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083B1 -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083B1
KR100390083B1 KR10-2001-7005115A KR20017005115A KR100390083B1 KR 100390083 B1 KR100390083 B1 KR 100390083B1 KR 20017005115 A KR20017005115 A KR 20017005115A KR 100390083 B1 KR100390083 B1 KR 100390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sale
goods
delivery
hold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5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9341A (ko
Inventor
스즈키미노루
Original Assignee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덴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9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0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07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wherein the storage and dispensing mechanism are configurable in relation to the physical or geometrical properties of the articles to be stored or dispens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two or more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와,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상품 송출 드럼과, 판매시에, 상품 송출 드럼을, 회전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상품 송출 드럼은, 회전축보다도 외측으로 배치되고 또 회전축을 향해 오목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판매 대기시에 판매 상품을 지지하고, 판매시에 판매 상품을 한쪽의 칸막이 벽에 송출하는 판매 상품 지지면과, 회전축에 대해 동심형으로 연장되고, 판매시에 다음 판매 상품을 지지하는 다음 판매 상품 지지면을 가지고, 상품 통로는, 한쪽의 칸막이 벽의 하단부에 판매 상품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확폭부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통상의 서펜타인식 컬럼에 설치된 것과 비교하여, 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어댑터 등을 사용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 크기의 상품을 1개씩 확실히 송출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PRODUCT DELIVERY DEVICE OF VENDING MACHINE}
종래, 예를 들면, 깡통음료 상품과 페트병 상품 등의 상품을,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쌓은 상태에서 수납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통로에는, 일반적으로, 꾸불꾸불한 상태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서펜타인(serpentine)식 컬럼(column)이 적용되고 있다. 이 컬럼의 하단부에는, 컬럼내에 수납된 복수의 상품 중, 판매시에, 판매 상품만을 아래쪽으로 송출하기 위한 상품 송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통상의 서펜타인식 컬럼에 설치된 상품 송출장치는, 판매 대기시에 최하위의 판매 상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한편, 판매시에, 판매 상품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다음 판매 상품을 하측에서 지지하고, 또한, 다음 판매 상품을 지지한 직후에 판매 상품의 지지를 해제하는 스토퍼(stopper)와, 이와 같이 스토퍼를 구동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다른 상품 송출장치로서, 일본국 실개소 61-160575호의 마이크로필름에 기재된 것도 알려져 있다. 이 상품 송출장치는, 판매 대기시에, 판매 상품의 하반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판매 상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반원통형의 송출부재와, 이 송출부재를 판매시에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가지고 있고, 판매 상품을 지지하는 송출부재가, 판매시에 거의 180도 회전함으로써 판매 상품을 아래쪽으로 송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 상품 송출장치의 송출부재는, 판매할 상품의 지름에 따라서, 송출부재의 내면에 인상용의 소정 형상의 어댑터(adapter)를 장착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어댑터를 송출부재에 장착함으로써, 송출부재의 지름보다도 작은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에도, 송출부재가 다음 판매 상품 이상의 상품을 들어 올리는 일없이, 원활히 회전하여, 판매 상품을 확실히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통상의 서펜타인식 컬럼에 설치되는 상품 송출장치에서는, 컬럼이 복수인 경우에는, 각 컬럼마다 상품 송출장치를 설치해야 하고, 더구나 솔레노이드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높아져 버린다. 한편, 상기 다른 상품 송출장치에서는, 어댑터를 송출부재에 장착함으로써, 여러 가지 지름의 상품을 송출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판매할 상품에 따라서, 수종의 어댑터를 준비할 필요가 있고, 또한, 판매할 상품을 지름이 다른 것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번잡한 어댑터 장착 작업을 해야 하고, 이 점에 있어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발명의 요지)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어진 것으로, 통상의 서펜타인식 컬럼에 설치되는 것과 비교하여, 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어댑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 여러 가지 크기의 상품을 1개씩 확실히 송출할 수 있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청구항 1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는, 옆으로 쓰러뜨려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쌓은 상태에서 수납된 복수의 상품 중, 판매시에, 최하위의 판매 상품을 아래쪽으로 송출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에 있어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통로벽에 의해 구분지어 구성된, 복수의 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와, 이 상품 통로의 하단부에, 2개의 통로벽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축선을 따라 연장되는 상품 송출 드럼과, 판매 상품을 송출하기 위해 판매시에 상품 송출 드럼을, 소정 각도 회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품 송출 드럼은, 축선보다도 외측으로 배치되고 또한 축선을 향하여 오목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판매 대기시에 판매 상품의 하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판매 상품을 하측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판매시에 상품 송출 드럼의 회전에 따라, 판매 상품을 2개의 통로벽의 한쪽 측에 송출하는 제 1 상품 지지면과, 이 제 1 상품 지지면에 연결되어, 축선에 대해서 동심형으로 연장되어, 판매시에, 판매 상품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다음 판매 상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 2 상품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품 통로는 한쪽의 통로벽의 하단부에, 판매 상품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확폭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옆으로 쓰러뜨려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쌓은 상태로 상품통로에 수납된 복수의 상품 중, 최하위의 판매 상품은, 판매 대기시에, 상품 송출 드럼의 제 1 상품 지지면에, 하부가 수용된 상태로 하측에서 지지된다. 판매시에,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품 송출 드럼이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제 1 상품 지지면이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한쪽의 통로벽측을 향하므로써, 판매 상품이 제 1 상품 지지면에 지지되면서 확폭부로 송출된다. 또한, 이 경우, 제 2 상품 지지면도 축선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다음 판매 상품의 아래쪽으로 도달하는 것에 의해, 다음 판매 상품을 하측에서 지지한다. 그래서, 상품 송출 드럼이 소정 각도까지 회전하면, 판매 상품은, 제 1 상품 지지면으로부터 떨어져, 확폭부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송출된다. 