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8468B1 -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8468B1
KR100428468B1 KR10-2001-7005321A KR20017005321A KR100428468B1 KR 100428468 B1 KR100428468 B1 KR 100428468B1 KR 20017005321 A KR20017005321 A KR 20017005321A KR 100428468 B1 KR100428468 B1 KR 100428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t
health
indicators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3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99762A (ko
Inventor
쇼조 카와니시
Original Assignee
야마도세이고오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도세이고오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도세이고오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997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97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8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84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A61B5/0537Measuring body composition by impedance, e.g. tissue hydration or fat cont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69Determining body composition
    • A61B5/4872Body f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는 피실험자의 개인 생체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수단, 신체 측정 정보로서 신체의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수단 및 신체 측정 정보로서 몸무게를 측정하는 수단으로 구성된다.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는 연산 처리부에서 신체 측정 정보와 개인 신체 특징 정보 입력을 포함한 생체 정보를 저장하도록 조절된다. 연산 처리부에서의 연산 처리 수행으로 인해, 피실험자의 건강 상태에 관련된 지표들은 저장된 생체 정보에 기초하여 구해진다. 생체 정보 및 건강 상태에 관련된 지표들은 표시수단에 표시된다.

Description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Health Condition Judging/Displaying Device}
종래에는, 신체 건강에 관한 지침 또는 조언을 얻을 수 있는 장치로서 동양의학에 근거하여 신체 표면의 전위(電位)나 피부 임피던스(impedance)의 분포 등으로부터 신체 내부기관의 기능, 자율신경계의 기능과 같은 것을 판정하는 장치가 있었다. 최근에는 신체의 전기적 임피던스에 해당하는 생체(生體) 임피던스의 측정에 근거한 체내 지방량뿐만 아니라 각종의 생체 정보를 구하여 신체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
또한 비만에서 기인하는 대표적인 현대병인 당뇨병의 판단에 사용되는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CT에 의한 단면 촬영 분석장치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한 검증에 의해 좀더 정확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있다.
신체 건강에 관련된 지침 등을 얻을 수 있는 장치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실개소48-37591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그 장치는 신체의 왼편과 오른편의 손과 발 사이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그 좌우의 임피던스의 균형에 따라 질병의 존재/부존재를 판단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평11-188016호에 개시된 장치는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구해진 무지방량(fat-free mass)과, 산소소비량으로부터 구해진 기초 대사량 및 무지방량으로부터 구해진 근육량으로부터 건강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그러나 신체 건강에 관한 지침이나 그와 같은 것을 얻을 수 있는 종래의 장치는 단순히 신체에 관련된 한가지의 특정된 지표나 소수의 특정된 상관성 강한 지표들에 근거하여 한정된 판단만을 할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질병이 다수의 요인에 근거하여 종합적으로 판정되어야 할 경우에는 잘못된 판단이나 부정확한 판정이 발생한다. 특히 당뇨병과 같은 각종의 대사 장애와 복잡하게 관련된 질병의 존재/부존재를 정확하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지표에 근거한 종합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건강 상태에 대한 전체적인 판정을 내릴 수 있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실험자의 건강 상태에 관련된 지표들을 구할 수 있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건강 상태 판정 표시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건강 상태 판정 표시 장치의 데이터 처리에 관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제1 저장 테이블에 저장된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2 저장 테이블에 저장된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3 저장 테이블에 저장된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제4 저장 테이블에 저장된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각각의 지표들의 판정 결과를 계층적으로 표시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피실험자의 개인 신체 특징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수단; 피실험자의 신체에 대해 행해지는 측정에 의해 신체 측정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신체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생체 정보에 근거하여 연산에 의해 피실험자 신체의 건강 상태에 관련한 지표를 구하는 연산 처리부; 및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신체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및 건강 상태와 관련하여 구해진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를 두 개 이상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에 의하면, 입력된 생체 정보에 근거하여 건강 상태에 관련된 두 가지 형태 이상의 지표가 구해지므로, 피실험자의 건강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에서, 상기 측정수단은 신체 전체 및/또는 신체 각 부위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신체 측정 정보는 신체 일부 및/또는 신체 전체의 생체 임피던스 정보를 포함하며, 개인 신체 특징 정보는 신장, 몸무게, 나이, 성별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생체 정보는 신체 전부 및/또는 신체 각 부위의 체내 지방량, 체내 지방율, 무지방량, 체내 수분량, 근육량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 정보는 신장, 몸무게, 나이, 성별, 신체 일부 및/또는 신체 전부의 생체 임피던스에 근거하여 구해진다. 또한 상기 생체 정보는 산소 소비량 및 근육량으로부터 구해진 기초 대사량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에서, 생체 정보는 허리 사이즈와 엉덩이 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허리 사이즈는 피실험자의 허리 둘레를 의미하며, 엉덩이 사이즈는 피실험자의 엉덩이 둘레를 의미한다.
