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7712B1 - 볼 분쇄기 - Google Patents

볼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7712B1
KR100407712B1 KR10-2000-0067925A KR20000067925A KR100407712B1 KR 100407712 B1 KR100407712 B1 KR 100407712B1 KR 20000067925 A KR20000067925 A KR 20000067925A KR 100407712 B1 KR100407712 B1 KR 100407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tank
dross
screen
drum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7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37928A (ko
Inventor
손신식
Original Assignee
손신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신식 filed Critical 손신식
Priority to KR10-2000-0067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7712B1/ko
Publication of KR20020037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37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7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77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with one or a few disintegrating members arranged in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183Feeding or discharg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0Disintegra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7/00Disintegrating by tumbling mills, i.e. mills having a container charged with the material to be disintegrated with or without special disintegrating members such as pebbles or balls
    • B02C17/18Details
    • B02C17/24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거된 폐알루미늄을 용해하여 재생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드로스(Dross)를 또다시 재생하기에 앞서 드로스에 포함된 일반고철이나 재, 먼지 등의 각종 폐기물을 탈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볼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 분쇄기의 드럼탱크 전면부에 이중구조의 스크린장치를 형성하여 드로스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먼저 각종 미세한 이물질, 부산물 등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분쇄효율을 높이고, 또한 드럼탱크 내부에 다수개의 분쇄실을 다단으로 형성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는 폐알루미늄을 용해하여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드로스를 재생하기에 앞서 드로스에 함유된 일반고철 및 각종 폐기물 등을 드럼탱크에 투입하여 볼들의 타격에 의해 분쇄하여 재생토록 하는 볼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탱크(10)의 전면에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내부 스크린(15)과 철망형으로 이루어진 외부 스크린(16)을 호퍼형의 이중 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전면 안내관(17)의 하부에는 스크린(15)(16)을 통하여 걸러지는 부산물을 회수토록 하는 회수구(18)를 형성하고, 상기 드럼탱크의 내부에는 구획칸(11)에 의해 구획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수개 분쇄실(12)을 서로 연통되게 형성함과 동시에 내부에는 다수개의 볼(13)을 설치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하며, 상기 드럼탱크(10)는 금속재질의 내,외측 플레이트(10a)(10b) 사이에 고무재질의 완충패드(10c)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보울트(10d)로 조립한 삼중의 구조로 형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볼 분쇄기{Ball crusher}
본 발명은 수거된 폐알루미늄을 용해하여 재생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드로스(Dross)를 또다시 재생하기에 앞서 드로스에 포함된 일반고철이나 재, 먼지 등의 각종 폐기물을 탈리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볼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볼 분쇄기의 드럼탱크 전면부에 이중구조의 스크린장치를 형성하여 드로스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먼저 각종 미세한 이물질, 부산물 등을 제거토록 함으로써 분쇄효율을 높이고, 또한 드럼탱크 내부에는 다수개의 분쇄실을 서로 연통되게 나란히 형성하여 연속적인 분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일반적으로 캔, 샤시조각, 엔진블럭, 선박, 비행기 부품 등 알루미늄을 주재질로 하는 각종 물품은 수명이 다하여 폐기될 경우, 알루미늄이 고가임으로써 순수알루미늄으로 재생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보편화되어 있다.
이러한 폐알루미늄을 재생하는 방법은 폐알루미늄을 수거하여 용해로에 넣고, 완전히 용해하여 재생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으로 폐알루미늄을 재생하는 과정에서는 많은 양의 부산물이 발생하게 된다.
즉, 통상적인 방법으로 폐알루미늄을 용해하여 재생하게 되면, 대략 80-90%정도의 알루미늄은 회수가 가능하나, 나머지 부분은 드로스로 남게 되며 이 드로스에는 순수알루미늄은 물론이고, 일반고철, 재, 각종 이물질 등의 폐기물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이때 발생되는 드로스를 폐기하지 않고 역시 재생하여 순수알루미늄으로 회수하게 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이 경우 드로스를 다시 용해하기에 앞서 드로스의 재생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드로스에 포함된 각종 일반고철이나 산화과정에서 발생된 재 등의 각종 폐기물을 제거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즉, 드로스를 그대로 용해하여 재생하게 되면, 이를 용해하는데 따른 에너지의 손실과 더불어, 많은 양을 용해하는데 따른 비용부담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용해하지 않아도 되는 기타 폐기물까지도 필요없이 용해하여야 하는 등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드로스중에는 산화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재 등의 폐기물 때문에 재생효율이 현격히 저하됨은 자명한 사실이고, 알루미늄의 회수율도 저하될 뿐만 아니라, 작업공정이 복잡한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야기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드로스를 재생하기에 앞서 각종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함으로써 드로스 중에 함유된 금속, 구리, 니켈 등의 일반고철은 물론 산화되는 과정에서 발생된 각종 폐기물을 제거하는 것은 일반화된 공정이다.
