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8745B1 - 키스위치 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키스위치 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8745B1
KR100478745B1 KR10-2001-0045743A KR20010045743A KR100478745B1 KR 100478745 B1 KR100478745 B1 KR 100478745B1 KR 20010045743 A KR20010045743 A KR 20010045743A KR 100478745 B1 KR100478745 B1 KR 10047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air
mounting plate
plate
lever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5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2494A (ko
Inventor
이또다까유끼
나루사와쯔요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4404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920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44048A external-priority patent/JP4071425B2/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2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8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12Push-buttons
    • H01H3/122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 H01H3/125Push-buttons with enlarged actuating area, e.g. of the elongated bar-type; Stabilising means therefor using a scissor mechanism as stabilis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발명은, 한쌍의 레버부재의 각각의 하단부를 메탈플레이트와는 별개 부재의 레버 장착판에 걸어맞춤시키고, 이 레버장착판을 유지플레이트에 스냅인(snap-in)하여, 멤브레인스위치상에 탑재함으로써 조립할 수 있고, 조립이 단순하며,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한 키스위치장치, 및 이 키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한쌍의 레버부재 (3,4) 의 각각의 하단부 (3c,4c) 를 걸어맞춤 가능한 레버장착판 (5) 를 가지고, 이 레버장착판 (5) 을 장착가능한 유지플레이트 (6) 를 설치하고, 레버장착판 (5) 에는, 유지플레이트 (6) 에 스냅인 가능한 걸림부 (5h) 를 형성하였다.
이 때문에, 레버장착판 (5) 을 유지플레이트 (6) 에 스냅인하여 원터치로 장착할 수 있고, 조립이 간단하게 된다.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Description

키스위치 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KEY SWITCH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본발명은, 키스위치장치에 관련하며, 특히 승강 가능한 복수의 키톱을 갖는 키스위치장치, 및 이 키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의 키스위치장치는, 박형화의 요구에 수반하여, 교차형상에 링크결합시킨 한쌍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키톱에 지지하고, 이 키톱의 승강동작에 수반하여, 한쌍의 레버부재의 링크교차하는 각도가 변화하도록 한 것이 각종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단부를 키톱의 이면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걸어맞춘 일방의 레버부재와, 상단부를 키톱의 이면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걸어맞춘 타방의 레버부재를, 서로의 교차부에서 링크결합시켜 일체화하고, 이 일체화한 한 쌍의 레버부재에 의해서 키톱을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한 구성의 키스위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종류의 키스위치장치는, 조작자가 키톱을 가압하면, 한 쌍의 레버부재가 경사전도하여 눌려 접혀지고, 키톱이 소정량 강하한 시점에서, 클릭고무 등의 탄성부재가 키톱에 가압되어 변형하여, 시트형상의 멤브레인스위치 등의 스위치소자가 탄성부재에 가압되어 스위치 ON 상태로 된다.
이 스위치 ON 상태에서 키톱에 대한 가압조작력을 해제하면, 변형하고 있던 탄성부재가 자신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여, 멤브레인스위치가 OFF 상태가 됨과 동시에, 경사전도하고 있던 한 쌍의 레버부재를 기립시키면서 키톱이 초기위치의 높이까지 밀어 올려져 간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레버부재에 의해 키톱을 승강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키스템을 안내벽에 따라 슬라이딩시키는 종래 일반적인 키스위치장치에 비교하여, 양호한 조작성을 확보하며, 또한 높이 치수를 대폭 저감할 수 있어 박형화가 가능하게 된다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키스위치장치는, 시트형상의 멤브레인스위치를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메탈플레이트상에 탑재하며, 이 메탈플레이트에 복수의 걸어맞춤부를 절기하여 형성하고, 이 걸어맞춤부의 각각에, 한 쌍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걸어맞춤시키고, 이 한 쌍의 레버부재의 상단부에 장착한 키톱이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었다.
이 종류의 종래의 키스위치장치는, 메탈플레이트상에 탑재한 멤브레인스위치가 얇은 시트형상이기 때문에, 메탈플레이트의 걸어맞춤부에 한 쌍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걸어맞춤시킬 때에, 멤브레인스위치에 주름 등이 발생하거나 하여 조립성이 나빴었다.
또한, 메탈플레이트는, 한 쌍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걸어맞춤시키기 위한 복수의 걸어맞춤부를 절기하여 형성했었지만, 사용자마다, 키스위치의 장착위치, 또는 장착피치가 상이하여, 메탈플레이트의 버라이어티가 많았었다.
그 때문에, 메탈플레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금형이 많아져, 키스위치가 비용상승으로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한쌍의 레버부재의 각각의 하단부를 메탈플레이트와는 별개부재의 레버장착판에 걸어맞춤시키고, 이 레버장착판을 유지플레이트에 스냅인(snap-in)하고, 멤브레인스위치상에 탑재하여 조립함으로써, 조립이 단순하고,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한 키스위치장치, 및 이 키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의 이 종류의 키 스위치에 이용되고 있던 키톱은, 키 스위치를 박형으로 하기 위해서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있고, 이 두께가 얇은 키톱의 이면에, 한 쌍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및 슬라이드 자유롭게 걸어맞추기 위한,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및 슬라이드 걸어맞춤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었다.
