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203B1 -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203B1
KR100416203B1 KR1019960043407A KR19960043407A KR100416203B1 KR 100416203 B1 KR100416203 B1 KR 100416203B1 KR 1019960043407 A KR1019960043407 A KR 1019960043407A KR 19960043407 A KR19960043407 A KR 19960043407A KR 100416203 B1 KR100416203 B1 KR 100416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chamber
explosion
abnormal
auxiliary
lin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6264A (ko
Inventor
아이케르트 헬무트
하인리히 프랑크
크라첼 토마스
팬토우 에베르하르트
Original Assignee
레인만 게엠바하 엔 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만 게엠바하 엔 코 filed Critical 레인만 게엠바하 엔 코
Publication of KR9700162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2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2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12Arrangements or mounting of devices for preventing or minimising the effect of explosion ; Other safety measu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4/00Flame traps allowing passage of gas but not of flame or explosion wave
    • A62C4/02Flame traps allowing passage of gas but not of flame or explosion wave in gas-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Gas Burners (AREA)
  • Pipeline System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Silver Salt Photography Or Processing Solution Therefor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Nozzle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 Supply Devices, Intensifiers, Converters, And Telemotors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방법은 도달하는 이상폭발 프런트가 분할된 후 다시 팽창실에서 합류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폭발 감쇠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상폭발 프런트는 주요 프런트와 보조 프런트로 분할되며, 상기 주요 프런트가 상기 팽창실(17, 17', 30)로 유입될 때 상기 팽창실(17, 17', 30)내에는 상기 보조 프런트의 연소가스가 보유될 수 있도록 상기 주요 프런트는 상기 보조 프런트 보다 더 긴 진행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면, 주요프런트가 팽창실에 유입될 때 팽창실은 상기 보조 프런의 연소가스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상당히 효과적이다.

Description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도달하는 이상 폭발 프런트(detonation front)가 분할된 후 다시 팽창실에서 합류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container or pipe line system)의 이상 폭발 감쇠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상 폭발 프런트를 분할하여 편향시키기 위해 이러한 이상 폭발 프런트의 전파 경로에 있는 벽 장치(wall arrangement) 및 상기 분할된 이상 폭발 프런트가 다시 합류하는 팽창실(expansion room)을 가지는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에 관한 것이다.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에서 발화성 가스 혼합물의 폭발(explosion)의 전파는 이상폭발(detonation) 또는 폭연(deflagration)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폭발시에는 플레임 프런트(flame front) 및 이러한 폭발의 블라스트 파(blast wave)에 의해 형성되는 쇼크 프런트(shock front)가 겹쳐지는 반면, 폭연시에는 이 플레임 프런트의 쇼크 프런트가 앞서 진행한다. 폭연의 플레임 전파 속도는 수 100m/sec.이며, 연소 압력은 (혼합물의 시작 압력이 1바아에서) 10바아까지 쇼크 방향으로 발생하는 반면, 폭연 시에는 수 1,000m/sec의 플레임 프런트의 전파 속도및 100바아까지의 쇼크방향으로의 압력이 발생한다.
이상 폭발을 감쇠 및 종료시킴으로써, 이상 폭발의 파괴 작용을 방지하고, 바람직하게는 이 때 이상 폭발의 플레임 프런트의 플레임을 소거시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므로 종종 소위 "이상 폭발 브레이크(detonation brake)" 및 "이상 폭발 범퍼"는 플레임 트랩(flame trap)과 결합되며, 이것은 더 협소하고 더 긴 다수의 틈새를 가지며, 이틈새에서 플레임은 소거될 수 있도록 상당히 냉각된다.
