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05093B1 - 다방향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다방향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05093B1
KR100405093B1 KR10-2000-0037906A KR20000037906A KR100405093B1 KR 100405093 B1 KR100405093 B1 KR 100405093B1 KR 20000037906 A KR20000037906 A KR 20000037906A KR 100405093 B1 KR100405093 B1 KR 100405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locking
case
rotation
detection means
standing wa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9884A (ko
Inventor
다카하시기사부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119005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22463A/ja
Priority claimed from JP190055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877471B2/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9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5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50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G05G9/0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 G05G9/047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 G05G2009/0474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in which movement in two or more ways can occur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by hand about orthogonal axes, e.g. joysticks characterised by means converting mechanical movement into electric signals
    • G05G2009/04748Position sensor for rotary movement, e.g. potentiome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Adjustable Resistor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교차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져 서로 겹쳐지는 위치에 구멍부(31a, 36a)가 뚫어 설치된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와, 이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를 회동자유롭게 가설하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어 구멍부(31a, 36a)에 삽입된 레버부재(40)를 구비하고,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에 각각 제 1, 제 2 작동부(34, 39)를 형성하고, 레버부재(40)를 경동시킴으로써 제 1 작동부(34)가 제 1 연동부재(30)와 일체로 회동하고, 제 2 작동부(39)가 제 2 연동부재(35)와 일체로 회동함과 동시에, 케이스(1)에는 제 1 작동부(34)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1 회동검출수단(16)과, 제 2 작동부(39)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2 회동검출수단(22)을 설치하였다.

Description

다방향 입력장치{MULTIDIRECTIONAL INPUT DEVICE}
본 발명은 케이스에 경동(傾動)가능하게 지지된 레버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이 레버부재의 경동량에 대응한 검출신호가 인출되는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이와 같은 종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종래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이 다방향 입력장치는 상판부에 원형의 삽입구멍(51a)이 형성되어 하면이 개방된 박스형의 프레임체(51)와, 이 프레임체(51)의 측판부에 설치되는 2개의 회전형 가변저항기(52)와, 프레임체(51)내에 교차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져 가설되는 제 1, 제 2 연동부재(56, 59)와, 이 제 1, 제 2 연동부재(56, 59)를 관통하고 프레임체(51)의 삽입구멍(51a)으로부터 돌출하는 레버부재(62)와, 레버부재(62)를 초기위치에 자동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71)과, 이 복귀스프링(71)을 유지하는 홀더부재(68)와, 프레임체(51)의 개방된 하면을 덮는 덮개판(72)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체(51)는 금속평판을 벤딩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측벽부에 한 쌍의 걸어멈춤구멍(51b, 51d) 및 한 쌍의 걸어멈춤구멍(51c, 51e)이 각각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어멈춤구멍(51c, 51d)이 형성된 측벽부에는 그 외벽면에 각각 회전형 가변저항기(52)가 설치되어 있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회전형 가변저항기(52)는 부착프레임(53)의 축구멍(53a)에 유지된 축(54)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54a)에 코킹된 도시 생략한 슬라이더가 저항기판(55)상을 슬라이딩하여 저항치를 가변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연동부재(56)는 아치형상의 기초부(57)와, 이 기초부(57)의 양쪽 끝부에 설치된 부착부(58)를 가지며, 기초부(57)에는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멍부(57a)가 설치되어 있고, 각 부착부(58)에는 축구멍(58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연동부재(56)는 양 부착부(58)를 한 쌍의 걸어멈춤구멍(51c, 51e)에 걸어멈추어 프레임체(51)에 지지시킴으로써 프레임체(51)내에 회동자유롭게 가설되어 있고, 멈춤구멍(51c)에 걸어멈춰진 부착부(58)의 축구멍(58a)에 회전형 가변저항기 (52)의 축(54)이 밀어넣어져 있다.
제 2 연동부재(59)는 중앙부를 팽출시킨 원주형상의 기초부(60)와, 이 기초부(60)의 양쪽 끝부에 설치된 부착부(61)를 가지며, 기초부(60)의 팽출부분에는 기초부(6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부(60a)와 이 구멍부(60a)에 직교하는 끼워넣음구멍(60b)이 각각 뚫어 설치되어 있고, 한쪽의 부착부(61)에는 축구멍(6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 연동부재(59)는 양 부착부(61)를 한 쌍의 걸어멈춤구멍(51b, 51d)에 걸어멈추고, 프레임체(51)에 지지시킴으로써, 제 1 연동부재 (56)와 교차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진 상태로 프레임체(51)내에 회동자유롭게 가설되어 있고, 그 겹침부분에서 구멍부(57a, 60a)끼리가 대향하여 걸어멈춤구멍(51d)에 걸어멈춰진 부착부(61)의 축구멍(61a)에 회전형 가변저항기(52)의 축(54)이 밀어넣어져 있다.
레버부재(62)는 직사각형형상의 지지부(63)와, 이 지지부(63)의 상하끝단에 돌출 설치된 샤프트부(64)와, 지지부(63)의 아래쪽에서 샤프트부(64)에 일체 형성된 원판형상의 스프링받이부(65)를 가지며, 지지부(63)에는 투과구멍(63a)이 뚫려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버부재(62)는 샤프트부(64)를 제 1, 제 2 연동부재 (56, 59)의 구멍부(57a, 60a)에 삽입시켜 투과구멍(63a)에 제 2 연동부재(59)의 끼워넣음구멍(60b)으로부터 끼워넣어진 둥근핀(66)이 끼워 넣어짐으로써 제 2 연동부재(59)를 거쳐 프레임체(51)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프레임체(51)의 삽입구멍(51a)으로부터 돌출한 샤프트부(64)의 상단부에 손잡이(67)가 고정되어 있다.
