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3879B1 - 토목구축물용유니트,토목구축물용유니트의제조방법및토목구축물 - Google Patents

토목구축물용유니트,토목구축물용유니트의제조방법및토목구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3879B1
KR100413879B1 KR10-1998-0061683A KR19980061683A KR100413879B1 KR 100413879 B1 KR100413879 B1 KR 100413879B1 KR 19980061683 A KR19980061683 A KR 19980061683A KR 100413879 B1 KR100413879 B1 KR 100413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elements
mesh
partition
adjacent
shee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6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0515A (ko
Inventor
이사오 유키모토
기요노리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637973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1387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105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5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3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38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22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 E02B3/123Flexible prefabricated covering elements, e.g. mats, strips mainly consisting of stone, concrete or similar ston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과제) 흡출방지 시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흡출방지 시트 상에서 옆으로 비키어 놓음을 행할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금속 망(4)의 표면에 복수의 자연석(5)을, 볼트(15)를 사용하여 각각 부착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3)에 있어서, 그물코(8) 구획요소로서의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와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가 단차(H)를 형성하는 마름모꼴 금속 망을 사용하여, 와셔(14)를,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끼리의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를 걸치도록 배열 설치하며, 그 와셔(14)를 볼트(15)를 통하여 자연석(5)에 연결하여 자연석(5)을 금속 망(4)의 표면에 고정한다. 그 때 상기 단차(H)를 이용하며, 그 볼트(15)의 헤드부(19)가 단차(16)내에 수용하도록 하여, 볼트(15)의 헤드부(19)가 금속 망(4)의 다른 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도록 한다,

Description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및 토목구축물{UNIT F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OF UNIT FOR CIVIL ENGINEERING STRUCTURE, AND CIVIL ENGINEERING STRUCTURE}
본 발명은, 호안 등의 토목구축물의 구축에 사용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조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및 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사용하여 구축된 토목구축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호안 등의 토목구축물의 시공에 있어서는,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각각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는, 망 형상 편(片)의 일면에 복수의 돌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부착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이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는, 시공면에 미리 부설된 흡출(吸出)방지 시트(흡출 방지재)상에 부설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래의 호안 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주위의 자연 경관에 조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자연으로의 복귀를 촉진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된다.
그러나, 상기 토목구출물용 유니트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망 형상 편(片)의 다른 면측으로부터 고정수단이 돌출하게 되어 있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흡출방지 시트상으로 내리면, 그 고정수단의 돌출부가, 돌의 하중을 받아서 흡출방지 시트를 잠식하여, 흡출방지 시트가 파손되는 염려가 있다.
또, 상기 흡출방지 시트로의 잠식은, 흡출방지 시트상에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비키어 놓게하는 것(옆으로 비키어 놓음)을 곤란하게 하고 있으며(저항이 큼),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위치 맞춤(미세한 조정)은 용이하지 않다. 만일,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무리하게 비키어 놓게 해서 위치맞춤을 하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잠식에 의거하여, 흡출방지 시트가 파손되는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 의 기술적 과제는, 흡출방지 시트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흡출방지 시트상에서의 옆으로 비키어 놓음을 행할 수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2 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제조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제 3 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사용한 토목구축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사용한 호안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도 3은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의 자연석과 금속 망과의 부착 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4는 자연석에 대한 너트의 부착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도 4의 연속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도 5의 연속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주요부 확대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 호안(護岸)3 :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4 : 금속 망5 : 자연석
6 : 제1 구획요소7 : 제2 구획요소
8 : 그물코10 : 너트
10a : 진입구14 : 와셔
15 : 볼트16 : 단차
17 : 관통 구멍18 : 축부
19 : 볼트 헤드부21 : 나사 봉(棒)
22 : 너트
상기 제 1 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를 가진 망 형상 편이 구비되며, 상기 망 형상 편의 한 면에 복수의 돌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부착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가, 상기 망 형상 편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보다도 이 망 형상 편의 한 면 측에 가깝게 되도록 위치되어서, 이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이 복수의 제 2 구획요소 사이에 소정의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를 걸도록 하여 상기 돌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를 적어도 걸치도록 배열 설치되는 시트 판과, 이 시트 판을 상기 돌에 가압하는 체결구를 가지고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청구항 1 의 바람직한 양태로서는, 청구항 2,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과 청구항 10 및 청구항 11 의 기재와 같이 된다.
