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898B1 - 차량용내연기관의제어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내연기관의제어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898B1
KR100406898B1 KR1019970704123A KR19970704123A KR100406898B1 KR 100406898 B1 KR100406898 B1 KR 100406898B1 KR 1019970704123 A KR1019970704123 A KR 1019970704123A KR 19970704123 A KR19970704123 A KR 19970704123A KR 100406898 B1 KR100406898 B1 KR 100406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operation state
input circuit
correction data
state det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4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까쯔 후지시따
쇼지 사사끼
마사루 시바노
요시히꼬 아까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 가이샤 히다치 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 가이샤 히다치 카 엔지니어링,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 가이샤 히다치 카 엔지니어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05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01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r regulation method
    • F02D2041/1413Controller structures or design
    • F02D2041/1415Controller structures or design using a state feedback or a state space represen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5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said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vehicle or its components
    • F02D2200/503Battery correction, i.e. corrections as a function of the state of the battery, its output or its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8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 F02D41/187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by measuring intake air flow using a hot wire flow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 Of Charge By Means Of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는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여 운전상태를 나타낸 운전상태치를 출력하는 운전상태 검출유닛(1-13, 50, 72)과 제어부(71)를 구비한다. 제어부는 운전상태 검출유닛으로부터의 운전상태치를 입력하여 운전상태 검출치로서 출력하는 입력회로(116, 113, 119)와, 배터리(50)로부터의 배터리 전압에 의거하여 제어장치(도 2)를 동작하기 위한 기준전압(Vcc)을 발생하는 기준전원회로(70)와, 입력회로로부터의 운전상태 검출치에 의거하여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유닛(CPU(100))을 가진다. 입력회로의 출력의 오차와, 기준전원회로로부터의 기준전압의 오차와의 적어도 한쪽에 의거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데이터를 제어장치마다 미리 구하여 제어부내의 메모리(112)에 저장하고, 입력회로로부터의 운전상태 검출치를 보정데이터에 의하여 보정하여 바른 운전상태 검출치를 얻고, 얻어진 바른 운전상태 검출치에 의거하여 내연기관을 제어한다[CPU(100), 도 3, 도 8, 단계 508 ~ 514)].

Description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및 장치
종래 자동차에 탑재된 내연기관의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내연기관의 흡입공기량, 냉각수온, 드로틀각도 등의 운전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로서 각각 에어플로우센서, 수온센서, 드로틀센서 등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센서의 출력은 입력회로에 입력되어 입력회로내의 아날로그/디지탈(A/D)변환기에 의하여 디지탈데이터로 변환되고, 그 후 마이크로컴퓨터에 의하여 연산처리되어 처리결과에 의거하여 연료분사기, 점화기 등의 액츄에이터가 제어된다. 제어장치에는 차량탑재배터리로부터의 배터리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장치로 공급하는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원회로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기준전원회로는 배터리전압의 변동에도 불구하고 일정 전압을 발생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기준전원회로는 그것을 구성하는 회로소자의 값(예를 들어 저항치, 콘덴서치 등)이 제어장치마다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기준전원회로가 발생하는 기준전압이 제어장치마다 일정하지 않다. 이와 같이 기준 전원회로가 발생하는 기준전압이 제어장치마다 일정하지 않으면, 센서의 출력치, A/D변환기의 출력치도 제어장치마다 일정하지 않게 된다. 기준전원회로의 회로소자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A/D변환기의 출력치의 불균일은 약 ±5%이다.
또 입력회로내의 A/D변환기도 그것을 구성하는 회로소자의 값이 제어장치마다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A/D변환기의 출력치도 제어장치마다 일정하지 않게 된다. A/D변환기의 회로소자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A/D변환기의 출력치의 불균일은 약 ±0.05%이다.
또 차량탑재 배터리의 출력전압은 입력회로내에 있어서, 분압회로에 의하여 분압된 후, A/D변환기에 부여되어 출력전압이 검출된다. 이 경우, 분압회로도 그것을 구성하는 회로소자의 값(예를 들어 저항치 등)이 제어장치마다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분압회로의 출력치도 제어장치마다 일정하지 않게 된다. 분압회로의 회로 소자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A/D변환기의 출력치의 불균일은 약 ±1%이다.
이와같은 회로소자의 불균일을 없애기 위하여 레이저트리밍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각 회로소자의 값의 정밀도를 높게 하는 것도 가능하나, 그 경우에는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자동차에 탑재되어 내연기관에 의하여 회전구동되어 발전동작을 행하는 차량용 교류발전기의 제어는 일반적으로 IC레귤레이터라 불리우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행하여져 왔다. 상기 IC레귤레이터는 발전기의 출력에 의하여 충전되는 차량탑재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면서 발전기의 출력을 소정 레벨로 제어하는 것이었다.
또 일본국 특공평 1-39306호 공보(문헌 (1))에 의하면,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신호를, 신호선을 개재하여 발전기에 내장된 스위치수단에 부여하고 그것을 온, 오프제어함으로써 발전기의 여자코일을 흐르는 전류량을 운전상태에 따라 제어하는 장치가 나타나 있다.
상기 문헌(1)에 기재된 차량탑재 발전기의 제어장치에서는 발전기의 발전전압과 상기 발전전압의 제어정밀도의 향상책에 관한 제안은 거의 되어 있지 않다. 일반적인 IC레귤레이터에 있어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부분의 회로소자의 불균일을 상기와 같이 레이저트리밍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없애는 것도 가능하나, 그 경우에는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운전상태의 검출치인 A/D변환기의 출력의 정밀도 향상과 제어장치의 저비용의 양립을 도모하도록 한 것은 없었다.