한편, 제 2 상품 지지면에 지지된 다음 판매 상품은, 상품 송출 드럼이 더 회전함으로써 제 2 상품 지지면에서 제 1 상품 지지면으로 인수 인도되어, 이에 지지되는 것에 따라 다음회의 판매에서의 판매 상품으로서 비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성의 상품 송출장치에서는, 상기 상품 통로의 하단부에 설치된 상품 송출 드럼을 회전시킴으로써 판매 상품을 송출하므로, 종래와 달리, 솔레노이드가 불필요하고, 통상의 서펜타인식 컬럼에 설치된 것에 비하여, 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품 통로에 수납된 판매 상품 및 다음 판매 상품이 각각, 상기와 같이 하여서, 제 1 상품 지지면 및 제 2 상품 지지면에 의해 지지 가능한 일정 범위의 크기(예를 들면, 지름 등)를 가지고 있으면 되기 때문에, 그 범위내의 크기를 가지는 여러 가지의 상품을, 종래와 달리, 어댑터 등을 사용하지 않고, 1개씩 확실히 송출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는, 청구항 1에 있어서, 확폭부로 돌출하여 향한 대기 위치와, 판매 상품의 통과를 허용하는 송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판매시에, 대기 위치에서 송출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제 2 상품 지지면이 다음 판매 상품을 지지할 때까지, 판매 상품을 보유하는 상품 보유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판매시에, 상기 대기 위치에서 송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는 상품 보유부재가, 제 2 상품 지지면이 다음 판매 상품을 지지할 때까지, 판매 상품을 보유하므로, 다음 판매 상품은, 판매 상품에 포개어 쌓아지고, 또한 이것에 하측에서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어, 필요 이상으로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없다. 요컨대, 판매시에, 다음 판매 상품이 제 1 상품 지지면에 접근하여도, 다음 판매 상품과 축선의 거리가 제 2 상품 지지면과 축선의 거리보다도 짧아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다음 판매 상품이 제 1 상품 지지면의 단부에 막히는 경우는 없이, 상품 송출 드럼을 원활히 회전시켜 판매 상품을 적절히 송출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품 보유부재는,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품 송출 드럼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어, 상품 보유부재가 송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판매 상품이 송출되었을 때에, 상품 보유부재를 송출 위치에서 대기 위치로 구동하는 보유부재 구동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판매시에, 상품 송출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품 보유부재가 송출 위치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판매 상품이 송출되었을 때에, 상품 보유부재가 보유부재 구동수단에 의해 송출 위치에서 대기위치로 구동되므로, 상품 송출 드럼이 더욱 회전하여도, 상품 보유부재는 송출 위치를 넘어서 대기 위치와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상품 송출 드럼을 사이로 하여 확폭부와 반대측에 상품 보유부재가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상기 한쪽의 통로벽에 대향하는 다른 쪽의 통로벽에, 상품 송출 드럼을 옆에 대어서 배치할 수 있어, 상품 송출 드럼 주위의 상품 통로를 공간절약으로 구성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품 보유부재는, 판매 상품의 무게로 눌려지는 것에 의해 송출 위치를 향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품 보유부재가 송출 위치를 향하여, 상품 송출 드럼에 대해 소정 각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보유부재 구동수단은, 상품 보유부재를 대기 위치로 힘을 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상품 보유부재가, 판매 상품의 무게(자체 무게)로 눌리는 것에 의해 송출 위치를 향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품의 크기에 따른 각도만큼 회동하는 것에 의해, 제 1 상품 지지면에 지지된 판매 상품을, 그 크기에 상관없이 적절히 보유할 수 있다. 요컨대, 제 1 상품 지지면과 상품 보유부재로써 구분지어 구성되는 공간에 판매 상품의 하부가 수용된 상태로 보유되는 경우에 있어서, 그 공간이 판매 상품의 하부보다도 작을 때에는, 상품 보유부재가 판매 상품에 눌림으로써, 공간이 판매 상품의 하부에 적합한 크기로 자동적으로 확대한다. 또한, 보유부재 구동수단을 구성하는 스프링은, 상품 보유부재를 대기위치로 힘을 줌으로써, 판매 상품을 상품 보유부재에 접한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상품 보유부재가, 송출 위치를 향해 상품 송출 드럼에 대해 소정 각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스토퍼에 의해 저지된다. 이상에 의해 판매 대기시 및 판매시에, 판매 상품을 그 크기에 맞추어서 자동적으로 적절히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보유부재 구동수단이 스프링으로 구성됨으로써, 상품 보유부재를 대기위치로 구동하는 기능과, 판매상품에 항상 접촉시키는 기능을 겸비하므로, 구조의 단순화 및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는, 청구항 2 내지 4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품 보유부재는,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어, 확폭부에 제 1 돌출길이로 돌출하는 제 1 돌출부와, 이 제 1 돌출부에 인접함과 동시에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확폭부에 제 1 돌출 길이보다도 짧은 제 2 돌출 길이로 돌출하는 제 2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판매시에, 상기 제 1 돌출부 및 제 2 돌출부에 각각 보유되도록 상품 송출 드럼의 제 1 상품 지지면에, 동일 크기의 2개의 판매 상품을 축선을 따라 배치하여 지지시킴으로써, 상품 송출 드럼이 1회전할 때까지, 상품 송출 드럼의 서로 다른 회전각도로, 2개의 상품을 각각 송출할 수 있다. 요컨대, 판매시에, 상품 송출 드럼이 회전하면, 먼저, 제 2 돌출 길이로 돌출하는 제 2 돌출부가 송출 위치에 도달하고, 이에 따라 제 2 돌출부에서 보유되어 있는 판매 상품이 송출된다. 이 상태에서, 상품 송출 드럼을 정지시켜두고, 다음회의 판매에서, 상품 송출 드럼을 더욱 회전시킴으로써, 제 1 돌출부가 송출 위치에 도달하고, 이것에 의해 제 1 돌출부에서 보유되어 있는 판매 상품이 송출된다. 따라서, 상품 송출 드럼이 1회전할 때까지, 2회의 판매에 있어서 각각 1개씩 상품을 송출할 수 있어, 상품 송출 드럼을 1회전시킬 때마다 1개의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판매시에 상품 송출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는, 청구항 1 내지 5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한쪽의 통로벽에 설치되어, 확폭부로부터 퇴피하는 퇴피위치와, 확폭부로 돌출한 돌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판매시에, 상품 송출드럼의 회전에 따라서, 퇴피위치로부터 돌출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다음 판매 상품의 확폭부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침입 저지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판매시에, 침입 저지부재가 상품 송출 드럼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퇴피위치로부터 돌출위치로 이동하여 다음 판매 상품의 확폭부로의 침입을 저지하므로, 다음 판매 상품이 판매시에 확폭부에 잘못하여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1회의 판매로 2개의 상품을 송출하는 소위 2개 송출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는,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품 통로는, 상품 송출 드럼을 각각 갖는 상호 인접한 2개의 상품 통로에 의해 구성되고, 구동수단은, 단일의 구동원과, 판매시에 구동원을 2개의 상품 통로의 상품 송출 드럼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전환하여서 연결하는 연결 전환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구동수단의 단일 구동원이, 연결 전환수단에 의해, 상호 인접한 2개의 상품 통로의 상품 송출 드럼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연결되므로, 양 상품 송출드럼의 구동에 단일의 구동원을 공용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각 상품 송출 드럼마다 구동원을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상품 송출장치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쌓은 상태에서 상품 통로에 수납된 복수의 상품 중, 판매시에, 최하위의 판매 상품을 아래쪽으로 송출(delivery)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송출장치를 가지는 상품 수납 송출장치를 판매기 본체에 내장하여, 메인 도어 및 단열 도어를 생략한 자동판매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상품 수납 송출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상품 송출 드럼 주위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서로 좌우로 인접한 2개의 상품 송출 드럼 주위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상품 송출 드럼 주위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상품 보유기구가 짜 넣어진 상품 송출 드럼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상품 보유기구 및 상품 송출 드럼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8은, 가늘은 깡통 상품의 송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설명도,
도 9는, 페트병 상품의 송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설명도,
도 10은, 굵은 깡통 상품의 송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설명도,
도 11은, 중간 굵기의 깡통 상품의 송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적인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품 송출장치를 하부에 가지는 상품 수납 송출장치를 나타내고, 자동판매기의 판매기 본체에 내장된 상태 및 전체의 외관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상품 수납 송출장치가 내장된 자동판매기는, 예를 들면 깡통 음료 상품과 페트병 상품 등의 다수의 상품을 전후방향으로 옆으로 쓰러뜨려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쌓은 상태로 수납하고, 판매시에, 상품 송출장치에 의해, 최하위의 판매 상품을 1개씩 아래쪽으로 송출하는 것이다.
