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0660B1 - 돌망태 및 토목구축물 - Google Patents

돌망태 및 토목구축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0660B1
KR100500660B1 KR10-2000-0061469A KR20000061469A KR100500660B1 KR 100500660 B1 KR100500660 B1 KR 100500660B1 KR 20000061469 A KR20000061469 A KR 20000061469A KR 100500660 B1 KR100500660 B1 KR 100500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tion elements
adjacent
seat plate
gabion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1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0558A (ko
Inventor
유키모토이사오
이용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환경공학연구소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환경공학연구소,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환경공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00-0061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0660B1/ko
Publication of KR20020030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0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0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06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08Gab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바구니 용기의 표면에 자연석이 고정되는 것이라 하더라도 조립후, 즉각 사용하는데 제공할 수 있는 돌망태를 제공한다.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 및 복수의 구획요소(7)에 의해 구성되는 철망(4a∼4f)(4D)을 사용하여 바구니 용기(4)가 조립되고, 그 바구니 용기(4)의 상면을 구성하는 덮개철망(4f)에 복수의 자연석(5)이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고정되어 있다. 그 고정수단으로서는 자연석(5)의 이면측 영역으로서 덮개철망(4f)의 이면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의 어느 한쪽을 걸치는 와셔(14)와, 와셔(14)를 이 와셔(14)와 자연석(5)이 덮개철망(4f)을 끼워지지하도록 자연석(5)에 근접시키는 부착 앵커(15)가 사용되고, 접착제의 경우와 같은 경화시간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도록 되어 있다.

Description

돌망태 및 토목구축물{GABION AND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호안 등의 토목구축물의 구축에 사용하는 돌망태 및 그 돌망태를 사용해서 구축하는 토목구축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호안 등의 토목구축물의 시공에 있어서, 복수의 돌망태가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각각의 돌망태는 망상편(網狀片)을 사용하여 내부 채움재를 충전하는 바구니 용기를 형성하고, 그 바구니 용기의 표면에 보호재가 고정수단인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정된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돌망태를 사용하여 토목구축물을 구축하는 데 있어서는 돌망태를 시공면에 미리 부설되는 흡출 방지시트(흡출방지재)상에 연속적으로 깔아 배열하거나, 혹은 계단형상으로 쌓아 올리거나 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보호재에 의해 보호강화된 돌망태를 사용하여, 호안기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되고, 장기간에 걸쳐서 견고한 토목구축물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돌망태에 있어서는 보호재의 고정수단으로서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돌망태가 완성품으로서 사용되도록 되기 위해서는 접착제의 경화시간(화학반응시간)을 기다리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공장에 있어서는, 접착제가 경화되기 까지 돌망태를 보관해 두는 일정한 공간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 시공현장에서 돌망태를 조립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그 접착제의 경화시간 때문에 조립후, 즉각 사용하게 될 수 없고, 시공현장에서의 신속한 요구에 대하여 충분히 응할 수 없는 상황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의 기술적 과제는 바구니 용기의 표면에 보호재가 고정되는 것이라도 조립후, 즉각 사용할 수 있는 돌망태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 2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돌망태를 사용한 토목구축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 1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로 구성되는 망상편을 사용하여, 내부채움재를 충전하는 바구니 용기가 형성되고, 이 바구니 용기의 표면에 복수의 보호재가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고정되어 있는 돌망태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보호재의 이면(裏面)측 영역으로서 상기 망상편의 이면측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 사이 중의 어느 한쪽을 적어도 걸치는 좌판과, 이 좌판을, 이 좌판과 상기 보호재가 상기 망상편을 끼워 지지하도록 이 보호재에 근접시키는 정지구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좌판이,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의 어느 한쪽에 적어도 걸치도록 맞닿는 기판부와, 이 기판부의 판면으로부터 기립하면서 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 사이 또는 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사이를 적어도 걸치도록 연장되는 기립판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청구항 1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항 2, 4∼7, 9∼17에 기재된 바와 같다.
상기 제 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18의 발명)에 있어서는,
돌망태로서, 소정간격 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소정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로 구성되는 망상편을 사용하여, 내부채움재를 충전하는 바구니 용기가 형성되고, 이 바구니 용기의 상면에 복수의 보호재가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보호재의 이면측 영역으로서 상기 망상편의 이면측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 사이중 어느 한쪽을 적어도 걸치는 좌판과, 이 좌판을, 이 좌판과 상기 보호재가 상기 망상편을 끼워 지지하도록 이 보호재에 눌러붙이는 정지구를 구비하는 것이 복수 준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망태가 시공면에 깔려 배열되고, 최상면이 보호재로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19의 발명)에 있어서는,
돌망태로서,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로 구성되는 망상편을 사용하여, 내부채움재를 충전하는 바구니 용기를 형성하고, 이 바구니 용기의 상면 앞부에 복수의 보호재가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보호재의 이면측 영역으로서 상기 망상편의 이면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 사이중 어느 한 쪽을 적어도 걸치는 좌판과, 이 좌판을, 이 좌판과 상기 보호재가 상기 망상편을 끼워지지 하도록 이 보호재에 눌러붙이는 정지구를 구비하는 것이 복수 준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망태가 계단형상으로 쌓아 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20의 발명)에 있어서는,
돌망태로서, 소정의 간격 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소정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로 구성되는 망상편을 사용하여, 내부채움재를 충전하는 바구니 용기를 형성하고, 이 바구니 용기의 앞면에 복수의 보호재가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보호재의 이면측영역으로서 상기 망상편의 이면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 사이의 어느 한쪽을 적어도 걸치는 좌판과, 이 좌판을, 이 좌판과 상기 보호재가 상기 망상편을 끼워 지지하도록 이 보호재에 눌러붙이는 정지구를 구비하는 것이 복수로 준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망태가 순차적으로 쌓아 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로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 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청구항 21의 발명)에 있어서는,
돌망태로서, 소정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로 구성되는 망상편을 사용하여, 내부채움재를 충전하는 바구니 용기를 형성하고, 이 바구니 용기의 앞면 및 상면 앞부에 복수의 보호재가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보호재의 이면측 영역으로서 상기 망상편의 이면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 사이의 어느 한쪽을 적어도 걸치는 좌판과, 이 좌판을, 이 좌판과 상기 보호재가 상기 망상편을 끼워지지 하도록 이 보호재에 눌러붙이는 정지구를 구비하는 것이 복수 준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망태가 계단형상으로 쌓아 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들 청구항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항 22에 기재된 바와 같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에서, 부호 1은 토목구축물로서의 호안(하천호안, 해안호안 등)이다. 이 호안(1)은 그 시공면(법면, 법구 등)(1a)에 토사 등의 흡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흡출 방지시트(2)를 통하여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철망에 의해 형성된 직육면체 내지 입방체 형상의 용기내에 내부채움재를 충전한 것)(3)가 깔려 배열된다.
상기 돌망태(3)는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매의 철망(망상편)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바구니 용기(4)와, 복수의 보호재로서의 복수의 자연석(5)으로 구성되어 있다. 바구니 용기(4)는 전체로서 약간 편평한 상태로 된 직육면체 형상의 수용용기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내부채움재(51)(자갈, 쇄석 등)을 충전하고 있고, 그 내부채움재(51)의 중량에 의해 돌망태(3)가 중량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바구니 용기(4)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의 복수매(6매)의 철망으로서, 앞철망(4a), 뒷철망(4b), 앞철망(4a)과 뒷철망(4b) 사이의 양측 철망(4c, 4c), 바닥철망(4d), 덮개철망(4e)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은 코일, 철사 등의 연결구(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조립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돌망태(3)의 조립작업성을 고려하여,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바닥철망(4d)에 상당하는 긴 바닥철망(4D)이 사용되고 있다. 즉, 이 긴 바닥철망(4D)은 시공면(1a)상에서 전후방향(법면의 경사방향)으로 연장하면서, 인접하도록 하여 순차 부설되는 것으로 되어 있고, 그 인접하는 바닥철망(4D) 사이에는 이 양자(4D)에 있어 공통인 측면철망(4c)이 전후방향으로 순차 기립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각각의 바닥철망(4D) 위에는 간막이철망(4f)이 바구니 용기(4)의 앞철망(4a), 뒷철망(4b)에 있어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간격 마다 배열설치되게 되어 있으며, 각각의 바구니 용기(4)는 전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구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각의 바구니 용기(4)의 상면개구는 그 각각의 바구니 용기(4)내에 내부채움재(51)가 충전된 후(도 2에 있어서는 내부채움재(51)가 바구니 용기(4)내에 충전된 것을 하나만 도시), 덮개철망(4e)에 의해 덮개를 덮는(코일 등에 의해 연결하는 것도 포함) 것으로 되어 있다(도 2에 있어서는 1 매의 덮개철망(4e)만을 도시).
