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678B1 - 키 스위치 - Google Patents

키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678B1
KR100392678B1 KR10-2000-0066731A KR20000066731A KR100392678B1 KR 100392678 B1 KR100392678 B1 KR 100392678B1 KR 20000066731 A KR20000066731 A KR 20000066731A KR 100392678 B1 KR100392678 B1 KR 100392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key top
actuator
switch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66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1606A (ko
Inventor
나루사와쯔요시
가게야마마사아끼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123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79528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638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1954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6389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195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63903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19542A/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51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1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6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01H3/125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using a scissor mechanism as stabilis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3/00Key modules
    • H01H2233/07Cap or button on actuator part
    • H01H2233/074Snap coupling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키 톱을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어 비용 절감이 도모되고, 또한 키 톱의 장착작업이 간단하고 조립성도 양호한 키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 해결수단으로서, 크로스 링크체 (10) 를 구성하는 일방의 레버부재 (3) 의 상단부와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또한 타방의 레버부재 (4) 의 상단부와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액츄에이터 (2) 를 구비하고, 이 액츄에이터 (2) 에 상단부를 걸어맞춘 크로스 링크체 (10) 를 멤브레인 스위치 (7) 상에 조입 (組入) 한 후, 키 톱 (1) 의 이측을 압입 등의 단순한 기구로 액츄에이터 (2) 에 걸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키 톱 (1) 의 성형금형을 단순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키 톱 (1) 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키 스위치 {KEY SWITCH}
본 발명은 키보드 입력장치에 사용되는 키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크로스 링크체를 구비한 키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키보드 입력장치의 박형화에 적합한 키 스위치로서, 최근, 교차형상으로 링크 결합시킨 한쌍의 레버부재의 상단부에서 키 톱을 지지하고, 이 키 톱의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한쌍의 레버부재의 교차 각도가 변화하도록 구성한 것이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상단부를 키 톱의 이면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춘 한쌍의 레버부재와, 상단부를 키 톱의 이면에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춘 타방의 레버부재를, 상호의 교차부위에서 링크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크로스 링크체를 채용하고, 이 크로스 링크체가 키 톱의 승강 동작을 안내하는 구성의 키 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키 스위치는, 조작자가 키 톱을 누르면, 한쌍의 레버부재가 경도하여 크로스 링크체가 눌려 접히게 되고, 키 톱이 소정량 하강한 시점에서, 클릭 고무 등의 탄성부재가 키 톱에 눌려 좌굴되므로, 멤브레인 스위치 등의 스위치 소자가 탄성부재에 눌려 스위치 온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스위치 온 상태에서 키 톱에 대한 누름 조작력이 제거되면, 좌굴되어 있던 탄성부재가 자체의 탄성으로 본래의 형상으로 되돌아오므로, 스위치 소자가 오프 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경도하고 있던 한쌍의 레버부재를 일으키면서 키 톱이 초기위치까지 밀려 올라가게 된다.
이렇게 크로스 링크체에 의하여 키 톱을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키 스템을 안내벽을 따라서 슬라이딩시키는 종래의 일반적인 키 스위치에 비하여, 양호한 조작성을 확보하고, 또한 스위치의 높이 수치를 대폭 저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런 종류의 키 스위치는, 크로스 링크체 (한쌍의 레버부재) 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구조가 복잡하고, 크로스 링크의 장착에 시간이 걸리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멤브레인 스위치 등의 스위치 소자 상에 크로스 링크체를 장착시킨 후, 이 크로스 링크체의 상단부에 키 톱을 장착하여 키 스위치의 조립작업을 완료시키지만, 키 톱은 크로스 링크체를 덮어서 가리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크로스 링크체를 구성하는 한쌍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키 톱의 이면에 정확히 걸어맞추는 조립작업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작업자의 경험이나 느낌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즉, 일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키 톱의 이면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고, 또한 타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키 톱의 이면에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작업을, 걸어맞춤 부위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신속 정확하게 행하기 위해서는, 작업자에 상응하는 숙련이 요구되므로, 익숙하지 못한 작업자의 경우에는 작업효율 또는 신뢰성이 극단적으로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나아가, 키 톱의 이측은 주위가 벽부로 포위된 하향 오목 지점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여기에 크로스 링크체의 상단부를 걸어맞추는 축 홈 또는 슬라이드 홈을 형성하거나, 클릭 고무 등의 탄성부재에 맞닿게 하는 누름돌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매우 복잡한 성형금형이 필요하게 되고, 키 톱의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등의 결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결점을 해소하고, 장착작업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나아가 저렴한 키 스위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스위치의 단면도,
도 2 는 이 키 스위치의 평면도,
도 3 은 키 톱의 이면도,
도 4 는 내측 레버부재의 평면도,
도 5 는 도 4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 은 외측 레버부재의 평면도,
도 7 은 도 6 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 은 액츄에이터의 평면도,
도 9 는 도 8 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 은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1 은 이 플레이트의 측면도,
도 12 는 크로스 링크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은 유지 플레이트의 요부 평면도,
도 14 는 도 13 의 D-D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5 는 내측 레버부재의 성형금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6 은 이 내측 레버부재의 성형과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 은 외측 레버부재의 성형금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8 은 이 외측 레버부재의 성형과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스위치의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0 은 이 키 스위치의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1 은 이 키 스위치의 스위치 온 상태에서의 단면도,
도 22 는 이 키 스위치의 평면도,
도 23 은 키 톱의 이면도,
도 24 는 액츄에이터의 평면도,
도 25 는 도 24 의 E-E 선을 따른 단면도,
도 26 은 크로스 링크체의 평면도,
도 27 은 크로스 링크체의 측면도,
도 28 은 도 26 의 F-F 선을 따른 단면도,
도 29 는 도 26 의 G-G 선을 따른 단면도,
도 30 은 크로스 링크체의 이면도,
도 31 은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32 는 플레이트의 측면도,
도 33 은 유지 플레이트의 요부 평면도,
도 34 는 유지 플레이트의 요부 측면도,
도 35 는 클릭 고무의 단면도,
도 36 은 멤브레인 스위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7 은 클릭 고무 및 멤브레인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8 은 키보드 입력장치의 평면도,