상품 수납 송출장치(1)는, 앞면이 개구한 종길이 박스형의 판매기 본체(2)내에 전후로 2조 배치되어 있다(도 1 및 도 2에서는, 앞측의 상품 수납 송출장치만 도시). 각 상품 수납 송출장치(1)는, 다수의 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상품 수납장치(3)와, 이 상품 수납장치(3)의 아래쪽에 위치하여, 판매시에, 최하위의 판매 상품을 송출하는 상품 송출장치(4)로 구성된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상품 수납 송출장치(1)에서는, 편의상, 우단부분의 각 종의 구성부품에 관해서는 상세히 도시하고, 그 왼쪽 부분의 구성부품은, 우단부분의 것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도시를 생략한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품 수납 송출장치(1)의 우단부분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수납장치(3)는, 판매기 본체(2)내의 좌우방향의 길이와 동일 정도의 간격을 두고, 서로 좌우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종길이 구형상의 좌우 프레임(11, 11)과, 이들 좌우 프레임(11, 11)의 상단부 사이, 및 상하방향의 중앙부 사이에 각각 걸치고, 전후대칭으로 좌우 프레임(11, 11)에 나사 고정된 횡길이 구형상의 상 프레임(12, 12) 및 중앙 프레임(13, 13)등으로 골조가 구성된다. 좌우 프레임(11, 11) 사이에는 좌우 프레임(11)과 거의 마찬가지로 구성된 종길이 구형상의 5개의 칸막이 벽(14)(통로벽)이, 좌우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벽(14, 14) 및 좌우 프레임(11, 11)과 이에 각각 서로 이웃하는 칸막이 벽(14, 14)으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6개의 상품 통로(15)가 구분지어 구성된다. 각 상품 통로(15)에는, 동일 품목의 다수의 상품이 전후방향으로 옆으로 쓰러뜨려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쌓은 상태로 수납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전후 2조의 상품 수납 송출장치(1)에 의해, 이 자동판매기에서는 최대 12(=6×2) 품목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다.
각 상품 통로(15)의 하반부에는, 수납된 상품을, 후술할 상품 송출 드럼(21)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벽(16)이 설치된다. 이 안내벽(16)은, 도 3에 도시한 것과 같이, 칸막이 벽(14)의 전후방향의 폭과 동일 정도의 폭을 가지는 종길이 구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칸막이 벽(14)과 우 프레임(11)(좌 프레임도 포함한다. 이하 동일함.)에 대하여, 상품 송출 드럼(21)을 향해서 오른쪽 아래 또는 왼쪽 아래로 경사지고, 칸막이 벽(14)과 우 프레임(11)에 세워서 걸쳐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품 통로(15)의 좌우방향의 폭이 아래쪽을 향해서 좁아져, 상품 송출 드럼(21)에 상품을 1개씩 적절히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안내벽(16)의 표리면, 즉 상품 통로(15)측 및 칸막이 벽(14)측(우 프레임(11)측을 포함한다.)의 면에는, 전후방향의 후반부에, 상품 통로(15)를 전후 2개의 통로(앞통로, 후 통로)로 분할하기 위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 형상의 통로 칸막이 판(미도시됨)을 걸리게 하기 위한 3개의 걸림부(17, 17, 17)가, 상하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서 설치된다. 각 걸림부(17)는, 전후방향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걸림 발톱(locking claw)(17a)을 가지고 있고, 각 걸림부(17)의 인접하는 걸림 발톱(17a, 17a) 사이에 통로 칸막이 판의 좌우방향의 단부를 각각 꽂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 벽(14) 및 우 프레임(11)에도, 안내벽(16)과 마찬가지의 걸림부(17)가, 상하방향으로 적당한 간격을 두고서 복수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안내벽(16) 및 칸막이 벽(14)(우 프레임(11)을 포함한다.)의 각 걸림부(17)에, 통로 칸막이 판을 걸리게 함으로써, 상품 통로(15)를 상하에 걸쳐서 전 통로 및 후 통로로 2분할 할 수 있고, 추가하여, 통로 칸막이 판의 전후방향의 걸림위치를 적당하게 변경함으로써, 전 통로 및 후 통로 방향의 폭을, 수납할 상품의 높이(옆으로 쓰러뜨려지기 전의 높이)에 대응시킬 수 있다.
이때, 안내벽(16)은, 그 상부에 설치된 후크(18)를 통해서, 칸막이 벽(14) 등에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판매기 본체(2)내의 안측에 배치된 상품 수납 송출장치(1)를 유지보수할 때에는, 안내벽(16)을 칸막이 벽(14) 등으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작업자가 안측의 상품 수납 송출장치(1)까지 용이하게 손을 뻗칠 수 있어,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안내벽(16)이 부착된 칸막이 벽(14)의 하단부에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됨과 동시에, 안내벽(16)의 아래쪽에서 상품 송출드럼(21)과 반대측에 볼록으로 만곡하고, 그 칸막이 벽(14)측에 접근하여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확폭 플레이트(19)가 설치된다. 또한, 이 확폭 플레이트(19)와 좌우 대칭의 확폭 플레이트(19)가, 우 프레임(11)의 하단부에도 설치된다. 그래서, 각 확폭 플레이트(19)와 각 상품 송출 드럼(21)으로 상품 통로(15)의 하단부를 구성함과 동시에, 판매시에, 판매 상품 S의 통과를 허용하고, 그 판매 상품 S를 아래쪽으로 송출하기 위한 확폭부(20)가 구분지어 구성된다.
