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32083A - 저온 접착성 섬유와 이를 이용한 부직포 - Google Patents

저온 접착성 섬유와 이를 이용한 부직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32083A
KR19980032083A KR1019970014151A KR19970014151A KR19980032083A KR 19980032083 A KR19980032083 A KR 19980032083A KR 1019970014151 A KR1019970014151 A KR 1019970014151A KR 19970014151 A KR19970014151 A KR 19970014151A KR 19980032083 A KR19980032083 A KR 199800320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fiber
low temperature
component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1347B1 (ko
Inventor
고지마미쯔루
카타오까유끼노리
스즈끼마사야수
Original Assignee
순키치고또
짓소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키치고또, 짓소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순키치고또
Publication of KR199800320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20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1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13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0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04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from polyolefi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06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olefin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82Addition polymers
    • D04H1/4291Olefin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D04H1/43825Composite fibres
    • D04H1/43828Composite fibres sheath-core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5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by welding together the fibres, e.g. by partially melting or dissolving
    • D04H1/541Composite fibres, e.g. sheath-core, sea-island or side-by-side; Mixed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224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ac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224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acid
    • D06M13/2243Mono-, di-, or triglycer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24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 D06M13/24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or phosphorus with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D06M13/256Sulfonated compounds esters thereof, e.g. sulton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402Amides imides, sulfamic acids
    • D06M13/419Amides having nitrogen atoms of amide groups substituted by hydroxyalkyl or by etherified or esterified hydroxyalkyl group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200/00Functionality of the treatment composition and/or properties imparted to the textile material
    • D06M2200/40Reduced friction resistance, lubricant properties; Sizing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33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 Y10T428/294Coated or with bond, impregnation or core including metal or compound thereof [excluding glass, ceramic and asbestos]
    • Y10T428/2958Metal or metal compound in co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접착 섬유와 상기 섬유로 제조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저온에서 고속으로 열처리를 수행하여도 고강도와 부드러운 감촉을 가질 뿐만 아니라 고온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접착력을 가지게 되는 저온 접착성 섬유,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로 제조된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며, 저온 접착성 섬유는 다음과 같이 제조된다.
본 발명의 저온 접착성 섬유는 폴리프로필렌의 심(core)성분과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이원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로 구성된 폴리올레핀계의 초(sheat)성분으로 구성된 복합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다음 (A)성분 5 ∼ 15 중량%, (B)성분 5 ∼ 45 중량% 및 (C)성분 40 ∼ 90 중량%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로 구성된 섬유유제가 섬유에 대해 0.1 ∼ 0.2 중량%가 부착되어 있다.:
(A)성분: 1종 이상의 알칼리금속 알킬설포네이트,
(B)성분: 폴리올에스테르와 지방산알카놀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화합물,
(C)성분: 이염기산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화합물.

Description

저온 접착성 섬유와 이를 이용한 부직포
본 발명은 저온 접착성 섬유와 그것으로 제조된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 제조 공정에서 저온의 열처리 온도로 제조되고, 저온의 열 봉합온도 및 접착제와 접착력이 우수한 폴리올레핀계의 저온 접착성 섬유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되어진 부직포도 포함한다.
폴리올레핀계의 열융착성 복합섬유로 제조된 부직포는 촉감이 부드럽고 고강도이므로 냅킨과 기저귀 등과 같은 위생용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열 융착성 복합섬유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그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방법은 흡착 밴드 건조기 혹은 흡착 드럼 건조기를 사용한 열풍 접착법이고, 두 번째 방법은 가열 롤(roll)등을 사용한 열 압착법이다. 상기의 방법들을 사용하여 고강도를 가지는 위생용품에 적합한 부직포의 생산속도를 빠르게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에서 열처리를 해야 한다. 하지만 생산속도를 빠르게 하기 위해 열처리 속도를 증가시키면 부직포의 강도가 저하된다.
이와 반대로 고강도의 부직포 생산을 위하여 고온, 고압에서 열처리하면 강도는 증가하지만 부직포의 촉감이 딱딱해진다.