도 39 는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40 은 멤브레인 스위치의 평면도,
도 41 은 클릭 고무의 측면도,
도 42 는 본 발명의 제 4 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레이트의 일부 확대 단면도,
도 43 은 그 플레이트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키 톱 1a, 1b : 끼워맞춤 돌기
2 : 액츄에이터 2a, 2b : 걸림구멍
2c : 축 홈 2d : 트랩부
2e : 누름부 3 : 내측 레버부재
3b : 회전운동 축 3c : 슬라이드 핀
3d : 연결축 4 : 외측 레버부재
4b : 슬라이드 축 4c : 회전운동 핀
4d : 축 삽입구멍 5 : 플레이트
6 : 유지 플레이트 7 : 멤브레인 스위치 (스위치 소자)
8 : 클릭 고무 (탄성부재) 9 : 지지판
10 : 크로스 링크체 11 : 제 1 의 고정 금형
12 : 가동 금형 13 : 제 1 의 수지재료
14 : 제 2 의 고정 금형 15 : 제 2 의 수지재료
16 : 노치부 17 : 수용 오목부
18 : 상부전극 19 : 상부시트
20 : 하부전극 21 : 하부시트
22 : 스페이서 23 : 도전부
24 : 제 1 의 전극 25 : 제 2 의 전극
26 : 시트 27 : 키보드 입력장치
28 : 스위치부 29 : 연결부
30 : 절삭 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의 교차부위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 한쌍의 레버부재와,
일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타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한 액츄에이터와,
그 액츄에이터에 걸려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에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키 톱과,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상기 키 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예를 들어 클릭 고무 등의 탄성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예를 들어 멤브레인 스위치 등의 스위치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키 스위치는, 조립단계에서 한쌍의 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크로스 링크체의 상단부를 미리 액츄에이터에 걸어맞춰 놓고, 이 크로스 링크체를 스위치 소자 상에 조입한 후, 키 톱의 이측을 압입 등의 단순한 기구로 액츄에이터에 걸면 된다. 따라서, 키 톱의 이측을 크로스 링크체에 걸어맞추지 않으면 안되었던 종래의 것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게 키 톱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크로스 링크체와의 걸어맞춤 부위가 노출되는 형상이라도 아무런 지장이 없기 때문에, 액츄에이터를 크로스 링크체에 걸어맞추는 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키 톱의 이측에 크로스 링크체와의 걸어맞춤부위 또는 탄성부재를 누르는 돌기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키 톱의 성형에 복잡한 금형이 필요가 없게 되어 금형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예를 들어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의 쌍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본체부를 연달아 설치한 예를 들어 멤브레인 스위치 등의 스위치 소자와,
그 스위치 소자의 각 스위치 본체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예를 들어 투과구멍 또는 노치부 등의 관통부와, 예를 들어 랜싱부 등의 지지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 상에 배치된 예를 들어 플레이트 등의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각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관통부 상에 형성되고, 개별적으로 상기 스위치 본체부를 누르는 예를 들어 크로스 링크체, 액츄에이터, 클릭 고무, 키 톱 등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관련되는 키 스위치는, 스위치 소자에 복수의 스위치 본체부가 연달아 설치되고, 지지체에 스위치 누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관통부가 복수로 연달아 설치되어, 각 스위치 본체부와 관통부가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각 지지부에 스위치 누름부를 지지함으로써 스위치 누름부가 스위치 본체부와 자동적으로 대응하므로, 부품의 수가 삭감되고, 조립작업이 간편해지며 자동 조립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의 교차부위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 한쌍의 예를 들어내측 레버부재와 외측 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레버부재와,
그 한쌍의 레버부재에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키 톱과,
그 키 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예를 들어 클릭 고무 등의 탄성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예를 들어 멤브레인 스위치 등의 스위치 소자와,
금속판의 절곡 가공 (프레스가공) 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제 1 의 랜싱부와, 타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제 2 의 랜싱부를 가지는 플레이트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1 의 수단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타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액츄에이터를 형성하고, 그 액츄에이터에 상기 키 톱이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걸림구멍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키 톱의 이면에 돌기 또는 걸림구멍을 형성하여, 돌기를 걸림구멍에 끼워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에 예를 들어 투과구멍 또는 노치부 등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관통부의 상방에 상기 탄성부재에 형성된 누름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관통부의 하방에 상기 스위치 소자가 배치되어,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누름돌기와 스위치 소자가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를 위치결정ㆍ유지하는 후술하는 유지 플레이트 등의 베이스부재가 형성되고, 그 베이스부재와 플레이트간에 스위치 소자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하여 각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걸어맞춤하는 제 1 및 제 2 의 랜싱부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형상도 간단하므로, 플레이트의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일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타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액츄에이터를 형성하고, 그 액츄에이터에 키 톱이 걸린다.
그래서, 조립단계에서, 한쌍의 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크로스 링크체의 상단부를 미리 액츄에이터에 걸어맞춰 놓고, 이 크로스 링크체를 스위치 소자 상에 조입한 후, 키 톱의 이측을 압입 등의 단순한 기구로 액츄에이터에 걸면 된다. 따라서, 키 톱의 이측을 크로스 링크체에 걸어맞춰야만 했던 종래의 것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게 키 톱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크로스 링크체와의 걸어맞춤 부위가 노출되는 형상이라도 아무런 지장이 없기 때문에, 액츄에이터를 크로스 링크체에 걸어맞추는 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키 톱의 이측에 크로스 링크체와의 걸어맞춤 부위 또는 탄성부재를 압입하는 돌기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키 톱의 성형에 복잡한 금형이 필요 없게 되어 금형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에 걸림구멍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키 톱의 이면에 돌기또는 걸림구멍을 형성하여, 돌기를 걸림구멍에 끼워맞추는 구조이므로, 액츄에이터에 대한 키 톱의 장착이 매우 용이하다.
나아가, 플레이트의 관통부를 통하여 탄성부재의 누름돌기와 스위치 소자가 대향하고 있고, 플레이트에 의하여 스위치 소자가 눌려 위치가 결정되므로, 스위치 소자와 탄성부재의 누름돌기와의 대향관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나아가, 베이스부재에 의하여 플레이트가 위치결정ㆍ유지되고, 게다가 베이스부재와 플레이트간에 스위치 소자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와 스위치 소자의 대향관계가 적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플레이트와 베이스부재에 의하여 스위치 소자가 보호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키 스위치는, 상호의 교차부위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시킨 한쌍의 레버부재와, 이들 한쌍의 레버부재에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키 톱과,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를 탑재하여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를 탑재하여 거는 유지 플레이트와, 상기 키 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멤브레인 스위치와, 이 멤브레인 스위치가 놓이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유지 플레이트에 상기 탄성부재를 삽입시키는 투과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를 상기 유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판으로 끼우는 것으로 하였다.