상기 철망(4a∼4f)중 덮개철망(4e)에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름모꼴 철망이 사용되고 있다. 덮개철망(4e)은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와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제 1 구획요소(6)는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똑바로 연장된 상태로 배열설치되어 있고, 이 각각의 제 1 구획요소(6)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각각의 제 2 구획요소(7)도 서로 평행한 관계를 가지고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똑바로 연장된 상태로 배열설치되어 있고, 이 각각의 제 2 구획요소(7)는 덮개철망(4e)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단차(H)(도 4 참조)를 가지고,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철망(4e)은 전체형상으로서 소정의 단차(H)에 기초하는 소정두께의 시트형상이 형성됨과 동시에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와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에 기초하여 마름모꼴의 그물코(8)가 구획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덮개철망(4)이 마름모꼴 철망이므로,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제 1, 제 2 구획요소(6, 7)는 복수개의 선재(단차를 가지고 지그재그형상으로 된것)(9)를 짜맞추어서(얽히게하다) 형성되어 있으며, 그 복수개의 선재(9)의 일부(9a)를 부분적으로 확보함으로써 각각의 제 1, 제 2 구획요소(6, 7)의 직선형상이 얻게 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덮개철망(4e)은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를 외측,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를 내측을 향해서 바구니 용기(4)의 상면을 구성하도록 배열설치되어 있고, 그 덮개철망(4e)의 상면측(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측)이 표면측으로 되고, 그 덮개철망(4e)의 하면측(복수의 제 2 구획요소(7)측)이 이면측으로 되어 있다.
한편, 덮개철망(4e) 이외의 철망(4a~4f)에 관해서는 귀갑(龜甲) 철망, 용접 철망, 마름모꼴 철망 등의 여러 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가 있다. 그러나 내부채움재(51)의 충전에 의해 외부로 팽창하는 것을 보다 억제하는 것이라면, 비교적 강성이 높은 귀갑 철망, 용접 철망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복수의 보호재로서의 복수의 자연석(5)은 도 3∼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정수단(고정구)로서의 금속제의 와셔(좌판)(14)와 부착앵커(정지구)(15)를 사용하여 덮개철망(4e)의 표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자연석(5)으로서는 옥석, 활석 등의 여러 가지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 각각의 자연석(5)에는 삽입구멍(1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삽입구멍(11)은 자연석(5)의 표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서 개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복수의 자연석(5)은 덮개철망(4e)의 표면상에 배치되어 있고, 각각의 자연석(5)에 있어서 삽입구멍(11)의 개구는 덮개철망(4e)의 표면을 향해 있다. 또한 도 4에 있어서는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편의상 덮개철망(4e)의 표면은 하향으로 되어 있다.
상기 와셔(14)는 도 5∼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길이가 긴 기판부(31)와, 이 기판부(31)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기립하는 기립판부로서의 한 쌍의 측판부(32)를 일체적으로 구비하고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그 와셔(14)는 1매의 금속제판재를 프레스 가공함으로써 일체성형한 후, 아연도금처리 등이 시행된 것으로 되어 있다. 기판부(31)는 박판(예를 들면, 1∼2mm 정도, 바람직하게는 1.5∼1.6mm정도)을 사용하여 평판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의 길이로서, 적어도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 사이의 길이(L1) 이상의 길이(예를 들면, 120mm 전후)가 확보되고, 그 폭방향의 길이로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길이(L2))에 대략 적합하게 수납되는 길이(예를 들면, 40mm전후)가 설정되어 있다. 이 기판부(31)에는 삽입통과구멍(1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삽입통과구멍(17)은 기판부(31)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앙부로서 폭방향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측판부(32)는 기판부(31)의 연장방향 전체에 걸쳐서 기립되어 있고, 그 양측 판부(32)는 대향되고, 그 사이에 공간(33)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각각의 측판부(32)의 기립 길이(h)는 제 1 구획요소(6)와 제 2 구획요소(7)와의 소정의 단차(H) 보다도 짧은 길이(예를 들면, 15mm전후)로 되어 있고, 와셔(14)를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에 수납해도, 각각의 측판부(32)의 기립단부가 이 2구획요소(7) 보다도 외부로 돌출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측판부(32)에 있어서 기립단부에는 측판부(32)의 연장방향 양측에 있어서, 모따기부(34)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각각의 모따기부(34)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립단부의 각부(가장자리)를 어느 정도 깊게 노칭하여 제거한 만큼의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이 각각의 모따기부(34)를 얕게 노칭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고, 그들에 둥근 모양을 갖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은 와셔(14)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자연석(5)마다 이 각각의 자연석(5)이 면하는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에, 한 쌍의 측판부(32)를 덮개철망(31)의 이면측 외방을 향하면서 수납되어 있다. 이 경우 와셔(14)에 있어서 기판부(31) 및 한 쌍의 측판부(32)는 해당하는 그물코(8)를 구획하는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를 걸치도록 배열설치되고, 그 와셔(14)의 삽입통과구멍(17)은 그 그물코(8)를 통하여 자연석(5)내의 삽입구멍(11)에 면하도록 되어 있다. 물론 이 때, 와셔(14)가 제 2 구획요소(7)내로 대략 적합하도록 수납되어 있으므로, 와셔(14)에 있어서 양측판부(32)와 제 1, 제 2 구획요소(6, 7)의 얽힘부와의 맞닿기 관계에 기초하여 와셔(14)의 회전정지가 확실히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부착앵커(15)는 도 8,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 핀(35)과 삽입핀(36)을 구비하고 있다. 원통형상 핀(35)은 상기 와셔(14)에 있어서 삽입통과구멍(17) 및 상기 자연석(5)에 있어서 삽입구멍(11)에 삽입통과·삽입할 수 있는 축부(37)와 이 축부(37)의 일단부에 이 축부(37) 보다도 직경확대된 상태로 설치되는 헤드부(38)를 가지고 있고, 그 원통형상 핀(35)내에는 삽입구멍(39)이 헤드부(38) 외방으로부터 축부(37) 타단부 앞까지 연장되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원통형상 핀(35)의 축부(37)의 선단부에는 이 축부(37)의 선단부를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 하는 복수의 분할슬릿(40)이 형성되어 있고, 인접하는 분할 슬릿(40) 사이의 부분을 가지고 확대개방 가능한 확대 개방편(41)이 구성되어 있다. 삽입핀(36)은 상기 삽입구멍(39)의 직경보다도 직경확대된 헤드부(42)와 이 헤드부(42)로부터 상기 삽입구멍(39)의 축심방향 길이 보다도 길게 연장되고 또한 상기 삽입구멍(39)에 삽입된 삽입축부(43)를 가지며, 그 삽입축부(43)의 선단부는 선단테이퍼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삽입핀(36)은 원통형상 핀(35)의 삽입구멍(39) 내에 그 바닥부에 맞닿기까지 삽입시킨 후, 해머 등에 의해 더 밀어넣음(도 8중 화살표 참조)으로써 이 삽입핀(36)의 선단부를 사용하여 각각의 개방확대편(41)을 축부(37)의 직경방향 외방으로 눌러 벌리게 되어 있으며(도 8중 화살표 참조), 이 개방확대편(41)의 확대개방에 기초하여 걸음작용이 얻어지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부착앵커(15)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형상 핀(35) 및 삽입핀(36)을 덮개철망(4e)의 뒷측 외방으로부터 와셔(14)의 삽입통과구멍(17), 그물코(8)를 통하여 자연석(5)의 삽입구멍(11)내로 삽입시킨 후, 각각의 개방확대편(41)을 눌러 열도록 함으로써, 그 각각의 개방확대편(41)이 자연석(5)의 삽입구멍(11) 내벽에 걸음(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원통형상 핀(35)의 헤드부(38)는 와셔(14)에 있어서 기판부(31)를 통하여 덮개철망(4e)을 자연석(5)에 눌러 붙이도록 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자연석(5)은 덮개철망(4e)에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부착앵커(15)를 박아 넣는데 있어, 자연석(5)의 삽입구멍(11)내로 미리 접착제나 밀봉제를 주입해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등은 부착앵커(15)에 대한 방청효과가 있고, 그 방청효과에 기초하여 부착앵커(15b)에 의한 부착상태를 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접착제의 경우에는 자연석(5)의 삽입구멍(11)에 대한 부착앵커(15)의 고정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물론, 상기 덮개철망(4e)에 대한 자연석(5)의 고정에 있어서는, 제 1, 제 2 구획요소(6, 7)의 얽힘부와 와셔(14)의 측판부(32)와의 맞닿기 관계에 기초하는 와셔(14)의 회전정지 기능, 덮개철망(4e) 상에 있어서 인접하는 자연석(5)끼리의 규제관계, 자연석(5)과 와셔(14)에 의한 제 1 구획요소(6)의 견고한 끼워지지에 기초하는 슬라이딩 저항, 부착앵커(15)가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 등에 의한 이동이 규제되는것 등도 기여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덮개철망(4e)에 대한 복수의 자연석(5)의 부착은 다음과 같이 해서 행해진다.
