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484B1 -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 Google Patents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484B1
KR102219484B1 KR1020190157280A KR20190157280A KR102219484B1 KR 102219484 B1 KR102219484 B1 KR 102219484B1 KR 1020190157280 A KR1020190157280 A KR 1020190157280A KR 20190157280 A KR20190157280 A KR 20190157280A KR 102219484 B1 KR102219484 B1 KR 102219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ow
water
valve body
p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창현
이헌재
Original Assignee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57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4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F16K24/042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7/00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 F16K17/02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 F16K17/04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 F16K17/06Safety valves; Equalising valves, e.g. pressure relief valves opening on surplus pressure on one side; closing on insufficient pressure on one side spring-loaded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open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16K31/0655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16K31/2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actuating a lift val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관한 것으로, 외면에 작동부를 형성한 유로관을 구비하고, 이 유로관 내에 상면에 배출홀을 형성한 밸브본체를 구비하며, 내측에 센서부를 작동시키는 자성체를 형성하여, 밸브본체 내에서 승강 작동되도록 밸브본체 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밸브구동부를 포함 함으로써, 유로관을 통해 유동되는 물의 압력에 밀려 밸브구동부가 밸브본체 내에서 승강이동되면서 자성체로 작동부를 작동시켜 물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되, 밸브구동부의 상단이 밸브본체 내측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 밸브구동부 상단과 밸브본체 내측 상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배출홀로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성체로 작동부를 작동시켜, 이 작동부에 물의 흐름 여부가 감지되고, 밸브구동부 상단과 밸브본체 내측 상면 사이의 틈새가 밸브구동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 압력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이 틈새를 통해 배출홀로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되며, 특히, 밸브구동부로 과도한 량의 물이 유입되면, 플로우밸브 내의 밀폐압력과 밸브본체의 하부공간 내의 밀폐압력이 동등해 지는 시점에서 통공이 차단되어, 플로우밸브의 승강 이동이 제한되고, 이때, 플로우밸브의 상단은 밸브본체의 내측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 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배출홀로 연속하여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Valve with adjustable flow rate and detection}
본 발명은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구동부에 의해 승강되는 자성체로 작동부를 작동시켜 물의 흐름을 감지하되, 밸브구동부 상단이 밸브본체 상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정해진 높이에 고정시켜, 이 틈새를 통해 정해진 량의 물이 통과되도록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물이 흐르는 배관 내에 설치되어, 배관내로 흐르는 물의 흐름량을 조절하는데 사용된다.
이때, 이러한 밸브는 외부 신호를 입력받아 개방 또는 차단되거나 혹은 물의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그 개방 여부가 결정되어 물의 흐름량을 조절하게 된다.
특허문헌 1은 종래의 약액 정량주입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서로 반대되는 외면에 유입구 및 배출구를 형성하고, 내측 벽면에 형성된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각각의 유입구 및 배출구와 연통되는 제1, 제2격실을 포함하는 몸체와, 몸체의 제2격실 하단을 밀폐하도록 결합되고, 상면에 탄성판 양단을 고정하여 탄성판이 공중에 부양되도록 하는 하판과, 일단이 탄성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제1격실에 위치되도록 몸체의 관통공에 결합되어 승강 이동하는 가압로드로 구성된다.
여기서, 가압로드의 상단에는 격벽의 관통공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더 크게 형성되어 격벽에 걸림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턱 저면 테두리에 관통공을 밀폐하는 오링이 더 형성된다.
즉, 유입구로 약액을 주입하게 되면, 이 약액이 제1격실을 경유한 후, 가압로드와 관통공 사이의 틈새를 통해 제2격실로 공급되고, 이후, 제2격실에서 배출구 방향을 향해 배출되어, 약액이 공급되는 것이다.
이때, 유입구를 통해 정해진 량 이상의 약액이 공급되면, 제1격실에서 가압로드와 관통공 사이의 틈을 통해 제2격실로 이동하는 약액의 유속이 상승되고, 이에따라, 이 약액이 직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탄성판을 하방으로 누름 가압하게 된다.
