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7290B1 -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 Google Patents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7290B1
KR100477290B1 KR10-2003-0004424A KR20030004424A KR100477290B1 KR 100477290 B1 KR100477290 B1 KR 100477290B1 KR 20030004424 A KR20030004424 A KR 20030004424A KR 100477290 B1 KR100477290 B1 KR 100477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block
longitudinal
reinforcing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4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370A (ko
Inventor
이종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인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3-0004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7290B1/ko
Publication of KR20040067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7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72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부지나 고수부지 등의 축대나 옹벽을 축조하는데 이용되는 조립식 축조 블록의 구성 개량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블록의 전면부와 후면부 및 후면 결속 보강부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로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가 장착되기 위한 횡 삽지홈을 구성함과 동시에 후면부에 일체로 돌설되는 후면 결속 보강부의 양 측면에는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가 장착되기 위한 종 삽지홈 및 걸림턱을 가진 돌출부를 대향되게 구성토록 하며, 중간체의 양측에 하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토록 한 것으로,
횡 삽지홈에 삽지되는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를 통해 측방으로 연접되게 조립되는 각 블록들 간을 결속력의 배분이 균등하게 일체로 결속시켜 줌과 동시에 토목공사에서 보강용도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의 일단을 블록과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종 삽지홈에 삽지되는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를 통해 상하로 적층되는 각 블록들 간을 상호 일체로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블록사이에 충진되는 콘트리트가 양생 완료될 때까지 종횡으로 그물처럼 견고하게 결속시켜 주도록 하고, 걸림턱을 가진 돌출부를 통해서 시공 시 뒷채움재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결속력을 보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중간체의 경사돌출부를 통해서 중간체가 종방향의 콘크리트와 평면적이 아닌 입체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블록에 토압이 가해져 후방이 들려지는 경우에 횡방향의 콘크리트의 지지력과 더불어 종방향의 콘크리트에서도 결속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한 것으로, 시공상태의 변형을 억제하여 시공의 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시공 면의 지반 손상이나 블록 후방에서 토압에 의한 밀림압력이 부여되더라도 충분한 결속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 이탈 분리되지 않고 안정된 축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품질의 고급화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THE BLOCK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하천부지나 고수부지 등의 축대나 옹벽을 축조하는데 이용되는 조립식 축조 블록의 구성 개량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블록의 전면부와 후면부 및 후면 결속 보강부의 상면에는 일정 깊이로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가 장착되기 위한 횡 삽지홈을 구성함과 동시에 후면부에 일체로 돌설되는 후면 결속 보강부의 양 측면에는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가 장착되기 위한 종 삽지홈 및 걸림턱을 가진 돌출부를 대향되게 구성토록 하며, 중간체의 양측에 하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토록 한 것으로,
