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124B1 - 음성및데이터모뎀 - Google Patents

음성및데이터모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124B1
KR100390124B1 KR1019960029228A KR19960029228A KR100390124B1 KR 100390124 B1 KR100390124 B1 KR 100390124B1 KR 1019960029228 A KR1019960029228 A KR 1019960029228A KR 19960029228 A KR19960029228 A KR 19960029228A KR 100390124 B1 KR100390124 B1 KR 100390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odem
call
mod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9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025A (ko
Inventor
제임스 오'호로 패트릭
리 로워리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에이티앤드티 아이피엠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앤드티 아이피엠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에이티앤드티 아이피엠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970009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7/00Arrangements for synchronising receiver with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04M11/06Simultaneous speech and data transmission, e.g. telegraphic transmission over the same condu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8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 H04M3/4281Arrangements for placing incoming calls on hold when the called subscriber is connected to a data network using his telephone line, e.g. dial-up connection, Internet brow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4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using speech recogn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음성 및 데이터 모뎀이 모뎀 클리어 다운 신호(352-354)의 수신 시에 음성 전용 모드가 되도록 함으로써, 음성 및 데이터 모뎀(22, 25)상에서 호출 대기 특성(a call waiting feature)이 지원된다. 원래 음성 및 데이터 호출에서 제 2 음성 및 데이터 모뎀과 연관되어 있는 제 1 음성 및 데이터 모뎀은 사용자의 오디오 채널에 호출 대기 신호의 사본을 발생(204)시킴으로써 호출 대기 신호의 수신(202)에 응답한다. 제 1 모뎀은 모뎀 클리어 다운 신호를 제 2 음성 및 데이터 모뎀으로 전송(306)하고, 음성 전용 모드로 진입(312)하며, 대기 호출 수락 신호를 전송(314)함으로써, 대기 호출을 선택하려는 사용자 요구에 응답(300)한다. 그러므로, 보류된 원래 호출(332)은 음성 전용 호출이다. 음성 및 데이터 모드에서 대기 호출이 선택되더라도, 제 1 모뎀은 모뎀 클리어 다운 신호를 다시 전송(406)하고, 음성 전용 모드로 진입(412)하며, 호출 재개 신호를 전송(422)함으로써, 원래 호출을 복구시키려는 사용자 요구 신호(400)에 응답한다. 그러므로, 제 1 모뎀은 원래의 음성 전용 호출에 대해 재접속(454)될 때 음성 전용 모드이다. 이 때, 재접속된 원래의 호출은 종래 방식(424-488)으로 음성 플러스 데이터 호출로 재 변환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 및 데이터 모뎀{VOICE-AND-DATA MODEM CALL-WAITING}
본 발명은 모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모뎀에 의해 제공된 전기 통신 특징에관한 것이다.
아날로그 전송 링크(예를 들면, 전화 회선 및 트렁크)를 통한 디지털 정보(예를 들면, 데이터)의 통신은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것이다. 링크의 전송단에서, 모뎀은 디지털 정보의 표시를 이용하여 반송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변조하고, 변조된 반송 주파수를 전송 링크로 전송한다. 링크의 수신단에서는, 다른 모뎀이 디지털 정보의 표시를 도출하기 위해 반송 주파수를 복조하여, 이로부터 디지털 정보를 재구성한다. 한 쌍의 모뎀은 그들 사이의 링크상의 통신 접속을 설정 및 해제하는 제어 신호법을 포함하는 통신 프로토콜로 맞물려 있다.
오로지 디지털 정보만을 처리하는 모뎀을 데이터 전용 모뎀(data-only modems)이라 한다. 근래에는, 음성 및 데이터 동시 모뎀(voice-and-data modems)(이하 간단히 음성 및 데이터 모뎀으로 칭함)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은 데이터 통신 채널과 나란히 음성 통신 채널을 발생시켜서, 이 두 채널이 모뎀을 상호접속하는 전송 설비에 대해 단일 통신 채널처럼 보이도록 한다. 전형적으로, 음성 채널은 제 2 반송 주파수를 음성 신호의 표시와 변조시킴으로써 발생된다. 이에 관한 예시는 미합중국 특허 제 5,081,647 호에 기재되어 있다. 선택적인 음성 및 데이터 모뎀의 실시 양태는 디지털 형태인데, 음성 신호는 디지털 형태로 인코딩되고, 인코딩된 음성과 데이터는 다른 측으로의 전송을 위해 다중화된다.