생체 정보는 피하 지방 두께, 복부 내장 지방 면적, 복부 피하 지방 면적 및 허벅지 근육 단면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은 신체 전체 및 신체 각 부위에 있어서 근육량에 대한 체내 지방량의 비(F/M 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생체 정보는 허리 사이즈, 엉덩이 사이즈, 피하 지방 두께, 복부 내장 지방 면적, 복부 피하 지방 면적 및 허벅지 근육 단면적을 포함하고,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은 바디 매스 지표(Body Mass Index; BMI), 엉덩이 사이즈에 대한 허리 사이즈의 비(W/H 비), 피하 지방에 대한 내장 지방의 비(V/S 비), 체내 수분량에 대한 체내 지방량의 비, 몸무게에 대한 체내 수분량의 비, 다리 근육량에 대한 체내 지방율의 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은 복부 내장 지방 면적, 허리 사이즈, 불균형 비(odds ration)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은 생체 임피던스, 체내 수분량, 근육량에 있어서, 신체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간의 균형에 관한 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은 생체 임피던스, 체내 수분량, 근육량에 있어서 상체와 하체간의 균형에 관한 비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에 있어서, 다양한 형태의 각종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각각의 질병에 대하여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의 각각의 항목을 각각의 질병의 요인으로서 그 허용값들과 연관시켜 저장하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의 구해진 값들을 각각 상기 허용값과 비교하는 비교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체적인 질병과의 관계에 있어서,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에 근거하여 질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된다.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에 상기 비교수단이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지표들은 상기 비교수단에서 이루어진 비교에 근거하여 두 개 이상의 단계로 분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건강 상태와 관련하여 구해진 지표들과 연관된 질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강과 관련된 각 지표들의 단계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지표를 조합하고, 구해진 지표의 조합에 기초하여 피실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비교수단은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과 허용값들을 지표의 종류 및 질병의 형태에 따라 조정하면서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의 종류에 따른 질병과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질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을 더욱 높은 정확도로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표시수단은, 각각의 질병에 연관된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의 각 항목, 및 해당 지표의 각 항목에 대응하여 구해진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를 각 질병에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질병과, 그 요인으로서 연관된 건강 상태와 관한 지표들과의 관계를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에 있어서, 각종 질병이 저장되어 있고 상기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의 각 항목이 각각의 질병의 요인으로서 그 허용값에 관련된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구해진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의 각각을 상기 허용값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더 포함하며; 구해진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의 각각에 대한 상기허용값과의 대비에 기초하여 양호한지의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표시수단에 의해, 상기 판정된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의 각각에 있어서 양호/불량 여부를 순차적으로 정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판정된 건강 상태에 관한 각각의 지표가 양호한 것인지 또는 불량한 것인 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결과는, 지표와 관계된 질병과의 상관 관계의 정도에 따라 정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판정된 건강 상태에 관한 각 지표의 양호/불량 여부를 순차적으로 정리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질병과의 상관 관계가 높은 제1 지표와, 상기 제1 지표 보다 질병과의 상관 관계가 낮은 다른 지표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표에 양호 또는 불량 결과의 각각에 상기 다른 지표의 양호 또는 불량 결과를 연결하여 계층적으로 표시하고,
상기 제1 지표 및 다른 지표의 양호 또는 불량 결과의 표기 중에서, 피실험자에 대한 판정 결과에 해당하는 사이드를 선택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호의 판정이 표시되는 지표들은 BMI, 체지방율 및 복부 내장 지방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에 의하여, 상기 판정된 건강 상태에 관한 각각의 지표의 순으로 정리된 양호/불량 여부의 표시를, 각각의 질병에 선택되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에 각종 질병을 저장된 것에는 당뇨병, 탈수 및 신진 대사 결함을 포함할 수 있다.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에서, 상기 측정수단으로서, 피실험자의 몸무게를측정하는 체중 측정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는, 기초부(9), 상기 기초부(9)에 장착된 지주부(支柱部)(2) 및 상기 지주부(2)에 장착된 조작패널(1)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조작패널(1)에는 키(key) 입력부(4)와 표시부(5)가 설치되어 있다.
키 입력부(4)에는 다수의 키들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키 입력부(4)에 배치된 키들을 작동함으로써 피실험자의 개인 신체 특징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키 입력부(4)로 입력되는 개인 신체 특징 정보는 신장, 연령, 성별, 엉덩이 사이즈, 허리 사이즈와 같은 것들이다.
표시부(5)는,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뒤에 설명되는 생체 임피던스와 같은 신체 측정 정보 및 이러한 정보들을 포함하는 생체 정보, 그리고 이러한 생체 정보 외에도 이러한 정보들에 근거하여 얻어지는 건강 상태에 관련된 각종 지표들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5)에 나타나는 이러한 정보들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작패널(1)의 표면 선단 부분의 좌단에는 전극(3a)이 배설되고, 선단 부분의 우단에는 또다른 전극(3c)이 배설된다. 조작패널(1)의 배면에서 상기 전극(3a)에 대응하는 후면 위치에는 전극(3b)이 배설되고, 상기 전극(3c)에 대응하는 후면 위치에는 전극(3d)이 배설된다.
이러한 전극들(3a, 3b, 3c, 3d)은 신체의 끝 부분인 양손을 이용하여 신체 내부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신체 측정 정보인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을 구성한다.
전극들(3a, 3b, 3c, 3d)은 신체의 내부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류로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전류인가용 전극으로서, 또한 관계되는 전류로에서 두 점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한 쌍의 전압측정용 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극들(3a, 3b, 3c, 3d)은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의 안에 장착된 생체 임피던스 측정부(11)에 연결되고, 생체 임피던스는 이러한 전극들을 통해 측정된다. 생체 임피던스 측정부(11)는 전류 공급원, 전위계와 같은 것들을 포함하는 임피던스 측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러한 생체 임피던스 측정부는 신체 지방의 측정수단으로서 주지된 것이다.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 있어서, 피실험자의 왼손 두 손가락을 각각 좌단의 전극(3a, 3b)에 접촉시키고, 피실험자의 오른손 두 손가락을 각각 우단의 전극(3c, 3d)에 접촉시켜 인체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지주부(2)를 경유하여 조작패널(1)에 연결된 기초부(9)에는, 별개로 형성된 체중 측정부(7)와 전극 지지부(8)가 구비되어 있다. 체중 측정부(7)는 주지의 체중계로 구성된다. 체중 측정부 위에 피실험자의 발을 올려놓음으로써 피실험자의 체중이 측정된다. 체중 측정부(7)는 신체 측정 정보인 체중 데이터를 측정하기 위한 체중 측정수단에 해당한다. 상기 체중 측정부(7)에 의해 측정된 체중 데이터는 표시부(5)에 나타내어질 수 있다.
전극 지지부(8)에는 네 개의 전극(6a, 6b, 6c, 6d)이 구비되어 있다. 전극(6a, 6b)은 전극 지지부(8)의 왼편에, 또다른 전극(6c, 6d)은 전극 지지부(8)의 오른편에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전극들(6a, 6b, 6c, 6d)은 신체의 끝 부분인 양발을 이용하여 내부 신체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이용되는데, 임피던스를 검출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전류를 흐르게 하는 전류로를 형성하기 위한 한 쌍의 전류인가용 전극으로서, 또 전류로에서 두 점 사이의 전위차를 측정하기 위한 한 쌍의 전압측정용 전극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피실험자는 전극 지지부(8)에 발을 올려놓고, 왼쪽 발바닥을 전극(6a, 6b)과 접촉시키고, 오른쪽 발바닥을 전극(6c, 6d)에 접촉시킴으로써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이러한 전극들(6a, 6b, 6c, 6d)은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의 내부에장착된 생체 임피던스 측정부(11)에 연결되고, 이러한 전극들을 통해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게 된다.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에서,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할 때, 손에 대한 전극들(3a, 3b, 3c, 3d)과 발에 대한 전극들(6a, 6b, 6c, 6d)은 뒤에 설명되듯이 전류인가용 전극 및 전압측정용 전극으로서 적절하게 선택되어 사용된다. 따라서, 인체의 전신에 대한 임피던스뿐만 아니라 신체 각 부분의 임피던스가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측정된 임피던스에 근거한 연산에 의해 각 부분의 임피던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전류인가용 전극으로 사용되는 전극에서 출력되는 전류로서 다중 주파수의 전류가 사용되므로 임피던스를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의 내부 방향의 부위에 대하여 각종 주파수의 전류를 통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는 신체의 왼팔, 오른팔, 허리의 내부 부분, 왼쪽 다리, 오른쪽 다리 각각의 생체 임피던스도 구할 수 있다.
