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7186B1 - 열반송장치 - Google Patents

열반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7186B1
KR100437186B1 KR10-1998-0701725A KR19980701725A KR100437186B1 KR 100437186 B1 KR100437186 B1 KR 100437186B1 KR 19980701725 A KR19980701725 A KR 19980701725A KR 100437186 B1 KR100437186 B1 KR 100437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refrigerant
liquid
heat source
utiliz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4477A (ko
Inventor
오사무 다나카
다카시 마쯔자키
가즈히데 미즈타니
야스시 호리
도루 이나즈카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44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7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7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06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 F24F3/065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 for the subsequent treatment of primary air in the room units with a plurality of evaporators or conden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03Exclusively-flui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non-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3/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reversible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 F25B25/005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a combination of modes of operation covered by two or more of the groups F25B1/00 - F25B23/00 using primary and secondary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9/00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 F25B29/003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e.g. operating alternately or simultaneously of the compression type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54Heating and cooling, 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62/00Refrigeration
    • Y10S62/22Free 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Other Air-Conditioning Systems (AREA)
  • Compression-Type Refrigeration Machines With Reversible Cycl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온열원 열교환기(1)는 1차측 냉매 회로(A)로부터 열이 주어져 액체 냉매를 증발시킨다. 온열원 열교환기(1)에는 가스 유통관(4)과 액체 유통관(5)을 통해 냉열원 열교환기(2)를 접속한다. 실내 열교환기(3)는 가스 배관(6)을 통해 가스 유통관(4)에 접속하는 동시에, 액체 배관(7)을 통해 액체 유통관(5)에 접속한다. 온열원 열교환기(1)에서 증발한 가스 냉매는, 적어도 냉열원 열교환기(2)에 흐른다.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는 가스 냉매를 응축하는 한편, 실내의 냉난방 요구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3)에 대한 냉매의 유통상태를 전환한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3)에서는 냉매를 응축 또는 증발시킨다.

Description

열반송 장치{HEAT TRANSFER APPARATUS}
종래부터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에는, 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62-23895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2계통의 냉매 회로를 구비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냉매 회로는 압축기, 제 1 열원측 열교환기, 감압 기구 및 제 1 이용측 열교환기가 냉매 배관에 의해 차례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1차측 냉매 회로와, 펌프, 제 2 열원측 열교환기 및 제 2 이용측 열교환기가 냉매 배관에 의해 차례로 접속되어 이루어지는 2차측 냉매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1차측 냉매 회로의 제 1 이용측 열교환기와 2차측 냉매 회로의 제 2 열원측 열교환기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는 한편, 제 2 이용측 열교환기가 공기 조화를 행하는 실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실내의 냉방 운전시에는 제 1 이용측 열교환기에서 증발하는 냉매와 제 2 열원측 열교환기에서 응축하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지고, 이 응축 냉매를 제 2 이용측 열교환기에서 증발시켜 실내를 냉방한다.
한편, 실내의 난방 운전시에는 제 1 이용측 열교환기에서 응축하는 냉매와 제 2 열원측 열교환기에서 증발하는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이 되어 이 증발 냉매를 제 2 이용측 열교환기에서 응축시켜 실내를 난방한다.
이에 따라, 1차측 냉매 회로의 배관길이를 단축하여 냉동 능력의 향상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공기 조화 장치의 2차측 냉매 회로에서는 냉매를 순환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의 펌프가 필요하여 소비 전력의 증대 등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이 구동원의 증가에 따라 고장 발생 장소가 증가하고, 장치 전체의 신뢰성이 열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2차측 냉매 회로에 구동원을 구비하지 않고, 소위 무동력 열반송 방식의 열반송 장치로서, 일본국 특개소 63-18002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열반송 장치는, 2차측 냉매 회로로서 가열기와 응축기 및 밀폐 용기가 냉매 배관에 의해 차례로 접속되어 구성되고, 상기 밀폐 용기는 가열기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가열기와 밀폐 용기는 개폐 밸브를 구비한 균압관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이 열반송 장치에서 실내의 난방 운전시에는, 우선 개폐 밸브를 폐(閉)상태로 하고, 가열기로 가열된 가스 냉매를 응축기로 응축시켜 액화한 후, 이 액체 냉매를 밀폐 용기로 회수한다. 그 후, 개폐 밸브를 개방하여 균압관에 의해 가열기와 밀폐용기를 균압 상태로 함으로써, 가열기보다 높은 위치에 있는 밀폐 용기로부터 액체 냉매를 가열기로 복귀시킨다.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고, 2차측 냉매 회로에 펌프 등의 구동원을 구비하지 않고 냉매를 순환하고 있다.
해결 과제
그러나, 이 열반송 장치에서는 응축기로부터 밀폐 용기에 가스 냉매가 도입된 경우, 이 밀폐 용기 내의 압력이 상승되고, 양호한 냉매의 순환 동작이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이 때문에 응축기로부터 가스 냉매가 유출되지 않도록, 이 응축기에서 냉매를 과냉각 상태로 해 둘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 열반송 장치에서는 밀폐 용기 내의 구조를 개량함으로써, 밀폐 용기 내의 압력 상승을 억제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충분한 신뢰성이 얻어진다고는 할 수 없는 것이었다.
또한, 이와 같이 밀폐 용기에 액체 냉매를 확실하게 도입시키기 위해서는 응축기를 밀폐 용기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해 둘 필요가 있다. 그 결과, 각 기기의 설치 위치의 제약이 많고, 대규모 시스템이나 긴 배관 시스템에 대하여 적용하는 것이 곤란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동력 열반송 방식의 열반송 장치에 있어서, 기기의 배치 위치의 제약이 작게 되어 높은 신뢰성 및 범용성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 등에 이용 가능한 열반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펌프 등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고 냉매를 순환시켜 열을 반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제 1 실시예에서의 냉매 회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서의 냉매 순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제 2 실시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 2 실시예에서의 도 2 대응도이다.
도 5는 가스 전환 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액체유로 전환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 3 실시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제 3 실시예에서의 난방 운전 상태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예에서의 냉방 운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2 대응도이다.
도 10은 가스 전환 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액체유로 전환수단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제 4 실시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 4 실시예에서 모든 실내가 난방 상태일 때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14는 제 4 실시예에서 모든 실내가 냉방 상태일 때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15는 제 4 실시예에서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난방 요구일 때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16은 제 4 실시예에서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냉방 요구일 때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17은 제 4 실시예에서 각 실내 열교환기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동일할 때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18은 1개의 액체 수용기를 구비한 변형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1개의 액체 수용기를 구비한 변형예에서의 난방 운전 상태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20은 1개의 액체 수용기를 구비한 변형예에서의 냉방 운전 상태를 도시한도 2 대응도이다.
도 21은 제 5 실시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제 5 실시예에서의 도 2 대응도이다.
도 23은 제 6 실시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는 제 6 실시예에서의 도 2 대응도이다.
도 25는 제 7 실시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6은 제 7 실시예에서의 난방 운전 상태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27은 제 7 실시예에서의 냉방 운전 상태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28은 제 8 실시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9는 제 8 실시예에서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난방 요구일 때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30은 제 8 실시예에서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냉방 요구일 때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31은 제 8 실시예에서 각 실내 열교환기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동일할 때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32는 제 9 실시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은 제 9 실시예에서의 도 2 대응도이다.
도 34는 제 10 실시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는 제 10 실시예에서의 도 2 대응도이다.
도 36은 제 11 실시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제 11 실시예에서의 난방 운전 상태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38은 제 11 실시예에서의 냉방 운전 상태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39는 제 12 실시예에서의 2차측 냉매 회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은 제 12 실시예에서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난방 요구일 때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41은 제 12 실시예에서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냉방 요구일 때를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42는 제 12 실시예에서 각 실내 열교환기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동일할 때는 도시한 도 2 대응도이다.
도 43은 제 13 실시예에서의 도 1 대응도이다.
도 44는 제 14 실시예에서의 도 1 대응도이다.
도 45는 제 15 실시예에서의 도 1 대응도이다.
도 46은 제 16 실시예에서의 도 1 대응도이다.
도 47은 제 16 실시예에서 성에 제거 회로를 구비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 1 대응도이다.
도 48은 제 17 실시예에서의 도 1 대응도이다.
도 49는 제 17 실시예에서 성에 제거 회로를 구비한 변형예를 도시한 도 1 대응도이다.
도 50은 제 18 실시예에서의 도 1 대응도이다.
도 51은 제 19 실시예에서의 도 1 대응도이다.
도 52는 제 20 실시예에서의 도 1 대응도이다.
도 53은 제 21 실시예에서의 도 1 대응도이다.
도 54는 제 22 실시예에서의 도 1 대응도이다.
도 55는 제 23 실시예에서의 도 1 대응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열원측을 온열원 수단과 냉열원 수단으로 구성하고, 이들 양 수단을 연결하는 가스 유통관 및 액체 유통관과 이용측수단의 냉매의 유통상태를 전환하여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용측 수단으로부터 유출한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으로 반송하여 응축시키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이 강구한 수단은 냉매를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온열원 수단(1)과, 이 온열원 수단(1)에 가스 유통관(4) 및 액체 유통관(5)에 의해 접속되어 온열원 수단(1)과의 사이에서 폐회로를 형성하고, 또한 방열에 의해 냉매를 응축하는 냉열원 수단(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스 유통관(4)에 가스 배관(6)을 통해 접속되는 동시에, 액체 유통관(5)에 액체 배관(7)을 통해 접속된 이용수단(3)이 설치된다.
또, 상기 가스 유통관(4)과 가스 배관(6) 사이의 가스 냉매의 유통 상태를 전환하는 가스 전환 수단(8)과, 상기 액체 유통관(5)과 액체 배관(7) 사이의 액체 냉매의 유통상태를 전환하는 액체 전환 수단(9)이 설치된다.
덧붙여, 상기 가스 전환 수단(8)및 액체 전환 수단(9)의 적어도 한편을 제어하여 이용수단(3)에 대한 냉매의 유통 상태를 이 이용수단(3)의 운전 상태에 따라 전환하는 제어 수단(C)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어 수단(C)이 가스 전환 수단(8)및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고, 이용 수단(3)의 운전 상태에 따라 이용 수단(3)에 대한 냉매의 유통 상태를 전환한다. 그리고, 냉매의 순환 동작은 온열원 수단(1)에 주어진 열량에 의해 발생하는 냉매의 압력 상승을 이용하여 행하여지기 때문에 냉매 순환용 펌프 등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냉열원 수단(2)에 있어서 냉매의 응축을 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 냉매가 확실히 액화되고, 이 냉열원 수단(2)의 내압 상승이 억제되어 양호한 냉매 순환 동작이 행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에 소정의 열교환 동작을 행하게 하기 위한 냉매의 순환 동작을 온열원 수단(1)에 주어진 열량에 의해 발생하는 냉매의 압력 상승을 이용하여 하도록 하였으므로 냉매 순환용의 펌프 등의 구동원을 생략할 수 있다. 그 결과, 소비 전력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고장 발생 장소를 삭감할 수 있어, 장치 전체의 신뢰성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냉열원 수단(2)에 있어서 냉매를 응축하고 있기 때문에 가스 냉매를 확실하게 액화할 수 있고, 이 냉열원 수단(2)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냉매 순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이용 수단(3)으로부터 가스 냉매가 유출하지 않도록, 이 이용 수단(3)에 있어서 냉매를 과냉각 상태로 해 둘 필요가 없어지고, 이용 수단(3)에서의 열교환량을 충분히 얻을 수 있어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기의 설치 위치의 제약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신뢰성 및 범용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수단(C)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가스 전환 수단(8)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응축시키는 동시에,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이용수단(3)과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 있어서, 이 이용 수단(3)의 응축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이용 수단(3) 사이에서 압력차가 생긴다. 이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으로 응축한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한다. 이에 의해 냉매가 순환하여 이용 수단(3)으로 방열이 행해진다.
이 경우, 냉열원 수단(2)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적어도 가스 전환 수단(8)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키고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냉열원 수단(2)에서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었을 때 이 액체 냉매가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의 운전에 따라 냉열원 수단(2)에 저류되는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할 수 있으므로 이용 수단(3)의 운전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에서의 가스 배관(6)의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EV1)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개폐 밸브(EV1)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 폐쇄하고,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에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와, 액체 배관(7)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공급하여 이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한 후,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압력 강하로 생기는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 온열원 수단(1)에서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에 공급하여 이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한다. 그 후,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냉열원 수단(2)의 압력을 강하시킨다. 이 압력 강하에 의해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 사이에서 압력차를 생기게 하여,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한다. 이에 의해 이용 수단(3)으로 흡열이 행해진다.
이 경우, 냉열원 수단(2)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온열원 수단(1)에서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로 되었을 때,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가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의 운전에 따라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회수할 수 있으므로 냉매의 순환 동작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에서의 가스 배관(6)의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EV1)와, 가스 배관(6)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개폐 밸브(EV1)를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이용 수단(3)으로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와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개방하고,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으로의 냉매 반송시에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에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개폐 밸브(EV4)와, 이 액체 유통관(5)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와, 액체 배관(7)에 설치되어 이용 수단(3)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개폐 밸브(EV4)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 폐쇄하고,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수단(C)은 상술한 이용수단(3)의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하여 실행 가능하게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의 작용을 모두 얻을수 있고,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열원 수단(2)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고, 방열 운전시의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었을 때 및 흡열 운전시의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었을 때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냉매가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되기 때문에 이용 수단(3)의 운전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에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1)와, 가스 배관(6)에 설치된 제 2 개폐 밸브(EV2)와, 일단은 제 1 개폐 밸브(EV1)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타단은 제 2 개폐 밸브(EV2)와 이용 수단(3) 사이에 접속된 접속관(10)과, 이 접속관(10)에 설치된 제 3 개폐 밸브(EV3)와 상기 접속관(10)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1)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 폐쇄하는 동시에, 흡열 운전시에서의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에 폐쇄하고, 흡열 운전시에서의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이용 수단(2)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 및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2)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고, 제 3 개폐 밸브(EV3)를 이용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 폐쇄하고,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에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4)와, 이 액체 유통관(5)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와, 액체 배관(7)에 설치된 제 2 개폐 밸브(EV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개방하고,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 폐쇄하고, 제 2 개폐 밸브(EV5)를 이용수단(3)의 방열 운전시와 흡열 운전시에 개방하고,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을 통해 가스 유통관(4)과 액체유통관(5)에 각각 접속되고, 개별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이 선택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a∼3d)의 전체의 열수지가 방열 상태로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응축시키고,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 및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냉열원 수단(2)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증발시키고, 냉열원 수단(2)의 냉매 응축에 의해 생기는 냉열원 수단(2)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이용 수단(3a∼3d)이 개별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행하고, 이 방열 운전을 행하는 이용 수단(3a∼3d)의 개수가 많은 경우, 냉열원 수단(2)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 및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 외에, 냉열원 수단(2)과 흡열측 이용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냉매가 순환하여 각 이용 수단(3a∼3d)으로 방열과 흡열이 행해진다.
이 경우, 냉열원 수단(2)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냉매가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되기 때문에 이용 수단(3)의 운전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을 통해 가스 유통관(4)과 액체 유통관(5)이 각각 접속되고, 개별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이 선택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a∼3d)의 전체의 열수지가 흡열 상태로 되는 흡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공급하여 이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한 후,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냉매를 응축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압력 강하로 생기는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응축시키고,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응축 온도가 낮은 냉열원 수단(2)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이용 수단(3a∼3d)이 개별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행하고, 이 흡열 운전을 하는 이용 수단(3a∼3d)의 개수가 많은 경우, 흡열측 이용 수단(3)과의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 외에, 냉열원 수단(2)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냉매가 순환하여 각 이용 수단(3a∼3d)으로 방열과 흡열이 행해진다.
이 경우, 냉열원 수단(2)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에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냉매가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되기 때문에 이용 수단(3)의 운전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어 수단(C)은 복수개의 이용 수단(3a∼3d)이 설치되는 경우, 상술한 이용 수단(3)의 방열 주체 운전과 흡열 주체 운전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 수단(3)의 방열 주체 운전과 흡열 주체 운전의 작용을 모두 얻을 수 있고,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에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1)와, 각 가스 배관(6a∼6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2-1∼EV2-4)와, 일단은 제 1 개폐 밸브(EV1)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타단은 각 제 2 개폐 밸브(EV2-1∼EV2-4)와 이용 수단(3a∼3d)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관(10a∼10d)과, 상기 각 접속관(10a∼10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3 개폐 밸브(EV3-1∼EV3-4)와, 상기 접속관(10a∼10d)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1)를 방열 주체 운전시에 폐쇄하는 동시에, 흡열 주체 운전시에서의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에 폐쇄하고, 흡열 주체 운전시에서의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와,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2-1∼EV2-4)를 이 제 2 개폐 밸브(EV2-1∼EV2-4)에 대응하는 이용 수단(3a∼3d)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고, 제 3 개폐 밸브(EV3-1∼EV3-4)를 이 제 3 개폐 밸브(EV3-1∼EV3-4)에 대응하는 이용 수단(3a∼3d)의 흡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에서의 액체 배관(7)의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4)와, 이 액체 유통관(5)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L)와, 각 액체 배관(7a∼7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5-1∼EV5-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개방하고, 흡열 주체 운전시에 폐쇄하고, 제 2 개폐 밸브(EV5-1∼EV5-4)를, 이 제 2 개폐 밸브(EV5-1∼EV5-4)에 대응하는 이용 수단(3a∼3d)의 방열 운전시와 흡열 운전시에 개방하고,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이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냉매를 저류하는 액체 수용 수단(22)이 냉열원 수단(2)에 대하여 병렬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액체 수용 수단(22)의 일단은 가스 유통관(4)에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액체 수용 수단(22)의 타단은 액체 유통관(5)에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각각 분기관(23)을 통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액체 수용 수단(22)에 액체 냉매가 저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열원 수단(2)에 액체 냉매가 저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열교환 면적의 감소를 피할 수 있다. 그 결과, 냉열원수단(2)의 열교환 효율을 높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장치 전체의 효율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에서의 분기관(23)과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는, 냉열원 수단(2)으로의 냉매 흐름을 변경하는 개폐 밸브(EV11)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액체 냉매를 냉열원 수단(2)이나 액체 수용 수단(22)으로부터 배출할 때 개폐 밸브(EV11)를 폐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냉열원 수단(2)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의 가스 냉매가 공급되지 않게 되므로 냉열원 수단(2)이 불필요하게 가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에너지 절감화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열원 수단(2a, 2b)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에 가스 유통관(4a, 4b) 및 액체 유통관(5a, 5b)에 의해 접속되어 온열원 수단(1)과의 사이에서 폐회로를 형성하고, 가스 냉매가 저류된 상태로 방열 운전을 하는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액체 냉매가 저류된 상태로 방열 운전을 정지하는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변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 유통관(4a, 4b)과 가스 배관(6) 사이의 가스 냉매의 유통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하고, 액체 전환 수단(9)은 각 액체 유통관(5a, 5b)과 액체 배관(7) 사이의 액체 냉매의 유통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항상 운전측 냉열원 수단(2a, 2b)과 이용 수단(3) 사이에서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각 냉열원 수단(2a, 2b)의 이용 수단(3)에 대한 접속 상태를 전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이용 수단(3)에서 방열 또는 흡열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연속한 방열 운전 또는 흡열 운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복수개의 냉열원 수단(2a, 2b)을 설치한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이용 수단(3)은 가스 유통관(4a, 4b) 및 액체 유통관(5a, 5b)에 가스 배관(6) 및 액체 배관(7)을 통해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적어도 가스 전환 수단(8)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a)과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동시에,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하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이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운전측 냉열원 수단 (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과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고, 이 이용 수단(3)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방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을 균압하고,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고,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방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 있어서, 운전측 냉열원 수단(2a, 2b)과 이용 수단(3)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하고, 이 이용 수단(3)에서 연속한 방열 운전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본 장치를 실내의 난방을 행하는 공기 조화기에 적용한 경우에는 난방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어 실내의 쾌적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a, 2b) 사이에 설치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에 이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를 폐쇄하고, 냉열원 수단(2a, 2b)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이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각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 배관(7e, 7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배관(7e, 7f)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이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복수개의 냉열원 수단(2a, 2b)을 설치한 경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 수단(3)은 가스 유통관(4a, 4b) 및 액체 유통관(5a, 5b)에 가스배관(6) 및 액체 배관(7)을 통해 접속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에 공급하여 이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의 액체 냉매를 이용수단(3)에 압출하고,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압력 강하로 생기는 이용 수단(3)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하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이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에, 다른쪽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공급하여 이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여 상기 흡열 운전을 계속하고,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흡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 있어서, 항상 정지측 냉열원 수단(2a, 2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면서, 운전측 냉열원 수단(2a, 2b)과 이용 수단(3)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하고, 이 이용 수단(3)에서 연속한 흡열 운전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본 장치를 실내의 냉방을 하는 공기 조화기에 적용한 경우에는 냉방 운전을 연속하여 할 수 있어 실내의 쾌적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 배관(6e, 6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와 각 가스 배관(6e, 6f)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a, 2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1, CVG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냉열원 수단(2a, 2b)으로부터 이용 수단(1)으로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와, 냉열원 수단(2a, 2b)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와 이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를 개방하고,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에 이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이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 배관(7e, 7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개폐 밸브(EV4)와, 이 각 액체 유통관(5a, 5b)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배관(7e, 7f)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3-1, CV3-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개폐 밸브(EV4)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 폐쇄하고,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이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복수개의 냉열원 수단(2a, 2b)을 설치한 경우, 제어 수단(C)은 상술한 이용 수단(C)의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하여 실행 가능하게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의 작용을 함께 얻을 수 있고,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 온열원 수단(1)의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으로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온열원 수단(1)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적어지면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계속하는 상태로, 액체 냉매를 회수할 수 있으므로 이용 수단(3)의 연속 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와, 가스 배관(6)에 설치된 제 2 개폐 밸브(EV2)와, 일단은 제 1 개폐 밸브(EV1-1, EV1-2)와 냉열원 수단(2a, 2b) 사이에, 타단은 제 2 개폐 밸브(EV2)와 이용 수단(3)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관(20)과, 이 접속관(20)에 설치된 제 3 개폐 밸브(EV3)와, 상기 접속관(20)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a, 2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1, CVG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방열 운전시 및 흡열 운전시의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액체 냉매와, 가스 냉매의 냉매 반송시에 이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를 폐쇄하고, 흡열 운전시의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에 이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를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2)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고, 제 3 개폐 밸브(EV3)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 배관(7e, 7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4)와 이 각 액체 유통관(5a, 5b)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배관(7e, 7f)에 설치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 EV6-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냉열원 수단(2a, 2b)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개방하고, 이용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 폐쇄하고, 방열 운전시의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와, 흡열 운전시의 냉열원 수단(2a, 2b)으로부터 이용 수단(3)으로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에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 EV6-2)를 개방하고, 방열 운전시의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와, 흡열 운전시의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에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EV6-2)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복수개의 냉열원 수단(2a, 2b)을 설치한 경우,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e, 7f)을 통해 가스 유통관(4a, 4b)과 액체 유통관(5a, 5b)에 각각 접속되고, 개별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이 선택 가능하게 구성하며,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a∼3d)의 전체의 열수지가 방열 상태로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a)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 및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고, 흡열측 이용 수단(3)과 가스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냉매 응축에 의해 생기는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한다.