이러한 키톱을, 한 쌍의 레버부재의 상단부에 걸어맞추는 조립작업은, 키톱을, 한 쌍의 레버부재상에 위치시키고, 이 한 쌍의 레버부재의 상단부에, 키톱의 회전운동 걸어맞춤부와 슬라이드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시키고 있었지만, 회전운동 걸어맞춤부와 슬라이드 걸어맞춤부와는, 키톱의 이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회전운동 걸어맞춤부와 슬라이드 걸어맞춤부를 위치맞춤 하는 것이 어렵고, 조립의 자동화가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한 쌍의 레버부재의 각각의 상단부를 걸어맞춤 가능한 회전운동 결합부, 및 슬라이드 결합부를, 키톱과는 별개부재의 액츄에이터에 형성하고, 이 액츄에이터를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수평이동 시킴으로써, 액츄에이터에 한 쌍의 레버부재의 상단부를 스냅인 및 슬라이드 시켜 걸어맞출 수 있어, 한 쌍의 레버부재를 키톱에 장착하는 조립이 단순하게 되며,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한 키스위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키스위치장치는, 서로의 교차부위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하는 한 쌍의 레버부재와, 이들 한 쌍의 레버부재에 지지되어 승강이 자유로운 키톱과, 이 키톱을 윗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키톱의 승강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동작 가능한 스위치소자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레버부재의 각각의 하단부를 걸어맞춤 가능한 레버장착판을 가지며, 이 레버장착판을 장착 가능한 유지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장착판에는, 상기 유지플레이트에 스냅인 가능한 걸림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레버장착판은, 평탄형상의 베이스부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절기한 측벽을 서로 대향시켜 형성하고, 상기 유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부를 스냅인 가능한 장착구멍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측벽의 일부에, 상기 폭방향의 외측에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에서 상기 장착구멍에 상기 걸림부를 스냅인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걸림부의 상기 측벽은, 상기 베이스부와 접속하는 절기부의 일부를 상기 베이스부에서 절단분리하여 후크부를 형성하고, 이 후크부의 상기 베이스부에서 절단분리된 일단부를 상기 폭방향의 바깥방향에 돌출시켜서 상기 후크부를 경사시켜, 이 후크부를 상기 장착구멍에 스냅인하는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유지플레이트의 상기 장착구멍은,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측면과 한 쌍의 제 2 측면으로 둘러싸이고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방으로 치우쳐 상기 양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부의 타방으로 치우친 위치의 일부를 절기하여 위치결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상기 제 1 측면에 압접하여 스냅인하면, 상기 걸림부의 일단면이 일방의 상기 제 2 측면에 맞닿고, 상기 위치 결정부가 타방의 상기 제 2 측면에 맞닿도록 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양단부의 상기 걸림부에 끼인 부분으로부터 추가로 상기 일방에 치우쳐 외측으로 연장시켜서 제 1 빠짐방지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위치결정부에서 추가로 타방에 치우쳐 외측으로 연장시켜서 제 2 빠짐방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를 상기 장착구멍에 스냅인하면, 상기 제 1 과 제 2 빠짐방지부가 상기 유지플레이트의 이면에 맞닿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서로의 교차부위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하는 한 쌍의 레버부재와, 키톱의 승강동작에 수반하여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레버부재의 상기 상단부가 승강가능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각각 걸어맞춤시킨 레버장착판을, 유지플레이트의 아래방향으로부터 유지플레이트에 형성한 장착구멍에 스냅인하고, 상기 유지플레이트에 상기 레버장착판을 장착하는 바와 같은 키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레버장착판은, 상기 장착구멍에 스냅인 가능한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플레이트의 아래방향에 위치시킨 상기 레버장착판을 윗방향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장착구멍에 상기 걸림부를 스냅인시키는 바와 같은 조립방법으로 하였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키스위치장치는, 서로의 교차부위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하는 한 쌍의 레버부재와, 이들 한 쌍의 레버부재에 지지되어 승강이 자유로운 키톱과, 이 키톱을 윗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키톱의 승강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동작 가능한 스위치소자를 구비하여, 상기 한 쌍의 레버부재의 각각의 상단부를 걸어맞춤 가능한 상기 키톱에 걸어맞춤된 액츄에이터를 형성하고, 이 액츄에이터는, 상기 한 쌍의 레버부재의 일방의 상단부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걸어맞춤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회전운동 걸어맞춤부와 상기 한 쌍의 레버부재의 타방의 상단부를 슬라이드 자유롭게 걸어맞춤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슬라이드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운동 걸어맞춤부와 상기 슬라이드 걸어맞춤부와의 상기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각각 동일 방향에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회전운동 걸어맞춤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단부측에 U 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U 자형상의 상기 회전운동 걸어맞춤부를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변의 어느 일방, 또는 양쪽의 상기 개구부 근방에, 이 개구부를 폭이 좁게 하는 볼록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걸어맞춤부는,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부측에 U 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U 자형상의 상기 슬라이드 걸어맞춤부를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변을 평행하게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액츄에이터의 상기 일단부측을 절곡하여 상기 회전운동 걸어맞춤부를 형성하고, 상기 액츄에이터의 상기 타단부측을 절곡하여 상기 슬라이드 걸어맞춤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서로의 교차부위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하는 한 쌍의 레버부재의 상단부에 걸어맞춤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가지며, 이 액츄에이터는 키톱에 걸어맞춤되어, 탄성부재가 탄성지지하는 키톱의 승강동작에 수반하고, 상기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상기 한 쌍의 레버부재가 승강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한 쌍의 레버부재의 상기 상단부상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위치시켜, 이 액츄에이터를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한 쌍의 레버부재의 각각의 상단부에 상기 액츄에이터를 걸어맞춤시켜 조립하도록 한 조립방법.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상기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액츄에이터의 일단부에 형성한 회전운동 걸어맞춤부를 상기 한 쌍의 레버부재의 일방의 상단부에 스냅인하는 동시에, 상기 액츄에이터의 타단부측에 형성한 슬라이드 걸어맞춤부를 상기 한 쌍의 레버부재의타방의 상단부에 슬라이드 걸어맞춤 시키도록 한 조립방법.
발명의 실시의 형태
먼저, 본발명의 키스위치장치는, 도 1 에 나타내듯이, 최상부에 키톱 (1) 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키톱 (1) 을 도 3 내지 도 5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키톱 (1) 은 성형가공 등에 의해,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원호형상의 조작면 (1a) 을 가지며, 이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사각기둥의 돌기부 (lb) 가 돌출형성 되어있다. 이 사각기둥의 돌기부 (1b) 를 둘러싸고 주위에 4개의 측면 (1c) 을 가지며, 이 측면 (1c) 은, 각각 평탄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측면 (lc) 이 교차하는 돌기부 (1b) 의 모퉁이부로부터 대각선방향의 외측으로 돌출시켜 십자형상의 가압부 (1d) 가 형성되며, 이 가압부 (1d) 의 대각선방향의 치수 A 는, 후술하는 탄성부재 (8) 의 정상부 (頂部 : 8c) 의 직경치수 C 보다 길게 형성되고, 탄성부재 (8) 가 가압부 (1d) 를 직접 탄성지지하여, 키톱 (1) 이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돌기부 (1b) 의 하부근방에는 한 쌍의 위치결정돌기 (1e) 가 돌출형성 되어있다.
또한, 키톱 (1) 의 돌기부 (1b) 를 걸어맞추는 액츄에이터 (2) 는, 스테인리스판 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키톱 (1) 을 액츄에이터 (2) 에 걸면, 평탄형상의 장착면 (2a) 이 키톱 (1) 의 이면에 밀착하여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장착면 (2a) 의 대략 중앙부에는, 키톱 (l) 의 돌기부 (1b) 가 압입가능한 빠짐방지부 (2b)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빠짐방지부 (2b) 는, 관통구멍 (2c) 을 구성하는 내주벽 (2d) 의 4 방향으로부터 내측으로 향하여 돌출시키고, 한편만을 가지는 지지형상의 압접편 (2e) 이 4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편만을 가지는 지지형상의 압접편 (2e) 은, 도 8 의 확대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 (2f) 가 약간 아래방향으로 절곡 되어있다. 그리고, 키톱 (1) 의 돌기부 (1b) 를 화살표 B 방향으로부터 빠짐방지부 (2b) 에 압입하면, 돌기부 (lb) 의 4개의 측면 (1c) 에 압접편 (2e) 의 선단부 (2f) 가 각각 압접하여, 키톱 (1) 이 액츄에이터 (2) 에 빠짐방지되어 걸린다.