드로스를 분쇄하는 장치로는 볼을 이용한 볼 분쇄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이의 볼 분쇄기는 원통형 드럼탱크를 갖추어 형성되고, 드럼탱크의 전면에는 드로스의 재료를 투입할 수 있는 투입구가 형성됨과 동시에 후면에는 분쇄된 재료를 배출토록 하는 배출구 및 공기, 먼지 등의 폐기물을 배출시키도록 하는 에어배출구가 형성된다.
또, 드럼탱크의 내부에는 분쇄실이 형성되며, 이 분쇄실에는 드로스를 타격하여 분쇄토록 하는 다수개의 금속 볼이 각각 투입되어 있다.또한, 드럼탱크의 일측 표면에는 원주방향으로 체인기어가 형성되어 모우터의 동력과 체인으로 연결되고, 드럼탱크의 하부 양측에는 드럼탱크을 받쳐주어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수 개의 지지로울러가 회전축에 의해 2열로 형성된다.
한편, 드럼탱크는 후방을 향해 약간 경사지게 설치되어 중간부의 또다른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그 전체가 제자리에서 원활하게 회전구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모우터의 회전동력이 체인과 체인기어를 통하여 드럼탱크에 전달되면, 드럼탱크는 중간부의 외측에 형성된 지지로울러에 의해 지지되어 제자리 회전되고, 이에 따라 분쇄실내에 투입된 다수의 볼들이 분쇄실내에서 무작위로 회전되면서 투입되는 드로스를 타격하여 분쇄하게 된다.
즉, 드로스에 달라붙은 일반고철은 물론 각종 폐기물을 제거하게 되고, 분쇄된 재료는 후방의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배출된 재료는 별도의 이송 콘베이어 밸트를 타고 자석, 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분리장치를 통과함으로써 순수 알루미늄과 일반고철등이 분리되는 반면에, 분쇄실내에서 분리되는 재나 작은 입자회된 각종 폐기물은 에어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볼 분쇄기의 구성은 드럼탱크가 회전되면서 그 내부에 투입된 다수개의 볼들이 드럼탱크의 내경을 타격하게 되어 심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볼들은 분쇄실내에서 무작위로 회전됨에 따라 드럼탱크의 내경을 타격하게 되나, 이를 완충하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심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진동과 소음은 그 하부의 지지로울러로 그대로 전달되어져 진동 및 소음의 증가를 가중시키게 됨은 물론이고, 관련부품의 조기마모를 유발시키게 되는 단점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의 구조는 드럼탱크내의 분쇄실에 일정량의 재료를 넣고 기기를 가동하여 분쇄작업을 수행한 후, 분쇄작업이 모두 완료되면 기기를 중지한 상태에서 분쇄된 재료를 배출시키는 단발성 작업 구조를 가지는 것임으로써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그리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회전분쇄기의 드럼탱크를 타이어 차륜으로 회전구동시키는 장치가 제안된 바 있으며, 이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실개소 52-16685호를 들수가 있다.상기의 구조는 모터와 감속기에 의해 회전하는 복수의 타이어 차륜에 의해 회전하는 드럼탱크가 구비되고, 이 드럼탱크의 전,후면에는 각각 파쇄재료를 공급토록 하는 공급장치가 형성되면서도 중심부에는 분쇄된 재료를 배출토록 하는 배출장치가 부설되어 있는 구성이다.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 역시 드럼탱크를 타이어 차륜으로 회전구동시킴으로써 구동에 따른 효율과 더불어 진동, 소음 등이 줄어드는 장점은 있었으나, 연속적으로 분쇄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즉, 공급장치를 통하여 일정량의 재료를 투입한 상태에서 분쇄작업을 시행하고, 분쇄작업이 완료되면 기기를 중지시킨 상태에서 분쇄된 재료를 배출시키도록 하는 단발성의 작업이 가능토록 구성된 것이기 때문에 작업성 및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볼 분쇄기의 드럼탱크 내부에 다수 개의 분쇄실을 서로 연통되게 형성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재료를 투입하는 전단부에 이중구조의 스크린장치를 형성하여 드로스에 포함된 각종 미세한 이물질, 부산물 등을 재료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일차 제거토록 함으로써 분쇄효율은 물론이고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볼 분쇄기를 제공함에 있다.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볼 분쇄기는 드럼탱크의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분쇄실을 서로 연통되게 나란히 형성하여 재료가 투입되어 배출되는 과정에서 연속적이고도 여러 번에 걸쳐 분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고, 또한 드럼탱크의 전면부에는 투입되는 드로스중의 분말화된 각종 폐기물을 일차 수거토록 하는 이중 구조의 스크린수단을 형성함으로써 분쇄효율을 향상시키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구성도