이렇게 구성된 키 스위치는, 플레이트 상에 한쌍의 레버부재를 조입하여 유닛화한 크로스 링크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크로스 링크체의 동작 불량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불량품의 크로스 링크체를 장착할 염려가 없고, 조립단계에서의 기존 형성 부품의 낭비 또는 작업성의 악화를 피할 수 있다. 게다가, 크로스 링크체를 탑재하여 지지하는 플레이트를 유지 플레이트 상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크로스 링크체의 하단부와 걸어맞추는 랜싱부를 지지판에 형성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랜싱부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멍을 멤브레인 스위치에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래서, 멤브레인 스위치에 인회 패턴용의 충분히 넓은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어, 그 설계 자유도 또는 신뢰성을 쉽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 일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제 1 의 랜싱부와, 타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제 2 의 랜싱부를 형성해 놓으면, 크로스 링크체를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에, 복수 쌍의 상기 레버부재를 탑재하여 지지시키도록 해 놓으면, 복수의 크로스 링크체를 병설한 유닛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키보드 입력장치의 키 스위치 조립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호의 교차부위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 한쌍의 예를 들어 내측 레버부재와 외측 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레버부재와,
그 한쌍의 레버부재에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키 톱과,
그 키 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예를 들어 클릭 고무 등의 탄성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예를 들어 멤브레인 스위치 등의 스위치 소자와,
상기 일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제 1 의 랜싱부와, 타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제 2 의 랜싱부와, 그 제 2 의 랜싱부의 선단부 근방에 형성된 돌기부를 가지는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타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제 2 의 랜싱부의 선단부와 돌기부의 사이로부터 제 2 의 랜싱부 측으로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스냅-인 끼워맞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일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타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액츄에이터를 형성하고, 그 액츄에이터에 상기 키 톱이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츄에이터에 걸림구멍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키 톱의 이면에 돌기 또는 걸림구멍을 형성하여, 돌기를 걸림구멍에 끼워맞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에 예를 들어 투과구멍 또는 노치부 등의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관통부의 상방에 상기 탄성부재에 형성된 누름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관통부의 하방에 상기 스위치 소자가 배치되어,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누름돌기와 스위치 소자가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플레이트를 위치결정ㆍ유지하는 후술하는 유지 플레이트 등의 베이스부재가 형성되고, 그 베이스부재와 플레이트간에 스위치 소자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키 스위치는, 타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제 2 의 랜싱부의 선단부와 돌기부의 사이로부터 제 2 의 랜싱부 측으로 스냅-인 끼워맞춤하는 구성이므로, 플레이트에 대한 레버부재의 장착이 간편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저렴한 키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일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타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액츄에이터를 형성하고, 그 액츄에이터에 키 톱이 걸린다.
그래서 조립단계에서, 한쌍의 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크로스 링크체의 상단부를 미리 액츄에이터에 걸어맞춰 놓고, 이 크로스 링크체를 스위치 소자 상에 조입한 후, 키 톱의 이측을 압입 등의 단순한 기구로 액츄에이터에 걸면 된다. 따라서, 키 톱의 이측을 크로스 링크체에 걸어맞추지 않으면 안되었던 종래의 것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게 키 톱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크로스 링크체와의 걸어맞춤 부위가 노출되는 형상이라도 아무런 지장이 없기 때문에, 액츄에이터를 크로스 링크체에 걸어맞추는 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키 톱의 이측에 크로스 링크체와의 걸어맞춤 부위 또는 탄성부재를 누르는 돌기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키 톱의 성형에 복잡한 금형이 필요 없게 되어 금형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에 걸림구멍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키 톱의 이면에 돌기 또는 걸림구멍을 형성하여, 돌기를 걸림구멍에 끼워맞추는 구조이므로, 액츄에이터에 대한 키 톱의 장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플레이트의 관통부를 통하여 탄성부재의 누름돌기와 스위치 소자가 대향하고 있고, 플레이트에 의하여 스위치 소자가 눌려 위치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위치 소자와 탄성부재의 누름돌기의 대향관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재에 의하여 플레이트가 위치결정ㆍ유지되고, 게다가 베이스부재와 플레이트간에 스위치 소자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와 스위치 소자의 대향관계가 적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플레이트와 베이스부재에 의하여 스위치 소자가 보호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키 스위치의 단면도, 도 2 는 이 키 스위치의 평면도, 도 3 은 키 톱의 이면도, 도 4 는 내측 레버부재의 평면도, 도 5 는 도 4 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 은 외측 레버부재의 평면도, 도 7 은 도 6 의 B-B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 은 액츄에이터의 평면도, 도 9 는 도 8 의 C-C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0 은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11 은 이 플레이트의 측면도, 도 12 는 크로스 링크체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 은 유지 플레이트의 요부 평면도, 도 14 는 도 13 의 D-D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5 는 내측 레버부재의 성형금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6 은 이 내측 레버부재의 성형과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 은 외측 레버부재의 성형금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8 은 이 외측 레버부재의 성형과정의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스위치는, 키 톱 (1), 이 키 톱 (1) 의 이측을 거는 액츄에이터 (2), 이 액츄에이터 (2) 를 통하여 키 톱 (1) 을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내측 레버부재 (3) 와 외측 레버부재 (4), 이들 한쌍의 레버부재 (3,4) 를 탑재하여 지지하는 플레이트 (5), 이 플레이트 (5) 를 탑재하여 거는 유지 플레이트 (6), 키 톱 (1) 의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7), 이 멤브레인 스위치 (7) 상에 탑재되어 액츄에이터 (2) 를 통하여 키 톱 (1) 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클릭 고무 (8), 멤브레인 스위치 (7) 가 놓여 있는 지지판 (9) 에 의하여 개략적으로 구성된다. 이 키 스위치는 키보드 입력장치에 배치 형성된다.
이 키 스위치의 각 부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키 톱 (1) 의 이측에는 도 1 및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끼워맞춤 돌기 (1a,1b) 가 형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2) 에는 도 8 및 도 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걸림구멍 (2a,2b) 이 형성되고, 걸림구멍 (2a,2b) 에 끼워맞춤 돌기 (1a,1b) 를 압입시킴으로써, 키 톱 (1) 과 액츄에이터 (2) 가 일체화되고 있다.
키 톱 (1) 을 액츄에이터 (2) 에 걸어맞춤하는 수단은 압입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끼워맞춤 돌기 (1a,1b) 의 선단에 후크부를 형성하고, 이들 후크부를 걸림구멍 (2a,2b) 의 주위 둘레에 걺으로써, 키 톱 (1) 의 발거 (拔去) 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액츄에이터 (2) 에는 길이방향의 일단부에, 내측 레버부재 (3) 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축 홈 (2c) 이 형성되고,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외측 레버부재 (4) 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트랩부 (2d) 가 형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 (2) 의 저면 중앙부에, 클릭 고무 (8) 의 상단면에 맞닿는 누름부 (2e) 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레버부재 (3) 는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경도 각부 (傾倒脚部; 3a) 의 상단측에 회전운동 축 (3b) 을 형성하고, 하단측에 슬라이드 핀 (3c) 을 돌출 형성한 틀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경도 각부 (3a) 의 외측면의 중간 정도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연결축 (3d)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레버부재 (3) 의 회전운동 축 (3b) 은 액츄에이터 (2) 의 축 홈 (2c) 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춰지고, 슬라이드 핀 (3c) 은 후술하는 플레이트 (5) 의 제 1 의 랜싱부 (5a) 에 자유롭게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걸어맞춰진다.