본 발명은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차량마다의 불균일이 적어, 높은 정밀도와 저비용으로 검출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시스템의 전체구성의 일예를 나타낸 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운전상태에 따라 발전기의 여자코일로의 구동전류량을 제어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4는 도 2의 제어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도 2의 콘트롤유닛을 차량에 탑재하기 전에 운전상태 검출치의 보정용 데이터를 구하여 저장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콘트롤유닛의 요부 구성도,
도 6은 운전상태 검출치의 보정용 데이터 및 배터리전압 검출치의 보정용 데이터를 구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7은 운전상태 검출치를 보정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보정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8은 배터리전압 검출치를 보정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보정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차량마다의 불균일이 적어, 정밀도가 높으며 저비용으로 검출할 수 있게 한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면에 의하면,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는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여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운전 상태치를 출력하는 운전상태 검출유닛과, 상기 운전상태 검출유닛으로부터의 운전상태치를 입력하고 상기 운전상태치를 검출하여 운전상태 검출치로서 출력하는 입력회로와, 배터리로부터의 배터리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원회로와,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검출된 운전상태 검출치의, 상기 기준전원회로로부터의 상기 기준전압의 오차 및 상기 입력회로의 출력의 오차와의 적어도 한쪽에 의거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와, 상기 입력회로로부터의 운전상태 검출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데이터에 의하여 보정하여 바른 운전상태 검출치를 얻는 보정유닛과, 상기 얻어진 바른 운전상태 검출치에 의거하여 상기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면, 운전상태 검출유닛, 입력회로, 기준전원회로,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유닛,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유닛은 제어장치 내의 제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를 제어장치에 탑재하기 전에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한다. 그 후 메모리에 보정데이터를 저장한 제어부를 제어장치에 탑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면, 운전상태 기준치를 상기 입력회로에 줌으로써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출력된 운전상태 검출치와,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한다. 여기서 운전상태의 기준치란 예를 들어 적어도 상기 기준전원회로로부터의 상기 기준전압에 오차가 없고, 또한 상기 입력회로의 출력에 오차가 없는 경우에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상기 입력회로에 줌으로써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검출된 운전상태 검출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면, 입력회로는 운전상태 검출유닛으로부터의 운전상태치를 소정의 비율로 분압하는 분압회로와, 상기 분압회로의 출력을 디지탈치로 변환하여 운전상태 검출치로서 출력하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면,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유닛은 상기 입력회로로부터 출력된 운전상태 검출치와 상기 소정의 기준운전상태 검출치와의 비를 얻어, 상기 비를 상기 보정데이터로서 얻는다. 이 경우, 보정유닛은 입력회로로부터의 운전상태 검출치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데이터에 의하여 승산하여 바른 운전상태 검출치를 얻는다.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면,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유닛은 상기 제어부를 차량에 탑재하기 전에 상기 입력회로로부터 출력된 운전상태 검출치를 상기 보정데이터의 중간 파라미터로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상기 제어부를 차량에 탑재한 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중간파라미터와 상기 소정의 기준운전상태 검출치로부터 보정데이터를 구한다.
본 발명의 일예에 의하면, 상기 메모리로서 전기적으로 기입가능한 메모리, 예를 들어 P-ROM, EEP-ROM, 플래시메모리 등을 이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하여 미리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마다 구한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회로로부터의 출력(운전상태 검출치)을 보정하고 있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마다 상기 기준전원회로, 입력회로(분압회로, A/D변환기)의 각 회로소자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입력회로의 출력치(운전상태의 검출치)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출력이나 배터리전압 등의 운전상태치의 바른 A/D변환치에 의거하여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운전상태의일종인 발전기의 발전전압도 더욱 고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기의 발전전압을 보다 고정밀도로 제어가능하게 되고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나 전기부하상태에 의하여 발전전압, 발전량의 추종성을 고정밀도로 제어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연기관의 동력성능의 향상이나 연비경감이 가능하게 되고, 또 아이들운전시의 회전 변동방지를 행하기 위한 내연기관의 제어정밀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마다의 상기 기준전원회로, 입력회로(분압회로, A/D변환기)의 각 회로소자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입력회로의 출력치의 오차를, 종래 기술과 같이 레이저트리밍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회로소자의 값의 정밀도를 높게 함으로써 수정하고 있지는 않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입력회로의 출력치의 오차를,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마다 미리 구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보정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입력회로의 출력치를 고정밀도로 검출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어부로서 운전상태 검출유닛과, 입력회로와, 기준전원회로와,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유닛과,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유닛을 제어장치 내의 제어부에 설치하고, 상기 제어부를 제어장치에 탑재하기 전, 즉 차량에 탑재하기 전에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한다. 그 후, 메모리에 보정데이터를 저장한 제어부를 제어장치에 탑재하는 것이다.
즉 제어부를 생산하는 공장에 있어서, 제어부를 조립한 후, 상기 제어부마다 보정데이터를 구하여 상기 제어부의 메모리에 저장하고, 그 후, 상기 제어부를 출하할 수 있다. 제어부는 그 후에 제어장치, 즉 차량에 탑재하도록 하면 된다. 이와같이 제어부의 출하단계에서 제어부마다 제어부 고유의 오차를 수정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시스템의 전체구성의 일 예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있어서, 예를 들어 자동차 등의 차량에 탑재된 내연기관(65)은 회전 토오크를 출력하는 출력축, 즉 크랭크축(66)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크랭크축(66)에는 풀리나 벨트를 개재하여 차량용 교류발전기(51)가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또 내연기관(65)은 그 회전토오크를 트랜스미션을 거쳐 구동륜에 전달하고 있는 것은 일반 차량과 동일하다.
도 1에 나타낸 일실시예로서 소위 MPI(다기통 연료분사)방식의 4기통 내연기관에 관하여 설명한다.
공기는 에어클리너(60)의 출구부에 설치된 공기유량계(2)로 유도된다. 이 공기유량계(2)에는 열선식 공기유량센서가 사용된다. 이 공기는 접속된 덕트(61), 운전자가 조작하는 액셀페달에 연동하여 공기유량을 제어하는 드로틀밸브(40)를 가지는 드로틀바디 및 드로틀바디를 바이패스하도록 설치되고, 아이들회전수를 제어하는 ISC(idle speed control)밸브(41)를 통하여 콜렉터(62)로 들어간다. 여기서 공기는 엔진과 직결되는 각 흡기관(63)으로 분배되어, 실린더내로 흡입된다.
연료는 연료탱크(21)로부터 연료펌프(20)로 흡인, 가압되고, 프레셔 레귤레이터(22)에 의하여 일정 압력으로 조절되어 흡기관(63)에 설치된 인젝터(23)로부터 상기 흡기관내로 분사된다.