상기 제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청구항 7의 발명)에 있어서는,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 및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상기 복수의 제2 구획요소 사이에, 두께 방향에서, 볼트 헤드부의 두께보다도 조금 큰 단차가 형성된 망 형상 편과,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진입구가 노출되도록 너트가 매설 고정된 복수의 돌과, 상기 볼트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시트 판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을 상기 너트의 진입구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깔아 나란히 놓고,
다음에, 상기 복수의 돌 위에 상기 망 형상 편을, 상기 복수의 제1 구획요소를 하측으로 향하게 하면서 덮어씌우며,
다음에, 상기 각각의 돌마다, 상기 시트 판을,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이 시트 판의 관통구멍을 상기 너트의 진입구를 면하게 하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걸치도록 위치시키며,
다음에, 상기 각각의 돌마다, 상기 시트 판의 관통구멍과 상기 망 형상 편의 그물눈에 볼트를 각각 통과시켜서, 이 각각의 볼트를 상기 각각의 돌의 너트에 나사 맞춤하고, 이 각각의 볼트의 헤드부를,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으로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 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8의 발명)에 있어서는,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나사 봉이 고정된 복수의 돌과,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 및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상기 복수의 제 2 구획요소 사이에, 두께 방향에서, 상기 나사 봉의 돌출량 정도의 단차가 형성된 망 형상 편과, 상기 나사 봉이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을 구비한 시트 판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을 상기 나사 봉이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깔아 나란히 놓고,
다음에, 상기 복수의 돌 위에 상기 망 형상 편을,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끼리를 하측으로 향하게 하면서 덮어 씌우며, 상기 각각의 돌의 나사 봉을 이 망 형상 편의 그물눈을 관통시키며,
다음에, 상기 시트 판을 상기 망 형상 편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돌 위에 각각 배치하고, 이 각각의 시트 판을,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이 각각의 시트 판의 관통구멍을 상기 나사 봉으로 관통시키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끼리에 걸치도록 위치시키며,
다음에, 상기 각각의 돌마다, 상기 시트 판의 외측에서, 상기 나사 봉에 너트를 나사 맞춤하여, 이 각각의 너트를,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 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으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3 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청구항 9의 발명)에 있어서는,
시공면에 흡출방지 시트를 통하여 복수의 토목구축물 유니트가 부설되고, 상기 각각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는,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에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를 가진 망 형상 편이 구비되고, 상기 망 형상 편의 일면에 복수의 돌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부착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가, 상기 망 형상 편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2 구획요소보다도 이 망 형상 편의 일면측에 근접하도록 위치되어서, 이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이 복수의 제 2 구획요소 사이에 소정의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1 구획요소를 걸도록 하여 상기 돌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를 적어도 걸치도록 배열 설치되는 시트 판과, 이 시트 판을 상기 돌에 가압하는 체결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로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12의 발명)에 있어서는,
각 그물코가 대향하여 서로 인접하는 2조의 구획요소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망 형상 편의 일면에, 복수의 돌이 고정수단을 통해 각각 부착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어느 일방의 서로 인접하는 구획요소를 적어도 걸치는 시트 판과, 이 시트 판을 상기 돌을 향하여 가압하는 체결구를 가지고,
상기 시트 판이, 그물코에 면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는 한편, 상기 체결구가, 상기 시트 판의 관통구멍에 관통되어 상기 돌에 고정되는 축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 판이, 상기 축부가 그물코에 관통된 상태에서, 이 축부가 관통되는 그물코를 구획하는 어느 일방의 서로 인접하는 구획요소에 항상 걸치는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로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에 있어서, 부호 1 은 호안이다. 이 호안(1)은, 그 호안 법면(法面)(법고(法尻)등을 포함)(1a)에, 흡출방지 시트(2)를 통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3)를 다수 부설하고 있으며, 그 각각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3)는, 서로 인접하는 것 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출방지 시트(2)는, 미리 상기 호안 법면(1a)에 부설되어서 토사 등의 흡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며, 그 소재로서는, 어느 정도 연한 것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각각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3)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망 형상 편으로서의 금속 망(4)에 복수의 자연석(돌)(5)이 부착되어 있다.
