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337B1 -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337B1
KR100405337B1 KR10-2002-0009933A KR20020009933A KR100405337B1 KR 100405337 B1 KR100405337 B1 KR 100405337B1 KR 20020009933 A KR20020009933 A KR 20020009933A KR 100405337 B1 KR100405337 B1 KR 100405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a bag
yellow
roots
yellow lacqu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70404A (ko
Inventor
정병석
황백
표병식
Original Assignee
황백
정병석
표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백, 정병석, 표병식 filed Critical 황백
Priority to KR10-2002-0009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05337B1/ko
Publication of KR20030070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70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3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2Rolling or shredding tea lea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804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 B65D85/808Disposable containers or packages with contents which are mixed, infused or dissolved in situ, i.e. without having been previously removed from the package for immersion in the liquid to release part or all of their contents, e.g. tea ba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4Te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황칠을 이용하여 티백을 제조함으로서 소비자가 용이하게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한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충분히 세척한 후 건조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20∼80메쉬로 분쇄하고; 황칠 0.2∼1중량부에 상기 분쇄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 5∼1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의 일정량을 부직포에 넣어 티백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tea bag using golden lacquer from Dendropanax morbifera}
본 발명은 건강에 유익한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황칠을 이용하여 티백을 제조함으로서 소비자가 용이하게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한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는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으로서 우리 나라 남해안의 일부 도서지역에서 볼 수 있으며, 황칠나무의 수피에 상처를 내면 황색의 액이 소량 분비되는데 이를 황칠이라 한다.
황칠은 투명한 천연 도료로 삼국시대부터 가구, 가죽, 옷감, 금속, 종이 등에 사용되어 왔으며, 특히 황칠을 한 목공예품은 금빛을 띠면서도 바탕의 나무결을 생생하게 떠오르게 하여 목공예품을 한층 화사하게 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목공예 분야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상기 황칠은 도료로서의 작용 이외에도 약리작용이 일부 알려져 있는데, 명나라 이시진이 저술한 본초강목에서 황칠은 번열을 제거하며, 술로 인한 황달과 눈이 노랗게 되는 증상을 풀어주고, 나병치료에 효과가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황칠은 그 약리작용으로 인하여 황칠에서 특정성분을 분리할 경우 의약품으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옻칠과 달리 피부 알레르기를 거의 유발하지 않고 취급이 용이하므로 황칠을 적당히 2차 가공하면 건강 식품으로도 널리 활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황칠은 그 성분의 약 90%정도가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임이 알려져 있는데, 상기 세스퀴테르펜은 탄소수 15인 화합물로서 무고리환, 단고리환, 이환고리, 삼환고리 등으로 분류되어지며, 이때 세스퀴테르펜의 일부 물질이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황칠의 주성분인 세스퀴테르펜의 일부 물질은 독특한 방향특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쓴맛을 나타내게 되는데, 이 방향성과 쓴맛의 특성으로 인하여 황칠을 식품화 할 경우 오히려 소비자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비자가 간편하게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황칠이 가지는 쓴맛과 특유의 향을 감소시켜 소비자가 거부감 없이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충분히 세척한 후 건조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20∼80메쉬로 분쇄하고; 황칠 0.2∼1중량부에 상기 분쇄한 황칠나무의 잎과줄기 및 뿌리 각각 5∼1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의 일정량을 부직포에 넣어 티백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달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먼저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를 채취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건조한 다음, 상기 건조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20∼80메쉬로 분쇄하게 된다.
상기에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는 바람이 잘 통하는 음지에서 충분히 건조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와 같이 건조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는 뜨거운 물에 우려내거나 끓이는 과정에서 그 유효성분의 용출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입도가 20∼80메쉬를 갖도록 분쇄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를 분쇄한 다음 이 분쇄물과 황칠을 혼합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황칠 0.2∼1중량부에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분쇄물 각각 5∼1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때, 황칠이 액상이므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분쇄물과 혼합하는 과정에서 고르게 섞이지 않을 수 있으므로 충분히 혼합하는 것이 중요하다.
상기에서 황칠은 건강에 유익한 각종 성분을 공급하기 위한 것이므로 그 첨가량이 0.2중량부 미만일 경우 건강증진을 위한 유익한 성분의 함량이 다소 적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그 첨가량이 1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황칠이 가지는 독특한 방향성과 쓴맛이 강하게 나는 단점이 있으므로 황칠의 첨가량은 0.2∼1중량부 첨가하는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황칠로는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황칠나무의 수피에 상처를 내어 얻은 황칠을 사용하였다.
