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6133B1 - 레일고정조립체 - Google Patents

레일고정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6133B1
KR100416133B1 KR1019960706364A KR19960706364A KR100416133B1 KR 100416133 B1 KR100416133 B1 KR 100416133B1 KR 1019960706364 A KR1019960706364 A KR 1019960706364A KR 19960706364 A KR19960706364 A KR 19960706364A KR 100416133 B1 KR100416133 B1 KR 1004161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assembly
brackets
support assembly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2950A (ko
Inventor
헤르만 요트 오르트바인
데이비드 로날드 세레이
스티븐 존 씨오엑스
캐네쓰 죠지 앨런
브라이언 죠지 콘로이
마틴 데이비드 소머셋
피터 윌리엄 브라인더레이
앤드류 가우드
Original Assignee
팬드롤 리미티드
헤르만 요트 오르트바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077069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1613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팬드롤 리미티드, 헤르만 요트 오르트바인 filed Critical 팬드롤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970702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2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61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61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19/00Protection of permanent way against development of dust or against the effect of wind, sun, frost, or corrosion; Means to reduce development of noise
    • E01B19/003Means for reducing the development or propagation of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0Rail fastenings making use of clamps or braces supporting the side of the rai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6Rail fastenings allowing th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rails, so far as not included in the preceding 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sistance Welding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 Railway Track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철도 선로를 따라 따로 분리된 위치에 있는 트랙 기초부(2) 위쪽에 트랙 철도 선로(1)를 탄력성있게 현수시키기 위한 상기 철도 선로 지지 조립체(3)는 예정된 클램핑 부하가 상기 레일 상에서 압력이 가해지는 레일 지지수단을 갖기 때문에, 상기 조립체(3)는 레일(1)의 종방향 크리이프 통로에 바람직한 저항을 갖는다. 레일 지지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조립체(3)가 실제 사용될 때, 대략 상기 트랙 기초부(2)의 수평 상부면에 부착된다. 상기 조립체(3)는 제 1 및 제 2 브래킷(31,32)과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34)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31,32)은 상기 조립체(3)가 실제 사용될 때 상기 레일의 어느 한 측면 부근에 위치되어 있는 베어링부(312,322)와, 상기 트랙 기초부(2)의 상부 표면상에 위치되어 있는 기초부(311,321)를 갖는다. 상기 조립체(3)가 실제 사용될때, 제 1 탄성부재(33)는 제 1 브래킷(31)과 레일(1) 사이에 위치되고, 제 2 탄성부재는 레일(1)과 제 2 브래킷(32)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조립체(3)는 또한 상기 예정된 클램핑 부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 고정 조립체
도시를 통과하는 철도 선로는 필수적으로 사람들의 집과 사무실에 인접하여 지난다. 대부분의 도시 철도는 강철 레일 상에서 강철 휠을 갖추어 달리며, 고무 바퀴형의 도로 교통 보다 더 큰 정도의 허용할 수 없는 소음 및 진동을 유발할 수 있는 높은 동력을 발생시키는 경향을 가진다. 따라서, 철도 트랙의 구조는 이러한 잠재적인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이 중요하다. 하나의 가능한 해결책은 지지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고 그리고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트랙 구조물의 질량을 가능한 한 크게 만드는 것이다. 또다른 가능한 해결책은 지지 강성도(stiffness)를 가능한 한 낮게 만드는 것이다.
트랙 중량을 증대시키는 것은 매우 비용이 많이 드는데, 이는 트랙 중량을 증대시키는 것이 지지 다리를 보다 튼튼하게 하여야만 하고, 그리고 추가의 중량을 수용하기 위해 터널이 보다 큰 보어(bore)를 가져야만 하기 때문이다. 상기 추가 중량은 대개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슬래브 형태로 제공될 것이다.
탄성 패드, 또는 탄성 기초판, 또는 탄성적으로 장착된 침목(sleeper)이 레일의 밑바닥(foot)과 트랙 기초부 사이에 제공되는 종래의 레일 지지장치의 강성도를 줄이는 것은 측방향 부하가 가해질 때 레일 헤드의 허용 불가능한 정도의 측방향 휨을 피해야 할 필요에 의해 제한된다. 상기 장치에서, 안전하게 허용될 수 있는 레일 휠의 최대 수직 휨은 통상 2 또는 3 밀리미터 보다 더 크지는 않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금속 브래킷에 의해 지지된 연속적인 고무 지지체 상에 헤드가 놓여진 상태에서 레일을 현수하였다. 상기 장치는 안전한 범위내에서 예를 들어 5 또는 10 mm 정도의 보다 큰 레일의 수직방향 휨을 허용한다. 종래의 고정 방식 보다 힘의 작용선에 더 가깝게 레일이 지지되기 때문에, 큰 측방 레일 헤드 휨은 발생하지 않는다. 고무 지지체는 견고한 금속부분에 의해 제위치에 고정된다. 조립체는 레일의 웨브를 통과하고 그리고 브래킷 및 고무 삽입체를 통과하는 볼트의 사용에 의해 함께 고정된다. 상기의 고정 방식은 레일에 일정 간격으로 드릴 가공할 것을 필요로 한다. 다른 디자인에서, 레일은 연속적인 고무 지지체 상에 다시 현수되지만, 연속적인 콘크리트 트로프(trough) 내에 위치된다. 레일을 더 이상 드릴 가공할 필요가 없고, 상기 조립체는 플라스틱 키이와 클램핑 판들에 의해 정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클램핑 판들은 트로프내로 볼트 체결되고 레일을 정위치 시킨다.
전술된 트랙 지지체 장치는 트랙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우선 목적으로 한다. 이는 2가지 명확한 디자인 특징을 초래한다. 먼저, 레일은 연속적으로 지지되므로, 레일의 길이를 따라 트랙 지지 강성도에 아무변화가 없으며, 이것은 휠이 트랙을 횡단함에 따른 조화 가진(harmonic excitation)를 제거하기 위해 실행된다. 두번째로, 고정 방식은 낮은 수직 강성도를 갖도록 설계되고, 탄성 부재의 강성도는 부하(load)가 인가됨에 따라 일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탄성 지지부재에 인가되는 부하는 고의적으로 최소화된다. 유럽 특허 A 0620316호에서 설명된 한 설계에서, 측면 지지부재의 위치는, 연속적인 탄성부재의 최소 압축과 함께 올바른 레일 정렬을 달성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측방향으로 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된 종래 기술의 장치의 설치 및 유지는 상당한 실제적 어려움이 있다. 볼트가 레일을 통과하는 장치의 제 1 형태에서, 상기 레일은 미리 드릴 구멍이 뚫어져야 하고 지지판은 레일이 설치될 수 있기 전에 거기에 부착되어야 한다. 휘어진 트랙에 있어서, 레일 및 각각의 지지체는 적합한 반경으로 굽어져야 하고, 레일은 적합한 위치에서 드릴작업 되어야 한다. 필요한 계산에서 그리고 구성요소의 정확한 굽힘에서 에러가 발생할 기회는 많이 있다. 레일 정렬이 레일을 따라 분리된 지점들에서 측정 및 교정되기 때문에, 2가지 형태의 장치에서 레일의 연속적인 지지는 일정한 지지 특성과 레일의 정확한 선 정렬 및 높이 정렬의 만족스런 조합을 이루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두번째 형태의 장치에서, 정확한 트랙 게이지를 충분히 제공할 수 있는 연속적인 트로프(trough)가 제공되어야 한다. 트랙 설계에서 다른 제한이 있기 때문에, 이것은 항상 쉽게 달성되는 것이 아니다.
두 장치에서, 레일은 쉽게 감추어지며, 쉽게 접근되지 않는다. 이것은, 모든 구성요소가 더 쉽게 보여지고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종래의 비탄성 트랙 고정작업 보다 예를들어 정밀검사, 마모된 레일의 교체, 손상된 레일의 수리 또는 고무 구성요소의 대체와 같이 철도 트랙에 요구되는 많은 평상의 유지 절차를 보다 더어렵게 한다.
따라서, 헤드 아래에서 레일을 지지하는 잇점이 달성되면서도 현재 장치의 실제 결함이 없는 레일의 탄성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라, 레일을 따라 분리된 위치에서 트랙 기초부 위쪽에 철도 레일을 탄성적으로 현수시키기 위한 철도 레일 지지 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조립체는 레일의 종방향 크리프에 대해 원하는 저항을 갖도록 하기 위해 상기 레일 상에 예정된 클램핑 부하를 가하는 레일 지지 수단을 갖는다. 레일이 그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지지되지 않고 단지 단속적인 위치에서만 지지되기 때문에, 탄성부재 및 금속 브래킷의 필요 체적은 연속적인 지지 장치에 비해 감소되고, 따라서 조립체는 더욱 저렴한 가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대다수 레일 고정장치에서 요구되는 종방향 레일 이동에 대한 저항과 관련하여, 종래 기술의 연속적인 지지 장치의 종방향 레일 이동에 대한 저항은 탄성 지지체를 통해 레일에 제공된 상당한 부하 때문이 아니라 탄성 지지체와 레일 사이의 큰 접촉지역의 결과로서만 증대된다는 것을 주지하여야 한다. 레일을 통해 위치된 볼트를 사용하는 설계에서, 상기 볼트는 발생할 수 있는 종방향 크리프의 양에 대한 최대 한계를 분명하게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부하작용은 결함을 초래할 수 있었기 때문에 이러한 방법으로 볼트에 의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큰 휨을 달성하고 그에 따라 분리 조립체의 엣지(edge)에서 발생하는 큰 응력을 방지하기 위해, 레일의 연속적인 지지가 필요했다는 사실은 이미 생각되어 왔다. 또한, 레일의 조화 가진을 피할 수 있도록 상기 연속 장치가 필요한 것으로 믿어졌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통상적인 지지장치가 설계를 위한 지지 강성도의 수준에서, 레일 내의 굽힘(bending) 파동의 길이가 충분히 길어 상기 분리된 조립체 위쪽의 각각의 위치에서 그리고 상기 두 인접한 조립체 사이의 경간(span)에서의 트랙 지지 강성도의 명백한 차이가 매우 작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채용하고 있는 분리 조립체는, 레일의 축에 수직인 수평 평면에서 볼 때, 조립체 위쪽의 지지 강성도와 경간 사이의 갑작스런 변화부가 없도록 탄성부재 및 지지 브래킷을 형성하게끔 설계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랙의 길이를 따른 지지 강성도의 변화에 기인한 조화 가진은 매우 작다. 그래서, 연속 지지장치의 바람직한 진동 감소 특성은 본 발명을 채용하는 분리 장치에서 상당한 정도로 유지될 수 있다. 트랙의 길이에 따른 지지 강성도의 작은 변화의 결과로서, 본 발명을 채용하고 있는 분리 조립체의 엣지에서 레일 응력이 증가되는 경향이 없다.
