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6220B1 - 알콕시부텐의카르보닐화에의한3-펜텐산에스테르의제법 - Google Patents

알콕시부텐의카르보닐화에의한3-펜텐산에스테르의제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6220B1
KR100406220B1 KR1019970706564A KR19970706564A KR100406220B1 KR 100406220 B1 KR100406220 B1 KR 100406220B1 KR 1019970706564 A KR1019970706564 A KR 1019970706564A KR 19970706564 A KR19970706564 A KR 19970706564A KR 100406220 B1 KR100406220 B1 KR 100406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ene
methoxy
catalyst
alkoxybutene
carbon mon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3161A (ko
Inventor
에른스트 란구트
레지나 슈나이더
페르디난트 리페르트
아르투르 휀
Original Assignee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바스프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19980703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3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6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62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52Esters of acyclic unsaturated carboxylic acids having the esterified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 C07C69/533Monocarboxylic acid ester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7/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 C07C67/36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on with carbon monoxide or formates
    • C07C67/37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esters by reaction with carbon monoxide or formates by reaction of ethers with carbon monox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적어도 1종의 C1-C10-알콕시부텐(여기서, 알콕시기는 이중 결합에 대하여 알릴 위치에 있음)을 60 내지 140 ℃에서 팔라듐 기재 촉매의 존재하에 3 내지 30 MPa 범위의 일산화탄소 분압으로 일산화탄소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촉매 및 용매의 존재하에 고온 및 고압에서 알콕시부텐을 카르보닐화시켜 3-펜텐산 에스테르를 제조하였다.

Description

알콕시부텐의 카르보닐화에 의한 3-펜텐산 에스테르의 제법
본 발명은 승온 및 승압에서 촉매 및 용매의 존재하에 알콕시부텐을 카르보닐화시켜 3-펜텐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EP-A 301,450호 및 EP-A 351,616호는 코발트 카르보닐 착물 및 3급 질소염기의 존재하에 부타디엔과 일산화탄소 및 알콜을 반응시켜 알킬 펜테노에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방법은 120 내지 700 바아의 고압을 필요로 하고, 2-, 3- 및 4-펜텐산 에스테르의 혼합물을 형성한다.
GB-A 1,110,405호는 알콜의 존재하에 백금, 팔라듐 및(또는) 니켈 촉매를 사용하여 부타디엔을 카르보닐화시킴으로써 펜텐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여기에서도 역시, 100 내지 1000 바아의 고압이 필요하다.
EP-A 60,734호는 대략 150 바아의 저압에서 알콜, 할로겐화 수소 및 팔라듐 촉매의 존재하에 부타디엔을 카르보닐화시킴으로써 펜텐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의 단점은 과량의 부식성 할로겐화 수소가 필요하다는 것이다(할로겐화 수소 대 팔라듐의 몰 비는 20 - 100 : 1임).
EP-A 284,170호 및 EP-A 271,145호에 따르면, 알콜의 존재하에 팔라듐 화합물, 포스핀 및 산을 사용하여 부타디엔을 카르보닐화시킴으로써 펜텐산 에스테르를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는 3-펜텐산 에스테르가 순수 형태가 아닌 그의 이성질체들의 혼합물로 얻어진다.
β,γ-불포화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별법이 US 4,622,416호에 기술되어 있다. 할로겐화니켈, 할로겐화코발트 또는 할로겐화철을 촉매로 사용하여 알릴 에테르를 카르보닐화시켜 에스테르를 얻는다. 이 방법의 단점은 생성물이 혼합물 형태로 생성된다는 점이다. 8-메톡시-1,6-옥타디엔을 카르보닐화시키면 메틸-3,8-노나디에노에이트 뿐만 아니라, 3환식 카르복실산 화합물이 얻어진다. 만족스러운 선택도(최고 91%)는 170 바아 이상의 압력 및 150 ℃의 온도에서만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조건하에서는 휘발성 니켈 화합물의 형성으로부터 기인한 촉매 손실이 매우 높다.
EP-A 217,407호는 PdCl2/CuCl2촉매를 사용하여 알릴 에테르를 카르보닐화시켜 불포화 에스테르를 얻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생성물의 추출을 위해 다량의 테트라부틸암모늄 클로라이드(출발 물질을 기준으로 하여 25 몰% 임)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다. 이 첨가는 금속성 팔라듐의 과도한 침전을 유발한다.
