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324B1 - 디스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324B1
KR100417324B1 KR10-2001-0058247A KR20010058247A KR100417324B1 KR 100417324 B1 KR100417324 B1 KR 100417324B1 KR 20010058247 A KR20010058247 A KR 20010058247A KR 100417324 B1 KR100417324 B1 KR 100417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turntable
contact member
stat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8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23143A (ko
Inventor
이나타마사히로
다키자와데루유키
사지요시토
니시노유키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23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23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means provided on the turntable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가 위치될 표면을 가지며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턴테이블 (turntable);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턴테이블상에 디스크를 유지하는 제1 상태 및 그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는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 제1 접촉 부재; 및 서로에 대해 제1 접촉 부재 및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크 장치{Disc apparatus}
본 발명은 예를 들어, CD 또는 DVD와 같은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스크의 자동적인 설치 또는 제거를 위해 컴퓨터 또는 가정용 비디오 장치의 주변 디바이스로 사용되는 감소된 두께의 디스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컴퓨터의 크기 및 두께가 감소됨에 따라, 예를 들어 컴퓨터에 포함되는 CD-ROM 드라이브와 같은 디스크 장치가 또한 그 크기 및 두께를 감소시키도록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CD 또는 DVD와 같은 제거가능한 디스크형 기록 매체를 기록 또는 재생하기 위한 디스크 장치에서는 디스크를 교환하기 위해 디스크가 배치되는 턴테이블 (turntable)에 디스크를 설치하거나 그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된다. 초기 동작에서는 사용자의 수동 동작을 요구하지 않고 디스크를 자동적으로 설치 또는 제거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크 장치가 요구된다.
종래에는 디스크의 자동 설치 및 제거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디스크가 운송 메카니즘에 의해 운송된 이후에, 디스크는 디스크 아래에 있는 턴테이블 및 디스크 위에 있는 클램퍼 (clamper)로 디스크를 유지시킴으로서 설치 또는 제거된다. 클램퍼는 디스크를 유지시키기 위한 클램핑 부재이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디스크 장치는 일본 공개 공보 No. 10-116458에 의해 설명된다. 이 공보 내용에서 설명되는 디스크 장치는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디스크는 장착 메카니즘에 의해 턴테이블로 운송되어 턴테이블에 배치된다. 이어서, 자기성 본체를 포함하는 클램핑 부재는 클램핑 부재의 자기력을 사용하여 디스크 위로부터 턴테이블에 디스크를 압착시킨다. 자기력에 대해, 클램핑 부재 또는 턴테이블은 디스크로부터 분리된다. 그래서, 디스크가 제거된다.
일본 공개 공보 No. 11-31350은 다음과 같이 디스크를 제거하는 디스크 장치를 설명한다. 디스크는 장착 메카니즘에 의해 턴테이블로 운송되어 턴테이블에 배치된다. 이어서, 클램핑 부재는 디스크 위에서부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디스크에 압착되고, 그에 의해 디스크를 턴테이블에 유지시킨다. 클램핑 부재나 턴테이블은 탄성력을 제거하도록 이와 같은 방향으로 디스크에서 분리되고, 그에 의해 디스크를 제거한다.
그러나, 상술된 종래의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를 자동적으로 설치 또는 제거하도록 디스크의 상단 표면에 제공되는 특정한 두께를 갖는 클램핑 (클램퍼)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디스크 장치의 두께를 감소시키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한 특성에 따라,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가 배치되고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표면을 갖는 턴테이블 (turntable);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턴테이블상의 디스크를 유지하는 제1 상태 및 그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는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 제1 접촉 부재; 및 서로에 대해 제1 접촉 부재 및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이동 메카니즘은 제1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하도록 제1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제1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할 때, 이동 메카니즘은 제1 접촉 부재가 턴테이블쪽으로 디스크를 압착시키는 방향에서 디스크에 힘을 인가하도록 동작하여, 제2 상태의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을 제1 상태로 배치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1 접촉 부재는 고정된 위치에 있고, 이동 메카니즘은 제1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턴테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이동 메카니즘은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이 시간 t1에 제2 상태에 있도록 제1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은 시간 t1이후의 시간 t4에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하고, 또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은 시간 t4이후의 시간 t5에 제1 상태에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디스크는 내부 영역을 포함하고, 제1 접촉 부재는 디스크의 내부 영역과 접촉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장치는 또한 외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제1 접촉 부재는 외부 케이스의 일부에 제공되는 돌출부 (projection)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돌출부은 고리 형상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1 접촉 부재는 디스크 장치를 수용하는 정보 디바이스의 일부에 제공되는 돌출부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돌출부은 고리 형상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내부 영역은 비기록 영역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장치는 또한 그들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통해 턴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상승 및 하강 베이스 (base)를 포함한다. 이동 메카니즘은 상승 및 하강 베이스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서 턴테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탄성체는 디스크 장치의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진동 완화 부재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1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할 때, 턴테이블은 실질적으로 제1 접촉 부재에 평행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1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할 때, 턴테이블은 제1 접촉 부재에 대해 소정의 각도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성에 따라,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가 배치되고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표면을 갖는 턴테이블;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턴테이블상의 디스크를 유지하는 제1 상태 및 그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는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 제2 접촉 부재; 및 서로에 대해 제2 접촉 부재 및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메카니즘을 포함한다.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이동 메카니즘은 제2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하도록 제2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제2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할 때, 이동 메카니즘은 제2 접촉 부재가 턴테이블로부터 멀어지게 디스크를 분리하는 방향에서 디스크에 힘을 인가하도록 동작하여, 제1 상태의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을 제2 상태로 배치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제2 접촉 부재는 고정된 위치에 있고, 이동 메카니즘은 제2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턴테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이동 메카니즘은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이 시간 t7에 제1 상태에 있도록 제2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은 시간 t7이후의 시간 t8에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변하고, 또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은 시간 t8이후의 시간 t9에 제1 상태에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디스크는 모두 비기록 영역인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을 포함하고, 제2 접촉 부재는 디스크의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 중 하나와 접촉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장치는 또한 외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제2 접촉 부재는 외부 케이스의 일부에 제공되는 돌출부이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장치는 또한 그들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통해 턴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상승 및 하강 베이스를 포함한다. 이동 메카니즘은 상승 및 하강 베이스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서 턴테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킨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탄성체는 디스크 장치의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진동 완화 부재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장치는 또한 적어도 또 다른 제2 접촉 부재를 포함한다.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은 다수의 유지 클로 (claw)를 포함하고, 적어도 2개의 제2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할 때, 다수의 유지 클로는 적어도 2개의 제2 접촉 부재가 회전축 주위에서 제공되는 각도와 다른 각도로 회전축 주위에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다수의 결합 클로는 중심으로 회전축을 갖는 원에서 동일한 거리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 아래에 있는 턴테이블과 함께 디스크를 유지하도록 디스크의 상단 표면에 제공되는 클램퍼 (clamper)를 사용하지 않고디스크를 자동적으로 설치 또는 제거한다.