공기유량계(2)로부터는 흡입공기량에 상당하는 신호가 출력된다. 또 디스트리뷰터(32)에 내장된 크랭크각 센서(7)로부터는 소정의 크랭크각 마다 펄스가 출력되어 이들의 출력은 콘트롤유닛(71)에 입력되고, 크랭크각 및 엔진회전수가 연산되고, 다시 흡입공기량과 엔진회전수로부터 충전효율에 상당하는 기본펄스폭 (TP)을 구한다.
드로틀밸브(40)에는 드로틀밸브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드로틀센서(1)가 설치되어 있고, 이 센서의 출력신호는 콘트롤유닛(71)에 입력되고, 드로틀밸브(40)의 개방도나 완전폐쇄위치의 검출이나 가속의 검출 등을 행한다.
내연기관(65)에는 냉각수온을 검출하기 위한 수온센서(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센서의 출력신호는 콘트롤유닛(71)에 입력되고, 내연기관(65)의 웜업상태를 검출하거나 연료분사량의 증량이나 점화시기의 보정 및 라디에이터팬(75)의 온/오프나 아이들시의 목표회전수의 설정을 행한다.
공연비센서인 O2센서(8)는 엔진의 배기관에 장착되어 있고, 배기가스의 산소 농도에 따른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이 신호는 콘트롤유닛(71)에 입력되고, 엔진으로의 혼합기체가 목표A/F가 되도록 인젝터(23-1 ~ 23-4)로의 연료분사펄스의 폭을 조제한다.
4는 기어의 뉴트럴스위치, 5는 차속센서, 30은 이그나이터, 31은 점화코일, 33은 점화플러그, 73은 전조등을 포함하는 라이트류를 나타낸다.
콘트롤유닛(7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산장치인 CPU(100), 판독전용메모리인 ROM(101), 판독 및 기입가능한 메모리인 RAM(102), 이그니션키를 오프하여도 내용이 지워지지 않는 백업 RAM(111), 전기적으로 기입가능한 메모리(112)(예를 들어 P-ROM, EEP-ROM, 플래시 ROM 등이며, 여기서는 EEP-ROM 로 한다), 인터럽트콘크롤러(104), 타이머(105), 입력처리회로(106), 출력처리회로(107)로 구성되고, 그것들은 버스(108)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CPU(100)는 입력처리회로로 처리된 다양한 정보를 기초로 ROM(101)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RAM(102) 및 이그니션키(72)가 오프일때도 기억내용을 유지가능한 백업 RAM(111)을 이용하여 처리를 행한다. 이 때 타이머(105)나 입력처리회로(106)로부터의 정보를 기초로 인터럽트콘트롤러(104)로부터 발해지는 인터럽트명령에 의하여 인터럽트처리도 적시에 행한다.
또 발전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발전기(51)는 종래의 발전기와 마찬가지로 외주에 여자코일(54)을 감아 이루어진 회전자와, 이 회전자의 외주면에 대항하도록 3상 코일(53a, 53b, 53c)을 감은 고정자로 구성되어 있다. 이 회전자는 상기 내연기관(65)의 크랭크축(66)에 연동하여 회전구동된다. 또 상기 발전기(51)의 3상 코일(53a, 53b, 53c)에는 예를 들어 6개의 다이오드를 직병렬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정류회로(55)가 접속되고, 상기 발전기(51)의 3상 교류 출력을 정류하여 차량탑재배터리(50)에 공급하여 충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콘트롤유닛(71)에 상기 차량탑재 배터리(50)의 전압을 검출하면서 배터리전압이 목표발전압에 근접하도록 발전기의 출력전압을 조정하는 발전제어용 프로그램도 내장되어 있다. 상기 여자코일(54)의 제어량, 즉 여자코일(54)로의 구동량(구동전류)을 제어하는 여자코일 구동회로(56)(예를 들어 트랜지스터)는 이하와 같이 제어된다. 즉 CPU(100)는 상기 발전기(51)의 발전전력에 의하여 충전되는 배터리(50)의 전압(50a)을 검출하는 전압검출유닛, 즉 입력처리회로(106)로 도입한 결과와,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나타낸 냉각수 온도에 따라 목표발전전압을 연산한 결과를 비교하여 상기 배터리의 전압이 상기 목표전압에 근접하도록 상기 여자코일(54)의 구동량을 연산하고, 발전기용 제어단자(CL단자)(51a)로부터 상기 여자코일 구동회로(56)에 구동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ISC밸브(41)의 구동량에 상기 여자코일 구동량과 상기 운전상태에서 구해지는 전기부하 보정량을 가산한 ISC밸브 구동량에 의하여 내연기관 회전수가 제어된다.
도 2의 제어장치는 이와 같이 각종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입력처리회로로 도입한 값(즉 내연기관의 각종 운전상태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각 액츄에이터(연료분사기(23-1~23-4), ISC밸브(41), 여자회로 구동회로(56) 등)를 제어하고 있다.
다음에 도 2에 나타낸 제어장치에 있어서, 내연기관의 운전상태에 따라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처리의 일예를 도 3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운전상태에 따라 발전기의 여자코일로의 구동전류량을 제어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며, 여기서는 운전상태로서 수온센서(3)의 출력, 즉 냉각수온의 검출치를 이용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 2의 처리는 ROM(101)내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CPU(100)에 의하여 실행된다.
먼저 단계 220에서 수온센서(3)의 출력신호를 입력처리회로(106), 버스(108)를 개재하여 판독하고, 냉각수온(TWN)을 검출한다. 다음에 단계 221에서 냉각수온(TWN)과 목표발전전압(VBSET)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ROM(101)내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냉각수온 검출치(TWN)에 의거하여 목표발전전압(VBSET)을 연산한다.
다음에 단계 222에 있어서, 배터리(50)로부터의 배터리전압(50a)을 입력처리회로(106), 버스(108)을 개재하여 독입하고, 배터리전압(VB)을 검출한다. 단계 223에서는 배터리전압 검출치(VB)의 목표발전전압(VBSET)에 대한 전압편차[Δ VB(Δ VB=VBSET-VB)]를 연산한다. 단계 224에서는 전압편차(Δ VB)와 여자코일(54)의 구동량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ROM(101)내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여자코일 구동량(ALTDTY)을 구한다. 여자코일의 구동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여자회로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56)로의 구동신호의 펄스폭의 듀티비율을 나타내는 것이더라도 좋다.
