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614B1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08614B1 KR100408614B1 KR10-2001-0018133A KR20010018133A KR100408614B1 KR 100408614 B1 KR100408614 B1 KR 100408614B1 KR 20010018133 A KR20010018133 A KR 20010018133A KR 100408614 B1 KR100408614 B1 KR 1004086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ing device
- imaging
- substrate
- optical element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0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2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5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0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169 thermo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4416 thermosoftening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2447 hatch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49 size re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800 void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355 external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882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59 cover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42 deterio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4 integ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61 region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493 shap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92 thermoplas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18—Contain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2—Elements optimising image sensor operation, e.g. for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EMI] protection or temperature control by heat transfer or cooling ele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1—Disposition
- H01L2224/4815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 H01L2224/48221—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 H01L2224/48245—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 H01L2224/48247—Connecting between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and an item not being a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e.g. chip-to-substrate, chip-to-passive the body and the item being stacked the item being metallic connecting the wire to a bond pad of the ite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4—Connecting portions
- H01L2224/48463—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ball bond
- H01L2224/48465—Connecting portions the connecting portion on the bonding area of the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y being a ball bond the other connecting portion not on the bonding area being a wedge bond, i.e. ball-to-wedge, regular stitc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고정 초점식의 저렴한 촬상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판(1)에 개구부(1a)를 형성한다. 광학 신호를 수광하는 수광면(2a)을 포함하는 평면으로 그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촬상 소자(2)를 기판(1)에 고정한다. 수광면(2a)에 광학 정보를 제공하는 결상 렌즈부(3a)를 갖는 광학 소자(3)를 장착한다. 광학 소자(3)는 기판(1)의 개구부(1a)를 통해서 촬상 소자(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촬상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하는 데 있어서 적합한 소형의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70은 일본 특허 공개 평6-85222호 공보에 개시되는 종래의 촬상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2는 촬상 소자, 22는 리드 프레임, 10은 주변 소자이다. 촬상 소자(2)와 주변 소자(10)는 아이 랜드(31)의 상하에 입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도70에 있어서, 도면 부호 11은 촬상 소자(2) 및 주변 소자(10)를 각각 리드 프레임(22)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와이어 본딩용 와이어이고, 23은 예비 주형이다. 예비 주형(23)의 촬상 소자(2)측은 광학 경로를 확보하기 위해서 개구되어 있다. 32는 차광성 액체이고, 접착제에 의해 예비 주형(23) 상에 도면과 같이 고정되어 있다.
종래의 촬상 장치는 도시되지 않은 별개의 부재의 렌즈를 구비하고 있다. 광학 정보는 그 별개의 부재의 렌즈 및 차광성 액체(32)를 통과하여 고체 촬상 소자(2) 상에 결상된다. 결상된 광학 정보는 고체 촬상 소자(2)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 주변 소자(10)는 촬상 장치의 기종에 따라서 적당한 기능을 발휘한다. 여기서는 주변 소자(10)의 기능이 종래 기술의 특징은 아니므로, 그 동작 설명은 생략한다.
도70에 도시한 종래의 촬상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주변 소자(10)와 촬상소자(2)를 다른 패키지로 할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상기 종래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이들이 각각의 패키지에 장착되는 경우에 비해, 장착 기판 상에 요구되는 면적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비디오 카메라 등의 휴대 단말 기기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도71은 일본 특허 공개 평10-32323호 공보에 개시된 종래의 촬상 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71에 있어서, 도면 부호 33은 리드 전극, 2는 촬상 소자, 3은 결상 렌즈부(3a)와 렌즈 부착부가 일체로 된 광학 소자, 10은 촬상 소자(2)의 이면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된 주변 소자이다. 광학 소자(3)의 렌즈 부착부의 하면에는 금속성 전극막(34)이 구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2)의 전극과 리드 전극(33)은 그 금속성 전극막(34)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또한 일체화되어 있다. 주변 소자(10)와 리드 전극(33)은 와이어 본딩용 와이어(11)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71에 도시한 종래의 촬상 장치에서는 주변 소자(10)가 촬상 소자(2)의 이면에 접착제를 거쳐서 직접 접착되어 있다. 이로 인해, 도71에 도시한 촬상 장치에서는 도70에 도시한 종래의 촬상 장치(일본 특허 공개 평6-85222호에 개시되는 장치)에 있어서 필요로 하는 아이 랜드부가 불필요하다. 이에 의해, 도71에 도시한 구성에 따르면, 도70에 도시한 구성을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촬상 장치를 한층 더 소형화할 수 있다.
도72는 일본 특허 공개 평9-283569호 공보에 개시되는 종래의 촬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동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2는 촬상 소자, 2a는 촬상 소자(2)의 수광면을 그 이면으로부터 본 투시 위치를 나타낸다. 8은 이방성 도전 시트이며,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을 피복하지 않도록 중앙부가 절취된 형상으로 되어 있다. 35는 투광성 회로 기판이며, 그 표면에는 단자부(35a)가 배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2)는 이방성 도전 시트(8)를 거쳐서 플립 칩 장착 방식에 의해 단자부(35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면서 표면이 아래를 향하게 하여(페이스 다운) 회로 기판(35)과 일체화되어 있다.
도72에 도시한 촬상 장치에 있어서도 렌즈부는 생략되어 있지만, 이 촬상 장치에서는 광학 정보는 투광성 회로 기판(35) 및 이방성 도전 시트(8)의 중앙부(절취된 부분)를 통과하여 촬상 소자(2) 상에 결상된다. 도72에 도시한 종래의 촬상 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2)를 플립 칩 장착 방식으로 회로 기판(35)에 접속함으로써 소형화를 실현하고 있다.
또, 이상의 종래 기술의 설명에서는 각 공보에 기재된 장치를 약도화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의 설명과 정합시키기 위해, 각 부의 부호 및 명칭을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호 및 명칭에 일치시키고 있다.
도70 또는 도72에 도시한 종래의 촬상 장치는 결상 렌즈부가 촬상 소자(2)를 포함하는 유닛과 별개의 부재이므로, 촬상 장치로서 기능하려면 렌즈 부품을 별도로 조립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 경우 광학 정보를 정확하게 결상시키기 위해서는 초점을 조정하는 기구를 렌즈에 설치하고, 렌즈의 조립시에 초점 거리를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초점 조정 기구는 촬상 장치의 외형 크기에 영향을 미치며, 그 소형화를 방해하는 요인이 된다.
도71에 도시한 촬상 장치에서는 결상 렌즈부와 렌즈 부착부가 일체의 성형 부품으로서 결상 렌즈를 구성하고 있으므로, 렌즈 부품을 별도로 조립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 촬상 장치에서는 렌즈 부착부의 하면에 금속성 전극을 구성하는 등의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여 가공 비용이 높고, 그 가격을 억제하는 것이 곤란했다. 또한, 촬상 소자(2)의 주위 엣지부에 렌즈 부품이 조립되므로, 촬상 소자(2)에 결함 등이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도 갖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결상 렌즈부를 포함하는 고정 초점식의 광학 소자를 간단하게, 그리고 공정 품질을 안정시키면서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저렴한 촬상 장치를 얻는 것을 제1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특성과 함께 촬상 기기의 촬상 성능을 개선하는 기능을 갖는 소형의 촬상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2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단면 이미지도.
도2a 내지 도2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 이미지도.
도3a, 도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 이미지도.
도4a, 도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 이미지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단면 이미지도.
도6a, 도6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광학 소자의 이미지도.
도7a, 도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다른 광학 소자의 예의 이미지도.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다른 촬상 장치의 예의 단면 이미지도.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단면 이미지도.
도10a, 도1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단면 이미지도.
도11a, 도11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단면 이미지도.
도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다른 촬상 장치의 예의 단면 이미지도.
도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단면 이미지도.
도15a, 도15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1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18a, 도18b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2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다른 촬상 장치의 예의 단면 이미지도.
도21a 내지 도21f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응용예의 단면
이미지도.
도22a, 도22b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단면 이미지도.
도23a, 도23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이미지도.
도24a, 도24b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25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이미지도.
도26a, 도26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27a, 도27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광학 소자를 도시한 이미지도.
도28a, 도28b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29a, 도29b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이미지도.
도30a 내지 도30c는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31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32는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이미지도.
도33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의 다른 촬상 장치의 예의 이미지도.
도34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이미지도.
도35a, 도35b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36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이미지도.
도37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38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39a, 도39b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이미지도.
도40a, 도40b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41a, 도41b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필름형 기판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42a, 도42b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이미지도.
도43a, 도43b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광학 소자의 이미지도.
도44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광학 소자의 구조 이미지도.
도45a, 도45b는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46은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상세 이미지도.
도47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이미지도.
도48a, 도48b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49a 내지 도49d는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및 단면 이미지도.
도50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51a, 도51b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이미지도.
도52a, 도52b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53a, 도53b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54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55는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작용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56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이미지도.
도57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다른 예의 이미지도.
도58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다른 예의 이미지도.
도59a, 도59b는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다른 예의 이미지도.
도60은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다른 예의 이미지도.
도61a, 도61b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예비 주형 패키지를 도시한 이미지도.
도62a 내지 도62d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63a 내지 도63c는 본 발명의 제19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 및 그 작용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64는 본 발명의 제20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 이미지도.
도65a 내지 도65c는 본 발명의 제20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소켓 부품을 도시한 이미지도.
도66a, 도66b는 본 발명의 제20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소켓 부품의 다른 예를 도시한 이미지도.
도67은 본 발명의 제21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소켓 부품 및 그 작용을 도시한 사시 이미지도.
도68은 본 발명의 제22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단면 이미지도.
도69a 내지 도69c는 본 발명의 제22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소켓 부품을 도시한 이미지도 및 단면 이미지도.
도70은 종래 기술의 촬상 장치의 일예를 도시한 단면 이미지도.
도71은 다른 종래 기술의 촬상 장치의 예를 도시한 단면 이미지도.
도72는 다른 종래 기술의 촬상 장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 이미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판
1a : 기판의 개구부
1b : 기판 상의 회로 패턴
2 : 촬상 소자
2a : 촬상 소자의 수광면
2b : 촬상 소자의 입출력 단자
3 : 광학 소자
3a : 결상 렌즈부
3b : 기준면
3c : 고정용 볼록부
3d : 접착면
3e : 고정용 게이트부
4 : 범프 전극
5 : 접착제
6 : 열가소성 접착제
7 : 촬상 소자용 밀봉 수지
8 : 이방성 도전 시트
9 : 광학 소자용 밀봉 수지
10, 13 : 주변 소자
11 : 와이어
12 : 공동
14 : 필름형 기판
14a : 필름형 기판의 개구부
14b : 필름형 기판의 랜드부
14c : 필름형 기판의 회로 패턴부
15, 19 : 밀봉 수지
16 : 휴대 단말 기기 하우징
16a : 휴대 단말 기기 하우징의 개구부
17, 25 : 휴대 단말 기기의 기판
18 : 탄성 접착제
20 : 전파 실드재
21 : 접착제
22 : 리드 프레임
22a, 22b : 단부의 리드 프레임
23 : 예비 주형
23a : 예비 주형의 개구부
24 : 표시부
26 : 촬상 장치
27 : 사용자의 시점
28 : 회로 기판
28a : 기판의 회로 패턴
29 : 소켓 부품
29a : 소켓 부품의 회로 패턴
29b : 소켓 부품의 개구부
29c : 위치 결정용 볼록부
30 : 주 기판
30a : 주 기판의 회로 패턴
30b : 위치 결정용 오목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판에 장착되는 촬상 소자와 그 촬상 소자의 수광면에 광학 정보를 제공하는 결상 렌즈부를 갖는 광학 소자를 일체로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
상기 기판은 개구부를 갖고,
상기 촬상 소자는 상기 수광면을 포함하는 면으로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촬상 소자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촬상 장치로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촬상 소자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광학 소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기판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광학 정보를 수광하여 촬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데이타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용 주변 소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
개구부를 갖는 기판을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주변 소자는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촬상 소자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주변 소자로 형성된 공동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도1 내지 도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1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2는 수광면(2a)을 갖는 촬상 소자, 3은 결상 렌즈부(3a)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 4는 촬상 소자(2)의 단자 상에 설치된 전극의 범프이다. 촬상 소자(2)는 기판(1)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형태로 아래를 향해서 장착되고, 범프(4)에 의해 기판(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광학 소자(3)는 기판(1)의 개구부 내의 공간에서 촬상 장치(2)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다음에, 도2a 내지 도4b를 참조하여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a는 기판(1)과 촬상 소자(2)가 조립되기 전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a에 있어서, 도면 부호 1a는 기판(1)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도2b는 기판(1)을 도2a에 있어서의 촬상 소자(2)측으로부터 본 평면도(이하, 이 면을「이면」이라고 함)이다. 동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에는 회로 패턴(1b)이 형성되어 있다.