도 2는 도1의 단면구성도
도 3은 도1의 측단면구성도
도 4는 도1의 우측면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동력전달에 따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투입부의 구성을 보인 일부단면구성도
도 7은 도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구성도<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드럼탱크 10a,10b : 플레이트
10c : 완충패드 10d : 보울트
11 : 구획칸 12 : 분쇄실
13 : 볼 14 : 투입구
15,16 : 스크린 17 : 전면 안내관
18 : 회수구 19 : 공급호퍼
20 : 후면 안내관 21 : 배출구
22 : 에어배출구 31 : 지지대
32 : 브라켓트 33 : 베어링하우징
34 : 회전축 35 : 구동로울러
36 : 모우터 37 : 지지플랜지
38 : 지지브라켓트 39 : 아이들로울러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본 발명 볼 분쇄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중 부호 100은 본 발명에 따른 볼 분쇄기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볼 분쇄기의 본체(100)는 폐알루미늄을 재생하고 난뒤 발생되는 드로스를 투입토록 하는 투입부와, 투입부로부터 투입되는 드로스를 분쇄토록 하는 분쇄부와, 상기 분쇄부로부터 분쇄되는 재료를 회수토록 하는 회수부와, 분쇄부를 회전구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분쇄부는 원통형 드럼탱크(10)로 구성되고, 이 드럼탱크(10)의 내부에는 구획칸(11)에 의해 구획되는 다수 개의 분쇄실(12)이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서로 연통되게 나란히 형성되며, 각 분쇄실(12)내에는 다수 개의 금속재질의 볼(13)이 투입된다.
드럼탱크(10)는 도면에서 상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에서와 같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약간 경사지게 설치된다.
구획칸(11)은 첨부된 도면의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망체형으로 형성되어 볼(13)이 분쇄실(12)내에서 작용될 수 있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분쇄되는 재료만 다음의 분쇄실(12)로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 볼(13)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드럼탱크(10)의 회전력에 따라 분쇄실(12)내에서 무작위로 이동됨에 따라 투입되는 드로스를 타격하여 이에 달라붙은 재 등의 폐기물을 탈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드럼탱크(10)의 전단에는 드로스의 재료가 분쇄실(12)내로 투입되는 호퍼형의 투입구(14)가 형성되고, 이 투입구(14)의 내측에는 드로스에 달라붙은 페기물을 1차로 스크린을 통과 시켜 제거토록 하는 이중의 스크린(15)(16)이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15)(16)은 도 6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스크린(15)(16)은 투입구(14)의 전단에서 드럼탱크(10)의 몸체측을 향해 대략 나팔형으로 형성되며, 전면 끝단이 용접으로 연결되면서 일정한 간격을 가지는 이중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스크린(15)은 다수의 원형 구멍이 전면에 걸쳐 천공되어 있고, 외측 스크린(16)은 미세한 입자가 통과될 수 있도록 철망형으로 형성되므로 투입구(14)를 통해 투입되는 재료중에 포함된 먼지나 미세한 이물질, 부산물 등을 이중으로 걸러서 배출시키기 위함이다.또한, 상기 스크린(15)(16)과 드럼탱크(10)가 연결되는 연결부위에는 드럼탱크(10)의 회전에 방해를 주지 않는 구조로 전면 안내관(17)이 형성되고, 이 전면 안내관(17)의 하부에는 스크린(15)(16)을 통과한 폐기물을 외부로 회수토록 하는 회수구(18)가 형성된다.
