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049Y1 -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049Y1
KR200147049Y1 KR2019960039159U KR19960039159U KR200147049Y1 KR 200147049 Y1 KR200147049 Y1 KR 200147049Y1 KR 2019960039159 U KR2019960039159 U KR 2019960039159U KR 19960039159 U KR19960039159 U KR 19960039159U KR 200147049 Y1 KR200147049 Y1 KR 2001470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rollers
nip
office automation
drive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91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296U (ko
Inventor
세 현 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600391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04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62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2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0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0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H04N1/00559Mounting or support of components o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린터나 복사기 및 팩시밀리와 같은 사무자동화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로울러구동장치에 있어 상호적인 회전을 하는 로울러간의 일정한 닙(NIP)을 형성하도록 고안된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동 및 종동로울러를 이루게 되는 제 1 로울러와 제 2 로울러가 일정한 엇갈림각도만큼 엇갈리게 구성하여 그들이 접촉되는 닙(NIP)량을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함에따라 용지이송의 확실성을 확보하고 사무기기의 정착계나 현상계에서의 토너정착성을 높여 화상품질의 향상이 도모되도록 된 것이다. ( 선택도 : 도 3 과 도 4내지 도 5 )

Description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
도 1은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로울러구동장치로서,
(A)도는 정면도이고,
(B)도는 일측면도이다.
도 2는 다른 종래기술을 설명하는 로울러구동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로울러구동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장치의 일측면도이다.
도면의주요부호에대한부호의설명
100 : 제1로울러 110;210 : 쎈타선
120 : 샤프트 200 :제2로울러
300 : 닙(NIP) θ : 엇갈림각도
[고안의상세한설명]
[고안의목적]
[고안이속하는기술분야및그분야의종래기술]
본 고안은 프린터나 복사기 및 팩시밀리와 같은 사무자동화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무자동화기기에 사용되고 있는 로울러구동장치에 있어 상호적인 회전을 하는 로울러간의 일정한 닙(NIP)을 형성하도록 고안된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자동화기기에서는 용지의 이송이나 또는 토너가 용지상에 확실히 정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한쌍의 로울러를 구비하는 구동장치를 활용하고 있으며, 도 1은 그러한 로울러구동장치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로울러구동장치는 대개 장축의 제1로울러 및 제2로울러(1)(2)로 형성된 것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들 사이로 용지이송을 위한 닙(3)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정한 힘(F1)으로 제 1 로울러(1)를 밀어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힘(F1)이 샤프트(1a) 양측에 작용되도록 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제1로울러(1)의 중앙부(1b)에 휨이 발생되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그러므로 제1로울러(1)가 양가장자리는 닙(3)이 발생하지만 중앙부(1b)는 휨변위량에 의해 닙이 잘 발생하지 않는 결점이 초래되었고, 그로인해 용지의 이송 및 토너정착등과 같은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일정한 힘(F1)에 의한 변형에 따른 닙량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수단이 실시되었으며, 도 2는 그러한 로울러구동장치를 보여준다.
이것은, 제 1 로울러(10)를 크라운(CROWN)처리를하여 크라운로울러를 이루도록한 것이며, 크라운처리는 제1로울러(10)의 양측부 로울러직경(Da)보다 중앙부직경(Db)을 크게 형성하도록 가공처리함을 일컬은다.
그에 따라 제 1 및 제 2 로울러(10)(20)간의 닙(30)을 일정하게 할 수 있으나, 제 1 로울러(10)를 크라운로울러로 가공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정밀도 및 측정등이 어렵고 난이하기 때문에 불량률이 높고 신뢰성이 낮은 문제점이 초래되고 있다.
특히, 구동장치를 이루는 제 1 및 제 2 로울러(10)(20)의 길이가 길수록 더욱 그러하며, 로울러를 이루는 것이 고무로울러일 경우 샤프트(11)에 작용되는 힘(F1)과 중앙부직경(Db) 및 고무재의 압축성 등을 모두 고려하여 그들을 제조하고 설치하여야 하는 까다로움이 따르게 되고, 사무자동화기기제품의 종류 및 규격과 그것의 변형에 따라 거기에 적합하도록 설계 및 제조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문제점과 더불어서 원가상승을 초래하게 하는 문제점으로 야기되고 있다.
[고안이이루고자하는기술적과제]
본 고안은 상기한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한 쌍을 이루는 로울러구동장치에서 로울러간의 중앙부위와 가장자리부위의 닙량이 불일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 쌍을 이루는 로울러구동장치의 제 1 로울러와 제 2 로울러를 일정각도를 가지도록 배치하여 로울러면이 접촉되는 닙이 일정하게 형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고안의구성과작용]
이하,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고안이 실시된 로울러구동장치를 보인 것이다.
제 1 로울러(100)와 제 2 로울러(200)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로울러구동장치는 용지피딩기구나 또는 복사기 및 프린터 등의 정착계, 그리고 현상계 등에 채용되게 되면 그 어느하나가 구동로울러가 되는 한편, 다른 하나는 종동로울러가 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 로울러(100)(200)에 대한 설치구조는 관용기술이므로 도면도시와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고안은 제 1 로울러(100)와 제 2 로울러(200)를 일정한 엇갈림각도(θ)를 가지도록하여 로울러면접촉이 되게 구성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로울러(100)의 쎈타선(110)과 제 2 로울러(200)의 쎈타선(210)이 일정한 엇갈림각도(θ)가 되도록 설치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엇갈림각도(θ)는 실제로 5도 이하게 되도록 하면 로울러면이 상호 접촉되는 닙(300)이 길이방향의 전면에 걸처서 일정하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고안에 따른 닙(300)은 도 3에서 빗금친 사선으로 나타낸것과 같이 길이방향의 전면에 걸처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여기서, 제 1 로울러(100)의 샤프트(120)에 작용되는 힘(F1)과 닙(300)의 형성 관계를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로울러(100)(200)가 소정의 엇갈림각도(θ)를 가지도록 설치되면 그들 로울러는 가장 중앙부위가 정위치에서 면접촉되는 상태가 되고, 아울러서 힘(F1)이 샤프트(120)에 작용되지 않는다고 가정할 때 양측으로 갈수록 면접촉이 점차되지 않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샤프트(120)에 힘(F1)이 작용되게 되면 그것에 의해 중앙부위로부터 떨어진 양측 가장자리부분에 가장 많은 힘(F1)이 작용되어 눌림상태가 되고 그로인해 로울러면간의 확실한 접촉이되기 때문에 도 3의 빗금친사선과 같이 길이 방향의 전면에 걸처서 닙(300)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며, 이것은 즉, 로울러의 외부힘에 의한 변형으로 인하여 중앙부위와 가장자리의 닙(NIP)량 불일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고안에 있어 제품에 적용시킬 때 제 2 로울러(200)를 구동로울러로하여 정위치에 설치되도록 하고, 제 1 로울러(100)를 소정의 엇갈림각도(θ)를 가지도록하여 종동로울러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안의효과]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로울러를 일정각도만큼 엇갈리게 설치하게 되면 동일한직경의 평로울러에서도 기존의 크라운 가공처리한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므로 로울러구동장치의 제1 및 제2로울러 사이의 닙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게 되므로서 용지 이송의 신뢰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고안에 의해 로울러간의 닙량을 일정하게 확보하므로서 용지이송의 정확성과 정착계 및 현상계등에서의 토너정착성을 높이고 그로인한 화상품질의 향상을 도모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2)