상기 액츄에이터 (2) 가 금속판이며, 키톱 (l) 이 수지재료로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접편 (2e) 의 선단부 (2f) 가 측면 (1c) 으로 파고 들어가게 되고, 액츄에이터 (2) 에 대한 키톱 (1) 의 발거력를 크게 할 수 있어, 키톱 (1) 을 강고하게 액츄에이터 (2) 에 걸리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2) 는, 도 7 에 나타내는 장착면 (2a) 의 길이방향의 상단부측인 일단부측에, 측면형상이 대략 U 자형상으로 절곡되어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면 (2a) 의 중앙부 부근이 도시하는 윗방향으로 연장되고, 이 연장된 부분의 장착면 (2a) 으로부터 도시하는 좌우에 연장되어 걸어맞춤편 (2h, 2h) 이 형성되며, 이 걸어맞춤편 (2h, 2h) 이,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곡되어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는,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면 (2a) 과 걸어맞춤편 (2h) 의 2개의 변이 서로 대향하여 측면형상이 U 자형상으로 형성되며, 도시하는 아래방향에 개구부 (2j) 를 가지며, 2개의 변의 어느 일방인 장착면 (2a) 의 개구부 (2j) 근방에, 이 개구부 (2j) 를 폭을 좁게 하는 볼록부 (2k)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좁아진 개구부 (2j) 로부터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에, 후술하는 외측레버 (4) 의 상단부인 상단 회전운동축 (4b) 을 스냅인함으로써, 상단 회전운동축 (4b) 이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내에서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 (2j) 를 폭이 좁도록 하는 볼록부 (2k) 는, 걸어맞춤편 (2h) 측에 형성되어도 되고, 또는 장착면 (2a) 및 걸어맞춤편 (2h) 의 양쪽에 형성되어도 된다.
즉, 개구부 (2j) 를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변 (장착면(2a), 걸어맞춤편(2h)) 의 어느 일방, 또는 양쪽의 개구부 (2j) 근방에, 개구부 (2j) 의 폭을 좁게 하는 볼록부 (2k) 를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액츄에이터 (2) 는, 도 7 에 나타내는 장착면 (2a) 의 길이방향의 하단부측인 타단부측에, 측면형상이 대략 U 자형상의 개구부 (2p) 를 갖는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는,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착면 (2a) 의 중앙부 부근이 도시하는 아래방향으로 연장되며, 이 연장형성된 장착면 (2a) 의 도시하는 좌우에 설편 (舌片) 형상의 걸어맞춤편 (2n,2n) 이 형성되고, 이 걸어맞춤편 (2n,2n) 의 측면형상이 U 자형상으로 절곡형성 되어있다.
이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는, 개구부 (2p) 를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변 (장착면(2a), 걸어맞춤편(2n)) 을 평행하게 형성하여, 후술하는 한 쌍의 레버부재 (3,4) 의 타방의 상단부인 내측 레버부재 (3) 의 상단 슬라이드축 (3b) 이 걸어맞춤하여 슬라이드 자유롭게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와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의 개구부 (2j,2p) 의 개구방향은,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 동일한 방향의 도시하는 아래방향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를 구성하는 걸어맞춤편 (2n,2n) 의 상부 근방의 장착면 (2a) 에는, 위치결정구멍 (2u,2u) 이 관통 형성되며, 이 위치결정구멍 (2u,2u) 에 키톱 (1) 의 위치결정돌기 (1e) 가 끼워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6 에 나타내는 빠짐방지부 (2b) 가 형성된 부분의 장착면 (2a) 의 좌우측부가, 절곡되어 한 쌍의 보강부 (2r)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강부 (2r) 에 의해서,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 또는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에, 후술하는 한 쌍의 레버부재 (3,4) 를 걸어맞춤시켜서, 액츄에이터 (2) 를 승강시켜도, 평탄형상의 장착면 (2a) 이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 (2) 의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 및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에 걸어맞춤하는 한 쌍의 레버부재는, 내측 레버부재 (3) 와 외측 레버부재 (4) 로 구성되며, 이 내측 레버부재 (3) 와 외측 레버부재 (4) 는, 각각 수축률이 다른 수지재료로 성형가공되어,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화되어 있다.
즉, 내측 레버부재 (3) 와 외측 레버부재 (4) 는, 이종재성형에 의한 금형내 조립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상기 내측 레버부재 (3) 는, 도 9,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전도 각부 (脚部:3a) 를 가지며, 이 경사전도각부 (3a,3a) 는, 도시하는 윗방향에 형성한 상단 슬라이드축 (3b) 과, 도시하는 아래방향에 형성한 하단 회전운동축 (3c) 에 각각 연결되며,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경사전도각부 (3a) 의 도시하는 상하방향의 중간쯤에는, 측방의 외측으로 돌출하여 연결핀 (3d)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전도각부 (3a) 의 외측에서 하단 회전운동축 (3c) 의 도시하는 좌우방향의 연장선상에는, 하단 회전운동핀 (3e) 이 돌출형성 되어 있다.
이러한 내측 레버부재 (3) 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인 상단 슬라이드축 (3b) 이 액츄에이터 (2) 의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걸어맞춤하고, 하단부인 하단 회전운동축 (3c) , 및 하단 회전운동핀 (3e) 이, 후술하는 레버장착판 (5) 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걸어맞춤하여 장착되어 있다.
또한, 외측 레버부재 (4) 는, 도 11,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경사전도각부 (4a) 를 가지며, 이 경사전도각부 (4a,4a) 는, 도시하는 아래방향에 형성한 상단 회전운동축 (4b) 에 연결되고, 외형이 ㄷ 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1 에 나타내는 한 쌍의 경사전도각부 (4a) 의 측방의 외측상부에는, 하단 슬라이드핀 (4c,4c) 이 돌출형성 되어있다. 또한, 한 쌍의 경사전도각부 (4a) 의 도시하는 상하방향의 중간쯤에는,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향하여, 내측 레버부재 (3) 의 연결핀 (3d) 이 회전운동 자유롭게 끼워맞춤 가능한 핀삽입구멍 (4d) 이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외측 레버부재 (4) 는,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부인 상단 회전운동축 (4b) 이 액츄에이터 (2) 의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에 회전운동 자유롭게 걸어맞춤하고, 하단부인 하단 슬라이드핀 (4c) 이, 후술하는 레버장착판 (5) 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걸어맞춤하여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한 쌍의 레버부재 (3,4) 는, 2색성형법에 의한 성형가공시에, 도 l3, 도 1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의 교차부위인 연결핀 (3d) 을 핀삽입구멍 (4d) 에 끼워맞춘 상태로 성형되고, 내측 레버부재 (3) 와 외측 레버부재 (4) 가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각각의 경사전도각부 (3a,4a) 의 경사전도각도의 변화에 따라서, 레버부재 (3,4) 의 상단부인 상단 슬라이드축 (3b) , 및 상단 회전운동축 (4b) 의 높이가 변화하게 되어 있다.
