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6196B1 - 와이어 방전가공기 - Google Patents

와이어 방전가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6196B1
KR100386196B1 KR1019960017463A KR19960017463A KR100386196B1 KR 100386196 B1 KR100386196 B1 KR 100386196B1 KR 1019960017463 A KR1019960017463 A KR 1019960017463A KR 19960017463 A KR19960017463 A KR 19960017463A KR 100386196 B1 KR100386196 B1 KR 100386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electrode
wire
head
roller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952A (ko
Inventor
마사노리 노다
다츠지 고마츠
다카시 미츠야스
Original Assignee
세이부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2698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497021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부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부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70009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9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61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HWORKING OF METAL BY THE ACTION OF A HIGH CONCENTRATION OF ELECTRIC CURRENT ON A WORKPIECE USING AN ELECTRODE WHICH TAKES THE PLACE OF A TOOL; SUCH WORKING COMBINED WITH OTHER FORMS OF WORKING OF METAL
    • B23H7/00Processes or apparatus applicable to both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and electrochemical machining
    • B23H7/02Wire-cutting
    • B23H7/08Wire electrodes
    • B23H7/10Supporting, winding or electrical connection of wire-electrode
    • B23H7/102Automatic wire threading

Abstract

본 발명은 상와이어헤드, 공작물의 구멍, 하와이어헤드에의 와이어전극의 공극 을 확실히 고속으로 달성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를 제공한다.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공급 파이프를 느려뜨린 상태로 고정한 유지체를 실린더장치를 사용하여 고속으로 상하운동시킴과 동시에 와이어전극의 하단부를 협지부재로 끼워 어닐롤러를 반전구동하여 와이어전극을 긴장시킨 상태에서 와이어전극에 어닐처리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장치를 콤팩트로 구성한다. 또, 와이어전극의 공작물의 구멍에의 삽통(揷通)시에는 어닐롤러로 와이어전극을 저속으로 공급하고, 와이어 전극이 분류가이드 파이프의 분류에 실린 시점에서 어닐롤러로 와이어전극을 고속이동시켜 와이어 전극공급의 소요시간을 단축한다.

Description

와이어 방전가공기
본 발명은 공작물에 대하여 방전가공을 행하는 와이어 전극을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자동 와이어 공급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로서 제6도에 도시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와이어 전극공급장치에 의하여 공급되는 와이어전극(1)을 지지대 (21)에 클램프(22)로 고정한 공작물(8)의 스타트 홀이나 가공궤적(加工軌迹)의 구멍(26)에 삽통하는 경우에 와이어 전극(1)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헤드(10)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공급파이프(5)를 이용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헤드(10)에는 이송나사(35)를 형성한 가이드로드(24)가 취부되어 있다. 유지체(20)에는 공급파이프(5)가 늘어뜨린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유지체(20)는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이송나사(도시않음)를 회전시킴으로서 헤드(10)의 가이드 로드(24)에 가이드되어 상하운동한다. 공작물(8)의 방전가공에 사용된 와이어전극(1)은 하와이어헤드(7)의 후류(後流)에 설치한 인출롤러(12)에 의하여 빼내어 회수되고 있다. 와이어전극(1)의 이송은 단선(斷線)센서(62)로 검출함과 동시에 헤드(10)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유지체(20)에 설치된 1쌍의 어닐롤러(13) 또는 헤드(10)의 하부에 설치한 와이어전극(1)을 절단하는 커터(16)의 후류에 설치한 1쌍의 코먼롤러 (14)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있다. 커터(16)는 와이어전극(1)의 양호한 단부를 준비하며 상와이어헤드(6), 공작물(8)의 구멍(26) 및 하와이어헤드(7)에 와이어전극(1)을 삽통할 수 있도록 와이어전극(1)의 선단부를 조정하기 위해, 와이어전극(1)을 절단하는 것이다. 상기 와이어 방전 가공기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개평 2-14521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또 와이어 전극공급장치는, 특공평 6-1512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그 와이어 전극공급장치는 하와이어헤드의 하측에 배열설치된 와이어전극을 끼워 가이드하는 1쌍의 가이드롤러 그 가이드롤러의 측방에 배열설치한 와이어전극을 인출하는 모터로 구동하는 인출럴러 및 상기 가이드롤러와 상기 인출롤러에 걸린 벨트로 구성되어 있다. 공작물을 방전가공하여 소모한 상기 와이어전극은 상기 하와이어 헤드를 통하여 배출하고 상기 가이드 롤러로 말려들어가 이어 상기 벨트로 끼운 상태에서 이송하는 상기 인출롤러로 인출하여 회수한다.
또 일본국 특공평 6-75808호 공보에는, 와이어 전극 공급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 와이어 전극공급장치는 하와이어헤드의 하방이 배열설치한 방향전환 롤러를 내장하고 또 상기 방향 전환롤러로 방향전환한 와이어 전극을 수류(水流)를 이용하여 보내는 가이드 파이프를 가지며 상기 가이드파이프에서 배출되는 와이어전극을 협지하여 와이어 전극을 인출하는 인출롤러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에서는 어닐롤러와 코먼롤러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와이어 전극을 어닐롤러로 협지하고 와이어전극을 어닐하면 와이어전극의 협지개소(狹持箇所)에 눌린 상처흔적이 난다. 눌린상처 흔적이난 와이어전극을 자동공급하여 공작물에 형성한 구멍에 삽통하면, 와이어 전극을 매우 느린 속도로 하강시켜 삽통동작(揷通動作)을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와이어 전극의 공급시간을 단축할 수 없다. 즉, 와이어 전극을 어닐할 경우에는 상방에 위치하는 어닐롤러로 와이어전극을 끼우고 하방의 코먼롤러를 정전구동(正轉驅動)하여 어닐롤러와 코먼롤러의 사이에서 와이어전극을 긴인장시킨 상태로 하든지, 어닐롤러로 협지한 개소에 큰 눌린상처흔적이나 그 눌린상처흔적이 어닐한 부분의 후류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매우 정밀한 구조를 가진 상와이어 헤드나 하와이어 헤드 및 공작물의 구멍을 통과할 때 장해가 되며 와이어 전극의 스무스한 공급을 기대할 수 없게 된다.
또 와이어 방전가공기가 대형화하면, 하와이어 헤드의 하방에 배열설치된 와이어 전극회수장치에서 와이어전극의 방향을 변환하는 방향전환롤러에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가공액조의 바깥쪽에 설치되어 있는 인출롤러까지의거리가 길게된다. 상기 방향전환 롤러에서 상기인출롤러까지의 거리가 길면, 와이어전극을 보내는 속도가 와이어 전극의 공작물의 구멍에 삽통하는 속도와 동일하다면 와이어전극을 인출롤러에 도달시키는 소요시간이 길게된다.