또, 제어 수단(C)은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이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고, 이 방열측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상기 방열 주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을 균압하고,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하여 이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고,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이용 수단(3a∼3d)과 각 냉열원 수단(2a, 2b)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하여 각 이용 수단(3a∼3d)으로 방열과 흡열이 행해진다.
또한, 본원발명에서의 복수개의 냉열원 수단(2a, 2b)을 설치한 경우,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e, 7f)을 통해 가스 유통관(4a, 4b)과 액체 유통관(5a, 5b)에 각각 접속되고, 개별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이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이용 수단(3a∼3d)의 전체의 열수지가 흡열 상태로 되는 흡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이 이용 수단(3)으로 냉매를 응축시키고, 이 방열측 이용 수단(3)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에 압출하며,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운전측 냉열원 수단(3)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운전측 냉열원 수단 (2b)의 압력 강하로 생기는 흡열측 이용 수단(3)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한다.
또, 제어 수단(C)은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이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다른쪽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이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수단(3)에 압출하고, 상기 흡열 주체 운전을 계속하고,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흡열 주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이용 수단(3a∼3d)과 각 냉열원 수단(2a, 2b)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하여 각 이용 수단(3a∼3d)으로 방열과 흡열이 행해진다.
이 경우,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a, 2b)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a, 2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키고 냉열원 수단(2a, 2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온열원 수단(1)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적어지면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의 흡열 주체 운전을 계속하는 상태로, 액체 냉매를 회수할 수 있으므로 이용 수단(3)의 연속 운전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복수개의 냉열원 수단(2a, 2b)과 복수개의 각 이용 수단 (3a∼3d)을 설치한 경우, 제어 수단(C)은 상술한 이용 수단(3)의 방열 주체 운전과 흡열 주체 운전을 선택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 수단(3)의 방열 주체 운전과 흡열 주체 운전의 작용을 함께 얻을 수 있고,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a, 2b) 사이에 설치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에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와, 각 가스 배관(6a∼6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2-1∼EV2-4)와, 일단은 제 1 개폐 밸브(EV1-1, EV1-2)와 냉열원 수단(2a, 2b) 사이에, 타단은 제 2 개폐 밸브(EV2-1∼EV2-4)와 이용 수단(3a∼3d)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관(20)과, 이 접속관(20)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3 개폐 밸브(EV3-1∼EV3-4)와, 상기 접속관(20)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a, 2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l, CVG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방열 주체 운전시의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 및 흡열 주체 운전시의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에 이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를 폐쇄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에 이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를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2-1∼EV2-4)를, 이 제 2 개폐 밸브(EV2-1∼EV2-4)에 대응하는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고, 제 3 개폐 밸브(EV3-1∼EV3-4)를 이 제 3 개폐 밸브(EV3-1∼EV3-4)에 대응하는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배관(7e, 7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4)와, 이 각 액체 유통관(5a, 5b)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배관(7e, 7f)에 설치되고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 EV6-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냉열원 수단(2a, 2b)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한편, 방열 주체 운전시의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냉매의 반송시와, 흡열 주체 운전시의 냉열원 수단(2a, 2b)으로부터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와 이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 EV6-2)를 개방하고, 방열 주체 운전시의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와, 흡열 주체 운전시의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냉매의 반송시에 이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 EV6-2)를 폐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체 냉매를 저류하는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이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은 가스관(26a, 26b) 및 액체관(27a, 27b)에 의해서 가스 유통관(4a, 4b) 및 액체 유통관(5a, 5b)에 접속되고, 가스 냉매의 저류량이 많은 상태로부터 액체 냉매를 저류하는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많은 상태로 액체 냉매를 방출하는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변화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 유통관(4a, 4b)과 가스관(26a, 26b) 사이의 가스 냉매의 유통 상태를 전환하고, 액체 전환 수단(9)은 각 액체 유통관(5a, 5b)과 액체관(27a, 27b) 사이의 액체 냉매의 유통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항상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과 이용 수단(3) 사이에서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이용 수단에 대한 접속 상태를 전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항상 이용 수단(3)으로 방열 혹은 흡열을 행하게 할 수 있으므로 연속한 방열 운전 또는 흡열 운전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의 복수개의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설치한 경우,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적어도 가스 전환 수단(8)을 제어하여 이용수단(3)의 방열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과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동시에,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반송한다.
또, 제어 수단(C)은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이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고,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상기 방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으로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균압하고,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고, 상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방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 있어서,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부터 항상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면서,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과 이용 수단(3)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하고, 이 이용 수단(3)에서 연속한 방열 운전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본 장치를 실내를 난방하는 공기 조화기에 적용한 경우에는 난방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어 실내의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고,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의 회수시에 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개방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에 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폐쇄하고, 이용 수단(3)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와, 액체 배관(7)에 설치되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3 역류방지 밸브(CV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복수개의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설치한 경우,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에 공급하여 이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고,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냉열원 수단(2)의 압력 강하로 생기는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에 의해, 냉열원 수단(2)에 연통하는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에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반송한다.
또, 제어 수단(C)은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이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다른쪽의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에 공급하여 이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여, 상기 흡열 운전을 계속하고, 상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흡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 있어서, 항상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과 이용 수단(3)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하고, 이 이용 수단(3)에서 연속한 흡열 운전이 행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본 장치를 실내의 냉방을 하는 공기 조화기에 적용한 경우에는 냉방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어 실내의 쾌적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으로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균압하여,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온열원 수단(1)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적어지면,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계속하는 상태로, 액체 냉매를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 수단(3)의 연속 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공급시에 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고,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의 회수시에 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개방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가스 냉매 공급시에 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폐쇄하여,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개폐 밸브(EV4)와, 이 각 액체 유통관(5a, 5b)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 및 이용 수단(3)으로 향하는 흐름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개폐 밸브(EV4)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 회수시에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복수개의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설치한 경우, 제어 수단(C)은, 상술한 이용수단(3)의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수단(3)의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의 작용을 모두 얻을 수 있고,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으로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온열원 수단(1)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적어지면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계속한 채로, 액체 냉매를 회수할 수 있기 때문에 이용 수단(3)의 연속 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와, 가스 배관(6)에 설치된 제 3 개폐 밸브(EV2) 및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을 접속하는 접속관(20)에 설치된 제 4 개폐 밸브(EV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방열 운전시의 이용 수단(3)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고, 흡열 운전시의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는 한편,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시에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개방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에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25b)의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폐쇄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개방하고, 제 3 개폐 밸브(EV2)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며, 제 4 개폐 밸브(EV3)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이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개폐 밸브(EV4)와, 이 각 액체 유통관(5a, 5b)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 및 이용 수단(3)으로 향하는 흐름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와, 액체 배관(7)에 설치된 제 2 개폐 밸브(EV9)와,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를 통해 이용 수단(3)과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접속하는 접속관(21)에 설치된 제 3 개폐 밸브(EV1O)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시에만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9)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만 개방하고, 제 3 개폐 밸브(EV10)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개의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설치한 경우,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a∼6d)과 액체 배관(7a∼7d)을 통해 가스 유통관(4a, 4b)과 액체 유통관(5a, 5b)에 각각 접속되어, 개별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이 선택 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a∼3d)의 전체의 열 수지가 방열 상태로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동시에,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 및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고,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의 냉매 응축에 의해 생기는 냉열원 수단(2)과 흡열측 이용 수단(3)과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반송한다.
또, 제어 수단(C)은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그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고,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상기 방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균압하고,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고, 상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방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이용 수단(3a∼3d)과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하여 각 이용 수단(3a∼3d)으로 방열과 흡열이 행하여진다.
또한,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설치한 경우,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a∼6d)과 액체 배관(7a∼7d)을 통해 가스 유통관(4a, 4b)과 액체 유통관(5a, 5b)에 각각 접속되어, 개별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이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이용 수단(3a∼3d)의 전체의 열 수지가 방열 상태로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이 방열측 이용 수단(3)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에 압출하고,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압력 강하로 생기는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에 의해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반송한다.
또, 제어 수단(C)은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이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에, 다른쪽의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고 이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에 압출, 상기 흡열 운전을 계속하고, 상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흡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각 이용 수단(3a∼3d)과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하여 각 이용 수단(3a∼3d)으로 방열과 흡열이 행하여진다.
이 경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흡열 주체 운전시에서의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1)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균압하고,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온열원 수단(1)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적어지면,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계속하는 상태로, 액체 냉매를 회수할 수 있으므로 이용 수단(3)의 연속 운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 복수개의 액체 수용 수단(25a, 25b)과 복수개의 각 이용 수단(3a∼3d)을 설치한 경우, 제어 수단(C)은 상술한 이용 수단(3)의 방열 주체 운전과 흡열 주체 운전을 선택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용 수단(3)의 방열 주체 운전과 흡열 주체 운전의 작용을 모두 얻을 수 있고,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와, 각 가스 배관(6a∼6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3 개폐 밸브(EV2-1∼EV2-4)와, 일단은 제 2 개폐 밸브(EV8-1, EV8-2)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타단은 제 3 개폐 밸브(EV2-1∼EV2-4)와 이용 수단(3a∼3d)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관(1Oa∼10d)과, 이 각 접속관(10a∼10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4 개폐 밸브(EV3-1∼EV3-4)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방열 주체 운전시의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고, 흡열 주체 운전시의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는 한편,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에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개방한다.
또, 제어 수단(C)은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에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폐쇄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개방하고, 제 3 개폐 밸브(EV2-1∼EV2-4)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고, 제 4 개폐 밸브(EV3-1∼EV3-4)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스 전환 수단(8)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4)와, 각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 및 이용 수단(3a∼3d)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와, 액체 배관(7)에 설치된 제 2 개폐 밸브(EV9)와, 이용 수단(3a∼3d)과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를 통해 접속하는 접속관(21)에 설치된 제 3 개폐 밸브(EV1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시에만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9)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주체 운전시에만 개방하고, 제 3 개폐 밸브(EV10)를 이용수단(3)의 방열 주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액체 전환 수단(9)의 구체적인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열원 수단(1)은 열원측 냉매 회로(A)를 순환하는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받아 냉매를 증발시키고, 냉열원 수단(2)은 열원용 냉매에 의해 열량이 빼앗겨 냉매를 응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원측 냉매 회로(A)는 온열원 수단(1)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이 온열원 수단(1)에 냉매 증발용 열량을 부여하는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냉열원 수단(2)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이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냉매 응축용 열량을 빼앗는 냉각 열교환 수단(15)과,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큰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에 열량을 부여하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큰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이,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에 열량을 부여한다. 즉,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이 열원용 냉매에 열량을 부여함으로써 열원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같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측 냉매 회로(A)의 냉매의 순환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의 열량 공급 및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의 열량의 회수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이용 수단(3) 운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팽창 기구(13)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냉각열 교환 수단(15)이 냉매가 순환 가능하도록 순서대로 접속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단은 팽창 기구(13)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사이에, 타단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냉각 열교환 수단(15) 사이에 접속된 바이패스로(17)를 설치하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과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의 차에 따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를 변경하는 조정 밸브(1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조정 밸브(18)에 의해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고,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이 열원용 냉매에 부여하는 열량을 조정한다. 이 결과, 열원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같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측 냉매 회로(A)의 구체적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팽창 기구(18a)와 냉각 열교환 수단(15)이 냉매의 순환이 가능하게 순서대로 접속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열 열교환 수단(12)으로부터의 냉매를 냉각 열교환 수단(15)을 바이패스하여 냉매 가열 수단(11)으로 유도하는 바이패스로(17)를 설치하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바이패스로(17)의 일단은,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팽창 기구(18a)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은 냉각 열교환 수단(15)과 냉매 가열 수단(11)사이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이패스로(17)에서의 일단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사이에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과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의 차에 따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를 조정하고 또 열원용 냉매를 감압하는 조정 밸브(18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조정 밸브(18b)에 의해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고,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이 열원용 냉매에 부여하는 열량을 조정한다. 이 결과, 열원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같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측 냉매 회로(A)의 구체적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열원 수단(1)은, 온열원 수단(1)은 열원측 냉매 회로(A)를 순환하는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받아 냉매를 증발시키고, 냉열원 수단(2)은 열원용 냉매에 의해 열량이 빼앗겨 냉매를 응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원측 냉매 회로(A)는 온열원 수단(1)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이 온열원 수단(1)에 냉매 증발용 열량을 부여하는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냉열원 수단(2)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이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냉매 응축용 열량을 빼앗는 냉각 열교환 수단(15)과,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작은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빼앗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작은 이용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은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빼앗는다. 즉,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이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빼앗음으로써 열원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같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측 냉매 회로(A)의 냉매 순환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의 열량의 공급 및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의 열량의 회수를 안정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이용 수단(3) 운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팽창 기구(13)와 냉각 열교환 수단(15)이 냉매가 순환 가능하도록 순서대로 접속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일단은 팽창 기구(13)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사이에, 타단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냉각 열교환 수단(15) 사이에 접속된 바이패스로(17)가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과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의 차에 따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를 변경하는 조정 밸브(1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조정 밸브(18)에 의해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고,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이 열원용 냉매로부터 빼앗는 열량을 조정한다. 이 결과, 열원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같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측 냉매 회로(A)의 구체적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팽창 기구(18a)와 냉각 열교환 수단(15)이 냉매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순서대로 접속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냉매를 가열 열교환 수단(12)을 바이패스하여 냉각 열교환 수단(15)으로 유도하는 바이패스로(17)를 설치하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바이패스로(17)의 일단은 팽창 기구(18a)와 냉각 열교환 수단(15)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은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 사이에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이패스로(17)에서의 일단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사이에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과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의 차에 따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를 조정하고 또한 열원용 냉매를 감압하는 조정 밸브(18b)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조정 밸브(18b)에 의해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고, 열교환량 조정 수단(15)이 열원용 냉매로부터 빼앗는 열량을 조정한다. 이 결과, 열원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같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측 냉매 회로(A)의 구체적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열원 수단(1)은, 온열원 수단(1)은 열원측 냉매 회로(A)를 순환하는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받아 냉매를 증발시키고, 냉열원 수단(2)은 열원용 냉매에 의해 열량이 빼앗겨 냉매를 응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열원측 냉매 회로(A)는 온열원 수단(1)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이 온열원 수단(1)에 냉매 증발용 열량을 부여하는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냉열원 수단(2)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이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냉매 응축용 열량을 빼앗는 냉각 열교환 수단(15)과,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큰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에 열량을 부여하는 한편,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작은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빼앗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큰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이,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에 열량을 부여하는 한편,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작은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이,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빼앗는다. 즉, 이용 수단(3)의 운전 상태에 따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열원용 냉매의 열교환 상태를 변경하고, 열원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같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측 냉매 회로(A)의 냉매의 순환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의 열량의 공급 및 냉열원 수단(1)으로의 열량의 회수를 안정되게 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이용 수단(3) 운전 상태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팽창 기구(13)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냉각 열교환 수단(15)이 냉매가 순환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열원측 냉매 회로(A)는 이용 수단(3)의 난방 운전시, 가열 열교환 수단(12)으로부터의 냉매를 팽창 기구(13)로부터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을 거쳐 냉각 열교환 수단(15)으로 흐르게 하는 난방 전환 상태로 하고, 이용 수단(3)의 냉방 운전시, 가열열 교환 수단(12)으로부터의 냉매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으로부터 팽창 기구(13)를 거쳐 냉각 열교환 수단(15)으로 흐르게 하는 냉방 전환 상태로 되는 4로 전환 밸브(19)가 설치되어, 일단은 팽창 기구(13)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4로 전환 밸브(19) 사이에 접속된 바이패스로(17)가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과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의 차에 따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를 변경하는 조정 밸브(18)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조정 밸브(18)에 의해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고,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열원용 냉매 사이의 열량을 조정한다. 이 결과, 열원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같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측 냉매 회로(A)의 구체적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11), 가열 열교환 수단(12), 팽창 기구(18c) 및 냉각 열교환 수단(15)이 냉매가 순환할 수 있도록 순서대로 접속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용 수단(3)의 난방 운전시, 상기 가열 열교환 수단(12)으로부터의 냉매를 냉각 열교환 수단(15)을 바이패스하여 냉매 가열 수단(11)으로 유도하는 한편, 이용 수단(3)의 냉방 운전시,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냉매를 가열 열교환 수단(12)을 바이패스하여 냉각 열교환 수단(15)으로 유도하는 바이패스로(17)가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및 이용 수단(3)의 난방 운전시에 냉매를 감압하는 감압 기구(18b)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경우, 바이패스로(17)의 일단부는 흡입측 분기관(16a)과 토출측 분기관(16b)으로 분기되고, 이 흡입측 분기관(16a)은 냉매 가열 수단(11)의 흡입측에, 토출측 분기관(16b)은 냉매 가열 수단(11)의 토출측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흡입측 분기관(16a)에는, 이용 수단(3)의 난방 운전시에 개방되고, 냉방 운전시에 폐쇄되는 개폐 밸브(EVI)가, 토출측 접속관(16b)에는 이용 수단(3)의 난방 운전시에 폐쇄되고, 냉방 운전시에 개방되는 개폐 밸브(EV0)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조정 밸브(18b)에 의해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고,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열원용 냉매 사이의 열량을 조정한다. 이 결과, 열원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같아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원측 냉매 회로(A)의 구체적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열원측 냉매 회로(A)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의 착상(着霜)시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공급하여 성에를 제거하는 제상(除霜) 수단(3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의 착상이 신속히 해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의 제상을 단시간에 확실하게 행할 수 있고, 이용 수단(3)의 방열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원측 냉매 회로(A)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의 착상시,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공급하여 제상하는 제상 수단(3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제상 수단(31)은 일단은 냉매 가열 수단(11)의 토출측에, 타단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접속된 가열 가스관(32)과 이 가열 가스관(32)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만 개방되는 개폐 밸브(EVDl)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으로부터 팽창기구(13)를 통하여 가열 열교환 수단(12)을 거친 냉매를 냉매 가열 수단(11)의 흡입측으로 유도하는 흡입관(33)과, 이 흡입관(33)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만 개방되는 개폐 밸브(EVD2)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 수단(31)의 구체적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열원측 냉매 회로(A)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의 착상시,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공급하여 제상하는 제상 수단(3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 제상 수단(31)은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열 교환 수단(12) 사이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 폐쇄되는 개폐 밸브(EVD4)와, 일단은 상기 개폐 밸브(EVD4)와 가열열 교환 수단(12) 사이에, 타단은 냉매 가열 수단(11)의 흡입측에 접속된 접속관(33)과, 이 접속관(33)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 폐쇄되는 개폐 밸브(EVD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상 수단(31)의 구체적 구성을 얻을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실용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냉매 가열 수단은 압축기(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온열원 수단(1)에 부여하는 열량을 열원측 냉매에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고, 장치 자체의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는 1차측과 2차측의 2계통의 냉매 회로를 구비한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것이다. 그리고, 이 공기 조화기는 1차측 냉매 회로로부터 2차측 냉매 회로로 주어진 열량을 이용하여, 2차측 냉매 회로로부터 냉매를 순환시키면서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는 것이다.
