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773B1 - 패킷송수신장치및패킷수신장치 - Google Patents

패킷송수신장치및패킷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773B1
KR100423773B1 KR10-1998-0703653A KR19980703653A KR100423773B1 KR 100423773 B1 KR100423773 B1 KR 100423773B1 KR 19980703653 A KR19980703653 A KR 19980703653A KR 100423773 B1 KR100423773 B1 KR 100423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et
time
received
receiving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3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7626A (ko
Inventor
히데토시 다케다
마코토 아사노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19990067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7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7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35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48Time-ou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12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 H04L1/16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return channel in which the return channel carries supervisory signals, e.g. repetition request signals
    • H04L1/18Automatic repetition systems, e.g. Van Duuren systems
    • H04L1/1829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eiver end
    • H04L1/1854Scheduling and prioriti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municat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송신한 요구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확실히 수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패킷 송신수단(2l)이 요구 패킷을 송신한 경우 예측수단(23)은 송신한 요구 패킷에 의해 수신의 기대되는 응답 패킷을 예측한다. 전송 매체(25)로부터 응답 패킷을 수신한 경우에는 비교수단(26)은 패킷 수신수단(22)에서 수신된 수신 패킷과 예측수단(23)이 예측한 패킷의 일부를 비교하여 이들이 일치한 경우에만 수신 패킷을 출력한다. 이렇게 하면 응답 패킷만을 우선적으로 수신함으로써 수신의 기대되는 응답 패킷을 확실히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전송 매체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패킷 송수신장치 및 패킷 수신장치{PACKET TRANSMITTER/RECEIVER AND PACKET RECEIVER}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패킷을 단위로 한 통신이 행해진다. 송신 기기가 패킷을 송신하면 수신 기기가 이 패킷을 수신하여 패킷에 포함되는 데이터를 수신한다. 또한, 이러한 패킷을 단위로 한 데이터 통신에서는 수신 기기가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 패킷의 수신 상태를 나타내는 수신확인(이하 ack라 함)을 송신 기기로 반송함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있다. 이 ack에는 전송 중의 오류 상태나 수신 기기의 상태 등이 포함되어 있고, 재송신 필요 여부 등의 정보도 포함된다.
이러한 패킷을 단위로 한 통신을 하는 인터페이스의 하나로 IEEEl394 인터페이스가 있다. IEEEl394는 IEEE에서 규격화가 행해지고 있는 차세대의 멀티미디어용 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이다(참고 문헌 : 하이·퍼포먼스 시리얼 버스 P1394/드래프트 8.Ov2 : High Performance Serial Bus P1394/Draft 8.0v2). 현재 이 IEEE1394를 디지털 AV 기기에 사용하기 위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IEEE 1394에는 실시간성이 필요한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기 패킷(isochronous mode)과, 실시간성이 필요없는 데이터 예컨대, 제어 명령 등을 전송하는 비동기패킷(asynchronous mode)의 두 종류의 전송이 있다. 이 중 통상의 비동기 패킷의 전송에서는 수신 기기가 각 패킷에 대하여 ack를 송신 기기로 반송한다. 이 ack를 이용하여 수신 기기가 재송신 요구를 할 수 있다. 한편,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모든 기기에 대하여 송신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특수한 비동기 패킷의 경우에는 ack를 송신할 수 없다. 이 경우는 각 수신 기기는 재송신을 요구할 수 없다.
IEEE1394의 비동기 패킷에는 동작 요구를 하기 위한 요구 패킷(request packet)과, 요구 패킷에 의해 요구된 동작 결과를 반송하기 위한 응답 패킷(response packet)의 두 종류의 패킷이 있다. 어느 쪽 패킷에 대해서도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ack를 상대 기기에 반송한다. 이들 두 종류의 패킷은 요구 패킷에 대하여 ack에 의해 처리가 완결되는 경우를 제외하고 통상적으로 쌍을 이루어 사용되는 것이다.
도 1은 제 1 기기(1)가 제 2 기기(2)에 대하여 요구 패킷을 송신하는 경우의 시퀀스도이다. 제 l 기기(l)가 제 2 기기(2)에 대하여 요구 패킷을 송신한 경우에 이것을 수신하는 제 2 기기(2)는 ack를 제 1 기기(l)에 반송한다. 이 경우의 ack는 재송 요구, 수신 완료(처리중), 처리 완료 등을 나타낼 수 있다. 이 ack가 재송 요구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기기(1)는 다시 요구 패킷을 송신한다. 또한, ack가 수신 완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제 2 기기(2)에서 처리중임을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제 1 기기(l)는 대응하는 응답 패킷이 수신되는것을 대기한다. 또한, ack가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경우에는 응답 패킷의 송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한편, 제 2 기기(2)는 수신 완료를 나타내는 ack를 송신한 후, 요구 패킷에 의해 요구된 처리 결과를 포함하는 응답 패킷을 제 1 기기(1)에 송신한다. 제 1 기기(1)가 이 응답 패킷을 수신하면, 재송 요구 또는 처리 완료를 나타내는 ack를 제 2 기기에 송신한다. 이 경우에도, ack가 재송 요구를 나타내는 것이면 제 2 기기(2)는 다시 응답 패킷을 송신한다. 또, 응답 패킷은 처리의 요구를 행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수신 완료(처리중)를 나타내는 ack를 사용할 수는 없다.
IEEEl394에서는 이상과 같이 하여 요구 패킷과 응답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진다. 단, 상술한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모든 기기에 대하여 송신하는 특수한 요구 패킷의 경우에는 ack의 송신은 행해지지 않는다.
IEEEl394에서는 이러한 요구 패킷과 응답 패킷을 이용한 통신을 행하는 중에 처리의 중단을 검출하기 위한 타임아웃이 정해져 있다. 즉, 요구 패킷을 송신하고 수신 완료를 도시하는 ack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떤 이상에 의해 요구 패킷에 따라 요구한 처리가 중단되었다고 판단한다. 이에 의해 요구 패킷을 송신한 기기는 다음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반대로,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기기는 이 소정의 시간 내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송신해야 한다. 여기에서 소정의 시간은 디폴트값으로서 100ms로 설정되어 있고, 이 시간 설정은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IEEE1394에서는 사이클 타임 레지스터라고 하는 모든 기기에서 동기화되어 있는 약 25㎒의 카운터를 갖고 있다. 이 카운터는 인터페이스의 기능으로서 모든 기기에서의 값이 같은 것이 보증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사이클 타임 레지스터는 IEEE1394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시계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lEEEl394와 같이 쌍으로 된 요구 패킷과 응답 패킷에 의해 처리를 행하는 경우 요구 패킷을 송신한 후 응답 패킷을 대기하는 동안에 다른 기기로부터 요구 패킷 등을 수신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패킷을 수신하기 위해 패킷 수신을 위한 버퍼를 크게 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새로운 요구 패킷을 수신함으로써 패킷 수신을 위한 버퍼를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응답 패킷의 재송 요구를 나타내는 ack를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재송 요구에 의해 타임아웃이 발생하고 처리가 중단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처리의 중단에 의해 통신의 신뢰성을 현저히 저하시킬 위험성이 있다.