상기 내측 레버부재 (3) 의 하단부인, 하단 회전운동축 (3c) 및 하단 회전운동핀 (3e) 을 회전운동 자유롭게, 또한, 외측 레버부재 (4) 의 하단부인, 하단 슬라이드핀 (4c) 을 슬라이드 자유롭게, 각각 걸어맞추기 위한 레버장착판 (5) 을, 도 15 내지 도 18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레버장착판 (5) 은, 스테인리스판 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스가공 등에 의해 외형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레버장착판 (5) 은, 대략 직사각형의 베이스부 (5a) 를 가지며, 이 베이스부 (5a) 의 대략 중앙부에, 후술하는 탄성부재 (8) 를 삽입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투과구멍 (5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7 에 나타내는 베이스부 (5a) 의 좌단부에 치우친 상하측부에는, 한 쌍의 제 1 절기부 (5c)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투과구멍 (5b) 의 도시하는 우측 베이스부 (5a) 의 상하에는, 한 쌍의 제 2 절기부 (5d)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 2 절기부 (5c,5d) 는,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형상이 대략 L 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절기부 (5c) 에는, U 자형상의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5e) 가 형성되며, 외측 레버부재 (4) 의 하단부인 하단 슬라이드핀 (4c) 이 슬라이드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 2 절기부 (5d) 에는,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5e) 보다 얇은 U 자형상의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가 형성되며, 내측 레버부재 (3) 의 하단부인 하단 회전운동핀 (3e) 이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7 에 나타내는 한 쌍의 제 2 절기부 (5d,5d) 사이의 대략 중앙부이므로, 도 18 에 나타내는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의 개구부 부근에는, 베이스부 (5a) 를 윗방향으로 돌출형성하여 볼록부 (5g) 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 (5g) 에 의해서,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의 측면형상의 개구부가 좁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에 내측 레버부재 (3) 의 하단부인 하단 회전운동핀 (3e) 을 밀어넣어 걸어맞춤시키면, 하단 회전운동축 (3c) 이 볼록부 (5g) 에 의해 스냅인되며, 하단 회전운동핀 (3e) 이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내에 걸어맞춤하여 회전운동 자유롭게 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5e) , 및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는, 개구부의 개구방향이 도시하는 우측방향의 각각 동일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5e) , 및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에, 한 쌍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동일 방향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레버장착판 (5) 에 한 쌍의 레버부재 (3,4) 를 장착할 수 있어,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또한,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 2 절기부 (5d) 가 형성된 도시하는 상하의 양단부가 절기하여져 한 쌍의 걸림부 (5h) 가 형성되며, 이 걸림부 (5h) 에 의해서, 레버장착판 (5) 이 후술하는 유지플레이트 (6) 에 임시 고정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 (5h) 는, 도 1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 (5a) 의 상하방향인 폭방향의 양단부를 절기하여 측벽 (5j) 을 형성하고, 이 측벽 (5j) 은, 서로 대향하여, 베이스부 (5a) 의 일방으로 치우쳐 폭방향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걸림부 (5h) 는, 측벽 (5j) 이 베이스부 (5a) 로부터 대략 직각으로 절기하여짐과 동시에, 도 26 의 요부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부 (5a) 와 접속하는 절기부의 일부를 베이스부 (5a) 에서 절단분리하여, 후크부 (5k)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후크부 (5k) 는, 베이스부 (5a) 에서 절단분리 형성한 일단부 (5u) 가 폭방향의 외측에 돌출하는 경사형상으로 형성하고, 타단부가 측벽 (5j,5j) 의 상부를 연결하는 가이드부 (5s) 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부 (5s) 는, 도 2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곡선 (5r) 으로, 측벽 (5j) 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내로 절곡되어 경사져 있고, 후크부 (5k) 는, 가이드부 (5s) 의 경사각도에 따라 경사하고, 일단부 (5u) 가 측벽 (5j) 으로부터 외측으로 비어져 나온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7 에 나타내는 베이스부 (5a) 는, 폭방향의 양단부의 걸림부 (5h) 사이에 있는 부분으로부터 더욱 일방으로 치우쳐 도시하는 우측의 외측으로 연장시켜 평탄형상의 제 1 빠짐방지부 (5p)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부 (5a) 는, 도시하는 좌측의 타방으로 치우친 위치의 일부를 절기하여 서로 대향하는 위치결정부 (5m) 를 형성하고, 이 위치결정부 (5m) 로부터 더욱 타방으로 치우쳐 도시하는 좌측의 외측으로 연장시켜, 평탄형상의 제 2 빠짐방지부 (5n)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버장착판 (5) 의 걸림부 (5h) 를 스냅인 하기 위한 유지플레이트 (6) 는, 스테인리스판 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키배열판이고,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키스위치의 키배열에 따라서, 프레스가공 등에 의해 복수의 장착구멍 (6a) 이 천공형성되어 있다.
상기 장착구멍 (6a) 은,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측면 (6b) 와 한 쌍의 제 2 측면 (6c) 에 둘러싸이고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유지플레이트 (6) 의 바깥둘레부로 치우친 곳에는, 작은 환형상의 복수의 위치결정구멍 (6d) 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플레이트 (6) 는, 상기한 바와 같은 1장의 키배열판 뿐만 아니라, 예컨대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분할선 N 으로 분할하여, 공통플레이트 (6e) 와 변경플레이트 (6f) 로 n 복수의 키배열판으로 분할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유지플레이트 (6) 의 장착구멍 (6a) 에, 레버장착판 (5) 을 스냅인하여 임시로 고정하기 위해서는, 도 2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무장착판 (5) 을 유지플레이트 (6) 의 하부에 위치시키고, 도시하는 상측에 레버장착판 (5) 을 밀어 올리면, 후크부 (5k) 가 서로 대향하는 제 2 측면 (6c) 에 따라 탄성변형하면서 윗방향으로 압입된다.
그리고, 후크부 (5k) 의 일단부 (5u) 가 장착구멍 (6a) 으로부터 빠져나가고, 후크부 (5k) 는 자신의 탄성력으로 초기 상태로 복귀하여, 일단부 (5u) 가 유지플레이트 (6) 의 표면에 맞닿아, 레버장착판 (5) 이 장착구멍 (6a) 에 스냅인되어, 장착구멍 (6a) 으로부터 아래방향으로 빠짐방지 된다.
이 때의 레버장착판 (5) 은, 도 17 에 나타내는 베이스부 (5a) 의 우단부에 형성한 제 1 빠짐방지부 (5p) 와 좌단부에 형성한 제 2 빠짐방지부 (5n) 가 유지플레이트 (6) 의 이면에 맞닿고, 레버장착판 (5) 은 장착구멍 (6a) 으로부터 윗방향, 및 아래방향의 양방향에 빠짐방지되어 임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장착구멍 (6a) 에 임시로 고정된 레버장착판 (5) 은, 도 17 에 나타내는 걸림부 (5h) 의 일단면인 우측단면과, 위치결정부 (5m) 의 좌측단면이, 장착구멍 (6a) 의 서로 대향하는 제 1 측면 (6b) 에 각각 맞닿아, 레버장착판 (5) 의 움직임이 규제되게 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장착판 (5) 을 임시로 고정한 유지플레이트 (6) 의 하부에는, 복수의 스위치소자를 갖는 멤브레인스위치 (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멤브레인스위치 (7) 는, 도 2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성의 필름시트 (7a) 상에 스위치소자인, 서로 대향하는 제 1 과 제 2 전극 (7b,7c) 이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제 2 전극 (7b,7c) 은, 후술하는 탄성부재 (8) 의 도전부 (8b) 가 접촉함으로써, 전기적으로 도통해서 스위치 ON 상태가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 2 전극 (7b,7c) 의 주변에는, 제 1, 제 2 전극 (7b,7c) 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소정의 두께의 레지스트막 (7d) 이 형성되며, 이 레지스트막 (7d) 에 의해, 제 1, 제 2 전극 (7b,7c) 으로부터 인출된 배선패턴 (도시생략) 의 상면이 덮여져 절연되어 있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전극 (7b,7c) 근방의 필름시트 (7a) 에는, 공기구멍 (도시생략) 이 천공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 2 전극 (7b,7c) 상에는, 내부가 돔형상으로 형성된 탄성부재 (8) 가 형성되어 있다. 이 탄성부재 (8) 는, 내부의 돔형상의 천장부로부터 아래방향으로 돌출하여 가압돌기 (8a) 가 형성되며, 이 가압돌기 (8a) 의 하단부에는, 도전성의 막으로 이루어지는 도전부 (8b) 가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부재 (8) 에는, 돔형상의 천장부로부터 윗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형상의 정상부 (8c) 가 형성되고, 이 정상부 (8c) 는 직경이 치수 C 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돔형상의 하부에는 스커트부 (8d) 가 형성되며, 이 스커트부 (8d) 가, 접착제 등으로 멤브레인스위치 (7) 의 레지스트막 (7d) 상에 고착되어, 멤브레인스위치 (7) 와 탄성부재 (8) 가 일체화되어 있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멤브레인스위치 (7) 의 하부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평탄형상의 메탈플레이트 (9)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메탈플레이트 (9) 에는, 멤브레인스위치 (7) 의 공기구멍 (도시생략) 이 위치하는 부분에, 동일 크기의 공기구멍 (도시생략) 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탄성부재 (8) 가 가압되어 변형하였을 때에, 탄성부재 (8)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도피되어, 탄성부재 (8) 의 변형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메탈플레이트 (9) 상에는, 멤브레인스위치 (7) 를 탑재하고, 이 멤브레인스위치 (7) 상에 레버장착판 (5) 을 임시로 고정한 유지플레이트가 탑재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키스위치장치의 조립을 도 23 내지 도 25 에 따라서 설명하면, 우선, 도 2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종재성형에 의해 일체화된 한 쌍의 레버부재 (3,4) 의 각각의 하단부를, 레버장착판 (5) 에 장착하는 레버장착판 l차 반제품의 조립은, 내측 레버부재 (3) 의 하단부인 하단 회전운동핀 (3e) 을, 제 2 절기부 (5d) 의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의 개구부 근방에 위치시키고, 외측레버부재 (4) 의 하단부인 하단 슬라이드핀 (4c) 을 제 l 절기부 (5c) 의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5e) 의 개구부 근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한 쌍의 레버부재 (3,4) 를 도시하는 우측에서 좌측인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이동시키면, 외측 레버부재 (4) 의 하단 슬라이드핀 (4c) 이 화살표 D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 l 절기부 (5c) 의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5e) 에 걸어맞춤한다.
