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9493A - 클립, 클립의 사용방법 및 토목구축물용 유닛 - Google Patents

클립, 클립의 사용방법 및 토목구축물용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9493A
KR20010039493A KR1019990057417A KR19990057417A KR20010039493A KR 20010039493 A KR20010039493 A KR 20010039493A KR 1019990057417 A KR1019990057417 A KR 1019990057417A KR 19990057417 A KR19990057417 A KR 19990057417A KR 20010039493 A KR20010039493 A KR 200100394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mesh
clip
ti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74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키모토이사오
하세가와기요노리
Original Assignee
유키모토 이사오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키모토 이사오, 간쿄 고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유키모토 이사오
Publication of KR20010039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9493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FWORKING OR PROCESSING OF METAL WIRE
    • B21F27/00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 B21F27/08Making wire network, i.e. wire nets with additional connecting elements or material at cross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과제) 철망에 대한 자연석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당해 클립(10)은, 되접어 꺽인 상태를 가지고 뻗어 있고 그 내부가 철망(4)의 선재를 가로지른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는 본체부(12)와, 본체부(12)의 각 되접어 꺽기 단부(12a, 12b)에 서로에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자연석(5)에 대하여 앵커핀(11) 등을 사용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한 쌍의 선단부(13a, 13b)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2)와 한 쌍의 선단부(13a, 13b)는, 한 쌍의 선단부(13a, 13b)를 부착 시트부로서 유효하게 이용하도록 하고, 경사각도(θ)를 갖고서 경사되어, 한 쌍의 선단부(13a,13b)의 사이에는, 선재(6)가 용이하게 넣어지게 하도록, 선단으로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는 간극(L)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클립, 클립의 사용방법및 토목구축물용 유닛{CLIP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AND UNIT FOR A CONSTRUCTED STRUCTURE}
본 발명은, 망형상편에 덩어리체를 부착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클립, 그 클립의 사용방법 및 그 클립를 사용한 토목구축물용 유닛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호안 등의 토목구축물의 시공에 있어서는, 복수의 토목구축물용 유닛이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이 각 토목구축물용 유닛은, 망형상편의 일면에 복수의 덩어리체(예컨대, 자연석, 콘크리트블럭 등)를 고정수단을 통하여 부착한 것으로 되어 있고, 이와같은 토목구조물용 유닛이 시공면(흡출방지시트)상에 복수 부설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원래의 호안기능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주위의 자연경관에 조화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덩어리체 사이의 간극을 동식물의 생육, 살아 숨쉬는 공간으로서 이용하여 자연으로의 회귀를 촉진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그런데,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닛에 있어서 사용되는 고정수단으로서, 볼트, 너트, 와셔 등을 이용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것에 있어서는, 각 덩어리체에 너트를, 이 너트의 진입구멍이 상기 덩어리체 표면에서 노출하도록 하면서 매설되는 한편, 망형상편의 타면측에 와셔를 대어서, 볼트를, 그 와셔 및 망형상편에 관통시킨 후, 너트로 나사맞춤하고, 이에 의해 각 덩어리체, 망형상편 및 와셔를 일체화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닛에 있어서는, 망형상편의 타면측에서, 그 망형상편의 구성선재 사이에 걸치도록 와셔를 대면서, 볼트를 와셔 및 망형상편에 대하여 관통시키고, 그 볼트를 각 덩어리체에 있는 너트에 나사맞춤시키는 작업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덩어리체, 망형상편(구성선재), 와셔 등의 확실한 위치관계를 동시에 고려하지 않으면 않되어, 망형상편에 대하여 덩어리체를 부착하는 작업부담은 가볍지 않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1의 기술적 과제는, 망형상편에 대하는 덩어리체의 부착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클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2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클립을 사용하는 클립의 사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3의 기술적 과제는, 상기 클립을 이용한 토목구축물용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닛을 사용한 호안을 도시하는 설명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닛의 평면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닛의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닛에 있어서의 자연석과 철망과의 부착관계를 평면적으로 도시한 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토목구축물용 유닛에 있어서의 자연석과 철망과의 부착관계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관한 클립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도 6의 평면도.
도 8은 클립에 선재(제2 구획요소)가 들어가는 모양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9는 도 8에 계속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동작상태도.
도 10은 제1 실시형태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는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제3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3은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철망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4; 철망
4a; 그물코 5; 자연석
6; 선재 8; 제2 구획요소
10; 클립 11; 앵커 핀
12; 본체부 12a; 되접어 꺽기 단부
12b; 되접어 꺽기 단부 13a; 선단부
13b; 선단부 14; 구획공간
15; 삽입관통구멍 L; 간극
L1; 기단측간극 L2; 선단측간극
θ; 경사각도
상기 제1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위한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는,
망형상편에 덩어리체를 부착하기위한 클립에 있어서,
되접어 꺽인 상태를 가지고 뻗어 있고, 그 내부가 상기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횡단하는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각 되접어 꺽기 단부에 서로 대향 하도록 각각 부착되어, 상기 덩어리체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이용하는 한 쌍의 선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으로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1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14의 기재와 같이 되어 있다.
상기 제 2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위한 청구항 15의 발명에 있어서는,
되접어 꺽인 상태를 갖고서 형성되어 그 내부가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횡단한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각 되접어 꺽기 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부착되어 덩어리체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 하여 사용되는 한 쌍의 선단부가 구비되는 클립을 준비하고,
상기 클립의 한 쌍의 선단부 사이에서 본체부내로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관통시키고,
다음에, 덩어리체상에 망형상편을 배치한 상태 하에서, 상기 한 쌍의 선단부를 상기 덩어리체에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의 사용방법으로 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청구항 15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는 청구항 16의 기재와 같은 것으로 된다.