또한, 새로운 요구 패킷을 처리하고 있는 동안에는 응답 패킷의 처리가 행해지지 않기 때문에, 수신하는 응답 패킷에 대하여 재송 요구를 나타내는 ack를 송신하는 것이 예상된다. 이 경우에도, 상기와 같이 처리 중단이 발생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처리 중단을 발생하지 않고 응답 패킷을 확실히 수신할 수 있는 패킷 송수신장치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기대하는 응답 패킷을 대기하는 동안 다른 기기로부터 새로운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처리중의 복수의 처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 때문에, 모든 기기는 복수의 처리를 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질 필요가 있고 각 기기의 처리나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한편, IEEE1394에는 인터페이스에 접속된 모든 기기에 대하여 송신되는 특수 패킷이 사용되는 일이 있다. 이 특수 패킷은 주로 인터페이스 전체의 관리 목적 등 중요한 정보를 송신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 특수 패킷의 경우에는 ack에 의해 재송 요구를 행할 수 없다. 따라서, 패킷 수신을 위한 버퍼가 다른 패킷을 위해 사용될 수 없는 경우 등에는 이 특수 패킷을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이것은 인터페이스 전체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이어wu 정상적인 패킷의 송수신이 행해지지 않을 위험성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IEEEl394에서는 요구 패킷의 송신이 행해지고 나서 응답 패킷을 송신하기까지의 시간이 정해져 있다. 요구 패킷을 송신한 기기는 이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대응하는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처리가 중단되었다고 판단한다. 한편,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기기는 이 소정의 시간 동안에 응답 패킷을 송신해야 하지만 기기의 상태에 따라 이 소정의 시간 내에 응답 패킷을 송신하지 못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 소정의 시간이 지난 후에 응답 패킷을 송신한 경우 불필요한 패킷을 송신한 것이 되므로, 다른 유효한 패킷의 송신을 방해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은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패킷을 송수신하는 패킷 송수신장치 및 패킷 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l은 IEEEl394에 있어서 요구 패킷과 응답 패킷의 송수신 관계를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의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의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의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의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서의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서의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의 패킷 수신장치의 기본 구성도이다.
도 9는 IEEE1394에서 송수신되는 패킷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20, 30, 40, 50, 60 : 패킷 송수신장치
11, 21, 41, 51, 61 : 패킷 송신수단
12, 22, 32, 42, 52, 62, 72 : 패킷 수신수단
13 : 수신 제어수단14, 24 : 패킷 생성수단
15, 25, 33, 43, 53, 63, 73 : 전송 매체
23 : 예측수단26 : 비교수단
31 : 재송 요구수단34 : 패킷 선별수단
36 : 예외패킷 축적수단35 : 통상패킷 축적수단
44, 54, 64, 74 : 시각 출력수단45, 55 : 수신시각 보유수단
46, 56, 66, 76 : 패킷 축적수단47, 57, 67 : 응답 패킷 생성수단
65 : 계측수단70 : 패킷 수신장치
77 : 경과시간 감시수단901 : 수신지 ID
902 : tl(트랜잭션 라벨)903 : rt
904 : tcode(트랜잭션 코드)905 : pri
906 : 소스 ID907 : 패킷의 종별에 의존한 정보
908 : 헤더용 CRC909 : 데이터
910 : 데이터용 CRC911 : 패킷 헤더
912 : 데이터부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전송 매체를 사용하여 송신 패킷과 응답 패킷의 송수신을 확실히 행할 수 있는 패킷 송수신장치와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수신장치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의 제 1 발명은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송신수단과,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상기 패킷 송신수단이 송신한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패킷 수신수단의 동작을 제어하는 수신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2 발명에서는, 상기 수신 제어수단은 상기 패킷 송신수단이 송신한 요구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 이외의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3 발명에서는, 상기 수신 제어수단은 상기 패킷 송신수단이 요구 패킷을 송신하고 나서 상기 요구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응답 패킷 이외의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4 발명에서는, 상기 수신 제어수단은 상기 패킷 송신수단이 요구 패킷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내이면서 상기 요구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기까지의 동안에 상기 응답 패킷 이외의 패킷을 수신하지 않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5 발명은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수단과,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상기 패킷 송신수단이 송신한 요구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의 패킷 식별정보를 예측하여 예측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예측수단과, 상기 예측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예측 식별정보와 상기 패킷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 패킷의 수신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 패킷이 상기 응답 패킷에 상당하는 패킷인 경우에만 상기 수신 패킷을 출력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6 발명에서는, 상기 비교수단은 상기 패킷 송신수단이 상기 요구 패킷을 송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내에 상기 응답 패킷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예측 식별정보를 파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7 발명은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재송신을 요구할 수 있는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통상패킷 축적수단과, 재송신 요구를 행할 수 없는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예외패킷 축적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 패킷이 재송신 요구를 행할 수 있는 패킷인지의 여부에 따라 상기 통상패킷 축적수단과 상기 예외패킷 축적수단의 어느 하나에 기입하고, 또 상기 통상패킷 축적수단이 사용중인 동안에 재송신의 요구를 행할 수 있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 패킷의 재송신 지시를 행하는 패킷 선별수단과, 상기 패킷 선별수단의 지시에 기초하여 패킷의 재송신 요구를 행하는 재송 요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8 발명에서는, 상기 패킷 선별수단은 상기 패킷 수신수단으로부터 재송신 요구를 행할 수 있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이면서 상기 수신 패킷의 재송신 지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 패킷을 파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9 발명에서는, 상기 패킷 선별수단은 상기 패킷 수신수단으로부터 재송신 요구를 행할 수 없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이면서 상기 예외패킷 축적수단이 사용중인 경우에는 수신 패킷을 파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10 발명에서는,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하는 수신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패킷 축적수단과, 시각을 출력하는 시각 출력수단과, 상기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시각이 입력되어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상기 수신 패킷을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한 기입 시각을 보유하는 수신시각 보유수단과, 상기 수신 패킷이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상기 수신 패킷과 상기 수신시각 보유수단에 보유되는 상기 기입시각 및 상기 시각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시각을 기초로 상기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응답 패킷 생성수단과, 상기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11 발명에서는, 상기 응답 패킷 생성수단은 상기 응답 패킷을 출력할 때 상기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시각이 상기 기입시각에 소정의 값을 더한 시각보다 전인 경우에만 상기 응답 패킷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12 발명은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하는 수신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패킷 축적 수단과, 시각을 출력하는 시각 출력수단과, 상기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시각이 입력되어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상기 수신 