홀더부재(68)는 컵형상으로 형성된 스프링받이부(69)와, 이 스프링받이부 (69)의 내저면에 세워 설치된 원통형상의 보스부(70)를 가지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받이부(69)에 원추형상의 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귀스프링 (71)을 수용하고, 보스부(70)에 레버부재(62)의 샤프트부(64)의 하단부를 삽입시켜 프레임체(51)내에 수납되어 있고, 레버부재(62)의 스프링받이부(65)에 복귀스프링 (71)의 상단부가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덮개판(72)은 금속평판으로 직사각형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부착편(72a)이 프레임체(51)의 하단부에 적절하게 고정되어 프레임체(51)의 하면을 덮개로 폐쇄하고 있다. 그리고 이 덮개판(72)에는 복귀스프링(71)의 탄발력에 의해 홀더부재 (68)의 스프링받이부(69)가 탄성접촉되어 있고, 이 탄성접촉에 의해 레버부재(62)가 도 9에 나타내는 덮개판(72)에 수직한 초기위치로 유지되어 홀더부재(68)의 보스부(70)의 상단부와 레버부재(62)의 스프링받이부(65)와의 사이에 클리어런스(t)가 형성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레버부재(62)를 그 상단측으로부터 제 2 연동부재(59)의 구멍부(60a)에 삽입하고, 둥근핀(66)을 끼워넣음구멍(60b)으로부터 투과구멍(63a)에 끼워 넣어 레버부재(62)와 제 2 연동부재(59)를 조립하고, 이어서 제 1 연동부재(56)의 구멍부(57a)에 레버부재(62)를 상단측으로부터 삽입하여 제 1, 제 2 연동부재(56, 59)를 교차형상으로 겹쳐 맞추어 이들 레버부재(62) 및 제 1, 제 2 연동부재(56, 59)를 유닛화한다. 다음에 프레임체(51)의 측벽부의 하단부를 약간 바깥쪽으로 밀어 넓힌 상태에서 이 유닛을 프레임체(51)내에 개방하면으로부터 삽입하고, 샤프트부(64)의 상단을 삽입구멍(51a)으로부터 돌출시켜 프레임체(51)의 측벽부를 안쪽으로 되돌려 측벽부의 상판부에 대한 벤딩각도를 조절하면서 부착부(58, 61)를 걸어멈춤구멍(51b∼51e)에 걸어멈춰 지지시켜 제 1, 제 2 연동부재(56, 59)를 프레임체(51)에 가설한다.
다음에 손잡이(67)를 레버부재(62)에 고정하고, 2개의 회전형 가변저항기 (52)를 프레임체(51)의 측벽부에 부착하고, 다음에 홀더부재(68)의 스프링받이부 (69)에 복귀스프링(71)을 수용하고, 보스부(70)에 레버부재(62)의 샤프트부(64)를 삽입시켜 홀더부재(68)를 프레임체(51)내에 수납한다. 그후 부착편(72a)을 프레임체(51)의 하단부에 적절하게 고정하여 덮개판(72)을 프레임체(51)에 부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 조립된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조작자가 손잡이 (67)를 경동조작하면, 레버부재(62)가 경동하여 상기 샤프트부(64)가 구멍부(57a, 60a)를 헐겁게 이동하면서 제 1, 제 2 연동부재(56, 59)가 회동되어 2개의 회전형 가변저항기(52)의 각 축(54)이 회전한다. 또 이와 동시에 홀더부재(68)가 레버부재(62)와 일체로 경동하여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받이부(65)에 복귀스프링(71)이 압축되면서 샤프트부(64)의 하단부가 한층 보스부(70)에 삽입되어 홀더부재(68)가 스프링받이부(65)에 근접한다. 그리고 축(54)의 회전에 따라 각각의 회전형 가변저항기(52)의 저항기판(55)에서 도출되어지는 단자(73)로부터 가변된 저항치가 레버부재(62)의 경동량에 대응한 검출신호로서 인출되고, 이 검출신호는 예를 들어 도시 생략한 표시장치에 입력되어 도시를 생략한 디스프레이상의 커서위치가 제어된다.
또 손잡이(67)의 경동조작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71)의 복원력에 의해 홀더부재(68)가 덮개판(72)측으로 되밀려져 레버부재(62)와 일체로 일어서 레버부재 (62)가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도 9의 상태로 되돌아오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는, 회전형 가변저항기(52)를 프레임체(51)의 측벽부의 외벽면에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이 회전형 가변저항기(52)를 부착하는 스페이스만큼 제 2 연동부재(59)의 양 부착부(61)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59a)이 연장되는 방향 및 이것과 마찬가지로 제 1 연동부재(56)의 양 부착부(58)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다방향입력장치의 치수가 커져 소형으로 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 제 1, 제 2 연동부재(56, 59)를 프레임체(51)에 가설할 때, 바깥쪽으로 밀어 넓혀진 프레임체(51)의 측벽부를 안쪽으로 되돌려 이 측벽부의 상판부에 대한 벤딩각도를 조절하는 작업을 수반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수가 증가하여 고비용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프레임체(51)의 상판부에 대한 프레임체(51)의 측판부의 벤딩각도가 불균형이 되면 걸어멈춤구멍(51b∼51e)내에 있어서의 부착부(58, 61)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제 1, 제 2 연동부재(56, 59)의 회동이 저해되게 되기 때문에 이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공정은 상기 벤딩각도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매우 번잡한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 목적은,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 제 2 목적은 제 1, 제 2 연동부재를 용이하게 가설할 수 있고, 이들 연동부재의 원활한 회동을 무조절로 얻을 수 있는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2-2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3-3선을 따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에 관한 케이스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에 구비되는 제 1 검출수단에 관한 가동부재의 이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에 구비되는 제 2 검출수단에 관한 가동부재의 이면도,
도 8은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9는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단면도,
도 10은 종래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바닥벽부
3 : 기립부 3a, 4a, 5a, 6a : 테이퍼면
3b, 4b, 5b, 6b : 걸어멈춤구멍 4, 5, 6 : 기립벽
7a, 7b, 12a, 13a : 투과구멍 8 : 고리형상 돌기
9, 10 : 단자 9a : 고정접점
10a, 10b : 접점부 11 : 클릭스프링
11a : 플랜지부 12, 13 : 가이드구멍
12b, 13b : 구획부 14 : 도출구멍
15a, 15b : 훅부   16 : 제 1 회동검출수단
17, 23 : 가동부재 18, 19, 20, 24, 25, 26 : 슬라이더
18a, 20a : 연결편 19a, 24a, 25a, 26a : 단자
21, 27 : 저항층 28 : 복귀스프링
29 : 스프링받이 29a : 고리형상 벽부
30 : 제 1 연동부재 31, 36 : 기초부
31a, 36a : 구멍부 32, 33, 37, 38 : 부착부
32a, 33a, 37a, 38a : 테이퍼면 34 : 제 1 작동부
34a, 39a : 원형부 35 : 제 2 연동부재
36b : 끼워넣음구멍 39 : 제 2 작동부
40 : 레버부재 40a : 축선
41 : 샤프트부 41a : 돌기
42 : 가압부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교차형상으로 겹쳐 맞춰져 서로 겹치는 위치에 구멍부가 뚫어 설치된 기초부와 이 기초부의 양쪽 끝부에 설치된 부착부를 가지는 제 1, 제 2 연동부재와, 이 제 1, 제 2 연동부재의 부착부를 각각 지지하고, 이 제 1, 제 2 연동부재를 회동자유롭게 가설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각 구멍부에 삽입된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기초부에는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작동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연동부재에는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2 작동부를 설치하여 상기 레버부재를 경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작동부가 상기 제 1 연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하고, 상기 제 2 작동부가 상기 제 2 연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작동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1 회동검출수단과, 제 2 작동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2 회동검출수단을 설치한 것을 가장 주요한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 및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에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 및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다방향 입력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왕복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가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측 소자와, 상기 가동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측 소자로 신호생성부를 형성하는 가동측 소자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가동부재와 제 2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가동부재가 각각 상기 제 1, 제 2 