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9224B1 -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 Google Patents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9224B1
KR100429224B1 KR10-2001-0071412A KR20010071412A KR100429224B1 KR 100429224 B1 KR100429224 B1 KR 100429224B1 KR 20010071412 A KR20010071412 A KR 20010071412A KR 100429224 B1 KR100429224 B1 KR 100429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valve body
pressure
hydroge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1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0826A (ko
Inventor
김인규
홍상의
구자형
김영수
김지원
박병일
김경호
홍영호
허경욱
강성희
차강욱
성시경
박일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714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9224B1/ko
Publication of KR20030040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0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9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92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8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combined with other safety valves, or with pressure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4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more than one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riven Valv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양단에 개구부를 갖는 중공의 관체 내부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밸브실을 구비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 내부에 밸브실을 형성할 수 있도록 양측 개구부 내면에 각각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단턱지게 형성된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몸체의 개구부 중 고압측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이 설정 압력 보다 클 경우 밸브시트와 이격됨에 의해 밸브실의 폐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실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밸브체와, 상기 밸브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밸브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수단과, 상기 밸브몸체의 개구부 중 고압측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이 설정 압력 보다 클 경우 저압측으로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밸브체 상에 설치되는 제2밸브체와, 상기 밸브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밸브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를 제공하여, 양방향에서 작용하는 관로의 압력을 감지하여 일측 관로에 설정 압력 이상의 고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고압측 관로의 수소 압력을 자동으로 해제시켜 저압측 관로 측으로 수소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by pass valve for sensing pressure of both direction}
본 발명은 바이패스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밸브 양측에 연결된 관로 중 어느 일측 관로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일 경우 고압측 관로의 압력을 자동으로 해제시켜 저압측 관로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이패스 밸브는 주 관로(main pipe)로부터 갈라진 바이패스 관로 상에 설치되어 바이패스 관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밸브로서, 도 1을 참조하여 바이패스 밸브의 설치구조 및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공기조화기를 구성하는 한 쌍의 반응기 사이에 설치된 일반적인 바이패스 밸브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공기조화기는 내부에는 각각 수소저장합금(11)이 충전되어 충전된 각 수소저장합금에 수소가 흡장(吸藏) 또는 방출됨에 의해 일측은 발열되고 타측은 흡열되는 반응을 번갈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쌍을 이루며 열교환실(5) 내측에 설치되는 제1,제2반응기(10,20)와, 상기 제1,제2반응기(10,20) 내부에 충전된 수소저장합금(11) 사이에 수소(H2)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제1,제2반응기(10,20) 사이에 연결된 수소이동관(50a,50b)과,사방밸브(40)의 절환 작동에 따라 상기 수소이동관(50a,50b)을 통해 일측 반응기 내측의 수소저장합금에 흡장된 수소를 방출시켜 타측 반응기 측으로 압송시키는 펌핑수단(30)과, 상기 열교환실(5)로부터 실내측과 실외측으로 각각 연통되어 실내/실외측 공기가 유출입되는 덕트수단(8)과, 상기 열교환실(5)을 분리 구획함에 의해 열교환실(5)과 상기 덕트수단(8)과의 유로 연결을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선택적으로 절환하여 상기 덕트수단(8)이 제1반응기(10) 또는 제2반응기(20) 측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댐핑수단(90)과, 상기 덕트수단(8)을 통해 열교환실(5) 내측으로 실내/실외측 공기를 강제 흡입시켜 상기 제1,제2반응기(10,20)와 열교환시킨 후, 공기를 실내/실외 측으로 강제 토출시키는 송풍팬(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작동 중에 일측 반응기 내측의 수소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될 경우, 일정시간 동안 