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8385B1 - 내구친수성섬유,직물및성형품 - Google Patents

내구친수성섬유,직물및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8385B1
KR100408385B1 KR1019960032125A KR19960032125A KR100408385B1 KR 100408385 B1 KR100408385 B1 KR 100408385B1 KR 1019960032125 A KR1019960032125 A KR 1019960032125A KR 19960032125 A KR19960032125 A KR 19960032125A KR 100408385 B1 KR100408385 B1 KR 1004083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weight
carbon atoms
durable hydrophilic
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048A (ko
Inventor
마사루 니시지마
마사야스 스즈키
Original Assignee
칫소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칫소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칫소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11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83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83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8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D06M13/292Mono-, di- or triesters of phosphoric or phosphorous acids; Salts thereof
    • D06M13/295Mono-, di- or triesters of phosphoric or phosphorous acids; Salts thereof containing polyglycol moieties; containing neopentyl moie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65Ethers
    • D06M13/17Polyoxyalkyleneglycol 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4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D06M13/256Sulfonated compounds esters thereof, e.g. sulto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8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phosphorus
    • D06M13/292Mono-, di- or triesters of phosphoric or phosphorous acids; Sal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02Amides imides, sulfamic ac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02Amides imides, sulfamic acids
    • D06M13/419Amides having nitrogen atoms of amide groups substituted by hydroxyalkyl or by etherified or esterified hydroxyalkyl grou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15Rod, strand, filament or fiber including textile, cloth or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29Bicomponent, conjugate, composite or collateral fibers or filaments [i.e., coextruded sheath-core or side-by-side type]
    • Y10T428/2931Fibers or filaments nonconcentric [e.g., side-by-side or eccentric,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64Artificial fiber or filament
    • Y10T428/2967Synthetic resin or polymer
    • Y10T428/2969Polyamide, polyimide or polyes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3154Sheath-core multicomponent stran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3163Islands-in-sea multicomponent stran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976Including strand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638Side-by-side multicomponent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64Islands-in-sea multicomponent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37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641Sheath-core multicomponent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6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s,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Woven Fabric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계면활성제(A), (B), (C), (D) 및 (E)으로 형성된 혼합물 0.2 내지 1.0중량%가 부착된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섬유로 구성되는 내구성 친수성 섬유의 사용으로 달성되는 내구성 친수성 섬유로부터 수득되는 직물 제품의 친수성 기능 및 강도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탄소수 28 내지 50의 고급 알콜 또는 고급 알킬아민 또는 탄소수 30 내지 50의 지방산과 폴리아민으로 형성된 아미드인 폴리옥시알킬렌 첨가제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A) 10 내지 30중량%, 탄소수 20 내지 28의 지방산과 폴리아민으로 형성된 아미드인 폴리옥시알킬렌 첨가제(B) 10 내지 30중량%, 탄소수 16 내지 28의 고급 지방산과 알칸올아민으로 형성된 아미드(C) 30 내지 50중량%, 탄소수 10 내지 22의 알킬포스페이트 염인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D) 10 내지 30중량% 및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설포네이트 염(E) 2 내지 10중량%.

Description

내구 친수성 섬유, 직물 및 성형품
본 발명은 내구 친수성 섬유, 보다 특히, 종이 기저귀, 생리대 등 주로 위생 재료 분야에서의 표면재로서 유용하거나, 수분 흡수 제품의 형상 보유 피륙 및 성형 보유 피륙에 유용하거나, 산업용 및 의료용 와이핑 포(wiping clothes)로 유용한 내구 친수성 섬유, 및 당해 섬유를 사용하여 수득되는 직물 및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종이 기저귀 등은 3개의 층, 즉 착용시에 피부에 접촉되는 면으로부터 표면재, 흡수재 및 배면재로 형성된다. 표면재는 흡수된 액체가 흡수재로 빠르게 통과하는 투수성 및 흡수된 액체의 역유동을 방지하여 피부에 뽀쏭뽀송한 느낌을 부여하는 드라이 타치 특성(dry touch property)을 가져야 한다. 투수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친수성이 바람직하고 드라이 타치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소수성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 섬유에 소량의 계면활성제가 부착된 부직포를 사용한다(참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63-6166호 및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63-49158호).
상기한 바와 같이, 계면활성제가 부착된 섬유를 사용하는 표면재에서, 액체가 이로부터 1회 또는 2회 흡수되는 경우, 계면활성제가 흘러나가 투수성이 빠르게 감소하여 액체가 표면재에 잔류하여 불쾌감을 준다. 섬유에 부착된 계면활성제가 흘러나가는 것을 감소시키고 물이 반복적으로 투과되는 경우조차도 친수성이 감소되지 않는 재료로서, 수용성 변성 실리콘 함유 계면활성제가 부착된 내구 친수성 섬유로 형성된 부직포가 공지되었다(참조: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63-303184호, 제 1-148879호, 제1-148880호, 제2-169774호 및 제3-59169호).