외측 레버부재 (4) 는 도 6 및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경도 각부 (4a) 의 상단측에 슬라이드 축 (4b) 을 형성하고, 하단측에 회전운동 핀 (4c) 을 돌출 형성한 コ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경도 각부 (4a) 의 중간 정도에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축 삽입구멍 (4d) 이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레버부재 (4) 의 슬라이드 축 (4b) 은 액츄에이터 (2) 의 트랩부 (2d) 에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춰지고, 회전운동 핀 (4c) 은 후술하는 플레이트 (5) 의 제 2 의 랜싱부 (5b) 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걸어맞춰진다.
레버부재 (3,4) 는, 상호의 교차부위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크로스 링크체 (10) 를 구성하고 있다. 즉, 외측 레버부재 (4) 의 축 삽입구멍 (4d) 에 내측 레버부재 (3) 의 연결축 (3d) 이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 크로스 링크체 (10) 는, 양 레버부재 (3,4) 의 경도 각부 (3a,4a) 의 경도 각도에 따라서 높이가 변화하도록 되어 있다.
레버부재 (3,4) 는,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2 색 성법으로 성형함으로써, 금형 성형의 단계에서 크로스 링크체 (10) 로 하여 조립된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コ 자 형상의 캐비티 (11a) 또는 오목부 (11b) 또는 게이트 (11c) 등을 갖는 제 1 의 고정 금형 (11) 과, 오목부 (11b) 에 끼워맞춰지는 볼록부 (12a) 등을 갖는 가동 금형 (12) 을 형체결한 상태에서, 게이트 (11c) 로부터 캐비티 (11a) 내에, 수축율이 비교적 작은 제 1 의 수지재료 (13) (예를 들어, 수축율이 4/1000 의 ABS 수지) 를 주입하여 냉각ㆍ고화 (固化) 시켜, 외측 레버부재 (4) 를 성형한다.
그때, 캐비티 (11a) 내에는 미리,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코어를 삽입하여 놓고, 제 1 의 수지재료 (13) 가 고화된 단계에서, 각 경도 각부 (4a) 의 중간 정도에 축 삽입구멍 (4d) 이 형성되도록 해놓는다.
그렇게 한 후, 제 1 의 고정 금형 (11) 으로부터 이간시킨 가동 금형 (12) 을 180 도 회전시킨 후 평행 이동시키고, 도 17 및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틀 형상의 캐비티 (14a) 또는 오목부 (14b) (단, 캐비티 (14a) 와 오목부 (14b) 는 연이어 통해 있다) 또는 게이트 (14c) 등을 갖는 제 2 의 고정 금형 (14) 과, 상기 가동 금형 (12) 을 형체결한다. 이 상태에서 게이트 (14c) 로부터 캐비티 (14a) 내에, 수축율이 비교적 큰 제 2 의 수지재료 (15) (예를 들어, 수축율이 20/1000 의 폴리아세탈수지) 를 주입하여 냉각ㆍ고화시켜, 내측 레버부재 (3) 를 성형한다.
이 때 외측 레버부재 (4) 의 축 삽입구멍 (4d) 을 고정 금형 (14) 의 캐비티 (14a) 와 연이어 통하게 함으로써, 축 삽입구멍 (4d) 내에도 제 2 의 수지재료 (15) 가 충전되므로, 이것이 고화되면 연결축 (3d) 이 된다. 즉 제 1 의 수지재료 (13) 보다도 제 2 의 수지재료 (15) 쪽이 수축율이 크므로, 축 삽입구멍 (4d) 내에서 제 2 의 수지재료 (15) 를 냉각ㆍ고화시켜 연결축 (3d) 을 성형하면, 연결축 (3d) 과 축 삽입구멍 (4d) 양자 간에 클리어런스가 생기고, 연결축 (3d) 은 축 삽입구멍 (4d) 내에서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성형된다.
플레이트 (5) 는 금속판의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핀 (3c) 을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한쌍의 제 1 의 랜싱부 (5a) 와, 상기 회전운동 핀 (4c) 을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한쌍의 제 2 의 랜싱부 (5b) 와, 3 개소에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유지 플레이트 (6) 의 걸림구멍 (6a) 에 삽입되는 제 3 의 랜싱부 (5c) 와, 후술하는 클릭 고무 (8) 를 삽입시키기 위한 투과구멍 (5d) 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투과구멍 (5d) 으로 되어 있으나, 노치부라도 상관없다.
도 1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의 랜싱부 (5a) 와 제 2 의 랜싱부 (5b) 는 측면 형상이 거의 L 자 형상을 하고 있고, 상호 반대방향으로 되어 있다. 상기 투과구멍 (5d) 은 금속판에서 플레이트 (5) 를 뚫을 때 동시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 제 3 의 랜싱부 (5a ~ 5c) 는 절곡 가공에 의하여 동시에 형성할 수 있다.
이 플레이트 (5) 상에, 내측 레버부재 (3) 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고, 외측 레버부재 (4) 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춘 상태에서, 크로스 링크체 (10) 가 설치된다. 따라서 크로스 링크체 (10) 는 경도 동작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5) 상에 장착되고, 게다가 내측 레버부재 (3) 의 상단부는 액츄에이터 (2) 에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춰지고, 외측 레버부재 (4) 의 상단부는 액츄에이터 (2) 에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춰져,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2) 와 크로스 링크체 (10) 와 플레이트 (5) 로 유닛을 구성한다.
