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2489B1 -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2489B1
KR100422489B1 KR10-2000-0081044A KR20000081044A KR100422489B1 KR 100422489 B1 KR100422489 B1 KR 100422489B1 KR 20000081044 A KR20000081044 A KR 20000081044A KR 100422489 B1 KR100422489 B1 KR 1004224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application
dependent
display
depend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1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2651A (ko
Inventor
시모타니미츠오
우에카와아키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62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2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24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24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4Interprogram commun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Navig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Digital Computer Display Output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Abstract

과제 : 범용적인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려면, 그것에 적합한 전용적인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하지 않으면 안되지만, 개발공수가 걸려 용이하게 이들 범용적 애프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해결 수단 :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접속된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전용의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와, 다른 디바이스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구동 가능하게 하는 OS 표준 드라이버와,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를 거쳐서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과, OS 표준 드라이버를 거쳐서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한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중앙 처리 장치는, 통상시에는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고, 인터넷 기능을 사용하느 경우에만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작동시키는 절환 수단을 구비해도 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ON-VEHIC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지도 묘화 등의 고속 처리가 요구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6은 종래의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101)은 DVD-ROM 드라이브, 디스플레이 모니터, GPS 수신기, 차속 펄스 카운터,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등의 네비게이션 하드웨어(하드웨어)이다. (102)는 각 프로그램의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스레드(thread) 관리 등의 기타, 네비게이션 하드웨어(101)를 제어하는 기능을 구비한 네비게이션 OS, (103)은 네비게이션 하드웨어(101)의 그래픽 칩을 직접 제어하는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 (104)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105)는 인터넷 브라우저이고,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104)와 외부 인터페이스(I/F)(104a)를 거쳐서 프로그램 통신을 행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104)이 작동하면,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103)을 이용해서 그래픽 칩(101a)에 표시 동작을 행하여, 묘화가 고속으로 행해진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104)이 외부 I/F(104a)를 거쳐서 인터넷 브라우저(105)를 기동하면, 그래픽 칩(101a)에 인터넷 브라우저 화면이 표시된다.
종래의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운영 체계(OS : operating system)에 표준적으로 준비되어 있는 드라이버는 이용하지 않고, 디바이스의 최고 성능을 인출하기 위한 전용적인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고 있기 때문에, OS에 표준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동작하도록 작성된 범용적인 애플리케이션은, 그대로는 동작시킬수 없었다.이 범용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도록 하면, 이것에 적합한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이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 사용상의 작법(作法)을 지켜서 범용적인 애플리케이션, 예를 들면, 인터넷 브라우저를 동작시키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범용적인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하지 않으면 안되고, 개발공수(開發工數)가 걸려, 이들 범용적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제공하기가 쉽지 않았다.
예를 들면, 윈도우 시이(Windows CE)에서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해서 동작하도록 작성하면, 다른 묘화 디바이스를 공통 인터페이스로 기술한 GDI(그래픽 디바이스 인터페이스)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이용하는 인터넷 브라우저 등의 범용적인 애플리케이션, 소위 윈도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애플리케이션의 확장성이 높고, 더욱이, 고속으로 처리할 수 있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4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5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6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 8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 9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1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2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종래의 네비게이션 장치의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네비게이션 하드웨어
31a : 그래픽 칩
32 : 네비게이션 OS
33 :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
34 :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OS 표준 드라이버)
35 :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
36 : 인터넷 브라우저(OS 의존 애플리케이션)
37 :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
38 : 수동 절환 스위치
39 :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
40 : 애플리케이션 절환 모듈(프로그램 관리 모듈)
41 : 표 계산 애플리케이션
42 : 예정표 애플리케이션
43 : 표시 영역 제어 애플리케이션
44 : 클래스 라이브러리층
이 발명에 따르면,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접속된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전용의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와, 다른 디바이스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구동 가능하게 하는 OS 표준 드라이버와, 상기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를 거쳐서 상기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OS 표준 드라이버를 거쳐서 상기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통상시에는 상기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인터넷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상기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절환 수단을 구비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는, 상기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와 OS 표준 드라이버를 절환하는 드라이버 절환 수단을 구비해도 좋다.
