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386B1 - 데이타기록재생방법,데이터재생장치및기록매체 - Google Patents

데이타기록재생방법,데이터재생장치및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386B1
KR100385386B1 KR1019960702381A KR19960702381A KR100385386B1 KR 100385386 B1 KR100385386 B1 KR 100385386B1 KR 1019960702381 A KR1019960702381 A KR 1019960702381A KR 19960702381 A KR19960702381 A KR 19960702381A KR 100385386 B1 KR100385386 B1 KR 100385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rror
recording unit
error correction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2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706168A (ko
Inventor
요이치로 사코
타모쯔수 야마가미
사토시 오쯔수가
미노루 토비타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960706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706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3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adding special lists or symbols to the coded inform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125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 blocks are arranged within multiple radial zones, e.g. Zone Bit Recording or Constant Density Recording discs, MCAV discs, MCLV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11B2020/1267Address data
    • G11B2020/1271Address data the address data being stored in a subcode, e.g. in the Q channel of a CD
    • G11B2020/1272Burst indicator subcode [B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Abstract

예를 들어, 광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데이타를 기록하고 이것을 재생할 때에 발생하는 경우에, 버스트 에러가 발생하여도 효율적으로 처리를 하고 데이타의 기록 용량을 감소시키는 일이 없이, 양호한 재생을 하는 것을 기술적인 과제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데이타의 기록시에 있어서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관해 각각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고, 이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그것의 생성원이 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부가하고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 제 2 에러 정정 부호를 각각 생성하고, 그 제 2 에러 정정 부호를 그 생성원이 되는 소정량의 데이타 이외의 데이타에 부가하고 이것을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그리고, 재생시에 있어서는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진 기록 매체로부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재생하고 재생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 1 에러 정정 부호에 기초하여 검출 정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정정이 가능한 때는 검출 정정을 하고, 검출 정정이 불가능한 때는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관한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고, 소실 정보 및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소실 정정을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데이타 기록· 재생 방법, 데이타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광디스크로서는 광자기 디스크 상변화형의 광디스크, 추기형(write-once) 디스크, 판독 전용의 광디스크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들의 광디스크는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와 판독 전용형 디스크로 크게 나눌 수가 있다.
기록 가능한 디스크로서의 광자기 디스크는 제조시에 행해지는 디스크 인증(certify)에 있어서 디펙트(결함) 섹터가 검출된 경우에는 그것의 결함 섹터의 다음의 섹터를 교체 섹터로 하고, 이 정보를 광자기 디스크의 소정의 영역에 기록하여 두고 재생시에는 결함 섹터의 교체 섹터를 사용한다. 그래서 출하 후에 새롭게 디펙트 섹터가 발생한 경우에는 결함 섹터의 교체 섹터 전용의 영역에 그 결함 섹터의 교체 섹터를 설정하고 그 교체 섹터에 본래 결함 섹터에 기록해야할 데이타를 기록함과 함께, 그 정보를 광자기 디스크의 소정의 영역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판독형 광디스크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로 데이타가 기록되는 일은 없고 주지된 바와 같이 그 제조시에 데이타가 기록되고 출하 후에 있어서는 제조시에 기록된 데이타의 판독만을 행한다.
또한, 상기 광자기 디스크에 대해서 광디스크 드라이브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나 판독출력 전용의 광디스크에 대해서 제조시에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에는 데이타에 각각 에러 정정용의 패리티나 에러체크용의 CRC(Cyclic Redundancy Check) 등의 패리티가 부가되어 있다. 따라서, 재생시에 있어서 광자기 디스크 뿐 아니라 판독 전용의 광디스크도 재생된 데이타에 대해서 패리티에 의해 에러체크나 에러 정정 처리가 실시된다.
이 패리티로서는, 리드· 솔로몬 부호를 구성하기 위한 패리티가 알려져 있다. 리드· 솔로몬 부호는 통상 1 심볼을 8 비트, 데이타를 k 심볼로 하였을 때 이 k 심볼의 데이타에 패리티가 부가되어서 합계 n 심볼의 부호로 되는 것이다. 이때 이 에러 정정용의 부호의 정정 능력을 나타내는 말로서는 최소 거리라는 말이 있다.
예를 들어, 1 심볼이 1 비트의 경우에 있어서는 상기한 n 심볼은 n 비트로 표시되므로 n 심볼이 취할 수 있는 2 진수의 데이타 열은 2n종류가 있게 된다. 한편 패리티를 제외한 데이타는 2k종류만큼 필요하게 되므로, 상기한 2n대로의 데이타 열로부터 2k대로의 데이타 열을 끌어내어 임의의 끌어낸 2 개의 데이타열 사이에서 d 개의 다른 비트가 있었을 때 이 d 에 대해서 거리라 칭한다. 그래서 상기한 2k 종류의 데이타열에 대해서 모두 같이 거리를 구한 때의 최소치를 최소 거리라 칭하고 있다. 아래의 설명에서는 이 「최소거리」를 디스턴스라 칭하기로 한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t1 개의 에러 정정을 하기 위한 부호의 디스턴스 d 는 다음에 표시하는 (식 1)을 만족시켜야 한다 .
예를 들면 디스턴스 d 가 17 인 경우는 t1 은 8로 된다. 즉 8 심볼까지 밖에 정정이 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부호는 정정을 하는 능력 외에 착오가 생긴 것을 검출하는 능력도 구비하고 있다. 이 착오가 생긴 것을 검출하는 능력에 의해 착오를 검출할수 있는 착오 검출 개수를 t2 로 하면 이 착오 검출 개수 t2 는 다음에 표시하는(식 2)으로 표시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디스턴스 d 가 17 의 경우 에러 정정 개수 t1 과, 착오 검출 개수 t2는 다음의 (표 1)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된다.
이 (표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8 심볼 정정에서는 에러검출 개수는 "0"이므로 만약에 9 심볼 이상의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에러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긴다. 따라서 디스턴스 d 를 큰 값으로 하면 그만큼 정정되는 개수를 증가시켜, 더욱 착오 검출 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성된 리드· 솔로몬 부호를 디스턴스 d 가 비교적 큰 의미에서(n, k, d)의 LDC(Long Distance Code: 통 디스턴스 코드)라 칭하고 있다.
광자기 디스크나 판독 전용의 광디스크 등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리드· 솔로몬 부호를 구성한 후에 기록을 함으로써 재생시에 랜덤 에러나 디스턴스 d 의 값, 에러 정정 개수 t1, 착오 검출 개수 t2 에 의한 거리의 버스트(burst) 에러를 정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디스턴스 d 가 17 인 경우는 에러 정정이 가능한 개수는 최대로 8 개이다. 따라서 9 개 이상의 데이타가 연속해서 에러로 되는 버스트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에러 정정이 불가능하게 되어 착오 데이타 대로 사용이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광자기 디스크 등과 같이 기록가능한 디스크에서는 결함 섹터가 있는 경우에 교체 처리를 함으로써 데이타를 교체 섹터에 기록해서 항상 양호한 재생이 행해지도록 하거나, 다시 버스트 에러에 대처하기 위해 패리티 섹터를 디스크의 1 주(周)혹은 복수 주에 1 개소 설치하고, 디스크의 1 주 흑은 복수 주분의 다른 섹터의 데이타의 배타적 논리합(EXCLUSIVE OR)을 취한 것을 패리티로서 이 패리티 섹터에 기록하고, 버스트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에 패리티 섹터에서 판독 출력한 패리티에 의거해서 이 에러에 관한 데이타의 에러 정정을 한다는 방법도 채용하고 있다.