그러므로, 구성 요소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디스크 장치의 두께는 클램퍼의 두께 만큼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기서 설명되는 본 발명은 디스크의 상단 표면에 있는 클램퍼 또는 클램핑 부재를 요구하지 않고 자동 디스크 설치 및 제거 메카니즘을 갖는 간결하고 얇은 디스크 장치를 제공하는 이점을 가능하게 만든다.
본 발명의 이러한 이점 및 다른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읽고 이해하면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게 명백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예에 따라 디스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확대된 동일 크기의 도면.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디스크가 턴테이블 (turntable)상에 설치되기 이전에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턴테이블상에 디스크를 설치하는 동작의 중간에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턴테이블상에 디스크를 설치하는 동작의 중간에 디스크가 제1 접촉 부재와 접촉한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디스크가 턴테이블상에 설치된 이후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디스크가 회전가능하게 턴테이블상에 설치된 이후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8a 및 도 8b는 다른 두께를 갖는 디스크가 제1 접촉 부재와 접촉하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9는 턴테이블로부터 디스크를 제거하는 동작의 중간에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턴테이블로부터 디스크가 제거된 이후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a 및 도 11b는 디스크의 외부 비기록 영역과 접촉하도록 제공된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제2 접촉 부재(225)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예에 따른 디스크 장치의 구조를 설명하는 확대된 동일 크기의 도면.
도 13은 디스크가 턴테이블에 설치되기 이전에 디스크가 소정의 각도로 제1 접촉 부재와 접촉하는 도 12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a 및 도 14b는 디스크가 소정의 각도로 제1 접촉 부재와 접촉하게 놓일 때 도 12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의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의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a 및 도 15b는 단 하나의 제2 접촉 부재를 갖는 구조에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의 유지 클로 (holding claw)와 제2 접촉 부재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a의 상태에서 턴테이블로부터 디스크를 제거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a 및 도 17b는 3개의 유지 클로가 동일 거리로, 즉 턴테이블의 회전축에 대해 120도로 제공되고, 2개의 제2 접촉 부재가 턴테이블의 회전축에 대해 90도도 제공되는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의 유지 클로와 제2 접촉 부재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도 18은 기계적인 디바이스 및 비기계적인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턴테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동작을 설명하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상승 및 하강 베이스 40 : 진동 완화 부재(탄성체)
110 : 턴테이블 120 :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
122 : 유지 클로 123 : 탄성 부재
215 : 제1 접촉 부재 220 : 하단 케이스
225 : 제2 접촉 부재 300 : 이동 메카니즘
이후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주어진 예를 통해 본 발명이 설명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따라 디스크 장치(1000)의 구조를 도시하는 확대된 동일 크기의 도면이다.
디스크 장치(1000)는 턴테이블 (turntable)(110), 턴테이블(110)상에 제공되는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 디스크(10)를 설치하는데 사용되는 제1 접촉 부재(215) (디스크 설치 부재(215)), 및 디스크(10)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제2 접촉 부재(225) (디스크 제거 부재(225))를 포함한다.
턴테이블(110)은 디스크(10)가 배치되고 회전축(A)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표면을 갖는다.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은 허브 (hub)(121), 유지 클로 (claw)(122), 및각 유지 클로(122)를 장착하기 위한 탄성 부재(123)를 포함한다.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은 회전축(A)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턴테이블(110)상이 디스크(10)를 유지시키는 제1 상태, 및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다. 제2 상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되어 추후 설명된다. 허브(121)는 디스크(10)의 중앙 홀 (hole)과 맞물릴 수 있다. 디스크(10)는 유지 클로(122)와 탄성 부재(123)에 의해 턴테이블(110)상에 유지된다.
제1 예에서, 제1 접촉 부재(215)는 디스크 장치(1000)의 외부 케이스 일부인 상단 케이스(210)의 일부에 제공되는 고리 형상의 돌출부 (projection)이다. 제1 접촉 부재(215)는 디스크(10)의 내부 비기록 영역과 접촉가능하다. 제1 접촉 부재(215)는 디스크(10)를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으로 유도하는 경사로(230)에 연결된다. 경사로(230)에 인하여, 디스크 전달 수단 부재 (도시되지 않은)는 턴테이블(110) 위의 적절한 위치로 디스크(10)를 매끄럽게 유도한다. 제1 접촉 부재(215)는 이러한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디스크(10)의 내부 비기록 영역과 접촉가능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제1 예에서, 제2 접촉 부재(225)는 디스크 장치(1000)의 외부 케이스 일부인 하단 케이스(220)에 제공되는 막대형 돌출부이다. 제2 접촉 부재(225)는 디스크(10)의 내부 비기록 영역 또는 외부 비기록 영역과 접촉가능하다. 제2 접촉 부재(225)는 이러한 형태로 제한되지 않고, 디스크(10)의 내부 비기록 영역 또는 외부 비기록 영역과 접촉가능한 임의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디스크 장치(1000)는 또한 턴테이블(110)과 제1 접촉 부재(215) 또는 제2 접촉 부재(225)를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 메카니즘(300) (도 3 내지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을 포함한다. 이동 메카니즘(300)은 턴테이블(110), 제1 접촉 부재(215), 또는 제2 접촉 부재(225)를 이동시키거나, 턴테이블(110) 및 제1 접촉 부재(215) 또는 제2 접촉 부재(225) 모두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 메카니즘(300)은 바람직하게 턴테이블(1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한 상승 및 하강부이다. 이동 메카니즘(300)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이동 메카니즘(300)은 제1 접촉 부재(215)가 디스크(10)와 접촉하도록 제1 접촉 부재(215)에 대해 턴테이블(110)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제1 접촉 부재(215)가 디스크(10)와 접촉한 이후에, 이동 메카니즘(300)은 계속하여 제1 접촉 부재(215)에 대해 턴테이블(110)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그래서, 제1 접촉 부재(215)는 턴테이블(110)쪽으로 디스크(10)를 압착시킨다. 이 방식으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은 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화된다.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이동 메카니즘(300)은 제2 접촉 부재(225)가 디스크(10)와 접촉하도록 제2 접촉 부재(225)에 대해 턴테이블(110)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제2 접촉 부재(225)가 디스크(10)와 접촉한 이후에, 이동 메카니즘(300)은 계속하여 제2 접촉 부재(225)에 대해 턴테이블(110)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킨다. 그래서, 제2 접촉 부재(225)는 턴테이블(110)로부터 멀어지게 디스크(10)를 누른다. 이 방식으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은 제1 상태에서 제2 상태로 변화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장치(1000)는 또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을 갖는 턴테이블(110)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 (spindle motor)(100), 스핀들 모터(100)를 지지하기 위한 스핀들 모터 지지판(20), 턴테이블(110)을 지지하기 위한 상승 및 하강 베이스 (base)(30), 및 스핀들 모터 지지판(20)을 지지하기 위한 진동 완화 부재(40) (탄성체)를 포함한다. 진동 완화 부재(40)는 예를 들어, 고무와 같은 탄성 물질로 형성된다. 상승 및 하강 베이스(30)는 턴테이블(110)을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해 이동 메카니즘(300)에 의해 화살표(10A)의 방향으로 상승되고 화살표(10B)의 방향으로 하강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1000)에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2a는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에 설치되기 이전에, 또는 턴테이블(110)에서 디스크(10)가 제거된 직후에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b는 디스크(10)를 턴테이블(110)에 설치하거나 디스크(10)를 제거하는 동작 중간에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2c는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에 설치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의 상태를 도시한다.