신체 측정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으로서 CT 스캔 장치(도 1에 도시되지 않음)가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에 연결될 수 있다. CT 스캔 장치는 복부의 내면을 촬영하여 복부의 내장기관 및 복부 피하지방의 면적을 측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데, 그 결과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에 입력이 될 것이다.
또한, 신체 측정 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측정수단으로서 피하지방 측정기(도 1에 도시되지 않았으며 일반적으로 캘리퍼(caliper)로 언급됨)가 연결될 수 있다. 캘리퍼를 이용하여 측정된 피하지방의 두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에 입력될 수 있다.
피하지방 두께의 데이터를 사용하므로써, 생체 임피던스에 근거하여 얻어진 신체 지방의 정보에 관련된 연산을 보완하고, 측정하고자 하는 신체 지방에 관련된 정보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피실험자의 허리 사이즈 또는 엉덩이 사이즈를 측정하기 위한 자동 측정 장치가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상기 자동 측정 장치에 의해 측정된 허리 사이즈 또는 엉덩이 사이즈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에 입력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허리 사이즈 또는 엉덩이 사이즈는 줄자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고, 그 측정된 값은 개인 신체 특징 정보로서 키 입력부(4)의 키를 작동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으며, 뒤에 설명되는 생체 정보로 사용된다.
다음은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의 데이터 처리의 블록을 도 2에 의해 설명한다. 키 입력부(4)의 작동에 의해 입력되는 개인 신체 특징 정보는 입출력부(21)를 경유하여 연산 처리부(12)에 입력된다.
전극들(3a 내지 3d, 6a 내지 6d; 이하 "3a ~ 6a"라고 표시한다)을 통해서 측정된 신체 측정 정보인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 데이터는 입출력부(21)를 경유하여 연산 처리부(12)에 입력된다. 생체 임피던스의 측정에 있어서, 상기 8개의 전극들(3a ~ 6a)의 전류인가용 전극과 전압측정용 전극사이의 선택적인 전환은, 연산 처리부(12)의 작동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신체에서 요구되는 부분에 전류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임피던스를 검출하는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인체의 각 부위에 대한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체중 측정부(7)에 의해서 측정된 체중 데이터는 입출력부(21)를 경유하여 연산 처리부(12)에 입력된다. 피하 지방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지방 두께 측정기(16), 복부 측정을 위한 복부 CT (17), 대퇴부 측정을 위한 대퇴부 CT(18)와 같은 측정수단이 연결되면, 이러한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된 신체 측정 정보 역시 입출력부(21)를 경유하여 연산 처리부(12)에 입력된다.
연산 처리부(12)는 연산 유닛(14)과 저장 유닛(15)을 구비하고 있다. 연산 처리부(12)에 입력된 각종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신체 측정 정보는 저장 유닛(15)에 저장된다. 또한 이러한 입력 데이터는 생체 정보로서 저장된다. 저장된 생체 정보로부터 건강 상태에 관련된 지표들을 얻기 위해 사용되는 주지의 연산식이나 계수 역시 저장 유닛(15)에 저장된다. 연산 유닛(14)은 저장 유닛(15)에 저장된 생체 정보로부터 각종 건강 상태에 관련된 지표를 얻기 위해 연산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설명되었듯이, 개인 신체 특징 정보, 신체 측정 정보, 생체 정보, 및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들은 표시부(5)에 표시된다. 표시될 내용은 키 입력부(4), 생체 임피던스 측정부(11) 및 연산 처리부(12)로부터 입출력부(21)를 경유하여 표시부(5)로 보내진다.
다음에는, 입출력부의 작동과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10)에 의해 수행된 데이터 처리의 결과로서 저장 유닛(15)에 저장된 연산처리 항목들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관련된 연산처리 항목들의 한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구체적인 실시예인 제1 저장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있어서, 제1 영역(31)에는, 키 입력부(4)의 조작을 경유하여 입력된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생체 임피던스 측정부(11)를 경유하여 입력된 생체 임피던스 등의 신체 측정 정보 및 이들의 정보로부터 얻어지는 생체 정보가 저장된다.
제1 저장 테이블에 있어서 제2 영역(32)에는 제1 영역(31)의 정보로부터 연산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가 저장된다. 제1 저장 테이블에 있어서 제3 영역(33)에는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가 저장된다. 제3 영역의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로서, 제2 영역(32)의 저장된 값이 그대로 저장되는 경우도 있다. 제1 저장 테이블에 있어서, 제4 영역(34)에는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의 하나로서 신체 각 부위의 균형을 표시하는 균형도가 저장된다.
이하에서는 제1 저장 테이블에 저장된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설명한다.
체내 지방율, 체내 지방량 및 체내 수분량은 생체 정보인 생체 임피던스에 근거한 데이터의 연산처리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은 피하지방 두께 데이터를 보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데이터 처리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체내 수분량을 구할 때,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기 위해 다중 주파수 전류가 사용된다. 이로 인해 세포 밖의 액체의 양과 체내 수분량이 구해지며, 이들의 차이로부터 세포 내의 액체의 양이 구해진다. 이 때, 무지방량은 체내 수분량과 같은 양으로부터 구해진다. 나아가, 근육량은 무지방량, 뼈의 양 및 지방량으로부터 구해진다. 또한, 기초 신진대사량은 무지방량과 소비된 산소량으로부터 구해진다.
바디 매스 지표(Body Mass Index)는 신장에 제곱에 대한 체중 비로구해진다(몸무게/(신장신장)). 바디 매스는 신장과의 상관성이 낮고 비만량과의 상관성이 높기 때문에, 이는 BMI(Body Mass Index)라고 불리며 피실험자가 비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하는 국제적인 지표이다. 이 값으로부터 표준 체중 비가 구해지고, 비만은 5개의 단계로 분류된다( -20% 미만: 심각하게 마름, -20% ~ -10%: 마름, -10% ~ +10%: 정상, +10% ~ +20%:비만, +20% 초과: 심각한 비만). 이러한 비만의 분류는 비만과 상관성이 높은 당뇨병의 판단에 대한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다.