그러나 교체 처리를 하는 방법을 채용한 경우에는 교체 처리를 함으로써 처리 속도가 늦어진다. 특히 동화상 데이타의 경우 등과 같이 실시간으로 처리하지 아니하면 안 되는 데이타를 취급하는 경우에 있어서 처리 속도의 지연이 문제다. 또한, 패리티 섹터를 사용해서 에러 정정을 하는 방법을 채용한 경우 버스트 에러가 발생하면 이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타를 다시 입력하여 이 다시 입력한 데이타와 패리티 섹터에 기록되어 있는 패리티 데이타를 사용해서 에러 정정을 하여여야 한다. 따라서, 버스트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에러 정정 처리에 소비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한편, 판독 전용의 광디스크에 있어서는 교체 처리를 할 수 없으므로 재생시에 버스트 에러와 같은 큰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는 미리 기록되어 있는 에러 정정용의 부호만으로 대처하여야 한다. 따라서 디스턴스 d를 큰 값으로 하느냐, 혹은 패리티 섹터를 사용해서 에러 정정을 하는 방법을 채용하지 아니할 수가 없다. 그러나 디스턴스 d 를 큰 값으로 하면 그만큼 부호의 용장도가 증가해서 처리 시간이 길어짐과 함께 용장도가 증가한 분만큼 본래의 데이타를 기록하기 위한 용량이 감소해 버리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패리티 섹터를 사용해서 에러 정정을 하는 방법을 채용한 경우 버스트 에러가 발생하면 이 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모든 섹터의 데이타를 다시 재생하고, 이 다시 재생한 데이타와 패리티 섹터에 기록되어 있는 패리티로서의 데이타를 사용해서 에러 정정을 하여야 되고 버스트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그 처리에 소비되는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고려해서 행해진 것으로 버스트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처리를 하고, 데이타의 기록 용량을 감소시키는 일없이 양호한 재생을 할 수 있는 데이타 기록 재생 방법, 데이타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데이타의 기록시에 있어서는, 일련의 소정량으로 되는 데이타에 관해 각각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고, 이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그것의 생성원이 되는 소정량으로 되는 데이타에 부가하고, 일련의 소정량으로 되는 데이타에 관해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각각 생성하고 그것의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그것의 생성원으로 되는 소정량으로 되는 데이타 이외의 데이타에 부가하고이것을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그래서 재생시에 있어서는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형성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재생하고 재생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거해서 검출 정정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검출 정정이 가능한 때는 검출 정정을 하고 검출 정정 불가능한 때는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관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고 소실 정보 및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소실 정정을 함으로서 버스트 에러가 발생해도 효율적으로 처리를 하고, 데이타의 기록 용량을 감소시키는 일없이 양호한 재생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것에 관련해서 데이타 기록· 재생 방법, 데이타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광디스크 드라이브 등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데이타 기록/재생 방법, 데이타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제 1 도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한 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드라이브 콘트롤러의 구성 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 3도는 제 1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콘트롤러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구성도.
제 4도는 광디스크의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5도는 제 4도에 도시한 광디스크의 각 영역의 크기와 각 영역에 사용되는 데이타 클럭의 주파수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6A도, 6B도 및 6C도는 각각 광디스크의 섹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 7 도는 광디스크(판독출력 전용 디스크나 판독출력 가능 영역을 갖는 디스크)의 8 행 패턴에 있어서 2nd ECC 로서의 패리티의 부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8 도는 광디스크(판독출력 전용 디스크나 판독출력 가능 영역을 갖춘 디스크)의 8 행 패턴에 있어서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다른 섹터에 기록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9 도는 광디스크(판독출력 전용 디스크나 판독출력 가능 영역을 갖춘 디스크)의 8 행 패턴에 있어서 섹터의 특정 영역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10 도는 광디스크(기록가능 디스크나 기록가능 영역을 갖춘 디스크)의 8행 패턴에 있어서 2nd ECC 로서의 패리티의 부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11 도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재생시의 데이타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 흐름도.
제 12 도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재생시의 데이타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 흐름도.
제 13 도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재생시의 데이타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 흐름도.
제 14 도는 제 2 실시 형태로서의 광디스크(판독출력 전용 디스크나 판독출력 가능 영역을 갖춘 디스크)의 7 행-8 행 -7 행 패턴에 있어서 2nd ECC 로서의 패리티의 부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 15도는 광디스크(기록이 가능한 디스크나 기록가능 영역을 갖춘 디스크)의 7 행-8 행-7 행 패턴에 있어서 2nd ECC 로서의 패리티의 부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발명을 실시하는 위한 가장 좋은 형태
먼저 본 발명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본 발명 데이타 기록 방법은 단계(a)에 있어서 소정량으로 된 일련의 데이타에 관해서 각각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고, 단계(b)에 있어서 소정량으로된 일련의 데이타에 관해서 각각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고, 단계 (c)에 있어서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그것의 생성원이 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부가하고,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그것의 생성원이 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부가하고,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그것의 생성원이 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 이외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대해서 부가함으로써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하고 단계(d)에 있어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이에따라, 재생시에 있어서 어떤 소정량으로 된 일련의 데이타에 대해서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정정 처리를 할 뿐만 아니라, 이 소정량으로 된 일련의 데이타 이외의 데이타에 부가되어 있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도 사용해서 처리를 할수 있게 한다. 따라서 버스트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처리를 하고 데이타의 기록 용량을 감소하는 일없이 양호한 재생을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단계(d)에 있어서 제 1 의 기록 단위의 데이타의 기록 위치의 다음 기록 위치에 제 1 의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제 2 의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기록한다. 이에 따라, 다시 제 1 의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제 1 의 기록 단위의 데이타의 기록 위치의 다음의 기록 위치에 기록되어 있는 제 1 의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생성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처리를 할 수가 있도록 한다. 따라서, 버스트 에러에 대해서 강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단계(c)에 있어서 일련의 복수의 소정량분의 데이타에 있어서 최후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관해서는 소정량으로된 데이타로서 식별 데이타를 부가하므로 서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일련의 복수의 소정량분의 데이타에 있어서 최후의 소정량으로 되는 데이타임을 처리상에 있어서 인식이 가능케 한다. 따라서, 최후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대해서 적절한 처리를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단계(d)에 있어서 일련의 복수의 소정량분의 데이타에 있어서 선두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대해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로서 식별 데이타를 부가한다. 이에 따라, 일련의 복수의 소정량분의 데이타에 있어서 선두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임을 처리상에 있어서 인식이 가능케 한다. 따라서 선두의 소정량으로 된 일련의 복수의 소정량 분의 데이타에 있어서 선두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대해서 적절한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 각각 에러 체크 부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다시 갖추고 단계(c)에 있어서 에러 체크 부호를 관련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부가함으로써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재생시에 있어서 다시 에러 체크를 행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보다 에러 검출 능력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록시에 있어서는 고쳐 쓰기가 가능한 제 1 의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 각각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고, 일련의 소정량 으로 되는 데이타에 관해서 각각 제 2 의 정정 부호를 생성하고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관련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부가하고 제 2의 에러 정정 부호를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관련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 이외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대해서 부가함으로써,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하고,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고, 고쳐쓸 수 없는 제 2 의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 각각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고,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 각각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고,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 및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관련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부가함으로써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하고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이에 따라, 재생시에 있어서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뿐 아니라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도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에러 정정시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더욱 에러 정정 능력 및 액세스 속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a)에 있어서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서 각각 생성된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가 그것의 생성원을 이루는 소정량으로부터 데이타에 부가되고,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서 각각 생성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으로 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터 이외의 데이타에 부가됨으로써 생성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형성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재생하고, 단계(b)에 있어서 재생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거해서 검출 정정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검출하고, 단계(c)에 있어서 검출 정정이 가능한 때는 검출 정정을 하고, 단계(d)에 있어서 검출 정정 불가능한 때는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관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고 단계(c)에 있어서 소실 정보 및 제 1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소실 정정을 한다. 