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1807B1 -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1807B1
KR100941807B1 KR1020080035773A KR20080035773A KR100941807B1 KR 100941807 B1 KR100941807 B1 KR 100941807B1 KR 1020080035773 A KR1020080035773 A KR 1020080035773A KR 20080035773 A KR20080035773 A KR 20080035773A KR 100941807 B1 KR100941807 B1 KR 100941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grated circuit
unit
actuator
circuit unit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5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0144A (ko
Inventor
윤승현
연동원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5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1807B1/ko
Publication of KR200901101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01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1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1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츄에이터보다 적은 수의 집적회로로 자동차용 액츄에이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조작정도에 따라 출력값이 변하는 것으로, 차량의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및 제3조작부; 상기 제1,2,3조작부의 출력값이 입력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각각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는 제1집적회로부 및 제2집적회로부; 상기 제1조작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1액츄에이터; 상기 제2조작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와 상기 제2집적회로부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로부터 각각 분기된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2액츄에이터; 상기 제3조작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2집적회로부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3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자동차, 공조기, 모드기능, 템프기능, 인테이크기능, 액츄에이터, 집적회로

Description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Control Apparatus for Automobile Actuator}
본 발명은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액츄에이터보다 적은 수의 집적회로로 자동차용 액츄에이터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밸브나 도어와 같은 구동요소를 자동으로 움직이기 위하여 전기동력에 의해 작동되는 액츄에이터가 사용되는바, 상기 액츄에이터는 집적회로(IC;Integrated Circuit)에 의하여 구동된다.
상기한 집적회로와 액츄에이터는 차량의 각 요소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차량용 공조기 같은 곳에도 다수의 집적회로와 액츄에이터가 사용되면서 공조기의 작동을 제어한다.
공조기는 차 실내의 온도, 습도, 공기의 농도 및 흐름을 쾌적하게 유지하는 시스템을 총칭하는 것으로, 통상 에어컨과 히터를 말한다.
이러한 차량용 공조기는 크게 세가지의 기능을 갖는데, 인테이크(Intake), 모드(Mode), 그리고 템프(Temp) 기능이 그것이다.
인테이크 기능은 외부의 공기를 차 실내로 유입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 키는 작동을 선택하는 것이고, 모드 기능은 공조시스템의 덕트에서의 공기를 벤트(vent), 플로워(floor), 디프로스트(defrost) 출구로 나가는 풍향을 제어하는 기능이며, 템프 기능은 냉기와 온기의 혼합량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이러한 기능들은 덕트의 출구에 도어를 설치하여 덕트의 출구가 개폐되는 정도를 조절하여 이루어지는데, 고급승용차에 장착되는 자동식 공조시스템의 경우 도어액츄에이터를 설치하여 ECU(제어부)에 의해서 자동으로 도어를 개폐하거나 각도를 조절하게 되어 있다.
참고로, 인테이크 기능을 위한 도어 액츄에이터는 덕트의 출구를 열거나 닫는 동작만 하는데 비해, 모드 및 템프 기능을 위한 도어 액츄에이터는 도어의 각도를 여러 단계로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그 구성이 인테이크 기능을 위한 도어 액츄에이터와는 다르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부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2는 종래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면 패널에는 공조기를 조작할 수 있는 다수개의 조작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조작부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크게 모드 조작부(1)와 템프 조작부(2) 및 인테이크 조작부(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모드 조작부(1)는 간단하게 설명해서 풍향을 조작하여 공기가 벤트(vent), 플로워(floor), 디프로스트(defrost) 출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합적으 로 나가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템프 조작부(2)는 공조기의 온도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냉기와 온기의 혼합량을 제어하여 원하는 온도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데, 상기 템프 조작부(2)는 냉/온기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리노브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상기 인테이크 조작부(3)는 외부의 공기가 차 실내로 유입되거나 실내공기가 순환되도록 선택하는 것으로, 앞에서 설명한 타 조작부와는 달리 덕트의 출구를 열거나 닫는 동작만을 한다.