도2c는 촬상 소자(2)를 도2a에 있어서의 상부로부터 본 평면도이다. 동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2)에는 수광면(2a)과 입출력 단자(2b)가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 상의 회로 패턴(1b)과 촬상 소자(2) 상의 입출력 단자(2b)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구성되어 있다. 또, 기판(1) 상의 개구부(1a)는 촬상 소자(2)의 외형보다 작고, 또한 수광면(2a)보다 커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3a는 촬상 소자(2)가 개구부(1a)를 폐색하는 형태로 아래를 향해서 기판(1)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3b는 도3a에 도시한 촬상 소자(2)와 기판(1)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2)는 기판(1)의 개구부(1a)의 주변부와 중합되는 부분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기판(1)의 개구부(1a)의 치수와촬상 소자(2)의 수광면(2a)의 치수의 관계는 도2a 내지 도2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수광면(2a)과 개구부(1)는 중합되지 않으며, 수광면(2a)은 기판(1)의 영향을 받지 않고 광학 정보를 수광할 수 있다.
또, 기판(1)과 촬상 소자(2)가 중합되는 부분에 있어서, 기판(1) 상의 회로 패턴(1b)과 촬상 소자(2) 상의 입출력 단자(2b)는 ACF(이방성 도전 시트) 등을 사용한 FCB(플립 칩 본딩) 장착 방식 등으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FCB 장착 방식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본질과는 다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는데,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ACF를 사용한 FCB 장착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ACF의 교체에 ACP(이방성 도전 페이스트) 등을 사용하여 전기적인 결합을 형성해도 되고, 또는 ACF나 ACP 등을 사용하지 않고 촬상 소자(2)의 입출력 단자(2b) 상에 설치한 범프(4)와 기판(1)의 회로 패턴(1b)을 접촉시킴으로써, 또는 초음파 병용에 의한 용접을 행함으로써 전기적인 결합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전기적인 결합을 형성해야 하는 부분의 패턴 사이의 피치에 여유가 있으면, 결합을 형성해야 하는 부분만을 도전성 접착제로 결합시켜도 된다.
도4a는 기판(1)과 촬상 소자(2)와 광학 소자(3)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4b는 도3a, 도3b에 도시한 구조물에 광학 소자(3)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 도4b에 도시한 구조물을 단면도로 나타낸 것이 도1이다. 여기서, 광학 소자(3)는 기판(1)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a)를 통해서 촬상 소자(2)의 상면 부분,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광부(2a) 이외의 부분에 접촉하도록 조립된다.
도70에 도시한 종래의 촬상 장치는 실질적으로 기판 상에 촬상 소자와 광학 소자를 구비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그 최저 두께는 촬상 소자(2)의 두께, 초점 거리의 높이, 및 기판(1)의 두께에 의해 결정되고 있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광학 소자(3)의 결상 렌즈부(3a)와 촬상 소자(2)의 사이에 기판(1)이 위치하는 구조로 되므로, 그 최저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광학 소자(3)가 기판(1)의 개구부(1a)를 통해서 촬상 소자(2)의 상면이 기준면이 되도록 조립된다. 이에 따라, 광학 소자(3)에 고정되어 있는 결상 렌즈부(3a)와 촬상 소자(2) 상에 구성되어 있는 수광면(2a)의 높이 방향의 정밀도, 즉 소위 초점 정밀도를 특별한 초점 조정 기구 등을 설치하지 않고, 또한 특별한 초점 조정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안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그 점에 있어서도 종래의 장치에 비해 소형화에 적합하고, 또한 종래의 장치에 비해 제조 공정을 간단화할 수 있다는 잇점을 갖고 있다.
또, 도71에 도시한 종래의 촬상 장치는 촬상 소자(2)와 리드 전극(33)의 접속을 확보하기 위해서, 금속성 전극막(34)을 포함하는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기판(1)과 촬상 소자(2)를 적층시키는 것만으로 촬상 소자(2)에 실시하고자 하는 소망의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종래의 장치에 비해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고 있다.
또,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1)의 회로 구성의 예를 도2a 내지 도2c를 참조하여 설명했는데, 그 회로 구성은 도2a 내지 도2c에 도시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다층 회로 기판이 사용되는 경우도 제1 실시 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도5 내지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5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2는 수광면(2a)을 갖는 촬상 소자, 3은 결상 렌즈부(3a)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 3c는 광학 소자(3)에 형성된 광학 소자 고정용 볼록부이다. 광학 소자(3)와 기판(1)은 광학 소자 고정용 볼록부(3c)에 도포된 접착제(5)에 의해서 접착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도6a는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광학 소자(3)의 평면도(좌측), 측면도(중앙), 및 저면도(우측)를 도시한다. 또, 도6b는 광학 소자(3)의 저면도에, 광학 소자(3)와 촬상 소자(2)가 접촉하는 부분을 해칭으로 추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3a는 결상 렌즈부, 3b는 촬상 소자(2)와 접촉하는 기준면, 3c는 촬상 소자(3)의 주위에 형성된 고정용 볼록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학 소자(3)는 도5에 도시한 상태로 조립되었을 때 그 기준면(3b)이 촬상 소자(2)에 접촉하고, 또한 그 고정용 볼록부(3c)가 기판(1)과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광학 소자(3)는 도5에 도시한 상태로 조립되었을 때, 고정용 볼록부(3c)와 기판(1)이 접촉함으로써 기준면(3b)과 촬상 소자(2)의 상면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학 소자(3)는 도6b에 사선부로 도시한 기준면(3b), 즉 촬상 소자(2)와 접촉하는 기준면(3b)이 결상 렌즈부(3a)를 통해서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에 도달하는 광학 정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장치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촬상 소자(2)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광학 소자(3)의 높이 방향의 정밀도를 유지하면서 조립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에 따라, 광학 소자(3)에 고정되어 있는 결상 렌즈(3a)와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의 높이 방향의 정밀도, 즉 소위 초점 정밀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소자(3)와 기판(1)을 접착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고정 초점을 이용한 소형 촬상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학 소자(3)는 촬상 소자(2)의 상면을 기준으로 설정하면서 기판(1)과 접착 일체화된다. 이에 따라, 접착제의 두께의 편차에 따른 초점 방향의 조립 정밀도의 편차를 해소할 수 있고, 공정 품질의 향상과 생산 라인에서의 실패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소자(3)의 기준면(3b) 및 고정용 볼록부(3c)의 예를 도6a, 도6b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그 형상은 도6a 및 도6b에 도시한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은 형상이라도 좋다.
즉, 고정용 볼록부(3c)는 기준면(3b)이 촬상 소자(2)의 상면에 접촉하여 높이 방향의 기준을 설정한 상태에 있어서, 그 높이 방향의 위치 관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기판(1)과 접착 일체화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또, 기준면(3b)은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에 도달하는 광학 정보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또한 촬상 소자(2)의 상면을 기준으로 높이 방향의 조립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된다.
또,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용 볼록부(3c)가 광학 소자(3)의 주위에 연속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처럼 설명되어 있지만, 고정용 볼록부(3c)는 광학 소자(3)의 주위에 불연속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7a,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용 볼록부(3c)를 형성하지 않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소자(3)의 측면을 기판(1)에 접착하는 것에 의해서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다음에, 도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인 광학 소자 일체형 촬상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9에 있어서 도5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와 도5에 도시한 촬상 장치의 다른 점은 광학 소자(3)와 기판(1)을 접착하는 접착제로서 열가소성 접착제(6)를 사용함으로써, 그 조립 정밀도의 향상을 실현한 것이다. 열가소성 접착제(6)는 접착제 경화를 위해 가열되고, 액체로부터 고체로 성질이 변경된 후에 냉각된다. 이 때, 냉각에 의한 체적 수축이 발생하는데,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 체적 수축에 의해 광학 소자(3)를촬상 소자(2)의 방향으로 인장하려고 하는 장력이 발생한다. 이 장력은 광학 소자(3)와 촬상 소자(2)의 밀착도를 높이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광학 소자(3)에 고정되어 있는 결상 렌즈부(3a)와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의 높이 방향의 거리, 즉 소위 초점 정밀도를 도5에 도시한 경우에 비해 한층 더 높일 수 있다.
또, 상술한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열가소성 접착제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효과는 열가소성 접착제가 사용되는 경우에만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즉, 경화 전후에서 체적 변화가 발생하고, 경화 후에 체적 수축하는 성질의 접착제이면 본 발명에 적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나 상온 경화형 접착제라도 좋다.
<제4 실시 형태>
다음에, 도10a 내지 도1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인 광학 소자 일체형 촬상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0a 및 도10b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개구부가 형성된 기판, 2는 수광면(2a)을 갖는 촬상 소자, 3은 결상 렌즈부(3a)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 3c는 광학 소자(3)에 형성된 광학 소자 고정용 볼록부이다. 광학 소자(3)와 기판(1)은 접착제(5)에 의해 접착 일체화되어 있다. 또, 도면 부호 7은 기판(1)과 촬상 소자(2)가 구성하는 코너부 전체 주위에 배치된 촬상 소자용 밀봉 수지이다.
도11a 및 도11b는 상술한 제1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 참조한 도2b 및 도2c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8은 FCB 장착 등에서 사용되는 ACF이다.
촬상 소자(2)의 입출력 단자(2b)가 직사각형 형상의 촬상 소자(2)의 2변에만 배치되어 있는 경우, 도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격이 비싼 ACF(8)를 촬상 소자(2)의 전체 주위 영역에 배치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ACF(8)를 촬상 소자(2)의 2변에 대응하는 부위에만 배치한 경우, 촬상 소자(2)를 기판(1)에 아래를 향해서 장착 조립했을 때, ACF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2변에 있어서 촬상 소자(2)의 상면과 기판(1)의 사이에 공극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에서는 밀봉 수지(7)에 의해 이 공극부를 폐색할 수 있어, 이 공극부로부터의 이물질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밀봉 수지(7)를 배치하면 촬상 소자(2)와 기판(1)의 접착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도10b에 화살표로 도시한 경로로 전기적 결합부에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촬상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수지(7)를 차광성의 것으로 하면 촬상 소자(2)와 기판(1) 사이에 형성되는 공극부로부터 빛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촬상 장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다음에, 도12 및 도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12에 있어서 도10a, 도10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도10a, 도10b에 도시한 촬상 장치를 기초로 하며, 결상 렌즈부(3a)를 제외하고 광학 소자(3)의 전체를 광학 소자용 밀봉 수지(9)로 밀봉함으로써 실현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광학 소자(3)와 기판(1)의 접착부, 즉 접착제(5)에 의한 접착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밀봉 수지(9)를 차광성의 것으로 함으로써, 촬상 장치 내부로의 빛의 진입을 방지하기 위한 차광성 덮개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촬상 장치의 신뢰성 향상과 부품의 절감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7a, 도7b에 도시한 광학 소자(3)를 밀봉 수지(9)로 밀봉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광학 소자(3)와 기판(1)을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5)를 생략하고, 밀봉 수지(9)에 의해 광학 소자(3)와 기판(1)을 일체화할 수 있다.