작동부에 걸어맞추어 상기 제 1, 제 2 작동부의 회동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신호생성부가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이면서 상기 제 1, 제 2 작동부의 회동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소자가 상기 가동부재상에 형성된 저항체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측 소자가 상기 저항체층에 슬라이딩접촉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를 일체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저항층은 인쇄에 의하여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단자의 일체화에 의하여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사방으로 배치하여 설치된 4개의 기립벽을 가지고 이 4개의 기립벽에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가 각각 부착부를 걸어멈추게 하여 회동자유롭게 가설되고,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을 상기 4개의 기립벽으로 둘러싸인 영역내에 배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를 상기 케이스에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고, 조립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제 1, 제 2 작동부가 케이스내에서 차지하는 스페이스를 활용하여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을 배치할 수 있어 장치의 소형화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작동부의 선단에 원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부재에는 상기 원형부가 끼워넣어지는 긴 구멍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가동부재가 이동할 때의 덜거덕거림을 없애고,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의 응답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는 바닥벽부와 이 바닥벽부상에 사방으로 배치하여 세워 설치된 4개의 기립벽을 가지는 케이스와, 교차형상으로 겹쳐맞춰져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고, 서로 겹치는 위치에 구멍부가 뚫여 설치된 제 1, 제 2 연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각 구멍부에 삽입된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4개의 기립벽에 각각 걸어멈춤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는 상기 4개의 기립벽의 자유끝단측으로부터 이들을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삽입되고, 안쪽에 탄성복귀한 상기 4개의 기립벽의 각 상기 걸어멈춤구멍에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가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됨으로써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기립벽으로 회동자유롭게 가설되는 것을 가장 주요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조절작업을 폐지할 수 있고, 조립의 간소화가 도모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를 용이하게 가설할 수 있고,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원활한 회동을 무조절로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4개의 기립벽의 자유끝단측에는 그 내벽면에 상기 자유끝단측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바닥벽부를 향함에 따라 안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단부가 상기 테이퍼면을 가이드하여 상기 4개의 기립벽의 각 상기 걸어멈춤구멍에 삽입 걸어멈춰지는 구성으로 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를 상기 4개의 기립벽의 각 상기 걸어멈춤구멍에 간단하게 걸어멈추어 스냅고정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구멍부에 삽입된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제 2 연동부재에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2 연동부재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하였다.
따라서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제 2 연동부재를 개재하여 간단하게 상기 케이스에 지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동부재에는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에 설치한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작동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연동부재에는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에 형성한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2 작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부재를 경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작동부가 상기 제 1 연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하고, 상기 제 2 작동부가 상기 제 2 연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암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1 회동검출수단과, 제 2 암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2 회동검출수단을 설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 및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 및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가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측 소자와, 상기가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측 소자로 신호생성부를 형성하는 가동측 소자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가동부재와 제 2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가동부재가 각각 상기 제 1, 제 2 암부에 걸어맞춰져 상기 제 1,제 2 암부의 회동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신호생성부가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이면서 상기 제 1, 제 2 작동부의 회동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방향 입력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다방향 입력장치는 교차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져 서로 겹치는 위치에 구멍부(31a, 36a)가 뚫어 설치된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와, 이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의 양쪽 끝부를 각각 지지하여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를 회동자유롭게 가설하는 케이스(1)와, 이 케이스(1)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의 구멍부(31a, 36a)에 삽입된 레버부재(40)와, 이 레버부재(40)의 경동량에 대응한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16, 22)과, 레버부재(40)을 초기위치로 자동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28)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뒤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는 레버부재(40)의 경동조작에 의해 회동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1)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정방형형상의 바닥벽부(2)와, 이 바닥벽부(2)상에 사방으로 배치하여 설치된 4개의 기립벽 (3, 4, 5, 6)을 가지며, 도 1,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들 기립벽(3∼6)에는 그 내벽면에 자유끝단측의 선단부로부터 바닥벽부(2)를 향함에 따라 안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3a, 4a, 5a, 6a)과, 이 테이퍼면(3a∼6a)의 아래쪽으로부터 바닥벽부 (2)에 이르는 걸어멈춤구멍(3b, 4b, 5b, 6b)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바닥벽부 (2)에는 통과구멍(7a, 7b)이 각각 걸어멈춤구멍(5b, 6b)에 연속하여 뚫어 설치되고, 고리형상의 돌기(8)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전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단자(9, 10)가 한쪽 끝측을 바깥쪽으로 돌출시켜 인서트성형에 의해 설치되고 있고, 이 한 쌍의 단자(9, 10)의 다른쪽 끝측은 고리형상의 돌기(8)내에 있어서 바닥벽부(2)상에 노출하여 고정접점(9a) 및 접점부(10a, 10b)로 되어 있다. 그리고 고리형상의 돌기(8)내에는 가동접점으로서의 도전금속박판으로 이루어지는 돔형상의 클릭스프링(11)이 플랜지부(11a)를 접점부(10a, 10b)에 접촉시킨 상태로 수용유지되어 푸시버튼스위치를 구성하고 있다.