이와 같은 각 조작부에 의해서 그에 상응하는 각 액츄에이터가 작동되도록 하는 제어장치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도2에서 보면 상기 모드 조작부(1)와 템프 조작부(2) 및 인테이크 조작부(3)는 소정의 전원(약 5V)을 공급받아 각 조작부의 조작정도에 따라 출력값이 변하는 가변저항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모드 조작부(1)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풍향으로 모드 조작부(1)를 조작하게 되면 그 선택 풍향에 따라 가변저항으로 된 상기 모드 조작부(1)의 가변부의 위치가 변하여 상기 모드 조작부(1)에서 출력되는 전압값이 변하게 되고, 이 출력 전압값은 제어부(10)로 입력되므로,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사용자가 어떤 풍향으로 상기 모드 조작부(1)를 조작했는지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0)에서는 상기 모드 조작부(1)의 출력값에 맞추어 모드 액츄에이터(31)를 제어해야 하는바, 상기 제어부(10)는 집적회로(21)를 통해 상기 모드 액츄에이터(31)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와 상기 집적회로(21), 또 상기 집적회로(21)와 상기 모드 액츄에이터(31)는 각각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을 수 있도록 연결되는데, 이로부터 상기 모드 액츄에이터(31)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상기 모드 조작부(1)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10)와 상기 모드 액츄에이터(31)간에 연결된 제어신호를 통해 어느 하나로 양(+)전원이 인가되고 다른 하나로 음(-)전원이 인가될 때 상기 모드 액츄에이터(31)가 정회전된다면 그와 반대로 전원이 인가될 때는 상기 모드 액츄에이터(31)가 역회전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템프 조작부(2)의 출력값도 상기 제어부(10)에 입력되고, 상기 제어부(10)는 별도의 집적회로(22)를 통해 템프 액츄에이터(32)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게 되는데,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템프 액츄에이터(32)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상기 템프 조작부(2)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인테이크 조작부(3)에서 나오는 출력값도 상기 제어부(10)에 입력되는바, 상기 제어부(10)는 또 다른 별도의 집적회로(23)를 통해 상기 인테이크 액츄에이터(33)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는 각 조작부(1,2,3) 및 액츄에이터(31,32,33) 수에 상당하는 개수의 집적회로(21,22,23)가 사용되어 각 액츄에 이터가 독립적으로 제어될 수 있게 구성되지만, 각 조작부가 동시에 조작될 확률이 거의 없음을 감안하면 액츄에이터가 반드시 독립 제어방식을 추종해야 할 이유가 전혀 없다.
즉, 종래에는 액츄에이터 제어장치가 독립 제어방식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단가가 높은 집적회로가 액츄에이터 수와 동일하게 사용되었지만, 이는 고가의 집적회로를 차량에 다수 적용하게 됨으로써 상품 경제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지적된다.
뿐만 아니라, 상대적 내구성이 약한 집적회로가 많이 사용되면 그만큼 집적회로에 발생될 고장확률이 높아지는 문제점이 있지만, 지금까지는 액츄에이터의 독립제어 방식을 탈피하지 못해 불가피하게 액츄에이터 수에 맞는 집적회로를 사용해 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고가인 집적회로의 개수를 줄여 액츄에이터보다 적은 수의 집적회로로 액츄에이터를 원활하게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특히, 동시에 조작될 확률이 거의 없는 차량용 공조장치의 조작부에 적용함으로써, 상품 조작성능의 질적저하없이 부품수를 줄여 원가절감을 꾀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조작정도에 따라 출력 값이 변하는 것으로, 차량의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1조작부와 제2조작부 및 제3조작부;
상기 제1,2,3조작부의 출력값이 입력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로부터 각각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는 제1집적회로부 및 제2집적회로부;
상기 제1조작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1액츄에이터;
상기 제2조작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와 상기 제2집적회로부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로부터 각각 분기된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2액츄에이터;
상기 제3조작부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2집적회로부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3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 및 상기 제3조작부는 가변저항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저항부에서의 가변 출력값이 상기 제어부로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 만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1집적회로부에는 서로 다른 2종의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집적회로부에는 상기 제1집적회로부로부터 분기된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가 인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 만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1집적회로부에는 동일한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집적회로부에는 상기 제1집적회로부의 신호와 다른 신호가 인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3액츄에이터 만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2집적회로부에는 서로 다른 2종의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집적회로부에는 상기 제2집적회로부로부터 분기된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가 인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조작부는 공조기의 풍향조작 기능(모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조작부는 공조기의 온도조절 