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87648A -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 Google Patents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87648A
KR20050087648A KR1020040013573A KR20040013573A KR20050087648A KR 20050087648 A KR20050087648 A KR 20050087648A KR 1020040013573 A KR1020040013573 A KR 1020040013573A KR 20040013573 A KR20040013573 A KR 20040013573A KR 20050087648 A KR20050087648 A KR 20050087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k
fixing device
disc
tray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5134B1 (ko
Inventor
이태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13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134B1/ko
Priority to US10/959,139 priority patent/US7451463B2/en
Priority to CNB2004100974024A priority patent/CN100483526C/zh
Publication of KR2005008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7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11B17/0565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adapted for discs of different size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직경의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고정장치와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를 개시한다. 개시된 디스크 트레이는 복수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안착하기 위하여 복수의 수납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를 구비하는 트레이 프레임 및 가이드 부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안착된 디스크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를 포함한다. 따라서,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수직형으로 조립하게 되어도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에 간단한 변형을 가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비용이 절약되고 수직 모드로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하여도 디스크가 이탈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Apparatus for holding disk and disk tray provide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거나 디스크에 기록된 정보를 재생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20mm 디스크와 80mm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장치와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드라이브는 기록 매체인 디스크에 광을 조사하여 정보를 기록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정보를 읽어들여 재생하는 장치로서, 이를 위해 통상 디스크를 수납하는 디스크 트레이와 그 디스크 트레이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 등을 구비한다. 한편, 최근 노트북 퍼스널컴퓨터의 경우 소형화 및 슬림화 요구에 따라 설치 공간을 줄이기 위하여 디스크 드라이브 자체의 슬림화를 도모함은 물론 디스크 드라이브를 수직으로 설치하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려고 하는 추세이다.
도 1은 120mm 디스크와 80mm 디스크를 교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를 선분 I-I'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10)는 그 상면에 디스크(D)를 장착하도록 형성된 디스크 수납부가 구비된다. 디스크 수납부는 그 크기가 다른 디스크(D)를 각각 안착시키기 위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제 1 및 제 2 디스크 수납면(14, 16)으로 구성되고, 이러한 제 1 및 제 2 디스크 수납면(14, 16)은 소정의 단차를 두고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 1 디스크 수납면(14)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디스크가 안착되고, 제 2 디스크 수납면(16)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다소 작은 디스크가 안착된다. 통상적으로, 제 1 디스크 수납면(14)에 안착되는 디스크는 120mm의 직경을 가지고 제 2 디스크 수납면(16)에 안착되는 디스크는 80mm의 직경을 가진다.
또한, 디스크 트레이(10)에는 디스크 드라이브가 수직으로 세워져 사용되는 경우에 디스크(D)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크(D)의 외주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의 가이드 리브(15a-15d)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복수의 가이드 리브(15a-15d)는 제 1 디스크 수납면(14) 둘레를 따라서 형성된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10)의 선단에는 소정의 두께로 외관 리브(18)가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단턱부가 형성되어 있다. 외관 리브(18)는 단턱부와 대향하여 제 1 디스크 수납면(14)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을 가지는 디스크 트레이(10)에서, 디스크 수납부에 디스크가 안착된 상태로 이동되고, 로딩이 완료되면 디스크가 턴테이블(도시하지 않음) 상에 장착된다. 이때에는 디스크가 디스크 수납부의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디스크는 스핀들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되고, 광픽업은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광을 조사하여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는 디스크 드라이브가 수직으로 세워져 사용되는 경우에 제 1 디스크 수납면에 120mm 디스크를 안착시키면 가이드 리브에 의해 가이드되어 디스크 수납부에서 이탈되지 않으나, 80mm 디스크를 제 2 디스크 수납면에 안착시켜 사용하는 경우에는 트레이의 이송중에 디스크가 제 2 디스크 수납면에서 이탈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크를 설치 상태와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는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한 유형에 따르면, 복수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안착하기 위하여 복수의 수납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을 구비하는 트레이 프레임 및 가이드 부에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안착된 디스크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르면, 복수의 수납면을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에 복수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안착하기 위하여, 일단에 탄성부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부, 디스크 이탈 방지부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턱 및 디스크 이탈 방지부의 반대편의 본체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에 따르면, 이탈 방지부 및 이탈 방지턱을 복수의 디스크의 곡률을 고려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에 따르면, 탄성부가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형에 따르면, 가이드 부는 고정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 및 가이드 홈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트레이(100)는 개구부(118), 가이드 부(130), 제 1 디스크 수납부(114) 및 제 2 디스크 수납부(116)를 구비하는 트레이 프레임(112) 및 디스크 고정장치(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는 디스크(D)를 각각 안착시키기 위해 제 1 및 제 2 디스크 수납부(114, 116)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한다.