금속 망(4)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체가 장방형 형상(예를 들면, 일변이 2 미터의 정방형)으로 된 마름모꼴 금속 망으로 되어 있으며, 금속 망(4)은,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와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제 1 구획요소(6)는,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곧장 뻗은 상태로 배열 설치되어 있고, 이 각각의 제 1 구획요소(6)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 2 구획요소(7)도, 서로 평행한 관계를 가지고,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곧장 뻗은 상태로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각각의 제 2 구획요소(7)는, 금속 망(4)의 두께 방향에서, 볼트(후에 설명)의 두께보다도 약간 긴 소정의 단차(H)를 가지고,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전체 형상으로서, 소정의 단차(H)에 의거하는 소정 두께의 시트 형상이 형성됨과 동시에,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와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에 의거하여, 마름모꼴의 그물코(8)가 구획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금속 망(4)이 마름모꼴 금속 망인 것으로부터, 도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 1 및 제 2 구획요소(6,7)는, 복수개의 선재(線材)(단차를 가지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된 것)(9)를 짜맞춤(감기게 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각의 제 1 및 제 2 구획요소(6,7)는, 복수의 선재(9)의 일부(9a)를 부분적으로 연결해서 합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금속 망(4)은,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를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보다도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호안 법면(1)에 부설되어 있으며, 그 금속 망(4)의 상면측(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측)이 표면측(일면측)으로 되며, 그 금속 망(4)의 하면측(복수의 제2 구획요소(7)측)이 이면측(다른 면측)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자연석(5)으로서는, 옥석, 활석 등의 여러 가지 것이 사용되고 있다.이 각각의 자연석(5)에는, 길이가 긴 너트(통상은 앵커 금구)(10)가 매설 고정되어 있으며, 그 진입구(10a)는, 자연석(5)의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이 경우, 너트(10)의 매설 고정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연석(5)에 드릴을 사용하여 구멍(11)을 뚫고(도 4 참조), 그 구멍(11) 내에 쐐기(12)를 세팅하고, 그 구멍(11)내에, 삽입 선단부에 복수의 슬릿(13)(도 3 참조)을 가진 너트(10)를 해머(20)에 의해 쳐박고(도 5 참조), 쐐기(12)에 의해 넓게 개방된 너트(10)의 넓은 개구부(10b)를 구멍(11) 내주면에 걸어 맞춤하므로써(도 6 참조) 얻어진다.
이와 같은 복수의 자연석(5)은, 상기 금속 망(4)의 표면상에 배치되어 있으며, 각각의 자연석(5)내에서의 너트(10)의 진입구(10a)는, 금속 망(4)의 표면을 향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 에 있어서는, 금속 망(4)의 표면은 하향으로 되어 있다.
금속 망(4)에 대한 복수의 자연석(5)의 부착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너트(10)외에, 와셔(14)와 볼트(15)가 사용되고 있다.
와셔(14)는, 도 3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가 긴 판 형상체로 되어 있다. 이 와셔(14)는, 그 두께가 제 1 구획요소(6)와 제 2 구획요소(7)와의 소정의 단차(H)보다도 충분히 얇게 되어 있으며, 그 긴 쪽 방향 길이로서, 적어도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끼리의 사이의 길이(L1)이상의 길이가 확보되고, 그 폭 방향의 길이로서,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끼리의 사이(길이(L2))에 거의 적합하게 수용되는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 와셔(14)에는, 관통구멍(1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관통구멍(17)은, 와셔(14)의 긴 쪽 방향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와셔(14)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자연석(5)마다 금속 망(4)의 이면에 대하여 각각 세팅되어 있으며, 와셔(14)는, 해당하는 그물코(8)에서 그물코(8)를 구획하는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끼리의 사이에 수납됨과 동시에, 이 그물코(8)를 구획하는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를 걸치도록 배열 설치되며, 그 와셔(14)의 관통구멍(17)은, 그 그물코(8)를 통하여 자연석(5)내의 너트(10)의 진입구(10a)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도 3 중, 점선 참조).
