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9925B1 -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9925B1
KR100389925B1 KR10-2001-0011156A KR20010011156A KR100389925B1 KR 100389925 B1 KR100389925 B1 KR 100389925B1 KR 20010011156 A KR20010011156 A KR 20010011156A KR 100389925 B1 KR100389925 B1 KR 100389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interlayer insulating
insulating layer
pad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11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71182A (ko
Inventor
양원석
송상호
김기남
정홍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111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9925B1/ko
Priority to TW091103382A priority patent/TW544917B/zh
Priority to US10/091,102 priority patent/US6900546B2/en
Priority to JP2002057944A priority patent/JP2002313956A/ja
Publication of KR20020071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71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9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9925B1/ko
Priority to US11/080,032 priority patent/US7462523B2/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H10B12/09Manufacture or treatment with simultaneous manufacture of the peripheral circuit region and memory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3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conductors
    • H01L21/76895Local interconnects; Local pads, as exemplified by patent document EP08963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48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 H01L23/48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485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solid state body in operation, e.g. leads, terminal arrangements ; Selection of materials therefor consisting of lead-in layers inseparably applied to the semiconductor body consisting of layered constructions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and insulating layers, e.g. planar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2/00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devices
    • H10B12/30DRAM devices comprising one-transistor - one-capacitor [1T-1C] memory cells
    • H10B12/48Data lines or contac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제 1 층간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하부 도전층과, 제 2 층간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하부 도전층 상부에 형성된 상부 도전층을 반도체 기판을 통해 연결하는 부분을, 1개 이상의 플러그와 패드로 나눈다. 1개 이상의 플러그는 제 1 층간 절연층 및 제 2 층간 절연층 내에 형성되고, 각각의 플러그의 상부 폭과 하부 폭의 크기의 차이가 심하지 않도록 제 2 층간 절연층을 다수의 서브 층간 절연층으로 나눈다. 그리고 제 2 층간 절연층의 상단부에 형성된 패드는, 자신이 접촉하는 상부 도전층과 인접하는 다른 상부 도전층에는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갖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irng the same}
본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 도전층과 상부 도전층을 이들 사이에 게재되어 있는 절연층 내에 형성된 플러그를 통해 연결시키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하부 도전층은 반도체 기판과의 사이에 게재된 층간 절연막 내에 구비된 플러그를 통해 반도체 기판의 활성 영역과 연결되고, 하부 도전층 상부에 형성된 층간 절연막 내에 구비된 플러그를 통해 상부 도전층과 연결된다. 이런 하부 도전층으로 비트 라인이 채용될 경우 대응하는 상부 도전층으로는 금속 배선층이 채용된다. 다른 예로 로컬 비트라인이 하부 도전층으로 채용되면 글로벌 비트 라인이 상부 도전층의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하면서, 전하 저장 소자인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키기 위한 각종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그 중 한 방법이 캐패시터의 유효 면적을 넓히기 위해 캐패시터가 차지하는 높이를 높이게 되었다. 따라서,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하부 도전층 상부에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COB(Capacitor Over Bit line) 구조를 채택하게 되었다. 그리고 하부 도전층과 상부 도전층 사이에 게재되는 층간 절연층의 두께가 높아지게 되었다. 즉, 하부 도전층과 반도체 기판 사이의 층간 절연층의 두께에 비해 하부 도전층과 상부 도전층 간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층의 두께가 매우 두껍게 되었다. 따라서, 하부 도전층과 반도체 기판을 연결하는 플러그용 콘택홀 형성 공정은 용이한 반면, 하부 도전층과 상부 도전층을 연결하는 플러그용 콘택홀 형성 공정은 어렵게 되었다. 그리고, 하부 도전층과 상부 도전층 사이에 게재되는 층간 절연막이 두꺼우므로, 그 내부에 형성되는 콘택홀의 크기가 하부 도전층 또는 반도체 기판 근처에서는 작으나, 콘택홀 형성 공정이 진행되면서 그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즉, 콘택홀 하부의 크기에 비해 상부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다.
그런데, 콘택홀 상부의 크기가 커져 콘택홀의 크기가 상부 도전층의 피치보다 크게 되면, 인접하고 있는 두 개의 상부 도전층이 플러그를 통해 전기적 연결됨으로써 단락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계층적 구조의 비트 라인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상부 도전층의 단락 즉, 글로벌 비트 라인의 단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글로벌 비트라인의 피치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러나, 글로벌 비트 라인의 피치를 증가시키면,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고집적화를 달성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부 도전층의 피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부 도전층과 인접하는 상부 도전층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계층적 구조의 비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있어서, 글로벌 비트 라인의 피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글로벌 비트 라인과 인접 글로벌 비트라인 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계층적 구조의 비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개략 회로도의 일예이다.
도 2는 도 1의 반도체 소자의 레이아웃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의 I-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b는 도 2의 II-I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a의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계층적 구조의 비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개략 회로도의 다른 예이다.