이상 폭발 브레이크와 플레임 트랩으로 이루어진 이상 폭발 안전 장치는 독일 연방공화국 특허 제1 192 980호에 공지되어 있다. 공지된 장치에 있어서, 파이프라인에 의해 전파되는 이상폭발 프런트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벽의 볼록한 외측에 의해 분할되고, 파이프 라인에 비해 더 큰 체적을 가지는 팽창실에 도달한다. 이러한 분할된 이상 폭발 프런트는 여러번의 편향 후에 비로소 플레임 트랩으로 갈수 있고, 이것은 상기 이상 폭발이 처음에 확산되는 파이프 라인에 대해 90° 정도 꺽인 출구측 지지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여러번의 전환은, 더 작은 직경을 가지는 제2의 반원통형 벽이 제공되며, 이 경우 대향하는 미세한 벽 피스(piece)가 서로 겹치게 배열되어 일종의 래버린스를 형성하기 때문에 필요하다. 이 공지된 장치에서 연쇄 도달하는 부분-이상 폭발 프런트들은, 특히 양호하지 않은 혼합 가스가 있는 경우, 후속의 이상 폭발을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 플레임 트랩은 플레임을 안전하게 소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취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플레임 트랩의 플레임을 소거하는 틈새는 충분하게 길면서도 충분히 협소하지만, 동작 매체의 관류 시, 정상 동작을 위해 상대적으로 큰 압력 손실을 견뎌야만 한다. 더욱이, 협소하면서도 긴 관통 틈새로 인해 관리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에서 이상 폭발의 감쇠를 개선하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전술한 종류의 방법을 이용하여, 이러한 이상 폭발 프런트가 주요 프런트와 보조 프런트로 분할되며, 상기 주요 프런트 주요 프런트가 상기 팽창실(17, 17', 30)로 유입될 때 상기 팽창실(17, 17', 30)내에는 상기 보조 프런트의 연소가스가 보유될 수 있도록 상기 주요 프런트는 상기 보조 프런트 보다 더 긴 진행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폭발 감쇠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공지된 이상 폭발 감쇠장치는, 그 효과가 이상 폭발 프런트가 가능한 한 효과적으로, 그리고 수차례 편향되어 전파 속도를 떨어뜨리면서 에너지를 소비하는데 기인하는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상기 이상 폭발 프런트의 보조 프런트 부분, 바람직하게는 더 작은 부분이 팽창실로 유도되도록 하고, 바람직하게는 거기에서 폭연의 형태로 연소하므로서, 이러한 주요 프런트가 팽창실로 들어갈 때 폐가스와 만나, 이상 폭발의 전파가 차단되어 이것이 규칙적으로 와해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주요 프런트가 팽창실로 들어갈 때, 이 보조 프런트가 팽창실에서 완전히 와해되도록 주요 프런트의 진행 시간이 보조 프런트에 대하여 상대적인 크기를 갖는 것이 보장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에서 이상 폭발을 없애거나 적어도 감쇠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다른 시스템에서 또는 외부 영역에서 연결 지점을 형성하기 위하여 종래의 플레임 트랩과의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고, 이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이상 폭발 감쇠의 개선된 효과로 인해 상기 플레임 트랩이 플레임을 소거하는, 덜 협소하고 및/또는 덜 긴 틈새를 가질 수 있어, 정상 동작 상태를 위해 이 플레임 트랩에 의해 야기되는 압력 강하가 줄어든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상기 보조 프런트가 상기 팽창실의 출구측 부분으로 유도되는 경우, 예를 들어 거기에 배열된 플레임 트랩 바로 앞까지 유도되어 팽창실로 들어가면, 특히 효과적이다. 상기 보조 프런트의 그 때문에 야기된 연소로 그리고 팽창실 안으로 주요 프런트가 들어가므로 인해 상기 이상 폭발이 개선된, 안전한 감쇠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에 따라 기능하는 전술한 종류의 장치는, 상기 벽 장치가 상기 이상 폭발 프런트의 주요 프런트를 위한 제1 라인 경로 및 보조 프런트를 위한 제2 라인 경로를 형성하며, 이 경우 이러한 상기 제1 라인 경로와 제2라인 경로는 상기 주요 프런트가 보조 프런트에 비해 지연되어 상기 팽창실에 유입되도록 각각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라인 경로의 전체 횡단면은 제2 라인 경로의 전체 횡단면보다 훨씬 더 큰 것이 바람직하며, 적어도 4배 더 큰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2의 라인 경로가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런트의 이상 폭발이 팽창실로 들어갈 때, 폭연으로 전이되도록 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 피스(line piece)로 형성되며, 그 직경은 임계직경(critical diameter) 이하 이다. "임계 직경"이라는 개념은, 라인 피스의 일정한 직경 아래에서 쇼크 프런트와 플레임 프런트가 더 이상 함께 갈 수 없으므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임계 직경"의 개념은 Lee. J.H.S.의 논문 Dynamic Parameters of Gaseous Betonation, Ann. Rev. Fluid. Mech, 16(1984), Pages 311 to 336에 설명되어 있다.
