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749B1 -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749B1
KR100387749B1 KR10-2001-7006183A KR20017006183A KR100387749B1 KR 100387749 B1 KR100387749 B1 KR 100387749B1 KR 20017006183 A KR20017006183 A KR 20017006183A KR 100387749 B1 KR100387749 B1 KR 10038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
communication
shift
tone se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6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81023A (ko
Inventor
카토마사타카
코바야시츠요시
코이주미요시아키
마츠모토와타루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81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10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7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04L5/0046Determination of how many bits are transmitted on different sub-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Quality of the received signal, e.g. BER, SNR, water fi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16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by adding signals to the wave form of the power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2Channe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ignal
    • H04L5/023Multiplexing of multicarrier modulation signals

Abstract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송로 감시를 행하여, S/N비 소정 값을 확보하는 톤이 없을 경우, 톤 셋 이동을 행하는 제 1 톤 셋 이동 스텝과, S/N비를 확보하는 적어도 2개의 톤이 있을 경우, 톤 셋 이동을 행하지 않으며, 한편, S/N비를 확보하는 톤이 1개이고, 또한 동일 톤 그룹 내에서 톤 셋 이동을 행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톤 셋 이동을 행하는 제 2 톤 셋 이동 스텝과, 상기 동일 톤 그룹 내에서 톤 셋 이동을 실행해도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톤 그룹 이동을 행하는 톤 그룹 이동 스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이하, 종래의 통신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최근, 코스트 삭감이나 기존 설비를 유효 이용을 위해, 새로운 통신선을 증설하지 않고, 기존의 전력선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전력선 모뎀」이 주목받고 있다. 이 전력선 모뎀은 전력선에 의해 접속되어 있는 가정 내외, 빌딩, 공장 및 점포 등의 전기 제품을 네트워크화함으로써, 그 제품의 제어나 데이터 통신 등의 각종 처리를 행한다.
현재, 이러한 전력선 모뎀으로서는 SS(Spread Spectrum) 방식을 사용한 것이 생각되고 있지만, 이 방식을 사용한 경우, 예를 들면, 주어진 대역을 다 매꾸는 스펙트럼을 송출해버리기 때문에 다른 통신 방식과의 공존이 어려운 것, 사용 대역에 대한 전송 레이트가 낮은 것 등의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전력선 모뎀과 같은 데이터 통신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지 않은 기존 전력선을 데이터 통신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급전을 목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각종 기기가 노이즈원이 되기 때문에, 그에 대한 대책도 필요해진다.
그래서, 최근에는 내노이즈성이 높은 등의 관점으로부터,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동일 데이터를 놓은 통신 및 노이즈 영향이 큰 주파수 대역을 피하여, 노이즈 영향이 적은 주파수 대역을 이용한 통신이 가능한 멀티 캐리어 통신 방식을 채용한 통신 방법이 제안되기 시작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캐리어 통신 방식으로는 통상, 송신 측(변조 측)에서 송신해야 할 정보 데이터를 분할하여 주파수 변환 등의 1차 변조를 행하며, 그 후, IFFT(역고속 퓨리에 변환)을 사용한 2차 변조, 즉, 멀티 캐리어 변조을 행함으로써, 1차 변조 후의 정보 데이터를 멀티 캐리어로 분산한다. 그리고, 멀티 캐리어로 분산된 각 톤 상의 데이터를 수신한 수신 측(복조 측)에서는 송신 측과 반대 처리를 행함으로써, 수취한 데이터를 원래의 정보 데이터로 복조한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멀티 캐리어 통신 방식을 사용한 통신 방법에서는 1차 변조에 있어서의 변조 방식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없었다. 그 때문에, 노이즈 영향이 큰 통신 환경 하에 있어서는 복수의 캐리어에 동일 데이터를 놓든지 나아가서는 톤 이동을 행함으로써, 통신 품질 향상을 도모해 왔지만, 예를 들면, 노이즈 영향이 광범위에 걸쳐 있을 경우에는 이들 대책만으로는 노이즈 영향에 대응할 수없어, 일정 이상의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전력선 통신이나 자동차 등에 탑재된 네비게이션 기기, 컴퓨터, ITS 통신 장치 및 그 밖의 전자기기에 있어서의 차내 통신이나 전차 등의 열차 내 통신 등의 통신 환경 하에서는 인버터 노이즈 등의 다른 기기로부터의 노이즈 레벨이 크고, 더욱이 그 노이즈가 광범위하고 또한 변동적이며, 그 결과, 일정 이상의 통신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대단히 곤란해지기 때문에, 더욱이 상기 이외의 노이즈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노이즈 영향이 큰 통신 환경 하에 있어서도,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항상 높은 수준으로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 가능한 통신 방법 및 그 통신 방법을 실현 가능한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멀티 캐리어 변복조 방식를 채용하는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DMT(Discrete Multi Tone) 변복조 방식이나 OFDM(0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 변복조 방식에 의해, 기존의 전력선을 사용한 데이터 통신을 실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방법 및 해당 통신 방법을 실현 가능한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 본 발명은 DMT 변복조 방식에 의해 전력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한하지 않으며, 멀티 캐리어 변복조 방식 및 싱글 캐리어 변복조 방식에 의해, 통상의 통신 회선을 개재시킨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을 행하는 모든 통신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플레이밍 회로(1)에 의한 플레이밍 처리로 생성되는 프레임 구성과, 그 프레임에 있어서의 POC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POC의 변조 방식 필드와 제어 커맨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통신 장치가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톤 그룹의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톤 그룹 내의 톤 셋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톤의 이동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7은 일반적인 변조 방식의 변경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1의 플로 차트(예 1: 그 1).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1의 플로 차트(예 1: 그 2).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1의 플로 차트(예 2: 그 1).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1의 플로 차트(예 2: 그 2).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1의 플로 차트(예 3: 그 1).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1의 플로 차트(예 3: 그 2).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1의 플로 차트(예 4: 그 1).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1의 플로 차트(예 4: 그 2).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 차트(예 1: 그 1).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 차트(예 1: 그 2).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 차트.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 차트(예 2: 그 1).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 차트(예 2: 그 2).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 차트(예 3: 그 1).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 차트(예 3: 그 2).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 차트(예 4: 그 1).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 차트(예 4: 그 2).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3의 플로 차트.