전화 통신망은 전통적으로 음성 전화 호출용으로 많은 일련의 특징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특징들중 한가지 특징이 호출 대기 특성이다. 이 특징은, 제 1 호출의 당사자들 중 하나에게 제 2 호출 신호가 도착했다는 가청 표시(audibleindication)를 하여, 진행 중인 제 1 호출을 인터럽트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때, 피호출측은 제 1 호출을 보류하거나 종료시키고 제 2 호출에 응답할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전화 통신망의 이용이 음성 호출을 수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뎀을 통해 데이터 호출도 수송하도록 확장됨에 따라, 음성 호출 특징을 이러한 다른 형태의 호출에도 확장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되었다. 따라서, 데이터 전용 모뎀은 데이터 호출에 대해서도 호출 대기 특성을 지원하도록 변형되었다. 이에 관한 예시는 미합중국 특허 제 4,852,151 호 및 제 5,287,401 호에서 발견할 수 있다. 그러나, 음성 및 데이터 호출과 같은 멀티미디어 호출에 호출 대기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것은 훨씬 더 복잡한 문제이다. 이것은 다중 통신 채널이 호출에 관련되기 때문으로, 따라서 특징의 제공 시 이들을 취급하는 것은 적절하게 조정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지금까지 호출 대기 특성은 음성 및 데이터 모뎀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 및 그 밖의 다른 문제점, 그리고 종래 기술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호출 대기 특성이 음성 및 데이터 모뎀, 즉, 멀티미디어 통신(예를 들어, 음성 및 데이터 호출)에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호출 대기 특성을 제공하는 전기 통신 시스템에 이용하기 위한 음성 및 데이터 모뎀은 음성 및 데이터 모드나 음성 전용 모드 중 하나를 선택하여 그 전기 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음성 및 데이터 모뎀과 통신하는 제 1 수단과, 제 1 수단이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을 다른 모뎀으로 전송하도록 하고, 또한 제 1 수단이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도록 하며,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 1 수단이 대기 호출 수락 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호출 대기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는 제 2 수단을 포함한다. 대기 호출 수락 신호의 결과로, 현재 음성 전용 통신 중인 다른 모뎀과의 통신(예를 들어, 호출)은 보류 상태로 되고, 대기 중인 통신이 그 통신의 원 모뎀(subject modem)과 접속된다. 또한, 이 원 모뎀은, 제 1 수단이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고 있는 동안에 이 제 1 수단이 호출 재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제 3 수단을 포함한다. 모뎀이 이전의 대기 중인 통신에 접속되어 있는 동안에 전송되는 호출 재개 신호의 결과로, 이전의 대기 중인 통신은 원 모뎀과 끊어지고 보류 중인 통신이 원 모뎀에 재접속된다. 또한, 원 모뎀은, 제 1 수단이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모뎀으로부터 수신한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에 응답하는 제 4 수단을 포함한다. 이것은 원 모뎀이 자신이 다른 모뎀의 입장에 처했을 때(즉, 대기 중인 호출이 원 모뎀이 아니라 다른 모뎀에 대해 대기 중일 때), 원 모뎀이 다른 모뎀과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도록 만든다.
음성 및 데이터 호출인 대기 호출에서 처음 호출로 복귀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서, 제 3 수단은, 제 1 수단이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을 전송하여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고 호출 재개 신호를 최종적으로 전송하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수단을 바람직하게 포함한다. 그러므로, 원 모뎀은 보류 중이던 음성 전용 호출을 다른 모드로 재접속하기 전에 음성 전용 모드 동작으로 복귀한다.
복귀된 초기 호출을 음성 및 데이터 호출로 다시 변환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 원 모뎀은, 음성 전용 모드 통신을 음성 및 데이터 모드 통신으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제 1 수단이 다른 모뎀에게 전송하도록 하고 제 1 수단이 음성 전용 모드 통신을 음성 및 데이터 모드 통신으로 변경하도록 만드는 종래의 선택적 작동가능 수단을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수신 모뎀으로 하여금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도록 만드는 모뎀에 의해 전송된 명령은 모뎀 클리어-다운 신호(modem clear-down signal)이다. 이것은 호줄 대기가 종래의 모뎀 신호법에 따라 음성 및 데이터 모뎀에 구현되도록 지원해준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구현한 예시적인 전기 통신 시스템의 블록도.
제 2 도 내지 제 4 도는 음성 및 데이터 모뎀 호출 대기에 관한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제 1 도의 전기 통신 시스템의 소자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의 흐름도.
제 5 도는 제 2 도 내지 제 4 도의 동작동안 제 1 도의 전기 통신 시스템의 소자에 의해 연관되는 통신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스위칭 시스템 11, 12, 13 : 터미널 장비
14, 15, 16 : 전화 회선 20 : 음성 터미널
22, 23, 25 : 모뎀 30 : 하이브리드 회로
31 : DSP32 :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33 : 마이크로프로세서
제 1 도를 참조하면, 전화 시스템은 가입자의 터미널 장비(11-13) 사이에 아날로그 전화 회선(14-16)을 통한 전화 접속을 제공하는 스위칭 시스템(10)(예를 들면, 전화 분국(telephone local central office))을 포함한다. 스위칭 시스템(10)은 가입자에게 호출 대기 특성을 제공한다. 각 가입자의 터미널 장비는 음성 터미널(20)(예컨대 전화) 또는 데이터 터미널(21)(예컨대 PC 플러스 모뎀(22))을 포함하거나, 또는 터미널 장비(11)의 경우에는 음성 터미널과 데이터 터미널 모두를 포함한다. 터미널 장비(12)의 경우에, 모뎀(25)은 터미널 장비(11)의 모뎀(22)과 구별하기 위해 참조 번호를 달리했지만, 이 두 모뎀은 기능적으로 호환성이다. 단일전화 회선(14)에서 음성 터미널(20)과 데이터 터미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모뎀(23)은 음성 및 데이터 모뎀이다. 음성 및 데이터 모뎀은 당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모뎀(22)은 미합중국 특허 제 5,081,647 호의 개시 내용에 따라서 예시적으로 구성된다.
모뎀(22)은 모뎀(22)의 다른 회로를 전화 회선(14)과 인터페이스하는 하이브리드 회로(hybrid circuit : 30)와, 반송 주파수 변/복조, 제어 신호 발생/검출,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등의 신호 처리 기능들을 수행하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31)를 포함한다. 더욱이, 모뎀(22)은 음성 채널(23)을 통해 음성 터미널(20)과 DSP(31)를 인터페이스하는 아날로그 인터페이스(32)와, 데이터 채널(24)을 통해 데이터 터미널(21)과 DSP(31)를 인터페이스하고 모뎀(22)의 동작도 제어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33)를 포함한다. DSP(31)와 마이크로프로세서(33)는 프로세싱 장치 상에서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제어형 장치이다.
또한, 다른 터미널 장비(12-13)들 중 최소한 하나의 장비는 음성 및 데이터 모뎀(25)을 포함하여야 하므로, 터미널 장비(11)의 사용자는 음성 및 데이터 동시 호출을 운송할 수 있는 그러한 장치를 갖고 있다. 이러한 호출은 종래의 방식으로 설정 및 해제된다.