상기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OS 의존 애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을 행하여, 상기 드라이버 절환 수단을 제어해도 된다.
상기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를 유효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OS 의존 드라이버의 요구에 의해 상기 OS 표준 드라이버를 유효하게 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을 구비해도 무방하다.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은 수동 스위치 조작에 응답해서 상기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 및 OS 표준 드라이버 중 어느 한 쪽을 유효하게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 및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절환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브 절환 모듈은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요구에 의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절환해도 된다.
상기 디바이스는, 다층의 표시 레이어를 가진 표시 디바이스이고, 상층 표시 레이어에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화상을 표시하고, 하층 표시 레이어에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화상을 표시해도 무방하다.
상기 디바이스는, 상층 표시 레이어 및 하층 표시 레이어의 표시영역이 적어도 한 쪽의 표시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 및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쌍방에 관한 화상을 동시에 표시해도 좋다.
상기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상에서 동작시켜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1)은 후술하는 네비게이션 OS, 디바이스 드라이버,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을 미리 저장한 ROM, (10)은 네비게이션 OS, 디바이스 드라이버,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등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중앙 처리 장치), (12)는 네비게이션 OS, 디바이스 드라이버,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등의 실행 시에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RAM이다.
(18)은 DVD(digital versatile discs)-ROM(19)을 구동하고, 데이터를 독출하는 DVD-ROM 드라이브, (17)은 DVD-ROM 드라이브(18)와 마이크로프로세서(10) 간에 데이터의 수수(授受)를 행하는 DVD-ROM 인터페이스이다. (21)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나 화상 처리 명령에 따라서 프레임 버퍼(20)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시키고, 그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화상을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디스플레이 모니터(22)에 묘화하는 디바이스로서의 그래픽 제어 회로(그래픽 칩)이다. (23)은 마이크로프로세서(10)를 인터넷에 접속하는 휴대 전화기이다.
(16)은 GPS 인공위성으로부터의 전파를 수신하는 GPS 수신기, (15)는 차량의 차축 등에 마련된 차속을 측정하는 차속 펄스 카운터, (14)는 차량의 방위를 검출하는 자이로스코프이며, (13)은 GPS 수신기(16), 차속 펄스 카운터(15) 및 자이로스코프(14)와 마이크로프로세서(10) 간에 데이터의 수수를 실행하는 주변 기기 인터페이스이다.
(19)는 지도 데이터 베이스 등을 미리 저장한 DVD-ROM이다. 기타, 음성 안내를 출력하는 스피커 및 그의 구동 회로, 외부 기반 구조(infrastructure)의 통신을 실행하는 FM 다중 방송 수신기, 전파 비컨(beacon)/광 비컨 수신기 등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ROM(11) 대신에, 네비게이션 OS, 디바이스 드라이버,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등을 DVD-ROM 등의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DVD-ROM 드라이브에 의해서 그들의 프로그램을 독취해서 사용하는 등으로 해도 좋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31)은 DVD-ROM 드라이브(18), 디스플레이 모니터(22), GPS 수신기(16), 차속 펄스 카운터(18), 자이로스코프(14) 등의 네비게이션 하드웨어(하드웨어)이고, 디바이스로서의 그래픽 칩(31a)이 마련되어 있다.이 그래픽 칩(31a)은 도 1의 그래픽 칩(21)에 상당하는 것이다. (32)는 각 프로그램의 메모리 관리, 프로세스 관리, 스레드 관리 등의 기타, 네비게이션 하드웨어(31)를 제어하는 기본 기능을 구비하는 네비게이션 OS, (33)은 네비게이션 하드웨어(31)의 그래픽 칩(31a)을 직접 제어하는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이고, 드라이버 절환 수단(33a)을 구비하고 있다. (34)는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의 드라이버 절환 수단(33a)로부터의 기동 명령을 수신해서 작동하는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OS 표준 드라이버)이다.
