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3317B1 -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3317B1
KR100423317B1 KR10-2001-0056120A KR20010056120A KR100423317B1 KR 100423317 B1 KR100423317 B1 KR 100423317B1 KR 20010056120 A KR20010056120 A KR 20010056120A KR 100423317 B1 KR100423317 B1 KR 100423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h
contact
rubber bush
vehicle
mounting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135A (ko
Inventor
이훈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3317B1/ko
Publication of KR20030023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3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33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4Buffer means for limiting movement of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60G2204/1432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by vertical bolts or stu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Elastic mounts, e.g. bush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3Rubber; Elasto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러버부시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마운팅부시 부위로 가해지는 상하 충격력과 측력에 대해 충격흡수력을 높이면서도 조종안정성도 함께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운팅부시가 리어크로스멤버(M)의 양측 전후부의 부시케이스(C)에서 차체(B)에 체결된 스터드보올트(S)를 매개로 그 내부 중앙으로 인너튜브(5)를 고정 설치한 러버부시(2)로 이루어지되, 이 러버부시(2)의 상측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돌출되면서 사인(Sine)파 형상의 제1접촉돌기(2a')와, 이 제1접촉돌기(2a')사이로 사각 형상의 제2접촉돌기(2a")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Mounting bush structure in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의 흡수·완충율을 높여 조정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리어측 현가장치에 구비되어 디퍼렌셜기어를 지지하면서 레터럴링크 등과 같은 여러 부품이 연결 설치되어 차체(B)에 고정 설치되는리어크로스멤버(M)는 리어현가장치측에서 발생되는 진동이 차체(B)에 전달되지 않도록 이 리어크로스멤버(M)와 차체사이에 마운팅부시가 설치된다.
이러한 마운팅부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어크로스멤버(M)의 양측 전후부에는 부시케이스(C)가 형성되고, 이 부시케이스(C)에는 내부 중앙으로 인너튜브(5)가 고정 설치된 러버부시(2)가 삽입 설치되며, 이 러버부시(2)의 상측면에는 상부러버스톱퍼(3)가 구비되는 한편, 상기 인너튜브(5)의 하단부에는 하부러버스톱퍼(4)가 설치되어 차체(B)에 체결된 스터드보올트(S)에 결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마운팅부시가 러버부시(2)를 이용하는 소프트(Soft)타입을 사용하게 되므로 솔리드(Solid)타입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마운팅부시 자체의 경도가 낮아 차량의 주행에 다른 NVH(Noise, Vibration, Harshness)성능이 좋은 반면 조종안정성은 상대적으로 낮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되고 이에 따라,통상 상기 러버부시(2)에는 소정간격으로 돌출되면서 끝단을 평평하게 형성한 돌기(2a)가 형성시켜 상부러버스톱퍼(3)와 직접 접촉되면서 조종안정성을 유지하게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차량의 조종안정성을 유지하는 러버부시(2)의 돌기(2a)부위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러버부시(2)의 상부로 어느 정도 돌출된 인너튜브(5)의 돌출높이와 거의 일치되도록 형성되어져 실제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는 스토퍼(3)와 간신히 접촉되는 정도를 유지할 뿐만 아니라 상기 돌기(2a)의 돌기간격(L)도 넓어 그 접촉면적도 크지 않게 되므로 결국, 외부에서 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인너파이프(5)부위가 상·하로 이동될 때 상기 러버부시(2)의 돌기(2a)부위가 접촉되면서 충격과 진동을 완충하게 되지만 차량의 선회 시와 같이 측력이 발생될 때 러버부시(2)에 형성된 돌기(2a)부위에 의한 접촉면적이 적어 조종안정성을 저하시키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러버부시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마운팅부시 부위로 가해지는 상하 충격력과 측력에 대해 충격흡수력을 높이면서도 조종안정성도 함께 향상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마운팅부시가 리어크로스멤버의 양측 전후부의 부시케이스에서 차체에 체결된 스터드보올트를 매개로 그 내부 중앙으로 인너튜브를 고정 설치한 러버부시로 이루어지되, 이 러버부시의 상측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돌출되면서 사인파 형상의 제1접촉돌기와, 이 제1접촉돌기사이로 사각 형상의 제2접촉돌기가 형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후륜 현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어셈블리의 장착도
도 3은 도 2의 부분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부시의 부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운팅부시 2 : 러버부시
2a : 돌기 2a' : 제1접촉돌기
2a" : 제2접촉돌기
3 : 상부스토퍼 4 : 하부스토퍼
5 : 인너튜브 C : 부시케이스
L : 돌기간격 O : 높이라인
M : 리어크로스멤버 S : 스터드보올트
W : 차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 부시의 부분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은 마운팅부시가 리어크로스멤버(M)의 양측 전후부의 부시케이스(C)에서 차체(B)에 체결된 스터드보올트(S)를 매개로 그 내부 중앙으로 인너튜브(5)를 고정 설치한 러버부시(2)로 이루어지되, 이 러버부시(2)의 상측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돌출되면서 사인(Sine)파 형상의 제1접촉돌기(2a')와, 이 제1접촉돌기(2a')사이로 사각 형상의 제2접촉돌기(2a")가 형성되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2접촉돌기(2a',2a")는 돌출된 인너튜브(5)를 기준으로 제1접촉돌기(2a')는 더 높게 돌출된 돌출길이(K2)를 갖는 반면 제2접촉돌기(2a")는 더 낮게 돌출된 돌출길이(K1)를 갖게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러버부시(2)의 제1접촉돌기(2a')부위가 러버부시(2)의 상부로 어느 정도 돌출된 인너튜브(5)의 돌출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되어져 실제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스토퍼(3)와 충분히 접촉될 뿐만 아니라 그 형상도 사인파형의 곡선으로 이루어져 접촉면적이 크게 증가되므로 차량의 선회 시와 같이 측력이 발생될 때 러버부시(2)에 형성된 제1접촉돌기(2a')부위의 접촉력에 의해 조종안정성을 저하시키지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러버부시(2)의 제1접촉돌기(2a')부위가 러버부시(2)의 상부로 어느 정도 돌출된 인너튜브(5)의 돌출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돌출되어져 차량의 주행중 외부에서 큰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인너파이프(5)부위가 상·하로 이동될 때 상기 러버부시(2)의 제2접촉돌기(2a")부위가 접촉되면서 충격과 진동을 완충하여 NVH성능도 크게 향상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마운팅부시를 이루는 러버부시(2)의 접촉면적을 증가하면서도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2중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소프트(Soft)타입이면서도 솔리드(Solid)타입의 갖는 조종안정성과 같은 성능 향상은 물론 NVH성능도 향상시키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마운팅부시를 이루는 러버부시의 접촉면적을 증가하면서도 가해지는 외력에 대해 2중으로 접촉되도록 하여 마운팅부시 부위로 가해지는 상하 충격력과 측력에 대해 충격흡수력을 높이면서도 조종안정성도 함께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2)