상기 황칠은 통상적으로 특유의 향과 쓴맛이 강하게 나는 단점이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황칠이 가지는 강한 향과 쓴맛을 완화시키기 위하여 황칠과 함께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를 사용하여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티백을 뜨꺼운 물에 넣어 우려내거나 끓이게 되면,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에서는 isohumulene(C15H24)과 2-hexenal, n-octanal, ethyl-3-hexenoate를 포함하여 10여가지 이상의 성분들이 용출되게 된다.
이때, 상기 용출성분중에서 isohumulene은 맥주의 독특한 맛과 향을 내는 특성이 있으며, 2-hexenal은 싱그러운 풀냄새 또는 사과향을 내는 특성이 있으며, ethyl-3-hexenoate는 부드러운 파인애플의 향을 내는 특성이 있어, 이들로 인하여 황칠이 가지는 강한 향이 완화되게 된다. 또한, n-octanal은 버섯류의 구수한 맛을 내는 특성이 있어 황칠이 가지는 쓴맛을 완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황칠을 이용하여 티백으로 만드는 과정에서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를 함께 사용하여 티백으로 제조할 경우 제조된 티백으로 우려낸 물에서 황칠이 가지는 쓴맛과 강한 향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효과를 얻기 위해서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 분쇄물은 각각 5∼15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그 첨가량이 각각 15중량부를 초과할 필요는없으며, 그 첨가량이 각각 5중량부 미만일 경우 쓴맛과 강한 향을 충분히 완화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므로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의 분쇄물은 각각 5∼15중량부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황칠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 분쇄물과 황칠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20∼80메쉬로 분쇄한 감초 1∼5중량부와 둥굴레 뿌리 1∼5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티백으로 제조할 수도 있는데, 이와 같이 감초와 둥굴레를 더 첨가하여 티백으로 제조할 경우 황칠의 쓴맛과 진한 향을 완화시켜 줌에 따라 우려낸 물의 맛과 향이 더욱 부드럽게 되며, 따라서 소비자가 부드러운 맛과 향을 음미하면서 우려낸 물을 음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쇄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에 황칠을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이 혼합물의 일정량을 부직포에 넣어 티백으로 제조하게 되면 본 발명에 따른 황칠 티백이 제조된다.
이때, 혼합물을 티백으로 만드는 과정은 통상의 방법을 적용하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제조된 티백은 70∼100℃의 물에 넣어 우려낸 다음 이를 음용할 수 있으며, 또한 물에 넣고 끓여서 끓인 물을 음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티백을 물에 우려내게 되면 황칠 나무의 잎, 줄기 및 뿌리에서 유효성분이 용출되게 되고, 용출된 유효성분들은 황칠 원액에 포함된 성분들과 조화를 이루어 황칠이 내는 강한 향과 쓴맛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음건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40∼60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 10중량부와 황칠 0.5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 0.8g을 부직포에 넣어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음건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40∼60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 10중량부와 황칠 1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 0.8g을 부직포에 넣어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음건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40∼60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 10중량부와 황칠 0.2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 0.8g을 부직포에 넣어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음건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40∼60메쉬로 분쇄하고, 상기 분쇄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 10중량부와 황칠 0.2중량부, 40∼60메쉬의 감초 2중량부 및 40∼60메쉬의 둥굴레 뿌리 2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혼합물 0.8g을 부직포에 넣어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음건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40∼60메쉬로 분쇄하고, 분쇄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 10중량부에 황칠 2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이 혼합물 0.8g을 부직포에 넣어 티백으로 제조하였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티백을 물 90℃의 물 200cc에 투입하여 5분간 우려낸 다음 맛과 향을 관능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쓴맛이 거의 없으며 단백한 맛이 남 황칠 특유의 향이 거의 나지 않음
실시예 2 쓴맛이 없으며, 부드러운 맛이 남 황칠 특유의 향이 나지 않음
실시예 3 쓴맛이 조금 나며, 단백한 맛이 남 황칠 특유의 향이 조금 남
실시예 4 쓴맛이 거의 없으며 부드러운맛이남 황칠 특유의 향이 거의 나지 않음
비교예 1 황칠 특유의 쓴맛이 강하게 남 황칠 특유의 향이 강하게 남
상기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티백을 이용하여 우려낸 물의 경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티백으로 우려낸 물에 비하여 맛과 향이 크게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비자가 황칠 특유의 쓴맛과 향에 의한 거부감 없이 용이하게 음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비자가 간편하게 우려내어 마실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황칠이 가지는 쓴맛과 특유의 향을 감소시켜 소비자가 거부감 없이 음용할 수 있도록 한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충분히 세척한 후 건조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을 분쇄기에 투입하여 20∼80메쉬로 분쇄하고; 황칠 0.2∼1중량부에 상기 분쇄한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 및 뿌리 각각 5∼15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상기 혼합물의 일정량을 부직포에 넣어 티백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에 감초 1∼5중량부, 둥굴레 뿌리 1∼5중량부를 더 첨가하여 티백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
  3. 청구항 1 또는 2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칠 티백.