종래의 와이어 전극회수장치는 예를들면 제6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와이어 방전가공기에서는 와이어전극(1)을 공급하기 위하여 어닐롤러(13) 또는 코먼롤러 (14)를 회전구동시켜, 혹은 와이어전극(1)을 긴장시킨 상태에서 와이어전극(1)을 어닐하기 위하여 와이어 전극(1)을 어닐롤러(13)로 끼워 고정하고, 코먼롤러(14)를 회전구동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어닐롤러(13) 및 코먼롤러(14)를 각각 구동제어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들면 제5도에 도시하는 것 같이 코먼롤러(14)를 회전구동하기 위하여는 코먼롤러(14)를 암(43)에 베어링(51)를 개재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여 코먼롤러(14)에 토크를 전달하기 위해 코먼롤러(14)를 회전구동축(52)에 취부하여 모터(57)의 토크를 기어(53,54,55,56)를 통하여 회전구동축(52)에 전달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회전구동하는 코먼롤러(14)를 설치한 헤드(10)의 하부의 구조는 복잡함과 동시에 코먼롤러(14)의 제어동작도 코먼롤러(14)의 회전구동의 제어를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공급파이프(5)를 고정한 유지체(20)를 승강시키기 위하여가이드로드(24)에 이송 나사(35)를 형성하며 이송나사(35)에 걸리는 유지체(20)내의 기어를 모터로 회동시켜 작동시키고 있음으로 고정밀도의 승강동작을 행할 수가 있으나 유지체(20)의 승강속도에도 한계가 있어 와이어전극(1)의 자동공급장치의 공급속도를 고속화시킬 수가 없는 원인이 되어 있다. 또 와이어전극(1)의 자동공급에서의 인출롤러(12)의 통과의 확인을 어닐롤러(13)와 인출롤러(12)의 속도차를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검출하고 있으나 그 속도차를 정확하게 검출하는 것이 곤란하며 그 속도차의 검출을 정확하게 행하기 위하여 속도차를 크게하면 정확한 자동공급의 검출이 되어도 와이어전극(1)의 단선이나 와이어전극(1)에 늘어짐이나 변형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와이어전극을 공작물에 형성한 가공구멍이나 스타트홀에 상통하는 자동공급을 신속하고 확실히 달성하기 위해 공급파이프를 취부한 유기체의 왕복운동을 실린더 장치에 의하여 고속구동하여 종래의 코먼롤러에 의한 와이어 전극의 이송동작을 배제하며 그 때문에 와이어 전극의 어닐시에는 어닐롤러를 역전구동하여 와이어전극을 긴장시키는 것과 같이 구성하여 와이어 전극의 공급작동시에 와이어 전극이 와이어 전극회수장치에서의 분류(噴流)에 실린 시점에서 고속공급을 행하여 공급작동의 소요시간을 단축하여 와이어 전극의 자동공급의 고속화를 달성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에 대하여 상하운동 가능하게 취부한 상와이어 헤드와 상기 상와이어 헤드에 대향하여 설치한 하와이어헤드의 사이에 공작물을 설정하고, 와이어 전극공급원에서 풀어내는 와이어 전극을 상기 헤드의 상부에 설치한 롤러를 통하여 상기 공작물의 가공 부위에 공급하는 자동와이어 공급장치를 구비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에서, 상기 헤드의 상부에서 하부로 뻗도록 배치하며 또 상기 헤드에 고정된 실린더와 그 실린더 내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으로 되는 실린더장치, 상기 실린더장치의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실린더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접동체(摺動體)에 고정한 유지체, 상기 와이어 전극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상기 와이어전극을 상기 상와이어헤드와 상기 공작물에 형성한 구멍과 상기 하와이어헤드에 삽통하기 위해 상기 유지체에 늘어뜨린 상태로 고정한 상기 와이어 전극이 관통하는 공급파이프, 상기 와이어 전극을 협지하여 상기 와이어 전극의 이송을 위해 구동하며 또 상기 와이어 전극의 어닐 처리를 위해 전류를 흘릴 수가 있는 상기 유지체에 설치한 1쌍의 어닐롤러, 상기 헤드의 하부에 설치한 상기 와이어 전극을 절단하는 커터, 상기 와이어 전극을 어닐처리를 위해 상기 와이어 전극을 협지할 수가 있는 접리가능(接離可能)한 1쌍의 협지부재 및 상기 커터를 절단된 상기 와이어전극을 제거하는 폐와이어 클램프, 상기 하와이어 헤드에서 배출되어 소모한 상기 와이어 전극을 인출하여 회수하는 전극회수 장치 및 상기 유전체의 상하운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어닐롤러에 의한 상기 와이어 전극의 이송을 제어하며, 상기 협지부재로 상기 와이어 전극을 끼워 상기 어닐롤러의 반전구동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전극을 긴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어닐롤러와 상기 협지부재의 사이의 상기 와이어전극을 어닐처리하는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관한 것이다.
또, 상기 와이어 전극회수장치는, 상기 하와이어 헤드의 후류에 설치된 방향전환롤러, 그 방향전환롤러에 접속하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풀어내는 방향에 분류를 형성하는 분류가이드 파이프 및 그 분류가이드 파이프의 출구에 배치한 인출롤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러는 어닐된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커터로 절단하여 절단된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폐와이어 클램프로 제거하고, 이어 상기 실린더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와이어전극과 같이 상기 공급파이프를 상기 상와이어 헤드의 근방까지 하강시켜 상기 어닐롤러를 저속구동하여 상기 와이어 전극을 저속으로 풀어내어 상기 상와이어 헤드, 상기 공작물의 상기 구멍 및 상기 하와이어 헤드에 삽통하고, 상기 와이어 전극의 선단이 상기 와이어 전극회수장치의 상기 분류 가이드 파이프에 삽통하게 하여 상기 와이어 전극이 분류에 실린시점에서 상기 어닐롤러를 고속구동하여 상기 와이어 전극을 고속으로 풀어내어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인출롤러에 끼우는 제어를 행한다.
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어닐롤러에 의한 상기 와이어 전극의 저속 이송시간을 상기 커터에서 상기 분류 가이드 파이프까지의 와이어 주행경로거리와 상기 와이어 전극의 속도에서 연산하며, 상기 와이어 전극의 고속이송시간을 상기 분류 가이드 파이프의 와이어 주행경로거리와, 상기 와이어 전극의 속도에서 연산하여 그것에 따라 상기 와이어 전극의 이송속도를 변속하는 것 같이 제어한다.
