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750B1 - 소형방전램프 및 전구형 형광램프 - Google Patents

소형방전램프 및 전구형 형광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750B1
KR100386750B1 KR10-1999-0062659A KR19990062659A KR100386750B1 KR 100386750 B1 KR100386750 B1 KR 100386750B1 KR 19990062659 A KR19990062659 A KR 19990062659A KR 100386750 B1 KR100386750 B1 KR 100386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ulb
discharge lamp
amalgam
auxiliary amalg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62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48430A (ko
Inventor
유스케 시바하라
도시유키 이케다
다카유키 후지타
Original Assignee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라이텍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48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01J61/327"Compact"-lamps, i.e. lamps having a folded 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6One or more circuit elemen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lamp

Abstract

[과제] 관체(33a) 내지 (33d)의 연통관부(36)의 접속가공시에, 보조 아말감 (52)의 지지부재(54)를 봉입고정하는 관체(33a) 내지 (33d)의 봉입고정부위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하고, 생산수율을 향상시킨다.
[해결수단] 연통관부(36)를 통하여 복수의 관체(33a) 내지(33d)를 순차 접속하고, 굴곡형의 방전로(37)를 가지는 벌브(31)를 형성한다. 벌브(31)내에 봉입가스를 봉입하고, 벌브(31)의 양끝단에 전극(32)을 밀봉장착한다. 벌브(31)의 연통관부(36)를 통하여 접속된 관체(33b) 내지 (33c) 의 끝단부에서 그 관중심보다 연통관부(36)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1 개의 지지부재(54)를 봉입고정한다. 지지부재 (54)에 의하여 벌브(31)의 방전로(37)내에 보조 아말감(52)을 지지한다. 관체 (33a)내지 (33d)의 접속가공시에, 지지부재(54)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한다.

Description

소형방전램프 및 전구형 형광램프{Self-ballasted fluorescent lamp}
본 발명은, 복수의 관체가 연통관부를 통하여 차례로 접속되고 굴곡형의 방전로가 형성된 소형방전램프 및 이 소형방전램프를 이용한 전구형 형광램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 종류의 방전램프로서는, 예컨대, 대략 U 자형의 3개의 관체를 연통관부를 통하여 차례로 접속하고 굴곡형의 방전로를 갖는 유리제의 벌브를 형성하고, 이 벌브의 양끝단에 전극을 봉입장착하는 것에 의해, 방전로 길이를 확보하면서 소형화한 형광램프의 구성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형광램프로서는, 정상점등시에 벌브내의 수은증기압을 적정한 범위로 제어하는 주 아말감, 소등시에 벌브내의 부유수은을 흡착하고 또한 시동시를 포함하는 점등초기에 흡착한 수은을 방출하여 광속(光束)의 기동특성을 향상시키는 보조 아말감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보조 아말감을 사용하는 경우, 예컨대, 일본국 실개소 제 63-109439호공보(이하 "종래기술 1"이라 함)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광속의 기동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 벌브의 방전로의 도중에 보조 아말감을 배치하는 경우가 있다. 종래 기술1은, 3개의 관체중 중간에 위치하는 관체의 일끝단부에 봉입고정되는 금속제의웰즈에 의해서, 보조 아말감을 벌브의 방전로 중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보조 아말감을 방전로 중에 배치하기 위해서는, 보조 아말감의 웰즈를 봉입고정된 더미 스템을 사용하고, 이 더미스템을 관체의 끝단부에 접속하거나, 또는, 관체의 끝단부에 세관(細管)이 있는 경우에는 세관으로부터 빠진 위치에 보조 아말감의 웰즈를 편위시켜 봉입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방전램프의 제조공정에서는, 중간의 관체의 일끝단의 봉입고정부에 보조 아말감을 봉입고정한 뒤에, 관체의 끝단부 근방의 관벽을 버너로 가열용융시켜 부수는 것으로 연통관부를 형성하여 접속하는 접속가공을 하지만, 이 때, 가열되는 관체의 관벽의 가까이에 금속제의 웰즈가 있기 때문에, 그 웰즈가 관체의 관벽을 가열하는 열로 고온이 되어 웰즈를 봉입고정되는 관체의 봉입고정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고, 제품 비율이 저하하는 문제를 갖고 있다.
특히, 웰즈에 작용하는 열영향으로는, 버너의 방사열과, 관벽을 타고 웰즈의 봉입고정부에 전달되는 열전도가 있지만, 열전도쪽이 영향이 큰 경향이 있고, 그 때문에, 웰즈의 봉입고정부의 지름이 클수록 열전도에 의한 열영향을 받기 쉽고, 웰즈를 봉입고정하는 관체의 봉입고정 부위에 크랙의 발생이 현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관체의 관지름이 12 mm 이하로 가느다란 경우에는, 웰즈를 더미스템 등을 이용하여 관체 끝단부에 접속하기에는 가공이 번잡함과 함께 더미스템이 소형화되기 때문에 부품관리가 번거로워진다. 더미스템을 쓰지 않고서 웰즈를 중간의 관체의 한끝단에 봉입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본국 특개평 제 9-106782호공보(이하 "종래기술 2"라 함)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관체의 일끝단을 핀치시일함으로써 웰즈를 직접 봉입고정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관체의 관지름이 12 mm 이하로 가느다란 경우에 웰즈를 직접 핀치시일 봉입고정한 경우에는 관체의 외면과 웰즈와의 거리가 가까워지고, 웰즈의 봉입고정부가 가열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웰즈를 봉입고정하는 관체의 봉입고정 부위에 크랙의 발생이 현저하게 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종래기술 2의 웰즈는 전극지지부재의 웰즈와 공용화하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웰즈가 핀치시일되는 것이며, 관체의 외면과의 거리가 줄어들어 크랙이 보다 발생하기 쉽다.
또한, 관체가 접속되는 연통관부의 위치를 관체의 끝단부,즉 웰즈의 봉입고정부로부터 멀리하는 것으로, 관체의 연통관부의 접속가공시에, 웰즈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웰즈를 봉입고정하는 관체의 봉입고정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지만, 그와 같이 하면 관체의 내부공간에 대한 방전로로서 사용되는 영역의 비율이 낮아지고, 나아가서는 방전로 길이가 짧게 되어, 발광효율이 저하하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관체의 연통관부의 접속가공시에, 보조 아말감의 지지부재를 봉입고정하는 관체의 봉입고정 부위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하고, 제품 비율을 향상할 수 있고, 또한 관체의 끝단부에 보조 아말감을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소형방전램프 및 전구형 형광램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소형방전램프 및 전구형 형광램프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벌브의 전개도이다.
도 2 는, 상기 발광관의 칸막이체를 투과한 평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전구형 형광램프의 일부를 절결함과 함께 글로우브를 투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전구형 형광램프의 일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는, 상기 광속의 상승특성의 특성도이다.
도 6 의 (a)는 본 발명의 소형방전램프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벌브의 전개도, (b)는 비교예를 나타내는 벌브의 전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소형방전램프의 또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벌브의 일부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상기 벌브의 연결관부의 불어깨뜨림·이음가공시의 설명도이다.