도 6은 도 5의 반도체 소자의 레이아웃의 일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는 도 6의 III-III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b는 도 6의 IV-IV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c는 도 6의 V-V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b의 반도체 소자를 제조하는 단계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 및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제 1 층간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하부 도전층과, 제 2 층간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하부 도전층 상부에 형성된 상부 도전층을 반도체 기판을 통해 연결하는 부분을, 1개 이상의 플러그와 패드로 나눈다. 1개 이상의 플러그는 제 1 층간 절연층 및 제 2 층간 절연층 내에 형성되고, 각각의 플러그의 상부 폭과 하부 폭의 크기의 차이가 심하지 않도록 제 2 층간 절연층을 다수의 서브 층간 절연층으로 나눈다. 그리고 제 2 층간 절연층의 상단부에 형성된 패드는, 자신이 접촉하는 상부 도전층과 인접하는 다른 상부 도전층에는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폭을 갖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해서, 패드는 상부 도전층과 하부 도전층을 연결하는 1개 이상의 플러그의 높이의 1/2 이하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도전층으로는 계층적 구조의 비트라인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로컬 비트라인이, 상부 도전층으로는 계층적 구조의 비트라인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글로벌 비트 라인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로컬 비트 라인과 글로벌 비트라인의 연결은 반도체 기판에 형성된 트랜지스터 예를 들면 엔모스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어된다. 다른 예로서 하부 도전층으로는 비트 라인이, 상부 도전층으로는 금속 배선층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하부 도전층과 상부 도전층 사이에는 캐패시터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견지에 의한 일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층, 제 1 층간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 1 도전층, 제 1 도전층 상에 형성된 제 2 층간 절연층, 제 2 층간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 2 도전층을 포함한다. 연결 소자가 제 1 층간 절연층 및 제 2 층간 절연층 내에 형성되어 제 1 도전층과 제 2 도전층을 연결한다. 이 연결 소자는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으로 나눌 수 있는데, 제 1 부분은 반도체 기판에서부터 제 2 층간 절연층 높이 일부까지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1개 이상의 플러그로 되어 있고 그 위에는 제 2 층간 절연층과 나란한 상면을 갖는 패드로 되어 있어서 반도체 기판과 제 2 도전층을 연결한다. 제 2 부분은 제 1 도전층과 반도체 기판을 연결시키는 제 2 플러그로 되어 있다. 여기서, 패드의 상부 폭은, 패드와 직접 접촉하는 제 2 도전층이 인접하는 다른 제 2 도전층과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 크기를 갖는다. 특히, 1개 이상의 플러그의 높이는 패드 높이의 2배 이상임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의한 다른 예에 따른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층, 제 1 절연층 상면에 형성되되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을 덮는 평탄화된 제 2 층간 절연층, 제 2 층간 절연층 상면에 형성되고 반도체 기판과 연결되는 캐패시터, 캐패시터를 덮으며 제 2 절연층 상면에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글로벌 비트 라인 및 제 1 층간 절연층 및 제 2 층간 절연층 내에 형성되고,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 각각과 글로벌 비트 라인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다수의 연결 소자를 포함한다.
다수의 연결 소자 각각은 다수의 글로벌 비트 라인 중 어느 하나의 글로벌 비트 라인과 직접 접촉하는 패드, 반도체 기판과 로컬 비트 라인 각각을 연결하는 제 1 플러그, 로컬 비트 라인에서 신장하며 로컬 비트 라인과 제 1 플러그를 연결시키는 연결 접속부 및 제 1 층간 절연층 및 제 2 층간 절연층 내에 형성되어 패드와 접촉하고 반도체 기판을 통해 제 1 플러그와 연결되는 제 2 플러그를 포함한다.
제 2 플러그는 제 2 층간 절연층의 상부로 진행함에 따라 폭이 증가하며, 제 2 플러그의 상단부는 인접하는 다른 제 2 플러그의 상단부와 연결되지 않는다. 패드의 하부 폭은 제 2 플러그의 상단부의 폭 보다 작으며, 패드의 상부 폭은, 자신이 접촉하는 글로벌 비트 라인에 인접하는 다른 글로벌 비트 라인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폭을 갖는다.
특히, 글로벌 비트 라인의 피치와 연결 접속부의 피치가 같은 경우에는 제 2 플러그의 높이를 패드의 높이의 2배 내지 4배로 하고, 연결 접속부의 피치가 글로벌 비트 라인의 피치의 약 2배인 경우에는 제 2 플러그의 높이는 패드의 높이의 4배 이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통상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서 제 1 플러그의 높이가 플러그용 콘택홀 형성 공정에 부담이 되지 않으므로, 패드의 높이를 제 1 플러그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이보다 낮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플러그의 상면이 캐패시터의 상면보다 위에 위치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한 일예에 따르면, 먼저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 1 층간 절연층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1 도전층을 형성한다. 다수의 제 1 도전층 상에 제 2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 2 층간 절연층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2 도전층을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층간 절연층 내에 구비되면서 반도체 기판을 통해 제 1 도전층 각각과 제 2 도전층 각각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소자를 형성한다. 연결 소자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제 1 및 제 2 층간 절연층을 관통하는 콘택홀을 형성하고 도전성 물질로 채움으로써, 반도체 기판에서부터 제 2 층간 절연층 높이 일부까지 순차적으로 적층된 1개 이상의 플러그를 형성하고, 그 위에는 제 2 층간 절연층과 나란한 상면을 갖는 패드를 형성하여 이 플러그와 제 2 도전층을 연결시킨다. 그리고, 제 1 도전층과 반도체 기판을 연결시키는 제 2 플러그도 형성한다. 여기서, 패드의 상부 폭은, 패드가 직접 접촉하는 제 2 도전층이 다른 인접 제 2 도전층과 단락되지 않는 정도의 크기를 갖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의한 다른 예에 따르면, 반도체 기판 상에 연결 제어용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데, 이때 셀어레이 영역에 셀 트랜지스터를 동시에 형성한다. 연결 제어용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제 1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연결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각각에 연결되는 제 1 플러그 및 제 2 플러그를 형성한다. 다음, 제 1 층간 절연층 상면에 제 1 플러그와 연결되는 연결 접속부와, 연결 접속부와 연결되며 일체인 로컬 비트 라인을 형성한다. 로컬 비트 라인 및 연결 접속부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제 3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고 제 2 플러그와 연결되는 제 3 플러그를 형성한다. 한편, 로컬 비트 라인 형성 단계와 제 3 층간 절연층 형성 단계 사이에 로컬 비트라인과 절연되고 셀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캐패시터를 형성한다. 캐패시터의 상면은 제 3 플러그의 상면보다 아래에 위치하도록 캐패시터를 배치한다. 그리고 제 3 층간 절연층의 소정 부분을 식각하여 제 3 플러그와 연결되는 패드를 형성한다. 그리고 패드를 포함한 제 3 층간 절연층 상면에 글로벌 비트 라인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 3 플러그의 상단부는 인접하는 다른 제 3 플러그의 상단부와 연결되지 않다. 그리고, 패드의 하부 폭은 제 3 플러그의 상단부의 폭 보다 작으며, 패드는, 자신이 접촉하는 글로벌 비트라인이 인접하는 다른 글로벌 비트 라인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의 상부 폭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부 도전층으로 글로벌 비트 라인을 채용하고 하부 도전층으로 로컬 비트 라인을 채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한정하여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계층적 구조의 비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서 셀 어레이 블럭(CAB0, CAB1, CAB2,...., CABn-2, CABn-1)의 정보가 어레이 선택 트랜지스터(Q9또는 Q20)를 통해 감지 증폭기(10a 또는 10b)로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 회로도의 일예이다.
