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2118B1 - 자동차공조기용도어개폐장치및도어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공조기용도어개폐장치및도어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2118B1
KR100392118B1 KR1019970034743A KR19970034743A KR100392118B1 KR 100392118 B1 KR100392118 B1 KR 100392118B1 KR 1019970034743 A KR1019970034743 A KR 1019970034743A KR 19970034743 A KR19970034743 A KR 19970034743A KR 100392118 B1 KR100392118 B1 KR 100392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arget position
position data
actuator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4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645A (ko
Inventor
에츠타카 오카자토
Original Assignee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칼소닉 칸세이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80008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2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2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공조기용 도어개폐제어장치는 송출공기온도를 조절하는 공기혼합기용 도어와, 소정의 목표위치데이타를 기초로 상기 공기혼합용 도어를 구동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공기혼합기용 도어를 최적의 개폐도로 항상 설정하도록 상기 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여러 가지 입력신호 상의 동작을 행하여 얻어지는 캐빈 내부의 목표온도와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초기목표위치 데이타로부터 소정의 중간제어파라메터를 산출하고, 중간제어파라메터값에 따라서 연속으로 초기목표위치데이타를 교정하며 상기 내부메모리에 교정된 목표위치데이타를 저장하여 메모리의 내용을 갱신하고, 양방향 시리얼 통신에 의해 상기 목표위치데이타를 상기 액튜에이터에 전송하는 것을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따라 메모리에 제어파라메터(목표개폐도)Xm가 저장되고, 메모리에 저장된 Xm값이 PBR값 대신에 사용되어 종래제어시스템에 의해 편차S값이 산출된다. 제1차 지연의 변화량ΔXm이 S값에 따라서 얻어지고 Xm값이 교정된다. 교정된 Xm값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갱신되는 한편 지령값으로서 공기혼합용 도어의 액튜에이터로 전송된다.

Description

자동차공조기용 도어개폐제어장치 및 도어 설정방법
본 발명은 자동차공조기용으로서 동일한 종류의 액튜에이터를 다수 사용하는 도어개폐제어장치 및 도어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통신라인 상에서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면서 자동증폭기를 통해 액튜에이터를 광범위하게 제어하기 위해 IC를 포함하는 PBR액튜에이터에 도어구동용 액튜에이터가 함께 모두 결합되어있는 형태의 제어시스템(이하 "공조LAN스템"이라함)은 하니스의 수를 줄이고 시스템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것으로서 자동차공조기용 액튜에이터시스템으로서 현재 발전해왔다.
그런데, 제3도의 흐름도에 나타낸 방법은 공조LAN시스템 이외에 일반 자동차공조기에있어서 종래 공기혼합제어방법으로서 유용하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하고 여기서는 간단하게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공조기용 메인본체는 자동차의 내외측공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하는 흡인유니트, 냉각싸이클을 형성하는 증발기가 포함된 냉각유니트,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공기혼합용 도어와함께 가열공기량을 제어하기위해 엔진냉각수를 순환시키는 가열코어로 구성된다.
공기혼합기용 도어를 구동시키기위한 액튜에이터(공기혼합용 도어의 액튜에이터)를 제어하기 위해 먼저, 스텝S21에서 셋업 온도, 캐빈 온도, 외측공기온도, 태양 방사량, 흡인온도(냉각 유니트 출구에서의 공기온도, 즉 온도조절을 하는 가열유니트에 흡입되는 공기온도)와 같은 여러 가지 입력데이타값을 입력하여 스텝S22에서 소정의 산출식에 따라서 캐빈의 목표온도(목표실온)을 산출하고, 이후 스텝S23에서 PBR에 의해 검출된 도어 개폐도값(PBR값)을 입력하고, 스텝S24에서 링크 등을 고려하여 PBR특성에 따라서 소정의 산출식을 이용하여 공기혼합용 도어의 현재 개폐도X를 산출한다. 그리고, 스텝S25에서 스텝S22에서 얻어진 목표실온으로부터 소정의 산출식에 따라서 자동증폭기가 편차S값을 산출한다.