한편, 상품 송출장치(4)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상품 통로(15)의 하단부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판매 대기시에 판매 상품 S를 지지하는 한편, 판매시에 소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판매 상품 S를 아래쪽으로 송출함과 동시에 판매상품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다음 판매 상품을 지지하는 상기 상품 송출 드럼(21)과, 판매시에, 좌우방향으로 인접한 2개의 상품 송출 드럼(21, 21) 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회전구동하는 구동 모터(23)(구동원)와, 판매시에, 상품 송출 드럼(21)이 다음 판매 상품을 지지할 때까지, 판매 상품 S를 보유하기 위한 상품 보유기구(24)와, 판매시에, 다음 판매 상품이 확폭부(20)에 침입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침입 저지기구(25) 등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품 송출장치(4)중, 구동 모터(23)를 제외한 다른 구성부분, 즉, 상품 송출 드럼(21), 상품 보유기구(24) 및 침입 저지기구(25)는, 각 상품 통로(15)마다 설치되어 있어,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이들은 좌우대칭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하 설명에서는, 좌측에 배치된 구성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품 송출 드럼(21)은, 도 5∼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전후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배치된 소정 형상의 다수의 리브(rib, 21a)가 서로 접합되는 것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거의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수의 리브(21a)의 외주면에 의해 구성된 상품 송출 드럼(21)의 주위 방향의 외면은, 판매 상품 S를 지지하기 위한 판매 상품 지지면(31)(제 1 상품 지지면)과, 다음 판매 상품을 지지하기 위한 다음 판매 상품 지지면(32)(제 2 상품 지지면)으로 구성된다. 판매 상품 지지면(31)은, 전후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전축(22)(축선)보다도 외측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회전축(2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외형선이, 회전축(22)을 향해 오목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한편, 다음 판매 상품 지지면(32)은, 판매 상품 지지면(31)의 단부 사이에 연결됨과 동시에 회전축(22)에 대해 동심형으로 연장되어, 회전축(22)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외형선이 우수한 활 모양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품 송출 드럼(21)의 하단 앞부에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보유기구(24)의 후술할 스토퍼(35)가 설치된다.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송출 드럼(21)의 전단 부근에는, 구동 모터(23)가 설치되어 있어, 상품 송출 드럼(21)의 앞쪽으로 설치된 삼각 케이스(26)내의 도시하지 않은 구동기구(연결 전환수단)를 통해서, 구동 모터(23)가 상품 송출 드럼(21)의 회전축(22)에 연결된다. 이 구동기구는, 예를 들면 2개의 일방향 클러치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판매시에 구동 모터(23)의 정역회전에 의해 좌우로 인접하는 2개의 상품 송출 드럼(21, 21)중 어느 한쪽이 선택적으로 전환되어, 소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때, 구체적으로는, 좌측의 상품 송출 드럼(21)은, 도 4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한편, 우측의 상품 송출 드럼(21)은,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와 같이, 상기 구동기구에 의해 단일의 구동 모터(23)의 동력으로, 좌우의 상품 송출 드럼(21, 21)중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므로, 각 상품 송출 드럼(21, 21)마다 구동 모터(23)를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상품 송출장치(4)의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품 송출 드럼(21)은, 통상의 판매 대기시에는, 판매 상품 지지면(31)이 상향되는 홈 포지션(home position)에 위치하고, 판매 상품 S의 하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판매 상품 S를 하측에서 지지한다(도 8a 참조). 그래서, 판매시에, 구동 모터(23)에 의해 상품 송출 드럼(21)이 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구동된 후, 판매 상품 지지면(31)이 왼쪽으로 향하면서 판매 상품 S를 확폭부(20)에 송출한다. 그리고, 확폭부(20)에서 판매 상품 S의 통과가 허용되는 위치까지 상품 송출 드럼(21)이 회전하면, 그 판매 상품 S가 확폭부(20)를 통과하여 아래쪽으로 송출된다.
상품 보유기구(24)는,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송출 드럼(21)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상품 송출 드럼(2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전후 1쌍의 소정 형상의 회전부재(33, 33)와, 이들의 회전부재(33, 33) 사이에 걸쳐진 상태에서, 상품 송출 드럼(21)의 외주면 부근에서 확폭부(20)로 돌출하여, 판매시에, 상품 송출 드럼(21)의 회전에 따라 확폭부(20)에 송출된 판매 상품 S를, 하측에서 지지하기 위한 상품 보유부재(34)와, 이 상품 보유부재(34)가 상품 송출 드럼(21)에 대해 소정 각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스토퍼(35)를 구비하고 있다.
각 회전부재(33)는, 원반형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중심부에 관통 구멍(36a)을 가지고, 이 관통 구멍(36a)에 상품 송출 드럼(21)의 돌출한 베어링(21b)이 느슨하게 삽입됨으로써, 상품 송출 드럼(2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원반부(36)와, 이 원반부(36)의 외주의 소정 위치에서 위쪽을 향해 연장됨과 동시에 횡단면 L자형으로 형성되고, 상품 보유부재(34)의 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부(37)로 구성된다. 후측의 회전부재(33)의 지지부(37)에는, 그 선단부에 인장 스프링(37a)(보유부재 구동수단, 스프링)이 설치되어 있고, 이 인장 스프링(37a)에 의해 회전부재(33, 33)를 통해 상품 보유부재(34)를 후술할 대기 위치 P1(도 8a 참조)에 힘을 주고 있다. 또한, 원반부(36)의 하부에는, 횡길이 구형상의 관통 구멍(36b)이 형성되어 있고, 이 관통 구멍(36b)에, 스토퍼(35)의 후술할 스토퍼 본체(39)가 걸거나 벗기도록 되어 있다.
상품 보유부재(34)는, 상품 송출 드럼(21)의 회전축(22)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고, 전단부 및 후단부가 전후의 회전부재(33, 33)의 지지부(36, 36)에 각각 나사고정되어 있다. 상품 보유부재(34)의 상품 송출 드럼(21)측의 면은, 곡률이 작은 원호형으로 약간 오목하고, 판매 상품 S를 지지할 때에, 그 판매 상품 S를 적절히 보유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품 보유부재(34)는, 확폭부(20)에 돌출하게 향한 대기 위치 P1(도 5 및 도 8a 참조)과, 판매 상품 S의 무게(자체 무게)로 눌려짐으로써, 확폭부(20)에서의 판매 상품 S의 통과를 허용하는 송출 위치 P2(도 8e 참조) 사이에서, 회동축(22)을 중심으로서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또한,상품 보유부재(34)는, 그 전반부(34a)(제 1 돌출부) 및 후반부(34b)(제 2 돌출부)에서, 상품 송출 드럼(21)의 부근에서 확폭부(20)로 돌출한 돌출 길이가 서로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후반부(34b)의 돌출 길이 L2(제 2 돌출 길이)가, 전반부(34a)의 돌출 길이 L1(제 1 돌출 길이)보다도 짧게, 그것의 1/2 정도가 된다.
스토퍼(35)는, 도 7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송출 드럼(21)의 전단하부에 , 케이스(38)를 통해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판재로 이루어진 소정 형상의 스토퍼 본체(39)와, 이 스토퍼 본체(39)를 앞쪽으로 힘을 주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을 가지고 있다. 스토퍼 본체(39)의 전단부(걸림부(40))는, 쐐기형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앞쪽으로 똑바로 연장되어, 상기 앞측의 회전부재(33)의 관통 구멍(36b)의 왼쪽 가장자리 면과 평행한 면을 가지는 걸림면(40a)과, 이 걸림면(40a)의 전단에 연결되어, 뒤쪽을 향해 경사진 경사면(40b)으로 구성된다. 이 스토퍼 본체(39)는, 상기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앞쪽으로 힘을 줌으로써, 판매 대기시에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걸림부(40)가 앞측의 회전부재(33)의 관통 구멍(36b)에 삽입한 상태에서 이것에 걸어 맞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품 보유기구(24)에서는, 판매시에 상품 송출 드럼(21)이 도 3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스토퍼 본체(39)가 스토퍼(35)의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맞서서 뒤쪽으로 내려 눌려진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 본체 (39)의 걸림부(40)의 경사면(40b)이, 정지하고 있는 회전부재(33)의 관통 구멍(36b)의 오른쪽 가장자리부에 의한 반력에 의해 눌려지고, 이에 따라 스토퍼 본체(39)가 뒤쪽으로 눌려지고, 관통 구멍(36b)으로부터 일시적으로 빠진다. 상품송출 드럼(21)이 더욱 회전하면, 판매 상품 S가 상품 보유부재(34)에 접하여, 판매 상품 S의 무게로 눌려짐으로써, 상품 보유부재(34)가 송출 위치 P2를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33)는, 인장 스프링(37a)에 맞서서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하여, 스토퍼 본체(39)의 걸림부(40)가,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재차 회전부재(33)의 관통 구멍(36b)에 걸어 맞춘다. 그 결과, 판매 상품 S의 무게로 눌려지는 상품 보유부재(34)는, 상품 송출 드럼(21)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한 상태로 정지하고, 그 상태를 유지하면서, 그 후의 상품 송출 드럼(21)의 회전에 따라서, 송출 위치 P2를 향해 회동한다. 그리고, 상품 송출 드럼(21)이 더욱 회전하여, 판매 상품 S가 확폭부(20)에 송출되었을 때에는, 상품 보유부재(34)는, 상품 송출 드럼(21)의 다음 판매 상품 지지면(32)이 다음 판매 상품을 지지할 때까지, 판매 상품 S를 보유한다.