( 제 1 실시예 )
우선,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1 실시예는 난방 전용의 공기 조화 장치로서 상기 1차측 냉매 회로 및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열반송 장치 전체의 냉매 회로를 도시한다. 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매 회로는 열원측 냉매 회로로서의 1차측 냉매 회로(A)의 냉매와 2차측 냉매 회로(B)의 냉매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1차측 냉매 회로(A) 및 2차측 냉매 회로(B)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실내의 난방을 행하는 2차측 냉매 회로(B)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2차측 냉매 회로(B)는 온열원 수단으로서의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수단으로서의 냉열원 열교환기(2)가 가스 유통관(4) 및 액체 유통관(5)에 의해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2차측 냉매 회로(B)는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서 냉매가 순환하는 폐회로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이들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의 설치 상태는, 냉열원 열교환기(2)가 온열원 열교환기(1)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2차측 냉매 회로(B)는 공기 조화를 하기 위한 실내에 설치된 이용 수단으로서의 실내 열교환기(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3)는 가스 배관(6)을 통해 가스 유통관(4)에, 액체 배관(7)을 통해 액체 유통관(5)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유통관(4)에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는 가스 전환 수단(8)을 구성하는 개폐 자유로운 전자 밸브(EV1)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 전자 밸브(EV1)는 제어 수단으로서의 컨트롤러(C)에 의해 그 개폐 상태가 전환 제어된다.
또한, 액체 유통관(5)에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는,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가, 액체 배관(7)에는 실내 열교환기(3)로부터 냉열원 열교환기(2)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 (CV2)가 각각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액체 전환 수단(9)이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2차측 냉매 회로(B)에 대하여 열량을 부여하는 1차측 냉매 회로(A)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으로서의 압축기(11), 상기 온열원 열교환기(1)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는 가열 열교환 수단으로서의 가열용 열교환기(12), 팽창 기구로서의 팽창 밸브(13), 열교환량 조정 수단으로서의 열량 조정 열교환기 (14) 및 상기 냉열원 열교환기(2)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는 냉각 열교환 수단으로서의 냉각용 열교환기(15)가 냉매 배관(16)에 의해 냉매가 순환 가능하도록 순서대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팽창 밸브(13)와 열량 조정 열교환기(14) 사이에는 바이패스로(17)의 일단은 접속되고, 이 바이패스로(17)의 타단은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와 냉각용 열교환기(15)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를 변경하는 조정 밸브로서의 유량 조정용 전동 밸브(18)가 설치된다. 또한, 이 유량 조정용 전동 밸브(18)에는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개방도가 조정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냉매 회로에서의 실내의 난방 운전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이 운전 상태의 설명에 이용하는 도 2는 2차측 냉매 회로(B)에서의 각 열교환기(1, 2, 3)에서 가스 냉매와 액체 냉매의 저류량의 비율을 도시한다.
이 난방 운전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2차측 냉매 회로(B)에서는 전자 밸브(EV1)가 폐쇄되는 한편, 1차측 냉매 회로(A)에서는 가열용 열교환기(12)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서의 열교환량과 냉각용 열교환기(15)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서의 열교환량의 차에 따라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유량 조정용 전동 밸브(18)의 개방도가 조정된다.
구체적으로, 1차측 냉매 회로(A) 및 2차측 냉매 회로(B)에서의 냉매 순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1차측 냉매 회로(A)에서는,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가열용 열교환기(12)에서 온열원 열교환기(1)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응축하고, 팽창 밸브(13)에서 감압되고, 일부 냉매는 열량 조정용 열교환기(14)에서, 예를 들면 외부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하는 한편, 다른 냉매는 바이패스로(17)를 흘러 냉각용 열교환기(15)에서 냉열원 열교환기(2)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한다. 이들 증발한 가스 냉매가 압축기(11)에 흡입된다. 이 순환 동작을 반복한다.
한편, 2차측 냉매 회로(B)에서는 온열원 열교환기(1)가 가열용 열교환기(12)로부터 소정의 열량을 받아, 이 온열원 열교환기(1)에서는 냉매가 증발하고, 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 고압의 가스 냉매가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 및 가스 배관(6)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3)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실내 열교환기(3)에 있어서, 가스냉매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응축하고, 실내 공기를 가온하여 실내를 난방한다.
또한, 이 실내 열교환기(3)에서는 냉매가 실온으로 응축하는데 대하여,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는 냉매가 냉각용 열교환기(15)의 냉매에 의해 응축한다. 이 때문에, 실내 열교환기(3)의 내압은 냉열원 열교환기(2)보다 높고, 이 압력차에 의해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의 액체 냉매는 냉열원 열교환기(2)로 반송된다. 즉, 이 난방 운전에 따라 냉열원 열교환기(2)에는 액체 냉매가 저류된다.
또한, 이 냉열원 열교환기(2)에 가스 냉매가 도입된 경우에도, 이 냉열원 열교환기(2)는 냉각용 열교환기(15)에 의해 열량이 빼앗기게 되므로 이 가스 냉매는 비교적 낮은 온도로 응축한다.
그리고, 이러한 난방 운전이 소정 시간 행하여져, 상기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었을 때는 난방 운전을 정지하고, 액체 냉매 회수 운전으로 전환된다.
이 냉매 회수 운전에서는, 컨트롤러(C)에 의해 전자 밸브(EV1)가 개방된다. 이에 따라,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의 고압의 가스 냉매가 냉열원 열교환기(2)에 도입되고, 이에 의해서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가 균압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냉열원 열교환기(2)는 온열원 열교환기(1)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고저차에 의해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는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또, 액체 배관(7)에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3)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또, 이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에서는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는 냉각용 열교환기(15)의 사이에서의 열교환을 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때 온열원 열교환기(1)에서의 냉매의 가열을 행하지 않도록 하면, 냉열원 열교환기(2)와의 사이에서 내압되는 시간이 단축 가능하기 때문에 이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신속히 완료할 수 있고, 운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난방 운전과 액체 냉매 회수 운전이 교대로 행하여져, 실내를 난방한다.
그리고, 이러한 2차측 냉매 회로(B)에서의 난방 운전이 행해져 있는 상태에서는, 실내 열교환기(3)에서 냉매가 응축함으로써, 가열용 열교환기(12)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 부여되는 열량은 냉각용 열교환기(15)에 의해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빼앗기는 열량보다 크다.
이 때문에, 1차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을 같게 하여 이 1차측 냉매 회로(A)에서의 냉매의 순환을 양호하게 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서의 흡열량을 상기 열교환량의 차이분과 같아지도록 유량 조정 전동 밸브(18)의 개방도가 설정되고,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서의 냉매 유량을 조정하고 있다. 즉, 냉각용 열교환기(15)의 흡열량과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의 흡열량의 합이 가열용 열교환기(12)의 방열량과 같아지도록 유량 조정 전동 밸브(18)의 개방도가 설정된다.
이에 따라, 1차측 냉매 회로(A)에서의 냉매의 순환 상태를 양호하게 얻으면서, 2차측 냉매 회로(B)의 난방 운전이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제 1 실시예의 열반송 장치에 의하면, 온열원 열교환기(1)에 주어진 열량에 의해 발생하는 냉매의 압력 상승을 이용하여 냉매의 순환 동작을 행하게 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2차측 냉매 회로(B)에 펌프 등의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소비 전력의 저감, 고장의 발생 개소의 삭감 및 장치 전체의 신뢰성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 냉매의 응축을 행하고 있으므로 가스 냉매를 확실히 액화할 수 있고, 이 냉열원 열교환기(2)의 내압 상승을 억제할 수 있어 양호한 냉매의 순환 동작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종래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로부터 가스 냉매가 유출하지 않도록 이 실내 열교환기에서 냉매를 과냉각 상태로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결과,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의 열교환량을 충분히 얻을 수 있고, 난방 능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기기의 설치 위치의 제약을 작게 할 수 있으므로 높은 신뢰성 및 범용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회로에서는 상술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제 1 및 제 2 역류방지 밸브(CV1, CV2)를 유량 제어 밸브로 각각 대신해도 된다.
( 2차측 냉매 회로의 변형예 )
이하에, 2차측 냉매 회로(B)에 대한 복수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2차측 냉매 회로(B)의 변형예에서는, 1차측 냉매 회로에 관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2차측 냉매 회로(B)의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1차측 냉매 회로(A)와 같은 회로와 조합하거나, 후술하는 1차측 냉매 회로의 변형예에서 설명하는 회로와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회로에서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붙인다.
( 제 2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2 실시예는 냉방 전용의 공기 조화 장치로서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 구성에 관하여, 상술한 제 1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에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는, 가스 냉매용 전자 밸브(EV1)가 설치되고, 가스 배관(6)에는 실내 열교환기(3)로부터 냉열원 열교환기(2)로의 가스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가스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CVG)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가스 전환 수단(8)이 구성된다.
또한, 액체 유통관(3)에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같은 제 1 역류방지 밸브(CV1) 외에 액체 냉매용 전자 밸브(EV4)가 설치된다.
또한, 액체 배관(7)에는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실내 열교환기(3)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로서의 제 3 역류방지 밸브(CV3)가 설치된다. 이에 따라 액체 전환 수단(9)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전자 밸브(EV1, EV4)가 컨트롤러(C)에 의해 개폐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냉매 회로(B)에서의 실내의 냉방 운전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냉방 운전 개시 이전에는, 미리 냉열원 열교환기(2)에 액체 냉매가 저류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냉방 운전이 시작되면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가스 냉매용 전자 밸브(EV1)가 개방되고 또한 액체 냉매용 전자 밸브(EV4)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고압 가스 냉매가 가스 유통관(4)을 통해 냉열원 열교환기(2)에 공급된다.
이 가스 냉매가 공급되면 가스 냉매의 압력 작용에 의해, 미리 냉열원 열교환기(2)에 저류되어 있던 액체 냉매는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유통관(5) 및 액체 배관(7)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3)를 향하여 압출된다. 또, 이 도 4의 (a), (b)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의 방열은 행하여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하여진 후, 컨트롤러(C)에 의해 가스 냉매용 전자 밸브(EV1)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는,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 냉열원 열교환기(2)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은 정지된다. 그리고, 냉열원 열교환기(2)에 가스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3)에 액체 냉매가 각각 도입된 상태에서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 가스 냉매가 응축하고, 이 응축에 따르는 압력 강하에 의해 이 냉열원 열교환기(2)의 내압이 실내 열교환기(3)보다 낮아진다.
이 압력차에 의해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에서증발하는 냉매는 냉열원 열교환기(2)로 반송된다. 즉, 실내 열교환기(3)에서는 냉매와 실내 공기 사이에서 열교환이 행하여져 실내 공기가 냉각된다.
이러한 냉방 운전이 소정 시간 행하여져, 온열원 열교환기(1)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었을 때는 냉방 운전을 정지하고, 액체 냉매 회수 운전으로 전환된다. 이 냉매 회수 운전에서는 컨트롤러(C)에 의해, 각 전자 밸브(EV1, EV4)가 모두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가 균압하고,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가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또, 가스 배관(6)에는 가스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CVG)가 설치됨으로써, 이 액체 냉매 회수 운전시에 온열원 열교환기(2)로부터의 가스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3)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또, 이 액체 냉매 회수 운전에서는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는 냉각용 열교환기(15)의 사이에서의 열교환을 행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냉방 운전과 액체 냉매 회수 운전이 교대로 행하여져, 실내를 냉방한다.
이와 같이, 본 제 2 실시예의 열반송 장치에 의해서도, 2차측 냉매 회로(B)에 펌프 등의 구동원을 구비하게 할 필요가 없고, 소비 전력의 저감, 고장의 발생장소의 삭감 및 장치 전체의 신뢰성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회로에서는 상술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가스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 (CVG) 대신에, 유량 제어 밸브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제 1 역류방지 밸브(CV1) 및 액체 냉매용 전자 밸브(EV4) 중 한쪽만을 설치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가스 전환 수단(8)으로서 가스 냉매용 전자 밸브(EV1) 및 가스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CVG) 대신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로(四路) 전환 밸브(FV) 및 모세관 튜브(CT)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냉매의 순환 상태에 따라 4로 전환 밸브(FV)를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즉,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실내 열교환기(3)에 액체 냉매를 공급할 때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4로 전환 밸브(FV)를 전환하는 한편, 실내 열교환기(3)로부터 냉열원 열교환기(2)에 가스 냉매를 공급할 때는 도 5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4로 전환 밸브(FV)를 전환한다.
또, 액체 전환 수단(9)의 구성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역류방지 밸브(CV1)의 위치를, 액체 유통관(5)에 대한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 설치하면, 제 3 역류방지 밸브(CV3)를 생략할 수 있다.
( 제 3 실시예 )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3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3 실시예는 난방 운전과 냉방 운전이 전환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로서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 구성에 관해서 상술한 각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에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는 제 1 전자 밸브(EV1)가 설치되고, 가스 배관(6)에는 제 2 전자 밸브(EV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전자 밸브(EV1)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 접속관(10)의 일단은 접속되고, 제 2 전자 밸브(EV2)와 실내 열교환기(3) 사이에 접속관(10)의 타단은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접속관(10)에는 제 3 전자 밸브(EV3)가 설치되는 동시에, 이 접속관(10)에는 실내 열교환기(3)로부터 냉열원 열교환기(2)로의 가스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가스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CVG)가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가스 전환 수단(8)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액체 유통관(5)에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의 유출측에는 제 1 개폐 밸브로서의 제 4 전자 밸브(EV4)가 설치되고, 또 이 유출측 부분에는,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액체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CVL)가 설치된다.
또한, 액체 배관(7)에는 제 2 개폐 밸브로서의 제 5 전동 밸브(EV5)가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액체 전환 수단(9)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전자 밸브(EV1, EV2, EV3, EV4) 및 전동 밸브(EV5)가 컨트롤러(C)에 의해 개폐 상태가 전환 제어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냉매 회로(B)에서의 실내의 난방 운전시 및 냉방 운전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난방 운전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난방 운전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전자 밸브(EV1) 및 제 3 전자 밸브(EV3)가 폐쇄되는 동시에, 제 2 전자 밸브(EV2), 제 4 전자 밸브(EV4) 및 제 5 전동 밸브(EV5)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8의 (a)와 같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가스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3)에 공급되어 응축하고, 실내 공기를 가온한다. 그 후, 이 응축한 액체 냉매는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와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압력차에 의해 이 냉열원 열교환기(2)로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었을 때는 난방 운전을 정지하고,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같은 액체 냉매 회수 운전으로 전환된다.
이 액체 냉매 회수 운전시에는, 컨트롤러(C)에 의해 제 2 전자 밸브(EV2), 제 3 전자 밸브(EV3) 및 제 5 전동 밸브(EV5)가 폐쇄되는 동시에, 제 1 전자 밸브(EV1) 및 제 4 전자 밸브(EV4)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의 고압의 가스 냉매가 냉열원 열교환기(2)에 도입된다. 이에 의해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가 균압하고, 이 양 열교환기(1, 2)의 고저차에 의해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는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다음으로, 냉방 운전시에 대하여 도 9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냉방 운전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제 2 전자 밸브(EV2) 및 제 4 전자 밸브(EV4)가 폐쇄됨과 동시에, 제 1 전자 밸브(EV1), 제 3 전자 밸브(EV3) 및제 5 전동 밸브(EV5)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고압의 가스 냉매가 가스 유통관(4)을 통해 냉열원 열교환기(2)에 공급되고, 미리 냉열원 열교환기(2)에 저류되어 있던 액체 냉매는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유통관(5) 및 액체 배관(7)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3)를 향하여 압출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하여진 후,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전자 밸브(EV1)가 폐쇄되고, 냉매가 응축하는 냉열원 열교환기(2)와 냉매가 증발하는 실내 열교환기(3)의 압력차에 의해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의 냉매는 접속관(10)을 거쳐 냉열원 열교환기(2)로 반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냉방 운전이 소정 시간 행하여져, 온열원 열교환기(1)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었을 때는 냉방 운전을 정지하고, 액체 냉매 회수 운전으로 전환된다.
이 냉매 회수 운전에서는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전자 밸브(EV1) 및 제 4전자 밸브(EV4)가 모두 개방된다. 이에 따라,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가 균압하고,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가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또, 본 회로에서는 상술한 구성에 한하지 않고, 액체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CVL) 및 제 4 전자 밸브(EV4) 대신 유량 제어 밸브를 이용해도 된다.
또한, 가스 전환 수단(8)을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전자 밸브(EV1), 가스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CVG), 4로 전환 밸브(FV) 및 모세관 튜브(CT)를 설치한구성으로 하고, 냉매의 순환 상태에 따라 4로 전환 밸브(FV)를 전환하도록 해도 된다. 즉, 난방 운전시에는, 도 10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4로 전환 밸브(FV)를 전환하는 한편, 냉방 운전시 및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 회수시에는, 도 10에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4로 전환 밸브(FV)를 전환한다.
또, 제 5 전동 밸브(EV5) 대신에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배관(7)의 일부를 분기하고, 각각에 전자 밸브(EV5′, EV5″) 및 서로 역방향의 액체 냉매의 유통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L′, CVL″)를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 난방 운전시에는 실내 열교환기(3)로부터 냉열원 열교환기(2)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L′)에 직렬로 접속된 전자 밸브(EV5′)를 개방하고, 냉방 운전시에는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실내 열교환기(3)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L″)에 직렬로 접속된 전자 밸브(EV5″)를 개방한다.
( 제 4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4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4 실시예는 복수의 실내의 개개에 배치된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각각이 개별로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선택 가능하게 된 소위 냉난방이 자유로운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로서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에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 제 1 전자 밸브(EV1)가 설치된다. 또한, 가스 배관(6)에서의 각 실내열 교환기(3a∼3d)측은 복수로 분기되고 각각이 분기 가스 배관(6a∼6d)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기 가스 배관(6a∼6d)에는 제 2 전자 밸브(EV2-1∼EV2-4)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 1 전자 밸브(EV1)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는 접속관(10)의 일단은 접속되고, 제 2 전자 밸브(EV2-1∼EV2-4)와 실내 열교환기(3a∼3d) 사이에는 접속관(10)의 타단은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관(10)은 각 실내 열교환기(3a∼3d)측이 복수로 분기되어 복수의 분기 접속관(10a∼10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기 접속관(10a∼10d)에는 제 3 전자 밸브(EV3-1∼EV3-4)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접속관(10)에는 각 실내 열교환기(3a∼3d)로부터 냉열원 열교환기(2)로의 가스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가스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CVG)가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가스 전환 수단(8)이 구성되어 있다.
한편, 액체 유통관(5)에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는 제 1 개폐 밸브로서의 제 4 전자 밸브(EV4)가 설치되고, 또 액체 유통관(5)에는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액체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 (CVL)가 설치된다.
또한, 액체 배관(7)은 각 실내 열교환기(3a∼3d)측이 복수로 분기되어 복수의 분기 액체 배관(7a∼7d)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기 액체 배관(7a∼7d)에는 제 2 개폐 밸브로서의 제 5 전동 밸브(EV5-1∼EV5-4)가 각각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냉매 회로(B)에서의 각 실내의 공기조절 운전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공기 조절 운전 상태로서는, 다음 3종류가 있다.
① 각 실내를 모두 난방하는 상태, 즉 모든 실내 열교환기(3a∼3d)가 동시에 방열 운전을 하는 상태.
② 각 실내를 모두 냉방하는 상태, 즉 모든 실내 열교환기(3a∼3d)가 동시에 흡열 운전을 하는 상태.