다수의 메모리 셀 어레이 블럭(CAB0, CAB1, CAB2,...., CABn-2, CABn-1) 각각에는 다수의 디램 단위셀(도시되지 않음), 다수의 워드 라인(도시되지 않음) 및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LBL, /LBL)이 포함되어 있다. 디램 단위셀들은 하나의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와 하나의 캐패시터(도시되지 않음)로 이루어져 있다.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는 워드라인이 연결되어 있으며 그의 소오스에는 캐패시터가 연결되어 있고 드레인에는 로컬 비트 라인(LBL, /LBL)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로컬 비트 라인의 타단은 분리 영역(20)의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0, Q0'; Q1, Q1'; Q2, Q2'; .....; Qn-1, Qn-1'; Qn, Qn')의 소오스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제어 트랜지스터(Q0, Q0'; Q1, Q1'; Q2, Q2'; .....; Qn-1, Qn-1'; Qn, Qn')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글로벌 비트 라인(GBL, /GBL)과 분리영역(20)의 모든 트랜지스터들(Q0, Q0'; Q1, Q1'; Q2, Q2'; ....., Qn-1, Qn-1'; Qn, Qn' )은 노드(N0, N0'; N1, N1'; ....., Nn-1, Nn-1'; Nn, Nn')를 통해 연결된다. 한편, 분리 영역(20) 내의 모든 트랜지스터들(Q0, Q0'; Q1, Q1'; Q2, Q2'; ....., Qn-1, Qn-1';Qn, Qn')은 각각의 선택 신호선(ISO0; ISO1; ISO2;... ;ISOn-2;ISOn-1, ;ISOn)에 그들의 게이트가 공통 연결되어 있다. 소정의 선택 신호선에 논리 "하이"가 실리면, 그 선택 신호선에 연결된 모든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가 턴온 된다. 턴온된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셀 어레이 블럭의 셀 정보가 해당 셀어레이 내의 로컬 비트 라인(LBL, /LBL)과,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를 통해 연결된 글로벌 비트 라인(GBL, /GBL)을 통해 감지 증폭기(10a, 10b)로 전달된다. 한편, 신호선 (GISOi 또는 GISOj)의 선택 여부에 따라 트랜지스터(Q9) 또는 트랜지스터(Q20)가 턴온되고, 선택된 메모리 셀 어레이 블럭의 정보가 감지 증폭기(10a 또는 10b)중의 어느 하나로 전달되어 증폭된다.
도 2는 도 1의 30으로 표시한 부분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며,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도 2의 I-I 단면 및 II-II의 단면을 나타낸다.
왼쪽의 셀 어레이 블럭(CAB2)과 오른쪽의 셀 어레이 블럭 (CAB3) 내에는 X 축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로컬 비트 라인(58a)이 배치되어 있다. 로컬 비트 라인(58a) 상부에는 절연층(도 3a 및 도 3b의 60, 66 및 70)을 사이에 두고 글로벌 비트 라인(74)이 X축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2개의 셀 어레이 블럭들(CAB2및 CAB3) 사이에는 분리 영역(20)을 구성하는 선택 제어 트랜지스터(Q3' 및 Q3)들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 영역(42) 및 게이트 전극(43)이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43)은 폴리실리콘층(도 3a의 82) 및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층(도 3a의 83)을 나타내며, 도 2에서는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층(도 3a의 83) 상부에 형성되는 실리콘 질화막(도 3a의 84) 및 스페이서(도 3a의 85)는 도시하지 않았다. 활성 영역(42)은 X축의 방향으로 신장하며 Y축의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어 있으며, 게이트 전극(43)은 Y축의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활성 영역(42)의 일단은 콘택홀(C1)을 채운 플러그(도 3a 및 도 3b의 56c)와 로컬 비트 라인(58a)에서 연장된 연결 접속부(58b)를 통해 셀 어레이 블럭(CAB2 및 CAB3)의 로컬 비트 라인(58a)에 연결된다. 게이트 전극(43)을 중심으로 하는 활성 영역의 다른 일단은 콘택홀들(C1및 C2)을 채운 플러그들(도 3a 및 도 3b의 56d 및 68)과 콘택홀(C3)을 채운 패드(도 3a 및 도 3b의 72)를 통해 글로벌 비트 라인(74)에 연결된다.