EP-A 514,288호, EP-A 478,471호 및 EP-A 433,191호는 팔라듐 화합물 및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또는 4급 암모늄 또는 포스포늄 할라이드 등의 염화물을 사용하여 1,4-부텐디올 및 1,4-디알콕시부텐을 이중 카르보닐화시켜 데히드로아디프산(디에스테르)를 얻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들 방법은 과량의 클로라이드(Pd 대 염화물의 전형적인 몰비는 1 : 17 내지 1 : 27임) 또는 출발 물질을 기준으로 약 21 몰%의 다량의 PdCl2가 별도로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온화한 조건에서 팔라듐 기재 촉매의 존재하에 알콕시부텐을 카르보닐화시켜 이성질체 2- 및 4-펜텐산 에스테르를 매우 낮은 비율로 포함하는 3-펜텐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이 승온 및 승압에서 촉매 및 용매의 존재하에 알콕시부텐을 카르보닐화시킴으로써, 즉 60 내지 140 ℃의 온도 및 3 내지 30 MPa 범위의 일산화탄소 분압에서 팔라듐 기재 촉매의 존재하에 적어도 1종의 C1-C10-알콕시부텐(여기서, 알콕시기는 이중 결합에 대하여 알릴 위치에 있음)을 일산화탄소와 반응시킴으로써 3-펜텐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됨을 알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추가로 4급 암모늄염 또는 포스포늄염, 또는 특정 포스핀의 존재하에 카르보닐화를 수행할 경우 팔라듐 침전의 결과로서 일어나는 촉매의 불활성화가 전혀 없는 균질 촉매계를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출발 물질은 1종 이상의 C1-C10-알콕시부텐, 바람직하게는 C1-C4-알콕시부텐(여기서, 알콕시기는 이중결합에 대하여 알릴 위치에 있음)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것은 3-메톡시-1-부텐, 3-에톡시-1-부텐, 3-n-프로폭시-1-부텐, 3-n-부톡시-1-부텐, 트랜스-1-메톡시-2-부텐, 트랜스-1-에톡시-2-부텐, 트랜스-1-n-프로폭시-2-부텐, 트랜스-1-n-부톡시-2-부텐, 시스-1-메톡시-2-부텐, 시스-1-에톡시-2-부텐, 시스-1-n-프로폭시-2-부텐, 시스-1-n-부톡시-2-부텐 및 이들의 혼합물이고, 특히 3-메톡시-1-부텐, 트랜스-1-메톡시-2-부텐 및 시스-1-메톡시-2-부텐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출발 물질은 US 2,922,822호에 따라 부타디엔에 산-촉매 알콜 부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촉매는 팔라듐 기재 촉매이다. 팔라듐염 또는 팔라듐 착물, 특히 PdCl2, PdCl2(벤조니트릴)2, PdCl2(아세토니트릴)2, Pd(OAc)2, 비스(알릴클로로팔라듐) 착물 및 디클로로디포스핀팔라듐 착물로서 존재할 수 있는 산화 상태 0, +1 또는 +2의 팔라듐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화합물은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Dictionary of Organometallic Compound, Vol. 2, 1984, Chapman and Hall, pp.1484-1544에 기재되어 있다.
팔라듐 화합물 대 알콕시부텐(또는 사용된 알콕시부텐의 몰수의 합계)의 몰비는 통상적으로 0.1 : 1 내지 10 : 1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1 내지 5 : 1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실시태양에서, 팔라듐 촉매의 활성 및(또는) 안정성은 염화물, 산, 질소 함유 또는 인 함유 리간드 (이하, 이들을 첨가제라 칭함)의 첨가에 의해 증가될 수 있다. 사용되는 염화물은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전이 금속, 4급 암모늄 및 포스포늄의 염화물들, 예를 들면, 염화리튬,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바람직하게는 염화나트륨, 이염화마그네슘, 이염화칼슘, 이염화스트론튬, 이염화바륨, 바람직하게는 이염화칼슘, 이염화구리, 염화은, 삼염화금, 바람직하게는 이염화구리이고, 또한 화학식 R1R2R3R4NCl, R1R2R3R4PCl 또는 (R5)3N=P=N(R5)3의 화합물(여기서, R1내지 R4는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및(또는) 비치환 또는치환된 아릴기이고, R5는 비치환되거나 또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알콕시카르보닐기 또는 할로겐에 의하여 치환된 탄소 원자수 6 내지 10의 아릴기임), 특히 바람직하게는 염화테트라부틸암모늄, 염화테트라부틸포스포늄 및 염화비스(트리페닐포스핀)이미늄이다.