(35)는 현재 위치의 계산, 경로 탐색, 경로 안내 등의 네비게이션 서비스를 실현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그룹인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모듈(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 (36)은 GDI를 이용하도록 코드화된 범용적인 인터넷 브라우저(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이며,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과 외부 인터페이스(I/F)(35a)를 거쳐서 프로그램 간 통신을 행한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이 작동하면, 먼저,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이용해서 그래픽 칩(31a)를 동작시키고, 도 3(a)에 도시된 묘화를 고속으로 행한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표시 화면 내의 인터넷 인터넷 버튼을 누르면,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은 외부 I/F(35a)를 거쳐서 인터넷 브라우저(36)를 기동함과 동시에,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의 드라이버 절환 수단(33a)으로부터의 기동 명령에 의해서,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가 유효하게 되도록 절환한다. 인터넷 브라우저(36)는 GDI를 이용하도록 코드화되어있기 때문에, GDI로부터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를 통해서 그래픽 칩(31a)을 제어하고, 도 3(a)의 표시 대신에, 인터넷 브라우저 화면을 도 3(b)와 같이 표시한다.
인터넷 브라우저(36)의 기동이 종료되면, 종료 메시지가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에 전송된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은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 내의 드라이버 절환 수단(33a)에 의해서,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를 무효,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유효로 되도록 절환하고, 그래픽 칩(31a)에 다시 도 3(a)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과 인터넷 브라우저(36)를 공존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1에 따르면, OS 의존의 범용적 프로그램과 디바이스 의존의 고속 처리 프로그램 양쪽을 실행할 수 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는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과 인터넷 브라우저(36)는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이지만, 실시예 2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넷 기능을 네비게이션(35) 내에 포함한 구성이다. 도 4에 있어서, (35b)는 인터넷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로부터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로 동작을 절환하는 절환 수단이며, 다른 구성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다음으로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에 의한 동작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그리고, 인터넷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이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 내의 드라이버 절환 수단(33a)에 의해서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무효,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를 유효로 하도록 절환하고, 상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한다.
본 실시예 2에 따르면, 인터넷 기능을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 내에 포함함으로써, 실시예 1보다 구성을 간략화할 수 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에서는,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와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그래픽 칩(31a)에 절환 접속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음성 장치 등 다른 장치를 절환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음성을 이용하는 OS 표준 애플리케이션을 공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4)
도 5는 실시예 4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인터넷 브라우저(36)를 가상 장치, 소위, VM(virtual machine)(50)상에서 동작시키도록 한 예이며, 실시예 1과 같이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과 인터넷 브라우저(36)는 서로 프로그램 간 통신을 행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다른 구성 및동작은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얻어지는 효과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이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5)
도 6은 실시예 5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과 인터넷 브라우저(36) 사이에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을 실장하고, 이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로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제어하여, 드라이버 절환 수단(33a)에 의해서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으로 절환하도록 한 것으로, 다른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은, 기동 시에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에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이용하도록 요구하면,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은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기동하여, 상기도 3(a)의 표시를 행한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표시 화면 중의 인터넷 버튼을 누르면,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은 외부 I/F(35a)를 거쳐서 인터넷 브라우저(36)를 기동하여,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은 인터넷 브라우저(36)로부터의 드라이버 절환 요구에 의해, 그래픽 칩 전용 장치 디바이스 드라이브(33)의 드라이버 절환수단(33a)으로부터의 기동 명령에 의해서,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가 유효로 되도록 절환한다. 이 인터넷 브라우저(36)는 GDI를 이용하도록 코드화되어 있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OS(32)의 GDI로부터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를 통해서 그래픽 칩(31a)을 제어하여, 도 3(a)의 표시 대신에, 인터넷 브라우저 화면이 도 3(b)와 같이 표시된다.