제1 상태는 도 2c에 도시된 상태를 칭하고, 제2 상태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상태를 칭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1을 참고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은허브(121), 유지 클로(122), 및 탄성 부재(123)를 포함한다. 허브(121)는 디스크(10)를 유도하도록 디스크(10)의 중앙 홀과 맞물릴 수 있다. 각 유지 클로(122)는 허브(121)의 외부 주변 표면으로부터 나오는 방향 (화살표(120A)로 나타내진) 및 허브(121)의 외부 주변 표면 쪽으로 복귀되는 방향 (화살표(120B)로 나타내진)으로 이동가능하다. 각 유지 클로(122)는 탄성 부재(123)에 연결된다. 유지 클로(122)가 허브(121)로 유도되는 디스크(10)의 중앙 홀과 맞물릴 때, 탄성 부재(123)는 화살표(120A) 방향으로 유지 클로(122)를 장착시키고, 그에 의해 디스크(10)를 턴테이블(110)에 압착시킨다.
디스크(10)를 턴테이블(110)에 설치하거나 그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의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비록 간략하도록 다음 설명에서는 한 유지 클로(122) 및 한 탄성 부재(123)가 설명되지만, 다른 유지 클로(122) 및 다른 탄성 부재(123)도 똑같은 방식으로 동작된다.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10) 위에 있는 디스크(10)는 화살표(10B) 방향으로 눌려진다. 디스크(10)의 중앙 홀이 허브(121)에 의해 유도되어 맞물려질 때, 탄성 부재(123)는 화살표(120B) 방향으로 유지 클로(122)를 수축시키도록 압력이 가해진다. 그래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가 유지 클로(122)를 통과한다. 디스크(10)가 도 2b에 도시된 상태에서 화살표(10B) 방향으로 더 눌려질 때, 탄성 부재(123)는 압축 상태로부터 풀어져, 유지 클로(122)를 화살표(120A) 방향으로 내보내고 디스크(10)의 중앙 홀과 맞물린다. 그래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가 탄성 부재(123)의 장착력에 의해턴테이블(110)에 압착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10)는 턴테이블(110)상에 완전히 설치된다.
디스크(10)는 다음과 같이 반대 동작을 실행함으로서 턴테이블(110)에서 제거된다. 도 2c 상태의 디스크(10)가 화살표(10A) 방향으로 눌려질 때, 디스크(10)는 도 2b의 상태로 이동되고, 이어서 도 2a의 상태로 이동된다. 그래서, 디스크(10)는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으로부터 풀려져 턴테이블(110)에서 제거된다.
도 3 내지 도 7, 도 8a, 및 도 8b를 참고로, 턴테이블(110)에 디스크(10)를 설치하기 위한 디스크 장치(1000)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3은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에 설치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한다. 도 4는 디스크(10)를 턴테이블(110)에 설치하는 동작의 중간 상태를 도시한다. 도 5는 디스크(10)를 턴테이블(110)에 설치하는 동작의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디스크(10)가 제2 접촉 부재(215)와 접촉한다. 도 6은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7은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디스크(10)가 회전가능하다. 도 8a 및 도 8b는 다른 두께를 갖는 디스크 (1010, 2010)가 제1 접촉 부재(215)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을 참고로, 디스크(10)는 디스크 전달 수단 (도시되지 않은)에 의해 운송된 이후 턴테이블(110) 위에 위치한다. 이 지점에서, 디스크(10)의 중앙 홀의 중심선은 실질적으로 허브(121)의 중앙선과 정합된다. 이 지점의 시간은 t1으로 정의되고, 턴테이블(110)의 상단 표면에서 하단 케이스(220)까지의 높이는 h1이라 정의된다. 턴테이블(110)은 이동 메카니즘(300)에 의해 화살표(10A) 방향으로 상승된다. 이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이동 메카니즘(120)의 디스크 유지 클로(122)는 디스크(10)의 하단 표면과 접촉한다. 이 지점의 시간은 t2로 정의되고, 턴테이블(110)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하단 케이스(220)까지의 높이는 h2라 정의된다.