패킷을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한 기입 시각을 보유하는 수신시각 보유수단과, 상기 수신 패킷이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상기 수신 패킷과 상기 수신시각 보유수단에 보유되는 상기 기입시각을 판독하고, 상기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상기 응답 패킷과 상기 기입시각을 출력하는 응답 패킷 생성수단과, 상기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시각을 입력하여 상기 응답 패킷 생성수단으로부터 상기 응답 패킷과 상기 기입시각을 수신하여 송신하는 시각이 상기 기입시각에 소정의 값을 더한 시각을 넘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13 발명은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하는 수신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패킷 축적수단과, 시각을 출력하는 시각 출력수단과, 상기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시각이 입력되어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상기 수신 패킷을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하고 나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여 출력하는 계측수단과, 상기 수신 패킷이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상기 수신패킷과 상기 계측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경과시간을 기초로 상기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출력하는 응답 패킷 생성수단과, 상기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14 발명은 상기 응답 패킷 생성수단은 상기 경과시간이 소정의 값을 넘지 않는 경우에만 응답 패킷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출원의 제 15 발명은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하는 수신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패킷 축적수단과, 시각을 출력하는 시각 출력수단과, 상기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시각이 입력되어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상기 수신 패킷을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하고 나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여 출력하는 계측수단과, 상기 패킷이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계측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경과시간을 감시하여 상기 경과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넘은 경우에,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된 상기 수신 패킷을 파기하는 경과시간 감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 ∼ 제 4 발명의 구성에서는, 패킷 송신수단이 요구 패킷을 송신하면 패킷 수신수단은 수신 패킷을 수신 대기한다. 이 때, 전송 매체로부터의 수신 패킷이 수신 제어수단으로부터의 제어정보에 의해 지시된 응답 패킷인 경우에는 이것을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제 5, 제 6 발명의 구성에서는, 패킷 송신수단이 요구 패킷을 송신하면 패킷 수신수단은 수신 패킷을 수신 대기한다. 예측수단은 송신된 요구 패킷에 따라 이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의 패킷 식별정보를 예측한다. 비교수단은 예측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예측 식별정보와, 패킷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하는 수신패킷의 수신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수신 패킷이 요구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인지의 여부를 식별하여 해당하는 경우에만 수신 패킷을 외부로 출력한다.
제 7 ∼ 제 9 발명의 구성에서는, 통상패킷 축적수단은 재송신의 요구가 가능한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고, 예외패킷 축적수단은 송신을 요구할 수 없는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패킷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 패킷을 수신하고 이 수신 패킷이 재송신을 요구할 수 있는 패킷인지의 여부에 따라 패킷 선별수단은 통상패킷 축적수단 또는 예외패킷 축적수단 중 어느 하나에 기입한다. 또한, 통상패킷축적수단이 사용중인 동안에 재송신을 요구할 수 있는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재송 요구수단은 패킷 선별수단의 지시에 기초하여 수신 패킷의 재송신 지시를 행한다.
제 l0, 제 11 발명의 구성에서는, 패킷 축적수단은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하는 수신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수신시각 보유수단은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시각이 입력되면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 패킷을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한 기입 시각을 보유한다. 수신 패킷이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응답 패킷 생성수단은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수신 패킷과 수신시각 보유수단에 보유되는 기입 시각과, 시각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시각을 기초로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 12 발명의 구성에서는, 패킷 축적수단은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하는 수신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수신시각 보유수단은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시각이 입력되면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 패킷을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한 기입 시각을 보유한다. 수신 패킷이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응답 패킷 생성수단은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수신패킷과, 수신시각 보유수단에 보유되는 기입 시각을 판독하고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응답 패킷과 기입 시각을 출력한다. 패킷 송신수단은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시각을 입력하여 응답 패킷 생성수단으로부터 응답 패킷과 기입 시각을 수신하여 송신을 행하는 시각이 기입 시각에 소정의 값을 더한 시각을 넘지 않은 경우에만 응답 패킷을 송신한다.
제 13, 제 14 발명의 구성에서는, 패킷 축적수단은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하는 수신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계측수단은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시각이 입력되면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 패킷을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하고 나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한다. 수신 패킷이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응답 패킷 생성수단은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수신 패킷과 계측수단이 출력하는 경과시간을 기초로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제 15 발명의 구성에서는, 패킷 축적수단은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하는 수신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한다.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시각이 입력되면 계측수단은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 패킷을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하고 나서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한다. 패킷이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경과시간 감시수단은 계측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경과시간을 감시하여 경과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넘은 경우에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된 수신 패킷을 파기한다.
( 제 1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패킷 송수신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 1 실시예에 관한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패킷 송수신장치(10)는 요구 패킷을 전송 매체(15)에 송신하여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장치이며, 패킷 송신수단(11), 패킷 수신수단(12), 수신 제어수단(13), 패킷 생성수단(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킷 생성수단(14)은 요구 패킷을 생성하여 패킷 송신수단(11)으로 출력한다. 패킷 송신수단(11)은 이 요구 패킷을 수신하면 이 패킷을 전송 매체(15)에 송출하고, 또한 수신 제어수단(l3)으로도 출력한다. 여기에서, 패킷 송신수단(11)은 패킷을 전송매체(l5)로 출력할 때 전송 매체(l5)에서 필요로 하는 조정 동작 등을 행한다.
수신 제어수단(13)은 패킷 송신수단(1l)이 송출한 요구 패킷을 입력하고, 이 요구 패킷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만을 수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패킷 수신수단(12)에 제공한다. 패킷 수신수단(l2)은 이 제어정보가 입력되면 전송매체(l5)로부터 패킷을 수신하였을 때 이 수신 패킷이 수신 제어수단(l3)으로부터의 제어정보에 의해 지시된 응답 패킷인 경우에는 이것을 수신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한편, 패킷 수신수단(12)은 제어정보에 의해 지시된 응답 패킷 이외의 패킷인 경우에는 이것을 파기한다. 또한, 패킷 수신수단(12)은 전송 오류 등의 검출도 아울러 행한다.
