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9923B1 - 레일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레일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9923B1
KR101019923B1 KR1020077001439A KR20077001439A KR101019923B1 KR 101019923 B1 KR101019923 B1 KR 101019923B1 KR 1020077001439 A KR1020077001439 A KR 1020077001439A KR 20077001439 A KR20077001439 A KR 20077001439A KR 101019923 B1 KR101019923 B1 KR 101019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rail
plate
retaining element
re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14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2973A (ko
Inventor
후베르투스 회네
한스 울리히 디체
하인즈 오스버그
요제프 라이트너
존 포릴
데이비드 알 실리
Original Assignee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우아에 아이젠반지스테메 게엠베하
팬드롤 리미티드
파우아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파우아에 아이젠반지스테메 게엠베하, 팬드롤 리미티드, 파우아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푀스트알피네 베베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070042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2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9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38Indirect fastening of rails by using tie-plates or chairs; Fastening of rails on the tie-plates or in the chairs
    • E01B9/44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 E01B9/46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 E01B9/48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by resilient steel clips
    • E01B9/483Fastening the rail on the tie-plate by clamps by resilient steel clips the clip being a shaped ba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68Pads or the like, e.g. of wood, rubber, placed under the rail, tie-plate, or chai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2205/00Electrical insulation of railway track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Curtains And 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Linear Motor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지 요소(26, 28)로부터 연장하는 인장 클램프(22, 24)의 보조를 받는 철도차량 레일(10)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레일 기부가 그 위에 장착되게 되는 리브형 판(14)상에 제거가능하게 배열된다. 상기 리브형 판은 유지 요소에 의해 필요한 예비응력이 부여된 상태로 유지되는 탄성 중간층(30)상에 배치된다.
지지부, 부하-분산판, 유지 요소, 수용부, 탄성을 갖는 클립

Description

레일 고정 장치{RAIL FIXING DEVICE}
본 발명은 레일 저부(rail foot)와 지지부 사이에 배열된 리브형(ribbed) 판과 같은 부하-분산판(load-distributing plate), 이 판을 지지부에 대하여 지지하는 탄성 중간층 및 필요시, 경질 플라스틱과 같은 비가요성 재료를 주 재료로 하여 이루어지는, 탄성 중간층과 지지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중간판과, 지지부에 연결되는 유지 요소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침목(concrete tie)과 같은 지지부상에 레일 저부를 구비하는 레일을 장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지 요소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탄성을 갖는 클립이 연장되며, 적어도 하나의 탄성을 갖는 클립은 다수의 다리부를 포함하고, 그 자체를 레일 저부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지지한다.
대응 장치는 EP-B-0 619 852에서 발견된다. 여기서, 탄성을 갖는 클립은 평면도에서 대략 M-형상을 나타내며, 두 개의 외부 다리부와 두 개의 내부 다리부를 포함하고, 이들은 원호 부분(arch section)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외부 다리부는 유지 요소의 수용부에 고정되는 반면, 내부 다리부 또는 이들을 연결하는 원호 부분은 레일 저부상에 안치된다. 유지 요소는 두 개의 이격 배치된 견부를 포함하며, 견부는 U-형상 채널형 개구를 구비하고, 이 개구는 수용부로서 기능하며, 그 내부로 외부 다리부의 단부가 구동되고, 그래서, 내부 다리부가 필요한 예비응력으로, 고정될 레일을 억누른다. 유지 요소는 스터드(stud)를 통해 콘크리트 침목내에 매설되거나, 예로서, 용접에 의해 리브형 판에 결합될 수 있다.
평면도에서, E-형상을 나타내는,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클립은 AT-C-350 608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탄성을 갖는 클립을 고정 하기 위해, 고정 요소의 채널내로 다리부가 구동되고, 고정 요소는 순차적으로, 콘크리트 침목내로 주조(casting)된다.
W-형 형상을 갖는 탄성을 갖는 클립이 DE-C-30 18 091호에 개시되어 있다. 탄성을 갖는 클립의 부분은 각진 안내판의 채널형 오목부내에 고정된다. 탄성을 갖는 클립의 반대 부분은 레일 저부상에 안치된다. 탄성을 갖는 클립 자체는 관통 볼트를 통해 콘크리트 침목에 연결된다.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탄성을 갖는 클립을 사용한 레일 고정 시스템은 특히, 레일이 서로 근접 배치되는 레일 변환기 영역 및 레일 교차부에서 탄성을 갖는클립을 배치 및 고정하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이용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갖는다. 이 때문에, 이들 영역은 기본적으로 레일의 고정을 위한 맞춤화된 설계를 필요로 한다.
WO-A-0138642는 탄성을 갖는 클립을 수용하는 유지 요소가 리브형 판내에 통합되어 있는 레일 고정 시스템을 개시한다. 리브형 판의 예비 응력 부여는 중공 장방형 요소를 경유하여 달성되며, 이는 중공 장방형 요소의 외부 형상에 적응되면서 콘크리트 침목내에 매설되는 수용부내로의 래칭(latch)을 위해, 기부판, 중간층 및 보상판내의 절개부(cut-outs)를 통과한다. 중공 장방형 요소는 기부판의 단차부 형상 오목부상의 돌출부를 경유하여 그 자체를 지지하며, 그래서, 결과적으로, 기부판이 기부판의 수용부내로의 중공 장방형 요소의 침투에 따라 예비 응력이 부여된다.
US-A-4 756 477호에 따르면, 리브형 판은 유지 요소에 연결되고, 이로부터 레일을 압박하기 위한 탄성을 갖는 클립이 연장된다.
DE-U-93 20 372호는 레일을 위한 고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는 레일 저부상에 안치되는 탄성을 갖는 클립을 위한 유지 요소로서 기능하는 추력 블록이 리브형 판으로부터 연장된다. 유지 요소 및 리브형 판은 단일체를 형성한다.
GB-A-2 370 062로부터, 레일을 지지하는 기부판에 연결된 유지 요소가 공지되어 있으며, 탄성을 갖는 클립은 유지 요소로부터 연장하는 레일을 압박한다. 유지 요소는 홈이음(dovetail joint)에 의해 기부판에 고정된다. 또한, 다수의 나사가 제공되며, 그 중 하나는 기부판을 수용하는 지지부내에 나사결합될 수 있다.
레일의 측방향 이동 및 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US-A-4 967 954로부터 탄성을 갖는 클립을 포함하는 유지 요소가 공지되어 있으며, 유지 요소는 한편으로는 레일 저부 아래로 연장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레일을 지지하는 리브형 판의 상단부를 따라 연장된다. 이 유지 요소 및 리브형 판은 함께 볼트 결합된다.
US-A-4,325,510의 주제는 다양한 폭의 레일 저부를 가지는 레일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하는 유지 요소를 구비한 레일 장착부이다. 이를 위해, 유지 요소는 원반형 수용부의 편심 연장 오목부내에 배열되며, 이 수용부는 리브형 판내에 회전가능하게 배열된다. 리브형 판 자체는 탄성 중간층상에 배열되며, 콘크리트 침목내에 나사결합될 수 있는 나사에 의해 이 층에 대하여 예비 부하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하는 문제점은 상술한 유형의 레일 고정 장치를 변환기의 영역에서, 레일 또는 레일들을 고정하기 위해, 특히, 현기술 상태에 공지된, 그리고, 변환기의 영역에서 요구하는 정도의 레일의 탄성적 지지가 가능한, 복잡하지 않은 구조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더욱 개선하는 것이다. 특히, 목적은 탄성 중간층과 탄성을 갖는 클립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 시스템이 통과시 양호한 감쇄(damping)가 제공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준 강성 유닛(quasi rigid unit)이 초래되는 굴곡부를 갖는 특성 곡선을 나타내는 방식으로 단순한 설계 수단을 갖는 레일을 지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 독립적으로, 탄성을 갖는 클립상의 응력은 피로 강도의 손실을 초래하지 않는다는 것이 보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 문제점은 주로 유지 요소는 부하-분산판내로 제거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면서 부하-분산판에 대한 유지 요소를 이동할 수 있는 제1 삽입체로서 구현되거나, 유지 요소는 부하-분산판과 함께 단일체로 형성되며, 부하- 분산판과 함께 단일체를 형성하는 유지 요소는 관통 개구를 구비하고, 관통 개구내에는 유지 요소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유지 요소의 조절을 허용하는 제2 삽입체가 배열되며, 관통 개구를 통해 나사 요소가 통과하고, 나사 요소는 유지 요소와 지지부를 연결하며, 지지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부하-분산판은 유지 요소에 의해 지지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비 부하가 부여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해결된다.
유지 요소에 의한 직접 예비 부하 부여는 유지 요소 자체가 즉, 레일상의 추가 부하가 없는 상태에서 탄성 중간층이 압축되는 정도의 부하-분산판의 예비 응력 부여를 설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부하-분산판은 지지부의 방향으로 유지 요소에 대하여 조절가능하며, 그래서, 탄성을 갖는 클립에 필요한 예비 응력을 부여하는데 사용된다. 이 유형의 구조는 특히, 견고한 레일 베어링을 위한 것이다.
대조적으로, 간접 예비 부하 부여는 부하-분산판 및 유지 요소가 형상-끼워 -맞춤식 연결(positively connected)에 의해, 또는 일체로 성형됨으로써 단일체를 형성하며, 예비 부하는 스페이서 요소에 의해 설정되고, 스페이서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거가능한 삽입체로서 유지 요소 내로 삽입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이는 삽입체에 대해 조절가능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유형의 수단을 사용함으로써, 지지점상의 레일의 지지는 필요에 따라 견고하거나 유연하게 발생될 수 있고, 유지 요소에 의한 부하-분산판의 간접 예비부하를 통해 높은 탄성이 달성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부하-분산판과 유지 요소 사이의 상대 이동이 발생하지 않고, 결과적으로, 탄성을 갖는 클립 자체가 스프링 시스템의 큰 편위를 추종 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필요한 피로 강도를 보증한다.