사용되는 산은 바람직하게는 염산, 황산, 인산, 테트라플루오로붕산 또는 술폰산(예, 메탄술폰산 및 p-톨루엔술폰산) 등의 무기 및 유기 양성자산 또는 삼불화붕소-디에틸 에테르 붕소 착물 및 삼염화알루미늄 등의 루이스산이다.
사용되는 인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R6R7R8P(여기에서, R6내지 R8은 서로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하며,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 탄소 원자를 가지는 지방족이거나, 6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아릴기, 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된 헤테로아릴기, 바람직하게는 페닐, 피리딜 및 피리미딜기이다)를 갖는 포스핀이다. 예를 들면, 트리페닐포스핀,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트리스(2-메톡시페닐)포스핀, 트리스(3-메톡시페닐)포스핀, 트리스(4-메톡시페닐)포스핀 및 2-디페닐포스피노피리딘을 들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다른 인화합물은 비스(디페닐포스피노)메탄, 1,2,-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 1,3,-비스(디페닐포스피노)프로판, 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 및 비스(디-3급-부틸포스피노)메탄 등의 복배위수의 킬레이트 리간드이다.
일반적으로, 첨가제 대 팔라듐의 몰 비는 0.1 내지 1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4의 범위 내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르보닐화는 60 내지 140 ℃,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의 온도 및 3 내지 30 MPa,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MPa 범위의 일산화탄소 분압에서 수행된다.
또한, 카르보닐화는 배치식으로 또는 연속식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르보닐화는 용매 존재하에 수행될 수 있으며, 이 때 용매 대 알콕시부텐(들)의 중량비가 0.5 : 1 내지 15 : 1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2 : 1 내지 10 : 1의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선택된다.
사용되는 용매는
-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알콜, 바람직하게는 RO 라디칼이 사용된 알콕시부텐의 C1-C10-알콕시 라디칼에 상응하는 알콜 ROH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및 n-부탄올;
- 2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또는 방향족 니트릴, 바람직하게는 벤조니트릴, 아세토니트릴, 프로피오니트릴;
- 5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우레아, 바람직하게는 테트라메틸우레아, 디메틸에틸렌우레아, 디메틸프로필렌우레아;
- 3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산 아미드, 바람직하게는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부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 3-메틸-2-옥사졸리디논 등의 4 내지 1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카르밤산에스테르;
- 벤젠 및 톨루엔 등의 5 내지 10개의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
- 메틸 3급-부틸 에테르 및 디페닐 에테르 등의 2 내지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할 수 있는 3-펜텐산 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아디프산, 카프로락탐 및 카프로락톤과, 이들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예를 들면, 폴리아미드-6 및 폴리아미드-66)를 제조하기 위한 중요한 중간체이다
종래 기술의 방법과 비교하여 본 발명의 방법의 장점은 고압, 즉 30 MPa를 초과하는 압력을 피할 수 있고, 수율이 높으며, 3-펜텐산 에스테르를 고순도의 이성질체로 얻을 수 있고, 알콕시부텐의 이성질체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방법을 연속적으로 실시할 수 있고, 촉매를 활성의 큰 손실없이 재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모든 실시예에서, 수율은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였다. 4-펜텐산 에스테르는 검출되지 않았다. 실시예 1 내지 19에서, 각각의 3-펜텐산 에스테르를 기준으로 2 % 미만의 2-펜텐산 에스테르가 형성되었다.
<실시예 1>
61.48 mmol의 3-메톡시-1-부텐, 48.72 mmol의 트랜스-1-메톡시-2-부텐, 5.8mmol의 시스-1-메톡시-2-부텐, 5.6 mmol의 PdCl2및 45 g의 메탄올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0 ㎖ 용량의 오토클레이브에서 10 MPa의 일산화탄소로 처리하였다. 다음에, 혼합물을 80 ℃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 및 일정 압력(12 MPa)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에,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압력은 대기압까지 떨어뜨렸다. 메틸 3-펜테노에이트의 수율은 60 %였다.