여기에서, 전송 매체(15)로서 IEEE1394를 사용하는 경우에 요구 패킷 및 응답 패킷에서 사용되는 패킷의 형식을 도 9에 도시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은 패킷 헤더(911)와 데이터부(912)를 갖고, 제어 명령 등의 데이터(909)는 데이터용 CRC(910)와 함께 데이터부(912)에 삽입된다. 패킷 헤더(911)에는 수신지 ID(901), 소스 ID(906), t1(트랜잭션 라벨)(902), rt(재시도)(903), tcode(트랜잭션 코드)(904), pri(우선도)(905), 패킷의 종류에 의존한 정보(907), 헤더용 CRC(908) 등의 데이터가 삽입된다.
IEEE1394에서는 tcode(904)(트랜잭션 코드)에 의해 패킷이 요구 패킷과 응답 패킷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IEEEl394에는 요구 패킷의 종류가 복수 있고 각각의 요구 패킷에 대응하여 응답 패킷의 종류가 복수 설치된다. 이 tcode(904)에 의해 어떤 종류의 요구 패킷 또는 응답 패킷인지를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수신 제어수단(13)이 수신해야 할 패킷의 tcode를 제어정보로 하여 패킷 수신수단(12)으로 출력한 경우에는 패킷 수신수단(l2)은 패킷의 선두 부분에 의해 수신하는 패킷이 수신해야 할 패킷인지 파기해야 할 패킷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대하는 응답 패킷 이외를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응답 패킷을 대기하는 동안에 별도의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즉, 패킷 송수신장치(10)는 동시에 복수의 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새로운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대기하는 응답 패킷을 확실히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응답 패킷의 종류의 판단까지 행하지 않고 모든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도 응답 패킷을 대기하는 사이에 다른 기기로부터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것을 막을 수 있다.
또, 수신 제어수단(13)은 기대하는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의 제어를 정지함으로써 요구 패킷의 수신도 가능해진다. 또한, IEEE1394에서는 요구 패킷을 송신하고 나서 응답 패킷을 송신하기까지의 시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수신 제어수단(13)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응답 패킷만을 수신하는 제어를 중지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전송 매체(l5)의 이상 등에 의해 응답 패킷을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도 다른 처리에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수신하는 요구 패킷을 파기한 경우에는 요구 패킷에 대하여 재송신 요구를 함으로써 뒤에서부터 다시 이 요구 패킷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전송 매체(l5)로서 IEEEl394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신하는 요구 패킷은 파기하고 ack에 의해 재송신 요구를 요구 패킷의 송신 기기에 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수신 제어수단(13)을 생략하고, 패킷 생성수단(14)에 이 기능을 갖게 하여 직접 패킷 수신수단(l2)을 제어함으로써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제 2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한 패킷 송수신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제 2 실시예에서의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또,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명칭을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패킷 송수신장치(20)는 요구 패킷을 전송 매체(25)에 송신하여 응답 패킷을 수신하는 장치이며, 패킷 송신수단(21), 패킷 수신수단(22), 예측수단(23), 패킷 생성수단(24), 비교수단(2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킷 생성수단(24)은 요구 패킷을 생성하여 패킷 송신수단(21)에 출력한다. 패킷 송신수단(21)은 이 요구 패킷이 입력되면 그 패킷을 전송 매체(25)로 송출하고 또, 예측수단(23)에 부여한다. 여기에서, 패킷 송신수단(21)은 패킷을 전송 매체(25)로 출력할 때 전송 매체(25)에서 필요로 하는 조정 동작 등을 행한다. 한편, 패킷 수신수단(22)은 전송 매체(25)로부터 패킷을 수신하면 그 패킷을 비교수단(26)에 부여한다. 이 때, 패킷 수신수단(22)은 전송오류 등의 검출을 행한다.
예측수단(23)은 패킷 송신수단(21)이 송신한 요구 패킷의 일부를 기초로 수신이 기대되는 응답 패킷의 일부를 예측하여 비교수단(26)에 부여한다. 비교수단(26)은 수신패킷의 일부와 예측수단(23)으로부터 수신하는 예측패킷의 일부를 비교하여 이들이 일치한 경우에는 수신패킷을 출력한다. 한편,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패킷을 파기한다.
전송매체(25)로서 IEEE1394를 사용한 경우에 예측수단(23)은 패킷 송신수단(21)이 송신한 요구 패킷의 패킷 헤더(911)를 기초로 수신이 기대되는 응답 패킷의 패킷 헤더(9ll)의 일부를 예측하여 비교수단(26)으로 출력한다. 이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킷 헤더(911) 중 tcode(904)는 상술한 바와 같이 요구 패킷 및 응답 패킷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이므로, 요구 패킷의 tcode에서 응답 패킷의 tcode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t1(902)은 요구 패킷과 응답 패킷으로 같은 것이 사용된다. 또한, 수신지 ID(90l)와 소스 ID(906)도 송신된 요구 패킷의 수신지 ID와 소스 ID를 교체하는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또, 비교수단(26)은 예측수단(23)으로부터 수신이 기대되는 응답 패킷의 패킷 헤더가 입력되고 패킷 수신수단(22)으로부터 수신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 패킷의 패킷 헤더와 예측수단(23)으로부터 입력된 패킷 헤더를 비교한다. 이 경우, 패킷 헤더의 모든 부분을 비교하는 것은 아니고 예측수단(23)이 예측한 부분만을 비교하여 양자가 일치한 경우에 수신 패킷을 외부로 출력한다. 한편,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수신 패킷을 파기한다.
수신된 요구 패킷을 파기하는 경우에는 요구 패킷에 대하여 재송신 요구를 행함으로써 뒤에서부터 다시 이 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전송 매체(25)로서 IEEE1394를 사용한 경우에는 수신하는 요구 패킷은 파기하고, ack에 의해 재송신 요구를 요구 패킷의 송신기기에 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패킷 생성수단(24)이 예측수단(23)의 기능을 겸함으로써 예측수단(23)을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에도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제 3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한 패킷 송수신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 3 실시예에서의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패킷 송수신장치(30)는 재송 요구수단(31), 패킷 수신수단(32), 패킷 선별수단(34), 통상패킷 축적수단(35), 예외패킷 축적수단(3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킷 수신수단(32)은 전송 매체(33)로부터 패킷을 수신한다. 이 때 패킷 수신수단(32)은 전송오류 등을 검출한다. 이 수신 패킷을 수신하는 패킷 선별수단(34)은 그 수신 패킷이 재송신을 요구할 수 있는 패킷인지의 여부에 따라패킷을 선별한다. 수신 패킷이 재송신 요구를 할 수 있는 패킷인 경우에는 통상패킷 축적수단(35)에 기입한다. 이 때, 통상패킷 축적수단(35)이 사용중이기 때문에 기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재송신 요구를 출력하여 수신 패킷을 파기한다. 한편, 수신 패킷이 재송신을 요구할 수 없는 패킷인 경우에는 예외패킷 축적수단(36)에 기입한다. 이 때, 예외패킷 축적수단(36)이 사용중이기 때문에 기입할 수 없는 경우에는 수신 패킷을 파기한다.