먼저 덮개철망(4e)상에 배치해야 할 복수의 자연석(5)을 평탄한 작업면상에 나란히 깔아 논다. 이 경우 각각의 자연석(5)의 삽입구멍(11)은 상방을 향해진다. 또, 복수의 자연석(5)은 덮개철망(4e)내에 배치되도록 수량 배치가 결정된다.
다음에 상기 복수의 자연석(5)의 위에 덮개철망(4e)을 덮는다. 이 경우 덮개철망(4e)은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측이 복수의 자연석(하측)(5)으로 향하게 된다.
다음에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연석(5)의 상방영역에 있어서 덮개철망(4e)의 이면에 와셔(14)를, 그 측판부(32)를 잡으면서 세팅하고, 그 후, 와셔(14)의 삽입통과구멍(17), 덮개철망(4e)의 그물코(8), 자연석(5)의 삽입구멍(11)에 부착앵커(15)를 통과시키고, 각각의 자연석(5)의 삽입구멍(11) 내벽에 부착앵커(15)에 있어서 원통형상 핀(35)의 각각의 확대 개방편(41)을 걸음시킨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자연석(5)은 덮개철망(4e)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와셔(14)의 세팅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와셔(14)는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에서, 이 와셔(14)의 삽입통과구멍(17)이 그물코(8)를 통하여 자연석(5)의 삽입구멍(11)에 면하도록 하면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에 걸치도록 배치된다. 또, 상기 자연석(5)의 삽입구멍(11) 등에 대한 부착앵커(15)의 삽입에 있어서는 상방측으로부터 하방측을 향해서 삽입되기 때문에, 부착앵커(15)의 자중에 의해 원통형상 핀(35)의 헤드부(38)가 와셔(14)의 삽입통과구멍(17) 둘레 가장자리부에 맞닿기까지 원활히 이동하는 것으로 되고, 각각의 개방확대편(41)과 삽입구멍(11) 내벽과의 걸음시에는 원통형상 핀(35)의 헤드부(38)와 자연석(5)에 의해 와셔(14) 및 덮개철망(4e)이 끼워지지되는 것으로 된다.
물론 이때, 와셔(14)(기판부(31), 한 쌍의 측판부(32)), 각각의 부착앵커(15)의 헤드부(38)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덮개철망의 이면)보다도 외방으로 돌출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이 후, 이와 같은 덮개철망(4e)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른 철망(4a, 4b, 4c, 4d) 등 함께 바구니 용기(4)의 조립에 사용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복수의 돌망태(3)를 사용해서 구축한 호안(1)에 있어서는, 각각의 돌망태(3) 상면을 덮는 복수의 자연석(5)을 사용하여 주위의 자연경관에 조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돌망태(3)의 노출면(표면)을 구성하는 덮개철망(4e)이 복수의 자연석(5)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되어, 호안(1)을 장기간에 걸쳐서 견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상기 각각의 돌망태(3)에서는 복수의 자연석(5)이 와셔(14)와 부착앵커(15)를 사용해서 덮개철망(4e)에 고정되므로써, 덮개철망(4e)에 대한 자연석(5)의 부착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경화시간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되고, 상기 덮개철망(4e)을 포함하는 철망(4a∼4e)을 사용하여 돌망태(3)를 조립한 후에는 즉각 이 돌망태(3)를 사용하는데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시공현장에서는 조립후, 즉각 사용하고 싶다는 요구에 응할 수 있고, 공장에서는 접착제의 경화를 대기하기 위하여 특별한 공간을 확보할 필요는 없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와셔(14)로서 기판부(31) 외로 이 기판부(31)로부터 기립하는 측판부(32)를 갖는 것을 사용함으로써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연석(5)에 이 자연석(5)을 덮개철망(4e)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F)이 작용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와셔(14)에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를 통하여 굽힘력(M)이 작용해도 그 굽힘력(M)에 대하여 판면을 따르는 방향의 굽힘력에 대하여 큰 굽힘강성을 나타내는 측판부(32)의 특성을 이용해서 충분히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와셔(14)의 사용재료량의 증가를 극력 억제하면서 (또는 와셔(14)의 중량증가를 억제하면서) 자연석(5)을 덮개철망(4e)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에 대하여 간단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또한 와셔(14)가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에 대략 적합하도록 수납되므로, 선재(9)의 얽힘부(제 1, 제 2 구획요소(6, 7)의 얽힘부)와 와셔(14)가 협동하여 와셔(14)의 회전정지 기능을 발휘하는데, 이 때 한 쌍의 측판부(32)가 기판부(31)로부터 기립하여 판면으로 선재(9)의 얽힘부에 맞닿으므로, 회전정지기능을 확실히 확보하고, 더욱 와셔(14)가 덮개철망(4e)에 있어서 선재(9)의 얽힘부에 대하여 가압력이 작용한 상태로 맞닿게 되어도 한 쌍의 측판부(32)의 판면으로 맞닿게 되어, 덮개철망(4e)의 선재(9)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와셔(14)가 수납되는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뿐만 아니라, 한 쌍의 측판부(32)에 의해서도 바구니 용기(4)내의 내부채움재(51)를 제지하게 되어(한 쌍의 측판부(32)의 선단부에 내부채움재(51)가 맞닿고, 그 한 쌍의 측판부(32) 사이에 내부채움재(51)가 들어가지 않음), 한 쌍의 측판부(32) 사이에 위치하는 부착앵커(15)는 그 한쌍의 측판부(32) 등에 의해 돌망태(3) 내부의 내부채움재(51)로부터 보호되는 것이다.