터미널 장비 (11)과 (12) 사이의 호출은, 호출의 양단의 DSP(31)가 호출을 설정하는 정규 전화 신호법으로 맞물려 있다는 점에서 기저대 호출, 즉 정규 전화 호출 신호로 설정된다. 호출 신호가 터미널 장비(11 또는 12)의 음성 터미널에서개시되거나 수락되는 경우, 호출은 설정된 후에 최소한 일시적으로 기저대 호출을 유지할 수 있다. 기저대 호출에 있어서, 모뎀(22 및 25)은 음성 전용 모드로 동작하는데, 모뎀(22)의 DSP(31)가 음성 채널(23)을 전화 회선(14)에 직접 접속한다. 모뎀(25)도 마찬가지이다. 그 효과는 음성 터미널이 전화 회선(14)에 직접 접속하는 것처럼 보이고 모뎀(22)은 거기에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이것은 제 5 도에서 호출(504)로 예시된다. 사용자 요구 신호에 응답한 후, 또는 호출이 터미널 장비(11 및 12)의 데이터 터미널에서 개시 및 수락된 경우, 모뎀(22 및 25)은 호출 접속되어 있는 서로간에 호출을 음성 및 데이터 호출로 변환하는 신호법을 착수하고, 여기에서 음성과 데이터 양자는 별개의 채널(별개의 반송 주파수로)에서 변조된 형태로 호출 경로에 대해 수송된다. 이것은 제 5 도에서 호출(500)로 예시되어 있는데, 음성 및 데이터 호출 신호(500)에 대해 별개의 변조된 음성 채널(501) 및 변조된 데이터 채널(502)을 도시하고 있다.
터미널 장비(11과 12) 사이에 음성 및 데이터 호출 신호가 존재하는데 터미널 장비(11)에 다른 호출 신호가 예를 들어 터미널 장비(13)로부터 스위칭 시스템(10)으로 들어간다고 가정하자. 이 다른 호출 신호는 음성 형태, 데이터 형태 또는 음성 및 데이터 동시 형태 중 어느 것도 가능하다. 이것은 제 5 도에서 호출 신호(503)로 나타낸다. 스위칭 시스템은 호출 대기 특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전술되어 있기 때문에, 스위칭 시스템(10)은 전화 회선(14)상의 종래의 호출 대기 신호를 터미널 장비(11)로 종래 방식으로 전송함으로써 착신 호출에 대해 응답한다.
지금까지 기술한 바와 같이, 모뎀(22 및 25)을 포함하는 제 1 도의 전화 시스템은 그 구성 및 동작 면에서 종래 방식이다.
제 2 도는 단계(200)에서 스위칭 시스템(10)에 의해 전송된 호출 대기 신호에 대한 터미널 장비(11)의 모뎀(22)의 응답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SP(31)는 전화 회선(14)에 대해 기저대 제어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단계(200)에서 스위칭 시스템(10)에 의해 전송된 호출 대기 신호를 제 2 도의 단계(202)에서 검출하는 즉시, 단계(204)에서 음성 채널(23)로 호출 대기 신호의 사본(replica)을 발생시킨다. 호줄 대기 신호의 사본은 음성 터미널(20)에 의해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또한, DSP(31)는 단계(206)에서 호출 대기 메시지(예를 들어, 인터럽트)를 마이크로프로세서(33)로 전송한다. 단계(208)에서 메시지를 수신하는 즉시, 마이크로프로세서(33)는 단계(210)에서 호출 대기 중인 다른 호출이 있다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데이터 터미널(21)로 전송한다. 데이터 터미널(21)은 대기 중인 다른 호출이 존재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메시지를 바람직하게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에게 응답을 입력할 것을 바람직하게 촉구한다.
사용자는 다음 세 가지 방식 즉, 대기 호출을 무시하거나, 현재 호출을 종료하거나, 현재 호출을 보류시키고 대기 호출에 응답하는 것 중 하나로 응답할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시나리오들 중 처음 두 가지는 종래의 방식이다.
사용자가 두 번째의 대기 호출을 무시하는 것으로 택할 경우, 모뎀(22)의 관점에서 볼 때 대기 호출에 대해서는 어떤 일도 발생하지 않고 첫 번째 호출은 중단없이 지속된다.
사용자가 첫 번째의 현재 호출을 종료하는 것을 택할 경우, 호출 종료는 종래의 방식으로 다루어지는데, 데이터 터미널(21)이 마이크로프로세서(33)에게 현재 호출이 종료되고 있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보내고, 마이크로프로세서(33)는 그 결과에 대한 통지(notification)를 DSP(31)에게 전송하며, DSP(31)는 필요한 신호법으로 터미널 장비(12) 및 스위칭 시스템(10)과 연관되어 호출을 종료하고, 호출 경로를 해제한다. 일단 이것이 완수되면, 스위칭 시스템(10)과 모뎀(22)은 마치 두 번째 호출이 스위칭 시스템(10)에 의해 수신될 때 터미널 장비(11)가 유휴 상태였던 것처럼 이 신규 호출을 터미널 장비(11)에 접속시키기 위해 종래 방식으로 상호 작용한다.
제 3 도는 터미널 장비(11)의 사용자가 두 번째의 대기 중인 호출에 응답하는 것을 택했을 때 발생하는 일을 도시한다. 데이터 터미널(21)은 단계(300)에서 대기 호출 신호를 선택(즉, 응답)할 것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마이크로프로세서(33)에게 보내고, 마이크로프로세서(33)는 이 메시지를 수신한다. 응답 시, 마이크로프로세서(33)는 단계(302)에서 DSP(31)에게 모뎀(22)을 음성 전용 모드로 동작시킬 것을 요구한다. 단계(304)에서 요구 신호를 수신하면, 모뎀(22)의 DSP(31)는 단계(306)에서 호출 접속을 통해 종래의 모뎀 클리어-다운 신호를 터미널 장비(12)의 모뎀(25)으로 전송한다. 이 때, 모뎀(22)의 DSP(31)는 단계(308)에서 터미널 장비(12)의 모뎀(25)으로부터의 클리어-다운 신호에 대한 응답의 수신을 대기한다. 응답 신호가 선정된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는 경우, 터미널 장비(11)의 DSP(31)는 단계(310)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마치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것처럼 진행한다.