S값이 얻어지면 스텝S26에서 자동증폭기가 S값을 ±2℃와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로서 S값이 -2℃ 보다 작으면 스텝S27에서 액튜에이터를 냉각측으로 구동시키고, S값이 -2℃ ∼+2℃ 범위에 있으면 자동증폭기는 스텝S28에서 액튜에이터를 유지한다. S값이 +2℃ 보다 크면 스텝S29에서 자동증폭기는 액튜에이터를 가열측으로 구동시킨다. 스텝S26 - 스텝S29의 종료로 자동증폭기는 스텝S21로 복귀하고, 소정의 짧은 제어싸이클로 스텝S21과 그 다음 스텝들을 반복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공기 혼합제어방법은 공조LAN시스템에 적용되지 않는다.이 방법이 시스템에 적용될 수 없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공조LAN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증폭기는 단순히 제어데이타(목표위치)를 액튜에이터에 전송하고 목표위치에 따라서 현재위치를 감시하면서 액튜에이터는 스스로 도어에 대한 특정위치조절을 행하므로 검출된 PBR값이 공기혼합용도어의 액튜에이터에서 처리되어 자동증폭기로 피드백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조LAN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용의 새로운 공조혼합제어방법(제어프로그램)을 창출할 필요가 있다. 이때 상기 종래의 제어프로그램(제3도참조)을 근간으로 최소한의 변형만이 필요할 경우 종래의 기술(제어시스템)을 참고로 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개발단계의 수를 줄이고 제어프로그램의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공기혼합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제어프로그램에 대해 최소한의 변형을 행하여 이루어지는 공조LAN시스템에 적합한 자동차공조기의 공기혼합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에 따라서 이루어지는 자동차공조기용 공기혼합제어장치는 송출공기온도를 조절하는 공기혼합기용 도어와, 소정의 목표위치데이타를 기초로 상기 공기혼합용 도어를 구동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공기혼합용 도어를 최적의 개폐도로 항상 설정하도록 상기 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여러 가지 입력신호 상의 동작을 행하여 얻어지는 캐빈내부의 목표온도와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초기 목표위치데이타로부터 소정의 중간제어파라메터를 산출하고, 중간제어파라메터값에 따라서 연속으로 초기목표위치데이타를 교정하며, 상기 내부메모리에 교정된 목표위치데이타를 저장하여 메모리의 내용을 갱신하고, 양방향 시리얼 통신에 의해 상기 목표위치데이타를 상기 액튜에이터에 전송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양태에 따라 이루어지는 자동차공조기용 공기혼합용 도어의 설정방법은 캐빈내의 목표온도를 얻기위해 여러 가지 입력신호로 동작을 행하고, 초기목표위치데이타를 설정하고, 목표온도와 초기목표위치데이타를 기초로 소정의 중간제어파라메터를 산출하고, 중간제어파라메터값에 따라서 연속하여 초기목표위치데이타를 교정하고, 교정된 목표위치데이타를 저장하고, 공기혼합용 도어를 구동하는 액튜에이터에 목표위치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수단은 여러 가지 입력신호 상의 동작을 행하여 얻어지는 캐빈내의 목표온도와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목표위치데이타로부터 소정의 중간제어파라메터를 산출하고, 얻어진 중간제어파라메터값에 따라서 연속적으로 목표위치데이타를 교정하며, 메모리 내에 제어파라메터로서 교정된 목표위치데이타를 저장하여 메모리 내용을 갱신하고, 양방향 시리얼 통신으로 목표위치데이타를 액튜에이터(공기혼합용 도어의 액튜에이터)에 전송한다. 교정된 목표위치데이타를 수신하면 공기혼합용도어의 액튜에이터는 수신된 목표위치데이타와 위치검출수단의 출력(공기혼합용도어의 현재위치)에 의해 모터의 회전방향(정회전, 역회전 또는 정지)을 결정하고, 실질적으로 결정된 결과에 따라서 모터를 제어한다. 이때, 중간제어파라메터가 종래의 공기혼합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파라메터(예를들어 편차S값)와 같게되면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산출이 가능하게되어 프로그램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있다. 