따라서 이렇게 구한 여자코일 구동량(ALTDTY)에 따른 듀티비율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출력처리 회로(107)로부터 발전기용 제어단자(51a)를 개재하여 트랜지스터(56)로 줌으로써 여자코일(54)로의 여자전류가 제어되고, 배터리전압(VB)은 목표발전전압(VBSET)과 같아지도록 제어된다.
운전상태에 따른 다른 액츄에이터의 제어도 동일하게 행하여진다.
도 4는 도 2의 제어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콘트롤 유닛(71)이 차량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트롤유닛(71)은 차량탑재 배터리(50)로부터의 배터리전압(50a)에 의거하여 제어장치(콘트롤유닛(71), 각종 센서 등)에 공급되는 기준전압(Vcc)을 발생하는 기준전원회로(71)를 구비하고 있다. 또 콘트롤유닛(71)은 배터리전압(50a)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전압(50a)을 분압하여 저감하는 분압회로(119)를 갖는다. 상기 분압회로(119)는 입력처리회로(106)에 포함된다. 또한 콘트롤유닛(71)은 발전기의 여자코일(54)에의 구동전류량을 제어하기 위한 CPU(100)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115)와, 챠지램프(76)를 구동하기 위한 CPU(100)로부터의 구동신호를 증폭하는 트랜지스터(114)를 가진다. 이들 트랜지스터(114, 115)는 출력처리회로(107)에 포함된다. 콘트롤유닛(71)은 단자(116, 118, 120, LMP, CL)를 가지며, 트랜지스터(114)의 출력은 단자(LMP)를 개재하여 챠지램프(76)에 주어지고, 트랜지스터(115)의 출력은 단자(CL)를 개재하여 트랜지스터(56)에 주어진다. 단자(116)는 배터리전압(50a)을 입력하는 단자, 단자(118)는 에어플로우센서(2)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단자, 단자(120)는 노크센서(13)로부터의 출력신호를 입력하는 단자이다. 도 4는 도 2에 나타낸 각종 센서의 일부만을 나타내나, 다른 센서의 출력도 동일하게 하여 콘트롤유닛(71)의 단자를 개재하여 콘트롤유닛(71)에 입력되어 있다. 또 콘트롤유닛(71)은 도 2와 같이 ROM(101) 등을 포함하나 도 4에 있어서는 생략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플로우센서(2), 드로틀센서(1), 수온센서(3), 노크센서(13) 등의 각종 센서로부터의 출력은 입력처리회로(106)를 개재하여 CPU(100)내의 A/D변환기(113)에 주어지고, 디지탈데이터로 변환된다. 한편, 차량 탑재 배터리(50)로부터의 배터리전압(50a)은 통상 14.4V정도의 값이기 때문에 분압회로(119)에 의하여 CPU(100)에서 처리할 수 있는 전압치까지 저감하도록 분압된 후, A/D변환기(113)에 주어진다. 통상은 배터리전압(50a)은 분압회로(119)에 의하여 1/4로 분압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기준전원회로(70)는 그것을 구성하는 회로소자의값(예를 들어 저항치, 콘덴서의 값 등)이 제어장치마다, 즉 차량마다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기준전원회로(70)가 발생하는 기준전압(Vcc)이 제어장치마다 일정하지 않다. 이와 같이 기준전원회로가 발생하는 기준전압이 제어장치마다 일정하지 않으면, 센서의 출력치, A/D 변환기의 출력치도 제어장치마다 일정하지 않게 된다. 기준전원회로의 회로소자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A/D변환기의 출력치의 불균일은 약 ±5%이다.
또 CPU내의 A/D변환기(100)도 그것을 구성하는 회로소자의 값이 제어장치마다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A/D변환기의 출력치도 제어장치마다 일정하지 않게 된다. A/D변환기의 회로소자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A/D변환기의 출력치의 불균일은 약 ±0.05%이다.
또 배터리전압을 분압하는 분압회로(119)도 그것을 구성하는 회로소자의 값이 제어장치마다 불균일이 있기 때문에 분압회로의 출력치도 제어장치마다 일정하지 않게 된다. 분압회로의 회로소자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A/D변환기의 출력치의 불균일은 약 ±1%이다.
따라서 분압회로(119)의 출력치에는 오차가 발생하고, A/D변환기(113)의 출력치에도 오차가 발생하게 되어 각종 센서의 출력치나 배터리전압(VB), 즉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정확하게 검출할 수 없게 된다. 그 결과, 내연기관을 운전상태에 따라 정확하게 제어하지 않게 되고, 연비의 악화, 엔진동력성능의 저하 등을 초래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마다의 상기기준전원회로(70), 분압회로(119), A/D변환기(113)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A/D변환기(113)의 출력치(운전상태의 검출치)의 오차를 수정하고자 A/D변환기로부터의 운전상태의 검출치를 바른 값(운전상태의 바른 검출치)으로 수정하기 위한 보정용 데이터(보정계수 또는 보정치 등)를 미리 각 제어장치마다 구하여 해당 제어장치의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A/D변환기로부터의 운전상태의 검출치를 메모리에 저장된 보정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바른 값으로 수정하도록 한 것이다.
도 5는 그와 같은 보정용 데이터를 구하는 처리를 행하기 위한 콘트롤유닛(71)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차량에 탑재되기 전의 콘트롤유닛의 상태를 나타낸다. CPU(100)는 보정용 데이터를 구하는 처리를 행하는 " 보정용 데이터 설정모드" 와 운전상태에 따라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통상의 " 내연기관 제어모드" 를 가진다. 이와 같은 두 개의 모드를 전환하기 위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콘트롤유닛(71)은 " 보정용 데이터 설정모드" 와 " 내연기관 제어모드"의 전환을 지시하는 스위치(130)를 가진다. 이 스위치(130)의 일단은 접지되고, 타단은 단자(124)를 개재하여 CPU(100)에 접속되어 있고, 스위치(130)가 온되면, 단자(124)는 접지되어 CPU(100)는 예를 들면 " 보정용 데이터 설정모드" 가 되고, 오프되면, " 내연기관 제어모드 " 가 된다. 따라서 " 보정용 데이터 설정모드" 처리종료후는 스위치(130)는 오프되고, 오프인 채로 차량에 탑재된다.