그러나, 계면활성제가 부착된 내구 친수성 섬유로 형성된 이들 부직포 또는 직포는 내구 친수성이 우수하지만 수용성 변성 실리콘이 필수 조성으로서 함유되기 때문에 섬유의 마찰이 감소되고, 섬유 라미네이트(예: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들이 슬리핑되고, 웹 강도 및 섬유 라미네이트(예: 부직포)의 강도를 감소시키는 문제점을 갖는다. 수득된 직물 피륙의 권취 공정 동안 직물들 사이의 평활성이 매우 높아서 피륙의 권치 형태가 안정하지 못하다는 추가의 문제점이 또한 존재한다.
일본국 특허공개공보 제3-50030호에 폴리올레핀 섬유에, 알키롤 아미드와 알킬렌 옥사이드 첨가물로서의 활성 수소 함유 화합물 또는 계면활성제(예: 알킬포스페이트)와의 혼합물을 부착시키기 위한 친수성을 부여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에서 내구 친수성이 충분하지 않고 전기 저항이 우수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선행기술에 의해 문제점이 제기된 내구 친수성을 갖고 섬유 라미네이트(예: 부직포)의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도록 섬유의 슬리핑을 감소시킨 내구 친수성 섬유, 및 당해 섬유를 사용한 직물 및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열심히 연구했고 그 결과로서, 섬유의 표면에 가공제로서 특별한 계면활성제 조성을 갖는 혼합물을 부착시킴으로써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은 하기 구성들을 갖는다:
(1) 하기 계면활성제(A), (B), (C), (D) 및 (E)로 형성된 혼합물 0.2 내지 1.0중량%가 부착된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섬유로 구성되는 내구 친수성 섬유.
(A) 탄소수 28 내지 50의 고급 알콜 또는 고급 알킬아민, 또는 탄소수 30 내지 50의 지방산과 폴리아민으로 형성된 아미드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10 내지 30중량%,
(B) 탄소수 20 내지 28의 지방산과 폴리아민으로 형성된 아미드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 10 내지 30중량%,
(C) 탄소수 16 내지 28의 고급 지방산과 알칸올아민으로 형성된 아미드(C) 30 내지 50중량%,
(D) 탄소수 10 내지 22의 알킬포스페이트 염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 10 내지 30중량% 및
(E)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설포네이트 염 2 내지 10중량%,
(2) 섬유가, 두 성분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병렬형(side-by-side type) 또는 시이드/코어형(sheath-and-core type)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합섬유인, 제(1)항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
(3) 섬유가, 두 성분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방사상 분할형(radial split type) 또는 해도상형(海島狀形; sea and island type)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합섬유인, 제(1)항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
(4) 섬유를 구성하는 한 성분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
(5) 섬유를 구성하는 한 성분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
(6)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를 교락시키고/시키거나 부착시켜 수득한 직물.
(7)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를 편성하거나 제직하여 수득한 직물.
(8) 제(1)항 내지 제(5)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의해 수득한 성형품.
본 발명을 지금부터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섬유로서, 폴리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및 폴리아미드계 열가소성 수지의 혼합물이 예시될 수 있다.
상기 물질들을 특히 위생 재료 분야에서 표면재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폴리올레핀계 및 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섬유가 바람직하다.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의 단독중합체, 또는 에틸렌 또는프로필렌과 기타 α-올레핀의 결정성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다. α-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올레핀계 공중합체 또는 주로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삼원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공중합체의 예는 에틸렌 또는 부텐-1 또는 주로 프로필렌을 포함하는 4-메틸펜텐-1과 같은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코-에틸렌 이소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테르 에스테르가 예시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또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혼합물은 용도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 섬유 중에, 다른 기능을 갖는 첨가물을 본 발명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범위내에서 섬유와 배합할 수 있고, 이들은 용도에 맞춰 선택하여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A), (B), (C), (D) 및 (E)를 포함하는 혼합물(이후, 가공제라 함)을 하기 기술한다.
(A): 탄소수 28 내지 50의 고급 알콜 또는 고급 알킬아민, 또는 탄소수 30 내지 50의 지방산과 폴리아민으로 형성된 지방산 아미드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고급 알콜 또는 고급 알킬아민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은 탄소수 28 내지 50의 측쇄를 가질 수 있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알콜 또는 아민의 알킬렌옥사이드 첨가물이다. 탄소수가 28 미만일 경우, 충분한 내구 친수성을 수득하기는 어렵다. 지방산 아미드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은 탄소수 30 내지 50의 측쇄를 가질 수 있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산과 폴리아민, 예를 들면,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테트라아민 등, 또는 디에틸에틸렌디아민,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등과의 알킬렌 옥사이드 첨가물이다. 탄소수가 30미만일 경우, 충분한 내구 친수성을 수득하기는 어렵다. 탄소수가 50을 초과할 경우, 비용은 증가하고 실용적인 용도에 적합하지 않다.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은 알킬렌 옥사이드(예: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등,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 단독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첨가 mol수는 2 내지 20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mol이다. 공중합되는 프로필렌 옥사이드는 에틸렌 옥사이드의 mol과 같거나 바람직하게는 미만이다.