또한, 내측 레버부재 (3) 의 하단 회전운동핀 (3e) 이 화살표 E 방향으로 이동하여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에 삽입한다. 그렇게 되면, 하단 회전운동축 (3c) 이 볼록부 (5g) 에 의해서 만곡하여 도시하는 좌방향으로 이동하고, 하단 회전운동핀 (3e) 이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에 스냅인되어 빠짐방지 된다.
그리고, 하단 회전운동핀 (3e) 은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내에서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되고, 하단 슬라이드핀 (4c) 은,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5e) 내에서 슬라이드 자유롭게 된다.
이러한 한 쌍의 레버부재 (3,4) 의 하단부를 레버장착판 (5) 에 장착시키는 레버장착판 1차 반제품의 조립은, 레버장착판 (5) 의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5e) 와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5f) 가, 각각 동일 방향이 해방되어 있기 때문에, 서로의 교차부위로 연결된 한 쌍의 레버부재 (3,4) 를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레버장착판 (5) 에 장착시킬 수 있어,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다음으로, 레버장착판 (5) 에 장착한 한 쌍의 레버부재 (3,4) 의 상단부에, 액츄에이터 (2) 를 장착하는 레버장착판 2차 반제품의 조립은, 도 2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장착판 1차 반제품의 한 쌍의 레버부재 (3,4) 를 X자형상으로 교차시킨 상태로 한다.
이 X자형상으로 교차시킨 한 쌍의 레버부재의, 외측 레버부재 (4) 의 상단 회전운동축 (4b) 근방에, 액츄에이터 (2) 의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의 개구부 (2j) 를 위치시켜, 내측 레버부재 (3) 의 상단 슬라이드축 (3b) 근방에, 액츄에이터 (2) 의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의 개구부 (2p) 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2) 의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측에서, 장착면 (2a) 과 평행의 화살표 H 의 가중을 가하면, 액츄에이터 (2) 가 도시하는 우측에서 좌측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가 화살표 F 방향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에 내측 레버부재 (3) 의 상단 슬라이드축 (3b) 이 삽입되어 슬라이드가 자유롭게 된다.
또한,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가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하고,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에 외측 레버부재 (4) 의 상단 회전운동축 (4b) 이 스냅인되어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된다.
이러한 레버장착판 2차 반제품은,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g) 와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2m) 와의 개구부의 개구방향이, 각각 동일 방향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액츄에이터 (2) 를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액츄에이터 (2) 를 한 쌍의 레버부재 (3,4) 에 장착할 수 있어서,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다음에, 액츄에이터 (2) 를 장착시킨 레버장착판 2차 반제품을, 유지플레이트 (6) 의 장착구멍 (6a) 에 스냅인시켜 임시로 고정하는 유지플레이트 l차 반제품의 조립공정은, 도 2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레버장착판 2차 반제품을 유지플레이트 (6) 의 장착구멍 (6a) 의 하부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레버장착판 (5) 을 화살표 J 의 상측으로 밀어 올리면, 레버장착판 (5) 의 걸림부 (5h) 가 장착구멍 (6a) 내에 압입되어 스냅인됨과 동시에, 제 1 과 제 2 빠짐방지부 (5p,5n) 가, 유지플레이트 (6) 의 이면에 맞닿아 빠짐방지되며, 레버장착판 2차 반제품이 유지플레이트 (6) 에 임시로 고정되어, 유지플레이트 1차 반제품이 조립된다.
이러한 유지플레이트 1차 반제품의 조립은, 복수의 레버장착판 2차 반제품을, 유지플레이트 (6) 에 형성한 복수의 장착구멍 (6a) 과 동일 위치에 정렬시키고, 레버장착판 (5) 을 복수의 장착구멍 (6a) 에 한번에 스냅인하여, 원터치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이러한 순서로 조립된 유지플레이트 1차 반제품은, 레버장착판 (5) 에 회전방향의 비틀림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장착판 (5) 의 걸림부 (5h) 의 도시하는 하부의 일단면이 장착구멍 (6a) 의 제 1 측면 (6b) 의 일방에 맞닿고, 위치결정부 (5m) 가 장착구멍 (6a) 의 제 1 측면 (6b) 의 타방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레버장착판 (5) 에 회전방향의 비틀림력이 가해졌다고 해도, 이 비틀림을 규제할 수 있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위치결정부 (5m) 를, 유지플레이트 (6) 의 장착구멍 (6a) 의 제 1 측면 (6b) 에 따라, 복수개 형성함으로써, 레버장착판 (5) 을 더욱 확실하게 비틀림 규제할 수 있다.
다음에, 유지플레이트 1차 반제품의 액츄에이터 (2) 에, 키톱 (1) 을 장착하는 유지플레이트 2차 반제품의 조립은, 유지플레이트 1차 반제품의 액츄에이터 (2) 의 빠짐방지부 (2b) 에 키톱 (1) 의 돌기부 (1b) 를 위치시켜, 십자형상의 가압부 (1d) 를, 각각 압접편 (2e) 사이에 위치맞춤 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 (2) 의 장착면 (2a) 의 하면측을 도시하지 않은 지그에 탑재하여, 키톱 (1) 을 지그 등으로 상측으로부터 가압하면, 돌기부 (1b) 가 빠짐방지부 (2b) 에 압입된다.