그러면, 양단이 하판에 결합된 탄성판의 중앙부가 눌림되면서, 탄성판에 처짐이 발생되고, 이때, 이 탄성판에 고정된 가압로드가 탄성판에 의해 하방으로 승강이동되어, 가압로드의 걸림턱이 격벽에 밀착된다.
여기서, 가압로드의 오링이 관통공을 밀폐하고, 이에따라, 제1격실 내의 약액이 제2격실로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약액 주입이 차단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특허문헌 1은 유입구로 과도한 량의 약액을 주입하는 경우 제1격실과 제2격실을 연통하는 관통공이 걸림턱에 의해 그대로 밀폐되어, 정해진 량의 약액을 연속 주입할 수 없고, 관통공 밀폐로 정해진 시간동안 배출구를 통해 약액이 주입되지 못하거나 혹은 제1격실내에 채워진 약액에 의해 제1격실 내에 밀폐압력이 형성되면서 가압로드의 걸림턱이 관통공을 밀폐한 상태로 유지되어, 약액 주입이 불가능하며, 특히, 유입구를 통해 제1격실로 유입되는 약액의 유입압력이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약액의 배출압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되어, 걸림턱과 격벽사이의 틈새가 근접한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따라, 사용자가 설정한 약액보다 상대적으로 소량의 약액이 공급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7-0015036 B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면에 작동부를 형성한 유로관을 구비하고, 이 유로관 내에 상면에 배출홀을 형성한 밸브본체를 구비하며, 내측에 센서부를 작동시키는 자성체를 형성하여, 밸브본체 내에서 승강 작동되도록 밸브본체 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밸브구동부를 포함 함으로써, 유로관을 통해 유동되는 물의 압력에 밀려 밸브구동부가 밸브본체 내에서 승강이동되면서 자성체로 작동부를 작동시켜 물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되, 밸브구동부의 상단이 밸브본체 내측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 밸브구동부 상단과 밸브본체 내측 상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배출홀로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는,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작동부를 형성한 유로관과;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유로관 내에 설치되고, 상면 테두리에 배출홀을 형성한 밸브본체; 상기 밸브본체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자성체를 형성하며, 하단을 통해 물을 공급받되,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 내측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밸브본체 내에서 승강 작동되어, 상기 배출홀을 통해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밸브구동부;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의 작동부는, 상기 자성체에 의해 스위치 방식 또는 센서 방식으로 작동되어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내측 벽면을 따라 형성되되, 그 중앙부에 중앙홀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본체의 상, 하부공간을 구획 형성하는 구획벽과, 상면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상기 배출홀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홀로 상기 밸브구동부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는, 상기 중앙홀과 상기 밸브구동부 사이에 각링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동부는,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밸브본체의 중앙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밸브본체의 하부공간과 연통되는 통공을 형성하여, 물을 직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플로우밸브; 상기 플로우밸브 하단에 결합되고, 상면에 자성체가 결합되도록 허용하되, 상기 밸브본체의 하단을 마감하여 상기 플로우밸브와 일체로 승강 작동되는 압입부재; 상기 압입부재와 상기 구획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입부재를 하방으로 눌러 가압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동부는,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밸브본체의 중앙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밸브본체의 하부공간과 연통되는 통공을 형성하여, 물을 직상방으로 이동시키며, 그 하단 외주면에 자성체를 일체로 형성한 플로우밸브; 상기 플로우밸브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본체의 하단을 마감하여 상기 플로우밸브와 일체로 승강작동되는 압입부재; 및 상기 압입부재와 상기 구획벽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입부재를 하방으로 눌러 가압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밸브는,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의 상부공간에 위치되되, 하단이 상기 밸브본체의 하부공간에 위치되고, 상단 내측 테두리에 상방으로 토출되는 물이 방사상으로 퍼져 나가도록 유도하는 안내경사면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밸브의 