상기 제 3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위한 청구항 17의 발명에 있어서는,
복수의 덩어리체가 망형상편의 일면측에 고정수단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되접어 꺽인 상태를 가지고 뻗어 있고 그 내부가 상기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횡단한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각 되접어 꺽기 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덩어리체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한 쌍의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해당 클립이, 되접어 꺽인 상태를 가지고 뻗어 있고 그 내부가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횡단한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서 넣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각 되접어 꺽기 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덩어리체에 대하여 고정하기위한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한 쌍의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므로,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한 쌍의 선단부 사이에서 본체부내에 진입시키는 것만으로, 상기 클립을 망형상편의 구성선재에 유지할 수 있고, 그 후, 망형상편과의 관계를 동시에 고려하지 않고 한 쌍의 선단부를 덩어리체에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망형상편의 구성선재 사이에에 걸치도록 와셔를 꼭대면서 볼트를 와셔 및 망형상편에 대하여 관통시켜서 덩어리체에 나사맞춤하는 경우와 같이, 망형상편(구성선재), 덩어리체, 와셔 등의 확실한 위치관계를 동시에 고려할 필요는 없어진다.
게다가, 당해 클립을, 망형상편에 있어서의 복수의 덩어리체 배치 예정위치에 있어서, 본체부내에 구성선재를 횡단하도록 하면서 에워싸 넣는 것에 의해, 미리 망형상편에 매달아 놓는 것도 가능한 것으로 되어 작업의 효율화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클립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망형상편에 대한 덩어리체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와 한 쌍의 선단부가, 경사각도를 만들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그 본체부와 선단부와의 굴곡관계가 본체부내에 내포되는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빼내기 어렵게 하고, 망형상편의 구성선재에 대한 상기 클립을 매달아 놓을 때에, 망형상편의 구성선재에 대한 상기 클립의 유지관계를 보다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특히 작업효율을 높이는 관점에서, 미리 상기 클립을 망형상편에 매달아 놓아 둘 때에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또한, 본체부와 한 쌍의 선단부가 경사 각도를 이루는 관계에 있으므로, 덩어리체상에 망형상편을 배치한 상태에서 부착 작업을 하는 데 있어서, 덩어리체의 윗쪽 영역에 있어서의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본체부내에 유지시켰을 때(상기 클립을 매달아 놓은 상태로 할 때), 한 쌍의 선단부를, 그 구성선재의 바로 아래에서 어긋난 그물코측에 면한 위치에 위치시키어, 거기에서, 그 한 쌍의 선단부를 갖고서, 덩어리체에 대하여 면접촉하는 경향을 높일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선단부를, 그물코를 통하여 부착 작업을 할 수 있는 부착 시트부(예컨대 부착구멍을 갖는 시트부 등)으로서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선단부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부착 작업의 제1단계로서, 망형상편에 상기 클립을 유지시키 것에 있어서,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한 쌍의 선단부 사이에서 본체부내에 진입시키는 것을 쉽게 할수 있어,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선단부의 간극이 상기 한 쌍의 선단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확대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망형상편에 당해 클립을 유지시킴에 있어서,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한 쌍의 선단부 사이로부터 본체부내에, 보다 진입시키기 쉽게 할 수가 있어, 부착 작업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선단부의 간극은, 상기 한 쌍의 선단부의 기단측에서의 넓어지는 경향 보다도 상기 한 쌍의 선단부의 선단측에 있어서의 넓어지는 경향이 높여 지고 있으므로, 한 쌍의 선단부의 선단측(선단)의 간극에 근거하여,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한 쌍의 선단부 사이에서 본체부내로 극히 용이하게 진입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망형상편의 구성선재가 본체부내에 진입한 후는, 한 쌍의 선단부의 기단측(기단)에 있어서의 간극에 근거하여, 그 구성선재를 빼내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망형상편에 대한 당해 클립의 부착성과 유지성(빠지기 어려움)을 고도로 만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선단부의 간극이, 이 한 쌍의 선단부의 기단를 향함에 따라서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망형상편의 구성선재가 본체부내에 진입한 후, 그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본체부내에서 빼내기 어렵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망형상편에 대한 상기 클립의 유지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가 밖으로 부풀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본체부내에 넣은 상태로, 상기 클립의 자세, 위치 등을 쉽게 변경할 수가 있어, 덩어리체에 대한 한 쌍의 선단부의 부착성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된다.