또한 돌망태(3)가 완성된 후는 와셔(14), 부착앵커(15)는, 외부에 노출되게 되는 일은 없어지고, 외부인자(전석(轉石), 유석(流石), 비(雨) 등)에 의해 부착앵커(15)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조립에 있어서는 와셔(14), 부착앵커(15)가 덮개철망(4e)의 이면측으로부터 돌출하고 있어도, 바구니 용기(4)내에 일부 공간을 이용하기만 하면 수납할 수 있는데,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와셔(14), 부착앵커(15)가 덮개철망(4e)의 이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와셔(14), 부착앵커(15)의 존재를 걱정하지 않고, 덮개철망(4e)을 사용하여 바구니 용기(4)의 상면개구를 원활히 덮개로 덮을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더욱이 와셔(14)에 한 쌍의 측판부(3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측판부(32)를 사용하여 잡을 수 있어, 와셔(14)의 취급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일반적인 작업중은 물론, 제 2 구획요소(7) 사이에 와셔(14)를 수납하는 제조작업중 등에 있어서도,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더욱이 또 이와 같은 와셔(14)는 1매의 금속제 판재를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할 수가 있고, 극히 간단하고 또한 신속히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제 2 실시형태, 도 11은 제 3 실시형태, 도 12∼도 16은 제 4 실시형태, 도 17은 제 5 실시형태, 도 18은 제 6 실시형태, 도 19는 제 7 실시형태, 도 20은 제 8 실시형태, 도 21, 도 22는 제 9 실시형태, 도 23, 도 24는 제 10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10은 와셔(14)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와셔(14)에 있어서는 한 쌍의 측판부(32)의 기립 단부가 기판부(31)의 폭방향 내방으로 절곡되어서, 절곡판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한 쌍의 측판부(32) 사이의 간격이 좁혀지게 되고 덮개철망(4e)의 덮개를 덮음에 따라 내부채움재(51)가 한 쌍의 측판부(32)에 진입하는 것이 억제되어서, 부착앵커(15)가 내부채움재(51)로부터 보호되는 것으로 된다.
제 3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11은 와셔(14)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와셔(14)에 있어서는 그 기판부(31)상에 한쌍의 측판부(32) 사이에 있어서, 두꺼운 두께부로서의 원형와셔(4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원형와셔(45)는 부착앵커(15)(원통형상 핀(35))에 있어서 헤드부(38)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가지며, 그 중앙부에는 상기 기판부(31)에 있어서 삽입통과구멍(17)과 동일한 크기(원통형상 핀(35)의 축부(37)가 삽입통과되는 크기)의 중앙구멍(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형와셔(45)는 그 중앙구멍이 기판부(31)의 삽입통과구멍(17)과 합치하도록 하면서 접착제, 용접 등의 여러 가지 수단을 강구하여 이 기판부(31)에 미리 고정되어 있으며, 자연석(5)에 부착앵커(15)를 부착함에 있어서는, 부착앵커(15)는 원형와셔(45)의 중앙구멍 및 기판부(31)의 삽입구멍(17), 그물코(8)를 통과하여 자연석(5)의 삽입구멍(11)에 삽입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부착앵커(15)를 박아 넣어서 자연석(5)에 고정하는 때에도, 원형와셔(45)가 부착앵커(15)(원통형상 핀(35))의 헤드부(38)를 견고히 받아내어, 작업시에 부착앵커(15)가 와셔(4)의 기판부(31)를 관통하고 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자연석(5)에 대한 부착앵커(15)의 고정후에 있어서는, 자연석(5)을 덮개철망(4e)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을, 부착앵커(15)의 헤드부(38)를 통하여 원형와셔(45)가 적확히 받아내는 것으로 되고, 자연석(5)을 덮개철망(4e)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하는 힘에 대하여, 한층 더 확실히 저항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게다가, 원형와셔(45)가 기판부(31)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원형와셔(45)의 존재를 걱정하는 일 없이 부착앵커(15)에 의한 부착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된다.
물론 이 경우, 원형와셔(45)가 존재해도 부착앵커(15)는 한 쌍의 측판부(32) 사이 내로 수납되고 외부로 돌출하는 일은 없다.
제 4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12 ∼ 도 17은 와셔(14), 이 와셔(14)와 함께 사용되는 정지구 등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와셔(14)는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긴 판상체로 되어 있다. 이 와셔(14)는 그 두께가 제 1 구획요소(6)와 제 2 구획요소(7)의 소정의 단차(H) 보다도 충분히 얇게 되어 있고, 그 길이방향의 길이로서 적어도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 끼리 사이의 길이(L1) 이상의 길이가 확보되고, 그 폭방향의 길이로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끼리 사이(길이(L2))에 대략 적합하게 수납되는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이 와셔(14)에는 삽입통과구멍(17)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삽입통과구멍(17)은 와셔(14)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위치되어 있다.
한편 정지구로서는 긴 너트(통칭, 앵커금구)(10)와 볼트(150)가 사용되어 있다. 너트(10)는 각각의 자연석(5)에 매설고정되어 있고, 그 진입구(10a)는 자연석(5)의 표면으로부터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이 경우 너트(10)의 매설고정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자연석(5)에 드릴을 사용해서 삽입구멍(11)을 뚫고(도 14 참조), 그 삽입구멍(11)내에 쐐기(12)를 세팅하고, 그 삽입구멍(11)내에 삽입 선단부에 복수의 슬릿(13)(도 13 참조)을 갖는 너트(10)를 해머(20)에 의해 박아넣어(도 15 참조), 쐐기(12)에 의해 개방확대된 너트(10)의 개방확대부(10b)를 삽입구멍(11) 내주면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얻게 된다(도 16 참조).
볼트(150)는 도 12,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미 아는 바와 같이, 수나사를 갖는 축부(18)와, 이 축부(18) 보다도 직경 확대된 헤드부(19)를 가지고 있고, 그 축부(18)가 상기 너트(10)에 나사맞춤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철망(4e)에 대한 자연석(5)의 부착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평탄한 작업면상에 나란히 펴진 복수의 자연석(5)의 위에 덮개철망(4e)을 덮은 후,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의 자연석(5)마다에 덮개철망(4e)의 이면에 대하여 와셔(14)를 각각 세팅한다. 이 경우, 각각의 와셔(14)는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에 있어서, 와셔(14)의 삽입통과구멍(17)을 그물코(8)를 통하여 자연석(5)내에 있어서 너트(10)의 진입구(10a)에 면하게 하면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에 충분히 걸치도록 배치된다.
다음에 각각의 자연석(5) 마다에 와셔(14)의 삽입통과구멍(17), 덮개철망(4e)의 그물코(8)에 볼트(150)를 각각 통과시켜서, 각각의 볼트(150)를 각각의 자연석(5)의 너트(10)에 나사맞춤하고, 볼트(150)의 헤드부(19)와 자연석(5)으로, 와셔(14) 및 철망(4)이 끼워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자연석(5)은 덮개철망(4e)의 표면에 고정되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도, 각각의 볼트(150)의 헤드부(19)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철망(4)의 이면) 보다도 외방으로 돌출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 제 4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기본적으로는 가장 간단한 형상으로 되는 평판상태의 와셔(14)를 사용함으로써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제 5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17은,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너트(10)에 대신하여 나사봉(21)이 자연석(5)에 돌출하도록 고정되어 있고, 그 나사봉(돌출부)(21)은, 철망(4)의 그물코(8), 와셔(14)의 삽입통과구멍(17)을 삽입통과되고 그 나사봉(21)에 직경확대부로서의 너트(22)가 나사맞춤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경우에 있어서도 너트(22) 및 나사봉(21)은 철망(4)의 타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일은 없고,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나사봉(21)의 고정은 삽입 선단부에 복수의 슬릿을 갖는 원통형상의 나사봉(21)을 사용하여, 그 나사봉(21)을 밀어넣어서(박아넣어서) 쐐기(12)에 의해 개방확대된 나사봉(21)의 개방확대부(21a)를 구멍(11) 내주면에 걸어맞춤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와 같은 덮개철망(4e)에 대한 자연석(5)의 부착은, 상기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너트(10)를 대신하여 나사봉(21)을 사용하고, 또 상기 실시형태에 관한 볼트(150)를 교환하여 너트(22)를 사용하는 이외에, 기본적으로는 동일하게 되어 있다.