재송 요구수단(31)은 패킷 선별수단(34)으로부터 재송신 요구를 수신하는 경우 재송신 요구를 전송 매체(33)로 출력한다. 전송 매체(33)로서 IEEEl394를 사용한 경우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이것의 예외패킷에 해당한다. 이 브로드캐스트 패킷은 버스에 접속된 모든 기기에 대하여 송신하는 것으로, 주로 버스의 관리 등의 목적으로 송신된다. 통상의 패킷이 수신되는 경우에는 수신장치는 패킷 수신 후에 ack의 송신을 행하고, 필요하다면 재송신을 요구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브로드캐스트 패킷은 버스의 모든 노드에서 수신되는 패킷이며, ack의 송신은 행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ack를 사용한 재송신의 요구를 행할 수 없다. 그래서, 통상의 패킷용 축적수단과는 별도로 브로드캐스트 패킷용 축적수단을 준비함으로써, 버스의 관리 목적 등 중요한 패킷을 보다 확실히 수신할 수 있다.
( 제 4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한 패킷 송수신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 4 실시예에서의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패킷 송수신장치(40)는 수신하는 요구 패킷에 따라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송신하는 것이고, 패킷 송신수단(41), 패킷 수신수단(42), 시각 출력수단(44), 수신시각 보유수단(45), 패킷 축적수단(46), 응답 패킷 생성수단(4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킷 수신수단(42)은 전송 매체(43)로부터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 패킷을 패킷 축적수단(46)에 기입하는 동시에 패킷의 수신 통지를 출력한다. 수신시각 보유수단(45)은 시각 출력수단(44)으로부터 출력되는 시각을 입력하여 패킷 수신수단(42)으로부터 패킷 수신의 통지를 수신하는 순간의 시각을 보유한다.
응답 패킷 생성수단(47)은 패킷 축적수단(46)으로부터 요구 패킷을 판독하여 이 요구 패킷에 대응한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 이 응답 패킷 생성수단(47)은 마이크로 컴퓨터 등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패킷 송신수단(4l)은 응답 패킷 생성수단(47)이 생성한 응답 패킷을 전송 매체(43)에 송신한다.
응답 패킷 생성수단(47)은 요구 패킷을 패킷 축적수단(46)으로부터 판독하여 응답 패킷을 생성할 때 수신시각 보유수단(45)으로부터 요구 패킷의 수신 시각을 입력하고, 또한 시각 출력수단(44)이 출력하는 시각을 입력한다. 여기에서, 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응답 패킷의 생성을 중지한다. 또한, 생성된 응답 패킷을 패킷 송신수단(4l)으로 출력할 때 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생성한 응답 패킷을 출력하지 않고 파기한다.
전송 매체(43)로서 IEEE1394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구 패킷의 송신으로부터 응답 패킷의 수신까지의 시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응답 패킷 생성수단(47)은 응답 패킷의 생성과 출력시에 요구 패킷이 수신된 시각을 식별함으로써 송신해도 무효로 되는 응답 패킷의 생성이나 송신을 행하지 않는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한, 시각 출력수단(44)으로서 모든 기기가 가지는 사이클 타임 레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 제 5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한 패킷 송수신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제 5 실시예에서의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패킷 송수신장치(50)는 수신하는 요구 패킷에 기초하여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것이며,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패킷 송신수단(51), 패킷 수신수단(52), 시각 출력수단(54), 수신시각 보유수단(55), 패킷 축적수단(56), 응답 패킷 생성수단(5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킷 수신수단(52)이 전송 매체(53)로부터 복수의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그들의 수신 패킷을 패킷 축적수단(56)에 기입하는 한편, 패킷의 수신 통지를 출력한다. 수신시각 보유수단(55)은 시각 출력수단(54)으로부터 출력되는 시각을 입력하여 패킷 수신수단(52)으로부터 각각의 패킷 수신의 통지를 수신하는 순간의 시각을 복수 세트 보유한다.
패킷 축적수단(56)이 복수의 요구 패킷을 축적할 수 있는 것이며, 또, 수신시각 보유수단(55)도 복수의 시각을 보유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응답 패킷 생성수단(57)이 패킷 축적수단(56)으로부터 요구 패킷을 판독할 때 이 요구 패킷에 대응하는 수신시각을 수신시각 보유수단(55)으로부터 판독함으로써 응답 패킷 생성수단(57)은 복수의 요구 패킷을 한번에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패킷 축적수단에 일시적으로 축적할 수 있는 요구 패킷은 하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수신시각 보유수단에도 각각의 요구 패킷과의 대응 관계를 무너뜨리지 않도록 하여 수신시각을 복수 보유하면 복수의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후에도 응답 패킷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패킷 송신수단(5l)은 응답 패킷 생성수단(57)으로부터 응답 패킷과 요구 패킷의 수신시각을 입력하고 또, 시각 출력수단(54)으로부터 시각을 입력한다. 여기에서, 요구 패킷의 수신시각보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기 전이면 응답 패킷 생성수단(57)으로부터 입력한 응답 패킷을 전송 매체(53)로 출력한다. 한편, 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 경우에는 응답 패킷을 파기한다.
전송매체(53)로서 IEEEl394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 l에 도시하는 요구 패킷의 송신으로부터 응답 패킷의 수신까지의 시각이 정해져 있으므로, 요구 패킷이 송신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송신해도 무효가 된다. 또한, 패킷의 송신을 하기 위해서는 버스의 조정이 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송신의 요구를 하고 나서 실제의 송신을 할 때까지는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버스의 조정이 끝난 시점에서 응답 패킷의 송신의 유효성을 판단함으로써 무효인 패킷의 송신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시각 출력수단(54)으로서 모든 기기가 가지는 사이클 타임 레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 제 6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관한 패킷 송수신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설명한다. 도 7은 제 6 실시예에서의 패킷 송수신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패킷 송수신장치(60)는 수신하는 요구 패킷에 따라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송신하는 것이며, 패킷 송신수단(61), 패킷 수신수단(62), 시각 출력수단(64), 계측수단(65), 패킷 축적수단(66), 응답 패킷 생성수단(6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킷 수신수단(62)이 전송 매체(63)로부터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 수신 패킷을 패킷 축적수단(66)에 기입하는 것과 함께 패킷의 수신의 통지를 출력한다. 계측수단(65)은 시각 출력수단(64)으로부터 출력되는 시각을 입력하여 패킷 수신수단(62)으로부터 패킷수신의 통지를 수신한 순간부터 경과된 시간을 계측하여 출력한다.