도12에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는 이하의 이유에 의해 고정용 볼록부(3c)와 기판(1) 사이의 접착제(5)를 생략하지 않는 편이 좋다. 즉, 도12에 도시한 구조에 있어서는 접착제(5)가 생략되면 고정용 볼록부(3c)와 기판(1)의 사이에 공극이 발생하고, 그 공극에 밀봉 수지(9)가 충전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 경우, 촬상 장치의 사용 환경에 따라서 밀봉 수지(9)가 팽창한 경우에 광학 소자(3)를 촬상 소자(2)로부터 분리하려는 응력이 발생하여 촬상 장치의 품질 열화가 촉진된다. 따라서, 밀봉 수지(9)를 사용하여 광학 소자(3)와 기판(1)을 고정하는 경우는 광학 소자(3)에 고정용 볼록부(3c)를 형성할지의 여부에 따라서 접착제(5)를 생략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접착제(5)는 기판(1)과 광학 소자(3)의 접착 일체화가 아니라, 기판(1)과 광학 소자(3)의 사이에 밀봉 수지(9)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활을 한다. 이 점에 있어서, 접착제(5)는 도12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 뿐만 아니라, 도13에 도시한 구성에 있어서도 촬상 장치의 품질을 안정시키는 수단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 내지 제4 실시 형태에 제시한 촬상 장치를 기초로 하며, 차광성 밀봉 수지(9) 등에 의해 광학 소자(3)와 기판(1)을 일체화하는 경우의 그 일체화 방법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제6 실시 형태>
다음에, 도14 내지 도21f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각 도면에 있어서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14에 있어서, 도면 부호 1은 개구부(1a)가 형성된 회로 기판, 2는 촬상 소자, 10은 예를 들어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특정 용도용의 집적 회로나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의 화상 처리용의 주변 소자, 11은 촬상 소자(2)와 회로 기판(1), 및 주변 소자(10)와 회로 기판(1)을 W/B(와이어 본딩) 방법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한 와이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주변 소자(10)는 기판(1)에 형성된 개구부(1a)를 폐색하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기판(1)의 내부에는 주변 소자(10)에 의해서 폐색된 공동(오목부)(12)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그 공동(12)의 내부에 촬상 소자(2)가 배치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고 있다.
도15a 및 도15b는 각각 기판(1) 및 주변 소자(10)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도면 부호 1a는 기판(1) 상에 형성된 개구부, 1b는 기판(1) 상에 형성된 회로 패턴, 또 10a는 주변 소자(10) 상에 설치된 입출력 단자를 나타낸다.
여기서, 기판(1)의 개구부(1a)는 주변 소자(10)의 상면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 주변 소자(10)의 입출력 단자(10a)와 각각의 입출력 단자와 전기적으로 서로 대향하는 회로 패턴(1b)은 와이어 본딩 등으로 전기적으로 접속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16은 기판(1)에 주변 소자(10)가 탑재된 상태를 주변 소자(10)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다. 동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 소자(10)는 개구부(1a)가 폐색되도록 기판(1)에 탑재된다. 또, 도17은 도16에 도시한 구조물의 측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1a)를 폐색하는 주변 소자(10)의 이면측에는 상술한 공동(12)이 구성되어 있다.
도18a는 도16에 도시한 기판(1) 및 주변 소자(10)를 도16에 있어서의 이면측으로부터 도시한 평면도이다. 또, 도18b는 주변 소자(10)와 기판(1)으로 구성되는 공동(12) 내에 조립되는 촬상 소자(2)의 평면도이다. 여기서, 기판(1)의 개구부(1a)는 공동(12) 내에 촬상 소자(2)를 조립할 수 있도록 촬상 소자(2)의 상면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촬상 소자(2)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12) 내에 배치되고, 사선부로도시한 주변 소자(10)의 이면에 직접 적층식으로 장착(다단 적층)되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소자(2)와 주변 소자(10)가 기판 등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접착되어 있고, 또한 촬상 소자(2)가 기판(1) 내의 공동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예비 패키지 등의 구조를 지닐 필요가 없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부품 비용을 저감하면서 촬상 장치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공동을 구성하는 주변 소자(10)와 기판(1)의 장착 방법은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FCB 장착 방식에 의해 아래를 향해서 실시해도 좋다. 도20에 있어서, 도면 부호 4는 주변 소자(10)의 입출력 단자 상에 구성된 범프이고, ACF 등을 거친 FCB 장착에 의해 전기적으로 기판(1)에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촬상 소자(2)와 주변 소자(10)를 일체화하는 소형 촬상 장치에 있어서, 주변 소자(10)와 기판(1)에 형성한 개구부(1a)에 의해 공동(12)을 구성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특징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이면 그 장착 방법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본 발명은 1개의 촬상 소자(2)와 1개의 주변 소자(10)를 적층식으로 장착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21a 내지 도21f에 각각 도시한 바와 같이 1개의 촬상 소자(2)와 2개의 주변 소자(10, 13)를 적층식으로 장착해도 되며, 그 조합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기판(1)의 구조는 주변 소자(10, 13)와 촬상 소자(2) 등의 장착에 의해 공동(12)을 구성할 수 있는 한, 예를 들어 도21e 또는 도21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12)에 단차를 부여하는 것이라도 좋다.
<제7 실시 형태>
다음에, 도22a, 도2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2a 및 도22b에 있어서, 도21a 및 도22b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22a 및 도22b에 도시한 구조와 도21a 및 도21b에 도시한 구조는 주변 소자(10)로 기판(1)의 개구부를 폐색함으로써 공동(12)을 구성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전자의 구조는 2개의 촬상 소자(2)를 그 주변 소자(10)의 양면에 배치한 점에서 후자의 구조와 다르다.
휴대 단말 기기 등에 탑재되어 있는 촬상 장치에서는 하나의 촬상 장치를 회전시켜 반대 방향의 화상도 촬상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휴대 단말 기기에 촬상 장치의 회전 기구를 필요로 하지 않고 2방향의 촬상을 행할 수 있으며, 2방향의 촬상 기능을 필요로 하는 휴대 단말 기기의 소형화를 행할 수 있다.
<제8 실시 형태>
다음에, 도23a, 도2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3a, 도23b에 있어서, 도면 부호 2는 촬상 소자, 2a는 촬상 소자(2)에 형성된 수광면, 14는 회로 패턴이 구성된 필름형 기판, 14a는 필름형 기판(14)에 형성된 개구부이다.
도24a, 도24b는 도23a, 도23b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를 필름형 기판(14)과 촬상 소자(2)로 분해한 도면이다. 도24a, 도24b에 있어서, 도면 부호14b는 촬상 소자(2)와의 전기적인 접속을 얻기 위한 랜드부이고, 14c는 L/S(Line and Space)가 미세 피치로 형성된 회로 패턴이다. 랜드부(14b)의 배치는 촬상 소자(2) 상의 입출력 단자(2b)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레이아웃되어 있다. 회로 패턴(14c)은 개구부(14a)와 랜드부(14b)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어 있다. 개구부(14a)는 촬상 소자(2) 상의 수광면(2a)의 크기보다 큰 크기로 되어 있다.
도23a, 도23b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도24a, 도24b에 도시한 촬상 소자(2)와 필름형 기판(14)을 FCB 장착 방식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면서 일체화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필름형 기판(14)의 개구부(14a)의 치수와 촬상 소자(2)의 치수, 및 촬상 소자의 수광면(2a)의 치수와의 관계가 전술한 바와 같이 설계되어 있으므로, 수광면(2a)과 개구부(14a)가 중합되지 않으며, 수광면(2a)은 필름형 기판(14)에 영향을 받지 않고 광학 정보를 수광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촬상 장치의 필름형 기판(14) 중 외부 회로와의 접속을 얻기 위한 입출력부를 제외한 부분의 크기를 촬상 소자(2)의 평면 외형 크기와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촬상 장치의 소형화에 유효하다. 예를 들어, 필름 기판(14) 상의 회로 패턴(14c)의 라인 피치를 60 ㎛로 하고, 촬상 소자(2)의 긴 변 방향의 두 변에 10개씩, 합계 20개의 입출력 단자(2b)를 배치하고, 또한 이들 입출력 단자(2b)의 배열과 수광면(2a) 사이의 공간을 400 ㎛로 한 결과, 필름형 기판(14)이 촬상 소자(2)와 중합되는 부분의 크기를 촬상 소자(2)의 상면부의 면적보다 작게 하는 것이 가능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장치에서는 필름형 기판(14)의 회로 구성의 예를 도24a, 도24b에 도시한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그 회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름형 기판(14)은 예를 들어 다층 회로 기판이더라도 좋다.
<제9 실시 형태>
다음에, 도25 내지 도2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25는 도23a, 도23b에 도시한 제8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를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이며, 결상 렌즈부(3a)를 갖는 광학 소자(3)를 조립한 것이다. 여기서, 광학 소자(3)는 필름형 기판(14)에 형성되어 있는 개구부(14a)를 통해서 촬상 소자(2)의 수광부(2a) 이외의 부분에 접촉하도록 조립되어 있고, 접착제(5)에 의해 필름형 기판(14)과 일체화되어 있다. 또, 도25에 있어서 도23a, 도23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6a는 본 실시 형태에서 사용되는 필름형 기판(14)을 도시하고, 도26b는 그 필름형 기판(14)에 촬상 소자(2)를 조립한 상태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26a, 도26b에 있어서, 도면 부호 14a는 필름형 기판(14)에 형성된 개구부이고, 2a는 촬상 소자(2)에 형성된 수광면이다.
도27a, 도27b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사용한 결상 렌즈부(3a)를 갖는 광학 소자(3)를 도시한다. 도27a, 도27b에 있어서, 도면 부호 3b는 촬상 소자(2)와 접촉하는 기준면이고, 3d는 접착면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학 소자(3)는 필름형 기판(14)의 개구부(14a)와 광학 소자(3)의 기준면(3b)이 간섭하지 않고 조립된 상태이며, 광학 소자(3)의 접착면(3d)과 필름형 기판(14)의 상면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도28a, 도28b는 광학 소자(3)가 촬상 소자(2) 상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동도면에 있어서, 광학 소자(3)의 기준면(3b)은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 이외의 부분에 접촉하고 있고, 또한 광학 소자(3)의 접착면(3d)과 필름형 기판(14)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광학 소자(3) 상의 기준면(3b)의 위치는 촬상 소자(2) 상의 수광면(2a)이 결상 렌즈(3a)를 통해서 수광하는 광학 정보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따르면, 광학 소자(3)를 필름형 기판(14)에 형성한 개구부(14a)를 통과시키고, 촬상 소자(2)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그 높이 방향의 정밀도가 안정되도록 조립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3)에 구성된 결상 렌즈부(3a)와 촬상 소자(2) 상에 구성된 수광면(2a)의 높이 방향의 정밀도, 즉 소위 초점 정밀도를 안정시킬 수 있고, 고정 초점을 이용한 소형 촬상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10 실시 형태>
다음에, 도29a 내지 도3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도29a, 도29b에 있어서 도28a, 도28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29a, 도29b에 도시한 본 실시 형태의 장치는 결상 렌즈부(3a)를 구비하는 광학 소자(3)의 형상이 도7a, 도7b에 도시한 것과 마찬가지로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을 둘러싸는 것으로 되어 있다.