도 9 는, 소형방전램프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벌브의 전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전구형 형광램프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전구형 형광램프의 다른 실시의 형태를 (a),(b)에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구형 형광램프 12 : 꼭지쇠
14 : 커버 16 : 점등회로
17 : 글로브 18 : 발광관
21 : 커버본체 24 : 회로기판(PC판)
25, 26 : 전기부품 31 : 벌브
32 : 전극 33a, 33b, 33c, 33d :관체
34 :굴곡부 35 : 직관부
36 : 연통관부(이음부) 37 : 방전로
38a, 38b, 38c, 38d :세관 41 : 필라멘트 코일
42, 54 : 웰즈(전극용 웰즈) 43 : 듀메트선
44 : 와이어 45 : 핀치시일부
51 : 주 아말감 52 : 보조 아말감
53 : 기판 55 : 금속도금
61 : 칸막이판 62 : 기판부
62a : 장착구멍 63 : 끼워맞춤단부
64 : 부착편부 71 : 봉입고정구
72 : 지지부 73 : 도출부
74 : 버너
청구항 1 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관내지름이 12mm이하인 복수의 관체가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순서대로 접속되어 길이가 200mm이상인 굴곡형의 방전로가 형성되고, 관체의 끝단부와 연통관부와의 거리가 8∼15mm의 범위로 형성된 벌브와; 벌브내에 봉입된 봉입가스와; 벌브의 양끝단부에 봉입장착된 전극과; 벌브의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1개의 관체의 끝단부를 핀치시일함으로써 그 끝단부의 관중심보다 연통관부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봉입고정된 1개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 의해서 벌브의 방전로내에 지지된 보조 아말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벌브의 방전로내에 보조 아말감을 지지하는 1개의 지지부재를, 벌브의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적어도 1개의 관체의 끝단부에서 그 관중심보다 연통관부에서 떨어진 위치에 핀치시일에 의해서 봉입고정된 것에 의해, 관체의 연통관부의 접속가공시에, 지지부재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지지부재를 봉입고정되는 관체의 봉입고정개소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관내지름이 12mm이하인 복수의 관체가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순서대로 접속되어 길이가 200mm이상인 굴곡형의 방전로가 형성되고, 관체의 끝단부와 연통관부와의 거리가 8∼15mm의 범위로 형성된 벌브와; 벌브내에 봉입된 봉입가스와; 벌브의 양끝단에 봉입장착된 전극과; 벌브의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1개의 관체의 세관을 갖고 있지 않은 끝단부를 핀치시일함으로써 봉입고정된 1개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 의해서 벌브의 방전로내에 지지된 보조 아말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벌브의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관체의 끝단부에, 벌브의 방전로내에 보조 아말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핀치시일에 의해서 봉입고정되는 경우에, 벌브의 보조 아말감이 배치되는 관체의 끝단부와 연통관부와의 거리를 8∼15 mm의 범위에 규정한 것에 의해, 관체의 연통관부의 접속가공시에, 지지부재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지지부재를 봉입고정하는 관체의 봉입고정부위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관내지름이 12mm이하인 복수의 관체가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순서대로 접속되어 길이가 200mm이상인 굴곡형의 방전로가 형성되고, 관체의 끝단부와 연통관부와의 거리가 8∼15mm의 범위로 형성된 벌브와; 벌브내에 봉입된 봉입가스와; 벌브의 양끝단에 봉입장착되는 웰즈를 가지며, 웰즈에 의해서 벌브내에 지지된 전극과; 벌브의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1개의 관체의 세관을 갖고 있지 않은 끝단부를 핀치시일함으로써 봉입고정되고, 지름치수가 전극의 웰즈의 지름치수이하인 1개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 의해서 벌브의 방전로내에 지지된 보조 아말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벌브의 방전로내에 보조 아말감을 지지하는 1개의 지지부재의 지름치수를, 전극의 웰즈의 지름치수이하가 되도록 가늘게 한 것에 의해, 관체의 연통관부의 접속가공시에, 지지부재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지지부재를 봉입고정하는 관체의 봉입고정개소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관내지름이 12mm이하인 복수의 관체가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순서대로 접속되어 길이가 200mm이상인 굴곡형의 방전로가 형성되고, 관체의 끝단부와 연통관부와의 거리가 8∼15mm의 범위로 형성된 벌브와; 벌브내에 봉입된 봉입가스와; 벌브의 양끝단에 봉입장착된 전극과; 벌브의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1개의 관체의 세관을 갖고 있지 않은 끝단부를 핀치시일함으로써 그 끝단부의 대략 관의 중심으로 봉입고정된 1개의 지지부재와; 지지부재에 의해서 벌브의 방전로내에 지지된 보조 아말감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벌브의 방전로내에 보조 아말감을 지지하는 1개의 지지부재를, 벌브의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적어도 1개의 관체의 세관을 갖고 있지 않은 대략 관의 중심으로 핀치시일에 의해서 봉입고정되고, 웰즈와 관체의 관벽과의 거리를 대략 균등하게 웰즈가 관벽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도록 함으로써, 관체의 연통관부의 접속가공시에, 지지부재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지지부재를 봉입고정되는 관체의 봉입고정개소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한다. 지지부재를 더미스템 등의 별다른 부품을 쓰는 일없이 관체의 끝단부의 대략 관의 중심으로 핀치시일에 의해서 웰즈만을 직접 봉입고정함으로써, 지지부재의 봉입고정가공을 쉽게 함과 동시에, 보조 아말감의 그림자를 벌브에 반영되기 어렵게 한다. 이 발명은, 관외지름이 12 mm 이하의 관체를 갖는 방전램프에 특히 유효하다. 왜냐하면, 관외지름이 12 mm 이하의 관체인 경우에는, 웰즈를 세관 등의 다른 부품과 함께 핀치시일로써 봉입고정되는 일은 가공상 곤란하기 때문이다. 또한, 웰즈가 관중심보다도 떨어진 위치에 봉입고정하고 있으면, 관체가 가늘기 때문에 접속가공시의 열이 열전도에 의해서 관체전체에 전해지기 때문에 열영향을 받기 쉽게 됨과 동시에, 보조 아말감과 관체의 거리가 짧게 되기 때문에 보조 아말감의 그림자가 벌브에 의해 반영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청구항 1 내지 4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지름은, 적어도 관체의 끝단부에 봉입고정되는 부분이 0.2∼0.4 mm의 범위인 것이다.
그리고, 이 구성에 의해, 지지부재의 열영향을 저감함과 동시에 강도를 확보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있어서, 벌브의 관체는, 연통관로가 접속되는 한쪽의 끝단부에 세관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관체의 세관에 주 아말감이 배치되어, 보조 아말감은, 주 아말감이 배치되는 관체의 끝단부에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의 세관을 가지고 있지 않은 끝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주 아말감이 배치되는 관체의 끝단부에 연통관부를 개지하고 접속된 관체의 세관을 가지고 있지 않은 끝단부에 보조 아말감을 배치함으로써, 소등시에 주 아말감에 되돌아가는 벌브내의 수은증기를 보조 아말감에 대부분 흡착시켜,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시킨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청구항 1 내지 4항 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있어서, 보조 아말감은, 벌브의 방전로 도중에서 방전로 길이방향의 대략 균등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 아말감을 벌브의 방전로 도중에서 방전로 길이방향의 대략 균등한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시킨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있어서, 벌브는, 3개 이상의 관체를 구비하고, 각 관체에 적어도 한 개씩의 보조 아말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3개 이상의 관체를 구비하는 경우에, 각 관체에 적어도 한 개씩의보조 아말감을 배치함으로써,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시킨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청구항 8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있어서, 벌브의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에 끼어 들어가는 관체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벌브의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에 끼어 들어가는 관체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을 배치함으로써, 소등시에 주 아말감으로 되돌아가는 벌브내의 수은증기를 인접하는 2개의 보조 아말감에 균형있게 흡착시켜, 시동시에 균등한 밝기로 점등시킨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방전램프인 청구항 8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있어서, 벌브의 전극이 봉입장착되는 관체의 끝단부와 반대측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이 배치되고, 주 아말감이 배치되는 관체의 끝단부에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의 끝단부에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벌브의 전극이 봉입장착되는 관체의 끝단부와 반대측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을 배치하고, 주 아말감이 배치되는 관체의 끝단부에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의 끝단부에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을 배치함으로써, 소등시에 주 아말감으로 되돌아가는 벌브내의 수은증기를 주 아말감에 인접하는 보조 아말감에 대부분 흡착시키고, 또한 주 아말감이 전극에 가깝게 함으로서, 전극의 발열 영향에 의해 주 아말감으로부터 수은이 신속하게 증발, 확산되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시킨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방전램프에 있어서, 보조 아말감은, 관체의 축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 아말감을 관체의 축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한 것에 의해, 보조 아말감의 기능을 확보한 뒤에, 보조 아말감의 그림자가 비추기 어렵게 함과 동시에 제조오차 등에 의한 보조 아말감의 관체의 내벽에의 접촉을 방지하여, 관체가 가늘어지는 현상에 대응할 수 있게 한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청구항 1 내지 4 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있어서, 보조 아말감은, 관체의 끝단부로부터의 거리가 15 ∼25 mm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보조 아말감을, 관체의 끝단부에서의 거리가 15∼25 mm이 되도록 배치한 것에 의해, 보조 아말감을 방전로내에 배치하고, 소등시에 방전로 내의 수은증기를 보조 아말감에 대부분 흡착시키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시킨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방전램프는 청구항 1 내지 4 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있어서, 벌브는, 4개 이상의 관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4개 이상의 관체에 벌브를 형성함으로써 방전로 길이를 확보하면서 소형화가 가능함과 동시에, 벌브의 관내지름이 12 mm이하, 방전로 길이가 200 mm 이상으로 한 경우에는,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특히 효과적이다.