이에 따라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한 에러 정정 능력을 상회하는 에러가 발생하여도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소실 정보를 얻고, 이 소실 정보와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소실 정정을 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디스턴스를 늘리는 일없이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킴과 함께 그때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는 다시 그 기록 단위에 포함되는 데이타에 관한 에러 검출 부호가 부가되어 있고, 단계(f)에 있어서 그것의 기록 단위의 에러 검출 부호에 의거해서 단계(c)에서 검출 정정된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를 한다. 이에 따라 재생시에 있어서 에러 체크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보다 에러 검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f)에서 에러라고 검출한 때에 단계(d)로 진행한다. 이에의해 단계(d)에 의한 처리를 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소실 정정을 하기 위한 처리를 하고 그 결과 단계(e)에 있어서 소설 정정을 할 수가 있고 보다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는 다시 그 기록 단위에 포함되는 데이타에 대한 에러 검출 번호가 부가되어 있고 단계(g)에 있어서 그 기록 단위의 에러 검출 부호에 의거해서 단계(e)에서 소실 정정된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를 한다. 이에 따라 소실 정정후의 데이타에 대한 에러 체크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보다 에러 검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d)는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보다 기록 단위분의 데이타를 재생하고 재생한 기록 단위분의 데이타에 대해 재생한 기록 단위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에러 검출 부호에 의해 에러 체크를 하고, 에러 검출 부호에 의해 에러가 발견되지 아니한 때에는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한 소실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에러가 발견되지 아니한 때에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작은 디스턴스에 의해 높은 에러 정정 능력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서 생성된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이 되는 소정량으로 형성되는 데이타에 부가되고,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서 생성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이 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대해서 부가됨으로써 생성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형성되는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 단위로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재생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거해서 검출 정정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검출 정정이 가능한 때는 검출 정정을 하고 검출 정정이 불능인 때는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고, 소실 정보 및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소실 정정을 행하는 에러 정정 수단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 재생시에 있어서 검출 정정이 불가능한 경우에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소실 정정을 하는 것을 가능토록 한다. 따라서 액세스 속도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는 다시 그것의 기록 단위에 포함되는 데이타에 대한 에러 검출 부호가 부가되어 있고, 에러 정정 수단은 그 기록 단위의 에러 검출 부호에 의거해서 검출 정정된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를 한다. 이에 따라 검출 정정후의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를 하는 것을 가능토록 한다. 따라서, 더욱 에러 검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에러 정정 수단은 에러 체크에 의해 에러라고 검출한 때에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고, 소실 정보 및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어떤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소실 정정을 한다. 이에 따라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한 정정 능력 이상의 에러의 발생시에 있어서도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얻어지는 소실 정보를 사용해서 소실 정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디스턴스를 늘리는 일없이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는 다시 그 기록 단위에 포함되는 데이타에 대한 에러 검출 부호가 부가되어 있고, 에러 정정 수단은 그것의 기록 단위의 에러 검출 부호에 의거해서 소실 정정된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를 한다. 이에따라 소실 정정후의 데이타에 대한 에러 체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보다 에러 검출 능력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에러 정정 수단은 검출 정정이 불가능할 때는,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된 기록 단위분의 데이타에 대해 재생한 기록 단위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에러 검출 부호에 의해 에러 체크를 하고 에러 검출 부호에 의해 에러가 발견되지 아니한 때에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한 소실 정보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소실 정보를 사용해서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한 소실 정정을 하는 것을 가능토록 한다. 따라서, 디스턴스를 높이는 일없이 보다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재생전용 기록 매체를 사용한다. 재생전용 기록 매체의 경우에 있어서는 디펙트 섹터를 교체하는 처리는 없으므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다른 기록 단위에 부가하여 에러 정정시의 처리 시간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 각각 생성된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이 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부가되고,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 각각 생성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으로 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 이외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대해서 부가됨으로써 생성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형성되는 제 1 의 기록 매체와,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 생성된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와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 생성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으로 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부가되어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형성되는 제 2 의 기록 매체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제 1 및 제 2 의 기록 매체에서 기록 단위로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이 상기 제 1 의 기록 매체라고 검출한 때에는 재생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거해서 검출 정정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검출 정정이 가능한 때는 검출 정정을 하고 검출 정정이 불능인 때는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고 소실 정보 및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소실 정정을 하고, 식별 수단이 제 2 의 기록 매체로 판단된 때에는 재생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거해서 검출 정정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검출하고 검출 정정이 가능한 때는 검출 정정을 하고, 검출 정정이 불가능한 때는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고 소실정보 및 제 1 의 에러 정정을 사용해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소실 정정을 하고 에러 정정 수단으로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검출 정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소실 정보를 얻고, 이 소실 정보와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소실 정정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액세스 속도를 저하시키는 일없이 또는 디스턴스를 올리는 일없이 에러 정정 능력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서 각각 생성된 제 1의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이 되는 소정량 으로 되는 데이타에 부가되고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 각각 생성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이 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 이외의 소정량으로 형성되는 데이타에 부가됨으로써 생성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형성되는 기록 매체이다. 이 기록 매체를 사용함으로써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로 검출 정정이 불능으로 된 경우에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다시 에러 정정 처리를 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있어서 어떤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한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는 기록 위치의 다음의 기록 위치에 제 1 의 에러 정정 부호와 관련하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다. 이에 따라 어떤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하기 위해 이 데이타의 기록 위치의 다음 기록 위치에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판독 출력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에러 정정 처리에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액세스 속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있어서 일련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있어서 최후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에 관해서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로서 식별 데이타가 부가되어서 형성된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최후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임을 인식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최후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대한 처리를 적절히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한 바에 있어서 일련의 소정량의 되는 데이타에 있어서 선두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해서는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로서 식별 데이타가 부가되어 구성된다. 이에 따라 선두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임을 인식시키는 일을 가능토록 한다. 따라서 선두의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대한 처리를 적절히 행할 수가있다.
또한, 상술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는 그 기록 단위에 포함되는 소정량으로 된 데이타에 관한 에러 체크 부호가 포함된다. 이에 따라 에러 체크 부호에 의한 에러 체크를 가능케 한다. 따라서 보다 에러 검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상술한 바에 있어서, 판독출력 전용의 기록 매체를사용한다. 재생 전용 기록 매체의 경우에 있어서는 디펙트 섹터를 교체하는 것과 같은 처리는 없으므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다른 기록 단위에 부가해 두는 것으로 에러 정정시의 처리 시간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 데이타 기록 방법, 데이타 재생 방법 및 기록 매체의 실시 형태의 설명은 다음에 표시하는 항목 설명을 각 항목의 선두에 기재하고 각 항목에 대해서 다음에표시하는 순서로 설명한다.