<실시예 2 내지 4>
53.0 mmol의 3-메톡시-1-부텐, 42.0 mmol의 트랜스-1-메톡시-2-부텐, 5.0 mmol의 시스-1-메톡시-2-부텐, 2.5 mmol의 PdCl2및 40g의 용매(표 1 참조)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0 ㎖ 용량의 오토클레이브에서 5 MPa의 일산화탄소로 처리하였다. 다음에, 혼합물을 가열하고(온도는 표 1 참조), 이 온도 및 10 MPa의 압력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에,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압력은 대기압까지 떨어뜨렸다. 메틸 3-펜테노에이트의 수율은 표 1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5 내지 18>
53.0 mmol의 3-메톡시-1-부텐, 42.0 mmol의 트랜스-1-메톡시-2-부텐, 5.0 mmol의 시스-1-메톡시-2-부텐, 2.5 mmol의 PdCl2, 2.5 내지 10 mmol의 첨가제(표 2참조) 및 40g의 용매(표 2 참조)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0 ㎖ 용량의 오토클레이브에서 10 MPa의 일산화탄소로 처리하였다. 다음에, 혼합물을 100 ℃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 및 13 MPa 미만의 일정 압력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에,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압력은 대기압까지 떨어뜨렸다. 메틸 3-펜테노에이트의 수율은 표 2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다.
Figure pct00002
<실시예 19>
26.5 mmol의 3-메톡시-1-부텐, 21 mmol의 트랜스-1-메톡시-2-부텐, 2.5 mmol의 시스-1-메톡시-2-부텐, 2.5 mmol의 Pd(OAc)2, 5 mmol의 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 및 50 g의 톨루엔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00 ㎖ 용량의 오토클레이브에서 10 MPa의 일산화탄소로 처리하였다. 다음에, 혼합물을 110 ℃까지 가열하고, 이 온도 및 일정 압력(11 MPa)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다음에,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압력은 대기압까지 떨어뜨렸다. 메틸 3-펜테노에이트의 수율은 35 %였다.
<실시예 20>
N-메틸-2-피롤리돈(NMP)중의 48.0 중량%의 메톡시부텐 이성질체 혼합물(3-메톡시-1-부텐 : 트랜스-1-메톡시-2-부텐 : 시스-1-메톡시-2-부텐의 몰 비는 49 : 45 : 6임)의 용액 5.25 g/h 및 NMP 중의 2.20 중량%의 PdCl2및 7.36 중량%의 Bu4NCl 수화물의 촉매 용액 11.9 g/h를 6 ℓ/h의 일산화탄소 기체와 함께 자기 교반기가 장착된 오토클레이브중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유조내에서 100 ℃로 항온시켰다. 압력은 100 바아로 일정하게 유지시켰다. 조절 밸브를 통해 21.0 g/h의 액체 생성물을 연속적으로 취하였다. 메틸 3-펜테노에이트의 수율은 85.5 %의 전환율에서 73.6 %였다. 메틸 2-펜테노에이트가 5.1 %의 수율로 형성되었다. 오토클레이브에서 Pd 침전은 발견할 수 없었다. 사용된 팔라듐의 99 중량%를 액체 반응 생성물중에 용해된 형태로 검출할 수 있었다.
<실시예 21>
NMP중의 48.8 중량%의 메톡시부텐 이성질체 혼합물(3-메톡시-1-부텐 : 트랜스-1-메톡시-2-부텐 : 시스-1-메톡시-2-부텐의 몰비 = 45 : 50 : 5)의 용액 9.10 g/h 및 NMP중의 2.20 중량%의 PdCl2및 7.36 중량%의 Bu4NCl 수화물의 촉매 용액20.6 g/h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9의 실험을 반복하였다. 메틸 3-펜테노에이트의 수율은 78.9 %의 전환율에서 69.4 %였다. 메틸 2-펜테노에이트는 3.4 %의 수율로 형성되었다. 오토클레이브에서 Pd 침전은 발견할 수 없었다. 사용된 팔라듐은 액체 반응 생성물에 용해된 형태로 정량적으로 검출할 수 있었다.
생성물 및 미반응 출발 물질은 샘베이(Sambay) 증류(100 ℃, 30 mbar)에 의해 분리하고, 촉매를 포함한 증류 잔류물은 새로운 촉매 용액 대신에 재사용하였다. 상기 방식으로 촉매 용액을 3회 재순환시킨 후, 77.9 %의 전환율에서 69.0 % 수율의 메틸 3-펜테노에이트 및 3.4 % 수율의 메틸 2-펜테노에이트를 얻었다.