횡 삽지홈에 삽지되는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를 통해 측방으로 연접되게 조립되는 각 블록들 간을 결속력의 배분이 균등하게 일체로 결속시켜 줌과 동시에 토목공사에서 보강용도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의 일단을 블록과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종 삽지홈에 삽지되는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를 통해 상하로 적층되는 각 블록들 간을 상호 일체로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 블록사이에 충진되는 콘트리트가 양생 완료될 때까지 종횡으로 그물처럼 견고하게 결속시켜 주도록 하고, 걸림턱을 가진 돌출부를 통해서 시공 시 뒷채움재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결속력을 보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중간체의 경사돌출부를 통해서 중간체가 종방향의 콘크리트와 평면적이 아닌 입체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블록에 토압이 가해져 후방이 들려지는 경우에 횡방향의 콘크리트의 지지력과 더불어 종방향의 콘크리트에서도 결속 지지력이 발휘되도록 한 것으로, 시공상태의 변형을 억제하여 시공의 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시공 면의 지반 손상이나 블록 후방에서 토압에 의한 밀림압력이 부여되더라도 충분한 결속 지지력을 갖도록 하여 이탈 분리되지 않고 안정된 축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품질의 고급화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인의 선 등록 실용 제 286417호의 축조블록은 블록의 중간체 양측면과 후면부에 각각 충진 콘크리트와 결속력을 보강하기 위한 돌출상태의 중간 결속 보강부와블록의 후측에 채워지는 뒷 채움재와의 결속력을 높여주기 위한 후면 결속보강부를 일체로 돌출되게 구비시킴으로써 중간 결속 보강부를 통해 블록의 지지강성을 약화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결속용 콘크리트와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고 입체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충진 콘크리트와의 일체성을 통해 각 블록과의 결속 지지력을 증대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후면 결속 보강부를 통해 뒷 채움재가 각 블록의 후단을 누름과 동시에 잡아 홀딩시키는 기능이 발휘되도록 하여 블록 후방의 토압에 의해 시공된 블록의 전면으로 부여되는 밀림압력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선 등록 구조는 시공되는 블록의 결속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전면부와 중간체에 각각 종으로 관통되게 천공되는 다수의 삽지공을 구비하여 이에 철근 등의 임의의 결속용 지지부재를 삽지시켜 주도록 한 것이나,
이는 조립시 각 블록간의 조립위치가 정밀하게 일치되지 않으면 삽지공이 상하로 일치되지 못하고 어긋나게 되어 결속용 지지부재를 끼울 수 없게 되며 또한 긴 지지부재를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좁은 삽지공으로 삽입시키는 작업과정은 까다롭고 많은 힘을 소모하는 과정이어서 작업이 지연되고 작업능률이 저하되는 등의 발생하게 되는 것이며,
또한 블록에 다수의 삽지공을 천공하게 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블록의 지지강성을 약화시키는 폐단이 있으며 이로 인해 제품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었으며,
또한 후면 결속 보강부가 단순히 사다리꼴로 구성되어 뒷 채움재의 수직압력을 종방향의 마찰력으로 전환할 수 있으나 홀딩상태가 입체적이지 못하고 평면적이어서 블록의 전 후 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결속력에는 전혀 영향력을 줄 수 없는 구조이었던 것으로 기능상 실용성이 저하되는 구조였던 것이다.
또한 주로 1∼10cm 크기의 구멍이 난 격자 형태의 대형 폴리에스테르 판으로 구성되며 흙 구조물이나, 제방 도로 활주로 등을 연약한 지반 위에 축조할 때 다른 재료들 사이에 집어넣어 보강 용도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를 시공함에 있어 지오그리드를 결속시키는 구조가 없어 단지 지오그리드의 일부를 블록의 상면에 재치시킨 상태에서 타 블록을 적층시켜 눌러 지지하는 방식을 적용하였으나 무게에 의한 마찰력을 통해 평면적으로만 결속되는 상태이어서 강력한 토압의 발생 시 축조된 일부 라인의 블록이 지오그리드에서 밀려나면서 앞으로 밀려나오게 되어 조립상태가 이탈 분리되어 전체적인 축조상태가 와해될 우려가 크게되는 등 시공상태의 불안정성과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선 등록 구조는 후면 결속 보강부의 끝단과 연결부분의 크기가 동일한 형태이기 때문에 뒷채움재 내에 단순히 끼워진 상태에서 뒷채움재의 수직압을 받도록 경사부를 두어 결속력이 보강되도록 한 것이나 이는 뒷채움재가 후면 결속 보강부를 물어 지지하는 형태가 아니라 눌러 마찰력으로 붙잡는 형태이어서 그다지 큰 결속력을 바라기 어려우며, 또한 선등록의 후면 결속 보강부에는 인접된 타 블록의 후면 결속 보강부와 상호 결속되기 위한 구조가 마련되지 못해 블록의 결속력이 편중되는 문제로 인해 결속력이 약한 부위의 파손이 우려되는 등 완벽한 결속력을 갖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중간체의 양측면이 평행한 수직으로 구성되는 즉 위, 아래가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는 관계로 시공 후 각블록의 사이에 채워지는 종방향의 콘크리트와 평면적으로 결합되어 블록에 토압이 가해져 후방이 들려지는 경우에는 횡방향의 콘크리트만의 지지력에만 의존하는 구조이어서 과다한 토압 발생 시 횡방향의 콘크리트가 이를 지탱하지 못하고 파괴되는 일이 허다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횡 삽지홈에 삽지되는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를 통해 측방으로 연접되게 조립되는 각 블록들 간을 