※ 제 1 의 실시 형태
A.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제 1도)
B. 제 1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콘트롤러의 구성(제 2도)
C. 제 2 도에 도시한 드라이브 콘트롤러의 구성(제 3 도)
D. 광디스크의 포맷의 설명(제 4 도)
E. 제 4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의 구체적인 포맷의 설명 (제 5 도)
F. 제 4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의 섹터 포맷의 설명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
G.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의 데이타에 대한 8 행 패턴의 경우의 패리티의 대응 설명 (제 7 도)
H. 섹터내의 특정 영역에 1 개 앞의 섹터에 대한 패리티를 기록하는 방법의 설명(제 8도)
I. 제 8 도에 도시한 특정 영역의 설명(제 9 도) J.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의 데이타에 대한 8 행 패턴의 경우에 패리티의 대응하는 설명 (제 10도)
K. 재생시의 동작 설명(제 11 도∼제 13 도) ※ 제 2 의 실시 형태
※ 제 2 의 실시 형태
L.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의 데이타에 대한 7행 - 8행 - 7행 패턴의 경우의 패리티의 대응하는 설명(제 14 도)
※ 제 3 의 실시 형태
M.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의 데이타에 대한 7 행-8행-7 행 패턴의 경우의 패리티의 대응하는 설명(제 15 도)
※ 변형예
N. 부가 섹터의 1 개 앞의 섹터의 데이타의 제 2의 ECC로서의 패리티를 부가 섹터의 특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 기록하는 경우의 설명
0. 부가 섹터의 데이타 영역에 모든 섹터의 데이타의 단순 패리티를 기록하는 경우의 설명
P. 패리티 P1∼P36 에 대해서 패리티 Q1∼Q4 를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
Q. 특정 영역의 전체 데이타에 대해서 패리티를 부여하는 경우의 설명
R. 처리의 완결을 블록이나 클러스터(cluster)로 하는 경우의 설명
S. 홀수 섹터 및 짝수 섹터간에서 제 2ECC 로서의 패리티를 서로의 특정 영역에 기록하는 경우의 설명
[제 1 의 실시 형태]
A.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제 1 도)
제 1 도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광자기 디스크 및 추기형 디스크에 대한 데이타의 기록 및 데이타의 재생, 판독 전용의 광디스크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 기록 및 판독 가능 영역과 판독 전용 영역으로 되는, 소위 부분형(partial) ROM 의 기록 및 판독 가능 영역에 대한데이타의 기록 및 판독 및 판독 전용 영역으로부터의 데이타의 판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접속 및 구성]
제 1 도에 있어서 드라이브(1)는 광디스크(4)에 대한 데이타의 기록, 광디스크(4)로부터의 데이타의 재생을 하는 것이다. 드라이브 콘트롤러(2)는 이 드라이브(1)를 제어하는 것이다. 드라이브(1)는 드라이브 콘트롤러(2)의 SCSI(Small Computer Systems Interface) 전용의 입출력 단자 io1 을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3)에 접속된다. 그래서 드라이브(1)는 드라이브 콘트롤러(2)를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3)에 의해 액세스된다.
여기에서 광디스크(4)로서는 광자기 디스크, 상변화형의 광디스크, 추기형 디스크, 기록 가능 영역(RAM)과 판독 전용 영역(ROM)을 갖춘 부분형 디스크, 판독 전용의 광디스크 등이 사용 가능하다.
드라이브(1)는 광디스크(4)를 로딩하기 위한 로딩 기구(5), 로딩 기구(5)에 의해 로딩된 광디스크(4)를 회전시키기 위한 스핀들 모터(6), 이 스핀들 모터(6)를 구동하는 드라이버(7), 광학 블록(8), 이 광학 블록(8)의 레이저 다이오드 (13)를 구동하는 드라이버(14), 이 광학 블록(8)으로부터의 재생 신호등을 I-V(전류/전압)변환하고, 그 전압을 복수의 시스템 공급하는 I-V/매트릭스 앰프(16), 광디스크(4)에 자계를 부여하기 위한 자기 헤드(17) 및 이 자기 헤드(17)를 구동하기 위한 드라이버(18)로 구성이 된다. 여기에서 I-V/매트릭스 앰프 (16)는 후술하는 광학 블록(8)의 포토 검출기(15)로부터의 다수의 출력을 조합시킴으로써 RF 신호 및 MO(광자기) 신호를 얻는다.
광학 블록(8)은 광디스크(4)에 레이저 다이오드(13)로부터의 레이저광을 조사시킴과 함께 광디스크(4)로 반사된 반사광을 포토 검출기(15)에 입사시키기 위한 렌즈계(9), 광학 블록(10)을 광디스크(4)의 지름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슬라이드 모터(10), 갤버노(galvano) 모터(11), 포커스용의 포커스 액추에이터(12), 레이저 다이오드(13)로 구성된다.
이 자기 헤드(17)의 구동용의 드라이버(18)는 입력 단자 (lil)를 거쳐서 드라이브 콘트롤러(2)의 출력 단자(2o1)에서 접속된다. 레이저 다이오드(13)의 구동용 드라이버(14)는 입력 단자(1i2 및 1i3)를 각각 거쳐서 드라이버 콘트롤러(2)의 출력 단자(2o2 및 2o3)에 접속된다. I-V/매트릭스 앰프(16)는 출력 단자(1o1,1o2, 1o3, 1o4, 1o5)를 각각 거쳐서 드라이브 콘트롤러(2)의 입력 단자(2i1, 2i2, 2i3, 2i4, 2i5)에 접속된다. 포커스 액추에이터(12)는 입력 단자(1i4)를 거쳐서 드라이브 콘트롤러(2)의 출력 단자(2o4)에 접속된다. 갤버노 모터 (11)는 입력 단자(1i5)를 거쳐서 드라이브 콘트롤러(2)의 출력 단자(2o5)에 접속된다. 슬라이드 모터(10)는 입력 단자(1i6)를 거쳐서 드라이브 콘트롤러(2)의 출력 단자(2o6)에 접속된다. 스핀들 모터(6)의 드라이버(7)는 입력 단자(1i7)를 거쳐서 드라이브 콘트롤러(2)의 출력 단자(2o7)에 접속된다. 로딩 기구(5)는 입력 단자(1i8)를 거쳐서 드라이브 콘트롤러(2)의 출력 단자(2o8)에 접속된다.
[동작]
명령 및 데이타의 수수를 위한 처리는 드라이브 콘트롤러 (2)에 의해 행해진다. 기록시에 있어서 드라이브 콘트롤러(2)는 호스트 컴퓨터(3)로부터의 데이타에 대해 CRC 나 에러 정정 코드 등을 부가해서 드라이브(1)에 전송하고 재생시에 있어서 드라이브 콘트롤러(2)는 드라이브(1)로부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하고 유저 부분만을 호스트 컴퓨터(3)로 전송한다. 데이타의 기록시 및 데이타의 재생시에 있어서 드라이브(1)의 서보 시스템 및 각 블록에 대한 지령은 드라이브 콘트롤러(2)에 의해 행해진다.