체지방율은 피실험자가 비만인지의 여부를 정확히 판단하는데 사용되는 지표로 이용될 수 있다. 체지방율은 신체 전체의 생체 임피던스 및 신장, 나이, 몸무게, 성별 등과 같은 개인의 신체 특징 정보로부터 구해질 수 있다. 체지방율로부터 비만은 남성 및 여성에 대해 4개의 단계로 구분된다(남성/ 0 ~ 10%: 마름, 10% ~ 15%: 표준, 15% ~ 20%: 비만, 20% 이상: 심각한 비만, 여성/0 ~ 20%: 마름, 20% ~ 25%: 표준, 25% ~ 30%: 비만, 30% 이상: 심각한 비만).
BMI와 같이, 체지방율은 비만 정도를 정확히 나타내는 지표로서 당뇨병의 판정에 사용될 수 있다. 체지방율이라는 것은 신체 전부를 대상으로 하는 체내 지방율을 의미하며, 체내 지방율이라는 것은 각 신체의 부분 및 신체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것이다.
불균형 비는, 위험 요인(Risk Factor)을 전혀 가지지 않은 사람에 비해 위험 요인을 가지고 있는 사람이 결과(Out Come)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즉 몇 배의 불균형이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BMI와 순환 질환의 주 위험 요인에 해당하는 당뇨병, 고혈압, 탈수 및 다양한 형태의 지질 대사 이상간의 상관 관계를 평가하기 위해, 그룹 모델의 BMI 데이터 중 BMI 20.0 이상 24.0 미만(중간=22.0)을 기준으로 구한 불균형 비의 데이터를 참고할 수 있다(예를 들어 일본 비만학회에 의해 공개된 자료를 보면 알 수 있다). 그러므로, BMI와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 및 각종 지질대사이상의 출현율과의 관련을 구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불균형 비는, 요인과 질병간의 상관 관계의 정도를 나타나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다.
피하 지방량(S)에 대한 내장 지방량(V)의 비(V/S 비)(또는 내장 지방량과 피하 지방량)는, 신체에서 체지방이 축적되어있는 부위 즉, 체지방의 분포상태를 알 수 있는 지표로서 활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V/S 비는 건강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는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V/S 비를 구하므로써,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의 면적비를 구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장 지방이 많이 축적되어 있는 상태의 비만은, 내장형 비만이라고 불리고(V/S > 0.4 : 내장 지방 축적형 비만, V/S < 0.4 : 피하 지방 축적형 비만), 이러한 비만은 당뇨병과 인슐린 저항성 등과 같은 질병과 많은 관련이 있음이 입증하는 것이다. 비만의 형태에 따라, 피실험자가 당뇨병, 고지혈증 및 지질대사이상으로 발전할지 여부가 판단된다.
그러므로, V/S 비는 이러한 질병들이 생겨날지 정확히 판단하는 중요한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V/S 비를 구하는데 기본이 되는 데이터인 내장 지방과 피하 지방은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구할 수 있으며, CT 장치를 사용하여 각 지방의면적을 측정하므로써 구할 수도 있다. 또는, 복부의 내장 지방 면적은, 허리 사이즈, 또는 엉덩이 사이즈에 대한 허리 사이즈 비로부터 추정하여 연산할 수 있다. 피하 지방은 캘리퍼를 사용하여 두께를 직접 측정함으로써 쉽게 구해질 수 있다.
엉덩이 사이즈(H)에 대한 허리 사이즈(W)의 비(W/H 비)는, 지방이 축적되어있는 지점에 근거한 지표로서 사용할 수 있다. 높은 W/H 비를 가진 비만은 상체 비만이라고 불리며, 낮은 W/H 비를 가진 비만은 하체 비만이라고 불린다. 상체 비만이 있는 사람은 포도당 대사 이상이나 지질 대사 이상과 같은 합병증이 있는 것으로 본다. 남자가 W/H 비가 1.0보다 높고, 여자가 W/H 비가 0.8보다 높은 경우, 다양한 형태의 신진대사 이상이 있을 확률이 높은 것으로 본다.
근육량(M)에 대한 체내 지방량(F)의 비(F/M 비)로부터 다음의 사항을 알 수 있다. 근육은 많은 에너지 소비와 큰 신진 대사량을 요구하는 기관이다. 특히, 근육은 호르몬인 인슐린의 작용에 의해 글루코스(Glucose)를 소모하므로 글루코스의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인슐린의 효과에 대해, 지방량이 많으면 많을수록 인슐린의 효과는 떨어지고 당뇨병과 같은 질환이 발전할 가능성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근육량이 적으면 적을수록 인슐린의 효과가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지방량을 줄이고 근육량을 유지하거나 증가시키는 것이 운동 요법에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으며, 근육의 활발한 활동은 인슐린의 감도를 높여 인슐린이 효과적으로 작용하도록 한다.
다리 근육량은 걷기와 같은 적절한 운동요법의 결과로서의 지표라고 여겨진다. 지방량 및 다리 근육량의 비교(체내 지방량/다리 근육량, 체내 지방율/ 다리근육량)에 의해 다리 근육은 정확한 판단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최근 몇 년간, 심근 경색과 같은 심장 질환을 겪은 환자의 신체적, 정신적 회복을 위한 운동 요법에 있어서, 운동-저항 능력 향상의 척도를 평가하거나 추정하기 위해, 에르고미터(Ergometer)가 회복과 관련 있는 다리 근육량을 측정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에, CT 영상 장치를 이용하여 허벅지 근육 단면적을 측정하여 운동-저항 능력 향상의 정도를 평가하거나 추정 평가할 수 있다.