결속력의 배분이 균등하게 일체로 결속시켜 줌과 동시에 토목공사에서 보강용도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의 일단을 블록과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하고 종 삽지홈에 삽지되는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를 통해 상하로 적층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각 블록들 간을 상호 일체로 결속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 시공되는 각 블록을 충진된 콘트리트가 양생 완료될 때까지 종횡으로 그물처럼 견고하게 결속시켜 주도록 하며, 걸림턱을 가진 돌출부를 통해서는 시공 시 뒷채움재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결속력을 보강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중간체의 경사돌출부를 통해서는 중간체가 종방향의 콘크리트와 평면적이 아닌 입체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블록에 토압이 가해져 후방이 들려지는 경우에 횡방향의 콘크리트의 지지력과 더불어 종방향의 콘크리트에서도 결속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는 조립식 축조블록을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본 발명은 블록의 전면부와 후면부 및 후면 결속보강부의 상면에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와 선택적으로 지오그리드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일정 깊이로 요설되는 횡 삽지홈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록의 후면부에 일체로 돌설되는 후면 결속 보강부의 양측부에 상호 대향되게 요입 형성되며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가 장착되기 위한 종 삽지홈을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후면 결속 보강부의 후면 양측부에 일체로 구성되는 걸림턱을 가진 돌출부를 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체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하향으로 넓어지는 경사돌출부를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블록의 구성을 보이는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블록을 조립 시공한 상태의 후면을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측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평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요부인 중간체에 형성되는 경사돌출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
전면부(2)와 후면부(3) 및 이와 일체로 연결 구성되는 중간체(4)로 구성되며 전면부(2)와 후면부(3)의 중간 양측부에 요입 상태로 형성되며 종방향 콘크리트유입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측면 요입부(5)와, 전면부(2)와 후면부(3) 사이의 상면에 형성되며 횡방향 콘크리트유입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상면 요입부(6)를 구비하는 공지의 블록(1)에 있어서;
상기 블록(1)의 전면부(2)와 후면부(3) 및 후면 결속 보강부(30)의 상면에 각각 요입 형성되며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11)와 선택적으로 공지의 지오그리드(G)를 끼워 지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횡 삽지홈(10)(10')(10")과;
상기 블록(1)의 후면에 일체로 돌출 구성되는 직육면체형의 후면 결속 보강부(30)의 양측에 대향되게 요입 형성되며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21)가 장착되기 위한 종 삽지홈(20)(20')과;
상기 후면 결속 보강부(30)의 후면 양측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뒷채움재(RC)와의 결속력을 보강하기 위한 걸림턱(41)을 가진 돌출부(40)와;
상기 중간체(4)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는 경사돌출부(50)를 각각 일체로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
(C1)는 종방향 콘크리트이고,
(C2)는 횡방향 콘크리트를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각 블록(1)을 상호 대향되는 상태로 순차적으로 적층시켜 블록의 상면끼리 접하는 부위마다 상면 요입부(6)가 합해져 횡으로 하나의 횡방향 콘크리트유입통로를 이루게 되는 것이며, 각 블록(1)의 중간체(4)의 측면 요입부(5)가 합해져 종방향 콘크리트유입통로가 형성되도록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블록(1)을 종횡으로 조립 시공하는 과정에서 상하로 조립되는 블록 들간에는 후면 결속 보강부(30)가 상호 일직선상으로 접하도록 하여 종 삽지홈(20)(20')이 서로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종 삽지홈(20)(20')중 선택된 일측에 도 2에서와 같이 임의의 길이로 절단된 철근 등으로 구성되는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21)를 끼워 넣은 후 이에 뒷채움재(RC)를 채워 넣어 종방향 보강결속부재(21)의 장착 위치를 고정시켜 가며 시공하게 된다.