본 발명은 레일 고정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별도의 추가적인 앵커 및 고정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도, 본 발명을 채용하고 있는 조립체에서 종방향 레일 이동에 대한 저항이 제공된다. 이러한 점에서, 분리 장치 내의 탄성 지지체의 체적은 연속적인 것에 비해 감소되기 때문에, 상기 조립체가 사용되는 트랙(트랙 모듈)의 미터당 트랙 강성도를 동등한 연속적인 지지트랙에 비해 증가시키지 않고도 측방 부하가 각각의 분리 조립체내의 탄성 부재에 인가될 수 있다. 실제로, 탄성 지지체와 레일 사이의 접촉 영역의 감소를 상쇄시키기 위해 분리조립체내에 클램핑 부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측방으로 가해지는 이러한 클램핑 부하는 종래의 지지되지 않는 트랙에서 고정장치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클램핑 부하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하며, 즉 연속적으로 용접된 레일에서 종방향 운동을 제한한다. 종방향 레일 이동에 대한 저항은, 평면도로 도시할 때, 레일 이동이 탄성부재를 웨지내로 끌어당기도록 분리 지지체 내의 탄성부재 및 지지 브래킷을 성형함으로써 추가로 증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레일의 힘을 흡수하고 트랙 게이지를 유지하며 종방향 레일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고정장치의 모든 주요 요건은, 클램핑 부하를 인가하는 탄성부재에 의해 레일 헤드의 아래가 지지되는 본 발명을 채용하는 분리식 고정장치에서 실현될 수 있다. 또한, 레일과 지지체 간의 전기 절연은 적절한 탄성부재가 사용될 때 제공된다. 게다가, 레일에 드릴 구멍을 뚫기 위한 또는 트로프 내에 상기 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필요성은 제거된다. 더욱이, 분리 조립체 내에서 레일은 단지 띄엄띄엄 간격을 두어 지지되며 지지 브래킷 및 탄성 부재는 레일의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연장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조립체가 같은 높이의 표면 상에 고정될 때, 즉 레일 지지 수단이 트랙 기초부의 대략 수평인 상부면에 부착될 때 상기 조립체를 점검 및 유지하기가 비교적 쉽다. 이러한 형태의 조립체 내에서 측방향 부하를 받을 때의 비교적 작은 측방 레일 헤드의 편향 및, 종래 고정 장치에 비해 상기 측방향 부하가 분산되며 평평한 바닥 레일이 밑바닥에서 고정되는 비교적 큰 베어링 면적은, 진동 감쇄가 주목적이 아닌 상황에서도 사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을 채용하고 있는 조립체는 베어링부 및 기초부를 각각 갖는 제 1 및 제 2 브래킷과 제 1 및 제 2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조립체가 실제 사용될 때 레일의 어느 한 측면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상기 기초부는 상기 트랙 기초부의 상부면 상에 위치되며, 상기 제 1 탄성부재는 제 1 브래킷과 레일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탄성부재는 레일과 제 2 브래킷 사이에 위치되며, 조립체의 사용중에, 상기 예정된 클램핑 부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조립체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은 체결수단에 의해 트랙 기초부상의 정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체결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브래킷의 각각의 기초부를 통해 위치된다.
상기 브래킷 중 하나의 하단부는 다른 브래킷 측면을 향해 레일 아래쪽에 연장할 수 있으며, 그로인해 기초판을 제공하고 있다. 그 대신에, 상기 기초판을 별도로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된 기초판은 브래킷과 별도로 트랙 기초부에 부착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은 대응하게 경사져 있는 상기 기초판의 경사진 하부면과,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그 대신에, 한 브래킷은 고정되고 다른 브래킷은 고정되지 않은 곳에서, 상기 고정되지 않은 브래킷의 기초판은 경사진 하부면을 구비하고, 상기 기초부는 대응하는 경사진 상부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트랙 기초부 또는 기초판은 직립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립체는 상기 직립부와 상기 브래킷들 중의 인접 브래킷의 베어링 부분 사이에 끼워져서 조립체의 사용중에 상기 브래킷에 가해지는 희망 클램핑 부하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웨지(wedge) 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직립부와 상기 브래킷의 베어링부 사이에 상기 웨지 부재가 삽입되는 것이 상기 브래킷을 상기 직립부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상기 희망 클램핑력이 상기 브래킷에 인가되도록, 상기 브래킷의 기초부는 상기 직립부가 관통하는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직립부가 상기 슬롯내에 끼워지는 경우에는 상기 직립부에 대한 상기 브래킷의 이동이 허용된다. 상기 브래킷의 베어링부는 상기 웨지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직립부 및 돌출부의 대향 표면들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직립부를 향해 연장하는 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웨지부재는 대체로 수직 또는 수평으로 설치될 수가 있다. 상기 조립체가 실제 사용될 때, 웨지부재는 통과 볼트에 의해 바람직하게 고정된다.
대안적인 장치에서, 상기 고정수단의 부분은 브래킷의 기초부 위로 돌출하므로 상기 돌출부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는 상기 브래킷에 제공된 바람직한 클램핑 부하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제 1 및 제 2 웨지 부재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웨지 부재는 상기 조립체가 실제 사용될 때 연동하는 톱니 형상의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그 대신에, 본 발명을 채용하는 조립체에서 클램핑 부하 유지 수단은 편심캠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경사가 없이 레일을 지지하기 위하여 동일한 제 1 및 제 2 브래킷과 함께 동일한 제 1 및 제 2 탄성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채용하는 조립체에서, 조립체가 실제 사용될 때, 조립체를 수평으로하기 위해, 그리고 그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적절한 그라우트(grout)층이 트랙 기초부와 한쪽 또는 양쪽 브래킷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적절한 그라우트 층이 레일을 대해 바람직한 경사를 제공하기 위해 또한 사용될 수도 있다. 그 대신에, 동일하지 않은 제 1 및 제 2 탄성부재의 사용에 의해 또는 동일하지 않은 브래킷의 사용에 의해 필요한 경사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 및/또는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는 레일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조립체의 강성도가 조립체의 중심 구역에서 가장 크게 끔 변화되도록 성형될 수 있다.
또한, 또는 선택적으로, 각각의 제 1 및 제 2 브래킷/또는 각각의 제 1 및 제 2 탄성부재는 인가된 클램핑 부하를 증가시키도록 성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트랙 기초부에 대한 레일의 높이를 조정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체결수단은 레일에 대한 바람직한 높이에서 레일을 지지하고 있는 브래킷의 위치설정에 도움을 주기 위해 구성 및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탄성부재 중 하나 및 관련 브래킷 사이에 삽입된 웨지를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판은 상기 제 1 브래킷과 제 1 탄성부재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상기 조립체에서, 강성 부재는 지지판과 제 1 브래킷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트랙 기초부에 대해 힌지 결합되는 브래킷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견부(shoulder) 및 고정 클립을 포함하는 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고정클립은 그 고정클립의 탄성에 의해 상기 견부 내에서 정위치에 고정되며, 상기 조립체가 실제 사용될 때, 상기 고정 클립은 수직방향으로 상당히 강성을 가진다.
고정클립의 한 예는 상기 조립체가 실제 사용될 때 상기 견부 내로 삽입되는 전방부와, 상기 견부 내로 상기 전방부를 삽입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후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부는 상기 조립체가 실제 사용될 때 견부 내에서 클립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다.
상기 클립은 한 쌍의 대체로 평행한 연장부재를 갖는 전방부와, 2개의 연장부재를 연결하는 만곡진 부재를 갖는 후방부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두 연장부재 중 하나는 견부 내에서 클립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도록 성형되어 있다.
고정클립의 또다른 예는 대체로 U 형상인 재료의 원통형 바아를 포함한다.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횡단면의 단부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횡단면의 단부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의 횡단면의 단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의 횡단면의 단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각각의 측면도 및 평면도.
도 7은 도 2 내지 도 6의 실시예에서 이용하기 위한 각각의 클립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평면도.
도 8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의 단부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일부 횡단면의 단부도.
도 11 및 12도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각각의 일부 횡단면의 측면 및 단부도.