인터넷 브라우저(36)의 기동이 종료되면, 종료 메시지가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에 전송된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은 종료 메시지를 수신하면,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은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으로부터의 절환 요구에 의해서,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를 무효,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유효로 되도록 절환하여, 그래픽 칩(31a)에 다시 도 3(a)에 도시된 네비게이션 화면을 표시한다.
본 실시예 5에 따르면,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절환을 행하는 전용 모듈이 존재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알기 쉽고,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6)
도 7은 실시예 6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네비게이션 하드웨어(31)에 수동 절환 스위치(38)를 마련하여, 이 수동 절환 스위치(38)의 절환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를 거쳐서,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을 절환 동작시키도록 구성한 것으로,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 5와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수동 절환 스위치(38)를 조작하여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에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이용하도록 요구하면,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화 모듈(37)은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기동하여, 상기 도 3(a)의 표시를 행한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수동 절환 스위치(38)를 조작하여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에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를 이용하도록 요구하면,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은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를 기동시킨다. 인터넷 브라우저(36)는 GDI를 이용하도록 코드화되어 있기 때문에, GDI로부터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를 통해서 그래픽 칩(31a)를 제어하여, 인터넷 브라우저(36)에 의해서, 도 3(a)의 표시 대신에 도 3(b)와 같이 표시한다.
인터넷 브라우저(36)의 기동이 종료하고, 수동 절환 스위치(38)를 조작하여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에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이용하도록 요구하면,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은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기동하여, 다시 상기도 3(a)의 표시를 행한다.
본 실시예 6에 따르면, 실시예 1과 같이, OS 의존의 범용적 프로그램과 디바이스 의존의 고속 처리 프로그램 양쪽을, 수동 스위치(38)의 절환에 의해 자유롭게 선택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7)
도 8은 실시예 7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네비게이션 하드웨어(31)에 수동 절환 스위치(38)를 마련하여, 이 수동 절환 스위치(38)의 절환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를 거쳐서, 애플리케이션 절환 모듈(40)을 절환 동작시켜, 이 애플리케이션 절환 모듈(40)에 의해서,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 인터넷 브라우저(36)의 실행,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에 의한 표시 절환을 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다른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수동 절환 스위치(38)를 조작하여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에 애플리케이션 절환, 예컨대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을 이용하는 것을 요구하면,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절환 모듈(40)이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을 기동시킴과 동시에,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을 거쳐서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기동하여, 상기 도 3(a)의 표시를 행한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수동 절환 스위치(38)를 조작하여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에 애플리케이션 절환, 예컨대 인터넷 브라우저(36)를 이용하는 것을 요구하면,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절환 모듈(40)이 인터넷 브라우저(36)를 기동시킴과 동시에,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로부터의 제어 신호로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정지시켜, 이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의 드라이버 절환 수단(33a)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가 기동한다. 인터넷 브라우저(36)는 GDI를 이용하도록 코드화되어 있기 때문에, 네비게이션 OS(32)의 GDI로부터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를 통해서 그래픽 칩(31a)를 제어하여, 인터넷 브라우저(36)로부터의 정보를 도 3(a)의 표시 대신에 도 3(b)와 같이 표시한다.
수동 절환 스위치(38)를 조작하여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에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을 이용하는 것을 요구하면, 스위치 입력 드라이버(39)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수신한 애플리케이션 절환 모듈(40)이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을 기동시킴과 동시에,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37)을 거쳐서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기동하여, 다시 상기도 3(a)의 표시를 행한다.