(A)의 배합량은 10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중량%이다. 10중량% 미만일 경우, 충분한 내구 친수성은 수득되지 않는다. 40중량%를 초과할 경우, 용액 점도가 매우 커져서 용해도는 불량해진다.
(B): 탄소수 20 내지 28의 지방산 아미드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
고급 지방산 아미드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은 탄소수 20 내지 28의 측쇄를 가질 수 있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산(예: 아라긴산, 베헨산, 리그노세르산, 몬탄산 등) 및 폴리에틸렌 폴리아민(예: 에틸렌 디아민, 디에틸렌 트리아민, 트리에틸렌 테트라아민 등, 또는 디에틸에틸렌디아민,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등 ) 사이의 통상의 반응에서 수득한 지방산 모노아미드 또는 지방산 디아미드이다. 탄소수가 20미만일 경우, 내구 친수성은 불량하고, 28을 초과할 경우, 초기 친수성은 불량하다.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알킬렌 옥사이드(예: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등),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 5 내지 30mol의 첨가물이다. 에틸렌 옥사이드의 mol수가 5미만일 경우, 용해도는 감소하고, 30mol을 초과할 경우, 직물의 액체 투과율이 낮아진다.
(B)의 배합량은 10 내지 3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중량%이다. 10중량% 미만일 경우, 목적한 바와 같은 내구 친수성은 수득되지 않는다. 30중량%를 초과할 경우, 직물의 흡수 속도가 느려진다.
계면활성제(C): 탄소수 16 내지 28의 고급 지방산과 알칸올아민을 포함하는 아미드. 즉, 상기 아미드는 탄소수 16 내지 28의 측쇄를 가질 수 있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지방산과 알칸올아민(예: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등) 사이의 통상적인 반응으로부터 수득된다. 특히 적합한 알칸올아미드는 고급 지방산(예: 스테아르산, 올레산, 베헨산, 에루크산 등)과 디에탄올아민의 2:1 내지 1:2(당량비)의 반응 혼합물이다. 탄소수가 16 미만일 경우, 충분한 내구 친수성은 수득되지 않고, 28을 초과할 경우, 비용이 증가하여 실용적인 용도에 적합하지 않다.
(C)의 배합량은 30 내지 5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중량%이다. 30중량% 미만일 경우, 내구 친수성은 감소한다.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실린더 권취가 카딩 공정 등을 초래하고 균일성을 감소시킨다.
상기한 3개의 계면활성제(A), (B) 및 (C)에 대하여, 2 내지 19,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의 HLB(친수성-친유성 균형)가 일반적으로 적합하지만, 이는 혼합되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친수성에 의존한다.
(D): 탄소수 10 내지 22의 알킬포스페이트 염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 폴리옥시알킬렌 알킬포스페이트 염에서, 알킬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0 내지 22,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4의 데실 알콜, 라우렐 알콜, 미리스틸 알콜 등의 모노포스페이트 또는 디포스페이트의 측쇄를 가질 수 있는 포화되거나 불포화된 완전 중성염이다. 폴리옥시알킬렌 그룹은 알킬렌 옥사이드(예: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등, 특히 에틸렌 옥사이드 단독 또는 에틸렌 옥사이드와 프로필렌 옥사이드의 랜덤 공중합체 또는 블록 공중합체)이다. 에틸렌 옥사이드 단독일 경우, 가해지는 mol수는 2 내지 10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mol이다.
중성염은 알칼리 금속(예: K, Na 등), 암모니아 및 아민을 포함하지만, 전기 저항의 관점에서 칼륨염 또는 나트륨염이 바람직하다. 알콜의 탄소수가 10미만일 경우, 섬유와 금속사이의 마찰이 증가하여 카드 투과율을 감소시키고 실린더 권취를 초래한다. 또한, 22를 초과할 경우, 전기저항은 감소한다.
(D)의 배합량은 10 내지 30중량%이다. 10중량%미만일 경우, 전기저항은 충분하지 않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 내구 친수성이 감소된다.
계면활성제(E)는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설포네이트 염이다. 알킬설포네이트 염(E)은 특별히 우수한 전기저항을 수득할 수 있고, 이의 예는 석유 설폰산나트륨염 및 알킬벤젠설폰산 나트륨염을 포함한다. 섬유와의 친화도에 있어서 탄소수12 내지 16의 석유 설폰산 나트륨염이 바람직하다.