펌핑수단(30)을 구동시키지 않고 고압측 반응기 내부의 수소 압력 만으로 타측 반응기 측으로 수소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소이동관(50a,50b) 사이에 바이패스관(61,62)을 각각 연결시키고, 상기 바이패스관(61,62) 상에는 각각 바이패스 밸브(61a,62a)를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바이패스 밸브(61a,62a)로서 일방향으로만 수소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과 같은 밸브수단이 주로 사용되는데, 전술한 밸브는 일측 방향으로만 수소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수소이동관(50a,50b) 사이에 적어도 두 개의 바이패스관(61,62)을 연결해야 하고, 또한 각 바이패스관(61,62) 상에 각각 바이패스 밸브(61a,62a)를 설치해야 함으로 인해 부품수 및 작업공수가 증가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밸브 양측에 연결된 바이패스관 중 어느 일측 관로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될 경우 고압측 관로의 압력을 자동으로 해제시켜 저압측 관로 측으로 유체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한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바이패스 밸브가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에 채용된 일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가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에 채용된 일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바이패스 밸브를 구성하는 제1밸브체 및 제2밸브체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
도 5a, 5b는 본 발명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1반응기, 20....제2반응기,
30....펌핑수단, 50a,50b....수소이동관,
71,72....바이패스관, 100....바이패스 밸브,
101a,101b....밸브시트, 110a,110b....제1밸브체,
120a,120b....제2밸브체, 131....제1탄성수단,
132a,132b....제2탄성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양단에 개구부를 갖는 중공의 관체 내부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밸브실을 구비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 내부에 밸브실을 형성할 수 있도록 양측 개구부 내면에 각각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단턱지게 형성된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몸체의 개구부 중 고압측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이 설정 압력 보다 클 경우 밸브시트와 이격됨에 의해 밸브실의 폐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실 내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밸브체와, 상기 밸브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밸브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수단과, 상기 밸브몸체의 개구부 중 고압측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이 설정 압력 보다 클 경우 저압측으로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밸브체 상에 설치되는 제2밸브체와, 상기 밸브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밸브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며, 구성요소 중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도 1에 따라 전술한 종래의 기술을 참조하여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부분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상 우측을 제1반응기와 연결된 바이패스관 측으로 하고, 도면상 좌측을 제2반응기와 연결된 바이패스관 측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가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공기조화기에 채용된 일예를 나타낸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상기 도면에 따르면, 제1반응기(10)와 제2반응기(20) 사이에 수소(H2)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소이동관(50a,50b) 상에 바이패스관(71,72)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100)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요부 확대 단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 바이패스 밸브(10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바이패스 밸브(100)는 양측을 통해 수소(H2)의 유입 또는 유출이 가능하도록 양단부에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의 원형 관체 내부에 수소가 통과할 수 있는 밸브실(103)을 구비한 밸브몸체(105)를 갖는다.
상기 밸브몸체(105)의 일측 개구부(도면상 좌측)는 바이패스관(72)과 연결되고, 타측 개구부(도면상 우측)는 바이패스관(71)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몸체(105)의 내부에 밸브실(103)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밸브시트(101a,101b)가 형성되는데, 상기 밸브시트(101a,101b)는 상기 밸브몸체(105)의양측 개구부 내면에 각각 밸브몸체(105)의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단턱지게 형성된다.
이 때, 상기 밸브시트(101a,101b)와 제1밸브체(110a,110b) 간에 밀폐가 이루어지는 부위에는 씰리콘 패킹 등과 같은 씰링수단(119)을 설치함으로써 밸브시트(101a,101b)와 제1밸브체(110a,110b) 간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밸브실(103) 내측에는 상기 밸브시트(101a,101b)의 일측면(밸브실 내면측)과 밀착 또는 이격됨에 의해 밸브실(103)을 폐쇄하거나 폐쇄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제1밸브체(110a,110b)가 설치된다.