도 13 및 도 14는 도 11 및 도 12의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일부분의 각각의 사시도.
도 15는 도 11 및 도 12의 제 9 실시예의 제 1 변형체의 일부 횡단면의 측면도.
도 16은 도 11 및 12의 제 9 실시예의 제 2 변형체의 단부도.
도 17은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한 실시예의 부분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단부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일부분의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의 일부분의 사시도.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 및 그 변형체의 각각의 단부도.
도 22A 내지 도 22C는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 및 그 변형체의 일부분의 사시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의 단부 횡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트랙 기초부(2) 상에서 불-헤드형(bull-headed) 레일(1)을 정위치에서 지지하는 제 1 조립체(3a)의 단부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고 있는 단순화된 조립체를 도시한 것이며 상세한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도시된 것이다.
조립체(3a)는 제 1 브래킷(31a)과, 제 2 브래킷(32a)과, 제 1 탄성부재(elastomeric member)(33a) 및 제 2 탄성부재(34a)를 포함한다. 브래킷(31a 및 32a)은 도 1 에서와 같이 한 단부로부터 도시될 때 대체로 3각형이고, 각각은 트랙 기초부(2)에 평행한 하단부(311a 또는 321a), 레일(1)에 인접한 거의 수직인 부분(312a 및 322a) 및 각을 이루는 지지부분(313a 또는 323a)을 갖는다. 상기 대체로 수직인 부분(312a 및 322a)은 각각의 탄성부재(33a 및 34a)의 변형에 대항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대체로 수직인 부분은 그들의 부하 베어링(bearing) 표면 및 그에 대응하는 탄성부재의 표면이 수직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성형된다.
탄성부재(33a 및 34a)는 레일(1) 및 각각의 브래킷(31a또는 32a)과 함께 맞물리도록 성형된다. 이 실시예에서, 탄성부재(33a 및 34a)는 단면이 동일하고, 레일(1)의 양쪽에서 사용된다.
제 1 브래킷(31a)은 슬롯(314)을 통해 돌출하는 (도시되지 않은) 위치설정 수단에 의해 트랙 기초부(2)에 부착되고 제 1 탄성부재(33a)는 제 1 브래킷(31a) 및 레일(1) 사이에 위치된다. 제 2 브래킷(32a)은 또한 슬롯(324)을 통해 돌출하는 (도시되지 않은) 위치설정 수단에 의해 트랙 기초부에 부착되고 제 2 탄성부재(34a)는 레일(1) 및 제 2 브래킷(32a) 사이에 위치된다.
트랙 기초부(2)에 브래킷(31a 및 32a)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 위치설정 수단은 볼트, 또는 레일 견부, 또는 어떤 적합한 고정장치일 수가 있다. 브래킷을 고정하기 위한 다른 여러 바람직한 방법은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될 것이다.
도 1로부터 나타낼 수 있는 것처럼, 상기 조립체는 평탄한 상부면을 갖는 트랙 기초부 상에 고정되고, 그로 인해 상기 장치의 직선형 설치 및 관리가 가능하다. 그러나, 더욱 유력하게, 상기 조립체는 보강되거나 또는 압축응력을 준 단순한 콘크리트 슬래브 또는 침목(sleeper)을 트랙 기초부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슬래브 또는 침목은 비-현수식 철도선로 장치에서 통상 철도선로 트랙 기초부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종래에 고안된 매달린 레일 장치에서 사용된 채널형의 슬래브 또는 침목보다 제조 및 설치 비용이 더 적게 들고 보다 강해질 수 있다. 상기 평탄한 침목 상에 적합하게 예비압축하기가 어려운 견부 영역이 없기 때문에, 여분의 강도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어떠한 채널도 존재하지 않고 또 채널의 추가가 매우 어렵거나 또는 혼란스럽거나, 또는 매우 비싼 경우에 현존 트랙설비 상에 사용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실제로, 제 1 및 제 2 브래킷은 슬롯(314 및 324)을 사용하여 조정되므로, 레일(1)이 바람직하게 조정되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a 및 34a)는 레일(1)에 대하여 유지된다.
통과하고 있는 열차에 의해 레일상에 가해지는 압력에 반응하는 레일(1)의 종방향 크리이프에 대한 바람직한 저항을 상기 조립체가 나타내도록 하기 위하여,탄성부재(33a 및 34a)에 압축 클램핑 부하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예를들어, 15kN 또는 그 이상의 압축 클램핑 부하는 7kN의 종방향 크리이프 저항에 대하여 요구될 것이다. 종래에 고안된 장치와는 대조적으로, 상당한 클램핑 부하가 제공되지 않고 종방향 레일 운동에 대한 저항이 연속 지지 시스템에서 레일과의 큰 접촉 지역에 의해서만 제공되는, 또는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공된 몇몇 추가 레일 고정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상당한 클램핑 부하의 사용은 그것의 길이를 따라 분리된 위치에서 레일이 매달릴 수 있게 한다. 종방향 레일 이동에 대한 저항은, 추가적인 그리고 별도의 레일 앵커(anchors) 또는 고정장치가 필요 없이, 상기 장치의 특성을 통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제 1 실시예에서, 클램핑 부하는 조립체의 기하학적 배열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클램핑 부하를 달성하기 위하여 브래킷(31a 및 32a)은 트랙 기초부(2) 상에 단단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제 1 실시예를 설치하기 위하여, 브래킷(31a 및 32a) 및 탄성부재(33a 및 34a)는 (도시되지 않은) 공구를 사용하여 레일(1)에 대하여 압축될 것이다. 이 압축 클램핑은 바람직한 수준으로 탄성부재에 부하를 가할 것이다. 이어서, 조립체는 트랙 기초상의 정위치내로 낮춰지므로,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위치설정 수단을 사용하여 조립체를 고정할 수 있다. 그런 후, 공구가 제거되고 이어서 조립체의 설치가 완료 된다. 브래킷이 정위치에 견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클램핑 부하가 탄성부재(33a 및 34a) 상에서 유지된다.
조립체가 슬래브 트랙 기초부, 또는 현존 트랙에 장착될 때, 조립체의 단계를 조정하고 높이를 조정하기 위하여, 적합한 그라우트 층(grout layer)(21)이 브래킷(31a 및 32a)과 트랙 기초부(2) 사이에서 사용된다.
상기 레일(1), 또는 제 1 브래킷(31a), 또는 제 2 브래킷(32a)이 통상의 작동범위를 넘어 상당히 변위되는 경우에도 레일(1) 및 브래킷(31a 및 32a)이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절연되도록 하기 위한 절연층(11)을 상기 레일(1)이 하부 받침 영역에 구비한다. 레일(1) 아래의 구역(12) 및 브래킷(31a 및 32a) 사이의 공간이 파편으로 충전된 경우에도 절연층(11)은 또한 브래킷(31a 및 32a)으로부터 레일(1)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요소 중 대부분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 2 실시예는 트랙 기초부(2) 위쪽에 레일(1)을 지지하는 조립체(3b)를 제공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레일은 브래킷(31b 및 32b) 및 탄성부재(33b 및 34b)에 의해 지지된다. 이들 탄성부재는 지지부(330 및 340)의 추가를 제외하고는 도 1에서의 설명과 동일하다. 이들 부분은 지지부는 브래킷상에 부재를 위치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조립체(3b)는 브래킷(31b 및 32b)이 고정되는 평탄한 기초판(38)을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기초판은 조립체가 고정되는 단단한 기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일 그라우트 층이 사용된다면 기초판은 특히 유용하다.
도 2에서, 도 1에 도시된 그라우트 층은 레일(1)에 대해 소정의 경사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그라우트 층(211)으로 대체되어 왔다.
브래킷(31b 및 32b)을 유지하기 위한 위치설정 수단은 브래킷 내에서 슬롯을 통해 돌출하는 견부(41)에 의해 구성된다. 클립(51)은 브래킷을 정위치에 지지하기 위해 견부(41) 내의 구멍(43)을 통해 삽입된다.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탄성부재(33b 및 34b)에 인가될 필요가 있는 클램핑 부하는 조립체를 끼워맞춤으로써 제공된다.
견부(4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트랙 기초부(2) 내의 오목부(23) 내로 접착되거나, 또는 돌출부(411)에 의해 트랙 기초부(2) 내로 주조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는 도 3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는, 레일(1)이 서로 다른 각각의 직립부(312c 및 322c)를 갖는 브래킷(31c 및 32c)에 의해 경사진 것을 제외하고, 도 2에 도시된 것과 매우 유사하다. 상기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브래킷은 횡단면이 동일한 탄성부재(33c 및 34c)와 함께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비록 본 실시예가 플랜지형 바닥(flange-footed)의 레일과 함께 이동될 수 있지만, 도 3 의 실시예는 불 헤드형(bull-heaeed)의 레일(1)을 이용하여 도시되었다. 도 2에서 처럼, 도 3의 실시예는 제 위치에 조립체를 고정하기 위해 클립(51)이 사용된 접착(glue-in) 또는 주조(cast-in)형 견부(41)를 사용한다. 요구되는 클램핑 부하는 조립체의 끼워맞춤에 의해 다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도 4에 도시된다. 상기 제 4 실시예는 제 2 및 제 3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지만, 제 4 실시예에서 레일의 경사각은 비-동일 횡단면을 갖는 브래킷(31d 및 32d)과 조합된 동일하지 않은 탄성부분(33d 및 34d)의 사용에의해 제공된다. 조립체는 트랙 기초부(2)에 접착, 주조 또는 그라우트(grouted)되는 견부(41)를 통해 삽입된 클립(51)에 의해 정위치에 다시 고정된다.