(E)의 적당한 사용량은 2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중량%이다. 10중량% 초과할 경우, 실린더 권취 및 직물에 대한 점착은 카딩 공정을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에 부착되는 가공제 중에 계면활성제(A), (B), (C), (D) 및 (E)를 상기한 적당한 사용범위, 총 첨가물의 85% 이상으로 혼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5개의 계면활성제와는 다른 통상의 계면활성제를 섬유, 직물 및 성형품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수지에 따르는 본 발명의 목적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로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주의해야 한다.
상기한 열가소성 섬유에 대한 가공제의 부착량은 0.2 내지 1.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7중량%이다.
부착량이 0.2중량%미만일 경우, 전기저항과 내구 친수성은 불충분하고,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실린더 권취 및 직물에 대한 점착은 카딩 공정을 초래한다.
상기한 가공제를 열가소성 섬유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오일링 롤(oiling roll)과의 접촉, 침지 탱크에 침지 및 스피닝 또는 드로잉 공정(spinning or drawing process)에서의 분무에 의한 부착, 또는 사용할 수 있는 섬유 라미네이트(예: 웹), 직물(예: 부직포) 또는 성형품으로 가공된 후에 접촉법에 의한 부착, 침지법 및 분무법과 같은 공지된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는 열가소성 섬유에 가공제를 부착시켜 수득하고 이의 단면 구조는 단일 구조 또는 복합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단면 형태는 원형, 불규칙적, 중공 또는 유사한 것일 수 있다. 섬유 형태는 단섬유, 장섬유 또는 용도에 따라서 크림프된 섬유 또는 크림프되지 않은 섬유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가공제의 기능에 대하여, 고수압 유동 공정동안 분할형 복합섬유에서의 거동을 하나의 예로서 하기에 기술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예를 들면, 소수성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되는 방사상 분할형 복합섬유에서 섬유 가공제로서 섬유의 표면에 부착되는 표준 친수성 계면활성제를 고 수압 유동에 의해 부직포로의 형성 공정에서 빠르게 세척 제거한다. 상기 섬유들이 섬유 그 자체에서 매우 강한 소수성이기 때문에 상기 섬유는 고수압 유동에 의한 부직포로의 형성 공정의 초기 단계에서 물의 유동을 피하여 균등하게 물의 충격 에너지를 받지 못한다. 이러한 이유로, 충분히 균등하게 나누어진 매우 섬세한 섬유 부직포는 고수압 유동 단계의 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 수득할 수 없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는 가공제에 부착된 방사상 분할형 복합섬유에서, 섬유 자체는 통상의 경우와 유사하게 매우 강한 소수성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다. 그러나, 섬유 표면에 부착되는 본 발명의 가공제가 매우 완만하게 불연속적이기 때문에 친수성을 충분히 보존시킬 수 있다. 고수압 유동에 의한 부직포에 대한 공정을 반복할지라도, 상기 섬유는 물의 유동을 피하지 않고 물의 충격 에너지를 균등하게 받고, 충분히 균등하게 나누어진 매우 섬세한 섬유 부직포는 보다 적은 수의 단계에서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내구 친수성 섬유에서, 가공제가 소수성 수지(예: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하는 섬유의 경우조차도 습식공정(예: 제지 제조)의 물에서 매우 완만하게 불연속이기 때문에 상기 섬유의 친수성은 보존되고 수 분산액 보존성은 우수하다.
본 발명의 내구 친수성 섬유를 사용하는 직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다. 예를 들면, 건조법 또는 습식법에 의해 단섬유를 섬유 라미네이트로 형성시키고, 가열 롤(heating roll) 또는 초음파로 압축시키고, 가열 공기에 의해 융합시키고, 섬유를 고수압 유동 또는 니들에 의해 교락시킴을 포함하는 부직포 수득방법이 존재한다. 추가의 방법은 방적사, 연속사 또는 유사한 것을 사용하여 편성 및 제직 공정에 의해 직포를 수득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단 수득된 직물, 예를 들면, 상기한 방법에 따르는 직물 또는 스펀 본드법(spun bond method), 용융 취입법(melt blown method), 플러쉬 스피닝법(flush spinning method) 등으로 수득된 직물에 가공제를 부착시켜 성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로부터 절단하여 흡수제 형태 보존성을 부여하고 복합섬유를 병렬형, 시이드/코어형, 방사상 분할형 및 해도상형으로 배열하여 흡수 물질(예: 펄프 및 고분자 흡수제 수지)과 혼합시키고 이에 열 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복합섬유는 흡수제의 물 흡수능이 혼방면의 비가 저하됨에 따라 감소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내구 친수성 섬유는 친수성이 보존되기 때문에 물 흡수능은 좀처럼 감소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 직물 및 성형품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위생 재료 분야에서의 표면재 및 흡수재에 대한 형태 보유 재료의 광범위한분야, 의료용 및 산업용 와이핑 포, 흡수 패드, 및 토목공학 및 건축 분야에서의 건축구조 강화용 섬유, 액체 수송 필름, 배수장치 및 투수성 시이트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이후에 상세하게 기술하지만, 이들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하기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다음과 같은 특성 평가 방법을 사용한다.