볼트(15)는, 도 2 및 도 3 에 도시하였으며 이미 아는 바와 같이, 수나사를 가진 축부(18)와, 이 축부(18)보다도 직경이 확대된 헤드부(19)를 가지고 있으며, 그 볼트(15)의 축부(18)를 금속 망(4)의 이면측으로부터 와셔(14)의 관통구멍(17), 금속 망(4)의 그물코(8)를 관통시킨 후, 너트(10)에 나사 맞춤되며, 볼트(15)의 헤드부(19)와 자연석(5)은, 와셔(14) 및 금속 망(4)을 끼워 지지하고, 금속 망(4)의 표면에 자연석(5)을 고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체결시), 볼트(15)의 헤드부(19)는, 제 1 구획요소(6)와 제 2 구획요소(7)의 단차(H)내에 수용되며, 볼트(15)의 헤드부(19)는 금속 망(4)의 이면(제 2 구획요소(7))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3)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설명한다.
우선, 금속 망(4)위에 배치해야 할 복수의 자연석(5)을 평탄한 작업면상에 깔아 나란히 놓는다. 이 경우에, 각각의 자연석(5)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10)가 매설 고정되며, 그 너트(10)의 진입구(10a)는 상방으로 향하게 된다.또, 복수의 자연석(5)은, 금속 망(4)내에 배치되도록, 수량 및 배치가 결정된다.
다음에, 상기 복수의 자연석(5)위에 금속 망(4)을 덮어씌운다. 이 경우에, 금속 망(4)은,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측이 복수의 자연석(하측)(5)을 향하게 된다.
다음에,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자연석(5)마다, 상기 금속 망(4)의 이면에 대하여 와셔(14)를 각각 세팅한다. 이 경우, 각각의 와셔(14)는,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끼리의 사이에서, 와셔(14)의 관통구멍(17)을 그물코(8)를 통하여 자연석(5)내에서의 너트(10)의 진입구(10a)를 면하게 하면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에 충분히 걸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각각의 자연석(5)마다, 와셔(14)의 관통구멍(17) 및 금속 망(4)의 그물코(8)에 볼트(15)를 각각 통과시켜서, 각각의 볼트(15)를 각각의 자연석(5)의 너트(10)에 나사 맞춤시키며, 볼트(15)의 헤드부(19)와 자연석(5)으로, 와셔(14) 및 금속 망(4)을 끼워 지지한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자연석(5)은, 금속 망(4)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각각의 볼트(15)의 헤드부(19)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금속 망(4)의 이면)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3)에 있어서는, 볼트(15)가 금속 망(4)의 이면(복수의 제 2 구획요소(7))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일이 없는 것으로부터, 토목구축물용 유니트(3)를 부설하는 경우, 흡출방지 시트(2)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흡출방지 시트상에서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3)의 옆으로 비키어 놓음(위치 맞춤)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더구나, 와셔(14)를 수납하는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등(실시형태에서는 제 1 구획요소(6)도 관여(도 3 참조))이 와셔(14)의 주위 고정부재로서 기능할 뿐만 아니라, 볼트(15)의 축부(18)가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등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는 것으로 되어, 와셔(14)는, 소정의 위치에서 확실히 걸음부재로서 기능하고, 자연석(5)은 금속 망(4)의 표면에 계속 고정되는 것으로 된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7 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너트(10)를 대신하여, 나사 봉(21)이 자연석(5)에 돌출하도록 고정되어 있으며, 그 나사 봉(돌출부)(21)은, 금속 망(4)의 그물코(8) 및 와셔(14)의 관통구멍(17)에 관통되며, 그 나사 봉(21)에 확대 직경부로서의 너트(22)가 나사 맞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이 경우에 있어서도, 너트(22) 및 나사 봉(21)은, 금속 망(4)의 다른 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일은 없고,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가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나사 봉(21)의 고정은, 삽입 선단부에 복수의 슬릿을 가지는 원통 형상의 나사 봉(21)을 사용하고, 나사 봉(21)을 압입하여(박아 넣어), 쐐기(12)에 의해 확대 개방된 나사 봉(21)의 확대 개구부(21a)를 구멍(11) 내주면에 걸어 맞춤하므로써 얻어 진다.
이와 같은 토목구축물용 유니트(3)의 제조는,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너트(10)를 대신하여 나사 봉(21)을 사용하고,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볼트(15)를 대신하여 너트(22)를 사용하는 것 이외에,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것으로 되어 있다.
이상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양태를 포함한다.
1) 돌로서, 자연석(5)을 대신하여 의석(擬石)을 사용하는 것.
2) 길이가 긴 너트(10)를 자연석(5)에 매설 고정하는 경우를 대신하여, 자연석(5)에 직접 암나사를 형성하는 것.