본 발명의 추가 개선에 따라서, 유지 요소는 저면을 따라 연장하는 성형된 돌출부를 구비하는 기부 부분을 구비하고, 탄성을 갖는 클립의 하나의 다리부 또는 다리부의 부분이 내부에서 연장하는 견부 또는 채널 같은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가 성형된 돌출부에 대향된 기부 부분의 영역, 즉, 그 상부 측부로부터 연장한다.
단면도에서, 성형된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그 원주에서 원형 또는 타원형(oval)을 나타내며, 평면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기부 부분의 평면 크기 보다 작다. 이 유형의 구조에서, 유지 요소는 측부 더욱이 지지부로부터 부하-분산판내로 삽입된다. 기부 부분의 평면 크기가 성형된 돌출부의 평면 크기보다 작은 경우, 유지 요소는 부하-분산판의 저면으로부터 삽입되어야 한다.
본 기술에 공지된 침목 장착부(sleeper mountings)와는 달리, 본 발명은 탄성을 갖는 클립을 갖는 유지 요소를 제안하며, 유지 요소는 부하-분산판내로 제거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고, 부하-분산판은 순차적으로, 리브형 판으로서, 또는, 변환기 설상부(switch tongue)의 뒤꿈치(heel) 부근의 상승된 영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유지 요소는 관통 볼트와 같은 이를 통과하는 나사(screw) 요소에 의해 고정되며, 동시에 부하-분산판은 유지 요소에 의해 고정된다.
특히, 부하-분산판의 예비 응력 부여가 유지 요소를 통해 직접적으로 달성되는 경우, 유지 요소의 성형된 돌출부가 부하-분산판내로 형상 끼워 맞춤식 연결부에 의해 결합될 뿐만 아니라, 역시, 부하-분산판과 형상 및 마찰 고정식 연결(friction-locked connection)도 갖게 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유지 요소 고정 및 부하-분산판을 유지 요소와 고정할 때, 유지 요소의 제1 지지면은 제2 지지면을 형성하는 부하-분산판의 부분상에 안치된다. 부가적으로, 유지 요소는 축방향 개구를 가지며, 이 축방향 개구내에는 제2 삽입체가 배치되고, 이 제2 삽입체는 유지 요소에 대해 이동가능하며, 제2 유지 요소를 통해 나사 요소, 예로서, 관통 볼트가 통과하고, 관통 볼트는 유지 요소를 지지부에 연결하며, 이는 지지부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나사고정될 수 있다. 그후 유지 요소가 고정되고, 따라서, 부하-분산판이 마찬가지로 고정되면, 부하 지지판이 유지 요소를 통해 직접적으로 예비 부하되는지 또는 간접적으로 예비 부하되는지의 여부에 따라, 나사요소 또는 나사 요소가 통과하는 원반형 요소는 마찰 연결로,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측부에서 유지 요소의 제3 지지면 또는 제2 삽입체 중 어느 하나상에 안치된다.
유지 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예비응력이 인가되게 하기 위하여, 즉, 제2 삽입체가 나사 요소와 지지부 또는 그 위에 배열된 실질적 강성판 사이에 조여질 때, 본 발명의 특별한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두 개의 돌출부가 성형된 돌출부로부터 외주방향으로 돌출하고, 유지 요소로부터 연장하는 지지면에 대한 돌출부의 각각의 간격은 탄성 중간층이 그로부터 연장 또는 그를 따라 연장하는 부하-분산판의 저면과, 부하-분산판으로부터 연장하는 제2 지지면 사이의 간격과 같거나 그 보다 다소 크다. 따라서,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는 부하-분산판을 둘러쌀 수 있고, 원하는 형상-끼워-맞춤식 연결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기술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본 발명의 제안은 총검 결합형(bayonet-joint-like) 방식으로 부하-분산판에 연결되는 유지 요소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부하-분산판의 삽입체를 수용하는 관통 개구는 성형된 돌출부의 외부 형상에 정합하는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돌출부와 연계된 절개부(cut-outs)는 레일 저부(rail foot)를 향해 배향된 위치에 대해 편위된 위치에서 부하-분산판에 유지 요소가 삽입되어야하며, 그래서, 후속하여 회전되고, 고정 대상 레일을 향해 배향되는 방식으로 연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지 요소는 부하-분산판에 제거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이때, 물론 양자가 일체형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로서, 부하-분산판과 유지 요소는 예로서, 주조에 의해 하나의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원하는 예비 응력 부여를 달성하기 위해, 특히, 하기의 구성 옵션이 이용가능하다. 부하-분산판이 직접적으로 유지 요소를 통해 예비 응력이 부여되는 경우, 이때, 마찰 결합에 의해 지지된, 나사 요소 또는 나사 요소가 통과하는 원반형 요소를 사용하여, 유지 요소는 실질적인 비가요성, 예로서, 경질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중간판 또는 콘크리트 침목와 같은 지지부상에 제4 지지면을 통해 안치된다. 이때, 유지 요소의 제1 및 제4 지지면 사이에 간격이 존재하며, 이는 나사 요소가 풀려있을 때 탄성 중간층의 두께 및 부하-분산판의 저면과 제2 지지면 사이의 간격 보다 작다. 결과적으로, 나사 요소가 조여질 때, 따라서, 유지 요소 및 이에 따른 부하-분산판이 고정될 때, 탄성 중간층은 필요한 정도로 압축되고, 원하는 예비응력이 달성된다.
간접 예비 응력 부여, 즉, 나사 요소 또는 원반형상체가 제2 삽입체상에 마찰결합식으로 안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제2 삽입체는 나사 요소의 조임시 지지부의 방향으로 부하-분산판과 함께 유지 요소의 변위를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탄성 중간층의 압축을 초래하는 축방향 크기를 갖는다. 나사 요소, 즉, 그 헤드 또는 원반형 요소는 그후, 명백히 유지 요소의 영역상에 안치된다. 이 경우, 유지 요소 및 부하-분산판이 단일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피로 강도의 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레일에 의해 유도되는 경사력(tilting force)을 탄성을 갖는 클립 단독으로 보상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제안은 탄성을 갖는 클립의 하나의 다리부 부분을 각각 수용하는 두 개의 견부들(shoulders)이 유지 요소의 기부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며, 관통 볼트와 같은 나사 요소가 견부 사이에서 연장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견부 사이에는 탄성을 갖는 클립의 다리부 또는 다리부들이 연장하며, 이는 레일 저부 또는 요소상에 안치되고, 그에 의해, 서로에 인접하여 연장하는 레일이 고정될 수 있다.
독립적인 본 발명의 제안에서, 유지 요소의 기부 부분은 두 개의 레일 저부 사이에 배열되고, 두 쌍의 견부들이 기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하며, 하나의 탄성을 갖는 클립이 각 쌍의 견부로부터 연장하고, 두 쌍의 견부 사이에 기부 요소에 대하여 조절할 수 있는 판 요소가 연장되고, 이는 레일 저부상에 안치되며, 그 위에 각 탄성을 갖는 클립의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가 안치된다.
AT-C-350 608에 설명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E-형상을 나타내는 탄성을 갖는 클립의 다리부를 수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두 쌍의 견부 대신, 두 개의 이격 배치된 채널형 수용부가 기부 부분으로부터 연장할 수 있다.
레일 저부상에 장착된 판 요소상에 지지되는 탄성을 갖는 클립의 구성에 의해, 레일 교차부 및 레일 변환기(rail switchs)의 영역의 경우와 같이, 서로 바로 인접하여 연장하는 레일의 신뢰성있는 압박이 단순한 방식으로 가능해진다.
두 쌍의 견부 또는 두 개의 채널을 포함하는 기부 부분은 정방형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기부 부분으로부터 정방형 형상의 돌출부가 돌출하고, 이는 라운드형 모서리를 구비한 직사각형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부하-분산판과 결합하며, 부하-분산판과의 형상-끼워-맞춤식 연결부를 갖는다.
중간판 또는 탄성을 갖는 클립을 위한 그 지지면은 이때, 일반적으로 고정 대상인 레일 저부의 경사부에 대응하는 경사부를 가져야 한다.
유지 요소 또는 제1 삽입체는 금속을 포함하고, 제2 삽입체는 플라스틱, 특히, 섬유 유리(fibre glass) 함량이 50%와 70% 사이, 바람직하게는 약 60%인 폴리아미드(polyamide) 이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사항, 장점 및 특성은 청구항 및 여기에 설명된 특징의 독립적 및/또는 조합에서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양호한 실시예의 하기의 설명에서도 알 수 있다.
도 1은 레일 변환기의 배치(layout)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선 A-A를 따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부분 A-A의 영역에서의 콘크리트 침목의 일부의 상면도.
도 4는 도 2 및 도 3에 예시된 요소의 분해도.
도 5는 도 2에 예시된 것의 대안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도 5에 예시된 영역의 평면도.
도 7은 도 5 및 도 6의 영역의 요소의 분해도.
도 8은 도 1의 B-B를 따른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예시된 부분의 평면도.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요소의 분해도.
도 11은 도 1의 선 C-C를 따른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단면 C-C의 영역의 평면도.
도 13은 도 11 및 도 12의 요소의 분해도.
도 14는 도 1의 선 D-D를 따른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부분의 평면도.
도 16은 도 14 및 도 15의 요소의 분해도.
도 17은 도 1의 선 E-E를 따른 단면도.
도 18은 도 16의 부분의 평면도.
도 19는 도 17 및 도 18의 요소의 분해도.