전술한 이유로 상기 팽창실은 플레임을 소거하는 틈새를 구비하며, 벽장치와 관련하여 이상 폭발 프런트의 유동방향의 끝단측에 마련된 플레임 트랩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주요 프런트의 불필요하게 긴 지연을 피하게 하는 장치의 소형화를 위해, 상기 보조 프런트는 상기 제2 라인 경로에 의해 상기 팽창실에 대해 실질적으로 편향없이 유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이는 상기 임계 직경의 미달에 의해 플레임 프런트와 쇼크 프런트의 분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므로, 보조 프런트에는 에너지를 소비하는 편향이 더 이상 요구되지 않는다. 이 보조 프런트가 지연 없이 진행하기 때문에, 이 주요 프런트에 요구되는 지연이 최소화되어 진다.
간단한 실시예에서, 제2의 라인 경로가 이상 폭발 프런트의 전파 방향으로 있는 상기 벽 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의 라인 경로가 이상 폭발 프런트의 전파 방향으로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 피스를 통해 형성된다. 이 라인 피스는 플레임 트랩 바로 앞에서 끝나므로, 보조 프런트의 플레임의 연소 속도 및 주요 프런트의 팽창실 유입을 보장한다. 일정한 각도를 가진 파이프 피스(pipe piece)에 플레임 트랩이 배열된 경우, 이 라인 피스는그에 상응하게 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벽 장치는 원통형 벽을 구비하되, 상기 원통형 벽은 이상 폭발 프런트를 2개의 주요 프런트로 분할하며 편향시키며 상기 보조 프런트의 통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라인 피스를 갖는다.
그와 다른 구조적인 실시예에서 이 벽 장치는 도달하는 이상 폭발 프런트를 감싸는 컵 형상의 벽을 구비하되, 상기 벽은 그 바닥측에 상기 보조 프런트를 위한 제2라인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라인 피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1라인경로는 상기 컵 형상의 벽의 원통형 부분의 외측부분을 따라 연장형성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의해 상술된다.
제1도와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는 각형 피스로서 형성된 하우징(1) 및 발생가능한 이상 폭발과 관련하여 입구 측의 연결 플랜지(2), 그리고 이에 대해 90° 로 형성된 출구 측의 연결 플랜지(3)를 갖는다. 이러한 두 개의 연결 플랜지(2, 3)는 하우징(1)의 내부를 향해 원추형으로 확장되는 벽(4, 5)을 각각 갖는다. 출구측 연결 플랜지(3)의 벽(5)의 확장 부분에 하나의 스테이지(6)가 위치하며, 이 위에 통상의 플레임 트랩(flame trap)(7)이 배치된다. 이 플레임 트랩(7)은 하우징(1)의 삽입물(insert)(8)에 의해 그의 자리에서 지지된다. 이 삽입물(8)은 원통형의 벽(9)을 갖는다. 이 벽은 전이 피스(10)에 의해 상기 플레임 트랩(7)에 접하는 하부의 개방형 가장자리(11)로 확장된다.
이 원통형의 벽(9)은 상기 입구측 플랜지(2)와 마주하는 측면에서 슬릿 형상의 개구(12)를 가지며, 또한 이는 출구측의 연결 플랜지(3)와 마주하는 측면에서는평평한 판(13)에 의해 폐쇄된다. 이 삽입물(8)은 상기 하우징(1)에 나사로 고정된 덮개(14)를 통해 현장에서 기밀하게 보존된다.