이때, 전면 안내관(17)은 지지대에 고정되어 드럼탱크(10)의 회전에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않고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투입구(14)를 통해 드로스를 투입하게 되면, 드로스는 내측 스크린(1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달라붙은 재 등의 폐기물이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내부 스크린(15)을 통해 통과되고, 다시 미세한 철망형의 외측 스크린(16)을 통해 통과됨으로써 안내관(17)의 회수구(18)를 거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며, 이들 스크린(15)(16)을 통과하지 못한 비교적 입자가 큰 드로스는 분쇄실(12)내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투입구(14)에는 콘베이어 벨트 등을 통하여 공급되는 드로스를 원활하게 투입토록 하는 공급호퍼(19)가 형성됨은 공지된 사실이다.
또한, 드럼탱크(10)의 후단부에는 드럼탱크(10)의 회전에 방해를 주지 않는 상태에서 후면 안내관(20)이 형성되고, 이 후면 안내관(20)의 하부에는 분쇄실(12)에서 분쇄된 재료를 배출토록 하는 배출구(21)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부에는 드럼탱크(10)내에서 발생되는 먼지와 공기 등을 외부로 배출토록 하는 에어배출구(22)가 형성된다.
그리고, 드럼탱크(10)의 하부 양측에는 지지대(31)에 지지된채로 드럼탱크(10)를 받쳐줌과 동시에 회전력을 제공토록 하는 구동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부는 도면의 도 5에서 더욱 상세히 나타내고 있으며, 이는 통상에서와 같이 공지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구동부는 지지대(31)의 상면에 브라켓트(32) 및 베어링하우징(33)에 의해 지지되는 회전축(34)과, 이 회전축(34)에 등간격으로 장착되어 드럼탱크(10)의 하부를 받쳐주도록 하는 구동로울러(35)와, 상기 회전축(34)의 일측단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우터(36)로 구성된다.
즉, 지지대(31)의 상면 일측에는 모우터(36)와 감속기로 연결되는 회전축(34)이 브라켓트(32) 및 베어링하우징(33)에 의해 장착되고, 이 회전축(34)에 다수의 구동로울러(35)가 형성됨과 아울러, 타측에는 다수개의 구동로울러(35)가 역시 브라켓트(32) 및 베어링하우징(33)에 장착된 또다른 회전축(34)에 의해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공회전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동로울러(35)는 튜브리스 타이어로 형성된 것으로, 드럼탱크(10)의 중량을 충분히 지지토록 하면서도 모우터(36)의 회전력에 의해 드럼탱크(10)를 회전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드럼탱크(10)의 외주연 소정위치에는 지지플랜지(37)가 원주방향으로 형성되어 지지대(31)의 지지브라켓트(38)에 형성된 아이들로울러(39)에 의해 지지된다.
즉, 드럼탱크(10)는 전술한 바와도 같이 전방에서 후방을 향해 약간 경사지게 설치되어 분쇄실(12)내에서 분쇄되는 드로스가 경사면을 타고 배출구(21)측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드럼탱크(10)가 자체의 중량에 의해 그 전체가 후방으로 밀려 나가지 않고 정위치에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드럼탱크(10)는 다른 실시예로서 3중의 구조로 형성할 수가 있다.
첨부된 도면의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드럼탱크(10)는 금속판을 이루어지는 플레이트(10a)(10b)를 두겹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이들 사이에 탄성력이 뛰어난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패드(10c)를 삽입하여 다 수개의 보울트(10d)로 조립한 구성이다.
보울트(10d)는 도면에는 미도시 되어 있지만, 드럼탱크(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조립체결됨으로써 3중의 구조로 이루어지는 드럼탱크(10)의 전체적인 조립력과 강도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작동되는 볼(13)에 의해 드럼탱크(10) 내벽면에 타격이 가해질 경우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사이에 형성된 완충패드(10c)의 규션력으로 충격을 최대한 완충할 수가 있어 진동 및 소음의 방지는 물론, 드럼탱크(10)의 마모 및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볼 분쇄기(100)의 구동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이는 모우터(36)의 회전동력이 브라켓트(32) 및 베어링하우징(33)에 지지된 회전축(34)으로 전달되어 구동로울러(35)를 회전구동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로울러(35)에 안착된 원통형의 드럼탱크(10)가 회전하게 된다.