통공은, 상기 압입부재 승강시 상기 밸브본체의 하부공간 내의 물이 상기 플로우밸브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밸브는 직상방으로 이동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밀폐압력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본체의 하부공간은 상기 플로우밸브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상기 압입부재에 가압되어 밀폐압력이 형성되며, 상기 플로우밸브의 통공은, 상기 플로우밸브 내의 밀폐압력과 상기 밸브본체의 하부공간 내의 밀폐압력이 동등해 지는 시점에서 차단되면서, 상기 플로우밸브와 상기 압입부재가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플로우밸브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 상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압입부재가 상기 하부공간 내로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플로우밸브의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 상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상, 하로 서로 적층되되, 서로 다른 극성으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밸브구동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압력에 의해 밸브구동부가 승강되면서 자성체로 작동부를 작동시켜, 이 작동부에 물의 흐름 여부가 감지되고, 밸브구동부 상단과 밸브본체 내측 상면 사이의 틈새가 밸브구동부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 압력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이 틈새를 통해 배출홀로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되며, 특히, 밸브구동부로 과도한 량의 물이 유입되면, 플로우밸브 내의 밀폐압력과 밸브본체의 하부공간 내의 밀폐압력이 동등해 지는 시점에서 통공이 차단되어, 플로우밸브의 승강 이동이 제한되고, 이때, 플로우밸브의 상단은 밸브본체의 내측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 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배출홀로 연속하여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되며, 이에따라, 단일의 제품으로 동시에 물의 흐름 감지 및 물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의 밸브구동부를 분해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의 물 흐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유로관(100)은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작동부(101)를 형성한다.
상기 유로관(100)은 물이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안내한다.
상기 유로관(100)의 내부 직경은 상기 밸브본체(200)의 외면 직경에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로관(100)의 작동부(101)는 상기 자성체(301)에 의해 스위치 방식 또는 홀센서 방식으로 작동되어 물의 흐름을 감지한다.
상기 작동부(101)는 외부로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유로관(100) 내의 물 흐르 여부를 알린다.
밸브본체(200)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유로관(100) 내에 설치되고, 상면 테두리에 배출홀(201)을 형성한다.
상기 밸브본체(200)는 상기 유로관(100) 내에 끼움 고정되어, 상기 유로관(100) 내의 물에 침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밸브본체(200)는 내측 벽면을 따라 형성되되, 그 중앙부에 중앙홀(202a)을 형성하여 상기 밸브본체(200)의 상, 하부공간(200a, 200b)을 구획 형성하는 구획벽(202)과, 상면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상기 배출홀(201)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홀(202a)로 상기 밸브구동부(300)를 결합한다.
상기 구획벽(202)은 상기 밸브본체(200)의 내측 벽면을 따라 환형으로 형성되어, 상, 하부공간(200a, 200b) 각각에 물이 수용되도록 상기 상, 하부공간(200a, 200b)을 구획한다.
상기 중앙홀(202a)의 직경은 상기 밸브구동부(300)의 플로우밸브(302) 외면 직경에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홀(202a)은 상기 플로우밸브(302) 외면을 지지하여, 상기 플로우밸브(302)가 승강 이동하는 것을 안내한다.
상기 하부공간(200b)은 상기 플로우밸브(302)의 통공(302a)을 통해 물을 공급받아 물을 수용한다.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은 상기 플로우밸브(302)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상기 압입부재(303)에 가압되어 밀폐압력이 형성된다.
상기 밸브본체(200)는 상기 중앙홀(202a)과 상기 밸브구동부(300) 사이에 각링(203)을 더 형성한다.
상기 각링(203)은 상기 밸브구동부(300)의 플로우밸브(302) 외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링(203)은 상기 밸브구동부(300) 승강 이동시 상기 밸브구동부(300)의 플로우밸브(302)와 마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플로우밸브(302) 외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다.