③ 일부의 실내를 난방하고 다른 실내를 냉방하는 상태, 즉 일부 실내 열교환기가 방열 운전을 하고, 다른 실내 열교환기가 흡열 운전을 하는 상태.
또, 이 일부의 실내를 난방하고 다른 실내를 냉방하는 상태 ③으로서는 다음 3종류가 있다.
③-1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난방 요구인 경우(예를 들면,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보다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많은 방열 주체 운전의 경우).
③-2 냉방 요구인 경우(예를 들면,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보다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많은 흡열 주체 운전의 경우).
③-3 이들이 동일한 경우(예를 들면,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와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동수인 경우).
이하, 각 경우에 대하여 각각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모든 실내 열교환기(3a∼3d)가 모두 방열 운전을 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3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운전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전자 밸브(EV1) 및 각 제 3전자 밸브(EV3-1∼EV3-4)가 폐쇄됨과 동시에, 각 제 2 전자 밸브(EV2-1∼EV2-4), 제 4 전자 밸브(EV4) 및 각 제 5 전동 밸브(EV5-1∼EV5-4)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가스 냉매가, 각 분기 가스 배관(6a∼6d)을 지나서 각 실내 열교환기(3a∼3d)에 공급되어 응축하고, 각 실내의 공기를 가온한다. 그 후, 이 응축한 액체 냉매는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a∼3d)로 냉열원 열교환기(2)와의 압력차에 의해 각 분기 액체 배관(7a∼7d)을 지나서 냉열원 열교환기(2)로 반송된다.
그리고, 상기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었을 때는 난방 운전을 정지하고,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같은 액체 냉매회수운전으로 전환된다.
이 액체 냉매 회수 운전시에는 컨트롤러(C)에 의해 각 제 2 전자 밸브(EV2-1∼EV2-4), 제 3 전자 밸브(EV3-1∼EV3-4) 및 제 5 전동 밸브(EV5-1∼EV5-4)가 폐쇄됨과 동시에, 제 1 전자 밸브(EV1) 및 제 4 전자 밸브(EV4)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1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의 고압 가스 냉매가 냉열원 열교환기(2)로 도입되고, 이에 의해서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가 균압하고, 이 각 열교환기(1, 2)의 고저차에 의해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는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다음에, 모든 실내 열교환기(3a∼3d)가 함께 흡열 운전을 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4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운전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각 제 2 전자 밸브(EV2-1∼EV2-4) 및 제 4 전자 밸브(EV4)가 폐쇄됨과 동시에, 제 1 전자 밸브(EV1), 제 3 전자 밸브(EV3-1∼EV3-4) 및 제 5 전동 밸브(EV5-1∼EV5-4)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상술한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고압의 가스 냉매가 가스 유통관(4)을 통해 냉열원 열교환기(2)에 공급되고, 미리 냉열원 열교환기(2)에 저류되어 있던 액체 냉매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기 액체 배관(7a∼7d)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3a∼3d)에 도입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하여진 후,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전자 밸브(EV1)가 폐쇄되고, 냉매가 응축하는 냉열원 열교환기(2)와 냉매가 증발하는 각 실내 열교환기(3a∼3d) 압력차에 의해 도 1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실내 열교환기(3a∼3d)의 액체 냉매는 분기 접속관(10a∼10d)을 지나서 냉열원 열교환기(2)로 반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냉방 운전이 소정 시간 행하여져, 온열원 열교환기(1)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었을 때는 냉방 운전을 정지하고, 액체 냉매 회수 운전으로 전환된다.
이 냉매 회수 운전에서는 상기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전자 밸브(EV1) 및 제 4 전자 밸브(EV4)가 함께 개방된다. 이에 따라,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가 균압하고,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가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다음에,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난방 요구인 경우, 즉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보다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많은 흡열 주체 운전의 경우에 대하여 도 15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여기에서는, 도 15에서의 4대의 실내 열교환기(3a∼3d) 중 가장 오른쪽에 위치하는 실내 열교환기(3d)만이 흡열 운전하고, 그 밖의 실내 열교환기(3a∼3c)가 방열 운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 운전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전자 밸브(EV1),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3c)에 이어지는 3개의 제 3 전자 밸브(EV3-1∼EV3-3) 및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d)에 이어지는 1개의 제 2 전자 밸브(EV2-4)가 폐쇄됨과 동시에,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3c)에 이어지는 3개의 제 2 전자 밸브(EV2-1∼EV2-3), 제 4 전자 밸브(EV4), 각 제 5 전동 밸브(EV5-1∼EV5-4) 및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d)에 이어지는 1개의 제 3 전자 밸브(EV3-4)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가스 냉매가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기 가스 배관(6a∼6c)을 지나서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3c)로 공급되어 응축되고, 각 실내의 공기를 가온하여 이 실내를 난방하고, 그 후, 이 응축한 액체 냉매는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3c)와 냉열원 열교환기(2) 및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d)와의 압력차에 의해 각 분기 액체 배관(7a∼7c)을 지나서 냉열원 열교환기(2)뿐만 아니라 분기 액체 배관(7d)을 지나서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d)에 소정의 분배 비율로 분배되어 반송되고, 이 실내 열교환기(3d)에서 증발하여 실내를 냉방한다.
또한, 이 실내 열교환기(3d)에서 증발한 가스 냉매는 분기 접속관(10d)을 지나서 냉열원 열교환기(2)에 공급되고, 이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 응축한다.
그리고, 상기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었을 때는 난방 운전을 정지하고, 액체 냉매 회수 운전으로 전환된다.
이 액체 냉매 회수 운전시에는, 컨트롤러(C)에 의해 각 제 2 전자 밸브(EV2-1∼EV2-4), 제 3 전자 밸브(EV3-1∼EV3-4) 및 제 5 전동 밸브(EV5-1∼EV54)가 폐쇄됨과 동시에, 제 1 전자 밸브(EV1) 및 제 4 전자 밸브(EV4)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의 고압의 가스 냉매가 냉열원 열교환기(2)에 도입되고, 이에 의해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가 균압되고, 이 각 열교환기(1, 2)의 고저차에 의해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는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다음으로,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냉방 요구인 경우, 즉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보다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가 많은 방열 주체 운전의 경우에 대하여 도 16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여기서는 도 16에서의 4대의 실내 열교환기(3a∼3d) 중 가장 좌측에 위치하는 실내 열교환기(3a)만이 방열 운전하고, 그 밖의 실내 열교환기(3b∼3d)가 흡열 운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 운전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각 제 2 전자 밸브(EV2-1∼EV2-4),제 4 전자 밸브(EV4),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에 이어지는 제 3 전자 밸브(EV3-1) 및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에 이어지는 제 5 전동 밸브(EV5-1)가 폐쇄된다. 또한, 제 1 전자 밸브(EV1),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b∼3d)에 이어지는 제 3 전자 밸브(EV3-2∼EV3-4) 및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b∼3d)에 이어지는 제 5 전동 밸브(EV5-2∼EV5-4)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고압의 가스 냉매가 가스 유통관(4)을 통해 냉열원 열교환기(2)에 공급되고, 미리 냉열원 열교환기(2)에 저류되어 있던 액체 냉매는 도 1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기 액체 배관(7b∼7d)을 통해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b∼3d)로 도입된다. 그 후,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에 이어지는 제 2 전자 밸브(EV2-1) 및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에 이어지는 제 5 전자 밸브(EV5-1)가 개방되는 한편, 제 1 전자 밸브(EV1)가 폐쇄되고, 도 1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b∼3d)에서 증발한 가스 냉매는 분기 접속관(10b∼10d)을 지나서 냉열원 열교환기(2)에 공급되고, 이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 응축한다.
또한,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가스 냉매는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에 공급되어 이 실내 열교환기(3a)에서 응축하여 실내를 난방한 후, 분기 액체 배관(7a)을 지나서 냉열원 열교환기(2)로 반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 조절 운전이 소정 시간 행하여져, 온열원 열교환기(1)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었을 때는 공기 조절 운전을 정지하고,액체 냉매 회수 운전으로 전환된다. 이 냉매 회수 운전에서는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전자 밸브(EV1) 및 제 4 전자 밸브(EV4)가 함께 개방된다. 이에 따라,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가 균압하고,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가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다음으로, 각 실내 열교환기에서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동일인 경우, 즉 흡열 운전하는 실내열 교환기와 방열 운전하는 실내열 교환기가 동수인 경우에 대하여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여기에서는, 도 17에서의 4대의 실내 열교환기(3a∼3d) 중 오른쪽에 위치하는 2대의 실내 열교환기(3c, 3d)가 흡열 운전하고, 좌측에 위치하는 2대의 실내 열교환기(3a, 3b)가 방열 운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 운전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전자 밸브(EV2),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 3b)에 이어지는 2개의 제 3 전자 밸브(EV3-1, EV3-2) 및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c, 3d)에 이어지는 2개의 제 2 전자 밸브(EV2-3, EV2-4)가 폐쇄됨과 동시에,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 3b)에 이어지는 2개의 제 2 전자 밸브(EV2-1, EV2-2), 제 4 전자 밸브(EV4), 각 제 5 전동 밸브(EV5-1∼EV5-4) 및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c, 3d)에 이어지는 2개의 제 3 전자 밸브(EV3-3, EV3-4)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가스 냉매가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분기 가스 배관(6a, 6b)을 지나서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 3b)에 공급되어 응축되고, 각 실내의 공기를 가온하여 이 실내를 난방하고, 그 후, 이 응축한 액체 냉매는 도 1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 3b)와 냉열원 열교환기(2) 및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c, 3d)의 압력차에 의해 각 분기 액체 배관(7a, 7b)을 지나서 냉열원 열교환기(2) 및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c, 3d)에 소정의 분배 비율로 분배되어 반송되고, 이 실내 열교환기(3c, 3d)에서 증발하여 실내를 냉방한다.
또한, 이 실내 열교환기(3c, 3d)에서 증발한 가스 냉매는 분기 접속관(10c, 10d)을 지나서 냉열원 열교환기(2)로 반송되고, 이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 응축한다.
그리고, 상기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었을 때는 공기 조절 운전을 정지하고, 액체 냉매 회수 운전으로 전환된다. 이 액체 냉매 회수 운전시에는 컨트롤러(C)에 의해 각 제 2 전자 밸브(EV2-1∼EV2-4), 제 3 전자 밸브(EV3-1∼EV3-4) 및 제 5 전동 밸브(EV5-1∼EV5-4)가 폐쇄되는 동시에, 제 1 전자 밸브(EV1) 및 제 4 전자 밸브(EV4)가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도 1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의 고압의 가스 냉매가 냉열원 열교환기(2)에 도입되고, 이에 의해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가 균압하여, 이 고저차에 의해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는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 변형예 )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1∼제 4 실시예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변형예는 냉열원 열교환기(2)의 주변부의 냉매 회로를 변형한 것이며, 상기 각 실시예의 어떤 것에 적용한 경우도 같은 구성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에 각각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제 1 실시예(난방 전용 장치)에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며, 액체 냉매를 저류할 수 있는 액체 수용 수단으로서의 액체 수용기(22)의 일단은 가스 유통관(4)에, 타단은 액체 유통관(5)에 각각 분기관(23)을 통해 접속되고, 이 액체 수용기(22)가 냉열원 열교환기(2)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스 유통관(4)에서의 분기관(23)과의 접속 부분과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는 전자 밸브(EV11)가 설정되는 한편, 액체 유통관(5)에서의 분기관 (23)과의 접속 부분과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는 액체 유통관(5)으로부터 분기관(23)으로의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5)가 설치된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같다.
이러한 구성에서의 난방 운전 동작을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전자 밸브(EV1)를 폐쇄하는 동시에 전자 밸브(EV11)를 개방하고,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 실내 열교환기(3)로 공급된 가스 냉매를, 이 실내열 교환기(3)에서 응축시킨다(도 19의 (a)). 그리고, 이 실내 열교환기(3)에서의 응축 온도보다 낮은 응축 온도로 냉매를 응축하는 냉열원 열교환기(2)와 이 냉열원 열교환기 (2)에 전자 밸브(EV11)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액체 수용기(22)에서는 실내 열교환기(3)보다 저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실내 열교환기(3)에서 응축한 액체 냉매는 액체 배관(7)으로부터 분기관(23)으로 도입하여 액체 수용기(23)에 저류된다.
이 때, 액체 수용기(22)에 도입된 가스 냉매는 전자 밸브(EV11)를 지나서 냉열원 열교환기(2)에 도입되고, 이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 응축하고(도 19의 (b)), 이 응축한 액체 냉매는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액체 수용기(22)로 회수된다. 그리고, 이 액체 수용기(22)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을 넘은 상태가 되면 전자 밸브(EV1)를 개방하는 동시에, 전자 밸브(EV11)를 폐쇄하고, 상술한 바와 같은 액체 냉매 회수 운전을 행한다(도 19의 (c)).
이러한 동작이므로 운전 중에 냉열원 열교환기(2)에 저류하는 액체 냉매의 양을 저감할 수 있고, 이 냉열원 열교환기(2)의 열교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열원 열교환기(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장치 전체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도 20은 제 2 실시예(냉방 전용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냉방 운전 동작을 도시한다.
우선, 전자 밸브(EV1)를 개방하는 동시에, 전자 밸브(EV11)를 폐쇄하고,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고압의 가스 냉매를 액체 수용기(22)로 공급하고(도 20의 (a)), 미리 액체 수용기(22)에 저류되어 있던 액체 냉매를 실내 열교환기(3)에 도입한다 (도 20의 (b)). 그 후, 전자 밸브(EV1)를 폐쇄하는 동시에 전자 밸브(EVl1)를 개방한다. 이에 따라, 실내 열교환기(3)에 도입한 가스 냉매는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의 냉매의 응축에 따라 감압하고, 증발한 후, 이 실내 열교환기(3)와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압력차에 의해 냉열원 열교환기(2)에 도입하고, 이 냉열원 열교환기(2)로 응축하여 액화한 후, 액체 수용기(22)로 회수된다(도 20의 (c)).
따라서, 이 동작에 의해서도 운전 중에 냉열원 열교환기(2)에 저류하는 액체 냉매의 양을 저감할 수 있고, 냉열원 열교환기(2)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의 구성에서는 액체 냉매를 냉열원 열교환기(2)나 액체 수용기(22)로부터 배출할 때 전자 밸브(EV1)를 폐쇄함으로써,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가스 냉매가 냉열원 열교환기(2)에 공급되어 이 냉열원 열교환기(2)가 불필요하게 가열되는 상황을 피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절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역류방지 밸브(CV5)를 설치한 것으로, 액체 수용기(22)의 액체 냉매가 냉열원 열교환기(2)로 역류하지 않고, 이것에 의해서도 에너지 절감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변형예의 구성을 상술한 제 4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실내 열교환기(3a∼3d)를 구비한 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각 실내 열교환기(3a∼3d) 각각에 대하여 액체 수용기(22)를 병렬로 접속시킨다.
( 복수의 냉열원 열교환기를 구비한 변형예 )
이하에 서술하는 제 5∼제 8 실시예는 냉열원 열교환기를 복수개(본 실시예서는 2대) 구비하게 한 구성이다.
( 제 5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5 실시예는 2대의 제 1 및 제 2 냉열원 열교환기를 구비한 것으로, 난방 전용 공기 조화 장치로서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은 냉열원 열교환기측이 분기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a, 4b)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은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에,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은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분기 가스 유통관(4a, 4b)에는 가스 배관(6)이 접속되고, 이 각 분기 가스 유통관(4a, 4b)에는 전자 밸브(EV1-1, EV1-2)가 설치된다. 이 전자 밸브(EV1-1, EV1-2)는 컨트롤러(C)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또한, 액체 유통관(5)도 냉열원 열교환기측이 분기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a, 5b)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은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에,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은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액체 배관(7)에서의 액체 유통관(5)과의 접속측도 분기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액체 배관(7e, 7f)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 1 분기 액체 배관(7e)은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에, 제 2 분기 액체 배관(7f)은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기 액체 유통관(5a, 5b)에 대한 분기 액체 배관(7e, 7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는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가 각각 설정되고, 상기 각 분기 액체 배관(7e, 7f)에는 실내 열교환기(3)로부터 냉열원열교환기(2a, 2b)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가 각각 설치된다.
다음에,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2 차측 냉매 회로(B)에서의 실내의 난방 운전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난방 운전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 의 전자 밸브(EV1-1)가 개방되는 한편,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의 전자 밸브(EV1-2)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온열원 열교환기(1)가 1차측 냉매 회로로부터의 열량을 받아, 온열원 열교환기(1)에서는 냉매가 증발하여, 도 2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 고압의 가스 냉매는 그 일부가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을 지나서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로, 그 외에는 가스 배관(6)을 지나서 실내 열교환기(3)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 실내 열교환기(3)에서 가스 냉매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응축하고, 실내 공기를 가온하여 실내를 난방한다.
이 상태에서는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가 운전측 냉열원 열교환기에,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가 정지측 냉열원 열교환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3)와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의 압력차에 의해 도 2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의 액체 냉매는 제 2 분기 액체 배관(7f)을 지나서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로 반송된다. 즉, 이 난방 운전에 따라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에는 액체 냉매가 저류된다.
한편,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에서는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 가스 냉매가 공급됨으로써, 이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의 액체 냉매는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으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난방 운전이 소정 시간 행하여져, 상기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었을 때는 컨트롤러(C)에 의해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의 전자 밸브(EV1-2)가 개방되는 한편,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의 전자 밸브(EV1-1)가 폐쇄된다.
이에 따라,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가 정지측 냉열원 열교환기로,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가 운전측 냉열원 열교환기로 변화한다. 또,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 고압의 가스 냉매는 도 2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을 지나서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로, 그 외의 것은 가스 배관(6)을 지나서 실내 열교환기(3)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 실내 열교환기(3)에서 가스 냉매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응축하고, 실내 공기를 가온하여 실내를 난방한다.
이 상태에서는, 실내 열교환기(3)와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의 압력차에 의해 도 22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의 액체 냉매는 제 1 분기 액체 배관(7e)을 지나서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로 반송된다. 즉, 이 난방 운전에 따라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에는 액체 냉매가 저류된다. 한편,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에 있어서는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 가스 냉매가 공급됨으로써, 이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의 액체 냉매는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으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이러한 동작이 교대로 행하여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2대의 냉열원 열교환기(2a, 2b)를 설치하여, 한쪽에서 실내 열교환기(3)와의 사이에서 냉매를 반송시키면서, 다른쪽에 액체 냉매를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시키고, 이 각 냉열원 열교환기(2a, 2b)의 동작을 교대로 행하도록 한 것으로, 실내열 교환기(3)에서의 방열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즉, 실내의 난방 운전을 연속하여 할 수 있기 때문에 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제 6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6 실시예는 2대의 제 1 및 제 2 냉열원 열교환기를 구비한 것으로, 냉방 전용 공기 조화 장치로서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5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배관(6)은 가스 유통관(4)과의 접속측이 분기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가스 배관(6e, 6f)으로 형성되고, 제 1 분기 가스 배관(6e)은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에, 제 2 분기 가스 배관(6f)은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들 분기 가스 배관(6e, 6f)의 분기 가스 유통관(4a, 4b)에 대한 접속 위치는 각 분기 가스 유통관(4a, 4b)에 설치되는 가스 냉매용 전자 밸브(EV1-1, EV1-2)와 냉열원 열교환기(2a, 2b)의 사이로 되어 있다.
또한, 각 분기 액체 배관(7e, 7f)에는 상술한 제 5 실시예에서의 제 2 역류 방지 밸브(CV2-1, CV2-2) 대신에, 냉열원 열교환기(2a, 2b)로부터 실내열교환기(3)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 방지 밸브로서의 제 3 역류 방지 밸브(CV3-1, CV3-2)가 각각 설치된다.
또, 액체 유통관(5)에는 액체 냉매용 전자 밸브(EV4)가 설치되고, 이 액체 냉매용 전자 밸브(EV4)는 컨트롤러(C)에 의해 개폐 제어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냉매 회로(B)에서의 실내의 냉방 운전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냉방 운전 개시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에 설치된 가스 냉매용 전자 밸브(EV1-1)가 개방되고, 또한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에 설치된 가스 냉매용 전자 밸브(EV1-2) 및 액체 냉매용 전자 밸브(EV4)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도 2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고압의 가스 냉매가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을 통해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에 공급된다. 그러면, 이 압력의 작용에 의해, 미리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에 저류되어 있던 액체 냉매는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 및 제 1 분기 액체 배관(7e)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3)에 도입한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3)에서 액체 냉매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실내를 냉방한다.