도 20은 리브형 판에 삽입되는 유지 요소의 다양한 위치의 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예시에 대응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의 부호의 설명 *
10 : 철도차량 레일 12 : 중간층(패드)
14 : 리브형 판 16 : 레일 저부
18 : 길이 방향 측부 에지 20 : 길이 방향 측부 에지
22 : 탄성을 갖는 클립 24 : 탄성을 갖는 클립
26 : 유지 요소 28 : 유지 요소
30 : 탄성 중간층 32 : 중간판
34 : 콘크리트 침목 36 : 오목부 영역
38 : 외부 다리부 40 : 외부 다리부
42 : 원호 부분 44 : 원호 부분
46 : 내부 다리부 48 : 내부 다리부
50 : 원호 부분 52 : 견부
54 : 견부 56 : 슬리브
58 : 채널 60 : 채널
62 : 기부 부분 64 : 성형된 돌출부
66 : 외주벽 68 : 저면벽
70 : 관통 개구 72 : 제2 삽입체
74 : 관통 개구 76 : 자루
78 : 관통 볼트 80 : 제1 지지면
82 : 제2 지지면 84 : 관통 개구
86 : 슬리브 88 너트
90 : 확장부 92 : 소켓
94 : 헤드 96 : 와셔
98 : 제3 지지면 100 : 제4 지지면
102 : 제2 삽입체 104 : 제2 삽입체
106 : 유지 요소 108 : 유지 요소
110 : 성형된 돌출부 112 : 돌출부
114 : 외주벽 116 : 저면 벽
118 : 관통 개구 120 : 내부면
122 : 내부면 124 : 관통 개구
126 : 관통 개구 128 : 저면
130 : 기부 부분 132 : 절개부
134 : 절개부 136 : 중간층
138 : 원반 140 : 원반
142 : 설단부 144 : 리브형 판
146 : 활주판 148 : 바아 스프링 요소
150 : 바아 스프링 요소 152 : 추력 블록
154 : 추력 블록 156 : 지지부
158 : 지지부 160 : 지지부
162 : 지지부 164 : 관통 볼트
166 : 슬리브 168 : 너트
170 : 콘크리트 침목 172 : 자루
174 : 소켓 176 : 탄성 중간층
178 : 기부 부분 180 : 성형된 돌출부
182 : 외주벽 184 : 저면벽
186 : 관통 개구 188 : 제2 삽입체
190 : 관통 볼트 192 : 너트
194 : 슬리브 196 : 중간판
198 : 와셔 200 : 헤드
202 : 원반 204 : 원반
206 : 돌출부 208 : 관통 개구
210 : 오목부 212 : 오목부
214 : 중간층 216 : 패드
218 : 와셔 220 : 제2 삽입체
222 : 고정 핀 224 : 고정 핀
226 : 리브형 판 228 : 중간판
230 : 콘크리트 침목 232 : 중간판
234 : 탄성을 갖는 클립 236 : 유지 요소
238 : 기부 부분 240 : 상단부
242 : 성형된 돌출부 244 : 돌출부
246 : 관통 개구 248 : 제2 삽입체
250 : 탄성 중간층 252 : 길이 방향 측부 에지
254 : 유지 요소 256 : 기부 부분
258 : 성형된 돌출부 262 : 견부
264 : 견부 266 : 견부
268 : 견부 270 : 탄성을 갖는 클립
272 : 탄성을 갖는 클립 274 : 중간판 요소
276 : 단차부 278 : 단차부
280 : 경계 부분 282 : 경계 부분
286 : 상단부 288 : 관통 볼트
290 : 관통 개구 292 : 부분
294 : 부분 296 : 부분
298 : 부분 300 : 레일 부분
302 : 레일 부분 304 : 리브형 판
306 : 부분 308 : 부분
310 : 콘크리트 침목 312 : 탄성 중간층
314 : 부분 316 : 부분
318 : 길이방향 측부 에지 320 : 길이방향 측부 에지
321 : 견부 322 : 유지 요소
323 : 견부 324 : 관통 볼트
325 : 견부 326 : 중간판 요소
327 : 견부 328 : 오목부
330 : 길이방향 측부 에지 332 : 길이방향 측부 에지
334 : 단차부 336 : 단차부
338 : 길이방향 측부 에지 340 : 길이방향 측부 에지
342 : 레일 부분 344 : 지지부
346 : 안내 레일 삽입체 348 : 콘크리트 침목
350 : 관통 볼트 352 : 관통 볼트
동일 요소를 위해서 항상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있는 도면은 레일 변환기에서 연장하는 레일을 위한 고정구를 예시한다.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EP-B-0 619 852에, 특히, 그 도 1 내지 도 5에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은 탄성을 갖는 클립이라고도 지칭되는 탄성 인장 클램프와, 탄성을 갖는 클립을 수용하는 유지 요소를 사용한다. 이에 관하여, 본원의 관련 내용이 참조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대응 형상의 클립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교지는 역시, AT-C-350 608에 따른 고정 시스템으로부터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예로서, 견부 대신, 채널을 탄성을 갖는 클립 고정 목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유지 요소에 의해 수용되는 유형의 탄성을 갖는 클립 및 다른 형상의 탄성을 갖는 클립으로 실현될 수도 있다. 이에 관하여, 특히, 본원의 관련 내용이 참조된다.
도 1은 단지 개략적으로, 우측을 향한 단순한 레일 변환기의 배치를 도시한다. 여기서, 레일은 콘크리트 침목상에 지지되며, 역시 단지 예로서, EP-B-0 619 85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소위 판드롤(R)(Pandrol) 클립에 의해 고정된다.
도 2 내지 도 7은 변환기의 팁 직전의 궤도상의 레일, 즉, 철도차량 레일(10 ; stock rail)의 표준 고정을 예시한다. 철도차량 레일(10)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중간층(12)(패드)상에 안치되며, 이는 순차적으로, 부하-분산판(14)상에 배열되고, 부하-분산판은 이하에서 리브형 판이라 지칭될 것이다. 철도차량 레일(10) 및 그 레일 저부(16), 즉, 저부의 길이 방향 에지(18, 20)는 그들상에 안치된 탄성을 갖는 클립(22, 24)에 의해 고정되며, 탄성을 갖는 클립은 유지 요소(26, 28)로부터 연장한다.
리브형 판(14)은 탄성 중간층(30)에 의해 지지되며, 이는 순차적으로, 예로서, 경질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실질적 비가요성 중간판(32)상에 안치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중간판(32)은 순차적으로, 콘크리트 침목(34)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연장된다.
레일 저부(16) 아래에서, 탄성 중간층(30)은 예로서, WO-A-200227099에 따라서, 오목부 영역(36)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는, 철도차량 레일(10)의 정상 부하하에, 중간판(32)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연장한다. 과도하게 높은 부하하에서, 오목부 영역은 중간판(32)상에 안치되고, 그래서, 탄성 중간층(30)이 보다 견고해진다.
탄성을 갖는 클립(22, 24)은 평면도에서, 대략 M-형상을 가지며, 외부 다리부(38, 40)를 포함하고, 이는 원호 부분(42, 44)을 통해 내부 다리부(46, 48)내로 합쳐지며, 내부 다리부는 순차적으로 원호 부분(50)에 의해 연결된다.
탄성을 갖는 클립(22, 24) 고정시, 외부 다리부(38, 40)는 유지 요소(26, 28)내로, 특히, 소위 견부(52, 54)내로,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견부에 의해 둘러싸여진 중공 공간내로 구동된다. 다리부들(38, 40, 46, 48)의 형상 및 원호 부분(42, 44)의 형상으로 인해, 원호 부분(50)은 순차적으로 예비응력을 받는 상태로 레일 저부(16)상에,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각의 길이 방향 측부 에지(18, 20)상에 안치되며, 따라서, 철도차량 레일(10)을 억압한다. 여기서, 원호 부분(50)은 전기 절연 재료로 구성된 슬리브(56)에 의해 둘러싸여진다.
탄성을 갖는 클립(22, 24)의 기본 설계는 탄성을 갖는 클립(22) 하나만을 기초로 설명되어 있지만, 이는 탄성을 갖는 클립(24)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이하에서, 유지 요소들(26, 28)의 설계도 예로서, 유지 요소(26)를 사용하여 설명될 것이다.
외부 다리부(38, 40)를 수용하며, 각각 다리부(38, 40)를 수용하기 위해 측방향 개방 U-형상 채널(58, 60)을 구비하는 유지 요소(26) 및 견부(52, 54)는 판 형상 기부 부분(62)에서 발생하고, 판 형상 기부 부분은 순차적으로, 그 저면상에 성형된 돌출부(64)를 구비하며, 성형된 돌출부는 외주벽(66) 및 저면벽(68)을 가지는 컵형 형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면벽(68)은 제2 삽입체(72)를 수용하기 위한 관통 개구(70)를 구비하며, 이는 또한, 조절 원추로서 간주될 수 있다. 제2 삽입체는 관통 개구(74)를 구비하며, 유지 요소(26)를 고정하고 이에 따라 리브형 판(14)을 고정하기 위한 관통 볼트의 자루(76)가 상기 관통 개구를 통과한다. 이를 위해, 기부 부분(62)은 제2 지지면(82)을 형성하는 리브형 판(14)의 부분상에 제1 지지면(80)이 안치된다. 리브형 판(14)은 성형된 돌출부(64)를 형상 끼워 맞춤식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관통 개구(84)를 구비한다. 유지 요소(26, 28)를 고정하고 이에 따라 리브형 판(14)을 고정하기 위해, 각 유지 요소(26, 28), 즉, 성형된 돌출부(64)는 리브형 판(14)의 대응 관통 개구(84)내로 삽입된다. 후속하여, 제2 삽입체(72)가 유지 요소(26)의 관통 개구(70)내로 삽입된다. 그후, 관통 볼트가 너트(88)내로 나사결합되며, 너트는 콘크리트 침목(34)내에 배열된 슬리브(86)에 의해 수용된다. 슬리브(86)는 확장부(90)에 의해 수용되며, 확장부는 소켓(92)으로부터 연장하고, 소켓은 콘크리트 침목(34)내에 매설되어 있고, 도 2의 단면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조립된 상태에서 관통 볼트(78)의 자루(76)를 둘러싼다.
