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2449B1 - 광디스크 드라이브 - Google Patents

광디스크 드라이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2449B1
KR100532449B1 KR10-2003-0048653A KR20030048653A KR100532449B1 KR 100532449 B1 KR100532449 B1 KR 100532449B1 KR 20030048653 A KR20030048653 A KR 20030048653A KR 100532449 B1 KR100532449 B1 KR 100532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turntable
tray
spindle motor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8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9375A (ko
Inventor
한태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8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2449B1/ko
Priority to US10/872,544 priority patent/US7246362B2/en
Priority to CNB2004100712479A priority patent/CN100530386C/zh
Publication of KR20050009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9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2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24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11B17/0565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22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 G11B17/028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 G11B17/0284Positioning or locking of single discs of discs rotating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by clampers

Landscapes

  • Holding Or Fastening Of Disk On Rotational Shaft (AREA)

Abstract

개시된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제1디스크와 제1디스크보다 직경이 작은 제2디스크가 각각 탑재되도록 서로 단차지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탑재부와 제1 및 제2탑재부의 외측 단부에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경사부를 구비하는 트레이와, 디스크의 일면을 지지하는 턴테이블을 구비하고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디스크에 대해 접근/이격되는 스핀들모터와, 턴테이블과 대면되어 디스크의 타면을 지지하고 회전되는 것으로서 스핀들모터가 디스크로 접근됨에 따라 턴테이블과의 사이에 작용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디스크로 접근되는 클램핑기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세로로 설치되는 경우에 직경이 다른 두 종류의 디스크를 안정적으로 로딩시킬 수 있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구현이 가능하다.