기능(템프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3조작부는 공조기의 내외기 선택기능(인테이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 및 상기 제3조작부가 동시에 조작되면, 제1액츄에이터-제2액츄에이터-제3액츄에이터의 순서에 의거하여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조작부는 공조기의 온도조절 기능(템프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조작부는 공조기의 풍향조작 기능(모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3조작부는 공조기의 내외기 선택기능(인테이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조작부와 상기 제2조작부 및 상기 제3조작부가 동시에 조작되면, 제1액츄에이터-제2액츄에이터-제3액츄에이터의 순서에 의거하여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츄에이터보다 적은 수의 집적회로를 사용하여 종래와 동일하게 액츄에이터를 원활히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집적회로의 개수 축소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특히 집적회로의 개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구성이 간단해질 뿐만 아니라 집적회로의 오작동이나 파손에 따른 공조기의 고장횟수가 확률적으로 줄어드는 특유의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의 구성 및 제어구조를 보인 설명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각 액츄에이터에 인가하는 제어신호의 특성을 나타낸 도표이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2개 이상의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대응되는 개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조작부에 의해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기 액츄에이터들은 그 액츄에이터보다 적은 수의 집적회로에 의하여 동작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상기 액츄에이터 수보다 집적회로의 수가 적기 때문에 상기 액츄에이터와 집적회로는 일대일로 대응될 수 없는 바, 상기 집적회로의 개수를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액츄에이터는 상기 집적회로로부터 제어신호를 받아 동작된다.
이것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3 및 도4에 예시한 것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가 제시되는데,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설명의 편의와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세 개의 조작부와 세 개의 액츄에이터 및 두 개의 집적회로로 구성된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 것일 뿐 본 발명에 대한 권리범위가 반드시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
즉,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서는 제시된 실시예와 같은 기술사상을 통해 이와는 다른 개수로 이루어진 조작부와 액츄에이터 및 집적회로에도 용이하게 적용이 가능한 것임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실이다.
이제,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는 크게 제1조작부(110)와 제2조작부(120)와 제3조작부(130), 제어부(200), 제1집적회로부(310) 및 제2집적회로부(320), 제1액츄에이터(410), 제2액츄에이터(420), 제3액츄에이터(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조작부(110)와 제2조작부(120) 및 제3조작부(130)는 자동차에서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그 조작부들을 조작하는 정도에 따라 출력값이 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조작부(110), 제2조작부(120), 제3조작부(130)는 차량의 어느 특정 기능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다양한 종류의 액츄에이터를 조작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조작부(110)와 제2조작부(120) 및 제3조작부(130)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그 출력값이 변화될 수 있는 가변저항부로 이루어지는데, 가변저항은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로 간단하게 설명하면,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10,120,130)를 조작하게 되면 그 조작부의 출력값에 해당되는 가변부(111,121,131)가 가변저항 상에서 움직여 입력라인(112,122,132)과의 사이에 저항치가 변화되므로 상기 조작부의 출력값이 변화된다.
한편, 상기 제어부(200)에는 상기 제1,2,3조작부(110,120,130)에서 나오는 출력값이 입력되므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2,3조작부(110,120,130)의 조작위치(사용자가 조작한 조작부의 설정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별도로 마련된 논리연산이 가능한 컨트롤유닛이어도 무방하지만, 차량에 일반적으로 적용되어 있는 ECU(Electronic Control Unit)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조작부들의 출력값에 의거하여 그 조작부들에 각각 대응되는 액츄에이터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 사이에는 집적회로들이 설치된다.
즉, 첨부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200)와 3개의 액츄에이터(410,420,430) 사이에는 2개의 집적회로(310,320)가 배치되는데, 설명의 편의상 상기 제1조작부(110)와 연관되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는 제1액츄에이터(410), 상기 제2조작부(120)와 연관되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는 제2액츄에이터(420), 상기 제3조작부(130)와 연관되어 작동하는 액츄에이터는 제3액츄에이터(430)라 하고,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 및 제2액츄에이터(420)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집적회로는 제1집적회로부(310),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 및 제3액츄에이터(430)에 공통으로 연결되는 집적회로는 제2집적회로부(320)로 명칭한다.