(1) 전기 저항: 샘플 섬유 40g을 20℃의 온도 및 45%의 상대습도의 조건하에서 7m/min의 속도로 카드 시험기(card testing machine)를 사용하여 웹으로 형성시킨다. 웹에서 발생된 정전기 전압은 하기 참고로 평가하기 위해 측정된다. 전압이 100V 미만일 경우, 실용적으로 유용하다고 판단한다.
○: 100V 미만
△ : 100V 이상 500V 미만
x : 500V 이상
(2) 카드 패시즈: 샘플 섬유 40g을 30℃의 온도 및 80%의 상대습도의 조건하에서 7m/min의 속도로 소형 카드 시험기를 사용하여 웹으로 형성시킨다. 이후에, 카드 시험기를 정지시키고 실린더를 하기 참고로 평가하기 위해 관찰한다.
○ : 권취안됨
△ : 부분 권취됨
x : 거의 완전히 권취됨
(3) 웹 상태: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한 웹의 상태는 하기 참고로 평가한다.
○ : 넵(nep) 없고, 장력 및 평면을 가짐
△ : 부분적으로 넵이 존재함
x : 웹에 장력 없고, 불균일함
xx: 소모된 면, 또는 웹의 파열
(4) 섬유의 친수성: 카드기 등으로 제조된 샘플 섬유 5g을 직경 3cm, 길이 8cm 및 중량 3g인, 구리 와이어로 제조된 케이지(cage) 속에 넣는다. 케이지를 25℃의 물 온도에서 물 용기의 수위에서 조용히 부유시키고, 샘플이 케이지와 함께 물속으로 침몰하는 시간을 측정한다. 침강된 샘플을 즉시 물로부터 분리하여 원심 분리적으로 탈수시키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공기중에서 건조시킨다. 상기 침강 시간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을 3회 반복한다. 침강 시간이 10초 미만일 경우, 친수성이 우수하고, 3회 측정된 값이 또한 10초 미만일 경우, 내구 친수성이 또한 우수하다는 판단을 한다.
(5) 직물의 내구 친수성: 직물 30g/m2(단위면적당 중량)을 10cmx10cm로 절단하고, 이를 내경 6cm인 실린더가 놓여진 시판되는 종이 기저귀 위에 둔다. 물 65ml을 실린더에 부어서 직물을 통과시켜서 그 결과로 종이 기저귀에서 이를 흡수하도록 한다. 물을 부은 후 3분동안 방치한 후에, 직물을 3.5kg의 중량의 플레이트(10cmx10cm)가 놓여진 필터 시이트[제조원: Toyo Roshi, 제50호]의 두 상부와 하부 사이에 둔다. 이들을 3분 동안 방치하여 탈수시킨 후 공기중에서 5분 동안 건조시킨다. 수득된 직물을 필터 시이트(제조원: Toyo Roshi, 제50호) 위에 둔다. 항온 물 용기에서 23±2℃에서 제조된 물을 위치를 변경하는 동안 직물의 높이 1cm로부터 피펫으로 방울방울 적가한다(총 20방울). 10초 미만 동안에 직물 표면으로부터 사라지는 물방울의 수를 측정한다. 측정한 직물을 시판되는 종이 기저귀 위에 둔다. 유사한 작동을 3회 반복한다.
(6) 촉감: 샘플 직물의 촉감은 하기 참고로 평가하기 위해서 10명의 시험자에 의해 작용 시험으로 측정한다.
○ : 8명 이상이 들어붙음없이 우수하다고 판단함
△ : 6명 미만이 들러붙는 것으로 느끼거나 부적합하다고 느끼는 것으로 판단함
x : 3명 이상이 들러붙는 것으로 느끼는 것으로 판단함
실시예 1 내지 12 및 비교 실시예 1 내지 12
성분(A): 폴리프로필렌, 성분(B): 폴리에스테르 및 성분(C): 고밀도 폴리에틸렌의 열가소성 수지는 단편(단일구조(단일 형태)), 시이드/코어형 구조, 병렬형 구조, 방사상 16-분할형 구조(분할형) 및 해도상 배열 구조(해도상형) 중의 하나를 갖는 섬유를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표 1, 표 2, 표 3 및 표 4에 나타낸 다수의 조성의 가공제를 부착시키고, 수득된 섬유를 하기 공정으로 직물로 형성시킨다:
공정 a: 상기 섬유를 소형 카드기에 의해 카드 웹으로 형성시키고 감압 건조기(140℃)로 열처리하여 부직포 약 30g/m2를 수득한다.