이와 같이, 판매시에 대기 위치 P1에서 송출 위치 P2를 향해 회동하는 상품 보유부재(34)에 의해, 다음 판매 상품 지지면(32)이 다음 판매 상품을 지지할 때까지, 판매 상품 S를 보유하므로, 다음 판매 상품은, 판매 상품 S에 포개어 쌓아지고 또 이것에 하측에서 지지된 상태로 유지되어, 필요 이상으로 하락하는 경우는 없다. 요컨대, 판매시에, 다음 판매 상품이 판매 상품 지지면(31)에 근접하여도, 다음 판매 상품과 회전축(22)의 거리가 다음 판매 상품 지지면(32)과 회전축(22)의 거리보다도 짧아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다음 판매 상품이 판매 상품 지지면(31)의 단부에 연결되는 경우는 없이, 상품 송출 드럼(21)을 원활히 회전시켜, 판매 상품 S를 적절히 송출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것처럼, 침입 저지기구(25)는, 판매 대기시에는 상기 안내벽(16)과 확폭 플레이트(19)의 사이에 배치된 케이스(41)내에 수용되어, 판매시에 상하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다음 판매 상품이 확폭부(20)에 침입하는 것을 막는 침입 저지부재(42)와, 상기 상품 송출 드럼(21)의 앞면에 부착되어, 소정 형상의 캠(cam)홈(미도시됨)을 가지는 캠 원반(43)과, 이 캠 원반(43)의 캠 홈에 걸어 맞춤과 동시에, 침입 저지부재(42)에 핀(44)을 통해 연결된 소정 형상의 연결 플레이트(45) 등으로 구성된다.
침입 저지부재(42)는, 횡길이 구형상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하부가 적당히 복수 부분이 베어지고, 베어지고 남은 복수의 부분이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출부(42a)로 되어 있다. 이때, 각 돌출부(42a)의 하단부는, 왼쪽을 향해 굴곡형성된다. 이들의 돌출부(42a)는, 케이스(41)의 저면 및 확폭 플레이트(19)에, 각 돌출부(42a)에 대응하도록 각각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복수의 개구에 각각 걸어 맞추어져 있고, 이들의 개구에 돌출부(42)가 각각 안내되면서, 침입 저지부재(42)가 확폭부(20)로부터 퇴피하여 거의 케이스(41)에 수용되는 퇴피위치 Q1(도 3, 도 8a 참조)과, 돌출부(42a)의 돌출 길이와 거의 동일한 정도, 확폭부(20)에 돌출하는 돌출 위치 Q2(도 8c 참조) 사이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침입 저지부재(42)의 앞부 및 뒷부에는, 왼쪽을 향해 직각으로 짤라 들어올려진 짤라 들어올린부(cut-and-lift portion)(42b, 42b)에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로드(rod, 46)가 고정되고, 이 로드(46)에 연결 플레이트(45)의 핀(44)이 연결되어 있다.
연결 플레이트(45)는, 구형 프레임형의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좌우의 가장자리부(45a, 45a)가 앞쪽을 향해 직각으로 굴곡형성되어 있다. 이 좌우의 가장자리부(45a, 45a)가 도시하지 않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홈에 걸어 맞추어지고, 이 안내홈을 따라서, 연결 플레이트(45)가 상하방향으로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연결 플레이트(45)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는, 각각 좌우 대칭의 관통 구멍(45b, 45b, 45c, 45c)가 형성되어 있고, 좌측의 상 관통 구멍(45b)에, 상기 로드(46)에 연결한 핀(44)이 고정되는 한편, 우측의 하 관통 구멍(45c)에 캠 원반(43)의 캠 홈에 걸어 맞추는 도시하지 않은 핀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침입 저지기구(25)에서는, 판매시에, 상기 상품 송출 드럼(21)의 회전에 따라서 캠 원반(43)이 회전하면, 연결 플레이트(45)가 캠 홈에 따라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경우, 연결 플레이트(45)가 아래쪽으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이에 따라서 침입 저지부재(42)가 퇴피 위치 Q1으로부터 돌출 위치 Q2로 향하여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확폭부(20)의 상류단의 상하방향의 폭이 좁아지고, 이것에 의해, 다음 판매 상품은 확폭부(20)로의 침입이 저지된다. 그 결과, 판매시에, 다음 판매 상품이 확폭부(20)에 잘못하여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1회의 판매로 2개의 상품을 송출하는 소위 2개 내보내기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품 송출장치(4)에 의한 판매 상품 S의 송출에 관하여, 가늘은 깡통 상품(직경 53mm)의 송출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때, 전제로서, 상품 통로(15)가 상기 앞 통로 및 뒷 통로로 2분할되어, 각각에 상품이 수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판매 상품 및 다음 판매 상품에 각각 "S1" 및 "S2"의 부호를 부여하고, 또한 상품통로(15)의 앞 통로 및 뒷 통로에 각각 수납되어 있는 판매 상품 S1을 특히 구별하는 경우에는, 부호에 각각 "F" 및 "B"의 첨자를 붙힌다.
도 8a는, 통상의 판매 대기시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상품 송출 드럼(21)이 홈 포지션에 위치하고 있다. 홈 포지션에 위치하는 상품 송출 드럼(21)은, 판매 상품 지지면(31)이 위쪽을 향하고, 이 판매 상품 지지면(31)에 의해 상품 통로(15)에 수납된 판매 상품 S1을, 그 하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하측으로부터 지지하고 있다. 한편, 다음 판매 상품 S2는, 상품 통로(15)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친 상태에서, 판매 상품 S1의 위에 포개어 쌓아서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상품 보유부재(34)는 대기 위치 P1에 위치하는 한편, 침입 저지부재(42)는 퇴피 위치 Q1에 위치한다. 또한, 상품 보유기구(24)의 스토퍼 본체(39)의 걸림부(40)는,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회전부재(33)의 관통 구멍(36b)에 삽입한 상태로 걸어 맞추어진다.