폴리올레핀계[초/심(sheath/core)] 복합섬유는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런예로는 고밀도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계(이하 HDPE/PP 라 함)계의 복합섬유, 고밀도 폴리에틸렌/폴리에스터(이하 HDPE/PET 라 함)계의 복합섬유와 프로필렌 공중합체로 구성된 초(sheat)성분과 초성분내에는 편심으로 위치된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심(core)성분으로 이루어진 섬유(일본특허공고 소55-26203호, 일본특허공개 평2-91217호, 평2-191720호)이 있다. 또한 비복합의 폴리올레핀계 열융착성 섬유는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저분자량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어 있다(일본특허공개 소63-165511호).
HDPE/PP계와 HDPE/PET계 복합섬유는 다른 폴리올레핀계 섬유와 혼합되어 혼합섬유로 쓰이기도 한다. 이때, 혼합사를 사용하면 액침투성과 위생용품의 벌키성(bulkiness)같은 성질이 향상된다. 상기 혼합사는 각각의 다른섬유가 적층되어 2층 구조로 이루어진 부직포를 구성하기도 한다. 펄프 등과 같은 것으로 이루어진 수분 흡수층인 상면과 하면은 다른 종류의 부직포로 이루어져있고, 이것이 포개어진 후, 허리부분은 열압착되어 기저귀로 사용된다.
그러나 HDPE/PP계 복합섬유, HDPE/PET계 복합섬유 또는 2층 부직포와 혼합된 폴리올레핀 섬유로 구성된 부직포는 다른 융점을 가지는 섬유가 사용되므로 부직포의 강도가 저하되고 쉽게 박리되는 단점이 있다.
부직포가 기저귀의 표면재로 쓰일때에는, 허리부분의 주름과 가랑이 부분으로부터 소변의 누수가 방지되는 발수성이 있어야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으로는, 폴리올레핀계의 열 융착 섬유와 탄소원자수 16 ∼ 18인 알킬포스페이트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발수성 유제, 실리콘오일 또는 플루오로 카본계 오일과 함께 쓰이는 파라핀유제가 자주 사용되었다.
허리부분의 주름과 가랑이 부분에서, 내층의 부직포와 외층의 부직포는 접착되거나 부직포와 폴리에틸렌 필름이 접착될 경우에는 고온 용융 접착제가 사용된다. 발수성 유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접착제와 부직포간의 접착력이 떨어지고 봉합된 부분이 쉽게 박리된다. 이런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많은 접착제가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가볍고, 작으면서도 저가의 기저귀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고온 용융 접착제의 양을 적게 사용하면서도 높은 접착력을 가지는 부직포가 제공되야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상기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다음과 같은 발명에 도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낮은 온도 및 고속으로 열처리함에도 불구하고 고강도, 부드러운 감촉을 가지는 복합섬유와 부직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의 부직포는 고온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여 고접착력과 아주 우수한 발수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1.본 발명의 저온 접착성 섬유는 폴리프로필렌의 심성분(a core component)과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이원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로 구성된 폴리올레핀계의 초성분(a sheat component)으로 구성된 복합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다음 (A)성분 5 ∼ 15 중량%, (B)성분 5 ∼ 45 중량% 및 (C)성분 40 ∼ 90 중량%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로 구성된 섬유유제가 섬유에 대해 0.1 ∼ 0.2 중량% 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A)성분: 1종 이상의 알칼리금속 알킬설포네이트,
(B)성분: 폴리올에스테르와 지방산알카놀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화합물,
(C)성분: 이염기산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화합물.
2.본 발명의 저온 접착성 섬유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올레핀계의 이원공중합체는 프로필렌 99 ∼ 85 중량%와 에틸렌 1 ∼ 15 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3.본 발명의 저온 접착성 섬유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올레핀계의 이원공중합체는 프로필렌 99 ∼ 50 중량%와 1-부텐 1 ∼ 50 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4.본 발명의 저온 접착성 섬유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올레핀계의 삼원공중합체는 프로필렌 84 ∼ 97 중량%, 에틸렌 1 ∼ 10 중량% 및 1-부텐 1 ∼ 15 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5.1 내지 4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금속 알킬설포네이트는 탄소원자수 8∼18의 알킬술폰산과 나트륨 또는 리튬의 염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6. 1 내지 4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는 HLB값이 5 이하이고, 글리세린, 펜타에리쓰리톨, 소르비톨, 소르비탄 및 슈크로스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폴리올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한다.