이 때,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4개의 압접변 (2e) 의 선단부 (2f) 가, 각각 돌기부 (1b) 의 4개의 측면 (1c) 에 압접하고, 키톱 (l) 이 액츄에이터 (2) 에 빠짐방지되어 장착되고, 유지플레이트 2차 반제품이 조립된다.
이 유지플레이트 2차 반제품의 조립은, 복수의 키톱 (1) 을 복수의 액츄에이터 (2) 의 빠짐방지부 (2b) 에 위치결정하여, 복수의 키톱을 1회의 압입작업으로 동시에 압입할 수 있어,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다음으로, 도 1 에 나타내는 메탈플레이트 (9) 상에, 탄성부재 (8) 를 일체화한 멤브레인스위치 (7) 를 탑재하여, 이 멤브레인스위치 (7) 상에 키톱 (l) 을 장착한 유지플레이트 반제품을 탑재한다.
그렇게 하면, 레버장착판 (5) 의 중앙부의 복수의 투과구멍 (5b) 에 복수의 탄성부재 (8) 가 삽입통과하여 위치하며, 탄성부재 (8) 의 정상부 (8c) 가 키톱 (l) 의 십자형상의 가압부 (1d) 에 맞닿아, 키톱 (1) 이 도시하는 상측으로 탄성지지되어, 한 쌍의 레버부재 (3,4) 가 상승하여,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X자형상이 된다.
이러한 순서로 조립된 본 발명의 키스위치장치는, 도 1 에 나타내는 키톱 (1) 을 아래방향으로 가압하여 강하시키면, X자형상으로 교차하고 있던 한 쌍의 레버부재 (3,4) 의 경사전도각부 (3a,4a) 가 경사전도하여 대략 수평상태로 된다.
그러면, 돔형상의 탄성부재 (8) 가 키톱 (1) 의 가압부 (1d) 에 직접 가압되어 변형하여 좌굴하며, 이 좌굴에 의해서 탄성부재 (8) 에 클릭감이 생기는 동시에, 탄성부재 (8) 의 도전부 (8b) 가 멤브레인스위치 (7) 의 제 l, 제 2 전극 (7b,7c) 에 접촉하여, 제 1, 제 2 전극 (7b,7c) 이 전기적으로 도통한다.
그리고, 제 1, 제 2 전극 (7b,7c) 으로 이루어지는 스위치소자가 스위치 ON 으로 되어 스위칭동작이 행하여진다.
이 때의 탄성부재 (8) 는, 키톱 (1) 에 직접 맞닿아 탄성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 (8) 에 생기는 클릭감이 직접 키톱 (1) 에 전달되어, 키톱 (1) 의 조작필링이 좋다.
상기 스위치소자가 스위치 ON 의 상태로부터, 키톱 (1) 에 가해져 있던 가압력을 해제하면, 좌굴하고 있던 탄성부재 (8) 가, 자신의 탄성력으로 원래의 돔형상의 형상으로 복귀한다. 그러면, 키톱 (1) 의 가압부 (lb) 가 탄성부재 (8) 로 직접 윗방향으로 밀어 올려져 상승한다.
그리고, 한 쌍의 레버부재 (3,4) 의 경사전도각부 (3a,4a) 가, 도 1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 상태의 X자형상의 교차상태에 복귀한다. 또한, 탄성부재 (8) 가 원래의 돔형상으로 복귀함으로써, 제 1, 제 2 전극부 (7b,7c) 에 접촉하여 도통하고 있던 도전부 (8b) 가 상승하여, 스위치소자가 스위치 OFF 된다.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로서는, 레버장착판 (5) 의 걸림부 (5h) 의 형상을,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걸림부 (5h) 의 그 밖의 형태로서, 도 27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후크부 (5k) 를 측벽 (5j) 의 단부에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즉, 걸림부 (5h) 의 측벽 (5j) 은, 베이스부 (5a) 와 접속하는 절기한부분의 일부를 베이스부 (5a) 에서 절단분리하여 후크부 (5k) 를 형성하고, 이 후크부 (5k) 는, 베이스부 (5a) 에서 절단분리하여 형성한 일단부가 폭방향의 바깥방향에 돌출하는 경사형상으로 형성하여, 이 후크부 (5k) 를 장착구멍 (6a) 에 스냅인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도 27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부 (5h) 는, 베이스부 (5a) 으로부터 직각형상으로 절기한 측벽 (5j) 을 가지며, 이 측벽 (5j) 의 일부에, 베이스부 (5a) 의 폭방향의 바깥방향에 돌출하는 반구형상의 돌출부 (5t) 를 형성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돌출부 (5t) 는, 도 27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 (5j) 의 일부에 돌출부 (5t) 를 형성하며, 이 돌출부 (5t) 는, 원호형상의 정상부가 측벽 (5j) 으로부터 절단분리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돌출부 (5t) 는, 도 27D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 (5j) 의 일부를 구형상으로 돌출시킨 것이어도 된다.
즉, 걸림부 (5h) 는, 베이스부 (5a) 로부터 직각형상으로 절기한 측벽 (5j) 의 일부에, 베이스부 (5a) 의 폭방향의 바깥방향에 돌출하는 돌출부 (5t) 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 (5t) 로 장착구멍 (6a) 에 걸림부 (5h) 를 스냅인하도록 한 것이어도 된다.
이상 서술한 바와 같이, 레버장착판에는, 유지플레이트에 스냅인가능한 걸림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걸림부를 유지플레이트에 스냅인하는 것만으로, 유지플레이트에 레버장착판을 원터치로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조립이 간단하게 되어,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하다.
또한, 상기 레버장착판은, 평탄형상의 베이스부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는 베이스부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절기한 측벽을 서로 대향시켜 형성하고, 상기 유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부를 스냅인가능한 장착구멍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걸림부를 장착구멍에 스냅인하는 것만으로 유지플레이트에 레버장착판을 임시로 고정할 수 있어, 조립성이 더욱 좋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측벽의 일부에, 상기 폭방향의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로 상기 장착구멍에 상기 걸림부를 스냅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돌출부에 의해서 걸림부를 장착구멍에 확실하게 스냅인하여 빠짐방지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의 상기 측벽은, 상기 베이스부와 접속하는 절기부의 일부를 상기 베이스부에서 절단분리하여 후크부를 형성하고, 이 후크부는, 상기 베이스부에서 절단분리하여 형성한 일단부가 상기 폭방향의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경사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크부를 상기 장착구멍에 스냅인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레버장착판을 장착구멍에 스냅인한 레버장착판을, 더욱 확실하게 빠짐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의 타방으로 치우친 위치의 일부를 절기하여 위치결정부를 형성하며, 상기 걸림부를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장착구멍의 제 2 측면에 압접하여 스냅인하면, 걸림부의 일단면이 장착구멍의 제 1 내면의 일방에 맞닿고, 상기 위치결정부가 제 2 내면의 타방에 맞닿도록 하였기 때문에, 장착구멍에 스냅인하여 임시로 고정한 레버장착판의 움직임이 규제되어, 외부로부터 레버장착판에 회전방향의 비틀림력이 가해져도, 레버장착판이 비틀려 장착구멍으로부터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레버장착판의 걸림부를 장착구멍에 스냅인하면, 레버장착판의 제 l 과 제 2 빠짐방지부가 유지플레이트의 이면에 맞닿기 때문에, 레버장착판의 걸림부를 장착구멍에 스냅인할 때의 가압력을 제 1, 제 2 빠짐방지부에서 받아내어, 레버장착판을 유지플레이트에 확실하게 임시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립방법은, 레버장착판을 유지플레이트의 아래방향으로부터 유지플레이트에 형성한 장착구멍에 스냅인하고, 유지플레이트에 레버장착판을 장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레버장착판을 유지플레이트의 장착구멍에 스냅인함으로써, 레버장착판을 유지플레이트에 원터치로 장착할 수 있어, 조립이 간단하여, 조립의 자동화가 용이한 키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레버장착판은, 장착구멍에 스냅인 가능한 걸림부를 가지며, 유지플레이트의 아래방향에 위치시킨 레버장착판을 윗방향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장착구멍에 걸림부를 스냅인시키도록 하였기 때문에, 레버장착판을 아래방향으로부터 윗방향 밀어 올리는 것만으로, 걸림부를 장착구멍에 원터치로 스냅인할 수 있어, 더욱 조립이 간단하게 되어 자동화가 용이하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련하는 키스위치장치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의 평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키톱의 정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하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요부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액츄에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의 측면도이다.