상기 각링(203)은 중앙홀(202a)을 통해 승강 이동하는 상기 플로우밸브(302)가 상기 중앙홀(202a)의 중심에서 일방향으로 치우쳐, 상기 중앙홀(202a) 내벽면에 충돌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각링(203)은 플로우밸브(302)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200)의 중앙홀(200a)을 통해 상기 밸브본체(200) 하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밸브구동부(300)는 상기 밸브본체(20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작동부(101)를 작동시키는 자성체(301)를 형성하며, 하단을 통해 물을 공급받되,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200) 내측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밸브본체(200) 내에서 승강 작동되어, 상기 배출홀(201)을 통해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밸브구동부(300)는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밸브본체(200)의 중앙홀(202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과 연통되는 통공(302a)을 형성하여, 물을 직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플로우밸브(302)와, 상기 플로우밸브(302) 하단에 결합되고, 상면에 자성체(301)가 결합되도록 허용하되,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단을 마감하여 상기 플로우밸브(302)와 일체로 승강 작동되는 압입부재(303) 및 상기 압입부재(303)와 상기 구획벽(20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입부재(303)를 하방으로 눌러 가압하는 탄성부재(304)로 구성된다.
상기 자성체(301)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압입부재(303) 상면에 설치되거나 혹은 상기 플로우밸브(302) 하단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301)는 상, 하로 서로 적층되되, 서로 다른 극성으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다.
상기 자성체(301)는 상기 압입부재(303)에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301)는 상기 압입부재(303) 내부에 삽입되어, 물속의 철성분과의 공간 거리를 발생시켜, 물속에 포함된 철성분의 자화율이 저하된다.
상기 자성체(301)는 상기 압입부재(303)에서 이탈 분리되어, 상기 압입부재(303)의 세척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자성체(301)는 상기 작동부(101)의 스위치방식 또는 센서방식에 대응하도록, 단일의 극성을 갖거나 혹은 서로 다른 한 쌍의 극성으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301)는 상기 작동부(101)가 센서방식으로 작동되는 경우, 상, 하로 N극, S극 또는 S극, N극을 적층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성체(301)는 링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플로우밸브(302)는 하단을 통해 물을 공급받되, 이 물을 직 상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밸브본체(200)의 배출홀(201)을 통해 물이 배출되도록 안내한다.
상기 플로우밸브(302)는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200)의 상부공간(200a)에 위치되되, 하단이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에 위치되고, 상단 내측 테두리에 상방으로 토출되는 물이 방사상으로 퍼져 나가도록 유도하는 안내경사면(302b)을 더 형성한다.
상기 안내경사면(302b)은 상기 플로우밸브(302) 상방으로 이동하는 물이 상기 밸브본체(200)의 배출홀(201) 방향을 향해 퍼져 나가도록 유도한다.
상기 플로우밸브(302)의 통공(302a)은 상기 압입부재(303) 승강시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 내의 물이 상기 플로우밸브(302)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플로우밸브(302)는 직상방으로 이동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밀폐압력이 형성된다.
상기 플로우밸브(302)의 통공(302a)은 상기 플로우밸브(302) 내의 밀폐압력과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 내의 밀폐압력이 동등해 지는 시점에서 차단되면서, 상기 플로우밸브(302)와 상기 압입부재(303)가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플로우밸브(302)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200) 상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압입부재(303)는 상기 플로우밸브(302)에 의해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하부공간(200b) 내의 물을 상기 통공(302a)을 통해 상기 플로우밸브(302) 내측 방향으로 밀어낸다.
상기 압입부재(303)는 상기 자성체(301)를 일체로 승강 이동시켜, 상기 자성체(301)가 상기 작동부(101)를 지나치도록 한다
상기 통공(302a)은 상기 하부공간(200b)에 수용된 물이 상기 플로우밸브(302) 내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하부공간(200b) 내의 밀폐압력에 의해 상기 압입부재(303)가 상기 하부공간(200b) 내로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는 것이 차단되고, 이에따라, 상기 압입부재(303)와 상기 플로우밸브(302)가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플로우밸브(302)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200) 내측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탄성부재(304)는 상기 압입부재(303)가 상기 하부공간(200b) 내로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플로우밸브(300)의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200) 상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한다.