상기에서 블록(1)의 후방에 뒷채움재(RC)를 채워 넣으면 후면 결속 보강부(30)가 뒷채움재(RC)에 묻히면서 걸림턱(41)을 가진 돌출부(40)에 의해 입체적으로 물려 지지되므로 종래의 구조에 비해 보다 강력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측방으로 연접되면서 시공되는 블록(1)들 간에는 전면부(2)와 후면부(3) 및 후면 결속 보강부(30)의 상면에 형성되는 각 횡 삽지홈(10)(10')(10")이 상호 일직선으로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역시 임의의 길이로 절단된 철근 등의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11)를 끼워 넣어 인접 블록끼리 상호결속되도록 한 다음 그 위에 차기의 블록을 적층하게 되는 것으로, 후면 결속 보강부(30)의 횡 삽지홈(10")이 전면부(2)와 후면부(3)에 형성되는 횡삽지홈(10)(10')과 다른 차이는 홈의 형태를 반원형으로 구성하여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11)가 장착되었을 때 반쯤은 묻히고 나머지 반은 돌출되도록 하여 그 위로 적층되는 타 블록의 횡 삽지홈에 끼워지도록 하여 시공 블록의 횡방향 결속과 종방향 결속이 동시에 발휘되도록 한 것이다.
만일 지오그리드(G)가 설치되는 라인에는 먼저 지오그리드(G)의 일부를 횡삽지홈(10')을 커버하는 상태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11)를 횡삽지홈(10')에 끼워 넣으면 도 4에서와 같이 지오그리드(G)가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11)를 감싸는 상태로 장착되는 것으로,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11)를 통해 지오그리드(G)가 블록(1)에 강력하게 결속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종,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21)(11)를 설치한 후 종방향 콘크리트유입통로와 횡방향 콘크리트유입통로에 콘크리트를 충진시켜 종방향 콘크리트유입통로에는 종방향 콘크리트(C1)가 위치되고 횡방향 콘크리트유입통로에는 횡방향 콘크리트(C2)가 위치되도록 하여 각 블록(1)이 상호 일체로 결속되도록 한다.
한편 시공된 블록은 도 6에서와 같이 서로 바닥을 맞닿게 시공하게 되므로 중간체(4)에 형성된 경사돌출부(50)의 접면부위는 "> "형태와 같이 돌출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중간체(4)의 사이에 충진 양생되는 종방향 콘크리트(Cl)가 "> "형태의 돌출부위가 접하게 되는 바 평면이 아닌 입체적인 결합상태를 가질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종방향 콘크리트(C1)와 강력한 결속 지지력을 갖게 되는 것으로 토압등에 의해 시공된 블록을 위로 들어 올리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횡방향 콘크리트(C2)를 통한 결속 지지력 뿐 아니라 종방향 콘크리트(C1)의 결속 지지력을 통해서도 버팀력을 갖게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21)의 길이는 특정의 길이로 한정되는 아니나 도 3에서와 같이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21)가 장착된 상태에서 그 양단이 엊갈리게 적층 시공된 블록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11)의 길이는 인접되는 블록끼리 연결시킬 정도면 족하나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정도면 그 이상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종 삽지홈(20)(20')중 선택된 일측에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21)를 삽지시키면 상하로 적층된 블록들 간을 상호 일체로 결속시켜 주게 되며,
각 횡 삽지홈(10)(10')(10")에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11)를 삽지시키면 측방으로 연접되게 조립되는 각 블록들 간을 결속력의 배분이 균등하게 일체로 결속시켜 줌과 아울러 토목공사에서 보강용도로 사용되는 지오그리드(G)의 일단을 평면적인 마찰력이 아닌 입체적인 결합상태로 블록(1)에 결속시켜 줄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뒷채움재(RC)를 채워 넣으면 걸림턱(41)을 가진 돌출부(40)에 의해 입체적으로 물려 지지되므로 보다 강력한 결속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종방향 콘크리트(C1)가 경사돌출부(50)를 통해 중간체(4)와 평면이 아닌 입체적인 결합상태를 가질 수 있게 되어 시공된 블록을 위로 들어 올리는 방향의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종방향 콘크리트(C1)의 결속 지지력을 통해서도 버팀 지지력을 갖게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조립 시공되는 각 블록을 종횡으로 그물처럼 견고하게 결속시켜 주게 된다.
