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9213B1 -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 - Google Patents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9213B1
KR100419213B1 KR10-2001-0004297A KR20010004297A KR100419213B1 KR 100419213 B1 KR100419213 B1 KR 100419213B1 KR 20010004297 A KR20010004297 A KR 20010004297A KR 100419213 B1 KR100419213 B1 KR 1004192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image reading
rotating shaft
white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3701A (ko
Inventor
장덕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0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921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3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3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9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9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684Object of the detection
    • H04N1/00718Ske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681Detecting the presence, position or size of a sheet or correcting its position before scanning
    • H04N1/00785Correcting the position of a sheet before scanning
    • H04N1/00787Correcting the position of a sheet before scanning using mechanical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1Image rea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93Facsimil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화상독취센서의 상면과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원고를 가압 이송하는 화이트롤러가 개시된다. 이 화이트롤러는, 회전축과, 이 회전축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회전축의 외주에 한 쌍으로 설치된 롤러본체를 구비한다. 이러한 화이트롤러에 의하면, 롤러본체와 화상독취센서 상면과의 접촉 면적이 작으므로 이송되는 원고가 사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White roller of image read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사기 또는 팩시밀리 등과 같은 화상독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White Rolle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독취장치는 공급된 원고에 기록된 화상 정보를 읽은 후 이를 전송하거나 다른 용지에 인쇄하는 장치로서, 도 1에는 이러한 화상독취장치의일례로서 팩시밀리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팩시밀리는 급지대(10)에 적재된 원고를 한 장씩 분리하여 화상형성기 내부로 공급하는 분리롤러(21)와, 공급된 원고를 이송경로를 따라 이송하는 이송롤러(31)와, 원고에 기록된 아날로그 화상정보를 읽어들여 디지털 정보로 변환하는 일명 CIS(Contact Image Sensor)라고도 하는 화상독취센서(40)와, 정보의 독취가 끝난 원고를 화상형성기 외부로 배출하는 배지롤러(61)와, 상기 롤러(21)(31)(61)들을 회전 구동시키는 모터 등의 구동원(미도시)을 구비한다.
화상독취센서(40)의 상부에는 상기 구동원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화이트롤러(50)가 설치된다. 이 화이트롤러(50)는 원고를 가압하며 회전함으로써, 원고를 화상독취센서(40) 상의 독취 위치로 안내함과 동시에 배지롤러(61) 방향으로 이송한다.
한편, 분리롤러(21)의 상부에는 원고가이드(22)가 경사지게 설치된다. 이 원고가이드(22)는 분리롤러(21)의 상부에 가압 접촉됨으로써, 원고가 급지대(10)에 적재될 때 원고의 선단이 계단식으로 정렬되게 한다. 이렇게 정렬된 원고는 분리롤러(21)의 회전에 의해 가장 하단에 위치한 원고부터 한 장씩 추출되어 팩시밀리 내부로 이송된다.
이송롤러(31)의 상부에는 이와 접촉하여 연동 회전되는 백업롤러(32)가 설치된다. 분리롤러(21)에 의해 급지대(10)에서 추출된 낱장의 원고는 이송롤러(31)와 백업롤러(32)가 가압 회전됨으로써 이 롤러(31)(32)들 사이를 통과하여 원고독취센서(40) 방향으로 이송된다.
배지롤러(61)의 상부에도 이와 접촉하여 연동 회전되는 백업롤러(62)가 설치된다. 화상독취센서(40)를 통과한 원고는 배지롤러(61)와 백업롤러(62)가 가압 회전됨으로써, 이 롤러(61)(62)들 사이를 통과하여 팩시밀리 외부로 배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화이트롤러(50)는 상기 구동원과 연결된 금속재의 회전축(51)의 외주에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재질의 롤러본체(5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 롤러본체(52)는 회전축(51)의 양 끝단을 제외한 전장(全長)을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롤러본체(52)의 표면은 백색으로 형성되는데, 이는 화상독취센서(40)에서 원고의 화상정보를 읽을 때, 원고에 흑색 등으로 기록된 문자나 그림 등이 용이하게 읽혀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화이트롤러(50)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즉, 화상독취센서(40)에서 원고로부터 정보를 읽을 때 화이트롤러(50)의 롤러본체(52) 전 구간이 화상독취센서(40)의 상면과 밀착되어 회전하게 되는데, 화상독취센서(40) 상면의 평편도와 롤러본체(52)의 평편도 및 동심도가 균일하지 못한 경우는 화이트롤러(50)와 화상독취센서(40) 사이의 압력분포가 롤러본체(52)의 전구간에서 균일하게 되지 못하여 원고가 사행(Skew)하게 됨으로써 화상독취센서(40)에서 정보의 독취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
또한, 화이트롤러(52)를 성형할 때, 먼저 금속재의 회전축(51)을 가공한 후에 이 회전축(51)에 실리콘 고무를 부착 성형하여 롤러본체(52)를 형성하는데, 이때 성형기의 압력에 의해 회전축(51)의 중앙부가 휘어져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많다.