7.1 내지 4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알카놀아미드는 탄소원자수 8∼22의 아실기를 함유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알카놀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8.1 내지 4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염기산에스테르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숙신산 및 말레산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이염기산의 에스테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9.1 내지 4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에스테르는 탄소원자수 8∼18의 알킬기를 가지는 지방산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것이고,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분자량이 200 ∼ 80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10.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항의 저온 접착성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부직포를 특징으로 한다.
11.상기 10의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조된 특징으로하는 흡수성 물품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서 복합섬유의 심(core)성분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은 결정성 고분자로 이루어져 있는데 특히 MFR(230℃, 2.16㎏)이 약 2 ∼ 150, 융점이 약 158℃ 이상인 고분자가 적당하다. 상기의 고분자는 지글러-나타(Ziegler-Natta)촉매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으로 중합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초(sheath)성분용 공중합체는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올레핀계의 이원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로 이루어져 있다.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올레핀계의 이원공중합체는 프로필렌 99 ∼ 85 중량%와 에틸렌 1 ∼ 15 중량% 또는 프로필렌 99 ∼ 50 중량%와 1-부텐 1 ∼ 50 중량%로 구성된다. 또한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올레핀계의 삼원공중합체로는 프로필렌 84 ∼ 98 중량%, 에틸렌 1 ∼ 10 중량% 및 1-부텐 1 ∼ 15 중량%로 구성된다. 상기의 공중합체는 MFR(230℃, 2.16㎏)이 3 ∼ 50이고, 융점이 120 ∼ 158℃ 이상이다. 또한 지글러-나타촉매를 사용하여 올레핀을 공중합하면 고체상태의 공중합체를 얻을 수 있고, 실제로 불규칙적인 공중합체이다.
공단량체(에틸렌, 1-부텐)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적합치 않은 열융착성을 가지는 섬유가 생긴다. 공중합체의 융점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열 봉합속도, 열박피속도, 부직포 가공속도, 부직포강도 및 부직포 촉감 중 어느 하나가 나빠지게 된다.
상기 초/심 성분은 공지의 복합방사법으로 제조되는데, 초심형 또는 연신된편심초심형 섬유와 권축된 편심초심형 섬유로 제조된다. 이때, 복합성분의 중량비는 초성분/심성분 = 20 / 80 ∼ 70 / 30 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만약 초성분이 20 중량% 미만이면 섬유의 열접착성이 떨어지고, 이 섬유로 부직포를 생산하면 적당한 인장강도와 저온 접착성을 갖는 부직포를 얻기 어렵다.
초성분이 70 중량% 이상이면, 섬유의 열접착은 충분히 일어나지만, 섬유의 열 수축율이 커지게 되고 부직포의 크기 안정성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섬유의 복합형식은 열처리시 부직포의 수축이 적게 일어나는 편심초심형식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섬도는 0.5 ∼ 10.0 d/f이고 권축수는 약 3 ∼ 60/ 25㎜인 복합섬유가 바람직하며, 좋은 카딩(carding) 공정을 거치게 된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조성물(A)은 탄소원자수 8∼18인 알킬술폰산과 나트륨 또는 리튬 중에서 최소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 예로는 나트륨 라우릴 설포네이트, 나트륨 미리스틸 설포네이트, 나트륨 세틸 설포네이트 및 나트륨 스테아릴 술포네이트가 있으며 특히 탄소원자수가 12 ∼ 18인 알킬기를 가지는 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성분(B)인 폴리올에스테르는 HLB가 5이하이고,글리세린, 트리메틸올레탄,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쓰리톨, 소르비톨, 소르비탄 및 글루코스 중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이 사용되는 것이 적당하다. 특히 글레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글리세린 트리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 및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성분(B)인 지방산 알카놀아미드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그리고 N-(2-아미노에틸)-에탄올과 탄소원자수 8 ∼ 22를 가지는 포화 또는 불포화지방산과같은 알카놀 아민을 통상적인 아민형성방법으로 반응시켜 얻을 수 있다. 알카놀아민으로는 디에탄올아민이 바람직하며, 지방산은 라우산, 미리스틴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및 올레산 같은 탄소원자수 12 ∼ 18인 산이 바람직하다.