턴테이블(110)이 더 상승됨에 따라, 디스크(10)는 유지 클로(122)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승된다. 이어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의 상단 표면은 제1 접촉 부재(215)와 접촉한다. 이 지점의 시간은 t3로 정의되고, 턴테이블(110)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하단 케이스(220)까지의 높이는 h3라 정의된다. 턴테이블(110)은 더 상승된다. 비록 디스크(10)가 제1 접촉 부재(215)에 의해 화살표(10A) 방향에서 더 위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지만, 턴테이블(110)은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이 디스크(10)의 중앙 홀을 통과하므로 더 상승된다. 턴테이블(110)이 상승되는 동안, 제1 접촉 부재(215)는 턴테이블(110)에 디스크(10)를 계속하여 압착시킨다. 이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 부재(123)에 의해 장착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의 유지 클로(122)는 디스크(10)의 중앙 홀과 맞물린다. 이와 같이,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에 완전히 설치된다. 이 지점의 시간은 t4로 정의되고, 턴테이블(110)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하단 케이스(220)까지의높이는 h4라 정의된다.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상에 완전히 설치될 때, 턴테이블(110)은 이동 메카니즘(300)으로 턴테이블(110)이 제1 접촉 부재(215) 또는 제2 접촉 부재(225)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하강된다. 그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에 의해 유지되는 디스크(10)는 턴테이블(110)과 함께 회전가능하다. 이 지점의 시간은 t5로 정의되고, 턴테이블(110)의 상단 표면에서 하단 케이스(220)까지의 높이는 h5라 정의된다.
디스크 장치(1000)는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 및 하강 베이스(30)에 진동 완화 부재(40)를 제공함으로서 특정하게 턴테이블(10)상에 다른 두께를 갖는 디스크를 설치할 수 있다 (t1내지 t4의 동작). 진동 완화 부재(40)는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하다. 도 8a는 두께가 약 1.1mm인 상대적으로 얇은 디스크(1010)가 제1 접촉 부재(215)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8b는 두께가 약 1.5mm인 상대적으로 두꺼운 디스크(2010)가 제1 접촉 부재(215)와 접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두께를 갖는 디스크가 제1 접촉 부재(215)와 접촉할 때, 디스크의 바닥 표면으로부터의 높이, 즉 턴테이블(110)의 상단 표면에서 하단 케이스(220)까지의 높이 (도 8a의 T1 및 도 8b의 T2)는 다르다.
제1 예에서, 스핀들 모터 지지판(20)은 그 사이에 삽입된 진동 완화 부재(40)를 통해 상승 및 하강 베이스(30)에 의해 지지된다. 턴테이블(110)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하단 케이스(220)까지의 높이는 진동 완화 부재(40)의 탄성적인 변형으로 변화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디스크는 상승 및 하강 베이스(30)를 하단 케이스로부터 균일한 높이 (h6)에 설정함으로서 그 두께에 관계없이 턴테이블(110)상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크(10)의 두께 이외에 크기가 분산되는 경우 (예를 들어, 디스크 장치(100)의 높이에서의 제작 에러), 턴테이블(110)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하단 케이스(220)까지의 높이는 유사한 방식으로 진동 완화 부재(40)의 탄성적인 변형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즉, 진동 완화 부재(40)의 탄성적인 변형은 디스크 장치의 높이 또는 디스크의 두께에서 크기 분산을 흡수한다. 그러므로, 디스크는 특정하게 턴테이블(110)에 설치되어 압착될 수 있다. 진동 완화 부재(40)는 또한 디스크 장치(1000)의 진동을 완화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예에서는 턴테이블(110)이 상승되고 디스크(10)가 제1 접촉 부재(215)에 압착된다. 이 방식으로, 디스크(10)는 턴테이블(110)상에 설치된다.
도 7, 도 9, 및 도 10을 참고로, 턴테이블(110)에서 디스크(10)를 제거하기 위한 디스크 장치(1000)의 동작이 설명된다.
도 7은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상에 설치되어 디스크(10)가 회전가능한 상태, 즉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로부터 제거되기 이전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9는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거하는 동작의 중간 상태를 도시한다. 도 10은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다.
디스크(10)는 턴테이블(110)상에 디스크(10)를 설치하는 동작과 반대되는 동작을 실행함으로서 턴테이블(110)에서 제거된다.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거하는 동작이 시작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는 턴테이블(110)과 함께 회전가능하고, 제2 접촉 부재(225)와 접촉되지 않는다. 이 지점의 시간은 t7로 정의되고, 턴테이블(110)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하단 케이스(220)까지의 높이는 h7라 정의된다. 높이 h7는 실질적으로 높이 h3과 똑같다. 이 상태에서, 턴테이블(110)은 이동 메카니즘(300)에 의해 화살표(10B) 방향으로 하강된다. 이어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는 제2 접촉 부재(225)와 접촉된다. 이 지점의 시간은 t8로 정의되고, 턴테이블(110)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하단 케이스(220)까지의 높이는 h8라 정의된다.
디스크(10)가 더 하강됨에 따라, 제2 접촉 부재(225)는 턴테이블(110)로부터 멀어지게 디스크(10)를 상대적으로 누른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의 유지 클로(122)는 디스크(10)의 중앙 홀로부터 연결이 풀린다. 그래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로부터 제거된다. 이 지점의 시간은 t9로 정의되고, 턴테이블(110)의 상단 표면으로부터 하단 케이스(220)까지의 높이는 h9라 정의된다.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거하는 동작에서, 턴테이블(110)은 디스크(10)를 턴테이블(110)에 설치하는 동작과 정확히 반대되는 방식으로 이동된다.그러므로, 턴테이블(110)이 도 7의 상태에서 하강될 때, 턴테이블(110)은 디스크(10)를 제1 접촉 부재(215)와 접촉하게 놓도록 일시적으로 상승되고, 그 직후에 턴테이블(110)은 하강된다. 턴테이블(110)을 일시적으로 상승시키는 것은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거하는 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동 메카니즘(300)인 기계적인 디바이스 대신에 전기적인 디바이스 (예를 들면, 컴퓨터)인 비기계적인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서 제거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루브 (groove) 프로파일을 사용하여 턴테이블(30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기계적인 디바이스와 반대로, 비기계적인 디바이스는 도 18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경로로 턴테이블(10)을 하강시킨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예에서는 턴테이블(110)이 하강되고 디스크(10)가 제2 접촉 부재(225)에 압착된다. 이 방식으로, 디스크(10)는 턴테이블(110)로부터 제거된다.