Description

광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본 발명은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로 및 세로로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관한 것이다.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CD(compact disc),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디스크 형상의 광매체(이하, 디스크라 한다.)에 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읽어들이는 장치를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일 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개략적인 Ⅰ-Ⅰ'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보면, 프레임(10)에 트레이(20)가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프레임(10)에는 디스크(50)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31)와, 디스크(50)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디스크(50)에 액세스하는 광픽업부(32)가 설치된 데크부(30)가 마련된다. 데크부(30)는 트레이(20)의 하방에서 승강될 수 있게 마련된다. 또 프레임(10)에는 트레이(20)를 로딩/언로딩시키는 로딩모터(13)가 구비된다. 프레임(10)의 상방에는 커버(40)가 마련되고, 커버(40)에는 클램퍼(41)가 구비된다.
디스크(50)를 트레이(20)의 제1탑재면(21)에 탑재하고 로딩모터(13)를 회전시키면, 트레이(20)가 도면의 A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로딩된다. 트레이(20)의 로딩이 완료되면, 데크부(30)가 상승된다. 디스크(50)의 하면(51)은 스핀들모터(31)의 회전축에 마련된 턴테이블(34)에 접촉되고, 디스크(50)는 데크부(30)와 함께 상승된다. 디스크(50)의 상면(52)에 클램퍼(41)가 접촉되면, 디스크(50)는 턴테이블(34)과 클램퍼(41)에 의해 지지된다. 이 때, 디스크(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탑재면(21)으로부터 상방으로 약간 이격된 위치가 된다. 이 위치에서, 스핀들모터(31)가 회전됨에 따라 디스크(50)도 회전되며, 광픽업(32)은 디스크(50)의 반경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디스크(50)에 액세스하여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한다. 디스크(50)를 언로딩시키는 과정은 상술한 로딩과정의 역순이다.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통상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나, 근래에 들어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로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향이 증가되고 있다. 광디스크 드라이브가 세로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크(50)를 로딩시키는 도중에 디스크(50)가 제1탑재면(2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탑재면(21)의 상방으로 약간 연장된 걸림턱(23)이 구비된다. 디스크(50)의 하면(51)과 턴테이블(34)이 접촉된 후에 디스크(50)의 상면(52)이 클램퍼(41)에 접촉될 때까지의 상승구간(도 2의 D1)동안에 디스크(50)는 텐테이블(34)에만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세로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디스크(50)가 텐테이블(34)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있다.
광디스크 드라이브에는 보통 직경이 120mm인 디스크(50)이 사용되나, 근래에 들어서는 직경이 80mm인 디스크(60)의 사용이 늘고 있는 추세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60)를 탑재하기 위해 트레이(20)에는 제1탑재면(21)으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진 제2탑재면(22)이 마련된다. 광디스크 드라이브가 세로로 설치된 상태에서 디스크(60)를 로딩시키면, 트레이(20)가 로딩되는 도중에 디스크(60)가 제2탑재면(2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또, 제2탑재면(22)은 제1탑재면(21)보다 하방으로 단차져 있으므로 디스크(60)의 하면(61)과 턴테이블(34)이 접촉된 후에 디스크(60)의 상면(62)이 클램퍼(41)에 접촉될 때까지의 상승구간(D2)이 직경이 120mm인 디스크(50)를 탑재하는 경우의 상승구간(D1)보다 더 멀다. 따라서, 디스크(60)가 클램퍼(41)에 접촉되기 전에 디스크(60)가 턴테이블(34)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세로로 설치되는 경우에 안정적으로 디스크를 로딩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세로로 설치되는 경우에 직경이 다른 두 종류의 디스크를 안정적으로 로딩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제1디스크와 상기 제1디스크보다 직경이 작은 제2디스크가 각각 탑재되도록 서로 단차지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탑재부와, 상기 제1 및 제2탑재부의 외측 단부에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경사부와, 상기 제1탑재부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디스크가 상기 제1탑재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트레이; 상기 디스크의 일면을 지지하는 턴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크에 대해 접근/이격되는 스핀들모터; 상기 턴테이블과 대면되어 상기 디스크의 타면을 지지하고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핀들모터가 상기 디스크로 접근됨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과의 사이에 작용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로 접근되는 클램핑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기구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과의 사이에 작용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접근되는 제2부재; 상기 제2부재를 상기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에 대해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를 보면, 제1프레임(110)과, 제1프레임(110)과 대면되게 위치되는 제2프레임(120)과, 트레이(300)가 도시되어 있다. 참조부호 160과 150는 각각 디스크(200)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와, 디스크(200)에 액세스하여 정보를 기록 및/또는 재생하는 광픽업이다. 참조부호 170는 트레이(300)를 로딩/언로딩시키는 로딩모터이다. 참조부호 171은 로딩모터(170)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이다. 참조부호 300은 클램핑기구이다.
제1프레임(110)에는 로딩모터(170)와 피니언(171)이 설치된다. 또한, 제1프레임(110)에는 캠부재(180)가 도면의 C1, C2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캠부재(180)에는 한 쌍의 제1캠궤적(181)과, 피니언(171)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랙기어(182)가 마련된다. 또한, 캠부재(180)에는 보스(183)가 돌출형성된다.
제1프레임(110)에는 데크(140)가 설치된다. 스핀들모터(160)와 광픽업(150)은 데크(140)에 설치된다. 스핀들모터(160)에는 디스크(200)의 하면이 안착되는 턴테이블(161)이 결합된다. 턴테이블(161)에는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마그넷이 구비된다. 턴테이블(161)은 자성체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자성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광픽업(150)은 가이드 샤프트(143)를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게 설치된다. 데크(140)는 제1프레임(110)에 마련된 축(112)에 회동될 수 있게 결합된다. 데크(140)의 전면(141)에는 두 개의 샤프트(142)가 설치된다. 두 개의 샤프트(142)는 제1캠궤적(181)에 삽입된다.