상기와 같은 판매 대기 상태에서 판매 상태로 이동하면, 우선, 상품 송출 드럼(2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렇게 하면, 판매 상품 S1이 상품 보유부재(34)를 향해 송출된다. 그리고, 판매 상품 S1이 상품 보유부재(34)에 접하면, 상품 보유부재(34)는 판매 상품 S1의 무게에 따라 송출 위치 P2를 향해 눌려짐으로써, 상품 송출 드럼(21)에 대해 소정 각도 회동하여, 스토퍼(35)에 의해 그 상태가 유지되면서, 상품 송출 드럼(21)의 회전에 따라 송출 위치 P2를 향해 회동한다.
상품 송출 드럼(21)이 더욱 회전하여, 판매 상품 S1이 확폭부(20)에 송출되어도, 도 8b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송출 드럼(21)의 다음 판매 상품 지지면(32)의 단부가, 다음 판매 상품 S2의 아래쪽으로 도달할 때까지, 다음 판매 상품 S2는, 상품 보유부재(34)에 의해 보유된 판매 상품 S1에, 하측에서 지지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상품 송출 드럼(21)이 더욱 회전하는 것에 의해, 동일 도 8c에 도시한 것처럼, 다음 판매 상품 S2가 상품 송출 드럼(21)의 다음 판매 상품 지지면(32)에 하측에서 지지되는 한편, 판매 상품 S1이 다음 판매 상품 S2로부터 떨어진다. 또한, 이 경우, 침입 저지부재(42)가 퇴피 위치 Q1에서 돌출 위치 Q2를 향해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확폭부(20)의 상류단의 상하방향의 폭이 좁아진다. 이에 따라, 다음 판매 상품 S2의 확폭부(20)로의 침입이 저지된다.
그리고, 상품 송출 드럼(21)이 더 회전함으로써, 도 8d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통로(15)의 후 통로에 수납되어 있던 판매 상품 S1B가, 확폭부(20)의 통과가 허용되면, 그 판매 상품 S1B만이 낙하하여 송출된다. 판매 상품 S1B가 송출된 것이, 확폭부(20)의 아래쪽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상품 센서에 의해 검지되었을 때에, 상품 송출 드럼(21)의 회전이 정지하여, 일시적인 판매 대기 상태가 된다. 이때, 송출된 판매 상품 S1B는, 상품 송출장치(4)의 아래쪽에 설치된 슈트(chute, 5)(도 1 참조)를 통해서 도시하지 않은 상품 인출구로 반출된다.
그 후, 다음회의 판매에 있어서, 상기의 일시적인 판매 대기상태에서 재차, 판매 상태로 이동하면, 도 8d에 나타낸 회전위치에 정지하고 있던 상품 송출 드럼(21)이,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상품 통로(15)의앞 통로에 수납되어 있던 판매 상품 S1F가, 확폭부(20)의 통과가 허용되면, 도 8e에 도시한 것처럼, 그 판매 상품 S1F가 낙하하여 송출된다. 이 경우, 판매 상품 S1F의 송출에 의해서, 판매 상품 S1F에 의한 상품 보유부재(34)로의 누르는 압력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상품 보유부재(34)는, 회전부재(33)를 통해 인장 스프링(37a)에 의해 송출 위치 P2에서 대기 위치 P1로 복귀한다. 그리고, 상품 송출 드럼(21)이 도 8f에 도시한 것처럼, 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침입 저지부재(42)가 돌출 위치 Q2에서 퇴피 위치 Q1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품 송출 드럼(21)이 도 8a에 나타낸 홈 포지션의 위치에 정지한다. 이에 따라, 판매 상품 S1F의 판매가 완료함과 동시에 통상의 판매 대기 상태가 되어, 상기 다음 판매 상품 S2가 다음회의 판매에 있어서 판매 상품 S1으로서 비치된다.
다음으로, 상기의 가늘은 깡통 상품과 직경이 다른 상품의 송출에 관해서, 도 9∼도 11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페트병 상품(최대 직경 72mm), 굵은 깡통 상품(직경 66mm) 및 중간 굵기의 깡통 상품(직경 60mm)이 송출되는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도시한 것처럼, 페트병 상품인 판매 상품 S1은, 그 하부가 상기 가늘은 깡통 상품과 달리, 상품 송출 드럼(21)의 판매 상품 지지면(31)과, 대기 위치 P1에 위치하는 상품 보유부재(34)에서 구분지어 구성되는 공간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9a에 도시한 것처럼, 판매 상품 S1이 판매 상품 지지면(31)에 지지되었을 때에는, 상품 보유부재(34)가 판매 상품 S1으로 눌려짐으로써, 대기 위치 P1보다도 송출 위치 P2측으로 약간 회동하여, 상기 공간이 판매상품 S1의 하부에 적합한 크기로 자동적으로 확대한다. 이에 따라, 통상의 판매 대기시에는, 상품 보유부재(34)가 판매 상품 S1에 딱 접하여, 판매 상품 S1이 판매 상품 지지면(31)과 상품 보유부재(34)에 의해 적절히 지지된다. 이때, 동일 도면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송출 드럼(21)을 사이로 하여서, 확폭부(20)와 반대측의 칸막이 벽(14)에는, 소정 형상의 안내 부재(14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안내부재(14a)에 의해 판매 상품 S1은, 그 하부가 상품 송출 드럼(21)의 판매 상품 지지면(31)에 수용된 상태에서 적절하게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판매 상품 S1을 송출하는 경우도, 상기 가늘은 깡통 상품의 송출과 마찬가지로, 도 9a에 도시한 홈 포지션에 위치하는 상품 송출 드럼(2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9b, 도 9e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송출 드럼(21)의 다음 판매 상품 지지면(32)이 다음 판매 상품 S2를 지지할 때까지, 판매 상품 S1이 상품 보유부재(34)에 의해 보유된다. 상품 송출 드럼(21)이 더 회전함으로써, 도 9d에 도시한 것처럼, 후 통로의 판매 상품 S1B가 송출되고, 다음 판매시에, 도 9e에 도시한 것처럼, 앞 통로의 판매 상품 S1F가 송출된다. 그리고, 판매 상품 S1F가 송출되면, 상품 보유부재(34)가 대기 위치 P1으로 복귀함과 동시에, 도 9f, 도 9a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송출 드럼(21)이 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홈 포지션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판매 상품 S1도, 상기 가늘은 깡통 상품의 송출과 마찬가지로 하여서 송출된다. 즉, 도 10a(이하, 도 11도 포함.)에 도시한 홈 포지션에 위치하는 상품 송출 드럼(21)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10b,도 10c에 도시한 것처럼, 다음 판매 상품 지지면(32)이 다음 판매 상품 S2를 지지할 때까지, 판매 상품 S2가 상품 보유부재(34)에 의해 보유된다. 상품 송출 드럼(21)이 더 회전함으로써, 도 10d에 도시한 것처럼, 판매 상품 S1B가 송출되고, 다음회의 판매시에, 도 10e에 도시한 것처럼, 판매 상품 S1F가 송출된다. 그리고, 판매 상품 S1F가 송출되면, 상품 보유부재(34)가 대기 위치 P1로 복귀함과 동시에, 도 10f, 도 10a에 도시한 것처럼, 상품 송출 드럼(21)이 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홈 포지션으로 되돌아간다. 이때, 도 10에 도시한 굵은 깡통 상품인 판매 상품 S1은, 도 9의 페트병 상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판매 대기시에는, 상품 보유부재(34)가 판매 상품(S1)에 딱 접하고, 판매 상품(S1)이 판매 상품 지지면(31)과 상품 보유부재(34)에 의해 적절히 지지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본 실시예의 상품 송출장치(4)에 의하면, 상품 송출 드럼(21)을 소정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판매 상품 S1을 송출하므로, 종래와 달리, 솔레노이드가 불필요하고, 통상의 서펜타인식 컬럼에 설치되는 상품 송출장치와 비교하여, 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품 통로(15)에 수납된 판매 상품 S1 및 다음 판매 상품 S2가 각각, 상기와 같이 하여서, 판매 상품 지지면(31) 및 다음 판매 상품 지지면(32)에 의해서 지지 가능한 일정한 범위의 지름을 가지고 있으면 좋기 때문에, 그 범위내의 지름을 가지는 여러 가지의 상품을 종래와 달리, 어댑터 등을 사용하는 일 없이 1개씩 확실히 송출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보유부재(34)가 송출 위치 P2로 회동하는 것에 의해 판매 상품 S1이 송출되었을 때에, 인장 스프링(37a)에 의해 상품 보유부재(34)가 송출 위치P2에서 대기 위치 P1으로 구동되므로, 상품 보유부재(34)는 송출 위치 P2를 넘어서 대기 위치 P1과 반대측으로 회동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상품 송출 드럼(21)을 사이로 하여서 확폭부(20)와 반대측으로 상품 보유부재(34)가 회동하기 위한 공간을 설치할 필요가 없고, 확폭 플레이트(19)를 갖지 않은 칸막이 벽(14)측에, 상품 송출 드럼(21)을 옆에 대어서 배치할 수 있고, 상품 송출 드럼(21) 주위의 상품 통로(15)를 공간 절약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보유부재(34)가 판매 상품 S1의 무게로 눌려짐으로써 송출 위치 P2를 향해 회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판매 대기시 및 판매시에, 판매 상품 S1을 그 크기에 맞추어서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품 보유부재(34)의 전반부(34a) 및 후반부(34b)의 돌출 길이 L1, L2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상품 통로(15)의 앞 통로 및 뒷 통로에 각각 수납된 판매 상품 S1F, S1B를 상품 송출 드럼(21)의 서로 다른 회전위치로 송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품 송출 드럼(21)이 1회전할 때까지, 2개의 상품을 판매할 수 있고, 상품 송출 드럼(21)을 1회전시킬 때마다 1개의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판매시에 상품 송출 드럼(21)을 회전시키기 위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설명한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의 상태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펜타인식 컬럼에 본 발명의 상품 송출장치를 적용하여도 된다. 