3) 나사 봉(21)을 자연석(5)에 매설 고정할 경우에 있어서, 삽입 선단부에 복수의 슬릿을 가진 원통형상의 나사 봉(21)을 사용하고, 핀을 나사 봉(21)내에 외부로부터 압입하므로써, 나사 봉의 확대 개방부를 가압하여 개방하도록 한 것을 사용하는 것.
4) 망 형상 편으로서, 평행하게 배열 설치된 복수의 철근(제 1 구획요소)위에 별도의 복수의 철근(제 2 구획요소)을 교차하도록 배열 설치하고, 그들을 결합하여, 격자 형상으로 한 것을 사용하는 것.
5) 너트(10) 또는 나사 봉(21)을 자연석(5)에 고정할 때에, 너트(10) 또는 나사 봉(21)과 구멍(11) 내면을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시키는 것.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명기된 것에 한하지 않으며, 실질적으로 바람직하며 또는 이점으로서 기재된 것에 대응한 것을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청구항 1 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복수의 제 2 구획요소사이에 소정의 단차가 형성되고, 고정수단이,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를 걸도록 해서 돌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를 돌과 고정수단으로 거는 것에 의거하여, 돌을 망 형상 편의 일면에 고정할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복수의 제 2 구획요소와의 단차 형상의 배치관계에 의거하여, 복수의 제 1 구획요소로부터 망 형상 편의 다른 면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의 공간을 고정수단의 배열 설치 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되며, 고정수단이 망 형상 편의 다른 면측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당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부설시에, 흡출방지 시트에 대한 고정수단의 돌출부의 잠식이 억제되는 것으로 되고, 흡출방지 시트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흡출방지 시트 상에서의 당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옆으로 비키어 놓음(위치 맞춤)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한, 고정수단이,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를 적어도 걸치도록 배열 설치되는 시트 판과, 이 시트 판을 돌에 가압하는 체결구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부터, 체결구의 체결력을 시트 판을 통하여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작용시켜, 시트 판을,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확실하게 걸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돌을 확실히 망 형상 편의 한 면에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2 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수단이, 망 형상 편의 두께 방향에서,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보다도 망 형상 편의 일면측으로 수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로부터 망 형상 편의 다른 면측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사이의 공간을 고정수단의 배열 설치 공간으로서, 초과하지 않게 하여 이용하는 것으로 되어, 고정수단이 망 형상 편의 다른 면측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청구항 1 의 작용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3 의 발명에 의하면, 시트 판이,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사이에 면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체결구가, 시트 판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돌에 고정되는 축부와, 이 축부에 시트 판의 외측에서 설치되어 이 시트 판을 거는 확대 직경부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부터, 상기 청구항 1 과 동일한 작용효과가 생길 뿐만 아니라, 축부가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의해 규제되는 것으로 되어, 시트 판을,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항상 걸치게 한 상태로서, 이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확실하게 걸어 놓을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된다(돌을 망 형상 편에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4 의 발명에 의하면, 시트 판이,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 거의 적합하게 수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등을 시트 판의 주위의 고정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시트 판을 한층 확실히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걸어 놓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5 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수단이, 볼트와, 너트와, 관통구멍을 가진 시트 판으로 이루어지며, 너트가 돌에 진입구를 노출시키면서 매설 고정되며, 시트판이,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이 시트 판의 관통구멍을 너트의 진입구에 면하게 하면서 적어도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를 걸치도록 배치되어, 볼트가, 망 형상 편의 다른 면측 외부로부터 시트 판의 관통구멍 및 이 망 형상 편의 그물코에 관통되어, 너트에 나사 맞춤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볼트와 너트(돌에 매설)에 의해, 상기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등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고정수단이, 나사 봉과, 너트와, 관통구멍을 가진 시트 판으로 이루어지며, 나사 봉이 돌에 돌출하도록 고정되어서 이 나사 봉의 돌출부가 망 형상 편의 그물코에 관통되어, 시트 판이,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나사 봉을 이 시트 판의 관통구멍에 관통시키면서 적어도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너트가, 시트 판의 외측에서 나사 봉에 나사 