트레이(300)는 제1프레임(1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프레임(11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트레이(3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하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가이드부재(113)(114)가 마련된다. 트레이(300)에는 광픽업(150)이 디스크(200)에 액세스 될 수 있도록 관통된 윈도우(301)가 형성된다. 트레이(300)의 양쪽 가장자리에는 가이드부재(113)(114) 사이에 끼워지는 레일(302)이 형성된다. 트레이(300)의 하면에는 도 5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피니언(171)과 연결되는 제2랙기어(303)와, 트레이(300)가 로딩됨에 따라 캠부재(180)의 보스(183)와 상호 간섭되는 제2캠궤적(304)이 마련된다.
트레이(300)에는 제1디스크(210)가 탑재되는 제1탑재부(310)와 제2디스크(220)가 탑재되는 제2탑재부(320)가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120mm 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제1디스크(210), 80mm 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제2디스크(220)라 한다. 제2탑재부(320)는 제1탑재부(310)로부터 하방으로 단차지게 형성된다. 도 6은 트레이(300)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을 보면, 제1탑재부(310)와 제1탑재부(320)의 외측 단부에는 각각 외측과 내측으로 경사진 제1 및 제2경사부(340)(350)가 마련된다. 제1경사부(340)는 제1탑재부(310)로부터 트레이(300)의 상면(305)까지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탑재부(350)는 제2탑재부(320)로부터 제1탑재부(310)까지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트레이(300)에는 광디스크 드라이브가 세로로 설치될 때를 대비하여, 트레이(300)가 로딩되는 도중에 제1디스크(210)가 제1탑재부(3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부(330)가 구비된다. 이탈방지부(330)는 트레이(300)의 상면(305)으로부터 제1탑재부(310)의 상방으로 약간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탈방지부(3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300)의 슬라이딩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적어도 4 개소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프레임(120)에는 클램핑기구(400)가 유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도 7은 도 5의 Ⅱ-Ⅱ' 단면도이다.
도 7을 보면, 클램핑기구(400)는, 일 실시예로서, 제1부재(410), 제2부재(420) 및 탄성부재(430)를 포함한다. 제1부재(410)와 제2부재(420)는 탄성부재(430)에 의해 서로 탄성적으로 연결된다. 제2부재(420)는 턴테이블(161)과 대면되어 디스크(200)의 상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2부재(420)에는 턴테이블(161)에 마련된 마그넷(미도시)의 자기력이 이끌릴 수 있도록 철편(421)이 마련된다. 탄성부재(430)는 제2부재(420)를 제1부재(410)에 대해 턴테이블(161)과 제2부재(420) 사이에 작용되는 자기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 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430)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코일 스프링일 사용한다. 제1부재(410)의 가장자리(411)가 제2프레임(120)의 지지부(121)에 얹어짐으로써 클램핑기구(400)는 제2프레임(120)에 대해 유동될 수 있게 설치된다. 트레이(300)가 로딩/언로딩될 때 트레이(300)와 제2부재(420)가 간섭되지 않도록 제2부재(420)의 하면(422)는 트레이(300)의 상면(305)보다 약간 위쪽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클램핑기구(400)는 일 실시예로서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하다.
이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세로로 설치하고 제1디스크(210)와 제2디스크(220)를 로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1디스크(210)를 로딩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디스크(210)를 제1탑재부(310)에 탑재한다. 로딩모터(170)가 회전되면, 제2랙기어(303)와 연결된 피니언(171)이 회전된다. 트레이(300)는 도 5의 B1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때, 제1랙기어(182)는 피니언(171)과 이격되어 있어 캠부재(180)는 움직이지 않는다. 트레이(300)가 계속 슬라이딩되어 트레이(300)에 마련된 제2캠궤적(304)에 캠부재(180)의 보스(183)가 삽입된다. 이 때부터 트레이(30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제2캠궤적(304)과 보스(183)와의 간섭에 의해 캠부재(180)는 도 5의 C1 방향으로 이동되며, 제1랙기어(182)가 피니언(171)과 연결된다. 트레이(300)가 완전히 로딩되면 피니언(171)과 제2랙기어(304)와의 연결이 종료되면서 트레이(300)는 슬라이딩을 멈춘다.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세로로 설치한 경우에, 제1디스크(210)는 도 8a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탑재부(310)에 반듯하게 놓여지기보다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탈방지부(330)에 걸린 채 비스듬하게 놓여질 가능성이 더 높다. 제1디스크(210)는 이탈방지부(330)에 걸려서 제1탑재부(31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로딩모터(170)가 계속하여 회전되면, 캠부재(180)가 도 5의 C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샤프트(142)와 제1캠궤적(181)과의 간섭에 의해 테크(140)는 축(112)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스핀들모터(160)가 제1디스크(210)를 향하여 상승된다.
턴테이블(161)이 제1디스크(210) 쪽으로 접근되면 마그넷(미도시)과 제2부재(420)에 마련된 철편(421)과의 사이에 작용되는 자기력에 의해 탄성부재(430)가 늘어나면서 제2부재(420)가 제1디스크(210) 쪽으로 접근된다. 제2부재(420)는 제1디스크(210)의 상면(212)에 접촉되어 제1디스크(210)를 제1탑재부(310)쪽으로 민다. 그러면, 제1디스크(21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사부(340)를 따라 이동되면서 그 하면(211)이 제1탑재부(310)에 접촉된다. 턴테이블(161)이 제1디스크(210)의 하면(211)에 접촉되고, 스핀들모터(160)가 계속 상승함에 따라 제2부재(420)는 제1디스크(210)의 상면(212)에 접촉된 채로 다시 제2프레임(120) 쪽으로 밀려 올라간다. 스핀들모터(160)의 상승이 멈추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410)의 가장자리(411)가 지지부(121)로부터 약간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턴테이블(161)은 제1디스크(210)의 하면(211)을 지지하며, 제2부재(310)는 마그넷(미도시)의 자기력에 의해 제1디스크(210)의 상면(212)을 지지한다. 스핀들모터(160)가 회전되면, 클램핑기구(400)는 제1디스크(210)를 지지하면서 회전된다.