관통 볼트(78), 즉, 그 헤드(94)는 와셔(96)상에 지지되며, 와셔는 순차적으로, 성형된 돌출부(64)의 저면의 내부면상에 안치된다. 관통 볼트(78)가 죄어질 때, 유지 요소(26, 28)는 실질적 강성의 중간판(32)상으로 들어가고, 실질적 강성 의 중간판과 마찰 결합하여 안치된다. 이 동안, 와셔(96)는 관통 개구(70)를 둘러싸는 저면벽(68)의 내부면의 에지 영역상에 안치되고, 이는 결과적으로, 제3 지지면(98)이라 지칭된다. 동시에, 유지 요소(26)의 제1 지지면(80)과 판(32)상에 안치된 그 제4 지지면(100)이 이완 상태, 즉, 관통 볼트(78)가 풀려진 상태의 탄성 중간층(30)과 리브형 판(14)의 두께 보다 작기 때문에, 리브형 판(14)은 당겨지고, 이는 리브형 판(14)에 탄성적으로 예비응력을 부여한다. 관통 볼트(78)를 조이는 것은 결과적으로, 탄성 중간층(30)을 압박하고, 이는 리브형 판(14)의 원하는 예비응력이 달성될 수 있게 한다.
부하 하에서, 철도차량 레일(10)은 필요한 정도로 편향될 수 있다. 그에 의해, 탄성 중간층(30)은 와셔(96)와 함께, 스프링 시스템을 형성하고, 이는 DE-C-42 43 990에 나타난, 무릎 지점을 갖는 특성 곡선의 실현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헤드(94)가 저면벽(68)상에 직접적으로 안치되는 경우, 대등한 특성 곡선이 얻어질 수 있다.
리브형 판(14)의 예비 응력 부여는 유지 요소(26, 28)에 의해 제공되기 때문에, 리브형 판(14)과 유지 요소(26, 28), 그리고, 이에 따라, 철도차량 레일(10) 사이의 상대 이동이 가능하다. 그 결과, 탄성을 갖는 클립(22, 24)은 필요시, 철도차량 레일(10)의 침하에 따라, 스프링 편위를 실행하여야만 하며, 이는 피로 강도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이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7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리브형 판(14)의 예비 응력 부여는 유지 요소(26, 28)를 통과하는 제2 삽입체(102, 104)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총검 결합형 방식으로 리브형 판에 능동적으로 연결되는 유지 요소(106, 108)를 사용한다.
도 7에 특히 명백히 예시된 바와 같이, 유지 요소(106, 108)는 성형된 돌출부(110)를 구비하며, 돌출부는 두 개의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12)를 갖는 원형 단면을 나타내며, 돌출부(112)는 순차적으로, 반원형 단면 형상을 갖는다.
이것과 무관하게, 유지 요소(26, 28)의 성형된 돌출부(64)에 대응하는 성형된 돌출부(110)는 외주벽(114) 및 개구(118)를 갖는 저면벽(116)을 갖는다. 결과적으로, 외주벽(114)은 중공 실린더에 대응한다. 대조적으로, 유지 요소(26, 28)의 성형된 돌출부(64)의 외주벽(66)의 형상은 리브형 판(14)내로의 상호 고정 삽입에 의한 레일 저부(16) 또는 그 길이 방향 측부 에지(18, 20)에 대한 탄성을 갖는 클립(22, 24)의 적절한 정렬을 보증하기 위해 타원형 단면을 가진다.
성형된 돌출부(110)의 외주벽(114)은 리브형 판(14)내의 관통 개구(124, 126)의 내부면(120, 122)에 의해,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둘러싸여지며,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12)는 리브형 판(14)의 저면(128)을 따라 연장한다. 또한, 도 2 내지 도 4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서, 유지 요소(106, 108)는 그 기부 부분(130), 즉, 제1 지지면(80)을 형성하는 기부 부분의 저면이 리브형 판(14)의 상단부상에 안치되고,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112)와 제1 지지면(80) 사이의 간격은 관통 개구(124, 126)의 영역내의 리브형 판(14)의 두께에 대응한다.
관통 개구(124, 126)내로의 유지 요소(106, 108)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관통 개구(124, 126)는 돌출부(112)와 정합하는 절개부(132, 134)를 가지며, 돌출부(112)는 유지 요소가 레일 저부(16)에 대하여 적절히 정렬되어 있지 않은 유지 요소(106)의 위치에서 이들을 통과한다. 유지 요소(106)가 개구내에 삽입되고, 외주 돌출부(112)가 리브형 판(14)의 저면(128)을 따라 연장할 때, 유지 요소(106)는 레일 저부에 대하여 적절한 정렬 상태로 회전되며, 유지 요소(106)는 총검 결합형 방식으로 리브형 판(14)에 연결된다. 이제, 삽입체(102)가 저면벽(116)의 개구(118)내로 삽입된다. 그후, 삽입체(102)는 관통 볼트(78)의 조임 동안, 리브형 판(14)의 필요한 예비응력이 리브형 판(14) 아래에 배열된 탄성 중간층(136)을 압축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도록 하는 높이를 나타낸다. 그후, 탄성 중간층(136)이 리브형 판(14)의 저면(128)에 부착된다(도 2 내지 도 5의 예시적인 실시예 제외). 이는 가황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리브형 판(14)내로의 유지 요소(106, 108)의 삽입 및 이에 따른 이들의 상호 고정 및 마찰 고정 결합은 광범위한 설명이 불필요하도록 도 20 및 도 21에 의해 예시되어 있다. 도 20 및 도 21에서, 고정 대상 레일은 유지 요소(106, 108) 위로 연장하며, 이는 다양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유지 요소(106, 108)는 최초에, 그 적절한 위치로부터 90°편위되어 있는, 그 일부가 도시되어 있는 리브형 판(14)내로 삽입되고, 후속하여, 90°회전된다. 우측에 예시되어 있는 이 위치에서, 견부(52, 54)는 견부(52, 54)에 의해 경계형성된 공간내로 탄성을 갖는 클립(22 또는 24)을 구동한 이후, 탄성을 갖는 클립(22, 24)이 그 원호 부분 부분(50)을 경유하여 또는 그 원호 부분 부분을 둘러싸는 슬리브(56)를 경유하여, 각각 길이 방향 측부 에지(18 또는 20)상에 안치되고, 따라서, 레일을 필요한 정도로 억압하는 방식으로 레일 저부(16) 또는 길이 방향 측부 에지(18, 20)를 향해 배향되어 있다.
또한, 도 20 및 도 21에 사용된 다른 참조 번호는 대응하는 예시된 요소에 대하여 다른 도면에 사용되는 것들에 대응한다.
유지 요소(104, 106)내로 탄성을 갖는 클립(22, 24)을 구동하기 이전에, 유지 요소, 그리고 리브형 판은 관통 볼트(78)를 경유하여 고정되고, 관통 볼트는 너트(88)내로 나사결합되고 조여진다. 이 동안, 와셔(96)는 제2 삽입체(102)상에 안치되고, 관통 볼트(78)가 조여졌을 때, 제2 삽입체(102)는 경질 재료로 구성된 중간판(32)상에 안치된다. 따라서, 제2 삽입체(102)는 와셔(96)와 중간판(32) 사이에 마찰 고정된다. 원반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원반들(138, 140)은 도 5 내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볼트 헤드(94)와 와셔(96)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원반들(138, 140)은 나사 고정 방식으로 작용한다. 예로서, NORD-LOCK 와셔와 같은 대안적 구성도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4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탄성 중간층(136) 및 와셔(96)는 굴곡부를 갖는 특성 곡선을 갖는 복합 스프링 시스템을 형성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삽입체(102, 104)의 높이는 이완된 상태의 탄성 중간층(136)의 두께 및 유지 요소(106, 108)의 저면벽(116)의 두께 보다 작다.
유지 요소(106, 108)가 상호 고정 및 마찰 고정에 의해 리브형 판(14)에 연결되기 때문에, 이들 둘은 제2 삽입체(102, 104)에 대하여 단일체로서 이동되고, 그래서, 결과적으로, 철도차량 레일(10)의 침하로부터, 탄성을 갖는 클립(22, 24)에 대해 어떠한 부가적인 스프링 부하도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피로 강도가 보장된다.
특히, 레일 변환기의 영역에서, 레일을 위한 부하-분산판을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예비 부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추가로, 부하-분산판을 바람직하게는 제거가능하게 배열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제거가능한 유지 요소의 설계는 변환기 블레이드 직전의 철도차량 레일의 영역 또는 정상 레일의 영역에서의 적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또한, 도 8 및 도 9에 단순화의 이유로 생략되어 있는, 그러나, 도 10의 분해도에는 포함되어 있는 설단부(142)의 영역에서 용도를 찾을 수 있다.
도 1의 단면 B-B에 대응하는 레일 변환기의 이 영역에서, 철도차량 레일(10)은 리브형 판(144)상에 배열되고, 리브형 판으로부터 활주판(slide plate)(146)이 제거가능하게 연장되며, 그 위에 설단부(tongue blade ; 142)가 조절가능하게 미끄러질 수 있다.
활주판(146)은 바아 스프링 요소(148, 150)를 경유하여 리브형 판(144)에 제거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바아 스프링 요소는 리브형 판(144)의 길이 방향 측부 에지를 따라 연장하고, 추력 블록(152, 154)을 경유하여 부하 부여될 수 있으며, 추력 블록은 리브형 판(144)으로부터 발생하고, U-형 단면을 갖는다. 추력 블록(152, 154)은 활주판(146)의 지지부(156, 158, 160, 162) 사이에서 연장하며, 그 위에는 활주판(146)이 고정될 때, 바아 스프링 요소(148, 150)가 안치된다.