유지 플레이트 (6) 도 금속판의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형성되고,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5) 의 제 3 의 랜싱부 (5c) 를 삽입하기 위한 걸림구멍 (6a) 과, 플레이트 (5) 의 본체를 수용하기 위한 투과구멍 (6b) 과, 상기 랜싱부 (5c) 의 판두께분 만큼 대형 (臺形) 에 융기된 융기부 (6c) (도 14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서는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편의상, 유지 플레이트 (6) 상에 플레이트 (5) 가 놓인 것처럼 나타나 있으나, 실제의 조립은 플레이트 (5) 를유지 플레이트 (6) 의 하측으로부터 조입되고,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5) 의 제 3 의 랜싱부 (5c) 를 유지 플레이트 (6) 의 걸림구멍 (6a) 에 삽입함과 동시에, 플레이트 (5) 의 본체를 유지 플레이트 (6) 의 투과구멍 (6b) 내에 수용하고, 플레이트 (5) 의 제 1 ~ 제 3 의 랜싱부 (5a ~ 5c) 를 유지 플레이트 (6) 의 상면으로부터 돌출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멤브레인 스위치 (7) 는, 유지 플레이트 (6) 와 지지판 (9) 간에 끼워져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 (7) 는, 하면에 다수의 상부전극을 갖는 상부시트와, 상면에 다수의 하부전극을 갖는 하부시트 간에 스페이서를 개재시킨 구조이고, 상부전극과 하부전극이 소정의 극간을 통하여 대향하여 각각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각 스위치부는 플레이트 (5) 의 투과구멍 (5d) 의 하방에 위치한다.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발을 엎어놓은 형상을 한 클릭 고무 (8) 는, 그 상단면을 액츄에이터 (2) 의 누름부 (2e) 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멤브레인 스위치 (7) 의 스위치부 상에 놓여진다. 클릭 고무 (8) 의 내측에 누름돌기 (8a) 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누름돌기 (8a) 는 하방의 멤브레인 스위치 (7) 의 상부전극과 대향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 키 스위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에 나타낸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 조작자가 키 톱 (1) 을 누르면, 액츄에이터 (2) 의 하강에 수반하여 한쌍의 레버부재 (3,4) 의 경도 각부 (3a,4a) 가 경도되어, 크로스 링크체 (10) 가 눌려 접혀진다. 그리고 키 톱 (1) 이 소정량 하강한 시점에서,액츄에이터 (2) 의 누름부 (2e) 에 눌려진 클릭 고무 (8) 가 좌굴되어, 누름돌기 (8a) 가 멤브레인 스위치 (7) 의 상부시트를 눌러 휘게 하므로, 스위치부의 상부전극이 하부전극에 접촉하여 스위치 온으로 된다.
키 톱 (1) 이 가장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1, 제 2 의 랜싱부 (5a,5b) 는 키 톱 (1) 주위의 벽부 (1d) 내에 수납되고, 키 스위치로서 박형화를 가능하게 한다.
이 스위치 온 상태에서 키 톱 (1) 에 대한 누름 조작력을 제거하면, 좌굴되어 있던 클릭 고무 (8) 가 자체의 탄성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므로, 멤브레인 스위치 (7) 의 상부전극이 하부전극으로부터 떨어져 스위치 오프 상태로 복귀되고, 액츄에이터 (2) 가 밀려 올라가게 되므로 크로스 링크체 (10) 가 일어서고, 키 톱 (1) 도 도 1 의 초기 위치까지 밀려 올라간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9 ~ 도 37 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 는 키 스위치의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의 단면도로서, 크로스 링크체를 생략한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20 은 이 키 스위치의 스위치 오프 상태에서의 단면도로서, 클릭 고무를 생략한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21 은 이 키 스위치의 스위치 온 상태에서의 단면도로서, 클릭 고무를 생략한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다. 도 22 는 이 키 스위치의 평면도이고, 도 23 은 키 톱의 이면도, 도 24 는 액츄에이터의 평면도, 도 25 는 도 24 의 E-E 선을 따른 단면도, 도 26 은 크로스 링크체의 평면도, 도 27 은 크로스 링크체의 측면도, 도 28 은 도 26 의 F-F 선을 따른 단면도, 도 29 는 도 26 의 G-G 선을 따른 단면도, 도30 은 크로스 링크체의 이면도, 도 31 은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32 는 플레이트의 측면도, 도 33 은 유지 플레이트의 요부 평면도, 도 34 는 유지 플레이트의 요부 측면도, 도 35 는 클릭 고무의 단면도, 도 36 은 멤브레인 스위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37 은 클릭 고무 및 멤브레인 스위치의 변형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스위치는, 상기 제 1 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키 스위치와 대부분의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이점 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 (2) 의 축 홈 (2c) 이 비교적 짧은 복수 부분으로 분할되어 있다. 도 26 ~ 도 2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측 레버부재 (3) 및 외측 레버부재 (4) 의 하면에 파트 피더 정렬용의 삼각형의 노치부 (16) 가 형성되고, 또한 도 2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 레버부재 (4) 의 슬라이드 축 (4b) 에는 상측에 1 개의 수용 오목부 (17a) 가, 하측에 2 개의 수용 오목부 (17b) 가 형성되고, 도 2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용 오목부 (17a) 에 액츄에이터 (2) 의 상측 트랩부 (2e) 가, 수용 오목부 (17b) 에 하측 트랩부 (2d) 가 수용된다.
도 20, 도 31 및 도 3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5) 의 제 2 의 랜싱부 (5b) 의 선단부의 경사 하방으로 산형의 돌기부 (5e) 가 형성되고, 돌기부 (5e) 와 랜싱부 (5b) 의 선단부와의 간격은 외측 레버부재 (4) 의 회전운동 축 (4c) 의 직경보다 약간 좁게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운동 축 (4c) 이 랜싱부 (2b) 와 돌기부 (5e) 사이로부터 강제적으로 압입, 즉 스냅-인 끼워맞춤되고 (도 20 참조), 그 후에 돌기부 (5e) 는 키 톱을 아래로 눌렀을 때 회전운동 축 (4c) 이 빗나가지 않도록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이 돌기부 (5e) 는, 상기 제 1 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레이트 (5) 에도 형성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10, 도 11 참조). 플레이트 (5) 의 투과구멍 (5d) 과 돌기부 (5e) 는 금속판에서 플레이트 (5) 를 뚫을 때 동시에 형성되고, 제 1 ~ 제 3 의 랜싱부 (5a ~ 5c) 는 절곡 가공에 의하여 동시에 형성된다.
제 1 의 랜싱부 (5a) 와 제 2 의 랜싱부 (5b) 는,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측이 동일 방향에 있고, 크로스 링크체 (10) 를 플레이트 (5) 에 장착했을 때, 도 20 의 화살표 A 의 방향으로 크로스 링크체 (10) 를 이동시켜, 제 1 의 랜싱부 (5a) 에 슬라이드 핀 (3c) 을 삽입하고, 제 2 의 랜싱부 (5b) 에 회전운동 핀 (4c) 을 스냅-인 시킴으로써, 어셈블링이 가능하고, 어셈블링 작업이 간단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레이트 (5) 를 금속판의 프레스가공에 의하여 제작하고있으나, 랜싱부 (5a ~ 5c), 투과구멍 (5d) 및 돌기부 (5e) 등을 일체로 성형한 합성수지제의 플레이트 (5) 를 사용할 수도 있다.