예를 들면, 제 1 디스크 수납부(114)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디스크가 안착되고, 제 2 디스크 수납면(116)에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다소 작은 디스크가 안착된다. 통상적으로, 제 1 디스크 수납부(114)에 안착되는 디스크는 120mm의 직경을 가지고 제 2 디스크 수납부(116)에 안착되는 디스크는 80mm의 직경을 가진다.
또한, 디스크 트레이(100)의 트레이 프레임(112)에는 디스크(D)가 제 1 디스크 수납부(114) 또는 제 2 디스크 수납부(116) 상에 로딩이 된 후, 광픽업(도시하지 않음)이 이동하면서 디스크(D)에 액세스(access) 할 수 있도록 반경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개구부(118)가 구비된다.
그리고, 디스크 트레이(100)의 선단에는 소정의 두께로 외관 리브(119)가 형성되어 있고, 후단에는 단턱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외관 리브(119)는 단턱부(117)와 대향하여 제 1 디스크 수납부(114)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트레이(100)의 디스크 수납부에 디스크(D)가 안착된 후, 디스크 트레이(100)는 디스크(D)가 안착된 상태로 이동되고, 로딩이 완료되면 디스크(D)가 턴테이블(도시하지 않음) 상에 장착된다. 이때에는 디스크(D)가 디스크 수납부의 표면으로부터 상부로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디스크(D)는 스핀들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동되어 회전되고, 광픽업은 디스크의 신호 기록면에 광을 조사하여 신호를 기록하거나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게 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고정장치(120)는 일단에 탄성부(126)를 구비하는 고정장치 본체(123), 고정장치 본체(123)의 타단에 형성된 디스크 이탈 방지부(124), 디스크 이탈 방지부(124)에 결합된 디스크 이탈 방지턱(122) 및 디스크 이탈 방지부(124)의 반대편의 고정장치 본체(123)에 형성된 걸림부(125)를 포함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고정장치를 디스크 트레이에 결합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부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트레이 프레임(112)의 제 1 디스크 수납부(114)에 형성된 가이드 부(130)는 디스크 고정장치(120)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132), 가이드 홈(132)의 제 1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 1 걸림턱(136), 제 2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 2 걸림턱(138) 및 디스크 고정장치(120)를 삽입하여 가이드 홈(132)에 결합하기 위한 삽입홈(13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 1 걸림턱(136)에 고정장치 본체(123)에 구비된 탄성부(126)에 형성된 걸림돌기(128)가 걸림으로써 디스크 고정장치(120)이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크 수납부(114)가 120mm 디스크를 안착하고 제 2 디스크 수납부(116)가 80mm의 디스크를 안착하도록 설계된 경우, 탄성부(126)에 형성된 걸림돌기(128)가 제 1 걸림턱(136)에 고정되면, 디스크 이탈 방지부(124)의 위치는 제 1 디스크 수납부(114)의 중심에서 120mm 정도의 위치에 이르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제 2 소정 위치에 형성된 제 2 걸림턱(138)에 고정장치 본체(123)에 구비된 탄성부(126)에 형성된 걸림돌기(128)가 걸림으로써 디스크 고정장치(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되었다. 