도30a에 있어서, 도면 부호 14는 필름형 기판이고, 2는 촬상 소자이다. 도30b는 필름형 기판(14)에 촬상 소자(2)를 아래를 향해서 장착하여 일체화한 상태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필름형 기판(14)의 회로 패턴(14c)은 회로 패턴(14b)의 양측에 분산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로 패턴(14c)을 이와 같이 배치하면, 개구부(14a)를 제8 실시 형태의 경우에 비해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필름형 기판(14)의 개구부(14a)가 광학 소자(3)의 기준면(3b)(도7b에 도시한 사선부에 상당)과 간섭하는 것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도30a 및 도30b에 있어서, 도29a, 도29b 및 도26a, 도26b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개구부(14a)와 수광면(2a)의 상대 위치 관계, 및 회로 패턴(14b)과 입출력 단자(2b)의 상대 위치 관계는 제8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의되고 있다. 또, 회로 패턴(14c)의 L/S의 배선 규칙도 제8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이에 따라, 이들 사항에 대한 설명은 여기서는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름형 기판(14)의 평면 크기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을 둘러싸도록 광학 소자(3)를 배치할 수 있다. 광학 소자(3)를 이와 같이 배치하면, 도31중에 화살표로 도시한 부분으로부터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촬상 장치의 소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 도31에 있어서 도29a, 도29b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생략한다.
<제11 실시 형태>
다음에, 도32 및 도3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밀봉 수지(15)에 의해서 일체화되어 있다. 또, 도32에 있어서 도29a, 도29b와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학 소자(3)의 형상을 상술한 제10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고, 도31중에 화살표로 도시한 부분으로부터의 이물질의 진입을 방지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수지(15)를 배치해도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으로 밀봉 수지(15)가 비어져 나오지 않는다. 이로써, 광학 소자(3)와 필름형 기판(14)을 일체화하는 접착제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어 공정의 삭감을 도모하고, 촬상 장치의 저비용화를 촉진할 수 있다.
그리고, 밀봉 수지(15)를 차광성의 것으로 하면 촬상 장치를 또 다시 차광성의 덮개로 덮을 필요가 없어져서 부품의 절감화도 가능해진다. 또,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밀봉 수지(15)에 의해 촬상 장치 전체를 일체 성형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생산 라인에서의 M/H(Material Handling)가 용이해지고, 공정 품질의 향상이 가능하며, 생산 비용의 저비용화를 행할 수 있다.
<제12 실시 형태>
다음에, 도34 및 도35a, 도3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34는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촬상 소자의 이면이 베어(bare)된 상태의 촬상 장치를 휴대 단말 기기 등의 기판에 탑재한 상태를 도시한다. 도34에 있어서, 도면 부호 16은 휴대 단말 기기의 하우징, 16a는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 17은 단말 기판이며, 촬상 장치는 탄력성이 있는 접착제(18)에 의해 단말 기판(17)에 고정되어 있다. 또, 그 고정 위치는 휴대 단말 기기의 하우징(16)에 형성된 개구부(16a)와 촬상 장치의 결상 렌즈부(3a)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따라서, 촬상 장치는 개구부(16a)를 통해서 광학 정보를 취입할 수 있다.
또한, 도34에 있어서, 도32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소형 촬상 장치 등을 탑재한 휴대 단말 기기 등에서는 운반시에 다양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이 예상되고, 예를 들어 하우징 부재(16)에 설치된 개구부(16a)를 압박하는 방향의 외력(1)이 가해지는 것도 상정해야만 한다. 또한, 휴대 단말 기기 용도의 촬상 장치이므로 소형화가 요구되지만, 도3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촬상 장치에서는, 예를 들어 도3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촬상 장치와 비교해 두께 방향의 박형화는 가능하지만, 촬상 소자 이면이 베어의 상태로 인해 구조적인 강도가 약해진다. 이 때문에, 도32에 도시한 구조가 이용되는 경우는 도33에 도시한 구조가 이용되는 경우에 비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외력이 하우징 개구부(16a)에 가해졌을 때에 촬상 소자(2)에 파손이 발생하기 쉽다.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서는 촬상 장치를 단말 기판(17)에 고정하는 탄력성이 있는 접착제(18)를 쿠션재로서 기능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도35a 또는 도35b에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은 외력이 가해진 경우에, 어느 정도의 가중까지는 접착제(18)부에서 흡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휴대 단말 기기에 탑재된 후의 촬상 장치의 고장 빈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35a 및 도35b에 있어서, 도34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설명에서는 생략하였지만, 실제의 휴대 단말 기기에서는 하우징 부재(16)의 개구부(16a)에 커버 글래스 등을 배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쨌든 본 실시 형태의 구조를 병용하여 휴대 단말 기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3 실시 형태>
다음에, 도36 내지 도3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또, 도36에 있어서 도32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밀봉 수지(19)의 외측에 전파 실드재(2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37에 있어서, 부호 19는 밀봉재이다. 밀봉재(19)의 주된 목적은 외부로부터의 습기 흡입이나 이물질의 진입으로부터 반도체 소자 등을 보호하는 것과, 외력에 의한 반도체 소자 등의 파괴를 방지하는 것 및 본 실시 형태에서는 특히, 반도체 소자 등과 광학 소자를 일체화하고, 또는 원하는 차광 기능을 실현하는 것 등이다.
도38은 도37에 도시한 촬상 장치를 결상 렌즈부(3a)를 제외하고 전파실드재(20)로 피복한 것이다. 또, 도37 또는 도38에 있어서, 도36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소형 촬상 장치는 휴대 단말 기기에서의 이용에 적합하지만,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의 통신 기능을 갖는 단말 기기에서는 그 단말 기기 자체로부터 고주파 전파가 발생되고, 그 전파 소음이 촬상 장치의 기능에 악영향을 주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장치에 따르면, 통신 용도의 휴대 단말 기기에 있어서도, 전파 장해의 영향을 받지 않고 소형 촬상 장치를 동작시킬 수 있어 소형 촬상 장치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통신 기능을 갖는 휴대 단말 기기에 이용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전파 실드의 수단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그 형상이나 재질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촬상 장치 외형부에 전파 실드재를 코팅해도 좋으며, 밀봉 수지 그 자체에 전파 실드 특성을 갖는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성형 등에 의한 별개의 부품으로서, 촬상 장치를 덮도록 일체적으로 구성해도 좋다.
<제14 실시 형태>
다음에, 도39a 내지 도41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39a, 도39b에 있어서, 촬상 소자(2) 상의 회로 배치는 촬상 소자(2)의 중앙 부근에 입출력 단자부가 배치되도록 변경되어 있다. 그들의 입출력 단자부는 그들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필름형 기판(14)의 회로 패턴의 랜드부와, 범프(4)를 거쳐서 ACF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도40a, 도40b는 도39a, 도39b에 도시한 필름형 기판(14)과 촬상 소자(2)의 분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부호 14b는 필름형 기판(14)에 설치된 회로 패턴의 랜드부이며, 부호 14c는 회로 패턴이며, 부호 2b는 촬상 소자(2)에 설치된 입출력 단자이다. 입출력 단자(2b)는 촬상 소자(2)의 단부가 아닌, 그 중앙부에 집약하여 배치되어 있다.
필름형 기판(14)의 회로 패턴 랜드부(514b)와 촬상 소자(2) 상의 입출력 단자(2b)는 그들이 도39a, 도3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된 때에 마주 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39a, 도39b 및 도40a, 도40b에 있어서, 도23a, 도23b 또는 도24a, 도24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특징 중 하나는 촬상 소자(2)의 입출력 단자(2b)의 배치를 회로 설계에 의해 촬상 소자(2)의 중앙부 부근의 작은 영역에 집적한 것이다. 이로써, 필름형 기판(14)의 촬상 소자(2) 상에서의 면적을 작게 할 수 있어 촬상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지고 있다.
상기의 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필름형 기판(14)의 회로 패턴 랜드부(14b)나 회로 패턴(14c)에 대해서도 접착할 필요가 발생하지만, 오늘날의 회로 패턴 형성 기술에서는 예를 들어 L/S가 25㎛인 경우에는 집적된 랜드부(14b) 사이에 회로 패턴(14c)을 배치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름형 기판(14)을 2층 구조로서 상술한 특징적 구조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41a 및 도41b는 상술한 2층 구조의 필름형 기판(14)이 각 층에 구비하는회로 패턴 랜드부(14b) 및 회로 패턴부(14c)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41a, 도41b에 있어서, 도40a, 도40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41a, 도41b에 있어서, 필름형 기판이 구비하는 회로 패턴은 회로 패턴 랜드부(14b)의 가까운 변만을 도시하고, 그 밖의 부분은 생략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필름형 기판(14)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어 촬상 장치의 소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제15 실시 형태>
다음에, 도42a 내지 도4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5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42a, 도42b에 있어서, 부호 3은 결상 렌즈부(3a)를 갖는 광학 소자이다. 필름형 기판(14)과 촬상 소자(2)는 제14 실시 형태의 경우와 같은 수법으로, 즉 도39a, 도39b에 도시한 수법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광학 소자(3)는 그들의 접합부를 넘는 형태로, 또한 촬상 소자(2) 상의 1부에 접촉함으로써 높이 방향의 정밀도가 보증되도록, 촬상 소자(2)와 접착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도42a, 도42b에 있어서 도39a, 도39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43a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이용되는 광학 소자(3)의 4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43b는 그 광학 소자(3)가 촬상 소자(2)에 접촉하는 부분을 해칭으로 나타낸 도면을 도시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부호 3a는 결상 렌즈부, 부호 3b는 촬상 소자(2)와의 접촉부, 부호 3e는 고정용 게이트 형상부이다.
도44는 도43a, 도43b에 도시한 광학 소자(3)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이미지도이다. 도44에 있어서 해칭으로 도시한 부분은 광학 소자(3)의 내부 공간이다. 도44에 있어서, 도43a, 도43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특징으로 하는 점은 광학 소자(3)가 게이트 형상부(3e)로 나타내어지는 공간을 갖는 것이며, 게이트 형상부(3e) 이외의 공간부의 유무나 형상은 도44의 상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45a, 도45b에 있어서 부호 21은 접착제이다. 접착제(21)는 도39a, 도39b에 도시한 촬상 장치의 촬상 소자(2)에 접촉시키면서 조립된 광학 소자(3)를 필름형 기판(14)에 고정하기 위해 이용되고 있다. 도46은 도45a, 도45b의 하측 도면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소자(3)는 촬상 소자(2)의 상면에 접촉하면서 조립되고, 게이트 형상부(3e)와 필름형 기판(14)으로 형성되는 공극부가 접착제(21)에 의해 접착됨으로써 고정된다. 또, 도45a, 도45b 및 도46에 있어서, 도42a, 도42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필름형 기판(14)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촬상 소자(2)의 상면을 기준으로 취하면서 결상 렌즈부(3a)를 포함하는 광학 소자(3)를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고정 초점의 결상 렌즈의 초점 정밀도를 고정밀도로 보증하여, 촬상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촬상 장치의 소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제16 실시 형태>
다음에 도47 내지 도5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6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리드 프레임(22)과 예비 주형(23)으로 구성된 예비 주형 패키지를 구비하고 있다. 수광면(2a)을 갖는 촬상 소자(2)는 예비 주형 패키지 내에 조립되어 있다. 또한, 결상 렌즈부(3a)를 갖는 광학 소자(3)는 예비 주형 패키지에 설치된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2)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촬상 소자(2)의 입출력 단자 상에는 범프(4)가 전극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촬상 소자(2)는 그 범프(4) 및 ACF 등을 거쳐서 리드 프레임(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광학 소자(3)와 예비 주형 패키지는 광학 소자(3)에 설치된 고정용 볼록부(3c)가 접착제(5)에 의해 예비 주형(23)에 고정됨으로써 일체화되어 있다.