제 6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18은 상기 제 4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와셔(14)는 평판형상의 기판부(31)의 양단부에 있어서 클릭부(50)가 구비되어 있고, 그 클릭부(50)는 덮개철망(4e)의 그물코(8)에 들어가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덮개철망(4e)으로서 마름모꼴 철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제 1, 제 2 구획요소(6, 7)의 사이에서 형성되는 소정의 단차(H)가 낮은 것), 평판형상의 기판부(31)를 사용하여 덮개철망(4e)의 뒷측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극력 억제하면서, 클릭부(50)와 덮개철망(4e)의 선재(9)에 의해 와셔(14)의 회전정지 기능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이 경우 클릭(50)의 돌출량은 약간으로 좋고, 또 볼트의 헤드부의 두께는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7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19는 변형예에 관한 돌망태(3)를 사용해서 구축된 토목구축물(1)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1)에 있어서는 돌망태(3)가 단계형상으로 쌓아 올려지고 있으며, 그 단차부(돌망태의 앞부상면)을 형성하는 덮개철망(4e)에 자연석(5)이 고정되어 있다. 그 덮개철망(4e)에 대한 자연석(5)을 부착하는데에는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관한 와셔(14), 부착앵커(15)(볼트)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때, 바구니 용기(4)의 덮개철망(4e)으로서 마름모꼴 철망 이외의 다른 종류의 철망이라도 좋은데, 마름모꼴 철망(제 1, 제 2 구획요소(6, 7) 사이에 소정의 단차(H)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철망(4e)의 덮개를 덮는 것을 용이하게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제 8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20은 변형예에 관한 돌망태(3)를 사용해서 구축된 토목구축물(1)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1)도 돌망태(3)를 계단형상으로 쌓아올리므로써 구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돌망태(3)의 앞 철망(4a)에 복수의 자연석(5)이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관한 와셔(14), 부착앵커(15) 등을 사용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 때 바구니 용기(4)의 앞철망(4a)으로서 마름모꼴 철망이외의 다른 종류의 철망(용접철망, 귀갑철망 등)이라도 좋은데, 마름모꼴 철망(제 1, 제 2 구획요소(6, 7) 사이에 소정의 단차(H)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내부채움 충전시(투입시)에 제 2 구획요소(7) 등(와셔(14)로서 한 쌍의 측판부(32)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한 쌍의 측판부(32)도 포함하여)이 내부채움재(51)가 부착앵커(15) 등에 맞닿기 전에 규제하여 부착앵커(15) 등이 보호되기 때문이다.
제 9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21, 도 22는, 변형예에 관한 돌망태(3)를 사용해서 구축된 토목구축물(1)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앞철망(4a)이 경사진 상태로 동일면 상태로 되고, 그 각각의 돌망태(3)의 앞철망(4a)에 복수의 자연석(5)이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관한 와셔(14), 부착앵커(15) 등을 사용함으로써 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최상단의 돌망태(3)에 있어서는 앞철망(4a)뿐만 아니라 덮개철망(4e)에도 복수의 자연석(5)이 고정되어 있다.
이 때, 바구니 용기(4)의 앞철망(4a), 덮개철망(4e)으로서 마름모꼴 철망 이외의 다른 종류의 철망(용접철망, 귀갑철망 등)이라도 좋은데, 마름모꼴 철망(제 1, 제 2 구획요소(6, 7) 사이에 소정의 단차(H)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충전시(투입시)로부터 충전 후를 통과하여 제 2 구획요소(7) 등(와셔(14)로서 한 쌍의 측판부(32)를 갖는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한쌍의 측판부(32)도 포함하여)이, 내부채움재(51)가 부착앵커(15) 등에 맞닿기 이전에 규제하고 부착앵커(15) 등이 보호되기 때문이며, 앞철망(4a)에 관해서는 덮개로 덮는 작업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제 10 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23, 도 24는 변형예에 관한 돌망태(3)를 사용하여 구축된 토목구축물(1)을 도시하는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1)도 돌망태(3)를 계단형상으로 쌓아 올리므로써 구성되어 있고, 그 각각의 돌망태(3)의 앞철망(4a) 및 덮개철망(4e)에 복수의 자연석(5)이 고정되어 있다. 이 고정에 있어서도, 상기 각각의 실시형태에 관한 와셔(14), 부착앵커(15)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앞철망(4a) 및 덮개철망(4e)으로서는 마름모꼴 철망 이외의 다른 종류의 철망이라도 좋은데, 제 8, 제 9 실시형태의 경우 동일한 이유에 의해 마름모꼴 철망(제 1, 제 2 구획요소(6, 7) 사이에 소정의 단차(H)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상태를 포함한다.
(1) 보호재로서, 자연석(5)을 대신하여 의석(擬石)을 사용한 것.
(2) 기판부(31)에 그 폭방향 양측에 한하지 않고, 측판부(32)를 1 또는 2 이상 설치한 것.
(3) 망상편으로서 평행하게 배열설치된 복수의 철근 또는 철선(제 1 구획요소(6))의 위에 별도의 복수의 철근 또는 철선(제 2 구획요소(7))을 교차하도록 배열설치하고, 그들을 결합해서 격자상태로 한 것을 사용한 것.
(4) 와셔(14)가 인접한 제 1 구획요소(6) 사이에 가해져서 더욱 별도의 제 1 구획요소(6)도 걸치는 것.
(5) 원형와셔(45)를 기판부(31)에 고정하지 않도록 한 것. 부착앵커(15)에 의한 부착작업을 할 때에는, 그 부착앵커(15)의 축부(37)를 원형와셔(45)의 중앙구멍에 삽입통과시키면서 작업을 행할 수도 있고, 이것에 의해 미리 원형와셔(45)를 기판부(31)에 고정해 놓는 부담을 경감할 수 있게 된다.
(6) 원형와셔(45)를 기판부(31)에 측판부(32)가 기립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 고정 또는 고정하지 않는 상태로 설치한 것. 이것에 의해 소정의 단차(H)가 그다지 취할 수 없는 덮개철망(4e)의 경우에도, 원형와셔(45)에 기초하여 부착앵커(15)가 제 2 구획요소(7)로부터 외부로 돌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7) 원형와셔(45)를 대신하여 그 것에 상당하는 두께부를 와셔(14)에 일체적으로 성형한 것.
(8) 나사봉(21)을 자연석(5)에 매설 고정하는 경우에 있어서, 삽입선단부에 복수의 슬릿을 갖는 원통형상의 나사봉의 나사봉(21)을 사용하고, 핀을 나사봉(21)내에 외부로부터 밀고 들어가므로써, 나사봉의 개방확대부를 밀어 열도록 한 것을 사용한 것.
(9) 너트(10) 또는 나사봉(21)을 자연석(5)에 고정할 때 너트(10) 또는 나사봉(21)과 구멍(11) 내면을 접착제를 통하여 접착한 것.
(10) 철망으로서 마름모꼴 철망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제 1, 제 2 구획요소(6, 7) 사이에서 형성되는 소정의 단차(H)가 낮은 것), 각각의 실시형태에 관한 와셔(14), 부착앵커(15)(볼트 헤드부(19)) 등을 사용한 것.
