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317A -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317A
KR20070004317A KR1020050059820A KR20050059820A KR20070004317A KR 20070004317 A KR20070004317 A KR 20070004317A KR 1020050059820 A KR1020050059820 A KR 1020050059820A KR 20050059820 A KR20050059820 A KR 20050059820A KR 20070004317 A KR20070004317 A KR 2007000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inlet
vehicle
door
inle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9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순
Original Assignee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델파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델파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9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4317A/ko
Publication of KR2007000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60H1/00849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for selectively commanding the induction of outside or inside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021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 B60H1/00035Air flow details of HVAC devices for sending an air stream of uniform temperature in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507Details, e.g. mounting arrangements, desaeration devices
    • B60H1/00557Details of ducts or cables
    • B60H1/00564Details of ducts or cables of air du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캔 시스템(CAN System)이 적용된 자동차의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에어 인렛 도어가 단계적으로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을 조절하여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거나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운전자가 원하는 온도로 냉방이 가능하여 자동 온도조절장치에서의 기술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의 차량에 적용 가능한 자동차의 자동 온도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회동에 의하여 내기 유입구 또는 외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결정하는 에어 인렛 도어와 상기 에어 인렛 도어에 의해 결정된 내기 또는 외기를 압송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로부터 유입되어 통과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 믹스 도어와, 상기 증발기를 통하여 변환된 공기를 차량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에어 덕트와 전자 제어 장치(ECU)로 이루어지는 캔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렛 도어가 5 단계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캔 시스템(Controoler Area Network System), 자동 온도조절장치, 에어 인렛 도어, 내기, 외기, 내기 유입구, 외기 유입구, 회동

Description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FATC for automobile}
도 1,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3, 도 4,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자동 온도조절장치, 10 : 에어 인렛 도어,
11 : 내기 유입구, 13 : 외기 유입구,
20 : 블로워, 30 : 에어컨 증발기,
40 : 에어 믹스 도어, 50 : 에어 덕트,
60 : 에어 벤트.
본 발명은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 량의 상황에 따라 캔 시스템(Controller Area Network System)을 기반으로 하여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내기 및 외기를 조절함으로써 최대 에어컨 성능을 얻을 수 있는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 조건이나, 무더위, 혹한 등 여러가지 기후 조건에 따라 차량 실내를 쾌적한 환경으로 유지하기 위해서 자동 온도조절장치가 구비되며, 이러한 자동 온도조절장치(FATC)는 자동차의 실내 냉, 난방을 위한 에어컨, 히터 등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에어컨이나 히터 등은 운전자 및 실내 승차자가 핸들의 우측 하단에 구비되는 조작 스위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조작가능하게 이루어지며, 자동 온도조절유닛을 구동하여 공기의 통풍 경로를 조절하거나, 에어컨의 압축기를 가동시킴으로써 제어되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자동차의 공조장치는 히터, 에어컨, 블로워, ECU 등의 주요 기능부외에 온풍과 냉풍을 혼합하는 에어믹스도어(AMD)와 풍향을 가변하는 다수개의 댐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자동 온도조절장치(100)는 송풍할 공기의 근원을 차량의 내부공기(이하, 내기)로 할 것인지, 외부의 공기(이하, 외기)로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에어 인렛 도어(110)와 상기 에어 인렛 도어(110)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기를 압송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블로워(Blower, 120)와, 상기 블로 워(12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에어컨 증발기(130)와, 상기 에어컨 증발기(130)를 통과한 냉각된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는 에어 믹스 도어(AMD : Air Mix Door, 140)와, 상기 에어컨 증발기(130)를 경유한 공기를 차량의 각 부위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에어 덕트(150) 및 에어 벤트(160)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온도조절장치(100)를 통하여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통풍 경로에 따른 공기의 흐름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상기 에어 인렛 도어(110)에서 선택된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상기 블로워(120)가 공기를 흡입하여 압송하면 압송된 공기가 에어컨 증발기(130)를 통과한 후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며, 여름철과 같이 차량의 에어컨이 작동되고 있는 경우 압송된 공기가 에어컨 증발기(130)를 통과하면서 냉각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컨 증발기(13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에어 믹스 도어(140)의 상태에 따라서 에어 덕트(150) 및 에어 벤트(160)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자동 온도조절장치는 에어 인렛 도어에 의하여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근원을 외기로 할 것인지, 내기로 할 것인지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에어 인렛 도어에 연결되는 전자 제어 장치(ECU)의 전송 신호에 의하여 차량의 에어컨 동작 시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기로 설정하거나, 외기로 설정함으로써 차량을 냉방시키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ECU는 자동차용 자동온도 조절장치(FATC: 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ler)라고 하며, 마이컴에서 내기온도 센서, 외기온도 센서, 수온 센서, 태양열 센서 등의 각종 센서 및 설정스위치의 입력을 인가받아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하여 각 기능부를 제어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킨다.