활주판 측부상의 그 단부 영역에서, 리브형 판(144)은 관통 볼트(164)에 의해 고정되며, 관통 볼트는 너트(168)에 의해 조여질 수 있고, 너트는 콘크리트 침목(170)내에서 연장하는 슬리브(166)에 의한 형상-끼워-맞춤식 연결부내에 수용되며, 그로부터 리브형 판(144)이 연장한다. 관통 볼트(78)를 위한 설명과 유사하게, 관통 볼트(164)의 자루(172)는 슬리브(166)에 의해 둘러싸여지며, 슬리브는 콘크리트 침목(170)내에 주조되고, 전기 절연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7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리브형 판(144)은 탄성 중간층(176)상에 지지되며, 이는 리브형 판(144) 아래에 별도의 요소로서 배열되거나, 리브형 판(144)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가황에 의해 실행된다. 리브형 판(144)에 예비응력을 부여하기 위해, 즉, 탄성 중간층(176)을 원하는 정도로 압축하여 리브형 판(144) 및 활주판(146)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점을 위한 필요한 탄성 지지 정도를 제공하기 위해, 도 5 내지 도 7의 것과 대등한 설계가 선택된다. 따라서, 리브형 판(144)은 유지 요소(108)에 의해 레일 측부상에 간접적으로 예비 응력이 부여되며, 그래서, 레일 저부(16)상에, 보다 정확하게 말하면, 길이 방향 측부 에지(20)상에 안치된 탄성을 갖는 클립이 참조 번호 24로 표시되어 있으며, 유지 요소는 원론적으로, 도 5 내지 도 7에 대응한다.
따라서, 유지 요소(108)는 판형 기부 부분(178)으로 구성되고, 이는 평면도에서 직사각형이며, 이로부터 원형 단면을 갖는 성형된 돌출부(180)가 연장되고, 성형된 돌출부는 중공 실린더의 부분과 대등한 외주벽(182) 및 관통 개구(186)를 갖는 저면벽(184)으로 구성되며, 관통 구멍내로 제2 삽입체(188)가 형상-끼워-맞춤식 연결로 삽입된다. 제2 삽입체(188)는 관통 볼트(190)를 수용하며, 관통 볼트는 너트(192)내로 나사결합되고, 너트는 순차적으로, 콘크리트 침목(170)내에 슬리브(194)에 의한 형상-끼워-맞춤식 연결로 수용된다.
관통 볼트(190)가 조여지고, 따라서, 한편으로는 중간판(196)상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관통 볼트(190)가 연장하는 와셔(198)에 삽입체(188)의 마찰 고정 접촉이 존재할 때, 제2 삽입체(188)는 탄성 중간층(176)이 유지 요소(108) 및 유지 요소에 연결된 리브형 판(144)에 의해, 원하는 예비응력을 달성하기에 충분한 정도로 압축되는 것을 보증하는 높이를 가지며, 중간판(196)은 콘크리트 침목(170)상에 배열되고, 경질 플라스틱과 같은 비가요성 재료로 구성된다. 원반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원반(202, 204)은 이 경우, 도 5 내지 도 7의 예시에 따라, 와셔(198) 및 볼트의 헤드(200)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제2 삽입체(188)의 상단부에 마찰식으로 안치되는 와셔(198)는 또한, 유지 요소(108)의 저면벽(184)의 내부면상에도 지지되며, 유지 요소는 도 5 내지 도 7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순차적으로, 상호 고정 및 마찰 고정에 의해 리브형 판(144)에 연결된다. 달리 말해서, 돌출부(206)는 외주벽(182)의 외부면으로부터 외주방향으로 돌출하고, 이는 레일 저부(16)에 대한 유지 요소(108)의 적절한 배향이 주어지면, 리브형 판(144)의 저면을 따라 연장한다.
유지 요소(108)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유지 요소(108) 즉, 그 성형된 돌출부(180)를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수용하는 리브형 판(144)은 성형된 돌출부(180)의 외부 형상에 대응하는 내부 형상을 갖는 대응 관통 개구(208)를 구비하고, 그에 의해, 돌출부(206)에 대응하는 오목부(210, 212)는 탄성을 갖는 클립(24)이 레일 저부(16)상에 적절히 지지되지 않거나, 아예 지지되지 않는 위치에서 유지 요소(108)가 리브형 판(144)내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연장되며, 그래서, 결과적으로, 유지 요소(108)는 그 적절한 작동 위치에 도달하도록 회전되어야 한다. 이 결과, 돌출부(206)는 유지 요소(108)를 분리시킬 가능성 없이, 리브형 판(144) 아래로 연장한다.
달리 말해서, 이 유형의 설계은 유지 요소(108)와 리브형 판(144) 사이의 총검 결합형 연결을 실현한다.
완전성을 위해, 도 8 내지 도 10의 실시예에 관하여, 추가 중간층(패드)(214)가 리브형 판(144)과 철도차량 레일(10)의 레일 저부(16) 사이에, 그리고, 유사하게, 리브형 판(144)과 활주판(146)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한다. 대응 패드는 참조 번호 216으로 표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탄성을 갖는 클립(24)은 철도차량 레일(10)의 좌측의 길이 방향 측부 에지(20)상에 안치된다. 대향 길이 방향 측부 에지(18)는 활주판(146)에 의해 압박된다. 이에 관하여, 종래의 설계를 참조한다.
리브형 판(144)의 예비 응력 부여, 즉, 탄성 중간층(176)의 압축은 활주판 측부상에서, 관통 볼트(164)를 경유하여 리브형 판(144)의 단부 영역에서 달성되며, 관통 볼트(164)는 와셔(218)를 경유하여, 제2 삽입체(220)상에 안치되어 있고, 이완 상태, 즉, 관통 볼트(164)가 풀려진 상태에서, 탄성 중간층(176)의 두께 및 리브형 판(144)의 두께 보다 작은 높이를 가진다. 따라서, 제2 삽입체(220)가 와셔(218)와 중간판(196) 사이에서 조여지는 경우, 탄성 중간층(176)은 이에 따라 압축된다. 자연적으로, 제2 삽입체(220)의 높이는 리브형 판(144)의 두께 보다 크다.
유지 요소(108) 및 유사하게, 도 5 내지 도 7의 유지 요소(106)가 레일 저부(16)를 압박하는 쪽으로 적합하게 지향되고, 또한 여전히 그 위치에 남아있는 것을 보증하기 위해, 고정 핀(222, 224)이 제공되며, 고정 핀은 리브형 판(14, 144)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 오목부 및 대응 유지 요소(106, 108)내로 삽입될 수 있다. 고정 핀(222, 224)은 구성요소 부분이 서로에 대하여 적절히 정렬되는 경우, 즉,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핀(222, 224)을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하는 경우에만 이 방식으로 형성된 오목부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설상 뒤꿈치(tongue heel)의 영역에서 연장하는 도 1의 단면 C-C에 대응한다. 이 영역에서, 설단부(142)가 중간판(228)상에 지지되고, 그에 고정되며, 중간판은 리브형 판(226)상에 배열되고, 상승된 영역을 형성한다. 이를 위해, 원론적으로 동일한 참조 번호가 동일 요소를 위해 사용되도록,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로 설명된 탄성을 갖는 클립 및 유지 요소가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철도차량 레일(10)을 고정하는 탄성을 갖는 클립(24)은 유지 요소(108)로부터 연장하며, 유지 요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총검 결합형 방식으로 리브형 판(226)에 연결된다.
달리 말해서, 기부 부분(178)은 리브형 판(226)의 상단부를 따라서 연장하고, 유지 요소(108)가 적절히 삽입되면, 돌출부(206)는 리브형 판(226)의 저면을 따라 연장한다. 이는 총검 결합형 연결에 얼마나 양호한 형상 끼워 맞춤식 연결이 보증되는가 이다. 리브형 판(226)의 예비응력 부여는 콘크리트 침목(230)상에 배열되고, 경질 재료로 구성되어 있는 판(232)과 관통 볼트(190)가 통과하는 와셔(198) 사이의 제2 삽입체(188)의 마찰 고정식 끼움을 경유하여 달성되며, 관통 볼트는 콘크리트 침목(230)에 고정된 너트(192)에 의해 조여질 수 있다.
탄성을 갖는 클립(24)이 레일 저부(16)의 길이 방향 측부 에지(20)에 대하여 적절히 정렬되었을 때, 유지 요소(108)도 고정 핀(222)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철도차량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설단부의 발 형상체의 측부 에지도 유지 요소(236)로부터 연장하는, 전술한 설계의 탄성을 갖는 클립(234)을 위한 지지부로서 기능하며, 유지 요소는 중간판(228)의 상단부(240)상에 안치되는 판형 기부 부분(238)을 구비한다. 유지 요소(236)는 그후, 중간판(228)을 지지하면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2개 부재로 이루어지는 리브형 판(226)과 중간판(228)에 상호 고정 및 마찰 고정됨으로써 연결된다. 이는 전술한 방식으로 실현된다. 이를 위해, 기부 부분(238)으로부터 연장하는 성형된 돌출부(242)는 돌출하는 돌출부(244)를 가지며, 이는 일반적 방식에서, 리브형 판(226) 및 중간판(228)내로 형상 끼워 맞춤식으로 삽입되고, 후속하여 그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에 관하여, 도 5 내지 도 10에 관한 설명이 참조된다.
유지 요소(236)의 관통 개구(246)는 제2 삽입체(248)를 수용하며, 제2 삽입체의 높이는 리브형 판(226)의 예비응력, 즉, 리브형 판(226)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탄성 중간층(250)의 압축을 제공하고, 탄성 중간층은 리브형 판(226)의 저면에 가황되거나, 별개의 층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탄성 중간층(250)은 그에 의해, EP-A-0 953 681에 예로서 도시된 바와 같은 기본적인 설계를 갖는다. 즉, 설단부(142) 또는 철도차량 레일(10)상에 작용하는 과도하게 높은 부하하에서, 탄성 중간층(250)이 보다 강성화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 중간판(232)상에 안치되는 오목부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철도차량 레일(10) 및 설단부(142)를 그 서로 대향된 길이 방향 측부 에지(18, 20)에서, 적절한 상술한 탄성을 갖는 클립으로 압박 또는 부하를 부여하기 위해서, 독립적 발명의 잇점을 갖는 설계가 선택되었다. 철도차량 레일(10)과 설단부(142) 사이에는 유지 요소(254)가 연장되며, 유지 요소는 판형 기부 부분(256)을 가지고, 이는 평면도에서 직사각형이며, 기부 부분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직사각형 단면으로 이루어진 성형된 돌출부(258)를 갖는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유사하게, 성형된 돌출부(258)의 단면은 기부 부분(256)의 단면 보다 작다. 성형된 돌출부(258)는 관통 개구를 가지며, 관통 개구를 통해 관통 볼트(288)가 통과할 수 있다.