플레이트 (5) 의 4 구석 가까이에 제 3 의 랜싱부 (5c) 가 각각 세워 설치되고, 이에 대응하여 도 33 및 도 3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플레이트 (6) 의 4 구석 가까이에 랜싱부 (6d) 가 각각 세워 설치되어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 (7) 를 통하여 유지 플레이트 (6) 상에 플레이트 (5) 를 중첩시켰을 때, 도 22 및 도 3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레이트 (5) 의 랜싱부 (5c) 가 유지 플레이트 (6) 의 랜싱부 (6d) 의 내측에 끼워맞춰지고, 다시 랜싱부 (5c) 에 형성된 투과구멍 (5f) (도 32 참조) 에 랜싱부 (6d) 에 형성된 돌기 (6e) (도 34 참조) 가 스냅-인 끼워맞춤되어, 플레이트 (5) 를 유지 플레이트 (6) 로 유지, 위치 결정한다.
상기 제 1 의 실시형태에서는,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지 플레이트 (6) 의 투과구멍 (6d) 내에 플레이트 (5) 를 수용하였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투과구멍 (6b) 을 형성하지 않는 거의 평면형상의 유지 플레이트 (6) 를 사용하고, 그 위에 멤브레인 스위치 (7) 와 플레이트 (5) 를 적층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멤브레인 스위치 (7) 는 도 3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면에 다수의 상부전극 (18) 을 갖는 플렉시블한 상부시트 (19) 와, 상면에 다수의 하부전극 (20) 을 갖는 하부시트 (21) 간에 스페이서 (22) 를 개재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상부전극 (18) 과 하부전극 (20) 이 소정의 극간을 통하여 대향하여 스위치부를 구성하고, 각 스위치부는 클릭 고무 (8) 의 누름돌기 (8a) 의 하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키 톱 (1) 이 가장 하강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액츄에이터 (2) 의 축 홈 (2c) 의 축부 (2h) 와 트랩부 (2d) 와의 바닥면이 플레이트 (5) 에 접하여 있고, 키 톱 (1) 의 벽부 (1d) 내에 축부 (2h), 트랩부 (2d), 제 1 ~ 제 3 의 랜싱부 (5a, 5b, 5c) 가 수납되어 있다.
도 37 은 클릭 고무 (8) 및 멤브레인 스위치 (7) 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클릭 고무 (8) 의 누름돌기 (8a) 의 하면에 도전부 (23) 가 형성되고, 도전부 (23) 의 하방에 제 1 의 전극 (24) 과 제 2 의 전극 (25) 을 멀리하여 형성한 시트 (26) 가 배치되어 있다. 클릭 고무 (8) 를 아래로 누름으로써, 도전부(23) 가 제 1 의 전극 (24) 과 제 2 의 전극 (25) 에 각각 접촉하여, 스위치 온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38 ~ 도 40 을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8 은 키보드 입력장치의 평면도, 도 39 는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40 은 멤브레인 스위치의 평면도이다.
도 3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키보드 입력장치 (27) 에는 세로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복수의 키 톱 (1) 이 배열되어 있다. 이 키 톱 (1) 의 배열에 대응하여 도 3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길이의 플레이트 (5) 가 사용되고, 플레이트 (5) 에 제 1 ~ 제 3 의 랜싱부 (5a ~ 5c) 와 투과구멍 (5d) 이 복수 쌍 (본 실시형태에서는 4 쌍) 가로 배열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는 제 1 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플레이트 (5) 와 동일한 형상의 것을 4 개 연달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 2 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플레이트 (5) 와 동일한 형상의 것을 복수개 연달아 설치할 수도 있다.
도 4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멤브레인 스위치 (7) 도 가로길이가 되고, 플레이트 (5) 의 각 투과구멍 (5d) 과 대향하는 위치에 각 전극으로 구성되는 스위치부 (28) 가 형성되고, 멤브레인 스위치 (7) 가 플레이트 (5) 의 아래에 배치된다.
이러한 형상의 플레이트 (5) 를 사용하면, 1 장의 플레이트 (5) 상에 복수 개 (본 실시형태에서는 4 개) 의 크로스 링크체 (10) 를 병렬 형성하여 유닛화할 수 있으므로, 키 스위치의 조립작업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41 은 클릭 고무 (8) 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예에서는 추가로 복수의 클릭 고무 (8) 가 두께가 얇은 연결부 (29) 에 의하여 연결되어 1 개의 부품으로서 장착되고, 상기 가로길이의 플레이트 (5) 상에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는 플레이트 (5), 멤브레인 스위치 (7), 클릭 고무 (8) 등을 복수개 가로방향으로 연달아 설치한 것이나, 예를 들어, 도 38 에 일점쇄선 (B) 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와 가로로 복수개 연달아 설치한 블록으로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2 및 도 43 은, 본 발명의 제 4 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플레이트 (5) 의 일부 확대 단면도 및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コ 자 형상의 절삭 홈 (30) 을 형성하여 일으킴으로써, 약간 탄성을 가지게 한 돌기부 (5e) 가 형성된다. 이 예에서도 제 2 의 랜싱부 (5b) 의 선단부와 돌기부 (5e) 의 간격은 회전운동 축 (4c) 의 외경보다도 약간 좁게 형성되고, 돌기부 (5e) 의 탄성을 이용하여 회전운동 축 (4c) 이 스냅-인 끼워맞춤되고, 장착 후, 돌기부 (5e) 는 회전운동 축 (4c) 이 빗나가지 않도록 스토퍼로서 기능한다.