또 바닥벽부(2)에는 그 일측부를 따라 기립벽(4)의 고정끝단을 일부 노치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홈(12)과, 바닥벽부(2)의 한쪽 끝부를 따라 기립벽(3)의 고정끝단을 일부 노치하도록 연장되는 가이드홈(13)이 형성되어 이들 가이드홈(12, 13)내에 투과구멍(12a, 13a)이 각각 걸어멈춤구멍(4b, 3b)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고, 가이드홈(12, 13)이 교차하는 일각에 정방형형상의 도출구멍(14)이 투과구멍(12a, 13a) 사이에 각각 구획부(12b, 13b)를 남기도록 뚫려 있다. 그리고 가이드홈(12, 13)의 가장자리부에는 훅부(15a, 15b)가 각각 기립벽(3, 4)과 대향하여 형성되어 있다[또한 도 1에 있어서의 기립벽(5)은 그 자유끝단쪽을 노치하여 나타냄].
제 1 회동검출수단(16)은 절연합성수지제로 직사각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가동부재(17)와, 도전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측 소자로서의 3개의 슬라이더(18 ∼20)와, 가동부재(17)의 이면에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설치된 가동측 소자로서의 저항층(21)으로 구성되어 있고, 3개의 슬라이더(18∼20)와 저항층(21)으로 신호생성부를 형성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슬라이더(18∼20)는 선단부를 투과구멍(12a)내에 돌출시켜 구획부(12b)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19)의 후단부에 구부러져 도출구멍(1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도출되는 단자(19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슬라이더(18, 20)의 후단부가 각각 연장설치되어 연결편(18a, 20a)으로 되어 있다. 또 도 2,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17)는 걸어맞춤구멍(17a)을 가지며, 양쪽부가 훅부(15b)와 기립벽(4)의 고정끝단으로 걸어멈춰져 케이스(1)에 유지되고, 저항층(21)에 3개의 슬라이더(18∼20)의 선단이 각각 슬라이딩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홈(12)을 따라 왕복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 2 회동검출수단(22)은 절연합성수지제로 직사각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가동부재(23)와, 도전박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측 소자로서의 3개의 슬라이더(24 ∼26)와, 가동부재(23)의 이면에 구불구불한 형상으로 설치된 가동측 소자로서의 저항층(27)으로 구성되어 있고, 3개의 슬라이더(24∼26)와 저항층(27)으로 신호생성부를 형성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3개의 슬라이더(24∼26)는 선단부를 투과구멍(13a)내로 돌출시켜 구획부(13b)에 인서트성형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더(24∼26)의 후단부에는 벤딩되어 도출구멍(14)으로부터 아래쪽으로도출되는 단자(24a∼26a)가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다시 슬라이더 (24, 26)의 후단부에는 상기한 슬라이더(18, 20)로부터 연장설치된 연결편(18a, 20a)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 도 1,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재(23)는 걸어맞춤구멍(23a)을 가지며, 양쪽부가 훅부(15a)와 기립벽(3)의 고정단으로 걸어멈춰져 케이스(1)에 유지되고, 저항층(27)에 3개의 슬라이더(24∼26)의 선단이 각각 슬라이딩접촉한 상태로 가이드홈(13)을 따라 왕복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더(18∼20), 슬라이더(24∼26), 연결편(18a, 20a), 단자(19a) 및 단자(24a∼26a) 그리고 한 쌍의 단자(9, 10)는 공통의 도전박판에 펀칭형성되어 일체로 된 상태에서 후프형상으로 말려지고 케이스(1)에 인서트성형한 후에 소정부분에서 절단되어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포밍된다.
복귀스프링(28)은 원통형상의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단부에 고리형상의 돌기(8)가 끼워맞춰져 케이스(1)에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복귀스프링(28)의 상단부에는 링형상의 스프링받이(29)가 그 안 둘레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고리형상 벽부(29a)를 끼워맞추어 지지되어 있다.
제 1 연동부재(30)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부를 위쪽으로 팽출시킨 반원주형상의 기초부(31)와, 이 기초부(31)의 양쪽 끝부에 설치된 부착부(32, 33)를 가지며, 기초부(31)의 팽출부분에는 기초부(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부(31a)가 설치되어 있고, 부착부(32, 33)에는 각각 기립벽(4, 6)의 테이퍼면(4a, 6a)에 대응하는 테이퍼면(32a, 33a)이 형성되어 있다.또 부착부(32)와 구멍부(31a) 사이의 부착부(32)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기초부(31)의 하면에는 암형상의 제 1 작동부(34)가 수직으로 내려지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제 1 작동부(34)의 선단부에 원형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 연동부재(30)는 기초부(31)의 하면을 스프링받이(29)에 접촉시키고, 양부착부(32, 33)를 걸어멈춤구멍(4b, 6b)의 상단부에 걸어멈추어 대향하는 기립벽 (4, 6)으로 회동자유롭게 가설됨으로써 케이스(1)에 지지되어 있고, 원형부(34a)를 제 1 회동검출수단(16)의 가동부재(17)의 걸어맞춤구멍(17a)에 삽입 걸어맞추고 있다.
제 2 연동부재(35)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앙부를 위쪽으로 팽출시킨 반원주형상의 기초부(36)와, 이 기초부(36)의 양쪽 끝부에 설치된 부착부(37, 38)를 가지며, 기초부(36)의 팽출부분에는 기초부(36)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부(36a)와 이 구멍부(36a)에 직교하는 엽전형상의 끼워넣음구멍(36b)이 각각 뚫어 설치되어 있고, 부착부(37, 38)에는 각각 기립벽(3, 5)의 테이퍼면(3a, 5a)에 대응하는 테이퍼면(37a, 38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부착부 (37)와 구멍부(36a) 사이의 부착부(37)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어서, 기초부(36)의 하면에는 암형상의 제 2 작동부(39)가 수직으로 내려지도록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제 2 작동부(39)의 선단부에 원형부(39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2 연동부재(35)는 기초부(36)의 하면을 스프링받이(29)에 접촉시켜 양 부착부(37, 38)를 걸어멈춤구멍(3b, 5b)의 상단부에 걸어멈추어 대향하는 기립벽(3, 5)으로 회동자유롭게 가설함으로써 제 1 연동부재(30)와 교차형상으로 겹쳐맞춰진 상태로 케이스(1)에 지지되어 있고, 그 겹침부분에서 구멍부(31a, 36a)끼리 대향하여 원형부 (39a)를 제 2 회동검출수단(22)의 가동부재(23)의 걸어맞춤구멍(23a)에 삽입 걸어맞추게 하고 있다.