공정 b: 상기 섬유를 소형 카드기에 의해 카드 웹으로 형성시키고 엠보스 롤(emboss roll, 130℃, 선압 20kg/cm)로 열처리하여 부직포 약 30g/m2를 수득한다.
공정 c: 상기 섬유를 스피닝 공정하여 카운트 40의 스핀사를 수득한다. 이러한 스핀사를 원형 편조기로 편성하여 편성 직물을 수득한다.
표 1, 표 2, 표 3 및 표 4를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 직물 및 성형품은 내구 친수성에 있어서 우수하고 들러붙는 느낌이 없다. 따라서, 상기 섬유를, 예를 들면, 위생 재료 분야에서 종이 기저귀 또는 생리대의 표면재로서 사용하는 경우, 오랫동안 사용한 후 조차도, 체액 흡수능은 감소되지 않고, 촉감이 좋은 제품이 제조된다.
[표 1]
[표 2]
[표 3]
[표 4]

Claims (8)

  1. 다음의 계면활성제(A), (B), (C), (D) 및 (E)로 형성된 혼합물 0.2 내지 1.0 중량%가 부착된 열가소성 수지로 제조된 섬유로 구성되는 내구 친수성 섬유.
    (A) 탄소수 28 내지 50의 고급 알콜 또는 고급 알킬아민, 또는 탄소수 30 내지 50의 지방산과 폴리아민으로 형성된 아미드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 10 내지 30중량%,
    (B) 탄소수 20 내지 28의 지방산과 폴리아민으로 형성된 아미드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 10 내지 30중량%,
    (C) 탄소수 16 내지 28의 고급 지방산과, 알칸올아민으로 형성된 아미드 30 내지 50중량%,
    (D) 탄소수 10 내지 22의 알킬포스페이트 염의 폴리옥시알킬렌 첨가물 10 내지 30중량% 및
    (E) 탄소수 12 내지 16의 알킬설포네이트 염 2 내지 10중량%.
  2. 제1항에 있어서, 섬유가, 두 성분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병렬형(side-by-side type)으로 또는 시이드/코어형(sheath-and-core type)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합섬유인 내구 친수성 섬유.
  3. 제1항에 있어서, 섬유가, 두 성분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방사상분할형(radial split type) 또는 해도상형(海島狀形; sea and island type)으로 배열되어 있는 복합섬유인 내구 친수성 섬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를 구성하는 한 성분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수지인 내구 친수성 섬유.
  5.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섬유를 구성하는 한 성분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수지인 내구 친수성 섬유.
  6. 제1항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를 교락, 부착, 또는 교락 및 부착시켜 수득한 직물.
  7. 제1항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를 편성하거나 제직하여 수득한 직물.
  8. 제1항에 따르는 내구 친수성 섬유 단독 또는 이의 혼합물에 의해 수득한 성형품.
KR1019960032125A 1995-08-01 1996-08-01 내구친수성섬유,직물및성형품 KR1004083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16794 1995-08-01
JP21679495A JP3475596B2 (ja) 1995-08-01 1995-08-01 耐久親水性繊維、布状物及び成形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048A KR970011048A (ko) 1997-03-27
KR100408385B1 true KR100408385B1 (ko) 2004-04-14

Family

ID=16693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2125A KR100408385B1 (ko) 1995-08-01 1996-08-01 내구친수성섬유,직물및성형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54086A (ko)
JP (1) JP3475596B2 (ko)
KR (1) KR100408385B1 (ko)
CN (1) CN1151455A (ko)
DK (1) DK17650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92B1 (ko) 2011-06-06 2014-08-07 이에스 화이바비젼즈 가부시키가이샤 내변색성이 뛰어난 내구 친수성 섬유 및 이로 구성되어 있는 섬유 성형체 및 흡수성 물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26803B2 (ja) * 1995-11-02 2001-11-05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を注入させるインク吸収体、該吸収体を用いたインクタンク、インクジェットカートリッジ、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インクタンクの製造方法
JPH1046470A (ja) * 1996-03-26 1998-02-17 Chisso Corp 高撥水性繊維および不織布
JP3351266B2 (ja) * 1996-04-17 2002-11-25 チッソ株式会社 低温接着性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
DE69716636T2 (de) * 1996-06-26 2003-06-12 Chisso Corp Hydrophile fasern, sowie daraus hergestellte bekleidungsartikel und filter
KR100451681B1 (ko) * 1996-11-04 2004-12-03 칫소가부시키가이샤 분할형폴리올레핀복합섬유및이를포함하는부직포
JP3588967B2 (ja) * 1997-04-03 2004-11-17 チッソ株式会社 分割型複合繊維
JP4411667B2 (ja) 1998-07-10 2010-02-10 チッソ株式会社 耐久親水性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成形体
DE19851687A1 (de) * 1998-11-10 2000-05-11 Cognis Deutschland Gmbh Verfahren zur hydrophilen Ausrüstung von Fasern auf Basis von Polyolefinen oder Polyester unter Einsatz von Alkylethoxylaten