본 실시예 7에 따르면, 애플리케이션 간 통신이 불필요하게 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작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8)
도 9는 실시예 8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래픽 칩(31a)을 다층의 표시 레이어로 하여,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의 화면 출력을 그래픽 칩(31a)의 상층 레이어에 표시하고, 인터넷 브라우저(36)의 화면 출력을 그래픽 칩(31a)의 하층 레이어에 표시하도록 구성한 것으로, 다른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이 작동하면, 우선,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이용하여 그래픽 칩(31a)의 상층 레이어에 표시 동작을 행하여, 도 1O(a)에 도시된 묘화가 고속으로 행하여진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표시 화면 중의 인터넷 버튼을 누르면,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은 외부 I/F(35a)를 거쳐서 인터넷 브라우저(36)를 기동하여,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로부터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가 유효하게 되도록 절환하면, 도 10(a)의 표시는 삭제되어, 인터넷 브라우저(36)의 화면이 그래픽 칩(31a)의 하층 레이어에 도 10(d)와 같이 표시된다.
한편,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이 표시 영역 제한 명령을 발생하면, 도 1O(a)에 도시된 표시 상층 레이어의 표시는 도 1O(b)의 표시로 된다. 그래서, 상층 레이어와 하층 레이어의 표시를 겹쳐 표시하면, 도 10(c)로 된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인터넷 브라우저 종료 메세지를 수신하면, 상층 레이어의 표시 영역은 원래로 돌아가 도 1O(a)의 표시로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 8에 따르면, 양쪽의 애플리케이션의 표시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네비게이션의 기능과 연동한 표시, 예컨대 위치 정보 첨부 관광 정보를 인터넷으로 받은 경우에,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화면과 동시에 관광지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한 시스템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절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시에 표시가 가물거리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9)
도 11은 실시예 9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그래픽 칩(31a)을 다층의 표시 레이어로 하여,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인터넷 브라우저(36), 표 계산 애플리케이션(41), 예정표 애플리케이션(42)의 3개를 마련한 것으로, 다른 것은 상기 실시예 8의 구성과 같으니까,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이 작동하면, 우선,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이용하여 그래픽 칩(31a)의 상층 레이어에 표시 동작을 행하여, 도 12(a)에 나타내는 묘화가 고속으로 행하여진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표시 화면중의 유틸리티 온(utility on)을 누르면, 도 12(a)의 표시는 꺼지고, 인터넷 브라우저(36), 표 계산 애플리케이션(41), 예정표 애플리케이션의 아이콘이 그래픽칩(31a)의 하층 레이어에 도 1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한편,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이 표시 영역 제한 명령을 발생하면, 도 12(a)에 도시된 표시 상층 레이어의 표시는 도 12(b)의 표시로 된다. 그래서, 상층 레이어와 하층 레이어의 표시를 겹쳐 표시하면, 도 12(c)로 된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선택한 아이콘을 누르면 도 12(e)의 표시 상태로 된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표시 화면중의 오프 버튼을 누르면, 상층 레이어의 표시 영역을 되돌려 도 12(a)의 표시로 된다. 이 때,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이 인터넷 브라우저(36), 표 계산 애플리케이션(41), 예정표 애플리케이션(42)의 동작을 종료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 9에 따르면,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과, 0S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 10)
도시는 하지하지는 않지만, 상기 실시예 8, 9와는 달리,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화상 표시를 그래픽 칩(31a)의 상층 레이어에,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의 화상 표시를 그래픽 칩(31a)의 하층 레이어에 표시하더라도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성능에 따르지만, 고속 표시를 상층 레이어에 나타내는 쪽이 성능이 나오는 장치는, 실시예 8, 9가 좋지만, 반대의 경우는 본 실시예 10이 좋다.
(실시예 11)
도 13은 실시예 11에 따른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상기 도 11에 나타내는 실시예 9에 있어서의 예정표 애플리케이션(42)의 대신에 표시 영역 제어 애플리케이션(43)을 마련하고, 이 표시 영역 제어 애플리케이션(43)으로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의 표시 영역을 제어는 것으로, 다른 부분은 상기 실시예 9의 구성과 마찬가지이므로, 동일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이 작동하면, 우선,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를 이용하여 그래픽 칩(31a)의 상층 레이어에 표시 동작을 행하여, 초기 표시 화면은 도 14(a)로 된다. 또한, 하층 레이어의 표시 화면은 도 14(d)로 되어, 결과적으로 도 14(b)와 같이 보인다.