  1. 동일한 직경을 가지는 평로울러로 형성된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를 구비하고 상기 제1로울러의 샤프트에 제2로울러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제1로울러와 제2로울러의 길이방향 쎈타선이 소정의 엇갈림각도(θ)를 가지도록 설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로울러의 엇갈림각도(θ)가 5도 이하로 구성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
KR2019960039159U 1996-11-08 1996-11-08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 KR2001470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159U KR200147049Y1 (ko) 1996-11-08 1996-11-08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9159U KR200147049Y1 (ko) 1996-11-08 1996-11-08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296U KR19980026296U (ko) 1998-08-05
KR200147049Y1 true KR200147049Y1 (ko) 1999-06-15

Family

ID=1947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9159U KR200147049Y1 (ko) 1996-11-08 1996-11-08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0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296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472B2 (en) Sheet skew correc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301712B1 (ko) 밸트이동교정부재를갖는밸트구동장치
US7424258B2 (en) Transfer device and image forming device that include a transfer assisting blade having a slant portion for abutting a recording medium
US8308159B1 (en) Multi-planed media aligner
KR100461590B1 (ko) 화상형성기기의 용지이송장치
US11679948B2 (en) Sheet aligning mechanism
KR200147049Y1 (ko) 사무자동화기기의 로울러구동장치
EP0441258B1 (en) Sheet feeding mechanism for printing apparatus
US20200310322A1 (en) Sheet aligning mechanism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6239864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paper positioning device
US2003006392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lateral motion of a transfer belt of a laser printer
US6782237B2 (en) Shape-correcting device for sheets and electrophotographic device
JP4702935B2 (ja) 画像形成装置
JP3571864B2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3611922B2 (ja) 用紙搬送装置
JP3810811B2 (ja) 用紙搬送装置
JP3620770B2 (ja) 用紙搬送装置およびその用紙搬送装置を用いたファクシミリ装置
JP2883916B2 (ja) 画像形成装置
JP3466882B2 (ja) 用紙幅方向補正機構
KR100419213B1 (ko) 화상독취장치의 화이트롤러
JPS6037569Y2 (ja) 静電記録装置
JP2586375Y2 (ja) 画像形成装置の記録紙給送装置
KR100358343B1 (ko) 화상형성장치의 감광드럼 오염방지 장치
JP2000095393A (ja) 給紙装置
KR930006245Y1 (ko)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