도 8 은 도 6 의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내측 레버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0 은 도 9 의 측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외측 레버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2 는 도 11 의 측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한 쌍의 레버부재를 일체화한 평면도이다.
도 14 는 도 13 의 측면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상부측면도이다.
도 16 은 도 15 의 좌측면도이다.
도 17 은 도 15 의 평면도이다.
도 18 은 도 17 의 정면도이다.
도 19 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지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도 20 은 도 19 의 측면도이다.
도 21 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유지플레이트와 레버장착판을 일체화한 도이다.
도 22 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멤브레인스위치에 탄성부재를 장착한 단면도이다.
도 23 은 본 발명의 키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4 는 본 발명의 키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5 는 본 발명의 키스위치장치의 조립방법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26 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레버장착판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27 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레버장착판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키톱 1a 조작면 1b 돌기부
1c 측면 1d 가압부 2 액츄에이터
2b 빠짐방지부 2e 압접편 2g 회전운동 걸어맞춤부
2m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3 내측 레버부재
4 외측 레버부재 5 레버장착판 5c 제 1 절기(切起)부
5d 제 2 절기부 5e 슬라이드 걸어맞춤부

Claims (19)

  1. 서로의 교차부위를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연결하는 한쌍의 레버부재와, 이들 한쌍의 레버부재에 지지되어 승강이 자유로운 키톱과, 이 키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키톱의 승강동작에 수반하여 스위칭동작 가능한 스위치소자를 구비한 키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각각의 하단부를 걸어맞춤 가능한 레버장착판을 가지며, 이 레버장착판을 장착 가능한 유지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레버장착판에는, 상기 유지플레이트에 스냅인(snap-in) 가능한 걸림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장착판은, 평탄형상의 베이스부를 갖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절기(切起)한 측벽을 서로 대향시켜 형성하고, 상기 유지플레이트에는, 상기 걸림부를 스냅인가능한 장착구멍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측벽의 일부에, 상기 폭방향의 바깥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이 돌출부에서 상기 장착구멍에 상기 걸림부를 스냅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상기 측벽은, 상기 베이스부와 접속하는 절기부의 일부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분리하여 후크부를 형성하고, 이 후크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하여 형성한 일단부가 상기 폭방향의 외방에 돌출하는 경사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후크부를 상기 장착구멍에 스냅인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플레이트의 상기 장착구멍은,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제 1 측면과 한쌍의 제 2 측면으로 둘러싸여 형상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베이스의 일방으로 치우쳐 상기 양단부에 형성하고, 상기 베이스의 타방으로 치우치는 위치의 일부를 절기하여 위치결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를 서로 대향하는 한쌍의 상기 제 2 측면에 스냅인하면, 상기 걸림부의 일단면이 상기 제 1 측면의 일방에 맞닿고, 상기 위치결정부가 상기 제 2 측면의 타방에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양 단부의 상기 걸림부에 사이에 있는 부분으로부터 추가로 상기 일방으로 치우쳐 외측으로 연장시켜서 제 1 빠짐방지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위치결정부로부터 추가로 타방으로 치우쳐 외측으로 연장시켜서 제 2 빠짐방지부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를 상기 장착구멍에 스냅인하면, 상기 제 1 과 제 2 의 빠짐방지부가 상기 유지플레이트의 이면에 맞닿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
  7. 서로의 교차부위를 회전운동 자유롭게 연결하는 한쌍의 레버부재와, 키톱의 승강동작에 수반하여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상기 상단부가 승강 가능하게 되고,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각각 걸어맞춤시킨 레버장착판을, 유지플레이트의 하방으로부터 유지플레이트에 형성한 장착구멍에 스냅인하여, 상기 유지플레이트에 상기 레버장착판을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의 조립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장착판은, 상기 장착구멍에 스냅인가능한 걸림부를 가지며, 상기 유지플레이트의 아래방향에 위치시킨 상기 레버장착판을 윗방향으로 밀어 올림으로써, 상기 장착구멍에 상기 걸림부를 스냅인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의 조립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서로의 교차부위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하는 한쌍의 레버부재와, 이들 한쌍의 레버부재에 지지되어 승강이 자유로운 키톱과, 이 키톱을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와, 상기 키톱의 승강동작에 따라 스위칭 동작이 가능한 스위치소자를 구비한 키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각각의 하단부를 걸어맞춤 가능한 레버장착판을 가지며, 이 레버장착판을 유지 플레이트에 장착하여 상기 스위치소자상에 탑재하고, 상기 레버장착판은,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일방의 하단부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걸어맞춤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회전운동 걸어맞춤부와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타방의 하단부를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걸어맞춤 가능한 개구부를 갖는 슬라이드 걸어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회전운동 걸어맞춤부와 상기 슬라이드 걸어맞춤부의 상기 개구부의 개구방향을 각각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장착판은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레버장착판의 일방측에 한쌍의 제 1 절기부를 형성하고, 이 제 1 절기부에 상기 개구부를 갖는 상기 슬라이드 걸어맞춤부를 U 자형으로 형성하고, 이 U 자형의 상기 슬라이드 걸어맞춤부를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변을 평행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기부로부터 떨어진 상기 레버장착판의 타방측에 한쌍의 제 2 절기부를 형성하고, 이 제 2 절기부에 상기 회전운동 걸어맞춤부를 U 자형으로 형성하고, 이 회전운동 걸어맞춤부를 구성하는 서로 대향하는 2 개의 변중 일방, 또는 양방의 상기 개구부 근방에, 이 개구부의 폭을 좁게 하는 볼록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
  18. 서로의 교차부위를 회전운동이 자유롭도록 연결하는 한쌍의 레버부재와, 탄성부재가 탄성지지하는 키톱의 승강동작에 따라 액츄에이터를 통하여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상기 상단부가 승강가능하게 하고,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는 레버장착판에 각각 걸어맞춤 가능하게 하고,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상기 하단부를 상기 레버장착판상에 위치시키고,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를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하단부를 상기 레버장착판에 걸어맞춰 조립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의 조립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는, 상기 일방으로부터 타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레버장착판에 형성한 회전운동 걸어맞춤부에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일방의 하단부가 스냅인걸어맞춤하여 회전운동이 자유로워짐과 동시에, 상기 레버장착판에 형성한 슬라이드 걸어맞춤부에 상기 한쌍의 레버부재의 타방의 하단부가 슬라이드 걸어맞춤하여 슬라이드가 자유로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스위치 장치의 조립방법.