B. 제 1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의 드라이브 콘트롤러의 구성(제 2도)
제 2 도는 제 1 도에 도시하는 드라이브 콘트롤러(2)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접속 및 구성]
제 2 도에 있어서 입출력 회로(31)는 버스(43)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 처리 회로(53)에서 공급되는 레이저 다이오드(13)의 바이어스 데이타를 D-A 컨버터(32)및 출력 단자(2o2)를 거쳐서 제 1 도에 도시한 드라이버(18)에 공급한다. 셀렉터/클램프 회로(33)는 입력 단자(2i1 및 2i2)를 각각 거쳐서 제 1 도에 도시한 I-V/매트릭스 앰프(16)에서 공급되는 출력을 후술하는 서보계 타이밍 제너레이터(40)로부터의 타이밍 신호에 의거해서 선택하고, 이 선택 출력을 클램프 한다. A-D 컨버터(34)는 셀렉터(41)로부터의 선택된 서보 시스템 클럭 신호 또는 데이타 시스템 클럭 신호에 의거해서 셀렉터/클램프 회로(33)로부터의 출력을 디지털 데이타로 변환한다. 데이타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4)는 서보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9)로부터의 서보 시스템 클럭 신호에 의거해서 데이타 시스템 클럭 신호를 생성한다. 데이타 시스템 타이밍 제너레이터(36)는 데이타 시스템 클럭 신호에 의거해서 데이타 시스템 타이밍 신호를 발생한다. 데이타 위상 제어 회로(37)는 A-D 컨버터(34)로 부터의 재생 데이타 중에서 추출한 위상의 기존 데이타에 의거해서 데이타 시스템 클럭 발생 회로(35)로부터의 데이타 시스템 클럭 신호의 위상을 제어해서 판독/기록(R/W) 회로 (38)로 판독할 때의 클럭으로서 공급하고 판독/기록 회로 (38)로부터의 기록 위치 제어 신호의 위상을 제어하여 출력 단자 (2o1)를 거쳐서 출력한다.
판독/기록 회로(38)는 재생시에 있어서는 콘트롤러 (44)로부터의 요구 신호에 의해 데이타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5)로부터의 데이타 시스템 클럭 신호, 데이타 시스템 타이밍 제너레이터(36)로부터의 데이타 시스템 타이밍 신호에 의거해서 A-D 컨버터(34)의 출력을 콘트롤러(44)에 공급하고 인식(acknowledge)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이 판독/기록 회로 (38)는 기록시에 있어서는 콘트롤러(44)로부터의 데이타를 출력 단자(2o1) 및 제 1 도에 도시한 입력 단자(1i1)를 거쳐서 드라이버(18)에 공급한다.
서보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9)는 A-D 컨버터(34)의 출력에서 서보 시스템 클럭 신호를 생성하고, 이 서보 시스템 클럭 신호를 서보 시스템 타이밍 제너레이터(40), 셀렉터(41) 및 어드레스 디코더(42)에 각각 공급한다. 서보 시스템 타이밍 제너레이터(40)는 서보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9)로부터의 서보 시스템 클럭 신호에 의거해서 서보 시스템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고 이 서보 시스템 타이밍 신호를 셀렉터(41), 어드레스 디코더(42) 셀렉터/클램프 회로(33)에 각각 공급하는 외에출력 단자(2o3) 및 제 1 도에 도시한 입력 단자(1i3)를 거쳐서 레이저 다이오드(13)의 드라이버(14)에 공급한다.
멀티플렉서(45)는 제 1 도에 도시한 I-V/매트릭스 앰프(16)로부터 입력 단자(2i3, 2i4 및 2i5)를 각각 거쳐서 공급되는 프론트 APC(Automatic Power Control)신호, 포커스 에러 신호 및 쓰루인 신호를 A-D 컨버터에 공급한다. 입출력 회로(47)는 A-D 컨버터(46)의 출력을 버스(43)를 거쳐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에 공급한다. PWM(펄스폭 변조) 회로(48)는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에서 버스(43)를 거쳐서 공급되는 광학 블록(8)의 구동용의 데이타를 변조한다.
드라이버(49)는 출력 단자(2o4) 및 제 1 도에 도시한 입력 단자(1i4)를 거쳐서 포커스 액추에이터(12)에 접속된다. 드라이버(49)는 제 1 도에 도시한 포커스 액추에이터(12)를 구동한다. 드라이버(50)는 출력 단자(2o5) 및 제 1 도에 도시한 입력 단자(1i5)를 거쳐서 갤버노 모터(11)에 접속된다. 드라이버(50)는 제 1 도에 도시한 갤버노 모터(10)를 구동한다. 드라이버(51)는 출력 단자(2o6) 및 제 1 도에 도시한 입력 단자(1i6)를 거쳐서 슬라이드 모터(10)에 접속된다. 드라이버(51)는 제 1 도에 도시한 슬라이드 모터(11)를 구동한다.
입출력 회로(52)는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출력 단자(2i6) 및 제 1 도에 도시한 드라이버 (7)를 거쳐서 스핀들 모터(6)에 공급한다.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굵은 실선으로 표시하는 버스를 거쳐서 콘트롤러(44)에 접속된다. 그래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버스 (53)를 거쳐서 각 블럭의 제어나 구동 처리를 한다.
[동작]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광디스크(4)가 로딩 기구(5)에 의해 스핀들 모터(6)에 장착된 상태에서 호스트 컴퓨터(3)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혹은 자동 스핀업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광디스크(4)가 로딩 기구(5)에 의해 로딩 되면 입출력 회로(52)를 거쳐서 드라이버(7)에 대해 스핀들 모터(6)를 회전 구동하도록 지시를 낸다.
드라이버(7)는 스핀들 모터(6)가 소정의 회전수로 되면 록(lock) 신호를 출력하고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에 대해 스핀들 모터(6)의 회전이 안정된 것을 통지한다. 이 사이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PWM 회로(48)를 거쳐서 드라이버(51)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13)로부터의 레이저 빔을 광디스크(4)의 유저 영역밖에 위치시키도록 함과 함께 드라이버(51)에 의해 광학 블록(8)을 광디스크(4)의 외주 또는 내주 쪽으로 이동시킨다.
유저 영역에서 포커스의 끌어들이면 감도가 높은 디스크의 데이타를 착오로 소거해 버릴 가능성이 있으나, 유저 영역 외에 광학 블록(8)을 이동시켜 그것의 유저 영역 밖에서 포커스의 끌어들임으로써, 이와 같은 잘못된 소거를 방지할 수가있다.
스핀들 모터(6)가 일정 속도에서의 회전으로 되고 광학 블록(8)이, 예를 들면 외주 쪽으로 이동하면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입출력 회로(31) 및 D-A 컨버터(32)를 거쳐서 드라이버(14)에 대해 광학 블록(8)에 설치되어 있는 레이저 다이오드(13)의 바이어스 전류를 설정하고 레이저 다이오드 (13)의 온, 오프를 제어하는 서보 시스템 타이밍 제너레이터 (40)에 레이저를 발광하도록 명령을 출력한다.
레이저 다이오드(13)에서 사출된 레이저 빔은 광학 블록(8)에 설치되어 있는 포토 검출기(15)에 입사되고 이 포토 검출기(15)에 의해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검출 출력으로서 I-V/매트릭스 앰프(16)에 공급되어서 전압으로 변환되고 프론트 APC신호로서 멀티플렉서(45)에 공급된다.