또는 폴리에스테르 및/또는 지방산알카놀아미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성분(C)인 이염기산에스테르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테레프산, 숙신산 및 말레산을 포함하는 기 중에서 선택된 이염기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에스테르이다. 특히 디옥틸아디페이트, 디부톡시에틸 세바케이트 및 디옥틸 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계면활성제 성분(C)인 폴리에틸렌 글리콜에스테르는 탄소원자수 8 ∼ 18인 알킬기를 가지는 지방산과 함께 분자량이 200 ∼ 8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이다. 특히, 폴리에틸렌글리콜의 분자량은 200 ∼ 600이 바람직하며 지방산의 알킬기의 탄소원자수는 12 ∼ 18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글리콜(400)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300) 디스테아레이트, 폴리에틸렌글리콜(400)디스테아레이트와 폴리에틸렌글리콜(400) 모노올레이트가 있다.
또는 이염기산에스테르 및/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섬유유제는 상기의 계면활성제 알킬설포네이트 성분(A), 폴리올에스테르와 지방산알카놀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계면활성제 성분(B), 이염기산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화합물인 계면활성제 성분(C)으로 혼합구성되어 있고, A /B /C = 5 ∼ 15/ 5 ∼45 / 40 ∼ 90 중량%(전체중량의 합은 100 중량%)가 되게 혼합한다.
섬유유제의 각 성분의 무게비가 상기 배합비의 범위를 벗어나면, 부직포 가공시 저온 접착성, 열 봉합성, 고온 용융 접착성과 발수성 등에 좋지 못한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효과에 이득이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의 섬유유제는 섬유 중량에 대해 0.1 ∼ 2.0 중량%가 복합섬유에 부착되며, 바람직하기로는 0.3 ∼ 1.8 중량%이다. 부착된 섬유유제의 양이 0.1 중량% 미만이면, 저온 접착성이 충분하지 못하고, 섬유유제의 양이 2.0 중량%를 초과하면, 카딩공정시 권축부여성이 낮아져서 복합섬유의 가공성이 떨어진다.
섬유유제를 복합섬유에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방사공정에서 터치롤(touch roll)을 사용하여 부착하거나, 연신공정시 터치롤을 사용하여 부착하거나 또는 권축공정후에 섬유유제를 분무시키는 방법이 쓰인다.
본 발명에 따른 저온 접착성 섬유를 얻기 위하여 열가소성 수지 등 다른 첨가제를 섬유내부에 혼합하거나 다른 섬유처리제를 섬유 표면에 부착시킨다.
본 발명의 부직포는 상기 섬유유제가 부착되어 생산된 복합섬유를 카드기를 사용하여 제조하거나, 니들-펀칭법, 흡입건조법 또는 가열 롤법 등 공지의 방법을 사용하여 제조한다. 기저기나 위생용품의 냅킨용으로 부직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단사 섬도가 0.5 ∼ 10.0 데니어가 적당하고, 부직포 주성분의 무게는 8 ∼ 50 g/㎡이 적당하고 바람직하기로는 10 ∼ 30 g/㎡이 바람직하다.
단사섬도가 0.5 데니어 미만이면 카드기를 사용하여 균일한 포를 제조하기 곤란하고, 10 데니어를 초과하면 표면이 성긴 부직포를 얻게 된다. 이런 부직포를 가진 표면재는 촉감이 거칠게 된다. 또한 부직포 주성분 무게가 10 g/㎡ 미만이면 너무 얇아서 원하는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없고, 부직포 주성분 무게가 50 g/㎡ 초과하면 만약 충분한 강도를 갖더라도 부직포 표면이 너무 거칠고 실제 사용하기에 비용도 너무 비싸다.