이 전이 피스(10)에서 상기 입구측의 연결 플랜지(2)의 세로 방향 중앙 평면(center plane)에 하나의 개구(15)가 위치하며, 이것은 상기 입구측 연결 플랜지(2)의 직경의1/4보다 작으며, 상기 원통형 벽(9) 앞에서 상기 하우징(1)의 확장된 횡단면보다 훨씬 더 작은 부분을 취하는 직경을 갖는다.
또한, 이 원통형 벽(9)은 상기 입구측 플랜지(2)와 마주하는 영역에서 상기 개구(12)로부터 방사 방향인 강화 리브(16)를 가지며, 이것은 상기 개방 가장자리(11)의 높이까지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의 상기 입구측 연결 플랜지(2)를 통해 들어오는 이상 폭발 프런트가 원통형 벽(9)에 도달하여 거기에서 분할된다. 이런 배열의 대칭성 때문에 2개의 주요 프런트가 형성되고, 이것들은 원통형 벽(9)과 강화 리브(16) 둘레에 위치하며 팽창실(17)을 형성하는 상기 원통형 벽(9)의 내부 챔버안으로 개구(12)를 통해 들어온다. 그러므로, 이 주요 프런트들은 전술한 제1의 라인 경로에 의해 상기 팽창실(17)과 플레임 트랩(7)에 도달한다.
상기 주요 프런트들이 제1 라인 경로에 의해 보조 프런트보다 더 긴 경로를 팽창실(17)에서 지나가야 하기 때문에, 이 보조 프런트가 시간적으로 주요 프런트 보다 앞서 팽창실(17)에 도달한다. 이 보조 프런트는 팽창실(17)에서 와해되어 폭연으로서 연소한다. 이 주요 프론트들이 팽창실 안으로 들어오면, 이것이 -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 폐가스로 채워지므로, 팽창실(17)에서 주요 프런트가 더 이상 어떠한 연소가능한 가스를 가지지 않거나, 또는 그 중에서 적은 양만을 만나게 되며, 전달을 위한 충분한 에너지를 받을 수 없다. 그러므로, 이 주요 프런트들 역시 팽창실(17)에서 와해된 후 플레임 트랩(7)에 도달한다.
이 플레임 트랩(7)은 위험성이 훨씬 적은 폭연을 위해 설계되기만 하면 되므로 훨씬 더 협소한 및/또는 훨씬 더 긴 틈새를 가질 수 있다. 그 때문에 더 작은 흐름 저항이 형성되며, 이 플레임 트랩(7)의 관리가 용이해진다.
제3도와 제4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삽입물(8')은 동시에 종방향 하우징(1)의 덮개(14)를 형성하고, 원통형 벽(9')은 상기 플레임 트랩(7)의 외경에 일치하는 직경을 갖는다. 원통형 벽(9')에 대해 동심원으로, 그러나 더 작은 직경을 가지고 배열되는 그 외 원통형 벽 부분(18)은 입구측 연결 플랜지와 마주하는 측면에 있는 개구와 정렬된다. 이 원통형 벽 부분(18)의 개구(19)는 입구측 연결 플랜지(2)를 향해 있으므로, 상기 원통형 벽(9')을 통해 형성된 부분 - 주요 프런트들이 상기 개구(12, 19)를 통해 형성된 래버린스(labyrinth)를 통해 상기 플레임 트랩(7) 위의 팽창실(17')에 도달한다.
상기 입구측 연결 플랜지(2)의 축에서 원통형 벽(9')에 상기 팽창실(17') 안으로 튀어나오는 라인 피스(20)가 위치하며, 이것은 임계의 파이프 직경 아래 있는 직경을 가지고 팽창실(17')로의 편향없이 보조 프런트를 유도하는 반면, 상기 주요 프런트는 여러번 편향되고 지연되어 상기 팽창실 (17')에 도달한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3도와 제4도의 제2 실시예에 비하여 상기 라인 피스(20')가 아래를 향해 휘어 있어 상기 플레임 트랩(7)에더 밀접하게 상기 보조 프런트를 팽창실(17') 안으로 유도한다. 더 나아가서 이 원통형 벽(9')은 유입 개구(12')를 형성하며, 이것은 측면에서 상기 벽에 위치하며 개구(19)와 함께 상기 주요 프런트의 여러번의 편향을 일으킨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삽입물(8")에 - 제1 실시예에서처럼 - 별도의 덮개(14)가 고정된다.