액튜에이터에 주어진 지령값(목표위치)이 결과적으로 종래의 제어파라메터를 기초로 산출된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따른 실시예로서 자동차용 공조기의 공기혼합제어장치에 대한 개략적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자동차용 공조기의 본체를 형성하는 히터유니트(1)에 포함된 히터코어(2)는 온수(예를들어 엔진냉각수)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한다. 이 히터코어(2)로부터 상류측에는 송출공기온도를 조절하는 공기혼합용 도어(3)가 선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공기혼합용 도어(3)는 히터코어(2)를 통과하는 공기와 히터코어(2)를 우회하는 공기 간의 비율을 조절한다. 즉 공기혼합용 도어(3)는 히터코어(2)로부터 상류에 배치된 증발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냉각된 공기가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어(2)를 통과함으로써 얻어지는 온풍의 양과 증발기를 통과하고 히터코어(2)를 우회하는 냉풍의 양 사이의 비율을 조절하게 된다. 공기혼합용 도어(3)의 개방에 의해 냉풍과 온풍의 혼합비가 결정되고, 이 혼합비에 의해 캐빈에 송출된 공기온도(송출공기온도)가 결정된다. 공기혼합용 도어(3)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그 한계위치로 정해진 A위치(완전냉각위치)와 B위치(완전가열위치)사이를 자유롭게 선회하며, 공기혼합용 도어(3)가 A위치(완전냉각위치), 온도혼합용 도어(3)의 개방이 0%가 되고, 증발기를 통과하는 모든 냉각수가 히터코어(2)를 우회하여 캐빈에 직접 송출되면서 최대냉각을 제공한다. 공기혼합용 도어(3)가 B위치(완전가열위치)에 있을 때 공기혼합용 도어(3)의 개방이 100%가 되고, 증발기를 통해 흐르는 모든 냉각수가 히터코어(2)를 통과하여 가열됨으로써 온풍이 캐빈에 송출되어 최대 가열상태를 제공한다.
공기혼합용 도어(3)는 공기혼합용 액튜에이터(4a)에 의해 링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개폐된다. 또한 디프(dsaf)도어, 벤트도어 풋(foot)도어와 같은 흡입도어 및 모드도어(도시하지 않음)가 흡입도어 액튜에이터(4b) 및 모드도어 액튜에이터(4c)에 의해 링크(도시하지않음)를 통해 개폐된다.
자동차용 공조기는 공조기 LAN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즉, 모든 액튜에이터(4a-4c)는 같은 타입이다. 이러한 타입의 액튜에이터(4)는 소위 PBR모터 액튜에이터로서 대응도어를 구동시키기위한 모터, 전압으로 도어의 현재위치를 검출하기위한 PBR(potentio balance resister)(6), 시스템 전용의 커스톰IC(7)를 포함한다. 위치검출수단은 PBR(6)로 제조되고, 제어회로는 커스톰IC(7)로 제조된다. 가변저항인 PBR(6)은 액튜에이터(4)의 샤프트와 연관하여 이동하면서 도어위치(개폐정도)에 대응하는 모터회전위치를 전압값으로 변환하여 그 전압값을 출력한다. 모터(5) 및 PBR(6)은 커스톰IC(7)에 접속된다.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커스톰IC(7)는 후술할 자동증폭기와 연결되어 소정의 목표위치데이터 및 PBR(6)의 출력에 따라서 모터(5)의 회전방향 즉 정회전 ,역회전 또는 정지를 결정한다. 즉, 커스톰IC(7)는 외부시스템과 연결되는 기능을 가지고 모터(5)의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모터(5)의 구동신호를 출력시킨다. 커스톰IC(7)는 액튜에이터(4)가 스스로 모터(5)의 정지제어(위치조절제어)를 행하도록 한다. 예를들면 커스톰IC(7)는 액튜에이터(4)에 배치된 회로기판(도시하지않음)에 장착된다.
액튜에이터(4a-4c)는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자동증폭기(8)에의해 광범위하게 제어된다. 제어수단은 자동증폭기(8)로 제조된다. 물론 자동증폭기(8)는 내부메모리(9)를 포함한다. 자동증폭기(8) 및 액튜에이터(4a-4c)는 하나의 전력라인(10)과 하나의 통신라인(11)에 의해 접속되고, 특히 액튜에이터용 전력라인(10)하나와 통신라인(11) 하나가 자동증폭기(8)에 접속되는 한편 지류선이 뻗어나와 액튜에이터(4a-4c)에 연결된다. 각 액튜에이터(4)에는 접지라인(11)이 제공된다. 따라서 각 액튜에이터(4a-4c)는 하나의 전력라인(10), 하나의 통신라인(11), 하나의 접지라인(12)을 가지며, 자동증폭기(8)와 액튜에이터(4a-4c) 사이의 하니스의 개수는 전체 9개가 되고, 이 수치는 종래의 일반시스템과 비교하여 현저히 줄어든 수치가 된다.