맞춤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나사 봉과 너트에 의해, 상기 청구항 1 및 청구항 3 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얻을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7 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5 등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구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흡출방지 시트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흡출방지 시트상에서의 당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옆으로 비키어 놓음(위치 맞춤)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돌 위에 망 형상 편을 덮어씌울 때에, 망 형상 편을 복수의 돌 위를 비키어서 용이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8 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4그리고 청구항 6 등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를 구체적으로 제조할 수 있고, 흡출방지 시트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흡출방지 시트상에서의 당해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옆으로 비키어 놓음(위치 맞춤)을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돌 위에 망 형상 편을 덮어씌운 후에는, 망 형상 편은, 이 망 형상 편의 그물코를 관통한 나사 봉에 의해 이동이 규제(위치 결정)되는 것으로 되어, 망 형상 편에 대한 돌의 고정작업을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9 의 발명에 의하면, 시공면에 흡출방지 시트를 통하여 상기 청구항 1 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니트가 부설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흡출방지 시트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흡출방지 시트 상에서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옆으로 비키어 놓음(위치 맞춤)을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토목구축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10 의 발명에 의하면, 망 형상 편이 마름모꼴 금속 망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이 마름모꼴 금속 망에 있어서도, 그 구성 선재에 의해, 복수의 제 1 구획요소 및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를 형성하여, 소정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상술한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 3, 청구항 4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11 의 발명에 의하면, 망 형상 편이, 평행하게 배열 설치된 복수의 철근 위에 별도의 복수의 철근을 교차시켜서 일체화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각각의 복수의 철근에 의해 복수의 제 1 구획요소 및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를 형성하여, 소정의 단차를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상술한 청구항 1, 청구항 2, 청구항3, 청구항 4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12 의 발명에 의하면, 시트 판을, 어느 일방이 서로 인접하는 구획요소에 항상 걸친 상태로서, 이 서로 인접하는 구획요소에 적확하게 걸어둘 수 있고, 돌을 망 형상 편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된다.

Claims (12)

  1.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를 가진 망 형상 편이 구비되며, 상기 망 형상 편의 일면에 복수의 돌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부착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가, 상기 망 형상 편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보다도 이 망 형상 편의 일면측에 근접하도록 위치되어서, 이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이 복수의 제 2 구획요소 사이에 소정의 단차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수단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를 걸도록 하여 상기 돌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를 적어도 걸치도록 배열 설치되는 시트 판과, 이 시트 판을 상기 돌에 가압하는 체결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망 형상 편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구획요소가 형성하는 이 망 형상 편의 다른 면보다도 이 망 형상편의 일면측에 수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판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 면하는 관통구멍을 가지며,
    상기 체결구가, 상기 시트 판의 관통구멍을 관통하여 상기 돌에 고정되는 축부와, 이 축부에 상기 시트 판의 외측에서 설치되어 이 시트 판을 거는 확대 직경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판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 거의 적합하게 수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5.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볼트와, 이 볼트가 나사 맞춤하는 너트와, 상기 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가진 시트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너트가, 상기 돌에 진입구를 노출시키면서 매설 고정되고,
    상기 시트 판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이 시트 판의 관통구멍을 상기 너트의 진입구에 면하도록 하면서 적어도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를 걸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볼트가, 상기 망 형상 편의 다른 면측 외부로부터 상기 시트 판의 관통구멍 및 이 망 형상 편의 그물코에 관통되어서, 상기 너트에 나사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나사 봉과, 이 나사 봉이 나사맞춤하는 너트와, 상기 나사 봉이 관통하는 관통구멍을 가진 시트 판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 봉이 상기 돌에 돌출하도록 고정되어서 이 나사 봉의 돌출부가 상기 망 형상 편의 그물코에 관통되고,