(11) 각각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바구니 용기(4)의 표면에 자연석(5)을 고정할 때에 바구니 용기(4)를 조립하기 위한 철망(예를 들면, 앞철망(4a), 덮개철망(4e))에 미리 자연석(5)을 고정해놓고, 그것을 사용해서 바구니 용기(4)를 조립하는 수법을 채택했는데 바구니 용기(4) 전체가 철망에 의해 조립된 것에, 더욱 자연석(5)을 고정한 철망을 부착하도록 한 것. 이것에 의해 기존의 돌망태(표면에 자연석이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의 표면(앞면, 상면 등)에도 자연석(5)을 간단히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명기된 것에 한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또는 이점으로서 기재된 것에 대응한 것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좌판을 보호재의 이면측 영역으로서 망상편의 이면측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 사이의 어느 한쪽을 적어도 걸치도록 배치하고, 그 좌판을 정지구를 사용하여 보호재에 근접시키도록 함으로써 좌판과 보호재가 망상편을 끼워지지하는 상태로 되고, 보호재는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망상편에 고정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접착제의 경화시간을 고려할 필요는 없어지고, 돌망태의 조립후 즉각 그 돌망태를 사용하는데 제공할 수 있는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보호재를 망상편에 고정한 후에는, 정지구는 바구니 용기내에 위치하여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없어지므로, 정지구가 외부인자(전석, 유석 등)에 의해 파손되는 일은 없어지며, 망상편에 대한 보호재의 고정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또한, 좌판이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중 어느 쪽인가에 적어도 걸치도록 맞닿는 기판부와, 이 기판부의 판면으로부터 기립하면서 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 사이 또는 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사이를 적어도 걸치도록 연장되는 기립판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보호재를 망상편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에 대하여, 기립판부의 판면을 따르는 방향의 극히 강한 굽힘 강성 특성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좌판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이 좌판의 강도(강성)를 높게 하지 않아도 보호재를 망상편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좌판의 사용재료량의 증가를 극력 억제하면서 보호재를 망상편의 표면에서 분리시키려는 힘에 대하여 간단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돌망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게다가 좌판에 기립판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기립판부를 사용하여 좌판이 잡기 쉽게 되고, 그와 같은 좌판을 사용함으로써 돌망태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좌판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 사이 또는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사이중 어느 한쪽에 면하는 삽입통과구멍을 가지며, 정지구가 좌판의 삽입관통구멍을 삽입통과하여 보호재에 고정되는 축부와, 축부에 좌판의 외방측에서 설치되어 좌판에 걸음되는 직경확대부를 가지며, 좌판에 삽입통과구멍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두꺼운 두께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축부가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규제되므로써, 좌판을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항상 걸쳐지게 한 상태로서, 이 인접 제 1 구획요소에 적확하게 걸음시켜 놓을 수 있게 된다(보호재를 확실히 망상편에 고정될 수 있는 것).
또 보호재를 망상편에 고정한 후에는 보호재를 망상편으로부터 이격시키려는 힘을 정지구의 확대직경부를 통하여 두꺼운 두께부가 적확하게 받아내고, 보호재를 망상편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에 대해서 한층 더 확실하게 저항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만일 정지구로서 부착앵커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이 정지구를 박아 넣어서 보호재에 고정하는 것 같은 경우에도 두꺼운 두께부가 정지구의 직경확대부를 견고히 받아내어 작업시에 정지구가 좌판을 관통하고 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제 1 구획요소가 망상편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구획요소보다도 망상편의 표면측에 가깝도록 위치되어서,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복수의 제 2 구획요소와의 사이에 소정의 단차가 형성되고, 좌판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사이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를 걸치고 있으므로, 좌판과 정지구를 이용하여 보호재를 고정할 수 있는 한편, 복수의 제 1 구획요소와 복수의 제 2 구획요소와의 단차상태의 배치관계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 1 구획요소로부터 망상편의 이면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끼리 사이의 공간을 좌판 및 정지구의 배열설치공간으로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좌판 및 정지구가 망상편의 이면측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보호재를 바구니 용기의 앞면에 고정하고 있을 때에는 내부채움재의 충전시에 좌판 및 정지구에 내부채움재가 닿아서 그들이 파손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보호재를 바구니 용기의 상면에 고정할 때에는 돌망태의 조립시에 있어서, 그 바구니 용기의 상면을 구성하는 것으로 되는 덮개철망을 1매의 판체로서 취급하여, 바구니 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내부채움재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바구니 용기의 상면개구를 용이하게 덮개로 덮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좌판 및 정지구가 망상편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복수의 제 2 구획요소가 형성되는 망상편의 이면보다도 망상편의 표면측으로 수납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복수의 제 1 구획요소로부터 망상편의 이면측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사이의 공간을 좌판 및 정지구의 배열설치공간으로서, 밀려나오지 않도록 하여 이용하게 되므로, 좌판 및 정지구가 망상편의 이면측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청구항 4의 작용효과를 보다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좌판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사이에 대략 적합하게 수납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인접한 제 2 구획요소 등을 좌판의 회전정지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게 되어, 좌판을 한층 더 확실히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걸음시켜 놓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좌판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 사이에 면하는 삽입통과구멍을 가지며, 정지구가 좌판의 삽입통과구멍을 삽입관통하여 보호재에 고정되는 축부와, 축부에 좌판의 외방측에서 설치되어 좌판에 걸음되는 직경확대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축부가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의해 규제되어, 좌판을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사이에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항상 걸쳐진 상태로서 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적확하게 걸음시켜서 놓을 수 있게 된다(환언하면, 보호재를 망상편에 확실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청구항 9의 발명에 의하면 기립판부가 기판부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각각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1매의 판재를 프레스성형하는 것 등에 의해 간단히 당해 좌판을 얻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기판부의 폭방향 양측의 기립판부에 의해 내부채움재로부터 정지구를 보호할 수 있다.
또 기립판부가 기판부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기립하고 있으므로, 좌판이 망상편의 선재(제 2 구획요소 등)에 가압력이 작용한 상태로 맞닿게 되더라도, 기립판부의 판면으로 맞닿게 되어, 망상편의 선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좌판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사이에 대략 적합하게 수납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등을 좌판의 회전정지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게 되어, 좌판을 한층 더 확실히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걸어 놓을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좌판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 사이에 면하는 삽입통과구멍을 가지며, 정지구가 좌판의 삽입통과구멍을 삽입통과시켜서 돌(石)에 고정되는 축부와, 축부에 좌판의 외방측에 있어서 설치되어 좌판에 걸음되는 직경확대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축부가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의해 규제되는 것으로 되고, 좌판을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사이에 있어서,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항상 걸치게 되는 상태로서, 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에 적확하게 걸음시켜 놓을 수 있게 된다(환언하면 보호재를 망상편으로 확실히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기판부에 삽입통과구멍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두꺼운 두께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보호재를 망상편으로 고정한 후는 보호재를 망상편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을, 정지구의 직경확대부를 통하여 두꺼운 두께부가 적확하게 받아내고, 보호재를 망상편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에 대하여 한층 더 확실하게 저항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만일 정지구로서 부착앵커를 사용할 경우와 같이 이 정지구를 박아넣어서 보호재에 고정하는 것 같은 경우에도, 두꺼운 두께부가 정지구의 직경확대부를 견고히 받아내어, 작업시에 정지구가 좌판을 관통하고 마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3의 발명에 의하면, 보호재가 자연석이므로 그 견고한 성질을 갖는 자연석을 사용하여 당해 돌망태를 보호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위의 자연경관에 조화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의하면, 보호재가 바구니 용기의 앞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바구니 용기 앞면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하여 돌망태를 보호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토목구축물을 장기간에 걸쳐 견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 당해 돌망태를 쌓아올리는 것만으로, 앞면이 특히 보호되는 토목구축물을 구축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15의 발명에 의하면, 보호재가 바구니 용기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바구니 용기 상면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하여 돌망태를 보호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토목구축물을 장기간에 걸쳐 견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또 시공면에 당해 돌망태를 연속적으로 깔아 배열함으로써, 그 각각의 돌망태의 보호재를 사용하여 한층 더 보호강화가 도모된 토목구축물을 구축할 수 있게된다.