철도 차량 레일(10) 및 설단부(142)의 종방향에서 보면, 두 쌍의 견부(262, 264 및 266, 268)는 서로로부터 소정 거리로 연장하며, 이 각각에서, 상술된 유지 요소와 유사하게, 예로서, 탄성을 갖는 클립(22, 24)의 것들에 대응하는 설계 및 기능을 가지는 탄성을 갖는 클립(270, 272)의 외부 다리부를 위한 U형 단면을 구비하는 채널형 수용부를 형성한다. 일 측부상의 견부(262, 264)와 다른 측부상의 견부(266, 268) 사이에는 중간판 요소(274)가 연장되며, 중간판 요소는 가교 요소로서 보여질 수 있고, 유지 요소(254)에 대하여 조절가능하며, 철도차량 레일(10) 및 설단부(142)의 각 레일 저부(16, 233)상에서, 보다 명확하게 말하면, 길이 방향 측부 에지(18, 252)상에서, 단차부(276, 278)에 의해 경계지워진 경계 부분(280, 282)에 의해 안치되며, 이는 도 11의 단면도에 특히 잘 예시되어 있다.
그후, 탄성을 갖는 클립(270, 272)의 중앙 다리부는 중간판 요소(274)의 상단부(286)상에 안치되며, 그에 의해, 중간판(276)은 레일 저부(16, 233)상에 가압된다.
따라서, 좁게 이격 배치된 레일, 즉, 철도차량 레일(10)과 설단부(14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레일 변환기의 다른 부분에 사용되는 탄성을 갖는 클립을 경유하여 공간 절약적 방식으로 로딩될 수 있다.
탄성을 갖는 클립이 직접적으로 레일 저부상에 지지될 때와 같이, 압박에 관한 동일한 형상 조건을 보증하기 위해서, 중간판 요소(274)의 상단면은 이 영역에서 레일 저부(16, 233)의 지지면의 것들에 대응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는 지붕 형상을 가지며, 레일 저부는 탄성을 갖는 클립을 위한 지지부로 기능한다.
유지 요소(108, 236)와 유사하게, 유지 요소(254)는 관통 볼트(288)를 경유하여 고정된다. 유지 요소(254)가 도 5 내지 도 10을 기초로 설명된 바와 같이 리브형 판(226)에 대한 형상-끼워-맞춤식 연결부를 갖거나 이를 파지하지 않고 단지 정합 관통 개구(290)내로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삽입되기 때문에, 리브형 판(226)의 침하에 따라서, 그와 유지 요소(256) 사이의 상대 이동 및, 이에 따른 탄성을 갖는 클립(270, 272)상의 부가적인 부하가 발생한다. 그러나, 유지 요소(254)가 가교 요소로서 고려되는 중간판 요소(274)의 중앙 영역에서 관통 볼트(288)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스프링 편위는 탄성을 갖는 클립(270, 272)의 피로 강도에 영향을 주지 않게 충분히 낮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리브형 판(226)이 관통 개구(290)의 영역에서 분할되어 있고, 그래서, 철도차량 레일(10)을 수용하는 부분(292)과 설단부(142)를 지지하는 부분(294) 사이에 상대 이동이 발생한다는 것도 이에 기여한다. 따라서, 탄성 중간층(250)도 부분(296, 298)으로 분할된다. 이때, 부분(292, 294 및 296, 298) 각각 사이의 접촉선은 관통 개구(290)를 통과한다.
직접적으로 인접 연장하는 철도차량 레일(10) 및 설단부(142)와 유지 요소(254)와 연계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소위 이중 고정이 역시 도 1의 단면 D-D에서 발견되며, 그 세부 사항은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되어 있다. 역시, 이미 설명된 요소에 대해서는 원론적으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어 있다.
윙 레일 및 설단부 내로 합쳐지는 레일 부분(300, 302)은 탄성을 갖는 클립에 의해 외측상에서 압박되며, 탄성을 갖는 클립은 유지 요소로부터 연장하고, 도 5 내지 도 7의 것들에 대응한다. 결과적으로, 유지 요소(106, 108)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분할되어 있는 리브형 판(304)으로부터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연장한다. 탄성을 갖는 클립(22, 24)은 유지 요소(106, 108)가 각각의 레일 저부 길이 방향 측부 에지에 대해 적절히 정렬된 이후, 유지 요소(106, 108)내로 구동될 수 있다. 이 위치에서, 유지 요소(106, 108)는 고정 핀(222, 224)에 의해 리브형 판(304)에 관한 회전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리브형 판(304), 보다 정확히 말하면, 각각의 위에 레일 부분(300, 302) 중 하나가 안치되는 부분(306, 308)의 예비 응력 부여는 제2 삽입체(102, 104)를 경유하여 달성되며, 이 제2 삽입체는 유지 요소(106, 108)의 성형된 돌출부(110)를 통과하고, 관통 볼트(78)를 경유한, 콘크리트 침목(310)에 대한 형상-끼워-맞춤식 연결부를 가지며, 즉, 중간판(32)과 관통 볼트가 통과하는 와셔(96) 사이에 고정된다. 따라서, 리브형 판(304)과 중간판(32) 사이에는 리브형 판(304)과 유사하게, 두 개의 편(two pieces)(부분 314, 316)으로 구현되어 있는 탄성 중간층(312)이 배열된다.
다른 한편, 레일 부분(300, 302)의 서로 대향한 길이 방향 측부 에지(318, 320)는 도 11 내지 도 13에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가교 요소 또는 중간판과 탄성을 갖는 클립에 의해 압박된다. 달리 말해서, 레일(300, 302) 사이에는 유지 요소(322)가 연장되고, 유지 요소로부터 탄성을 갖는 클립의 외부 다리부를 위한 번호부여되지 않은 채널형 수용부를 구비한 두 쌍의 견부(321, 323, 325, 327)가 연장되며, 탄성을 갖는 클립은 전술한 유형의 탄성을 갖는 클립, 즉, 탄성을 갖는 클립(270, 272)에 대응하며, 그래서, 그에 관련한 참조 번호가 사용된다. 유지 요소(322)는 유지 요소(254)의 구성에 대응하며, 또한, 성형된 돌출부(258)를 구비한 판형 또는 정방형 기부 부분(256)을 가지고, 성형된 돌출부는 관통 개구를 구비하며, 이 관통 개구를 통해 도 13의 관통 볼트(288)에 대응하는 관통 볼트(324)가 유지 요소(322)를 고정하기 위해 통과된다.
유지 요소(322)를 가로질러, 중간판 요소(326)가 연장하며, 이 중간판 요소는 또한 가교 요소로서 보여질 수 있고, 이는 도 11 내지 도 13의 중간판 요소(274)의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중간판 요소(326)는 별개의 구성요소 부분이며, 이는 유지 요소(322)상에, 즉, 기부 부분(256)의 상단부에 배치되고, 유지 요소(322)에 대한 적절한 정렬을 성취하기 위해, 중간판 요소(326)는 그 유지 요소를 마주하는 측부상에 오목부(328)를 가지며, 오목부는 기부 부분(256)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다. 적절한 배치의 경우에, 중간판 요소(326)는 단차부(334, 336)에 의해 경계지어지는 그 측부 에지에서, 레일 부분(300, 302)의 길이 방향 측부 에지(338, 340)상에 배치되고, 그래서, 후속하여, 탄성을 갖는 클립(270, 272)이 유지 요소(322)내로, 즉, 견부(321, 323, 325, 327)내로 구동된다.
유지 요소(322)가 리브형 판(304)의 부분(306, 308)의 분할 영역에서 연장한다는 사실은 레일 부분(300, 302) 사이의 상대 이동이 발생할 수 있게 하고, 동시에 탄성을 갖는 클립(270, 272)의 스프링 부하는 감소된다.
도 17 내지 도 19의 E-E 단면도는 안내 레일의 영역에서 레일 변환기의 상황을 반영한다. 그를 따라 안내 레일 삽입체(346)를 수용하기 위한 지지부(344)가 연장하는 레일 부분(342)은 유지 요소 및 탄성을 갖는 클립에 의해 고정되며, 이는 도 2 내지 도 4, 특히, 도 5 내지 도 7의 구성, 즉, 레일 변환기 외측의 위치에 대응한다. 이에 관하여, 동일한 요소를 위해 동일한 참조 번호가 사용되며, 리브형 판(14)의 예비 응력 부여가 제2 삽입체(102, 104)를 경유하여 달성되는 도 17 및 도 19의 구성은 결과적으로, 유지 요소(106, 108)가 리브형 판(14)에 대한 형상- 끼워-맞춤식 연결부를 가지고, 그래서, 어떠한 상대 이동도 그들 사이에서 발생하지 않도록 선택된다.
지지부(344)는 관통 볼트에 의해, 레일 부분(342)을 수용하는 콘크리트 침목(348)에 연결된다. 이에 관하여, 충분히 잘 알려진 설계가 참조된다.