상기 설명에서, 제2 접촉 부재(225)는 디스크(10)의 내부 비기록 영역과 접촉하도록 제공된다. 도 11a 및 도 11b는 디스크(10)의 외부 비기록 영역(13)과 접촉하도록 제공된 제2 접촉 부재(225)를 도시한다. 도 11a에서, 제2 접촉 부재(225)는 하단 케이스(220)에 고정된다. 도 11b에서, 디스크(10)의 외부 비기록 영역(13)을 유도하기 위한 디스크 유도 부재는 또한 제2 접촉 부재(225)로 동작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접촉 부재(225)를 디스크(10)의 외부 비기록 영역(13)과 접촉하게 놓는 구조에서도, 디스크(10)가 제2 접촉부재(225)에 의해 화살표(10B)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턴테이블(110)이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하강될 때, 디스크(10)는 제2 접촉 부재(225)에 의해 화살표(10A) 방향에서 상대적으로 상승된다.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구조에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은 디스크(10)의 내부 비기록 영역과 접촉하는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되어, 디스크(10)를 턴테이블로부터 제거한다. 디스크(10)의 외부 비기록 영역(13)을 유도하기 위한 디스크 유도 부재로 동작하는 제2 접촉 부재(225)는 또한 예를 들어, 핀 (pin)이나 트레이 (tray)와 같은 디스크 전달 수단이 될 수 있다.
제1 예에서는 제1 접촉 부재(215)가 상단 케이스(210)상에 제공되지만,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접촉 부재(215)는 디스크 장치(1000)를 수용하기 위한 정보 디바이스 일부에 제공되는 돌출부이 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접촉 부재(215)는 상술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제1 예에서, 제1 접촉 부재(215)는 디스크(10)의 내부 비기록 영역과 접촉가능하도록 제공되지만,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크 전달 수단이 제1 접촉 부재(215)로 작용하여, 제1 접촉 부재(215)가 디스크(10)의 외부 비기록 영역(13)과 접촉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똑같은 효과가 주어진다.
제1 예에서, 제1 접촉 부재(215)는 고리 형상의 돌출부이지만,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접촉 부재(215)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돌출부이 되거나 다수의 접촉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똑같은 효과가 주어진다.
제1 예에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은 디스크(10)와 다수의 유지 클로(122)를 맞물림으로서 턴테이블(110)상에 디스크(10)를 유지시키지만,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크(10)는 원형 부재나 고리 형상의 탄성체로 턴테이블(110)상에 유지될 수 있다.
제1 예에서, 턴테이블(10)은 디스크 장치(1000)의 진동을 완화시키는데 또한 사용되는 진동 완화 부재(40)를 사용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지만,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턴테이블(110)은 코일 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실시예 2)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장치(2000)의 구조를 설명하는 확대된 동일 크기의 도면이다. 도 1을 참고로 설명된 동일 소자는 똑같은 참고번호를 갖고,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디스크 장치(2000)는 주로 다음과 같은 점에서 도 1에 도시된 디스크 장치(1000)와 다르다.
(1) 턴테이블(110)이 디스크(10)를 제1 접촉 부재(215)와 접촉하게 놓도록 상승 및 하강 베이스(30)와 함께 디스크(10)의 표면에 대해 수직으로 화살표(10A) 방향에서 상승될 때, 턴테이블(110) ( 및 상승 및 하강 베이스(30)은 제1 접촉 부재(215)에 대해 각도 θ로 기울어진다. (2) 2개의 제2 접촉 부재 (225a, 225b)가 회전축(A)에 대해 90도의 간격으로 제공된다.
도 3, 도 6, 도 7, 도 13, 도 14a, 및 도 14b를 참고로, 턴테이블(110)에 디스크(10)를 설치하기 위한 디스크 장치(2000)의 동작이 설명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도 3은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에 설치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은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또한 도 7은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에 설치되어 디스크(10)가 회전가능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에 설치되기 이전 상태를 도시하고, 여기서는 턴테이블(110)이 소정의 각도 θ로 제1 접촉 부재(215)에 대해 기울어지므로, 디스크(10)가 소정의 각도 θ로 제1 접촉 부재(215)와 접촉한다. 도 14a 및 도 14b는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에 의해 소정의 각도 θ로 제1 접촉 부재(215)와 접촉하게 놓일 때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의 동작을 도시한다. 도 14a는 유지 클로(122a)가 쑥 들어가기 시작할 때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14b는 유지 클록(122b)가 쑥 들어가기 시작할 때의 상태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는 제1 예에서와 같이 디스크 운송 디바이스 (도시되지 않은)에 의해 운송된 이후에 턴테이블(110) 위에 위치한다. 이 지점에서, 디스크(10)의 중앙 홀의 중앙선은 실질적으로 허브(121)의 중앙선과 정합한다. 이 상태로부터, 턴테이블(110)은 소정의 각도 θ로 디스크(10)의 표면에 대해 기울어진 자세로 화살표(10A) 방향에서 이동 메카니즘(300)에 의해 상승된다. 이어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의 유지 클로(122) (122a)는디스크(10)의 바닥 표면과 접촉한다. 턴테이블(110)이 더 상승됨에 따라, 디스크(10)는 유지 클로(122)와 접촉을 유지하면서 상승된다. 이어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의 상단 표면은 제1 접촉 부재(215)와 접촉한다.
턴테이블(110)은 소정의 각도 θ로 디스크(10)의 표면에 대해 기울어져 더 상승된다. 비록 디스크(10)가 제1 접촉 부재(215)에 의해 화살표(10A) 방향으로 더 상향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지만, 턴테이블(110)은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이 디스크(10)의 중앙 홀을 통과하므로 더 상승된다. 이 지점에서,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유지 클로(122) 중에서 디스크(10)와 이미 접촉된 하나의 유지 클로(122a)는 탄성체(123)의 장착력에 대해 화살표(120B) 방향으로 쑥 들어가기 시작한다. 각 탄성체(123)에 의해 아직까지 장착된 다른 유지 클로 (122b, 122c)는 들어가지 않는다. 이어서, 턴테이블(110)은 턴테이블(110)의 경사각을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계속 상승된다. 이어서,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클로(122a)가 완전히 들어가고, 유지 클로 (122b, 122c)가 탄성력(123)의 장착력에 대해 화살표(120B) 방향으로 쑥 들어가기 시작한다. 그래서, 유지 클로(122a)가 완전히 들어간 이후에는 유지 클로 (122b, 122c)만을 밀어넣는 힘이 작동된다. 이 방식으로, 유지 클로 (122a, 122b, 122c)를 밀어넣는데 요구되는 힘은 유지 클로(122a)를 밀어넣기 위한 힘과 유지 클로 (122b, 122c)를 밀어넣기 위한 힘으로 나뉜다. 그 결과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을 동작시키는데 요구되는 힘이 감소된다.