이 프론트 APC 신호는 멀티플렉서(45)에 의해 시분할 적으로 선택된 신호로서 A-D 컨버터(46)에 의해 디지탈화되고 입출력 회로(47) 및 버스(43)를 거쳐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 (53)에 공급된다.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디지탈화된 프론트 APC 신호에 의해 레이저 다이오드(13)에서 출사되는 레이저 빔의 광량을 인식하고 도시하지 아니한 디지탈 필터에 의해 계산되는 광량 제어 데이타를 입출력 회로(31) 및 D-A 컨버터(32)를 거쳐서 드라이버(14)에 귀환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13)의 파워가 일정해지도록 제어한다.
다음에,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PWM 회로(48)에서 드라이버(49)에 전류를 통함으로써 광학 블록(8)의 포커스 액추에이터(12)를 상하방향으로 구동해서 포커스 액추에이터 (12)를 포커스 서보 상태로 한다. 이때 광디스크(4)로 반사된 레이저 빔은 포토 검출기(15)의 수광면에 입사한다. 포토 검출기(15)로 수광된 레이저 빔은 전기 신호로 변환되고 검출 출력으로서 I-V/매트릭스 앰프(16)에 공급되고 이 I-V/ 매트릭스 앰프(16)에 의해 전압으로 변환되고 증폭된 후에 포커스 에러신호로서 출력되고 멀티플렉서(45)에 공급된다.
이 포커스 에러 신호는 프론트 APC 신호와 같이 멀티플렉서(45)에 의해 시분할적으로 선택된 신호로서 A-D 컨버터(46)에 의해 디지탈화되고 입출력 회로(47) 및 버스(43)를 거쳐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에 공급된다.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디지탈화된 포커스 에러 신호에 대해서 디지탈적으로 필터 처리를 실시해서 얻어지는 포커스 제어 데이타를 PWM 회로(48)에서 드라이버(49)에 귀환함으로써 포커스 제어용의 서보 루프를 구성한다. 포커스 제어가 안정되면 포토 검출기(15)에서 출력되고 I-V/매트릭스 앰프 (16)를 거쳐서 얻어지는 RF 신호는 그것의 진폭이 어느 정도 일정해져 셀렉터/클램프 회로(33)에 의해 소정의 전위로 클램프 된 후 A-D 컨버터(34)에 의해 디지탈화된다.
이때의 클럭은 서보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9)의 프리 런 상태의 주파수로 된다. 클램프를 행하기 위한 타이밍 펄스도 이 프리 런의 주파수를 소정의 값으로 분주한 신호가 사용된다.
서보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9)는 A-D 컨버터(34)로 디지탈화된 RF 신호의 진폭차를 통해 광디스크(4) 위에 형성된 핏트(pit)의 패턴을 체크하고 서보 영역의 핏트열과 같은 패턴을 찾는다. 그래서 서보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9)는 패턴이 보이면 다음의 패턴이 보이면 다음의 패턴이 나타나야 하는 위치에 윈도우를 열도록 클럭 셀렉터(41)를 제어하고 거기에서 재차 패턴이 일치하는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이 동작이 어떤 일정한 회수 연속해서 확인되면, 서보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9)는 광디스크(4)의 핏트의 패턴에 록킹(lock)한 것으로 간주한다. 위상 정보는 서보 영역내의 워블 핏트의 양어깨의 진폭차를 취함으로써 얻는다. 다시 2 개의 워블 핏트의 양편에서 얻어진 위상 정보를 가산함으로써 트랙킹 위치에 의한 진폭 변화로부터 생기는 계인 변동을 흡수하고 있다.
서보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9)가 록킹하면 세그먼트 단위의 위치가 명확해지고 광디스크(3)위에 형성된 세그먼트 마크 핏트의 위치도 인식할 수 있도록 되고 세그먼트 마크 핏트, 어드레스 마크 핏트, 섹터 플래그 1 핏트 및 섹터 플래그 2 핏트에 대해서 소정의 복수의 위치 Ar1, Ar2, Ar3 및 Ar4 로 샘플링된 RF 신호내에서 최대 진폭으로 되는 위치를 찾는다.
그 결과가 Ar1 인 때에, 어드레스 마크로서 이 세그먼트가 어드레스 세그먼트이고 프레임의 선두를 인식할 수가 있으므로 프레임 카운터를 클리어 함으로써 프레임 동기를 취할 수가 있다. 1 프레임이 14 세그먼트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는 14 세그먼트마다 윈도우를 열도록 클럭 셀렉터(41)를 제어하고 어드레스 마크로서 연속해서 인식될 때 에 프레임 동기가 록킹된 것으로 판단한다.
프레임 동기가 걸리면 광디스크(4)위의 어드레스의 기록되어 있는 위치가 인식되므로 어드레스 디코더(42)에 의해 트랙 어드레스 및 프레임 코드의 디코드를 행한다. 이 어드레스 디코더(42)에서는, 4 비트씩 그 그룹화 되어 있는 패턴을 그 레이코드 테이블과 일치를 관찰함에 의해 디코드가 행해진다. 단, 4 비트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그레이코드화 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일치를 관찰하는 것이 아니고 상위 4 비트내의 LSB 가 「1」 인가 「0」 인가에 의해 반전한 테이블과의 비교를 한다.
여기에서, 최초로 디코드된 프레임 코드를 프레임 카운터에 로드해서 이 프레임 카운터를 프레임마다 증가시켜서 얻어지는 수치와 실제로 재생된 프레임 코드를 비교해서 연속해서 일치하는 것을 확인한 때에 회전 동기가 걸린 것으로 한다. 이후 프레임 카운터에 의해 얻어지는 수치를 프레임 코드로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에 되돌려줌으로써 디펙트 등이 다소 있어도 프레임 위치를 잘못 인식하지 아니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앞의 그레이코드화된 트랙 어드레스를 읽으면서 광학 블록(8)의 속도를 연산하고 PWM 회로(48)에서 드라이버(51)를 거쳐서 광학 블록(8)의 슬라이드 모터(10)를 제어함으로써 광학 블록(8)을 광디스크(4)위의 목적의 트랙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광학 블록(8)의 위치가 목적하는 트랙의 위치로 되면 트랙킹 동작으로 들어간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트랙킹 에러 신호는 서보 영역에 있는 2개의 워블 핏트에 대한 RF 신호의 진폭치의 차분을 취함으로써 얻어진다.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이 값을 디지탈적으로 필터 처리를 실시해서 얻어지는 트랙킹 제어 데이타를 PWM 회로 (48)에서 드라이버를 거쳐서 광학 블록(8)의 갤버노 모터 (11)를 제어하고 다시 레이저 다이오드(13)로부터의 레이저범의 스폿(spot)이 광디스크(4)의 트랙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트랙킹 제어를 한다.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이와 같이 트랙킹을 건 상태에서 목적하는 섹터의 선두 위치를 검출한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각 섹터의 선두가 되는 세그먼트와 그것의 1 개 앞의 세그먼트에는 섹터 마크가 있고 각 섹터 마크는 4 개의 위치Ar1, Ar2, Ar3 및 Ar4 에 윈도우를 열도록 셀렉터(14)를 제어하고 이 4 개의 위치 Ar1, Ar2, Ar3 및 Ar4 에서 샘플링된 RF 신호중에서 최대 진폭으로 되는 위치가 위치 Ar2 인 때에 섹터의 선두 세그먼트임을 표시하고 위치 Ar3 인 때에 섹터의 선두의 1 개 전의 세그먼트임을 표시한다. 기본적으로 섹터의 선두를 이루는 세그먼트는 호스트 컴퓨터(3)에 의해 주어지는 섹터 어드레스에 대해서 물리 섹터로 변환하고 그것의 섹터가 어느 트랙의 몇 번째의 세그먼트인가를 섹터 마크가 동시에 디펙트로 되는 확률은 매우 적고 이에 의한 불량 섹터의 발생 확률은 매우 작다.