도48a 및 도48b는 도47에 도시한 촬상 장치를 예비 주형 패키지와 촬상 소자로 분해한 평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부호 23a는 예비 주형 패키지에 설치된 개구부, 부호 2는 촬상 소자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비 주형 패키지 내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22)과 촬상 소자(2) 상에 구성된 입출력 단자가 마주 대하는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48a, 도48b에 있어서, 도47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49a는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평면도, 정면도 및 바닥면도를 도시한다. 또, 도49b는 그 촬상 장치를 측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부호 2a는 촬상 소자(2)가 구비하는 수광면이다. 도4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2)는 예비 주형 패키지에 설치된 개구부(23a)를 통해 수광면(2a)이 외부로부터의 광학 정보를 취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50은 촬상 소자(2)의 상부에 광학 소자(3)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5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 소자(3)는 예비 주형 패키지의 개구부를 통하여,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 이외의 부분에 접촉하도록 조립된다. 여기에서, 광학 소자(3)는 촬상 소자(2)의 상면과 접촉하는 것을 제외하고, 예비 주형 패키지 등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광학 소자(3)의 볼록부(3c)와 예비 주형 패키지 사이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49a, 도49b 및 도50에 있어서, 도47 또는 도48a, 도48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예비 주형 패키지 구조의 촬상 장치에 있어서, 촬상 소자(2)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광학 소자(3)가 조립되므로, 광학 소자(3)의 결상 렌즈(3a)와,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과의 높이 방향의 정밀도, 즉 소위 초점 정밀도를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광학 소자(3)와 예비 주형 패키지를 접착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고정 초점을 이용한 소형 촬상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소자(2)의 상면을 기준으로 취하면서 광학 소자(3)를 예비 주형 패키지와 접착 일체화할 수 있으므로, 접착제의 두께의 편차에 의한 초점 방향의 조립 정밀도의 편차를 해소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공정 품질의 향상과 생산 라인에서의 실패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47에서는 광학 소자(3)를 예비 주형 패키지와 일체화하기 위한 접착제(5)의 위치를, 광학 소자의 고정용 볼록부(3c)의 하측으로 하고 있지만, 접착제의 도포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고정용 볼록부(3c)의 측면부에 형성되는 예비 주형 패키지와의 공극부에 접착제를 배치해도 좋다.
<제17 실시 형태>
다음에 도51a 내지 도5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7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51a, 도51b는 도4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리드 프레임부를 갖는 촬상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51a, 도51b에 있어서, 부호 3은 결상 렌즈부(3a)를 갖는 광학 소자, 부호 9는 밀봉 수지, 부호 22는 리드 프레임, 부호 23은 예비 주형이다.
도52a는 리드 프레임부가 컷트되고, 소정의 금형으로 포밍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52b는 리드 프레임부가 통상의 수법으로 컷트 및 포밍된 경우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5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드 프레임(22)은 통상, 모든 단자가 대략 같은 길이가 되도록 컷트 및 포밍된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가 특징으로 하는 점은 도5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의 단부 부근으로부터 다른쪽의 단부 부근을 향해 리드 프레임(22)의 길이가 서서히 변화하도록 그 컷트 및 포밍이 행해지는 점이다. 이 경우, 촬상 장치가 수평 평면 상에 설치되면, 도5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에는 경사가 발생한다. 발생시키는 경사의 각도에 대해서는 포밍에 이용되는 금형의 설계대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다음에, 도53a 내지 도54를 참조하여 상술한 특징부에 의해 발휘되는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53a, 도53b에 있어서, 부호 16은 형태 기기 등의 하우징, 부호16a는 그 하우징에 형성된 개구부, 부호 24는 휴대 단말 기기에 설치된 표시부, 부호 25는 휴대 단말 기기의 기판, 부호 26은 촬상 장치이다.
리드 프레임이 통상의 방법으로 포밍된 경우는 도5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휴대 단말 기기의 기판(25)에 대하여 촬상 장치(26)는 평행하게 부착된다. 이 경우, 촬상 장치(26)에 의한 촬상 방향은 휴대 단말 기기의 기판(25)에 대해 수직인 방향이 된다.
한편, 리드 프레임이 본 실시 형태의 요구에 맞춰 포밍되면, 촬상 장치(26)는 도5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진 상태에서 휴대 단말 기기의 기판(25) 상에 부착된다. 이 경우, 촬상 장치(26)에 의한 촬상 방향은 리드 프레임(22)의 포밍시에 설치한 소정 각도에 따른 방향, 즉 휴대 단말 기기의 기판(25)에 대하여 수직 방향이 아닌 소정의 방향이 된다.
도54a는 도53a에 도시한 휴대 단말 기기의 실용예이다. 도5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장치(26)의 촬상 방향이 휴대 단말 기기의 기판(25)에 대하여 수직이면, 표시부(24)를 눈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시점(27)의 위치와, 그 표시부(24)의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사용자 자신의 얼굴을 표시 장치에 비추려고 한 때에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이 경우 사용자는 촬상 장치(26)에 시선을 맞추면 표시부(24)를 볼 수 없다. 또한, 사용자가 표시부(24)에 시선을 맞추면, 표시부(24)에 표시되는 화상은 약간 시선이 내려간 화상이 된다. 또한, 이 경우는 표시부(24)의 화면 내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중앙으로 하는 것도 곤란하다.
도55는 도53b에 도시한 휴대 단말 기기의 실용예이다. 도55에 있어서, 촬상 장치(26)의 경사각은 소정의 사용 거리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점(27)이 표시부(24)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리드 프레임(22)이 도55에 도시한 상태를 실현하도록 포밍되어 있으면, 사용자 시점(27)의 위치와 표시부(24) 위치의 어긋남을 완화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용이하게 표시부(24)의 화면 중앙부에 자신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의 특성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와 같은 소형의 휴대 단말 기기로, 촬상 장치(26)의 배치 위치에 제한이 있으며, 또한 촬상 장치(26)와, 촬상 화상을 비추는 표시 장치가 동일한 면 내에 배치되는 휴대 단말 기기에 있어서는 중요한 사항이다. 촬상 장치(26)에 회전 기구 등을 설치하는 것도 유효하지만, 그 경우는 메카니컬한 구조가 필요해지거나, 또는 낙하에 견딜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없게 된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휴대 단말 기기에 복잡한 회전 기구 등을 설치하는 일 없이, 휴대 단말 기기의 대형화를 방지하여 부품 갯수의 증가를 방지하고, 충분한 강성을 확보하면서 휴대 단말 기기의 촬상 기능에 관한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도54 및 도55에 있어서, 도53a, 도53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런데, 상기한 실시 형태에서는 도51a, 도51b를 참조하여 리드 프레임(22)의 굽힘 방향을 설명하고 있지만, 그 굽힘 방향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특징은 리드 프레임의 굽힘 방향에 의해 기판 등으로의 부착 후의 촬상 장치(26)의 촬상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다.
<제18 실시 형태>
다음에 도56 내지 도6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8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기능은 전술한 제17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기능도 마찬가지이다. 본 실시 형태의 장치와 제17 실시 형태의 장치의 차이는 기판 등으로의 부착된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을 리드 프레임의 굽힘 방향에 관계없이, 리드 프레임의 형상에 의해 결정하는 점이다.
도56 내지 도58은 각각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예를 도시한다. 이들의 촬상 장치는 형태 단말 기기의 기판이 구비하는 관통 구멍이나 커넥터 등에 리드 프레임을 끼워 맞춤으로써 그 기판에 부착된다.
도56에서는 리드 프레임(22)에, 기판 등에 끼워 맞추어진 때에 끼워 맞춤 깊이를 제한하기 위한 단차가 미리 마련되어 있다. 개개의 리드 프레임(22)의 단차는 단계적으로 변화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56에 도시한 촬상 장치가 기판 등에 조립되면, 그 단차의 변화에 기인하여 촬상 장치에는 도53b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가 발생한다.
도57에 도시한 촬상 장치는 도56에 도시한 장치와 마찬가지로, 단계적으로 단차의 깊이를 변화시키는 리드 프레임(22)을 갖고 있다. 그런데, 상술한 도56에 도시한 촬상 장치에서는 개개의 리드 프레임(22)의 중앙부를, 그 양측의 부분에 비하여 돌출시킴으로써 단차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57에 도시한 촬상 장치에서는 리드 프레임(22)의 단부를 다른 부위에 비하여 돌출시킴으로써 단차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단차부에 경사가 주어지고 있다.
도57에 도시한 구성에 따르면, 촬상 장치가 단말 기기의 기판 등에 조립된 때에, 리드 프레임(22)의 단차부, 즉 도56에 도시한 경우에 비하여 큰 폭를 갖고, 또한 소정의 경사를 갖는 단차부를 기판에 접촉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도57에 도시한 구조에 따르면, 도56에 도시한 구조에 비교하여 기판 등 탑재 후의 촬상 장치의 경사각에 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도58에 도시한 촬상 장치는 한쪽 단부에 위치하는 리드 프레임(22a)의 단차만이, 다른 리드 프레임(22)의 단차에 비하여 그 선단부에 가까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리드 프레임(22a)의 단차부와, 그 타단부에 위치하는 리드 프레임(22)의 단차부를 잇는 선이 이 촬상 장치가 기판 등에 조립된 때에 촬상 장치와 기판 사이에 발생하는 경사각이 된다.
도58에 도시한 구조에 따르면, 도56에 도시한 구조에 비하여 경사각의 정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적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도58에 도시한 구조에 따르면, 도56에 도시한 구조에 비하여 기판 등 탑재 후의 촬상 장치의 경사각에 관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제17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휴대 단말 기기의 촬상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드 프레임의 제작시에, 기판 등으로의 부착 후의 촬상 장치의 촬상 방향을 결정하는 수단이 미리 구성되므로, 리드 프레임 포밍시의 금형 소모 등에 의한 시간 경과적인 가공 형상 변화에 의한 영향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제17 실시 형태의 경우에 비하여 장기간에 걸쳐 원하는 개선 효과를 안정되게 얻을 수 있다.
도59a, 도59b는 상술한 효과를 발휘하는 다른 촬상 장치의 측면도(좌측) 및 정면도(우측)를 도시한다. 도59a, 도59b에 도시한 촬상 장치에서는 그 양단부에 배치되는 리드 프레임(22a 및 22b)만이 표면 장착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포밍되어 있다. 도59a, 도59b에 도시한 촬상 장치의 기판 등 탑재 후의 경사각은 그들의 리드 프레임(22a 및 22b)의 굽힘 방향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도60은 상술한 효과를 발휘하는 다른 촬상 장치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60에 도시한 촬상 장치에서는 한쪽의 단부에 배치되는 리드 프레임(22a)만이 표면 장착할 수 있도록 평탄하게 포밍되어 있다. 이 촬상 장치에서는 리드 프레임(22a)의 단차부와, 그 타단부에 위치하는 리드 프레임(22)의 단차부를 잇는 선이 기판 등 탑재 후의 경사각이 된다.