체내 수분량은 피실험자가 몸무게에 비해 체내 수분량이 적당한지 여부를 나타내는 지표로서 사용된다. 특히, 체내 수분량은 합병증을 겪는 노인들의 탈수증 지표로서 사용될 때 효과적이다. 나아가, 신체의 (세포내외 또는 상체, 하체에 관한) 수분 분포 또는 생체 임피던스 분포를 구하여, 시간적 경과를 감시하므로써 생체의 대사능력을 추정하고 운동요법에 의한 운동-저항 능력을 평가할 수도 있다. 이러한 분포는 각종 수분 분포 이상을 야기하는 심장병이나 신장병과 같은 질병의 상태를 파악하거나(예를 들어, 인공투석 시의 감시, 수술후 환자의 감시 등) 질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下肢) 수분량/상지(上肢) 수분량은 임신에 의하여 유발되는 고혈압(PIH에 대한 지표로 사용된다. 즉, 하지 수분량/상지 수분량을 이용하여 수분이 다리에 축적되는 PIH의 특징적인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하지 수분량/상지 수분량은 다리(하지)의 임피던스와 팔(상지)의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다리 임피던스를 팔의 임피던스로 나눔으로써 구해질 수 있다.
또한, 서로 상반되는 측정값의 비, 예를 들어 체내 수분량/체내 지방량과같은 비도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균형도를 이용하여, 생체 임피던스, 체내 수분량 및 신체 근육량에 관하여, 신체의 왼편과 오른편 사이의 균형과 신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의 균형이 평가될 수 있다. 이러한 균형도는 신체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근육량에 관계된 균형에 기초한 평가에 관해서는, 건강 및 스포츠 의학적 관점에서 운동 및 트레이닝의 효과 등이 각 신체의 부분 및 신체 전체에 대하여 평가될 수 있다. 또한 아름다움의 관점에서, 근육의 균형은 일반적인 신체 형태 판단뿐만 아니라 목표 내지는 이상형과 비교하여 평가될 수 있다.
제4 영역(34)에 있는 균형도의 지표들에 있어서, "왼팔"은 왼팔의 시작점부터 왼손의 끝까지의 부위를 의미하며, "허리"는 신체의 허리 내부의 수직 방향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부위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왼팔 + 허리 + 왼쪽 다리)는, 각 지표에 있어서, 왼쪽 팔과 허리와 왼쪽 다리의 지표들의 합을 나타낸다.
도 4는 저장 유닛(15)에 저장된 테이블의 일례로서 제2 저장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제2 저장 테이블은 각 질병에 대하여 질병과 연관된 요인으로서 건강 상태에 관계된 지표의 항목 각각에 관한 허용값들을 저장하고 있다. 제2 저장 테이블은 이미 알려진 데이터를 담고 있으며, 저장 유닛(15)에 저장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저장 테이블에 있는 내용으로서, BMI, 체지방율, 복부 내장 지방 면적 및 허리 사이즈는 당뇨병의 요인으로서 연관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비만증의 요인으로서도 연관되어 있다. BMI, 체지방율, 복부 내장 지방 면적 및 허리 사이즈는 비만증과 강한 상관 관계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지표들에 근거하여, 각종 성인병의 원인인 비만을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저장 유닛(15)에 저장되어 있는 테이블의 일례로서 제3 저장 테이블의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제3 저장 테이블은, 질병중 하나인 당뇨병에 관하여 각 피실험자에 대한 건강 상태에 관계된 지표들과 제2 저장 테이블에 저장된 허용값들간의 비교 결과를 포함하고 있다. 각 피실험자가 당뇨병으로 발전할 위험이 있는지 여부에 대한 전체적인 판단은 오른쪽 끝 영역에 저장되어 있다.
도 5에서, 건강 상태에 관계된 각 지표들에 관하여, 허용값보다 낮은 경우에는 "O"으로 판단하고, 허용값보다 큰 경우에는 "X"로 판단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O 또는 X의 총 수에 근거하여, 전체적인 평가가 O 또는 X 인지 여부가 결정된다. 전체적인 평가에서, 평가가 O 또는 X가 아니더라도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로 평가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난 내용에 근거하여, BMI와 같은 지표의 판단은 당뇨병과 같은 질병과의 관계에 의해 이루어지며, 당뇨병 등으로 발전할 위험이 판정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뇨병으로 발전할 위험에 관한 전체적인 판단은 구해진 몇 개의 지표들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6은 저장 유닛(15)에 저장된 테이블의 일례로서 제4 저장 테이블에 저장된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제4 저장 테이블에서는, 제1 저장 테이블의 4번째 영역(34)에 저장된 각종 균형도가 각각의 생체 정보에 따라 정리되고 저장된다. 도 6에 도시된 내용에 따라, 각종 지표들과 관계된 신체의 각 부분들간의 균형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제3 저장 테이블에 저장된 각각의 지표들의 판단에 근거하여, 질병의 요인으로서 각각의 지표들과 각각의 지표들의 판단 결과는 표시부(5)에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사항들을 표시부(5)에 표시할 때, 각 지표들은 지표들과 질병간의 상관 관계의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리될 수 있다.
도 7은 질병의 요인으로서 각각의 지표들과, 각각의 지표들의 판단결과가 표시부(5)에 표시되는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피실험자1, 2에 대한 결과가 표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지표들은 질병과의 상관 관계의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리되고 표시된다. 표시된 바와 같이, "BMI"가 질병과 가장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고, "체지방율"이 두 번째로 높은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내장 지방 면적"이 가장 낮은 상관 관계를 가지고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지표들의 판단 결과는 계층적으로 분기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어, 피실험자 1에 대하여 설명하면, 한 계층에서 BMI 결과는 좋음(O), BMI의 계층보다 하위 계층에서의 체지방율 결과들은 좋음(양호)(O) 및 나쁨(불량)(X)의 양쪽이 표기되어 있다. 체지방율 결과가 좋음(O)의 하위층에는 내장 지방 면적의 좋음(O) 및 나쁨(X)의 양쪽이 표기되어 있고, 체지방율 결과가 나쁨(X)의 하위층에도 내장 지방 면적의 좋음(O) 및 나쁨(X)의 양쪽이 표기되어 있다.
각 지표들에 관하여. 좋음/나쁨이 선택되고 판정 결과에 따라 해당 측의 점등이 표시된다. 피실험자 1의 경우에서, BMI 및 체지방율의 판단결과가 좋은(O) 반면에, 내장 지방 면적의 판정 결과는 나쁜(X)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과를 표시함으로써, 질병과 관계된 다른 지표들이 연관되어 분기된 형태로 동일한 스크린에 표시된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판단이 가능하며, 각각의 지표들 사이의 판단의 타당성이 체크된다.