한편, 상술한 구조로 인하여 차량의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따른 최대 에어컨의 동작 시 외기의 유입조건이 내기의 유입조건보다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자동 온도 조절장치는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근원을 단지 외기로 할 것인지, 내기로 할 것인지에 대해 결정하도록 이루짐으로써 외기 또는 내기만이 유입되도록 이루어져 있어 최대 에어컨의 성능을 맞추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종래의 자동 온도조절장치는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기로 사용할 경우 에어 인렛 도어를 작동하여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에 공급되는 공기가 외기로 고정되고,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내기로 사용할 경우 에어 인렛 도어를 작동하여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구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를 폐쇄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에 공급되는 공기가 내기로 고정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에 유입되는 공기가 단순히 내기 또는 외기로만 고정되어 차량 내의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거나 유지하기가 어 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자동차의 성능 향상에 따라 한정된 차량의 공간 내에 수용되는 시스템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며, 복잡화되면서 종래의 개별 네트워크가 아닌 버스형 네트워크 시스템의 도입이 상용화되고 있다.
이렇게 버스형 네트워크 시스템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할 경우 개별 시스템이 모듈화되고, 이로 인해 배선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데이터 공유에 의한 정확한 제어가 가능해진다.
일 예로서, 한국공개특허 번호제10-2003-0010890호의 “캔(CAN) 프로토콜을 이용한 자동차의 네트워크 시스템”에 의하면, 『자동차의 바디(Body)를 구성하는 복수의 전장 부품들; 상기 복수의 전장 부품들을 제어하기 위한 복수의 ECU들; 상기 각 ECU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CAN 버스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각 ECU들이 상기 CAN 버스라인을 통한 CAN프로토콜에 의해 네트워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AN 프로토콜을 이용한 자동차의 네트워크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렇게 네트워크화의 진행에 따라 모듈화되는 것을 기반으로 하는 캔 시스템이 차량의 다방면에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며, 캔 시스템의 기술력 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캔 시스템(CAN System)이 적용된 자동차의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에어 인렛 도어가 단계적으로 조 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을 조절하여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거나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운전자가 원하는 온도로 냉방이 가능하여 자동 온도조절장치에서의 기술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의 차량에 적용 가능한 자동차의 자동 온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회동에 의하여 내기 유입구 또는 외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결정하는 에어 인렛 도어와 상기 에어 인렛 도어에 의해 결정된 내기 또는 외기를 압송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로부터 유입되어 통과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와, 상기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 믹스 도어와, 상기 증발기를 통하여 변환된 공기를 차량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에어 덕트와 전자 제어 장치(ECU)로 이루어지는 캔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렛 도어가 5 단계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 인렛 도어가 5 단계 이상의 다단으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회동에 의하여 내기 유입구 또는 외기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결정하는 에어 인렛 도어와 상기 에어 인렛 도어에 의해 결정된 내기 또는 외기를 압송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블로워와, 상기 블로워로부터 유입되어 통과되는 공기 를 냉각시키는 에어컨 증발기와, 상기 에어컨 증발기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 믹스 도어와, 상기 에어컨 증발기를 통하여 변환된 공기를 차량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에어 덕트와 전자 제어 장치(ECU)로 이루어지는 캔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ECU)가 캔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에어 인렛 도어의 단계적인 회동이 갱신 및 보정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자동 온도조절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구조는 종래기술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상기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1)는 크게 에어 인렛 도어(10)와 블로워(20)와 에어컨 증발기(30)와 에어 믹스 도어(40)와 에어 덕트(50)로 구성된다.