게다가, 그 본체부의 형상에 의거하여, 본체부를 가지기 쉽게 되어, 이 관점에서,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되접어 꺽기부가, 망형상편의 구성선재의 곡율반경과 대략 같은 곡율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본체부내에 넣은 후, 당해 클립을, 그 본체부에서의 되접어 꺽기부를 망형상편의 구성선재에 덮어 씌운 상태로(되접어 꺽기부를 중심으로 하여) 원활히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선단부의 이동(회동)궤적을 특정할 수가 있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본체부에서의 되접어 꺽기부에서 한 쌍의 선단부까지의 길이를, 그 본체부에서의 되접어 꺽기부를 망형상편의 구성선재에 덮어 씌운 상태하에서 상기 되접어 꺽기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키므로써 한 쌍의 선단부가 망형상편의 어느것 인가의 그물코에 면하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설정할 수가 있는 것으로 되어, 덩어리체에 대한 한 쌍의 선단부의 부착을 그물코를 통하여 확실히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의 뻗는 방향의 길이가 망형상편의 두께 보다도 길게 되어 있으므로, 덩어리체상에 망형상편을 배치하는 부착 작업상태에 있어서, 망형상편의 구성선재에 대하여 당해 클립을 유지시킨 경우에는, 본체부의 되접어 꺽기 양 단부가 그물코에 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덩어리체에 맞닿음하여, 본체부가 경사상태로 되고, 한 쌍의 선단부는, 확실히, 그물코에 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덩어리체에 대한 면접촉 경사를 높게 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선단부를 덩어리체에 대한 부착 시트부로 하여 확실히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와 한 쌍의 선단부가 이루는 경사각도가, 망형상편를 덩어리체상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덩어리체의 윗쪽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본체부를 갖고서 횡단하는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을 때에, 한 쌍의 선단부가 덩어리체에 면접촉 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선단부를 덩어리체에 대한 부착 시트부로서 확실히 이용할 수가 있어, 덩어리체에 대한 한 쌍의 선단부의 부착 작업을 확실 또한 쉽게 할수 있게 된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선단부가 망형상편의 어느것인가의 그물코에 면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덩어리체에 대한 한 쌍의 선단부의 부착 작업을 그물코를 통하여 확실히 행할 수 있어,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부착 작업에 따르는 망형상편의 구성선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가 있게 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구성선재가, 간극을 두고서 인접하는 복수의 구성선재를 포함하므로, 본체부가 1개의 구성선재를 내포하고 있는 경우에 비하여, 망형상편에 의한 상기 본체부의 유지강도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선단부에, 덩어리체와 일체화시키는 고정구를 부착하는 부착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 쌍의 선단부를 부착 시트부로서, 앵커 핀, 볼트 등을 이용하므로써, 상기 한 쌍의 선단부를 덩어리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선단부의 간극이, 이 한 쌍의 선단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본체부가, 밖으로 부풀어 커지도록 형성되어, 본체부의 뻗는 방향의 길이가, 상기 망형상편의 두께보다도 길게 되고, 본체부와 한 쌍의 선단부가 이루는 경사각도가, 망형상편를 덩어리체상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덩어리체의 윗쪽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본체부내를 가로지른 상태로 하여 에워싸 넣을 때에, 한 쌍의 선단부가 덩어리체에 면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청구항 4, 청구항 7, 청구항 9, 청구항 10과 같은 작용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되어, 망형상편에 대한 덩어리체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한 상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되접어 꺽인 상태를 갖고서 형성되어 그 내부가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가로지른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각 되접어 꺽기 단부에 서로 대향 하도록 각각 부착되어 덩어리체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하는 한 쌍의 선단부가 구비되는 클립을 준비하고, 클립의 한 쌍의 선단부 사이에서 본체부내에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관통시키고, 다음에, 덩어리체상에 망형상편를 배치한 상태 하에서, 한 쌍의 선단부를 상기 덩어리에 일체화시키는 것이므로, 부착 작업의 제1단계로서, 클립을 망형상편의 구성선재에 간단하게 유지시켜 놓을 수 있고, 그 후, 망형상편과의 관계를 동시에 고려함 없이, 한 쌍의 선단부를 그물코를 통하여 덩어리체에 대하여 고정할 수가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상기 청구항 1의 클립을 사용하여, 망형상편에 대한 덩어리체의 부착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한 쌍의 선단부에 삽입관통구멍이 형성되어, 한 쌍의 선단부를 덩어리체에 일체화할 때에, 망형상편의 그물코를 통하여, 앵커 핀을, 삽입관통구멍에 삽입관통시키면서, 덩어리체에 미리 형성되는 구멍내에 박아넣어, 상기 앵커핀을 상기 구멍내벽에 걸어맞춤시키므로, 간이하게 또한 신속히, 한 쌍의 선단부를 덩어리체에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덩어리체가 망형상편의 일면측에 고정수단을 통하여 부착되는 토목구축물용 유닛에 있어서, 고정수단이, 되접어 꺽인 상태를 가지고 뻗어 있고 그 내부가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가로지른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각 되접어 꺽기 단부에 서로 대향 하도록 각각 설치되어서 덩어리체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한 쌍의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청구항 1에 관한 클립을 사용하여, 간이하게 또한 신속히 토목구조물용 유닛을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시공현장에서도 쉽게, 토목구축물용 유닛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실시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부호 1은 호안이다. 이 호안(1)은, 그 호안법면(법고(法尻) 등을 포함)(1a)에, 흡출방지시트(2)를 통하여 토목구축물용 유닛(3)을 다수 부설하고 있어, 그 각 토목구축물용 유닛(3)은 인접한 끼리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흡출방지시트(2)는, 미리 상기 호안법면(1a)에 부설되어 토사 등의 흡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고, 그 소재로서는, 어느 정도 부드러운 것이 사용되어 있다.
상기 각 토목구축물용 유닛(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망형상편으로서의 철망(4)에 복수의 덩어리체로서의 자연석(5)이 모조리 부착되어 있다(도 2에 있어서는 일부의 자연석이 생략되어 있다).