    상기 시트 판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상기 나사 봉을 이 시트 판의 관통구멍으로 관통시키면서 적어도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걸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너트가, 상기 시트 판의 외측에서 상기 나사 봉에 나사 맞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7.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 및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상기 복수의 제 2 구획요소 사이에, 두께 방향에서, 볼트 헤드부의 두께보다도 조금 큰 단차가 형성된 망 형상 편과, 표면으로부터 외부에 진입구가 노출하도록 너트가 매설 고정된 복수의 돌과, 상기 볼트가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시트 판을 준비하며,
    상기 복수의 돌을 상기 너트의 진입구가 상방으로 향하도록 깔아 나란히 놓고,
    다음에, 상기 복수의 돌 위에 상기 망 형상 편을,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를 하측으로 향하게 하면서 덮어씌우고,
    다음에, 상기 각각의 돌마다, 상기 시트 판을,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이 시트 판의 관통구멍을 상기 너트의 진입구에 면하게 하면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걸치도록 위치시키며,
    다음에, 상기 각각의 돌마다, 상기 시트 판의 관통구멍과 상기 망 형상 편의 그물코에 볼트를 각각 통과시켜서, 이 각각의 볼트를 상기 각각의 돌의 너트에 나사 맞춤시키고, 이 각각의 볼트의 헤드부를,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8.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도록 나사 봉이 고정된 복수의 돌과,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 및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상기 복수의 제 2 구획요소 사이에, 두께 방향에서, 상기 나사 봉의 돌출량 정도의 단차가 형성된 망 형상 편과, 상기 나사 봉이 관통 가능한 관통구멍을 구비하는 시트 판을 준비하고,
    상기 복수의 돌을 상기 나사 봉이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깔아 나란히 놓으며,
    다음에, 상기 복수의 돌 위에 상기 망 형상 편을,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끼리를 하측으로 향하게 하면서 덮어씌워서, 상기 각각의 돌의 나사 봉을 이 망 형상 편의 그물코에 관통시키고,
    다음에, 상기 시트 판을 상기 망 형상 편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돌 위에 각각 배치하고, 이 각각의 시트 판을,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이 각각의 시트 판의 관통구멍을 상기 나사 봉으로 관통시키면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에 걸치도록 위치시키며,
    다음에, 상기 각각의 돌마다, 상기 시트 판의 외측에서, 상기 나사 봉에 너트를 나사 맞춤시켜서, 이 각각의 너트를,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9. 시공면에 흡출방지 시트를 통하여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가 부설되며,
    상기 각각의 토목구축물용 유니트는,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소정의 간격마다 거의 평행하게 배열 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를 가진 망 형상 편이 구비되며, 상기 망 형상 편의 일면에 복수의 돌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부착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가, 상기 망 형상 편의 두께 방향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보다도 이 망 형상 편의 일면측으로 근접하도록 위치되어서, 이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이 복수의 제 2 구획요소 사이에 소정의 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서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를 걸도록 하여 상기 돌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의 사이에서, 상기 서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를 적어도 걸치도록 배열 설치되는 시트 판과, 이 시트 판을 상기 돌에 가압하는 체결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망 형상 편이 마름모꼴 금속 망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11.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망 형상 편이, 평행하게 배열 설치된 복수의 철근 위에 별도의 복수의 철근을 교차시켜서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12. 각 그물코가 대향하여 서로 인접하는 2조의 구획요소에 의해 구획되어 있는 망 형상 편의 일면에, 복수의 돌이 고정수단을 통해 각각 부착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어느 일방의 서로 인접하는 구획요소를 적어도 걸치는 시트 판과, 이 시트 판을 상기 돌을 향하여 가압하는 체결구를 가지고,
    상기 시트 판이, 그물코에 면하는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는 한편, 상기 체결구가, 상기 시트 판의 관통구멍에 관통되어 상기 돌에 고정되는 축부를 가지고,
    상기 시트 판이, 상기 축부가 그물코에 관통된 상태에서, 이 축부가 관통되는 그물코를 구획하는 어느 일방의 서로 인접하는 구획요소에 항상 걸치는 길이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KR10-1998-0061683A 1998-07-13 1998-12-30 토목구축물용유니트,토목구축물용유니트의제조방법및토목구축물 KR1004138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775098A JP3290958B2 (ja) 1998-07-13 1998-07-13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JP98-197750 1998-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515A KR20000010515A (ko) 2000-02-15