제1디스크(210)를 언로딩시키는 과정은 상술한 과정의 역순이 된다. 로딩모터(170)가 역회전되면, 캠부재(180)가 도 5의 C2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제1캠궤적(181)과 샤프트(142)와의 간섭에 의해 데크(140)가 하강된다. 스핀들모터(160)가 하강됨에 따라 클램핑기구(400)도 함께 하강된다. 제1부재(410)의 가장자리(411)가 지지부(121)에 접촉되면 탄성부재(430)가 늘어나면서 제2부재(310)만이 하강된다. 제1디스크(210)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탑재부(310)에 접촉된다. 스핀들모터(160)이 계속 하강되어 탄성부재(430)의 탄성력이 마그넷(미도시)의 자기력보다 커지는 순간 제2부재(420)는 제1디스크(210)의 상면(212)으로부터 이탈되어 탄성부재(43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데크(140)가 하강되는 동안 피니언(171)과 제2랙기어(303)는 서로 이격되어 있으므로 트레이(300)는 움직이지 않는다. 캠부재(180)가 C2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보스(183)와 제2캠궤적(304)과의 간섭에 의해 트레이(300)가 도 5의 B2 방향으로 약간 밀리면, 피니언(171)과 제2랙기어(303)가 서로 연결된다. 이 때 피니언(171)과 제1랙기어(182)와의 연결이 종료되고 데크(140)는 하강이 완료된다. 로딩모터(170)가 회전됨에 따라 트레이(300)는 도 5의 B2 방향으로 슬라이딩되어 언로딩된다.
다음으로 제2디스크(220)를 로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다.
데크(140)가 상승하기 전까지의 과정은 상술한 제1디스크(210)를 로딩시키는 과정과 동일하다.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세로로 설치한 경우에, 제2디스크(220)는 도 9a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탑재부(320)에 반듯하게 놓여지기보다는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경사부(350) 걸린 채 비스듬하게 놓여질 가능성이 더 높다. 트레이(300)가 로딩되는 동안에 제2디스크(220)는 제2경사부(350)에 걸려 제2탑재부(32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데크(140)가 상승하기 시작되면, 턴테이블(161)이 제2디스크(220)의 하면(221)으로 접근된다. 스핀들모터(160)가 상승됨에 따라 턴테이블(161)이 제2디스크(220)의 하면(221)에 접촉되어 제2디스크(220)를 민다. 그러면, 제2디스크(220)는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경사부(350)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제2부재(420)는 턴테이블(161)에 마련되는 마그넷(미도시)의 자기력에 이끌려 하강된다. 제2부재(420)는 제1탑재부(310)와 동일한 높이가 될 정도로 하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턴테이블(161)이 제2디스크(220)의 하면(221)에 접촉될 때, 제2부재(420)가 제2디스크(220)의 상면(222)에 접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마그넷(미도시)의 자기력의 크기와 탄성부재(430)의 탄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2부재(420)의 하강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스핀들모터(160)의 상승이 완료되면,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재(410)의 가장자리(411)가 지지부(121)로부터 약간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턴테이블(161)은 제2디스크(210)의 하면(211)을 지지하며, 제2부재(420)는 마그넷(미도시)의 자기력에 의해 제2디스크(220)의 상면(222)을 지지한다. 스핀들모터(160)가 회전되면, 클램핑기구(400)는 제2디스크(220)를 지지하면서 회전된다.
제2디스크(220)를 언로딩시키는 과정은 상술한 로딩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스핀들모터(160)가 하강됨에 따라 제2부재(420)가 함께 하강되어 제2디스크(220)를 제2탑재부(320)까지 안내한 후에 탄성부재(430)의 탄성력이 마그넷(미도시)의 자기력보다 커지는 순간 제2부재(420)는 제2디스크(210)의 상면(212)으로부터 이탈되어 탄성부재(430)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하면, 세로로 설치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도 크기가 서로 다른 제1디스크(210)와 제2디스크(220)를 안정적으로 로딩시킬 수 있다. 클램핑기구(40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세로로 설치된 상태에서 제2디스크(220)를 로딩시킬 때 특히 효과적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경우에는 턴테이블(34)이 디스크(60)를 밀어 올릴 때 클램퍼(41)가 디스크(60)의 상면(62)을 지지하지 못하여 디스크(60)가 턴테이블(34)로부터 이탈되는 로딩에러가 발생될 수 있음은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하면, 턴테이블(161)이 제2디스크(220)의 하면(221)에 접촉되어 상승되는 동안 제2디스크(220)가 턴테이블(161)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제2부재(420)가 제2디스크(220)의 상면(222)을 지지한다. 따라서,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세로로 설치하는 경우에도, 제2디스크(220)를 안정적으로 로딩시킬 수 있다. 또한, 로딩될 때, 제1디스크(210)는 턴테이블(161)에 의해 밀려서 제1경사부(340)를 따라 이동되고, 제2디스크(220)는 제2부재(420)에 의해 밀려서 제2경사부(350)를 따라 이동되게 함으로써 턴테이블(161)과 제1디스크(210) 또는 제2디스크(220)의 클램핑 홀(201)과 어긋남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제1디스크(210) 또는 제2디스크(220)를 로딩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턴테이블(161)에 마그넷이 구비되고, 클램핑기구(400)에 철편이 구비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와 반대로, 클램핑기구(400)에 마그넷이 구비되고, 턴테이블(161)에 철편이 구비되거나 턴테이블(161)이 마그넷에 부착될 수 있는 재료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턴테이블(161)과 클램핑기구(400)에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마그넷이 각각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하면, 턴테이블의 반대쪽에서 클램핑 기구가 디스크의 일면을 지지함으로써 안정적인 디스크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하다. 또한,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세로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20mm 디스크는 물론 80mm 디스크 등 직경이 작은 디스크도 안정적으로 로딩/언로딩시킬 수 있다. 또한,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를 구비함으로써 턴테이블과 제1디스크 또는 제2디스크의 클램핑 홀의 어긋남을 최소화할 수 있어, 더욱 안정적으로 제1디스크 또는 제2디스크를 로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도 1은 종래의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Ⅰ-Ⅰ' 단면도.
도 3은 세로로 설치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80mm 디스크가 탑재되는 경우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트레이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Ⅱ-Ⅱ' 단면도.
도 8a, 8b, 8c는 제1디스크의 로딩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9a, 9b, 9c는 제2디스크의 로딩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제1프레임 120......제2프레임
140......데크 150......광픽업
160......스핀들모터 161......턴테이블
170......로딩모터 180......캠부재
210......제1디스크 220......제2디스크
300......트레이 310......제1탑재부
320......제2탑재부 330......이탈방지부
340......제1경사부 350......제2경사부
400......클램핑기구 410......제1부재
420......제2부재 430......탄성부재