철망(4)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전체가 직사각형 형상(예컨대 한변 2m의 정방형)으로 된 마름모꼴 철망으로 되어 있다. 이 마름모꼴 철망(4)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다수 개의 선재(단차를 갖고서 지그재그형상으로 된 것)(6)를 짜맞춤(얽히게함)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철망(4)은, 다수 개의 선재(6)의 일부(절곡까지의 곧은 부분)를 부분적으로 이어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대략 곧게 뻗는 복수의 제1 구획요소(7)와, 같은 구성에 근거하여, 복수의 제1 구획요소(7)에 대하여 교차된 상태를 갖고서 대략 곧게 뻗는 복수의 제2 구획요소(8)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복수의 제1 구획요소(7)는, 서로 평행한 관계를 갖고서 소정 간극 마다에 배설되고, 복수의 제2 구획요소(8)는, 철망(4)의 두께방향에서 소정의 단차(H)(예컨대 2cm 전후)를 갖고서, 서로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소정 간극 마다에 배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체형상으로서, 소정의 단차(H)에 근거하는 소정 두께의 시트 형상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인접하는 제1 구획요소(7)와 인접하는 제2 구획요소(8)와에 근거하여, 마름모꼴의 그물코(4a) (예컨대 한변이 5cm 전후)가 구획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철망(4)은, 복수의 제1 구획요소(7)를 복수의 제2 구획요소(8)보다도 상측에 위치 하도록 하여 호안법면(1a)에 부설되어 있고, 그 철망(4)의 상면측(복수의 제1 구획요소(7)측)이 표면측(일면측)으로 되고, 그 철망(4)의 하면측(복수의 제2 구획요소(8측))이 이면측(다른 일면측)으로 되어 있다.
복수의 자연석(5)으로서는, 옥석, 할석 등의 여러가지의 것이 쓰이고 있다. 이 각 자연석(5)에는, 앵커 핀 박아넣기 용의 구멍(9)(도 3, 도 5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9)의 진입구는, 자연석(5)의 표면에서 외부로 개구되어 있다. 이와같은 복수의 자연석(5)은, 상기 철망(4)의 표면상에 배치되어 있고, 각 자연석(5)의 구멍(9)의 진입구는, 철망(4)의 표면쪽으로 향하고 있다.
철망(4)에 대한 복수의 자연석(5)의 부착에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클립(10)과 앵커핀(11)이 쓰이고 있다.
상기 클립(10)은, 일정폭의 띠 형상의 철판을 가공하므로써 형성되어 있고 (예컨대 폭 2cm 전후, 두께 1. 5mm 전후), 이 클립(10)에는, 아연도금처리 등의 도금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클립(10)는, 본체부(12)와 한 쌍의 선단부(13a, 13b)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12)는, 되접어 꺽인 상태를 가지고 뻗어 있고, 그 본체부(12)는, 그 내부에 있어, 그 뻗는 방향 대략 중앙부가 가장 밖으로 부풀어 커지도록 하여 구획공간(14)을 형성하고 있다. 이 본체부(12)에는, 그 양 되접어 꺽기 단부(12a, 12b)에서, 확대축소 가능한 간극(L1)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간극(L1)은,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외력이 작용하지않을 때에는, 철망(4)의 선재(6)의 직경보다도 작은 간극이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선재(6) (제2구획요소8)가, 일단, 양 되접어 꺽기 단부(12a, 12b) 사이의 간극(L1)으로부터 본체부(12)내에 압입되면, 본체부(12)는, 그 구획공간(14)내에 철망(4)에 있어서의 선재(6)를 가로지른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게 되고, 선재(6)는 양 되접어 꺽기 단부(12a, 12b) 사이의 간극(L1)으로부터 빠지기 어렵게 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각 선단부(13a, 13b)는, 상기 각 되접어 꺽기 단부(12a, 12b)에 각각 연속하여 뻗어 있고, 이 한 쌍의 선단부(13a, 13b)도, 외력이 작용하지 않을 때에는, 간극(L)을 두는 상태로 서로 대향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선단부(13a, 13b)의 간극(L)은, 이 한 쌍의 선단부(13a, 13b)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도록 되어, 선재(6) (제2 구획요소(8))의 직경보다도 길게 되도록 설정되어 있고, 특히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그 한 쌍의 선단부(13a, 13b)의 선단측 간극(L2)에 있어서의 넓어지기 경향은, 상기 한 쌍의 선단부(13a, 13b)의 기단측 간극(L1)에 있어서의 넓어지기 경향보다도 높혀지고 있다. 이에 의해, 철망(4)에 있어서의 선재(6) (제2 구획요소(8))가 한 쌍의 선단부(13a, 13b)의 간극(L)에서 쉽게 들어갈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한 쌍의 선단부(13a, 13b)에는, 앵커 핀(11)(후술)을 부착하는 부착구멍으로서의 삽입관통구멍(15) (예컨대 직경 6mm 정도)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양 삽입관통구멍(15)은 대향되어 배치되어 있고, 그 양 삽입관통구멍(15)에는 앵커 핀(11)이 삽입관통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본체부(12)는, 그 뻗는 방향 길이가 철망(4)의 두께(소정의 단차(H))보다도 약간 길게 되어, 상기 한 쌍의 선단부(13a,13b)와 본체부(12)는, 소정의 경사각도(θ)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다.
본체부(12)의 뻗는 방향 길이가 철망(4)의 두께(소정의 단차(H))보다도 약간 긴 것은, 철망(4)을 자연석(5)상에 배치하여 부착작업을 행한 상태(도 3의 상태)에 있어서, 자연석(5)의 윗쪽 영역에서의 철망(4)의 제2 구획요소(8) (선재(6))를 본체부(12)내를 가로지르도록 하면서 에워싸 넣을 때에, 본체부(12)의 되접어 꺽기 양 단부(12a, 12b)를 그물코(4a)에 면하는 위치에 있어서 자연석(5)에 맞닿음시켜서, 본체부(12)를 경사상태로 하고, 한 쌍의 선단부(13a, 13b)가, 그물코(4a)에 면한 위치에 있어서, 자연석(5)에 대하여 면접촉 경향을 높이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한 쌍의 선단부(13a, 13b)와 본체부(12)가, 소정의 경사각도(θ)를 만들도록 설정하는 것은, 제1 구획요소(7)와 제2 구획요소(8)와의 소정의 단차(H), 본체부(12)의 뻗는 방향 길이를 고려하여, 한 쌍의 선단부(13a, 13b)를, 그물코(4a)에 면한 위치에 있어서 자연석(5)에 면접촉시키어, 한 쌍의 선단부(13a, 13b)를 자연석(5)에 대한 부착 시트부로서 확실하게 이용할 수가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이다.