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전송로 상에 접속된 복수의 통신 장치 사이에서 행하는 데이터 통신의 통신 방식으로서, 멀티 캐리어 변복조 방식을 채용하고, 노이즈 영향이 적은 톤을 선택함으로써,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도록 동작하며, 더욱이,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송로 감시를 행하며, 어느 특정 기준을 확보하는 톤이 없을 경우,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톤 셋 이동을 행하는 제 1 톤 셋 이동 스텝과, 상기 어느 특정 기준을 확보하는 소정의 개수 이상의 톤이 있을 경우,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톤 셋 이동을 행하지 않으며, 한편, 상기 기준을 확보하는 톤이 소정의 개수 미만이고, 또한 동일 톤 프루프 내에서 톤 셋 이동을 행함으로써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방법으로 톤 셋 이동을 행하는 제 2 톤 셋 이동 스텝과, 상기 동일 톤 그룹 내에서 톤 셋 이동을 실행해도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방법으로 톤 그룹 이동을 행하는 톤 그룹 이동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전원 투입 시에, 현재 통신중인 톤 셋 위치가 기록된 고정 톤 셋을 감시함으로써, 현재 상태를 인식하고, 그 상태에서 톤 셋을 변경하는 변경 스텝과, 상기 고정 톤 셋을 수취할 수 없을 경우, 초기화 시에 설정한 톤 셋을 사용하여 프레임 송신을 행하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리는 프레임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더욱 다른 내노이즈성 1차 변조 방식을 선택 가능하게 하여, 상기 동일 톤 그룹 내에서 톤 셋 이동을 실행해도 상기 톤 그룹 이동을 실행해도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기준으로 어느 한 1차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1차 변조 방식 선택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전원 투입 시에, 현재 통신중인 톤 셋 위치 및 1차 변조 방식이 기록된 고정 톤 셋을 감시함으로써, 현재 상태를 인식하여, 그 상태에서 톤 셋 및 변조 방식을 변경하는 변경 스텝과, 상기 고정 톤 셋을 수취할 수 없을 경우, 초기화 시에 설정한 톤 셋을 사용하여 프레임 송신을 행하여,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리는 프레임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1차 변조 방식 선택 스텝에 있어서는 DQPSK, DBPSK, BPSK+시간 디버시티 순으로 1차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톤 셋 이동 스텝에 있어서는 동일 톤 그룹 내에 있어서의 톤 셋 위치를 주파수가 낮은 쪽 또는 높은 쪽으로부터 순서대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톤 셋 이동 스텝에 있어서는 상기 특정 기준을 확보했는지의 여부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양호한 톤이 중심이 되도록 톤 셋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톤 그룹 이동 스텝에 있어서는 톤 그룹 번호 순으로 톤 그룹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에 있어서는 신규 접속된 통신 장치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 현재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톤 셋에 관한 정보를 고정 톤 셋에 놓아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에 있어서는, 통신 방식으로서 멀티 캐리어 변복조 방식을 채용하고, 노이즈 영향이 적은 톤을 선택함으로써,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하며, 더욱이,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송로 감시를 행하여, 어느 특정 기준을 확보하는 톤이 없을 경우,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톤 셋 이동을 행하며, 상기 어느 특정 기준을 확보하는 소정의 개수 이상의 톤이 있을 경우,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할수 있다고 판단하여 톤 셋 이동을 행하지 않으며, 한편, 상기 기준을 확보하는 톤이 소정의 개수 미만이고, 또한 동일 톤 그룹 내에서 톤 셋 이동을 행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방법으로 톤 셋 이동을 행하며, 상기 동일 톤 그룹 내에서 톤 셋 이동을 실행해도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방법으로 톤 그룹 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에 있어서는 전원 투입 시에, 현재 통신중인 톤 셋 위치가 기록된 고정 톤 셋을 감시함으로써, 현재 상태를 인식하고, 그 상태에서 톤 셋을 변경하며, 상기 고정 톤 셋을 수취할 수 없을 경우, 초기화 시에 설정한 톤 셋을 사용하여 프레임 송신을 행하여,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에 있어서는 더욱이, 다른 내노이즈성 1차 변조 방식을 선택 가능하게 하여, 상기 동일 톤 그룹 내에서 톤 셋 이동을 실행해도 상기 톤 그룹 이동을 실행해도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기준으로 어느 한 1차 변조 방식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음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에 있어서는 전원 투입 시에 현재 통신중인 톤 셋 위치 및 1차 변조 방식이 기록된 고정 톤 셋을 감시함으로써, 현재 상태를 인식하여, 그 상태에서 톤 셋 및 변조 방식을 변경하며, 상기 고정 톤 셋을 수취할 수 없을 경우, 초기화 시에 설정한 톤 셋을 사용하여 프레임 송신을 행하여,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을 실행하기 위한 최상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 의해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항상 고레이트를 유지하면서, 즉, 항상 S/N비(Signal to Noise Ratio)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S/N비가 높은 톤을 검출하고, 그 톤으로 이동함으로써 항상 최적 톤에 의한 통신을 행하면서, 더욱이, 다른 내노이즈성 1차 변조 방식을 선택 가능하게 하며, 이것을 수신 신호의 S/N비에 따라서 선택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으로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본 실시예 및 이 이후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설 전력선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전력선 모뎀을 구체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통신 장치는 전력선 모뎀에한하지 않으며, 멀티 캐리어 변복조 방식 및 싱글 캐리어 변복조 방식에 의해, 통상의 통신 회선을 개재시킨 유선 통신 및 무선 통신을 행하는 모든 통신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또,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캐리어 및 톤에 대해서는 동의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1은 플레이밍 회로이고, 2는 1차 변조기이며, 3은 톤 선택기이며, 4는 역고속 푸리로 변환 회로(IFFT: Inverse Fast Fouier Transform)이며, 5는 패럴렐/시리얼 변환 회로(P/S)이며, 6은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회로(D/A)이며, 7은 전송로(전력선)이며, 8은 결합 회로이며, 9는 노이즈 측정기이며, 10은 제어 회로이며, 11은 디플레이밍 회로이며, 12는 1차 복조기이며, 13은 톤 선택기이며, 14는 고속 퓨리에 변환 회로(FFT: Fast Fourier Transform)이며, 15는 시리얼/패럴렐 변환 회로(S/P)이며, 16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회로(A/D)이며, 17은 캐리어 검출기이며, 18은 더미 캐리어 생성기이며, 플레이밍 회로(1), 1차 변조기(2), 톤 선택기(3), IFFT(4), P/S(5), D/A(6)에서 송신계를 구성하며, A/D(16), S/P(15), FFT(14), 톤 선택기(13), 1차 복조기(12), 디플레이밍 회로(11)로 수신계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복수의 통신 장치가 전송로인 전력선에 접속된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각 통신 장치가 연휴함으로써, 캐리어를 확실하게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욱이, 캐리어 변경 즉 톤 이동이 행해진 경우에, 그 후, 새롭게 접속된 통신 장치가 톤 이동 및 1차 변조기 변경에 확실하게 추종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통신 장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송시계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장치(전력선 모뎀)에 접속된 데이터 처리 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송신 데이터가 입력되면, 플레이밍 회로(1)에서는 후술하는 도 2에 도시하는 플레이밍 처리를 행하여, 그 프레임을 1차 변조기(2)에 출력한다. 그리고, 1차 변조기(2)에서는 수취한 프레임을 제어 회로(10)로부터의 1차 변조/복조 방식 선택 정보에 의해 지시된 방식으로 변조하여, 멀티 캐리어 변조 방식의 각 톤으로 동일 프레임을 부호화 후, 그 신호를 톤 선택기(3)로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디폴트 시, DQPSK 변조 방식으로 1차 변조를 행하도록 지시된 1차 변조/복조 방식 선택 정보가 입력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 1차 변조기(2)에서는 후술하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5개 톤(이후, 톤 셋이라 부른다)(#32, #48, #64, #80, #96) 모두에 동일 프레임을 부호화한다.
그 후, 톤 선택기(3)에서는 제어 회로(10)로부터의 1차 변조 방식 변경 정보에 근거하여, 예를 들면, 상기 톤 셋 중 톤(#48, #64, #80) 3개의 톤을 선택하여, IFFT(4)로 출력한다. 그리고, IFFT(4)에서는 수취한 3개의 톤(#48, #64, #80)을 역퓨리에 변환함으로써, 주파수 축 데이터를 시간 축 데이터로 변환하여 P/S(5)로 출력한다.
P/S(5)에서는, IFFT(4)로부터 출력된 패럴렐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고, 더욱이, 그 시리얼 데이터를 D/A(6)로 출력하며, 마지막으로, D/A(6)에서는 그 시리얼 데이터에 대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을 행하며, 그 아날로그 신호를 결합 회로(8) 및 전력선(7)을 개재시켜 전력선(7)에 접속된 다른 통신 장치(도시하지 않음)로 송신한다.
그 결과, 전력선(7) 상에는 후술하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파수 축 상에서 주파수 간격이 16톤인 3개의 톤에 놓여진 동일한 멀티 캐리어 데이터가 출력되게 된다. 그 때문에, 노이즈가 있는 주파수 대역에 집중한 경우에 있어서도, 주파수 간격이 16톤인 3개의 동일 멀티 캐리어 데이터가 송신되고 있기 때문에, 이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에서는 주파수 간격이 비어 있는 분만큼 싱글 캐리어의 전력선 통신보다도 전력선 노이즈에 강한 데이터 송신이 가능해진다.
이어서, 수신계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 상, 전송로(7)에 통신 장치가 1대 밖에 접속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도 1의 수신계 구성을 사용하여 설명을 행한다. 우선, 상술한 바와 같이 송신계로부터 멀티 캐리어 데이터가 송신되면, 다른 통신 장치의 수신계에서는 송시계 동작과는 반대 동작을 행하여, 데이터를 복조한다. 즉, 송신 측 통신 장치로부터 보내져 온 3개의 멀티 캐리어 데이터를 캡처하고, 계속해서 A/D(16)가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을 행하며, 더욱이, S/P(15)가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시리얼 데이터를 패럴렐 데이터로 변환하여 FFT(14)로 출력한다.
FFT(14)에서는 상기 패럴렐 데이터에 대해 퓨리에 변환을 행함으로써, 시간 축의 멀티 캐리어 데이터를 주파수 축 상의 데이터로 변환하여, 그 주파수 축 데이터를 톤 선택기(13) 및 노이즈 측정기(9)로 출력한다. 그 후, 톤 선택기(13)에서는 제어 회로(10)에 의해 지정된 3개의 톤(#48, #64, #80)을 선택하고, 그것을 1차 복조기(12)에 출력하며, 1차 복조기(12)에서는 그들 3개의 톤(#48, #64 ,#80)에 있어서의 동일 데이터를 제어 회로(10)로부터의 1차 변조/복조 방식 선택 정보에 의해지정된 1차 변조 방식으로 복조한다.
마지막으로, 디플레이밍 회로(11)에서는 1차 복조된 데이터를 디플레이밍 처리함으로써 수신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 통신 장치에 접속된 기기(도면에 도시하지 않는다)에 수신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디플레이밍 회로(1)에 의한 플레이밍 리와는 반대 처리로, 1차 복조된 데이터의 프레임으로부터 프리앰블과 제어 코드를 분리하여, 데이터 필드만을 합성하는 처리, 즉, 수신 데이터를 원래의 송신 데이터 형으로 재구성하는 처리인 것을 말한다.