한편, 모뎀(22)의 DSP(31)에 의해 전송되는 클리어-다운 신호는 단계(35)에서 터미널 장비(12)의 모뎀(25)에 의해 수신된다. 모뎀(25)은 단계(352)에서 호출 접속을 통해 응답 신호를 터미널 장비(11)로 전송함으로써 응답한다. 이 때, 모뎀(25)은 단계(354)에서 음성 전용 모드로 된다. 이제 모뎀(25)은 제 4 도의 단계(470)에서 정규(음성 및 데이터 모드) 모뎀 통신의 재개를 알리는 호출 톤이 들리는지 전화 회선(15)을 모니터한다. 지금부터는 호출 신호가 제 5 도에서 참조 번호(504)로 나타낸 형태를 갖는다.
모뎀(22)의 DSP(31)는 단계(308)에서 응답 신호를 수신하고, 단계(312)에서 음성 전용 모드로 됨으로써 응답한다. 이 때, DSP(31)는 단계(314)에서 종래의 훅 스위치 플래시 신호를 발생시켜 전화 회선(14)으로 전송한다. 훅 스위치 플래시 신호는 단계(330)에서 스위칭 시스템(10)에 의해 검출된다. 그 응답으로, 스위칭 시스템(10)은 단계(332)에서 전화 회선(14)을 분리시켜서 터미널(11과 12) 사이의 첫 번째 호출을 보류 상태로 두고 대신에 단계(334)에서 두 번째의 대기 중인 호출을 전화 회선(14)에 접속시킨다. 이 때, 호출 신호는 제 5 도에서 참조 번호(505)로 나타낸 형태를 갖고 있다. 이제, 터미널(11)은 두 번째 호출과 설정된 음성 접속을 갖고, 모뎀(22)의 DSP(21)는 단계(356)에서 정규 모뎀 통신의 개시를 신호하는 호출 톤이 들리는지 전화 회선(14)을 모니터한다.
이 때, 두 번째 호출은 음성 전용 호출로 진행할 수 있고, 또는 종래의 호출 톤을 전송하는 호출의 종료 시 모뎀에 의해 종래의 방식으로 음성 및 데이터 호출로 변환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호출 신호는 제 5 도에서 참조 번호(506)로 나타낸다.
두 번째 호출을 중지하고 현재 보류 중인 척 번째의 원래 호출을 복구시키기 위해서, 터미널(11)의 사용자는, 예컨대 두 번째 호출이 음성 플러스 데이터 호출로서 종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는 복구 아이콘 상의 커서를 클릭하거나, 두 번째 호출이 음성 전용 모드의 호출로서 종료하고 있는 경우에는 음성 터미널(20)에 훅 스위치 플래시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데이터 터미널(21)에서 적절한 선택을 행한다. 제 4 도는 사용자가 복구 요구 신호를 발생했을 때 발생하는 일을 도시한 것이다. 사용자가 데이터 터미널(21)에 복구 요구 신호를 발생시킨 경우, 데이터 터미널은 마이크로프로세서(33)가 단계(400)에서 수신하는 메시지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33)에게 알린다. 그 응답으로,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단계(402)에서 모뎀(22)을 음성 전용 모드로 동작시킬 것을 DSP(31)에게 요구한다. 단계(404)에서 요구를 수신하면, DSP(31)는 모뎀(22)이 단계(405)에서 이미 음성 전용 모드인지를 검사한다. 만일 그렇다면, DSP(31)는 단계(422) 이후의 순서를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DSP(31)가 단계(406)에서 종래의 모뎀 클리어-다운 신호를 전화 회선(14)을 통해 전송한다. 현재 전화 회선(14)이 전화 회선(16)에 접속되어 있고, 스위치 시스템(10)에서는 전화 회선(15)에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터미널(13)은 이 신호를 수신하지만 터미널(12)은 수신하지 못한다. 이 때, 모뎀(22)의 DSP(31)는 단계(408)에서 터미널 장비(13)로부터 클리어-다운 신호에 대한 응답의 수신을 대기한다. 응답 신호가 선정된 기간 내에 수신되지 않은 경우, 모뎀(22)의 DSP(31)는 단계(4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마치 응답 신호가 수신되는 것 처럼 진행한다. 응답 신호의 수신 또는 선정된 시간 기간의 종료에 따라, 모뎀(22)의DSP(31)는 단계(412)에서 음성 전용 모드로 된다.
터미널 장비(11)의 사용자가 음성 전용 모드로 음성 터미널(20)에 복구 요구 신호를 발생한 경우, 모뎀(22)의 DSP(31)는 단계(420)에서 음성 채널(23)을 통해 훅 스위치 플래시 신호를 수신한다. 훅 스위치 플래시 신호의 수신에 응답하여, 혹은 단계(412)의 다음으로, 모뎀(22)의 DSP(31)는 단계(422)에서 훅 스위치 플래시 신호를 발생시켜 전화 회선(14)으로 전송한다. 훅 스위치 플래시 신호는 단계(45)에서 스위칭 시스템(10)에 의해 검출된다. 그 응답으로, 스위칭 시스템(10)은 단계(452)에서 두 번째 호출을 종료하고, 스위칭 시스템(10)에서 터미널 장비(13)까지 뻗어있는 호출 경로를 종료한다. 이 때, 호출 신호는 제 5 도에서 참조 번호(507)로 나타낸 형태를 갖고 있다. 다음, 스위칭 시스템(10)은 단계(454)에서 첫번째 호출을 보류 상태에서 해제하여, 터미널(11)을 터미널(12)과 재접속시킨다. 이 때, 터미널(11)은 터미널(12)과 음성 전용 호출 접속 상태이다. 이것은 제 5 도에서 호출 신호(508)로 나타낸다. 그리고, 모뎀(32)과 모뎀(25)의 양 쪽 DSP(31)는 각각 단계(424 및 470)에서 정규 모뎀 통신의 개시를 신호하는 호출 톤이 들리는지 상호간 전화 회선을 모니터한다.