KR10-2002-0009933A 2002-02-25 2002-02-25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 KR100405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933A KR100405337B1 (ko) 2002-02-25 2002-02-25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933A KR100405337B1 (ko) 2002-02-25 2002-02-25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404A KR20030070404A (ko) 2003-08-30
KR100405337B1 true KR100405337B1 (ko) 2003-11-12

Family

ID=3222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933A KR100405337B1 (ko) 2002-02-25 2002-02-25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053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898A (ko) * 2002-07-08 2002-07-31 권만덕 생강나무 차의 제조방법
KR100672842B1 (ko) 2005-05-31 2007-01-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조릿대잎 혼합차와 그 제조방법
KR20200117618A (ko) 2019-04-05 2020-10-14 정혜린 황칠 과립 티백차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5868B1 (ko) * 2005-09-16 2008-06-09 정병석 황칠덖음차 및 그 제조방법
KR101627313B1 (ko) * 2015-12-17 2016-06-03 마성심 황칠차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황칠차
KR20190027155A (ko) 2017-09-06 2019-03-14 장미 황칠, 여주 및 돼지감자를 이용한 티백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898A (ko) * 2002-07-08 2002-07-31 권만덕 생강나무 차의 제조방법
KR100672842B1 (ko) 2005-05-31 2007-01-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제주조릿대잎 혼합차와 그 제조방법
KR20200117618A (ko) 2019-04-05 2020-10-14 정혜린 황칠 과립 티백차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70404A (ko) 2003-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4744B1 (ko) 기능성 장류의 제조방법과 그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장류
KR100405337B1 (ko) 황칠을 이용한 티백의 제조방법
KR100441645B1 (ko) 황칠 원액을 이용한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KR102001590B1 (ko) 감국 꽃잎을 이용한 선향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136710A (ko) 간장초절임 깻잎장아찌의 제조방법
KR20150120039A (ko) 여주를 함유하는 메주와 이를 이용한 된장의 제조방법
KR102121349B1 (ko) 블렌딩 차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18732B1 (ko) 모란 꽃차의 제조방법
KR102375920B1 (ko) 갈대 커피 및 그 제조방법
KR101262147B1 (ko) 고기구이용 연료 조성물
KR102300726B1 (ko) 다용도 고수소스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고수소스
KR101732693B1 (ko) 황칠된장의 제조방법 및 이로 제조된 황칠된장
KR102310335B1 (ko) 홍삼 돈수육의 제조 방법
KR100288857B1 (ko) 녹용주의 제조방법
KR20000012603A (ko) 녹차김치의 제조방법
KR20160123552A (ko) 건강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06898A (ko) 황금빛 죽과 밥을 조리하는 발효효소
KR101788801B1 (ko) 복분자 고춧가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복분자 고춧가루
KR100313032B1 (ko) 한방김치첨가제및그것을이용한한방김치제조방법
KR101018976B1 (ko) 냄새 저감 김치 제조 방법 및 이에 따른 김치
KR102548785B1 (ko) 산양삼 및 산양도라지의 잎과 줄기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차 조성물
JP3089460B2 (ja) 健康茶
KR101617425B1 (ko) 죽력을 이용한 김치의 제조방법
KR102218728B1 (ko) 맨드라미 백김치의 제조방법
KR20160080293A (ko) 홍화의 이취 제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1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1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