도 5 및 도 6은 상기 설명된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각각의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서, 레일(1)은 레일 지지 조립체(3e)에 의해 트랙 기초부(2) 상의 정위치에 유지된다.
조립체(3e)는 제 1 및 제 2 브래킷(31e 및 32e)과,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e 및 34e)를 포함한다. 탄성부재(33e 및 34e)는 종래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일을 따라 레일 지지체 강성도가 급격히 변하지 않도록, 브래킷(31e 및 32e)이 특별히 성형된다. 직립부(312e 및 322e)는, 휠(wheel)이 조립체에 닿을 때 트랙 모듈의 변화율(미터당 트랙의 강성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조립체의 종방향을 따라 레일로부터 멀어지게 바깥쪽으로, 그리고 조립체의 종방향 단부에서 하방으로 경사지게 된다.
지지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디자인되는 지지 강성도의 레벨에서 레일상을 이동하는 기차로 인한 굽힘 파동(bending wave)의 길이가 충분히 길어서 두 개의 조립체 사이의 중간 경간(徑間; span) 지점과 조립체 위쪽의 지점들 사이의 트랙 지지 강성도의 분명한 차이가 비록 적을지라도, 이러한 차이는 브래킷(31e 및 32e)의 상기 형상에 의해 추가로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의 축선에 수직인 수평면에서 볼 때, 조립체의 상부의 지지 강성도와 경간의 지지 강성도 사이에 급격한 변이부가 없게 지지 브래킷을 성형하도록 본 실시예의 분리 조립체가 디자인된다. 트랙의 길이를 따른 지지 강성도의 변화로 인한 조화 가진이 그에 따라 매우 작아진다. 종전에 고려되었던 연속 시스템의 양호한 진동 생성 특성이 본 발명을 구현한 분리 시스템내에서도 유지될 수가 있다.
또한, 트랙의 길이를 따른 지지강도의 작은 변화 때문에, 조립체의 엣지에서 레일 응력이 증가되는 경향이 없게 된다.
도 7A 및 도 7B는 제 2 내지 제 5 실시예에서 사용된 클립(51)의 휘지 않은 형상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클립(51)은 탄성 재료, 예를들어 강철로 된 평평한 바아로부터 형성된다. 클립은 굽은 전방부(510), 평면부(511), 굽은 후방부(512), 곡면부(513), 평면부(514), 곡면부(515) 및 평평한 전방부(516)를 갖는다.
실제로 사용될 때, 클립(51)은 견부(41) 내로 삽입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신의 탄성에 의해 제 위치에 고정된다. 클립의 후방부(512)의 형상은 클립이 견부(41) 내로 삽입되는 것을 돕는다. 클립은 설치하기 전에 대체로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설계되고, 부하작용에 기인한 조립체의 어떠한 휘어짐도 클립이 아닌 탄성부재에 의해 형성되도록, 클립은 일단 설치된 후에 수직방향으로 상당한 강성을 갖도록 디자인된다.
이러한 클립의 설계는 견부(41) 내로 삽입되기에 비교적 쉬우며, 브래킷에 대해 견고한 고정을 제공한다. 이 클램핑 부하는 기본적으로 조립체의 기하학적 형상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클립의 탄성은 조립체 내에서 수직 방향 공차를허용하며, 그로인해 브래킷을 정위치에 유지하고, 그로부터 조립체 내의 필요한 클램핑 부하를 유지한다.
전술된 클립에 더하여, 클립(51)의 강성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탄성재료의 층은 실질적으로 평행한 부분(511 및 514) 사이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의 각각의 단부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불-헤드형(bull-head rail)(1)는 조립체(3f)에 의해 트랙 기초부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다.
제 6 실시예에서, 조립체(3f)는 앞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것과 유사한 구성요소, 즉 제 1 및 제 2 브래킷(31f 및 32f)과,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f 및 34f)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는 또한 조립체가 고정되는 기초판(38f)을 포함한다.
기초판(38f)은 볼트(53)에 의해 트랙 기초판(2)에 부착되고, 브래킷이 제 위치에 고정될 때 브래킷(31f 및 32f) 내의 (도시되지 않은) 슬롯을 통과하는 직립부(41f)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브래킷(31f 및 32f)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기초판(38f)의 직립부(41f)내의 각각의 구멍을 통과하는 클립(52)에 의해 기초판(38f)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다. 클립(52)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클립(51)과 같은 기능을 가지나, 사용시에 평면도에 도시될 때 대체로 U형상을 갖는 도 7의 클립의 형상과는 차이가 있다. 도 7의 조립체와 같이, 클립은 제 위치에 브래킷을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되고, 필요한 클램핑 부하는 조립체의 삽입에 의해 탄성부재(33 및 34)에 제공된다.
다른 실시예에서처럼 레일은 레일(1)에 대하여 탄성부재(33f 및 34f)를 압축하는 브래킷(31f 및 32f)에 의해 제 위치에 가요성 있게 고정된다. 레일(1)은 절연층(11)을 구비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체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은) 적합한 그라우트 층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앞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같이, 레일(1)은 조립체(3g)에 의해 트랙 기초판(2)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다. 제 7 실시예에서 조립체(3g)는 제 1 및 제 2 브래킷(31g 및 32g)과, 레일(1)의 측면에 대하여 브래킷에 의해 고정되는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g 및 34g)를 포함한다.
도 1 을 참고하여 설명된 것처럼, (도시되지 않은) 위치설정 수단은 브래킷(31g및 32g) 내의 구멍(314g 및 324g)을 통해 돌출하고 트랙 기초부(2) 상의 제 위치에서 브래킷을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기초판 및/또는 그라우트 층이 브래킷(31g 및 32g)과 트랙 기초부(2) 사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9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직립부가 조립체의 종방향 엣지에서 좁고 조립체의 중심에서 최대의 두께가 되도록 폭이 넓어지도록 브래킷(31g 및 32g)이 특별히 성형된다. 탄성부재(33g및 34g)는 조립체의 종방향 엣지에서 넓은 단면을 가지고 조립체의 중심에서 좁은 단면을 가지도록 상응하게 성형된다. 브래킷 및 탄성부분의 형상은 조립체를 통한 레일(1)의 종방향 크리이프에 대한 조립체의 저항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탄성부분의 각을 이룬 형상이 클램핑 부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고, 그에 따라 레일(1)이 종방향으로 크리프 됨에 따라 크리프에 대해 저항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이러한 저항의 증가가 달성된다.
(도시되지 않은) 대안으로서, 브래킷은 조립체의 종방향 엣지에서 넓은 부분을 가지고, 조립체의 중심에서 좁은 부분을 가지도록 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는 조립체의 종방향 엣지에서 좁은 부분을, 조립체의 중심에서 넓은 부분을 가지도록 성형될 것이다. 탄성부재 및 측면 브래킷의 상호 협력적인 형상은 그것들을 함께 위치시키고 고정하며, 부하 상태에서 탄성부재의 뒤틀림을 제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의 면 상의 돌출부는 (도시되지 않은) 측면 브래킷의 대응면내의 오목부와 결합되어, 2개가 함께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큼램핑 부하가 인가되었을 때, 탄성부재가 상방으로 힘을 받는 경향을 방지한다.
전술된 클램핑 부하 인가 방법은 몇몇 결점을 갖는다. 결점들 중 하나는 설치위치 내에 고정되기 전에 다수의 연속되는 조립체를 위치시키고 클램핑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조립 및 유지를 다소 어렵게 만든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의 일부 횡단면 단부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브래킷(31h 및 32h)은 이미 설명된 실시예의 제 1 및 제 2 브래킷(31 및 32)의 위치에서 사용된다.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는 것처럼, 브래킷(31h)은 조립체가 실제 사용될 때 조립체의 제 1 브래킷 측면으로부터 제 2 브래킷 측면까지 연장하는 하단부(311h)를 갖는다. 제 1 브래킷(31h)은 또한 조립체가 실제 사용될 때 (도시되지 않은) 레일에 인접해 있고 이미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레일에 대하여 (도시되지 않은) 탄성부재를 지지하는 직립부(312h)를 갖는다.
제 2 브래킷(32h)은 제 1 브래킷(31h)의 연장된 하단부(311h)의 상부면 상에위치된다. 전술한 실시예처럼, 제 2 브래킷(32h)은 조립체가 실제 사용될 때 레일의 제 1 브래킷(31h) 반대 측면상에 위치되고, 레일의 제 1 브래킷(31h) 반대 측면상에서 레일에 대하여 (도시되지 않은) 제 2 탄성부재를 지지한다.