도 2는 상기 플레이밍 회로(1)에 의한 플레이밍 처리에서 생성되는 프레임 구성과, 그 프레임에 있어서의 POC(Power Line Communication 0verhead Control Field) 필드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프레임은 캐리어 검출용 및 심볼 동기용 신호 영역인 프리앰블 필드와, 미리 정해진 고정 코드 영역인 동기 코드 필드와, 데이터 필드 길이를 나타내는 신호 영역인 Frame Type(FT) 필드와, 주택 식별용 코드 영역인 House Code(HC) 필드와, 물리층으로 사용하는 제어 커맨드 영역인 POC 필드와, FT, HC, POC에 대한 오류 정정 부호 영역인 R-S 부호 필드와, 데이터 필드로 구성되며, 이 프레임이 플레이밍 회로(1)로써 생성되며, 상술한 처리로 변조 후, 전송로(7)에 출력된다.
또, 전송로 상의 프레임은 전송로에 접속된 모든 통신 장치에서 수취되며, 제어 회로(10)에서는 HC 식별을 행한운데 자가 HC와 일치한 경우, 전송로 상에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가 자기 몫이라 판단하여, RS(리드 솔로몬) 부호를 이용하여 에러 체크/정정을 행하여, 그 내용을 이해한다. 한편, 자가 HC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는 동작을 행하지 않는다.
한편, POC는 통신 속도를 설정하는 2비트의 통신 모드 필드와, 선택 가능한 변조 방식을 나타내는 2비트 변조 방식 필드와, 제어 커맨드를 나타내는 1비트의 커맨드 필드와, 제어 커맨드 기능을 나타내는 2비트의 서브 커맨드와, 각 기능의 설정 정보를 나타내는 8비트의 커맨드 인수와, 1비트의 확장 비트로 구성되며, 예를 들면, 톤 이동 및 변조 방식 변경 등의 처리를 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POC에 있어서의 이들 제어 커맨드는 플레이밍 처리에 의해 데이터와 함께 프레임에 부가되며, 더욱이, 디플레이밍 처리에 의해 프레임로부터 분리/추출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하는 P0C의 변조 방식 필드와 제어 커맨드 내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여기서는 본 실시예에 관계 있는 필드만의 기재로 한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변조 방식 필드가 [00]이면, 1차 변조 방식으로서 DQPSK가 선택되며, [01]이면, DBPSK가 선택되며, [10]이면, DBPSK+시간 디버시티가 선택된다((a) 참조). 또, 커맨드가 [0]인 유사 커맨드는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을 때에 사용하는 커맨드로, 예를 들면, 커맨드가 [0] 또한 서브 커맨드가 NOP[00]인 경우는 「NOP: 어떠한 동작도 행하지 않는다」라는 의미의 커맨드를 나타내며, 톤 이동이나 변조 방식 변경이 행해지고 있지 않을 때에는 통상, 이 커맨드가 커맨드 필드에 삽입된다. 한편, 커맨드가 [0] 또한 서브 커맨드가 더미 [01]인 경우는 이 프레임이 더미 프레임인 것을 나타내며, 데이터 필드에 데이터가 없는 것과, 현재 사용중인 톤 위치 정보, 즉, 액티브 톤의 위치 정보를 나타낸다((b) 참조). 또한, 각 서브 커맨드에 대응하는 8비트의 커맨드 인수는 각각의 톤 셋의현재 설정, 즉, 현재의 톤 그룹, 톤 셋의 포지션, 변조 방식을 설정한다.
또, 커맨드가 [1]인 통신 설정 변경은 톤 이동이나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할 때에 사용하는 커맨드로, 예를 들면, 커맨드가 [1] 또한 서브 커맨드가 지시 [10]인 경우는 톤 이동이나 변조 방식 변경을 지시하기 위한 커맨드인 것을 나타내며, 한편, 커맨드가 [1] 또한 서브 커맨드가 통지 [11]인 경우는 예를 들면, 신규로 전송로(7)에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현재 상태를 통지하는 커맨드인 것을 나타낸다. 또한, 각 서브 커맨드에 대응하는 8비트의 커맨드 인수는 변경 설정/현재 설정, 즉, 변경 전후의 톤 그룹, 톤 셋의 포지션, 변조 방식을 설정한다. 또,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액티브 셋이란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특정한 톤 그룹(5개) 내의 특정한 톤 셋(3개)인 것을 말하며, 액티브 톤이란 상기 액티브 셋을 구성하는 3개의 톤 중 임의의 1톤인 것을 말하며, 디폴트 톤 셋이란 예를 들면, 톤(#48, #64, #80)으로 구성되는 고정 톤 셋인 것을 말하며, 디폴트 톤이란 상기 디폴트 톤 셋을 구성하는 3개의 톤 중 임의의 1톤인 것을 말한다.
단, 상기 도 3b에 도시하는 제어 커맨드 내용은 이하의 대응을 전제로 한다. 예를 들면, 「액티브 톤 셋(ATS)≠디폴트 톤 셋(DTS)」의 경우, 통상 동작 시(제어 커맨드 [0])에 대해서는 ATS가 NOP가 되며, DTS가 더미가 되며, 통신 설정 변경 시(통신 설정 변경 [1])에 대해서는 ATS가 지시가 되며, DTS가 더미가 되며, 신규 접속의 통신 장치를 발견한 경우에는 ATS가 통지가 되며, DTS가 더미가 된다. 한편, 「ATS=DTS」의 경우, 통상 동작 시(제어 커맨드 [0])에 대해서는 ATS(DTS)가 NOP가 되며, 통신 설정 변경 시(통신 설정 변경 [1])에 대해서는 ATS(DTS)가 지시가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장치가 데이터 통신에 사용하는 톤 그룹의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전력선 통신을 행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는 (a)와 같이, 4.3125kHz 간격의 80개(#17 내지 #96) 톤을 상정하고, 16개 간격으로 선출한 5개 셋을 톤 그룹으로 하여, 톤(#17 내지 #32)을 기점으로 한 16셋의 톤 그룹(톤 그룹(#0 내지 #15))을 (b)와 같이 정의한다.
또, 도 5는 상기 톤 프루프 내의 톤 셋의 정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예를 들면 임의의 톤 그룹을 구성하는 5개의 톤 중, 연속하는 3개의 톤 셋을 톤 셋이라 정의한다. 즉, 각 톤 그룹 내의 저주파 측이 연속하는 3개의 셋으로 이루어지는 톤 셋의 셋 포지션을 Low 포지션으로 하고, 고주파 측이 연속하는 3개의 셋으로 이루어지는 톤 셋의 셋 포지션을 High 포지션으로 하며, 중앙 톤 셋의 셋 포지션을 Middle 포지션으로 한다. 따라서, 데이터 통신은 특정한 도프 루프 내의 특정한 셋 포지션으로 지정되는 톤 셋을 사용하여 행해진다.
이하, 도 1에 도시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톤의 이동 방법 및 변조 방식의 변경 방법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6은 일반적인 톤의 이동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우선, 전송로(7) 상에 접속된 어느 통신 장치(전력선 모뎀)의 노이즈 측정기(9)로 노이즈 측정을 행한 결과, 현재의 톤 그룹셋 포지션에 있어서 통신 계속이 곤란하다 판단된 경우, 그 통신 장치는 톤 이동 처리에 있어서의 가상 매스터가 되어 가상 매스터 처리를 스타트한다(스텝(S100)). 그리고, 이 가상 매스터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10)에서는 이동을 희망하는 톤 그룹 또는 셋 포지션을 선택하여(스텝(S101)), 그것들을 제시한 톤 변경 요구를 전력선(7) 상에 송출한다(스텝(S102)).
그 후, 가상 매스터는 미리 설정해 둔 기정 시간 경과 내에,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로부터 변경 거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3, S104), NO).
한편, 가상 매스터로부터의 톤 변경 요구를 수취한(스텝(S201)) 가상 매스터 이외의 모든 통신 장치에서는 각각 톤 그룹셋 포지션의 변경 가부를 판단한다(스텝(S202)). 또한, 모든 통신 장치는 물리층 레벨에 있어서, 전력선(7) 상에 송신되고 있는 데이터가 자기 몫인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전송로 상을 흐르는 모든 통신 데이터를 캐리어 센스하여 수신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그것이 자기 몫이면, 데이터 필드만을 상위층에 건네며, 한편, 자기 몫이 아니면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판단 결과, 톤 그룹셋 포지션 변경을 거부한다고 판단한 경우(스텝(S203), NO), 그 통신 장치에서는 톤 변경 거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여, 그 정보를 가상 매스터에 대해 송신한다(스텝(S204)). 한편, 톤 그룹셋 포지션 변경을 거부하지 않는다 판단한 경우(스텝(S203, YES), 그 통신 장치에서는 후술하는 스텝(S205) 처리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가상 매스터가 규정 시간 내에 톤 변경 거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취한 경우는(스텝(S104), YES), 적어도 1대의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가 톤 그룹셋 포지션 변경을 거부하고 있으며, 가상 매스터에서는 톤 그룹셋 포지션 변경을 단념하여, 가상 매스터 처리를 종료한다(스텝(S105)). 이에 대해, 가상 매스터가 기정 시간 내에 변경 거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취하지 못한 경우는(스텝(S104), NO, 스텝(S103), YES), 모든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가 톤 그룹셋 포지션 변경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가상 매스터에서는 변경처의 톤 그룹셋 포지션을 제시한 톤 변경 지시를 생성하여, 모든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에 대해, 그 지시를 송신한다(스텝(S106)). 그리고, 스스로의 톤 그룹셋 포지션을 스텝(S101)에서 선택한 톤 그룹셋 포지션으로 변경한다(스텝(S107)).