또한 스위치(124)를 설치하는 대신 CPU(100)를 " 보정용 데이터 설정모드"로 하는 경우에만 외부통신장치(132)를 단자(122)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된다. 즉CPU(100)를 " 보정용 데이터 설정모드" 로 할 때, 외부통신장치(132)를 단자(122)에 접속하고, 외부통신장치(132)로부터 소정의 신호를 단자(122)를 개재하여 CPU(100)에 부여하고, CPU(100)를 " 보정용 데이터 설정모드" 로 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단자(121, 116)에는 배터리 기준전압발생기(134)가 접속되고, 배터리 기준전압(예를 들어 14.4V)이 기준전원회로(70) 및 분압회로(119)에 부여된다. 또한 콘트롤 유닛(71)에 설치된 각종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입력하는 복수의 단자 중 어느 하나, 예를 들어 에어플로우센서(2)의 출력을 입력하는 단자(118)에 운전상태 기준치 발생기(136)가 접속된다. 운전상태 기준치 발생기(136)는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기준치로서 운전상태 기준치(OCref)(예를 들어 소정의 전압치이고, 예를 들면 4V)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보정용 데이터를 구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도 6은 보정용 데이터(보정계수 또는 보정치 등)를 구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고, 각종 센서로부터의 출력치를 분압회로를 개재하지 않고, A/D변환기(113)로 검출(측정)하는 경우의 A/D변환기(113)의 출력치에 대한 보정용 데이터(보정계수 또는 보정치 등)를 구하는 처리 및 배터리전압을 분압회로(119) 및 A/D변환기(113)를 개재하여 검출하는 경우의 A/D변환기(113)의 출력치에 대한 보정용 데이터를 구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여기서는 에어플로우센서(2)의 출력에 의거하여 보정용 데이터를 구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도 6 및 이하에 기술하는 도 7 ~ 도 8의 처리는 ROM(101)내의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CPU(100)에 의하여 실행된다.
먼저, 단계 300에서 콘트롤유닛(71)의 단자(124)의 레벨이 접지레벨인지의 여부, 즉 CPU(100)의 동작모드는 " 보정용 데이터 설정모드" 및 " 내연기관 제어모드" 중 어느 것인지를 판단한다. 즉, 스위치(130)가 온되어 있고 단자(124)의 레벨이 접지레벨이면, " 보정용 데이터 설정모드" 라고 판단하여 단계 302로 진행한다. 한편, 스위치(130)가 오프되어 있고 단자(124)의 레벨이 접지레벨이 아니면, " 내연기관 제어모드" 라 판단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302에서는 운전상태 기준치 발생기(136)로부터의 운전상태기준치(OCref(4V))를 A/D변환기(113)로 측정(검출)하고, 운전상태 기준치의 A/D변환치(즉, 운전상태 기준치의 검출치 또는 측정치)(OCADJ(예를 들어 3.2V))를 얻는다. 이어서 단계 304에서 운전상태 기준치의 A/D변환치(OCADJ)와, 메모리, 예를 들어 RAM(102)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운전상태 기준치의 바른 A/D변환치(OCref)(즉, 기준전원회로(70), A/D변환기(113)의 오차가 없다고 한 경우의 계산상으로 구한 운전상태 기준치의 이상적인(참의) A/D변환치. 여기서는 4V와의 비를 구한다. 즉 OCref÷OCADJ=보정계수(OCCOR)(여기서는 4÷3.2=1.25)를 얻는다. 즉, 이 보정계수는 운전상태의 A/D변환치(검출치) OCAD치를 운전상태의 참의 A/D변환치(검출치)(OCADrel)로 수정하기 위한 보정용 데이터이다.
이어서 단계 306에서 구한 보정계수(OCCOR)를 EEP-ROM(112)에 저장한다.
이와 같이 하여 구한 보정계수(OCCOR)는 에어플로우센서 이외의 다른 센서에 대한 보정계수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 이유는 A/D변환기, 기준전원회로(70)가 각종 센서에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어느 한 개의 센서(즉, 어느 한 개의 운전상태)에 관한 보정용 데이터를 다른 모든 센서(즉, 배터리전압을 제외하는 다른 모든 운전상태)에 관한 보정용 데이터로서 공통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각종 센서(즉, 각종 운전상태)의 각각에 관하여 보정용 데이터(보정계수)를 개별적으로 구하도록 하여도 된다.
또 콘트롤유닛(71)의 출하시에 운전상태 기준치의 A/D변환치(OCADJ) 그 자체를 중간파라미터로서 EEP-ROM(112)에 저장하여 두고, 콘트롤유닛(71)을 차량에 설치한 후 CPU(100)에 의하여 OCADJ를 상기 단계 304와 동일하게 가공하여 보정계수(OCCOR)를 얻도록 하여도 된다.
다음에 A/D변환기(113)에 의한 배터리전압 검출치에 대한 보정용 데이터를 구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먼저 단계 306 종료후의 단계 308에서 배터리 기준전압발생기(134)로부터의 배터리 기준전압(14.4V)을 분압회로(119)에 의하여 분압(여기서는 1/4로 분압)하고, 다시 A/D변환기(113)에서 측정(검출)하고, 배터리 기준전압의 A/D변환치(즉, 배터리 기준전압의 검출치 또는 측정치)(VBADJ)(예를 들어 3.2V)를 얻는다. 이어서 단계 310에서 배터리 기준전압의 분압후의 바른 A/D변환치(VB 기준치)(즉, 기준전원회로(70), 분압회로(119), A/D변환기(113)의 오차가 없다고한 경우의 계산상으로 구한 배터리 기준전압의 이상적인(참의) A/D변환치, 즉 설계치. 여기서는 14.4÷4=3.6V)를 구한다.
이어서 단계 312에서 배터리 기준전압의 A/D변환치(VBADJ)와 VB 기준치와의비를 구한다. 즉 VB 기준치÷VBADJ=보정계수(VBCOR)(여기서는 3.6÷3.2=1.125)를 얻는다. 즉, 이 보정계수는 배터리전압(50a)의 A/D변환치(검출치) VBAD치를 배터리전압의 참의 A/D변환치(검출치) VBADrel로 수정하기 위한 보정용 데이터이다.