분리 영역(20)에서 글로벌 비트 라인(74)이 로컬 비트 라인의 연결 접속부(58b)에 1:1로 대응하면서 배치되어 있으므로, 로컬 비트 라인 연결 접속부(58b)간의 스페이스와 글로벌 비트라인(74)간의 스페이스가 d1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패턴과 스페이스 크기는 1:1이 되게 설계하므로, 패턴과 스페이스를 합친 값인 피치는 로컬 비트 라인 연결 접속부(58b)와 글로벌 비트라인(74)의 것 모두 2d1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2의 단면도인 도 3a 및 도 3b를 참고로 상세히 살펴보면, 반도체 기판(50)에는 셀 어레이 영역(CAB2)과 분리 영역(20)을 나누는 소자 분리막(52)이 형성되어 있다. 셀 어레이 영역(CAB2)에는 게이트 산화막(81), 폴리실리콘층(82),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층(83), 실리콘질화막(84) 및 질화막 스페이서(85)로 이루어진 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구조체들(CG1, CG2, CG3)이 형성되어 있다. 소자 분리막(52) 상에는 더미 게이트전극 구조체(DG1)가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 영역(도 2의 20)에는 연결제어 트랜지스터(Q3')가 형성되어 있다. 셀 어레이 영역(CAB2)의 제 1 층간 절연층(54) 상면에는 로컬 비트 라인(58a)이 형성되어 있고, 로컬 비트라인(58a)의 연장선 상에는 연결 접속부(58b)가 형성되어 있다. 로컬 비트 라인(58a)은 플러그(56a)를 통해 반도체 기판, 더욱 상세하게는 셀 트랜지스터의 활성영역에 연결된다. 로컬 비트라인(58a)의 연결 접속부(58b)는 로컬 비트 라인(58a)과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3')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러그(56c)를 통해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3')의 소오스에 연결된다. 한편, 연결 접속부(58b)는 더미 게이트 전극 구조체(DG1)와도 연결되어 있다. 로컬 비트 라인(58a)을 덮는 제 2 층간 절연층(60) 상면의 셀 어레이 영역에는 캐패시터(64)가 형성되어 있다. 캐패시터(64)는 제 1 층간 절연층(54) 및 제 2 층간 절연층(60) 내에 형성된 스토리지 전극 콘택 플러그(62)를 통해 셀 트랜지스터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3 층간 절연층(66)은 캐패시터를 덮는다. 제 3 층간 절연층(66) 상부에 형성된 제 4 층간 절연층(70)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기판 전면에 글로벌 비트 라인(74)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 4 층간 절연층(70) 내에 형성된 패드(72) 및 제 3 층간 절연층(66), 제 2 층간 절연층(60) 및 제 1 층간 절연층(54)내 구비된 플러그들(68 및 56d)을 통해, 글로벌 비트 라인(74)은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3')의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플러그(56a, 56c 또는 56d)가 형성되는 제 1 층간 절연층(54)의 두께는 플러그(68)가 형성되는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층(60, 66)의 두께보다 상당히 얇다. 특히 반도체 소자의 집적화에 따라, 캐패시턴스를 증가시킬 필요에 의해 캐패시터(64)의 높이가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64)가 포함된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층(60 및 66)의 높이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므로 플러그(56d)의 상부 폭에 비해 플러그(68)의 상부 폭은 휠씬 크다.
종래에는 제 3 층간 절연층(66)내에 구비된 플러그(68) 또는 플러그(68)가 제 4 층간 절연층(70)까지 연장된 플러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글로벌 비트 라인(74)과 반도체 기판(50)을 연결시켰다. 그런데, 플러그(68) 또는 연장된 플러그의 상부 폭이 콘택홀 형성 식각 진행에 따라 커지기 때문에, 플러그(68) 또는 연장된 플러그와 접촉하는 글로벌 비트 라인(74)이 인접하는 다른 글로벌 비트 라인(74)과 단락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3 층간 절연층(66) 상에 형성된 제 4 층간 절연층(70) 내부에, 플러그(68)의 상부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패드(72)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패드(72)를 이용하여 글로벌 비트 라인(74)을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3')의 드레인에 연결시킨다. 패드(72)의 상부 폭이 작으므로, 인접하는 두 개의 글로벌 비트 라인(74)이 패드(72)에 연결될 염려는 없다.
제 4 층간 절연층(70)의 두께는 글로벌 비트 라인(74)과 로컬 비트 라인(58a) 사이의 신호 전달 시간 등의 각종 설계 요건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특히 글로벌 비트 라인(74)과 인접하는 다른 글로벌 비트 라인(74)이 제 4 층간 절연층(70) 내부에 형성된 패드(72)를 통해 상호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 4 층간 절연층(70)의 두께는 제 3 층간 절연층(66) 및 제 2 층간 절연층(60)의 두께 합보다 작아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1/4 에서 1/2배 정도임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분리 영역(20)에서 로컬 비트 라인 연결 접속부(58b)와 글로벌 비트 라인(74)의 피치가 2d1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 4 층간 절연층(70)에 비해 제 3 층간 절연층(66)이 너무 두꺼우면 제 3 층간 절연층(66) 내에 구비된 플러그(68)의 상부 폭이 커져 인접하는 플러그(68)와 단락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면, 패드(72)에 의해서는 글로벌 비트 라인간의 단락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플러그(68)에 의해서는 인접하는 글로벌 비트 라인(74)끼리 단락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캐패시터(64)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집적도에 따라 그 높이가 결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 3 층간 절연층(66)의 두께도 결정된다. 이 경우에는 패드(72)가 형성되는 제 4 층간 절연층(70)의 두께는, 제 3 층간 절연층(66)의 두께에 따라 결정되기 보다, 그 내부에 형성되는 패드(72)의 하부 폭이 플러그(68)의 상부 폭 보다 작은 폭을 가지며, 패드의 상부 폭은 자신이 접촉하고 있는 글로벌비트 라인(74)과 인접하는 다른 글로벌 비트 라인(74)이 단락되지 않을 정도가 되도록 하면 족하다.
그리고, 제 1 층간 절연층(54) 내에 형성된 플러그들(56a, 56b, 56c 및 56d)형성 공정에서 글로벌 비트 라인(74)과 동일 피치를 갖는 로컬 비트 라인(58a)의 단락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제 4 층간 절연층(70)을 제 1 층간 절연층(54)의 두께 또는 그 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로 도 3a에 나타난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에서, 소자 분리막(52)이 형성된 반도체 기판(50)에, 셀 트랜지스터용 게이트 전극 구조체(CG1, CG2및 CG3), 더미 게이트 전극 구조체(DG1) 그리고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3')의 게이트 전극 구조체를 동시에 형성한다. 이들 게이트 전극 구조체들은 모두 게이트 산화막(81), 폴리실리콘층(82), 고융점 금속실리사이드층(83), 실리콘질화막(84) 및 질화막 스페이서(85)로 이루어져 있다. 이후, 반도체 기판 전면에 약 0.6㎛의 제 1 층간 절연층(54)을 형성한다. 제 1 층간 절연층(54)의 소정 부분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하고 그 콘택홀 내부를 도전성 물질 예를 들면 폴리실리콘으로 채워 플러그들(56a, 56b, 56c 및 56d)을 형성한다. 플러그(56a)는 셀 트랜지스터의 활성 영역과 접촉하고, 플러그(56c)와 플러그(56d)는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3')의 소스 및 드레인과 각각 접촉한다.