한편, 회전축(51) 상에 롤러본체(52)를 형성한 다음에는 회전축(51)을 연삭기에 장착하여 롤러본체(52)를 연삭 가공하는데, 이때 연삭숫돌의 압력에 의해 회전축(51) 중심부가 휘어지게 되거나 롤러본체(52)의 중심부가 두껍게 가공됨으로써, 화이트롤러(50)의 동심도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화이트롤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원고와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원고 이송시의 사행을 방지하고, 제조시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화이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화상독취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화이트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롤러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롤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급지대 21 : 분리롤러
31 : 이송롤러 40 : 화상독취센서
61 : 배지롤러 150, 250 : 화이트롤러
151, 251 : 회전축 152, 252 : 롤러본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이트롤러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설치된 롤러본체를 구비하며, 원고를 화상독취센서 상에서 이송하는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롤러본체는 상기 회전축 상에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되되 그 각각은 회전축 선단쪽 외경이 회전축 중앙부쪽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여기서, 상기 롤러본체는 상기 회전축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롤러본체는 외주면과 원고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이트롤러에 의하면, 롤러본체와 화상독취센서 상면과의 접촉 면적이 작으므로 화이트롤러와 화상독취센서 사이의 압력분포가 비교적 균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원고가 화상독취센서 상에서 사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롤러본체들에 의해 원고가 좌우양측으로 잡아당겨진 상태로 이송되기 때문에 화상독취센서 상에서 이송되는 원고의 중앙부에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롤러(150)는, 금속재의 회전축(151)의 외주에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재질의 롤러본체(152)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이 롤러본체(152)는 회전축(151)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회전축(151)의 중앙부는 롤러본체(152)가 결합되지 않아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한편, 롤러본체(152)는 전장을 따라 외경이 균일한 링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화이트롤러(150)에서는, 종래에 비하여 롤러본체(152)와 화상독취센서(40; 도 1 참조)의 상면과의 접촉 면적이 작고, 접촉부가 원고의 양측으로 분산되므로, 화이트롤러(150)와 화상독취센서(40) 사이의 압력분포가 비교적 균일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화상독취센서(40) 상에서 원고가 이송될 때 사행(Skew)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롤러본체(152)와 화상독취센서(40) 상면과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화이트롤러(150)를 구동하는 모터의 토크가 저감되어 원고를 보다 정밀하게 이송할 수 있다.
또한, 회전축(151)의 중앙부에는 롤러본체(152)가 설치되지 않음으로써, 회전축(151) 외주에 실리콘 고무로 롤러본체(152)를 성형하거나, 이후 롤러본체(152)를 연삭 가공할 때, 성형기나 연삭숫돌의 압력에 의한 회전축(151) 중앙부의 변형이 방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화이트롤러(250)는, 제 1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금속재의 회전축(251)의 외주에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재질의 롤러본체(252)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이 롤러본체(252)는 회전축(251)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한 쌍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호 대칭되게 설치된다.