또한, 데이타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5)는 서보 시스템 클럭 생성 회로(39)에서 얻어지는 프레임 동기가 걸린 서보 클럭을 M/N 배한 데이타 클럭을 생성하고 이 데이타 클럭을 데이타 시스템 타이밍 제너레이터(36) 및 판독/기록 회로 (38)에 각각 부여한다.
기록 동작 모드시에는, 호스트 컴퓨터(3)에서 기록 데이터가 콘트롤러(44)를 거쳐서 판독/기록 회로(38)에 공급된다. 그래서 판독/기록 회로(38)는 기록 데이타에 대해 예를 들자면 127 주기의 난수를 가산(배타적 논리화) 함으로써 Y = X7+ X + 1 에 따라서 스크램블 처리를 섹터 단위로 행하고, 스크램블된 기록 데이타를 데이타 클록킹 동기한 NRZI 계열의 데이타로 변조한다. 이 때, 각 세그먼트마다 초기치를 「0」으로 하고 그것의 변조 신호를 드라이버(18)를 거쳐서 자기 헤드(17)에 공급한다.
자기 헤드(17)는 변조 신호에 의한 자계를 발생하고 이 자계를 레이저 다이오드(13)가 사출하는 레이저 빔에 의해 큐리 온도까지 가열된 광디스크(4)의 데이타 영역에 부가함으로써 NRZI 계열의 데이타를 기록한다. 또한, 재생 동작 모드시에는 포토 검출기(15)에 의한 검출 출력에서 I-V/매트릭스 앰프(16)에 의해 얻어지는 MO 신호 또는 RF 신호가 셀렉터/클램프 회로(33)에 의해 소정의 전위에 플램프된후 A-D 컨버터(34)에 의해 디지탈화되어서 판독/기록 회로(38)에 공급된다. 그래서 판독/기록 회로(38)는 A-D 컨버터(34)에 의해 디지탈화된 재생 신호에 대해서 부분 응답에 맞추는 디지탈 필터 처리를 실시하고서 비터비 복호에 의해 NRZI 계열의 데이타를 재생한다. 그래서 이 NRZI 계열의 데이타를 세그먼트 단위로 NRZ 계열의 데이타로 변환후 섹터 단위로 디스크램블하여 재생 데이타로 변환하고 이 재생 데이타를 콘트롤러(44)를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3)로 전송한다.
또한, MO 신호와 RF 신호는 포토 검출기(15)로부터의 다수의 출력중 다른 조합으로 연산된 결과 얻어지는 것이다.
C, 제 2도에 도시한 드라이브 콘트롤러의 구성(제 3도)
제 3도는 제 2도에 도시한 콘트롤러(44)의 구성예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접속 및 구성]
제 3 도에 도시하는 콘트롤러(44)는 CPU(60)에 어드레스 데이타 및 콘트롤 버스가 되는 버스(61)가 접속되고, 이 버스 (61)에 재생 동작시에 있어서 처리를 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 데이타나 파라미터 데이타 등이 기억되어 있는 ROM(62), ROM(62)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 데이타 등의 작업용의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63), 입출력 포트(64), 재생된 데이타에 대한 에러 정정이나 에러 체크를 하는디코더(67), 호스트 컴퓨터(3)에서 공급되는 데이타에 대해서 패리티를 생성하고 이 생성된 패리티를 해당 데이타에 부가하기 위한 엔코더(68), 버퍼(70) 및 인터페이스 회로(71)가 접속되어 구성된다.
입력 단자(65)는 제 2 도에 도시한 판독/기록 회로(38) 및 스위치(66)의 가변 접점(66c)에 각각 접속된다. 이 스위치(66)의 한편의 고정 접점(a) 는 디코더(67)의 입력 단자에 접속되고 스위치(66)의 다른 편의 고정 접점(b)은 인코더(68)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디코더(67)의 데이타용의 출력 단자는 스위치 (69)의 한편의 고정접점(a) 에 접속된다. 인코더(68)의 입력 단자는 스위치(69)의 다른 편의 고정접점(b)에 접속된다. 이 스위치(69)의 가변 접점(c)은 버퍼(70)의 입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또한, 버퍼(70)의 입출력 단자는 인터페이스 회로(71)의 입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이 인터페이스 회로(71)의 입출력 단자는 입출력 단자(io1)를 거쳐서 제 1도에 도시한 호스트 컴퓨터(3)의 입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여기에서, 디코더(67)는 스위치(66)를 거쳐서 공급되는 재생 데이타에 대해서 제 1 의 ECC 를 사용해서 에러 검출을 하고 검출한 에러수가 에러의 정정이 안되는 수가 되었을 때 및 CRC를 사용해서 에러 체크를 하고 에러가 검출된 때에는 다시 제 2 의 ECC를 사용한 에러 검출 처리를 한다.
디코더(67)는 RAM(67a 및 67b)과 이 RAM(67a 및 67b)에 기록된 재생 데이타를 제어함으로써 LDC 에 의한 에러 정정 처리 CRC 에 의한 에러 체크, 이들의 정정이나 체크가 불능으로 되는 버스트 에러 발생시에 2nd ECC 에서 에러 검출을 하는RAM 콘트롤러(67c)로 구성된다. 이하, 2nd ECC 를 사용한 에러 검출을 「에러 체크」라 칭한다. 여기에서 RAM(67a 및 67c)은 각각 재생 데이타를 기억하기 위한 1 섹터분(본 예에 있어서는 2352 바이트라 함)의 용량과 후술하는 에러 검출 처리나 에러 정정 처리에 있어서 생성되는 각종 데이타의 기억용의 용량과의 합계의 용량을 갖는다.
이 디코더(67)의 출력은 스위치(69)를 거쳐서 버퍼(7)에 공급된다. 여기에서 2nd ECC 란 기록중의 섹터의 데이타로 생성한 ECC 의 패리티중 해당 섹터의 다음의 섹터의 소정 영역에 기록된 패리티이다. 그래서 이 2nd ECC 는 디코드 시에 어떤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1st ECC 로서의 패리티에 의한 에러 정정이 불가능한 경우나 CRC 에 의한 에러 체크를 하였을 때에 에러가 발생한 것이 검출된 경우 해당 섹터의 데이타의 에러의 위치의 검출용에 사용되는 패리티이다.
인코더(68)는 제 3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 1 섹터 분의 기억 용량을 갖는 RAM(68a 및 68b)과 RAM(68a 및 68b)에 각각 기록한 입력 데이타를 제어함으로써 1st ECC 로서의 패리티의 생성, CRC 의 패리티의 생성, 2nd ECC로서의 패리티의 생성 이들의 패리티의 부가를 행한다. 단 인코더(68)는 어떤 섹터의 유저 데이타에 대해서 생성한 2nd ECC 로서의 패리티만을 다음의 섹터의 유저 데이타에 부가한다.