여기에, 자동증폭기(8)와 액튜에이터(4a-4c) 사이에 전달되는 통신신호가 단지 하나의 양방향 통신라인(11)(일-라인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통신신호가 하나의 통신라인(11) 위에 전송되므로 시스템은 정보를 시리즈로 전송하는 시리얼 통신을 이용한다. 즉, 시스템에 있어서 자동증폭기(8)는 액튜에이터(4a-4c)를 제어회기위해 시리얼통신을 이용한다.
자동증폭기(8)와 액튜에이터(4a-4c) 사이에 전송되는 통신신호(시리얼신호)는 소정의 포맷으로 형성된다. 예를들면 통신라인(11)을 통해 전송되는 통신신호(시리얼신호)는 액튜에이터 인식정보(어드레스)(ADR), 모터/액튜에이터 정지신호(ENA), 목표위치신호(DATA), 자동증폭기(8)로부터 액튜에이터(4a-4c)로 보내진 정보로서의 에러감지정보(PRTY), 액튜에이터(4a-4c)로부터 자동증폭기(8)로 보내진 정보로서 목표위치도착정보(POS)를 포함한다. ADR(어드레스)는 통신신호가 전달되는 액튜에이터의 어드레스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즉, 시스템에서 동시에 자동증폭기(8)로부터 모든 액튜에이터(4a-4c)에 공통신호가 전달되며, 이에따라 ADR신호는 통신신호가 어느 액튜에이터를 지시하는가를 나타낸다. DATA(데이타)는 각 액튜에이터(4a-4c)에 대응하는 제어신호, 즉 자동증폭기(8)의 산출결과로서 도어목표정지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공기혼합제어에서 공기혼합용 도어(3)의 목표위치(개폐도)지령값은 자동증폭기(8)로부터 공기혼합용 도어액튜에이터(4a)로 제어파라메터로서 전송된다.
스위치(15), 표시부(14)를 포함하는 작동/표시부(13)는 자동증폭기(8)에 접속되며, 스위치(15)로는 예를들어 콤퓨레서(도시하지 않음)를 턴온하고 공조기를 시동하는 공조기스위치(15a), 캐빈 내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스위치(15b)를 들 수 있다. 자동증폭기(8) , 작동/표시부(13)는 예를들어 하나의 제어기로 일체화되어 있다. 배터리(도시하지않음)는 제어기에 접속된다. 전력은 배터리로부터 자동증폭기(8) 및 전력라인(10)을 경유하여 액튜에이터(4a-4c)에 공급된다. 예를들어 캐빈 내의 공기온도(실온)를 검출하는 내측공기센서(16), 외측온도를 검출하는 외측공기센서(17), 일사량을 검출하는 일사량센서(18),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온도를 검출하는 흡인온도센서(19) 등이 자동증폭기(8)에 접속된다. 자동증폭기(8)는 센서, 스위치 등의 신호를 입력하여 이 입력신호로 작동하여 예를들어 도어목표정지위치와 같은 액튜에이터(4a-4c)를 구동시키기 위한 정보를 하나의 통신라인(11)상에서 전송한다. 각 액튜에이터(42-4c)는 도어를 선회전시키는 모터(5)를 구동시키고 목표정지위치에 도어를 근접시키는 한편 자동증폭기(8)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목표위치)에 반응하여 전압으로 도어의 현재위치를 표시하는 PBR(6)의 출력을 감시한다.