본 발명의 부직포에서는,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저온 접착성 섬유와 다른 섬유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발명의 효과도 높일 수 있다. 이때 다른 섬유로는 폴리에스터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폴리프로필렌 섬유, 폴리아마이드 섬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섬유의 양이 부직포 중량에 대해 20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강도 또는 부직포의 열봉합성을 얻을 수 없고, 고온 용융 접착제를 사용하여 좋은 접착력과 발수성을 얻지 못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는 바,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 나타낸 물리적 값은 다음의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된 값이다.
섬유유제의 양 측정:
속실렛 추출기를 사용하여 섬유 시료(10g)을 메탄올/페트로륨 에테르=1/1의 혼합용제에서 3시간동안 환류시키면서 추출하였다. 그리고, 용매를 증발시킨 후 나머지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부직포의 강도;
일정한 온도에서 가열된 평면 금속 롤과 24%의 결합면을 가진 엠보싱 롤로 구성되어 있는 열 압착장치를 사용하여 함유하는 열간압축을 이용하여 카드웨브를 선압 20 ㎏/㎝ 및 속도 6 m/min으로 카드 포(card web)를 열처리하여 무게가 20 g/㎡인 부직포를 얻었다. 기기흐름의 방향(MD)은 부직포의 길이 방향으로 고려되었고, 기기흐름의 방향에 대한 직각방향(CD)은 부직포의 너비방향으로 고려되었다. 15㎝의 길이와 5㎝의 너비를 가진 시편을 제조하였고, 인장측정기를 사용하여 10㎝의 그리핑 길이 및 10 ㎝/min의 인장속도로써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고온 용융 접착강력:
상기 방법으로 인장강도가 측정된 부직포를 측정한 15㎝의 길이와 2.5㎝의 너비를 가지는 시편으로 절단하여 1㎜의 너비로 요(emboss)면에 고온 용융 접착을 하였다. 20초가 경과한 후, 다른 시편을 요면에 접착시키고, 2 ㎏/㎠의 압력을 10초 동안 가하였다. 그 조각을 24 시간동안 20℃의 온도 및 40%의 습도 조건인 항온조에 넣었다. 인장시험기(10㎝의 그리핑거리 및 10 ㎝/min의 인장속도)을 사용하여 고온 용융된 접착부분의 파열강도를 측정하였다.
고온 용융 접착력의 측정기: JT Tooshi Co. Ltd. 사의 모델 ASM-15
응용 도포기: 모델 Noodson 3100
접착제: SEBS
발수성
상기 인장강도 측정시 사용된 부직포를 15㎝의 정사각형 시편을 절단하였고. 내수압(㎜)은 JIS L1092 법 A(저수압법)에 의하여 10 ㎝/min의 속도로 측정하였다. 내수압이 높을 때, 발수성이 향상됨을 알수 있었다. 실용적으로 사용되는 부직포는 50 ㎜ 이상의 내수압을 가지고 있다.
열 봉합성
상기 인장강도 측정시 사용된 부직포를 2.5 ㎝의 너비를 가진 두 개의 시편으로 절단하였다. 동일한 부직포로부터 제조된 두 개의 시편을 사용하거나 상기 부직포로부터 제조된 하나의 시편과 폴리프로필렌 섬유(2d/f)로 제조된 무게가 20 실시예 1 ~ 6 과 비교예 1 ~ 3 의 부직포에서, 결합온도 128℃에서 얻은 부직포를 130 ~ 145℃에서 열 봉합시켰다. 이러한 부직포의 열봉합 강도는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이때, 하나의 시편은 1㎝의 선단부에서 다른 하나의 덮개로 사용하고, 3 ㎏/㎠의 압력하에서 3 분동안 일정한 온도에서 열압착을 실시하였다. 열봉합 부분의 박리강도는 인장시험기(10 ㎝의 그리핑거리 및 10 ㎝/min의 인장속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1 ∼ 2
복합섬유는 40/60의 복합 부피비(초성분/심성분)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성분은 프로필렌 95 중량% 및 1-부텐 5 중량%를 함유한 MFR 15의 이원공중합체 (A)이고, 심성분은 MFR 10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을 300℃에서 방사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복합섬유는 권취속도 1000 m/min로 방사하여 4d/f의 단섬도를 가지는 동심 초심형의 복합 미연신섬유로 제조하였다. 방사후 권취공정에서는, 다음 표 1에 나타낸 조성물을 함유하는 섬유유제는 터치롤을 사용하여 부착하였다.