따라서, 3개의 액츄에이터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2개의 집적회로부가 사용될 수 있는바,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 및 제2집적회로부(320)는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각각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게 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A 단자(311)와 B 단자(312)를 통해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와 연결되고, C 단자(321)와 D 단자(322)를 통해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와 연결되는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각 단자에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어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도4에 나타낸 상기 제어부(200)의 제어신호 중 "1"은 작동전압을 나타내는 약호로 통상적으로 제어용 부품에는 "5V"의 전압이 인가되고, 제어신호 중 "0"은 상기 작동전압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상기"1"과 전위차를 보이는 전압을 나타내며 통상적으로 "0V"를 뜻한다.
이때, 상기 A 단자(311)와 B 단자(312), 또 C 단자(321)와 D 단자(322)는 도4에서와 같이 서로 같은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다시 자세하게 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는 상기 제1조작부(11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A 단자(311)와 B 단 자(312))를 받아서 움직이는데,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의 A 단자(311)에 "1"이 인가되고 B 단자(312)에 "0"이 인가되면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는 정회전을 하도록 설정되고 그 반대이면 역회전을 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는 상기 제2조작부(12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본 실시예에서는 B 단자(312))와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본 실시예에서는 C 단자(321))로부터 각각 분기된 제어신호(본 실시예에서는 E 단자(421)와 F 단자(422))를 받아 움직인다.
즉,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의 B 단자(312)에 "1"을 인가하면 그 제어신호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의 E 단자(421)로도 일부 인가되며, 상기 제어부(200)가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의 C 단자(321)에 "0"을 인가하면 그 제어신호는 상기 제3액츄에이터(430)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의 F 단자(422)로도 일부 인가되어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의 구동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제3액츄에이터(430)는 상기 제3조작부(13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C 단자(321)와 D 단자(322))를 받아 움직인다.
여기서,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 제2액츄에이터(420) 및 제3액츄에이터(430)는 모두 정회전과 역회전이 모두 가능한 양방향 모터로서 입력되는 제어신호의 방향에 따라 정회전과 역회전이 결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어장치에서, 각 조작부와 연관된 각각의 액츄에이터가 구동되는 원리를 도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즉, 통상의 작동 구조에 있어서는 상기 제1조작부(110)만을 조작하면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만 구동되고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와 제3액츄에이터(430)는 정지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가 정회전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의 A 단자(311)에 "1"을, B 단자(312)에 "0"을 인가하면 된다.
상기 B 단자(312)에 "0"이 인가되면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의 E 단자(421)에도 "0"이 인가되므로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가 작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F 단자(422)에 "0"이 인가되어야 하는바, 이를 위해서는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의 C 단자(321)에 "0"이 인가되어야 하고, 상기 제3액츄에이터(430)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D 단자(322)에도 "0"이 인가되어야 한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 만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에는 서로 다른 2종의 제어신호("1"과 "0")를 인가하고,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에는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로부터 분기된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1" 또는 "0")가 인가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 만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에는 모두 동일한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집적회로 부(320)에는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의 신호와 다른 신호가 인가된다.
도4를 참고하면,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의 A 단자(311)와 B 단자(312)에 모두 "1"이 인가되면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는 동작하지 않게 되고, 상기 B 단자(312)에서 분기된 제2액츄에이터(420)의 E 단자(421)로 "1"이 인가된다.
이때,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의 C 단자(321)와 D 단자(322)에 모두 "0"이 인가되면, 상기 제3액츄에이터(430)는 동작하지 않지만, 상기 C 단자(321)에서 분기된 제2액츄에이터(420)의 F 단자(422)로 "0"이 인가되어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가 정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의 역회전은 이와 반대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3액츄에이터(430) 만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에는 서로 다른 2종의 제어신호("1"과 "0")를 인가하고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에는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로부터 분기된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1" 또는 "0")가 인가된다.
즉, 상기 제3액츄에이터(430)가 정회전되기 위해서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의 C 단자(321)에는 "1"이, D 단자(322)에는 "0"이 인가되면, 상기 C 단자(321)에서 분기된 제2액츄에이터(420)의 F 단자(422)에도 "1"이 인가되는바,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의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E 단자(421)에 "1"이 인가되어야 하므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의 B 단자(312)에 "1"이 인가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제1액 츄에이터(410)가 구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A 단자(311)에 "1"이 인가된다.
한편, 상기의 조작부들은 차량의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액츄에이터들을 조작하기 위한 곳에 사용될 수 있지만, 특히 공조기에 적용되는 경우 상기 제1조작부(110)는 공조기의 풍향조작 기능(모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조작부(120)는 공조기의 온도조절 기능(템프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3조작부(130)는 공조기의 내외기 선택 기능(인테이크 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는 풍향조절 도어이며, 제2액츄에이터(420)는 온도조절 도어, 제3액츄에이터(430)는 내외기 제어 도어이다.