청구항 16의 발명에 의하면, 보호재가 바구니 용기의 상면 및 앞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바구니 용기 상면 및 앞면으로부터의 외력에 대하여 돌망태를 보호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토목구축물을 장기간에 걸쳐서 견고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7의 발명에 의하면, 보호재가 바구니 용기의 상면에 있어서, 앞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당해 돌망태를 계단형상으로 쌓아올려서 토목구축물을 구축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각각의 계단형상의 부분을 보호재에 의해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8의 발명에 의하면, 시공면에 돌망태가 깔려 배열되는 토목구축물에 있어서 각각의 돌망태 상면 전체면의 보호재에 의해 한층 더, 보호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9의 발명에 의하면, 돌망태를 계단형상으로 쌓아올려서 구축하는 토목구축물에 있어서, 그 각각의 단차면(상면 앞부)의 보호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0의 발명에 의하면, 돌망태를 계단형상으로 쌓아 올려서 구축하는 토목구축물에 있어서 각각의 돌망태 앞면의 보호재에 의해 한층 더 보호강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21의 발명에 의하면, 돌망태를 계단형상으로 쌓아 올려서 구축하는 토목구축물에 있어서, 그 각각의 계단형상부분(앞면 및 상면 앞부)의 보호강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22의 발명에 의하면, 좌판이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중 어느 쪽인가에 적어도 걸치도록 맞닿는 기판부와, 이 기판부의 판면으로부터 기립하면서 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 사이 또는 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 사이를 적어도 걸치도록 연장되는 기립판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보호재를 망상편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에 대하여, 기립판부의 판면을 따르는 방향의 극히 강한 굽힘 강성 특성을 이용할 수 있게 되어, 좌판의 두께를 두껍게 하여 이 좌판의 강도(강성)를 높게 하지 않아도 보호재를 망상편의 표면으로부터 분리시키려는 힘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좌판의 사용재료량의 증가를 극력 억제하면서 보호재를 망상편의 표면에서 분리시키려는 힘에 대하여 간단하고 또한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돌망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게다가 좌판에 기립판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기립판부를 사용하여 좌판이 뜯어내어지기 쉽게 되고, 그와 같은 좌판을 사용함으로써 돌망태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는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를 사용한 호안(護岸)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의 조립을 설명한 설명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의 주요부 확대설명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자연석과 덮개철망의 부착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와셔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와셔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와셔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에 관한 부착앵커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도 8의 평면도,
도 10은 제 2 실시형태에 관한 와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제 3 실시형태에 관한 와셔의 사용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의 주요부 확대설명도,
도 13은 제 4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에 있어서 자연석과 덮개철망의 부착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자연석에 대한 너트의 부착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5는 도 14의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6은 도 15의 계속되는 공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7은 제 5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의 주요부 확대설명도,
도 18은 제 6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의 주요부 확대설명도,
도 19는 제 7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를 사용하여 구축된 토목구축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제 8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를 사용하여 구축된 토목구축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를 사용하여 구축된 토목구축물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22는 제 9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를 사용하여 구축된 토목구축물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3은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를 사용하여 구축된 토목구축물을 도시하는 측면도, 그리고
도 24는 제 10 실시형태에 관한 돌망태를 사용하여 구축된 토목구축물을 도시하는 사시도.
(부호의 설명)
1 : 호안 3 : 돌망태
4 : 바구니 용기 4a : 앞 철망
4e : 덮개철망 5 : 자연석
6 : 제 1 구획요소 7 : 제 2 구획요소
8 : 그물코 9 : 선재(線材)
10, 22 : 너트 10a : 진입구
11 : 삽입구멍 14 : 와셔
15 : 부착앵커 16 : 단차(段差)
17 : 삽입관통구멍 18, 37 : 축부
19 : 볼트 헤드부 21 : 나사봉
31 : 기판부 32 : 측판부
38 : 헤드부 150 : 볼트
H : 소정의 단차

Claims (22)

  1.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와,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로 구성되는 망상편(4a, 4b, 4c, 4d, 4e)을 사용하여, 내부채움재(51)를 충전하는 바구니 용기(4)가 형성되고, 이 바구니 용기(4)의 표면에 복수의 보호재(5)가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고정되어 있는 돌망태(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보호재(5)의 이면측 영역으로서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의 이면측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 사이의 어느 한쪽을 적어도 걸치는 좌판(14)과, 이 좌판(14)을, 이 좌판(14)과 상기 보호재(5)가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을 끼워지지하도록 이 보호재(5)에 근접시키는 정지구(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좌판(14)이,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의 어느 한쪽에 적어도 걸치도록 맞닿는 기판부(31)와, 이 기판부(31)의 판면으로부터 기립하면서 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를 적어도 걸치도록 연장되는 기립판부(32)를 구비하고 있는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4)이,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 사이의 어느 한쪽에 면하는 삽입통과구멍(17)을 가지며,
    상기 정지구(15)가, 상기 좌판(14)의 삽입통과구멍(17)을 삽입통과하여 상기 보호재(5)에 고정되는 축부(18)와, 이 축부(18)에 상기 좌판(14)의 외방측에서 설치되어 이 좌판(14)에 걸음되는 직경확대부(38, 19)를 가지며,
    상기 좌판(14)에, 상기 삽입통과구멍(17)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두꺼운 두께부(4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가,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보다도 이 망상편(4a, 4b, 4c, 4d, 4e)의 표면측에 근접하도록 위치되어서 이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와 이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와의 사이에 소정의 단차(H)가 형성되고,
    상기 좌판(14)이,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 사이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사이를 걸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4) 및 상기 정지구(15)가,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의 두께방향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가 형성하는 이 망상편(4a, 4b, 4c, 4d, 4e)의 이면 보다도 이 망상편(4a, 4b, 4c, 4d, 4e)의 표면측에 수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4)이,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 사이에 대략 적합하게 수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4)이, 상기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 사이에 면하는 삽입통과구멍(17)을 가지며,
    상기 정지구(15)가, 상기 좌판(14)의 삽입통과구멍(17)을 삽입통과하여 상기 보호재(5)에 고정되는 축부(18)와,
    이 축부(18)에 상기 좌판(14)의 외방측에서 설치되어 이 좌판(14)에 걸음되는 직경확대부(38, 19)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립판부(32)가, 상기 기판부(31)의 폭방향 양측에 있어서 각각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4)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에 대략 적합하게 수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14)이,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사이에 면하는 삽입통과구멍(17)을 가지며,
    상기 정지구(15)가, 상기 좌판(14)의 삽입통과구멍(17)을 삽입통과하여 상기 돌에 고정되는 축부(18)와, 이 축부(18)에 상기 좌판(14)의 외방측에서 설치되어 이 좌판(14)에 걸음되는 직경확대부(38, 19)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31)에, 상기 삽입통과구멍(17) 둘레 가장자리부에서 두꺼운 두께부(45)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5)는 자연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5)는 상기 바구니 용기(4)의 앞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5)는 상기 바구니 용기(4)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16. 제 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5)는 상기 바구니 용기(4)의 상면 및 앞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재(5)는 상기 바구니 용기(4)의 상면에 있어서 앞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망태(3).
  18. 돌망태(3)로서,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와,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로 구성되는 망상편(4a, 4b, 4c, 4d, 4e)을 사용하여, 내부채움재(51)를 충전하는 바구니 용기(4)를 형성하고, 이 바구니 용기(4)의 상면 전체면에 복수의 보호재(5)가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보호재(5)의 이면측 영역으로서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의 이면측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 사이의 어느 한쪽을 적어도 걸치는 좌판(14)과, 이 좌판(14)을, 이 좌판(14)과 상기 보호재(5)가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을 끼워 지지하도록 이 보호재(5)에 눌러붙이는 정지구(15)를 구비하고, 상기 좌판(14)이,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의 어느 한쪽에 적어도 걸치도록 맞닿는 기판부(31)와, 이 기판부(31)의 판면으로부터 기립하면서 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를 적어도 걸치도록 연장되는 기립판부(32)를 구비하는 것이 복수 준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망태(3)가 시공면에 깔려 배열되고, 최상면이 보호재(5)로 덮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1).