  1. 리어크로스멤버(M)의 양측 전후부의 부시케이스(C)에서 차체(B)에 체결된 스터드보올트(S)를 매개로 그 내부 중앙으로 인너튜브(5)를 고정 설치한 러버부시(2)로 이루어지되, 이 러버부시(2)의 상측면에는 소정간격으로 돌출되면서 사인(Sine)파 형상의 제1돌기(2a')와, 이 제1돌기(2a')사이로 사각 형상의 제2접촉돌기(2a")가 형성되어진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접촉돌기(2a',2a")는 돌출된 인너튜브(5)를 기준으로 제1접촉돌기(2a')는 더 높게 돌출되는 반면 제2접촉돌기(2a")는 더 낮게 돌출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
KR10-2001-0056120A 2001-09-12 2001-09-12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 KR100423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120A KR100423317B1 (ko) 2001-09-12 2001-09-12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6120A KR100423317B1 (ko) 2001-09-12 2001-09-12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135A KR20030023135A (ko) 2003-03-19
KR100423317B1 true KR100423317B1 (ko) 2004-03-18

Family

ID=2772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6120A KR100423317B1 (ko) 2001-09-12 2001-09-12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33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217875A (zh) * 2022-07-29 2022-10-2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前摆臂后衬套和前摆臂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7340A (ja) * 1985-09-19 1987-03-27 Toyo Tire & Rubber Co Ltd 振動吸収用筒型ダンパ
JPH03140641A (ja) * 1989-10-26 1991-06-14 Kinugawa Rubber Ind Co Ltd 防振ブッシュ
JPH0659644U (ja) * 1993-02-02 1994-08-19 倉敷化工株式会社 液体封入式防振ブッシュ
JPH11311281A (ja) * 1998-04-30 1999-11-09 Toyo Tire & Rubber Co Ltd ゴムブッシュ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67340A (ja) * 1985-09-19 1987-03-27 Toyo Tire & Rubber Co Ltd 振動吸収用筒型ダンパ
JPH03140641A (ja) * 1989-10-26 1991-06-14 Kinugawa Rubber Ind Co Ltd 防振ブッシュ
JPH0659644U (ja) * 1993-02-02 1994-08-19 倉敷化工株式会社 液体封入式防振ブッシュ
JPH11311281A (ja) * 1998-04-30 1999-11-09 Toyo Tire & Rubber Co Ltd ゴムブッシ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135A (ko) 2003-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90651B2 (ja) 防振装置
JP2002067644A (ja) 車両の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ブッシング
KR100868409B1 (ko) 차량의 스트러트형 현가장치
KR100423317B1 (ko) 차량용 마운팅 부시 구조
KR20030041247A (ko) 더블 위시본식 현가 장치
KR19980045538A (ko) 차량용 서브 프레임 마운팅 구조
KR20020001330A (ko) 버스용 에어서스펜션의 에어 브라켓트 고정 구조
CN216789073U (zh) 耐油减震后顶胶
KR20050051252A (ko) 쇽업소버의 인슐레이터
KR20050117019A (ko) 엔진의 부시형 마운트 장치
KR100401872B1 (ko) 차량용 현가장치의 볼 조인트
KR100514535B1 (ko) 자동차용 휠 하우스
KR100537795B1 (ko) 쇽업소버 장착 구조
KR200185233Y1 (ko) 로워 암 리어 수직 부싱
KR20020053122A (ko) 자동차의 쇽 옵쇼버의 케이스 보강구조
KR100397936B1 (ko) 자동차용 리어 현가장치의 래터럴로드 부시구조
KR100457020B1 (ko) 횡치 엔진 지지구조
KR100844743B1 (ko) 차량의 서브프레임 체결 구조
KR100448829B1 (ko) 차량의 프론트 휠 하우스
KR100201456B1 (ko) 행거형 엔진마운팅
KR20020051760A (ko) 이중완충기능을 갖는 컴파운드 토션 빔 액슬 타입 현가장치
KR20020044214A (ko) 차량의 측방향 안정장치
KR200233146Y1 (ko) 다단계 스프링 상수를 갖는 차량용 인슐레이터
KR20090005475A (ko) 자동차 서브 프레임의 마운팅 부시
KR19980040293U (ko) 자동차용 로워 아암 마운팅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