가 가변되는 엔진 제어부와, 시동 스위치 감지부와 엔진 제어부의 출력신호를 논리곱하기 위한 AND게이트와, AND게이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동작 상태가 결정되는 구동 출력부로 이루어져 있는 엔진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엔진 제어부는 시동 스위치 감지부의 신호를 판독하고, 시동 스위치가 온상태일 경우에 고레벨의 신호를 출력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시동 스위치가 오프상태일 경우에 저레벨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장치.
KR1019920026250A 1992-12-29 1992-12-29 엔진 제어장치 KR0139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250A KR0139518B1 (ko) 1992-12-29 1992-12-29 엔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250A KR0139518B1 (ko) 1992-12-29 1992-12-29 엔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211A KR940015211A (ko) 1994-07-20
KR0139518B1 true KR0139518B1 (ko) 1998-07-01

Family

ID=193473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250A KR0139518B1 (ko) 1992-12-29 1992-12-29 엔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951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5211A (ko) 1994-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83631A (en) Apparatus for detecting disconnection of a speed sensor and eliminating oxide film from the sensor's connectors
US5631796A (en) Electric vehicle control system
US5276292A (en) Operation check device of dynamic brake circuit for elevator
KR0139518B1 (ko) 엔진 제어장치
US4607246A (en) Malfunction indicating method for vehicle-mounted DC generator
KR100531732B1 (ko) 스타터 제어장치
KR100199167B1 (ko) 센서신호의 순간단락에 의한 오동작 방지장치 및 그 방법
KR100267312B1 (ko) 러닝 리셋 이후 아이들 속도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3252096B2 (ja) ランプ駆動装置
KR0115906Y1 (ko) 세탁기의 세탁모터 오동작 방지회로
KR100197107B1 (ko) 출력 액츄에이터 자기진단시 진단오류 방지방법
KR100316874B1 (ko) 아이들스위치고장진단장치및그방법
KR19990033542A (ko) 자동차의 엔진 시동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6385733B1 (en) Computer monitor device
KR100425110B1 (ko) 인버터 세탁기의 클러치 제어장치 및 방법
KR0141086B1 (ko) 세탁기의 탈수시 모터보호회로 및 방법
KR0118508Y1 (ko) 전원단자 감지장치가 내장된 센서
KR0125836Y1 (ko) 냉각팬의 고장 진단장치
KR960010386A (ko) 전원 단선시 오동작 방지장치
KR970014473A (ko) 릴레이의 이상상태 감지장치
KR0137882Y1 (ko) 자동차용 경고등 고장 감지장치
KR0148390B1 (ko) 자동차용 엔진의 교착상태시 동작전원 차단장치
KR0129382Y1 (ko) 센서 동작상태 판별 장치
JPH06241191A (ja) 電動ポンプの交互自動運転制御システム
KR950017345A (ko) 자동 변속기의 고장 판단장치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