상기 동작 이후에,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은 디스크(10)의 중앙 홀을 통과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 케이스(220)로부터 높이 h4를 갖도록 상승된다. 이어서, 디스크(10)는 턴테이블(110)에 압착되어 설치된다. 예를 들어, 디스크(10)의 두께나 디스크 장치(2000)의 높이에 크기 분산이 있는 경우에도, 디스크(10)는 제1 예에서와 같이 진동 완화 부재(40)의 탄성 변형에 의해 특정하게 턴테이블(110)상에 설치될 수 있다.
디스크(10)가 턴테이블(110)상에 설치된 이후에, 턴테이블(110)은 턴테이블(110)이 제1 접촉 부재(215) 또는 제2 접촉 부재(225)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 메카니즘(300)에 의해 저하된다. 그래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에 의해 유지되는 디스크(10)는 턴테이블(110)과 함께 회전가능하다.
상술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110)은 디스크(10)를 제1 접촉 부재(110)와 접촉하게 놓도록 소정의 각도로 디스크(10)의 표면에 대해 기울어진 위치로 상승된다. 이 방식으로, 디스크(10)는 턴테이블(110)에 유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제2 예에서는 제1 예와 다르게, 탄성체(123)의 장착력에 대해 모든 유지 클로(122)를 동시에 밀어넣기 위한 힘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을 동작시키기 위한 힘, 즉 턴테이블(110)에 디스크(10)를 유지 및 설치하기 위한 힘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유지 클로(122)가 먼저 들어가고, 이어서 다른 2개의 유지 클로가 들어간다. 다른 방법으로, 2개의 유지 클로가 먼저 들어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또한 모든 유지 클로를 밀어넣기 위한 힘이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120)을 동작시키기 위한 힘을 감소시키도록 분할된다.
다음에는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거하기 위한 디스크 장치(2000)의 동작이 설명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2 예에서는 2개의 제2 접촉 부재 (225a, 225b)가 회전축(A)에 대해 90도의 간격으로 제공된다. 이점을 제외하고,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거하는 동작은 제1 예와 유사하다.
도 15a 및 도 15b는 단 하나의 제2 접촉 부재(225)만을 갖는 구조에서 제2 접촉 부재(225)와 3개의 유지 클로(122) (122a, 122b, 122c) 사이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유지 클로 (122a, 122b, 122c)는 동일한 간격으로, 즉 120도의 간격으로, 회전축(O)을 중심으로 갖는 원에 제공된다. 도 15a에서, 제2 접촉 부재(225)의 위치는 회전축(O)을 갖는 턴테이블(110)의 반지름 방향에서 유지 클로 중 하나 (본 예에서는 122a)의 위치와 정합된다. 도 15b에서는 유지 클로 (122a, 122b, 122c) 중 어떠한 것의 위치도 턴테이블(110)의 반지름 방향에서 제2 접촉 부재(225)의 위치와 정합되지 않는다.
제2 접촉 부재(225)의 위치가 유지 클로(122) 중 하나 (본 예에서는 122a)의 위치와 정합되는 도 15a의 상태에서,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거하는 동작은 이후 설명될 바와 같이 안정되지 못하다.
도 16a 및 도 16b는 유지 클로(122a)의 위치가 제2 접촉 부재(225)의 위치와 정합되는 상태에서 (도 15a에 도시된 상태)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거하는 동작을 도시한다. 제2 예에서, 디스크(10)는 제1 예에서와 같이 제2 접촉 부재(225)에 의해 디스크(10)를 상대적으로 상승시키도록 턴테이블(110)을 하강시킴으로서 턴테이블(110)로부터 제거된다.
턴테이블(110)이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10B) 방향으로 하강될 때, 디스크(10)는 제2 접촉 부재(225)에 의해 화살표(10A)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상승되고, 이어서 유지 클로(122a)는 탄성체(123)의 장착력에 대해 화살표(120B) 방향으로 쑥 들어가기 시작한다.
유지 클로(122a)의 위치가 턴테이블(110)의 반지름 방향에서 제2 접촉 부재(225)의 위치와 정합되는 경우에, 화살표(10A) 방향으로 유지 클로(122a)를 상승시키기 위한 힘이 크므로, 유지 클로(122a)는 화살표(10A) 방향에서 상당한 거리를 이동한다. 그 결과로, 유지 클로(122a)는 바람직하지 못하게 디스크(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크(10)가 이 상태에서 제2 접촉 부재(225)와 접촉하는 위치로 턴테이블(110)이 하강될 때, 유지 클로(122a)는 디스크(10)의 중앙 홀에 끼여 디스크가 턴테이블(110)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없다. 이러한 상태에서, 유지 클로(122a)를 디스크(10)와 맞물리는 것은 디스크 운송 디바이스 (도시되지 않은)에 의해 디스크 장치(200)로부터 멀리 디스크(10)를 운송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유로, 제2 접촉 부재(225)의 위치가 턴테이블(110)의 반지름 방향에서 유지 클로 중 하나 (예를 들면, 122a)의 위치와 정합되는 경우,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거하는 동작은 안정되게 실행될 수 없다.
제2 예에서는 도 17a 및 도 1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제2 접촉 부재 (225a, 225b)가 90도 간격으로 제공되고, 이는 턴테이블(110)의 회전축(O)에 대해 3개의 유지 클로 (122a, 122b, 122c)가 제공되는 120도와 다르다. 도 17a에서, 제2 접촉 부재(225a)의 위치는 턴테이블(110)의 회전 방향으로 유지 클로 중 하나 (본 실시예에서는 122a)의 위치와 정합된다. 도 17b에서는 어떠한 유지 클로 (122a, 122b, 122c)의 위치도 턴테이블(110)의 회전 방향으로 제2 접촉 부재(225)의 위치와 정합되지 않는다.
제2 접촉 부재(225a)의 위치가 유지 클로(122a)의 위치와 정합되는 도 17a의 상태에서도, 다른 유지 클로 (122b, 122c)의 위치는 제2 접촉 부재(225b)의 위치와 정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거하는 동작이 안정되게 실행될 수 있다. 유지 클로(122)와 제2 접촉 부재(225) 사이의 위치 관계는 여기서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어떠한 유지 클로 (122a, 122b, 122c)의 위치도 제2 접촉 부재(225)의 위치와 정합되지 않는 도 17b의 상태에서,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거하는 동작은 안정되게 실행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2 접촉 부재(225) 중 적어도 하나는 턴테이블(110)의 중지 위치에 관계없이 어떠한 유지 클로(122)의 위치와도 정합되지 않는 위치에 제공되어, 턴테이블(110)로부터 디스크(10)를 제공하는 동작 동안 유지 클로(122)가 불필요하게 디스크(10)와 맞물리는 것이 방지된다. 그래서, 디스크(10)가 턴테이브(110)로부터 안정되게 제거될 수 있다.