물론 이 경우, 유지강도를 높이도록, 도 10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부(12)내에 간격을 두고 인접한 복수의 선재(6) (제2 구획요소(8))를 포함하도록 설정하여도 좋다.
상기 앵커 핀(1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미 공지된 바와같이, 걸어맞춤핀(6)과 압입핀(17)을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핀(16)은, 상기한 쌍의 선단부(13a, 13b)에 있어서의 삽입관통구멍(15) 및 자연석(5)에 있어서의 구멍(9)에 삽입가능한 축부(16a)와, 삽입관통구멍(15)보다도 확경된 두부(16b)를 갖고 있고, 이 걸어맞춤핀(16)에는, 축심방향에 있어서 두부(16b)에서 축부(16a) 선단부로 뻗는 삽입구(압입핀(17)를 도시하므로써 도시를 생략)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축부(16a) 선단부에 복수의 확개가능부(16c)가 설치되어 있다. 압입핀(17)은, 상기 걸어맞춤핀(16)의 삽입구에 압입되는 것으로, 그 압입에 의해 걸어맞춤핀 축부(16a) 선단부에 있어서의 복수의 확개가능부(16c) (복수의 슬릿에 의해 형성)가 직경방향 바깥방향으로 눌려서 개방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앵커 핀(11)은, 삽입관통구멍(15), 자연석(5)의 구멍(9)에 삽입관통된 상태로, 그 확개가능부(16c)가 구멍(9)내벽에 걸어맞춤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한 쌍의 선단부(13a, 13b)는, 서로 맞닿음된 상태를 갖고서 자연석(5)에 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도 5참조).
다음에, 상기 클립(10)을 사용한 토목구축물용 유닛(3)의 제조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우선, 철망(4)상에 배치해야 할 복수의 자연석(5)을 평탄한 작업면상에 나란히 깐다.
이 경우, 각 자연석(5)에는, 상기와 같이, 구멍(9)이 미리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9)의 진입구는 윗쪽을 향하게 된다. 물론 이 경우, 복수의 자연석(5)은, 철망(4)내에 배치될 수 있도록, 수, 배치가 결정된다.
다음에, 상기 복수의 자연석(5)의 위에 철망(4)을 덮어 씌운다(도 3의 상태). 복수의 자연석(5)의 위에 철망(4)을 배치하여, 그 철망(4)의 그물코(4a)를 이용하여 부착 작업을 행하기 위해서 이다.
이 경우, 철망(4)은, 복수의 제1 구획요소(7)측이 복수의 자연석(5)(아래쪽)을 향하게 되고, 제2 구획요소(8)는 제1 구획요소(7) 보다도 위쪽에 위치하도록 된다.
다음에,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각 자연석(5)의 상방 영역에 면한 철망(4)에 있어서의 제2 구획요소(8)에 클립(10)을 각각 유지시킨다. 클립(10)과 철망(4)과의 유지관계를 확보함과 동시에, 다음 부착 단계로서, 클립(10)과 자연석(5)과의 일체화를 준비하기 위해서 이다.
이 클립(10)의 유지는, 구체적으로는, 제2 구획요소(8)가 자연석(5)에 맞닿음하지 않고 상기 자연석(5)으로부터 소정의 단차(H)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이용하여, 도 8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2 구획요소(8)를 한 쌍의 선단부(13a, 13b) 사이의 간극(L)에서 본체부(12)내로 넣으므로써 행하여지는 것으로 되어 있고, 이 때, 선단을 향함에 따라 넓어지는 한 쌍의 선단부(13a, 13b)의 넓은 간극(L2)을 이용함과 동시에, 그 선단부(13a) 내면을 가이드면으로서 이용하므로써, 본체부(12)내에 제2 구획요소(8)를 통과시키는 것은 용이하게 된다. 한편, 본체부(12)내에 제2 구획요소(8)가 넣어진 후는, 한 쌍의 선단부(13a, 13b)의 기단측 간극(L1)이 제2 구획요소(8)의 직경 이하의 길이로 좁혀지므로, 제2 구획요소(8)는 본체부(12)내에서 빠지기 어렵게 되고, 철망(4)에 대하여 클립(10)은 확실히 유지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클립(10)의 유지에 있어서, 실제로는 클립(10)을 대략 경사 방향 위쪽에서 이동시키어 본체부(12)내로 제2 구획요소(8)를 진입시키는 것으로 되지만, 도 8에 있어서는, 도시의 편의상, 제2 구획요소(8)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내용을 화살표를 갖고서 간편하게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철망(4)에 대한 클립(10)의 유지가 행하여지고, 클립(10)이 제2 구획요소(8)로부터 매달린 상태로 되면, 본체부(12)의 뻗는 방향 길이가 철망(4)의 두께(소정의 단차H)보다도 길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본체부(12)와 한 쌍의 선단부(13a, 13b)가 소정의 경사각도(θ)를 이루고 있는 것에 근거하여, 본체부(12)는,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철망(4)과 자연석(5)과의 사이에 있어서 경사상태로 되고, 이에 따라, 한 쌍의 선단부(13a, 13b)는 자연석(5)에 면접촉하는 것으로 된다. 더구나 이 때, 한 쌍의 선단부(13a, 13b)(삽입관통구멍(15))은 철망(4)의 그물코(4a)에 면하고, 한 쌍의 선단부(13a, 13b) 에 대한 부착 작업을 그물코(4a)를 통하여 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도 9참조).