예를 들어, BMI는 좋으나(O) 체지방율과 복부 내장 지방 면적이 나쁘다고(X) 판단된 경우에, 체형적인 판정이 좋음에도 불구하고, 체내 지방량과 나아가, 복부 내장 지방량이 크다는 사실로 인해, 당뇨병이나 비만과 같은 질병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피실험자 1의 경우에, BMI와 체지방율은 좋고(O), 내장 지방 면적은 나쁜(X) 것으로 판단된다. 이 경우에, 체형적인 판정 및 체내 지방량은 적당하더라도, 내장 기관 근처에 지방이 집중적으로 축적되어 있으므로 질병의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강 상태 판단 및 표시 장치는 건강 상태에 관한 복수의 지표들에 근거하여 건강 상태를 전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질병의 요인으로 고려되는 복수의 지표들과 질병간의 관계에 따라 질병으로 발전할 위험에 대하여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다.

Claims (2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피실험자의 개인 신체 특징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수단;
    피실험자의 신체를 측정하여 신체 측정 정보를 구하는 측정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신체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생체 정보에 근거하여 연산 처리에 의해 피실험자 신체의 건강 상태에 관련한 지표를 구하는 연산 처리부; 및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신체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및 건강 상태에 관련되어 구해진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를 두 개 이상 구하며;
    상기 측정수단은 신체 전체 또는 신체 각 부위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신체 측정 정보는 신체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의 생체 임피던스 정보를 포함하며;
    개인 신체 특징 정보는 신장, 체중, 나이, 성별을 포함하며;
    상기 생체 정보는 신장, 체중, 나이, 성별, 신체의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의 생체 임피던스에 기하여 구하여지며, 신체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에 있어서의 체내 지방량, 체내 지방율, 무지방량, 체내 수분량 및 근육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정보는, 산소 소비량 및 근육량의 정보로부터 구해진 기초 대사량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5. 피실험자의 개인 신체 특징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수단;
    피실험자의 신체를 측정하여 신체 측정 정보를 구하는 측정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신체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생체 정보에 근거하여 연산 처리에 의해 피실험자 신체의 건강 상태에 관련한 지표를 구하는 연산 처리부; 및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신체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및 건강 상태에 관련되어 구해진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를 두 개 이상 구하며;
    상기 측정수단은 신체 전체 또는 신체 각 부위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신체 측정 정보는 신체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의 생체 임피던스 정보를 포함하며;
    개인 신체 특징 정보는 신장, 체중, 나이, 성별을 포함하며;
    상기 생체 정보는 신장, 체중, 나이, 성별, 신체의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의 생체 임피던스에 기하여 구하여지며, 신체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에 있어서의 체내 지방량, 체내 지방율, 무지방량, 체내 수분량 및 근육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정보는, 피실험자의 허리 사이즈와 엉덩이 사이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 정보는, 피하 지방 두께, 복부 내장 지방 면적, 복부 피하 지방 면적 및 허벅지 근육 단면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7. 피실험자의 개인 신체 특징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수단;
    피실험자의 신체를 측정하여 신체 측정 정보를 구하는 측정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신체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생체 정보에 근거하여 연산 처리에 의해 피실험자 신체의 건강 상태에 관련한 지표를 구하는 연산 처리부; 및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신체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및 건강 상태에 관련되어 구해진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를 두 개 이상 구하며;
    상기 측정수단은 신체 전체 또는 신체 각 부위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신체 측정 정보는 신체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의 생체 임피던스 정보를 포함하며;
    개인 신체 특징 정보는 신장, 체중, 나이, 성별을 포함하며;
    상기 생체 정보는 신장, 체중, 나이, 성별, 신체의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의 생체 임피던스에 기하여 구하여지며, 신체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에 있어서의 체내 지방량, 체내 지방율, 무지방량, 체내 수분량 및 근육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은, 신체 전체 및 신체의 각 부위에 있어서 근육량에 대한 체내 지방량의 비(F/M 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8. 피실험자의 개인 신체 특징 정보가 입력되는 입력수단;
    피실험자의 신체를 측정하여 신체 측정 정보를 구하는 측정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입력되는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상기 측정수단에 의해 측정되는 신체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생체정보에 근거하여 연산 처리에 의해 피실험자 신체의 건강 상태에 관련한 지표를 구하는 연산 처리부; 및
    개인 신체 특징 정보와 신체 측정 정보를 포함하는 생체 정보 및 건강 상태에 관련되어 구해진 지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를 두 개 이상 구하며;
    상기 측정수단은 신체 전체 또는 신체 각 부위의 생체 임피던스를 측정하는 생체 임피던스 측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신체 측정 정보는 신체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의 생체 임피던스 정보를 포함하며;
    개인 신체 특징 정보는 신장, 체중, 나이, 성별을 포함하며;
    상기 생체 정보는 신장, 체중, 나이, 성별, 신체의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의 생체 임피던스에 기하여 구하여지며, 신체 각 부위 및/또는 신체 전체에 있어서의 체내 지방량, 체내 지방율, 무지방량, 체내 수분량 및 근육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생체 정보는, 피실험자의 허리 사이즈와 엉덩이 사이즈 정보, 피하 지방 두께, 복부 내장 지방 면적, 복부 피하 지방 면적 및 허벅지 근육 단면적을 포함하며;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은, 신체 전체 및 신체의 각 부위에 있어서 근육량에 대한 체내 지방량의 비(F/M 비)를 포함하고;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은, 바디 매스 지표(BMI), 엉덩이 사이즈에대한 허리 사이즈의 비(W/H 비), 피하 지방에 대한 내장 지방의 비(V/S 비), 체내 수분량에 대한 체내 지방량의 비, 체중에 대한 체내 수분량의 비, 다리 근육량에 대한 체내 지방율의 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은, 복부 내장 지방 면적, 허리 사이즈, 불균형 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은, 생체 임피던스, 체내 수분량 및 근육량의 각각에 있어서 신체의 왼쪽 부분과 오른쪽 부분간의 균형에 관한 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11.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은, 생체 임피던스, 체내 수분량 및 근육량의 각각에 있어서 신체의 상체와 하체간의 균형에 관한 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12.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종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질병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의 각 항목을 각각의 질병 요인으로서 그 허용값과 관련하여 저장하며,