즉, 지지대(31)의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구동로울러(35)가 2열로 형성되고, 일측은 모우터(36)에 의해 회전구동됨과 동시에 타측은 공회전됨으로써 드럼탱크(10)를 안전하게 지지하면서도 이를 회전구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로울러(35)는 내부에 공기압이 작용한 자동차의 타이어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음에 따라 자체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드럼탱크(10)의 하중을 안정되게 지지하면서도 드럼탱크(10)와 긴밀히 밀착되어 원활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져 드럼탱크(1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드럼탱크(10)가 회전구동되면, 그 내부의 분쇄실(12)내에 투입된 다수 개의 볼(13)들은 각 분쇄실(12)의 내부에서 무작위로 이동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재생하고자 하는 드로스를 투입구(14)측으로 투입하게 되면, 먼저 드럼탱크(10)의 전단부에 이중의 구조를 가지는 스크린장치를 통과함으로써 드로스의 표면에 달라붙은 각종 폐기물이 탈리된다.즉, 전단이 좁고 후단이 넓어지면서 드럼탱크(10)와 동시에 회전작동되는 내,외측 스크린(15)(1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재나 먼지 등의 폐기물이 다공판과 철망을 통해 다단으로 걸러져 회수구(18)로 회수된다.
또한, 상기 내,외측 스크린(15)(16)을 통과하지 못하는 드로스는 드럼탱크(10)내의 분쇄실(12)내로 투입되어 이동 또는 낙하되는 볼(13)들에 의해 타격이 이루어 짐으로써 표면에 달라붙은 각종 폐기물이나 또는 일반고철 등이 탈리된다.이때, 상기 분쇄실(12)은 드럼탱크(10)내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가 서로 연통되게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5개의 분쇄실(12)이 연속적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들 각 분쇄실(12)들의 구획칸(11)을 통해 다음 분쇄실(12)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연속적이고 반복적인 분쇄작업이 충분히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이같이 각 분쇄실(12)에서 분쇄가 이루어진 재료는 드럼탱크(10)의 후방 안내관(20)에 형성된 배출구(2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분쇄실(12)내에는 재료가 분쇄되면서 발생되는 많은 먼지나 재 등의 폐기물은 공기와 함께 에어배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후, 미도시된 별도의 정화장치에서 정화되어 대기중으로 배출된다.
또한, 배출구(2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분쇄된 재료는 미도시된 콘베이어 벨트를 타고 이동되어 자력을 가지는 자석에 의해 알루미늄을 제외한 금속 등의 일반고철이 1차 회수되고, 이어서 스크린 등으로 이루어진 분리장치에 의해 2차로 분리되어 회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쇄과정은 필요에 따라 재차 삼차로 시행할 수 있고, 분쇄된 드로스는 통상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용해하여 재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드럼탱크(10)는 삼중의 구조를 가짐으로써 즉, 내외측 플레이트(10a)(10b)의 사이에 탄력을 가지는 고무재질의 완충패드(10c)를 형성함으로써 드럼탱크(10)내의 볼(13)들에 의한 타격시 충격을 최대한 완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볼 분쇄기는 원통형 드럼탱크내의 분쇄실을 서로 연통되게 다수 개로 형성하여 각 분쇄실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과정에서 분쇄작업이 모두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즉,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드럼탱크의 전면부에는 이중의 스크린장치를 구비하여 재료를 투입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드로스에 포함된 각종 미세한 이물질, 부산물 등을 재료를 먼저 제거함으로써 분쇄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그리고, 드럼탱크를 3중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볼의 타격에 따른 진동 및 소음도 줄임은 물론, 기기의 파손 및 마모도 줄이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폐알루미늄을 용해하여 재생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드로스를 재생하기에 앞서 드로스에 함유된 일반고철 및 각종 폐기물 등을 드럼탱크에 투입하여 볼들의 타격에 의해 분쇄하여 재생토록 하는 볼 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드럼탱크(10)의 전면에 다공판으로 이루어진 내부 스크린(15)과 철망형으로 이루어진 외부 스크린(16)을 호퍼형의 이중 구조로 형성함과 동시에 전면 안내관(17)의 하부에는 스크린(15)(16)을 통하여 걸러지는 부산물을 회수토록 하는 회수구(18)를 형성하고,
    상기 드럼탱크(10)의 내부에는 구획칸(11)에 의해 구획되면서 연속적인 분쇄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다수개 분쇄실(12)을 서로 연통되게 나란히 형성하며,
    상기 드럼탱크(10)는 금속재질의 내,외측 플레이트(10a)(10b) 사이에 고무재질의 완충패드(10c)를 형성하여 다수개의 보울트(10d)로 조립한 삼중의 구조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분쇄기.