모뎀(22) 또는 모뎀(25)은 그 사용자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정규 모뎀 통신을 자유롭게 재개할 수 있다. 터미널 장비(11)의 사용자가 모뎀의 개시를 원한다고 데이터 터미널(20)에 지시하는 경우, 데이터 터미널(20)은 모뎀 개시 요구를 마이크로프로세서(33)에게 보내면, 마이크로프로세서(33)는 단계(430)에서 이것을 수신하여, 단계(432)에서 DSP(31)로 보낸다. DSP(31)는 단계(434)에서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그 응답으로 전화 회선(14)을 통해 터미널(12)과의 접속에 대해 종래의 모뎀 호출 톤을 발생시킨다. 이 때, DSP(31)는 단계(438)에서 모뎀(22)의 음성 플러스 데이터 동작을 종래의 방식으로 재개한다. 터미널(12)의 모뎀(25)이 단계(470)에서 터미널(11)의 모뎀(22)에 의해 전송된 호출 톤을 수신할 때, 이것은 단계(488)에서 음성 플러스 데이터 동작을 종래의 방식으로도 재개함으로써 응답한다.
터미널 장비(12)의 사용자가 모뎀의 개시를 원한다는 요구를 터미널 장비(12)에게 발생시키는 경우, 모뎀(25)은 단계(484)에서 그 요구를 수신하고, 응답으로서 터미널(11)과의 접속에 호출 톤을 발생시킨다. 다음, 모뎀(25)은 단계(488)에서 음성 플러스 데이터 동작을 재개한다. 모뎀(22)의 DSP(31)가 단계(424)에서 터미널(12)의 모뎀(25)에 의해 전송된 호출 톤을 수신할 때, 이것은 단계(438)에서 모뎀의 음성 플러스 데이터 동작을 재개함으로써 응답한다.
둘 중 어떤 시나리오에서든, 이제 호출 신호는 제 2 도의 단계(200)에서 스위칭 시스템(10)이 호출 대기 신호를 전송하기 이전에 있던 상태로 복귀된다. 이것은 제 5 도에서 호출 신호(509)로 나타낸다.
물론, 당업자에게는 전술한 실시예에 대한 여러 가지 변경 및 수정이 명확할 것이다. 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제거하고 그 기능을 DSP에 변합시킴으로써 모뎀의 구성이 단순화될 수도 있다. 이와 반대로, 모뎀 기능과 음성 처리 기능을 위한 별개의 DSP를 단일 DSP로 대체할 수도 있다. 또는, 모뎀 및 전화가 단일 장치로 일체화될 수도 있다. 다른 모뎀이 음성 전용 모드로 되게 하기 위한 명령으로서 클리어-다운 신호를 전송하는 대신에, 모뎀이 다른 모뎀에게 음성 전용 모드로 될것을 지시하기 위해 데이터 채널 반송 신호의 발생을 단순히 중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모뎀의 아날로그 인터페이스가 사용자로부터의 음성 명령에 응답하는 음성 인식 회로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음성 명령으로 대기 중 호출을 선택하고 보류 중인 호출을 재개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모뎀이 아날로그 모뎀일 필요없이 디지털 모델인 것도 가능하다. 여러 형태의 호출 대기 신호를 발생시키는 전기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모뎀이 이러한 호출 대기 신호를 개별적으로 인식하여, 이 호출 대기 신호들 중 어떠한 것이 수신되더라도 사용자에게 재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전화 회선은 아날로그 회선이든 디지털 회선이든 무관하다. 디지털 회선의 경우에는, 모뎀이 보코더(vocoder)를 이용하고, 디지털 회선 상에서 스위칭 시스템으로부터의 호출 대기 신호의 전송은 보코더의 인터럽트를 수반한다. 이러한 변경과 수정은 부수의 이점을 축소시킴이 없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 내에서 행해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수정은 본 발명의 청구 범위의 한도 내에 있도록 기획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 및 데이터 호출과 같은 멀티미디어 호출에 대해서도 호출 대기 특성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전기 통신 시스템용 음성 및 데이터 모뎀 - 상기 모뎀이 제 1 통신을 수행하고 있는 동안 상기 모뎀을 통한 접속을 위한 제 2 통신이 수신되면 상기 모뎀에서호출 대기 신호(call-waiting signal)가 수신되고, 상기 모뎀이 대기 호출 수락 신호(waiting-call acceptance signal)를 전송하면 상기 제 1 통신은 보류되고 상기 제 2 통신이 상기 모뎀에 대해 접속되며, 상기 모뎀이 호출 재개 신호(call-resumption signal)를 전송하면 상기 제 2 통신이 상기 모뎀으로부터 분리되고 보류 중인 상기 제 1 통신이 상기 모뎀에 재접속됨 - 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모드(voice-plus-data mode) 또는 음성 전용 모드(voice-only mode) 중 하나의 모드로 상기 전기 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음성 및 데이터 모뎀과 통신하는 제 1수단과,
    상기 호출 대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을 상기 다른 모뎀에게 전송하게 하고,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게 하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대기 호 수락 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제 2 수단과,
    상기 제 1 수단이 상기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 중일 때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호출 재개 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제 3 수단과,
    상기 다른 모뎀으로부터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게 하는 제 4 수단을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모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음성 전용 모드에서의 통신을 상기 음성 및데이터 모드에서의 통신으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상기 다른 모뎀에 전송하게 하고,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음성 전용 모드에서의 통신을 상기 음성 및 데이터 모드에서의 통신으로 변경하게 하는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수단(selectively-activatable means)을 더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모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단이,
    상기 음성 전용 모드에서 오로지 기저대 오디오 채널(baseband audio channel)을 통해서만 통신하는 수단과,
    상기 음성 및 데이터 모드에서 데이터 변조 반송 제 1 채널(data-modulated carrier first channel) 및 오디오 변조 반송 제 2 채널(audio-modulated carrier second channel)을 통해 통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모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단은 상기 제 1 수단이 음성 및 데이터 모드에서 통신하는 동안 상기 호출 대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음성 및 데이터 모드에서의 통신을 음성 전용 모드에서의 통신으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상기 다른 모뎀으로 전송하게 하고,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음성 및 데이터 모드에서의 통신을 음성 전용 모드에서의 통신으로 변경하게 하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대기 호출 수락 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수단은 상기 제 1 수단이 음성 및 데이터 모드에서 통신하는 동안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을 상기 다른 