또, 스텝(S203) 처리에 있어서,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가 톤 그룹셋 포지션 변경을 거부하지 않는다 판단한 경우에는(스텝(203), YES), 다른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변경 거부를 수신할 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205)), 수신한 경우에는(YES), 톤 이동을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수신하지 않을 경우에는(NO), 가상 매스터로부터의 변경 지시를 기다려(스텝(S206), NO), 변경 지시를 수취한 단계에서(스텝(S206), YES), 스스로의 톤 그룹셋 포지션을 변경 지시의 톤 그룹셋 포지션으로 변경한다(스텝(S207)).
또한, 신규로 전송로에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서는 현재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톤 그룹셋 포지션을 모르기 때문에, 바로 디폴트 톤 셋을 사용하여 통신에 사용하고 있는 톤 그룹 및 셋 포지션을 검색하고, 그 검색 결과에 근거하여 톤 이동을 행한다. 또, 톤 이동이 필요한 상황은 통상 노이즈에 의해 통신 상태가 악화하고 있으며, 1회의 커맨드로는 수취할 수 없는 통신 장치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변경 요구나 변경 거부가 1회로 수신할 수 없는 것을 상정하여, 변경 요구나 변경 거부 송신을 복수회 행하도록 한다.
도 7은 일반적인 변조 방식의 변경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 차트이다. 우선, 전송로(7) 상에 접속된 어느 통신 장치의 노이즈 측정기(9)에서 노이즈 측정을 행한 결과, 현재의 톤 그룹셋 포지션에 있어서 통신 계속이 곤란하다 판단된 경우, 그 통신 장치는 변조 방식 변경 처리에 있어서의 가상 매스터가 되어 가상 매스터 처리를 스타트한다(스텝(S300)). 그리고, 이 가상 매스터에 있어서의 제어 회로(10)에서는 변경을 희망하는 1차 변조 방식을 선택하여(스텝(S301)), 그것들을 제시한 변조 방식의 변경 요구를 전력선(7) 상에 송출한다(스텝(S302)).
그 후, 가상 매스터는 미리 설정해 둔 기정 시간 경과 내에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로부터 변경 거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803, S304), NO).
한편, 가상 매스터로부터의 변조 방식 변경 요구를 수취한(스텝(S401)) 가상 매스터 이외의 모든 통신 장치에서는 각각 1차 변조 방식의 변경 가부를 판단한다(스텝(S402)). 판단 결과,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거부한다고 판단한 경우(스텝(S403), N0), 그 통신 장치에서는 변조 방식 변경 거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생성하여, 그 정보를 가상 매스터에 대해 송신한다(스텝(S404)). 한편,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거부하지 않는다 판단한 경우(스텝(S403), YES), 그 통신 장치에서는 후술하는 스텝(S405) 처리로 이행한다.
예를 들면, 가상 매스터가 규정 시간 내에 변조 방식 변경 거부를 나타내는정보를 수취한 경우는(스텝(S304), YES), 적어도 1대의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가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거부하고 있으며, 가상 매스터에서는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단념하여, 가상 매스터 처리를 종료한다(스텝(S305)). 이에 대해, 가상 매스터가 기정 시간 내에 변조 방식 변경 거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수취하지 못한 경우는(스텝(S304), NO, 스텝(S303), YES), 모든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가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인정하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가상 매스터에서는 변경 후의 변조 방식을 제시한 변조 방식 변경 지시를 생성하여, 모든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에 대해, 그 지시를 송신한다(스텝(S306)). 그리고, 스스로의 1차 변조 방식을 스텝(S301)에서 선택한 변조 방식으로 변경한다(스텝(S307)).
또, 스텝(S403) 처리에 있어서,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가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거부하지 않는다 판단한 경우에는(스텝(403), YES), 다른 가상 매스터 이외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변조 방식 변경 거부를 수신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며(스텝(S405)), 수신한 경우에는(YES),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하지 않고 처리를 종료한다. 수신하지 않을 경우에는(NO), 가상 매스터로부터의 변조 방식 변경 지시를 기다려(스텝(S406), NO), 변조 방식 변경 지시를 수취한 단계에서(스텝(S406), YES), 스스로의 1차 변조 방식을 변조 방식 변경 지시의 변조 방식으로 변경한다(스텝(S407)).
또한, 신규로 전송로에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서는 현재 통신에 사용되고 있는 1차 변조 방식을 모르기 때문에, 즉시 디폴트 톤 셋을 사용하여 통신에 사용하고 있는 1차 변조 방식을 검색하며, 그 검색 결과에 근거하여 변조 방식 변경을행한다. 또, 1차 변조 방식 변경이 필요한 상황은 통상 노이즈에 의해 통신 상태가 악화하고 있으며, 1회의 커맨드로는 수취할 수 없는 통신 장치가 나올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변경 요구나 변경 거부가 1회로 수신할 수 없는 것을 상정하여 변경 요구나 변경 거부 송신을 복수회 행하도록 한다.
그렇지만, 상기 도 6 및 도 7에 도시하는 톤 이동 및 변조 방식 변경에 있어서는 어느 통신 장치에서 변경 판단을 행한 경우에 있어서도, 전송로(7)에 접속된 모든 통신 장치에 있어서 변경 거부를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톤 이동 및 변조 방식 변경을 용이하게 중단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다소 전송 레이트가 저하한 경우라도, 하나의 통신 장치로부터의 변경 거부로 톤 이동이나 변조 방식 변경이 행해지지 않는 제어로 되어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항상 고레이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항상 S/N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S/N비가 높은 톤을 검출하고, 더욱이,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거부를 기다리지 않고 그 톤으로 이동하며, 항상 최적 톤에 의한 통신을 행함으로써, 높은 수준으로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1의 플로 차트이다. 여기서는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톤 이동, 즉,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변경을 행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을 경우, 전송로(7) 상에 접속된 모든 통신 장치의 제어 회로(10)에서는 전송로(7) 감시를 행한다(도 8, 스텝(S1)). 이 때, 제어 회로(10)에서는 신규로 전송로(7)에 접속된 통신 장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61)).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가 있을 경우(스텝(S61), Yes), 제어 장치(10)는 POC에 통지 커맨드를 기록(스텝(S62)), 프레임 송신 요구가 있을 경우에 그 프레임을 송신하여(도 9, 스텝(S14), Yes, 스텝(S15)),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응답한다. 이로써,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통신 장치에 추종할 수 없었던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액티브 톤 셋 위치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이 경우는 변경 지시 커맨드 송신이 아니기 때문에(스텝(S63), No), 스텝(S16) 이후의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한편, 도 8의 스텝(S61) 처리에 있어서,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가 없을 경우(No), 제어 장치(10)에서는 유효 톤이 있는지의 여부(도 8, 스텝(S2)), 즉, 3개의 액티브 톤이 있는 특정 임계치 이상의 S/N비(BER)를 확보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면, 현재의 액티브 톤인 3개가 특정 임계치를 확보하고 있지 않을 경우(스텝(S2), Yes), 제어 회로(10)에서는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며, 그 통신 장치에서는 S/N비 측정에 사용한 내부의 SNR 데이터 버퍼(도시하지 않음)를 클리어 후(스텝(S3)), 톤 셋 이동을 행한다(스텝(S4)).
여기서는, 동일 톤 그룹 내에 있어서의 셋 포지션 이동을 행하며, 예를 들면, Middle 포지션→High 포지션→Low 포지션→Middle 포지션 순으로 톤 셋 이동을 행하며, 스텝(S2) 처리에서 유효 톤을 검출하기까지 스텝(S1 내지 S4)을 계속한다(스텝(S2), NO). 또한, 이동 순은 이에 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주파수가 높은 쪽 순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해도 된다.