여기서, 캔(CAN) 시스템은 통상 고속 캔(High Speed CAN)과 저속 캔(Low Speed CAN)으로 구분하며, 특정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자동차의 전장 부품들을 상호 연계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의하면 다수의 ECU와 자동온도 조절장치(FATC)가 다중-마스터 직렬 통신 버스상으로 연결된다.
상기 에어 인렛 도어(10)는 차량 내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구와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13) 사이의 소정위치에 구비되고, 그 회동 및 구동에 의하여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를 유입시키는 등 선택적인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다.
즉, 상기 에어 인렛 도어(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제어 장치(ECU)가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내기로 설정한다는 신호를 전송할 경우 에어 인렛 도어(10)가 회동되어 내기 유입구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외기 유입구(13)를 폐쇄시켜 내기를 유입시키고, 전자 제어 장치(ECU)가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외기로 설정한다는 신호를 전송할 경우 에어 인렛 도어(10)가 회동되어 외기 유입구(13)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내기 유입구를 폐쇄시켜 외기를 유입시킴으로써 차량에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하게 된다.
상기 블로워(20)는 자동 온도조절장치(1)의 작동에 의하여 구동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전기 제어 장치(ECU)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차량의 에어 인렛 도어(10)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를 강제적인 방식으로 차량 내부로 압송시키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에어컨 증발기(30)는 상기 블로워(20)의 압송에 의하여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를 냉각시키도록 이루어지며, 차량의 냉방을 위하여 주로 여름철에 구동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 덕트(50)는 에어컨 증발기(30)를 통과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거나, 각각의 공기가 혼합되어 적당한 온도로 유지되는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는 등 냉, 난방된 공기를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상기 에어 덕트(50)의 입구측 소정위치에는 에어 벤트(60)가 마련된다.
한편, 상기 에어 믹스 도어(40)는 상기 에어컨 증발기(30)로부터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 등의 공기를 에어 덕트(50)를 통하여 차량의 실내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지는 등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에어 믹스 도어(40)는 상기 에어컨 증발기(3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히터 코어(미도시)로 통과시켜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거나, 에어컨 증발기(3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와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혼합시켜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정한 온도로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여기서, 차량의 내부 유입구와 외부 유입구 사이에 구비되는 에어 인렛 도어(10)는 그 회동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진다. 즉,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를 내기로 할 것인지, 외기로 할 것인지에 따라 내기 유입구 및 외기 유입구(13)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이루어지는 에어 인렛 도어(10)가 단계적으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를 혼합시켜 최대 에어컨 성능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구성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자동 온도조절장치의 구동은 다음과 같다.
먼저, 운전자가 차량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동 온도조절장치(1)를 작동시킴으로써 블로워(20)를 ON 구동시키고, 상기 블로워(20)를 ON 구동시킴과 동시에 에어 인렛 도어(10)를 회동시켜 외기 또는 내기를 차량의 내부로 압송시킨다.
이때, 상기 에어 인렛 도어(10)의 회동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내기 또는 외기는 에어 인렛 도어(10)의 회동 범위에 따라 내기와 외기의 양을 조절하여 유입되도록 한다.