KR100413879B1 true KR100413879B1 (ko) 2004-02-14

Family

ID=16379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683A KR100413879B1 (ko) 1998-07-13 1998-12-30 토목구축물용유니트,토목구축물용유니트의제조방법및토목구축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290958B2 (ko)
KR (1) KR100413879B1 (ko)
TW (1) TW414817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40B1 (ko) * 2007-11-16 2008-01-1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자연석이 설치된 락매트의 고정장치
KR100891507B1 (ko) * 2008-10-13 2009-04-06 신생중상이용사촌 주식회사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과 이를 이용한 조경석 어셈블리 및 와이어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660B1 (ko) * 2000-10-19 2005-07-11 주식회사 환경공학연구소 돌망태 및 토목구축물
KR100844925B1 (ko) * 2007-09-17 2008-07-09 이기준 자연석 고정용 장치
CN106245585B (zh) * 2016-08-02 2018-06-29 黑龙江省水利科学研究院 一种寒区河岸防冰蚀防护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2575U (ko) * 1984-10-15 1986-05-17
JPH07127036A (ja) * 1993-11-08 1995-05-16 Seibu Polymer Corp 土砂吸出防止用土木シート
JPH07138386A (ja) * 1993-11-12 1995-05-30 Nippon Petrochem Co Ltd 遮水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遮水シート
JPH08158344A (ja) * 1994-11-17 1996-06-18 Fukuhou:Kk 自然石を用いた護岸施工方法
JPH0941344A (ja) * 1995-07-25 1997-02-10 Maxton Kk 河川床覆工構造と覆工擬石ユニット
JPH09195245A (ja) * 1995-11-15 1997-07-29 Kankyo Kogaku Kk 護岸施工用自然石、自然石保持ユニット及び護岸施工用自然石の使用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72575U (ko) * 1984-10-15 1986-05-17
JPH07127036A (ja) * 1993-11-08 1995-05-16 Seibu Polymer Corp 土砂吸出防止用土木シート
JPH07138386A (ja) * 1993-11-12 1995-05-30 Nippon Petrochem Co Ltd 遮水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遮水シート
JPH08158344A (ja) * 1994-11-17 1996-06-18 Fukuhou:Kk 自然石を用いた護岸施工方法
JPH0941344A (ja) * 1995-07-25 1997-02-10 Maxton Kk 河川床覆工構造と覆工擬石ユニット
JPH09195245A (ja) * 1995-11-15 1997-07-29 Kankyo Kogaku Kk 護岸施工用自然石、自然石保持ユニット及び護岸施工用自然石の使用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5040B1 (ko) * 2007-11-16 2008-01-16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 자연석이 설치된 락매트의 고정장치
KR100891507B1 (ko) * 2008-10-13 2009-04-06 신생중상이용사촌 주식회사 고정장치가 부착된 조경석과 이를 이용한 조경석 어셈블리 및 와이어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14817B (en) 2000-12-11
JP2000027153A (ja) 2000-01-25
JP3290958B2 (ja) 2002-06-10
KR20000010515A (ko) 2000-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2731B2 (en) Reinforcing system for stackable retaining wall units
US3613221A (en) Method for connecting an anchoring device to the rear of a frontal plate or the like
KR100413879B1 (ko) 토목구축물용유니트,토목구축물용유니트의제조방법및토목구축물
US20110091290A1 (en) Combined strut and connector retaining wall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4583343B2 (ja) アンカー構造体及びロープアンカー誘導部材
KR100371215B1 (ko)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고정구,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및 토목구축물
JP4024688B2 (ja) 金網固定金具
KR20050023382A (ko) 건축용 낙석방지 와이어로프 고정장치
KR100500660B1 (ko) 돌망태 및 토목구축물
JP2002047650A (ja) 組アンカー体及びその施工方法
JP2002206224A (ja)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JP4044233B2 (ja)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及び土木構築物
JPH0320347Y2 (ko)
KR100650166B1 (ko) 벽면 녹화용(壁面 綠化用) 클램프
KR200197289Y1 (ko) 낙석방지책
EP4026952A1 (en)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 (mse) retaining wall employing round rods with spaced pullout inhibiting structures
JPH04166513A (ja) 土構造物の構築方法
JP3396802B2 (ja) 自然石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を複合した連鎖状マット
JPH07189250A (ja) 切土斜面補強方法
JP2004263520A (ja) 法面等の保護工法と該工法で用いる保護構造物
JP2592209B2 (ja) 鉄筋メッシュ踏み掛け板
KR20010039493A (ko) 클립, 클립의 사용방법 및 토목구축물용 유닛
JP2000018339A (ja) ロープ係止具
KR200405352Y1 (ko) 쏘일네일의 두부보호 조임장치
DE202023104021U1 (de) Wandhaken mit einem Befestigungsste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00811

Effective date: 20101223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10401

Effective date: 201110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831

Effective date: 201205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