이는, 상기 제1밸브체(110a,110b) 사이에 예컨대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은 제1탄성수단(131)을 설치하여, 밸브실(103)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밸브체(110a,110b)에 탄성력을 가하게 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밸브체(110a,110b)의 대략 중앙부에는 밸브실(103)의 폐쇄하거나 혹은 폐쇄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제2밸브체(120a,120b)가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밸브체(120a,120b)가 밸브실(103)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할 수 있도록 제2탄성수단(132a,132b)이 각각 설치됨에 따라 밸브실(103)의 밀폐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밸브체(110a,110b)는 상기 바이패스관(71,72) 중 고압측에 작용하는 수소(H2)의 압력이 설정 압력 보다 클 경우에만 밸브시트(101a,101b)와 이격될 수 있는 정도의 탄성계수를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 이유는, 각 반응기(10,20) 측으로 압송된 수소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의 고압 상태로 될 경우에만 상기 바이패스 밸브(100)가 개방 작동되어 바이패스관(71,72)을 통해 고압측 반응기로부터 저압측 반응기로 수소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2밸브체(120a,120b)는 밸브실(103) 내부에 작용하는 수소의 압력이 설정 압력 보다 클 경우에만 제1밸브체(110a,110b)와의 밀폐 상태를 해제시킬 수 있는 정도의 탄성계수를 갖도록 형성함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를 구성하는 제1밸브체 및 제2밸브체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요부 확대 사시도로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1밸브체(110a)와 제2밸브체(120a)의 설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밸브체(110a)는 밸브몸체(105)의 내경 보다는 작고 밸브시트(101a)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 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 지며, 상기 제1밸브체(110a)의 대략 중앙부에는 관통공(115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15a)에 상기 제2밸브체(120a)가 설치됨에 의해 제1밸브체(110a) 자체에서도 밸브실(103)의 폐쇄 또는 폐쇄 상태의 해제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밸브체(120a)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제2밸브체(120a)는 상기 제1밸브체(110a)의 관통공(115a)에 삽입된 상태로 왕복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로드부(123)와, 상기 로드부(123)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제1밸브체(110a)의밸브실(103) 외면측에 밀착되어 밸브실(103)의 기밀을 유지하는 페이스부(121)와, 상기 로드부(123)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제1밸브체(110a)의 밸브실(103) 내면측에 일단이 지지되는 제2탄성수단(132a)의 타단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125)로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2밸브체(120a)의 페이스부(121)와 제1밸브체(110a) 간에 밀폐가 이루어지는 부위에 씰링수단(129)을 설치함으로써, 제1밸브체(110a)와 제2밸브체(120a) 간의 밀폐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 바이패스 밸브(100)의 밀폐 구조에 따르면, 예를 들어 제1밸브체(110a,110b)가 개방될 수 있는 최소의 압력을 5기압으로 설정하여 설계하였을 경우, 상기 바이패스 밸브(100)를 완전히 개방시킬 수 있는 수소의 압력은 적어도 5기압을 훨씬 초과하게 된다.
그 이유는, 상기 제1,제2탄성수단(131,132a,132b)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서, 전술한 바에 따르면, 밸브실(103) 양측을 폐쇄하고 있는 제1밸브체(110a,110b)는 5기압의 압력하에서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되는 것이 아니라 일부분만 개방되기 시작하는 것이며, 또한 압축코일스프링의 특성상 밸브실(103)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계속 작용함으로 인해 상기 제1밸브체(110a,110b)가 완전히 개방되기 위해서는 5기압 보다는 훨씬 큰 압력이 작용해야만 제1밸브체(110a,110b)의 완전개방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그리고, 제1밸브체(110a,110b)가 일부 개방된 이후, 지속적으로 수소가 밸브실(103) 내측으로 유입되어 밸브실(103) 내부의 압력이 5기압 이상으로 되어야 제2밸브체(120a,120b)가 개방되기 시작하며, 그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수소 압력이 증가해야만 제2밸브체(120a,120b)의 완전개방이 가능해진다.
한편, 밸브실(103)이 형성되는 밸브몸체(105) 상에는 절결부(160)가 형성되고 상기 절결부(160) 상에는 각각 암나사부(161)와 수나사부(162)로 이루어진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밸브몸체(105)의 결합 또는 분해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몸체(105) 상에는 상기 제1밸브체(110a,110b)에 의한 밸브실(103)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밸브개폐 감지수단을 추가로 구비하여, 상기 밸브개폐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함으로써,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펌핑수단(30)의 온/오프를 제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각 반응기(10,20)와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하는 댐핑수단(90)의 구획 방향을 제어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밸브개폐 감지수단은 제1밸브체(110a,110b)의 외주면 상에 각각 설치된 자성체(114,115)와, 상기 밸브시트(101a,101b)와 인접한 밸브몸체(105) 외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1밸브체(110a,110b)의 개폐 동작에 의한 자성체(114,115)의 위치 이동에 따라 접점의 개폐를 단속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는 한 쌍의 리드스위치(154,155)로 구성할 수 있다.