예를 들어, 제 1 디스크 수납부(114)가 120mm 디스크를 안착하고 제 2 디스크 수납부(116)가 80mm의 디스크를 안착하도록 설계된 경우, 탄성부(126)에 형성된 걸림돌기(128)가 제 2 걸림턱(138)에 고정되면, 디스크 이탈 방지부(124)의 위치는 제 2 디스크 수납부(116)의 중심에서 80mm 정도의 위치에 이르도록 구성하였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이드 홈(132)을 직선의 형태로 형성한 것을 예를 들어 설명을 하였지만, 디스크 트레이(100) 및 디스크 드라이브에 결합되는 다른 부품과의 배열을 고려하여 가이드 홈(132)을 트레이 프레임(112) 내에 곡선의 형태로 형성하여 디스크 수납부에 안착된 디스크를 보다 효율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한쌍의 디스크 고정장치(120)가 도 3의 왼편에 소정의 거리를 두고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을 하고 있지만, 디스크 수납부에 장착된 디스크를 고정할 수만 있다면 이들의 개수 및 거리에 무관하게 디스크 고정장치(120)를 트레이 프레임(112)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디스크 이탈 방지턱(122)과 디스크 이탈 방지부(124)가 "??"자 형상으로 결합되고 디스크의 곡률에 따른 형상을 가진 것을 예를 들어 설명을 하였지만, 디스크가 디스크 이탈 방지턱(122)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변형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상부에서 보았을 경우에 디스크 이탈 방지턱(122)를 "??"자의 형상으로 변형할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는 120mm 디스크 또는 80mm 디스크가 디스크 트레이에 선택적으로 장착된 경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크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각각 도시하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디스크 수납부(116)에 80mm 디스크(D)를 장착하는 경우, 제 2 디스크 수납부(116)에 80mm 디스크(D)를 장착한다. 그리고 나서, 디스크 고정장치(120)의 걸림부(125)가 가이드 홈(132)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134)에 삽입되도록 한 후, 디스크 고정장치(120)의 탄성부(126)에 형성된 걸림돌기(128)가 가이드 홈(132)의 측면에 형성된 제 2 걸림턱(136)에 결합될 때 까지 디스크 고정장치(120)를 가이드 홈(132)을 따라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고정장치(120)의 탄성부(126)에 형성된 걸림돌기(128)가 가이드 부(130)의 가이드 홈(130) 측면에 형성된 제 2 걸림턱(138)에 결합되어 고정장치 본체(123)의 측면은 가이드 홈(132)의 일측면인 제 2 디스크 수납부(116)의 측면에 접하게 된다. 또한, 디스크 이탈 방지부(124)는 80mm 디스크(D)의 측면에 접하게 되고 디스크 이탈 방지턱(122)은 제 2 디스크 수납부(116)에 장착된 80mm 디스크(D)의 모서리 부분에 접합되어 장착된 80mm 디스크(D)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고정장치(120)의 고정장치 본체(123)의 하부에 형성된 걸림부(125)는 디스크 고정장치(120)이 가이드 홈(132)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 가이드 홈(132)으로부터 디스크 고정장치(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장치 본체(123)에 형성된 탄성부(126)는 탄성력을 가지는 재질을 이용하여 형성함으로써 걸림돌기(128)가 제 1 및 제 2 걸림턱(136, 138)에 위치하는 경우 탄성력에 의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걸림돌기(128)가 제 1 및 제 2 걸림턱(136, 138)으로부터 보다 용이하게 이탈될 수 있도록 소정 형상의 슬롯(127)을 형성하였다.