제 1 브래킷(31h)은 슬롯(314h)을 통해서 위치된 볼트(53h)(도 10에는 단지 하나의 볼트 및 하나의 슬롯만이 도시되어 있음)에 의해 (도시되지 않은) 트랙 기초부 위에 고정된다. 제 2 브래킷(32h)은 제 1 브래킷(31h)의 연장된 하단부(31h)에서 나선형 구멍(61) 내로 연장하는 상기 제 2 브래킷(32h) 내의 구멍을 통해 위치된 볼트(60)에 의해 제 1 브래킷(31h)의 연장된 하단부(311h)에 고정된다.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는 완전한 레일 조립체의 설치전에 하단부(311h)를 포함하는 제 1 브래킷(31h)이 트랙 기초부(2)로 볼트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이어서, 레일, 탄성부재 및 제 2 브래킷(32h)이 트랙 기초부 위로 낮춰져서,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레일이 제 1 및 제 2 탄성부재 사이에서 유지된다. 그 후에, (도시되지 않은) 공구를 사용하여 제 1 브래킷(31h) 쪽으로 제 2 브래킷(32h)을 압축함으로써 필요한 클램핑 부하가 탄성부재에 인가될 수가 있다. 이어서, 볼트(60)를 사용하여 브래킷(32h)은 브래킷(31h)의 하단부(311h)에 볼트로 조여진다. 따라서, 제 2 브래킷은 제 1 브래킷(31h) 및 레일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에서 고정되고, 그에 따라 인가된 클램핑 부하는 공구를 제거한 후에도 지속된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예는 조립체를 좀 더 쉽게 설치할 수 있게 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측면도 및 단부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제 9 실시예는, 특히 도 7 및 도 9 와 같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용된 브래킷 및 탄성부재와 유사한 브래킷(31i 및 32i)과 탄성부재(33i 및 34i)를 사용한다.
제 9 실시예는 필요한 클램핑 부하가 탄성 부재(33i, 34i)에 인가되는 방식, 및 조립체내의 공차가 수축될 수 있는 방식과 관련된 것이다. 다른 양상에서, 제 9 실시예와 전술한 실시예 간의 유사한 점은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따라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필요한 클램핑 부하를 인가하기 위하여, 레일(1), 제 1 및 제 2 브래킷(31i 및 32i) 및 탄성부재(33i 및 34i)로 구성되는 조립체(3i)는 트랙 기초부(2) 상으로 비압축 상태에서 위치되므로, 브래킷(31i 및 32i) 내의 각각의 슬롯은 가압된 클램핑 기초판(70)의 부분(701) 위로 통과한다. 이 클램핑 기초판(70)은 부분(701)에 접한 단부 구역(701) 및 중심 구역(702)에서 기초부(2) 내로 설치된다. 부분(701)은 브래킷과 부분(701) 사이의 각각의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트랙 기초부(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다.
이어서, 조립체는 (도시되지 않은) 클램핑 공구를 사용하여 압축된다. 이어서, 제 1 웨지부(71)는 상기 돌출 부분(701)과 브래킷(31 및 32) 사이로 수직 하방으로 삽입된다. 하나의 상기 제 1 웨지부는 레일 조립체의 각각의 측면에 대해 사용된다. 제 1 웨지부(71)는 도 13에서 확대된 크기로 도시된다.
다음으로, 제 2 웨지부(72)는 조립체의 각 단부 내로 삽입된다. 한 쌍의 제 2 웨지부(72)는, 도 11에 명백히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체의 각 측면에 대해 사용된다. 제 2 웨지부(72)는 도 14에서 확대된 크기로 도시된다. 따라서, 제 2 웨지부는 톱니 형상의 엣지(712 및 722)에 의해 각각의 제 1 웨지부(71)와 함께 맞물린다. 이러한 톱니 형상의 엣지는 클램핑 공구가 제거될 때 제 1 웨지부(71)가 조립체의 외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볼트(73)는 제 2 웨지부(72) 내의 (도 14에 도시된) 구멍(723)을 통해 삽입된다. 볼트(73)는 제 2 웨지부(72) 중 하나를 통과하고, 부분(701)에 의해 형성된 구멍을 통과하며, 이어서 조립체의 반대편 단부에 위치된 다른 제 2 웨지부(72)를 통과한다.
볼트(73)가 팽팽하게 조여져서 조립체 내의 공차가 제거되고, 그에 따라 측면 브래킷이 정위치에 단단하게 고정된다. 상기 브래킷이 제 위치에 단단하게 고착되기 때문에, 클램핑 공구가 제거된 경우에도 클램핑 부하는 유지될 수 있다.
볼트(73)가 조여짐에 따라 조립체가 탄성부재를 더욱 압축하고, 그로 인해 인가되는 크램핑 부하가 더욱 증가되도록, 제 2 웨지부(72)의 형상이 만들어질 수 있다.
이어서, 클램핑 공구는 풀려지고, 웨지부(71 및 72)의 상호 연동되는 톱니 형상의 엣지는 전술된 바와 같이, 조립체 내의 제 위치에 웨지부(7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웨지부(71 및 72)의 사용은 브래킷(31i 및 32i)이 제 위치에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조립체의 공차가 제거되므로 탄성부재(33i 및 34i)는 인가된 적절한 크램핑 부하를 갖는다.
탄성부재에 측방향 클램핑 부하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상기 조립체는 상기 브래킷이 제 위치에 단단하게 확실히 고정될 수 있게 하며, 따라서 상기 조립체의진동감쇠 특성은 줄어들지 않는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의 확대 단부도이다. 이러한 변형은 토글(toggle) 틀램프(74)가 볼트(73) 대신에 조립체 내의 제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웨지부(71 및 72)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된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로 제 9 실시예와 동일하다. 또한, 도 15의 실시예는 주조 클램핑 기초판(70)을 사용한다.
도 16은 제 9 실시예의 추가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변형예는 레일 헤드 마손을 보상하기 위해 조립체의 높이를 조정하는데 사용된다.
적절한 두께의 쐐기(shim)(212)는 레일 헤드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조립체(3)와 트랙 기초부(2) 사이에 위치된다. 구성부재(72)의 크기는 부분(701)에 의해 형성된 구멍의 크기 감소와 상응하게 감소되어야 한다. 따라서, 높이 조절을 위해 크기 다른 다수의 구성부재(72)가 제공되어야만 한다.
도 17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 제 2 내지 제 5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러한 변형예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레일의 높이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높이 조정은 (도시되지 않은) 클립(51) 아래에 삽입된 조정 웨지(517)를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클립(51)은 상술한 견부(41)보다 더 큰 구멍(43' )을 갖는 견부(41'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조립체의 전체 높이가 조정될 수 있다. 쐐기는 종래와 같이 조립체와 트랙 기초부 사이에 삽입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의 단부도이다. 상술된 앞의 실시예에서 처럼, 레일(1)은 조립체(3j)에 의해 트랙 기초부(2) 상의 제 위치에 고정된다. 이 조립체(3j)는 제 1 브래킷(31j), 제2 브래킷(32j),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j 및34j)를 포함한다. 제 1 및 제 2 브래킷은 레일(1)의 각각의 반대쪽 측면을 향해 기초판(38j)의 각각의 상부면 상에 위치된다.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는 소정의 클램핑 부하가 탄성부재(33j 및 34j)에 제공되는 또다른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 클램핑 부하는 상기 브래킷이 기초판(38j) 상에 올바르게 위치될 때 인가된다. 이러한 브래킷을 올바르게 위치시키기 위해서, 브래킷(31j 및 32j), 탄성부재(33j 및 34j) 및 레일을 포함하는 조립체는 (도시되지 않은) 압축 공구를 사용하여 압축된다. 이어서, 상기 조립체는 브래킷(31j 및 32j)의 하부 톱니형상 표면(321j,322j)이 기초판(38j)의 대응 톱니형상 상부 표면(381j,382j)과 접촉하는 상기 방법으로 상기 기초판(38j) 상에 위치된다. 또한, 기초판(38j)의 상부 표면(381j,382j)은 레일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고, 브래킷(31j,32j)의 하부면(321j,322j)은 상응하게 경사진다.
압축공구가 제거될 때, 기초판(38j) 및 브래킷(31j및 32j)의 톱니 형상 엣지의 결합에 의해, 클램핑 부하는 브래킷(31j 및 32j)을 통해서 탄성부재(33j,34j)로부터 기초판(38j)까지 전달된다. 브래킷 및 기초판은 볼트(63)에 의해 트랙 기초부(2) 상에 고정된다. 기초판으로 클램핑 부하를 전달하는 것은 볼트(63)가 비교적 비응력 상태이고, 그로 인해 볼트의 실패 가능성을 줄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의 몇 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에서는 단순성을 위해 단 하나의 브래킷(31k)만을 도시하였다. 모든 다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 2 브래킷은 레일의 반대측 상에서 사용되고, 탄성부재는 레일과 브래킷사이에 위치된다.
도 19에서, 웨지 형상의 조각은 측방향 조정을 제공하고 그리고 트랙 기초부에 상기 조립체를 부착하는 나선형 장치와 같은 고정부와 조합된다. 또한, 탄성부재에 측방향 클램핑 부하를 제공하는 것 외에도, 상기 조립체는 상기 브래킷이 제위치에 확실히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게 하며, 그에 따라 조립체의 진동감쇠 특성은 줄어들지 않는다.
도 19에서, (도시되지 않은) 트랙 기초부는 상기 트랙 기초부(2)에 단단하게 부착되는 직립부(80)를 포함한다. 브래킷(31k)은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성형되고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탄성부재를 운반하는 베어링 표면(312k)을 포함한다.
(도시되지 않은) 비압축상태의 탄성부재 및 그 탄성부재들 사이의 (도시되지 않은) 레일과 함께 (도시되지 않은) 트랙 기초부 상의 정위치에서 브래킷을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브래킷(31k)을 사용하는 조립체는 트랙 자리에 설치된다. 그 후에, 웨지부재(81)가 직립 부재(80)와 브래킷(31k) 사이에 삽입되어, 브래킷(31k)은 제위치에 유지된다. 고정 수단(82)과, 도 19의 스터드(stud)는 이 웨지 부분(81)을 제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브래킷(31k)의 수직부(312k)는 웨지 부재(81)와 결합되도록 경사진다. 그 대신에, 브래킷 및 탄성부재는, (도시되지 않은) 클램핑 공구를 사용하여, 고정수단(82)이 단단하게 조여지기 전에 레일에 대하여 압축될 수 있다. 그러한 예비 압축으로 인해 고정수단(82)을 단단하게 조이는데 적은 토르크 만이 필요하게 된다.