  2. (삭제)
KR10-2000-0067925A 2000-11-16 2000-11-16 볼 분쇄기 KR100407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925A KR100407712B1 (ko) 2000-11-16 2000-11-16 볼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67925A KR100407712B1 (ko) 2000-11-16 2000-11-16 볼 분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038U Division KR200219313Y1 (ko) 2000-11-16 2000-11-16 볼 분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928A KR20020037928A (ko) 2002-05-23
KR100407712B1 true KR100407712B1 (ko) 2003-12-06

Family

ID=19699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7925A KR100407712B1 (ko) 2000-11-16 2000-11-16 볼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77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6276A (zh) * 2015-09-18 2015-12-09 沈阳化工大学 一种非接触式的球磨机旋转筒体振动信号采集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685U (ko) * 1975-07-24 1977-02-05
US4013233A (en) * 1976-07-29 1977-03-22 Nylund Kenneth G Ball mill
JPS60155987U (ja) * 1984-03-26 1985-10-17 株式会社トクヤマ ふるい分け装置
JPS63111944U (ko) * 1987-01-13 1988-07-19
JP2001087661A (ja) * 1999-09-21 2001-04-0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石膏ボード粉砕機
JP2001198483A (ja) * 2000-01-18 2001-07-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乾燥室付原料粉砕ボールミル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6685U (ko) * 1975-07-24 1977-02-05
US4013233A (en) * 1976-07-29 1977-03-22 Nylund Kenneth G Ball mill
JPS60155987U (ja) * 1984-03-26 1985-10-17 株式会社トクヤマ ふるい分け装置
JPS63111944U (ko) * 1987-01-13 1988-07-19
JP2001087661A (ja) * 1999-09-21 2001-04-03 Sumitomo Constr Mach Co Ltd 石膏ボード粉砕機
JP2001198483A (ja) * 2000-01-18 2001-07-24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乾燥室付原料粉砕ボールミ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36276A (zh) * 2015-09-18 2015-12-09 沈阳化工大学 一种非接触式的球磨机旋转筒体振动信号采集系统
CN105136276B (zh) * 2015-09-18 2017-11-10 沈阳化工大学 一种非接触式的球磨机旋转筒体振动信号采集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37928A (ko) 2002-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81218B (zh) 滚筒组合式旋动型旧砂再生处理系统
CN218194642U (zh) 一种改进的抛丸机用丸砂分离器
CN214211210U (zh) 一种木块杂物分离机
CN113102052B (zh) 一种特种钢生产用残渣分拣破碎过滤装置
JP2000176598A (ja) 鋳物砂再生用の回転ドラム及び鋳物砂再生装置
CN212824777U (zh) 一种钢结构抛丸除锈装置
KR100407712B1 (ko) 볼 분쇄기
KR200219313Y1 (ko) 볼 분쇄기
CN214262237U (zh) 一种粗粉磨粉机及粗粉生产系统
CN214811234U (zh) 一种重质碳酸钙生产用废渣回收设备
CN106393489A (zh) 一种液压马达驱动的废轮胎破碎装置
CN219073039U (zh) 一种废铁回收用碾碎装置
CN113478698B (zh) 一种废旧轮胎橡胶再生用回收装置及其回收方法
CN111921606A (zh) 一种具有筛分并破碎装载功能的矿石破碎机
CN216759497U (zh) 一种喷砂式抛丸机
CN214811376U (zh) 一种球磨机
CN112620063A (zh) 一种木块杂物分离机及其分离方法
CN211678019U (zh) 一种工业废渣加工用球磨机
CN111746025A (zh) 一种多功能的食用油料轧胚机
CN220238829U (zh) 一种回收玻璃二次加工破碎器
CN219616031U (zh) 一种除泥筛
CN212977989U (zh) 一种铸件抛丸清理室丸渣自动分离装置
CN220071801U (zh) 一种废钢铁破碎机磁选机构
CN216657537U (zh) 溢流型高效双层清理滚筒
CN220590653U (zh) 多级筛分装置及煤浆制备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