레버부재(40)는 절연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원주형상의 샤프트부(41)와, 이 샤프트부(41)의 하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가압부(42)를 가지고, 샤프트부(41)의 외벽면에는 한 쌍의 돌기(41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레버부재(40)는 샤프트부(41)를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의 구멍부(31a, 36a)에 삽입시켜 한 쌍의 돌기(41a)가 제 2 연동부재(35)의 끼워넣음구멍(36b)에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됨으로써 제 2 연동부재(35)를 거쳐 케이스(1)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가압부(42)가 케이스(1)의 고리형상의 돌기(8)내에 위치하여 클릭스프링(11)에 접촉하고, 한쌍의 돌기(41a)가 끼워넣음구멍(36b)의 상단부에 위치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슬라이더(18∼20)와 저항층(21)을 대향시켜 가동부재(17)를 훅부(15b)와 기립벽(4)의 사이에 끼워넣어 케이스(1)에 유지시키고, 이어서 슬라이더(24∼26)와 저항층(27)을 대향시켜 가동부재(23)를 훅부(15a)와 기립벽(3) 사이에 끼워넣어 케이스(1)에 유지시킨다. 다음에 케이스(1)의 고리형상의 돌기(8)내에 클릭스프링(11)를 수용유지하고, 이어서 복귀스프링(28)의 상단부에 고리형상 벽부(29a)를 끼워맞추게 하여 스프링받이(29)지지한 복귀스프링(28)의 하단부를 고리형상의 돌기(28)에 끼워맞추게 함으로써 복귀스프링(28)을 케이스(1)에 부착한다.
다음에 레버부재(40)를 그 상단측으로부터 제 2 연동부재(35)의 구멍부(36a)에 삽입하여 한 쌍의 돌기(41a)를 끼워넣음구멍(36b)에 걸어멈추게 하여 스냅고정시킴으로써, 레버부재(40)와 제 2 연동부재(35)를 조립하여 유닛화하고, 이 유닛을 기립벽(3, 5)의 자유끝단측으로부터 제 2 연동부재(35)의 테이퍼면(37a, 38a)과 기립벽(3, 5)의 테이퍼면(3a, 5a)를 대응시켜 기립벽(3, 5)사이에 삽입하면 이 유닛은 제 2 연동부재(35)의 테이퍼면(37a, 38a)을 테이퍼면(3a, 5a)에 가이드시켜 기립벽(3, 5)을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삽입되고, 부착부(37, 38)가 기립벽(3)의 테이퍼면(3a)밑의 내벽면 및 기립벽(5)의 테이퍼면(5a) 밑의 내벽면을 각각 통과하였을 때, 기립벽(3, 5)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고, 안쪽에 탄성복귀한 기립벽(3, 5)의 각 걸어멈춤구멍(3b, 5b)에 부착부(37, 38)가 삽입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되고, 기립벽(3, 5)으로 회동자유롭게 가설된다.
다음에 레버부재(40)의 상단측으로부터 제 1 연동부재(30)의 구멍부(31a)를 샤프트부(41)에 삽입시키고, 제 1 연동부재(30)의 테이퍼면(32a, 33a)과 기립벽 (4, 6)의 테이퍼면(4a, 6a)을 대응시켜 제 1 연동부재(30)를 자유끝단측으로부터 기립벽(4, 6)사이에 삽입하면 이 제 1 연동부재(30)는 그 테이퍼면(32a, 33a)을 기립벽(4, 6)의 테이퍼면(4a, 6a)으로 가이드시키고, 기립벽(4, 6)을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삽입되고, 부착부(32, 33)가, 기립벽(4)의 테이퍼면(4a) 밑의 내벽면 및 기립벽(6)의 테이퍼면(6a) 밑의 내벽면을 각각 통과하였을 때 기립벽(4, 6)은 원래의 상태로 복원하고 안쪽에 탄성복귀한 기립벽(4, 6)의 각 걸어멈춤구멍 (4b, 6b)에 부착부(32, 33)가 삽입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되고, 제 2 연동부재(30)에교차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져 기립벽(4, 6)으로 회동자유롭게 가설된다.
이와 같이 하여 다방향 입력장치의 조립은 완료되나, 조립후에 있어서는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의 기초부(31, 36)의 하면에 스프링받이(29)가 접촉하고, 부착부(32, 33, 37, 38)가 각각 걸어멈춤구멍(3b, 4b, 5b, 6b)의 상단부에 위치하여 레버부재(40)가 그 축선(40a)을 케이스(1)의 바닥벽부(2)에 직교시켜 가압부 (42)를 클릭스프링(11)에 접촉시키는 초기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또 가동부재(17, 23)가 각각 가이드홈(12, 13)내에 위치하여 제 1, 제 2 작동부(34, 39)의 원형부 (34a, 39a)가 각각 가동부재(17, 23)의 걸어맞춤구멍(17a, 23a)에 삽입 걸어맞춰지고, 3개의 슬라이더(18∼20)가 저항층(21)에 접촉하고, 단자(24a)와 단자(26a)가 연결편(18a), 슬라이더(18), 저항층(21), 슬라이더(20) 및 연결편(20a)을 거쳐 도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3개의 슬라이더(24∼26)가 저항층(27)에 접촉하고, 단자 (24a)와 단자(26a)가 슬라이더(24), 저항층(27) 및 슬라이더(26)를 거쳐 도통한 상태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 조립된 다방향 입력장치는 단자(24a, 26a) 사이 및 단자 (9, 10)사이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서 사용되고, 조작자가 레버부재(40)의 샤프트부(41)를 예를 들어 도 5에 나타내는 화살표 A 방향으로 경동조작하면 샤프트부(41)가 구멍부(31a, 36a)를 헐겁게 움직이면서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가 회동되어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의 기초부(31, 36)의 하면에 스프링받이(29)가 가압되어 복귀스프링(28)을 압축시키면서, 제 1 작동부(34)가 제 1 연동부재(30)의 기초부(31)와 일체로 회동하고, 제 2 작동부(39)가 제 2연동부재(35)의 기초부(36)와 일체로 회동한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재(40)의 샤프트부(41)가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경동하였을 때, 제 1 작동부재(34)는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태로 회동하고, 이 제 1 작동부재(34)의 회동에 의해 원형부(34a)에 걸어맞춰진 작동부재(17)가 가이드홈(12)을 따라 실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3개의 슬라이더(18∼20)에 저항층(21)을 슬라이딩접촉시키면서 이동한다.