이 때, 냉매가 응축하는 운전측의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와 냉매가 증발하는 실내 열교환기(3)의 압력차에 의해 도 2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의 가스 냉매는 제 2 분기 가스 배관(6f)을 지나서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로 반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해지고,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에 설치된 가스 냉매용 전자 밸브(EV1-1)가 폐쇄되고, 또한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에 설치된 가스 냉매용 전자 밸브(EV1-2)가 개방된다. 그리고,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가 운전측 냉열원 열교환기에, 제 2 냉열원 열교환기 (2b)가 정지측 냉열원 열교환기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도 2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고압의 가스 냉매가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을 통해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로 공급된다. 그러면 이 압력의 작용에 의해,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에 저류되어 있는 액체 냉매는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 및 제 2 분기 액체 배관(7f)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3)로 도입된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3)에서 액체 냉매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실내를 냉방한다.
이 때,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와 실내 열교환기(3)의 압력차에 의해 도 24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의 가스 냉매는 제 1 분기 가스 배관(6e)을 지나서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로 반송된다.
이러한 각 냉열원 열교환기(2a, 2b)의 동작을 교대로 행하게 함으로써, 실내 열교환기(3)에서의 흡열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즉, 실내의 냉방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냉방 운전이 소정 시간 행하여져 온열원 열교환기(1)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었을 때는 컨트롤러(C)에 의해, 액체 냉매가 저류되어 있는 냉열원 열교환기(2a, 2b)에 이어지는 가스 냉매용 전자 밸브(EV1-1, EV1-2) 및 액체 냉매용 전자 밸브(EV4)가 함께 개방되고,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가 균압하고,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가 온열원 열교환기 (1)로 회수된다.
( 제 7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7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7 실시예는 2대의 제 1 및 제 2 냉열원 열교환기를 구비한 것으로, 난방 운전과 냉방 운전을 전환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로서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각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2차측 냉매 회로(B)에서의 가스 전환 수단(8)은 상술한 제 5 실시예의 냉매 회로에서, 가스 배관(6)에 제 2 전자 밸브(EV2)가 설치되고, 각 분기 가스 유통관(4a, 4b)과 가스 배관(6) 사이에 가스 접속관(20)이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이 가스 접속관(20)의 일단은 가스 배관(6)에서의 제 2 전자 밸브(EV2)와 실내 열교환기(3)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측은 분기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가스 접속관(20a, 20b)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분기 가스접속관(20a)은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에, 제 2 분기 가스 접속관(20b)은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스 접속관(20)에는 제 3 전자 밸브(EV3)가, 각 분기 가스 접속관(20a, 20b)에는 실내 열교환기(3)로부터 냉열원 열교환기(2a, 2b)로의 가스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가스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CVGl, CVG2)가 설치된다.
한편, 액체 전환 수단(9)은 상술한 제 6 실시예의 냉매 회로에서, 제 3 역류방지 밸브(CV3-1, CV3-2) 대신에 제 2 개폐 밸브로서의 제 6 전동 밸브(EV6-1, EV6-2)가 각 분기 액체 배관(7e, 7f)에 각각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2차측 냉매 회로(B)에서의 실내의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 5 실시예에서 설명한 난방 운전 동작과 같은 동작이 행하여져 실내가 연속적으로 난방된다. 즉,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의 냉열원 열교환기(2a)에 대하여 액체 냉매의 회수 동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는, 다른쪽의 냉열원 열교환기(2b)에 대해서는 실내 열교환기(3)로 응축한 액체 냉매가 반송되고 있고, 이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반대로, 실내의 냉방 운전시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 6 실시예에서 설명한 냉방 운전 동작과 같은 동작이 행하여져 실내가 연속적으로 냉방된다. 즉,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의 냉열원 열교환기(2a)로부터 액체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3)에 공급되어 있는 경우에는, 다른쪽의 냉열원 열교환기(2b)에 대해서는 실내 열교환기(3)로 증발한 가스 냉매가 반송되고, 이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 이 냉방 운전 동작에 따라 온열원 열교환기(1)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소정량 이하가 된 경우에는 액체 유통관(5)으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 액체 냉매가 회수된다.
( 제 8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8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8 실시예는 2대의 제 1 및 제 2 냉열원 열교환기 및 4개의 실내의 개개에 배치된 4대의 실내 열교환기를 구비하고, 각각이 개별로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선택 가능하게 된 소위 냉난방이 자유로운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로서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 구성으로서 상술한 제 4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측 냉매 회로(B)의 가스 전환 수단(8)으로서는 가스 유통관(4)의 냉열원 열교환기측이 분기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a, 4b)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은 제 1 냉열원 열교환기 (2a)에,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은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이 각 분기 가스 유통관(4a, 4b)에는 제 1 전자 밸브(EV1-1, EV1-2)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가스 접속관(20)의 일단은 가스 배관(6)에서의 제 2 전자 밸브(EV2-1, EV2-4)와 실내 열교환기(3a∼3d)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측은 제 1 및 제 2 분기 가스 접속관(20a, 20b)으로 분기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분기 가스 접속관(20a)은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으로, 제 2 분기 가스 접속관(20b)은 제 2 분기 가스유통관(4b)에 각각 접속되고, 각 분기 가스 접속관(20a, 20b)에는 가스 냉매용 역류방지 밸브(CVGl, CVG2)가 설치된다.
한편, 액체 전환 수단(9)으로서는, 액체 유통관(5)의 냉열원 열교환기측이 분기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a, 5b)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은 제 1 냉열원 열교환기(2a)에,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은 제 2 냉열원 열교환기(2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액체 배관(7)에서의 액체 유통관(5)과의 접속측도 분기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액체 배관(7e, 7f)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분기 액체 배관(7e)은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에, 제 2 분기 액체 배관(7f)은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 분기 액체 유통관(5a, 5b)에 대한 분기 액체 배관(7e, 7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는 냉열원 열교환기(2a, 2b)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가 각각 설정되고, 상기 각 분기 액체 배관(7e, 7f)에는 제 3 개폐 밸브로서의 제 6 전동 밸브(EV6-1, EV6-2)가 각각 설치된다. 이들 설명한 구성 이외의 부분은 상술한 제 4 실시예(도 12 참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2차측 냉매 회로(B)에서의 실내의 공기 조절 운전시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 4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실내 열교환기(3a∼3d)의 운전 상태에 따라 냉매의 유통이 전환되고, 또한, 각 냉열원 열교환기(2a, 2b)에서의 액체 냉매의 회수 및 공급 동작이 교대로 전환됨으로써 각 실내 열교환기(3a∼3d)의 운전이 연속하여 행해진다.
즉,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난방 요구인 방열 주체 운전의 경우에는,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즉, 정지측의 냉열원 열교환기(2a)에 대하여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 동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는, 운전측의 냉열원 열교환기(2b)에서는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3c)로부터 액체 냉매가 공급되는 동시에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d)로부터 가스 냉매가 반송되고, 이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냉방 요구인 흡열 주체 운전의 경우에는,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즉, 운전측의 냉열원 열교환기(2b)에 대하여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b∼3d)로부터 가스 냉매가 반송되어 있는 경우에는, 정지측의 냉열원 열교환기(2a)에서는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 동작과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b∼3d)로의 액체 냉매의 공급이 행하여지고 있고, 이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 각 실내 열교환기에서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동일한 경우에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그리고, 정지측의 냉열원 열교환기(2a)에 대하여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 동작이 행하여지고 있는 경우에는, 운전측의 냉열원 열교환기(2b)에서는,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 3b)로부터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c, 3d)로 공급되어 이 실내 열교환기(3c, 3d)에서 증발한 가스 냉매가 반송되고, 이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 모든 실내 열교환기(3a∼3d)가 모두 방열 운전을 하는 경우나 흡열 운전을 하는 경우의 동작은 상술한 제 7 실시예의 각 동작과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 복수의 액체 수용기를 구비한 변형예 )
이하에 서술하는 제 9∼제 12 실시예는 연속한 공기 조절 운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변형예로서, 액체 냉매의 저류가 가능한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2대)의 액체 수용기를 구비한 것이다.
( 제 9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9 실시예는 2대의 제 1 및 제 2 액체 수용기를 구비한 것으로, 난방 전용의 공기 조화 장치로서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유통관(4)은 일부가 분기되어 제 1 및 제 2의 분기 가스 유통관(4a, 4b)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에는 제 1 가스관(26a)을 통해 제 1 액체 수용기(25a)가,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에는 제 2 가스관(26b)을 통해 제 2 액체 수용기(25b)가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는 제 1 개폐 밸브로서의 제 7 전자 밸브(EV7-1, EV7-2)가, 각 분기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는 제 2 개폐 밸브로서의 제 8 전자 밸브(EV8-1, EV8-2)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액체 유통관(5)도 일부가 분기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a, 5b)으로 형성되어,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은 제 1 액체관(27a)을통해 제 1 액체 수용기(25a)로,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은 제 2 액체관(27b)을 통해 제 2 액체 수용기 (25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기 액체 유통관(5a, 5b)에 대한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는, 액체 수용기(25a, 25b)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 1, CV1-2)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분기 액체 유통관(5a, 5b)에 대한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열교환기(2)와의 사이에는 실내 열교환기(3) 및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액체 수용기(25a, 25b)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가 각각 설치된다.
또, 액체 배관(7)에는 실내 열교환기(3)로부터 액체 수용기(25a, 25b)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4 역류방지 밸브(CV4)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2차측 냉매 회로(B)에서의 실내 난방 운전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난방 운전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서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의 제 7 전자 밸브(EV7-1) 및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의 제 8 전자 밸브(EV8-2)가 개방되는 한편,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의 제 7 전자 밸브(EV7-2) 및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의 제 8 전자 밸브(EV8-1)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온열원 열교환기(1)가 1차측 냉매 회로로부터의 열량을 받고, 온열원 열교환기(1)에서는 냉매가 증발하여, 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 고압의 가스 냉매는 도 3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제 1 분기 가스유통관(4a) 및 제 1 가스관(26a)을 지나서 방출측의 제 1 액체 수용기(25a)로, 그 외에는 가스 배관 (6)을 지나서 실내 열교환기(3)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 실내 열교환기(3)에서 가스 냉매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응축하고, 실내 공기를 가온하여 실내를 난방한다.
이 상태에서는 실내 열교환기(3)와 충전측의 제 2 액체 수용기(25b)의 압력차에 의해 도 3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의 액체 냉매는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을 지나서 제 2 액체 수용기(25b)로 반송된다. 즉, 이 난방 운전에 따라 제 2 액체 수용기(25b)에는 액체 냉매가 저류되어 진다. 한편, 제 1 액체 수용기(25a)에 있어서는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 가스 냉매가 공급됨으로써 이 제 1 액체 수용기(25a)의 액체 냉매는 제 1 액체관(27a) 및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으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난방 운전이 소정 시간 행하여져, 상기 제 2 액체 수용기(25b)에서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상이 되었을 때는 컨트롤러(C)에 의해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의 제 7 전자 밸브(EV7-2) 및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의 제 8 전자 밸브(EV8-1)가 개방되는 한편,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의 제 7 전자 밸브(EV7-1) 및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의 제 8 전자 밸브(EV8-2)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2 액체 수용기(25b)가 방출측 액체 수용기로, 제 1 액체 수용기(25a)가 충전측 액체 수용기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온열원 열교환기(1)에서 고압의 가스 냉매는 도 3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부가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을 지나서 제 2 액체수용기(25b)로, 그 외에는 가스 배관(6)을 지나서 실내 열교환기(3)로 공급된다. 그리고, 이 실내 열교환기(3)에서 가스 냉매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응축하고, 실내 공기를 가온하여 실내를 난방한다.
이 상태에서는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의 압력차에 의해 도 33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의 액체 냉매는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을 지나서 제 1 액체 수용기(25a)로 반송된다. 즉, 이 난방 운전에 따라 제 1 액체 수용기(25a)에는 액체 냉매가 저류되게 된다.
한편, 제 2 액체 수용기(25b)에 있어서는 온열원 열교환기(1)에서 가스 냉매가 공급됨으로써 이 제 2 액체 수용기(25b)의 액체 냉매는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으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이러한 동작이 교대로 행해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2대의 액체 수용기(25a, 25b)를 설치하여, 한쪽에서 실내 열교환기(3)와의 사이에서 냉매를 유통시키면서, 다른쪽에 액체 냉매를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시키고, 이 각 액체 수용기(25a, 25b)의 동작을 교대로 행하게 하도록 한 것으로, 실내 열교환기(3)에서의 방열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즉, 실내의 난방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으므로 실내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제 10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10 실시예는 2대의 제 1 및 제 2 액체 수용기를 구비한 것으로, 냉방 전용의 공기 조화 장치로서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9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 배관(6)의 가스 유통관(4)에 대한 접속 위치는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에서의 제 8 전자 밸브(EV8-2)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로 되어 있다.
또한, 액체 배관(7)의 액체 유통관(5)에 대한 접속 위치는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에서의 제 1 역류 방지 밸브(CV1-2)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로 되어 있다. 또, 액체 유통관(5)에는 제 4 전자 밸브(EV4)가 설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액체 배관(7)에는 제 4 역류방지 밸브(CV4)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제 9 실시예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냉매 회로(B)에서의 실내의 냉방 운전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냉방 운전 개시시에는, 우선 컨트롤러(C)에 의해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 (4a)에 설치된 제 7 전자 밸브(EV7-1) 및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에 설치된 제 8 전자 밸브(EV8-2)가 개방되고, 또한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에 설치된 제 7 전자 밸브(EV7-2) 및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에 설치된 제 8 전자 밸브(EV8-1)가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도 3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고압의 가스 냉매는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을 통해 방출측의 제 1 액체 수용기(25a)로 공급된다. 그러면 이 압력의 작용에 의해, 미리 제 1 액체수용기(25a)에 저류되어 있던 액체 냉매는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 및 액체 배관(7)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3)로 도입한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3)에서 액체 냉매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증발되어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실내를 냉방한다.
이 때, 냉매가 응축하는 냉열원 열교환기(2)와 냉매가 증발하는 실내 열교환기(3)의 압력차에 의해, 도 3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의 가스 냉매는 가스 배관(6)을 지나서 냉열원 열교환기(2)로 반송된다. 그 후, 가스 냉매는 냉열원 열교환기(2)로 응축하고, 액체 냉매로 되어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을 지나서 충전측의 제 2 액체 수용기(25b)로 반송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가 소정 시간 계속하여 행해지고, 제 1 액체 수용기(25a)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면 컨트롤러(C)에 의해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에 설치된 제 7 전자 밸브(EV7-2) 및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에 설치된 제 8 전자 밸브(EV8-1)가 개방되고, 또한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에 설치된 제 7 전자 밸브(EV7-1) 및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에 설치된 제 8 전자 밸브(EV8-2)가 폐쇄된다. 그리고, 제 2 액체 수용기(25b)는 방출측 액체 수용기로, 제 1 액체 수용기(25a)는 충전측 액체 수용기로 변화한다.
이에 따라, 도 3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열원 열교환기(1)로부터의 고압의 가스 냉매가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을 통해 제 2 액체 수용기(25b)로 공급된다. 그러면 이 압력의 작용에 의해, 제 2 액체 수용기(25b)에 저류되어 있던 액체 냉매는,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 및 액체 배관(7)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3)로 도입된다. 그리고 실내 열교환기(3)에서 액체 냉매가 실내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여 증발하고, 실내 공기를 냉각하여 실내를 냉방한다.
이 때, 냉열원 열교환기(2)와 실내 열교환기(3)의 압력차에 의해 도 35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열교환기(3)의 가스 냉매는 가스 배관(6)을 지나서 냉열원 열교환기(2)로 반송된다. 그 후, 가스 냉매는 냉열원 열교환기(2)로 응축하고, 액체 냉매로 되어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을 지나서 제 1 액체 수용기(25a)로 반송된다.
이러한 각 액체 수용기(25a, 25b)의 동작을 교대로 행함으로써 실내 열교환기(3)에서의 흡열 운전을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즉, 실내의 냉방 운전을 연속하여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냉방 운전이 소정 시간 행하여져, 온열원 열교환기(1)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었을 때는 컨트롤러(C)에 의해, 액체 냉매가 저류되어 있는 액체 수용기(25a, 25b)에 이어지는 제 7 전자 밸브(EV7-1, EV7-2) 및 제 4 전자 밸브(EV4)가 함께 개방되고, 온열원 열교환기(1)와 냉열원 열교환기(2)가 균압하고, 냉열원 열교환기(2)의 액체 냉매가 온열원 열교환기(1)로 회수된다.
( 제 11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11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11 실시예는 2대의 제 1 및 제 2 액체 수용기를 구비한 것으로, 난방운전과 냉방 운전이 전환 가능한 공기 조화 장치로서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또, 본 실시예에서도 상술한 각 실시예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 11 실시예의 2차측 냉매 회로(B)에서의 가스 전환 수단(8)은 상술한 제 9 실시예의 냉매 회로에서, 가스 배관(6)에 제 3 개폐 밸브로서의 제 2 전자 밸브(EV2)가 설치되고, 각 분기 가스 유통관(4a, 4b)과 가스 배관(6) 사이에 가스 접속관(20)이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이 가스 접속관(20)의 일단은 가스 배관(6)에서의 제 2 전자 밸브(EV2)와 실내 열교환기(3)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측은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에서의 제 8 전자 밸브(EV8-2)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가스 접속관(20)에는 제 4 개폐 밸브로서의 제 3 전자 밸브(EV3)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액체 전환 수단(9)은 상술한 제 1O 실시예의 냉매 회로에 덧붙여, 액체 배관(7)에 제 9 전자 밸브(EV9)가 설치되고, 각 분기 액체 유통관(5a, 5b)과 액체 배관(7) 사이에 액체 접속관(21)이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이 액체 접속관(21)은 일단은 액체 배관(7)에서의 제 9 전자 밸브(EV9)와 실내 열교환기(3)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측은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에서의 제 2 역류방지 밸브(CV2-2)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액체 접속관(21)에는 제 10 전자 밸브(EV1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2차측 냉매 회로(B)에서의 실내의 난방 운전시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 9 실시예에서 기술한 난방 운전 동작과 같은 동작이 행하여져 실내가 연속적으로 난방된다. 즉,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측의 액체 수용기(25b)에 대하여 액체 냉매의 회수 동작이 행해져 있는 경우에는, 충전측의 액체 수용기(25b)에 대해서는 실내 열교환기(3)로 응축한 액체 냉매가 반송되고, 이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반대로, 실내의 냉방 운전시에서는 상술한 제 10 실시예에서 설명한 냉방 운전 동작과 같은 동작이 행하여져 실내가 연속적으로 냉방된다. 즉,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측의 액체 수용기(25a)로부터 액체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3)로 공급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전측의 액체 수용기(25b)에 대해서는, 실내 열교환기(3)로 증발한 후, 냉열원 열교환기(2)로 응축한 액체 냉매가 반송되고, 이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 이 냉방 운전 동작에 따라 온열원 열교환기(1)의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소정량 이하에 도달한 경우에는 액체 유통관(5)으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 액체 냉매가 회수된다.
( 제 12 실시예 )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12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제 12 실시예는, 2대의 제 1 및 제 2 액체 수용기 및 4개의 실내의 개개에 배치된 4대의 실내 열교환기를 구비하여, 각각이 개별로 냉방 운전과 난방 운전을 선택 가능하게 된 소위 냉난방이 자유로운 멀티형 공기 조화 장치로서 2차측 냉매 회로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회로 구성으로서 상술한 제 4실시예와의 차이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9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차측 냉매 회로(B)의 가스 전환 수단(8)으로서는 가스 유통관(4)의 일부가 분기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a, 4b)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분기 가스 유통관(4a)은 제 1 가스관(26a)을 통해 제 1 액체 수용기(25a)에, 제 2 분기 가스 유통관(4b)은 제 2 가스관(26b)을 통해 제 2 액체 수용기(25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각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 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는 제 7 전자 밸브(EV7-1, EV7-2)가, 각 분기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는 제 8 전자 밸브(EV8-1, EV8-2)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액체 유통관(5)은 일부가 분기되어 제 1 및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a, 5b)으로 형성되고, 이 제 1 분기 액체 유통관(5a)은 제 1 액체관(27a)을 통해 제 1 액체 수용기(25a)에,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은 제 2 액체관(27b)을 통해 제 2 액체 수용기(25b)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기 액체 유통관(5a, 5b)에 대한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는, 액체 수용기(25a, 25b)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분기 액체 유통관(5a, 5b)에 대한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는, 실내 열교환기(3a∼3d) 및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액체 수용기(25a, 25b)로의 액체 냉매의 유통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가 각각 설치된다.