Claims (4)

1종 이상의 C1-C10-알콕시부텐 (여기서, 알콕시기는 이중 결합에 대하여 알릴 위치에 있음)을 할라이드-함유 첨가제 없이 팔라듐 기재 촉매의 존재하에 60 내지 140 ℃의 온도 및 3 내지 30 MPa 범위의 일산화탄소 분압에서 일산화탄소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촉매 및 용매의 존재하에 승온 및 승압에서 알콕시부텐을 카르보닐화시켜 3-펜텐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1종 이상의 C1-C10-알콕시부텐 (여기서, 알콕시기는 이중 결합에 대하여 알릴 위치에 있음)을 팔라듐 기체 촉매, 및 염화물, 산, 질소-함유 리간드 및 인-함유 리간드로 구성된 군 중에서 선택되는 첨가제 (촉매에 대한 첨가제의 몰비는 0.1 내지 10임)의 존재하에 60 내지 140 ℃의 온도 및 3 내지 30 MPa 범위의 일산화탄소 분압에서 일산화탄소와 반응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촉매 및 용매의 존재하에 승온 및 승압에서 알콕시부텐을 카르보닐화시켜 3-펜텐산 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트랜스-1-메톡시-2-부텐 및 시스-1-메톡시-2-부텐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방법.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3-메톡시-1-부텐, 트랜스-1-메톡시-2-부텐 및시스-1-메톡시-2-부텐의 혼합물이 사용되는 방법.
KR1019970706564A 1995-03-22 1996-03-15 알콕시부텐의카르보닐화에의한3-펜텐산에스테르의제법 KR1004062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10324.6 1995-03-22
DE19510324A DE19510324A1 (de) 1995-03-22 1995-03-22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3-Pentensäureestern durch Carbonylierung von Alkoxybuten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3161A KR19980703161A (ko) 1998-10-15
KR100406220B1 true KR100406220B1 (ko) 2004-03-10

Family

ID=7757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6564A KR100406220B1 (ko) 1995-03-22 1996-03-15 알콕시부텐의카르보닐화에의한3-펜텐산에스테르의제법

Country Status (23)

Country Link
US (1) US6075161A (ko)
EP (1) EP0815070B1 (ko)
JP (1) JP3815795B2 (ko)
KR (1) KR100406220B1 (ko)
CN (1) CN1075805C (ko)
AT (1) ATE193881T1 (ko)
AU (1) AU710226B2 (ko)
BG (1) BG62848B1 (ko)
BR (1) BR9607656A (ko)
CA (1) CA2214381C (ko)
CZ (1) CZ290599B6 (ko)
DE (2) DE19510324A1 (ko)
EA (1) EA000280B1 (ko)
ES (1) ES2148740T3 (ko)
HU (1) HUP9802187A3 (ko)
MY (1) MY113438A (ko)
NO (1) NO307824B1 (ko)
NZ (1) NZ304293A (ko)
PL (1) PL183538B1 (ko)
SK (1) SK126997A3 (ko)
TR (1) TR199700998T1 (ko)
TW (1) TW407148B (ko)
WO (1) WO19960293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579598A (en) * 1997-02-26 1998-09-18 Dsm N.V. Process to prepare a pentenoic acid derivative
ATE220221T1 (de) 1998-10-08 2002-07-15 Siemens Ag Regeleinrichtung zur regelung einer strecke mit mehreren verkoppelten regelgrössen
JP2002533308A (ja) * 1998-12-18 2002-10-08 イー・アイ・デュ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β−γ不飽和エステルの調製方法
CA3192359A1 (en) 2020-08-18 2022-02-24 Enviro Metals, LLC Metal refinem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7407A2 (en) * 1985-10-03 1987-04-08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a Virginia corp.) Carbonylation of allylic ethers to esters
US5166421A (en) * 1991-03-18 1992-11-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dipic aci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2822A (en) * 1957-01-08 1960-01-26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duction of methyl butenyl ethers
GB1110405A (en) * 1964-12-23 1968-04-18 Ici Ltd The production of esters
FR2498594A1 (fr) * 1981-01-23 1982-07-30 Rhone Poulenc Ind Procede de preparation de monoesters d'acides carboxyliques b,g-insatures
US4622416A (en) * 1985-04-19 1986-11-11 National Distillers And Chemical Corporation Carbonylation of allylic ethers to esters
KR880007427A (ko) * 1986-12-05 1988-08-27 오노 알버어스 공역 디엔의 카르보닐화 방법 및 이를 위한 촉매 시스템
GB8707405D0 (en) * 1987-03-27 1987-04-29 Shell Int Research Preparation of diester of adipic acid
DE3725241A1 (de) * 1987-07-30 1989-02-09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ntensaeurealkylestern
DE3824958A1 (de) * 1988-07-22 1990-01-25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entensaeurealkylestern
FR2655645B1 (fr) * 1989-12-13 1992-01-17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preparation d'acides hexenediouiques-1,6 a partir du butenediol.