이 제 1 작동부재(34)의 이동에 따라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층(21)과 3개의 슬라이더(18∼20)의 선단과의 슬라이딩접촉위치가 초기위치(P1)로부터 이동한 위치(P2)가 되어 슬라이더(18, 19)사이의 저항치(전압값)가 변화되고, 제 1 회동검출수단(16)이 제 1의 작동부재(34)의 회동을 검출하고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검출신호(전압신호)를 3개의 슬라이더(18∼20)와 저항층(21)으로 형성된 상기 신호생성부가 생성하고 이 검출신호는 슬라이더(19)를 거쳐 단자(19a)로부터 인출된다.
마찬가지로 레버부재(40)의 경동에 따르는 제 2 작동부(39)의 회동에 의해 원형부(39a)에 걸어맞춰진 작동부재(23)가 가이드홈(13)을 따라 3개의 슬라이더(24∼26)에 저항층(27)을 슬라이딩접촉시키면서 이동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층(27)과 3개의 슬라이더(24∼26)의 선단과의 슬라이딩접촉위치가 초기위치 (S0)로부터 이동한 위치(S1)가 되고, 슬라이더(24, 25)사이의 저항치(전압값)가 변화되어 제 2 회동검출수단(22)이 제 2 작동부재(39)의 회동을 검출하고, 이 저항치의 변화에 대응한 검출신호(전압신호)를 3개의 슬라이더(24∼26)와 저항층(27)으로 형성된 상기 신호생성부가 생성하고, 이 검출신호는 슬라이더(25)를 거쳐 단자 (25a)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단자(19a) 및 단자(25a)로부터 인출된 검출신호는 레버 부재(40)의 경동량에 대응하고, 예를 들어 도시 생략한 표시장치에 입력되어 도시를 생략한 디스플레이상의 커서위치가 제어된다. 따라서 레버부재(40)을 경동조작함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상의 커서를 임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레버부재(40)의 경동조작력을 해제하면 복귀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받이(29)가 위쪽으로 되밀려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가 회동되고, 이 회동에 의해 레버부재(40)가 구멍부(31a, 36a)를 헐겁게 움직이면서 일어서 초기위치로 복귀함과 동시에 제 1, 제 2 작동부(34, 39)가 각각 가동부재(17, 23)를 따라 상기와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초기위치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조작자가 레버부재(40)의 샤프트부(41)를 아래쪽으로 가압조작하면 한 쌍의 돌기(41a)가 끼워넣음구멍(36b)에 안내되어 축선(40a)방향으로 슬라이드함으로써 레버부재(40)가 강하하여 클릭스프링(11)을 가압부(42)가 가압하고, 클릭스프링(11)을 반전시켜 고정접점(9a)에 접촉시킨다. 이로써 클릭감이 생겨 고정접점 (9a)과 접점부(10a) 사이 및 고정접점(9a)과 접점부(10b) 사이가 클릭스프링(11)에 의해 도통되어 상기 푸시버튼스위치가 온상태가 되어 단자(9) 또는 단자(10)로부터 스위치 온신호가 출력된다.
또 이 상태에서 레버부재(40)에 대한 가압조작력을 해제하면 클릭스프링(11)은 스스로의 반전북원력에 의해 원래의 돔형상으로 되돌아오기 때문에 이 클릭스프링(11)에 가압부(42)가 밀어 올려져 레버부재(40)가 초기위치로 복귀하고, 따라서 클릭스프링(11)이 고정접점(9a)으로부터 이간되어 고정접점(9a)와 접점부(10a)사이 및 고정접점(9a)과 접점부(10b) 사이의 도통이 해제된 스위치 오프상태가 된다. 따라서 레버부재(40)을 경동조작하여 상기 커서를 디스플레이상의 소망하는 좌표위치나 메뉴위치까지 이동한 후, 레버부재(40)를 가압조작함으로써 좌표입력이나 메뉴선택을 실행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이 다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는 제 1 연동부재(30)의 양 부착부(32, 33)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30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1 작동부 (34)를 돌출시키고, 제 2 연동부재(35)의 양 부착부(37, 38)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35a)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 2 작동부(39)를 돌출시켜 4개의 기립벽(3 ∼6)의 안쪽의 4개의 기립벽(3∼6)으로 둘러싸인 영역내에 종래기술의 회전형 가변저항기(52)에 상당하는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16, 22)을 배치하고, 제 1, 제 2 작동부(34, 39)의 회동을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16, 22)으로 검출하도록 하였기때문에 직선(30a)이 연장되는 방향 및 직선(35a)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다방향 입력장치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어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이 다방향 입력장치에 있어서는 4개의 기립벽(3∼6)의 걸어멈춤구멍(3b ∼6b)에 부착부(32, 33, 37, 38)를 각각 걸어멈추어 스냅고정시킴으로써 대향하는 한 쌍의 기립벽(4, 6)으로 제 1 연동부재(30)가 회동자유롭게 가설되어 케이스(1)에 지지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기립벽(3, 5)으로 제 2 연동부재(35)가 회동자유롭게 가설되어 케이스(1)에 지지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조절작업을 폐지할 수 있고, 조립의 간소화가 도모되어 제 1, 제 2 연동부재(30, 35)의 원활한 회동을 무조절로 얻을 수 있다. 또 종래기술에서는 회전형 가변저항기(52)가 설치되는 프레임체(51)와 복귀스프링(71)의 탄발력이 부여되는 덮개판(72)의 2 부품을 필요로 하고 있었으나, 이들을 이 다방향 입력장치에서는 1 부품의 케이스(1)로 집약할 수 있으므로 상기 무조절화와 더불어 부품점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직사각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된 가동부재(17, 23)를 각각 가이드홈(12, 13)을 따라 직선적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가동부재(17, 23)를 반원평판형상으로 형성하여 원심에 케이스(1)의 바닥벽부(2)에 피벗하고, 이들을 제 1,제 2 작동부재(34, 39)에 의해 회동시킴으로써 저항체(21)와 슬라이더(19∼20) 및 저항체(27)와 슬라이더(24∼26)를 슬라이딩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16, 22)의 신호생성부는 펄스엔코더와 같은 복수의 도전부와 이것에 접촉 이탈하는 슬라이딩편과의 조합, 또는 자석과 홀소자와의 조합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형태로 실시되며, 이하에 기재되는 것 같은 효과를 가진다.