이어서 단계 314에서 구한 보정계수(VBCOR)를 EEP-ROM(112)에 저장한다.
또한 콘트롤유닛(71)의 출하시에 배터리 기준전압의 A/D변환치(VBADJ) 그 자체를 중간파라미터로서 EEP-ROM(112)에 저장하여 두고, 콘트롤유닛(71)을 차량에 설치한 후, CPU(100)에 의하여 VBADJ를 상기 단계 310, 312와 동일하게 가공하여 보정계수(VBCOR)를 얻도록 하여도 된다.
도 6의 처리에 의하여 보정계수를 저장한 후, 콘트롤유닛(71)으로부터 배터리 기준전압 발생기(134), 운전상태 기준치 발생기(136),(및 외부통신장치)를 분리하고, 그 후 콘트롤유닛(71)을 차량에 설치하여 도 4와 같은 접속상태로 한다. 또한 스위치(130)는 오프상태이다.
도 7은 각종 센서로부터의 출력치를 A/D변환기(113)로 검출(측정)한 경우의 A/D변환기(113)의 출력치를 상기와 같이 하여 구한 보정용 데이터(보정계수)(OCCOR)에 의거하여 보정하여 바른 A/D변환기(113)의 출력치(바른 A/D변환치, 즉 바른 운전상태의 검출치)를 얻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단계 400에서 센서(예를 들어 에어플로우센서)로부터의 출력(운전상태치)을 A/D변환기(113)로 도입하여 A/D변환을 행하고, 운전상태의 A/D변환치(검출치)OCAD치를 얻는다. 단계 402에서는 보정계수(OCCOR)를 EEP-ROM(112)로부터 판독한다. 이어서 단계 404에서, 단계 400에서 얻은 운전상태의 A/D변환치(검출치)OCAD치에 단계 402에서 얻은 보정계수(OCCOR)를 승산하여 얻어진 값을 운전상태의 참의(정확한) A/D변환치(검출치) OCCAD 참값(OCADrel)로 한다.
이렇게 하여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마다의 상기 기준전원회로(70), 분압회로(119), A/D변환기(113)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A/D변환기(113)의 출력치(운전상태의 검출치)의 오차를 수정한, 운전상태의 참의(정확한) A/D변환치가 얻어진다. 따라서 얻어진 운전상태의 바른 A/D변환치에 의거하여 내연기관을 제어함으로써 내연기관의 동력성능의 향상이나 연비경감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아이들운전시의 회전변동방지를 행하기 위한 내연기관의 제어정밀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은 배터리전압 검출치를 보정용 데이터에 의거하여 보정함과 동시에 보정된 바른 배터리전압에 의거하여 배터리전압을 제어하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먼저 단계 500에서 배터리(50)로부터의 배터리전압(50a)을 분압회로(119)를 개재하여 A/D변환기(113)로 도입하여 A/D변환을 행하고, 배터리전압의 A/D변환치(검출치)(VBAD치)를 얻는다. 단계 502에서는 보정계수(VBCOR)을 EEP-ROM(112)로부터 판독한다. 이어서 단계 504에서, 단계 500에서 얻은 배터리전압의 A/D변환치(검출치)(VBAD치)에 단계 502에서 얻은 보정계수(VBCOR)를 승산하고 얻어진 값을 배터리전압의 참의(정확한) A/D변환치(검출치) VBCAD 참값(VBADrel)으로 한다. 이어서 단계 506에서 배터리전압의 바른 A/D변환치(VBADrel)에 분압계수(4)를 승산하여 참의(정확한) 배터리전압(VBrel)을 얻는다.
이렇게 하여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마다의 상기 기준전원회로(70), 분압회로(119), A/D변환기(113)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A/D변환기(113)의 출력치(운전상태의 검출치)의 오차를 수정한 바른 배터리전압이 얻어진다. 예를 들어 기준전원회로(70)로부터의 기준전원전압(Vcc)이 5V±0.25V의 정밀도, 즉 5%의 불균일을 가진다고 하면, 분압회로(119)의 분압계수(4)에 의하여 배터리전압의 검출치는 5% X4=20%의 오차를 가지는 것이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은 A/D변환치의 보정을 행함으로써 불균일이 없는 고정밀도의 배터리전압의 검출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이렇게 하여 얻어진 바른 배터리전압 및 운전상태의 검출치에 의거하여 도 3에 나타낸 처리와 동일하게 운전상태에 따라 발전기의 여자코일로의 구동전류량을 제어한다. 단계 508에서는 도 7과 동일한 처리에 의하여 운전상태(여기서는 운전상태는 수온센서(3)의 출력, 즉 냉각수온으로 한다)의 바른 A/D변환치(OCADrel)를 얻는다. 이어서 단계 510에서 A/D변환치(OCADrel)와 목표발전전압(VBSET)의 관계를 나타낸 ROM(101)내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OCADrel에 의거하여 목표발전전압(VBSET)을 연산한다.
다음에 단계 512에서, 단계 506에서 얻어진 바른 배터리전압치(VBrel)의 목표발전전압(VBSET)에 대한 전압편차(ΔVB)(ΔVB=VBSET-VBrel)를 연산한다. 단계 514에서는 전압편차(ΔVB)와 여자코일(54)의 구동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ROM(101)내의 테이블을 참조하여 여자코일 구동량(ALTDTY)을 구한다. 여자코일의 구동량으로서는 예를 들어 여자회로 구동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56)로의 구동신호의 펄스폭인 듀티비율을 나타낸 것도 좋다.