제7도에 도시된 제4의 실시예에서, 하우징(21)은 공동의 축에 위치하는 입구측 연결 플랜지(22) 및 출구측 연결 플랜지(23)를 갖는다. 이 입구측 연결 플랜지(22)는 원통형 파이프 피스(24)로 상기 하우징(21)의 내실로 이어지고 거기에서 컵 형상의 벽(25)으로부터 오버랩되어 결합된다. 이 컵 형상 벽(25)은 원통형 벽(26) 및 입구측 연결 플랜지(22)로부터 융기되어 있는 바닥(27)으로 이루어진다. 한 편으로는 입구측 연결 플랜지(22)의 파이프 형상 라인 피스(24)와 컵 형상 벽(25)의 원통형 벽(26) 사이에, 다른 한편으로는 원통형 벽(26)과 하우징(21) 사이에 원형 틈새(28, 2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컵 형상 벽(25)으로 들어오는 이상 폭발 프런트를 위한 레버린스를 형성하며, 이 이상 폭발 프런트는 컵 형상 벽(25)으로부터 내측 원형 틈새(28)에 의해 반사되어 나오고, 외측 원형 틈새(29)를 통해 180° 전환하여 팽창실(30) 안으로 들어온다. 이 팽창실은 플레임 트랩(7)을 통해 막혀있다. 이 플레임 트랩(7)은 고정 플랜지(31)로서 막혀있는, 하우징(21)의 2개 부분들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 플랜지(31)의 나사 고정을 통해 클램핑되며, 이 경우 상기 팽창실을 포함하지 않는 하우징(21) 부분은 출구측 연결 플랜지(23)에서 테이퍼 형상만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프런트는 상기 입구측 연결 플랜지(22)의 축에 있는 개구(32)를 통해 편향 없이 팽창실(30) 안으로 유도된다.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와 일치하는 제8도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컵 형상 벽(25)의 비닥(27)에 다수의 개구들(32)이 상기 입구측 연결 플랜지(22)의 축에 대해 대칭으로 배열되며, 이 중 세로 방향의 절단축(3)에서 개구(32)를 볼 수 있다.
제9도에 도시된 실시에는, 상기 보조 프런트를 플레임 트랩(7)에 훨씬 근접하여 상기 패창실(30)로 유도하는 라인 피스(32')가 상기 개구(32) 대신에 제공되는 차이점을 가지며 그 외에는 제7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일치한다.
도시된 모든 실시예들에 의해 이상 폭발의 효과적인 약화 또는 종료가 이루어 지고 따라서 이 실시예들에 제공된 플레임 트랩(7)의 부담이 작아진다.
제 1도는 각형 피스(angled piece)로서 실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2도는 제1도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횡단면도;
제 3도는 각형 피스로서 형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4도는 제3도에 따른 실시예의 횡단면도;
제 5도는 각형 피스로서 실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6도는 제5도에 따른 실시예의 평단면도;
제 7도는 선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8도는 선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 9도는 선형으로 형성된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2, 3 : 연결 플랜지
4, 5 : 벽 6 : 스테이지
7 : 플레임 트랩 8 : 삽입물
9 : 벽 10 : 전이 피스
11 : 가장자리 12 : 개구
13 : 판 14 : 덮개
15 : 개구 16 : 강화 리브
17 : 팽창실 18, 19 : 개구

Claims (19)

  1. 도달하는 이상폭발 프런트가 분할된 후 다시 팽창실에서 합류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폭발 감쇠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상폭발 프런트는 주요 프런트와 보조 프런트로 분할되며, 상기 주요 프런트가 상기 팽창실(17, 17', 30)로 유입될 때 상기 팽창실(17, 17', 30)내에는 상기 보조 프런트의 연소가스가 보유될 수 있도록 상기 주요 프런트는 상기 보조 프런트 보다 더 긴 진행시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폭발 감쇠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런트는 상기 주요 프런트보다 훨씬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폭발 감쇠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프런트가 상기 팽창실(17, 17', 30)로 유입될 때 상기 보조 프런트가 상기 팽창실(17, 17', 30)내에서 이미 완전히 와해되어 있도록 상기 주요 프런트의 진행시간은 상기 보조프런트의 진행시간에 대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폭발 감쇠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상폭발이 와해된 후 잔존하는 플레임을 소거하기 위해 가스를 플레임소거 틈새를 구비하는 플레임 트랩(7)을 통해 유입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폭발 감쇠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런트는 주요 프런트와 관련하여 맞은 편 단부에서 팽창실(17, 17', 30)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폭발 감쇠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런트는 상기 프레임 트랩 바로 앞까지 유도된 후 팽창실(17, 17', 30)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폭발 감쇠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프런트는 팽창실(17, 17', 30)에서 보조 프런트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퍼져나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폭발 감쇠방법.