고정수단(82)은 볼트에 의해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볼트는 트랙기초부(2) 내의 나선형 개구 또는 트랙 기초부로부터 돌출하는 나선형 슬리브 내에 위치된다. 고정 수단이 통과하는 웨지부재(81) 내의 구멍이 너무 크기 때문에, 상기 고정수단은 단지 인장 부하만을 경험하고, 따라서 어떠한 측방 부하도 고정수단(82)에 인가되지 않는다.
웨지부재는, 평면상에서 볼 때, 측면 브래킷 또는 직립부내의 (도시되지 않은) 경로 또는 홈과 결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성형작업은 웨지 부재의 종방향 운동을 저지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필요한 클램핑 부하는 웨지 부재에 의해 조립체의 탄성부재에 인가되고, 웨지 부재의 형상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단순화를 위해 단지 한 브래킷(31L) 만을 도시한 것이다. 2개의 상기 브래킷은 상술한 실시예와 같이 지지 조립체 내에서 사용된다.
브래킷(31L)은 다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도시되지 않은) 레일의 측면에 대하여 탄성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시되지 않은) 트랙 기초부는 상응하게 경사진 표면(901)을 갖는 직립부(90)를 구비한다.
트랙 기초부 상에 조립체를 설치하기 위해, 브래킷은 레일의 양쪽에 위치되고, 탄성부재는 상기 브래킷과 레일 사이에 설치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직립부(90)는 브래킷(31L)의 기초부 내에 제공된 구멍(314L)을 통해 위치된다. 수직부(312L)는 직립부(90)의 표면(901)을 향해 그리고 그 사이의 공간내로 연장되는 돌출부(315L)을 구비하며 브래킷(31L)의 웨브(313L)의 측면부를 통해웨지부재(91)가 삽입된다. 이러한 웨지부재(91)는 각각의 브래킷(311)과 직립부(90) 상의 부분(315 및 901)의 경사진 표면에 대응하는 경사진 표면을 가지고, 브래킷과 수직부에 힘을 가하여, (도시되지 않은) 탄성부재에 필요한 클램핑 부하를 인가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대신에, 조립체는 전과 같이 공구에 의해 압축될 수 있으며, 그런 후 웨지부재(91)는 제위치에 결속된다.
웨지 부재(91)는 브래킷(31L)의 대향 웨브(313L' ) 내의 구멍(94)을 통해 삽입된 볼트(93)를 이용하여 제위치에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는 탄성부재에 클램핑 부하를 제공하는, 그리고 또한 트랙 기초부 상에 브래킷(31 및 32)을 고정하는 비교적 간단한 방법을 제공한다.
제 12 실시예의 조립체의 높이 조정은 상기 조립체와 트랙 기초부 사이에 위치된 쐐기를 사용함으로써 쉽게 달성될 수 있다. 웨지 부재(91) 및 개구(94)의 형상은 이러한 쉬운 높이 조정을 허용한다.
웨지 형의 고정작업이 이용되는 곳에서, 잠금장치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웨지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고 그에 따라 탄성부재에 인가되는 클램핑 부하를 적게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잠금장치의 예를 들면, 는 도 11 내지 15와, 19 및 20에 도시되어 있다.
도 21A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실시예와 유사한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와 공통으로, 제 13 실시예는 제 2 브래킷(32m)이 장착되는 연장된 기초부(311m)를 갖는 제 1 브래킷(31m)을 갖는다. 도 10의 실시예와대조적으로, 제 13 실시예는 제 1 탄성부재(33m)와 제 1 브래킷(31m) 사이에 위치되는 견고한 웨지부재(95)를 포함한다.
조립체의 각 측면은 대응하는 탄성부재(33m 또는 34m)에 부착된 판부재(96,97)를 갖는다. 제 1 브래킷(31m)의 상부는 상기 조립체가 실제 사용될 때 웨지부재(95)와 맞물리도록 성형된다. 판(96)은 웨지(95)가 탄성부재(33m)를 변위시키지 않고 제 1 브래킷과 제 1 탄성부재(33m)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허용한다. 상기 웨지부재(95)는 제 1 브래킷(31m) 주변에 확실하게 위치되도록 성형된다.
도 21B는 도 21A에 도시된 실시예의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B에 도시된 조립체에서, 제 2 브래킷(32m ′)은 기초판(38m)과 일체로 형성된다. 다른 점에서, 도 21B의 조립체는 도 21A의 조립체와 동일하다. 도 21B의 조립체는 조립체를 형성하는 느슨한 구성요소의 개수가 적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21A 및 도 21B에 도시된 조립체에서, 클램핑 부하는 구성요소들의 끼워맞춤 및 웨지 부재의 사용에 의해 유지된다. 웨지 부재의 사용은 상기 조립체 구성 요소가 비압축 상태에서 트랙 기초부 상으로 낮춰질 수 있다는 이점을 또한 가지며, 클램핑 부하는 웨지 부재(95)의 삽입에 의해 발생된다.
도 22A 내지 22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브래킷에 클램핑 부하를 제공하는 3가지 또다른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단순화를 위해 한 브래킷 만을 도시한다.
상기 3가지 방법은 모두 (도시되지 않은)트랙 기초부에 대한 브래킷(31n)의 위치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 웨지로서 작용하는 편심 캠(100)을 사용한다. 고정수단(101 (101',101"))은 트랙 기초부 상에 조립체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편심 캠(100)은 고정수단(101 (101',10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브래킷(31n)의 후방 위치는 조정될 수 있다.
사용시에,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공구에 의해 필요한 클램핑 부하를 탄성부재에 제공하기 위해 각각의 탄성부재에 대하여 두 브래킷이 압축된다. 편심 캠(100) 상에 제공된 직립부(73), 또는 (도시되지 않은) 소켓은 상기 공구를 위치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어서, 편심 캠(100)이 회전되고 잠금나사(102)가 조여져서, 압축공구가 제거될 때 클램핑 부하가 유지된다. 상기 잠금 나사(102)는 측부 브래킷의 기초부내의 일련의 나사 구멍 중 하나 내로 나사체결된다. 캠의 회전 및 클램핑 부하의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체결 수단을 상기 고정수단(101)이 제공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상기 잠금나사가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도 22A 내지 도 22C에 도시된 편심 캠의 실시예는 상술된 실시예 만큼 효과적일 수는 없고, 클램핑 부하 장치를 낮추는데 더욱 적합할 것이다.
상기 조립체의 수직 조정은 측면 브래킷의 위쪽 또는 아래에 배치된 쐐기의 사용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도 22A는 볼트 장치(101)에 의해 하부에 고정된 편심 캠(1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B는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된 클립(101'), 예를들어 클립에 의해 하부에 고정된 편심 캠(100)을 도시한 것이고, 도 22C는 토글 클램프(toggle clamp)(101")에 의해 하부에 고정된 편심 캠(100)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브래킷(31p 및 32p)에 의해 제자리에 고정된 탄성부재(33p 및 34p)에 의해 레일(1)이 지지되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전체 조립체는 트랙 기초부(2)의 직립부(22)에 의해 형성된 트로프 내에서 위치된다. 상기 브래킷은 트로프 내에서 그들의 위치에 의해 필요한 클램핑 부하를 제공한다. 브래킷(31p 및 32p)은 각각의 제 1 및 제 2 브래킷(31p 및 32p) 내의 개구를 통해 위치되는 볼트(65)에 의해 트랙 기초부 상에 유지된다.
상기 실시예는 조립체의 끼워맞춤에 의해 필요한 클램핑 부하를 제공하고, 필요한 클램핑 부하 수준은 상기 트로프 조립체에 의해 제공될 수 있었다는 것을 예시하기 위해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도 23에 도시된 조립체가 비록 분리 조립체이지만, 상기 조립체의 설치 및 유지와 관련된 결함이 있다. 몇몇 상황, 예를들어 레일 및 고정장치가 자갈길 또는 아스팔트 길 표면 밑에 숨겨져 있어야만 하는 도로운행 시스템에서는, 트로프에서 보다는 차라리 동일 평면에 조립체를 고정시키는 것이 유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연속적으로 보다는 클램핑 부하를 인가하면서 간격을 두고 띄엄띄엄 레일을 지지하는 것이 여전히 유리하다.
대부분의 경우에, 각각의 조립체 내의 브래킷들은 둘 다 독립적으로 측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도시되었다. 이것은 트랙 게이지 내에서 작은 조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클램핑 부하가 독립적으로 변화되거나 조정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모든 상술된 실시예는 상기 측방향 조정이 상기 조립체의 한 측면상에서만 제공되도록 또한 배열될 수도 있다는 것을 역시 알게 될 것이다. 이것은 트랙 게이지가 아니라, 클램핑 부하가 변화되거나 조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여전히, 본 발명을 채용하고 있는 조립체는 서로 단단하게 부착되는 측면 브래킷들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 때 필요한 클램핑 부하는 조립체의 끼워맞춤에 의해 제공되고 따라서 상기 조립체 내의 공차에 따라 달라진다.