바닥벽부와 이 바닥벽부상에 사방으로 배치하여 세워 설치된 4개의 기립벽을 가지는 케이스와, 교차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져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고, 서로 겹치는 위치에 구멍부가 뚫어 설치된 제 1, 제 2 연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각 구멍부에 삽입된 레버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4개의 기립벽에 각각 걸어멈춤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는 상기 4개의 기립벽의 자유끝단측으로부터 이들을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삽입되어 안쪽으로 탄성복귀한 상기 4개의 기립벽의 각 상기 걸어멈춤구멍에 상기제 1,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가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됨으로써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기립벽으로 회동자유롭게 가설되기 때문에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조절작업을 폐지할 수 있고 조립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를 용이하게 가설할 수 있고,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원활할 회동을 무조절로 얻을 수 있다.
상기 4개의 기립벽의 자유끝단측에는 그 내벽면에 상기 자유끝단측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바닥벽부를 향함에 따라 안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제 1,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가 상기 테이퍼면을 가이드로 하여 상기 4개의 기립벽의 각 상기 걸어멈춤구멍에 삽입 걸어멈춰지기 때문에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를 상기 4개의 기립벽의 각 상기 걸어멈춤구멍에 간단하게 걸어멈추어 스냅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구멍부에 삽입된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제 2 연동부재에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2 연동부재에 설치되기 때문에, 상기 레버부재를 상기 제 2 연동부재를 거쳐 간단하게 상기 케이스에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동부재에는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에 설치한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작동부를 형성하고,상기 제 2 연동부재에는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에 형성한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2 작동부를 설치하여 상기레버부재를 경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작동부가 상기 제 1 연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하고, 상기 제 2 작동부가 상기 제 2 연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암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1 회동검출수단과, 제 2 암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2 회동검출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 및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에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을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 및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이 연장되는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가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측 소자와, 상기 가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측 소자로 신호생성부를 형성하는 가동측 소자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가동부재와 제 2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가동부재가 각각 상기 제 1, 제 2 암부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제 1, 제 2 암부의 회동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신호생성부가 검출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이면서 상기 제 1, 제 2 작동부의 회동을 확실하게 검출할 수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교차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져 서로 겹치는 위치에 구멍부가 뚫어 설치된 기초부와 이 기초부의 양쪽 끝부에 설치된 부착부를 가지는 제 1, 제 2 연동부재와;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부착부를 각각 지지하고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를 회동자유롭게 가설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경동(傾動)가능하게 지지되어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각 구멍부에 삽입된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기초부에는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작동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연동부재에는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양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2 작동부를 설치하여;
    상기 레버부재를 경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작동부가 상기 제 1 연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하고, 상기 제 2 작동부가 상기 제 2 연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작동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1 회동검출수단과, 제 2 작동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2 회동검출수단을 설치하며;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가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측 소자와, 상기 가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측 소자로 신호생성부를 형성하는 가동측 소자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가동부재와 제 2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가동부재가 각각 상기 제 1, 제 2 작동부에 걸어맞춰져 상기 제 1, 제 2 작동부의 회동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신호생성부가 검출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가동측 소자가 상기 가동부재상에 형성된 저항체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측 소자가 상기 저항체층에 슬라이딩접촉하는 슬라이더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기 슬라이더에는 상기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단자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케이스는 바닥벽부와 상기 바닥벽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가지고, 상기 단자와 일체로 형성된 슬라이더의 선단부가 상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바닥벽부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바닥벽부로 가이드되어 상기 바닥벽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왕복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사방에 배치하여 설치된 4개의 기립벽을 가지며, 이 4개의 기립벽에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가 각각 부착부를 걸어멈추게 하여 회동자유롭게 가설되고,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이 상기 4개의 기립벽으로 둘러싸인 영역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작동부의 선단에 원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가동부재에는 상기 원형부가 끼워넣어지는 긴 구멍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6. 바닥벽부와 이 바닥벽부상에 사방으로 배치되어 세워 설치된 4개의 기립벽을 가지는 케이스와;
    교차형상으로 겹쳐 맞추어져 상기 케이스에 지지되고 서로 겹치는 위치에 구멍부가 뚫어 설치된 제 1, 제 2 연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경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각 구멍부에 삽입된 레버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4개의 기립벽에 각각 걸어멈춤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는 상기 4개의 기립벽의 자유끝단측으로부터 이들을 바깥쪽으로 휘어지게 하면서 삽입되고, 안쪽으로 탄성복귀한 상기 4개의 기립벽의 각 상기 걸어멈춤구멍에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가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됨으로써 각각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기립벽에서 회동자유롭게 가설되며;
    상기 바닥벽부와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와의 사이에는 상기 레버부재를 초기위치로 자동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이 배치되어 있어, 상기 복귀스프링에 의하여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가 대응하는 기립벽에 설치된 각 상기 걸어멈춤구멍의 상단부측으로 가세되어 회동자유롭게 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4개의 기립벽의 자유끝단측에는 상기 내벽면에 상기 자유끝단측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바닥벽부를 향함에 따라 안쪽으로 경사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가 상기 테이퍼면을 가이드로 하여 상기 4개의 기립벽의 각 상기 걸어멈춤구멍에 삽입, 걸어멈춰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구멍부에 삽입된 상기 레버부재가 상기 제 2 연동부재에 걸어멈춰져 스냅고정됨으로써 상기 제 2 연동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동부재에는 상기 제 1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에 설치된 부착부의 회동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 작동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연동부재에는, 상기 제 2 연동부재의 양쪽 끝부에 형성된 부착부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직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2 작동부를 설치하며, 상기 레버부재를 경동시킴으로써 상기 제 1 작동부가 상기 제 1 연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하고, 상기 제 2 작동부가 상기 제 2 연동부재와 일체로 회동함과 동시에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제 1 작동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1 회동검출수단과, 제 2 작동부의 회동을 검출하는 제 2 회동검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은 상기 케이스에 왕복이동가능하게 배치된 가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된 고정측 소자와, 상기 가동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측 소자와 신호생성부를 형성하는 가동측소자를 각각 구비하고, 상기 제 1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가동부재와 제 2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가동부재가 각각 상기 제 1, 제 2 작동부에 걸어맞춰지고, 상기 제 1, 제 2 작동부의 회동에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 1, 제 2 회동검출수단의 상기 신호생성부가 검출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방향 입력장치.