또, 도56 내지 도60에 있어서, 도52a, 도52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9 실시 형태>
다음에 도61a 내지 도6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9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61a는 예비 주형 전의 리드 프레임부(22)의 구성을 도시하고, 도61b는 예비 주형 후의 예비 주형 패키지의 상태를 도시한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부호 23은 예비 주형이고, 부호 23a는 예비 주형에 설치된 개구부이다. 도6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예비 주형(23)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리드 프레임(22)을 연장시키는 예비 주형 패키지를 구비하고 있다.
도62a는 촬상 소자(2)의 평면도를, 도62b는 촬상 소자(2)가 예비 주형 패키지 내에 아래를 향해서 조립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도62c 및 도62d는 각각 도62b에 도시한 구조물을 측면에서 보고 나타낸 도면 및 측면으로부터의 투시 이미지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서는 예비 주형 패키지 내에 설치된 리드 프레임부와 촬상 소자(2) 상에 구성된 입출력 단자부가 마주 대하는 위치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예비 주형 패키지에 설치된 개구부(23a)를 통해 촬상 소자(2)가 외부로부터의 광학 정보를 취입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63a 내지 도63c는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의 작용을 도시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가 구비하는 예비 주형 패키지에서는 도6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상 소자(2)의 상하 방향(도63a에서는 좌우 방향)으로 리드 프레임이 배치된다. 여기에서, 촬상 소자(2)의 상하는 도62a에 있어서의 촬상 소자(2)의 상하인 것을 말한다. 도63b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드 프레임의 포밍 형상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소자(2)의 상방으로 연장되는 리드 프레임(22)과, 그 하방으로 연장되는 리드 프레임(22)이 교대가 되는 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다. 리드 프레임(22)을 이와 같이 포밍하면, 촬상 장치를 휴대 단말 기기의 기판 상에 설치한 때, 소정의 경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에 따르면, 배치 상의 제약 등에 의해 촬상 장치의 부착 부위가 제한되고, 상술한 제17 실시 형태에 도시한 촬상 장치에서는 원하는상태를 실현할 수 없는 경우에, 촬상 장치와 기판 사이에 소망의 경사각을 부여할 수 있어 제17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인 효과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62a 내지 도63c에 있어서, 도61a, 도61b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0 실시 형태>
다음에 도64 내지 도6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0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64에 있어서, 부호 2는 수광면(2a)을 갖는 촬상 소자, 부호 28은 측면부 등에 회로 패턴(28a)이 구성된 기판, 부호 29는 기판(28)에 대응한 소켓 부품이다. 소켓 부품(29)은 본 실시 형태의 특징부이며, 땜납 장착시의 리플로우로에서 이용되는 가열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고, 또한 촬상 장치를 구성하는 기판(28)이 끼워 맞추어진 때에, 회로 패턴(28a)과 전기적인 접속을 얻기 위한 회로 패턴(29a)을 구비하고 있다.
촬상 장치는 일반적으로 촬상 소자(2)의 수광면(2a) 상에 컬러 필터 등을 구비하고 있다. 컬러 필터의 내열 온도는 땜납 장착시의 리플로우 가열 온도보다 낮으므로, 칼라 필터는 다른 표면 장착 부품의 장착시에, 칩 마운터 장치 등에 의해 표면 장착 방식으로 조립할 수 없었다. 또한, 광학 소자 일체형의 촬상 장치가 플라스틱으로 된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도 마찬가지의 문제, 즉 내열 온도가 낮은 렌즈가 칩 마운터 장치 등으로 장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었다. 이 경우, 일반적으로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s)나 커넥터 등을 거쳐서 촬상 장치를 주 기판 등에 접속하는 수법이 채용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내열성의 소켓 부품(29)을 칩 마운터 장치에 의해 주 기판 등에 표면 장착하여, 리플로우로에 의한 납땜 공정이 종료한 후에, 후속 공정으로 촬상 장치를 그 소켓부(28)에 끼워 맞추는 것만으로 원하는 전기적 접속을 얻을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촬상 장치를 주 기판 등으로의 조립시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촬상 장치의 착탈이 용이하므로, 어떠한 원인으로 부품 교환이 필요한 경우도, 그 교환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64에서는 광학 소자나 주형부는 본 발명의 특징과 직접 관계가 없으므로 생략하였지만, 그것이 조립되어 있어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도64의 예에서는 소켓 부품(29)의 회로 패턴(29a)의 단자부가 소켓 부품(29)의 외주부에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의 특징은 소켓 부품의 회로 패턴(29a)의 단자부의 형상이나 위치에 따른 것은 아니다. 즉, 회로 단자부(29a)는 예를 들어 도65a 내지 도6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켓 부품의 바닥면측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64 내지 도65c에서는 소켓 부품(29)의 개구부(29b)가 관통구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개구부(29b)는 도66a, 도6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닥면을 갖는 공동 구조라도 좋다. 즉, 개구부(29b)는 기판(28)을 소켓 부품(29)에 끼워 맞추기 위한 것이며, 그 기능이 충족되는 한 그 형상은 특정한 형상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1 실시 형태>
다음에, 도6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상술한 실시 형태(20)의 소켓 부품(29)에, 주 기판과의 위치 결정용 볼록부(29c)를 설치하고, 마주 대하는 소켓 부품(29)이 조립되는 주 기판(30) 상에, 볼록부(29c)에 대응하는 위치 결정용 오목부(30b)를 설치함으로써 실현되어 있다. 도67에 있어서, 부호 30은 주 기판, 부호 30a는 소켓 부품과의 전기적 접속을 얻기 위한 랜드부, 부호 30b가 소켓 부품 위치 결정용의 오목부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켓 부품(29)의 볼록부(29c)와 주 기판의 오목부(30b)는 양자를 조립한 때에 회로 패턴(29a) 위치와 랜드부(30a)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으며, 또 소켓 부품(29)에 조립되는 촬상 장치의 렌즈부의 위치와, 주 기판(30)이 조립되는 제품의 하우징 상의 개구부의 위치가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볼록부(29c)와 오목부(30b)의 끼워 맞춤부를 2 군데 이상으로 함으로써, 소켓 부품(29)의 주 기판(30)에 대한 조립 정밀도, 특히 도67에 도시한 Θ방향의 조립 정밀도를 향상할 수 있다. 소켓 부품(29)에 끼워 맞추어지는 촬상 장치의 위치는 상술한 볼록부(29c)와 오목부(30b)의 끼워 맞춤부에 의해 결정된다. 이 때문에, 소켓 부품(29)의 조립 정밀도가 향상하면, 촬상 장치의 주 기판(30)에 대한 조립 정밀도도 향상시킬 수 있다.
도67에 도시한 Θ은 예를 들어 휴대 전화 등과 같은 표시부를 갖는 형태 단말 기기에 있어서 중요하다. 즉, 촬상 장치의 Θ와, 표시 장치의 Θ가, 어느 기준에 대하여 어긋난 경우, 촬상한 화상이 표시 장치 상에서는 그 어긋난 Θ각 만큼만 기울어지게 표시되게 된다.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Θ각의 조정을 하는 일 없이 촬상 장치의 조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촬상 성능 및 표시 성능이 우수한 형태 단말 기기를 실현할 수 있다.
<제22 실시 형태>
다음에 도68 내지 도69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68은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를 측면에서 보고 나타낸 도면을 도시한다. 또, 도69a는 소켓 부품(29)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69b는 소켓 부품(29)을 측면으로부터 나타낸 투시 이미지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는 상술한 제20 실시 형태의 소켓 부품(29)의 내면부에 소정의 경사를 갖게 함으로써 실현되어 있다. 이러한 소켓 부품(29)에 기판(28)이 끼워 맞추어지면, 촬상 소자(22)의 촬상 방향으로, 소켓 부품(29)의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부여할 수 있다.
소켓 부품(29)의 바닥면에 대한 기울기라 함은 도67에서 말하는 바의 주 기판(30)에 대한 기울기이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주 기판으로의 촬상 장치의 조립을 쉽게 한다고 하는 효과와 더불어, 상술한 제17 실시 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촬상 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 기기의 촬상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하에 도시한 바와같은 효과를 발휘한다.
제1 발명에 따르면, 결상 렌즈부를 갖는 광학 소자가, 기판의 개구부를 통해서 촬상 소자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초점 거리의 조정이 불필요한 고정 초점식의 촬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발명에 따르면, 개구부의 외측에서 기판과 촬상 소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확보하면서, 개구부의 내부에서 수광면과 간섭시키는 일 없이 광학 소자를 촬상 소자에 접촉시킬 수 있다.
제3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를 촬상 소자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광학 소자와 기판을 접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의 도포량의 변동에 영향을 끼치는 일 없이, 안정된 초점 거리를 실현할 수 있다.
제4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와 기판이 열가소성 수지계의 접착제로 접착되므로, 접착제의 경화 후에 접착제의 체적 수축을 이용하여 광학 소자를 촬상 소자에 압박하는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접착제의 도포량의 변동에 영향을 끼치는 일 없이, 초점 거리에 관해 우수한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제5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와 촬상 소자의 접촉부가 촬상 소자의 수광면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수광면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따르면, 촬상 소자의 주위와 기판의 경계부가 촬상 소자용 밀봉 수지에 의해 폐쇄되므로, 그 경계부의 간극으로부터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입하는것을 방지하고, 또한 촬상 소자와 기판 사이의 견고한 접착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촬상 소자용 밀봉 수지가 차광 기능을 가지므로, 특별한 차광커버를 개선하여 배치하는 일 없이, 상기한 간극으로부터 촬상 소자의 수광면으로 빛이 침입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7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가 광학 소자용 밀봉 수지로 피복된 상태에서 기판과 일체화되므로, 광학 소자와 기판의 간극으로부터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광학 소자용 밀봉 수지에 의해, 광학 소자를 외부로부터의 응력으로부터 보호할 수도 있다.
제8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용 밀봉 수지가 차광 기능을 가지므로, 특별한 차광 커버를 개선하여 배치하는 일 없이, 광학 소자와 기판의 간극으로부터 촬상 소자의 수광면에 빛이 침입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제9 발명에 따르면, 기판의 개구부를 주변 소자로 폐쇄함으로써 형성한 공동에 촬상 소자가 수용되므로, 공동의 두께분만큼 촬상 장치를 박형화할 수 있다.
제10 발명에 따르면, 공동 내의 수용되는 촬상 소자와, 공동을 구성하는 주변 소자과 제3 소자를 적층시킴으로써, 고기능으로 소형인 촬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11 발명에 따르면, 촬상 소자와, 제2 촬상 소자에 의해 다른 방향의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장치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제12 발명에 따르면, 기판이 촬상 소자와 겹치는 부분(제1 부분)에 형성되는미세한 회로 패턴을 거쳐서 촬상 소자와 인터페이스 접속부를 통과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조에 따르면, 기판의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소형인 촬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13 발명에 따르면, 결상 렌즈부를 갖는 광학 소자가 기판의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므로, 안정된 초점 거리를 갖는 고정 거리를 갖는 고정 초점식의 촬상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제14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를 촬상 소자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광학 소자와 기판이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므로, 초점 거리에 관해서 안정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15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와 촬상 소자의 접촉부가 촬상 소자의 수광면의 전체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수광면에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수분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6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를 피복하는 광학 소자용 밀봉 수지에 의해, 이물질이나 수분의 침입을 방지하고, 또한 외부 응력으로부터 광학 소자를 보호할 수 있다.