스텝(2)의 처리에서, 유효 톤이 검출된 경우(스텝(S2), No), 제어 회로(10)에서는 통신중인 톤 셋에 있어서의 3개 톤 각각에 대해서 SNR 데이터 평균화를 행하며(스텝(S5)), 이 상태에서, 예를 들면, 1O프레임분의 SNR 데이터를 평균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6)). 이 때, 10프레임에 달하고 있지 않을 경우는(스텝(S6), No), 10프레임에 달할 때까지 스텝(S1, S2, S5, S6) 처리를 반복하여 실행한다. 그리고, 10프레임에 달한 경우(스텝(S6), Yes), 제어 회로(10)에서는 각 톤의 SNR 데이터의 평균치에 근거하여, 즉, 소정의 임계치(평균치)와 비교함으로써, 유효 톤 개수를 확인한다(스텝(S7)).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SNR 평균치를 10프레임분으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유효 톤이 2개 이상인 경우(스텝(S7), No, 스텝(S8)), 제어 회로(10)에서는 어느 정도의 S/N비가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톤 이동의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여, 톤 이동을 행하지 않고, 통신 장치로서는 다시 프레임 수신 대기 상태로 들어간다(스텝(S1)). 한편, 유효 톤이 1개인 경우(스텝(S7), Yes), 제어 회로(10)에서는 내부의 셋 이동 카운터(도시하지 않음)를 확인한다(스텝(S9)).
그리고, 그 확인 결과, 카운터치가 2이하이면(스텝(S9), Yes), 평균화한 SNR 데이터의 평균치를 참조하여 양호한 톤 셋을 판단하며(스텝(S12)), 그 후, POC에 톤 셋 이동 커맨드(도 3의 통신 설정 변경, 지시)를 기록한다(스텝(S13)). 또한, 상기 판단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 확인 결과, 카운터치가 3이면(스텝(S9), No), 제어 회로(10)에서는 현재 통신중인 톤 그룹 내에 통신 품질을 유지 가능한 톤 셋이 없다고 판단하며, 평균화한 SNR 데이터의 평균치를 참조하여 양호한 톤 그룹을 판단하며(스텝(S10)), 그 후, POC에 톤 그룹 이동 커맨드(도 3의 통신 설정변경, 지시)를 기록한다(스텝(S11)).
이 상태(POC에 톤 셋 또는 톤 그룹의 이동 커맨드가 기록된 상태)에서, 제어 회로(10)는 해당 통신 장치에 대해 프레임 송신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유저 데이터를 송신할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어느 경우에(도 9, 스텝(S14), Yes), 그 통신 장치에서는 통상의 프레임과 함께 앞서 설정해 둔 POC(변경 지시)를 송신하며(스텝(S15, S63), Yes), 더욱이, 셋 이동 카운터의 인크리먼트(스텝(S16)) 및 SNR 데이터 버퍼의 클리어(스텝(S17))를 실행하며, 톤 이동을 실행 후(스텝(S18)), 프레임 수신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도 8, 스텝(S1)).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통신 장치가 유저 데이터를 송신할 의사가 없을 경우에는(도 9, 스텝(S14), No) 톤 이동이 행해지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쓸데 없는 송신을 없애기 위해, 자통신 장치에 대해 프레임 송신 요구가 있을 경우에만 POC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송신한다.
한편, 상기 상태에서, 자통신 장치에 대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발생하기 전에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셋 변경 지시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스텝(S14), No, 스텝(S19), Yes), 그 통신 장치에서는 SNR 데이터 버퍼의 클리어(스텝(S17))를 실행하여, 톤 셋 이동을 실행 후(스텝(S18)), 프레임 수신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도 8, 스텝(S1)). 또, 상기 상태에서, 자통신 장치에 대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발생하기 전에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그룹 변경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도 9, 스텝(S14), NO, 스텝(S19), No, 스텝(S20), Yes), 그 통신 장치에서는 SNR 데이터 버퍼의 클리어(스텝(S21))를 실행하며, 톤 그룹 이동을 실행 후(스텝(S22)), 프레임 수신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도 8, 스텝(S1)).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통신 방법은 액티브 톤에 의한 변경 지시가 있을 경우에만,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이동을 행하는 변경 지시 반응형이고, 또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응답을 행하는 송신 요구 대기형이라 할 수 있다.
이어서, 상술한 스텝(S12) 처리에 있어서의 톤 셋 이동 방법을 간단히 설명한다. 예를 들면, 톤 셋은 SNR 데이터의 평균치를 참조하여, SNR 수치가 양호한 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SNR 데이터의 평균치가 동일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고역 측으로 이동시킨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예를 들면, 현재의 톤 셋이 Middle 포지션이며, 또한 S/N비의 측정 결과가 [**1]인 경우, 제어 장치(10)에서는 주파수가 높은 톤의 S/N비가 양호하다 판단하며, High 포지션으로 톤 셋을 이동시킨다. 단, *는 무효 톤을 나타내며, 1은 유효 톤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 현재의 톤 셋이 Middle 포지션이며, 또한 S/N비의 측정 결과가 [*1*]인 경우, 제어 장치(10)에서는 S/N비가 양호한 쪽으로 톤 셋을 이동시킨다. 또, 현재의 톤 셋이 Middle 포지션이며, 또한 S/N비의 측정 결과가 [1**]인 경우, 제어 장치(10)에서는 주파수가 낮은 톤의 S/N비가 양호하다 판단하여, Low 포지션으로 톤 셋을 이동시킨다.
동일 기준으로, 예를 들면, 현재의 톤 셋이 High 포지션이며, 또한 S/N비의 측정 결과가 [**1]인 경우, 제어 장치(10)에서는 이 톤 그룹 내에서 톤 셋을 이동하지 않는다. 또, 현재의 톤 셋이 High 포지션이며, 또한 S/N비의 측정 결과가 [*1*]인 경우, 제어 장치(10)에서는 S/N비가 양호한 쪽으로 톤 셋을 이동시킨다.또, 현재의 톤 셋이 High 포지션이며, 또한 S/N비의 측정 결과가 [1**]인 경우, 제어 장치(10)에서는 주파수가 낮은 톤의 S/N비가 양호하다 판단하여, Middle 포지션으로 톤 셋을 이동시킨다.
동일 기준으로, 예를 들면, 현재의 톤 셋이 Low 포지션이며, 또한 S/N비의 측정 결과가 [**1]인 경우, 제어 장치(10)에서는 주파수가 높은 톤의 S/N비가 양호이다고 판단하여, Middle 포지션으로 톤 셋을 이동시킨다. 또, 현재의 톤 셋이 Low 포지션이며, 또한 S/N비의 측정 결과가 [*1*]인 경우, 제어 장치(10)에서는 S/N비가 양호한 쪽으로 톤 셋을 이동시킨다. 또, 현재의 톤 셋이 Low 포지션이며, 또한 S/N비의 측정 결과가 [1**]인 경우, 제어 장치(10)에서는 이 톤 그룹 내에서 톤 셋을 이동하지 않는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최적 셋 포지션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항상 최적 조건으로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송로(7)에 접속된 모든 통신 장치가 변경 거부를 출력할 수 없으며, 더욱이 항상 고레이트를 유지하도록 S/N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S/N비가 높은 톤을 검출하며, 검출된 단계에서 바로 톤 이동을 행함으로써, 항상 최적 톤에 의한 통신을 행하기 때문에, 노이즈 영향이 큰 통신 환경 하에 있어서도,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항상 높은 수준으로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0 및 도 11은 도 8 및 도 9와 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변경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지만, 액티브톤에 의한 변경 지시가 있는 경우에만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이동을 행하는 변경 지시 반응형이며, 또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없어도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응답을 행하는 즉응형이다(예 2).
예를 들면, 도 10 및 도 11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을 경우, 전송로(7) 상에 접속된 모든 통신 장치의 제어 회로(10)에서는 전송로(7) 감시를 행한다(도 10, 스텝(S1)). 이 때, 제어 회로(10)에서는 신규로 전송로(7)에 접속된 통신 장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61)).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가 있을 경우(스텝(S61), Yes), 제어 장치(10)는 P0C에 통지 커맨드를 기록(스텝(S62)), 프레임 송신 요구가 없어도, 그 프레임을 송신하여(스텝(S64)),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응답한다. 또한, 그 외의 스텝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12 및 도 13도 도 10 및 도 11과 동일(도 8 및 도 9 모두 동일),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변경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다. 단, 도 12 및 도 13은 액티브 톤에 의한 변경 지시에 한하지 않고, 액티브 톤 및 디폴트 톤의 모든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이동을 행하는 추종 반응형이며, 또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응답을 행하는 송신 요구 대기형이다(예 3).
예를 들면, 도 12 및 도 13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을 경우, 전송로(7) 상에 접속된 모든 통신 장치의 제어 회로(10)에서는 전송로(7) 감시를 행한다(도 12, 스텝(S1)). 이 때, 제어 회로(10)에서는 신규로 전송로(7)에 접속된통신 장치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61)).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가 있을 경우(스텝(S61), Yes), 제어 장치(10)는 POC에 통지 커맨드를 기록(스텝(S62), 프레임 송신 요구가 있을 경우에 그 프레임을 송신하여(도 13, 스텝(S14), Yes, 스텝(S15)),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응답한다.