그리고나서, 섬유를 95℃의 온도에서 가열롤을 사용하여 원래 길이의 2.4배 만큼 연신하였다. 섬유를 스터핑 박스에 넣어 권축을 주고, 95℃의 온도에서 건조하였고 2d×38㎜의 복합섬유를 얻도록 절단하였다.
실시예 3 ∼ 6 및 비교예 1 ∼ 3
복합섬유는 40/60의 복합 부피비(초성분/심성분)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성분은 에틸렌 3 중량%, 1-부텐 5 중량% 및 프로필렌 92 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이원공중합체(B)이고, 심성분은 MFR 10의 결정성 폴리프로필렌(호모폴리머)을 300℃에서 방사하여 제조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복합섬유는 권취속도 1000 m/min로 방사하여 4d/f의 단섬도를 가지는 동심 초심형의 복합미연신섬유로 제조된다. 방사후 권취공정에서는, 다음 표 1에 나타낸 조성물을 함유하는 섬유유제는 터치롤을 사용하여 부착하였다.
그리고나서, 섬유를 95℃의 온도에서 가열롤을 사용하여 원래 길이의 2.4배 만큼 연신하였다. 섬유를 스터핑 박스에 넣어 권축을 주고, 95℃의 온도에서 건조하였고 2d×38㎜의 복합섬유를 얻도록 절단하였다.
실험예
부직포 강도 시험
상기의 섬유를 20 m/분의 속도에서 무게가 20 g/㎡인 포를 얻을 수 있는 롤러 카드기기를 사용하여 카드처리 하였다. 포를 일정한 온도 및 부직포를 얻을 수 있는 동일한 속도에서의 24% 결합면을 가지는 엠보싱 롤로 통과시켰다.
부직포의 강도는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고온 용융 접착 시험
실시예 1∼6 및 비교예 1∼3의 부직포에서, 부직포는 128℃의 결합온도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하여 고온 용융 접착 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발수성 시험
실시예 1,3,5 및 비교예 2의 부직포에서, 부직포는 128℃의 결합온도에서 얻어진 것을 사용하여 발수성(수압)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열 봉합 시험 1
실시예 1 ~ 6 과 비교예 1 ~ 3 의 부직포에서, 결합온도 128℃에서 얻은 부직포를 130 ~ 145℃에서 열 봉합시켰다. 이러한 부직포의 열봉합 강도는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열 봉합 시험 2
실시예 1 ~ 6 과 비교예 1 ~ 3 의 부직포에서, 결합온도 128℃에서 얻은 부직포와 스펀- 접착법으로 제조된 무게 20 g/㎡인 프로필렌 부직포(제조회사: Mitsui Sekiyu Kagaku Co. Ltd) 를 135 ~ 150℃에서 열 봉합시켰다. 이러한 부직포의 열봉합 강도는 다음 표 3에 나타내었다.

Claims (11)

  1. 폴리프로필렌의 심(core)성분과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이원공중합체 또는 삼원공중합체로 구성된 폴리올레핀계의 초(sheat)성분으로 구성된 복합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다음 (A)성분 5 ∼ 15 중량%, (B)성분 5 ∼ 45 중량% 및 (C)성분 40 ∼ 90 중량%를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로 구성된 섬유유제가 섬유에 대해 0.1 ∼0.2 중량% 부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접착성 섬유.