상기 압입부재(303)는 상기 통공(302a) 차단 및 상기 탄성부재(30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하부공간(200b) 내로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밸브구동부(300)는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밸브본체(300)의 중앙홀(202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과 연통되는 통공(302a)을 형성하여, 물을 직상방으로 이동시키며, 그 하단 외주면에 자성체(301)를 일체로 형성한 플로우밸브(30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자성체(301)는 상기 밸브구동부(300)의 플로우밸브(302)와 압입부재(303) 사이에 고정 설치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먼저,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으로 밸브구동부(300)를 진입시켜, 이 밸브구동부(300)의 플로우밸브(302)가 상기 중앙홀(202a)로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밸브구동부(300)를 상기 하부공간(200b) 내로 삽입 결합함으로써, 상기 밸브구동부(300)의 탄성부재(304)가 상기 구획벽(202) 저면에 밀착되어, 상기 하부공간(200b) 하단을 밀폐하는 상기 압입부재(303)와 상기 구획벽(202) 사이에 위치되되, 이 압입부재(303)와 상기 플로우밸브(302) 사이에 자성체(301)가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본체(200) 내로 삽입 결합된 상기 플로우밸브(302)의 통공(302a)은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과 연통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기 중앙홀(202a)과 상기 플로우밸브(302) 사이에 각링(203)을 설치하여, 상기 중앙홀(202a)과 상기 플로우밸브(302) 사이의 틈새를 마감한다.
이후, 상기와 같이 결합된 밸브를 외면에 작동부(101)를 형성한 상기 유로관(100) 내측에 고정 설치하여, 상기 유로관(100)의 정해진 위치에 밸브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유로관(100) 내에는 물이 수용되어 있고, 이 유로관(100) 내에 밸브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밸브구동부(300)의 플로우밸브(302)를 통해 물이 유입되어 상기 밸브본체(200)의 상부공간(200a)에 물이 수용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플로우밸브(302)의 통공(302a)을 통해 상기 하부공간(200b)으로 물이 유입되어, 밸브가 상기 유로관(100) 내의 물에 침수된 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공간(200b) 내에 수용된 물에 의해 상기 밸브본체(200)가 상방으로 부유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어서, 상기 유로관(100)을 통해 물을 유동시키면, 이 물이 상기 밸브구동부(300)의 플로우밸브(302) 하단을 통해 상기 플로우밸브(302) 내로 유입되면서 상기 압입부재(303)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이때, 상기 압입부재(303)가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면서 상기 탄성부재(304)를 누름 가압함과 동시에 상기 하부공간(200b) 내의 물이 상기 통공(302a)을 통해 상기 플로우밸브(302) 내측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누름 가압한다.
이때, 상기 밸브구동부(300)의 탄성부재(304)는 상기 압입부재(303)를 하방으로 누름 가압하여, 상기 압입부재(303)가 상기 하부공간(200b) 내로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상기 압입부재(303)와 일체로 승강 이동되는 상기 플로우밸브(302)의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200)의 내측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위치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압입부재(303)와 상기 플로우밸브(302) 사이에 설치된 상기 자성체(301)는 상기 유로관(100)의 작동부(101)를 지나치게 되고, 이때, 서로 다른 극성으로 마주보도록 적층 결합된 상기 자성체(301)가 상기 작동부(101)를 지나치면서, 상기 작동부(101)를 작동시켜, 상기 작동부(101)가 이 신호를 외부로 출력함으로써, 상기 유로관(100) 내의 물 흐름 여부를 감지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플로우밸브(302)의 상단과 상기 밸브본체(200)의 내측 상면 사이의 틈새 간격은 상기 압입부재(303)를 누름 가압하는 물의 압력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이 틈새를 통해 상기 플로우밸브(302) 상단으로 토출되는 물이 상기 상부공간(200a)을 경유하여 상기 배출홀(201)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출홀(201)을 통해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된다.