모뎀으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음성 및 데이터 모드에서의 통신을 음성 전용 모드에서의 통신으로 변경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수단은 상기 제 1 수단이 상기 전기 통신 시스템 내의 제 3 음성 및 데이터 모뎀과 음성 및 데이터 모드로 통신하는 동안 작동가능하여,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제 3 모뎀으로 음성 및 데이터 모드에서의 통신을 음성 전용 모드에서의 통신으로 변경하라는 명령을 전송하게 하고,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음성 및 데이터 모드에서의 통신을 음성 전용 모드에서의 통신으로 변경하게 하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호출 재개 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모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단은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음성 전용 모드에서 통신하라는 명령을 전송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음성 전용 모드에서 통신 하도록 하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호출 재개 신호를 전송하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수단을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모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수단은,
    상기 호출 대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호출 대기 신호를 상기 모뎀의 사용자용 오디오 채널에 재생하는 수단과,
    상기 제 1 수단이 다른 음성 및 데이터 모뎀과 음성 및 데이터 모드로 통신 회선 상에서 제 1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통신 회선 상의 상기 호출 대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a)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다른 모뎀으로 상기 통신 회선 상에서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을 전송하게 하고, (b)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선 상에서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게 하며, (c)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대기 호출 수락 신호를 상기 통신 회선 상에 전송하게 하여 상기 제 1 통신은 보류되게 하고 상기 제 2 통신은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모뎀에 접속되도록 하는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수단과,
    상기 호출 대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뎀의 사용자용 오디오 채널에 상기 호출 대기 신호를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수단은 상기 모뎀이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제 2 통신에 접속된 후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선 상에 상기 호출 재개 신호를 전송하게 하여, 상기 제 2 통신은 상기 통신 회선으로부터 접속 해제되게 하고 상기 제 1 통신이 상기 통신 회선에 재접속되게 하는 선택적으로 작동가능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 4 수단은 상기 제 1 수단이 상기 다른 음성 및 데이터 모뎀과 음성 및 데이터 모드로 상기 통신 회선 상에서 제 3 통신을 수행하는 동안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선 상에서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3 수단의 상기 선택적으로 작동가능 수단은 상기 모뎀이 상기 제 2 통신에 접속된 후 상기 제 1 수단이 음성 및 데이터 모드로 통신하는 동안 작동가능하여 (a)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통신 회선 상에서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을 전송하게 하고, (b)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선 상에서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게 하며, (c)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통신 회선 상에 상기 호출 재개 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모뎀.
  7. 제 1 항에 있어서,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상기 명령은 모뎀 클리어-다운 신호(modem clear-down signal)를 포함하는 음성 및 데이터 모뎀.
  8. 호출 대기 특성(a call-waiting feature)을 제공하는 전기 통신 시스템용 제 1 음성 및 데이터 모뎀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모드 또는 음성 전용 모드 중 하나에서 상기 전기 통신 시스템 내의 다른 음성 및 데이터 모뎀과 통신하는 제 1 수단과,
    상기 제 1 수단이 제 2 음성 및 데이터 모뎀과 음성 및 데이터 모드로 제 1 호출에 대해 통신 중인 동안 상기 호출 대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제 1 호출에 대해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을 상기 제 2 모뎀으로 전송하게 하고,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을 개시하게 하고,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대기 호출 수락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제 1 호출은 보류되게 하고 대기 호출은 상기 제 1 모뎀에 접속되게 하는 제 2 수단과,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호출 재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대기 호출은 상기 제 1 모뎀으로부터 접속 해제되게 하고 상기 제 1 호출은 상기 제 1 모뎀에 재접속되게 하는 선택적으로 작동가능한 제 3 수단과,
    상기 제 2 모뎀으로부터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제 1 호출에 대해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게 하는 제 4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음성 및 데이터 모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수단은 상기 제 1 모뎀이 상기 대기 호출에 접속되어 상기 대기 호출에 대해 음성 및 데이터 모드로 통신하고 있는 동안 작동가능하여,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대기 호출에 대해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하라는 명령을 전송하게 하고,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음성 전용 모드로 통신을 개시하게 하며, 상기 제 1 수단으로 하여금 상기 호출 재개 신호를 전송하게 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음성 및 데이터 모뎀.
  10. 상기 제 2 수단은 상기 호출 대기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모뎀의 사용자용 오디오 채널에 상기 호출 대기 신호를 재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음성 및 데이터 모뎀.