응답 패킷 생성수단(67)은 패킷 축적수단(66)으로부터 요구 패킷을 판독하여 이 요구 패킷에 대응한 응답 패킷을 생성하여 출력한다. 또, 이 응답 패킷 생성수단(67)은 마이크로컴퓨터 등에 의해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패킷 송신수단(61)은 응답 패킷 생성수단(67)이 생성한 응답 패킷을 전송 매체(63)로 송신한다.
응답 패킷 생성수단(67)은 요구 패킷을 패킷 축적수단(66)으로부터 판독하여 응답 패킷을 생성할 때 계측수단(65)으로부터 이 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나서부터의 경과시간을 입력한다. 여기에서, 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나서의 경과시간이 소정의 값을 넘은 경우에는 응답 패킷의 생성을 중지한다. 또한, 생성된 응답 패킷을 패킷 송신수단(61)으로 출력할 때 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나서의 경과시간이 소정의 값을 넘은 경우에는 생성한 응답 패킷을 출력하지 않고 파기한다.
전송 매체(63)로서 IEEEl394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 l에 도시하는 요구 패킷의 송신으로부터 응답 패킷의 수신까지의 시간이 정해지고 있으므로, 응답 패킷 생성수단(67)은 응답 패킷의 생성 및 출력시에 요구 패킷이 수신되고 나서 시각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송신해도 무효로 되는 응답 패킷의 생성이나 송신을 행하지 않는 제어가 가능해진다. 또, 시각 출력수단(64)으로서 모든 기기가 갖는 사이클 타임 레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 제 7 실시예 )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의 패킷 수신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 7 실시예에서의 패킷 수신장치의 기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패킷 수신장치(70)는 전송 매체(73)로부터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것이며, 패킷 수신수단(72), 시각 출력수단(74), 계측수단(75), 패킷 축적수단(76), 시간경과 감시수단(7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킷 수신수단(72)이 전송 매체(73)로부터 요구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 수신 패킷을 패킷 축적수단(76)에 기입하는 것과 함께 패킷의 수신 통지를 출력한다. 계측수단(75)은 시각 출력수단(74)으로부터 출력되는 시각을 입력하여 패킷 수신수단(72)으로부터 패킷 수신의 통지를 수신한 순간부터의 경과시간을 계측하여 출력한다.
경과시간 감시수단(77)은 계측수단(75)이 출력하는 요구 패킷 수신으로부터 의 경과시간을 입력하고, 이 경과시간이 소정의 시간을 넘은 경우에는 패킷 축적수단(76)에 기입되어 있는 요구 패킷을 파기한다.
전송 매체(73)로서 IEEEl394를 사용한 경우에는 도 l에 도시된 요구 패킷의송신으로부터 응답 패킷의 수신까지의 시간이 정해져 있으므로 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는 그 요구 패킷에 대한 응답 패킷을 생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 때문에, 패킷 축적수단(76)에 축적된 요구 패킷을 파기하는 것으로, 무효로 된 요구 패킷에 대한 처리를 행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시각 출력수단(74)으로서 모든 기기가 갖는 사이클 타임 레지스터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제 4 실시예, 제 5 실시예, 제 6 실시예 및 제 7 실시예는 어느 것이든 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실시예에 의해 얻어지는 처리의 경감이나 통신 매체의 효율 이용 등에 대하여 더욱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 1 ∼ 제 4 발명에서는, 요구 패킷을 송신한 기기가 응답 패킷을 대기하는 동안, 새로운 요구 패킷을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복수의 처리를 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패킷의 수신 및 처리를 위해 필요로 하는 패킷 축적수단을 작은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패킷 수신을 위해 필요로 하는 축적수단이 작은 경우에도 축적수단이 별도의 요구 패킷의 수신 등에 의해 사용중인 동안에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기 때문에 생기는 재송신을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응답 패킷을 보다 확실히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5, 제 6 발명에서는, 요구 패킷 수신을 송신한 기기가 응답 패킷을 대기하는 동안 새로운 요구 패킷을 수신하지 않음으로써 복수의 처리를 행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패킷의 수신 및 처리를 위해 필요로 하는 패킷 축적수단을 작은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패킷 수신을 위해 필요로 하는 축적수단이 작은 경우에도 축적수단이 별도의 요구 패킷의 수신 등에 의해 사용 중인 동안에 응답 패킷을 수신하였기 때문에 생기는 재송신을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응답 패킷을 보다 확실히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7 ∼ 제 9 발명에서는, 통상의 패킷 수신용 축적수단과 예외패킷 수신용 축적수단을 별도로 가짐으로써 중요한 정보의 송신에 사용될 가능성이 높은, 예외패킷을 보다 확실히 수신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0, 제 l1 발명에서는, 응답 패킷을 생성할 때 요구 패킷을 수신한 시각을 이용함으로써 요구 패킷의 수신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무효인 응답 패킷의 생성이나 송신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2 발명에서는, 송신수단이 요구 패킷이 수신된 시각을 아는 것에 의해 응답 패킷의 송신시의 전송 매체와의 조정 등에 의해 요구 패킷의 수신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송신해도 무효로 되는 응답 패킷의 송신을 행하지 않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송 매체에 불필요한 패킷의 송신을 행하지 않음으로써 전송 매체가 갖는 대역의 낭비를 막을 수 있어 전송 매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3, 제 14 발명에서는, 응답 패킷을 생성할 때 요구 패킷을 수신하고 나서의 경과시간을 이용함으로써 요구 패킷의 수신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무효인 응답 패킷의 생성이나 송신을 막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15 발명에서는, 경과시간 감시수단이 요구 패킷의 수신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 미처리인 채로 패킷 축적수단에 남겨져 있는 요구 패킷을 폐기함으로써 일단 요구 패킷을 패킷 축적수단으로부터 판독하는 불필요한 처리를 없앨 수 있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정정)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수단과,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상기 패킷 송신수단이 송신한 요구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요구 패킷에 대응하는, 수신이 기대되는 응답 패킷의 일부에 포함될 것으로 예측되는 패킷 식별정보를 예측하여 상기 예측되는 식별정보를 출력하는 예측수단과,
    상기 예측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예측 식별정보와 상기 패킷 수신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수신 패킷의 일부에 포함되는 수신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수신 패킷이 상기 비교결과의 일치에 의해 상기 응답 패킷에 상당하는 패킷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상기 수신 패킷을 출력하고, 상기 비교결과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 패킷을 파기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수신장치.