KR10-2001-0045743A 2000-08-07 2001-07-28 키스위치 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KR100478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44046A JP3889209B2 (ja) 2000-08-07 2000-08-07 キースイッチ及びこのキースイッチの組立方法
JPJP-P-2000-00244046 2000-08-07
JP2000244048A JP4071425B2 (ja) 2000-08-07 2000-08-07 キーボード装置
JPJP-P-2000-00244048 2000-08-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494A KR20020012494A (ko) 2002-02-16
KR100478745B1 true KR100478745B1 (ko) 2005-03-28

Family

ID=2659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5743A KR100478745B1 (ko) 2000-08-07 2001-07-28 키스위치 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624369B2 (ko)
KR (1) KR100478745B1 (ko)
TW (1) TW5350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180775B1 (en) * 2000-08-07 2003-12-17 Alps Electric Co., Ltd. Keyswitch having a keytop which is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method of assembling same
US6550993B2 (en) * 2001-08-29 2003-04-22 Shin-Jiuh Corp. Keyboard structure with latch sections and retaining sections
TWM323076U (en) * 2007-06-20 2007-12-01 Darfon Electronics Corp Key structure
JP2009200542A (ja) * 2008-02-19 2009-09-03 Panasonic Corp リモコン送信機
CN102637540A (zh) * 2011-02-10 2012-08-15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键盘装置的按键结构
CN103165107B (zh) * 2011-12-13 2015-05-13 金宝电子(中国)有限公司 键盘模块的组装设备及键盘模块的组装方法
TWI489322B (zh) * 2012-07-13 2015-06-21 Wistron Corp 易於拆裝之按鍵機構
US9502193B2 (en) 2012-10-30 2016-11-22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US9449772B2 (en) * 2012-10-30 2016-09-20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s using butterfly hinges
US9710069B2 (en) 2012-10-30 2017-07-18 Apple Inc. Flexible printed circuit having flex tails upon which keyboard keycaps are coupled
CN105144017B (zh) 2013-02-06 2018-11-23 苹果公司 具有可动态调整的外观和功能的输入/输出设备
TWM458600U (zh) * 2013-03-29 2013-08-01 Inhon Internat Corp Ltd 按鍵之鍵帽結構
JP6103543B2 (ja) 2013-05-27 2017-03-29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短行程スイッチアッセンブリ
US9908310B2 (en) 2013-07-10 2018-03-06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a reduced friction surface
WO2015047661A1 (en) 2013-09-30 2015-04-02 Apple Inc. Keycaps with reduced thickness
WO2015047606A1 (en) 2013-09-30 2015-04-02 Apple Inc. Keycaps having reduced thickness
US9793066B1 (en) 2014-01-31 2017-10-17 Apple Inc. Keyboard hinge mechanism
US9779889B2 (en) 2014-03-24 2017-10-03 Apple Inc. Scissor mechanism features for a keyboard
US9704665B2 (en) 2014-05-19 2017-07-11 Apple Inc. Backlit keyboard including reflective component
US9715978B2 (en) 2014-05-27 2017-07-25 Apple Inc. Low travel switch assembly
WO2016025890A1 (en) 2014-08-15 2016-02-18 Apple Inc. Fabric keyboard
US10082880B1 (en) 2014-08-28 2018-09-25 Apple Inc. System level features of a keyboard
US10134539B2 (en) 2014-09-30 2018-11-20 Apple Inc. Venting system and shield for keyboard
TWI564924B (zh) * 2015-01-30 2017-01-01 致伸科技股份有限公司 鍵盤模組及具有鍵盤模組之筆記型電腦
US9997304B2 (en) 2015-05-13 2018-06-12 Apple Inc.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WO2016183498A1 (en) 2015-05-13 2016-11-17 Apple Inc. Low-travel key mechanism for an input device
WO2016183510A1 (en) 2015-05-13 2016-11-17 Knopf Eric A Keyboard for electronic device
CN205959841U (zh) 2015-05-13 2017-02-15 苹果公司 电子设备和键盘组件
US9934915B2 (en) 2015-06-10 2018-04-03 Apple Inc. Reduced layer keyboard stack-up
US9971084B2 (en) 2015-09-28 2018-05-15 Apple Inc. Illumination structure for uniform illumination of keys
US10353485B1 (en) 2016-07-27 2019-07-16 Apple Inc. Multifunction input device with an embedded capacitive sensing layer
US10115544B2 (en) 2016-08-08 2018-10-30 Apple Inc. Singulated keyboard assemblies and methods for assembling a keyboard
US10755877B1 (en) 2016-08-29 2020-08-25 Apple Inc. Keyboard for an electronic device
US11500538B2 (en) 2016-09-13 2022-11-15 Apple Inc. Keyless keyboard with force sensing and haptic feedback
TWI627558B (zh) * 2017-06-30 2018-06-21 達方電子股份有限公司 按鍵結構及其組裝方法
US10775850B2 (en) 2017-07-26 2020-09-15 Apple Inc. Computer with keyboar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499A (ko) * 2000-08-07 2002-02-16 가타오카 마사타카 승강가능한 키톱을 갖는 키스위치 및 그 조립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50391B2 (ja) * 1992-07-17 1999-09-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JPH1064361A (ja) 1996-08-21 1998-03-06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ボード装置
TW390480U (en) * 1998-07-23 2000-05-11 Hon Hai Prec Ind Co Ltd Keyboard switch for a compu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2499A (ko) * 2000-08-07 2002-02-16 가타오카 마사타카 승강가능한 키톱을 갖는 키스위치 및 그 조립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24369B2 (en) 2003-09-23
KR20020012494A (ko) 2002-02-16
TW535098B (en) 2003-06-01
US20020014398A1 (en) 200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8745B1 (ko) 키스위치 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JP4487821B2 (ja) 複合操作型電子部品
US5769210A (en) Scissors-type key switch
US7173200B2 (en) Key switch
KR100478746B1 (ko) 키스위치 장치 및 그의 조립방법
JP2001351478A (ja) 多方向スイッチ
US6118092A (en) Key switch for keyboard
EP1203387B1 (en) Button assembly
KR100392678B1 (ko) 키 스위치
US6268578B1 (en) Key switch used in a keyboard
EP1063664B1 (en) Multi-directional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manual switches
JP3766252B2 (ja) スイッチ装置
US6909062B2 (en) Key-switch device corresponding to miniaturized notebook-size personal computer with reduced-thickness
JP4071425B2 (ja) キーボード装置
CN111900009B (zh) 底板结构和按键组件
JP3630138B2 (ja) キースイッチ装置
JP3889209B2 (ja) キースイッチ及びこのキースイッチの組立方法
JP2002056739A (ja) キースイッチ
JP3790384B2 (ja) 多方向スイッチ
JP4341916B2 (ja) スイッチの作動機構
JP2002056742A (ja) キースイッチ及びこのキースイッチの組立方法
JP3958082B2 (ja) 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4201682B2 (ja) 二段押圧スイッチ
JP2823379B2 (ja) 押釦スイツチ
JPH10261349A (ja) 多方向押圧型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30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