또, 액체 배관(7)에는 제 9 전자 밸브(EV9)가 설치되고, 각 분기 액체 유통관(5a, 5b)과 액체 배관(7) 사이에 액체 접속관(21)이 설치된다. 상세하게는 이 액체 접속관(21)의 일단은 액체 배관(7)에서의 제 9 전자 밸브(EV9)와 실내 열교환기(3a∼3d)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측은 제 2 분기 액체 유통관(5b)에서의 제 2 역류방지 밸브(CV2-2)와 냉열원 열교환기(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액체 접속관(21)에는 제 10 전자 밸브(EV10)가 설치된다. 이들 설명한 구성 이외의 부분은 상술한 제 4 실시예(도 12 참조)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2차측 냉매 회로(B)에서의 실내의 공기 조절 운전시에 있어서는, 상술한 제 4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실내 열교환기(3a∼3d)의 운전 상태에 따라 냉매의 유통이 전환되고, 또한, 각 액체 수용기(25a, 25b)에서의 액체 냉매의 회수 및 공급 동작이 교대로 전환됨으로써 각 실내 열교환기(3a∼3d)의 운전이 연속하여 행해진다.
즉,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난방 요구인 방열 주체 운전의 경우에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측의 액체 수용기(25a)에 대하여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충전측의 액체 수용기(25b)에서는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3c)로부터 액체 냉매가 반송되고, 이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한, 각 실 전체의 열의 수지가 냉방 요구인 흡열 주체 운전의 경우에는 도4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측의 액체 수용기(25b)에 대하여,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b∼3d)로 증발한 후, 냉열원 열교환기(2)에서 응축한 액체 냉매가 공급되어 있는 경우에는, 충전측의 액체 수용기(25a)에서는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 동작과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로의 액체 냉매의 공급이 행해지고 있고, 이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 각 실내 열교환기(3a∼3d)에서의 방열량과 흡열량이 동일한 경우에는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측의 액체 수용기(25a)에 대하여 온열원 열교환기(1)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충전측의 액체 수용기(25b)에서는 방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a, 3b)로부터 흡열 운전하는 실내 열교환기(3c, 3d)로 공급되고, 이 실내 열교환기(3c, 3d)에서 증발한 가스 냉매가 반송되고, 이 동작이 교대로 반복된다.
또, 모든 실내 열교환기(3a∼3d)가 함께 방열 운전을 하는 경우나 흡열 운전을 하는 경우의 동작은 상술한 제 11 실시예의 각 동작과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 1차측 냉매 회로의 변형예 )
이상, 2차측 냉매 회로(B)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하에 이들의 2차측 냉매 회로(B)와 조합 가능한 1차측 냉매 회로(A)에 대한 복수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1차측 냉매 회로(A)의 변형예에서는 2차측 냉매 회로(B)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회로에서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를 붙인다.
( 제 13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13 실시예는 난방 전용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하여 적용되는 1차측 냉매 회로(A)의 변형예이다.
이 1차측 냉매 회로(A)는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11), 온열원 열교환기(1) 사이에서 열교환이 가능하게 된 가열용 열교환기(12), 팽창 기구로서의 제 1 전동 밸브(18a) 및 냉열원 열교환기(2)와의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냉각용 열교환기(15)가 냉매 배관(16)에 의해 냉매 순환 가능하도록 차례로 접속되어 메인 냉매 순환로(30)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 밸브(18a)와 가열용 열교환기(12) 사이에 바이패스로(17)의 일단은 접속되고, 이 바이패스로(17)의 타단은 압축기(11)와 냉각용 열교환기 (15)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열량 조정 열교환기 (14) 및 이 열량 조정 열교환기(14)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가 변경되는 조정 밸브로서의 제 2 전동밸브(18b)가 설치된다. 또한, 각 전동 밸브(18a, 18b)는 도시하지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 개방도가 조정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이 1차측 냉매 회로(A)에서의 냉매 순환시에는 가열용 열교환기(12)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에 주어지는 열량과, 냉각용 열교환기(15)에 의해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빼앗기는 열량의 차에 따라 각 전동 밸브(18a, 18b)가 개방도 조정된다.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가열용 열교환기(12)에서 온열원 열교환기(1)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여 응축하고, 이 가열용 열교환기(12)로부터 도출한 액체 냉매는 각 전동 밸브(18a, 18b)의 각 개방도에 따라, 그 일부가 메인 순환로(제 1 전동 밸브(18a)측)로, 그 외에는 바이패스로(제 2 전동 밸브(18b)측)로 유도된다.
그리고, 메인 순환로(30)로 유도된 액체 냉매는 제 1 전동 밸브(18a)로 감압된 후, 냉각용 열교환기(15)에서 냉열원 열교환기(2)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한다. 한편, 바이패스로(17)로 유도된 액체 냉매는 제 2 전동 밸브(18b)로 감압한 후,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서, 예를 들면 외부 공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증발하고, 이들 증발한 가스 냉매가 압축기(11)로 흡입된다는 순환 동작을 반복한다.
이러한 냉매의 순환 동작이므로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서의 흡열량을 상기 열교환량의 차이분과 같아지도록 유량 조정 전동 밸브(18)의 개방도를 설정하면, 1차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을 같게 할 수 있고, 이 1차측 냉매 회로(A)에서의 냉매의 순환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다.
( 제 14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14 실시예는 냉방 전용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하여 적용되는 1차측 냉매 회로(A)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1차측 냉매 회로(A)와의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4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냉매 회로(A)는 팽창 밸브(13)가 열량 조정용 열교환기(14)와 냉각용 열교환기(15)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바이패스로(17)는 일단은 팽창 밸브(13)와 열량 조정용 열교환기(14) 사이에, 타단은 가열용 열교환기(12)와 열량 조정용 열교환기(14)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즉, 이 열량 조정용 열교환기(14)에서, 예를 들면 가스 냉매가 외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응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서의 방열량이 가열용 열교환기(12)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에 주어지는 열량과, 냉각용 열교환기(15)에 의해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빼앗기는 열량의 차와 같아지도록 유량 조정 전동 밸브(18)의 개방도를 설정하면, 1차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을 같게 할 수 있고, 이 1차측 냉매 회로(A)에서의 냉매의 순환을 양호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 제 15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15 실시예는 냉방 전용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하여 적용되는 1차측 냉매 회로(A)의 변형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3실시예에서 설명한 1차측 냉매 회로(A)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냉매 회로(A)에서의 바이패스로(17)의 일단은, 팽창 기구로서의 제 1 전동 밸브(18a)와 냉각용 열교환기(15) 사이에 접속되는 한편, 타단은 압축기(11)의 토출측, 즉, 압축기(11)와 가열용 열교환기(12)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즉, 압축기(11)로부터 토출된 가스 냉매가 가열용 열교환기(12) 및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 분배하여 공급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서의 방열량이 가열용 열교환기(12)로부터 온열원 열교환기(1)에 주어지는 열량과, 냉각용 열교환기(15)에 의해 냉열원 열교환기(2)로부터 빼앗기는 열량의 차와 같아지도록 각 전동 밸브(18a, 18b)의 개방도를 설정하면, 1차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을 같게 할 수 있고, 이 1차측 냉매 회로(A)에서의 냉매의 순환을 양호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 제 16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16 실시예는 냉난방 전환 운전이 가능하게 된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하여 적용되는 1차측 냉매 회로(A)의 변형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1차측 냉매 회로(A)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냉매 회로(A)는 가열용 열교환기(12)로부터 도출한 액체 냉매를 팽창 밸브(13)를 지나서 열량 조정 열교환기(14) 및 바이패스로(17)로 유도하는 제 1 전환 상태와, 열량 조정 열교환기(14) 및 바이패스로(17)를 지나서 팽창 밸브(13)로 유도하는 제 2 전환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된 4로 전환 밸브(19)가 구비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같다.
이러한 구성이므로 실내의 난방 운전시(실내 열교환기(3)의 방열시)에는 4로 전환 밸브(19)가 도 46의 점선으로 도시된 제 1 전환 상태가 되고,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서 냉매가 흡열하여 증발하게 되는 동시에, 이 흡열량은 유량 조정용 전동 밸브(18)에 의해 조정된다.
한편, 실내의 냉방 운전시(실내 열교환기(3)의 흡열시)에는, 4로 전환 밸브(19)가 도 46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제 2 전환 상태가 되며,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서 냉매가 방열하여 응축하게 되는 동시에, 이 방열량은 유량 조정용 전동 밸브(18)에 의해 조정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냉난방 어느 운전 상태에서도 1차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을 같게 할 수 있고, 이 1차측 냉매 회로(A)에서의 냉매의 순환을 양호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제 16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47에 도시된 것은 실내의 난방 운전시에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 착상이 발생한 경우에, 이 성에를 융해하기 위한 성에 제거 회로(defrost circuit)로서의 제상 수단(31)을 구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열 가스관(32)의 일단은 압축기(11)와 가열용 열교환기(12) 사이(압축기(11)의 토출측)에, 타단은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와 4로 전환 밸브(19) 사이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열 가스관(32)에서의 양단부 근방위치에는 성에 제거용 제 1 전자 밸브(EVD1, EVDl)가 각각 설치된다.
또한, 냉매 회수관(33)의 일단은 가열용 열교환기(12)와 가열 가스관(32)의 일단 사이에, 타단은 냉각용 열교환기(15)와 압축기(11) 사이(압축기(11)의 토출측)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 냉매 회수관(33)에는 성에 제거용 제 2 전자 밸브(EVD2)가 설치된다.
또한, 냉매 배관(16)에서의 압축기(11)의 토출측에서의 가열 가스관(32)의접속 위치와 냉매 회수관(33)의 접속 위치 사이에는 성에 제거용 제 3 전자 밸브(EVD3)가 설치되는 동시에, 냉매 배관(16)에서의 압축기(11)의 흡입측에서의 냉매 회수관(33)의 접속 위치와 냉각용 열교환기(15) 사이에는 성에 제거용 제 3 전자 밸브(EVD3)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 착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4로 전환 밸브(19)가 도 47의 점선측으로 전환되고, 성에 제거용 제 3 전자 밸브(EVD3, EVD3)가 폐쇄되는 동시에, 성에 제거용 제 1 전자 밸브(EVDl, EVDl) 및 성에 제거용 제 2 전자 밸브(EVD2)가 개방되고, 압축기(11)로부터의 고온의 토출 냉매는 가열 가스관(32)을 지나서 열량 조정 열교환기(14)로 도입하여 성에를 융해한다. 그 후, 이 냉매는 팽창 밸브(13), 4로 전환 밸브(19), 가열용 열교환기(12) 및 냉매 회수관(33)을 지나서 압축기(11)로 회수된다. 이 때문에,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의 착상을 신속히 해소할 수 있고, 실내의 공기 조절 성능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이러한 제상 수단(31)은 본 실시예와 같은 냉난방의 전환 운전이 가능하게 된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상술한 제 1 실시예 및 제 13 실시예에 대하여도 적용 가능하다.
( 제 17 실시예 )
본 발명에 따르는 열반송 장치의 제 17 실시예는 냉난방의 전환 운전이 가능하게 된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하여 적용되는 1차측 냉매 회로 (A)의 변형예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 13 실시예(도 43 참조)에서 설명한 1차측 냉매회로(A)와의 차이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8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측 냉매 회로(A)는 가열용 열교환기(12)의 출구측에 제 3 전동 밸브(18c)를 구비하는 동시에, 압축기(11)와 열량 조정 열교환기 (14) 사이의 바이패스관(17)은 흡입측 분기관(17a)과 토출측 분기관(17b)으로 분기되고, 흡입측 분기관(17a)은 압축기(11)의 흡입측에, 토출측 분기관(19b)은 압축기(11)의 토출측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흡입측 분기관(17a)에는 실내의 난방시에 개방되고, 냉방시에 폐쇄되는 흡입측 전자 밸브(EVI)는, 토출측 분기관(17b)에는 실내의 난방시에 폐쇄되고, 냉방시에 개방되는 토출측 전자 밸브(EVO)가 각각 설치된다. 그 밖의 구성은 상술한 제 13 실시예와 같다.
이러한 구성이므로 실내의 난방 운전시(실내 열교환기(3)의 방열시)에는 흡입측 전자 밸브(EVI)가 개방되는 동시에 토출측 전자 밸브(EVO)가 폐쇄되고,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서 냉매가 흡열하여 증발하는 동시에, 이 흡열량은 각 전동 밸브(18a, 18b)에 의해 조정된다.
한편, 실내의 냉방 운전시(실내 열교환기(3)의 흡열시)에는 흡입측 전자 밸브(EVI)가 폐쇄되는 동시에 토출측 전자 밸브(EVO)가 개방되고,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서 냉매가 방열하여 응축되는 동시에, 이 방열량은 유량 조정용 전동 밸브(18a, 18b)에 의해 조정된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냉난방 어느 운전 상태이어도 1차측 냉매 회로(A) 전체의 방열량과 흡열량을 같게 할 수 있고, 이 1차측 냉매 회로(A)에서의 냉매의 순환을 양호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제 17 실시예의 변형예로서 도 49에 도시된 것은 실내의 난방 운전시에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 착상이 발생한 경우, 이 성에를 융해하기 위한 제상 수단(31)을 구비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일단은 압축기(11)와 가열용 열교환기(12) 사이(압축기(11)의 토출측)에, 타단은 압축기(11)와 냉각용 열교환기 (15) 사이(압축기(11)의 흡입측)에 각각 접속된 냉매 회수관(33)을 구비하고, 이 냉매 회수관(33)에 성에 제거용 제 3 전자 밸브(EVD3)가 설치된다.
또한, 냉매 배관(16)에서의 압축기(11)의 토출측과 냉매 회수관(33)의 접속 위치 사이에는 성에 제거용 제 4 전자 밸브(EVD4)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에 착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흡입측 전자 밸브(EVI) 및 성에 제거용 제 4 전자 밸브(EVD4)가 폐쇄되고, 토출측 전자 밸브 및 성에 제거용 제 3 전자 밸브(EVD3)가 개방된다.
그리고, 압축기(11)로부터의 고온의 토출 냉매는 토출측 분기관(17b)을 지나 열량 조정 열교환기(14)로 도입하여 성에를 융해하고, 그 후 제 2 및 제 3 팽창 밸브(18b, 18c), 가열용 열교환기(12) 및 냉매 회수관(33)을 지나서 압축기(11)로 회수된다. 이 때문에, 열량 조정 열교환기(14)의 착상을 신속히 해소할 수 있고, 실내의 공기 조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상 수단(31)은 본 실시예와 같은 냉난방의 전환 운전이 가능하게 된 공기 조화 장치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상술한 제 13 실시예의 회로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각 1차측 냉매 회로(A)의 구성은, 복수의 액체 수용기(25a, 25b)를 구비한 제 9∼제 12 실시예에 대하여도 적용 가능하다.
( 복수의 냉열원 열교환기를 구비한 변형예 )
이하에 설명하는 제 18∼제 23 실시예는 2차측 냉매 회로에 냉열원 열교환기를 복수개(본 실시예에서는 2대) 구비하게 한 경우의 1차측 냉매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다.
( 제 18 실시예 )
이 제 18 실시예는 도 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2차측 냉매 회로(B)에 2대의 냉열원 열교환기(2a, 2b)를 구비한 경우에 있어서, 1차측 냉매 회로(A)로서는 상술한 제 1 실시예(도 1 참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1차측 냉매 회로(A)에는 각 냉열원 열교환기(2a, 2b)에 대응하여 냉각용 열교환기(15a, 15b)가 설치되고, 냉매 배관(16)이 각 냉각용 열교환기(15a, 15b)에 따라 분기되고, 각 분기관(16a, 16b)에는 각 냉각용 열교환기(15a, 15b)로의 냉매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전동 밸브(EVA, EVB)가 설치된다.
또한, 2차측 냉매 회로(B)의 구성은 상술한 제 5 실시예(도 21 참조)와 같다.
( 제 19 실시예 )
이 제 19 실시예는,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2차측 냉매 회로(B)에 2대의 냉열원 열교환기(2a, 2b)를 구비한 경우로서, 1차측 냉매 회로(A)로서는 상술한 제 13 실시예(도 43 참조)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1차측 냉매 회로(A)는 냉매 배관(16)의 각 분기관(16a, 16b)에 각 냉각용 열교환기(15a, 15b)로의 냉매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제 2 전동 밸브(18a-1,18a-2)가 설치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2차측 냉매 회로의 구성은 상술한 제 5 실시예(도 21 참조)와 같다.
( 제 20 실시예 )
이 제 20 실시예는 도 5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4 실시예(도 44 참조)에서 2차측 냉매 회로(B)에 2대의 냉열원 열교환기(2a, 2b)를 구비한 경우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1차측 냉매 회로(A)는 냉매 배관(16)의 각 분기관(16a, 16b)에, 각 냉각용 열교환기(15a, 15b)로의 냉매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전동 밸브로 이루어지는 팽창 밸브(13a, 13b)가 설치된다. 또한, 2차측 냉매 회로(B)의 구성은 상술한 제 6 실시예(도 23 참조)와 같다.
( 제 21 실시예 )
이 제 21 실시예는 도 5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5 실시예(도 45 참조)에서 2차측 냉매 회로(B)에 2대의 냉열원 열교환기(2a, 2b)를 구비한 경우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1차측 냉매 회로(A)는 냉매 배관(16)의 각 분기관(16a, 16b)에, 각 냉각용 열교환기(15a, 15b)로의 냉매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전동 밸브(18d-1, 18d-2)가 설치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2차측 냉매 회로(B)의 구성은 상술한 제 6 실시예(도 23 참조)와 같다.
( 제 22 실시예 )
이 제 22 실시예는 도 5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6 실시예(도 46 참조)에서 2차측 냉매 회로(B)에 2대의 냉열원 열교환기(2a, 2b)를 구비한 경우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1차측 냉매 회로(A)는 냉매 배관(16)의 각 분기관(16a, 16b)에 각 냉각용 열교환기(15a, 15b)로의 냉매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전동 밸브로 이루어지는 팽창 밸브(18d-1,18d-2)가 설치된다. 또한, 2차측 냉매 회로(B)의 구성은 상술한 제 7 실시예(도 25 참조)와 같다.
( 제 23 실시예 )
이 제 23 실시예는 도 5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 17 실시예(도 48 참조)에서 2차측 냉매 회로(B)에 2대의 냉열원 열교환기(2a, 2b)를 구비한 경우이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1차측 냉매 회로(A)의 각 분기관(16a, 16b)에 각 냉각용 열교환기(15a, 15b)로의 냉매 유량을 조정하기 위한 전동밸브(18a-1,18a-2)가 설치된다. 또한, 이 경우에도 2차측 냉매 회로(B)의 구성은 상술한 제 7 실시예(도 25 참조)와 같다.
( 그 밖의 실시예 )
또, 상술한 각 실시예는 실내의 공기 조화를 행하도록 한 공기 조화기의 냉매 회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냉장고용 냉매 회로 등 여러 가지의 냉동기에 대하여 적용 가능하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서는 2차측 냉매 회로(B)의 온열원 열교환기(1)는 1차측 냉매 회로(A)를 순환하는 냉매로부터 열이 주어지고, 2차측 냉매 회로(B)의 냉열원 열교환기(2)는 1차측 냉매 회로(A)를 순환하는 냉매에 의해 열이 빼앗기게 되어 있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2차측 냉매 회로(B)의 온열원 열교환기(1)에 히터를 설치하고, 이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 냉매를 증발시키거나, 냉열원 열교환기(2)를 외기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서는 1차측 냉매 회로(A)의 압축기(11) 대신 흡수식 냉동기를 구비하도록 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열반송 장치는 구동원을 필요로 하지 않는 무동력 열반송 방식의 것에 알맞고, 특히, 공기 조화 장치의 냉매 회로에 유용하다.