또한 이와는 조금 다르게, 상기 제1조작부(110)는 공조기의 온도조절 기능(템프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조작부(120)는 공조기의 풍향조작 기능(모드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3조작부(130)는 공조기의 내외기 선택기능을 수행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는 온도조절 도어, 제2액츄에이터(420)는 풍향조절 도어, 제3액츄에이터(430)는 내외기 제어 도어가 되지만, 상기 제1조작부(110), 제2조작부(120), 제3조작부(130)는 열거한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실시자의 선택에 따라 차량의 다른 기능으로 적절하게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공조기에서 상기 제1조작부(110)와 제2조작부(120) 및 제3조작부(130)가 동시에 조작될 확률은 거의 없으나, 만일 동시에 조작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순차적인 방법에 의하여 제어되도록 상기 제어부(200)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조작부(110)와 상기 제2조작부(120) 및 상기 제3조작부(130)가 동시에 조작되면, 제1액츄에이터(410)-제2액츄에이터(420)-제3액츄에이터(430)의 순서에 의거하여 작동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면, 위에서와 같이 제1조작부(110)와 제1액츄에이터(410)가 모드기능을, 제2조작부(120)와 제2액츄에이터(420)가 템프기능을, 제3조작부(130)와 제3액츄에이터(430)가 인테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경우, 그 세 개의 조작부가 동시에 조작되면 모드 기능을 수행하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가 우선적으로 수행되어 모드기능을 완료한 다음, 제2액츄에이터(420)에 의한 템프 기능과 제3액츄에이터(430)에 의한 인테이크 기능이 순차적으로 실시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형이 가능한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도1은 일반적인 차량용 공조기의 조작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2는 종래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의 구성을 보인 설명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의 구성 및 제어구조를 보인 설명도,
도4는 본 발명의 제어부가 각 액츄에이터에 인가하는 제어신호의 특성을 나타낸 도표.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제1조작부 120 : 제2조작부
130 : 제3조작부 200 : 제어부
310 : 제1집적회로부 311 : A 단자
312 : B 단자 320 : 제2집적회로부
321 : C 단자 322 : D 단자
410 : 제1액츄에이터 420 : 제2액츄에이터
421 : E 단자 422 : F 단자
430 : 제3액츄에이터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조작정도에 따라 출력값이 변하는 것으로, 차량의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1조작부(110)와 제2조작부(120) 및 제3조작부(130);
    상기 제1,2,3조작부(110,120,130)의 출력값이 입력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각각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는 제1집적회로부(310) 및 제2집적회로부(320);
    상기 제1조작부(11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1액츄에이터(410);
    상기 제2조작부(12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와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로부터 각각 분기된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2액츄에이터(420);
    상기 제3조작부(13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3액츄에이터(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작부(110)와 상기 제2조작부(120) 및 상기 제3조작부(130)는 가변저항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저항부에서의 가변 출력값이 상기 제어부(200)로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액츄에이터(410) 만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에는 서로 다른 2종의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에는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로부터 분기된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가 인가되는데,
    상기 집적회로부에 의해 인가된 총 네 개의 제어신호 중 세 개가 동일하고 나머지 하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4. 조작정도에 따라 출력값이 변하는 것으로, 차량의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1조작부(110)와 제2조작부(120) 및 제3조작부(130);
    상기 제1,2,3조작부(110,120,130)의 출력값이 입력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각각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는 제1집적회로부(310) 및 제2집적회로부(320);
    상기 제1조작부(11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1액츄에이터(410);
    상기 제2조작부(12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와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로부터 각각 분기된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2액츄에이터(420);
    상기 제3조작부(13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3액츄에이터(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작부(110)와 상기 제2조작부(120) 및 상기 제3조작부(130)는 가변저항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저항부에서의 가변 출력값이 상기 제어부(200)로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액츄에이터(420) 만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에는 동일한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에는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의 신호와 다른 신호가 인가되는데,
    상기 집적회로부에 의해 인가된 총 네 개의 제어신호 중 두 개씩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5. 조작정도에 따라 출력값이 변하는 것으로, 차량의 서로 다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는 제1조작부(110)와 제2조작부(120) 및 제3조작부(130);