청구항 14에 기재된 전구형 형광램프는, 벌브의 내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 청구항 1 내지 4 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와; 방전램프에 접속된 점등회로와; 방전램프를 지지함과 동시에 점등회로가 수용된 커버와; 커버에 부착된 꼭지쇠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를 구비한 전구형 형광램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15에 기재된 전구형 형광램프는, 청구항 14에 기재된 전구형 형광램프에 있어서, 점등회로는, 시동시에 방전램프의 일끝단의 전극과 방전로 도중에 배치되는 보조 아말감과의 사이에 통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시동시에 방전램프의 일끝단의 전극과 방전로 도중에 배치되는 보조 아말감과의 사이에 통전함으로써,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을 가열하여 온도상승을 빠르게 하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시킨다.
청구항 16에 기재된 전구형 형광램프는, 관내지름이 6 mm이상 9 mm이하, 방전로길이가 400 mm이상 500 mm이하, 소비전력이 16 W이상 23 W이하이며, 벌브의 내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와 ; 방전램프에 접속된 점등회로와 ; 방전램프를 지지함과 동시에 점등회로가 수용된 커버, 및 커버에 부착된 꼭지쇠를 가지며, 꼭지쇠를 포함하는 높이가 125 mm 이상 145 mm 이하로 한 바깥둘레용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관내지름이 6 mm 이상 9 mm이하, 방전로 길이가 400 mm 이상 500 mm이하, 소비전력이 16 W 이상 23 W 이하에, 벌브의 내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와, 방전램프에 접속된 점등회로와, 방전램프를 지지함과 동시에 점등회로가 수용된 커버, 및 커버에 부착된 꼭지쇠를 가지며, 꼭지쇠를 포함하는 높이가 125 mm 이상 145 mm 이하로 된 바깥둘레용기를 구비함으로써 소형화한 방전램프를 높이 치수가 크게 배치함으로써, 전구형 형광램프를 소형화하고, 조명기구에의 적용범위를 확대함과 동시에, 방전램프의 소비전력이 16 W 이상 23 W 이하의 범위에서, 80 W 이상 100 W 이하 상당의 백열전극에 상당하는 1000 lm 이상 1600 lm 이하의 밝기를 얻을 수 있어, 절전을 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1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방전램프의 일실시형태를 나타내며, 도 1은 벌브의 전개도, 도 2는 발광관의 칸막이체를 투과한 평면도, 도 3은 전구형 형광램프의 절결함과 동시에 글로브를 투시한 측면도, 도 4는 전구형 형광램프의 일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광속의 기동 특성의 특성도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11은 전구형 형광램프이며, 이 전구형 형광램프(11)는, 꼭지쇠(12)를 가지는 커버(14), 이 커버(14)에 수납된 점등회로(16), 투광성을 갖는 글로브(17), 이 글로브(17)에 수납된 방전램프로서의 발광관(18)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꼭지쇠(12), 커버(14) 및 글로브(17)로부터 구성되는 바깥둘레용기는, 정격전력이 예컨대 60 W 타입이나 100 W 타입의 백열전구 등의 일반조명용전구의 규격치수에 근사하는 외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60 W 타입으로는, 꼭지쇠(12)를 포함하는 램프길이 110∼125 mm정도, 지름 즉, 글로브(17)의 바깥지름은 50∼60 mm정도, 커버(14)의 최대지름은 40 mm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100 W 타입으로는 각각 램프길이 125∼145 mm정도, 예컨대 140mm, 글로브 바깥지름 65∼75 mm정도, 예컨대 70 mm, 커버 최대지름 50 mm 정도로 형성된다. 또, 일반조명용전구란 JISC 7501로 정의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하, 꼭지쇠(12)측을 위쪽, 글로브(17)측을 아래쪽으로서 설명한다.
그리고, 커버(14)는, 폴리부틸렌텔레프탈레이트(PBT) 등의 내열성합성수지 등으로써 형성된 커버본체(2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커버본체(21)는, 아래쪽으로 넓게 열리는 개구부를 갖는 대략 원통형상을 하여, 위끝단부에, 에디슨타입의 E26형 등의 꼭지쇠(12)가 씌워지고, 접착제 또는 코킹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글로브(17)는, 투명 혹은 광확산성을 갖는 유백색 등으로, 유리 혹은 합성수지에 의해, 백열전구 등의 일반조명용 전구의 유리구와 대략 동일형상의 매끄러운 곡면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개구부의 테두리부에는, 커버(14)의 아래끝단 개구부의 안쪽에 끼워맞춤하는 도시하지 않는 끼워맞춤 테두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글로브(17)는, 확산막 등의 별도의 부재를 조합하여, 휘도의 균일성을 향상할 수도 있고, 혹은 생략할 수도 있다.
또한, 점등회로(16)는, 수평형상, 즉 발광관(18)의 길이방향과 수직으로 배치되는 회로기판(PC판)(24)을 구비하고, 이 회로기판(24)의 양면 즉, 꼭지쇠(12)측인 윗면 및 발광관(18)측인 아래면에, 복수의 전기부품(25,26)이 설치되고, 고주파점등시키는 인버터회로(고주파점등회로)가 구성되어 있다.
회로기판(24)은, 대략 원판형상으로, 지름치수는, 40 mm 정도의 대략 원과 동등하거나 그것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다. 회로기판(24)의 윗면에는, 비교적 열에 약한(비교적 내열성이 낮은) 전해콘덴서, 필름콘덴서 등의 전기부품(25)이 배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아래면에는, 비교적 열에 강하고(비교적 내열성이 높고), 높이 치수가 작은 칩형상의 전기부품(칩부품)(26)이 배치되어 있다. 이 칩형상의 전기부품(26)은 REC(정류소자, 다이오드브릿지), 트랜지스터, 또는 저항 등이고, 패키지의 두께 치수는, 2∼3 mm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관(18)은, 벌브(31)를 가지며, 이 벌브(31)의 내면에 형광체(형광체층)가 형성되어, 벌브(31)의 내부에 아르곤 등의 희가스나 수은 등을 포함하는 봉입가스(방전가스)가 봉입되고, 벌브(31)의 양끝단에 한 쌍의 전극(32)이 핀치시일에 의해서 봉입장착되어 있다.