    (A)성분: 1종 이상의 알칼리금속 알킬설포네이트,
    (B)성분: 폴리올에스테르와 지방산알카놀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화합물,
    (C)성분: 이염기산에스테르와 폴리에틸렌 글리콜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화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올레핀계의 이원공중합체는 프로필렌 99 ∼ 85 중량%와 에틸렌 1 ∼ 15 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접착성 섬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올레핀계의 이원공중합체는 프로필렌 99 ∼ 50 중량%와 1-부텐 1 ∼ 50 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접착성 섬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을 함유하는 올레핀계의 삼원공중합체는 프로필렌 84 ∼ 97 중량%, 에틸렌 1 ∼ 10 중량% 및 1-부텐 1 ∼ 15 중량%의 공중합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접착성 섬유.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알칼리금속 알킬설포네이트는 탄소원자수 8 ∼ 18의 알킬술폰산과 나트륨 또는 리튬의 염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접착성 섬유.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에스테르는 HLB값이 5 이하이고, 글리세린, 펜타에리쓰리톨, 소르비톨, 소르비탄 및 슈크로스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폴리올의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접착성 섬유.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 알카놀아미드는 탄소원자수 8 ∼ 22의 아실기를 함유한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의 알카놀아미드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접착성 섬유.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이염기산에스테르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숙신산 및 말레산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이염기산의 에스테르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접착성 섬유.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에스테르는 탄소원자수 8 ∼ 18의 알킬기를 가지는 지방산의 모노 또는 디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최소 1종 이상의 것이고,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분자량이 200 ∼ 800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접착성 섬유.
  10. 상기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항의 저온 접착성 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11. 상기 제 10 항의 부직포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KR1019970014151A 1996-04-17 1997-04-17 저온 접착성 섬유와 이를 이용한 부직포 KR100231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19731 1996-04-17
JP11973196 1996-04-17
JP29118096A JP3351266B2 (ja) 1996-04-17 1996-10-14 低温接着性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
JP8-291180 1996-10-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2083A true KR19980032083A (ko) 1998-07-25
KR100231347B1 KR100231347B1 (ko) 1999-11-15

Family

ID=2645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151A KR100231347B1 (ko) 1996-04-17 1997-04-17 저온 접착성 섬유와 이를 이용한 부직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02679A (ko)
JP (1) JP3351266B2 (ko)
KR (1) KR100231347B1 (ko)
CN (1) CN107273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9855A1 (fr) * 1996-06-26 1997-12-31 Chisso Corporation Fibres hydrophiles et articles et filtres de type tissu constitues de celles-ci
US5876840A (en) * 1997-09-30 1999-03-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Crimp enhancement additive for multicomponent filaments
US20020192829A1 (en) * 1999-03-22 2002-12-19 Technology Innovations, Llc Composite fiber for absorptive material with sensor
WO2000056963A1 (en) * 1999-03-22 2000-09-28 Technology Innovations, Llc Composite fiber for absorptive material construction
US20020177876A1 (en) * 2001-03-26 2002-11-28 Tyco Healthcare Group Lp Polyolefin sutures having improved processing and handling characteristics
WO2002076287A2 (en) * 2001-03-26 2002-10-03 Tyco Healthcare Group Lp Oil coated sutures
JP4336541B2 (ja) * 2002-08-30 2009-09-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US20050124950A1 (en) * 2002-08-20 2005-06-09 Uni-Charm Co., Ltd. Disposable wearing article
US7111930B2 (en) * 2004-03-25 2006-09-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luid supply having a fluid absorbing material
TW200718814A (en) * 2005-11-08 2007-05-16 Kao Corp Stretchable nonwoven fabric