Claims (3)

  1. 제1디스크와 상기 제1디스크보다 직경이 작은 제2디스크가 각각 탑재되도록 서로 단차지게 마련되는 제1 및 제2 탑재부와, 상기 제1 및 제2탑재부의 외측 단부에 외측과 내측으로 각각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및 제2경사부와, 상기 제1탑재부의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디스크가 상기 제1탑재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구비하는 트레이;
    상기 디스크의 일면을 지지하는 턴테이블을 구비하고 상기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디스크에 대해 접근/이격되는 스핀들모터;
    상기 턴테이블과 대면되어 상기 디스크의 타면을 지지하고 회전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핀들모터가 상기 디스크로 접근됨에 따라 상기 턴테이블과의 사이에 작용되는 자기력에 의하여 상기 디스크로 접근되는 클램핑기구;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기구는,
    제1부재;
    상기 제1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턴테이블과의 사이에 작용되는 자기력에 의해 상기 디스크에 접근되는 제2부재;
    상기 제2부재를 상기 디스크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1부재에 대해 탄성바이어스시키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디스크와 제2디스크는 각각 120mm, 80mm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2003-0048653A 2003-07-16 2003-07-16 광디스크 드라이브 KR1005324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653A KR100532449B1 (ko) 2003-07-16 2003-07-16 광디스크 드라이브
US10/872,544 US7246362B2 (en) 2003-07-16 2004-06-22 Optical disk drive allowing for horizontal or vertical installation
CNB2004100712479A CN100530386C (zh) 2003-07-16 2004-07-16 光盘驱动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8653A KR100532449B1 (ko) 2003-07-16 2003-07-16 광디스크 드라이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9375A KR20050009375A (ko) 2005-01-25
KR100532449B1 true KR100532449B1 (ko) 2005-11-30