또, 상기 실린더 장치는, 상기 유지체의 상부 이동단(上部 移動端)에서 상기 유지체를 유지하는 록장치를 가진다. 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지체의 윗쪽 이동단(移動端)을 검출하는 센서에 응답하며, 상기 록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록장치로상기 유지체를 유지하는 제어를 행하며, 상기 공급파이프의 하강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록장치를 해제한다.
또, 상기 상와이어 헤드는 상기 공작물의 두께에 따라 상기 헤드에 대하여 상하운동하여 설정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지체의 윗쪽 이동단의 정지동작을 상기 실린더장치의 상단에 설치한 리밋스위치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제어하고, 상기 유지체의 밑쪽 이동단의 정지동작을 상기 상와이어 헤드를 지지하는 지지로드에 설치한 리밋스 위치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제어한다.
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어닐된 부분이 상기 인출롤러를 통과한 후에, 상기 인출롤러로 상기 와이어 전극을 끼워 상기 와이어전극을 빼내는 동작을 행하도록 제어한다.
또,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어 전극의 공급불량 상태를 상기 상와이어 헤드와 상기 하와이어 헤드의 사이의 상기 와이어 전극의 변형에 의하여 검출하며 상기 와이어 전극의 변형에 응답하며,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공작물의 구멍에 삽통하게 하는 작동율 다시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에서는, 상기와 같이 와이어전극의 어닐시에 와이어 전극의 하부를 협지부재로 끼워 어닐롤러를 역전시켜 와이어전극을 긴장시키므로 와이어 전극에는 어닐롤러의 협지 (挾持)에 의한 눌린 상처흔적이 나는 일이 없고 어닐후에 와이어전극은 어닐이 행하여진 중간부분에서 커터에 의하여 절단되므로 상와이어헤드와 공작물에 형성된 구멍에의 와이어 전극의 삽통이 스무스하며 또 삽통이 쉽게 되어 와이어 전극의 자동삽통(自動揷通)을 확실히 또 신속하게 달성할 수있다.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있어서 특히 헤드의 하부에 설치한 협지부재는 와이어 전극의 어닐시에는 와이어 전극을 끼우는 요동기구의 구조만으로 되고, 종래의 코먼롤러와 같이 회전구동을 수반하지 않은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헤드의 하부의 구조를 간결한 구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부품수를 큰 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어닐롤러를 구동하여 와이어전극을 자동 삽통할 때 와이어 전극의 선단이 하와이어 헤드의 후류에 설치한 와이어 전극 회수장치의 방향전환 롤러를 지나 분류가이드 파이프에 가이드되어 와이어 전극이 분류에 실린 상태로 될 때까지의 소요시간 및 와이어 전극을 저속으로 공급하며, 이어 와이어 전극이 분류에 실리면 비교적긴 분류가이드 파이프 내를 통과하는 소요시간만 또는 어닐된 와이어전극이 와이어 전극 회수장치의 인출롤러를 지난 상태가 될 때까지의 소요시간만 어닐롤러의 구동속도를 업하여 와이어전극을 고속으로 공급하여 분류가이드 파이트내를 와이어 전극을 단시간으로 통과시켜 이어 인출롤러의 떨어져 나간 상태를 근접시켜 와이어 전극을 끼워 어닐롤러의 구동을 정지하여 인출롤러의 의한 와이어 전극의 주행으로 변경한다. 따라서 와이어 전극의 자동 공급을 단시간으로 달성할 수 있으며 와이어전극을 정밀한 상와이어 헤드와 하와이어 헤드에 확실히 삽통할 수 있다.
또 1쌍의 인출롤러를 떨어져 나간 상태에서 와이어 공급후에 근접시켜 와이어 전극을 1쌍의 인출롤러로 끼워 정지상태에서 서서히 소정의 회전속도로 이행하여 권취함으로서 인출롤러의 권취시의 와이어 전극의 단선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와이어전극의 공급확인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인출롤러에 의한 와이어 전극의 협지(挾持)를 어닐하여 강도가 저하한 와이어 전극이 인출롤러를 통과한 후에 행하므로, 와이어 전극의 단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와이어 전극의 직경이, 예를들면, 0.1mm 이하의 가는 선에 대하여 그 단선을 힘껏 방지할 수 있으며, 확실히 공급확인할 수 있다. 또 와이어전극의 공급상태는 상와이어헤드와 하와이어 헤드의 와이어전극의 변형으로 검출하도록 구성해두면 와이어전극의 공급불량을 바로 검출할 수 있으며 와이어 전극공급의 동작을 바로 재시도할 수 있으며, 와이어 전극의 자동공급시간을 큰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또,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와이어전극의 저속공급하는 소요시간 및 고속공급하는 소요시간을 미리 알려져 있는 와이어 전극의 공급경로의 거리와 와이어 전극의 공급속도에서 컨트롤러로 각각 연산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인 와이어 전극의 공급제어를 달성할 수 있다.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와이어 전극을 안내공급하는 공급파이프 및 공급파이프의 유지체를 실린더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미리 설정한 이동 범위 내에서 유지체에 고정한 공급파이프의 하강시는 물론이고, 공급파이프의 상승시에도 고속으로 상하이동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하였으므로, 종래의 이송나사를 사용한 유지체의 공급속도에 비교하여 큰 폭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간이한 구동제어로 고속의 와이어 전극의 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실린더장치는 유지체를 상단부에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기구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공작물의 가공중에 공급파이프나 유지체가 낙하하여 트러블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상기와 같이 공작물의 가공영역에 와이어전극을 공급함에 있어서 실행되는 어닐공정을 협지부재로 와이어 전극을 끼워, 어닐롤러를 반공급방향으로 구동시킨 상태에서 행하고, 어닐후에 어닐롤러와 협지부재와의 중간에서 커터에 의해 절단하도록 하였으므로 협지부재로 끼운 개소에서 어닐롤러로 역전구동으로 끼운 개소가 경미한 상처로 막을 수가 있으며 어닐 후의 와이어 전극을 상와이어 헤드, 공작물의 구멍, 하와이어 헤드를 통하여 확실하고 신속하게 자동 삽통하게 할 수가 있다. 또, 협지부재는 와이어 전극을 끼우는 것만으로 와이어 전극의 이송을 행하기 위한 회전구동을 수반하지 않는 것으로 협지부재의 협지구조 및 제어동작을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와이어 전극을 상와이어헤드, 공작물의 구멍, 하와이어 헤드 등에 자동 삽통하게 할 때의 전반의 소정시간만 와이어전극을 저속으로 공급하여 와이어 전극의 저속공급의 후에 와이어 전극을 미리 설정한 설정시간 만 고속으로 공급하여, 고속공급한 와이어 전극을 인출롤러에 단시간으로 도달시켜, 이어 인출롤러로 와이어전극을 회수하므로, 와이어 전극의 삽통공급(揷通供給)을 위한 전소요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한실시예률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제6도에 도시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부품과 같은 부품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였다.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헤드(10)의 상부에 설치한 지지체(9)에는 방향전환롤러(15)나 펠트 브레이크 롤러 (11) 및 하부에 설치한 방향전환롤러 (2)가 취부되며 와이어 전극공급장치는 소오스 보빈(도시않음)에서의 와이어전극(1)을 이들의 각종 롤러를 통하여 공작물(8)의 가공부위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헤드(10)의 하부에는 와이어전극(1)을 절단하여 커터(16), 와이어전극(1)을 끼움 또는 해방을 위해 접리가능한 1쌍의 협지부재(27), 커터(16)로 절단된 와이어 전극(1)을 제거하는 폐와이어 클램프(19) 및 와이어 전극(1)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롤러(18)가 설치되어 있다.