벌브(31)는, 대략 같은 형상의 4개의 관체(33a,33b,33c,33d)를 가지며, 이들 관체(33a∼33d)는, 예컨대, 관외지름이 8∼11mm, 관내지름이 12 mm 이하의 6∼9 mm, 두께가 0.7∼1.0 mm의 유리제의 단면 대략 원통형상이며, 길이 치수가 110∼130mm의 관이, 중간부에서 부드럽게 만곡되어 꼭대기부를 갖는 대략 U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각 관체(33a∼33d)는, 부드럽게 반전하는 굴곡부(34)와, 이 굴곡부(34)에 연속하는 서로 평행한 한 벌의 직관부(35)를 구비하고 있다.
벌브(31)의 중간부의 각 관체(33b,33c)의 양끝단과, 벌브(31)의 양끝단의 각 관체(33a,33d)의 일끝단이 연통관부(이음부)(36)를 개재하여 순차 접속하고 1개의 연속한 방전로(37)가 형성되어 있다. 연통관부(36)는, 각 관체(33a∼33d)의 끝단부를 버너로 가열용융한 뒤, 불어깨뜨림으로써 형성된 개구끼리를 연결하여 맞추어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벌브(31)는 60 W 타입으로, 방전로 길이가 200 mm 이상의 200∼300 mm, 램프높이가 50∼60 mm, 벌브병설방향의 최대폭이 32∼43 mm, 예컨대 36 mm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100 W 타입으로서는, 방전로 길이가 400∼500 mm, 램프높이가 70∼80 mm, 벌브병설방향의 최대폭이 37∼46 mm, 예컨대 43 mm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벌브(31)가 전구형 형광램프(11)에 조합된 상태에 있어서, 각 관체(33a∼33d)의 꼭대기부(굴곡부(34))는, 전구형 형광램프(11)의 상하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원주상으로 등간격으로 위치되고, 또한, 각 관체(33a∼33d)의 직관부(35)도, 전구형 형광램프(11)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원주상으로 등간격으로 위치되고, 즉, 각 관체(33a∼33d)의 직관부(35)가 단면사각형의 각 변에 대응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관체(33a∼33d)의 일끝단에는 배기관이라고도 불리는 원통형상의 세관(38a,38b,38c,38d)가 각각 연통상태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단지, 벌브(31)의 양끝단부의 관체(33a,33d)의 세관(38a,38d)은 전극(32)이 봉입장착되는 끝단부와는 반대측(비전극측)의 끝단부에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세관(38a∼38d)은, 벌브(31)의 제조과정에서 용융절단에 의해서 순차 봉입고정되고, 각 세관(38a∼38d) 중의 봉입고정되어 있지 않은 일부를 통하여 벌브(31)속이 배기됨과 동시에, 봉입가스가 봉입되어 치환된 뒤에, 그 각 세관(38a∼38d) 중의 봉입고정되어 있지 않은 일부, 예컨대 세관(38b)을 용단함으로써 봉입고정된다.
각 전극(32)은, 예컨대 텅스텐(W) 와이어를 3중감기한 트리플코일 등의 필라멘트코일(41)을 가지며, 이 필라멘트코일(41)이 한 쌍(2줄)의 선형상인 웰즈(전극용 웰즈)(42)에 지지되어 있다. 각 웰즈(42)는, 벌브(31)의 양끝단의 관체(33a,33d)의 끝단부에 핀치시일에 의해서 봉입부착된 듀메트선(43)을 통하여, 관체(33a,33d)의 외부에 도출된 와이어(44)에 접속되어 있다. 이 듀메트선(43)은 벌브끝단부의 핀치시일부(45)에 의해서 봉입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벌브(31)가 전구형 형광램프(11)에 조합하여 넣어질 때 와이어(44)가 점등회로(16)에 접속된다.
또, 각 관체(33a∼33d)의 끝단부와도, 핀치시일에 의해서 봉입고정된 핀치시일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의 한쪽의 관체(33c)의 세관(38c)에는, 그 세관(38a)을 봉입고정할 때에 주 아말감(51)이 봉입되어 있다. 이 주 아말감(51)은, 비스무스, 인듐 및 수은으로 구성되는 합금이고, 대략 구형상으로 형성되어, 벌브(31)안의 수은증기압을 적정한 범위로 제어하는 작용을 갖고 있다. 또, 주 아말감(51)으로서는, 비스무스, 인듐 그 외에, 주석, 납 등을 조합한 합금에 의해서 형성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중간부의 각 관체(33b,33c)의 세관(38b,38c)과는 반대측「세관(38b, 38c)을 갖고 있지 않은 측」 끝단부에는, 방전로 도중에 위치하고, 소등시에 벌브(31)내의 부유수은을 흡착하고 또한 시동시를 포함하는 점등초기에 흡착한 수은을 방출하는 2개의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이 배설되어 있다. 즉, 벌브(31)의 방전로 도중의 2개의 보조 아말감(52)에 끼어 들어가는 관체(33c)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51)이 배치되어 있다.
보조 아말감(52)은, 관체(33b,33c)의 축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판형상으로 예컨대 SUS제의 기판(53)을 가지며, 이 기판(53)의 일끝단이 니켈(Ni)제로 1개의 선형상의 지지부재로서의 웰즈(보조 아말감용 웰즈)(54)에 용접으로써 부착되어 있다. 기판(53)에는, 웰즈(54)와의 용접부위에서 떨어진 부위에 수은을 흡착하는 인듐(In) 등의 금속도금(55)이 실시되고 있다. 그리고, 웰즈(54)와의 용접개소에서 떨어진 부위에 금속도금(55)을 실시함으로써, 램프점등시에 금속도금(55)의 인듐이 녹아 웰즈(54)에 도달하기 때문에, 웰즈(54)의 니켈과 인듐과의 반응에 의해서 합금을 형성하여 수은증기압특성을 손상하는 등의 경우가 없고, 시간경과적인 사용에 의한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아말감(52)을, 관체(33b,33c)의 끝단부에서의 거리가 15∼25 mm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보조 아말감(52)을 방전로(37)내에 배치하고, 소등시에 방전로(37) 내의 수은증기를 보조 아말감(52)에 대부분 흡착시켜,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조 아말감(52)의 웰즈(54)는, 지름치수가 전극(32)의 웰즈(42)의 지름치수 이하로 형성되고, 관체(33b,33c)의 끝단부에서, 관체(33b,33c)의 관중심보다 연통관부(36)에서 떨어진 편심위치에 핀치시일부(45)로 봉입고정되고 있다. 그리고, 웰즈(54)의 지름치수를 전극(32)의 웰즈(42)의 지름치수 이하로 가늘게 함과 동시에, 웰즈(54)를 연통관부(36)에서 떨어뜨려 둠으로써, 관체(33a∼33d)를 연통관부(36)로 접속하는 접속가공시에, 웰즈(54)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웰즈(54)가 고온이 되어 봉입고정개소인 핀치시일부(45)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웰즈(54)의 지름은, 0.2 mm 이하로서는 기계적 강도가 부족하고, 0.4 mm 이상으로서는 열영향의 저감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0.2∼0.4 mm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어 있다.
양끝단의 각 관체(33a,33d)의 전극(32) 한쪽의 웰즈(42)에는, 전극측의 보조 아말감(56)이 부착되어 있다. 이 보조 아말감(56)은, 보조 아말감(52)과 같이 구성되며, 같은 수은증기압특성을 갖는다.