Claims (34)

  1. 길이방향 헤드 및 상기 헤드로부터 일체형으로 하향으로 매달려 있는 웨브를 구비하는 철도 레일(1)용 지지 조립체(3)로서,
    상기 조립체(3)는 상기 레일의 양측부상의 상호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어 상기 레일을 레일 아래쪽의 트랙 기초부(2) 위쪽에서 탄성적으로 현수하기 위한 다수의 레일 지지수단(31,32,33,34)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레일의 각 측부상의 상기 다수의 지지 수단은 상기 레일의 길이를 따라 서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레일을 따라 분리된 위치에서 상기 레일과 결합되며,
    상기 서로 대향하는 지지 수단은 상기 각각의 분리 위치에서 상기 레일에 힘을 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힘의 횡방향 성분은 상기 레일의 상기 웨브에 인가되고 상기 레일의 중량을 지지하는 상기 힘의 수직방향 성분은 상기 레일의 헤드의 하부에 인가되며,
    상기 지지 수단이 상기 분리 위치에서 상기 레일의 대향 측부들 상에 예정된 클램핑 부하를 인가하여 상기 지지 조립체를 통해 상기 레일의 길이방향 크리프에 대한 소정의 저항을 상기 지지 조립체에 부여하도록,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서로 대향하는 지지 수단의 서로에 대한 위치를 설정하는 고정수단(41,51/52; 53h,60: 701,71/72; 63; 80,82; 90,91; 100,101)을 더 포함하며,
    상기 서로 대향하는 레일 지지 수단은 제 1 및 제 2 브래킷(31,32)과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34)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브래킷은 베어링부(312,322) 및 기초부(311,321)를 구비하며,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브래킷의 상기 베어링부는 상기 지지 조립체(3)의 사용시에 상기 레일(1)의 일측부 또는 다른 측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브래킷의 상기 기초부는 상기 트랙 기초부(2)의 상부 표면상에 위치되며,
    상기 각각의 제 1 탄성부재(33)는 상기 각각의 제 1 브래킷 및 상기 레일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각각의 제 2 탄성부재(34)는 상기 레일과 상기 각각의 제 2 브래킷(32)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지지 조립체가 사용될 때, 상기 서로 대향하는 레일 지지 수단은 예정된 클램핑 부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41,51,517; 53,60; 701,71,72,73; 701,71,72,74; 41f,52, 311j,321j,381j,382j; 80 내지 82; 90 내지 94; 100 내지 103)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31,32)은 상기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트랙 기초부(2)상의 정위치에 유지되며, 상기 고정수단의 적어도 일부는 제 1 및 제 2 브래킷의 각각의 기초부(311,321)내에 마련된 각각의 리세스 범위내에 위치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지지수단은, 상기 조립체(3)가 사용중일 때, 상기 트랙 기초부의 실질적으로 수평한 상부면에 부착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31,32)은 기초판(38) 상에서 지지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311h)은 상기 브래킷(31h) 중의 하나와 일체인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31,32) 중 다른 하나의 기초부(321h)가 경사진 하부면을 가지며, 상기 기초판(38)은 대응되게 경사진 상부면을 갖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38)이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31,32) 모두와 일체인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31,32) 각각의 기초부(311,321)는 경사진 하부면(311j,321j)을 가지며, 상기 기초판(38)의 상부면(381j,382j)은 대응되게 경사진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기초부(2)는 직립부(80;90)을 가지며,
    상기 조립체(3)가 사용중일 때 상기 브래킷(31,32)에 인가되는 소정의 클램핑 부하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립체는 상기 브래킷(31,32)들 중 인접한 브래킷의 베어링부(312,322)와 상기 직립부(80;90) 사이에 끼워지도록 성형된 웨지 부재(81;91)를 더 포함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판(38)은 직립부(80;90)을 가지며,
    상기 조립체(3)가 사용중일 때 상기 브래킷(31,32)에 인가된 소정의 클램핑 부하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립체는 상기 브래킷(31,32)들 중 인접한 브래킷의 베어링부(312,322)와 상기 직립부(80;90) 사이에 끼워지도록 성형된 웨지 부재(81;91)를 더 포함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31,32)의 기초부(311,321)에는 상기 직립부(90)가 관통하여 돌출하는 슬롯(314L)이 관통되어 마련된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직립부(90)와 상기 인접 브래킷(31,32)의 베어링부(312,322) 사이에 상기 웨지 부재(91)가 삽입되는 것이 상기 인접 브래킷(31,32)을 상기 직립부(90)로부터 멀어지게 하여 상기 소정 클램핑 부하가 상기 브래킷(31,32)에 인가되도록, 상기 슬롯(314L) 내에서 상기 직립부(90)를 끼워 맞추는 것은 상기 직립부(9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기 브래킷(31,32)이 이동할 수 있도록 허여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12.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인접 브래킷(31,32)의 베어링부(312,322)는 상기 직립부(90)을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부(315L)를 가져 상기 돌출부(315L)의 대향 표면들과 상기 직립부(90) 사이에 상기 웨지부재(91)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13.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부재(81)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14.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웨지 부재(91)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설치될 수 있도록 배열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15.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3)가 사용중일때, 상기 웨지 부재(81;91), 또는 상기 웨지 부재(71,72) 중 하나 이상이 고정장치(73;82;93)에 의해 고정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1,51; 53,60; 701; 63; 82; 90; 101)의 부분이 상기 브래킷(31,32)의 기초부(311, 321) 위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브래킷(31,32)에 인가된 소정의 클램핑 부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성형된 제 1 및 제 2 웨지 부재(71,72)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이 상기 돌출부와 상기 브래킷(31,32)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웨지 부재(71,72)는 상기 조립체(3)가 사용중일 때 연동하는 톱니면(711,712;722)을 갖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31a,32a)이 동일한 횡단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a,34a)가 동일한 횡단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된 레일(1)은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태로 유지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31c,32c)은 동일하지 않은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c,34c)는 동일한 횡단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수직축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레일(1)을 지지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31d,32d)은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d,34d)는 동일하지 않은 횡단면을 가짐으로써, 상기 수직축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레일(1)을 지지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21.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31e,32e) 및/또는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e,34e)는 상기 레일(1)의 종축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상기 조립체(3)의 중심구역에서 상기 조립체(3)의 강성도가 최대가 되도록 상기 조립체의 강성도가 변화되게끔 성형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22.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브래킷(31g,32g) 및/또는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부재(33g,34g)는 상기 인가된 클램핑 부하를 증가시키도록 성형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 기초부(2)에 대한 상기 레일(1)의 높이를 조정할 수 있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2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브래킷(31m,32m)과 그 각각의 브래킷(31m,32m)에 관련된 상기 탄성부재(33m,34m) 사이에는 지지판(96,97)이 위치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96,97) 중 하나와 상기 지지판(96,97)과 관련된 상기 브래킷(31,32) 사이에 강성 부재(95)가 위치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부하 지지수단은 편심 캠 수단(100 내지 103)을 포함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2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및 제 2 브래킷(31,32)은 상기 트랙 기초부(2)에 대하여 힌지 결합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2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41,51; 53,60; 701; 63; 82; 90; 101)은 견부(41; 41f) 및 고정 클립(51; 52; 101')을 포함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51;52;101')은 상기 고정 클립(51;52;101')의 탄성에 의해 상기 견부내의 정위치에 유지되고, 상기 고정 클립(51;52;101')은 상기 조립체(3)가 사용중일 때 수직방향으로 상당히 강성을 가지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30.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51;52;101')은 상기 조립체(3)가 사용중일 때 상기 견부(41;41f) 내로 삽입되는 전방부(510,511,514,515,516)와, 상기 전방부(510,511,514,515,516)를 상기 견부(41,41f) 내로 삽입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후방부(512,513)를 포함하며, 상기 전방부(510,511,514,515,516)는 상기 조립체(3)가 사용중일 때 상기 고정 클립(51;52;101')을 상기 견부(41,41f)내에 유지하기 위한 수단(514)을 갖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510,511,514,515,516)는 한 쌍의 실질적으로 평행한 연장 부재(511, 514)를 포함하며, 상기 후방부(512, 513)는 상기 두 개의 연장 부재(511, 514)를 결합하는 곡선형 부재(512)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 부재(511, 514) 중 하나는 상기 클립(51; 52; 101')을 상기 견부(41; 41f)내에서 유지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도록 성형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32. 제 31 항에 있어서, 탄성 재료는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기 한 쌍의 연장 부재(511,514) 사이에 위치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33.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클립(52)은 실질적으로 U-형상인 재료의 원통형 바아를 포함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3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제 1 및 제 2 브래킷(31,32)은 각을 이루는 지지부분(313a,323a)을 구비하는 철도 레일용 지지 조립체.