    구해진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의 각각을 상기 허용값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에 의한 비교에 기초하여, 비교된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의 각각을 두 개 이상의 단계로 구분하여 분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의 각각의 단계 분류에 따라 두 개 이상의 지표의 조합이 구해지고, 해당 지표의 조합에 근거하여 피실험자의 건강 상태에 대한 종합적인 판정을 내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 구해진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과 허용값들을, 질병의 종류와 상기 구해진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의 종류에 따라 비중을 두어 비교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16.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종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질병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의 각 항목을 각각의 질병 요인으로서 그 허용값과 관련하여 저장하며,
    구해진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의 각각을 상기 허용값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상기 질병의 각각에 관련된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의 각 항목 및 해당 지표의 각 항목에 대응하여, 상기 구해진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를 각 질병에 선택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17.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종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저장된 질병의 각각에 있어서 상기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의 각 항목을 각각의 질병 요인으로서 그 허용값과 관련하여 저장하며,
    구해진 건강 상태와 관련된 지표들의 각각을 상기 허용값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포함하고 있어, 구해진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의 각각에 대한 상기 허용값의 대비에 기초하여 양호/불량 여부를 판정하며;
    상기 표시수단은, 판정된 건강 상태에 관한 지표의 각각에 대하여 그 양호/불량 여부를 순차적으로 정리하여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된 건강 상태에 관한 각각의 지표의 양호/불량 여부는, 해당 지표와 연관되어 있는 질병과의 상관 관계의 정도에 따라 순차적으로 정리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된 건강 상태에 관한 각 지표의 양호/불량 여부를 순차적으로 정리하여 표시함에 있어서는, 질병과의 상관 관계가 높은 제1 지표와, 상기 제1 지표 보다 질병과의 상관 관계가 낮은 다른 지표에 대하여, 상기 제1 지표의 양호 또는 불량의 표기 각각에 상기 다른 지표의 양호 또는 불량의 표기를 연결하여 계층적으로 표시하며,
    상기 제1 지표 및 다른 지표의 양호 또는 불량의 표기 중에서, 피실험자에 대한 판정 결과에 해당하는 사이드를 선택하여 표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양호 여부의 판정이 표시되는 지표들은, BMI, 체지방율 및 복부 내장 지방 면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된 건강 상태에 관한 각각의 지표의 양호/불량 여부는, 각각의 질병에 대하여 선택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22. 제 12 항에 있어서,
    각종 질병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질병은 당뇨병, 탈수증 및 신진 대사 장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23.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수단은 피실험자의 몸무게를 측정하는 체중 측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KR10-2001-7005321A 1999-08-27 2000-08-24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KR100428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119599 1999-08-27
JP?11-241195 199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9762A KR20010099762A (ko) 2001-11-09
KR100428468B1 true KR100428468B1 (ko) 2004-04-28

Family

ID=1707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321A KR100428468B1 (ko) 1999-08-27 2000-08-24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43542B1 (ko)
EP (1) EP1132046B1 (ko)
JP (1) JP4597450B2 (ko)
KR (1) KR100428468B1 (ko)
CN (1) CN1327376A (ko)
AU (1) AU757258B2 (ko)
CA (1) CA2348601C (ko)
HK (1) HK1040176A1 (ko)
TW (1) TW529930B (ko)
WO (1) WO20010156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82666B1 (en) 1998-05-08 2014-11-11 Ideal Life Inc. Personal health monitoring and/or communication system
US7411489B1 (en) 1999-12-29 2008-08-12 Cooper Wiring Devices, Inc. Self-adjusting dual technology occupancy sensor system and method
JP2002238870A (ja) * 2001-02-15 2002-08-27 Tanita Corp 内臓脂肪計
JP4716586B2 (ja) * 2001-02-23 2011-07-06 大和製衡株式会社 血圧計付き内臓脂肪計
JP2002355222A (ja) * 2001-03-28 2002-12-10 Yamato Scale Co Ltd 健康情報表示装置
JP3792547B2 (ja) * 2001-07-19 2006-07-05 株式会社タニタ 生体測定装置
JP3753651B2 (ja) * 2001-11-19 2006-03-08 株式会社タニタ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を用いた生体情報装置
DE10205823A1 (de) * 2002-02-13 2003-08-21 Soehnle Waagen Gmbh & Co Kg Verfahren zur Darstellung des Mess-Ergebnisses einer Körperanalysewaage
JP3653519B2 (ja) 2002-06-12 2005-05-25 ヤーマン株式会社 体内構成測定装置
JP2004008659A (ja) 2002-06-11 2004-01-15 Tanita Corp 生体測定装置
JP4101589B2 (ja) * 2002-08-27 2008-06-18 株式会社タニタ 体格体力判定方法および体格体力判定装置
US7184822B2 (en) * 2003-02-26 2007-02-27 Tanita Corporation Animal health care system
JP4377611B2 (ja) * 2003-05-21 2009-12-02 財団法人 東京都福祉保健財団 健脚判定装置
JP4099428B2 (ja) * 2003-05-21 2008-06-11 株式会社タニタ 筋肉量推定装置
JP2004344518A (ja) * 2003-05-23 2004-12-09 Tanita Corp 筋肉測定装置
JP2004351053A (ja) * 2003-05-30 2004-12-16 Tanita Corp 妊婦用体組成管理装置
US8034294B1 (en) 2003-07-15 2011-10-11 Ideal Life, Inc. Medical monitoring/consumables tracking device
US8571880B2 (en) * 2003-08-07 2013-10-29 Ideal Life, Inc. Personal health management device, method and system
EP1670413A4 (en) * 2003-08-21 2009-07-08 Tercica Inc PROCESS FOR REDUCING VISCERAL FAT BY INCREASING THE MIRRORS OF THE INSULINARY GROWTH FACTOR (IGF-I)
WO2005020813A1 (en) * 2003-08-28 2005-03-10 Tanita Corporation Body composition analyzer
PL1763316T3 (pl) * 2004-06-29 2012-01-31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Sposób i urządzenie do wyznaczania stanu nawodnienia i/lub odżywienia pacjenta
US20060067490A1 (en) * 2004-09-29 2006-03-30 Sysmex Corporation Sales support system, information processor, and adviser support system
US8165893B1 (en) * 2005-02-16 2012-04-24 Ideal Life Inc. Medical monitoring and coordinated care system
US7777632B2 (en) 2006-02-06 2010-08-17 Cooper Technologies Company Acoustic occupancy sensor
JP4923648B2 (ja) * 2006-03-17 2012-04-25 オムロンヘルスケア株式会社 生体情報測定装置