또한, 도 9에 있어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제1 구획요소(7)는 생략되어 있다.
다음에, 앵커 핀(11)을 박아넣는 것에 의해 각클립(10)의 한 쌍의 선단부(13)를 각 자연석(5)에 일체화 시킨다. 클립(10)과 자연석(5)과의 유지관계를 확보하고, 클립(10)을 통하여 자연석(5)을 철망(4)에 부착하기 위해서 이다.
상기 앵커 핀(11)의 박아넣기는, 구체적으로는, 우선, 걸어맞춤핀(16)을, 그물코(4a)를 통하여 한 쌍의 선단부(13a, 13b)에 있어서의 삽입관통구멍(15) 및 자연석(5)의 구멍(9)에 삽입관통시키고, 계속하여, 걸어맞춤핀(16)의 삽입구에 압입핀(17)을 삽입하고, 그 압입핀(17)을 해머 등(도시 생략)을 이용하여 압입한다. 이것에 의해, 걸어맞춤핀(16)에 있어서의 축부(16a) 선단부의 확개가능부(16c)가 바깥쪽으로 눌려 개방되는 것으로 되고, 그 확개가능부(16c)는 자연석(5)에 있어서의 구멍(9) 내벽에 걸어맞춤하는 것으로 된다. 이 결과, 클립(10)은 자연석(5)에 일체화하는 것으로 되고, 자연석(5)을 유지한 철망(4)(토목구축물용 유닛(3))을 얻을 수 있게 된다(도 5참조).
이 때, 클립(10)에 있어서의 한 쌍의 선단부(13a, 13b)의 삽입관통구멍(15)이 자연석(5)의 구멍(9)에 대하여 어긋나 있는 경우에는, 주로, 클립(10)의 구획공간(14)을 이용하여 위치조정이 행하여 진다. 물론 이밖에, 철망(4), 자연석(5)의 어느것인가를 또는 그것들을 복합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위치조정을 행하더라도 좋다.
따라서, 상기 토목구축물용 유닛(3)에 있어서는, 철망(4)의 제2 구획요소(8)를 한 쌍의 선단부(13a, 13b) 사이의 간극(L2)으로부터 본체부(12)내로 진입시키는 것만으로, 클립(10)을 철망(4)의 제2 구획요소(8)에 유지할 수 있고, 그 후, 철망(4)과의 관계를 동시에 고려하지 않고 한 쌍의 선단부(13a, 13b)를 자연석(5)에 고정할 수 있게 되고, 철망(4)의 선재 사이에 걸치도록 와셔를 대면서 다섯개 볼트를 와셔 및 철망에 대하여 관통시키어 자연석에 나사맞춤하는 경우와 같이, 철망(4) (선재), 자연석, 와셔 등의 적확한 위치를 동시에 고려하면서 부착 작업을 행할 필요는 없게 된다. 물론 이 경우, 클립(10)은, 엷더라도, 철망(4)에 대하여 충분한 유지력을 확보하는 것으로 된다.
또한, 클립(10)은, 유지된 제2 구획요소(8)와 본체부(12)(내면)와의 관계에 의해, 이동이 규제되기까지의 범위에 있어서, 회동시키거나, 제2 구획요소(8)를 따라서 이동시키거나 할 수가 있어, 자연석(5)의 구멍(9)에 대한 한 쌍의 선단부(13a, 13b)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1은 제2 실시형태, 도 12는 제3 실시형태, 도 13은 제4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요소에 관하여는 동일부호를 붙이어 그 설명을 생략 한다.
도 11에 도시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삽입핀(18)과 접착제(19)가 사용되고 있다. 삽입핀(8)은, 축부(18a)가 중실의 봉형상으로 되고, 그 선단부 외주에는 복수의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제(19)는, 자연석(5)의 구멍(9)내에 삽입핀(18)을 삽입하기 전에, 그 구멍(9)내에 주입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그 접착제(19)를 주입후, 자연석(5)의 구멍(9)내에 삽입핀(18)이 삽입되는 것으로 된다. 이에 의해, 단순히 자연석(5)의 구멍(9)내에 접착제(19)를 주입하여 삽입핀(18)을 삽입만 하면, 삽입핀(8)(축부(18a))과 구멍(9) 내벽이 접착제(19)를 통하여 접착될 뿐만아니라, 경화 후의 접착제(19)와 축부(18a)의 홈(20) 내벽이 걸어맞춤하여 공고히 삽입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 경우, 축부(18a)를 선단이 개구하는 통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구멍(9)내에 축부(18a)를 삽입하는 데 있어서, 여분의 접착제(19)를 축부(18a)내로 흘러들어갈 수 있게 되어, 접착제(19)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밖에, 덩어리체(자연석(5), 클립 등)에 대한 클립(10)의 부착 방법으로서, 앵커 핀(11)에, 복수의 슬릿을 갖는 축부(16a) 선단부에 쐐기를 끼워맞춤한 것을 사용하여, 그 앵커 핀(11)을 자연석(5)의 구멍(9)내로 박아넣는 것에 의해, 쐐기에 의해 확개가능부(16c)를 확개시키고, 그 확개가능부(16c)를 구멍(9) 내벽에 걸어맞춤 시키는 방법, 콘크리트 블럭, 자연석(5) 등내에 너트를 매설하여, 그 너트에, 삽입관통구멍(15)을 삽입관통시킨 볼트를 나사맞춤하는 방법 등, 각종의 것을 적의 이용해도 좋다.