이와같이 공조LAN시스템의 공기혼합제어에 있어서 공기혼합도어(3)의 개폐도를 나타내는 PBR값은 이상과 같이 자동증폭기(8)로 귀환하지 않으므로 제3도의 종래제어방식으로 실행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S값을 갖는 종래의 제어방식 대신에 공기혼합용 도어(3)의 목표위치(계폐도)가 제어파라메터(제어변수)로서 산출되고, 이 데이터는 공기혼합용 도어 액튜에이터(4a)로 보내진다. 이때 종래의 제어시스템을 충분히 이용함으로써 제어프로그램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종래S값을 중간제어파라메터로서 이용하며, 제어파라메터(목표위치Xm)가 S값에 반응하여 교정된다.
제2도는 자동증폭기(8)의 공기혼합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스텝S3를 제외한 스텝S1-S6은 제3도에 나타낸 종래의 공정(스텝S23을 제외한 스텝S21-S26) 과 유사하다. 스텝S3, 스텝S7, 그 이후의 스텝들은 새로운 스텝들이다.
변형된 제어프로그램이 개시되면 자동증폭기(8)는 스텝S1에서 온도조절스위치(15b)로부터의 세트업온도, 내측공기센서(16)로부터의 캐빈온도, 일사량센서(18)로부터의 일사량, 흡인온도센서(19)로부터의 흡인온도와 같은 여러가지 데이터값을 입력하고, 스텝S2에서 소정의 산출식(제3도의 스텝S22에서 사용된 바와같은 식)에따라서 미리 설정된 차량의 열평형상수를 이용하여 캐빈 내의 흡인공기목표온도(Tm)를 산출한다.
다음에, 자동증폭기(8)는 스텝S3에서 메모리(9)에 저장된 제어파라메터(도어개폐도목표값)(Xm)을 입력하여 스텝S4에서 소정의 산출식(예를들어 제3도의 스텝S24와 같은 식)을 이용하여 공기혼합용 도어 개폐도 X를 산출한다. 적절한 소정의 값(예를들어 0.5(50%), 등)이 제어파라메터Xm의 초기값으로서 메모리에 입력된다. 이와같이 도어개폐도X를 산출하는데 메모리값이 사용되는 이유는 종래 시스템에서와 같이 PBR값이 입력되지 않기 때문이다.
다음에, 자동증폭기(8)가 스텝S2에서 얻은 목표실온Tm과 스텝S4에서 얻은 도어개폐도X를 이용하여 스텝S5에서 다음 산출식에 따라서 중간 제어파라메터와 같은 편차S를 산출한다.
S=Tm -(FX +G)(82-Tint)-Tint
식중 Tint 는 흡인온도, F 및 G 는 상수를 각각 나타낸다. 이 식은 제3도의 스텝S25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다.
S값을 얻으면 자동증폭기(8)는 스텝S6에서 S값과 ±2℃를 비교한다. 이 비교결과로서 S값이 -2℃ 보다 작으면 자동증폭기(8)는 제어파라메터Xm의 값을 약간 감소시키고, S값이 -2℃ ∼ +2℃ 범위에 위치하면 자동증폭기(8)가 Xm값을 그대로 유지하고, S값이+2℃ 보다 크면 자동증폭기(8)는 Xm을 약간 감소시킨다. 자동증폭기(8)는 메모리(9)에 Xm값을 저장시켜 메모리(9)의 내용을 갱신한다.
이때, Xm값이 0 ∼ 1 범위(0% ∼ 100%)에 있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면 제어파라메터Xm의 변화량ΔXm의 산출방법으로 여러 가지가 가능하게된다. 여기서, 변화량ΔXm은 한예로서 시상수의 제1차 지연에 따라서 결정된다.
즉, 조정된 변수 Xσ가 설정되고, 그 스텝S6에서의 비교결과가 사용된다. S값이 -2℃ 보다 작을 때 스텝S7에서 조절변수Xσ는 0(Xσ =0)으로 설정되고, S값이 -2℃ ∼ +2℃ 범위에 있을 때 스텝S8에서 조절변수 Xσ는 현재값 Xm(Xσ = Xm)으로 설정되며, S값이 +2℃ 보다 클 때 스텝S9에서 조절 변수Xσ는 1(Xσ=1)로 설정된다. 그러면 변화량ΔXm은 스텝S10에서 다음식으로 산출된다.