또한, 벌브(31)의 보조 아말감(52)이 배치되는 중간의 관체(33b,33c)의 끝단부인 핀치시일부(45)와 연통관부(36)와의 거리 L은 8∼15 mm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규정함으로써, 관체(33a∼33d)를 연통관부(36)로 접속하는 접속가공시에, 웰즈(54)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웰즈(54)가 고온이 되어 봉입고정개소인 핀치시일부(45)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된다. 거리 L이 8 mm 이하이면 열영향을 받기 쉬워지고, 거리 L이 15 mm 이상이면 방전로 길이가 짧게 되어 발광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발광관(18)은, 형광램프고정부재이고 또 점등회로고정부재인 지지수단으로서의 칸막이판(61)에 부착되고, 이 칸막이판(61)이 커버(14)에 고정되어 있다. 즉, 칸막이판(61)은, 원판형상을 이루는 기판부(62)를 구비하고, 이 기판부(62)에 형성된 장착구멍(62a)에, 각 관체(33a∼33d)의 끝단부를 삽입하고 그위에 접착제로써 접착등으로 하여, 발광관(18)이 칸막이판(61)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62)의 외주부로부터는, 위쪽을 향하여 더욱 바깥쪽으로 향하는 끼워맞춤단부(6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끼워맞춤단부(63)를 커버(14)의 안쪽에 끼워맞춤하고, 또한 이 끼워맞춤단부(63)와 커버(14)와의 사이에 글로브(17)의 끼워맞춤 테두리부를 끼워맞춤한 상태에서 서로, 끼워맞춤단부(63)와 커버(14)와의 사이에 접착제를 충전함으로써, 이들 부재가 서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끼워맞춤단부(63)의 위쪽에는, 원통형상 등을 이루는 부착편부(64)가 돌출설치되고, 이 부착편부(64)에, 끼워맞춤 혹은 접착 등으로, 점등회로(16)의 회로기판(24)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구성된 전구형 형광램프(11)는, 60 W 타입으로, 입력전력정격 14 W이고, 발광관(18)에는, 12.5 W의 전력의 고주파에 더하여, 램프전류는 210 mA, 램프전압은 60 V가 되고, 3파장 발광형 형광체의 사용에 의해 전체광속 810 lm으로 되어있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벌브(31)의 방전로(37)내에 보조 아말감(52)을 지지하는 1가닥의 웰즈(54)를, 벌브(31)의 연통관부(36)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33b,33c)의 끝단부에서 그 관중심에서 연통관부(36)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핀치시일에 의해서 봉입고정하였기 때문에, 관체(33a∼33d)를 연통관부(36)에 접속하는 접속가공시에, 웰즈(54)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고 웰즈(54)가 고온이 되어 봉입고정개소인 핀치시일부(45)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 비율을 향상할 수 있다.
더구나, 벌브(31)의 보조 아말감(52)이 배치되는 중간의 관체(33b, 33c)의 끝단부의 핀치시일부(45)와 연통관부(36)와의 거리를 8∼15 mm의 범위로 규정하였기 때문에, 관체(33a∼33d)를 연통관부(36)로 접속하는 접속가공시에, 웰즈(54)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웰즈(54)가 고온이 되어 봉입고정개소인 핀치시일부(45)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생산 수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벌브(31)의 방전로(37)내에 보조 아말감(52)을 지지하는 1가닥의 웰즈(52)의 지름치수를, 전극(32)의 웰즈(42)의 지름치수 이하가 되도록 가늘게 하였기 때문에, 관체(33a∼33d)를 연통관부(36)로 접속하는 접속가공시에, 웰즈(54)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고 웰즈(54)가 고온이 되어 봉입고정개소인 핀치시일부(45)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품 비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웰즈(54)의 지름을, 0.2∼0.4 mm의 범위로 규정하였기 때문에, 웰즈(54)의 열영향의 저감과 강도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 또, 웰즈(54)의 지름은, 전체적으로 동일 지름이라도 좋지만, 적어도 관체(33b,33c)의 끝단부에 봉입고정되는 부분(봉입고정부)이 0.2∼0.4 mm의 범위이면, 다른 부분에 관해서는 범위외라도 좋고, 강도확보를 위해 지름을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웰즈(54)를 벌브(31)의 연통관부(36)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33b,33c)의 끝단부에서 그 관중심에서 연통관부(36)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봉입고정함과 동시에, 지름치수를 전극(32)의 웰즈(42)의 지름치수 이하로, 0.2∼0.4 mm의 범위가 되도록 가늘게 하는 것, 벌브(31)의 보조 아말감(52)이 배치되는 관체(33b,33c)의 끝단부와 연통관부(36)와의 거리를 8∼15 mm의 범위로 규정하는 것의, 어느 하나의 2개의 조합, 혹은 모두를 조합시킴으로써, 그것들의 상승효과에 의해서, 웰즈(54)가 받는 열영향을 보다 적게 하고, 핀치시일부(45)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어, 제품 비율을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관체(33a∼33d)에 적어도 1개씩의 보조 아말감(52,56)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 경우, 벌브(31)의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에 끼여들어가는 관체(33c)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52)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소등시에 주 아말감(52)에 되돌아가는 벌브(31) 내의 수은증기를 인접하는 2개의 보조 아말감(52)에 균형있게 흡착시킬 수 있고, 시동시에서의 각 보조 아말감(52)으로부터의 수은증기의 방출이 대략 균등하고 또한 양호하게 되어, 시동시에 균등한 밝기로 점등시킬 수 있다.
또한, 2개의 보조 아말감(52)을 벌브(31)의 방전로(37)도중에서 방전로 길이방향으로 대략 균등한 위치, 요컨대 전극(32)이 없는 중간의 관체(33b,33c)에 배설하고 4개의 보조 아말감(52,56)을 방전로 길이방향으로 대략 균등하게 배치하였기 때문에, 시동시에 이들 보조 아말감(52,56)으로부터의 수은증기를 방전로(37)전체에 대하여 대략 균등하게 방출할 수 있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광속의 기동 특성의 측정결과를 도 5에 나타내며, 광속의 기동 특성 A는 주 아말감(51)을 중간의 관체(33b)에 배설함과 동시에 보조 아말감(52,56)을 각 관체(33a∼33d)에 배설한 본 실시형태의 경우이다. 광속의 기동 특성 B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부터 주 아말감(51)을 일끝단의 관체(33a)의 전극(32)과 반대측의 끝단부에 배설한 다른 실시형태의 경우이다. 광속의 기동 특성 C는,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부터 중간의 관체(33b,33c)의 보조 아말감(52)을 생략한 비교예의 경우이다. 비교한 결과, 광속의 기동 특성 C에 비하여, 광속의 기동 특성 A, B가 각각 향상하였다.