KR1019960029228A 1995-07-20 1996-07-19 음성및데이터모뎀 KR100390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04,970 1995-07-20
US08/504,970 US5519767A (en) 1995-07-20 1995-07-20 Voice-and-data modem call-wait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025A KR970009025A (ko) 1997-02-24
KR100390124B1 true KR100390124B1 (ko) 2003-09-29

Family

ID=24008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9228A KR100390124B1 (ko) 1995-07-20 1996-07-19 음성및데이터모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519767A (ko)
EP (1) EP0755146A3 (ko)
JP (1) JPH0946450A (ko)
KR (1) KR100390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5216A (en) * 1995-05-30 1998-12-01 Sierra Wireless, Inc. Optimized companding for communication over cellular systems
US5491744A (en) * 1995-06-30 1996-02-13 Consilium Overseas Limited Selective call waiting
US5812656A (en) * 1995-11-15 1998-09-22 Lucent Technologies, Inc. System for providing prioritized connections in a public switched network
US5802155A (en) * 1995-11-15 1998-09-01 Lucent Tech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regular and supressed ringing connection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809128A (en) * 1996-11-01 1998-09-15 Interactive Telecom Inc. Method and apparatus permitting notification and control of blocked incoming calls over a data network
US5745695A (en) * 1996-01-16 1998-04-28 Motorola Inc. Radio system with suspension of packet data service during non-data service connection
FI102709B (fi) * 1996-03-13 1999-01-29 Nokia Technology Gmbh Menetelmä ja järjestely usean päätelaitteen liittämiseksi yhteen puhel inverkon liittymään sekä päätelaite
US5982774A (en) * 1996-04-01 1999-11-09 At&T Corp. Internet on hold
US5896444A (en) * 1996-06-03 1999-04-20 Webtv Network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s between a client and a server in a network
US5953407A (en) * 1996-12-05 1999-09-14 Nortel Networks Corporation Distinctive ringing and distinctive call-waiting tones in an ISDN
US6011909A (en) * 1997-01-06 2000-01-04 Motorola, Inc. Alerting user engaged in a first communications session on a first network to a request to establish a second communications session on a second network
US7031442B1 (en) 1997-02-10 2006-04-18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sonal routing in computer-simulated telephony
US6104802A (en) 1997-02-10 2000-08-15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In-band signaling for routing
US6480600B1 (en) 1997-02-10 2002-11-12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Call and data correspondence in a call-in center employing virtual restructuring for computer telephony integrated functionality
EP1010313A2 (en) * 1997-02-13 2000-06-2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for network call hold and pick-up
JPH10304063A (ja) * 1997-05-01 1998-11-13 Fujitsu Ltd 電話交換方法、及び、電話交換装置
JP3798114B2 (ja) * 1997-05-23 2006-07-19 富士通株式会社 端末、移動端末、サーバ、端末通信方法およびサーバ通信方法
US6005923A (en) * 1997-05-28 1999-12-21 Conexant Systems, Inc. Full featured data access arrangement for use with modems
US6463051B1 (en) 1997-07-17 2002-10-08 Inter—tel, Inc. Internet calling system
DE19736648C2 (de) * 1997-08-22 1999-07-22 Siemens Ag Modem
US6078581A (en) * 1997-09-12 2000-06-20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Internet call waiting
US6985943B2 (en) 1998-09-11 2006-01-10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nded management of state and interaction of a remote knowledge worker from a contact center
US6711611B2 (en) 1998-09-11 2004-03-23 Genesi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linking a mobile knowledge worker to home communication-center infrastructure
USRE46528E1 (en) 1997-11-14 2017-08-29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Implementation of call-center outbound dialing capability at a telephony network level
US6330235B1 (en) 1997-11-24 2001-12-11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data communication over an existing telephone network without interfering with normal telephony functions
US7907598B2 (en) 1998-02-17 2011-03-15 Genesys Telecommunication Laboratories, Inc. Method for implementing and executing communication center routing strategies represented in extensible markup language
US6332154B2 (en) 1998-09-11 2001-12-18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edia-independent self-help modules within a multimedia communication-center customer interface
US6088433A (en) 1998-07-09 2000-07-11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forwarding call from disconnected telephone number to new telephone number
US6546091B1 (en) 1998-08-28 2003-04-08 Thomson Licensing S.A. Automatic detection of phone system settings for dial-up modem connections
USRE46153E1 (en) 1998-09-11 2016-09-20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enabling voice-based management of state and interaction of a remote knowledge worker in a contact center environment
US6574239B1 (en) * 1998-10-07 2003-06-03 Eric Morgan Dowling Virtual connection of a remote unit to a server
US6067353A (en) * 1998-12-03 2000-05-23 Human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 call waiting signal on a telephone line connected to a modem
EP1039735A3 (en) * 1999-03-22 2002-10-23 AT&T Corp. On-line call management
US6631186B1 (en) * 1999-04-09 2003-10-07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d accessing call forwarding services
US6816481B1 (en) 1999-04-09 2004-11-09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Internet call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6891940B1 (en) 2000-07-19 2005-05-10 Sbc Technology Resour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access to telecommunications services
US6819749B1 (en) * 1999-04-12 2004-11-16 Mindspeed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V.90 modem startup
US6731726B1 (en) 1999-04-12 2004-05-04 Conexant Systems, Inc. Communication on hold
US6704399B1 (en) * 1999-04-12 2004-03-09 Conexant Systems, Inc. Quick connect parameter exchange
US6690776B1 (en) * 1999-04-12 2004-02-10 Conexant Systems, Inc. Communication on hold notifier