헤드(10)에는 Z축 유닛(37)을 설치하고, Z축 유닛(37)에는 헤드(10)에 대하여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한 지지로드(60) 및 지지로드(60)의 하단에 고정한 지지체(23)를 설치하며, 지지체 (23)에는 가이드롤러(38) 및 상와이어헤드(6)가 취부되어 있다. 상와이어헤드(6)에 대향하여 설치한 하와이어 헤드(7)는 헤드(10)의 베이스에 하부암을 개재하여 설치되어 있다. 와이어 전극(1)으로 방전가공되는 공작물(8)은, 상와이어헤드(6)와 하와이어 헤드(7)와의 사이에서 클램프(22)로 지지대(21)에 고정하여 위치설정되어 있다. 하와이 어헤드(7)에서 배출하는 소모한 와이어전극(1)은, 와이어 전극회수장치(30)에 의하여 빼내어 회수된다.
제1도에서는 유지체(20)는, 그 이동할 수 있는 상단한(上端限)과 하단한과의 도중에 위치하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유지체(20)가 점선으로 나타내는 상단한에 위치한 상태에서 공급파이프(5)의 하단이 커터(16)의 윗쪽에 근접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와이어 전극(1)에 어닐이 행하여진다. 유지체(20)가 하단한에 위치한 상태에서 공급파이프(5)의 하단이 상와이어 헤드(6)의 윗쪽에 근접위치하며, 이 상태에서 와이어전극(1)이 상와이어헤드(6) 공작물(8)의 구멍(26), 하와이어헤드(7) 등에삽통작동이 행하여진다.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헤드(10)의 상부와 커터(6)가 설치된 하부와의 사이에 뻗는 것 같이 헤드(10)에 고정한 실린더장치(3)가 설치되어 있다. 실린던장치 (3)는 복동(複動)실린더의 구조를 가지며 헤드(10)에 고정한 실린더(39)와 실린더(39)내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40)으로 구성되어 있다. 피스톤(40)은, 예를들면, 영구자석 등으로 제작하며, 그 양쪽의 실린더실에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실린더(39)내를 왕복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피스론(40)의 상하운동의 이동범위는 실린더장치 (3)의 복수회의 시행에 의하여 얻어지는 관성등의 제동오차를 고려한 허용치를 가산하여 설정한다. 컨트롤러는 피스톤(40)의 설정된 이동범위가 되도록, 실린더장치(3)에 더하여 공기펌프에서 설정량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되고 있다.
실린더(39)의 외주에는 피스톤(40)에 흡착되어 왕복운동하는 접동체(41)를 취부하며 접동체(41)에는 헤드(10)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유리체(20)가 고정되어 있다. 유지체(20)에는 공급파이프(5)가 세트비스(25) 등으로 늘어뜨린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공급파이프(5)는 와이어 전극공급장치에서 공급되는 와이어전극(1)을 상와이어헤드(6) 공작물(8)에 형성한 스타트홀이나 가공슬릿의 구멍(26) 및 하와이어헤드(7)에 삽입하기 위해 와이어전극(1)을 관통시킨 상태에서 하강하는 것이다. 유지체(20)에는, 와이어전극(1)의 이송을 위해 구동하며 또 와이어전극(1)의 어닐을 위해 급전자(給電子)(17)를 통하여 전류를 흘릴 수가 있는 1쌍의 어닐 롤러(4)가 취부되어 있다.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컨트롤러(도시않음)에 의하여 유지체(20)의 상하운동의 제어, 어닐롤러(4)에 의한 와이어 전극(1)의 이송의 제어 및 협지부재(27)로 와이어 전극(1)을 끼워 어닐롤러(4)의 역전구동에 의하여 와이어전극(1)을 긴장시킨 상태에서, 어닐롤러(4)와 협지부재(27)와의 사이의 와이어전극(1)을 어닐하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협지부재(27)는 제3도에 도시하는 것과 같이 톱니 (46)를 서로 이맞물린 상태에서 대향 배치한 암(43)에 고정되어 있다. 암(43)은 실린더(45)의 작동으로 추지점(樞支店)(44)을 중심으로 추동(樞動)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협지부재(27)는 실린더(45)의 작용으로 암(43)이 닫는 방향으로 요동하면 양자간에서 와이어전극(1)을 이동하지 않도록 끼울 수 있다.
와이어전극 회수장치(30)는, 하와이어헤드(7)의 후류에 설치한 방향전환 롤러(29), 방향전환롤러(29)의 후류에 설치한 분류 가이드 파이프(28) 및 분류 가이드 파이프(28)의 출구에 배치한 인출롤러(31)로 구성되어 있다. 분류 가이드 파이프(28)에는 방향전환롤러(29)에서 풀어내는 와이어전극(1)을 수류 등의 분류에 실어 보내는 것 같이 액체펌프 등으로분류가 입구(42)에서 공급된다. 와이어 전극회수장치 (30)는, 방향전환롤러(29)와, S 방향에서 공급한 와이어전극(1)을 P방향에서 분입(噴入)한 수류와 같이 후류의 배출구(36)로 보내는 방향변환부(32)와 배출구(36)에 접속하며 또 물 및 와이어전극(1)을 옆쪽으로 이송하는 분류 가이드 파이프(28)와 분류 가이드 파이프(28)에 접속하며 또 물만을 R방향으로 분리하여 배출함과 동시에 와이어 전극(1)을 후류의 인출롤러(31)쪽의 Q방향으로 보내는 물분리부(34)를 구비하고 있다. 방향변환부(32)에 압입되는 물은 물이외의 액체나 그외의 기체라도 된다.