또한, 도 1의 실시형태와 같이, 주 아말감(51)이 배치되는 관체(33c)의 끝단부에 연통관부(36)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33b)의 세관(38b)을 갖고 있지 않은 끝단부에 보조 아말감(52)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벌브(31)의 관체(33b) 측에서 수은증기가 연통관부(36)를 통하여 주 아말감(51)에 되돌아갈 때에, 수은증기가 보조 아말감(52)에 흡착하기 쉽게 되고, 시동시에는 보조 아말감(52)으로부터의 수은증기의 방출이 양호하게 되어,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 6의 실시형태와 같이, 벌브(31)의 전극(32)이 봉입장착되는 관체(33d)의 끝단부와 반대측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51)을 배치하여, 주 아말감(51)이 배치되는 관체(33d)의 끝단부에 연통관부(36)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33c)의 끝단부에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소등시에 주 아말감(51)에 되돌아가는 벌브(31)안의 수은증기를 주 아말감(51)에 인접하는 보조 아말감(52)에 대부분 흡착시킬 수 있고, 또한 주 아말감(51)이 전극(32)에 가깝기 때문에, 전극(2)의 발열의 영향에 의해 주 아말감(51)으로부터 수은이 빠른 시기에 증발, 확산되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아말감(52)을 관체(33b,33c)의 축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하였기 때문에, 보조 아말감(52)의 기능을 확보한 뒤에, 보조 아말감(52)의 그림자를 비추기 어렵게 함과 동시에 제조오차 등에 의해 보조 아말감(52)이 관체(33b,33c)의 내벽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벌브(31)의 세관화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아말감(52)의 웰즈(54)에 접속된 용접개소를 제외한 개소에 수은을 흡착하는 금속도금(55)을 하였기 때문에, 금속도금(55)이 웰즈(54)로 흘러 반응하기 때문에 수은증기압특성을 손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광속의 기동 특성을 수명말기까지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을, 관체(33b,33c)의 끝단부에서의 거리가 15∼25 mm이 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보조 아말감(52)을 방전로(37)내에 배치할 수 있고, 소등시에 방전로(37) 내의 수은증기를 보조 아말감(52)에 많이 흡착시킬 수 있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관체(33a∼33d)에서 벌브(31)를 형성하기 때문에, 방전로 길이를 확보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100 W 타입의 전구형 형광램프(11)로는, 관내지름이 6 mm 이상 9 mm이하, 방전로 길이가 400 mm 이상 500 mm이하, 소비전력이 16 W 이상 23 W 이하에, 벌브(31)의 내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 발광관(18), 발광관(18)에 접속된 점등회로(16)와, 발광관(18)을 지지함과 동시에 점등회로(16)가 수용된 커버(14), 및 커버(14)에 부착된 꼭지쇠(12)를 가지며, 꼭지쇠를 포함하는 높이가 125 mm 이상 145 mm 이하로 한 바깥둘레용기를 구비하였기 때문에, 소형화한 발광관(18)을 높이 치수에 크게 배치함으로써, 전구형 형광램프(11)를 소형화하고, 조명기구에의 적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광관(18)의 소비전력이 16 W 이상 23 W 이하의 범위에서, 80 W 이상 100 W 이하 상당의 백열전극에 상당하는 1000 lm 이상 1600 lm 이하의 밝기를 얻을 수 있어, 절전을 꾀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조 아말감(52)을 지지하는 웰즈(42)는, 관체(33b)의 핀치시일부(45)에 봉입고정되는 봉입고정부(71), 이 봉입고정부(71)의 일끝단으로부터 관체(33b) 내에 진입하여 보조 아말감(52)을 지지하는 지지부(72), 및 봉입고정부(71)의 다른 끝단에서 관체(33b)의 외부로 도출된 도출부(73)에서 1개의 선형상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봉입고정부(71)는, 예컨대, 철과 니켈의 합금으로, 윗면에 동도금이 행해지고, 지름이 0.2∼0.4mm의 범위내이며 0.3 mm 정도로 형성되고, 또한, 지지부(72) 및 도출부(73)는, 예컨대, 철제로, 윗면에 동도금이 행해지고, 지름이 봉입고정부(71)보다 굵은 0.5mm 정도로 형성되어 있다. 이 웰즈(54)는 관체(33b)의 끝단부의 대략 관의 중심으로 핀치시일 봉입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보조 아말감(52)을 지지하는 1개의 웰즈(54)를, 벌브(31)의 연통관부(36)를 개재하여 접속된 적어도 한개의 관체(33b)의 대략 관의 중심에 핀치시일에 의해서 봉입고정되고, 웰즈(54)와 관체(33b)의 관벽과의 거리를 대략 균등하게 웰즈(54)가 관벽에서 가장 떨어지도록 하고, 더구나, 웰즈(54)의 봉입고정부(71)의 지름을 0.2∼0.4 mm의 범위로 규정하였기 때문에, 웰즈(54)의 강도를 확보하면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체(33b)의 관벽을 버너(74)로 과열용융하고 연통관부(36)의 개소를 불어깨뜨림·이음가공할 때, 관체(33b)의 관벽을 타고 웰즈(54)의 봉입고정부(71)에 전달되는 열전도의 영향을 적게 하여, 웰즈(54)를 봉입고정되는 관체(33b)의 봉입고정개소인 핀치시일부(45)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웰즈(54)를 더미스템 등의 별다른 부품을 쓰는 일없이 관체(33b)의 끝단부의 대략 관의 중심에 봉입고정되므로, 웰즈(33b)의 봉입고정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 아말감(52)의 그림자가 벌브(31)에 비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 관체(33c)에 봉입고정되는 보조 아말감(52)의 웰즈(54)에 관해서도, 관체(33b)에 봉입고정되는 보조 아말감(52)의 웰즈(54)와 마찬가지로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관체(33a33c,33d)를 접속하고 벌브(31)를 구성하는 경우를 나타내며, 이 경우, 1개의 주 아말감(51)과 3개의 보조 아말감(52,56)을 써서,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을 중간의 관체(33c)의 세관(38c)이 배치되지 않은 끝단부에 배치함과 동시에 전극측의 양끝단의 보조 아말감(56)을 양끝단의 전극(32)에 배치하여 이들 보조 아말감(52,56)을 방전로 길이방향에 대략 균등하게 배치하고, 주 아말감(51)을 보조 아말감(52,56)사이에 위치하는 끝단부의 관체(33d)의 세관(38d)에 배치한다.
그리고, 3개의 보조 아말감(52,56)을 방전로 길이방향에 대략 균등하게 배치하였기 때문에, 시동시에 이들 보조 아말감(52,56)으로부터의 수은증기를 방전로(37)전체에 대하여 대략 균등하게 방출할 수 있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주 아말감(51)이 배치되는 관체(33d)의 끝단부에 연통관부(36)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33c)의 세관(38c)을 갖고 있지 않은 끝단부에 보조 아말감(52)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벌브(31)의 관체(33c)에서 수은증기가 연통관부(36)를 통하여 주 아말감(51)에 되돌아갈 때에, 수은증기가 보조 아말감(52)에 흡착하기 쉽게 할 수 있고, 시동시에는 보조 아말감(52)으로부터의 수은증기의 방출이 양호하게 되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벌브(31)의 전극(32)이 봉입장착되는 관체(33d)의 끝단부와 반대측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51)을 배치하고, 주 아말감(51)이 배치되는 관체(33d)의 끝단부에 연통관부(36)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33c)의 끝단부에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소등시에 주 아말감(51)에 되돌아가는 벌브(31)내의 수은증기를 주 아말감(51)에 인접하는 보조 아말감(52)에 대부분 흡착시킬 수 있고, 또한 주 아말감(51)이 전극(32)에 가깝기 때문에, 전극(2)의 발열의 영향에 의해 주 아말감(51)으로부터 수은이 빠른 시기에 증발, 확산되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관(18)의 양끝단의 전극(32)에 접속되는 인버터회로에서 구성된 점등회로(16)의 출력의 일끝단에,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을 지지하는 웰즈(54)를 저항 등의 한인피던스 소자 R을 개재하여 접속함으로써, 시동시에 웰즈(45)와 점등회로(16)의 출력의 다른 끝단에 접속된 전극(32)과의 사이에서 방전이 생기고, 보조 아말감(52)이 냉음극으로서 이온충돌을 받아 빠르게 가열되고, 또한 그 방전이 점등회로(16)의 출력의 일끝단에 접속된 전극(32)에 확대하기 때문에,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으로부터의 수은방출이 양호하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더구나, 이 경우, 시동성을 향상하여, 시동전압이 저하하기 때문에, 점등회로(16)의 부품을 소용량으로 할 수 있고,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도 1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등회로(16)에 의해, 시동시에, 발광관(18)의 일끝단의 전극(32)과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과의 사이에 예컨대 1kV 정도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보조 아말감(52)이 냉음극으로서 이온충돌을 받아 순간적으로 가열되고, 그 후, 도 1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끝단의 전극(32)간에 예컨대 1kV정도의 고전압을 인가하고, 양끝단의 전극(32)사이에서 방전시키도록 한다. 이에 따라, 시동시에,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을 순간적으로 가열하고, 수은방출을 양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에 인가하는 시간은 1O0 msec 정도로 충분하고, 그 기간내에 다른 끝단의 전극(32)이 아크에 이전하여도 문제없다. 또한, 이들 일련의 동작은 수백 msec의 사이에서 행할 수 있는 것이며, 전극(32)나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도 손상을 받는 일은 없다.