즉, 전자 제어 장치(ECU)에 의하여 최대 에어컨 성능을 위한 공기의 유입 조건이 내기 70%와 외기 30%로 결정될 경우, 전자 제어 장치가 에어 인렛 도어(10)를 내기 유입구(11)에서 외기 유입구(13) 측으로 회동시켜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구(11)가 대략 70%의 개방정도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13)가 대략 30%의 개방정도를 갖도록 폐쇄시킴으로써 내기 70%와 외기 30%를 혼합하여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도록 한다.
그리고, 전자 제어 장치(ECU)에 의하여 최대 에어콘 성능을 위한 공기의 유입 조건이 내기 50%와 외기 50%로 결정될 경우, 전자 제어 장치가 에어 인렛 도어(10)를 내기 유입구(11)와 외기 유입구(13) 사이의 중심부에 위치하도록 회동시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13)가 대략 50%의 개방정도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구(11)가 대략 50%의 개방정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내기 50%와 외기 50%를 혼합하여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도록 한다.
또한, 전자 제어 장치(ECU)에 의하여 최대 에어콘 성능을 위한 공기의 유입 조건이 내기 30%와 외기 70%로 결정될 경우, 전자 제어 장치가 에어 인렛 도어(10)를 외기 유입구(13)에서 내기 유입구(11) 측으로 회동시켜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13)가 대략 70%의 개방정도를 갖도록 함과 동시에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구(11)가 대략 30%의 개방정도를 갖도록 폐쇄시킴으로써 내기 30%와 외기 70%를 혼합하여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으로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가 혼합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외기 또는 내기로만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는 경우 보다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거나 유지하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기 위한 설정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전자 제어 장치(ECU)에 의하여 최대 에어컨 성능을 위한 공기의 유입 조건이 내기 100% 또는 외기 100%로 결정될 경우 전자 제어 장치가 에어 인렛 도어(10)를 외기 유입구(13) 또는 내기 유입구(11) 측으로 회동시켜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구(11) 또는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13)가 100%의 개방정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내기 또는 외기 단독으로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에어 인렛 도어(10)가 5단계로 회동되어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구(11) 및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구(13)의 개방정도를 조절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에어 인렛 도어(10)가 5단계 이상의 단계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최대 에어컨 성능을 위하여 보다 미세한 조절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자 제어 장치(ECU)의 신호에 의해 내기 또는 외기는 블로워(20)에 의하여 압송되고, 상기 블로워(20)에 의하여 압송된 공기는 에어컨 증발기(30)를 통과한 후 히터 코어를 통과하여 에어 덕트(50)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거나, 상기 에어컨 증발기(30)를 통과한 후 직접적으로 에어 덕트(50)를 통해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ECU)가 캔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에어 인렛 도어(10)의 단계적인 회동이 갱신 및 보정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즉, 캔 시스템에 에어 인렛 도어(10)가 다단으로 회동되도록 입력시키고, 입력된 데이터를 전자 제어 장치(ECU)에 전송시키고, 전자 제어 장치(ECU)에 의해 에어 인렛 도어(10)가 다단으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에어 인렛 도어(10)를 다단으로 회동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에어 인렛 도어를 제거하고, 본 발명에 의한 에어 인렛 도어(10)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캔 시스템을 기반으로 전자 제어 장치(ECU)에 의하여 에어 인렛 도어(10)가 다단으로 회동가능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캔 시스템의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갱신 및 보정함으로써 기존의 차량에서도 에어 인렛 도어(10)의 미세한 조정이 가능하여 차량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을 조절하여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출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는 캔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캔 시스템의 갱신 및 보정 등 지속적인 업데이트에 의하여 차량의 내부에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기존의 차량에 캔 시스템을 적용시킴으로써 기존의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를 통하여도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캔 시스템(CAN System)이 적용된 자동차의 자동 온도조절장치의 에어 인렛 도어가 단계적으로 조절가능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차량의 내부로 유입되는 내기와 외기의 비율을 조절하여 최대 에어컨 성능을 맞추거나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운전자가 원하는 온도로 냉방이 가능한 가능하여 자동 온도조절장치에서의 기술력 우위를 확보할 수 있으며, 기존의 차량에 적용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Claims (3)