특히, 상기 플로우밸브(302) 상단으로 토출되는 물은 상기 안내경사면(302b)에 안내되어 상기 배출홀(201) 방향을 향해 방사상으로 퍼져 나감으로써, 상기 배출홀(201)을 통해 물이 신속하게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 유로관(100) 내의 물이 유동되면, 상기 자성체(301)의 승강 신호를 상기 작동부(101)가 감지하여, 물의 흐름 여부를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밸브구동부(300)의 플로우밸브(302)의 승강 이동 거리가 압입부재(303)를 가압하는 물의 압력에 비례하도록 조절되어, 배출홀(201)을 통해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유로관(100) 내의 물 흐름 압력이 상기 탄성부재(304)의 압력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작용되어, 상기 압입부재(303)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경우에는, 상기 압입부재(303)가 상기 탄성부재(304)를 누름 가압하면서 상기 하부공간(200b) 내의 물이 상기 통공(302a)을 통해 상기 플로우밸브(302)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연속하여 밀어낸다.
여기서, 상기 플로우밸브(302)는 그 내부공간으로 물을 공급받아 직상방으로 토출함으로써, 이 내부공간에 밀폐압력이 형성되어 통공(302a)을 차단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하부공간(200b) 내부에 밀폐압력이 형성되어 상기 압입부재(303)가 정해진 높이상에 고정된다.
즉, 상기 통공(302a)의 차단에 의해 밀폐압력을 형성하는 상기 하부공간(200b)은 상기 압입부재(303)가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압입부재(303)는 상기 플로우밸브(302) 방향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밀려 상기 하부공간(200b)의 정해진 높이 상에 위치된다.
그러면, 상기 압입부재(303)와 일체로 승강 이동된 상기 플로우밸브(302)의 상단은 상기 밸브본체(200)의 내측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로 틈새를 형성하여, 이 틈새를 통해 상기 상부공간(200a)으로 물을 공급하게 되고, 이 상부공간(200a)내의 물이 상기 배출홀(201)을 통해 정해진 량으로 연속 배출된다.
이후, 상기 유로관(100) 내의 물 유동을 차단하게 되고, 상기 압입부재(303)에 의해 가압되어 있던 상기 탄성부재(304)가 원상태로 복원되면서 상기 압입부재(303)를 하방으로 누름 가압하며, 이때, 상기 압입부재(303)가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플로우밸브(302)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이때, 상기 압입부재(303)와 일체로 승강 이동하는 상기 자성체(301)가 상기 작동부(101)를 지나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작동부(101)의 작동이 정지되면서 외부 신호 출력이 차단되어 물의 흐름이 정지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에서는, 상기 자성체(301)가 상기 플로우밸브(302)와 상기 압입부재(303) 사이에 설치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자성체(301)를 상기 플로우밸브(302) 하단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하여, 상기 자성체(301)가 상기 작동부(101)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부(101)는 사용자에 의해 스위치 방식 또는 센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밸브구동부(300)와 일체로 승강 이동되는 자성체(301)로 작동부(101)를 작동시켜, 작동부(101)로 물의 흐름을 감지하되, 밸브구동부(300) 상단이 밸브본체(200) 상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조는, 밸브구동부(300)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압력에 의해 밸브구동부(300)가 승강되면서 자성체(301)로 작동부(101)를 작동시켜, 이 작동부(101)에 물의 흐름 여부가 감지되고, 밸브구동부(300) 상단과 밸브본체(200) 내측 상면 사이의 틈새가 밸브구동부(300)로 유입되는 물의 유입 압력에 대응하도록 조절되어, 이 틈새를 통해 배출홀(201)로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되며, 특히, 밸브구동부(300)로 과도한 량의 물이 유입되면, 플로우밸브(302) 내의 밀폐압력과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 내의 밀폐압력이 동등해 지는 시점에서 통공(302a)이 차단되어, 플로우밸브(302)의 승강 이동이 제한되고, 이때, 플로우밸브(302)의 상단은 밸브본체(200)의 내측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어, 이 사이의 틈새를 통해 배출홀(201)로 연속하여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100 : 유로관 101 : 작동부
200 : 밸브본체 200a : 상부공간
200b : 하부공간 201 : 배출홀
202 : 구획벽 202a : 중앙홀
203 : 각링 300 : 밸브구동부
301 : 자성체 302 : 플로우밸브