따라서 이렇게 구한 여자코일 구동량(ALTDTY)에 따른 듀티비율을 가지는 구동신호를 출력처리회로(107)로부터 발전기용 제어단자(51a)를 개재하여 트랜지스터(56)에 부여함으로써 여자코일(54)로의 여자전류가 제어되고, 배터리전압(VBrel)은 목표발전전압(VBSET)과 같아지도록 제어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리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마다 구한 보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입력회로로부터의 출력(운전상태 검출치)을 보정하고 있기 때문에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마다 상기 기준전원회로(70), 분압회로(119), A/D변환기(113)의 각 회로소자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A/D변환기(113)의 출력치(운전상태의 검출치)의 오차를 수정할 수 있다. 따라서 센서출력이나 배터리전압 등의 운전상태치의 바른 A/D변환치에 의거하여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운전 상태의 일종인 발전기의 발전전압도 보다 고정밀도의 검출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기의 발전전압을 보다 고정밀도로 제어가능하게 되고,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나 전기부하상태에 의하여 발전전압, 발전량의 추종성을 고정밀도로 제어가능하게 된다. 또한 내연기관의 동력성능의 향상이나 연비경감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아이들운전시의 회전변동방지를 행하기 위한 내연기관의 제어정밀도의 향상이 가능하게 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마다의 상기 기준전원회로(70), 분압회로(119), A/D변환기(113)의 각 회로소자의 불균일에 기인하는 A/D변환기(113)의 출력치의 오차를, 종래기술과 같이 레이저트리밍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회로소자의 값의 정밀도를 높게 함으로써 수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A/D변환기(113)의 출력치의 오차를,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마다 미리 구하여 메모리에 저장한 보정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수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A/D변환기(113)의 출력치를 고정밀도로 검출가능하게 되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어느 운전상태(예를 들어 에어플로우센서로 검출되는 공기유량)의 하나의 기준치와 상기 운전상태 기준치를 입력회로에 부여하여 얻어진 출력치(운전상태 기준치의 A/D변환치(검출치))의 비, 즉 보정계수를 보정용 데이터로서 이용하였으나, 다른 보정용 데이터를 구하는 방법으로서 이하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된다. 즉, 어느 운전상태(예를 들어 에어플로우센서로 검출되는 공기유량)의 다른 두 개의 기준치와 상기 운전상태의 두 개의 기준치를 입력회로에 부여하여 각각 얻어진 두 개의 출력치(운전상태 기준치의 A/D변환치(검출치))의 관계를 함수, 예를 들어 일차 도함수(일차 회귀곡선)로서 구하여 메모리(112)에 저장해 둔다. 그리고 입력회로로부터의 운전상태의 검출치에 대하여 상기 함수를 이용하여 바른 운전상태의 검출치를 얻도록 하여도 된다.
또한 보정용 데이터를 구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이하의 방법을 이용하여도 된다. 즉, 어느 운전상태(예를 들어 에어플로우센서로 검출되는 공기유량)의 하나의 기준치와 상기 운전상태 기준치를 입력회로에 부여하여 얻어진 출력치[운전상태 기준치의 A/D 변환치(검출치)]의 차를 구하고, 이것을 보정용 데이터로 하여도 된다. 이 경우, 운전상태의 A/D검출치에 상기 차(보정용 데이터)를 가산하여 운전상태의 바른 A/D변환치를 얻도록 하여도 된다. 배터리전압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하여 바른 배터리전압을 얻도록 하여도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및 장치는 센서출력이나 배터리전압 등의 운전상태치에 의거하여 내연기관을 제어하도록 한 제어장치에 유용하며, 특히 운전상태치를 입력하여 그 디지탈치를 출력하는 입력회로와, 차량탑재용 배터리로부터의 배터리전압에 의거하여 제어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원회로를 구비하고, 입력회로 및 기준전원회로의 회로소자에 불균일이 있는 제어장치에 이용하는 데 적합하다.

Claims (22)

  1.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여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운전상태치를 출력하는 운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운전상태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운전상태치를 입력하여 상기 운전상태치를 검출하여 운전상태 검출치로서 출력하는 입력회로와;
    배터리로부터의 배터리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원회로와;
    상기 기준전원회로로부터의 상기 기준전압의 오차 및 상기 입력회로의 출력의 오차 중의 한쪽 이상에 의거하는,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검출된 운전상태 검출치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수단과;
    상기 입력회로로부터의 운전상태 검출치를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데이터에 의하여 보정하여 올바른 운전상태 검출치를 구하기 위한 보정수단과;
    상기 구해진 올바른 운전상태 검출치에 의거하여 상기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구해진 보정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는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수단과 상기 저장하는 수단을 선택적으로 동작상태로 만드는 수단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수단은,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상기 입력회로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입력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운전상태 검출치와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는, 적어도 상기 기준전원회로로부터의 상기 기준전압에 오차가 없는 경우에,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상기 입력회로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검출된 운전상태 검출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수단은,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상기 입력회로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출력된 운전상태 검출치와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비교하는 수단과;
    상기 비교수단의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는, 적어도 상기 기준전원회로로부터의 상기 기준전압에 오차가 없는 경우에,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상기 입력회로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검출된 운전상태 검출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회로는 상기 운전상태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운전상태치를 디지탈치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회로는 상기 운전상태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운전상태치를 소정의 비율로 분압하는 분압회로와, 상기 분압회로로부터의 운전상태치를 디지탈치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수단은, 상기 입력회로로부터 출력된 운전상태 검출치와 상기 소정의 기준운전상태 검출치의 비율을 구하여, 상기 비율을 상기 보정 데이터로 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은 전기적으로 기입가능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0. 내연기관의 운전상태를 검출하여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운전상태치를 출력하는 운전상태 검출수단과;
    상기 운전상태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운전상태치를 입력하고 상기 운전상태치를 검출하여 운전상태 검출치로서 출력하는 입력회로와, 배터리로부터의 배터리전압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장치를 동작하기 위한 기준전압을 발생하는 기준전원회로와, 상기 입력회로로부터의 운전상태 검출치에 의거하여 상기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수단을 가지는 제어부를 구비한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상기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기준전원회로로부터의 상기 기준전압의 오차 및 상기 입력회로의 출력오차 중의 한쪽 이상에 의거하는,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검출된 운전상태 검출치의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내의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는 단계;
    b) 상기 입력회로로부터의 운전상태 검출치를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데이터에 의하여 보정하여 올바른 운전상태 검출치를 구하는 단계; 및
    c) 상기 구해진 올바른 운전상태 검출치에 의거하여 상기 내연기관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d)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단계; 및