도 4b에서, 플러그들(56a, 56b, 56c 및 56d)이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층(54)상면에 로컬 비트 라인(58a)과 연결 접속부(58b)가 일체로된 도전층을 형성하고 연이어 0.5㎛의 제 2 층간 절연층(60)을 형성한다. 제 2 층간 절연층(60)은 로컬 비트 라인(58a)과 이후에 형성될 캐패시터(64)와의 절연을 위한 것이다. 제 2 층간 절연층(60) 및 제 1 층간 절연층(54) 내에 콘택홀을 형성하고 그 내부를 폴리실리콘으로 채워 스토리지 전극 콘택 플러그(62)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2 층간 절연층(60) 상면에 스토리지 전극, 유전막 및 플레이트 전극으로 이루어진 캐패시터(64)를 형성한다. 다음, 캐패시터(64)가 형성된 결과물 전면에 약 2㎛의 제 3 층간 절연층(66)을 형성한다. 제 3 층간 절연층(66)은 캐패시터(64)를 완전히 덮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제어 트랜지스터(Q3')의 드레인과 접촉하는 플러그(56d)를 노출시키 위해 제 3 층간 절연층(66) 및 제 2 층간 절연층(60) 내에 콘택홀을 형성하고 그 내부를 폴리실리콘과 같은 도전성 물질로 채워 플러그(68)를 형성한다. 제 1 층간 절연층(54) 내에 형성되는 플러그들은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층(60 및 66) 내에 형성되는 플러그(68)의 약 30%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되었다. 플러그(68)를 형성하는 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제 2 층간 절연층(60) 및 제 3 층간 절연층(66)의 소정 부분을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다. 콘택홀이 형성된 제 3 층간 절연막 전면에 폴리실리콘층(도시되지 않음)을 형성하고 제 3 층간 절연막의 상면이 노출될때까지 폴리실리콘층을 연마한다. 그런데, 연마 과정에서 제 3 층간 절연층의 일부가 식각될 수 있으므로, 캐패시터의 상면이 연마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플러그(68)의 높이를 캐패시터(64)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b에서는 로컬 비트 라인(58a) 및 캐패시터(64)를 형성한 후, 플러그(68)를 포함하는 제 3 층간 절연층(66)을 1회의 공정으로 형성하였다. 그러나, 제 2 층간 절연층(60) 상부에 형성되는 제 3 층간 절연층을 수회로 나누어 형성하고, 이런 수회의 제 3 층간 절연층 형성 공정 사이에 캐패시터(64)를 형성할 수 도 있다. 즉, 제 2 층간 절연층(60) 상부에 제 3 층간 절연층(66)의 일부 두께만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플러그를 형성한다. 다음, 일부 두께만이 형성된 제 3 층간 절연층 상에 캐패시터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3 층간 절연층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플러그를 형성한다. 이때는 제 3 층간 절연층(66) 내에 형성되는 플러그가 2회 또는 그 이상에 걸쳐 형성되므로, 플러그의 상부 폭 증가량을 줄일 수 있다.
도 4c에서, 플러그(68)를 포함하는 제 3 층간 절연층(66) 상면에 0.4㎛의 제 4 층간 절연층(70)을 형성한다. 제 4 층간 절연층(70)내에 콘택홀을 형성하고 그 내부를 도전성 물질로 채워 플러그(68)와 연결되는 패드(72)를 형성한다. 제 4 층간 절연층(70) 내에 패드(72)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다마신을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층간 절연층(70) 상면에 d1의 스페이스를 갖는 글로벌 비트 라인(74)을 형성한다.
도 5는 계층적 구조의 비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서 셀 어레이 블럭(CAB10, CAB11, ....., CAB(n/2-1), CAB(n/2))의 정보가 어레이 선택 트랜지스터(Q10, Q10';Q11, Q12, Q11', Q12';....,Q15, Q16Q15', Q16' ;....., :Qn-2, Qn-1, Qn-2', Qn-1'; Qn, Qn')를 통해 감지 증폭기로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 회로도이다. 분리 영역(129)이 (감지 증폭기(110a 또는 110b)에 인접한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10, Qn)를 제외하고) 소오스가 공통 연결된 한쌍의 트랜지스터들(Q11, Q12, Q11', Q12';....,Q15, Q16Q15', Q16' ;....., :Qn-2, Qn-1, Qn-2', Qn-1')로 이루어진 것을 제외하고 도 2의 개략 회로도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6은 도 5의 분리 영역(129)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것이며, 도 7a, 도 7b 및 도 7c는 각각 도 6의 III-III 단면, IV-IV 단면 및 V-V 단면을 나타낸다.
왼쪽의 셀 어레이 블럭(CAB12)과 오른쪽의 셀 어레이 블럭 (CAB13) 내에는 X 축의 방향으로 신장하는 로컬 비트 라인(108a, 109a)이 배치되어 있다. 로컬 비트 라인(108a, 109a) 상부에는 절연층(도 7a 내지 도 7c의 110, 116 및 120)을 사이에 두고 글로벌 비트 라인(124, 125 및 126)이 X축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2개의 셀 어레이 블럭들(CAB12및 CAB13) 사이에는 분리 영역(도 5의 129)을 구성하는 선택 제어 트랜지스터(Q15및 Q16)들을 형성하기 위한 활성 영역(142) 및 게이트 전극(143a 및 143b)이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143a 및 143b)은 게이트 산화막(도 7a 및 도 7b) 상에 형성된 폴리실리콘층(도 7a 및 도 7b의 92) 및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층(도 7a 및 도 7b의 93)을 나타내며, 도 6에서는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층 상부에 형성되는 실리콘 질화막(도 7a 및 도 7b의 94) 및 스페이서(도 7a 및 도 7b의 95)는 도시하지 않았다. 게이트 전극(143a 및 143b)은 Y축의 방향으로 신장하고 있다. 제 1 열의 로컬 비트 라인 및 제 3 열의 로컬 비트 라인(108a)은 콘택홀(C11)을 채운 플러그들(도 7a의 106c 및 106d)과 로컬 비트 라인(108a)에서 연장된 연결 접속부(108b)를 통해 글로벌 비트 라인(124, 126)에 연결된다. 게이트 전극(143a)과 게이트 전극(143b)의 사이의 활성 영역은 콘택홀들(C11및 C12)을 채운 플러그들(도 7a과 도 7c의 106g 와 118a, 도 7c의 106h 및 118b)과 콘택홀(C13)을 채운 패드(도 7a의 122a, 도 7c의 122b)를 통해 글로벌 비트 라인(124, 126)에 연결된다.