컨트롤러는 와이어전극(1)의 어닐이 행하여진 부분이 인출롤러(31)를 통과한 신호를 받은 후에, 인출롤러(31)에서 와이어전극(1)을 끼워 와이어전극(1)을 빼내는 동작을 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와이어전극(1)의 공급상태를 상와이어헤드(6)와 하와이어헤드(7)와의 사이의 와이어전극(1)의 변형에 의하여 검출하며 와이어 전극(1)의 공급불량의 신호에 응답하여 와이어전극(1)을 공작물(8)에 삽통하게 하는 작동을 개시하도록 제어한다. 와이어전극(1)의 변형은, 와이어전극(1)의 변형에 의하여 가능한 단락링을 상와이어헤드(6)와 하와이어헤드(7)와의 사이에 짜넣음으로서 검출할 수 있다.
특히 컨트롤러는 어닐이 행하여진 와이어전극(1)을 커터(16)로 절단하여 절단된 와이어전극(1)을 폐와이어 클램프(19)로 제거하여, 이어 어닐롤러(4)를 저속구동하여 와이어전극(1)을 저속으로 풀어내어 상와이어헤드(6), 공작물(8)의 구멍 (26) 및 하와이어헤드(7)에 삽통하고, 와이어전극(1)의 선단이 와이어 전극회수장치 (36)의 분류 가이드 파이프(28)에 삽통하게 하여 와이어전극(1)이 분류에 실은 시점에서 어닐롤러(4)를 고속구동하여 와이어 전극(1)을 고속으로 풀어내어 와이어전극(1)을 인출롤러(31)에 끼우는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어닐롤러 (4)에 의한 와이어 전극(1)의 저속이송시간을 커터(16)에서 분류 가이드 파이프(28)가지의 와이어 주행경로거리와, 와이어 전극(1)의 속도에서 연산하며, 또 와이어 전극(1)의 고속이송시간을 방향전환롤러(29)에서 인출롤러(31)까지의 와이더 주행경로거리와 와이어전극(1)의 속도에서 연산하며, 그것에 의하여 와이어전극(1)의 이송속도를 변속하는 것 같이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실린더장치(3)에는, 유지체(20)의 윗쪽이동단(上方移動端)에서 유지체(20)를 유지하는 록장치(33)가 설치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유지체(20)의 윗쪽이동단을 검출하는 센서에 응답하여 록장치(33)를 작동하여 록장치(33)로 유지체(20)를 유지하는 제어를 하고, 공급파이프(5)의 하강신호에 응답하여 록장치(33)를 해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체(20)는, 실린더장치(3)의 실린더 (39)의 외측에 배치하며 또 피스톤(40)의 이동에 따라 이동하는 접동체(41)에 고정되어 있다. 상와이어헤드(6)는, 공작물(8)의 두께에 따라 헤드(10)에 대하여 상하운동하여 설정위치가 결정되어 있다. 유지체(20)에는 하단검출용 스위치(48)가 설치되며 또 유지체(20)를 고정한 접동체(41)에는 계지구멍(係止空)(50)이 형성되어 있다.
컨트롤러는 유지체(20)의 윗쪽이동단과 밑쪽 이동단에서의 정지동작은, 다음과 같이하여 행한다. 유지체(20)의 밑쪽이동단에서의 정지동작은 유지체(20)에 설치한 하강단 검출용 스위치(48)가 헤드(16)에 대하여 상하운동하여 위치설정되어 있는 지지로드(60)에 설치한 리밋스위치 즉 하강단도그(58)에 접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한다. 또 유지체(20)의 윗쪽이동단에서의 정지동작은 실린더장치(3)의 실린더 (39)의 상단에 설치한 리밋스위치 즉, 상승단검출용 스위치(61)에 유지체(20) 또는 접동체(41)가 접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어한다. 유지체(20)의 하단에서의 록구조는 지지로드(60)에 설치한 하강단 스토퍼(59)로 막아내어 록되어 있다. 록장치(33)의 작동은 컨트롤러의 지령으로 공기공급통로(47)에서의 공기공급을 끊으면 스프링의 스프링 힘으로 돌출하는 계지핀(49)이 유지체(20)의 접동체(41)에형성한 계지구멍(50)에 계합하여 유지체(20)를 상한위치에 록하여 유지체(20)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다. 록장치(33)의 해제는 컨트롤러의 지령으로 공기공급통로(47)에서의 에어를 록장치 (33)에 공급하면, 스프링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계지핀(49)이 당겨져 계지구멍(50)에서 빠져나가 유지체(20)는 해방된다.
다음,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작동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또,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작동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작동의 설명은 생략한다.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와이어 방전가공의 초기화 처리를 실행하여 (스텝 1)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작동을 ON으로 하여(스텝 2) 상와이어헤드(6)를 스타트 홀 등의 구멍(26)의 윗쪽에 이동시켜 위치설정하여(스텝 3) 자동와이어 공급장치의 작동을 ON한다(스텝 4). 와이어 전극(1)의 자동공급동작에 행차여 어닐롤러 (4), 접지부재(27) 및 인출롤러 (31) 등의 롤러를 각각 떨어져 나가게하여 와이어전극(1)의 자동공급의 초기화를 행한다(스텝 5).
이어 자동와이어 공급장치의 작동에 의하여 와이어전극(1)을 소오스보빈에서 텐션롤러 방향전환롤러 등의 각종 롤러를 통하여 방향전화롤러(2,15) 펠트 브레이크 롤러(11) 어닐롤러(4) 등을 순차 통하여 공급파이프(5)내에 보내어, 와이어전극(1)의 선단부가 공급파이프(5)의 하단부에서 노출하여 돌출상태가 되도록 공급한다. 또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초기화의 일관(一貫)으로서 와이어 전극(1)의 선단부를 약간의 길이만 커터(16)를 작동하여 잘라내고, 잘라내어 와이어전극(1)을 폐와이어 클램프(19)를 작동하여 배제하고 와이어 자동공급의 초기화의 작동을 종료한다.