USRE42661E1 (en) 1999-04-12 2011-08-30 V-Dot Technologie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fast V.90 modem startup
US6912276B1 (en) * 1999-04-12 2005-06-28 Silicon Laboratories, Inc. Modem on hold
US7054428B1 (en) * 1999-07-08 2006-05-30 Agere Systems Inc. Telephone call interuption request via internet
EP1198949B1 (en) * 1999-07-27 2005-12-21 Silicon Laboratories, Inc. Modem on hold
ATE522061T1 (de) * 1999-07-27 2011-09-15 Silicon Lab Inc Modem im wartestellung
JP4088443B2 (ja) * 1999-07-27 2008-05-21 コネクサント システム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信保留
US6389132B1 (en) * 1999-10-13 2002-05-14 Avaya Technology Corp. Multi-tasking, web-based call center
US7929978B2 (en) 1999-12-01 2011-04-19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enhanced communication capability for mobile devices on a virtual private network
AU2285201A (en) * 1999-12-20 2001-07-0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enhancing call waiting functionality via voice recognition
US6507646B1 (en) 2000-02-07 2003-01-14 Tersync Ltc. Apparatus and method for call-waiting event interception
US6993010B1 (en) * 2000-07-07 2006-01-31 Mindspeed Technologies, Inc. Spoofing to preserve a communication link
AU2002230532A1 (en) * 2000-11-28 2002-06-11 Nortel Networks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 hybrid mobile terminal
FI111782B (fi) * 2000-12-29 2003-09-15 Nokia Corp Valintaisen yhteyden tarjoaminen pakettiradiojärjestelmässä
US7809121B2 (en) * 2001-06-22 2010-10-05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Identification of calling devices dialing a universal number to access a telecommunications relay service center
US6996214B1 (en) * 2001-08-31 2006-02-07 Silicon Laboratories, Inc. Utilization of in-band signaling to facilitate modem on hold
JP3795409B2 (ja) * 2001-09-14 2006-07-12 富士通株式会社 音声認識装置及び方法
US6718021B2 (en) * 2002-02-19 2004-04-06 Sbc Properties, L.P. Method and system for presenting customized call alerts in a service for internet caller identification
US6665381B1 (en) 2002-02-26 2003-12-16 Shary Nassimi Self-contained device using a single phone line to receive phone calls and facsimiles while connectable to the internet
US20030232629A1 (en) * 2002-03-01 2003-12-18 Nortel Network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voice call waiting during an active data call
US20030223557A1 (en) * 2002-05-29 2003-12-04 Tsahi Tal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set exclusion control
US6954524B2 (en) * 2002-06-07 2005-10-11 Sbc Properties, L.P. System and method for implementing and accessing call forwarding services
US20040032871A1 (en) * 2002-08-14 2004-02-19 Smartlink Ltd. Switch-based modem channel sharing
US7151794B2 (en) * 2002-08-14 2006-12-19 Smartlink Ltd. Modem channel sharing based on frequency division
US7295660B1 (en) 2003-10-23 2007-11-13 Aol Llc Telemarketer screening
US20050123108A1 (en) * 2003-12-08 2005-06-09 Smith Wesley H. Hands-free modem-on-hold
US20050249344A1 (en) * 2004-05-07 2005-11-10 Sbc Knowledge Ventures, L.P. Network delivery of personalized caller identification
US8094800B1 (en) 2004-12-21 2012-01-10 Aol Inc. Call treatment based on user association with one or more user groups
US9008075B2 (en) 2005-12-22 2015-04-14 Genesys Telecommunications Laboratories, Inc. System and methods for improving interaction routing performance
US9002801B2 (en) * 2010-03-29 2015-04-07 Software Ag Systems and/or methods for distributed data archiving amongst a plurality of networked computing devices
CN108551459B (zh) * 2018-07-16 2021-09-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设备间通信的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043A (ja) * 1989-11-15 1991-07-05 Nec Corp 非音声呼接続中コールウエイテイング機能停止方式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22071A (en) * 1987-10-21 1991-06-04 Electronic Speech Systems Two-way voice & digital data analyzer for telephones
US4852151A (en) * 1988-02-24 1989-07-25 Hayes Microcomputer Products, Inc. Modem with call waiting
EP0339432B1 (de) * 1988-04-26 1995-01-11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für eine rechnergesteuerte Vermittlungseinrichtung, insbesondere Key-Fernsprechvermittlungseinrichtung, bei der Datenendgeräte und Fernsprechendgeräte alternativ anschaltbar sind
US5081647A (en) * 1989-01-06 1992-01-14 American Telephone & Telegraph Company Communication of a voice signal via continuous quadrature amplitude modulator
US4995074A (en) * 1989-04-03 1991-02-19 Goldman Bruce J Switched line modem interface system
US5287401A (en) * 1993-03-15 1994-02-15 Intel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 modem for detecting a call waiting sign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7043A (ja) * 1989-11-15 1991-07-05 Nec Corp 非音声呼接続中コールウエイテイング機能停止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55146A2 (en) 1997-01-22
KR970009025A (ko) 1997-02-24
US5519767A (en) 1996-05-21
JPH0946450A (ja) 1997-02-14
EP0755146A3 (en) 1999-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124B1 (ko) 음성및데이터모뎀
US6628768B1 (en) System and method of responding to an incoming call while conferencing
JP3695563B2 (ja) データ網通信通話の処理方法およびデータ網通信通話処理用ネットワークノード
US6650751B1 (en) Answer detection for IP based telephones using passive detection
JP2868335B2 (ja) 交換機及び交換機における切断通知方法
JP2974709B2 (ja) 無線電話装置及び無線電話制御装置
US6678374B1 (en) Tone based answer detection for IP based telephones
US5909481A (en) Method relating to telecommunications
JP2873555B2 (ja) 他のシステムと情報を交換するため無線接続を設定するシステム
JP3161897B2 (ja) 通信端末の接続制御方法
KR0140572B1 (ko) 키폰 시스템의 메세지 동보전송방법 및 그 장치
JP3141750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3016723B2 (ja) 通信システム、移動通信システム、自動着信方法および移動機
JP3256500B2 (ja) ボタン電話装置と割込通話方法
JP2545855B2 (ja) ボタン電話装置
JPS63139454A (ja) 電話機
JP2001024770A (ja) 通信方法及びそれを実現する通信装置
JPH09135299A (ja) 呼処理制御方法及び呼処理制御装置、加入者端末装置
JPS63236442A (ja) 通信装置
JPH0472855A (ja) 着信接続切替方式
JPH03166895A (ja) 無線電話機の通話可否通知方式
JPH066469A (ja) 構内交換機
JPH05191499A (ja) 待ち合せ催促情報伝達方式
JPS6266750A (ja) 自動着信装置
JPH02279052A (ja) 自動切換え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