Claims (8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정정)
    냉매를 가열하여 증발시키는 온열원 수단(1)과,
    상기 온열원 수단(1)에 가스 유통관(4) 및 액체 유통관(5)에 의해 접속되어 온열원 수단(1)과의 사이에서 폐회로를 형성하고, 또한 방열에 의해 냉매를 응축하는 냉열원 수단(2)과,
    상기 가스 유통관(4)에 가스 배관(6)을 통해 접속되는 동시에, 액체유통관(5)에 액체 배관(7)을 통해 접속된 이용 수단(3)과,
    상기 가스 유통관(4)과 가스 배관(6) 사이의 가스 냉매의 유통상태를 전환하는 가스 전환 수단(8)과,
    상기 액체 유통관(5)과 액체 배관(7) 사이의 액체 냉매의 유통상태를 전환하는 액체 전환 수단(9)과,
    상기 가스 전환 수단(8) 및 액체 전환 수단(9)의 적어도 한 쪽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에 대한 냉매의 유통상태를 상기 이용 수단(3)의 운전상태에 따라 전환하는 제어 수단(C)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적어도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에 공급하여 상기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한 후,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냉매를 응축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압력강하로 생기는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증발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냉열원 수단(2)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에 있어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의 사이에 설치된 개폐 밸브(EV1)와, 가스 배관(6)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개폐 밸브(EV1)를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이용 수단(3)으로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와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에 개방하고, 이용 수단(3)에서 냉열원 수단(2)으로의 냉매 반송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에 있어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개폐 밸브(EV4)와, 상기 액체 유통관(5)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1 역류방지 밸브(CV1)와, 액체 배관(7)에 설치되어 이용 수단(3)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3)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개폐 밸브(EV4)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 폐쇄하고,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운전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방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응축시키는 동시에,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냉열원 수단(2)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고,
    방열 운전시에 있어서의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으로 되었을 때 및, 흡열 운전시에 있어서의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었을 때,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여,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에 있어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의 사이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1), 가스배관(6)에 설치된 제 2 개폐 밸브(EV2), 일단은 제 1 개폐 밸브(EV1)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타단은 제 2 개폐 밸브(EV2)와 이용 수단(3) 사이에 접속된 접속관(10), 상기 접속관(10)에 설치된 제 3 개폐 밸브(EV3) 및 상기 접속관(10)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1)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 폐쇄하는 동시에, 흡열 운전시에 있어서의 이용 수단(3)에서 냉열원 수단(2)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 폐쇄하고, 흡열 운전시에 있어서의 냉열원 수단(2)에서 이용 수단(3)으로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 및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운전시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2)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고,
    제 3 개폐 밸브(EV3)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 폐쇄하며,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13. (정정)
    제 11항에 있어서,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에 있어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4)와, 이 액체 유통관(5)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와, 액체 배관(7)에 설치된 제 2 개폐 밸브(EV5)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운전시 개방하고,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 폐쇄하며,
    제 2 개폐 밸브(EV5)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와 흡열 운전시에 개방하고,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운전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14. (정정)
    제 6항에 있어서,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을 통해 가스 유통관(4)과 액체 유통관(5)에 각각 접속되어, 개별적으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a∼3d)의 전체의 열수지(熱收支)가 방열상태가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응축시켜,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 및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냉열원 수단(2)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가스냉매를 증발시켜, 냉열원 수단(2)의 냉매 응축에 의해 생기는 냉열원 수단(2)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냉열원 수단(2)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냉매를 냉열원 수단(2)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16. 제 6항에 있어서,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을 통해 가스 유통관(4)과 액체 유통관(5)에 각각 접속되어, 개별적으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a∼3d) 전체의 열수지가 흡열상태로 되는 흡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에 공급하여 상기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한 후,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냉매를 응축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압력강하로 생기는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응축시키고,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응축온도가 낮은 냉열원 수단(2)과 방열측 이용 수단 (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냉열원 수단(2)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18. 제 6항에 있어서,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을 통해 가스 유통관(4)과 액체 유통관(5)에 각각 접속되어, 개별적으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냉열원 수단(2)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a∼3d) 전체의 열수지가 방열상태로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응축시키고,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 및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냉열원 수단(2)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의냉매 응축에 의해 생기는 냉열원 수단(2)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며,
    이용 수단(3a∼3d) 전체의 열수지가 흡열상태가 되는 흡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에 공급하여 상기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한 후,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냉열원 수단(2)의 압력강하로 생기는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응축시키고,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응축 온도가 낮은 냉열원 수단(2)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냉열원 수단(2)으로 반송하는 한편,
    방열 주체 운전시에 있어서의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으로 되었을 때 및 흡열 주체 운전시에 있어서의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었을 때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여,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냉열원 수단(2)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에 있어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의 사이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1)와, 각 가스배관(6a∼6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2-1∼EV2-4)와, 일단은 제 1 개폐 밸브(EV1)와 냉열원 수단(2)의 사이에, 타단은 각 제 2 개폐 밸브(EV2-1∼EV2-4)와 이용 수단(3a∼3d)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관(10a∼10d)과, 상기 각 접속관(10a∼10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3 개폐 밸브(EV3-1∼EV3-4)와, 상기 접속관(10a∼10d)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1)를, 방열 주체 운전시 폐쇄하는 동시에, 흡열 주체 운전시에 있어서의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 폐쇄하고, 흡열 주체 운전시에 있어서의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와,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운전시에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2-1∼EV2-4)를, 상기 제 2 개폐 밸브(EV2-1∼EV2-4)에 대응하는 이용 수단(3a∼3d)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며,
    제 3 개폐 밸브(EV3-1∼EV3-4)를, 상기 제 3 개폐 밸브(EV3-1∼EV3-4)에 대응하는 이용 수단(3a∼3d)의 흡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에 있어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4), 상기 액체 유통관(5)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L) 및 각 액체 배관(7a∼7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5-1∼EV5-4)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운전시 개방하고, 흡열 주체 운전시 폐쇄하며,
    제 2 개폐 밸브(EV5-1∼EV5-4)를 상기 제 2 개폐 밸브(EV5-1∼EV5-4)에 대응하는 이용 수단(3a∼3d)의 방열 운전시와 흡열 운전시에 개방하고,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운전시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21. (정정)
    제 6항 내지 제 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냉매를 저류하는 액체 수용 수단(22)이 냉열원 수단(2)에 대하여 병렬로 설치되고,
    상기 액체 수용 수단(22)의 일단은 가스 유통관(4)에 있어서의 가스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액체 수용 수단(22)의 타단은 액체 유통관(5)에 있어서의 액체 배관(7)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각각 분기관(23)을 통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22. 제 21항에 있어서,
    가스 유통관(4)에 있어서의 분기관(23)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의 사이에는, 냉열원 수단(2)으로의 냉매흐름을 변경하는 개폐 밸브(EV11)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23. (정정)
    제 6항에 있어서,
    냉열원 수단(2a, 2b)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에 가스 유통관(4a, 4b) 및 액체 유통관(5a, 5b)에 의해 접속되어 온열원 수단(1)과의 사이에서 폐회로를 형성하고, 가스 냉매가 저류된 상태로 방열 운전을 하는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액체 냉매가 저류된 상태로 방열 운전을 정지하는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 유통관(4a, 4b)과 가스 배관(6) 사이의 가스 냉매의 유통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고,
    액체 전환 수단(9)은, 각 액체 유통관(5a, 5b)과 액체 배관(7) 사이의 액체 냉매의 유통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24. 제 23항에 있어서,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이용 수단(3)은, 가스 유통관(4a, 4b) 및 액체 유통관(5a, 5b)에 가스 배관(6) 및 액체 배관(7)을 통해 접속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적어도 가스 전환 수단(8)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a)과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상기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동시에,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하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상기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과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상기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방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을 균압하고,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며,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여, 연속하여 방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25. 제 24항에 있어서,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 유통관(4a, 4b)에 있어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a, 2b)의 사이에 설치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 상기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를 폐쇄하고, 냉열원 수단(2a, 2b)의 액체 냉매의 회수운전시에 상기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26. 제 24항에 있어서,
    액체 전환 수단(9)은, 각 액체 유통관(5a, 5b)에 있어서의 액체 배관(7e, 7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배관(7e, 7f)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27. 제 23항에 있어서,
    이용 수단(3)은, 가스 유통관(4a, 4b) 및 액체 유통관(5a, 5b)에 가스 배관(6) 및 액체 배관(7)을 통해 접속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에 공급하여 상기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고,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압력강하로 생기는 이용 수단(3)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하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상기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다른쪽의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의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에 공급하여 상기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여, 상기 흡열 운전을 계속하며,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여, 연속하여 흡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28. 제 27항에 있어서,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29. 제 28항에 있어서,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 유통관(4a, 4b)에 있어서의 가스 배관(6e, 6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와, 각 가스 배관(6e, 6f)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a, 2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1, CVG2)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냉열원 수단(2a, 2b)으로부터 이용 수단(3)으로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와, 냉열원 수단(2a, 2b)의 액체 냉매의 회수운전시에 상기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를 개방하고,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에 상기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개폐 밸브(EV1-1, EV1-2)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30. 제 28항에 있어서,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 있어서의 액체 배관(7e, 7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개폐 밸브(EV4)와, 상기 각 액체 유통관(5a, 5b)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 및 각 액체 배관(7e, 7f)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3-1, CV3-2)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개폐 밸브(EV4)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 폐쇄하고,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의 회수운전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31. 제 23항에 있어서,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이용 수단(3)은, 가스 유통관(4a, 4b) 및 액체 유통관(5a, 5b)에 가스배관(6) 및 액체 배관(7e, 7f)을 통해 접속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 및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고,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하여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방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a)과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상기 이용 수단(3)에서 가스냉매를 응축시키는 동시에, 상기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냉매를 응축시키는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하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상기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에서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에서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과 이용 수단(3)에 공급하고, 상기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을 균압하고,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며,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여, 연속하여 방열 운전을 실행하는 한편,
    흡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에 공급하여 이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고,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압력강하로 생기는 이용 수단(3)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하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상기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다른쪽의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부터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공급하여 상기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여, 상기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계속하며,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여, 연속해서 흡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32. 제 31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이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냉열원 수단(2)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33. 제 32항에 있어서,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 유통관(4a, 4b)에 있어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와, 가스 배관(6)에 설치된 제 2 개폐 밸브(EV2) 및 일단은 제 1 개폐 밸브(EV1-1, EV1-2)와 냉열원 수단(2a, 2b) 사이에, 타단은 제 2 개폐 밸브(EV2)와 이용 수단(3) 사이를 접속하는 접속관(20)과, 상기 접속관(20)에 설치된 제 3 개폐 밸브(EV3) 및 상기 접속관(20)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a, 2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l, CVG2)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방열 운전시 및 흡열 운전시의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액체 냉매와, 가스 냉매의 냉매 반송시와 상기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를 폐쇄하여, 흡열 운전시의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에 상기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를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2)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만 개방하며,
    제 3 개폐 밸브(EV3)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만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34. (정정)
    제 32항에 있어서,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 있어서의 액체 배관(7e, 7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4)와, 상기 각 액체 유통관(5a, 5b)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1-1, CV1-2) 및 각 액체 배관(7e, 7f)에 설치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 EV6-2)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냉열원 수단(2a, 2b)의 액체 냉매의 회수운전시 개방하고,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 폐쇄하고,
    방열 운전시의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와,
    흡열 운전시의 냉열원 수단(2a, 2b)으로부터 이용 수단(3)으로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에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 EV6-2)를개방하며,
    방열 운전시의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와, 흡열 운전시의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냉매의 반송시에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 EV6-2)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35. (정정)
    제 23항에 있어서,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e, 7f)을 통해 가스 유통관(4a, 4b)과 액체 유통관(5a, 5b)에 각각 접속되어, 개별적으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a∼3d) 전체의 열수지가 방열상태로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a)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상기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 및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흡열측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냉매 응축에 의해 발생하는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하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이 되면, 상기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의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고, 상기 방열측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상기 방열 주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을 균압하고,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가 유통하여 상기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고,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여, 연속하여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36. 제 23항에 있어서,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e, 7f)을 통해 가스 유통관(4a, 4b)으로 액체 유통관(5a, 5b)에 각각 접속되어, 개별적으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a∼3d) 전체의 열수지가 흡열상태가 되는 흡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a)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상기 이용 수단(3)으로 냉매를 응축시키고, 이 방열측 이용 수단(3)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고,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압력강하로 생기는 흡열측 이용 수단(3)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하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상기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3)으로 공급하여 상기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여, 상기 흡열 주체 운전을 계속하며,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흡열 주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37. 제 36항에 있어서,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a, 2b)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a, 2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냉열원 수단(2a, 2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38. 제 23항에 있어서,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e, 7f)을 통해 가스 유통관(4a, 4b)과 액체 유통관(5a, 5b)에 각각 접속되어, 개별적으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며,
    이용 수단(3a∼3d) 전체의 열수지가 방열상태가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a)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상기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 및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냉매 응축에 의해 생기는 운전측 냉열원 수단(2b)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하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이 되면, 상기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여,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고, 상기 방열측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상기 방열 주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을 균압하고,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하여 상기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며,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여, 연속하여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하는 한편,
    이용 수단(3a∼3d) 전체의 열수지가 흡열상태가 되는 흡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a)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상기 이용 수단(3)으로 냉매를 응축시켜, 이 방열측 이용 수단(3)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고,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가스냉매를 응축시켜,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압력강하로 생기는 흡열측 이용 수단(3)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반송하고,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상기 운전측 냉열원 수단(2b)을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으로 변경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정지측 냉열원 수단(2a)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운전측 냉열원 수단(2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정지측 냉열원 수단(2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상기 정지측 냉열원 수단(2b)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여 상기 흡열 주체 운전을 계속하며,
    상기 각 냉열원 수단(2a, 2b)을 운전측 냉열원 수단과 정지측 냉열원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흡열 주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39. (정정)
    제 38항에 있어서,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 유통관(4a, 4b)에 있어서의 가스 배관(6)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a, 2b) 사이에 설치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와, 각 가스 배관(6a∼6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2-1∼EV2-4) 및 일단은 제 1 개폐 밸브(EV1-1, EV1-2)와 냉열원 수단(2a, 2b) 사이에, 타단은 제 2 개폐 밸브(EV2-1∼EV2-4)와 이용 수단(3a∼3d)의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관(20)과, 상기 접속관(20)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3 개폐 밸브(EV3-1∼EV3-4) 및 상기 접속관(20)에 설치되어 냉열원 수단(2a, 2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G1, CVG2)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방열 주체 운전시의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 및 흡열 주체 운전시의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 상기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를 폐쇄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에 상기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1-1, EV1-2)를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2-1∼EV2-4)를 상기 제 2 개폐 밸브(EV2-1∼EV2-4)에 대응하는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만 개방하며,
    제 3 개폐 밸브(EV3-1∼EV3-4)를 상기 제 3 개폐 밸브(EV3-1∼EV3-4)에 대응하는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만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40. 제 38항에 있어서,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 있어서의 액체 배관(7e, 7f)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4), 상기 각 액체 유통관(5a, 5b)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역류방지 밸브(CV1-1, CV1-2) 및 각 액체 배관(7e, 7f)에 설치되어 각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 EV6-2)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냉열원 수단(2a, 2b)의 액체 냉매의 회수 운전시만 개방하는 한편,
    방열 주체 운전시의 방열측 이용 수단(3)에서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냉매의 반송시와, 흡열 주체 운전시의 냉열원 수단(2a, 2b)으로부터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의 액체 냉매의 압출시에 상기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 EV6-2)를 개방하는 동시에,
    방열 주체 운전시의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냉매의 공급시와, 흡열 주체 운전시의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부터 냉열원 수단(2a, 2b)으로의 가스 냉매의 반송시에 상기 냉열원 수단(2a, 2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6-1, EV6-2)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41. (정정)
    제 6항에 있어서,
    액체 냉매를 저류하는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이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은 가스관(26a, 26b) 및 액체관(27a, 27b)에 의해 가스 유통관(4a, 4b) 및 액체 유통관(5a, 5b)에 접속되고, 가스 냉매의 저류량이 많은 상태에서 액체 냉매를 저류하는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액체 냉매의 저류량이 많은 상태에서 액체 냉매를 방출하는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변화하도록 구성되는 한편,
    가스 전환 수단(8)은, 각 가스유통관(4a, 4b)과 가스관(26a, 26b) 사이의 가스 냉매의 유통상태를 전환하고,
    액체 전환 수단(9)은, 각 액체 유통관(5a, 5b)과 액체관(27a, 27b) 사이의 액체 냉매의 유통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42. (정정)
    제 41항에 있어서,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제어 수단(C)은, 적어도 가스 전환 수단(8)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과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상기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동시에,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응축액체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반송하고,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상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이용 수단(3)에 공급하고, 상기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상기 방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균압하고,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며,
    상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방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43. (정정)
    제 42항에 있어서,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a, 4b)에 있어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와, 가스 유통관(4a, 4b)에 있어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 상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여,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의 회수시에 상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개방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 상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폐쇄하고, 이용 수단(3)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 상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44. (정정)
    제 42항에 있어서,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 있어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유통관(5a, 5b)에 있어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 및 액체 배관(7)에 설치되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3 역류방지 밸브(CV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45. (정정)
    제 41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에 공급하여 상기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고,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냉열원 수단(2)의 압력강하로 생기는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에 의해, 냉열원 수단(2)에 연통하는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반송하고,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상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다른쪽의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에 공급하여 상기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에 압출하고, 상기 흡열 운전을 계속하며,
    상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흡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46. (정정)
    제 45항에 있어서,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균압하고,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서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47. (정정)
    제 46항에 있어서,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a, 4b)에 있어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와, 가스 유통관(4a, 4b)에 있어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공급시 상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여,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의 회수시 상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개방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가스냉매의 공급시 상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폐쇄하여,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 상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48. (정정)