그래서,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표시 화면 중의 유틸리티 버튼을 누르면, 표시 영역 제어 애플리케이션(43)은 상층 레이어의 표시를 좁혀(하층 레이어 표시 영역이 늘어남) 도 14(c)와 같이 아이콘 표시로 된다. 거기에서, 선택한 아이콘을 누르면, 표시 영역 제어 애플리케이션(43)은 인터넷 브라우저(36)의 기동을 검지하여, 상층 표시 영역을 더욱 좁혀 도 14(e)의 상태로 된다. 이 표시 상태에 있어서, 오프 버튼을 누르면, 표시 영역 제어 애플리케이션(43)은 표시 영역을 원래대로 되돌려, 도 14(b)의 표시로 한다. 애플리케이션마다 표시 영역의 크기를 바꾸도록 제어하면, 화면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 12)
도 15는 실시예 12에 의한 네비게이션 장치의 구성을 계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며,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35)으로부터 봐서, 그래픽 칩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33)가 GDI 대응 디바이스 드라이버(34)에 보이는 클래스 라이브러리층(calss library layer)(44)을 마련한 구성으로,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상기한 각 실시예와 같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 12에 의하면, 네비게이션 애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작성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접속된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전용의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와, 다른 디바이스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구동 가능하게 하는 0S 표준 드라이버와,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를 거쳐서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과, 0S 표준 드라이버를 거쳐서 장치를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0S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구비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고속 처리가 요구되는 전용적인 애플리케이션뿐만 아니라, 0S에 준거한 범용적인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수 있어, 기능이 좋고 확장성이 있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처리 장치는, 통상시에서는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인터넷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에만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절환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을 간략화하여, 상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는,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와 OS 표준 드라이버를 절환하는 드라이버 절환 수단을 갖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음성을 이용하는 0 S 표준 애플리케이션을 공존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은 OS 의존 애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간 통신을 행하여 드라이버 절환 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에 의해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를 유효로 함과 동시에, 0S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에 의해 OS 표준 드라이버를 유효로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을 갖기 때문에, 프로그램이 알기 쉭고, 프로그램 작성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은 수동 스위치 조작에 응답해서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 및 OS 표준 드라이버중 어느 한 쪽을 유효하게 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중앙 처리 장치는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 및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절환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갖고, 디바이스 드라이브 절환 모듈은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요구에 의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절환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 간 통신이 불필요하게 되어, 애플리케이션의 작용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다층의 표시 레이어를 가지는 표시 디마이스이고, 상층 표시 레이어에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화상을 표시하고, 하층 표시 레이어에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했기 때문에,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절환할 필요가 없고, 디바이스 드라이버의 절환 시에 표시가 가물거리지 않게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바이스는, 상층 표시 레이어 및 하층 표시 레이어의 표시 영역의 적어도 한쪽의 표시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 및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양쪽에 관한 화상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기 편리한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중앙 처리 장치와,
    상기 중앙 처리 장치에 접속된 디바이스와,
    상기 디바이스 전용의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와,
    다른 디바이스를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구동가능하게 하는 OS 표준 드라이버와,
    상기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를 거쳐서 상기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과,