2개의 셀 어레이 블럭들(CAB12및 CAB13)에 배치된 제 2 열의 로컬 비트 라인(109a)과 글로벌 비트 라인의 연결 모습은 도 6 및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나 있지 않는다. 다만, 더미 게이트 전극(DG4, DG5) 상부에 형성된 더미 로컬 비트 라인(109b)은 콘택홀(C12)를 채운 더미 플러그(119a, 119b)와 더미 패드(123a, 123b)를 통해 글로벌 비트 라인(125)에 연결된다. 분리 영역(129)의 활성 영역(142) 내에 배치된 글로벌 비트 라인(124)와 인접하는 글로벌 비트 라인(125)간의 스페이스는 d2이다. 그러나 분리 영역(도 5의 129)에서, 로컬 비트 라인 연결부(108b)가 제 1 열과 제 3 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로컬 비트 라인 연결부(108b)의 스페이스는 2d2이다. 마찬가지로, 로컬 비트 라인 연결부(108b)의 피치도 글로벌 비트 라인 피치의 2배이다. 따라서, 로컬 비트 라인 연결부(108b)의 피치가 글로벌 비트 라인(124, 125 또는 126)의 피치와 동일한 경우에 비해 콘택홀(C12및 C13)을 형성 공정 마진이 증가한다.
도 6의 단면도인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로 상세히 살펴보면, 반도체 기판(100)에는 셀 어레이 영역(CAB12)과 분리 영역(129) 그리고 셀 어레이 영역(CAB13)과 분리 영역(129)을 나누는 소자 분리막(102)이 형성되어 있다. 셀 어레이 영역(CAB12및 CAB13)에는 게이트 산화막(91), 폴리실리콘층(92), 고융점 금속 실리사이드층(93), 실리콘질화막(94) 및 질화막 스페이서(95)로 이루어진 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 구조체들(CG4, CG5, CG6, CG7, CG8,CG10, CG11, CG12, CG13, CG14,CG15)등이 형성되어 있다. 소자 분리막(102) 상에는 더미 게이트전극 구조체(DG2, DG3, DG4, DG5, DG6, DG7)가 형성되어 있으며, 분리 영역(도 5의 129)에는 연결제어 트랜지스터(Q15, Q16;Q15', Q16')가 형성되어 있다. 셀 어레이 영역의 제 1 층간 절연층(104) 상면에는 로컬 비트 라인(108a)이 형성되어 있고, 로컬 비트 라인(108a)의 연장선 상에는 연결 접속부(108b)가 형성되어 있다. 로컬 비트 라인(108a)은 플러그(106a 또는 106f)를 통해 반도체 기판, 더욱 상세하게는 셀 트랜지스터의 활성영역에 연결된다. 로컬 비트 라인의 연결 접속부(108b)는 로컬 비트 라인(108a)과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15, Q16;Q15', Q16')를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플러그(106c, 106d)를 통해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15, Q16)의 소오스에 공통 연결된다. 한편, 연결 접속부(108b)는 더미 게이트 전극 구조체(DG2, DG3)와도 연결되어 있다. 로컬 비트 라인(108a, 109a)을 덮는 제 2 층간 절연층(110) 상면의 셀 어레이 영역에는 캐패시터(114a, 114b, 115a, 115b)가 형성되어 있다. 캐패시터(114a, 114b, 115a, 115b)는 제 1 층간 절연층(104) 및 제 2 층간 절연층(110) 내에 형성된 플러그(112a, 112b, 113a, 113b)를 통해 셀 트랜지스터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 3 층간 절연층(116)은 캐패시터를 덮는다. 제 3 층간 절연층(116) 상부에 형성된 제 4 층간 절연층(120)을 사이에 두고 반도체 기판 전면에 글로벌 비트 라인(124, 125, 126)이 형성되어 있다.
분리 영역에 위치하는 제 4 층간 절연층(120) 내에 형성된 패드(122a, 122b) 및 제 3 층간 절연층(116), 제 2 층간 절연층(110) 및 제 1 층간 절연층(104) 내에 구비된 플러그들(106g와 118a, 106h와 118b)를 통해 글로벌 비트 라인(124, 126)은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15, Q16)의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b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캐패시터(114a, 114b)가 포함된 제 2 및 제 3 층간 절연층(110, 116)의 높이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므로 플러그(106g, 106h)의 상부 폭에 비해 플러그(118a, 118b)의 상부 폭은 휠씬 크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 3 층간 절연층(116) 상에 형성된 제 4 층간 절연층(120) 내부에, 플러그(118a, 118b)의 상부 폭보다 작은 폭을 갖는 패드(122a, 112b)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글로벌 비트 라인(124, 126)을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15)의 드레인에 연결시킨다.