따라서 충진된 콘트리트가 양생 완료되기 전까지 시공된 블록을 종횡으로 그물처럼 견고하게 결속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블록(1)의 후방에서 발생되는 토압에 의해 임의의 블록에 전방으로 밀리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종, 횡방향 보강결속부재(21)(11)로 인해 한 덩어리처럼 굳게 뭉쳐지는 것이어서 임의의 블록이 전면으로 돌출되거나 축조라인에서 무단으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안전사고와 급격한 축조 붕괴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축조방법은 축조위치의 특성 등 제반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시공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충진된 콘트리트가 양생 완료되기 전까지 측방으로 연접되게 조립되는 각 블록들 간을 상호 일체로 결속시켜 줌과 동시에 토목공사에서 보강용도로 사용되는 지오 그리드의 일단을 블록과 결속시켜 줄 수 있으며, 상하로 적층되는 상태로 조립되는 각 블록들 간을 상호 일체로 결속시켜 줄 수 있어 조립 시공되는 각 블록을 충진된 콘트리트가 양생 완료될 때까지 종횡으로 그물처럼 견고하게 결속시켜 주도록 하며, 또한 시공 시 뒷채움재와의 접촉면적을 증대시켜 결속력을 보강시켜 줄 수 있으며, 중간체가 종방향의 콘크리트와 평면적이 아닌 입체적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블록에 토압이 가해져 후방이 들려지는 경우에 횡방향의 콘크리트의 지지력과 더불어 종방향의 콘크리트에서도 결속 지지력이 발휘될 수 있어 시공상태의 변형을 억제하여 시공의 불량을 방지함과 아울러 시공 면의 지반 손상이나 블록 후방에서 토압에 의한 밀림압력이 부여되더라도 충분한 결속 지지력을 통해 이탈 분리되지 않고 안정된 축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품질의 고급화와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블록의 구성을 보이는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블록을 조립 시공한 상태의 후면을 보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 평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요부인 중간체에 형성되는 경사돌출부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블록 2:전면부
3:후면부 4:중간체
5:측면 요입부 6:상면 요입부
10,10',10" :횡 삽지홈 11:횡방향 보강 결속부재
20,20':종 삽지홈 21:종방향 보강 결속부재
30:후면 결속 보강부 40:돌출부
41:걸림턱 50:경사돌출부

Claims (1)

  1. 전면부(2)와 후면부(3) 및 이와 일체로 연결 구성되는 중간체(4)로 구성되며 전면부(2)와 후면부(3)의 중간 양측부에 요입 상태로 형성되며 종방향 콘크리트유입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측면 요입부(5)와, 전면부(2)와 후면부(3) 사이의 상면에 형성되며 횡방향 콘크리트유입통로를 형성하기 위한 상면 요입부(6)를 구비하는 공지의 블록(1)에 있어서;
    상기 블록(1)의 전면부(2)와 후면부(3) 및 후면 결속 보강부(30)의 상면에 각각 요입 형성되며 횡방향 보강 결속부재(11)와 선택적으로 공지의 지오그리드(G)를 끼워 지지시키기 위한 다수의 횡 삽지홈(10)(10')(10")과;
    상기 블록(1)의 후면에 일체로 돌출 구성되는 직육면체형의 후면 결속 보강부(30)의 양측에 대향되게 요입 형성되며 종방향 보강 결속부재(21)가 장착되기 위한 종 삽지홈(20)(20')과;
    상기 후면 결속 보강부(30)의 후면 양측부에 일체로 구성되며 뒷채움재(RC)와의 결속력을 보강하기 위한 걸림턱(41)을 가진 돌출부(40)와;
    상기 중간체(4)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바닥으로 갈수록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되는 경사돌출부(50)를 각각 일체로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KR10-2003-0004424A 2003-01-22 2003-01-22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KR100477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424A KR100477290B1 (ko) 2003-01-22 2003-01-22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4424A KR100477290B1 (ko) 2003-01-22 2003-01-22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243U Division KR200311686Y1 (ko) 2003-01-23 2003-01-23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370A KR20040067370A (ko) 2004-07-30