US6537662B1 (en) * 1999-01-11 2003-03-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oil-resistant spin finish compositions
JP3314775B2 (ja) * 1999-07-16 2002-08-12 チッソ株式会社 耐久親水性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成形体
DK1152027T3 (da) * 2000-05-04 2004-11-15 Ciba Sc Holding Ag Polyolefinfilmsammensætninger med permanente antidugegenskaber
US8207070B2 (en) 2000-11-22 2012-06-26 Techmer Pm, Llc Wettable polyolefin fibers and fabrics
US20040069685A1 (en) * 2000-11-30 2004-04-15 Makoto Inomata Method of refining petroleum
DE10222672B4 (de) * 2001-05-28 2016-01-21 Jnc Corporation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adhäsiven Konjugatfasern und von dieselben verwendenden Vlies"
US7892993B2 (en) 2003-06-19 2011-02-22 Eastman Chemical Company Water-dispersible and multicomponent fibers from sulfopolyesters
US8513147B2 (en) 2003-06-19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Nonwovens produced from multicomponent fibers
US20040260034A1 (en) 2003-06-19 2004-12-23 Haile William Alston Water-dispersible fibers and fibrous articles
BRPI1006184A2 (pt) * 2009-03-27 2015-09-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mposição termoplástica, artigos, lençol cirúrgico, avental cirúrgico, material para contato com ferimento e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a composição"
US8512519B2 (en) 2009-04-24 2013-08-20 Eastman Chemical Company Sulfopolyesters for paper strength and process
US9273417B2 (en) 2010-10-21 2016-03-01 Eastman Chemical Company Wet-Laid process to produce a bound nonwoven article
WO2012147694A1 (ja) * 2011-04-27 2012-11-01 三井化学株式会社 繊維、不織布及びその用途
US8840758B2 (en) 2012-01-31 2014-09-23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es to produce short cut microfibers
US9617685B2 (en) 2013-04-19 2017-04-11 Eastman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making paper and nonwoven articles comprising synthetic microfiber binders
JP6013434B2 (ja) 2013-11-29 2016-10-25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9605126B2 (en) 2013-12-17 2017-03-28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the recovery of concentrated sulfopolyester dispersion
US9598802B2 (en) 2013-12-17 2017-03-21 Eastman Chemical Company Ultrafiltration process for producing a sulfopolyester concentrate
WO2021251402A1 (ja) * 2020-06-11 2021-12-16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透水性付与剤及びその利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1269A (en) * 1985-03-28 1987-04-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fabric softener
KR890010331A (ko) * 1987-12-02 1989-08-08 다케모도 다이이찌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뤄지는 부직포용 투액성 및 그 부직포에의 투액성 부여방법
JPH03872A (ja) * 1989-05-30 1991-01-07 Sanyo Chem Ind Ltd 繊維用処理剤
JPH03193997A (ja) * 1989-12-22 1991-08-23 Matsumoto Yushi Seiyaku Co Ltd 不織布用繊維用処理剤
JPH0551872A (ja) * 1991-08-09 1993-03-02 Matsumoto Yushi Seiyaku Co Ltd バインダー繊維用処理剤
JPH07166433A (ja) * 1993-12-17 1995-06-27 Toray Ind Inc 合成繊維の処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9074A (ja) * 1983-10-31 1985-06-01 花王株式会社 編織用油剤
JPS636166A (ja) * 1986-06-23 1988-01-12 大和紡績株式会社 耐久親水性ポリオレフイン系繊維
JPH0628680B2 (ja) * 1986-08-18 1994-04-20 チッソ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材
JPS63303184A (ja) * 1987-05-29 1988-12-09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バインダ−繊維用処理剤
JPH01148879A (ja) * 1987-12-02 1989-06-12 Takemoto Oil & Fat Co Ltd ポリオレフイン系繊維の親水綿用処理剤
JPH02229260A (ja) * 1989-03-01 1990-09-12 Toyobo Co Ltd 超吸水性繊維の処理方法
DE3823454A1 (de) * 1988-07-11 1990-01-25 Henkel Kgaa Mercerisier- und/oder laugiernetzmittel