302a: 통공 302b : 안내경사면
303 : 압입부재 304 : 탄성부재

Claims (12)

  1. 중공형상으로, 외면에 작동부(101)를 형성한 유로관(100)과;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유로관(100) 내에 설치되고, 상면 테두리에 배출홀(201)을 형성한 밸브본체(200)와;
    상기 밸브본체(20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상기 작동부(101)를 작동시키는 자성체(301)를 형성하며, 하단을 통해 물을 공급받되,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200) 내측 상면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상기 밸브본체(200) 내에서 승강 작동되어, 상기 배출홀(201)을 통해 정해진 량의 물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밸브구동부(300);
    로 구성된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200)는,
    내측 벽면을 따라 형성되되, 그 중앙부에 중앙홀(202a)을 형성하고, 상기 밸브본체(200)의 상, 하부공간(200a, 200b)을 구획 형성하는 구획벽(202)과, 상면 테두리를 따라 복수개로 형성되어 상방으로 물이 배출되도록 안내하는 상기 배출홀(201)을 형성하여, 상기 중앙홀(202a)로 상기 밸브구동부(300)를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관(100)의 작동부(101)는,
    상기 자성체(301)에 의해 스위치 방식 또는 홀센서 방식으로 작동되어 물의 흐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200)는,
    상기 중앙홀(202a)과 상기 밸브구동부(300) 사이에 각링(203)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동부(300)는,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밸브본체(200)의 중앙홀(202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과 연통되는 통공(302a)을 형성하여, 물을 직상방으로 이동시키는 플로우밸브(302);
    상기 플로우밸브(302) 하단에 결합되고, 상면에 자성체(301)가 결합되도록 허용하되,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단을 마감하여 상기 플로우밸브(302)와 일체로 승강 작동되는 압입부재(303);
    상기 압입부재(303)와 상기 구획벽(20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입부재(303)를 하방으로 눌러 가압하는 탄성부재(30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구동부(300)는,
    상, 하부가 개방된 중공형상으로, 상기 밸브본체(200)의 중앙홀(202a)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과 연통되는 통공(302a)을 형성하여, 물을 직상방으로 이동시키며, 그 하단 외주면에 자성체(301)를 일체로 형성한 플로우밸브(302);
    상기 플로우밸브(302)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단을 마감하여 상기 플로우밸브(302)와 일체로 승강작동되는 압입부재(303); 및
    상기 압입부재(303)와 상기 구획벽(20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압입부재(303)를 하방으로 눌러 가압하는 탄성부재(304);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7. 제 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밸브(302)는,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200)의 상부공간(200a)에 위치되되, 하단이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에 위치되고, 상단 내측 테두리에 상방으로 토출되는 물이 방사상으로 퍼져 나가도록 유도하는 안내경사면(302b)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8. 제 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밸브(302)의 통공(302a)은,
    상기 압입부재(303) 승강시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 내의 물이 상기 플로우밸브(302)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9. 제 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우밸브(302)는 직상방으로 이동하는 물의 압력에 의해 밀폐압력이 형성되고, 상기 밸브본체의 하부공간은 상기 플로우밸브에 의해 승강 이동하는 상기 압입부재에 가압되어 밀폐압력이 형성되며,
    상기 플로우밸브(302)의 통공(302a)은,
    상기 플로우밸브(302) 내의 밀폐압력과 상기 밸브본체(200)의 하부공간(200b) 내의 밀폐압력이 동등해 지는 시점에서 차단되면서, 상기 플로우밸브(302)와 상기 압입부재(303)가 상방으로 승강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플로우밸브(302)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200) 상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10. 제 5항 또는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4)는,