제1 예에서와 같이, 제2 접촉 부재(215)는 디스크(10)의 외부 비기록 영역과 접촉하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디스크(10)의 외부 비기록 영역을 유도하기 위한 디스크 유도 부재로 또한 동작하는 제2 접촉 부재(225)는 예를 들어, 핀이나 트레이와 같은 디스크 전달 수단이 될 수 있다.
제2 예에서, 디스크(10)는 3개의 유지 클로(122)에 의해 턴테이블(110)에 유지된다. 다른 방법으로, 디스크(10)는 예를 들어, 다른 수의 유지 클로, 원형 부재, 또는 고리 형상의 탄성체에 의해 텐테이블(110)에 유지될 수 있다.
제2 예에서, 제1 접촉 부재(215)는 상단 케이스(210)에 제공되지만, 이러한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접촉 부재(215)는 디스크 장치(2000)를 수용하는 정보 디바이스 일부에 제공되는 돌출부이 될 수 있고, 여기서 제1 접촉 부재(215)는 상술된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동작될 수 있다.
제2 예에서, 제1 접촉 부재(215)는 디스크(10)의 내부 비기록 영역과 접촉하도록 제공되지만,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디스크 전달 수단이 또한 제1 접촉 부재(215)로 동작하여, 제1 접촉 부재(215)가 디스크(10)의 외부 비기록 영역과 접촉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똑같은 효과가 주어진다.
제2 예에서, 제1 접촉 부재(215)는 고리 형상의 돌출부이지만,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접촉 부재(215)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돌출부이 되거나 다수의 접촉점을 포함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똑같은 효과가 주어진다.
제2 예에서, 턴테이블(110)은 디스크 장치(2000)의 진동을 완화시키는데 사용되는 진동 완화 부재(40)를 사용하여 상승 또는 하강되지만,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턴테이블(110)은 코일 스프링 등을 사용하여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장치는 디스크 아래에 있는 턴테이블 (turntable)과 함께 디스크를 유지하도록 디스크의 상단 표면에 제공된 클램퍼 (clamper)를 사용하지 않고 디스크를 자동적으로 설치 또는 제거한다.
그러므로, 구성 요소의 수가 감소될 수 있고, 디스크 장치의 두께가 클램퍼의 두께 만큼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도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종래 기술에 숙련된 자에 의해 다양한 다른 수정이 명백하여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여기에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는 여기서 기술된 설명에 제한되도록 의도되지 않고, 청구항이 폭넓게 구성되도록 의도된다.

Claims (22)

  1. 디스크가 위치될 표면을 가지며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턴테이블 (turntable);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턴테이블상에 디스크를 유지하는 제1 상태 및 상기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는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
    제1 접촉 부재; 및
    제1 접촉 부재 및 턴테이블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메카니즘을 포함하는데,
    상기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이 제2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하도록 제1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제1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할 때, 이동 메카니즘은 제1 접촉 부재가 턴테이블쪽으로 디스크를 압착시키는 방향에서 디스크에 힘을 인가하도록 동작하여, 제2 상태의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을 제1 상태로 배치하는 디스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고정된 위치에 있고, 상기 이동 메카니즘은 제1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턴테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디스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제1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이 시간 t1에 제2 상태에 있고, 시간 t1이후의 시간 t4에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변하고, 또한 시간 t4이후의 시간 t5에 제1 상태에 있는 디스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내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디스크의 내부 영역과 접촉하는 디스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상기 외부 케이스의 일부에 제공되는 돌출부(projection)인 디스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고리 형상인 디스크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부재는 상기 디스크 장치를 수용하는 정보 디바이스의 일부에제공되는 돌출부인 디스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고리 형상인 디스크 장치.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영역은 비기록 영역인 디스크 장치.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과 상승 및 하강 베이스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상승 및 하강 베이스 (base)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상승 및 하강 베이스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서 턴테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디스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디스크 장치의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진동 완화 부재로서 동작하는 디스크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할 때, 상기 턴테이블은 실질적으로 제1접촉 부재에 평행한 디스크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할 때, 상기 턴테이블은 제1 접촉 부재에 대해 소정의 각도에 있는 디스크 장치.
  14. 디스크가 위치될 표면을 가지며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한 턴테이블;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턴테이블상의 디스크를 유지하는 제1 상태 및 그 제1 상태와 다른 제2 상태에 있을 수 있는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
    제2 접촉 부재; 및
    상기 제2 접촉 부재 및 턴테이블을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메카니즘을 포함하는데,
    상기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이 제1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제2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하도록 제2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제2 접촉 부재가 디스크와 접촉할 때, 이동 메카니즘은 제2 접촉 부재가 턴테이블로부터 멀어지게 디스크를 분리하는 방향에서 디스크에 힘을 인가하도록 동작하여, 제1 상태의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을 제2 상태로 배치하는 디스크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고정된 위치에 있고, 이동 메카니즘은 제2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도록 턴테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디스크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제2 접촉 부재에 대해 턴테이블을 상대적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이 시간 t7에 제1 상태에 있고, 시간 t7이후의 시간 t8에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변하고, 또한 시간 t8이후의 시간 t9에 제2 상태에 있는 디스크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는 모두 비기록 영역인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디스크의 상기 내부 영역 및 외부 영역 중 하나와 접촉하는 디스크 장치.
  18. 제 15 항에 있어서,
    외부 케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촉 부재는 상이 외부 케이스의 일부에 제공되는 돌출부인 디스크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과 상승 및 하강 베이스 사이에 삽입된 탄성 부재를 통해 상기 턴테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상기 상승 및 하강 베이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이동 메카니즘은 상기 상승 및 하강 베이스를 상승 및 하강시킴으로서 턴테이블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디스크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디스크 장치의 진동을 완화시키도록 진동 완화 부재로 동작하는 디스크 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적어도 또 다른 제2 접촉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 유지 메카니즘은 다수의 유지 클로(holding claw)들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접촉 부재들이 디스크와 접촉할 때, 상기 다수의 유지 클로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제2 접촉 부재들이 상기 회전축 주위에서 제공되는 각도와 다른 각도로 회전축 주위에서 제공되는 디스크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유지 클로들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서 갖는 원 상에서 동일한 거리로 제공되는 디스크 장치.