거기서, 와이어전극(1)의 어닐처리에 이행하여 1쌍의 어닐롤러 (4) 및 1쌍의 협지부재(27)를 실선(제2도)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접근시켜 와이어전극(1)을 각각의 개소에서 끼운다(스텝 6). 와이어전극(1)을 어닐롤러(4)와 협지부재(27)로 끼운 상태에서, 어닐롤러(4)를 역전방향(윗방향)으로 구동하여 와이어전극(1)을 어닐롤러(4)와 협지부재(27)와의 사이에서 텐션을 가한 상태로 긴장시킨다(스텝 7). 어닐롤러(4)에 눌리어 배설한 급전자(17)와 협지부재(27)에 눌리어 배설한 급전자(17)의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와이어전극(1)에 전류를 흘려, 그 전류에 의한 줄 열로 와이어전극(1)을 어닐하며, 와이어전극(1)의 내부응력을 배재하여 연식상태로 늘어뜨린 상태로 한다(스텝 8). 와이어전극(1)에 대하여 어닐처리가 완료하면 협지부재(27)의 상류측에서 또 공급파이프(5)의 한단에서 밑쪽에 위치되어 있는 커터(16)를 작동하여 와이어전극(1)의 선단부를 절단한다(스텝 9). 절단한 와이어전극(1)의 폐와이어를 폐와이어 클램프(17)로 옆쪽으로 배출한다(스텝 10).
이어서, 어닐롤러(4)와 협지부재(27)를 떨어져 나가게하여 와이어전극(1)을 해방하여 어닐처리한 와이어전극(1)을 자유상태로 늘어뜨린다(스텝 11). 와이어전극(1)을 어닐롤러(4)로 어닐시보다 약간 큰 협지력(挾持力)으로 재협지하여, 실린더장치(3)를 작동하고, 공급파이프(5)를 취부한 유지체(20)를 공급파이프(5)의 선단이 상와이어헤드(6)의 윗쪽에 근접하도록 유지체(20)와 같이 와이어전극(1)을 고속 하강시킨다(스텝 12). 유지체(20)의 고속하강동작은 실린더장치(3)에 공기를 공급하여 피스톤(40)을 하강시키면 피스톤(40)에 흡착한 접동체가 실린더에 따라 하강하고 그에 따라 접동체에 고정한 유지체(20)가 하강한다. 실린더장치(3)는 에어펌프에서의 미리 설정한 설정량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고속구동하며, 유지체(20)와 와이어전극(1)을 종래의 이송나사방식의 하강시간보다도 고속으로 하강시켜 하강시간을 큰 폭으로 단축한다. 실린더장치(3)의 작동에 의하여 유지체(20)와 같이 어닐롤러(4)가 하강하며, 공급파이프(5)의 선단이 상와이이헤드(6)에 근접하면 실린더장치(3)가 비작동상태가 되어 유지체(20)의 하강이 정지한다(스텝 13).
이어 어닐롤러(4)를 정전방향(正轉方向)(밑방향)으로 미리 연산한 소정시간(Ts)만 저속구동시켜 와이어전극(1)을 밑쪽으로 공급한다(스텝 14). 와이어전극(1)의 저속공급에 의하여 공급파이프(5)를 통하여 상와이어헤드(6), 공작물(8)의 구멍(26) 및 하와이어헤드(7)를 통하여 와이어 전극회수장치(30)의 방향전환롤러(27)의 밑쪽까지 와이어 전극(1)을 끼워 통하게 한다.
와이어전극(1)의 저속구동의 소정시간(Ts)은 미리 설정된 커터(16)에서 공작물(8)의 상면까지의 거리, 공작물(8)의 하면에서 방향전환롤러(29)의 하단가지의 거리, 방향전환롤러(29)의 직경에 상당하는 거리, 공작물(8)의 두께에 상당하는 거리 및 분류가이드 파이프(28)의 전반까지의 합계거리, 환원하면 커터(16)에서 분류 가이드 파이프(28) 내에서 와이어전극(1)이 분류에 실릴때 까지의 약간의 거리를 와이어 전극(1)의 저속이송속도(Vs)로 나누는 것으로 구할 수가 있다.
방향변환부(32)내에 설치한 방향전환롤러(29)는, 방향변환부(32)에 설치한 입구(42)에서 분류 가이드 파이프(28)에 공급되는 분류와 공동(共動)하여 와이어 전극(1)을 밑방향 이동에서 옆방향 이동으로 방향변환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즉,방향변환부(32)는 윗쪽에서 공급되는 와이어전극(1)을 옆쪽의 입구(42)에서 공급되는 분류에 의하여 방향전환롤러(27)에 따라 이송방향을 변환함과 동시에, 와이어전극(1)은 분류에 실린 상태가 된다. 거기서 어닐롤러(4)를 정전방향으로 미리 연산된 설정시간(Th)만 고속구동시켜, 와이어전극(1)을 방향전환롤러(29)의 밑쪽에서 분류가이드 파이프(28) 및 수분리부(34)를 통하여 떨어져 나간 상태에 있는 인출롤러 (31)까지 이송하다(스텝 15). 고속구동의 설정시간 (Th)은 방향전환롤러(29)의 측단(側端)에서 인출롤러(31)의 측단까지의 거리와 어닐처리를 행한 와이어 전극(1)의 부분의 길이와의 총화의 거리를 어닐롤러(4)에서의 고속구동시의 고속이동속도(Vh)(Vh> Vs)로 나누는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물분리부(34)에서 와이어전극(1)을 보냄과 동시에 분류의 물을 화살표의 방향으로 분리하여 방출하며 해방상태에서 대기하는 인출롤러(31)간에 와이어전극(1)을 통과시킨다.
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상기와 같이 와이어전극(1)을 상와이어헤드(6), 공작물(8)의 구멍(26) 하와이어헤드(7) 및 방향변환부(32)에 삽통하게 하는 공정을 확실하게 달성하기 위하여 와이어전극(1)을 저속이동속도(Vs)로 공급한다. 이어 와이어전극(1)을 방향변환부(32), 비교적으로 긴 분류 가이드 파이프(28) 및 인출롤러(31)에로 통과시키나 와이어 전극(1)을 분류 가이드 파이프(28)를 단시간으로 통과하기 위해, 와이어전극(1)을 고속이동속도(Vh)로 공급한다.