도 12에 도시하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본체부(12)의 되접어 꺽기부(12c)가, 철망(4)의 선재(제2 구획요소(8))의 곡율반경과 대략 같은 곡율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본체부(12)의 되접어 꺽기부(12c)를 제2 구획요소(8)에 덮어 쒸우므로써, 그 되접어 꺽기부(12c)를 중심으로하여 원활히 회동시키는 것이 가능함과 동시에, 그물코(4a)에 한 쌍의 선단부(13a, 13b)를 면하게 하는 길이를 확실히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도 12중, 화살표참조).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보기 쉽게 하기위해서, 제1 구획요소(7)는 생략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하는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철망(4)으로서, 선재를 비틀어 연결한 거북등철망이 이용되고 있다. 이 철망에 의하면, 인장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고, 복수의 자연석(5)을 배치하여 들어 올린 경우이더라도, 선재(6)가 뻗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이러한 철망(4)은, 물론, 클립(10)을 이용하지 않고서 덩어리체로서의 자연석(5)을 부착하는 경우에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클립(10)을 사용하여 자연석(5)을 이 철망(4)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철망(4)의 두께가 실질적으로 선재의 직경으로 되므로, 그것을 고려하여, 본체부(12)와 한 쌍의 선단부(13a, 13b)와의 경사각도(θ)가 설정된다.
이상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하였는 데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양태를 포함한다.
1) 덩어리체로서, 자연석(5)을 대신하여 의석(凝石), 콘크리트 블록 등을 사용하는 것.
2) 망형상편으로서, 마름모꼴 철망, 거북등 철망에 한하지 않고, 철근철망, 평행하게 배설된 복수의 철근(제1 구획요소(7))의 위에 별도의 복수의 철근(제2 구획요소(8))을 교차시키도록 배설하여 그것들을 결합하여서 격자상으로 한 것 등을 적의 사용하는 것.
3) 한 쌍의 선단부(13)의 기단측에 있어서의 간극(L1)을 없애고(서로 맞닿음시켜서), 선재를 본체부(12)내에 수납한 후, 상기 선재가 본체부(12)로부터 빠지지 않게 하도록 하는 것.
4) 복수의 자연석(5)상에 철망(4)을 배치한 후, 클립(10)를 그 철망(4)에 유지시키는 양태에 대신하여, 미리 철망(4)에, 자연석 배치 예정위치에 있어서의 클립(10)을 각각 유지시키어 놓고, 그와 같은 철망(4)을 상기 복수의 자연석(5)상에 배치하는 것. 이에 의해, 작업의 효율화를 꾀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5) 한 쌍의 선단부(13a, 13b)와 본체부(12)가 이룬 경사각도(θ)를 직각으로 하는 것.
6) 클립(10)을 가요성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 이에 의해, 한 쌍의 선단부(13a, 13b)가 자연석(5)과 잘 어울려지게 한 상태로 일체화할 수가 있는 것으로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명기된 것에 한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바람직한 혹은 이점으로서 기재된 것에 대응한 것을 제공하는 것도 포함하고 있다.

Claims (17)

  1. 망형상편에 덩어리체를 부착하기위한 클립에 있어서,
    되접어 꺽인 상태를 가지고 뻗어 있고, 그 내부가 상기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횡단하는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각 되접어 꺽기 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덩어리체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한 쌍의 선단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선단부가, 경사각도를 이루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단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단부의 간극이, 이 한 쌍의 선단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단부의 간극은, 이 한 쌍의 선단부의 기단측에서 넓어지는 경향 보다도 이 한 쌍의 선단부의 선단측에서 넓어지는 경향이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단부의 간극이, 이 한 쌍의 선단부의 기단을 향함에 따라서 좁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가, 밖으로 부풀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되접어 꺽기부가, 상기 망형상편의 구성선재의 곡율반경과 거의 같은 곡률반경을 갖는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뻗는 방향 길이가, 상기 망형상편의 두께보다도 길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선단부가 이루는 경사각도가, 상기 망형상편을 상기 덩어리체상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이 덩어리체의 상방영역에서의 상기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상기 본체부를 갖고서 횡단한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을 때에, 상기 한 쌍의 선단부가 상기 덩어리체에 면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단부가, 상기 망형상편의 어느 것인가의 그물코에 면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성선재가, 간격을 두고 인접한 복수의 구성선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단부에, 상기 덩어리체와 일체화시키는 고정구를 부착하는 부착구멍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단부의 간극이, 이 한 쌍의 선단부의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넓어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본체부가, 밖으로 부풀어 커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의 뻗는 방향 길이가, 상기 망형상편의 두께보다도 길게 되고,
    상기 본체부와 상기 한 쌍의 선단부가 이루는 경사각도가, 상기 망형상편을 상기 덩어리체상에 배치한 상태에 있어서, 이 덩어리체의 상방영역에서의 상기 망형상편의 구성선재가 상기 본체부내로 횡단한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을 때에, 상기 한 쌍의 선단부가 상기 덩어리체에 면접촉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
  15. 되접어 꺽인 상태를 갖고서 형성되어 그 내부가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횡단한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각 되접어 꺽기 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덩어리체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한 쌍의 선단부가 구비되는 클립을 준비하고,
    상기 클립의 한 쌍의 선단부 사이에서 본체부내로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관통시키고,
    다음에, 덩어리체상에 망형상편을 배치한 상태 하에서, 상기 한 쌍의 선단부를 상기 덩어리체에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의 사용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선단부에 삽입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선단부를 덩어리체에 일체화할 때에, 상기 망형상편의 그물코를 통하여, 앵커 핀을, 상기 삽입관통구멍에 삽입관통시키면서, 상기 덩어리체에 미리 형성되는 구멍내로 박아넣어서, 상기 앵커 핀을 상기 구멍내벽에 걸어맞춤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립의 사용방법.