한편, 도 12의 스텝(S61) 처리에 있어서, 신규 접속된 통신 장치가 없을 경우(No), 제어 장치(10)에서는 자통신 장치의 현재 설정과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프레임 설정이 동일한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도 13, 스텝(S71)). 예를 들면, 동일하지 않을 경우(스텝(S71), No), 그 제어 장치(10)에서는 SNR 데이터 버퍼의 클리어(스텝(S72))를 실행하며,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이동을 실행 후(스텝(S73)), 프레임 수신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도 12, 스텝(S1)). 또, 동일할 경우(도 13, 스텝(S71), Yes), 제어 장치(10)에서는 유효 톤이 있는지의 여부(도 12, 스텝(S2)), 즉, 3개의 액티브 톤이 있는 특정 임계치 이상의 S/N비(BER)를 확보하고 있는지의여부를 확인한다. 또한, 그 밖의 스텝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8 및 도 9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도 14 및 도 15도 도 8 내지 도 13과 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변경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다. 단, 도 14 및 도 15는 액티브 톤에 의한 변경 지시에 한하지 않으며, 액티브 톤 및 디폴트 톤의 모든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이동을 행하는 추종 반응형이며, 또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없어도,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응답을 행하는 즉응형이다(예 4). 도 14 및 도 15에 있어서의 통신 방법에 대해서는 상술한 도 10 및 도 11과, 도 12 및 도 13과의 조합이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 도 10 내지 도 15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도, 앞서 설명한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통신 방법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예 1에 있어서는 S/N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S/N비가 높은 톤을 검출하고, 검출된 단계에서 바로 톤 이동을 행함으로써, 노이즈 영향이 큰 통신 환경 하에 있어서도,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항상 높은 수준으로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고 있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더욱이, 상기 톤 이동에 더불어, 다른 내노이즈성의 1차 변조 방식을 선택 가능하게 하여, 이것을 소정의 기준으로 선택함으로써, 보다 높은 수준으로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한다.
도 16,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2의 플로 차트이다. 여기서는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변경 및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통신 장치 구성에 대해서는 상술한 실시예 1의 구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또, 실시예 1의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플로 차트와 동일한 스텝에 대해서도, 동일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도 16의 스텝 7의 처리에 있어서, 유효 톤이 1개일 경우(도 16, 스텝(S7), Yes), 제어 회로(10)에서는 내부의 셋 이동 카운터(도시하지 않음)를 확인한다(스텝(S9)). 그리고, 그 확인 결과, 카운터치가 2이하이면(스텝(S9), Yes), 제어 회로(10)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확인 결과, 카운터치가 3이면(스텝(S9), No), 제어 회로(10)에서는 현재 통신중인 톤 그룹 내에 통신 품질을 유지 가능한 톤 셋이 없다고 판단하여, 톤 그룹(#0→#1→#2…→#15) 순으로 톤 그룹을 변경한다(도 18, 스텝(S31)).
따라서, 현재의 톤 그룹이 #0 내지 #14일 경우(스텝(S31), No), 제어 회로(10)에서는 현재 통신중인 톤 그룹의 다음 톤 그룹을 선택하고(도 16, 스텝(S10)), 그 후, POC에 톤 프루프 이동 커맨드(도 3의 통신 설정 변경, 지시)를 기록한다(스텝(S11). 한편, 현재의 톤 그룹이 #15일 경우(도 18, 스텝(S31), Yes), 제어 회로(10)에서는 현재의 1차 변조 방식이 어떤 것인지를 확인한다(스텝(S32)).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1차 변조 방식이 DQPSK→DBPSK→DBPSK+시간 디버시티→… 순으로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그 결과, 현재의 1차 변조 방식이 DQPSK이면(스텝(S32), No), 제어 회로(10)에서는 변조 방식을 DBPSK로 변경하도록 제어하여, POC에 변조 방식 변경의 커맨드(도 3의 통신 설정 변경, 지시)를 기록한다(스텝(S34)). 또, 현재의 1차 변조 방식이 DBPSK이면(스텝(S32), No), 변조 방식을 DBPSK+시간 디버시티로 변경하도록 제어하여, POC에 변조 방식 변경의 커맨드(도 3의 통신 설정 변경, 지시)를 기록한다(스텝(S34)). 한편, 현재의 1차 변조 방식이 DBPSK+시간 디버시티이면(스텝(S32), Yes), 변조 방식 및 톤 셋 위치를 디폴트치(톤 그룹(#0), 1차 변조 방식: DQPSK)로 되돌려, 그 내용을 POC에 기록한다(스텝(S38)).
이 상태(POC에 톤 셋 또는 톤 그룹의 이동 커맨드가 기록된 상태)에서, 제어 회로(10)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해당 통신 장치에 대해 프레임 송신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유저 데이터를 송신할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어느 경우에(도 17, 스텝(S14), Yes), 그 통신 장치에서는 통상의 프레임과 함께 앞서 설정해 둔 POC를 송신하며(스텝(S15)), 더욱이, 셋 이동 카운터의 인크리먼트(스텝(S16)) 및 SNR 데이터 버퍼의 클리어(스텝(S17))를 실행하여, 톤 이동을 실행 후(스텝(S18)), 프레임 수신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도 16, 스텝(S1)).
한편, 상기 상태에서, 자통신 장치에 대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발생하기 전에,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셋 변경 지시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도 17, 스텝(S14), No, 스텝(S19), Yes), 그 통신 장치에서는 SNR 데이터 버퍼의 클리어(스텝(S17))를 실행하고, 톤 셋 이동을 실행 후(스텝(S18)), 프레임 수신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도 16, 스텝(S1)). 또, 상기 상태에서, 자통신 장치에 대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발생하기 전에,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그룹 변경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도 17, 스텝(S14), No, 스텝(S19), No, 스텝(S20), Yes), 그 통신 장치에서는 SNR 데이터 버퍼의 클리어(스텝(S21))를 실행하고, 톤 그룹 이동을 실행 후(스텝(S22)), 프레임 수신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도 16, 스텝(S1)). 더욱이, 상기 상태에서, 자통신 장치에 대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발생하기 전에,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그룹 1차 변조 방식 요구 프레임을 수신한 경우에는(도 17, 스텝(S14), No, 스텝(S19), No, 스텝(S20), No, 스텝(S41), Yes), 그 통신 장치에서는 SNR 데이터 버퍼의 클리어(스텝(S42))를 실행하고, 톤 그룹 이동 및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실행 후(스텝(S43)), 프레임 수신 대기 상태로 돌아간다(도 16, 스텝(S1)).
이렇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항상 S/N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S/N비가 높은 톤을 검출하고, 검출된 단계에서 바로 톤 이동을 행함으로써, 항상 최적 톤에 의한 통신을 행하며, 더욱이, 다른 내노이즈성 1차 변조 방식을 선택 가능하게 하여, 이것을 소정의 기준으로 선택함으로써, 노이즈 영향이 큰 통신 환경 하에 있어서도,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보다 높은 수준으로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9 및 도 20은 도 16 및 도 17과 동일하게,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톤 그룹, 셋 포지션 및 1차 변조 장식 변경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지만, 액티브 톤에 의한 변경 지시가 있는 경우에만, 톤 그룹, 셋 포지션 및 1차 변조 방식 이동을 행하는 변경 지시 반응형이며, 또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없어도,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응답을 행하는 즉응형이다(예 2). 이것은 앞서 설명한 도 10 및 도 11의 통신 방법에 대응한다.
또, 도 21 및 도 22도, 도 16 및 도 17 또는 도 19 및 도 20과 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톤 그룹, 셋 포지션 및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다. 단, 도 21 및 도 22는 액티브 톤에 의한 변경 지시에 한하지 않고, 액티브 톤 및 디폴트 톤의 모든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톤 그룹, 셋 포지션 및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하는 추종 반응형이며, 또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응답을 행하는 송신 요구 대기형이다(예 3). 이것은 앞서 설명한 도 12 및 도 13의 통신 방법에 대응한다.