이어 인출롤러(31)를 닫는 방향으로 구동하여 와이어 전극(1)을 끼우나, 와이어전극(1)의 어닐을 행한 부분은 강도가 저하되어 있으므르, 와이어전극(1)의 어닐부분이 인출롤러(31)를 통과한 후에 와이어전극(1)을 인출롤러(31)로 끼워 빼내도록 구성되어 있다. 거기서 어닐롤러(4)를 파선으로 나타내는 위치까지 각각 떨어져 나가도록 하여 와이어전극(1)을 해방하여 와이어전극(1)의 어닐롤러(4)에 의한 풀어냄을 정지함과 동시에, 인출롤러(31)에 의하여 와이어전극(1)을 빼내는 작동으로 옮겨, 와이어전극(1)을 회수한다. 와이어전극(1)이 인출롤러(31)에서 양호하게 빼내어지고 있는지 없는지는 인코더 등을 구비한 컨트롤러로 검출할 수가 있다(스텝 16)
이어 컨트롤러에 의한 와이어 전극(1)의 이송이 양호한 것을 검출한 경우에는 컨트롤러의 지령으로 실린더장치(3)를 작동시켜 유지체(22)와 같이 어닐롤러 (4) 및 공급파이프(5)를 고속으로 상승시켜, 유지체 (20)를 상승단에 도달시킨다(스텝 17). 거기서, 컨트롤러의 지령으로 록장치(33)를 작동하여 유지체(20)를 헤드(20)의 상부에 록한다(스텝 18). 이어 와이어 방전가공기는 종래와 같이 와이어 전극(1)에 의한 공작물(8)의 방전가공으로 이행하며, 통상의 방전가공처리에 따라 와이어전극(1)과 공작물(8)과의 사이에 극간전압을 인가하여 공작물(8)을 방전가공한다. 스텝 (16)의 처리에서 컨트롤러가 인출롤러(31)에 의한 와이어전극(1)의 양호한 회수가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와이어전극(1)의 자동공급동작을 다시 실행하면 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정면도이고,
제 2 도는 제1도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있어서 와이어 전극의 공급경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제 3 도는 제1도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사용한 접지부재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제 4 도는 제1도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작동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처리흐름도이고,
제 5 도는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에 사용한 코먼롤러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제 6 도는 종래의 와이어 방전가공기를 나타내는 개략정면도이다.

Claims (10)

  1. 헤드에 대하여 상하운동가능하게 취부한 상와이어 헤드,
    상기 상와이어헤드의 하방에 배치한 공작물의 하방에 설치한 하와이어헤드,
    상기 헤드의 상부에 설치한 롤러를 통하여 와이어 전극공급원에서 풀어내는 와이어전극을 상기 공작물의 가공부위에 공급하는 자동와이어 공급장치.
    상기 헤드의 상부에서 하부로 뻗는 것같이 배치하며 또한 상기 헤드에 고정된 실린더와 그 실린더내를 왕복운동하는 피스톤으로 되는 실린더 장치.
    상기 실린더 장치의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따라 상기 실린더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접동체에 고정된 유지체,
    상기 와이어 전극 공급원에서 공급되는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상와이어헤드, 상기 공작물에 형성된 구멍 및 상기 하와이어헤드에 삽통하게 하기 위해 상기 유지체에 늘어뜨린 상태로 고정된 상기 와이어전극이 관통할 수 있는 공급파이프,
    상기 와이어 전극을 끼워 상기 와이어 전극의 이송을 위해 구동하며 또한 상기 와이어 전극의 어닐 처리를 위해 전류를 흘릴 수가 있는 상기 유지체에 설치한 1쌍의 어닐롤러,
    상기 헤드의 하부에 설치한 상기 와이어 전극을 절단하는 커터,
    상기 와이어 전극을 어닐처리를 위해 상기 커터의 하방에서 상기 헤드에 설치한 상기 와이어 전극을 끼울 수 있는 접리가능한 1쌍의 협지부재,
    상기 커터로 절단한 상기 와이어 전극을 제거하는 폐와이어 클램프,
    상기 하와이어헤드에서 배출되는 소모한 상기 와이어 전극을 빼내어 회수하는 와이어 전극회수장치 ; 및
    상기 유지체의 상하운동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어닐롤러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전극의 이송을 제어하며, 상기 협지부재로 상기 와이어 전극을 끼워 상기 어닐롤러의 역전구동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전극을 긴장시킨 상태에서 상기 어닐롤러와 상기 협지부재와의 사이의 상기 와이어 전극을 어닐처리하는 제어를 행하는 컨트롤러,
    로 이루어지는 와이어 방전가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전극회수장치는, 상기 하와이어 헤드의 후류에 설치된 방향전환 롤러, 그 방향전환롤러에 접속하는 상기 와이어전극의 풀어내는 방향으로 분류를 형성하는 분류 가이드 파이프 및 그 분류가이드 파이프의 출구에 배치한 인출롤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어닐이 행하여진 상기 와이어전극을 상기 커터로 절단하고, 절단된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폐와이어 클램프로 제거하며, 이어 상기 실린더 장치를 구동하여 상기 와이어 전극과 같이 상기 공급파이프를 상기 상와이어 헤드의 근방까지 하강시켜, 상기 어닐롤러를 저속구동하여 상기 와이어 전극을 저속으로 풀어내어 상기 상와이어 헤드와 상기 공작물의 상기 구멍과 상기 하와이어 헤드에 삽통하게 하고 상기 와이어전극의 선단이 상기 와이어 전극회수장치의 상기 분류 가이드 파이프에 삽통하게 하여 상기 와이어전극이 분류에 실은 시점에서, 상기 어닐 롤러를 고속구동하여 상기 와이어전극을 고속으로 풀어내어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인출롤러에 끼우는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어닐롤러에 의한 상기 와이어전극의 저속이송시간을 상기 커터에서 상기 분류 가이드 파이프까지의 와이어 주행거리와 상기 와이어전극의 속도에서 연산하며, 상기 와이어 전극의 고속이송시간을 상기 분류 가이드 파이프의 와이어 주행거리와 상기 와이어 전극의 속도에서 연산하여 그것에 의하여 상기 와이어 전극의 이송속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장치는 상기 유지체의 상부 이동단에서 상기 유지체를 유지하는 록장치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지체의 상방이동단을 검출하는 센서에 응답하여 상기 록장치를 작동하여 상기 롤장치를 상기 유지체를 유지하는 제어를 행하며, 상기공급 파이프의 하강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록장치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와이어 헤드는 상기 공작물의 두께에 따라 상기 헤드에 대하여 상하운동하여 설정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유지체의 상방이동단의 정지동작을 상기 실린더 장치의 상단에 설치한 리밋스위치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제어하며, 상기 유지체의 하방이동단의 정지동작을 상기 상와이어헤드를 지지하는 지지로드에 설치한 리밋스위치의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어전극의 어닐된 부분이 상기 인출롤러를 통과한 후에, 상기 인출롤러로 상기 와이어전극을 끼워 상기 와이어전극을 빼내는 동작을 행하는 것같이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와이어전극의 공급불량상태를 상기 상와이어헤드와 상기 하와이어헤드의 사이의 상기 와이어 전극의 변형에 의하여 검출하며, 상기 와이어 전극의 변형에 응답하여 상기 와이어 전극을 상기 공작물의 구멍에 삽통하게 하는 작동을 다시 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방전가공기.