    상기 압입부재(303)가 상기 하부공간(200b) 내로 정해진 깊이 이상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플로우밸브(302)의 상단이 상기 밸브본체(200) 상단에서 정해진 거리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301)는,
    상, 하로 서로 적층되되, 서로 다른 극성으로 마주보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301)는,
    링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KR1020190157280A 2019-11-29 2019-11-29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KR102219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80A KR102219484B1 (ko) 2019-11-29 2019-11-29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280A KR102219484B1 (ko) 2019-11-29 2019-11-29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484B1 true KR102219484B1 (ko) 2021-02-24

Family

ID=74689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280A KR102219484B1 (ko) 2019-11-29 2019-11-29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48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447A (ja) * 1999-01-14 2000-07-25 Tlv Co Ltd 開度表示機能付き逆止弁
KR100429224B1 (ko) * 2001-11-16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KR200354536Y1 (ko) * 2004-04-12 2004-06-30 최남진 유량 제어밸브
KR20070015036A (ko) 2005-07-28 2007-02-01 인다크 게젤샤프트 퓌어 인두스트리에베다르프 엠베하 운트 코. 베트리브즈 카게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20090029928A (ko) * 2007-09-19 2009-03-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 유량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447A (ja) * 1999-01-14 2000-07-25 Tlv Co Ltd 開度表示機能付き逆止弁
KR100429224B1 (ko) * 2001-11-16 2004-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양방향 압력 감지형 바이패스 밸브
KR200354536Y1 (ko) * 2004-04-12 2004-06-30 최남진 유량 제어밸브
KR20070015036A (ko) 2005-07-28 2007-02-01 인다크 게젤샤프트 퓌어 인두스트리에베다르프 엠베하 운트 코. 베트리브즈 카게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KR20090029928A (ko) * 2007-09-19 2009-03-24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정 유량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TE228465T1 (de) Behälter mit druckkontrolvorrichtung zum abgeben von flüssigkeit
KR100401380B1 (ko) 진공하수시스템용진공밸브제어기
US6192932B1 (en) Manifold valve
KR101686591B1 (ko) 오링 삽입 장치
KR102219484B1 (ko) 수류량 조절 및 감지가 가능한 밸브
ATE331170T1 (de) Verbessertes automatisches ablaufventil
US3779281A (en) Water softener valve assembly with regeneration capability
KR102128375B1 (ko) 3방향 전자밸브
USRE32880E (en) Rolling diaphragm metering valve
US4114939A (en) Vacuum pickup head
KR20120052113A (ko) 진공 밸브
KR101587983B1 (ko) 선택적 개폐가 가능한 다단형 수문
JP2001058132A (ja) 注入器
KR100472568B1 (ko) 다단진공 하수수집 시스템
KR101922331B1 (ko) 고압 서보밸브를 이용한 고압 볼륨부스터
KR20180109138A (ko) 저압 서보밸브를 이용한 저압 볼륨부스터
CN212564685U (zh) 一种双重冗余气动阀门关断装置
KR101525322B1 (ko) 상부 기체 누출 지연형 안전주입탱크
KR20190132004A (ko) 유압 장치
KR20190051734A (ko) 스태핑모터를 이용한 공압 서보밸브
KR102356826B1 (ko) 환원성 용액 채집과 공급을 위한 유체 보관 장치
KR102012269B1 (ko) 폐쇄된 밸브가 누수를 제거할 경우 자동으로 개방된 상태로 변환되는 누수감지 차단밸브
JP2011012531A (ja) 真空弁及び真空弁制御システム
KR20200107042A (ko) 액체 정량 공급 장치
JP2597499Y2 (ja) バル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