    e) 상기 구해진 보정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단계와 상기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를 차량에 탑재하기 전에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단계는,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상기 입력회로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출력된 운전상태 검출치와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비교하고, 상기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는, 적어도 상기 기준전원회로로부터의 상기 기준전압에 오차가 없는 경우에,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상기 입력회로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검출된 운전상태 검출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치를 구하는 단계는,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상기 입력회로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출력된 운전상태 검출치와,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하는 단계의 비교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는, 적어도 상기 기준전원회로로부터의 상기 기준전압에 오차가 없는 경우에 상기 운전상태의 기준치를 상기 입력회로에 부여함으로써 상기 입력회로에 의하여 검출된 운전상태 검출치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태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운전상태치를 상기 입력회로 내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에 의하여 디지탈치로 변환하여 상기 운전상태 검출치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태 검출수단으로부터의 운전상태치를 분압회로에 의하여 소정의 비율로 분압하고, 상기 분압회로의 출력을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에 의하여 디지탈치로 변환하여 상기 운전상태 검출치로서 출력하는 단계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입력회로로부터 출력된 운전상태 검출치와 상기 소정의 기준운전상태 검출치와의 비율을 얻고, 상기 비율을 상기 보정 데이터로서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올바른 운전상태 검출치를 얻는 단계는, 상기 입력회로로부터의 운전상태 검출치를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보정데이터에 의하여 곱셈하여 올바른 운전상태 검출치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19.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부를 차량에 탑재하기 전에 상기 입력회로로부터 출력된 운전상태검출치를 상기 보정데이터의 중간변수로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제어부를 차량에 탑재한 후에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중간변수와 상기 소정의 기준운전상태 검출치로부터 상기 보정데이터를 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20.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는 단계는, 전기적으로 기입가능한 메모리수단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2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상태 검출수단은, 차속도 센서 등의 센서, 배터리전압을 검출하는 센서, 발전기의 출력을 검출하는 센서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2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회로는, 분압회로, A/D변환기 중 하나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KR1019970704123A 1995-10-20 1996-10-17 차량용내연기관의제어방법및장치 KR1004068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72291 1995-10-20
JP27229195 1995-10-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6898B1 true KR100406898B1 (ko) 2004-05-20

Family

ID=17511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4123A KR100406898B1 (ko) 1995-10-20 1996-10-17 차량용내연기관의제어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38068A (ko)
JP (1) JP3418662B2 (ko)
KR (1) KR100406898B1 (ko)
DE (1) DE19680971B4 (ko)
GB (1) GB2313929B (ko)
WO (1) WO19970148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80960B2 (ja) * 2016-07-19 2018-02-14 株式会社デンソーテン 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および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3150A (en) * 1987-09-14 1989-03-17 Hitachi Ltd Engine control device
JPH01227846A (ja) * 1988-03-08 1989-09-12 Hitachi Ltd 空気流量検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38101A (en) * 1979-04-13 1980-10-28 Hitachi Ltd Engine controller
JPS5949351A (ja) * 1982-09-11 1984-03-21 Nippon Denso Co Ltd エンジン制御装置におけるa/d変換方法
DE3408426A1 (de) * 1984-03-08 1985-09-12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0 Hamburg Schaltungsanordnung zum wechselstrombetrieb von hochdruck-gasentladungslampen
DE3520392A1 (de) * 1985-06-07 1986-12-11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Abgleichverfahren fuer einen hitzdraht-luftmassenmesser und hitzdraht-luftmassenmesser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DE3535118C2 (de) * 1985-10-02 1995-05-11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nalog-Digital-Wandlung von analogen Spannungen
DE3628903A1 (de) * 1986-08-26 1988-03-03 Bayer Ag Ethylen und (alpha)-cyanacrylate enthaltende copolymere
JPS6439306A (en) * 1987-08-03 1989-02-09 Sumitomo Metal Ind Production of connecting r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4903660A (en) * 1987-11-19 1990-02-27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Fuel injection control system for an automotive engine
US4903657A (en) * 1988-02-12 1990-02-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4035803A1 (de) * 1990-11-10 1992-05-14 Vdo Schindlin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auswertung von analogen spannungssignalen
JPH0510173A (ja) * 1991-07-04 1993-01-19 Mitsubishi Electric Corp 内燃機関の電子制御装置
DE4210676A1 (de) * 1992-04-01 1993-10-07 Abb Patent Gmbh Programmierbare Steuerung mit Analoggeräten und Verfahren zum Abgleich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73150A (en) * 1987-09-14 1989-03-17 Hitachi Ltd Engine control device
JPH01227846A (ja) * 1988-03-08 1989-09-12 Hitachi Ltd 空気流量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313929A (en) 1997-12-10
US5738068A (en) 1998-04-14
DE19680971T1 (de) 1998-01-08
GB2313929A9 (en) 1998-01-06
WO1997014878A1 (fr) 1997-04-24
GB2313929B (en) 1999-03-24
JPH09172745A (ja) 1997-06-30
GB9712274D0 (en) 1997-08-13
JP3418662B2 (ja) 2003-06-23
DE19680971B4 (de) 200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006B1 (ko) 차량용발전기의제어시스템과그제어방법
KR100189692B1 (ko) 차재 발전기의 제어 시스템
US4993392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ter for heating oxygen sensor
US5608309A (en) Vehicle-use alternating current generator control system
US20110054726A1 (en) Driving force control apparatus for vehicle and driving force control method for vehicle
US5365903A (en) Engine idling speed control apparatus
JP3070788B2 (ja) 車載発電機の発電制御装置
US5841266A (en) Power source system for a vehicle
KR100406898B1 (ko) 차량용내연기관의제어방법및장치
JP4460077B2 (ja) 内燃機関の制御方法および装置
JP2816393B2 (ja) 電気加熱式触媒の制御装置
US572236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the intake air flow rate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135774B2 (ja) 車両用充電システム
JPH05180055A (ja) 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266676B2 (ja) 交流発電機の出力制御装置
JPH08266097A (ja) オルタネータの制御方法
JPH10288070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3384605B2 (ja) エンジン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S6299643A (ja) エンジン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JPH0914029A (ja) 電気負荷制御によるアイドル回転制御方法
JPH05272379A (ja) 電気負荷によるアイドル空気量補正制御方法
JPH072994Y2 (ja) 内燃機関の燃焼制御装置
JP2550060Y2 (ja) 車両用内燃機関のアイドル回転数制御装置
JPH1136915A (ja) エンジン回転数制御装置
JPH06350450A (ja) A/d変換器を有するデータ収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