도 5a, 5b는 본 발명 바이패스 밸브가 개방되는 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작동 상태도로서, 도 2 및 도 5a, 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밸브(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내 냉방을 수행하도록 공기조화기의 조작부(미도시)를 조작함에 의해 공기조화기가 작동될 경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펌핑수단(30)을 작동시켜 펌핑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펌핑수단(30)의 작동에 의해 펌핑력이 발생되는 한편,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사방밸브(40)의 유로가 절환됨에 따라, 수소(H2)가 제2반응기(20) 내측의 수소저장합금으로부터 방출되어 제1반응기(10) 내측의 수소저장합금에 흡수되며, 이로 인해, 제2반응기(20)에서는 흡열반응이 일어나고, 제1반응기(10)에서는 발열반응이 일어난다.
이어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송풍팬(80)이 작동됨에 의해 실내/실외측 공기가 각 반응기(10,20)와 열교환 되면서 열교환실(5) 내측으로 유입됨과 아울러 댐핑수단(90)에 의해 실내 측으로는 차가운 공기가 토출되고, 실외 측으로는 더운 공기가 토출되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면서 실내의 냉방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제2반응기(10,20)가 각각 발열반응과 흡열반응을 수행하는 중에도 펌핑수단(30)은 계속 펌핑력을 발생시켜 제2반응기(20) 내측으로부터 제1반응기(10) 내측으로 수소를 압송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반응기(10) 내측으로 수소가 계속 공급되면, 제1반응기(10) 내측의 수소저장합금에 흡장될 수 있는 수소의 양이 포화상태에 다다르게 되어 더 이상의 수소화 반응이 진행되지 않게 되며, 또한 제1반응기(10) 내부의 수소 압력은 설정 압력 이상의 고압상태로 된다.
이 때, 제1반응기(10)측 수소이동관(50a)과 연결된 바이패스관(71) 내부 압력도 설정 압력 이상의 고압 상태가 됨에 따라,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관(71) 내부의 수소 압력이 제1탄성수단(131)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제1밸브체(110a)가 도면상 좌측으로 밀리면서 바이패스관(71) 측의 수소가 밸브실(103) 내측으로 유입되기 시작한다.
이 경우, 바이패스관(72)측 제1밸브체(110b)와 제2밸브체(120b)는 밸브실(103)을 폐쇄하는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실(103) 내측으로 수소(H2)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밸브실(103) 내부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올라가게 되면, 밸브실(103) 내부의 수소 압력이 제2탄성스프링(132b)의 탄성력을 극복하게 됨에 따라 제2밸브체(120b)가 도면상 좌측으로 밀리면서 밸브실(103) 내부의 수소가 바이패스관(72)측으로 배출된다.
바이패스관(72) 측으로 배출된 수소는 수소이동관(50b)을 통해 제2반응기(20) 측으로 이동되어 그 내부의 수소저장합금에 흡장됨에 따라 제2반응기(20) 에서는 발열반응이 일어나고 제1반응기(10) 에서는 흡열반응이 일어난다.
한편, 상기 제1밸브체(110a)가 개방될 경우, 자성체(114)의 위치이동에 의해 리드스위치(154)는 제1밸브체(110a)의 개방을 감지하여 제어부에 전기적 신호로서 인가하게 되면, 제어부는 상기 신호를 인가 받아 펌핑수단(30)의 작동을 오프(OFF)시키고, 댐핑수단(90)의 구획 방향을 변경함에 의해 실내 측으로는 계속 차가운 공기가 토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타측에 설치된 리드스위치(155)는 대응하는 자성체(115)의 위치 이동에 따라 제1밸브체(110b)의 개폐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고압화 되었던 수소가 소정 시간 동안 제1반응기(10) 측으로부터 제2반응기(20) 측으로 배출됨에 의해 바이패스관(71) 측 수소 압력이 설정 압력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제1밸브체(110a)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밸브실(103)을 폐쇄하게 된다.
또한, 밸브실(103)이 페쇄됨에 따라 밸브실(103) 내부의 수소 압력 또한 설정 압력 이하로 내려감으로 인해 개방 상태였던 제2밸브체(120b)가 닫히게 된다.