KR10-2001-0058247A 2000-09-21 2001-09-20 디스크 장치 KR1004173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86710 2000-09-21
JP2000286710 2000-09-21
JPJP-P-2001-00079941 2001-03-21
JP2001079941 2001-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23143A KR20020023143A (ko) 2002-03-28
KR100417324B1 true KR100417324B1 (ko) 2004-02-05

Family

ID=2660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8247A KR100417324B1 (ko) 2000-09-21 2001-09-20 디스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697321B2 (ko)
KR (1) KR100417324B1 (ko)
CN (1) CN100481231C (ko)
TW (1) TW5896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24817A1 (ja) * 2003-09-08 2005-03-1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ィスク装置
JP2005122847A (ja) * 2003-10-20 2005-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装置
JP4165418B2 (ja) * 2004-03-08 2008-10-15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フレーム、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セット、電子機器
KR100660837B1 (ko) * 2004-04-24 2006-1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드라이브
JP2006209825A (ja) * 2005-01-25 2006-08-10 Hitachi-Lg Data Storage Inc 光ディスク装置
JP4294616B2 (ja) * 2005-06-10 2009-07-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TWI269270B (en) * 2005-08-01 2006-12-21 Asustek Comp Inc Apparatus and method of ejecting a disc for a disc drive
JP2007310920A (ja) 2006-05-16 2007-11-29 Seiko Epson Corp ディスクのグリッピング機構
JP2009245531A (ja) * 2008-03-31 2009-10-22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
CN103489459A (zh) * 2012-06-13 2014-01-01 建兴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托盘式光盘驱动器的进退片装置
US9583122B2 (en) * 2015-07-21 2017-02-28 Love Turntable, Inc. Portable turntable device, system, and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694A (ko) * 1989-10-30 1991-05-31 강진구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JPH08235712A (ja) * 1995-03-01 1996-09-13 Ricoh Co Ltd ドライブ装置
JPH0927159A (ja) * 1995-07-07 1997-01-28 Fujitsu General Ltd 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H11162062A (ja) * 1997-11-25 1999-06-18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2000123452A (ja) * 1998-10-12 2000-04-28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のクランプ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55585A (ja) * 1982-03-10 1983-09-16 Hitachi Ltd デイスククランプ装置
DE3360342D1 (en) * 1982-03-27 1985-08-08 Philips Patentverwaltung Record player
JPH0812743B2 (ja) * 1983-06-30 1996-02-07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装置
JPS628358A (ja) * 1985-07-04 1987-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情報記録円盤のクランプ機構
JP2970200B2 (ja) 1992-04-17 1999-11-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芯出しクランプ機構
JP3351617B2 (ja) 1993-04-16 2002-12-03 株式会社東芝 ディスク再生装置
DE69422469T2 (de) * 1993-04-16 2000-08-03 Toshiba Kawasaki Kk Elektronische ausrüstung und plattenwiedergabevorrichtung
US5774445A (en) * 1993-08-09 1998-06-30 Funai Electric Co., Ltd. Disc clamp mechanism having radial disposed disc pressing elements
CN1042371C (zh) * 1993-12-14 1999-03-03 阿尔派株式会社 选择式盘重放装置
JPH08279231A (ja) * 1995-03-31 1996-10-22 Victor Co Of Japan Ltd ディスク自動演奏装置
JPH0935385A (ja) * 1995-07-14 1997-02-07 Mitsum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および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ターンテーブルの案内方法
JPH09320158A (ja) 1996-05-27 1997-12-12 Pioneer Electron Corp ディスクチャック機構
JP3345268B2 (ja) 1996-06-06 2002-11-18 アルパイン株式会社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H10199127A (ja) * 1997-01-08 1998-07-31 Hitachi Ltd 光ディスク装置と光ディスク装置の偏重心補正機構
JP2000222800A (ja) * 1999-02-01 2000-08-11 Nec Corp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JP2000235754A (ja) * 1999-02-12 2000-08-29 Mitsubishi Electric Corp ディスク装置における異種ディスク対応クランプ機構
US6252843B1 (en) 1999-04-09 2001-06-26 Hewlett Packard Company Automatic clamping of compact disc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8694A (ko) * 1989-10-30 1991-05-31 강진구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JPH08235712A (ja) * 1995-03-01 1996-09-13 Ricoh Co Ltd ドライブ装置
JPH0927159A (ja) * 1995-07-07 1997-01-28 Fujitsu General Ltd 光ディスク駆動装置
JPH11162062A (ja) * 1997-11-25 1999-06-18 Sony Corp 光ディスク装置
JP2000123452A (ja) * 1998-10-12 2000-04-28 Alps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のクラン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97321B2 (en) 2004-02-24
US20020044522A1 (en) 2002-04-18
CN100481231C (zh) 2009-04-22
TW589621B (en) 2004-06-01
KR20020023143A (ko) 2002-03-28
CN1347111A (zh) 2002-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7324B1 (ko) 디스크 장치
JP4216776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
KR100483751B1 (ko) 디스크 로딩장치
US6272104B1 (en) Media retention device for CD ROM and digital video drives in a portable computer
JP4294616B2 (ja) スロットイン型ディスク装置
EP0962925B1 (en) Disc reproducing device
JP3396031B2 (ja) ディスク装置
WO2006027907A1 (ja) ディスク装置
JP2004296091A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及び光ディスクドライブ用トレー
JP3672097B2 (ja) ディスク装置
JP3345268B2 (ja) ディスククランプ装置
KR100532449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JP2009245531A (ja) 光ディスク装置
US20040244019A1 (en) Disc drive tray for holding discs of various shapes and sizes
JP3375479B2 (ja) ディスク保持装置
JP4068014B2 (ja) 光ディスク装置
KR20050087648A (ko)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JP3405390B2 (ja) 光ディスクのチャッキング機構
KR100514253B1 (ko) 광디스크 구동장치
KR100739668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클램핑장치
JP3823778B2 (ja) ディスククランプ構造及びそれを有する光ディスク装置
KR200280140Y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KR100577221B1 (ko) 디스크구동장치
JP3468639B2 (ja) ディスク装置
JP2001229596A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