또, 도 23 및 도 24도 도 16 및 도 17, 도 19 및 도 20, 도 21 및 도 22와마찬가지로,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톤 그룹, 셋 포지션 및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하는 통신 방법이다. 단, 도 23 및 도 24는 액티브 톤에 의한 변경 지시에 한하지 않고, 액티브 톤 및 디폴트 톤의 모든 제어 커맨드에 대응하여 톤 그룹, 셋 포지션 및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하는 추종 반응형이며, 또한 프레임 송신 요구가 없어도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응답을 행하는 즉응형이다(예 4). 이것은 앞서 설명한 도 14 및 도 15의 통신 방법에 대응한다.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는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변경 및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할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신규로 전송로에 접속된 통신 장치에 의한 톤 그룹, 셋 포지션 및 1차 변조 방식의 변경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의 실시예 3의 플로 차트이다. 또한, 본 실시예는 실시예 1 및 2에 있어서 설명한 플로 차트에 들어가기 이전 동작으로, 이 플로 차트가 종료한 단계에서, 도 8, 도 10, 도 12, 도 14, 도 16, 도 19, 도 21 및 도 23의 스텝(1) 처리가 실행되게 된다. 또, 도 25의 플로 차트는 실시예 2에 대응하는 것이기 때문에, 실시예 1에 대응시킬 경우에는 스텝(S54)에 있어서의 1차 변조 방식의 변경 동작을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어느 통신 장치가 전송로(7)에 접속되며, 이 상태에서 전원이 투입되면, 우선, 그 통신 장치에서는 초기화가 행해지며(도 25, 스텝(S51)), 그 후, 프레임 수신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스텝(S52)). 또한, 이 초기화에서는 후술하는 타이머의 리셋 처리나,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디폴트 톤 그룹 및 디폴트 셋 포지션 설정이 행해진다. 또, 통신 장치가 대기 상태에 들어간 단계에서 타이머가 스타트한다.
예를 들면, 타이머 값(T)가 소정 값(T1) 이하일 때에, 디폴트 톤 셋 프레임을 수신하면(스텝(S53)), 제어 회로(10)에서는 그 내용을 이해하여, 현재 통신중인 액티브 톤 셋 위치에 톤 그룹, 셋 포지션 및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한다(스텝(S54)). 그리고, 이 상태에서, 이 통신 장치는 프레임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
한편, 디폴트 톤 셋 수신을 기다려(스텝(S52, S53), No, 스텝(S55), No), 타이머 값(T)이 소정 값(T1)을 넘어도 디폴트 톤 셋 프레임을 수신할 수 없을 경우(스텝(S53), No, 스텝(S55), Yes), 제어 회로(10)에서는 프레임 송신 요구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스텝(S56)), 요구가 없으면(스텝(S56), No), 다시 프레임 수신 대기에 들어가며(스텝(S52)), 요구가 있으면(스텝(S56), Yes), 초기화 시에 설정한 톤 셋 프레임을 송신하며(스텝(S57)), 이 상태에서, 이 통신 장치는 정상적인 프레임 대기 상태에 들어간다(도 8, 도 10, 도 12, 도 14, 도 16, 도 19, 도 21 및 도 23, 스텝(S1)). 또한,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다른 통신 장치에서는 이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로부터의 송신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서, POC에 통지 커맨드를 기록, 그 프레임을 송신한다. 이로써,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는 다른 통신 장치 변경(톤 그룹, 셋 포지션, 1차 변조 방식)에 추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있어서도 디폴트 톤을 확인함으로써 용이하게 액티브 톤의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더욱이 ,전원 투입시, 전송로 상에서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스스로의 통신 장치에 의한 프레임 송신으로, 액티브 톤 셋의 톤 그룹, 셋 포지션 및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다른 통신 장치의 액티브 톤에 대한 추종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송로에 접속된 모든 통신 장치가 변경 거부 정보를 출력할 수 없으며, 더욱이, 항상 고레이트를 유지하도록 S/N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S/N비가 높은 톤을 검출하고, 검출된 단계에서 바로 톤 이동을 행함으로써, 항상 최적 톤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이로써, 노이즈 영향이 큰 통신 환경 하에 있어서도,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항상 높은 수준으로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있어서도, 디폴트 톤을 확인함으로써 용이하게 액티브 톤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더욱이 전원 투입 시, 전송로 상에서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스스로의 통신 장치에 의한 프레임 송신으로, 액티브 톤 셋의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용이하게 다른 통신 장치의 액티브 톤에 대해 추종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항상 S/N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S/N비가 높은 톤을 검출하고, 검출된 단계에서 곧 톤 이동을 행함으로써, 항상 최적 톤에 의한 통신을 행하며, 더욱이, 다른 내노이즈성의 1차 변조 방식을 선택 가능하게 하여, 이것을 소정의 기준으로 선택한다. 이로써, 노이즈 영향이 큰 통신 환경 하에 있어서도,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으며, 보다 높은 수준으로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있어서도, 디폴트 톤을 확인함으로써 용이하게 액티브 톤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더욱이, 전원 투입 시, 전송로 상에서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스스로의 통신 장치에 의한 프레임 송신으로, 액티브 톤 셋의 톤 그룹, 셋 포지션 및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용이하게 다른 통신 장치의 액티브 톤에 대해 추종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방법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DQPSK, DBPSK, BPSK+시간 디버시티 순으로 1차 변조 방식을 선택함으로써, 특성과 간이성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더욱이 효율 좋게 모든 변조 방식을 실행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동일 톤 그룹 내에 있어서의 톤 셋 위치를 주파수가 낮은 쪽 또는 높은 쪽 순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빠짐 없이 효율적으로 모든 톤 셋 이동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특정 기준을 확보했는지의 여부 확인 결과에 근거하여, 양호한 톤이 중심이 되도록 톤 셋 위치를 이동시킴으로써, 보다 최적 톤 셋으로의 이동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톤 그룹 번호 순으로 톤 그룹을 이동시킴으로써, 빠짐 없이 효율적으로 모든 톤 그룹 이동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통신 장치에 추종할 수 없던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대해, 액티브 톤 셋 위치를 통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항상 고레이트를 유지하도록 S/N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S/N비가 높은 톤을 검출하고, 검출된 단계에서 바로 톤 이동을 행함으로써, 항상 최적 톤에 의한 통신을 행한다. 이로써, 노이즈 영향이 큰 통신 환경 하에 있어서도,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고 항상 높은 수준으로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있어서도, 디폴트 톤을 확인함으로써 용이하게 액티브 톤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더욱이, 전원 투입 시, 전송로 상에서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스스로의 통신 장치에 의한 프레임 송신으로, 액티브 톤 셋의 톤 그룹 및 셋 포지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용이하게 다른 통신 장치의 액티브 톤에 대해 추종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항상 S/N비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이 되도록 적극적으로 S/N비가 높은 톤을 검출하고, 검출된 단계에서 바로 톤 이동을 행함으로써, 항상 최적 톤에 의한 통신을 행하며, 더욱이, 다른 내노이즈성의 1차 변조 방식을 선택 가능하게 하여, 이것을 소정의 기준으로 선택한다. 이로써, 노이즈 영향이 큰 통신 환경 하에 있어서도, 특성을 열화시키지 않으며, 보다 높은 수준으로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다음 발명에 의하면, 신규로 접속된 통신 장치에 있어서도, 디폴트 톤을 확인함으로써 용이하게 액티브 톤 위치를 알 수 있으며, 더욱이, 전원 투입 시, 전송로 상에서 통신이 행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도, 스스로의 통신 장치에 의한 프레임 송신으로, 액티브 톤 셋의 톤 그룹, 셋 포지션 및 1차 변조 방식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이로써, 용이하게 다른 통신 장치의 액티브 톤에 대해 추종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장치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를 낸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는 노이즈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는 전송로를 사용한 통신에 유용하며, 특히, 기존의 전력선(전등선)을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행하는 전력선 모뎀에 적합하다.