제 4 층간 절연층(120)의 두께는 제 3 층간 절연층(116) 및 제 2 층간 절연층(110)의 두께 합보다 작아야 한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분리 영역(129)에서 글로벌 비트 라인(124, 126)을 반도체 기판과 연결시키기 위한 콘택홀(C11, C12, C13)이 제 1 열 및 제 3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3 층간 절연층(116) 및 제 2 층간 절연층(110) 내에 형성되는 콘택홀(C12)을 제 1 실시예에 대응되는 것보다 크게 형성하여도, 인접하는 콘택홀인 제 3 열의 제 3 층간 절연층(110)에 형성되는 콘택홀(C12)과 연결되지 않게 된다. 즉, 제 4 층간 절연층(120)에 대한 제 3 층간 절연층(110)의 높이 비가 제1 실시예에 비교하여 증가해도,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 3 층간 절연층(116) 내에 형성되는 캐패시터(114a, 114b)의 높이를 더욱 높일 수 있어 도 7a 내지 도 7c에 나타난 반도체 메모리 소자는 제 1 실시예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 비해 고집적화 추세에 더욱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도 7b의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단계는 도 8a 내지 도 8c에 나타나 있으며, 셀트랜지스터 형성 시에 직렬로 연결된 한쌍의 연결 제어 트랜지스터(Q15, Q16)가 형성되는 점을 제외하고, 도 4a 내지 도 4c의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글로벌 비트 라인이 트위스트드(twisted)되지 않은 실시예만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트위스티드된 글로벌 비트 라인을 갖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본 발명은, 하부 도전층 예를 들면 로컬 비트 라인과 상부 도전층 예를 들면 글로벌 비트 라인 사이에 형성되는 층간 절연층 내에 플러그와 플러그 보다 작은폭을 가지는 패드를 이용하여 상부 도전층과 하부 도전층을 연결함으로써, 상부 도전층의 피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상부 도전층과 인접하는 상부 도전층간의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9)

  1.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층, 상기 제 1 층간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 1 도전층, 상기 제 1 도전층을 덮으며 상기 제 1 층간 절연층 상에 형성된 제 2 층간 절연층, 상기 제 2 층간 절연층 상에 배치된 제 2 도전층,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통해서 상기 제 1 도전층과 제 2 도전층을 전기적 연결하는 연결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소자는,
    (a) 상기 제 1 및 제 2 층간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 제 2 도전층을 연결하되, 상기 반도체 기판에서부터 상기 제 2 층간 절연층의 높이 일부까지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1개 이상의 플러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1 개 이상의 플러그 위로는 상기 제 2 층간 절연층의 상면까지 패드로 이루어진 제 1 부분과,
    (b) 상기 제 1 층간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 제 1 도전층을 연결하는 제 2 플러그로 이루어진 제 2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와 연결되는 제 2 도전층에 인접하는 다른 제 2 도전층과는 연결되지 않을 정도의 상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플러그의 높이는 상기 패드의 높이의 2배 이상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러그의 높이는 상기 1개 이상의 플러그의 높이의 30 내지 50%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높이는 상기 제 2 플러그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낮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자는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자는 상기 제 1 부분과 제 2 부분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7.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된 제 1 층간 절연층,
    상기 제 1 절연층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
    상기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을 덮는 평탄화된 제 2 층간 절연층,
    상기 제 2 층간 절연층 내에 형성되고 상기 반도체 기판과 연결되는 캐패시터,
    상기 제 2 절연층 상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글로벌 비트 라인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통하여 상기 다수의 로컬 비트 라인 각각과 상기 글로벌 비트 라인 각각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층간 절연층 내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연결 소자 각각은, 상기 다수의 글로벌 비트 라인 중 어느 하나의 글로벌 비트 라인과 직접 접촉하는 패드, 상기 반도체 기판과 상기 로컬 비트 라인 각각을 연결하는 제 1 플러그, 상기 로컬 비트 라인으로부터 신장하며 상기 로컬 비트 라인과 상기 제 1 플러그 사이에 배치된 연결 접속부 및 상기 제 1 층간 절연층 및 상기 제 2 층간 절연층 내에 형성되어 상기 패드와 접촉하고 상기 반도체 기판을 통해 상기 제 1 플러그와 연결되는 제 2 플러그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플러그는 상기 제 2 층간 절연층의 상부로 진행함에 따라 폭이 증가하며, 상기 제 2 플러그의 상단부는 인접하는 다른 제 2 플러그의 상단부와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패드의 하부 폭은 상기 제 2 플러그의 상단부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패드는, 자신이 접촉하는 글로벌 비트 라인에 인접하는 다른 글로벌 비트라인과는 연결되지 않을 정도의 상부 폭을 가지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비트 라인의 피치와 상기 연결 접속부의 피치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러그의 높이는 상기 패드의 높이의 2배 내지 4배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속부의 피치는 상기 글로벌 비트 라인의 피치의 약 2배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러그의 높이는 상기 패드의 높이의 4배 이상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러그의 높이는 상기 패드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낮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소자는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플러그와 상기 제 2 플러그와의 전기적 연결을 제어하는 회로 소자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소자는 엔모스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제 1 플러그 및 상기 제 2 플러그는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에 각각 연결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러그의 상면이 상기 캐패시터의 상면 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
  16. 반도체 기판 상에 제 1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층간 절연층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1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층간 절연층 상에 상기 제 1 도전층을 덮는 제 2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층간 절연층 상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 2 도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을 통해 상기 제 1 도전층 각각과 상기 제 2 도전층 각각을 연결하는 다수의 연결 소자를 상기 제 1 및 2 층간 절연층 내에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소자 각각은,
    (a) 상기 제 1 및 제 2 층간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 제 2 도전층을 연결하되, 상기 반도체 기판에서부터 상기 제 2 층간 절연층의 높이 일부까지는 순차적으로 적층된 1개 이상의 플러그로 이루어지고 상기 1 개 이상의 플러그 위로는 상기 제 2 층간 절연층의 상면까지 패드로 이루어진 제 1 부분과,
    (b) 상기 제 1 층간 절연층을 관통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과 제 1 도전층을 연결하는 제 2 플러그로 이루어진 제 2 부분을 포함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패드는, 상기 패드와 연결되는 상기 제 2 도전층이 인접하는 다른 제 2 도전층과 단락되지 않을 정도의 상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1개 이상의 플러그의 높이는 상기 패드의 높이의 2배 이상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러그의 높이는 상기 1개 이상의 플러그의 높이의 30 내지 50%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높이는 상기 제 2 플러그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0. 반도체 기판 상에 연결 제어용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연결 제어용 트랜지스터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전면에, 상기 연결 제어용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 각각에 연결되는 제 1 플러그 및 제 2 플러그가 구비된 제 1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제 1 층간 절연층 상에 상기 제 1 플러그와 연결되는 연결 접속부와 상기 연결 접속부와 연결되는 로컬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로컬 비트 라인 및 상기 연결 접속부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전면에, 상기 제 2 플러그와 연결되는 제 3 플러그가 구비된 제 2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2 층간 절연층 상에 상기 제 3 플러그와 연결되는 패드를 구비하는 제 3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패드를 포함한 제 3 층간 절연층 상에 글로벌 비트 라인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 3 플러그의 상단부는 인접하는 다른 제 3 플러그의 상단부와 연결되지 않으며, 상기 패드의 하부 폭은 상기 제 3 플러그의 상단부의 폭보다 작으며, 상기 패드는, 자신이 접촉하는 글로벌 비트 라인이 인접하는 다른 글로벌 비트 라인과 단락되지 않도록 하는 상부 폭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글로벌 비트 라인의 피치와 상기 연결 접속부의 피치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플러그의 높이는 상기 패드의 높이의 2배 내지 4배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접속부의 피치는 상기 글로벌 비트 라인의 피치의 약 2배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플러그의 높이는 상기 패드의 높이의 4배 이상인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러그의 높이는 상기 패드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같거나 낮은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다마신 공정을 이용하여 형성된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7.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제어용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셀 어레이 영역에 셀 트랜지스터도 동시에 형성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비트 라인 형성 단계와 상기 제 3 플러그가 구비된 제 2 층간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사이에, 상기 로컬 비트 라인과 절연되며 상기 셀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또는 드레인 영역과 연결되는 캐패시터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플러그의 상면이 상기 캐패시터의 상면 보다 위쪽에 위치하는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제조 방법.