한편, 제 2 디스크 수납부(116)로부터 80mm 디스크(D)를 해체한 후 제 1 디스크 수납부(114)에 120mm 디스크를 장착하는 경우, 먼저 제 2 디스크 수납부(116)로부터 80mm 디스크(D)를 해제하기 위하여 디스크 고정장치(120)에 소정의 힘을 가하여 제 2 걸림턱(138)에 결합된 걸림돌기(128)를 해체시키고, 그리고 나서 가이드 홈(132)을 따라 삽입홈(134)을 향하여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 2 디스크 수납부(116)에 장착된 80mm 디스크(D)를 해체한다. 그리고 나서, 제 2 걸림턱(138)로부터 이탈된 디스크 고정장치(120)의 탄성부(126)에 형성된 걸림돌기(128)가 가이드 홈(132)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걸림턱(136)에 결합될 때 까지 디스크 고정장치(120)를 가이드 홈(132)을 따라 이동시킨다. 이때의 디스크 고정장치(120)는 도 6a 및 도 6b에서 이점쇄선으로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부(126)에 형성된 걸림돌기(128)가 가이드 홈(132)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걸림턱(136)에 결합된 상태의 디스크 고정장치(120)가 위치하도록 한 후, 제 1 디스크 수납부(114)에 120mm 디스크를 장착함으로써, 120mm 디스크가 이탈하지 않고 제 1 디스크 수납부(114)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두 개의 디스크를 안착할 수 있는 한쌍의 수납면을 형성한 디스크 트레이를 예를 들어 설명을 하였지만 두 개 이상의 디스크를 안착할 수 있는 복수의 수납면이 형성된 디스크 트레이에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한쌍의 디스크 고정장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수직형(vertical type)으로 조립하는 경우에 디스크 트레이의 지면을 향하는 부분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한쌍의 디스크 고정장치를 디스크 트레이에 형성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종래의 4개의 가이드 리브가 형성된 위치에 모두 형성하여 보다 견고하게 디스크를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고정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를 사용하게 되면, 데스크 탑 퍼스널 컴퓨터가 점차 박형 및 소형화됨에 따라 광디스크 드라이브를 수직형(vertical type)으로 조립하게 되어도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에 간단한 변형을 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고정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비용이 절약되고 수직 모드로 디스크 드라이브를 장착하여도 디스크가 이탈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구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120mm 디스크와 80mm 디스크를 교대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디스크 트레이를 선분 I-I'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고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고정장치를 디스크 트레이에 결합하여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부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a는 80mm 디스크가 선택되어 디스크 트레이에 장착된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크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선분 Ⅱ-Ⅱ'을 따라서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b는 80mm 디스크가 선택되어 디스크 트레이에 장착된 경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크 고정장치가 결합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Ⅱ-Ⅱ'을 따라 절개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스크 트레이 112: 트레이 프레임
114: 제 1 디스크 수납부 116: 제 2 디스크 수납부
118: 개구부 120: 고정장치
122: 디스크 이탈 방지턱 123: 고정장치 본체
124: 디스크 이탈 방지부 125: 걸림부
126: 탄성부 127: 슬롯
128: 걸림돌기 130: 가이드 부
132: 가이드 홈 134: 삽입홈
136: 제 1 걸림턱 138: 제 2 걸림턱

Claims (18)

  1. 복수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안착하기 위하여 복수의 수납부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부를 구비하는 트레이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부에 결합되어 상기 선택적으로 안착된 상기 디스크를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가:
    일단에 탄성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부;
    상기 디스크 이탈 방지부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턱; 및
    상기 디스크 이탈 방지부의 반대편의 본체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이탈 방지턱을 상기 복수의 디스크의 곡률을 고려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는:
    상기 고정장치를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홈; 및
    상기 가이드 홈의 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걸림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가 상기 가이드 홈의 일측에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이 직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이 곡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림턱 각각은 상기 복수의 디스크 중 대응되는 디스크가 수납부에 안착된 경우 상기 대응되는 디스크를 고정할 수 있는 위치에 상기 고정장치를 위치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2개로 형성된 경우, 하나의 수납부가 120mm 직경을 가지는 디스크를 수납하며, 나머지 수납부는 80mm 직경을 가지는 디스크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수직형(vertical type)으로 조립하는 경우 디스크 프레임의 하부에 상기 고정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2개인 경우 보다 큰 직경의 디스크를 안착시키기 위한 수납부에 상기 가이드 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를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
  13. 복수의 수납면을 구비하는 디스크 트레이에 복수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디스크를 선택적으로 안착하기 위하여,
    일단에 탄성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측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부;
    상기 디스크 이탈 방지부에 결합되는 이탈 방지턱; 및
    상기 디스크 이탈 방지부의 반대편의 본체에 형성된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 방지부 및 상기 이탈 방지턱을 상기 복수의 디스크의 곡률을 고려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가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6.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2개로 형성된 경우, 하나의 수납부가 120mm 직경을 가지는 디스크를 수납하며, 나머지 수납부는 80mm 직경을 가지는 디스크를 수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7.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 트레이를 수직형으로 조립하는 경우 디스크 프레임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18. 제 13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가 2개인 경우 보다 큰 직경의 디스크를 안착시키기 위한 수납부에 형성된 가이드 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장치.