ΔXm = (Xσ-Xm)/τ
변화량ΔXm이 얻어질 때 여기에 현재Xm값이 추가되어 제어파라메터Xm값을 교정한다. 즉 스템S11에서 Xm =Xm +ΔXm이 된다.
스텝S11에서의 교정된 Xm값은 스텝S12에서 메모리에 저장되고, 이후 스텝S14에서 공기혼합용 도어 액튜에이터(4a)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데이타로서 통신라인(11) 상에서 공기혼합용 도어 액튜에이터(4a)로 전송된다.
스텝S14의 종료와함께 자동증폭기(8)는 스텝S1로 복귀하고, 짧은 주기로 스텝S1의 실행과 다음스텝을 반복하며, 이에따라 액튜에이터(4a)는 연속하여 보내진 교정 지령값(목표개폐도)에 반응하여 공기혼합용 도어(3)의 위치조절제어를 행한다. 즉, 공기혼합용도어의 위치제어조절을 행하면서 연속하여 최적방향으로 공기혼합용 도어(3)의 목표개폐도를 변화시켜 공기혼합용 도어(3)를 항상 최적개폐도로 설정한다.
S값에 반응하여 변화량ΔXm의 산출방법은 전술한 방법(S값에 따라서 최종값으로서 0 또는 1을 가지는 제1차지연변화)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떠한 적절한 방법도 채택될 수 있다. 예를들어 S값의 표시에 따라서 소정의 값P를 가감하는 방법, S값의 크기에 따라서 ΔXm의 절대값Q(S)을 산출하고 S값의 표시(Xm=Xm±Q(S))에 따라서 가감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스스로 액튜에이터가 공기혼합용 도어의 특정위치조절제어를 행하는 공기혼합용 제어시스템에서 액튜에이터(목표위치)에 전송된 제어파라메터는 소정의 중간제어파라메터를 기초로 산출된다. 따라서 중간제어파라메터가 종래의 공기혼합제어시스템에서의 제어파라메터와 같으면 종래의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산출될 수 있으며 프로그램의 변형을 최소화하게된다. 따라서, 전개단계의 개수가 감소되고, 추가로 제어프로그램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공기혼합용 도어 및 그 제어장치에 적용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들어 상술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흡인도어, 디프도어, 벤트도어, 풋도어와 같은 모드도어를 제어하는데도 사용이 가능하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공조기용 도어개폐제어장치를 나타내는 개략적 블록도.
제2도는 자동증폭기의 도어개폐제어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
제3도는 종래의 도어개폐제어시스템을 나타내는 흐름도.

Claims (4)

  1. 임의의 개폐도로 개페되는 도어와,
    소정의 목표위치데이타를 기초로 상기 도어를 구동시키는 액튜에이터와,
    상기 도어를 최적의 개폐도로 항상 설정하도록 상기 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여러 가지 입력신호 상의 동작을 행하여 얻어지는 캐빈 내부의 목표온도와 내부메모리에 저장된 초기목표위치데이타로부터 소정의 중간제어파라메터를 산출하고,
    중간제어파라메터값에 따라서 연속으로 초기목표위치데이타를 교정하며,
    교정된 목표위치데이타를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여 메모리의 내용을 갱신하고,
    양방향 시리얼 통신에 의해 상기 목표위치데이타를 상기 액튜에이터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공조기용 도어개폐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튜에이터는
    상기 도어를 구동시키는 모터와,
    전압으로서 상기 도어의 현재위치를 출력하는 위치검출수단과,
    목표위치데이타 및 상기 위치검출수단의 출력에 따라서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공조기용 도어개폐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러 가지 입력신호는 자동차에 배치된 온도조절수단으로부터의 셋업 온도 뿐만아니라 그밖에 캐빈온도, 외측온도, 일사량, 흡인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공조기용 도어개폐제어장치.
  4. 자동차공조기의 도어를 최적의 개폐도로 설정하기위한 방법에 있어서,
    캐빈내의 목표온도를 얻기위해 여러 가지 입력신호로 동작을 행하고,
    초기목표위치데이타를 설정하고,
    목표온도와 초기목표위치데이타를 기초로 소정의 중간제어파라메터를 산출하고,
    중간제어파라메터값에 따라서 연속하여 초기목표위치데이타를 교정하고,
    교정된 목표위치데이타를 저장하고,
    상기 도어를 구동하는 액튜에이터에 목표위치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공조기의 공기혼합용 도어의 설정방법.