상기 실시형태의 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단계에서, 한쌍의 레버부재 (3,4) 의 상단부를 걸어맞춤ㆍ지지하고 있는 액츄에이터 (2) 에 대하여, 키 톱 (1) 의 끼워맞춤 돌기 (1a,1b) 를 압입하면 되므로, 유닛화된 크로스 링크체 (10) 를 멤브레인 스위치 (7) 상의 유지 플레이트 (6) 에 탑재하여 조입한 후, 매우 간단하에 키 톱 (1) 을 장착할 수 있다. 게다가, 크로스 링크체 (10) 의 상단부를 걸어맞춤ㆍ지지하는 기능 또는 클릭 고무 (8) 의 상단면을 누르는 기능을 액츄에이터(2) 가 담당하므로, 키 톱 (1) 의 이측의 형상이 단순화되고, 키 톱 (1) 의 성형에 복잡하고 고가인 금형을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예는, 외측 레버부재 (4) 와 내측 레버부재 (3) 를 순차적으로 성형하여, 축 삽입구멍 (4d) 내에 연결축 (3d) 을 피봇장착 상태에서 걸어맞춘 크로스 링크체 (10) 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 한쌍의 레버부재 (3,4) 를 수작업으로 연결하는 번잡한 조립작업을 굳이 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 작업성이 대폭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는, 랜싱부 (5a, 5b) 를 갖는 플레이트 (5) 상에 한쌍의 레버부재 (3,4) 를 장착하여, 유닛화한 크로스 링크체 (10) 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멤브레인 스위치 (7) 상에 조입하기 전에 크로스 링크체 (10) 의 동작 불량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의 교차부위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 한쌍의 레버부재와, 일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타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한 액츄에이터와, 그 액츄에이터에 걸려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에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키 톱과,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상기 키 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스위치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조립단계에서, 한쌍의 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크로스 링크체의상단부를 미리 액츄에이터에 걸어맞춰 놓고, 이 크로스 링크체를 스위치 소자 상에 조입한 후, 키 톱의 이측을 압입 등의 단순한 기구로 액츄에이터에 걸면 된다. 따라서, 키 톱의 이측을 크로스 링크체에 걸어맞추지 않으면 안되었던 종래의 것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게 키 톱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크로스 링크체와의 걸어맞춤 부위가 노출되는 형상이라도 아무런 지장이 없기 때문에, 액츄에이터를 크로스 링크체에 걸어맞추는 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키 톱의 이측에 크로스 링크체와의 걸어맞춤 부위 또는 탄성부재를 누르는 돌기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키 톱의 성형에 복잡한 금형이 필요 없게 되어 금형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의 스위치 본체부를 연달아 설치한 스위치 소자와, 그 스위치 소자의 각 스위치 본체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부와 지지부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스위치 소자 상에 배치된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각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관통부 상에 형성되고, 개별적으로 상기 스위치 본체부를 누르는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 키 스위치는, 스위치 소자에 복수의 스위치 본체부가 연달아 설치되고, 지지체에 스위치 누름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관통부가 복수로 연달아 설치되어, 각 스위치 본체부와 관통부가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각 지지부에 스위치 누름부를 지지함으로써 스위치 누름부가 스위치 본체부와 자동적으로 대응하므로, 부품의 개수가 삭감되고, 조립작업이 간편해지며, 자동 조립이 가능해지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또한, 플레이트 상에 한쌍의 레버부재를 장착하여 유닛화한 크로스 링크체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미리 크로스 링크체의 동작 불량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고, 따라서 조립단계에서의 기존 형성 부품의 낭비 또는 작업성의 악화를 피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 링크체를 탑재하여 지지하는 플레이트를, 지지판과의 사이에 멤브레인 스위치를 끼우고 있는 유지 플레이트 상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멤브레인 스위치에는 크로스 링크체용의 랜싱부를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의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즉, 멤브레인 스위치에 인회 패턴 레이아웃을 제약하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그 설계 자유도 또는 신뢰성을 쉽게 향상시킨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타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제 2 의 랜싱부의 선단부와 돌기부의 사이로부터 제 2 의 랜싱부 측으로 스냅-인 끼워맞춤하는 구조이므로, 플레이트에 대한 레버부재의 장착이 간편하고, 생산성이 우수하며, 저렴한 키 스위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타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액츄에이터를 형성하고, 그 액츄에이터에 키 톱이 걸린다.
그 때문에, 조립단계에서, 한쌍의 레버부재로 이루어지는 크로스 링크체의 상단부를 미리 액츄에이터에 걸어맞춰 놓고, 이 크로스 링크체를 스위치 소자 상에 조입한 후, 키 톱의 이측을 압입 등의 단순한 기구로 액츄에이터에 걸면 된다.따라서, 키 톱의 이측을 크로스 링크체에 걸어맞추지 않으면 안되었던 종래의 것에 비하여, 매우 간단하게 키 톱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는 크로스 링크체와의 걸어맞춤 부위가 노출되는 형상이라도 아무런 지장이 없기 때문에, 액츄에이터를 크로스 링크체에 걸어맞추는 작업은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키 톱의 이측에 크로스 링크체와의 걸어맞춤 부위 또는 탄성부재를 누르는 돌기 등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키 톱의 성형에 복잡한 금형이 필요 없게 되어 금형 비용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에 걸림구멍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키 톱의 이면에 돌기 또는 걸림구멍을 형성하여, 돌기를 걸림구멍에 끼워맞추는 구조이므로, 액츄에이터에 대한 키 톱의 장착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플레이트의 관통부를 통하여 탄성부재의 누름돌기와 스위치 소자가 대향하여 있고, 플레이트에 의하여 스위치 소자가 눌려져 위치결정되므로, 스위치 소자와 탄성부재의 누름돌기와의 대향관계를 적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재에 의하여 플레이트가 위치결정ㆍ유지되고, 게다가 베이스부재와 플레이트간에 스위치 소자가 끼워져 있기 때문에, 플레이트와 스위치 소자의 대향관계가 적정하게 유지됨과 동시에, 플레이트와 베이스부재에 의하여 스위치 소자가 보호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Claims (22)

  1. 상호의 교차부위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 한쌍의 레버부재와,
    일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타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한 액츄에이터와,
    그 액츄에이터에 걸려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에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키 톱과,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상기 키 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스위치 소자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클릭 기능을 갖는 탄성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3.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의 스위치 본체부를 연달아 설치한 스위치 소자와,
    그 스위치 소자의 각 스위치 본체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부와 지지부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스위치 소자 상에 배치된 지지체와,
    그 지지체의 각 지지부에 지지되어 상기 관통부 상에 형성되고, 개별적으로 상기 스위치 본체부를 누르는 스위치 누름부를 구비하고,
    상기 스위치 누름부는,
    상호의 교차부위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 한쌍의 레버부재와,
    일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타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한 액츄에이터와,
    그 액츄에이터에 걸려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에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키 톱과,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상기 키 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4. 삭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가 클릭 기능을 갖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각 탄성체가 상기 스위치 소자에 대응하여 복수로 연달아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걸림구멍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키 톱의 이면에 돌기 또는 걸림구멍을 형성하여, 돌기를 걸림구멍에 끼워맞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소자가 시트형상의 스위치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걸림구멍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키 톱의 이면에 돌기 또는 걸림구멍을 형성하여, 돌기를 걸림구멍에 끼워맞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소자가 시트형상의 스위치 소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10. 상호의 교차부위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 한쌍의 레버부재와,
    그 한쌍의 레버부재에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키 톱과,
    그 키 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스위치 소자와,
    금속판의 절곡 가공에 의하여 구성되고, 상기 일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제 1 의 랜싱부와, 타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제 2 의 랜싱부를 가지는 플레이트를 구비하며,
    상기 일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타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액츄에이터를 형성하고,
    그 액츄에이터에 상기 키 톱이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걸림구멍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키 톱의 이면에 돌기 또는 걸림구멍을 형성하여, 돌기를 걸림구멍에 끼워맞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관통부의 상방에 상기 탄성부재에 형성된 누름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관통부의 하방에 상기 스위치 소자가 배치되어,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누름돌기와 스위치 소자가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위치결정ㆍ유지하는 베이스부재가 형성되고, 그 베이스부재와 플레이트간에 스위치 소자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15. 상호의 교차부위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시킨 한쌍의 레버부재와, 이들 한쌍의 레버부재에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키 톱과,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를 탑재하여 지지하는 플레이트와, 이 플레이트를 탑재하여 거는 유지 플레이트와, 상기 키 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시트형상의 스위치 소자와, 이 시트형상의 스위치 소자가 놓여지는 지지판을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 및 상기 유지 플레이트에 상기 탄성부재를 삽입시키는 투과구멍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시트형상의 스위치 소자를 상기 유지 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판으로 끼워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일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제 1 의 랜싱부와, 타방의 상기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추는 제 2 의 랜싱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복수 쌍의 상기 레버부재를 탑재하여 지지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18. 상호의 교차부위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한 한쌍의 레버부재와,
    그 한쌍의 레버부재에 승강할 수 있도록 지지된 키 톱과,
    그 키 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키 톱의 승강 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 동작을 행하는 스위치 소자와,
    상기 일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제 1 의 랜싱부와, 타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제 2 의 랜싱부와, 그 제 2 의 랜싱부의 선단부 부근에 형성된 돌기부를 갖는 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타방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제 2 의 랜싱부의 선단부와 돌기부간으로부터 제 2 의 랜싱부 측으로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스냅-인 끼워맞추고,
    상기 일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고, 타방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자유롭게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하는 액츄에이터를 형성하고,
    그 액츄에이터에 상기 키 톱이 걸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19. 삭제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걸림구멍 또는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키 톱의 이면에 돌기 또는 걸림구멍을 형성하여, 돌기를 걸림구멍에 끼워맞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에 관통부가 형성되고, 그 관통부의 상방에 상기 탄성부재에 형성된 누름돌기가 배치되고, 상기 관통부의 하방에 상기 스위치 소자가 배치되어, 관통부를 통하여 상기 누름돌기와 스위치 소자가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를 위치결정ㆍ유지하는 베이스부재가 형성되고, 그 베이스부재와 플레이트간에 스위치 소자가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스위치.