  8. 이상폭발 프런트를 분할하여 편향시키기 위해 상기 이상폭발 프런트의 전파경로에 있는 벽장치와 상기 분할된 이상폭발 프런트가 다시 합류되는 팽창실(17, 17', 30)을 구비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 장치(9,16;9',18;9",18;24,25)는 상기 이상 폭발 프런트의 주요 프런트를 위한 제1라인경로와 보조 프런트를 위한 제2라인경로를 형성하되, 상기 제1와 제2라인경로는 상기 주요 프런트가 상기 보조 프런트에 비해 지연되어 상기 팽창실(17, 17', 30)에 유입되도록 각각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라인경로의 전체 횡단면은 상기 제2라인경로의 전체 횡단면 보다 휠씬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인 경로의 전체 횡단면은 상기 제1라인경로의 전체 횡단면의 1/4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인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피스(20, 20', 32')로 형성되고, 이의 직경은 임계 직경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실(17, 17', 30)은 플레임을 소거하기 위한 틈새를 구비하며, 벽장치와 관련하여 이상 폭발 프런트의 유동방향의 끝단측에 마련된 플레임 트랩(7)에 의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프런트는 상기 제2라인경로에 의해 상기 팽창실(17, 17', 30)에 대해 실질적으로 편향없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인경로는 이상폭발 프런트의 전파방향으로 있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5,32)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라인경로는 이상폭발 프런트의 전파방향으로 있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피스(20,20',32')를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피스(20,20',32')는 상기 플레임 트랩(7)의 바로 앞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피스(20')는 오프셋된 파이프 피스에 마련된 플레임 트랩(7)을 향해 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벽 장치는 원통형 벽을 구비하되, 상기 원통형 벽(9,9')은 이상폭발 프런트를 2개의 주요 프런트로 분할하여 편향시키며, 상기 보조 프런트의 통과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15) 또는 라인 피스(20,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벽 장치는 도달하는 이상폭발 프런트를 감싸는 컵 형상의 벽(25)을 구비하되, 상기 벽은 그 바닥측에 상기 보조 프런트를 위한 제2라인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개구 또는 라인피스를 구비하며, 상기 제1라인경로는 상기 컵 형상의 벽의 원통형 부분(26)의 외측부분을 따라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장치.