KR1019960706364A 1995-03-06 1996-03-06 레일고정조립체 KR1004161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GB9504424.4A GB9504424D0 (en) 1995-03-06 1995-03-06 Rail-fastening assembly
GB9504424.4 1995-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2950A KR970702950A (ko) 1997-06-10
KR100416133B1 true KR100416133B1 (ko) 2004-05-20

Family

ID=10770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364A KR100416133B1 (ko) 1995-03-06 1996-03-06 레일고정조립체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6079631A (ko)
EP (1) EP0758418B2 (ko)
KR (1) KR100416133B1 (ko)
AT (1) ATE166680T1 (ko)
AU (1) AU707620B2 (ko)
CA (1) CA2188750C (ko)
DE (1) DE69600319T3 (ko)
DK (1) DK0758418T4 (ko)
ES (1) ES2119572T5 (ko)
GB (1) GB9504424D0 (ko)
MY (1) MY115000A (ko)
TW (1) TW334489B (ko)
WO (1) WO199602770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44B1 (ko) * 2011-02-09 2012-05-09 김용택 프리캐스트 레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46132A1 (de) * 1996-11-08 1998-05-14 Hermann Ortwein Unterbau für ein aus Schienen gebildetes Gleis für Schienenfahrzeuge
GB9917146D0 (en) 1999-07-21 1999-09-22 Pandrol Ltd Suspended rail fastening assembly
DE10100034A1 (de) * 2001-01-03 2002-07-04 Butzbacher Weichenbau Gmbh Stützpunkt für eine Schiene
GB2403759A (en) 2003-07-11 2005-01-12 Pandrol Ltd Tuned absorbers for railway rails
DE102004031632A1 (de) * 2004-06-21 2006-01-26 Bwg Gmbh & Co. Kg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S7484669B2 (en) * 2005-04-05 2009-02-03 Metroshield Llc Insulated rail for electric transit systems and method of making same
GB2433532B (en) * 2005-12-20 2011-01-12 Pandrol Ltd Suspended rail fastening apparatus
US7556209B2 (en) * 2006-06-16 2009-07-07 Ryan Michael Sears Rubber laminate and composites including the laminate
EP1895054A1 (fr) * 2006-08-31 2008-03-05 Feronia S.A. Dispositif antibruit d'un rail pour des véhicules ferroviaires
DE102007044055A1 (de) 2007-09-14 2009-04-02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ebenen festen Untergrund
WO2009103349A1 (de) 2008-02-22 2009-08-27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untergrund
GB2475734B (en) * 2009-11-30 2015-12-09 Pandrol Ltd Suspended rail fastening assembly
CN101831848B (zh) * 2010-04-16 2012-06-13 邢台天力铁路工务器材有限公司 一种实现钢轨定位并辅助降低运行噪音的施工方法
DE102011011575A1 (de) * 2011-02-18 2012-08-23 Hermann Ortwein Elastische Schienenlagerung
ES2404209B1 (es) * 2011-03-25 2014-06-11 Construcciones Y Auxiliar De Ferrocarriles, S.A. Carril conductor de energía eléctrica para instalaciones ferroviarias
DE102012003989B4 (de) * 2012-02-28 2022-06-09 Elisabeth Ortwein Unterbau für ein aus Schienen gebildetes Gleis für Schienenfahrzeuge
CN103981779A (zh) * 2014-05-27 2014-08-13 西南交通大学 一种宽频降噪钢轨
CN105507087B (zh) * 2016-01-06 2017-12-12 京投发展股份有限公司 轨腰托举式钢轨减振扣件的锁紧装置
US10400397B2 (en) * 2017-03-31 2019-09-03 Voestalpine Nortrak Inc. Boltless rail brace
CN109252425A (zh) * 2017-07-12 2019-01-22 洛阳科博思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弹条扣压式钢轨扣件
CN113417173B (zh) * 2021-08-04 2022-11-01 杨清福 适用于超高速列车的轨道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7937A1 (de) * 1990-03-13 1991-09-19 Krupp Lonrho Gmbh Elastisch gelagerte schiene fuer schienenfahrzeug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81594A (en) * 1926-11-30 1927-12-29 Alfred Wirth Improvements in railway permanent way
GB280411A (en) * 1927-02-11 1927-11-17 Albert William Rogers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railway tracks
GB529192A (en) * 1939-05-24 1940-11-15 Robert Donald Thain Alexander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means for fixing rails to sleepers
DE1178883B (de) * 1963-03-16 1964-10-01 Franz Clouth Rheinische Gummiw Schalldaempfende Schienenbefestigung
FR1462466A (fr) * 1965-11-05 1966-04-15 Paulstra Repusseau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moyens pour fixer les rails de chemin de fer sur leurs traverses ou supports
US3417921A (en) * 1965-12-06 1968-12-24 Louis X.H. Maynier Railway track
US3358927A (en) * 1966-05-03 1967-12-19 Gen Tire & Rubber Co Rail tie down assembly
US3525472A (en) * 1966-08-30 1970-08-25 Japan National Railway Vibration-suppressing composite rail for railways
US3387781A (en) * 1966-11-23 1968-06-11 Railroad Rubber Products Inc Rail anchor and rail seat construction
DE2000006A1 (de) * 1970-01-02 1971-07-08 Buescher Pebueso Beton Gleistragplatte
GB1471868A (en) * 1973-04-17 1977-04-27 Molyneux Rail Clips Ltd Track rail anchorages
DE2828713A1 (de) * 1978-06-30 1980-01-10 Clouth Gummiwerke Ag Schalldaemmende schienenlagerung
DE3108532A1 (de) * 1981-03-06 1982-09-23 Vossloh-Werke Gmbh, 5980 Werdohl Befestigung fuer brueckenbalken auf traegern von stahlbruecken
DE3334119C2 (de) * 1983-09-21 1985-07-11 Vossloh-Werke Gmbh, 5980 Werdohl Vorrichtung zur Schienenbefestigung mittels elastischer Spannklemme
DE3439252A1 (de) * 1984-10-26 1986-05-07 Lothar 8700 Würzburg Eisner Material zum einbau von schienen
DE3507235A1 (de) * 1985-03-01 1986-09-04 Clouth Gummiwerke AG, 5000 Köln Schalldaemmendes schienenlager
DE3540128A1 (de) * 1985-11-13 1987-05-14 Clouth Gummiwerke Ag Elastisch gelagerte schiene fuer schienenfahrzeuge
US4793545A (en) * 1987-07-14 1988-12-27 Construction Polymers Company Embedded track assembly
DE3834329C2 (de) * 1987-10-10 1999-12-09 Phoenix Ag Schienenlager
DE8807195U1 (de) * 1988-06-01 1988-09-15 Trelleborg Gummiwerke GmbH, 2351 Wasbek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DE3937086A1 (de) * 1989-11-07 1991-05-08 Clouth Gummiwerke Ag Einrichtung zum lagern von schienen fuer schienenfahrzeuge
DE4225581A1 (de) * 1992-08-04 1994-02-10 Hermann Ortwein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DE4233433A1 (de) * 1992-10-05 1994-04-07 Brigitte Meurer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Schienen für Schienenfahrzeuge
DE4311452C2 (de) * 1993-04-07 2000-03-09 Wuerzburger Strassenbahn Gmbh Elastische Schienenlagerung mit offenem oder geschlossenem Oberbau für Schienenfahrzeuge
DE4408599A1 (de) * 1994-03-15 1995-09-21 Euka Bauelemente Verkaufsgesel Längsschwellenglei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007937A1 (de) * 1990-03-13 1991-09-19 Krupp Lonrho Gmbh Elastisch gelagerte schiene fuer schienenfahrzeu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244B1 (ko) * 2011-02-09 2012-05-09 김용택 프리캐스트 레일 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4886696A (en) 1996-09-23
CA2188750C (en) 2007-12-04
WO1996027709A1 (en) 1996-09-12
ES2119572T5 (es) 2002-02-16
JPH10504078A (ja) 1998-04-14
DE69600319T2 (de) 1998-09-24
AU707620B2 (en) 1999-07-15
ATE166680T1 (de) 1998-06-15
DE69600319D1 (de) 1998-07-02
GB9504424D0 (en) 1995-04-26
MY115000A (en) 2003-03-31
US6079631A (en) 2000-06-27
EP0758418B2 (en) 2001-08-29
CA2188750A1 (en) 1996-09-12
KR970702950A (ko) 1997-06-10
JP3602851B2 (ja) 2004-12-15
DE69600319T3 (de) 2001-10-31
EP0758418B1 (en) 1998-05-27
DK0758418T4 (da) 2001-10-08
DK0758418T3 (da) 1998-10-07
EP0758418A1 (en) 1997-02-19
TW334489B (en) 1998-06-21
ES2119572T3 (es) 199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6133B1 (ko) 레일고정조립체
US3831842A (en) Rail fastening device
KR101019923B1 (ko) 레일 고정 장치
RU22390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сокоупругого закрепле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рельсов на стандартных бетонных шпалах
KR101749913B1 (ko) 선로 레일 체결 장치
EA017401B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рельсов на основании
RU2624765C1 (ru)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KR100715581B1 (ko) 조정가능한 철도 레일 체결 조립체 및 그 이용 방법
KR101140389B1 (ko) 콘크리트 도상용 철도레일 체결장치 및 체결방법
CN214033190U (zh) 一种应用于轨道交通的弹性扣件组件
CN112012052B (zh) 轨道固定系统
JP3510824B2 (ja) 枕木の敷設構造
JP3602851B6 (ja) レール固定アセンブリ
JP2853016B2 (ja) 防振まくらぎ軌道の施工方法
KR102255438B1 (ko) 레일을 지면에 고정하기 위한 텐션 클램프 및 고정점
KR0137010B1 (ko) 콘크리이트의 슬래브위에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
US8181578B2 (en) Method, system and devices for railroad track reconditioning and repair
RU2041304C1 (ru) Рельсовое промежуточное скрепление
RU2767112C1 (ru) Рельсовое скрепление
KR102196373B1 (ko) 프리캐스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철도궤도 시공방법
JPH0757924B2 (ja) 鉄道用レール固定装置
KR200239986Y1 (ko) 콘크리트 침목을 이용한 레일 이음매 체결 장치
JP2599342B2 (ja) レール締結装置
HUT74199A (en) Sleeper for rails of superstructure for rail vehicles
RU2091532C1 (ru) Железобетонное основан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