  19. 돌망태(3)로서,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와,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로 구성되는 망상편(4a, 4b, 4c, 4d, 4e)을 사용하여, 내부채움재(51)를 충전하는 바구니 용기(4)를 형성하고, 이 바구니 용기(4)의 상면 앞부에 복수의 보호재(5)가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보호재(5)의 이면측 영역으로서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의 이면측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 사이의 어느 한쪽을 적어도 걸치는 좌판(14)과, 이 좌판(14)을, 이 좌판(14)과 상기 보호재(5)가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을 끼워 지지하도록 이 보호재(5)에 눌러붙이는 정지구(15)를 구비하고, 상기 좌판(14)이,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의 어느 한쪽에 적어도 걸치도록 맞닿는 기판부(31)와, 이 기판부(31)의 판면으로부터 기립하면서 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를 적어도 걸치도록 연장되는 기립판부(32)를 구비하는 것이 복수준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망태(3)가 계단형상으로 쌓아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1).
  20. 돌망태(3)로서,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와,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로 구성되는 망상편(4a, 4b, 4c, 4d, 4e)을 사용하여, 내부채움재(51)를 충전하는 바구니 용기(4)를 형성하고, 이 바구니 용기(4)의 앞면에 복수의 보호재(5)가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보호재(5)의 이면측 영역으로서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의 이면측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 사이의 어느 한쪽을 적어도 걸치는 좌판(14)과, 이 좌판(14)을, 이 좌판(14)과 상기 보호재(5)가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을 끼워 지지하도록 이 보호재(5)에 눌러붙이는 정지구(15)를 구비하고, 상기 좌판(14)이,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의 어느 한쪽에 적어도 걸치도록 맞닿는 기판부(31)와, 이 기판부(31)의 판면으로부터 기립하면서 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를 적어도 걸치도록 연장되는 기립판부(32)를 구비하는 것이 복수준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망태(3)가 순차적으로 쌓아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1).
  21. 돌망태(3)로서,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와, 소정의 간격마다 대략 평행하게 배열설치되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구획요소(6)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로 일체화되는 복수의 제 2 구획요소(7)로 구성되는 망상편(4a, 4b, 4c, 4d, 4e)을 사용하여, 내부채움재(51)를 충전하는 바구니 용기(4)를 형성하고, 이 바구니 용기(4)의 앞면 및 상면 앞부에 복수의 보호재(5)가 고정수단을 통하여 각각 고정되고,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보호재(5)의 이면측 영역으로서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의 이면측에서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 사이의 어느 한쪽을 적어도 걸치는 좌판(14)과, 이 좌판(14)을, 이 좌판(14)과 상기 보호재(5)가 상기 망상편(4a, 4b, 4c, 4d, 4e)을 끼워 지지하도록 이 보호재(5)에 눌러붙이는 정지구(15)를 구비하고, 상기 좌판(14)이, 인접하는 상기 제 1 구획요소(6) 또는 인접하는 상기 제 2 구획요소(7)의 어느 한쪽에 적어도 걸치도록 맞닿는 기판부(31)와, 이 기판부(31)의 판면으로부터 기립하면서 이 인접하는 제 1 구획요소(6) 사이 또는 이 인접하는 제 2 구획요소(7) 사이를 적어도 걸치도록 연장되는 기립판부(32)를 구비하는 것이 복수준비되고,
    상기 복수의 돌망태(3)가 계단형상으로 쌓아올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물(1).
  22. 삭제
KR10-2000-0061469A 2000-10-19 2000-10-19 돌망태 및 토목구축물 KR100500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469A KR100500660B1 (ko) 2000-10-19 2000-10-19 돌망태 및 토목구축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1469A KR100500660B1 (ko) 2000-10-19 2000-10-19 돌망태 및 토목구축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558A KR20020030558A (ko) 2002-04-25
KR100500660B1 true KR100500660B1 (ko) 2005-07-11

Family

ID=19694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1469A KR100500660B1 (ko) 2000-10-19 2000-10-19 돌망태 및 토목구축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06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1385B1 (ko) * 2003-07-31 2006-10-04 최종선 자연제방 축조 시공방법
KR100625623B1 (ko) * 2004-07-29 2006-09-20 이용헌 시공석 고정방법 및 이를 위한 시공석 고정구조물
KR100947671B1 (ko) * 2007-05-22 2010-03-12 용두조경개발(주) 블록의 시공방법 및 그 장치
KR100844925B1 (ko) * 2007-09-17 2008-07-09 이기준 자연석 고정용 장치
KR102087905B1 (ko) * 2017-11-08 2020-03-11 테라텍 주식회사 옹벽용 섬유셀 유닛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옹벽구조
CN107975138A (zh) * 2017-12-29 2018-05-01 内蒙古蒙草生态环境(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石笼结构及其制作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720A (ja) * 1993-09-17 1995-03-28 Kankyo Kogaku Kk 生態系保護用自然石金網
JPH0813444A (ja) * 1994-06-27 1996-01-16 Kankyo Kogaku Kk ふとん篭
JPH1113075A (ja) * 1997-06-23 1999-01-19 San Buresu:Kk 空石積み護岸、擁壁構造物
JPH11117257A (ja) * 1997-08-13 1999-04-27 Sanki Block Kk 護岸用ブロック
JP2000027153A (ja) * 1998-07-13 2000-01-25 Kankyo Kogaku Kk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JP2000087334A (ja) * 1998-09-14 2000-03-28 Kankyo Kogaku Kk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2720A (ja) * 1993-09-17 1995-03-28 Kankyo Kogaku Kk 生態系保護用自然石金網
JPH0813444A (ja) * 1994-06-27 1996-01-16 Kankyo Kogaku Kk ふとん篭
JPH1113075A (ja) * 1997-06-23 1999-01-19 San Buresu:Kk 空石積み護岸、擁壁構造物
JPH11117257A (ja) * 1997-08-13 1999-04-27 Sanki Block Kk 護岸用ブロック
JP2000027153A (ja) * 1998-07-13 2000-01-25 Kankyo Kogaku Kk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JP2000087334A (ja) * 1998-09-14 2000-03-28 Kankyo Kogaku Kk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の製造方法及び土木構築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0558A (ko)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4413B1 (en) Easily connectable anchor and pillblock replacement for an embedded wooden post
KR100895033B1 (ko)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시공방법
CN211773698U (zh) 一种桩锚支护结构
KR100500660B1 (ko) 돌망태 및 토목구축물
KR20120090502A (ko) 3방향 구속타입 전면판을 갖는 쏘일네일 장치
KR101017292B1 (ko) 레벨조정용 프리캐스트 기둥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시공방법
KR101942316B1 (ko) 철근콘크리트 프레임의 내진 보강용 pc 벽 패널, pc 벽 패널을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00265458A (ja) PCa杭地中壁による地下構造物の床版連結構造
RU2299950C1 (ru) Модульная свая (варианты)
KR101364014B1 (ko) 세굴방지 및 호안블록
KR20100063902A (ko) 콘크리트 파일을 이용한 방벽 및 그 시공 방법
KR20110103793A (ko) 다수 개의 수직보강재를 갖는 강관말뚝 머리 보강구조 및 그를 이용한 강관말뚝 머리 보강방법
KR100371215B1 (ko)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고정구,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및 토목구축물
KR101452187B1 (ko) 일체형 전면 블록을 포함하는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JP2006342656A (ja) 地震によるずれに対応する擁壁及びその構築方法並びに擁壁用ブロック
KR100721604B1 (ko) 쏘일네일의 두부보호 조임장치
JP3609657B2 (ja) 構造物の地下外壁およびその構築工法
KR100413879B1 (ko) 토목구축물용유니트,토목구축물용유니트의제조방법및토목구축물
KR101452188B1 (ko) 일체형 전면 블록을 포함하는 우각부 또는 곡선부용 보강토 옹벽 및 그 시공 방법
JP2002069970A (ja) ふとん籠及び土木構築物
JP4044233B2 (ja) 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及び土木構築物
KR100477290B1 (ko)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KR100482536B1 (ko) 석재 옹벽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JP2544159Y2 (ja) 仮設用土留壁
JP2006112047A (ja) 高靱性土留壁、および高靱性土留壁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