제17 발명에 따르면, 촬상 소자의 일부가 노출하고 있으므로, 그 노출 부분을 이용하여, 촬상 소자를 주 기판 등에 직접 장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8 발명에 따르면, 촬상 소자의 노출 부분과 주 기판을 고정하는 접착제를 완충제로서 기능시킴으로써, 촬상 소자를 외부 응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제19 발명에 따르면, 촬상 장치를 피복하는 전파 실드재에 의해, 촬상 장치를 통신 기기로부터 발하게 되는 전기파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통신 기기 등에 탑재된 상태에서 우수한 신뢰성을 발휘하는 촬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20 발명에 따르면, 전파 실드재의 내측에 방습 기능이나 완충 기능을 갖는 제2 밀봉막을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게 따르면 내구성이 우수한 이 촬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21 발명에 따르면, 전파 실드재가 차광 기능을 가지므로, 특별한 차광 커버를 개선하여 설치하는 일 없이, 불 필요한 빛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22 발명에 따르면, 촬상 소자의 입출력 단자가 일부에 집적되어 있으므로, 그들과 접속을 얻기 위해 기판에 배치하는 부분(볼록형부)을 작게 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장치의 소형화를 진행시킬 수 있다.
제23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에 게이트형 오목부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광학 소자와 기판의 볼록형부와의 간섭을 피하면서, 광학 소자를 촬상 소자의 상면에 접촉시킬 수 있다.
제24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의 게이트형 오목부를 이용하여 광학 소자와 기판을 접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접착제의 접착력은 광학 소자를 촬상 소자 측으로 압박하는 힘이 되므로, 초점 거리에 관해서 우수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25 발명에 따르면, 결상 렌즈부를 갖는 광자 소자가 예비 주형 패키지의 개구부를 통해 촬상 소자에 접촉하도록 배치되므로, 초점 거리에 관해서 우수한 정밀도를 얻을 수 있다.
제26의 발명에 따르면, 광학 소자를 촬상 소자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광학 소자와 예비 주형 패키기가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므로, 초점 거리에 관하여 안정된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제27 발명에 따르면, 촬상 소자가 주 기판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리드 프레임이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회전 기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서, 대형화나 강성 저하를 수반하는 일 없이 휴대 단말 기기의 촬상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28 또는 제29 발명에 따르면, 리드 프레임 기단부의 형상 또는 길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촬상 장치에 대하여 원하는 경사각을 부여할 수 있다.
제30 발명에 따르면, 주 기판에 장착되는 소켓부에 촬상 소자를 구비하는 기판을 끼워 맞춤으로써 촬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켓 부품만을 미리 칩 마운터 등으로 주 기판에 장착하고, 후 공정에서 기판을 끼워 맞추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촬상 장치의 조립 공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구조에 따르면, 촬상 소자의 교환 작업도 효율화할 수 있다.
제31 발명에 따르면, 주 기판에 장착되는 소켓부가 내열 부품이므로, 납땜 플로우 공정을 이용하여 소켓부를 주 기판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후 공정에서 소켓에 기판을 장착할 수 있으므로, 기판 상에는 촬상 소자 외의 내열성이 낮은 부품도 더불어 장착할 수 있다.
제32 발명에 따르면, 위치 결정 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소켓 부품과 주 기판을 적정한 위치 관계에 조립할 수 있다. 소켓 부품과 촬상 소자의 위치 관계는 기판의 끼워 맞춤에 의해 대략 일률적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 소자와 주 기판의 위치 관계를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제33 발명에 따르면, 소켓 부품과 주 기판의 위치가 2 군데 이상에서 결정되므로, 양자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34 발명에 따르면, 촬상 소자가 주 기판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을 갖도록 소켓 부품에 경사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잡한 회전 기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대형화나 강성 저하를 수반하는 일 없이 휴대 단말 기기의 촬상 조작성을 개선할 수 있는 촬상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3)
- 기판에 장착되는 촬상 소자와 그 촬상 소자의 수광면에 광학 정보를 제공하는 결상 렌즈부를 갖는 광학 소자를 일체로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상기 기판은 개구부를 갖고,상기 촬상 소자는 상기 수광면을 포함하는 면으로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상기 광학 소자는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촬상 소자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통해서 상기 촬상 소자의 상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기 광학 소자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기판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 광학 정보를 수광하여 촬상 데이타를 생성하는 촬상 소자와 상기 촬상 데이타를 처리하는 화상 처리용 주변 소자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이며,개구부를 갖는 기판을 구비하는 동시에,상기 주변 소자는 상기 개구부를 폐색하도록 상기 기판에 고정되고,상기 촬상 소자는 상기 개구부와 상기 주변 소자로 형성된 공동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0-106236 | 2000-04-07 | ||
JP2000106236A JP3607160B2 (ja) | 2000-04-07 | 2000-04-07 | 撮像装置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10091053A KR20010091053A (ko) | 2001-10-22 |
KR100408614B1 true KR100408614B1 (ko) | 2003-12-06 |
Family
ID=18619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18133A KR100408614B1 (ko) | 2000-04-07 | 2001-04-06 | 촬상 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110033B2 (ko) |
EP (1) | EP1148716A1 (ko) |
JP (1) | JP3607160B2 (ko) |
KR (1) | KR100408614B1 (ko) |
CN (2) | CN1516283A (ko) |
NO (1) | NO20011727L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375757B1 (en) * | 1999-09-03 | 2008-05-20 | Sony Corporation | Imaging element, imaging device, camera module and camera system |
JP3651577B2 (ja) * | 2000-02-23 | 2005-05-25 | 三菱電機株式会社 | 撮像装置 |
JP3630096B2 (ja) * | 2000-11-30 | 2005-03-16 | 三菱電機株式会社 | 撮像装置搭載携帯電話機 |
US6734419B1 (en) * | 2001-06-28 | 2004-05-11 | Amkor Technology, Inc. | Method for forming an image sensor package with vision die in lens housing |
US6950242B2 (en) * | 2001-07-20 | 2005-09-27 | Michel Sayag | Design and fabrication process for a lens system optically coupled to an image-capture device |
EP1410089A4 (en) * | 2001-07-20 | 2005-06-01 | Michel Sayag | OPTICALLY COUPLED TO A PICTURE SENSOR LENS SYSTEM |
JP3859679B2 (ja) * | 2001-08-07 | 2006-12-20 |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 カメラモジュール |
WO2003015400A1 (fr) * | 2001-08-07 | 2003-02-20 | Hitachi Maxell, Ltd | Module de camera |
JP2003060765A (ja) * | 2001-08-16 | 2003-02-28 | Nec Corp | カメラ付き携帯通信端末 |
JP2003219227A (ja) * | 2002-01-18 | 2003-07-31 | Seiko Precision Inc | 固体撮像装置 |
JP4009473B2 (ja) * | 2002-03-08 | 2007-11-14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カプセル型内視鏡 |
JP4184125B2 (ja) * | 2002-04-26 | 2008-11-19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撮像素子チップモジュール |
KR20030091549A (ko) * | 2002-05-28 | 2003-12-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이미지 센서모듈 및 그 제조공정 |
JP3755149B2 (ja) | 2002-07-29 | 2006-03-15 | ミツミ電機株式会社 | カメラモジュールの基板への実装方法 |
JP2004063425A (ja) * | 2002-07-31 | 2004-02-26 | Mitsumi Electric Co Ltd |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
EP1529396A1 (en) * | 2002-08-05 | 2005-05-11 |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 Device for mobile image communication |
KR20040019650A (ko) * | 2002-08-28 | 2004-03-06 | 삼성전기주식회사 | 내장형 카메라 모듈 |
KR20050038041A (ko) * | 2002-09-09 | 2005-04-25 | 코닌클리즈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반도체 디바이스 및 그 제조 방법 |
KR100486113B1 (ko) * | 2002-09-18 | 2005-04-29 |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 렌즈 내장형 이미지 센서의 제조 방법 |
US20040061799A1 (en) | 2002-09-27 | 2004-04-01 | Konica Corporation | Image pickup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
JP3688677B2 (ja) * | 2002-11-19 | 2005-08-31 | 株式会社東芝 | カメラの組み込み方法及びカメラ付き携帯形電子機器 |
US20040109080A1 (en) * | 2002-12-05 | 2004-06-10 | Chan Wai San | Fixed-focus digital camera with defocus correction and a method thereof |
JP2004200965A (ja) * | 2002-12-18 | 2004-07-15 | Sanyo Electric Co Ltd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
FI20030071A (fi) * | 2003-01-17 | 2004-07-18 | Nokia Corp | Kameramoduulin sijoittaminen kannettavaan laitteeseen |
EP1463342A1 (en) * | 2003-03-27 | 2004-09-29 | Dialog Semiconductor GmbH | Test system for camera modules |
JP4510403B2 (ja) * | 2003-05-08 | 2010-07-21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
KR100541650B1 (ko) * | 2003-08-12 | 2006-01-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고체 촬상용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
US7619683B2 (en) * | 2003-08-29 | 2009-11-17 | Aptina Imaging Corporation | Apparatus including a dual camera modul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KR100539082B1 (ko) * | 2003-10-01 | 2006-01-10 | 주식회사 네패스 | 반도체 촬상소자의 패키지 구조 및 그 제조방법 |
KR100541654B1 (ko) * | 2003-12-02 | 2006-01-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배선기판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촬상용 반도체 장치 |
JP2005164955A (ja) * | 2003-12-02 | 2005-06-23 | Fujitsu Ltd | 撮像デバイス、撮像デバイスの製造方法及び撮像デバイス保持機構 |
TWI244174B (en) * | 2003-12-31 | 2005-11-21 | Siliconware Precision Industries Co Ltd | Photosensitive semiconductor packag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DE102004001698A1 (de) * | 2004-01-13 | 2005-08-11 | Robert Bosch Gmbh | Optisches Modul |
US7495702B2 (en) * | 2004-02-09 | 2009-02-24 | Nokia Corporation |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amera |
JP2005222876A (ja) | 2004-02-09 | 2005-08-18 | Smk Corp |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
KR100673950B1 (ko) * | 2004-02-20 | 2007-01-24 |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 이미지 센서 모듈과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패키지 |
JP2005284147A (ja) * | 2004-03-30 | 2005-10-13 | Fuji Photo Film Co Ltd | 撮像装置 |
US20060109366A1 (en) * | 2004-05-04 | 2006-05-25 | Tessera, Inc. | Compact lens turret assembly |
CN1969539A (zh) | 2004-05-04 | 2007-05-23 | 德塞拉股份有限公司 | 紧凑透镜塔形组件 |
TWI228811B (en) * | 2004-05-28 | 2005-03-01 | Taiwan Electronic Packaging Co | Package for integrated circuit chip |
JP4838501B2 (ja) * | 2004-06-15 | 2011-12-14 | 富士通セミコンダクター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EP1648181A1 (en) | 2004-10-12 | 2006-04-19 | Dialog Semiconductor GmbH | A multiple frame grabber |
FR2881847A1 (fr) * | 2005-02-10 | 2006-08-11 | St Microelectronics Sa | Dispositif comportant un module de camera a mise au point automatique et procede de montage correspondant |
JP4762627B2 (ja) | 2005-07-25 | 2011-08-31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の製造方法 |
KR100652751B1 (ko) | 2005-08-06 | 2006-12-0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카메라 및 기판 지지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KR100721163B1 (ko) * | 2005-09-27 | 2007-05-23 | 삼성전기주식회사 | 이미지 센서 모듈과 이를 이용한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모듈의 제조방법 |
US20070139792A1 (en) * | 2005-12-21 | 2007-06-21 | Michel Sayag | Adjustable apodized lens aperture |
US7268335B2 (en) * | 2006-01-27 | 2007-09-11 | Omnivision Technologies, Inc. | Image sensing devices, image sensor modules, and associated methods |
JP2007227672A (ja) * | 2006-02-23 | 2007-09-06 | Olympus Imaging Corp | 撮像装置 |
US7750279B2 (en) * | 2006-02-23 | 2010-07-06 | Olympus Imaging Corp. |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ickup unit |
KR100770690B1 (ko) * | 2006-03-15 | 2007-10-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모듈 패키지 |