  17. 복수의 덩어리체가 망형상편의 일면측에 고정수단을 통하여 부착되어 있는 토목구축물용 유닛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이, 되접어 꺽인 상태를 가지고 뻗어 있고 그 내부가 상기 망형상편의 구성선재를 횡단한 상태로 하면서 에워싸 넣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각 되접어 꺽기 단부에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설치되어 상기 덩어리체에 대하여 고정하기 위한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한 쌍의 선단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목구축용 유닛.
KR1019990057417A 1999-10-25 1999-12-14 클립, 클립의 사용방법 및 토목구축물용 유닛 KR200100394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272599A JP2001124020A (ja) 1999-10-25 1999-10-25 クリップ、クリップの使用方法及び土木構築物用ユニット
JP99-302725 1999-10-2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9493A true KR20010039493A (ko) 2001-05-15

Family

ID=17912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7417A KR20010039493A (ko) 1999-10-25 1999-12-14 클립, 클립의 사용방법 및 토목구축물용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124020A (ko)
KR (1) KR200100394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93235A (ja) * 2008-06-04 2009-12-17 Honda Corporation:Kk 鉄筋コンクリート用スペーサ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567A (en) * 1989-06-01 1990-04-24 Sample Jay W Subsurface dune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JPH0358521A (ja) * 1989-07-27 1991-03-13 Fujitsu General Ltd 衛星放送受信機の切換装置
JPH0649823A (ja) * 1992-07-27 1994-02-22 Mitsui Constr Co Ltd 石材固定構造
JPH07127036A (ja) * 1993-11-08 1995-05-16 Seibu Polymer Corp 土砂吸出防止用土木シート
JPH07138386A (ja) * 1993-11-12 1995-05-30 Nippon Petrochem Co Ltd 遮水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遮水シート
JPH08158344A (ja) * 1994-11-17 1996-06-18 Fukuhou:Kk 自然石を用いた護岸施工方法
JPH09195245A (ja) * 1995-11-15 1997-07-29 Kankyo Kogaku Kk 護岸施工用自然石、自然石保持ユニット及び護岸施工用自然石の使用方法
JPH10280360A (ja) * 1997-04-02 1998-10-20 Kyowa Concrete Ind Co Ltd 塊体を連設したマッ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9567A (en) * 1989-06-01 1990-04-24 Sample Jay W Subsurface dune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JPH0358521A (ja) * 1989-07-27 1991-03-13 Fujitsu General Ltd 衛星放送受信機の切換装置
JPH0649823A (ja) * 1992-07-27 1994-02-22 Mitsui Constr Co Ltd 石材固定構造
JPH07127036A (ja) * 1993-11-08 1995-05-16 Seibu Polymer Corp 土砂吸出防止用土木シート
JPH07138386A (ja) * 1993-11-12 1995-05-30 Nippon Petrochem Co Ltd 遮水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遮水シート
JPH08158344A (ja) * 1994-11-17 1996-06-18 Fukuhou:Kk 自然石を用いた護岸施工方法
JPH09195245A (ja) * 1995-11-15 1997-07-29 Kankyo Kogaku Kk 護岸施工用自然石、自然石保持ユニット及び護岸施工用自然石の使用方法
JPH10280360A (ja) * 1997-04-02 1998-10-20 Kyowa Concrete Ind Co Ltd 塊体を連設したマ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1124020A (ja) 2001-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22008T2 (de) Hinterschnittenes verankerungselement zur befestigung von platten und/oder fliesen
CH698304B1 (de) Drahtseilanker, insbesondere für Steinschlag- oder Lawinenschutzverbauungen.
KR20010039493A (ko) 클립, 클립의 사용방법 및 토목구축물용 유닛
KR102009686B1 (ko) 사면 보강용 와이어넷 조립체
JP2007016544A (ja) 法面保護工及びネット固定装置
JP2010196460A (ja) 斜面保護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網状体並びに斜面保護構造体
KR100413879B1 (ko) 토목구축물용유니트,토목구축물용유니트의제조방법및토목구축물
KR100371215B1 (ko) 토목구축물용 유니트, 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고정구,토목구축물용 유니트의 제조방법 및 토목구축물
JP4051279B2 (ja) 自然石固定装置
JP4024688B2 (ja) 金網固定金具
DE10135909A1 (de) Zaun
US6247501B1 (en) Clip-on stirrup mat
US7162843B2 (en) Bolts with connected anchor
JP2011102471A (ja) ネットフェンス
KR200400432Y1 (ko) 경계용 휀스의 망고정용 프레임
EP0833014B1 (de) Bewehrungsanordnung für ein Mauerwerk
JP6674843B2 (ja) アンカー
AT402833B (d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firstabdeckungen am dachfirst einer dacheindeckung
EP0451459A2 (de) Rohrbügel
KR200268100Y1 (ko) 걸림홈과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 로프 고정구
JP2009041348A (ja) アンカー用受圧装置
KR200141791Y1 (ko) 토목용 낙석보호망 고정구
ES2364001T3 (es) Marco para el alojamiento de una cubierta.
JP2008169627A (ja) トンネル覆工内面の剥落防護構造
JP2015052233A (ja) アンカー、固定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獣害防止用フェンス、および上記アンカーを用いた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