KR1019960043407A 1995-09-29 1996-09-25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방법 및 그 장치 KR100416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6292A DE19536292C2 (de) 1995-09-29 1995-09-2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wächen einer Detonation in einem Behälter- bzw. Rohrleitungssystem
DE19536292.6 1995-09-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264A KR970016264A (ko) 1997-04-28
KR100416203B1 true KR100416203B1 (ko) 2004-05-17

Family

ID=7773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407A KR100416203B1 (ko) 1995-09-29 1996-09-25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1) US5905227A (ko)
EP (1) EP0765675B1 (ko)
JP (1) JP3926872B2 (ko)
KR (1) KR100416203B1 (ko)
AT (1) ATE204775T1 (ko)
BR (1) BR9603917A (ko)
CA (1) CA2186652C (ko)
CZ (1) CZ289601B6 (ko)
DE (2) DE19536292C2 (ko)
DK (1) DK0765675T3 (ko)
ES (1) ES2161952T3 (ko)
HU (1) HU216519B (ko)
NO (1) NO313958B1 (ko)
PL (1) PL181114B1 (ko)
SI (1) SI0765675T1 (ko)
SK (1) SK283144B6 (ko)
TW (1) TW3424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18572C1 (de) * 1998-04-25 1999-11-11 Leinemann Gmbh & Co Verfahren zum Unschädlichmachen einer Detonationsfront und Detonationssicherung
DE19957836B4 (de) * 1999-11-25 2004-05-27 RMG - Gaselan Regel + Meßtechnik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ämpfen des Druckstoßes an Flammensperren bei Detonationen
DE19957837C2 (de) * 1999-11-25 2001-11-15 Rmg Gaselan Regel & Mestechnik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ämpfen des Druckstoßes an Flammensperren bei Detonationen
DE102005025660B4 (de) 2005-06-03 2015-10-15 Cosma Engineering Europe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xplosionsumformen
DE102006037742B4 (de) 2006-08-11 2010-12-09 Cosma Engineering Europ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xplosionsumformen
DE102006037754B3 (de) 2006-08-11 2008-01-24 Cosma Engineering Europ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xplosionsumformen
DE102006056788B4 (de) 2006-12-01 2013-10-10 Cosma Engineering Europe Ag Verschlusseinrichtung für das Explosionsumformen
DE102006060372A1 (de) 2006-12-20 2008-06-26 Cosma Engineering Europe Ag Werkstück und Verfahren für das Explosionsumformen
DE102007007330A1 (de) 2007-02-14 2008-08-21 Cosma Engineering Europe Ag Verfahren und Werkzeuganordnung zum Explosionsumformen
DE102007023669B4 (de) 2007-05-22 2010-12-02 Cosma Engineering Europe Ag Zündeinrichtung für das Explosionsumformen
DE102007036196A1 (de) 2007-08-02 2009-02-05 Cosma Engineering Europe Ag Vorrichtung für die Zufuhr eines Fluids für Explosionsumformen
US20120279197A1 (en) * 2007-12-04 2012-11-08 Firestar Engineering, Llc Nitrous oxide flame barrier
DE102008006979A1 (de) 2008-01-31 2009-08-06 Cosma Engineering Europe Ag Vorrichtung für das Explosionsumformen
CN102940942A (zh) * 2012-10-29 2013-02-27 大连理工大学 一种吸波减震波纹阻火抑爆装置
BR112016017471A2 (pt) 2014-01-28 2018-05-15 Elmac Tech Limited corta-chamas
GB201707857D0 (en) * 2017-05-16 2017-06-28 Elmac Tech Ltd Valve apparatus
CN110594435B (zh) * 2019-09-06 2021-07-23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用于吸油烟机的防火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7879C (de) * 1954-04-09 1956-01-19 Wilke Werke Ag Vorrichtung zur Sicherung feuergefaehrlicher Fluessigkeiten und Gase gegen anlaufende Explosion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83509C (de) * 1929-10-02 Dampfkessel Und Gasometerfabri Vorrichtung zur Sicherung von Behaeltern oder Rohrleitungen fuer feuergefaehrliche Fluessigkeiten gegen Feuer und anlaufende Explosionen
US1504824A (en) * 1921-04-30 1924-08-12 Kruskopf Hermann Method of and means for extinguishing or smothering explosions in mines