이 경우, 리드스위치(154)는 제1밸브체(110a)의 닫힘 상태를 감지하여 제어부에 인가하고, 상기 신호를 인가 받은 제어부는 펌핑수단(30)을 온(ON)시켜 펌핑수단(30)의 펌핑력에 의해 수소를 압송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반응기(10,20)측에 연결된 바이패스관(71,72) 내부의 수소 압력에 따라 밸브실(103)을 폐쇄하거나 또는 어느 일측 방향으로의 수소이동이 가능하도록 밸브실(103)의 폐쇄 상태를 해제하는 일련의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단순히 전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바이패스 밸브에 따르면 양측이 각각 유체의 압력이 작용하는 관로 상에 연결된 바이패스 밸브가 양방향에서 작용하는 관로의 압력을 감지하여 일측 관로에 설정 압력 이상의 고압력이 작용하게 되면, 고압측 관로의 수소 압력을 자동으로 해제시켜 저압측 관로 측으로 수소가 이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바이패스관 및 바이패스 밸브로 두 개의 바이패스관 및 바이패스 밸브를 설치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되어 작업공수 및 부품수를 줄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양단에 개구부를 갖는 중공의 관체 내부에 유체가 통과할 수 있는 밸브실을 구비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 내부에 밸브실을 형성할 수 있도록 양측 개구부 내면에 각각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단턱지게 형성된 밸브시트와,
    상기 밸브몸체의 개구부 중 고압측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이 설정 압력 보다 클 경우 밸브시트와 이격됨에 의해 밸브실의 폐쇄 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실 내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밸브체와,
    상기 각 제1밸브체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밸브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어느 한 제1밸브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수단과,
    상기 밸브몸체의 개구부 중 고압측에 작용하는 유체 압력이 설정 압력 보다 클 경우 저압측으로 유체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제1밸브체의 중앙부위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제2밸브체와,
    상기 밸브실 내측인 상기 각 제2밸브체와 상기 각 제1밸브체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밸브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밸브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시트와 제1밸브체 간에 밀폐가 이루어지는 부위 및 상기 제1밸브체와 제2밸브체 간에 밀폐가 이루어지는 부위에는 각각 씰링수단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는 원형단면을 갖는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밸브체는 밸브몸체의 내경 보다는 작고 밸브시트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부 보다는 큰 직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밸브체의 대략 중앙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제2밸브체에 의해 밸브실을 폐쇄 가능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밸브체는 상기 제1밸브체의 관통공에 장착된 상태로 밸브실 외부를 향해 탄력 이동이 가능한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제1밸브체의 밸브실 외면측에 밀착되어 밸브실의 기밀을 유지하는 페이스부와,
    상기 로드부의 타단부에 형성되며 제1밸브체의 밸브실 내면측에 일단이 지지되는 제2탄성수단의 타단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내부에 각각 수소저장합금이 충전되어 한 쌍을 이루는 제1,제2반응기;
    펌핑수단의 펌핑력에 의해 상기 각 반응기 사이에 수소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소이동관; 그리고,
    상기 수소이동관 사이에 연결된 바이패스관을 가지며, 양단이 상기 바이패스관에 연결된 중공의 밸브몸체를 가지고, 상기 밸브몸체 양측 내면에 각각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단턱지게 형성된 밸브시트를 가지며, 상기 밸브몸체의 양단부 중 고압측 반응기와 연결된 바이패스관에 작용하는 수소 압력이 설정 압력 보다 클 경우 밸브시트와 이격됨에 의해 밸브실의 폐쇄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상기 밸브실 내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밸브체를 가지고, 상기 밸브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각 제1밸브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1탄성수단을 가지며, 상기 밸브몸체의 양단부 중 고압측 반응기와 연결된 바이패스관에 작용하는 수소 압력이 설정 압력 보다 클 경우 저압측 반응기 측으로 수소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각 제1밸브체 상에 각각 설치되는 제2밸브체를 가지고, 상기 밸브실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밸브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제2탄성수단을 각각 가지는 밸브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몸체 상에는 상기 제1밸브체에 의한 밸브실의 개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밸브개폐 감지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밸브개폐 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신호에 따라 펌핑수단의 온/오프 또는 각 반응기와 열교환된 공기의 유동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 감지수단은 제1밸브체의 외주면 상에 각각 설치된 자성체와,
    상기 제1밸브체의 개폐 동작에 의한 자성체의 위치 이동에 따라 접점의 개폐를 단속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에 인가하는 한 쌍의 리드스위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저장합금을 이용한 공기조화기.