Claims (27)

  1. 콘크리트 침목과 같은 지지부(34, 170, 230, 310, 348)상에 레일 저부(16, 236, 258)를 가지는 레일(10, 142, 222, 224, 252, 300, 302)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레일 저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열된 리브형 판과 같은 부하-분산판(14, 144, 226, 228, 304)과, 상기 지지부에 대해 상기 부하-분산판을 지지하는 탄성 중간층(30, 136, 176, 250, 312)과, 상기 지지부에 연결된 유지 요소(26, 28, 106, 108, 236, 254, 32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기 유지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탄성을 갖는 클립(22, 24, 234, 270, 272)을 연장시키고, 상기 클립은 복수의 다리부(38, 40, 42, 44, 46, 48, 50)들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저부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그 자체를 지지하는 레일 고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26, 28, 106, 108, 236, 254, 322)는 상기 부하-분산판(14, 144, 226, 228, 304)내로 제거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부하-분산판에 대한 이동을 허용하는 제1 삽입체로서 구현되거나, 또는
    상기 유지 요소는 상기 부하-분산판과 함께 단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부하-분산판과 함께 단일체를 형성하는 상기 유지 요소는 관통 개구(70, 118, 186, 246)를 구비하고, 상기 관통 개구내에는 상기 유지 요소에 대하여 이동가능하며 상기 유지 요소의 조절을 허용하는 제 2 삽입체(72, 102, 304, 188, 220, 248)가 배열되고, 상기 관통 개구를 통해 나사 요소(78, 164, 190, 288, 324)가 통과하고, 상기 나사 요소는 상기 유지 요소와 상기 지지부(34, 170, 230, 310, 348)를 연결하며 상기 지지부에 나사결합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상기 부하-분산판은 상기 유지 요소에 의해 상기 지지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예비부하가 부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26, 28, 106, 108, 236, 254, 322)는 저면을 따라 연장하는 성형된 돌출부(64, 110, 180, 242, 258)를 구비한 기부 부분(62, 130, 238, 256)을 가지고,
    상기 성형된 돌출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상기 기부 부분의 영역으로부터 견부 또는 채널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수용부(52, 54, 262, 264, 266, 268, 321, 323, 325, 327)가 연장되고, 상기 수용부 내에는 상기 클립(22, 24, 234, 270, 272)의 하나의 다리부(38, 40) 또는 하나의 다리부의 부분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돌출부(64, 110, 180, 242, 258)는 원형 또는 타원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돌출부(64, 110, 180, 242, 258)는 관통 개구(70, 118, 186, 246)를 갖는 저면벽(68, 116, 184)을 구비하는 컵형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돌출부(64, 110, 180, 242, 258)는 상기 부하-분산판(14, 144, 226, 228, 304)내에 형상-끼워-맞춤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돌출부(64, 110, 180, 242, 258)는 상기 부하-분산판(14, 144, 226, 228, 304)과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분산판(14, 144, 226, 228, 304)은 상기 성형된 돌출부(64, 110, 180, 242, 258)의 외부 형상과 정합하는 형상을 가지는 관통 개구(124, 12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26, 28, 106, 108, 236, 254, 322)는 제 2 지지면(82)을 형성하는 상기 부하-분산판(14, 144, 226, 228, 304)의 부분상에 제 1 지지면(80)을 통하여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돌출부(112, 206, 244)들은 상기 성형된 돌출부(64, 110, 180, 242, 258)로부터 외주로 돌출되고,
    상기 유지 요소(26, 28, 106, 108, 236, 254, 322)로부터 연장하는 제 1 지지면(80)으로부터 상기 돌출부들 각각의 간격은 상기 탄성 중간층(30, 136, 176, 250, 312)이 그를 따라 연장하거나 그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부하-분산판의 저면(128)과 상기 부하-분산판(14, 144, 226, 228, 304)으로부터 연장하는 제 2 지지면(82) 사이의 간격과 같거나 그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 및 상기 부하-분산판은 단일 유닛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26, 28, 106, 108, 236, 254, 322)를 상기 지지부(34, 170, 230, 310, 348)에 연결하는 상기 나사 요소는 관통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26, 28, 106, 108, 236, 254, 322)가 고정될 때, 상기 나사 요소(78, 164, 190, 288, 324) 또는 나사 요소가 통과하는 원반형 요소인 와셔(96, 198)는 상기 유지 요소(26, 28, 106, 108, 236, 254, 322)의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제 3 지지면(98), 또는 제 2 삽입체(72, 102, 104, 188, 220, 248) 중 어느 한쪽상에 그 자체를 마찰식으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요소(78, 164, 190, 288, 324) 또는 상기 원반형 요소(96, 198)는 상기 유지 요소(26, 28)상에 마찰식으로 지지되고, 상기 와셔(96, 198)는 콘크리트 침목과 같은 지지부(34)상에 또는 중간판(32)상에 제 4 지지면(100)을 경유하여 안치되고, 상기 유지 요소의 상기 제 1 및 제 4 지지면(80, 100) 사이의 간격은 상기 나사 요소가 풀려져 있을 때의 상기 탄성 중간층(30)의 두께 및 상기 제 2 지지면(82)과 상기 부하-분산판(14)의 저면(128) 사이의 간격 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요소(78, 164, 190, 288, 324) 또는 상기 원반형 요소(96, 198)가 상기 제 2 삽입체(62, 102, 104, 188, 220, 248)상에 마찰식으로 지지될 때, 상기 탄성 중간층(30, 136, 176, 250, 312)은 압축 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26, 28, 106, 108, 236, 254, 322)는 상호 고정에 의해 상기 부하-분산판(14, 144, 226, 228, 304)에 총검 결합형(bayonet-joint-like)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1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26, 28, 106, 108, 236, 254, 322)의 상기 기부 부분(62, 130, 238, 256)은 두 개의 견부(52, 54, 262, 264, 266, 268, 321, 323, 325, 327)들을 연장하고, 상기 두 견부 각각은 상기 클립(22, 24, 234, 270, 272)의 하나의 다리부(38, 40)를 수용하며,
    관통 볼트(78, 164, 190, 288, 324)와 같은 볼트 요소가 상기 견부들 사이에서 연장하며, 상기 유지 요소가 지지부(34, 170, 230, 310, 348)에 연결될 때, 상기 볼트 요소의 헤드(94, 200)는 상기 클립(22, 24, 234, 270, 272) 아래, 즉 상기 레일 저부(16, 236, 258)상에 안치되는 상기 클립의 원호 부분(50) 아래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부하-분산판은 중간판(228)이고, 상기 중간판은 그 뒤꿈치(heel) 영역에서 설단부(142 ; tongue blade)를 지지하며, 상기 유지 요소의 성형된 돌출부(242) 또는 상기 유지 요소(236)의 외측 형상에 대응하는 단면을 갖는 관통 개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236, 322)는 서로 바로 인접하게 연장하는 두 개의 철도차량 레일(10, 142; 300, 302)들 사이에 배열되고,
    두 개의 탄성을 갖는 클립(270; 272)들을 위한 수용부(262, 264, 266, 268, 321, 323, 325, 327)들은 상기 유지 요소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클립들은 상기 유지 요소에 대하여 조절가능한 중간판 요소(274, 326) 상에 지지되며,
    상기 중간판 요소 자체는 상기 레일들의 레일 저부(16, 236; 318, 320)상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두 쌍의 견부(262, 264, 266, 268, 321, 323, 325, 327)들은 상기 유지 요소(236, 322)로부터 연장하고, 상기 각 견부 쌍으로부터 탄성을 갖는 클립(270, 272)이 연장하며, 상기 두 견부 쌍 사이에는 상기 레일 저부상에 안치되며 상기 유지 요소에 대하여 조절가능한 상기 중간판 요소(274, 326)가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서로 바로 인접하게 연장하는 상기 철도차량 레일(10, 142, 300, 302)들 사이에서 연장하면서 상기 레일들의 상기 레일 저부(16, 236, 318, 320) 상에 안치되는 상기 중간 판 요소(274, 326)는 탄성을 갖는 클립들이 일반적으로 그 자체를 지지하는 영역에서 상기 레일 저부의 경사부에 대응하는 경사부를 갖는 상기 클립(270, 272)을 위한 지지부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서로 바로 인접하게 연장하는 상기 철도차량 레일(10, 142, 300, 302)들 사이에 배열된 상기 유지 요소(236, 322)는 정방형 형상의 기부 부분(256)을 가지고,
    상기 기부 부분의 저면으로부터 연장하는 성형된 돌출부(258)는 라운드형 모서리를 가지는 직사각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성형된 돌출부는 상기 부하-분산판(226, 304)의 관통 개구(290)를 통과하고,
    상기 부하-분산판은 두 개의 부분(292, 294, 306, 308)들로 구성되고, 상기 두 개의 부분은 상기 부하-분산판의 종축에 수직으로 연장하며 그 중심에서 관통 개구와 교차하는 분할선을 따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22. 제 1 항 내지 제 3 항, 또는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간층(250, 312)은 두 개의 부재들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중간층(250, 312)은 상기 부하-분산판(226, 304)의 부분들(292, 294; 306, 308) 사이의 분할선의 경로와 일치하는 경로를 갖는 분할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2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중간층과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판(32,196,23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2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돌출부의 평면 크기는 기부 부분의 평면 크기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2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돌출부는 형상-결합 및 마찰-결합(shape-and frictional-engagement)에 의해 상기 부하-분산판(14, 144, 226, 228, 304)과 형상-끼워-맞춤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2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된 돌출부(64, 110, 180, 242, 258)는 컵형 또는 중공 실린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27.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요소 및 상기 부하-분산판은 주조(casting)에 의해 단일 유닛으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고정 장치.