또, 도 11에는 3개의 관체(33a33c,33d)를 구비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4개의 관체(33a∼33d)를 구비한 경우도 동일하다.
그리고, 상술한 각 전구형 형광램프(11)를 백열전구 등의 일반조명용 전구의 소켓을 구비한 기구본체에 장착함으로써 조명기구가 구성된다. 그리고, 이 구성으로서는, 상술한 각 전구형 형광램프(11)의 효과를 구비한 조명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벌브(31)가 4개의 관체(33a∼33d)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은, 중간의 관체(33b,33c)의 어느 한쪽만으로 배설하여도 좋다.
또한, 주 아말감(51)은, 세관(38a∼38d)의 어느 1개, 또는 복수로 배치하여도 좋다. 세관(38a∼38d)의 어느 1개에 주 아말감(51)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사이, 혹은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과 전극측의 보조 아말감(56)과의 사이에 주 아말감(51)이 위치하도록 하고, 또한, 복수의 세관(38a∼38d)에 복수의 주 아말감(51)을 배치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주 아말감(51)사이에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52)을 배치함으로써,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U자형상의 관체를 4개 혹은 3개 접속하여 발광관을 구성하였지만, 발광관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H자형상의 관체를 쓰더라도 좋고, 관체를 2개 혹은 6개 이상을 접속하여 구성하여도 좋다.
또한, 점등회로는, 1장의 회로기판을 수평에 배치하였지만, 복수매의 회로기판을 설치할 수도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벌브의 방전로내에 보조 아말감을 지지하는 1개의 지지부재를, 벌브의 연통관부(36)를 개재하여 접속된 적어도 1개의 관체의 끝단부에서 그 관중심에서 연통관부(36)서 떨어진 위치에 핀치시일에 의해서 봉입고정되었기 때문에, 예컨대 관체의 연통관부(36) 접속가공시에, 지지부재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지지부재를 봉입고정되는 관체의 봉입고정개소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제품 비율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벌브의 연통관부(36)를 개재하여 접속된 적어도 1개의 관체의 끝단부에, 벌브의 방전로내에 보조 아말감을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핀치시일에 의해서 봉입고정되는 경우에, 벌브의 연통관부(36)와 보조 아말감이 배치되는 관체의 끝단부와의 거리를 8∼15 mm의 범위에 규정하였기 때문에, 예컨대 관체의 연통관부(36) 접속가공시에, 지지부재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지지부재를 봉입고정되는 관체의 봉입고정개소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제품 비율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벌브의 방전로내에 보조 아말감을 지지하는 1가닥의 지지부재의 지름치수를, 전극의 웰즈의 지름치수이하가 되도록 가늘게 하였기 때문에, 예컨대 관체의 연통관부(36) 접속가공시에, 지지부재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지지부재를 봉입고정되는 관체의 봉입고정개소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제품 비율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벌브의 방전로내에 보조 아말감을 지지하는 1개의 지지부재를, 벌브의 연통관부(36)를 개재하여 접속된 적어도 한개의 관체의 세관을 갖고 있지 않은 대략 관의 중심으로 핀치시일에 의해서 봉입고정되고, 웰즈와 관체의 관벽과의 거리를 대략 균등하게 웰즈가 관벽에서 가장 떨어지도록 하였기 때문에, 관체의 연통관부(36) 접속가공시에, 지지부재가 받는 열영향을 적게 하여 지지부재를 봉입고정되는 관체의 봉입고정개소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지지부재를 더미스템 등의 별다른 부품을 쓰는 일없이 관체의 끝단부의 대략 관중심에 봉입고정되므로, 지지부재의 봉입고정가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보조 아말감의 그림자가 벌브에 비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의 효과에 더하여, 지지부재의 지름을, 적어도 관체의 끝단부에 봉입고정되는 부분이 0.2∼0.4 mm의 범위로 규정하였기 때문에, 지지부재의 열영향을 저감과 강도의 확보를 양립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의 효과에 더하여, 주 아말감이 배치된 관체의 끝단부에 연통관부를 개재하고 접속된 관체의 세관을 갖고 있지 않은 끝단부에 보조 아말감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소등시에 주 아말감에 되돌아가는 벌브내의 수은증기를 보조 아말감에 대부분 흡착시킬 수 있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의 효과에 더하여, 보조 아말감을 벌브의 방전로 도중에서 방전로 길이방향의 대략 균등한 위치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의 효과에 더하여, 3개 이상의 관체를 구비하는 경우에, 각 관체에 적어도 하나씩의 보조 아말감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청구항 8에 기재된 방전램프의 효과에 더하여, 벌브의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에 끼여들어가는 관체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소등시에 주 아말감에 되돌아가는 벌브내의 수은증기를 인접하는 2개의 보조 아말감에 균형있게 흡착시킬 수 있고, 시동시에 균등한 밝기로 점등시킬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청구항 8에 기재된 방전램프의 효과에 가하여, 벌브의 전극이 봉입장착되는 관체의 끝단부와 반대측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을 배치하고, 주 아말감이 배치되는 관체의 끝단부에 연통관부(36)에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의 끝단부에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을 배치하였기 때문에, 소등시에 주 아말감에 되돌아가는 벌브내의 수은증기를 주 아말감에 인접하는 보조 아말감에 대부분 흡착시킬 수 있고, 또한 주 아말감이 전극에 가깝기 때문에, 전극의 발열의 영향에 의해 주 아말감으로부터 수은이 빠른 시기에 증발, 확산되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의 효과에 더하여, 보조 아말감을 관체의 축방향에 따라 길게 형성하였으므로, 보조 아말감의 기능을 확보한 뒤에, 보조 아말감의 그림자를 비추기 어렵게 함과 동시에 제조오차 등에 의한 보조 아말감의 관체의 내벽에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고, 관체의 세관화에 대응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 기재된 방전램프의 효과에 가하여, 보조 아말감을, 관체의 끝단부에서의 거리가 15∼25 mm가 되도록 배치하였기 때문에, 보조 아말감을 방전로내에 배치할 수 있고, 소등시에 방전로내의 수은증기를 보조 아말감에 대부분 흡착시킬 수 있고,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된 방전램프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4항중 어느 한항에기재된 방전램프의 효과에 더하여, 4개 이상의 관체에서 벌브를 형성하므로, 방전로 길이를 확보하면서 소형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벌브의 관내지름이 12 mm이하, 방전로 길이가 200 mm 이상으로 한 경우에는, 시동시의 광속의 기동 특성이 저하하기 때문에, 특히 효과적이게 할 수 있다.

Claims (16)

  1. 삭제
  2. 관내지름이 12mm이하이고, 끝단부에 세관을 가지는 것과 가지지 않는 복수의 관체가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순차 접속되어 길이가 200mm이상인 굴곡형의 방전로가 형성되고, 관체의 끝단부와 연통관부와의 거리가 8∼15mm의 범위로 형성된 벌브와 ;
    벌브내에 봉입된 봉입가스와 ;
    벌브의 양끝단에 봉입장착된 전극과 ;
    상기 벌브의 방전로내에 지지된 보조 아말감과;
    상기 보조아말감을 지지하며, 핀치시일에 의해 봉입고정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소형방전램프에 있어서,
    상기 보조아말감은 세관을 가지지 않는 관체에 위치되어, 세관을 가지지 않는 관체의 끝단부에 핀치시일함으로써 봉입고정된 1개의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재는 관체의 끝단부의 대략 관의 중심으로 봉입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전램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은 벌브의 양끝단에 봉입장착되는 웰즈를 가지며, 웰즈에 의해서 벌브내에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지름치수가 전극의 웰즈의 지름치수이하인 것을 더욱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전램프.
  4. 삭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지름은, 관체의 끝단부에 봉입고정되는 부분이 0.2∼0.4 mm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전램프.