DE934574C (de) * 1954-01-29 1955-10-27 Wilke Werke Ag Vorrichtung zur Sicherung feuergefaehrlicher Fluessigkeiten und Gase gegen anlaufende Explosionen
DE1020274B (de) * 1956-06-07 1957-11-28 Leinemann Co Flammenfilter Explosionssicheres Atmungsorgan fuer Behaelter, Apparate und Leitungen zur Lagerung, Verarbeitung und zum Transport feuergefaehrlicher Fluessigkeiten und Gase
DE1192980B (de) * 1963-05-27 1965-05-13 Leinemann Co Flammenfilter Vorrichtung zur Sicherung von Behaeltern fuer feuergefaehrliche Fluessigkeiten und Gase
US3814016A (en) * 1973-03-22 1974-06-04 Burlington Industries Inc Bomb suppression device
US4537133A (en) * 1983-03-31 1985-08-2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Interior Non-incendive rock-breaking explosive charge
CA1311409C (en) * 1988-12-23 1992-12-15 Nicholas Roussakis Flame arrester having detonation-attenuating means
JPH05296438A (ja) * 1992-04-16 1993-11-09 Kobe Steel Ltd 爆轟抑止器
US5386779A (en) * 1992-08-14 1995-02-07 Wilfred Baker Engineering, Inc. Passive air blast attenuators and ventilators
US5364127A (en) * 1993-06-11 1994-11-15 Trw Inc. Inflator assembl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7879C (de) * 1954-04-09 1956-01-19 Wilke Werke Ag Vorrichtung zur Sicherung feuergefaehrlicher Fluessigkeiten und Gase gegen anlaufende Explosio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9603917A (pt) 1998-06-09
CA2186652A1 (en) 1997-03-30
JP3926872B2 (ja) 2007-06-06
TW342444B (en) 1998-10-11
PL181114B1 (pl) 2001-05-31
DE59607572D1 (de) 2001-10-04
ES2161952T3 (es) 2001-12-16
NO964116D0 (no) 1996-09-27
KR970016264A (ko) 1997-04-28
SI0765675T1 (en) 2001-12-31
DE19536292C2 (de) 1997-09-25
NO964116L (no) 1997-04-01
CA2186652C (en) 2005-04-19
HUP9602644A2 (en) 1997-06-30
CZ289601B6 (cs) 2002-03-13
SK283144B6 (sk) 2003-03-04
EP0765675B1 (de) 2001-08-29
HUP9602644A3 (en) 1997-09-29
NO313958B1 (no) 2003-01-06
HU9602644D0 (en) 1996-11-28
HU216519B (hu) 1999-07-28
SK122096A3 (en) 1997-08-06
DE19536292A1 (de) 1997-04-17
PL316334A1 (en) 1997-04-01
JPH09170750A (ja) 1997-06-30
DK0765675T3 (da) 2001-10-08
CZ280396A3 (en) 1997-04-16
EP0765675A3 (de) 1998-03-11
US5905227A (en) 1999-05-18
ATE204775T1 (de) 2001-09-15
EP0765675A2 (de) 199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203B1 (ko) 용기 또는 파이프 라인 시스템의 이상 폭발 감쇠방법 및 그 장치
US6342082B1 (en) Apparatus for rendering a detonation front harmless
US6948929B2 (en) Combustion type waste gas treatment system
US7390190B2 (en) Flame arrestor with reflection suppressor
US5191990A (en) Flash gas venting and flame arresting apparatus
CA2349149A1 (en) Low nox apparatus and methods for burning liquid and gaseous fuels
US4975098A (en) Low pressure drop detonation arrestor for pipelines
SU1131470A3 (ru) Способ отвода газов,выдел ющихс при разложении этилена в аппаратах под высоким давлением и устройство дл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
US4545397A (en) Float valve assembly
GB2522476A (en) Flame arrester
EP0530945A1 (en) Flash gas venting and flame arresting apparatus
SU1734781A2 (ru) Огнепреградитель
CN220833913U (zh) 一种顶平偏心异径阻火器
WO1994004886A2 (en) Passive air blast attenuators and ventilators
KR100240135B1 (ko) 분말연료 특히 분말석탄 및 가연성 유체 연소용버너특히 제트버너
RU2096681C1 (ru) Клапан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ый
SU99580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дотвращени попадани воздуха в сбросные и факельные трубы
SU1388059A1 (ru) Огнепреградитель
SU1625497A1 (ru) Огнепреградитель дл горючих смесей с механическими примес ми
KR19980083420A (ko) 자동차의 소음기
CS251821B1 (cs) Spouštěcí Spouštěcí mechanismus automatického hasicího zařízení s výbušným členemmechanismus automatického hasicího zařízení s výbušným člen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