또한, 실시예에서 나타낸 상품 송출 드럼, 상품 보유기구 및 침입 저지기구의 세부 구성 등은, 어디까지나 예시로, 본 발명의 취지의 범위내에서 적당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의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는, 통상의 서펜타인식 컬럼에 설치된 것과 비교하여, 저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어댑터 등을 사용하는 일 없이, 여러 가지의 크기의 상품을 1개씩 확실히 송출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옆으로 쓰러뜨려 상하방향으로 포개어 쌓은 상태에서 수납된 복수의 상품 중, 판매시에, 최하위의 판매 상품을 아래쪽으로 송출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에 있어서,
    서로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배치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통로벽에 의해 구분지어 구성된, 상기 복수의 상품을 수납하기 위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상품 통로와,
    이 상품 통로의 하단부에, 상기 2개의 통로벽이 서로 대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해당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품 송출 드럼과,
    상기 판매 상품을 송출하기 위해, 판매시에, 상기 상품 송출 드럼을 소정 각도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상품 송출 드럼은, 상기 축선보다도 외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축선을 향해 오목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판매 대기시에 상기 판매 상품의 하부를 수용한 상태에서 해당 판매 상품을 하측에서 지지함과 동시에, 판매시에 해당 상품 송출 드럼의 회전에 따라, 상기 판매 상품을 상기 2개의 통로벽의 한쪽측에 송출하는 제 1 상품 지지면과, 이 제 1 상품 지지면에 연결되어, 상기 축선에 대해 동심형으로 연장되고, 판매시에, 상기 판매 상품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다음 판매 상품을 하측에서 지지하는 제 2 상품 지지면을 가지고,
    상기 상품 통로는, 상기 한쪽의 통로벽의 하단부에, 상기 판매 상품의 통과를 허용하기 위한 확폭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폭부로 돌출하여 향한 대기 위치와, 상기 판매 상품의 통과를 허용하는 송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판매시에, 상기 대기 위치에서 상기 송출 위치를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제 2 상품 지지면이 상기 다음 판매 상품을 지지할 때까지, 상기 판매 상품을 보유하는 상품 보유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보유부재는, 상기 축선을 중심으로서, 상기 상품 송출 드럼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해당 상품 보유부재가 상기 송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판매 상품이 송출되었을 때에, 해당 상품 보유부재를 상기 송출 위치로부터 상기 대기 위치로 구동하는 보유부재 구동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보유부재는, 상기 판매 상품의 무게로 억압됨으로써 상기 송출 위치를 향해 회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상품 보유부재가 상기 송출 위치를 향해, 상기 상품 송출 드럼에 대해 소정 각도 이상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토퍼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보유부재 구동수단은, 상기 상품 보유부재를 상기 대기 위치로 힘을 주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보유부재는, 상기 축선을 따라서 연장되어, 상기 확폭부에 제 1 돌출 길이로 돌출하는 제 1 돌출부와, 이 제 1 돌출부에 인접함과 동시에 상기 축선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확폭부에 상기 제 1 돌출 길이보다도 짧은 제 2 돌출길이로 돌출하는 제 2 돌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한쪽의 통로벽에 설치되어, 상기 확폭부에서 퇴피하는 퇴피 위치와, 상기 확폭부로 돌출한 돌출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판매시에, 상기 상품 송출 드럼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상기 돌출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다음 판매 상품의 상기 확폭부로의 침입을 저지하는 침입 저지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품 통로는, 상기 상품 송출 드럼을 각각 가지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상품 통로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단일의 구동원과, 판매시에, 해당 구동원을 상기 2개의 상품 통로의 상기 상품 송출 드럼중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전환하여 연결하는 연결 전환수단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KR10-2001-7005115A 1999-08-27 2000-08-11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KR100390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212999A JP3622589B2 (ja) 1999-08-27 1999-08-27 自動販売機の商品払い出し装置
JP11/242129 1999-08-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341A KR20010089341A (ko) 2001-10-06
KR100390083B1 true KR100390083B1 (ko) 2003-07-04

Family

ID=17084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5115A KR100390083B1 (ko) 1999-08-27 2000-08-11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561380B1 (ko)
EP (1) EP1126423A4 (ko)
JP (1) JP3622589B2 (ko)
KR (1) KR100390083B1 (ko)
CN (1) CN1135507C (ko)
AU (1) AU770767B2 (ko)
HK (1) HK1043419B (ko)
MY (1) MY125521A (ko)
TW (1) TW432342B (ko)
WO (1) WO2001016903A1 (ko)
ZA (1) ZA20010340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08507A1 (en) * 2001-10-19 2003-04-19 Yuyama Mfg. Co., Ltd. Multi-connected ampoules dispensing apparatus
US7032776B2 (en) * 2002-08-08 2006-04-25 The Vendo Company Vending machine bucket drive control
US7684893B2 (en) * 2002-10-04 2010-03-23 Dixie-Narco, Inc. Product support and dispensing system for a vending machine
US7401710B2 (en) * 2002-10-04 2008-07-22 Dixie-Narco, Inc. Vending machine dispensing system
US7289880B2 (en) * 2002-10-04 2007-10-30 Dixie-Narco, Inc. Micro-processor programmable and selectable vending options and control
MX2007013692A (es) * 2005-05-02 2008-01-24 De La Fuente Ruben Ramos Sistema surtidor de productos con cavidades cilindricas.