FR2667064B1 (fr) * 1990-09-24 1994-04-01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preparation de diesters de l'acide hexenedioique a partir de dialcoxy-1,2-butene-3.
FR2676438B1 (fr) * 1991-05-17 1994-10-28 Rhone Poulenc Chimie Procede de dicarbonylation lineaire de butenes difonctionnalises.
US5495041A (en) * 1995-02-22 1996-02-27 Dsm N.W.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entenoate es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17407A2 (en) * 1985-10-03 1987-04-08 QUANTUM CHEMICAL CORPORATION (a Virginia corp.) Carbonylation of allylic ethers to esters
US5166421A (en) * 1991-03-18 1992-11-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dipic ac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P9802187A2 (hu) 1999-01-28
KR19980703161A (ko) 1998-10-15
BR9607656A (pt) 1998-06-16
PL322329A1 (en) 1998-01-19
TW407148B (en) 2000-10-01
BG62848B1 (bg) 2000-09-29
NO974340L (no) 1997-09-19
CA2214381C (en) 2004-05-18
TR199700998T1 (xx) 1998-01-21
CN1179145A (zh) 1998-04-15
CN1075805C (zh) 2001-12-05
WO1996029300A1 (de) 1996-09-26
JPH11502213A (ja) 1999-02-23
EA000280B1 (ru) 1999-02-25
DE59605443D1 (de) 2000-07-20
NO307824B1 (no) 2000-06-05
PL183538B1 (pl) 2002-06-28
US6075161A (en) 2000-06-13
NO974340D0 (no) 1997-09-19
JP3815795B2 (ja) 2006-08-30
CA2214381A1 (en) 1996-09-26
CZ297197A3 (cs) 1998-04-15
ES2148740T3 (es) 2000-10-16
SK126997A3 (en) 1998-05-06
MX9707105A (es) 1997-11-29
EP0815070A1 (de) 1998-01-07
BG101907A (en) 1998-05-29
EA199700255A1 (ru) 1998-02-26
AU5144596A (en) 1996-10-08
DE19510324A1 (de) 1996-09-26
CZ290599B6 (cs) 2002-08-14
ATE193881T1 (de) 2000-06-15
MY113438A (en) 2002-02-28
EP0815070B1 (de) 2000-06-14
HUP9802187A3 (en) 2001-08-28
AU710226B2 (en) 1999-09-16
NZ304293A (en) 2000-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99883B2 (en) Process for making adipic acid
US5495041A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pentenoate ester
US6737542B1 (en) Process for the carbonylation of conjugated dienes
EP1341751B1 (en) Process for making 5-cyanovaleric acid or adipic acid
KR100406220B1 (ko) 알콕시부텐의카르보닐화에의한3-펜텐산에스테르의제법
US7135542B2 (en) Bidentate ligands for the carbonylation of unsaturated compounds
US6175036B1 (en) Process to prepare a pentenoic acid derivative
EP0728732A1 (en) Process for the carbonylation of butadiene or a butadiene derivative
JP3372593B2 (ja) アルカン二酸誘導体の製造方法
JPH10218830A (ja) カルボン酸エステル又は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US6049005A (en) Process to prepare a pentenoic acid anhydride
MXPA97007105A (es) Preparacion de esteres 3-pentenoico mediantecarbonilacion de alcoxibutenos
GB2261662A (en) Carbonylation of aryl halides
JPH09157211A (ja) カルボン酸エステル又はカルボン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