KR1020040013573A 2004-02-27 2004-02-27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KR100585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573A KR100585134B1 (ko) 2004-02-27 2004-02-27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US10/959,139 US7451463B2 (en) 2004-02-27 2004-10-07 Disc holding apparatus and disc tray having the same
CNB2004100974024A CN100483526C (zh) 2004-02-27 2004-11-29 具有盘保持装置的盘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573A KR100585134B1 (ko) 2004-02-27 2004-02-27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7648A true KR20050087648A (ko) 2005-08-31
KR100585134B1 KR100585134B1 (ko) 2006-05-30

Family

ID=34880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573A KR100585134B1 (ko) 2004-02-27 2004-02-27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451463B2 (ko)
KR (1) KR100585134B1 (ko)
CN (1) CN10048352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0729159A (en) * 2006-01-27 2007-08-01 Datatronics Technology Inc An apparatus for loading disks and its method of orientating different disks
TW201003639A (en) * 2008-07-14 2010-01-16 Quanta Storage Inc Crack-proof device of optical disk drive
KR101002053B1 (ko) * 2008-11-19 2010-12-17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디스크 탑재용 트레이를 가지는 광 드라이브
US20100333120A1 (en) * 2009-06-26 2010-12-30 Lite-On It Corporation Tray of an Optical Disc Driv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7567B2 (ja) 1988-06-30 1998-03-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トレイ
MY115952A (en) * 1994-04-25 2003-10-31 Sony Corp Cd/cd-rom apparatus
JP3296668B2 (ja) 1994-08-01 2002-07-0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JP2783237B2 (ja) 1996-01-31 1998-08-06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SE518810C2 (sv) 1996-07-19 2002-11-26 Sandvik Ab Hårdmetallkropp med förbättrade högtemperatur- och termomekaniska egenskaper
JPH10199088A (ja) 1996-12-27 1998-07-31 Nec Corp Cd−romドライブ用トレー機構
JP3389143B2 (ja) * 1999-05-07 2003-03-24 群馬日本電気株式会社 トレイローディング式記憶媒体ドライブ装置
JP2001067761A (ja) 1999-08-27 2001-03-16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ディスク装置
JP3578334B2 (ja) * 2000-10-12 2004-10-20 船井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チャッキング装置
JP3591466B2 (ja) * 2001-02-19 2004-11-17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ィスク記憶媒体ドライブ装置
JP2002343004A (ja) 2001-05-21 2002-1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装置
DE10144879C1 (de) 2001-09-12 2003-09-1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Verbesserung der Druckaufbaudynamik
JP2003157605A (ja) * 2001-11-20 2003-05-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スク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93398A1 (en) 2005-09-01
CN100483526C (zh) 2009-04-29
CN1661700A (zh) 2005-08-31
US7451463B2 (en) 2008-11-11
KR100585134B1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5407B1 (ko) 디스크 드라이브
US6714507B2 (en) Disc device
CN1306275A (zh) 盒式磁盘设备
KR100585134B1 (ko) 디스크 고정장치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트레이
US6215753B1 (en) Recording-medium loading apparatus having a recording medium holder movable relative to a tray
KR100490437B1 (ko) 디스크 카트리지의 로딩장치
KR100467602B1 (ko)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가이드 장치
KR100503809B1 (ko) 디스크 드라이브
JP2002332085A (ja) ディスク保持装置
KR100739668B1 (ko) 디스크 드라이브의 클램핑장치
KR200283491Y1 (ko) 컴팩트 디스크 플레이어
KR200151885Y1 (ko)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오삽입 방지장치
JP3769931B2 (ja)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KR100932648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및 그 장착방법
JP4246681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932649B1 (ko) 광 디스크 드라이브
US20050022215A1 (en) Apparatus for loading disc cartridge
JP3717677B2 (ja) 情報記録媒体駆動装置
JPH103767A (ja) 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2007102920A (ja) 読取装置
JP2003115158A (ja) 記録媒体駆動装置
JP2000293916A (ja) ディスク装置のローディングトレイ
US20090133046A1 (en) Disc Guiding Apparatus having a Logic Apparatus
US20060085805A1 (en) Optical disk drive
JPH10199098A (ja) 記録媒体の収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