US7431176B2 (en) * 2005-06-17 2008-10-07 Barryco Technologies Inc. Dispensing machine to store and dispense elongated containers vertically
WO2011154018A1 (en) * 2010-06-08 2011-12-15 Csp Technologies, Inc. Tablet dispenser
JP4632382B1 (ja) * 2010-08-09 2011-02-23 貞年 月川 小型自動販売機
JP4684362B1 (ja) * 2010-09-30 2011-05-18 貞年 月川 小型自動販売機
WO2012100317A1 (en) * 2011-01-26 2012-08-02 Beaver Machine Corporation Vending apparatus having drum dispensing means
US9138122B2 (en) * 2011-04-05 2015-09-22 Whirlpool Corporation Methods of operating dishwashers with low noise motors
CN103440710B (zh) * 2013-04-08 2015-12-16 天津雷云峰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饮料售货机竖直货仓结构
JP6221756B2 (ja) * 2014-01-10 2017-11-01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CN104899976B (zh) * 2014-03-07 2017-08-25 富士电机株式会社 商品收纳装置
JP6273939B2 (ja) * 2014-03-19 2018-02-07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JP6477861B2 (ja) * 2015-02-27 2019-03-06 富士電機株式会社 商品払出装置
US20160307390A1 (en) * 2015-04-17 2016-10-20 Automated Mechandising Systems Inc. Rotary Dispensing Mechanism For Vending Machines
CN108376443B (zh) * 2018-04-20 2021-12-21 佛山市龙生光启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售卖坚果的自动售货机
CN109178977B (zh) * 2018-11-08 2024-04-26 湖北理工学院 一种可重构袋装水泥自动装车机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2226A (en) * 1903-12-03 1904-10-11 Charles Andrus Disbrow Vending-machine.
US1004094A (en) * 1911-04-07 1911-09-26 William Henry Sigley Package-vending machine.
US1212994A (en) * 1916-02-18 1917-01-16 Caleb H Odell Dispensing match-holder.
US1626429A (en) * 1926-05-20 1927-04-26 H N Smith Vending machine
US2785828A (en) * 1952-10-24 1957-03-19 Seth B Atwood Dispensing machine
US2824667A (en) * 1956-10-31 1958-02-25 Harry E Barnett Portable combination container and dispenser
US3161321A (en) * 1962-11-05 1964-12-15 Jo Dee Corp Dispensing device having a grooved dispensing wheel
JPS5238917B2 (ko) * 1973-01-27 1977-10-01
JPS5238917A (en) 1975-09-23 1977-03-25 Sharp Corp Method of producing vibration board for speaker
US4298138A (en) * 1980-02-29 1981-11-03 Dixie-Narco, Inc. Tandem column vender apparatus
US4308974A (en) * 1980-02-29 1982-01-05 Jones Linda M Tampon dispener
JPS5826736A (ja) * 1981-08-07 1983-02-17 Yujiro Tanno 物品排出装置
US4429806A (en) * 1981-09-01 1984-02-07 Twin-Cee Limited Rotating drum dispensing machine
GB8515357D0 (en) * 1985-06-18 1985-07-17 Johnsen Jorgensen Plastics Ltd Roller rugger ball dispenser
JPH063506Y2 (ja) * 1985-10-01 1994-01-26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販売機の商品送出装置
DE3608942A1 (de) * 1986-03-18 1987-09-24 Sielaff Gmbh Co Automaten Ausgabeeinrichtung an warenschaechten eines selbstverkaeufers
US4852767A (en) * 1988-03-03 1989-08-01 Edina Technical Products, Inc. Vending machine dispenser
FR2634304B1 (fr) * 1988-07-15 1992-10-09 Pastor Claude Dispositif de distribution automatique de bouteilles, notamment en materiau souple
US5127543A (en) * 1990-09-04 1992-07-07 Cheskel Meisels Device for reducing cigarette consumption
JPH063506A (ja) 1992-06-17 1994-01-14 Nitto Denko Corp レンズ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アレイ板の製造方法
JPH0793653A (ja) * 1993-09-24 1995-04-07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
US5555965A (en) * 1995-04-17 1996-09-17 Mishina; Koji Battery operated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cylindrical and tetrahedron-shaped objects
USD417309S (en) * 1998-11-19 1999-11-30 Phillip Morris Cigarette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321288A (zh) 2001-11-07
WO2001016903A1 (fr) 2001-03-08
HK1043419B (zh) 2004-12-03
ZA200103408B (en) 2002-03-04
EP1126423A1 (en) 2001-08-22
US6561380B1 (en) 2003-05-13
HK1043419A1 (en) 2002-09-13
JP3622589B2 (ja) 2005-02-23
TW432342B (en) 2001-05-01
AU770767B2 (en) 2004-03-04
CN1135507C (zh) 2004-01-21
KR20010089341A (ko) 2001-10-06
JP2001067543A (ja) 2001-03-16
EP1126423A4 (en) 2007-08-22
MY125521A (en) 2006-08-30
AU6475200A (en) 200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0083B1 (ko) 자동판매기의 상품 송출장치
US6206237B1 (en) Bottle dispenser
CA1094993A (en) Helical coil dispensing machine apparatus
US4852767A (en) Vending machine dispenser
KR19990045287A (ko) 대형 상품 자동판매 시스템
CA2219281C (en) Vending machine for dispensing beverage containers
JPS6336399A (ja) 貯蔵ラック組立体
US5924595A (en) Vending machine rotor
JPH10340383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US20040124205A1 (en) Retractable gauge step for flexible multi-depth vending
JP2962853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420130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装置
US11721157B2 (en) First dispenser module, vending kit comprising said first dispenser module and method
JP3579694B2 (ja) 自動販売機
JP2617982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投入口規制装置
JP3580058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KR100290997B1 (ko) 자동 판매기의 상품 불출 장치
JPH07220154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JP3548056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い出し装置のプッシャアダプタ
JP3478197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装置
JPH081691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JP2001060285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払出装置
JPH04315291A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JPH10269426A (ja) 自動販売機
JP2001034832A (ja)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搬送装置の組み立て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