    상기 OS 표준 드라이버를 거쳐서 상기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OS 의존 애플리케이션
    을 구비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통상시에는 상기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고, 인터넷 기능을 사용할 때에만 상기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키는 절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는, 상기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와 OS 표준 드라이버를 절환하는 드라이버 절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OS 의존 애플리케이션과 프로그램 사이의 통신을 행하여, 상기 드라이버 절환 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를 유효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요구에 의해 상기 OS 표준 드라이버를 유효하게 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버 절환 모듈은 수동 스위치 조작에 응답해서 상기 디바이스 의존 드라이버 및 OS 표준 드라이버 중 어느 한 쪽을 유효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처리 장치는 상기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 및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 절환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관리 모듈을 더 구비하고, 상기 디바이스 드라이브 절환 모듈은 프로그램 관리 모듈의 요구에 의해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다층의 표시 레이어를 가진 표시 디바이스이고, 상층 표시 레이어에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화상을 표시하고, 하층 표시 레이어에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는, 상층 표시 레이어 및 하층 표시 레이어의 표시영역중 적어도 한 쪽의 표시 영역을 제한함으로써, 디바이스 의존 애플리케이션 및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의 쌍방에 관한 화상을 동시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OS 의존 애플리케이션은 가상 머신(virtual machine) 상에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KR10-2000-0081044A 1999-12-24 2000-12-23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KR1004224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368238 1999-12-24
JP36823899A JP3946397B2 (ja) 1999-12-24 1999-12-24 車載情報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2651A KR20010062651A (ko) 2001-07-07
KR100422489B1 true KR100422489B1 (ko) 2004-03-11

Family

ID=18491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1044A KR100422489B1 (ko) 1999-12-24 2000-12-23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725458B2 (ko)
JP (1) JP3946397B2 (ko)
KR (1) KR100422489B1 (ko)
DE (1) DE10063217B4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07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13079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08557A4 (en) * 1999-08-19 2007-03-07 Pure Depth Ltd PRESENTATION OF DATA ON MULTILAYER SCREENS
US7395527B2 (en) 2003-09-30 2008-07-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unting instruction execution and data accesses
US8381037B2 (en) * 2003-10-09 2013-02-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autonomic execution path selection in an application
US7415705B2 (en) 2004-01-14 2008-08-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nomic method and apparatus for hardware assist for patching code
US7895382B2 (en) 2004-01-14 2011-02-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qualifying collection of performance monitoring events by types of interrupt when interrupt occurs
DE102004008816A1 (de) * 2004-02-20 2005-09-08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tauschen fahrzeugoriginärer Informationen
JP2005309229A (ja) * 2004-04-23 2005-11-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006324836A (ja) * 2005-05-18 2006-11-30 Sony Corp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790470B1 (ko) 2005-12-05 2008-01-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바이스 드라이버 테스트를 위한 테스트 케이스 자동 생성방법 및 장치
JP4785580B2 (ja) * 2006-03-17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4785579B2 (ja) 2006-03-17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における印刷設定反映方法とプログラム
DE102007048087A1 (de) * 2007-10-05 2009-04-09 Volkswagen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mittlung des Prüfumfanges bei der Fehlerdiagnose eines Kraftfahrzeuges
FR2953590B1 (fr) * 2009-12-03 2012-08-03 Mobile Devices Ingenierie Dispositif d'information pour conducteur de vehicule et procede pour commander un tel dispositif.