JP4753852B2 (ja) * 2006-01-11 2011-08-24 花王株式会社 伸縮性不織布
WO2009079315A2 (en) * 2007-12-14 2009-06-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ber aggregate
BRPI0821121A2 (pt) * 2007-12-14 2016-06-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 método de contatar uma formação subterrânea, e método de reduzir a migração de sólidos
WO2009079234A2 (en) * 2007-12-14 2009-06-25 Schlumberger Canada Limited Methods of treating subterranean wells using changeable additives
EA024997B1 (ru) * 2007-12-14 2016-11-30 3М Инновейтив Пропертиз Компани Многокомпонентные волокна
WO2009079233A2 (en) * 2007-12-14 2009-06-2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ppants and uses thereof
JP5796828B2 (ja) 2009-02-27 2015-10-21 Esファイバービジョンズ株式会社 高撥水性複合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嵩高不織布
EP2638190B1 (en) * 2010-11-09 2015-04-2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Bicomponent fibers and methods for making them
CN103534394B (zh) * 2011-05-11 2016-02-24 三井化学株式会社 卷曲复合纤维及含有该纤维的非织造布
JP2014019967A (ja) * 2012-07-18 2014-02-03 Teijin Ltd 低融点熱可塑性樹脂繊維の製造方法
TWI627321B (zh) * 2012-09-20 2018-06-21 Asahi Kasei Fibers Corp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sanitary material
JP6013434B2 (ja) * 2013-11-29 2016-10-25 三ツ星ベルト株式会社 摩擦伝動ベルト及びその製造方法
CN104674456A (zh) * 2015-02-06 2015-06-03 北京大源非织造有限公司 一种拒水性非织造布的制造方法
JP6871238B2 (ja) * 2016-04-12 2021-05-12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不織布製造用処理剤及びその利用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7816A (en) * 1977-05-24 1978-12-22 Chisso Corp Hot-melt fiber of polypropylene
JP2613798B2 (ja) * 1988-12-08 1997-05-28 チッソ株式会社 耐久親水性繊維
WO1993006168A1 (en) * 1991-09-16 1993-04-01 Exxon Chemical Patents Inc. Compatible polypropylene/poly(1-butene) blends and fibers made therefrom
DK0552013T3 (da) * 1992-01-13 1999-10-18 Hercules Inc Fiber, som kan bindes termisk, til ikke-vævede tekstiler af høj styrke
US5512358A (en) * 1993-09-22 1996-04-30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component polymeric strands including a butene polymer and nonwoven fabric and articles made therewith
US5652051A (en) * 1995-02-27 1997-07-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Nonwoven fabric from polymers containing particular types of copolymers and having an aesthetically pleasing hand
JP3460378B2 (ja) * 1995-04-17 2003-10-27 チッソ株式会社 撥水性繊維およびこれを用いた不織布
JP3475596B2 (ja) * 1995-08-01 2003-12-08 チッソ株式会社 耐久親水性繊維、布状物及び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2739C (zh) 2001-10-10
US5902679A (en) 1999-05-11
KR100231347B1 (ko) 1999-11-15
CN1168424A (zh) 1997-12-24
JPH101875A (ja) 1998-01-06
JP3351266B2 (ja) 2002-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1347B1 (ko) 저온 접착성 섬유와 이를 이용한 부직포
KR100403057B1 (ko) 셀룰로오스 결합 섬유
US5981410A (en) Cellulose-binding fibres
KR100453609B1 (ko) 열융착성복합섬유및이로부터제조된부직포
KR100403253B1 (ko) 박리강도가 개선된 부직적층물
KR100776878B1 (ko) 다층 부직포 및 그의 용도
KR100408385B1 (ko) 내구친수성섬유,직물및성형품
US6090730A (en) Filament non-woven fabric and an absorbent article using the same
KR20020087398A (ko) 부직포, 그의 제조방법, 위생 재료 및 위생 용품
KR20130131428A (ko) 부직포 적층체
KR20000070243A (ko) 유연성 부직포 적층체
KR20030017538A (ko) 부직포 적층체 및 그의 용도
JPH06116815A (ja) ポリオレフィン系芯鞘型複合繊維及びこれを用いた不 織布
JP2002069820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吸収性物品
KR20210122825A (ko) 부직포 적층체, 복합 적층체, 및 피복 시트
KR102500062B1 (ko) 스펀본드 부직포, 위생 재료, 및 스펀본드 부직포의 제조 방법
JP2002038364A (ja) スパンボンド不織布および吸収性物品
JP3525536B2 (ja) 改質ポリオレフィン系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不織布
JPH07145541A (ja) バリヤー要素の織物、バリヤー要素、及びそのような要素を含む保護製品
JP4748560B2 (ja) 熱接着性複合繊維及びそれを用いた繊維製品
JP3801913B2 (ja) メルトブロー不織布
JP4026241B2 (ja) 熱融着性複合繊維、不織布及びその不織布を用いた吸収性物品
JP3774105B2 (ja) 包装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包装袋
JP2001040564A (ja) 柔軟性不織布及びその不織布積層体
JP2835457B2 (ja) 熱接着性複合繊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8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