KR1019970034743A 1996-07-24 1997-07-24 자동차공조기용도어개폐장치및도어설정방법 KR1003921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194933 1996-07-24
JP19493396A JP3539825B2 (ja) 1996-07-24 1996-07-24 自動車用空調装置のエアミックス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45A KR980008645A (ko) 1998-04-30
KR100392118B1 true KR100392118B1 (ko) 2003-10-23

Family

ID=16332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4743A KR100392118B1 (ko) 1996-07-24 1997-07-24 자동차공조기용도어개폐장치및도어설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04293A (ko)
EP (1) EP0820886B1 (ko)
JP (1) JP3539825B2 (ko)
KR (1) KR100392118B1 (ko)
DE (1) DE69723162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60190A1 (de) 1999-12-14 2001-07-05 Bosch Gmbh Robert Regelventil
US20030052180A1 (en) * 2001-09-19 2003-03-20 Trw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ddresses for plural actuators connected to a bus
DE60303742T2 (de) * 2002-05-15 2006-08-10 Sanden Corp., Isesaki Steuereinrichtung
JP4202188B2 (ja) 2003-05-22 2008-12-24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用サーボモータの制御装置
KR100941807B1 (ko) * 2008-04-17 2010-0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FR2939364B1 (fr) 2008-12-05 2010-11-19 Michelin Soc Tech Bande de roulement comportant des incisions et des cavites
US11458813B2 (en) * 2019-12-10 2022-10-04 Valeo North America, Inc. 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assembly for managing air mixing door kinematics and method for manag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5219A (en) * 1981-06-11 1982-12-16 Nippon Denso Co Ltd Controll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automobile
DE3128527A1 (de) * 1981-07-18 1983-02-10 Basf Ag, 6700 Ludwigshafen Neue 3,4,5,6-tetrahydro-1,2,4,6-thiatriazin(3,5)-dion-1,1-dioxid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in der bekaempfung unerwuenschten pflanzenwuchses
JPS5939333A (ja) * 1982-08-31 1984-03-03 Yoshikawa Kogyo Kk 微細粉コークスの造粒法
JPS61211110A (ja) * 1985-03-15 1986-09-19 Diesel Kiki Co Ltd 車輛用空気調和装置
JP2573864B2 (ja) * 1988-05-20 1997-01-22 株式会社ゼクセル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2519297B2 (ja) * 1988-05-20 1996-07-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用空調機の温度制御装置
JP2572635B2 (ja) * 1988-07-04 1997-01-16 株式会社ゼクセル 自動車用空調装置のエアミクスドア制御装置
US4930698A (en) * 1989-06-06 1990-06-05 Diesel Kiki Co., Ltd. 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 air-conditioners
US5646865A (en) * 1994-10-27 1997-07-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Automotive diagnostic communicatio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645A (ko) 1998-04-30
EP0820886A2 (en) 1998-01-28
DE69723162T2 (de) 2004-01-15
US5904293A (en) 1999-05-18
EP0820886B1 (en) 2003-07-02
JP3539825B2 (ja) 2004-07-07
EP0820886A3 (en) 2000-03-08
JPH1035255A (ja) 1998-02-10
DE69723162D1 (de) 2003-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5658A (en)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air conditioning system
KR100392118B1 (ko) 자동차공조기용도어개폐장치및도어설정방법
US20030051491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with automatic air-conditioning control
US4852798A (en) Air conditioning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EP1132224A2 (en) Vehicle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353371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S5934915A (ja) 自動車の空調制御装置
US20210101446A1 (en) Temperature adjustment device controller for convertible vehicle
JPS6238163B2 (ko)
JP2817291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3398512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エアミックス制御装置
JP3029569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3212132B2 (ja) 車両用空調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H0349042Y2 (ko)
JP3325428B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2665808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JP3783980B2 (ja) 車両用エアコンシステムのドア制御装置
JP3569974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311834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573373Y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S58221715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H1115732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4169321A (ja) 車両用オートエアコン装置の制御方法
JPH01226414A (ja) 自動車用空調制御装置
JPH057228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0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