KR10-2001-0071412A 2001-11-16 2001-11-16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KR100429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412A KR100429224B1 (ko) 2001-11-16 2001-11-16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1412A KR100429224B1 (ko) 2001-11-16 2001-11-16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826A KR20030040826A (ko) 2003-05-23
KR100429224B1 true KR100429224B1 (ko) 2004-04-29

Family

ID=29569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412A KR100429224B1 (ko) 2001-11-16 2001-11-16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9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484B1 (ko) * 2019-11-29 2021-02-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6989B1 (ko) 2004-08-11 2006-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난방 공조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TWI715186B (zh) * 2019-09-05 2021-01-01 柯世苑 抽蓄裝置及抽蓄槽車
EP3982057A1 (en) * 2020-10-09 2022-04-13 Vaillant GmbH Hot water heating device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976A (ko) * 1986-07-25 1988-04-28 야마다 미노루 공기 조화기
US5311901A (en) * 1993-06-01 1994-05-17 Ostrom Charles R Pressure interrupter device
JPH06249353A (ja) * 1993-03-02 1994-09-06 Osaka Gas Co Ltd 過流量防止弁
KR950019262A (ko) * 1993-12-22 1995-07-22 김무 유압 컨트롤 밸브의 3단 첵밸브
KR970049898U (ko) * 1996-01-30 1997-08-12 한승신 차압밸브
JPH11351424A (ja) * 1998-04-09 1999-12-24 Sayama Seisakusho:Kk 逆流防止器
KR20010026763A (ko) * 1999-09-08 2001-04-06 윤종용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의 냉매유로 절환장치
KR200256119Y1 (ko) * 2001-09-08 2001-12-20 김두현 유체감지용 이중 체크밸브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80001976A (ko) * 1986-07-25 1988-04-28 야마다 미노루 공기 조화기
JPH06249353A (ja) * 1993-03-02 1994-09-06 Osaka Gas Co Ltd 過流量防止弁
US5311901A (en) * 1993-06-01 1994-05-17 Ostrom Charles R Pressure interrupter device
KR950019262A (ko) * 1993-12-22 1995-07-22 김무 유압 컨트롤 밸브의 3단 첵밸브
KR970049898U (ko) * 1996-01-30 1997-08-12 한승신 차압밸브
JPH11351424A (ja) * 1998-04-09 1999-12-24 Sayama Seisakusho:Kk 逆流防止器
KR20010026763A (ko) * 1999-09-08 2001-04-06 윤종용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의 냉매유로 절환장치
KR200256119Y1 (ko) * 2001-09-08 2001-12-20 김두현 유체감지용 이중 체크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484B1 (ko) * 2019-11-29 2021-02-24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0826A (ko) 2003-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36527B2 (en) Composite valve
KR100272206B1 (ko) 직각 열응답 팽창밸브
JPH08145507A (ja) 冷媒流量制御弁及び冷媒流量制御弁を用いた冷凍装置
US4448211A (en) Three-way valve
JPH07151422A (ja) 電磁弁付膨張弁
JPH0744560U (ja) フロントカットオフバルブ
JPS63243581A (ja) 電動膨張弁
KR100429224B1 (ko)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JP3410197B2 (ja) 絞り部内蔵型電磁弁
US2991631A (en) Reverse cycle refrigeration system and four-way transfer valve for same
JPH06101780A (ja) 双方向電磁弁
JP3774334B2 (ja) 四方向切換弁
CN211693532U (zh) 一种两通阀
JPH05215249A (ja) 真空装置用ゲートバルブ
CN219176951U (zh) 电磁阀和具有其的车辆
JPS609502Y2 (ja) 四路切換弁
JPS6260586B2 (ko)
JP3387586B2 (ja) 電磁弁付膨張弁
JP2004110177A (ja) 減圧弁
JPH04190060A (ja) 空気調和機の膨張弁
CN115289257A (zh) 给水管路安全阀、给水管路、给水管路降压的方法、应用
JPS63180779A (ja) 冷凍サイクル用四方弁
JPH1030793A (ja) フロ―ト式スチ―ムトラップ
JP2004078421A (ja) 減圧弁
JP2004110179A (ja) 減圧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