다만, 본 실시예의 화이트롤러(250)는 롤러본체(252) 각각의 양단 외경이 서로 다른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즉, 화이트롤러(250)는 롤러본체(252)의 회전축(251) 선단쪽 외경이 회전축(251) 중앙부쪽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이와 같이 롤러본체(251) 각각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원고는 롤러본체(251)의 외주면 중 롤러본체(251)의 외경이 가장 큰 부분의 외주면에만 접촉되기 때문에, 원고와 롤러본체(251)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면적이 앞서 설명한 제 1 실시예의 경우보다 축소된다. 이에 따라, 상기한 제 1 실시예의 화이트롤러(150)의 경우보다, 화이트롤러(250)와 화상독취센서(40) 사이의 압력이 더욱 균일하게 분포된다. 따라서, 화상독취센서(40) 상에서 이송되는 원고의 사행 방지나, 화이트롤러(250)를 구동하는 모터의 토크가 저감되는 효과는 제 1 실시예보다 더 크게 된다.한편, 롤러본체(251)와 원고의 접촉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면은 롤러본체(251)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축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원고는 상기 접촉면 각 지점에서 서로 다른 크기의 선속도로 회전하는 롤러본체(251)의 외주면의 영향을 받게 된다. 즉, 롤러본체(251)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큰 지점과 접촉되는 원고의 일부가, 롤러본체(251)의 외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지점과 접촉되는 원고의 일부보다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회전하는 롤러본체(251)의 외주면의 영향을 받게 되는 것이다. 이 경우, 원고는 그 이송시 상대적으로 느린 선속도로 회전하는 롤러본체(251)의 외주면으로부터 상대적으로 빠른 선속도로 회전하는 롤러본체(251)의 외주면측으로 가압된다. 복수의 롤러본체(251)가 상호 대칭되게 회전축상에 설치된 본 실시예의 경우, 롤러본체(251)들에 의해 원고는 좌우양측 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된 상태로 화상독취센서(40) 상에서 이송된다. 따라서, 원고의 이송시 그 원고의 중앙부가 구겨짐으로써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롤러본체(152)(252)와 화상독취센서(40) 상면과의 접촉면적, 즉 원고와의 접촉면적이 작으므로, 화이트롤러 (150)(250)와 화상독취센서(40) 사이의 압력분포가 비교적 균일하게 되어 원고 이송시의 사행이 방지된다. 이러한 접촉 면적의 감소에 따라 화이트롤러(150)(250)를 구동하는 모터의 토크가 감소함으로써, 원고를 정밀하게 이송 할 수 있으므로 화상독취센서(40)에서 독취한 화상의 해상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축(151)(251)의 중심부에는 롤러본체(152) (252)를 설치하지 않음으로써, 화이트롤러(150)(250)의 제조시 발생하는 진직도나 동심도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또한, 원고가 롤러본체(151)(251)에 의해 좌우양측으로 가압된 상태로 화상독취센서(40) 상에서 이송되기 때문에 원고의 중앙부가 구겨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외주에 설치된 롤러본체를 구비하며, 원고를 화상독취센서 상에서 이송하는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롤러본체는 상기 회전축 상에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로 설치되되 그 각각은 회전축 선단쪽 외경이 회전축 중앙부쪽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롤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본체는 상기 회전축의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롤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본체의 형상은 외주면과 원고와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이트롤러.
  4. 삭제
KR10-2001-0004297A 2001-01-30 2001-01-30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 KR100419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297A KR100419213B1 (ko) 2001-01-30 2001-01-30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04297A KR100419213B1 (ko) 2001-01-30 2001-01-30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701A KR20020063701A (ko) 2002-08-05
KR100419213B1 true KR100419213B1 (ko) 2004-02-19

Family

ID=2769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297A KR100419213B1 (ko) 2001-01-30 2001-01-30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92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3701A (ko) 2002-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46241B (zh) 记录片材传送装置与图像读取装置
JP7333864B2 (ja) 媒体搬送装置
KR100419213B1 (ko)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
US1011431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N106325015B (zh) 记录介质排出装置与图像形成设备
JP2006001656A (ja) ローラ及びそれを備える給紙装置及び画像読取装置
JPH11230172A (ja) 樹脂製滑り軸受
KR100476779B1 (ko) 화상형성장치용 롤러유닛
JP7419608B2 (ja) 媒体搬送装置
JP2000159375A (ja) 搬送ローラ及びその製造方法
JP5307945B1 (ja) 画像形成装置
JP3747782B2 (ja) 搬送ローラ
KR200147049Y1 (ko)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
JP3611922B2 (ja) 用紙搬送装置
US6446552B1 (en) Stencil mak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0034033A (ja) 用紙搬送装置
JPH04260552A (ja) 画像読取装置
KR20060010415A (ko) 화상형성장치의 용지이송유닛
KR100423547B1 (ko) 반송 롤러
JPH08187900A (ja) サーマルプリンタ
JP3833423B2 (ja) 給紙装置
KR200217904Y1 (ko) 복사기용 용지 피딩장치
JPH0698117A (ja) 画像読取装置
JPH08192935A (ja) 用紙搬送装置
JPH0468753A (ja) 原稿読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