  1. 회동에 의하여 내기 유입구(11) 또는 외기 유입구(13)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기를 결정하는 에어 인렛 도어(10)와 상기 에어 인렛 도어(10)에 의해 결정된 내기 또는 외기를 압송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블로워(20)와, 상기 블로워(20)로부터 유입되어 통과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에어컨 증발기(30)와, 상기 에어컨 증발기(3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 믹스 도어(40)와, 상기 에어컨 증발기(30)를 통하여 변환된 공기를 차량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에어 덕트(50)와 전자 제어 장치(ECU)로 이루어지는 캔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렛 도어(10)가 5 단계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인렛 도어(10)가 5 단계 이상의 다단으로 회동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
  3. 회동에 의하여 내기 유입구(11) 또는 외기 유입구(13)를 통하여 유입되는 공 기를 결정하는 에어 인렛 도어(10)와 상기 에어 인렛 도어(10)에 의해 결정된 내기 또는 외기를 압송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블로워(20)와, 상기 블로워(20)로부터 유입되어 통과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에어컨 증발기(30)와, 상기 에어컨 증발기(3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 믹스 도어(40)와, 상기 에어컨 증발기(30)를 통하여 변환된 공기를 차량 내부에 공급하기 위한 에어 덕트(50)와 전자 제어 장치(ECU)로 이루어지는 캔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자 제어 장치(ECU)가 캔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입력된 데이터에 따라 에어 인렛 도어(10)의 단계적인 회동이 갱신 및 보정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
KR1020050059820A 2005-07-04 2005-07-04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 KR20070004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820A KR20070004317A (ko) 2005-07-04 2005-07-04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9820A KR20070004317A (ko) 2005-07-04 2005-07-04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317A true KR20070004317A (ko) 2007-01-09

Family

ID=3787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9820A KR20070004317A (ko) 2005-07-04 2005-07-04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43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5060A1 (en) * 2007-10-05 200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6064236A1 (ko) * 2014-10-24 2016-04-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45060A1 (en) * 2007-10-05 2009-04-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1400854B1 (ko) * 2007-10-05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한 수신 장치및 방법
WO2016064236A1 (ko) * 2014-10-24 2016-04-28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자동차 객실 공기 조화용 공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52363A (en) Air conditioner humidity control system
US10647176B2 (en) Actuator control system
CN109910551A (zh) 一种车载空调智能操控方法
JP3582219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
JP200225491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997346B2 (ja) 自動車の暖房装置または空調装置内で混合空気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配置
CN210363268U (zh) 一种四区四温自动控制汽车空调系统
KR20070004317A (ko) 자동차용 자동 온도조절장치
JP2579514B2 (ja) 車両用空調制御装置
KR100811990B1 (ko) 캔 시스템이 적용되는 자동차용 자동 온도 조절장치의 풍향제어 방법
JPH05178066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JPS62275816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80062231A (ko) 공기조화장치의 온도 보상 제어방법
KR1016547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050105664A (ko) 냉각수온에 의한 공기조화장치의 온도제어방법
KR100410941B1 (ko)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KR100303261B1 (ko) 자동차공기조화장치의에어믹스도어모터초기화방법
KR101430003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의 템프도어 제어방법
JPS5936484Y2 (ja) 車輌用空調装置に於ける送風ファン速度制御装置
JP368721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5074448A (ja) 自動車用空調システム
KR19980052340U (ko) 차량의 냉난방용 공조시스템
KR20040036088A (ko) 전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의 템프 도어 제어방법
KR100475947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0142257B1 (ko) 자동차용 에어컨디셔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