  6. (삭제)
  7. (정정)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재송신을 요구할 수 있는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통상패킷 축적수단과,
    재송신 요구를 행할 수 없는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예외패킷 축적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수신 패킷이 재송신 요구를 행할 수 있는 패킷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수신 패킷이 재송신 요구를 행할 수 있는 패킷인 경우 상기 수신 패킷을 상기 통상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하며, 상기 수신 패킷이 재송신 요구를 행할 수 없는 패킷인 경우 상기 수신 패킷을 상기 예외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하고, 상기 통상패킷 축적수단이 사용중인 동안에 재송신의 요구를 행할 수 있는 패킷인 수신 패킷을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수신 패킷의재송신 지시를 행하며, 상기 예외패킷 축적수단이 사용중인 경우 상기 수신 패킷을 파기하는 패킷 선별수단과,
    상기 패킷 선별수단의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 패킷의 재송신을 요구하는 재송 요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수신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정정)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한 수신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패킷 축적수단과,
    시각을 출력하는 시각 출력수단과,
    상기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시각을 수신하고,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상기 수신 패킷을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한 기입 시각을 보유하는 수신시각 보유수단과,
    상기 수신 패킷이 요구 패킷이고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요구하는 경우에,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상기 수신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패킷을 생성할 때 상기 수신시각 보유수단에 보유되는 상기 기입 시각과 상기 시각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시각을 비교하며, 상기 기입 시각에 미리 정해진 값을 가산하여 얻어진 시각이 상기 시각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시각보다 빠른 경우에만 상기 생성된 응답 패킷을 출력하고, 상기 기입 시각에 미리 정해진 값을 가산하여 얻어진 시각이 상기 시각 출력수단이 출력하는 시각보다 느린 경우에는 상기 수신 패킷을 파기하는 응답 패킷 생성수단과,
    상기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수신장치.
  11. (삭제)
  12. (정정)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한 수신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패킷 축적 수단과,
    시각을 출력하는 시각 출력수단과,
    상기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시각을 수신하고,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상기 수신 패킷을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한 기입 시각을 보유하는 수신시각 보유수단과,
    상기 수신 패킷이 요구 패킷이고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요구하는 경우에,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상기 수신 패킷과 상기 수신시각 보유수단에보유되는 상기 기입 시각을 판독함으로써 상기 수신 패킷에 기초하여 상기 응답 패킷을 생성하고, 상기 응답 패킷과 상기 기입 시각을 동시에 출력하는 응답 패킷 생성수단과,
    상기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시각을 수신하고 상기 응답 패킷 생성수단으로부터 상기 응답 패킷과 상기 기입 시각을 수신하며, 송신하는 시각이 상기 기입 시각에 미리 정해진 값을 가산하여 얻어진 시각을 늦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응답 패킷을 송신하고, 상기 송신하는 시각이 상기 기입 시각에 미리 정해진 값을 가산하여 얻어진 시각보다 늦은 경우에는 상기 응답 패킷을 송신하지 않고 상기 응답 패킷을 파기하는 패킷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수신장치.
  13. (정정)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한 수신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패킷 축적수단과,
    시각을 출력하는 시각 출력수단과,
    상기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시각을 수신하고,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상기 수신 패킷을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하고 나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여 출력하는 계측수단과,
    상기 수신 패킷이 요구 패킷이고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요구하는 경우에, 상기 응답 패킷이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되는 상기 수신 패킷에 기초하여 생성될 때, 상기 계측수단이 출력하는 상기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늦지 않은 경우에만 상기 생성된 응답 패킷을 출력하며, 상기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값보다 늦은 경우에는 상기 수신 패킷을 파기하는 응답 패킷 생성수단과,
    상기 응답 패킷을 송신하는 패킷 송신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송수신장치.
  14. (삭제)
  15. (정정)
    패킷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패킷 수신수단과,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수신한 수신 패킷을 일시적으로 축적하는 패킷 축적수단과,
    시각을 출력하는 시각 출력수단과,
    상기 시각 출력수단으로부터 상기 시각을 수신하고, 상기 패킷 수신수단이 상기 수신 패킷을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기입하고 나서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측하여 출력하는 계측수단과,
    상기 패킷이 요구 패킷이고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패킷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상기 계측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경과 시간을 감시하여, 상기 경과 시간이 미리 정해진 시간을 넘은 것이 검출된 경우에 상기 패킷 축적수단에 축적된 상기 수신 패킷을 파기하는 경과시간 감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킷 수신장치.
KR10-1998-0703653A 1996-09-17 1997-09-16 패킷송수신장치및패킷수신장치 KR100423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44,716 1996-09-17
JP24471696A JP3560423B2 (ja) 1996-09-17 1996-09-17 パケット送受信装置及びパケット受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7626A KR19990067626A (ko) 1999-08-25
KR100423773B1 true KR100423773B1 (ko) 2004-05-17

Family

ID=17122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3653A KR100423773B1 (ko) 1996-09-17 1997-09-16 패킷송수신장치및패킷수신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83845B1 (ko)
JP (1) JP3560423B2 (ko)
KR (1) KR100423773B1 (ko)
CN (1) CN1166131C (ko)
HK (1) HK1017791A1 (ko)
WO (1) WO19980128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18821A1 (en) * 1999-01-08 2000-07-1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JP3148733B2 (ja) 1999-02-26 2001-03-2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信号処理装置及び信号処理システム
JP3098996B2 (ja) 1999-03-03 2000-10-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パケット通信装置
JP3091184B2 (ja) 1999-03-03 2000-09-2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装置
US6781987B1 (en) 1999-10-19 2004-08-24 Lucent Technologies Inc. Method for packet transmission with error detection codes
JP2001156842A (ja) * 1999-11-26 2001-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伝送システム
US6957273B2 (en) * 2000-03-03 2005-10-18 Fujitsu Limited Packet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uter system
WO2002030067A1 (fr) * 2000-10-05 2002-04-11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Systeme de retransmission de paquets, dispositif de transmission de paquets, dispositif de reception de paquets, procede de retransmission de paquets, procede de transmission de paquets et procede de reception de paquets
DE10102323A1 (de) * 2001-01-19 2002-07-25 Philips Corp Intellectual Pty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uverlässigen Übertragung von Datenpaketen
JP2002247094A (ja) * 2001-02-20 2002-08-30 Pioneer Electronic Corp パケット送出装置および方法