KR10-2001-0011156A 2001-03-05 2001-03-05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89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156A KR100389925B1 (ko) 2001-03-05 2001-03-05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TW091103382A TW544917B (en) 2001-03-05 2002-02-26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091,102 US6900546B2 (en) 2001-03-05 2002-03-04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2057944A JP2002313956A (ja) 2001-03-05 2002-03-04 半導体メモリ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11/080,032 US7462523B2 (en) 2001-03-05 2005-03-14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11156A KR100389925B1 (ko) 2001-03-05 2001-03-05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71182A KR20020071182A (ko) 2002-09-12
KR100389925B1 true KR100389925B1 (ko) 2003-07-04

Family

ID=19706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1156A KR100389925B1 (ko) 2001-03-05 2001-03-05 반도체 메모리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900546B2 (ko)
JP (1) JP2002313956A (ko)
KR (1) KR100389925B1 (ko)
TW (1) TW54491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1489B2 (en) 2003-10-15 2007-09-18 Megica Corporation Post passivation interconnection schemes on top of the IC chips
KR100545865B1 (ko) * 2003-06-25 2006-01-24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8091638A (ja) * 2006-10-02 2008-04-17 Nec Electronics Corp 電子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4380B1 (ko) * 2008-12-29 2011-12-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금속콘택을 갖는 반도체장치 제조 방법
JP2011082223A (ja) * 2009-10-02 2011-04-21 Renesas Electronics Corp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9698123B2 (en) 2011-09-16 2017-07-04 Altera Corporation Apparatus for stacked electronic circuitry and associated methods
KR102014724B1 (ko) * 2013-01-23 2019-08-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7564953B (zh) * 2016-07-01 2021-07-30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变容晶体管及其制造方法
KR20210100256A (ko) * 2020-02-05 2021-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적층형 반도체 칩
CN116114394A (zh) * 2020-09-17 2023-05-12 铠侠股份有限公司 半导体存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2597A (ja) * 1993-11-12 1995-06-0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5693971A (en) * 1994-07-14 1997-12-02 Micron Technology, Inc. Combined trench and field isolation structure for semiconductor devices
US6365453B1 (en) * 1999-06-16 2002-04-02 Micron Technology, Inc. Method and structure for reducing contact aspect ratios
US6291335B1 (en) * 1999-10-04 2001-09-18 Infineon Technologies Ag Locally folded split level bitline wiring
JP4667551B2 (ja) * 1999-10-19 2011-04-13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6534809B2 (en) * 1999-12-22 2003-03-18 Agilent Technologies, Inc. Hardmask designs for dry etching FeRAM capacitor stacks
JP2001185552A (ja) * 1999-12-27 2001-07-06 Hitachi Ltd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20065795A (ko) * 2001-02-07 2002-08-14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램 장치 및 그 형성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50167717A1 (en) 2005-08-04
US7462523B2 (en) 2008-12-09
TW544917B (en) 2003-08-01
KR20020071182A (ko) 2002-09-12
JP2002313956A (ja) 2002-10-25
US20020123193A1 (en) 2002-09-05
US6900546B2 (en) 2005-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8577B1 (ko) 반도체 구조, 커패시터 형성 방법, 및 dram 어레이 형성 방법
US6768663B2 (en) Semiconductor device array having dense memory cell array and hierarchical bit line scheme
US8184471B2 (en) DRAM having stacked capacitors of different capacitances
KR20220145927A (ko) 초미세 피치를 갖는 3차원 nor 메모리 어레이: 장치 및 방법
KR100307602B1 (ko) 반도체집적회로장치및그제조방법
US8486831B2 (en)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method
US813054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746252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5644151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359757B1 (ko) 반도체메모리장치 및 이를 위한 제조방법 및 마스크데이터준비 방법
KR100585169B1 (ko) 반도체 메모리 소자의 레이아웃 및 더미셀의 커패시턴스조절방법
US5838615A (en)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reduced source line resistance
JP2010021544A (ja) 異なる静電容量の積層キャパシタを有するdram
JP3913927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US6282116B1 (en)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EP1292967A2 (en) Buried bit line-field plate isolation defined dram cell active areas
US5899739A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618532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469151B1 (ko) 반도체소자의 형성 방법
JPH0982904A (ja) ダイナミック型メモリ及びその製造方法
JP3865753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の製造方法
JPH04365375A (ja)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GB2312094A (en) Stacked capacitor type DRAM
JPH04211162A (ja)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50106579A (ko) 스토리지 전극과 콘택 연결체를 연결시켜 주는 랜딩패드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