KR100477290B1 true KR100477290B1 (ko) 2005-03-24

Family

ID=37356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4424A KR100477290B1 (ko) 2003-01-22 2003-01-22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7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3330B1 (ko) * 2007-03-26 2008-07-03 문희성 계단식 식생호안블록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748U (ja) * 1984-07-24 1986-02-18 潤 長沼 壁用コンクリ−トブロツク
JPH07150574A (ja) * 1993-11-30 1995-06-13 Infuratetsuku Kk 擁壁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敷設工法
KR20010105620A (ko) * 2000-05-16 2001-11-29 이종임 축조 블록
KR20020047759A (ko) * 2000-12-14 2002-06-22 박완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200311686Y1 (ko) * 2003-01-23 2003-04-26 이종하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6748U (ja) * 1984-07-24 1986-02-18 潤 長沼 壁用コンクリ−トブロツク
JPH07150574A (ja) * 1993-11-30 1995-06-13 Infuratetsuku Kk 擁壁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および敷設工法
KR20010105620A (ko) * 2000-05-16 2001-11-29 이종임 축조 블록
KR20020047759A (ko) * 2000-12-14 2002-06-22 박완서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방법
KR200311686Y1 (ko) * 2003-01-23 2003-04-26 이종하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370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314B1 (ko) 보강토 옹벽 축조용 금속 스트립 보강재
JP3329737B2 (ja) 擁壁用ブロック及び同ブロックを使用した擁壁の構築方法
KR102568976B1 (ko) 전단면 pc 슬래브용 방호벽 구조체
KR100477290B1 (ko)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KR200311686Y1 (ko) 결속 보강구조를 갖는 조립식 축조 블록
KR20180106715A (ko)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JP4812135B2 (ja) 補強土擁壁を積層するための施工具
KR101265079B1 (ko)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KR20060026098A (ko) 옹벽 블럭 구조
KR101072414B1 (ko) 보강토 옹벽
KR101716895B1 (ko) 조립식 옹벽 세그먼트 구조체 및 조립식 옹벽 구조물
KR100497796B1 (ko)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KR100545398B1 (ko) 보강토 옹벽 및 그 설치방법
KR100549086B1 (ko) 조립식 축조 블록
KR100872999B1 (ko) 결속 수단을 구비한 보강토 블록
KR101784779B1 (ko) 고정홈을 구비한 조립식 옹벽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옹벽 축조 방법
KR200315973Y1 (ko) 조립식 축조 블록
KR101088702B1 (ko) 블록 옹벽 구조물
KR200318991Y1 (ko) 조립식 축조 블록
KR100480249B1 (ko) 중력식 토체 구조물 및 그의 시공방법
JP3955864B2 (ja) コンクリート積みブロック擁壁及びこれに用い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200376796Y1 (ko)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구축구조
KR200339473Y1 (ko) 보강토 옹벽
JPH0352822Y2 (ko)
KR200339475Y1 (ko) 보강토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