KR1019960017463A 1995-08-14 1996-05-22 와이어 방전가공기 KR100386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26980 1995-08-14
JP22698095A JP3497021B2 (ja) 1994-11-21 1995-08-14 ワイヤ放電加工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952A KR970009952A (ko) 1997-03-27
KR100386196B1 true KR100386196B1 (ko) 2003-08-21

Family

ID=1685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463A KR100386196B1 (ko) 1995-08-14 1996-05-22 와이어 방전가공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03851A (ko)
EP (1) EP0761360B1 (ko)
KR (1) KR100386196B1 (ko)
DE (1) DE69604549T2 (ko)
TW (1) TW33016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30780B2 (ja) * 1995-05-11 2002-09-30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断線修復装置
DE10195136B4 (de) * 2001-01-16 2008-01-17 Mitsubishi Denki K.K. Automatische Drehelektrodenzufuhreinrichtung einer Draht-Erodiermaschine
JP3956643B2 (ja) * 2001-04-27 2007-08-08 株式会社東京精密 ダイシングマシン
JP2006110654A (ja) * 2004-10-13 2006-04-27 Sodick Co Ltd 自動結線装置
KR100799268B1 (ko) * 2006-08-11 2008-01-3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와이어 방전가공기의 폐와이어 회수장치
KR100795973B1 (ko) * 2007-05-03 2008-01-21 임창영 이동형 중간 지지대를 구비한 방전가공형 드릴장치
JP5088975B2 (ja) * 2010-10-19 2012-12-05 株式会社ソディック ワイヤ放電加工装置
US9162313B2 (en) * 2010-12-23 2015-10-20 Lincoln Global, Inc. Wire feeder wire drive design
CN103596718B (zh) * 2011-04-19 2016-03-16 有限会社仓敷系统设计 放电加工装置
CN102357692B (zh) * 2011-10-20 2014-07-09 北京安德建奇数字设备有限公司 具有自动穿丝功能的恒张力运丝机构
JP6219785B2 (ja) * 2014-06-23 2017-10-25 ファナック株式会社 断線修復手段を備えたワイヤ放電加工機
CN105986114A (zh) * 2015-02-10 2016-10-05 江苏优轧机械有限公司 一种光伏焊带用铜带在线退火装置
JP5921792B1 (ja) * 2015-04-23 2016-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およびイニシャルホール加工方法
US20200030901A1 (en) * 2015-06-12 2020-01-30 Makino Milling Machine Co., Ltd. Small-hole electric discharge machining machine
CN106513886A (zh) * 2016-10-31 2017-03-22 嘉善霸器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电火花线切割装置的电极丝驱动架
JP6360212B1 (ja) * 2017-01-31 2018-07-18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31121A (ja) * 1983-12-21 1985-07-12 Inoue Japax Res Inc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に於けるワイヤ電極挿通用細孔の加工方法
CH670784A5 (ko) * 1985-06-28 1989-07-14 Charmilles Technologies
JPS6219327A (ja) * 1985-07-19 1987-01-28 Fanuc Ltd ワイヤカツト放電加工装置
JPH0615125B2 (ja) * 1988-07-28 1994-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装置のワイヤ電極供給装置
JP2644543B2 (ja) * 1988-08-16 1997-08-25 株式会社アマダ ワイヤ放電加工機の結線方法
JP2686796B2 (ja) * 1988-11-28 1997-12-08 西部電機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の自動ワイヤ供給方法
JPH0615125A (ja) * 1992-07-03 1994-01-25 Shimadzu Corp 金属フィルターの製造法
DE69301694T2 (de) * 1992-07-31 1996-07-18 Sodick Co Ltd Verfahren und Ausrüstung für den automatischen Übergang des zugeführten Drahtes in einer Funkenerosionsmaschine
JPH0675808A (ja) * 1992-08-26 1994-03-18 Fujitsu Ltd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試験装置
JP3371014B2 (ja) * 1993-04-21 2003-01-27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ワイヤ放電加工機
JP3406647B2 (ja) * 1993-07-12 2003-05-1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自動結線機能を有する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03851A (en) 1997-02-18
DE69604549T2 (de) 2000-04-13
EP0761360B1 (en) 1999-10-06
EP0761360A1 (en) 1997-03-12
DE69604549D1 (de) 1999-11-11
KR970009952A (ko) 1997-03-27
TW330165B (en) 1998-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6196B1 (ko) 와이어 방전가공기
EP0371724B1 (en) Method of automatically feeding wire to an electric discharge machine
KR101023340B1 (ko) 와이어방전 가공기에 있어서의 와이어송출방법
US618982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uiding and cutting a continuously advancing yarn during a winding process
US5302796A (en) Wire-cut electrical discharge machine having wire electrode cutting device
CZ283134B6 (cs) Způsob a zařízení pro zapřádání příze na rotorovém dopřádacím stroji
US4347423A (en) Electric discharge machine
US5073691A (en) Wire electrode feeding device in wire 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
US5456098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oading of a processing machine with band-like material
EP0581493B1 (en) Wire refeeding device and method for wire-cut electroerosion apparatus
US44957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wrapped yarn
EP0076661B1 (en) A wire electrode gripping member for use in a wire-cut electric discharge machine
JP3497021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
JP3744968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の自動ワイヤ供給装置
JP4037490B2 (ja) ワイヤカット放電加工機
JP5551060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ワイヤ自動供給方法
JPH07276145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自動ワイヤ供給方法
KR960014600B1 (ko) 환편기에 있어서 자동 편직물로울(roll)권취 및 배출장치
JP2002028825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自動ワイヤ供給装置
JP2832856B2 (ja) たて糸補修装置
JP3013904B2 (ja) ワイヤ自動結線装置
JP3984727B2 (ja) ワイヤ放電加工機
KR20060023513A (ko) 섬유상 제품용의 코팅라인내의 방법 및 장치
JP2002028826A (ja) ワイヤ放電加工機における自動ワイヤ供給装置
JP3070322B2 (ja) スライバ切断方法及びスライバ切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