Claims (13)

  1. 전송로 상에 접속된 복수의 통신 장치 사이에서 행하는 데이터 통신의 통신 방식으로서, 멀티 캐리어 변복조 방식를 채용하고, 노이즈 영향이 적은 톤을 선택함으로써,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는 통신 방법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송로 감시를 행하며, 어느 특정 기준을 확보하는 톤이 없을 경우,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톤 셋 이동을 행하는 제 1 톤 셋 이동 스텝과,
    상기 어느 특정 기준을 확보하는 소정의 개수 이상의 톤이 있을 경우,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톤 셋 이동을 행하지 않으며, 한편, 상기 기준을 확보하는 톤이 소정의 개수 미만이며, 또한 동일 톤 그룹 내에서 톤 셋 이동을 행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라 판단한 경우, 소정의 방법으로 톤 셋 이동을 행하는 제 2 톤 셋 이동 스텝과,
    상기 동일 톤 그룹 내에서 톤 셋 이동을 실행해도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방법으로 톤 그룹 이동을 행하는 톤 그룹 이동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전원 투입 시에, 현재 통신중인 톤 셋 위치가 기록된 고정 톤 셋을 감시함으로써, 현재 상태를 인식하여, 그 상태에서 톤 셋을 변경하는 변경 스텝과,
    상기 고정 톤 셋을 수취하지 못할 경우, 초기화 시에 설정한 톤 셋을 사용하여 프레임 송신을 행하며, 다른 통신 장치로부터의 응답을 기다리는 프레임 송신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통신 방식으로서 멀티 캐리어 변복조 방식를 채용하고, 노이즈 영향이 적은 톤을 선택함으로써,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정상적으로 통신을 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전송로 감시를 행하며, 어느 특정 기준을 확보하는 톤이 없을 경우,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소정의 방법으로 톤 셋 이동을 행하며,
    상기 어느 특정 기준을 확보하는 소정의 개수 이상의 톤이 있을 경우, 일정한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톤 셋 이동을 행하지 않으며, 한편, 상기 기준을 확보하는 톤이 소정의 개수 미만이며, 또한 동일 톤 그룹 내에서 톤 셋 이동을 행함으로써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방법으로 톤 셋 이동을 행하며,
    상기 동일 톤 그룹 내에서 톤 셋 이동을 실행해도 통신 품질을 유지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경우, 소정의 방법으로 톤 그룹 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1-7006183A 1999-09-17 2000-06-29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1003877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6454599A JP3285850B2 (ja) 1999-09-17 1999-09-17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99-264545 1999-09-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1023A KR20010081023A (ko) 2001-08-25
KR100387749B1 true KR100387749B1 (ko) 2003-06-18

Family

ID=17404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6183A KR100387749B1 (ko) 1999-09-17 2000-06-29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680979B2 (ko)
EP (1) EP1133092A4 (ko)
JP (1) JP3285850B2 (ko)
KR (1) KR100387749B1 (ko)
CN (1) CN1321377A (ko)
CA (1) CA2349164A1 (ko)
IL (1) IL142814A0 (ko)
NO (1) NO20012151L (ko)
TW (1) TW468310B (ko)
WO (1) WO200102263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85850B2 (ja) 1999-09-17 2002-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01333053A (ja) * 2000-05-19 2001-11-30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DE10063675C1 (de) * 2000-12-20 2002-06-20 Siemen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Übertragung von Daten auf wenigstens einer elektrischen Energieversorgungsleitung
AU2002235258A1 (en) * 2000-12-27 2002-07-08 Ensemble Communications, Inc. Adaptive call admission control for us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S2188373B1 (es) * 2001-05-25 2004-10-16 Diseño De Sistemas En Silencio, S.A. Procedimiento de optimizacion de la comunicacion para sistema de transmision digital ofdm multiusuario sobre red electrica.
FR2826208B1 (fr) * 2001-06-19 2003-12-05 Thales Sa Systeme et procede de transmission d'un signal audio ou phonie
JP2003224499A (ja) * 2002-01-31 2003-08-08 Mitsubishi Electric Corp 機器装置
JP3835759B2 (ja) 2003-04-08 2006-10-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車両外施設・車両間通信装置及び車両外施設・車両間通信システム並びに車両外施設・車両間通信装置を用いた通信方法
WO2005011226A1 (en) * 2003-07-25 2005-02-0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ulticarrier transmission / reception with transmission quality evaluation
US7903538B2 (en) * 2003-08-06 2011-03-08 Intel Corporation Technique to select transmission parameters
JP4490425B2 (ja) 2003-09-19 2010-06-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通信方法、システム及び装置
JP4970954B2 (ja) * 2003-12-23 2012-07-11 エスティーマイクロエレクトロニ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通信プロトコル物理層の動作がダイナミックに選択可能である電力線通信装置
US11152971B2 (en) 2004-02-02 2021-10-19 Charles Abraham Frequency modulated OFDM over various communication media
JP2006101487A (ja) * 2004-09-02 2006-04-13 Mitsubishi Materials Corp 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送信装置、データ受信装置及びデータ通信方法並びにデータ通信プログラム
US7391317B2 (en) 2004-09-08 2008-06-24 Satiu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over various communication media
US8126065B2 (en) * 2005-03-23 2012-02-28 Sony Corporation Automatic power adjustment in powerline home network
CA2605786C (en) * 2005-04-25 2012-06-19 Lg Electronics Inc. Reader control system
US7907509B2 (en) * 2005-05-26 2011-03-15 Panasonic Corporation Communication apparatus, integrated circuit and communication method
US7756942B2 (en) * 2005-07-21 2010-07-13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master component in multiple home networks
EP1949553B1 (en) * 2005-11-10 2013-05-01 Pana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US7876717B2 (en) * 2005-12-09 2011-01-25 Sony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in powerline communications (PLC) network
GB2443009A (en) * 2006-10-17 2008-04-23 Siconnect Ltd Optimising data communications in a power line communiation system
JP5032878B2 (ja) * 2007-04-06 2012-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保守作業支援システム
KR101115520B1 (ko) * 2008-12-23 2012-02-27 전자부품연구원 자기장 기반의 저주파 대역(~300㎑) 무선통신의 물리계층 구성 방법 및 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US8391399B2 (en) * 2009-05-13 2013-03-05 Elbit Systems Of America, Llc Single carrier waveform system with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US20120027062A1 (en) * 2010-07-28 2012-02-02 Battelle Energy Alliance,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etting an adaptive frequency band for power line communciation
JP5498475B2 (ja) 2011-12-27 2014-05-21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力線通信システム
JP5616376B2 (ja) 2012-02-10 2014-10-29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力線通信システム
JP5722849B2 (ja) 2012-09-03 2015-05-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力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受信装置
JP5751267B2 (ja) 2013-02-08 2015-07-2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力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スレーブ装置
JP5987732B2 (ja) 2013-03-04 2016-09-0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電子機器
JP2015023477A (ja) * 2013-07-20 2015-02-02 富士電機株式会社 送信装置、受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US10090962B2 (en) * 2013-10-01 2018-10-02 Zte Corporation In-band signaling for reconfiguring software defined optics
US20230199456A1 (en) * 2021-12-17 2023-06-22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Methods, devices and systems for estimating distance with transmitted frequency set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1437B1 (ko) * 1995-06-30 2002-08-08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엠.티.시스템에서적응형비트교환방법및장치
CA2214934C (en) * 1996-09-24 2001-10-30 At&T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data communication
US6175550B1 (en) * 1997-04-01 2001-01-16 Lucent Technologies, Inc.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with dynamically scalable operating parameters and method thereof
JP2000045763A (ja) 1998-07-31 2000-02-15 Chuo Spring Co Ltd ディーゼル用触媒コンバータ
JP3596321B2 (ja) * 1998-09-21 2004-12-0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線搬送通信装置及びその通信制御方法
JP2000216752A (ja) * 1998-11-20 2000-08-04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キャリア通信装置
CN1296682A (zh) * 1998-12-17 2001-05-23 三菱电机株式会社 通信方法和通信装置
JP3279277B2 (ja) * 1999-02-19 2002-04-30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ルチキャリア通信方法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通信装置
JP2001036497A (ja) * 1999-07-19 2001-02-09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3285850B2 (ja) 1999-09-17 2002-05-27 三菱電機株式会社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01111518A (ja) * 1999-10-04 2001-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01197146A (ja) * 2000-01-12 2001-07-19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01268045A (ja) * 2000-03-21 2001-09-28 Mitsubishi Electric Corp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680979B2 (en) 2004-01-20
NO20012151L (no) 2001-07-16
JP3285850B2 (ja) 2002-05-27
EP1133092A4 (en) 2006-08-02
TW468310B (en) 2001-12-11
KR20010081023A (ko) 2001-08-25
EP1133092A1 (en) 2001-09-12
CA2349164A1 (en) 2001-03-29
JP2001094526A (ja) 2001-04-06
CN1321377A (zh) 2001-11-07
WO2001022635A1 (fr) 2001-03-29
IL142814A0 (en) 2002-03-10
NO20012151D0 (no) 2001-05-02
US20010028678A1 (en) 200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7749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N101184011B (zh) 通信控制设备和通信设备及其控制方法,无线通信系统
CN1954573B (zh) 在正交频分多址通信系统中发送上行链路确认信息的方法和设备
KR101456711B1 (ko) 제어 시그널링을 줄이는 데이터 전송 방법
JP3330587B2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367044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H10242931A (ja) ローカル網内の加入者局間のディジタル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信号用の無線伝送方法
US7990931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selecting sets of available sub-channels
JP2008098812A (ja) Ofdm伝送方法及びofdm送信装置
JP4009983B2 (ja) 電力線搬送通信装置
JP3279277B2 (ja) マルチキャリア通信方法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通信装置
JP4112397B2 (ja) マルチキャリア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マルチキャリア変調回路
KR100428908B1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JP2966821B2 (ja) 伝送制御信号送信方式と送受信装置
JPH07107010A (ja) 周波数ホッピング通信装置
JP2010124394A (ja) 電力線搬送通信装置
JP2001186102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JP2001197146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H11308240A (ja) 無線通信方法
WO2001089136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communication
EP1146659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JPH11136307A (ja) 通信装置
JP2002077298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装置
JP2004040643A (ja) 送信装置、受信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コンテンツ伝送システム
JP2001251382A (ja) 無線回線におけるデータ伝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2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