JP5482766B2 (ja) * 2011-11-07 2014-05-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CN104964682B (zh) * 2015-05-07 2018-01-09 大唐终端技术有限公司 定位设备切换方法和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8567A (ko) * 1991-03-26 1992-10-22 죤 디. 크래인 데이타 처리 시스템
KR970071303A (ko) * 1996-04-26 1997-11-07 제프리 엘. 포맨 주변 디바이스의 자동 인에이블 방법, 및 주변 디바이스의 자동 인에이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
KR19980029646A (ko) * 1996-10-26 1998-07-25 김광호 게임기의 기능을 구비한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9990011340A (ko) * 1997-07-23 1999-02-18 윤종용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인터넷 정보검색 장치 및 방법
JPH11304502A (ja) * 1998-04-25 1999-11-05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1325948A (ja) * 1998-05-20 1999-11-26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9068A (ja) 1986-08-05 1988-02-19 Fujitsu Ltd ドライバ・レシ−バ切替方式
JP2617798B2 (ja) * 1989-09-22 1997-06-04 三菱電機株式会社 積層型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244354B (en) 1990-05-25 1994-02-23 Silicon Systems Inc Multi-device emulation
US5483647A (en) * 1992-12-17 1996-01-09 Bull Hn Information Systems Inc. System for switching between two different operating systems by invoking the server to determine physical conditions to initiate a physical connection transparent to the user
JP3699732B2 (ja) * 1993-05-31 2005-09-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的撮像装置
US5910180A (en) * 1995-11-21 1999-06-08 Diamond Multimedia Systems, Inc. Context virtualizing device driver architecture
US5794164A (en) 1995-11-29 1998-08-11 Microsoft Corporation Vehicle computer system
DE19622531C2 (de) 1996-06-05 2003-12-04 Deutsche Telekom Ag Verfahren, Anlage und Unterstation zur Übertragung von Informations- und Steuerdaten
US5982996A (en) 1997-03-13 1999-11-09 Hewlett-Packard Company Mechanism for printer driver switching in windows operating systems to allow distribution of print jobs to an output device from a single print request within an application
DE19750662C2 (de) 1997-11-15 2002-06-27 Daimler Chrysler Ag Prozessoreinheit für ein datenverarbeitungsgestütztes elektronisches Steuerungssystem in einem Kraftfahrzeug
JP3546680B2 (ja) 1998-01-26 2004-07-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8567A (ko) * 1991-03-26 1992-10-22 죤 디. 크래인 데이타 처리 시스템
US5265252A (en) * 1991-03-26 1993-1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vice driver system having generic operating system interface
KR970071303A (ko) * 1996-04-26 1997-11-07 제프리 엘. 포맨 주변 디바이스의 자동 인에이블 방법, 및 주변 디바이스의 자동 인에이블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매체
KR19980029646A (ko) * 1996-10-26 1998-07-25 김광호 게임기의 기능을 구비한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
KR19990011340A (ko) * 1997-07-23 1999-02-18 윤종용 차량 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의 인터넷 정보검색 장치 및 방법
JPH11304502A (ja) * 1998-04-25 1999-11-05 Alpine Electronics Inc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H11325948A (ja) * 1998-05-20 1999-11-26 Sumitomo Electric Ind Ltd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078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WO2023113079A1 (ko) * 2021-12-17 2023-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신호 처리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46397B2 (ja) 2007-07-18
DE10063217A1 (de) 2001-07-05
US20010005866A1 (en) 2001-06-28
DE10063217B4 (de) 2006-06-08
JP2001184194A (ja) 2001-07-06
US6725458B2 (en) 2004-04-20
KR20010062651A (ko) 200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2489B1 (ko) 차량 탑재 정보 처리 장치
KR100429128B1 (ko) 네비게이션 장치
JPH11311523A (ja) 車両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7040971A (ja) 画面表示装置および画面表示方法
US20090281727A1 (en) Car navigation system
KR20010050601A (ko) 복수의 운영체제를 공유하는 표시방법, 장치 및내비게이션장치
JP374804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002928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ナビゲーション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0066659A (ja) 画面合成装置及び方法、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6344241A (ja) 車載情報処理装置
JP4500634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2277272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136685B2 (ja)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地図画像表示方法
JP3449291B2 (ja) 地図表示装置
JP4262619B2 (ja) 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1074472A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3794875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132002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4061648A (ja) 地図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798551B2 (ja) 電子地図表示装置
JP3948379B2 (ja) 車載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20060097833A (ko) 차량용 오디오/비디오/네비게이션 시스템에서 차량용 오디오/비디오 시스템 데이터와 차량용 네비게이션 시스템 데이터를 동시에 디스플레이하는 장치 및 방법
JP2000322173A (ja) 情報表示装置
JPH09292243A (ja) 地図表示装置および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1066144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並びにナビデータ処理装置及びマンマシンインタフェー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