KR100770684B1 (ko) * | 2006-05-18 | 2007-10-29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패키지 |
JP4867471B2 (ja) * | 2006-05-23 | 2012-02-01 | 大日本印刷株式会社 | カメラモジュール |
KR100772601B1 (ko) | 2006-06-14 | 2007-11-01 | 서울전자통신(주) | 카메라모듈 실장방법 |
KR101162215B1 (ko) | 2006-08-22 | 2012-07-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통신 단말기 |
JP4923967B2 (ja) * | 2006-11-14 | 2012-04-25 | 凸版印刷株式会社 | 固体撮像装置及び電子機器 |
US20080118241A1 (en) * | 2006-11-16 | 2008-05-22 | Tekolste Robert | Control of stray light in camera systems employing an optics stack and associated methods |
JP4310348B2 (ja) * | 2007-04-04 | 2009-08-05 | シャープ株式会社 |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
JP4340697B2 (ja) * | 2007-04-04 | 2009-10-07 | シャープ株式会社 |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
CA2685080A1 (en) * | 2007-04-24 | 2008-11-06 | Flextronics Ap Llc | Small form factor modules using wafer level optics with bottom cavity and flip-chip assembly |
US7825985B2 (en) | 2007-07-19 | 2010-11-02 | Flextronics Ap, Llc | Camera module back-focal length adjustment method and ultra compact components packaging |
CN100576555C (zh) | 2007-08-09 | 2009-12-30 |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 影像装置 |
US7566866B2 (en) * | 2007-09-10 | 2009-07-28 | Gennum Corporation | Systems and methods for a tilted optical receiver assembly |
DE102007057172B4 (de) * | 2007-11-26 | 2009-07-02 | Silicon Micro Sensors Gmbh | Stereokamera zur Umgebungserfassung |
US9350976B2 (en) | 2007-11-26 | 2016-05-24 | First Sensor Mobility Gmbh | Imaging unit of a camera for recording the surroundings with optics uncoupled from a circuit board |
JP2009194543A (ja) * | 2008-02-13 | 2009-08-27 | Panasonic Corp | 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US9118825B2 (en) | 2008-02-22 | 2015-08-25 | Nan Chang O-Film Optoelectronics Technology Ltd. | Attachment of wafer level optics |
DE102008047088B4 (de) * | 2008-09-12 | 2019-05-29 | Jabil Circuit Inc. | Kamera-Modul für ein Mobiltelefon |
CN101393922B (zh) * | 2008-10-30 | 2011-06-15 |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 镜头模组及其制作方法 |
US8654215B2 (en) | 2009-02-23 | 2014-02-18 | Gary Edwin Sutton | Mobile communicator with curved sensor camera |
US8248499B2 (en) * | 2009-02-23 | 2012-08-21 | Gary Edwin Sutton | Curvilinear sensor system |
US9419032B2 (en) | 2009-08-14 | 2016-08-16 | Nanchang O-Film Optoelectronics Technology Ltd | Wafer level camera module with molded housing and method of manufacturing |
JP2011082215A (ja) * | 2009-10-02 | 2011-04-21 | Olympus Corp | 撮像素子、撮像ユニット |
TW201210005A (en) * | 2010-08-23 | 2012-03-01 | Shu-Zi Chen | Thinning of the image capturing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N102444860B (zh) | 2010-09-30 | 2016-12-07 | 欧司朗股份有限公司 | 透镜、具有透镜的照明装置以及照明装置的制造方法 |
WO2012067377A2 (en) * | 2010-11-18 | 2012-05-24 | Lg Innotek Co., Ltd. | Camera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US10009528B2 (en) | 2011-02-24 | 2018-06-26 | Nan Chang O-Film Optoelectronics Technology Ltd | Autofocus camera module packaging with circuitry-integrated actuator system |
JP5730678B2 (ja) | 2011-06-13 | 2015-06-10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
JP2013038628A (ja) * | 2011-08-09 | 2013-02-21 | Sony Corp | カメラモジュール、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
JP6124505B2 (ja) * | 2012-04-05 | 2017-05-10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撮像モジュール |
US20140326856A1 (en) * | 2013-05-06 | 2014-11-06 | Omnivision Technologies, Inc. | Integrated circuit stack with low profile contacts |
KR102171366B1 (ko) * | 2013-09-13 | 2020-10-29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CN107005631A (zh) * | 2014-11-26 | 2017-08-01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摄像装置 |
JP6230124B2 (ja) * | 2014-12-05 | 2017-11-15 | 太陽誘電株式会社 | 撮像素子内蔵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撮像装置 |
GB2537628B (en) * | 2015-04-21 | 2019-05-15 | Qioptiq Ltd | Low stress mounting configuration for optical component |
US10777598B2 (en) | 2016-03-24 | 2020-09-15 | Sony Corporation | Image pickup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JP2017175047A (ja) | 2016-03-25 | 2017-09-28 | ソニー株式会社 | 半導体装置、固体撮像素子、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
WO2017203594A1 (ja) | 2016-05-24 | 2017-11-30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内視鏡用撮像ユニット、および内視鏡 |
US10298820B2 (en) | 2016-08-10 | 2019-05-21 | Apple Inc. | Camera module with embedded components |
JP2018125672A (ja) * | 2017-01-31 | 2018-08-09 |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電子部品、カメラモジュール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
CN207010790U (zh) * | 2017-04-17 | 2018-02-13 | 三赢科技(深圳)有限公司 | 成像模组 |
CN107707694A (zh) * | 2017-09-26 | 2018-02-16 |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 盖板组件、摄像组件及移动终端 |
KR102492626B1 (ko) * | 2018-03-20 | 2023-01-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
CN111698392B (zh) * | 2019-03-12 | 2022-01-07 |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 摄像机 |
KR20210101440A (ko) * | 2020-02-10 | 2021-08-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Pcb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
KR102380310B1 (ko) * | 2020-08-26 | 2022-03-30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917189A1 (en) * | 1996-07-23 | 1999-05-19 | Seiko Epson Corporation | Method for mounting encapsulated body on mounting board and optical converter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1134187A (ja) * | 1984-12-04 | 1986-06-21 | Toshiba Corp | 固体撮像デバイス |
US4870496A (en) * | 1986-12-04 | 1989-09-26 | James C. Wickstead | Optical system for projecting an image onto a low resolution photodetector |
US5040069A (en) * | 1989-06-16 | 1991-08-13 | Fuji Photo Optical Co., Ltd. | Electronic endoscope with a mask bump bonded to an image pick-up device |
JP3216650B2 (ja) * | 1990-08-27 | 2001-10-09 |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 固体撮像装置 |
JP3017780B2 (ja) * | 1990-09-10 | 2000-03-13 | 株式会社東芝 | 電子内視鏡撮像装置 |
GB9103846D0 (en) * | 1991-02-23 | 1991-04-10 | Vlsi Vision Ltd | Lens system |
JP2843464B2 (ja) | 1992-09-01 | 1999-01-06 | シャープ株式会社 | 固体撮像装置 |
JP3207319B2 (ja) | 1993-05-28 | 2001-09-10 | 株式会社東芝 | 光電変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KR20040004472A (ko) * | 1995-05-31 | 2004-01-13 |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 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 촬상어댑터장치, 신호처리장치및 신호처리방법, 및 정보처리장치 및 정보처리방법 |
US6262513B1 (en) * | 1995-06-30 | 2001-07-17 | Kabushiki Kaisha Toshiba | Electronic component and method of production thereof |
US5861654A (en) * | 1995-11-28 | 1999-01-19 | Eastman Kodak Company | Image sensor assembly |
JPH09199701A (ja) | 1996-01-16 | 1997-07-31 | Olympus Optical Co Ltd | 固体撮像装置 |
JP3417225B2 (ja) | 1996-05-17 | 2003-06-16 | ソニー株式会社 | 固体撮像装置とそれを用いたカメラ |
US6795120B2 (en) * | 1996-05-17 | 2004-09-21 | Sony Corporation |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and camera using the same |
JPH10227962A (ja) * | 1997-02-14 | 1998-08-25 | Toshiba Corp | 固体撮像素子を内蔵した電子カメラ用の光学装置 |
JP3836235B2 (ja) * | 1997-12-25 | 2006-10-25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JP3953614B2 (ja) | 1997-12-25 | 2007-08-08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固体撮像装置 |
JP3506962B2 (ja) | 1998-08-10 | 2004-03-15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撮像モジュール |
JP2000270245A (ja) * | 1999-03-19 | 2000-09-29 | Fujitsu General Ltd | Ccdカメラ |
DE19917438A1 (de) * | 1999-04-17 | 2000-10-19 | Bosch Gmbh Robert | Schaltungsanordnung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
JP2001085654A (ja) | 1999-09-13 | 2001-03-30 | Sony Corp |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FR2800911B1 (fr) * | 1999-11-04 | 2003-08-22 | St Microelectronics Sa | Boitier semi-conducteur optique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boitier |
-
2000
- 2000-04-07 JP JP2000106236A patent/JP3607160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
- 2001-04-05 EP EP01108639A patent/EP1148716A1/en not_active Withdrawn
- 2001-04-05 NO NO20011727A patent/NO20011727L/n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01-04-06 KR KR10-2001-0018133A patent/KR10040861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1-04-06 US US09/827,096 patent/US7110033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1-04-07 CN CNA2003101179059A patent/CN1516283A/zh active Pending
- 2001-04-07 CN CNB011220716A patent/CN1163058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0917189A1 (en) * | 1996-07-23 | 1999-05-19 | Seiko Epson Corporation | Method for mounting encapsulated body on mounting board and optical convert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NO20011727L (no) | 2001-10-08 |
CN1330487A (zh) | 2002-01-09 |
KR20010091053A (ko) | 2001-10-22 |
JP2001292354A (ja) | 2001-10-19 |
US20010050721A1 (en) | 2001-12-13 |
CN1163058C (zh) | 2004-08-18 |
CN1516283A (zh) | 2004-07-28 |
JP3607160B2 (ja) | 2005-01-05 |
EP1148716A1 (en) | 2001-10-24 |
US7110033B2 (en) | 2006-09-19 |
NO20011727D0 (no) | 2001-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08614B1 (ko) | 촬상 장치 | |
JP6969595B2 (ja) | 撮像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 |
JP4441211B2 (ja) | 小型撮像モジュール | |
KR100991063B1 (ko) | 촬상 장치 및 휴대용 단말기 | |
KR20090128374A (ko) | 고체촬상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
JP2008263550A (ja) |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10252164A (ja) | 固体撮像装置 | |
JP3839019B2 (ja) | 撮像装置 | |
CN213718044U (zh) | 摄像模组和电子设备 | |
JP2013016894A (ja) |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8312104A (ja) |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KR20080005733A (ko) | 이미지 센서 모듈과 카메라 모듈 | |
JP3821831B2 (ja) | 撮像装置 | |
US8049809B2 (en) |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s | |
KR101070918B1 (ko) |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
JP2008263551A (ja) |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2009070876A (ja) |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JP4375939B2 (ja) |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 |
JP4407297B2 (ja) | 撮像装置、撮像装置の製造方法、撮像素子、撮像素子の取付用基板及び電子機器 | |
JP2008263552A (ja) |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TWI810857B (zh) | 封裝結構、鏡頭模組及電子裝置 | |
KR100818502B1 (ko) | 카메라 모듈 패키지 | |
KR100584977B1 (ko) | Cog 타입의 이미지 센서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
CN117201914A (zh) | 摄像装置 | |
CN117201897A (zh) | 感光组件及其摄像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