KR10-2000-0037906A 1999-07-05 2000-07-04 다방향 입력장치 KR100405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90056 1999-07-05
JP11-190055 1999-07-05
JP11190056A JP2001022463A (ja) 1999-07-05 1999-07-05 多方向入力装置
JP19005599A JP3877471B2 (ja) 1999-07-05 1999-07-05 多方向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884A KR20010029884A (ko) 2001-04-16
KR100405093B1 true KR100405093B1 (ko) 2003-11-10

Family

ID=2650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7906A KR100405093B1 (ko) 1999-07-05 2000-07-04 다방향 입력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38639B1 (ko)
KR (1) KR100405093B1 (ko)
CN (2) CN1271660C (ko)
HK (1) HK1032654A1 (ko)
TW (1) TW4630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9677B2 (ja) * 2000-07-13 2010-12-1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ジョイスティック
US6654005B2 (en) * 2001-09-21 2003-11-25 Cts Corporation Low profile joy stick and switch
JP2003280809A (ja) * 2002-03-20 2003-10-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
GB0227425D0 (en) * 2002-11-25 2002-12-31 Penny & Giles Controls Ltd Joystick controller
US6989497B1 (en) * 2004-07-22 2006-01-24 Taiwan Pwl Corporation Rocker lever assembly
US7199314B2 (en) * 2005-06-08 2007-04-03 Cts Corporation Joystick and switch
DE502006008264D1 (de) * 2005-06-24 2010-12-23 Marquardt Gmbh Stellglied, insbesondere in der Art eines elektrischen Schalters
ITVR20070098A1 (it) * 2007-07-11 2009-01-12 Autec Srl Dispositivo attuatore elettromeccanico ad azionamento manuale particolarmente per scatole di comando
JP5060191B2 (ja) * 2007-07-18 2012-10-31 株式会社東芝 抵抗変化メモリ装置のデータ書き込み方法
US20090295724A1 (en) * 2008-05-28 2009-12-03 Wen-Feng Cheng Adjustable torque joystick
FR2954980B1 (fr) * 2010-01-04 2012-02-10 Guillemot Corp Joystick a ressorts de compensation, procede de fabrication et manette correspondants.
DE102012017122B4 (de) 2011-08-31 2024-08-08 Marquardt Gmbh Elektrischer Schalter
EP2822016B1 (en) * 2012-02-28 2020-04-22 Olympus Corporation Operation command transmitting device
JP5878427B2 (ja) * 2012-05-17 2016-03-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JP5956917B2 (ja) * 2012-12-06 2016-07-2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WO2020159433A1 (en) * 2019-01-31 2020-08-06 Razer (Asia-Pacific) Pte. Ltd. Inductive joystick
CN111240396B (zh) * 2020-01-21 2021-09-03 连云港杰瑞电子有限公司 一种球面密封式二维自由度操纵杆及操纵方法
JP7349556B2 (ja) 2020-03-16 2023-09-22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装置
WO2021246003A1 (ja) * 2020-06-03 2021-12-09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装置
CN112306144B (zh) * 2020-10-27 2021-12-14 连云港杰瑞电子有限公司 一种任意驻停式球面二维自由度操纵杆及操纵方法
US11366485B1 (en) * 2021-09-08 2022-06-21 C&K Components S.A.S. Multi-way input device
TWI838040B (zh) * 2022-12-26 2024-04-01 福華電子股份有限公司 多方向輸出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614A (ja) * 1994-10-24 1996-05-17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ジョイステイック装置
JPH08194579A (ja) * 1995-01-17 1996-07-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動作指示入力装置
WO1997017651A1 (fr) * 1995-11-10 1997-05-15 Nintendo Co., Ltd. Systeme de manche a balai
US5694153A (en) * 1995-07-31 1997-12-02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for providing multi-dimensional position coordinate signals to a computer
KR19980066223U (ko) * 1997-05-13 1998-12-05 윤종용 조이스틱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29814B2 (ko) 1972-05-06 1977-08-04
JPH0436618A (ja) 1990-06-01 1992-02-06 Hitachi Ltd 発電プラントの順路表示装置
US6285356B1 (en) * 1999-02-19 2001-09-04 Brad A. Armstrong Displacement joystick with compression-sensitive sensors
US5659334A (en) * 1993-12-15 1997-08-19 Interlink Electronics, Inc. Force-sensing pointing device
JP3752389B2 (ja) * 1998-10-05 2006-03-0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多方向入力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3614A (ja) * 1994-10-24 1996-05-17 Japan Aviation Electron Ind Ltd ジョイステイック装置
JPH08194579A (ja) * 1995-01-17 1996-07-30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動作指示入力装置
US5694153A (en) * 1995-07-31 1997-12-02 Microsoft Corporation Input device for providing multi-dimensional position coordinate signals to a computer
WO1997017651A1 (fr) * 1995-11-10 1997-05-15 Nintendo Co., Ltd. Systeme de manche a balai
US6002351A (en) * 1995-11-10 1999-12-14 Nintendo Co., Ltd. Joystick device
KR19980066223U (ko) * 1997-05-13 1998-12-05 윤종용 조이스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71660C (zh) 2006-08-23
KR20010029884A (ko) 2001-04-16
CN1229825C (zh) 2005-11-30
US6538639B1 (en) 2003-03-25
TW463078B (en) 2001-11-11
CN1571093A (zh) 2005-01-26
HK1032654A1 (en) 2001-07-27
CN1284689A (zh) 2001-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5093B1 (ko) 다방향 입력장치
JP3843583B2 (ja) レバースイッチとその操作方法
JP3900771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及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960008882A (ko) 회전조작형 스위치 및 다방향입력장치
JP3698565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3752389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3877471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3698586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0315445A (ja) 揺動操作型スイッチ装置
JPH10283885A (ja) 多方向揺動型電子部品
JP2001022463A (ja) 多方向入力装置
JP2001196207A (ja) クリック付回転型電気部品
JP3937670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H07307124A (ja) スイッチ
JPS5914847B2 (ja) 押釦装置
JP3597421B2 (ja) 可変抵抗器
JP4136625B2 (ja) 回転式電子部品
JP3721251B2 (ja) 多方向スイッチ
JPH11195354A (ja) 多方向揺動型電子部品
JP6643150B2 (ja) 回転式電子部品
JP2001067992A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2000195375A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
JP2000357433A (ja) 多方向入力装置
JPH01173527A (ja) シーソー形スイツチ
JPH10334766A (ja) 回転型電気部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