KR10-2000-0066731A 1999-11-11 2000-11-10 키 스위치 KR1003926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123299A JP3795280B2 (ja) 1999-11-11 1999-11-11 キースイッチ
JP99-321232 1999-11-11
JP2000063895A JP2001319541A (ja) 2000-03-03 2000-03-08 キースイッチ
JP2000063892A JP2001319540A (ja) 2000-03-03 2000-03-08 キースイッチ
JP2000063903A JP2001319542A (ja) 1999-11-11 2000-03-08 キースイッチ
JP2000-063895 2000-08-03
JP2000-063903 2000-08-03
JP2000-063892 2000-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606A KR20010051606A (ko) 2001-06-25
KR100392678B1 true KR100392678B1 (ko) 2003-07-28

Family

ID=27480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66731A KR100392678B1 (ko) 1999-11-11 2000-11-10 키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483050B1 (ko)
EP (1) EP1100098A3 (ko)
KR (1) KR100392678B1 (ko)
CN (1) CN113749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50346B2 (ja) * 2002-02-27 2007-08-01 ミネベア株式会社 キーボードスイッチ
JP4389967B2 (ja) * 2007-05-28 2009-12-2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構造及びキーボード装置
TWM343860U (en) * 2008-04-18 2008-11-01 Darfon Electronics Corp Keyswitch and keyboard
CN101404222B (zh) * 2008-10-24 2010-12-15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按键及键盘
TWI409843B (zh) * 2011-01-28 2013-09-21 Primax Electronics Ltd 鍵盤裝置之按鍵結構
CN102637540A (zh) * 2011-02-10 2012-08-15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键盘装置的按键结构
TWI428945B (zh) 2011-05-11 2014-03-01 Wistron Corp 按鍵裝置、支撐座與按鍵蓋板之組合及製造方法
TWM458600U (zh) * 2013-03-29 2013-08-01 Inhon Internat Corp Ltd 按鍵之鍵帽結構
CN104576134A (zh) * 2013-10-16 2015-04-29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按键模块及其键盘
CN106816338B (zh) * 2015-12-02 2019-01-04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结构
CN109036923B (zh) * 2017-06-12 2020-05-19 光宝电子(广州)有限公司 键盘、按键模块、升降触发模块及升降触发模块的制造方法
CN107170612B (zh) * 2017-06-19 2019-07-30 苏州达方电子有限公司 键盘及其按键
TWI699795B (zh) 2019-01-28 2020-07-2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按鍵
CN114334512B (zh) * 2021-07-08 2024-03-15 光宝科技股份有限公司 按键结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0391B2 (ja) * 1992-07-17 1999-09-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JP2589927Y2 (ja) * 1993-04-05 1999-02-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装置
JP2800617B2 (ja) 1993-01-06 1998-09-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US5874696A (en) * 1996-08-12 1999-02-23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imited Key switch, keyboard and portabl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with keyboard
US5847337A (en) 1997-07-09 1998-12-08 Chen; Pao-Chin Structure of computer keyboard key switch
JP3749371B2 (ja) * 1998-02-06 2006-02-22 ミネベア株式会社 押ボタンスイッチ
JP3480559B2 (ja) * 1998-11-05 2003-12-22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キーボード装置
JP3689843B2 (ja) * 1999-08-27 2005-08-31 ミネベア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1606A (ko) 2001-06-25
CN1296278A (zh) 2001-05-23
EP1100098A3 (en) 2003-09-03
EP1100098A2 (en) 2001-05-16
US6483050B1 (en) 2002-11-19
CN1137499C (zh) 200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2678B1 (ko) 키 스위치
KR100478745B1 (ko) 키스위치 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EP1670012B1 (en) Push-on switch
KR100405075B1 (ko) 다방향 스위치
US6888075B2 (en) Push-button switch
US6689977B2 (en) Keyswitch having a keytop that is upwardly and downwardly movabl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KR100366830B1 (ko) 키 스위치 및 그 제조방법
US6909062B2 (en) Key-switch device corresponding to miniaturized notebook-size personal computer with reduced-thickness
JPH0935574A (ja) 押釦スイッチ
KR100339130B1 (ko) 키스위치
JPH0722819Y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1319541A (ja) キースイッチ
JP2001319540A (ja) キースイッチ
JP2001319542A (ja) キースイッチ
JP3041023U (ja) キーボードのキー
JP2000048676A (ja) 段押しスイッチ機構
JP3795280B2 (ja) キースイッチ
JP4034527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およびこのキースイッチ装置の組立て方法
JPH0718110Y2 (ja) キーボードのキートツプ取付構造
JP3195298B2 (ja) 押釦スイッチ
JP3318281B2 (ja) キースイッチ
JP3280366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3212557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その組立方法
JPH01276522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及びその製造方法
JPH088030B2 (ja) 押釦スイッチのインター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