KR100829217B1 (ko) * 2006-03-27 2008-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부분 체지방 측정 장치 및 그에 따른 동작 방법
US20080051679A1 (en) * 2006-04-03 2008-02-28 Maljanian Rosemarie D System and method for analyzing body mass
JP2008142469A (ja) * 2006-12-13 2008-06-26 Tanita Corp 生体測定装置
JP2008036449A (ja) * 2007-09-28 2008-02-21 Tanita Corp 内臓脂肪測定装置
FR2921847B1 (fr) * 2007-10-08 2011-03-18 Saint Gobain Ct Recherches Structure de purification incorporant un systeme de catalyse electrochimique polarise
US20110077719A1 (en) * 2009-09-30 2011-03-31 Broadcom Corporation Electromagnetic power bio-medical unit
JP2011177298A (ja) * 2010-02-26 2011-09-15 Tanita Corp 生体指標測定装置
JP5557321B2 (ja) * 2010-07-14 2014-07-23 株式会社タニタ 測定装置
JP5917079B2 (ja) * 2011-10-14 2016-05-11 花王株式会社 健康アドバイス装置
CN103190892A (zh) * 2012-01-04 2013-07-10 深圳比科斯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多用途人体保健测量系统
JP5953490B2 (ja) * 2012-05-10 2016-07-20 株式会社タニタ 浮腫評価装置
CN103544397A (zh) * 2013-10-30 2014-01-29 江苏万全科技有限公司 人体的生理健康指标数据进行汇总分析预警的方法
CN104776773A (zh) * 2015-03-13 2015-07-15 东莞捷荣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可显示变化量的电子软尺及测量方法
CN104776772A (zh) * 2015-03-13 2015-07-15 东莞捷荣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关联体重数据的电子软尺及实现方法
CN107529806A (zh) * 2015-04-10 2018-01-02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监测人的液体和/或食物消耗
USD796681S1 (en) 2015-11-03 2017-09-05 Impeto Medical Electrode
WO2017079793A1 (en) 2015-11-10 2017-05-18 Impedimed Limited Impedance measurement system
WO2019040472A1 (en) * 2017-08-21 2019-02-28 Bomi LLC METHODS AND DEVICES FOR CALCULATING A HEALTH INDEX
EP3477657A1 (en) * 2017-10-26 2019-05-01 Advanced MR Analytics AB Evaluating an individual's characteristics of at least one phenotype variable
CN109029672B (zh) * 2018-07-12 2024-02-20 中山市金利电子衡器有限公司 一种智能体脂称
CN110491510A (zh) * 2019-07-22 2019-11-22 缤刻普达(北京)科技有限责任公司 身体测量装置、方法及健康管理意见报告生成装置
JP7241000B2 (ja) * 2019-10-18 2023-03-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667A (en) * 1992-11-20 1994-08-09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ody composition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US5720296A (en) * 1995-06-24 1998-02-24 Cha; Ki Chul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ody composition based on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64Y2 (ko) * 1987-05-27 1993-01-20
JPH0192389A (ja) * 1987-09-30 1989-04-11 Aichi Steel Works Ltd ステンレス鋼線材の酸洗肌荒れ防止方法
JPH0712635A (ja) * 1993-06-25 1995-01-17 Ya Man Ltd 体脂肪測定装置
US5579782A (en) * 1993-08-12 1996-12-03 Omron Corporation Device to provide data as a guide to health management
JP3240401B2 (ja) * 1994-12-07 2001-12-17 オムロン株式会社 インピーダンス測定装置および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JPH09285455A (ja) * 1996-02-23 1997-11-04 Omron Corp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EP0926488B1 (en) * 1997-12-25 2003-07-16 Yamato Scale Co., Ltd. Body fat determining device
JPH11188016A (ja) * 1997-12-25 1999-07-13 Omron Corp 健康管理指針アドバイス装置
JP3939443B2 (ja) * 1998-07-23 2007-07-04 大和製衡株式会社 体脂肪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667A (en) * 1992-11-20 1994-08-09 University Of Utah Research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body composition using bioelectrical impedance
US5720296A (en) * 1995-06-24 1998-02-24 Cha; Ki Chul Apparatus and method for analyzing body composition based on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15600A1 (en) 2001-03-08
US6643542B1 (en) 2003-11-04
AU6726900A (en) 2001-03-26
AU757258B2 (en) 2003-02-13
TW529930B (en) 2003-05-01
CA2348601A1 (en) 2001-03-08
CA2348601C (en) 2004-09-28
HK1040176A1 (zh) 2002-05-31
CN1327376A (zh) 2001-12-19
EP1132046A1 (en) 2001-09-12
KR20010099762A (ko) 2001-11-09
EP1132046B1 (en) 2015-09-16
EP1132046A4 (en) 2002-10-31
JP4597450B2 (ja) 2010-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8468B1 (ko) 건강 상태 판정/표시 장치
Brodie et al. Body composition measurement: a review of hydrodensitometry, anthropometry, and impedance methods
Ellis et al. Bioelectrical impedance methods in clinical research: a follow-up to the NIH Technology Assessment Conference
Ritchie et al. Tanita foot-to-foot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system validated in older adults
JP3292373B2 (ja) 生体電気インピーダンス分析に基づく新しい電極システムを用いた人体成分分析装置
KR100453181B1 (ko) 내장 지방 측정장치
US7039458B2 (en) Body fat measuring system for pregnant woman and health care system for pregnant woman
EP1741385B1 (en) Truncal visceral/subcutaneous fat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US20050124865A1 (en) Visceral fat determining device
JPH0951885A (ja) 部分インピーダンス及び複数の周波数インピーダンスを使用する身体インピーダンスデータの獲得のための改良された装置
JP2002306439A (ja) 内臓脂肪測定装置
Yang et al. Variability and reliability of air plethysmographic measurements for the evaluation of chronic venous disease
Beraldo et al. Development of predictive equations for total and segmental body fat in HIV-seropositive patients
Lukaski Evaluation of body composition: why and how?
JP3112717U (ja) 体成分分析結果シート
JP2003093363A (ja) 内臓脂肪計
JP3319811B2 (ja) 体脂肪量測定装置
Jović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measuring the body fat percentage by anthropometric methods and bioimpedance
RU2163087C1 (ru) Способ оценки жироотложения у мужчин, больных ишемической болезнью сердца
JP2002078696A (ja) 生体の代謝状態を解析する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Madden Anthropometric assessment of undernutrition
JP2003111734A (ja) 健康情報表示装置
JP4272448B2 (ja) 内臓脂肪推定方法、プログラム、及び装置
Schnirring Body fat testing: evaluating the options
Barnas Comparison Of Body Composition Techniques In Determining Body Fat Percentages In College Age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