KR1020077001439A 2004-06-21 2005-06-17 레일 고정 장치 KR1010199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29730 2004-06-21
DE102004029730.4 2004-06-21
DE102004031632.5 2004-06-30
DE102004031632A DE102004031632A1 (de) 2004-06-21 2004-06-30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2973A KR20070042973A (ko) 2007-04-24
KR101019923B1 true KR101019923B1 (ko) 2011-03-08

Family

ID=3497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1439A KR101019923B1 (ko) 2004-06-21 2005-06-17 레일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648080B2 (ko)
EP (1) EP1759062B1 (ko)
KR (1) KR101019923B1 (ko)
AT (1) ATE491844T1 (ko)
AU (1) AU2005254690B2 (ko)
BR (1) BRPI0512302A (ko)
CA (1) CA2570098C (ko)
DE (2) DE102004031632A1 (ko)
HK (1) HK1099352A1 (ko)
NO (1) NO20070358L (ko)
RU (1) RU2340718C2 (ko)
WO (1) WO200512402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5977B2 (en) 2017-08-25 2022-03-29 Siemens Mobility GmbH Rail vehicl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413093D0 (en) * 2004-06-11 2004-07-14 Pandrol Ltd Fastening rail in railway slide chair assembly
DE102004031632A1 (de) * 2004-06-21 2006-01-26 Bwg Gmbh & Co. Kg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BRPI0418935A (pt) * 2004-07-01 2007-11-27 Vossloh Werke Gmbh placa de guia angular e sistema para fixar trilhos para veìculos de trilho
DE102004033724B3 (de) * 2004-07-13 2005-10-27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GB2417539B (en) * 2004-08-24 2006-11-08 Specialised Petroleum Serv Ltd Clamp
DE102005024600B4 (de) * 2005-05-25 2021-01-28 Bwg Gmbh & Co. Kg Befestigung einer Unterlageplatte
GB2435285A (en) * 2006-02-21 2007-08-22 Pandrol Ltd Fastening railway rails
DE102007025708B4 (de) 2007-06-01 2009-06-18 Schwihag Ag Kraftschlüssige elastische Schienenbefestigung für Gleisanlagen
GB2453575B (en) * 2007-10-11 2011-11-30 Pandrol Ltd Railway rail paid
US8375544B1 (en) * 2008-10-17 2013-02-19 Portaco, Inc. Railroad pin removal system
US20100170955A1 (en) * 2009-01-07 2010-07-08 Jude Odihachukwuma Igwemezie Concrete Tie Fastener
DE202009014462U1 (de) * 2009-09-18 2010-02-18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m festen Untergrund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DE102009041816B4 (de) * 2009-09-18 2011-07-28 Vossloh-Werke GmbH, 58791 Unterlegplatte für die Befestigung einer Schiene auf einem festen Untergrund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GB2476460B (en) * 2009-12-22 2016-01-13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apparatus
ES2524798T3 (es) 2010-03-12 2014-12-12 Vossloh-Werke Gmbh Sistema para fijar un carril sobre un sustrato y placa de soporte para un sistema de este tipo
ES2525249T3 (es) * 2010-03-12 2014-12-19 Vossloh-Werke Gmbh Sistema para fijar un carril y pieza de adaptador para un sistema de este tipo
PL2369055T3 (pl) * 2010-03-12 2014-10-31 Vossloh Werke Gmbh System do mocowania szyny i płyta prowadząca dla takiego systemu
PL2386687T3 (pl) * 2010-05-10 2014-04-30 Vossloh Werke Gmbh Płyta prowadząca do bocznego prowadzenia szyny oraz system do mocowania szyny na podłożu
RU2445417C1 (ru) * 2010-07-27 2012-03-20 Владимир Павлович Акимов Вставка промежуточного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US20120043698A1 (en) * 2010-08-18 2012-02-23 Douglas Delmonico Methods for construction of slab track railroads
EP2609257A1 (de) * 2010-08-24 2013-07-03 Vossloh-Werke GmbH Unterlegplatte für ein schienenbefestigungssystem,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verfahren zum sanieren eines schienenbefestigungspunktes
US8210444B2 (en) * 2010-10-18 2012-07-03 Osler Wilbur F Direct fixation track-mounting assembly
US8727230B2 (en) * 2011-07-15 2014-05-20 Vossloh-Werke Gmbh System for fastening a rail to a sleeper
US8480008B1 (en) * 2011-11-15 2013-07-09 Jim Arnold Rail controller mounting apparatus
USD736609S1 (en) * 2013-01-08 2015-08-18 Pandrol Limited Clamp shoulder
FR3012401B1 (fr) * 2013-10-30 2015-12-04 Vossloh Cogifer Ensemble forme d'un vcc (verrou carter coussinet) d'appareil de voie sur traverse
DE102014107035A1 (de) * 2014-05-19 2015-11-19 Vossloh-Werke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Montage eines Befestigungselements für die Befestigung einer Schiene für ein Schienenfahrzeug sowie mit einem solchen Befestigungselement hergestellter Schienenbefestigungspunkt
DE102014116142A1 (de) 2014-11-05 2016-05-12 Vossloh-Werke Gmbh Befestigungspunkt, in dem eine Schiene als Teil eines Gleises für Schienenfahrzeuge auf einem Untergrund befestigt ist
CN106863127A (zh) * 2017-02-24 2017-06-20 中信戴卡股份有限公司 一种柔性夹持装置
DE102018117453A1 (de) * 2018-07-19 2020-01-23 Schwihag Ag Gleis- Und Weichentechnik Schienenbefestigungssystem
US11634872B2 (en) 2018-10-01 2023-04-25 Pandrol Limited Transparent railroad railseat assembly
WO2020191447A1 (en) * 2019-03-26 2020-10-01 Delkor Rail Pty Limited Rail mounting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DE102019207929A1 (de) * 2019-05-29 2020-12-03 Schwihag Ag Schienenbefestigungssystem
RU203200U1 (ru) * 2020-10-02 2021-03-25 Дмитрий Витальевич Гвидонский Подкладка подрельсовая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6477A (en) 1987-07-24 1988-07-12 Pandrol Limited Plate for supporting railway rails and a track assembly using it
WO2001038642A1 (en) * 1999-11-24 2001-05-31 Pandrol Limited Railway baseplat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10224A (en) 1975-11-07 1978-05-10 Pandrol Ltd Railway rail fastening clip and a railway rail-and-fastening assembly employing it
NL7903569A (nl) * 1979-05-07 1980-11-11 Everts & Van Der Weyden Nv Bevestigingshuis voor een railklem en werkwijze ter vervaardiging van een betonnen dwarsligger met bevestigingshuis.
DE3018091C2 (de) 1980-05-12 1985-05-02 Anschütz & Co GmbH, 2300 Kiel Spielfreie Wellenlagerung für einen Kreiselläufer und Verfahren für ihre Herstellung
US4325510A (en) * 1980-06-23 1982-04-20 Lord Corporation Adjustable spring clip
US4844338A (en) * 1986-12-05 1989-07-04 Lord Corporation Rail fastener
US4967954A (en) * 1988-12-15 1990-11-06 American Track Systems, Inc. Rail fastening device
IN185923B (ko) 1991-12-18 2001-05-19 Pandrol Ltd
US5221044A (en) * 1991-12-19 1993-06-22 Guins Sergei G Rail fastening system with gage adjustment means
DE4219472C2 (de) * 1992-06-13 2002-02-07 Hilti Ag Einrichtung zum Lagern von Schienen
DE9320372U1 (de) 1993-02-01 1994-05-19 Butzbacher Weichenbau Gmbh Befestigung für ein Gleisteil
FR2705108B1 (fr) * 1993-05-10 1995-08-04 Allevard Sa Dispositif de support et de calage d'un rail de chemin de fer.
GB9504424D0 (en) * 1995-03-06 1995-04-26 Pandrol Ltd Rail-fastening assembly
AUPP726098A0 (en) * 1998-11-23 1998-12-17 Pandrol Limited Preloading rail clips in steel sleepers
GB9917146D0 (en) * 1999-07-21 1999-09-22 Pandrol Ltd Suspended rail fastening assembly
EP1234075A4 (en) * 1999-11-18 2004-12-15 Lee Gye Jun RAILWAY SUPPORT
GB2370062A (en) 2000-12-12 2002-06-19 Resitech Ltd Base assembly for mounting a rail on a support structure
DE20105698U1 (de) * 2001-03-31 2002-08-01 Schwarzbich Joerg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senbahnschienen
CA2445491C (en) * 2002-10-18 2011-06-14 Portec Rail Products, Inc. Tie plate
DE102004031632A1 (de) * 2004-06-21 2006-01-26 Bwg Gmbh & Co. Kg Anordnung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S7533829B2 (en) * 2005-02-25 2009-05-19 Osler Wilbur F Rail-mounting assembly
US7374109B2 (en) * 2006-04-06 2008-05-20 Crown Plastics Company Rail cushion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56477A (en) 1987-07-24 1988-07-12 Pandrol Limited Plate for supporting railway rails and a track assembly using it
WO2001038642A1 (en) * 1999-11-24 2001-05-31 Pandrol Limited Railway baseplat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85977B2 (en) 2017-08-25 2022-03-29 Siemens Mobility GmbH Rail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70098C (en) 2013-01-08
NO20070358L (no) 2007-01-19
DE502005010687D1 (de) 2011-01-27
ATE491844T1 (de) 2011-01-15
DE102004031632A1 (de) 2006-01-26
AU2005254690B2 (en) 2010-10-21
BRPI0512302A (pt) 2008-02-26
EP1759062B1 (de) 2010-12-15
RU2007102066A (ru) 2008-07-27
HK1099352A1 (en) 2007-08-10
CA2570098A1 (en) 2005-12-29
RU2340718C2 (ru) 2008-12-10
US7648080B2 (en) 2010-01-19
KR20070042973A (ko) 2007-04-24
AU2005254690A1 (en) 2005-12-29
WO2005124025A1 (de) 2005-12-29
US20080093472A1 (en) 2008-04-24
EP1759062A1 (de) 2007-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9923B1 (ko) 레일 고정 장치
KR101749913B1 (ko) 선로 레일 체결 장치
US4907740A (en) Device for attaching a rail to a bearing element
RU223901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сокоупругого закрепления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рельсов на стандартных бетонных шпалах
KR101013014B1 (ko) 레일 체결부 및 레일 체결 장치
KR100416133B1 (ko) 레일고정조립체
EA014168B1 (ru) Система рельсового скрепления
CN110735364A (zh) 导轨固定系统
US4275832A (en) Resilient support means
JP6337014B2 (ja) 鉄道レール固定デバイス
CN1981089B (zh) 轨道紧固装置
KR20100011452A (ko) 레일고정구조
US11248349B2 (en) Pad for a railway rail fastening assembly
JP2577590B2 (ja) 枕木へのレール固定装置
JP3230214B2 (ja) レールの高さ調整固定装置
BR112021005027A2 (pt) suporte para um trilho
JPH0757924B2 (ja) 鉄道用レール固定装置
RU2041304C1 (ru) Рельсовое промежуточное скрепление
JP3602851B6 (ja) レール固定アセンブリ
PT1709249E (pt) Ponto de apoio de carris altamente elástico e electricamente isolante
JPH045531Y2 (ko)
JPH10159001A (ja) 鉄道軌道の高さ可変調節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