  6.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벌브의 관체는, 연통관로가 접속되는 한쪽의 끝단부에 세관을 갖고, 1개의 관체의 세관에 주 아말감이 배치되고,
    보조 아말감은, 주 아말감이 배치되는 관체의 끝단부에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의 세관을 갖고 있지 않은 끝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전램프.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보조 아말감은, 벌브의 방전로 도중에서 방전로 길이방향의 대략 균등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전램프.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벌브는, 3개 이상의 관체를 구비하며, 각 관체에 1개씩의 보조 아말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전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벌브의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에 끼워지는 관체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전램프.
  10. 제 8 항에 있어서, 벌브의 전극이 봉입장착되는 관체의 끝단부와 반대측의 끝단부에 주 아말감이 배치되고, 주 아말감이 배치되는 관체의 끝단부에 연통관부를 개재하여 접속된 관체의 끝단부에 방전로 도중의 보조 아말감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전램프.
  11.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보조 아말감은, 관체의 축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전램프.
  12.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보조 아말감은 관체의 끝단부에서의 거리가 15∼25 mm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전램프.
  13.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벌브는 4개 이상의 관체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방전램프.
  14. 벌브 내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소형방전램프와;
    방전램프에 접속된 점등회로와;
    방전램프를 지지함과 동시에 점등회로가 수용된 커버 및;
    커버에 부착된 꼭지쇠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형 형광램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점등회로는, 시동시에 방전램프의 일끝단의 전극과 방전로 도중에 배치되는 보조 아말감과의 사이에 통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형 형광램프.
  16. 관내지름이 6 mm이상 9 mm이하, 방전로길이가 400 mm이상 500 mm이하, 소비전력이 16 W이상 23 W이하이며, 벌브의 내면에 형광체층이 형성된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소형방전램프와 ;
    방전램프에 접속된 점등회로와 ;
    방전램프를 지지함과 동시에 점등회로가 수용된 커버, 및 커버에 부착된 꼭지쇠를 가지며, 꼭지쇠를 포함하는 높이가 125 mm 이상 145 mm 이하로 한 바깥둘레용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구형 형광램프.
KR10-1999-0062659A 1998-12-28 1999-12-27 소형방전램프 및 전구형 형광램프 KR1003867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7401198 1998-12-28
JP374011 1998-12-28
JP16020199 1999-06-07
JP160201 1999-06-07
JP28077799 1999-09-30
JP280777 1999-09-30
JP31036599 1999-10-29
JP310365 1999-10-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430A KR20000048430A (ko) 2000-07-25
KR100386750B1 true KR100386750B1 (ko) 2003-06-09

Family

ID=27473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659A KR100386750B1 (ko) 1998-12-28 1999-12-27 소형방전램프 및 전구형 형광램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17615B1 (ko)
JP (3) JP3599094B2 (ko)
KR (1) KR100386750B1 (ko)
CN (1) CN1144261C (ko)
DE (1) DE19963278A1 (ko)
TW (1) TW4368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057059A1 (en) * 2000-07-28 2002-05-16 Kazuhisa Ogishi Fluorescent lamp, self-ballasted fluorescent lamp and lighting apparatus
JP3528794B2 (ja) * 2000-12-20 2004-05-24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蛍光ランプ
KR20030057619A (ko) * 2001-12-29 2003-07-07 주식회사 나래전자 형광램프의 제조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820051B2 (ja) * 2002-06-12 2011-11-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発光管、発光管の製造方法及び低圧水銀ランプ
US7358676B2 (en) 2003-05-26 2008-04-15 Aero Tech Light Bulb Co. Fluorescent light source
US7173254B2 (en) * 2004-05-19 2007-02-06 Light Sources, Inc. Compact germicidal lamp having multiple wavelengths
CN1851847A (zh) * 2005-04-22 2006-10-25 李进 磁能灯泡
KR101157289B1 (ko) * 2005-06-30 2012-06-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WO2008012729A2 (en) * 2006-07-27 2008-01-3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JP4719274B2 (ja) * 2006-08-10 2011-07-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片口金形蛍光ランプ及び照明器具
JP2009200036A (ja) * 2008-01-24 2009-09-03 Ushio Inc 白熱ランプ装置及び加熱装置
CN100568438C (zh) * 2008-03-26 2009-12-09 汪贤林 扣丝机自动点接铟网装置
US20110298356A1 (en) * 2010-06-08 2011-12-08 General Electric Company Positioning of auxiliary amalgam
US8378564B2 (en) * 2010-06-09 2013-02-19 General Electric Company Positioning of auxiliary amalgam
US8633645B2 (en) 2011-11-09 2014-01-21 General Electric Company Fluorescent lamp assembly with improved run-up
US10141179B2 (en) 2012-11-26 2018-11-27 Lucidity Lights, Inc. Fast start RF induction lamp with metallic structure
US20140375203A1 (en) 2012-11-26 2014-12-25 Lucidity Lights, Inc. Induction rf fluorescent lamp with helix mount
US10529551B2 (en) 2012-11-26 2020-01-07 Lucidity Lights, Inc. Fast start fluorescent light bulb
US20140145592A1 (en) * 2012-11-26 2014-05-29 Lucidity Lights, Inc. Induction rf fluorescent light bulb
US10128101B2 (en) 2012-11-26 2018-11-13 Lucidity Lights, Inc. Dimmable induction RF fluorescent lamp with reduced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USD854198S1 (en) 2017-12-28 2019-07-16 Lucidity Lights, Inc. Inductive lamp
US10236174B1 (en) 2017-12-28 2019-03-19 Lucidity Lights, Inc. Lumen maintenance in fluorescent lamp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7863A (ja) * 1985-08-12 1987-02-18 Hitachi Ltd 低圧水銀放電灯
JPH01220360A (ja) * 1988-02-29 1989-09-04 Toshiba Corp 屈曲形けい光ランプ
EP0604221A1 (en) * 1992-12-22 1994-06-29 Flowil International Lighting (Holding) B.V. Fluorescent lamp
US5739633A (en) * 1995-08-14 1998-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Amalgam containing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improved warm-up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37863A (ja) * 1985-08-12 1987-02-18 Hitachi Ltd 低圧水銀放電灯
JPH01220360A (ja) * 1988-02-29 1989-09-04 Toshiba Corp 屈曲形けい光ランプ
EP0604221A1 (en) * 1992-12-22 1994-06-29 Flowil International Lighting (Holding) B.V. Fluorescent lamp
US5739633A (en) * 1995-08-14 1998-04-14 General Electric Company Amalgam containing compact fluorescent lamp with improved warm-u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963278A1 (de) 2000-07-13
CN1258930A (zh) 2000-07-05
JP2001196025A (ja) 2001-07-19
TW436852B (en) 2001-05-28
JP2004047476A (ja) 2004-02-12
KR20000048430A (ko) 2000-07-25
JP2005044787A (ja) 2005-02-17
JP3599094B2 (ja) 2004-12-08
US6417615B1 (en) 2002-07-09
CN1144261C (zh) 2004-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750B1 (ko) 소형방전램프 및 전구형 형광램프
KR20000068107A (ko) 형광램프, 전구형형광램프, 및 조명기구
JP2008159564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WO2007007653A1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4099702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9009930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4737465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5108699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4780281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4288256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0353403A (ja) 蛍光ランプ装置
JP2003059452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3449412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4304605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4310676B2 (ja) 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3767680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7273226A (ja) 電球形蛍光ランプ、照明器具および電球形蛍光ランプの製造方法
JP3861602B2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2007250215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0106134A (ja) 蛍光ランプおよび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7273264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装置
JP2002289143A (ja) 蛍光ランプ装置および電球形蛍光ランプ
JPH1167149A (ja) 電球形蛍光ランプおよび照明器具
JP2006004718A (ja) 蛍光ランプ、コンパクト蛍光ランプおよび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3323864A (ja) 蛍光ランプおよび電球形蛍光ランプならびに照明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