JP2613798B2 (ja) * 1988-12-08 1997-05-28 チッソ株式会社 耐久親水性繊維
JPH02277820A (ja) * 1989-04-19 1990-11-14 Nippon Ester Co Ltd 複合繊維
JP2502755B2 (ja) * 1989-07-18 1996-05-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駆動力と前後輪駆動力配分との総合制御装置
JPH0359169A (ja) * 1989-07-27 1991-03-14 Teijin Ltd 熱接着性繊維
JP2550218B2 (ja) * 1990-11-27 1996-11-06 帝人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繊維
JP2904966B2 (ja) * 1991-04-16 1999-06-14 宇部日東化成株式会社 熱分割性複合繊維
JP3109629B2 (ja) * 1992-09-30 2000-11-20 チッソ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芯鞘型複合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
JPH06228885A (ja) * 1993-02-01 1994-08-16 Matsumoto Yushi Seiyaku Co Ltd 繊維用処理剤組成物
SE501241C2 (sv) * 1993-04-15 1994-12-19 Barracuda Tech Ab Maskeringsmaterial av kettenvirkningsvara
JP3165285B2 (ja) * 1993-06-11 2001-05-14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ポリアミド繊維用処理剤
JPH0770954A (ja) * 1993-08-30 1995-03-14 Toray Ind Inc 乾式染色方法および染色画像を有する積層布帛の製造方法
EP0682136B1 (en) * 1993-10-13 1999-07-28 Teijin Limited Fabric for a high performance air bag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314775B2 (ja) * 1999-07-16 2002-08-12 チッソ株式会社 耐久親水性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成形体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1269A (en) * 1985-03-28 1987-04-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iquid fabric softener
KR890010331A (ko) * 1987-12-02 1989-08-08 다케모도 다이이찌 폴리올레핀계 섬유로 이뤄지는 부직포용 투액성 및 그 부직포에의 투액성 부여방법
JPH03872A (ja) * 1989-05-30 1991-01-07 Sanyo Chem Ind Ltd 繊維用処理剤
JPH03193997A (ja) * 1989-12-22 1991-08-23 Matsumoto Yushi Seiyaku Co Ltd 不織布用繊維用処理剤
JPH0551872A (ja) * 1991-08-09 1993-03-02 Matsumoto Yushi Seiyaku Co Ltd バインダー繊維用処理剤
JPH07166433A (ja) * 1993-12-17 1995-06-27 Toray Ind Inc 合成繊維の処理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7192B1 (ko) 2011-06-06 2014-08-07 이에스 화이바비젼즈 가부시키가이샤 내변색성이 뛰어난 내구 친수성 섬유 및 이로 구성되어 있는 섬유 성형체 및 흡수성 물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048A (ko) 1997-03-27
DK77496A (da) 1997-02-02
JPH0949166A (ja) 1997-02-18
CN1151455A (zh) 1997-06-11
US5654086A (en) 1997-08-05
DK176502B1 (da) 2008-06-02
JP3475596B2 (ja) 200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8385B1 (ko) 내구친수성섬유,직물및성형품
US5545481A (en) Polyolefin fiber
KR102106115B1 (ko) 폴리올레핀 섬유를 영구적으로 친수화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6720070B2 (en) Hydrophilic polyester fiber and hydrophilic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and their production
KR19980032083A (ko) 저온 접착성 섬유와 이를 이용한 부직포
JP6818384B2 (ja) 繊維処理剤、それが付着した透水性繊維および不織布の製造方法
CN110892108B (zh) 无纺布用纤维处理剂和使用了该无纺布用纤维处理剂的无纺布
JP4411667B2 (ja) 耐久親水性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成形体
JP4520631B2 (ja) 耐久透水性付与剤及びその繊維
US20170362770A1 (en) Composition for the permanent hydrophilic finishing of textile fibers and textile products
JP3314775B2 (ja) 耐久親水性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繊維成形体
JP4468575B2 (ja) 耐久透水性付与剤及びその繊維
KR100958605B1 (ko) 투수성 부여제 및 그 부여제가 부착된 섬유
JP2018154942A (ja) 親水性不織布
JP3489341B2 (ja) 親水性繊維及び布状物
EP0943724B1 (en) Hydrophilic fibers and cloth-like articles and filters made by using the same
JP4174995B2 (ja) 耐久親水性複合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成形体
JP4225674B2 (ja) 吸収性物品
JP3571465B2 (ja) 繊維製品用透水性付与剤および透水性繊維製品
JP4340450B2 (ja) 使い捨て衛生材料用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法
JPH03180580A (ja) 撥水性繊維
JPS6349158A (ja) 吸収性物品の表面材
JPH03234866A (ja) 熱接着性繊維
JPH0359169A (ja) 熱接着性繊維
JP2022151210A (ja) 不織布積層体及び不織布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