    제 46항에 있어서,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 있어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개폐 밸브(EV4), 상기 각 액체 유통관(5a, 5b)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 및 이용 수단(3)으로 향하는 흐름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 및 각 액체 유통관(5a, 5b)에 있어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의 사이에 설치되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개폐 밸브(EV4)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의 회수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49. (정정)
    제 41항에 있어서,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C)의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을 선택하여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방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과 이용 수단(3)에 공급하여 상기 이용 수단(3)에서 응축시키는 동시에,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반송하고,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상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의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에서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이용 수단(3)에 공급하고, 상기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상기 방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균압하고,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며,
    상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방열 운전을 실행하는 한편,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에 공급하여 상기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에 압출하고,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냉열원 수단(2)의 압력강하로 생기는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에 의해, 냉열원 수단(2)에 연통하는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에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냉매를 반송하고,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상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다른쪽의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에 공급하여 상기 정지측 냉열원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이용 수단(3)에 압출하여 상기흡열 운전을 계속하며,
    상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흡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50. (정정)
    제 49항에 있어서,
    제어 수단(C)은,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으로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며,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균압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51. (정정)
    제 50항에 있어서,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 2)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 2)와, 가스 배관(6)에 설치된 제 3 개폐 밸브(EV2)와, 이용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을 접속하는 접속관(20)에 설치된 제 4 개폐 밸브(EV3)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방열 운전시의 이용 수단(3)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고, 흡열 운전시의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는 한편,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시에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개방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에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폐쇄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개방하며,
    제 3 개폐 밸브(EV2)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고,
    제 4 개폐 밸브(EV3)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52. (정정)
    제 50항에 있어서,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의 유출측에 설치된 개폐 밸브(EV4)와 이 각 액체 유통관(5a, 5b)의 유출측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 및 이용 수단(3)으로 향하는 흐름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와 액체 배관(7)에 설치된 제 2 개폐 밸브(EV9)와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를 통해 이용 수단(3)과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접속하는 접속관(21)에 설치된 제 3 개폐 밸브(EV10)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시에만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9)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며,
    제 3 개폐 밸브(EV10)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53. (정정)
    제 41항에 있어서,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배관(6a∼6d)과 액체 배관(7a∼7d)을 통해 가스 유통관(4a, 4b)과 액체 유통관(5a, 5b)에 각각 접속되어, 개별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이 선택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a∼3d)의 전체의 열수지가 방열상태로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동시에,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 및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의 냉매 응축에 의해 생기는 냉열원 수단(2)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반송하고,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이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상기 방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균압하고,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며,
    상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방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54. (정정)
    제 41항에 있어서,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a∼6d)과 액체 배관(7a∼7d)을 통해 가스 유통관(4a, 4b)과 액체 유통관(5a, 5b)에 각각 접속되어, 개별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이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각 냉열원 수단(2a, 2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이용 수단(3a∼3d)의 전체의 열수지가 방열 상태로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이 방열측 이용 수단(3)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압출하고,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킴과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냉열원 수단(2)의 압력 강하로 생기는 흡열측 이용 수 단(3)과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에 의해,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에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반송하고,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이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다른쪽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이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에 압출하고, 상기 흡열 운전을 계속하고,
    상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흡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55. (정정)
    제 54항에 있어서,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흡열 주체 운전시에서의 온열원 수단(1)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하가 되면,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공급하여 온열원 수단(1)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균압하고,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56. (정정)
    제 41항에 있어서,
    이용 수단(3a∼3d)은 복수개 설치되는 동시에, 각 이용 수단(3a∼3d)은 가스 배관(6)과 액체 배관(7e, 7f)을 통해 가스 유통관(4a, 4b)과 액체 유통관(5a, 5b)에 각각 접속되고, 개별로 방열 운전과 흡열 운전이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은 온열원 수단(1)보다 위쪽에 배치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가스 전환 수단(8)과 액체 전환 수단(9)을 제어하고,
    이용 수단(3a∼3d)의 전체의 열수지가 방열 상태로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동시에, 방열측 이용 수단(3)보다 저온으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는 냉열원 수단(2)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 및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액체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의 냉매 응축에 의해 생기는 냉열원 수단(2)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증발 가스 냉매를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반송하고,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이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변경하여 냉매의 회수 운전을 실행하는 동시에, 다른쪽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고,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상기 방열 운전을 계속하면서, 온열원 수단(1)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균압하고,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 액체 냉매를 유통시켜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온열원 수단(1)으로 회수하고,
    상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방열 운전을 실행하는 한편,
    이용 수단(3a∼3d)의 전체의 열수지가 방열 상태로 되는 방열 주체 운전을 실행할 때,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이 이용 수단(3)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키고, 이 방열측 이용 수단(3)과 흡열측 이용 수단(3)의 압력차에 의해, 방열측 이용 수단(3)의 응축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으로 반송하는 동시에,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에 압출하고,
    흡열측 이용 수단(3)에서 액체 냉매를 증발시키는 동시에, 냉열원 수단(2)에서 가스 냉매를 응축시켜, 냉열원 수단(2)의 압력 강하로 생기는 흡열측 이용 수단(3)과 냉열원 수단(2)의 압력차에 의해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에 흡열측 이용 수단 (3)의 증발 가스 냉매를 반송하고,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가 소정의 저류량 이상이 되면, 이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b)을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으로, 다른쪽의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 변경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을 정지하는 동시에,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가스 냉매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과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 공급하여 이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b)의 액체 냉매를 흡열측 이용 수단(3)에 압출하여 상기 흡열 운전을 계속하며,
    상기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과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으로 서로 변경하고, 연속하여 흡열 운전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57. (정정)
    제 56항에 있어서,
    가스 전환 수단(8)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1 개폐 밸브(EV7-1, EV7- 2)와, 가스 유통관(4a, 4b)에서의 가스관(26a, 26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고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에 대응하는 제 2 개폐 밸브(EV8-1, EV8- 2)와, 각 가스 배관(6a∼6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3 개폐 밸브(EV2-1∼EV2-4)와, 일단은 제 2 개폐 밸브(EV8-1, EV8-2)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타단은 제 3 개폐 밸브(EV2-1∼EV2-4)와 이용 수단(3a∼3d) 사이에 접속된 복수의 접속관(10a∼1Od)과, 이 각 접속관(10a∼1Od)에 설치되어 각 이용 수단(3a∼3d)에 대응하는 제 4 개폐 밸브(EV3-1∼EV3-4)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방열 주체 운전시의 방열측 이용 수단(3)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고, 흡열 주체 운전시의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폐쇄하는 한편,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가스 냉매의 공급시에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1 개폐 밸브(EV7-1, EV7-2)를 개방하고,
    온열원 수단(1)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가스 냉매 공급시에 방출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폐쇄하고,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의 액체 냉매의 반송시에 충전측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의 제 2 개폐 밸브(EV8-1, EV8-2)를 개방하고,
    제 3 개폐 밸브(EV2-1∼EV2-4)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며,
    제 4 개폐 밸브(EV3-1∼EV3-4)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58. (정정)
    제 56항에 있어서,
    액체 전환 수단(9)은,
    액체 유통관(5)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된 제 1 개폐 밸브(EV4)와, 각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온열원 수단(1) 사이에 설치되어 온열원 수단(1) 및 이용수단(3a∼3d)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1 역류방지 밸브(CV1-1, CV1-2)와, 각 액체 유통관(5a, 5b)에서의 액체관(27a, 27b)의 접속 위치와 냉열원 수단(2) 사이에 설치되어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 향하는 흐름만을 허용하는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와, 액체 배관(7)에 설치된 제 2 개폐 밸브(EV9)와, 이용 수단(3a∼3d)과 각 액체 수용 수단(25a, 25b)을 제 2 역류방지 밸브(CV2-1, CV2-2)를 통해 접속하는 접속관 (21)에 설치된 제 3 개폐 밸브(EV10)를 구비하는 한편,
    제어 수단(C)은,
    제 1 개폐 밸브(EV4)를 액체 수용 수단(25a, 25b)으로부터 온열원 수단(1)으로의 액체 냉매의 회수시에만 개방하고,
    제 2 개폐 밸브(EV9)를 이용 수단(3)의 흡열 주체 운전시에만 개방하고,
    제 3 개폐 밸브(EV10)를 이용 수단(3)의 방열 주체 운전시에만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59. (정정)
    제 14항, 제 15항, 제 23항 내지 제 26항, 제 35항, 제 41항 내지 제 44항 및 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열원 수단(1)은 열원측 냉매 회로(A)를 순환하는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받아 냉매를 증발시키고,
    냉열원 수단(2)은 열원용 냉매에 의해 열량이 빼앗겨 냉매를 응축하는 한편,
    상기 열원측 냉매 회로(A)는,
    온열원 수단(1) 사이에서 열교환을 하고 이 온열원 수단(1)에 냉매 증발용 열량을 부여하는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냉열원 수단(2)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이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냉매 응축용의 열량을 빼앗는 냉각 열교환 수단(15)과,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큰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에 열량을 주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60. 제 59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팽창 기구(13)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냉각열 교환 수단(15)이 냉매가 순환 가능하도록 차례로 접속되어 구성되고,
    일단은 팽창 기구(13)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사이에, 타단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냉각열 교환 수단(15) 사이에 접속된 바이패스로(17)가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과 냉각열 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의 차에 따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를 변경하는 조정 밸브(1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61. 제 59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팽창 기구(18a)와 냉각 열교환 수단(15)이 냉매가 순환 가능하도록 차례로 접속되어 구성되며,
    가열 열교환 수단(12)으로부터의 냉매를 냉각 열교환 수단(15)을 바이패스하여 냉매 가열 수단(11)으로 유도하는 바이패스로(17)가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62. 제 61항에 있어서,
    바이패스로(17)의 일단은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팽창 기구(18a)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은 냉각 열교환 수단(15)과 냉매 가열 수단(11) 사이에 접속되며,
    이 바이패스로(17)에서의 일단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사이에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과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의 차에 따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를 조정하고 또한 열원용 냉매를 감압하는 조정 밸브(18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63. (정정)
    제 59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의 착상(着霜)시,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공급하여 제상(除霜)하는 제상 수단(3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64. 제 60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의 착상시,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공급하여 제상하는 제상 수단(31)이 설치되고,
    이 제상 수단(31)은,
    일단은 냉매 가열 수단(11)의 토출측에, 타단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접속된 가열 가스관(32)과,
    이 가열 가스관(32)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만 개방되는 개폐 밸브(EVD1)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으로부터 팽창 기구(13)를 통해 가열 열교환 수단(12)을 거친 냉매를 냉매 가열 수단(11)의 흡입측으로 유도하는 흡입관(33)과,
    이 흡입관(33)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만 개방되는 개폐 밸브(EVD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65. 제 61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의 착상시,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공급하여 제상하는 제상 수단(31)이 설치되고,
    이 제상 수단(31)은,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 사이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 폐쇄되는 개폐 밸브(EVD4)와,
    일단은 상기 개폐 밸브(EVD4)와 가열 열교환 수단(12) 사이에, 타단은 냉매 가열 수단(11)의 흡입측에 접속된 접속관(33)과,
    이 접속관(33)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 폐쇄되는 개폐 밸브(EVD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66. (정정)
    제 60항에 있어서,
    냉매 가열 수단은 압축기(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67. (정정)
    제 6항 내지 제 9항, 제 16항, 제 17항, 제 23항, 제 27항 내지 제 30항, 제 36항, 제 37항, 제 41항, 제 45항 내지 제 48항, 제 54항 및 제 5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열원 수단(1)은 열원측 냉매 회로(A)를 순환하는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받아 냉매를 증발시키고,
    냉열원 수단(2)은 열원용 냉매에 의해 열량이 빼앗겨 냉매를 응축하는 한편,
    상기 열원측 냉매 회로(A)는,
    온열원 수단(1)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이 온열원 수단(1)에 냉매 증발용 열량을 부여하는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냉열원 수단(2)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이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냉매 응축용 열량을 빼앗는 냉각 열교환 수단(15)과,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작은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빼앗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68. 제 67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팽창 기구(13) 및 냉각 열교환 수단(15)이 냉매가 순환 가능하도록 차례로 접속되어 구성되고,
    일단은 팽창 기구(13)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사이에, 타단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냉각 열교환 수단(15) 사이에 접속된 바이패스로(17)가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과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의 차에 따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를 변경하는 조정밸브(1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69. 제 67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팽창 기구(18a) 및 냉각 열교환 수단(15)이 냉매의 순환이 가능하도록 차례대로 접속되어 구성되고,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냉매를 가열 열교환 수단(12)을 바이패스하여 냉각 열교환 수단(15)으로 유도하는 바이패스로(17)가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70. 제 69항에 있어서,
    바이패스로(17)의 일단은 팽창 기구(18a)와 냉각 열교환 수단(15)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은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 사이에 접속되며,
    이 바이패스로(17)에서의 일단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사이에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과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의 차에 따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으로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를 조정하고 또한 열원용 냉매를 감압하는 조정 밸브(18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71. (정정)
    제 68항에 있어서,
    냉매 가열 수단은 압축기(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72. (정정)
    제 10항 내지 제 13항, 제 18항 내지 제 20항, 제 23항, 제 31항 내지 제 34항, 제 38항 내지 제 40항, 제 41항, 제 49항 내지 제 52항 및 제 56항 내지 제 5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열원 수단(1)은 열원측 냉매 회로(A)를 순환하는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받아 냉매를 증발시키고,
    냉열원 수단(2)은 열원용 냉매에 의해 열량이 빼앗겨 냉매를 응축하는 한편,
    상기 열원측 냉매 회로(A)는,
    온열원 수단(1)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이 온열원 수단(1)에 냉매 증발용 열량을 부여하는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냉열원 수단(2)과의 사이에서 열교환을 행하여 이 냉열원 수단(2)으로부터 냉매 응축용의 열량을 빼앗는 냉각 열교환 수단(15)과,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큰 이용 수단(3)의 방열 운전시,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에 열량을 부여하는 한편,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이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보다 작은 이용 수단(3)의 흡열 운전시, 각 열교환량의 차이만큼 열원용 냉매로부터 열량을 빼앗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73. 제 72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과 팽창 기구(13)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및 냉각 열교환 수단(15)이 냉매가 순환 가능하도록 접속되는 동시에,
    열원측 냉매 회로(A)는 이용 수단(3)의 난방 운전시, 가열 열교환 수단(12)으로부터의 냉매를, 팽창 기구(13)로부터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을 지나서 냉각열 교환 수단(15)으로 흐르게 하는 난방 전환 상태로 되고, 이용 수단(3)의 냉방 운전시, 가열 열교환 수단(12)으로부터의 냉매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으로부터 팽창 기구(13)를 지나 냉각 열교환 수단(15)으로 흐르게 하는 냉방 전환 상태로 되는 4로 전환 밸브(19)가 설치되고,
    일단은 팽창 기구(13)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사이에 접속되고, 타단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과 4로 전환 밸브(19) 사이에 접속된 바이패스로(17)가 설치되며,
    이 바이패스로(17)에는 가열 열교환 수단(12)의 열교환량과 냉각 열교환 수단(15)의 열교환량의 차에 따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조정하도록 개방도를 변경하는 조정 밸브(18)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74. 제 72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는 냉매 가열 수단(11), 가열 열교환 수단(12), 팽창 기구(18c) 및 냉각 열교환 수단(15)이 냉매가 순환 가능하도록 차례로 접속되어 구성되고,
    이용 수단(3)의 난방 운전시, 가열 열교환 수단(12)으로부터의 냉매를 냉각 열교환 수단(15)을 바이패스하여 냉매 가열 수단(11)으로 유도하는 한편, 이용 수단(3)의 냉방 운전시,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냉매를 가열 열교환 수단(12)을 바이패스하여 냉각 열교환 수단(15)으로 유도하는 바이패스로(17)가 설치되고,
    이 바이패스로(17)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 및 이용 수단(3)의 난방 운전시에 냉매를 감압하는 감압 기구(18b)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75. 제 74항에 있어서,
    바이패스로(17)의 일단부는 흡입측 분기관(16a)과 토출측 분기관(16b)으로 분기되고,
    이 흡입측 분기관(16a)은 냉매 가열 수단(11)의 흡입측에, 토출측 분기관(16b)은 냉매 가열 수단(11)의 토출측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흡입측 분기관(16a)에는 이용 수단(3)의 난방 운전시에 개방하고, 냉방 운전시에 폐쇄하는 개폐 밸브(EVI)가, 토출측 접속관(16b)에는 이용 수단(3)의 난방 운전시에 폐쇄하고, 냉방 운전시에 개방하는 개폐 밸브(EVO)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76. 제 72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의 착상시,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공급하여 제상하는 제상 수단(31)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77. 제 73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의 착상시,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공급하여 제상하는 제상 수단(31)이 설치되고,
    이 제상 수단(31)은,
    일단은 냉매 가열 수단(11)의 토출측에, 타단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접속된 가열 가스관(32)과,
    이 가열 가스관(32)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만 개방되는 개폐 밸브(EVDl)와,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으로부터 팽창 기구(13)를 통해 가열 열교환 수단(12)을 거친 냉매를 냉매 가열 수단(11)의 흡입측으로 유도하는 흡입관(33)과,
    이 흡입관(33)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만 개방되는 개폐 밸브(EVD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78. 제 74항에 있어서,
    열원측 냉매 회로(A)에는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의 착상시, 냉매 가열 수단(11)으로부터의 토출 냉매를 열교환량 조정 수단(14)에 공급하여 제상하는 제상 수단(31)이 설치되고,
    이 제상 수단(31)은,
    냉매 가열 수단(11)과 가열 열교환 수단(12) 사이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 폐쇄되는 개폐 밸브(EVD4)와,
    일단은 상기 개폐 밸브(EVD4)와 가열 열교환 수단(12) 사이에, 타단은 냉매 가열 수단(11)의 흡입측에 접속된 접속관(33)과,
    이 접속관(33)에 설치되어 제상 운전시에 폐쇄되는 개폐 밸브(EVD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79. (정정)
    제 73항에 있어서,
    냉매 가열 수단은 압축기(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80. (신설)
    제 61항에 있어서,
    냉매 가열 수단은 압축기(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81. (신설)
    제 69항에 있어서,
    냉매 가열 수단은 압축기(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82. (신설)
    제 74항에 있어서,
    냉매 가열 수단은 압축기(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반송 장치.
KR10-1998-0701725A 1995-09-08 1996-09-06 열반송장치 KR1004371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117495A JP3598604B2 (ja) 1995-09-08 1995-09-08 熱搬送装置
JP95-231174 1995-09-0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672A Division KR100438264B1 (ko) 1995-09-08 1996-09-06 열반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477A KR19990044477A (ko) 1999-06-25
KR100437186B1 true KR100437186B1 (ko) 2004-07-16

Family

ID=169194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725A KR100437186B1 (ko) 1995-09-08 1996-09-06 열반송장치
KR10-2003-7013672A KR100438264B1 (ko) 1995-09-08 1996-09-06 열반송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3672A KR100438264B1 (ko) 1995-09-08 1996-09-06 열반송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116035A (ko)
EP (2) EP1291587B1 (ko)
JP (1) JP3598604B2 (ko)
KR (2) KR100437186B1 (ko)
CN (2) CN1109855C (ko)
AU (1) AU712950B2 (ko)
DE (2) DE69635631T2 (ko)
ES (2) ES2231825T3 (ko)
HK (1) HK1017732A1 (ko)
WO (1) WO19970095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2185B2 (ja) * 1995-10-24 2004-10-2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熱搬送装置
JP3063742B2 (ja) * 1998-01-30 2000-07-1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凍装置
US6557361B1 (en) * 2002-03-26 2003-05-06 Praxair Technology Inc. Method for operating a cascade refrigeration system
EP1709372B1 (de) * 2004-01-28 2009-03-25 BMS-Energietechnik AG Hocheffiziente verdampfung bei kälteanlagen mit dem dazu nötigen verfahren zum erreichen stabilster verhältnisse bei kleinsten und/oder gewünschten temperaturdifferenzen der zu kühlenden medien zur verdampfungstemperatur
NO331155B1 (no) * 2008-12-02 2011-10-24 Varmepumpen As Varmepumpe/luftkondisjoneringsapparat med sekvensiell drift
JP5283586B2 (ja) * 2009-08-28 2013-09-04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装置
DE102009040107A1 (de) * 2009-09-04 2011-03-10 Ulrich Stieler Kunststoff Service E.K. Vorrichtung zur Gebäudebelüftung
GB2486646A (en) * 2010-12-20 2012-06-27 Sublogic Mfg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ascade Refrigeration and for Central Heating Hot Water Supply
DE102012011815A1 (de) * 2012-06-14 2013-12-19 Christian Blomberg Kreislaufverbundsystem
JP3222688U (ja) 2019-06-07 2019-08-15 ロゼンスター株式会社 足専用爪削り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8124A (ja) * 1991-02-20 1992-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5342A (en) * 1977-10-27 1981-10-20 James Parro Heat exchange method using natural flow of heat exchange medium
US4333517A (en) * 1979-07-10 1982-06-08 James Parro Heat exchange method using natural flow of heat exchange medium
US4393663A (en) * 1981-04-13 1983-07-19 Gas Research Institute Two-phase thermosyphon heater
JP2529202B2 (ja) 1986-04-09 1996-08-28 松下冷機株式会社 冷暖房装置
JPH02233946A (ja) * 1989-03-03 1990-09-17 Nec Corp 電子機器の冷却装置
JPH04187993A (ja) * 1990-11-21 1992-07-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搬送装置
JPH04194515A (ja) * 1990-11-27 1992-07-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機
JPH05256533A (ja) * 1992-03-11 1993-10-05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冷暖房装置
JPH05306849A (ja) * 1992-04-30 1993-11-19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冷暖房装置
JPH0674589A (ja) * 1992-08-26 1994-03-15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冷暖房装置
JPH0682110A (ja) * 1992-09-01 1994-03-22 Matsushita Refrig Co Ltd 多室冷暖房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68124A (ja) * 1991-02-20 1992-09-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暖房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477A (ko) 1999-06-25
ES2231825T3 (es) 2005-05-16
EP1291587B1 (en) 2005-12-21
CN1515842A (zh) 2004-07-28
US6116035A (en) 2000-09-12
WO1997009570A1 (fr) 1997-03-13
EP0849544A4 (en) 2000-05-31
DE69633977D1 (de) 2005-01-05
DE69633977T2 (de) 2005-12-01
AU6890396A (en) 1997-03-27
CN1199454A (zh) 1998-11-18
HK1017732A1 (en) 1999-11-26
DE69635631T2 (de) 2006-07-20
JP3598604B2 (ja) 2004-12-08
EP0849544A1 (en) 1998-06-24
EP1291587A2 (en) 2003-03-12
EP1291587A3 (en) 2003-06-04
KR20040000436A (ko) 2004-01-03
AU712950B2 (en) 1999-11-18
DE69635631D1 (de) 2006-01-26
JPH0972623A (ja) 1997-03-18
CN1239852C (zh) 2006-02-01
EP0849544B1 (en) 2004-12-01
CN1109855C (zh) 2003-05-28
ES2253488T3 (es) 2006-06-01
KR100438264B1 (ko) 2004-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65977B2 (en) Heat-accumulating hot-water-supplying air conditioner
US9353958B2 (en) Air-conditioning apparatus
JP3063742B2 (ja) 冷凍装置
WO2014128970A1 (ja) 空気調和装置
KR100437186B1 (ko) 열반송장치
JP2004003801A (ja) 二酸化炭素を冷媒として用いた冷凍装置
KR100399272B1 (ko) 열반송 장치
JP2006336949A (ja) 蓄熱式空気調和機
AU721047B2 (en) Heat transfer device
AU719579B2 (en) Heat transfer device
JP3019077B1 (ja) 冷凍装置
AU719656B2 (en) Heat transfer device
AU719580B2 (en) Heat transfer device
JPH03144236A (ja) 多室冷暖房装置
JPH10220815A (ja) 熱搬送装置
AU719652B2 (en) Heat transfer device
JPH0351668A (ja) 多室冷暖房装置
JP2000035252A (ja) 冷凍装置
AU5354599A (en) Heat transfer device
JP2000088289A (ja) 熱搬送装置
JPH11159808A (ja) 冷凍装置
JP2000035236A (ja) 蓄熱式冷凍装置
AU5355099A (en) Heat transfer device
JPH11148679A (ja) 空調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JPH11281174A (ja) 冷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