Family

ID=3405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8653A KR100532449B1 (ko) 2003-07-16 2003-07-16 광디스크 드라이브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246362B2 (ko)
KR (1) KR100532449B1 (ko)
CN (1) CN10053038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044A (ja) * 2003-03-28 2004-10-21 Orion Denki Kk ディスク装置のトレー形態
JP2006040425A (ja) * 2004-07-28 2006-02-09 Orion Denki Kk 光ディスク装置
US7434236B2 (en) * 2005-06-16 2008-10-07 Quanta Storage Inc. Tray-type optical disc drive with improved reliability under vertical disposition
KR20110011168A (ko) * 2009-07-28 2011-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광디스크 구동 장치
WO2020144819A1 (ja) * 2019-01-10 2020-07-16 パイオニアデジタルデザインアンドマニュファクチャリング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4925B2 (ja) 1994-10-24 2003-05-12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装置
KR20000021126A (ko) 1998-09-25 2000-04-15 구자홍 디스크 구동장치
US6529468B2 (en) * 1999-12-17 2003-03-0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ptical disk driving device having a clamper for correcting warpage of an optical disk
KR100408394B1 (ko) * 2001-01-20 2003-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드라이브
JP3591466B2 (ja) * 2001-02-19 2004-11-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記憶媒体ドライブ装置
TW549533U (en) * 2002-01-11 2003-08-21 Benq Corp Stopper structure for rotation disc housing
US7454765B2 (en) * 2003-07-09 2008-11-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Optical disc dr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015784A1 (en) 2005-01-20
US7246362B2 (en) 2007-07-17
CN100530386C (zh) 2009-08-19
KR20050009375A (ko) 2005-01-25
CN1577558A (zh) 200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16776B2 (ja) 光ディスクドライブ
KR101139397B1 (ko)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프레임, 디스크 드라이브 장치 세트, 및 전자기기
US20030081534A1 (en) Disk drive device
GB2307327A (en) Correcting for disc eccentricity in a disc drive
KR100532449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US20060184957A1 (en) Disk clamp mechanism with centering function
KR100574946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880003311A (ko) 상이한 직경의 디스크의 겸용 재생장치
KR100524967B1 (ko) 광디스크 드라이브
KR20050093062A (ko) 클램퍼 및 이를 적용한 디스크 드라이브
KR20110011168A (ko) 광디스크 구동 장치
JP4043200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100971537B1 (ko) 크고 작은 디스크 모두와 호환하는 데크
KR960002375Y1 (ko) 양면 광 디스크용 클램핑 장치
JP4285164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2723093B2 (ja) 光ディスク再生装置のチャッキング機構
KR100727913B1 (ko) 가이드레일이 채용된 광디스크 드라이브
US20070050786A1 (en) Disk clamping apparatus for disk drive
JPH10134467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425304B1 (ko) 광디스크 체인저
JP3416424B2 (ja) キャリッジ保持機構
JPH10199089A (ja) ディスク装置
JPH10106096A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KR20070064790A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더어셈블리
KR20030039049A (ko) 픽업충격방지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플레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