JP4591736B2 (ja) * 2001-02-21 2010-12-0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20129183A1 (en) * 2001-03-08 2002-09-12 James David Vernon Method of enhancing flow control in a data bus system by eliminating an acknowledge packet during a response phase to indicate a flow control condition
US7114001B2 (en) * 2001-05-11 2006-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dictive networking
KR100460967B1 (ko) * 2001-12-18 200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접속률을 높일 수 있는 무선통신기기 및 그 방법
KR100460970B1 (ko) * 2002-01-10 2004-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및 방법
KR100937314B1 (ko) * 2002-09-28 2010-01-18 주식회사 케이티 에이알큐 방식의 데이터통신에서의 패킷분할을 이용한 공격적 패킷 합성 방법
KR100934650B1 (ko) * 2002-10-02 2009-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자동재송요구 시스템에서 패킷 송/수신 방법
US8023520B2 (en) * 2003-03-27 2011-09-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ignaling packet
KR100631579B1 (ko) 2004-08-11 2006-10-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플랜의 최적화를 위한 피티티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US8161362B2 (en) * 2005-06-10 2012-04-17 Hitachi, Ltd. Task management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having redundant processing comparison
JP4797867B2 (ja) 2006-07-31 2011-10-1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制御システムのメッセージ管理装置及び車両用制御システム
US8326781B2 (en) * 2007-09-27 2012-12-04 Intel Mobile Communications GmbH Method for the compressed transmission of data packet header fields in a packet-oriented data stream, method for compressing data packet header fields in a packet-oriented data stream, method for decompressing data packet header fields in a packet-oriented data stream, compression/decompression system, compression apparatus and decompression apparatus
US8554148B2 (en) * 2009-09-18 2013-10-08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ata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705552B1 (en) * 2010-02-09 2014-04-22 Marvell International Ltd. Controlling latency variations in a packet nod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1133A (ja) * 1988-10-20 1990-04-24 Sanyo Electric Co Ltd 自動端末終端点識別子割当端末
JPH03136535A (ja) * 1989-10-23 1991-06-11 Nec Corp パケットバスの外部折返し試験方式およびパケット転送装置
JPH0730502A (ja) * 1993-07-09 1995-01-31 Nec Corp 監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5570A (en) * 1981-01-14 1985-01-22 Hitachi, Ltd. Processing request allocator for assignment of loads in a distributed processing system
JP2986802B2 (ja) * 1989-03-13 1999-12-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プロトコル高速処理方法
JPH03117242A (ja) * 1989-09-29 1991-05-20 Nec Ibaraki Ltd データ伝送のリトライ方法
US5224095A (en) * 1990-01-30 1993-06-29 Johnson Service Company Network control system and method
US5052029A (en) * 1990-04-05 1991-09-24 Apple Computer, Inc. Self-correcting synchronization signal method and apparatus
US5287550A (en) * 1990-12-24 1994-02-15 Motorola, Inc. Simulcast scheduler
JP3305769B2 (ja) * 1992-09-18 2002-07-24 株式会社東芝 通信装置
US5477216A (en) * 1992-10-30 1995-12-19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al metering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during transmission of the data to a remote communications device
US5546391A (en) * 1993-03-04 1996-08-1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entral shared queue based time multiplexed packet switch with deadlock avoidance
JP3549003B2 (ja) * 1993-08-31 2004-08-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送出装置および情報送出/受信システム
JP3358254B2 (ja) * 1993-10-28 2002-12-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通信制御装置および通信制御用回路装置
US5712624A (en) * 1995-03-03 1998-01-27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ing receiver synchronization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5742840A (en) * 1995-08-16 1998-04-21 Microunity Systems Engineering, Inc. General purpose, multiple precision parallel operation, programmable media processor
US5701302A (en) * 1995-10-25 1997-12-2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companding data packets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JP3208305B2 (ja) * 1995-11-14 2001-09-10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5845145A (en) * 1995-12-21 1998-12-01 Apple Computer, Inc. System for generating and sending a critical-world-first data response packet by creating response packet having data ordered in the order best matching the desired order
US5761490A (en) * 1996-05-28 1998-06-02 Hewlett-Packard Company Changing the meaning of a pre-decode bit in a cache memory depending on branch prediction mode
US5758087A (en) * 1996-06-14 1998-05-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dicted response generation
US6088591A (en) 1996-06-28 2000-07-11 Aironet Wireless Communications, Inc. Cellular system hand-off protocol
US5848064A (en) * 1996-08-07 1998-12-08 Telxon Corporation Wireless software upgrades with version contro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11133A (ja) * 1988-10-20 1990-04-24 Sanyo Electric Co Ltd 自動端末終端点識別子割当端末
JPH03136535A (ja) * 1989-10-23 1991-06-11 Nec Corp パケットバスの外部折返し試験方式およびパケット転送装置
JPH0730502A (ja) * 1993-07-09 1995-01-31 Nec Corp 監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60423B2 (ja) 2004-09-02
JPH1093623A (ja) 1998-04-10
HK1017791A1 (en) 1999-11-26
US6483845B1 (en) 2002-11-19
WO1998012844A1 (fr) 1998-03-26
CN1205145A (zh) 1999-01-13
CN1166131C (zh) 2004-09-08
KR19990067626A (ko) 1999-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773B1 (ko) 패킷송수신장치및패킷수신장치
US5301186A (en) High speed transmission line interface
JP3305769B2 (ja) 通信装置
US4439859A (en) Method and system for retransmitting incorrectly received numbered frames in a data transmission system
US6424870B1 (en) Parallel processor
US7567590B2 (en) Asynchronous data pipe for automatically managing asynchronous data transfers between an application and a bus structure
US4813039A (en) Loop transmission system and data transmission control method
JP2778373B2 (ja) 再送機能付きバッファ装置
KR101593241B1 (ko) 보증된 서비스를 보장하는 전자장치 및 방법
JP3516451B2 (ja) 通信バスシステムとかかるシステムで使用されるステーション
US4612541A (en) Data transmission system having high-speed transmission procedures
US6401146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PCI ethernet
JPH0234501B2 (ko)
JPH11284687A (ja) データ伝送方式
JPH0218623B2 (ko)
CN116541318A (zh) 一种总线缓冲器及多总线数据传输系统
JPS6261497A (ja) デ−タ伝送回路装置
CN114153756A (zh) 面向多核处理器目录协议的可配置微操作机制
JP2677895B2 (ja) 多重伝送方式
JPH0677974A (ja) フレーム通信装置
JPH03150943A (ja) 通信装置
JPH04255051A (ja) インタフエース機構
JPH07115430A (ja) 通信システム
JP2000013444A (ja) パケットデータ受信装置
JP2000165387A (ja) セル管理処理回路及び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