    상기 제1,2,3조작부(110,120,130)의 출력값이 입력되는 제어부(200);
    상기 제어부(200)로부터 각각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는 제1집적회로부(310) 및 제2집적회로부(320);
    상기 제1조작부(11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1액츄에이터(410);
    상기 제2조작부(12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와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 중 어느 하나의 제어신호로부터 각각 분기된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2액츄에이터(420);
    상기 제3조작부(130)에 의해서 구동되는 것으로,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로부터 복수의 제어신호를 받아 움직이는 제3액츄에이터(430);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작부(110)와 상기 제2조작부(120) 및 상기 제3조작부(130)는 가변저항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변저항부에서의 가변 출력값이 상기 제어부(200)로 입력되며,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3액츄에이터(430) 만을 동작시키기 위해,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에는 서로 다른 2종의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제1집적회로부(310)에는 상기 제2집적회로부(320)로부터 분기된 제어신호와 동일한 제어신호가 인가되는데,
    상기 집적회로부에 의해 인가된 총 네 개의 제어신호 중 세 개가 동일하고 나머지 하나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작부(110)는 공조기의 풍향조작 기능(모드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제2조작부(120)는 공조기의 온도조절 기능(템프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제3조작부(130)는 공조기의 내외기 선택기능(인테이크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1조작부(110)와 상기 제2조작부(120) 및 상기 제3조작부(130)가 동시에 조작되면, 제1액츄에이터(410)-제2액츄에이터(420)-제3액츄에이터(430)의 순서에 의거하여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8. 삭제
KR1020080035773A 2008-04-17 2008-04-17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KR100941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773A KR100941807B1 (ko) 2008-04-17 2008-04-17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5773A KR100941807B1 (ko) 2008-04-17 2008-04-17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144A KR20090110144A (ko) 2009-10-21
KR100941807B1 true KR100941807B1 (ko) 2010-02-10

Family

ID=41538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5773A KR100941807B1 (ko) 2008-04-17 2008-04-17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180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00U (ja) * 1992-08-24 1994-03-2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モータ駆動制御回路
KR980008645A (ko) * 1996-07-24 1998-04-30 김광호 자동차공조기용 도어개폐제어장치 및 도어 설정방법
JPH1148741A (ja) * 1997-08-06 1999-02-23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調システム
US6373299B1 (en) * 2000-12-04 2002-04-16 Motorola, Inc. Electric driver circuit and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4400U (ja) * 1992-08-24 1994-03-29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モータ駆動制御回路
KR980008645A (ko) * 1996-07-24 1998-04-30 김광호 자동차공조기용 도어개폐제어장치 및 도어 설정방법
JPH1148741A (ja) * 1997-08-06 1999-02-23 Calsonic Corp 自動車用空調システム
US6373299B1 (en) * 2000-12-04 2002-04-16 Motorola, Inc. Electric driver circuit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0144A (ko) 200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0644B2 (en) System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of a vehicle
US8442752B2 (en) Climate control head with fuel economy indicator
JP6052028B2 (ja) モータ制御装置
US4688389A (en) Automotive air-conditioning system
WO2013065286A1 (ja) 空気調和装置用制御装置
JPS6061324A (ja) 自動制御空調装置
US6383071B1 (en) Vehicular air-conditioning apparatus
KR100941807B1 (ko) 차량용 액츄에이터 제어장치
JP5594274B2 (ja) 空気調和装置用制御装置
JP2012121517A (ja) 空調装置用制御装置
JP5569506B2 (ja) 空気調和装置用制御装置
JP200713734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905005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048285B2 (ja) モータ制御装置
KR100888346B1 (ko) 전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템프 도어 제어방법
KR100578417B1 (ko) 차량 공조기 도어의 구동장치
US20070295476A1 (en) Motor Vehicle Air-Conditioning System Provided With an Additional Heating
KR20070004317A (ko)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
KR200261606Y1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 도어 액츄에이터
RU43501U1 (ru) Блок управления отопительной установкой и/или кондиционером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265682B1 (ko) 에어컨의 냉매의 흐름 조절장치
JP200713734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341923Y2 (ko)
KR100461356B1 (ko) 자동차의공기조화기연동형파워윈도우제어시스템
JP5563432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