인코더(68)는 호스트 컴퓨터(3)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에 대해 패리티를 각각 부가함과 함께 1 개 앞의 섹터의 2nd ECC로서의 패리티를 부가한다. 또한, 제 1도에 도시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있어서 체크용의 패리티나 에러 정정용의 패리티를 기록할 수가 있는 것은 광자기 디스크, 추기형 디스크 및 부분형 디스크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이다. 따라서, 판독 전용의 광디스크나 분할 디스크의 판독 전용 영역의 경우에는 패리티는 디스크의 제조시에 기록된다.
입출력 포트(64)에 접속되는 입출력 단자(72)는 제 2도에 도시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의 버스(43)에 접속된다. 출력 단자(73)는 제 2 도에 도시한 판독/기록 회로(38)의 인식 신호용의 입력 단자에 접속된다. 입력 단자 (74)는 제 2도에 도시한 판독/기록 회로(38)의 리퀘스트 신호의 출력 단자에 접속된다.
[동작]
먼저 광디스크(4)에 대해서 호스트 컴퓨터(3)에서 전송된 데이타를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경우, CPU60 은 입출력 포트(64)를 거쳐서 스위치(66 및 69)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스위치(66 및 69)의 가동 접점 c 를 각 고정접점 b 에 접속시킨다. 이에 따라, 호스트 컴퓨터(4)로부터 전송되는 기록 데이타는 버퍼(70)로부터 판독 출력된 후에 스위치(69)를 거쳐서 인코더(68)에 공급되고 이 인코더(68)에 의해 에러 검출, 에러 정정을 위한 부호가 부가된 후에 스위치(66) 및 출력 단자(65)를 거쳐서 제 2 도에 도시한 판독/기록 회로(38)에 공급되는 광디스크(4)의 유저 영역에 기록된다.
이때, 인코더(68)는 RAM(68a)에 기억된 어떤 섹터(N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패리티의 부가를 행하고 기록을 위한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서 그 N 섹터의 데이타를 스위치(63)를 거쳐서 입출력 단자(65)에 공급함과 함께 그 뜻을 표시하는 신호를 입출력 포트(64 및 61)를 거쳐서 CPU(60) 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CPU(60)은제 2 도에 도시한 판독/기록 회로(38)에 대해서 기록을 하도록 지시함과 함께, 다음의 입력 데이타를 받아들이기 위해 버퍼(70) 및 인터페이스(7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N 섹터의 전체 데이타는 드라이브(1)에 공급되고 광디스크(4)에 기록된다. 그래서, 이 사이, 다음의 입력 데이타가 다음의 섹터(N+1 섹터)의 데이타로서 RAM(68b) 에 기록된다.
다음에 재생시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CPU(60)은 입출력 포트(64)를 거쳐서 스위치(66 및 69)에 스위칭 제어 신호를 각각 공급하고 스위치(66 및 69)의 각 가변 접점(c)을 고정접점(a)에 접속시킨다. 이에 따라 광디스크(4)에서 읽어내고 판독/기록 회로(38), 입출력 단자(65) 및 스위치(66)를 거쳐서 공급되는 재생 데이타는 디코더(67)에 공급되고, 이 디코더(67)에 있어서 에러 검출 및 에러 정정 처리가 실시된 후에 스위치(69), 버퍼(70), 인터페이스 회로(71) 및 입출력 단자(io1)를 거쳐서 제 1 도에 도시한 호스트 컴퓨터(3)에 공급된다.
이때 디코더(67)는 RAM(67a)에 기억된 N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 1st ECC 로서의 패리티에 의한 에러 정정 CRC 의 패리티에 의한 에러 체크, 다시 버스트 에러 등이 발생해서 에러의 정정이 불능으로 된 경우에 RAM(67b)에 기억되어 있는 N+1 섹터의 데이타 중에서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판독하고 해당 2nd ECC 의 패리티에 의해 에러의 위치를 검출한다. 그래서 디코더 (67)는 에러의 위치를 인식한 위에서 다시 1st ECC로서의 패리티에 의한 에러 정정을 행하여 N 섹터의 데이타를 정정하고 다음에 CRC 의 패리티에 의한 에러 체크를 행한다.
디코더(67)는 이상으로 설명한 재생 처리가 종료한 시점에서 N 섹터의 데이타를 출력함과 함께 재생 처리가 종료한 것을 표시하는 신호를 입출력 포트(64) 및 버스(61)를 거쳐서 CPU60 에 공급한다. 이에 따라, CPU(60)은 제 2 도에 도시한 판독/기록 회로(38)에 대해서 다음의 섹터의 재생을 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따라 N 섹터의 전체 데이타는 버퍼(70)에 공급된다. 이어서 광디스크(4)에서 판독된 N+2 섹터의 재생 데이타가 RAM(67a)에 공급된다.
또한, 제 1 도∼제 3 도에 도시하는 광디스크 드라이브는 판독 전용의 광더스크와, 부분형 디스크 등의 기록가능한 영역을 갖는 디스크와, 판독 전용 영역의 외에 기록이 가능한 영역을 갖는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와, 추기형 디스크 등의 판독 전용 영역만을 갖는 디스크나 기록 전용 영역 외에 판독 가능한 영역을 갖는 디스크의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가 있다.
D. 광디스크의 포맷의 설명(제 4도)
제 4도는 본 발명 기록 매체가 적용되는 광디스크의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 4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디스크(4)위에 그것의 가장 외주에서 가장 내주로 향해서 디스크종별 데이타 등이 기록되는 GCP(그레이·코드·파트) 영역,CTL(콘트롤) 영역, TEST (테스트) 영역, BAND(밴드) 0∼BAND15 의 데이타 영역, TEST 영역, CTL(콘트롤) 영역, GOP 영역이 설정된다. 또한, GCP 영역은 부가 정보나 어드레스 정보가 기록되는 영역에서 핏트 패턴이 그레이코드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GCP 영역의 정보는 탐색시에 있어서도 판독이 가능하다. 또한, CTL 영역은 매체 타입을 표시하는 정보 등이 기록되는 영역 TEST 영역은 시험 기록을하기 위한 영역이다.
E. 제 4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의 구체적인 포맷의 설명 (제 5 도)
제 5 도는 제 4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의 구체적인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제 5 도에 있어서 가장 상위 칸의 GCP 영역이 제 4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4)의 가장 외주의 GCP 영역에 대응하고 다음 순서에 위의 상위 칸으로부터 아래의 칸까지가 제 4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4)의 가장 외주에서 가장 내주의 각 영역에 각각 대응한다.
또한, 본 예에 있어서는 존(zone) CAV 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을 하므로 제 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데이타 클럭은 존마다 다르다.
F. 제 4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의 섹터 포맷의 설명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도)
제 6A도, 제 6B 도 및 제 6C 도는 섹터 포맷의 한 예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즉,제 6A도, 제 6B도 및 제 6C도에 의해 1섹터의 내용을 도시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4)가 광자기 디스크나 추기형 디스크의 경우나 기록을 하는 경우에 부분형 디스크의 기록 가능 영역의 경우에 있어서는 다음에 표시하는 섹터 포맷을 구성하는 각 데이타는 제 1 도에 도시한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기록되고, 광디스크 (4)가 판독 전용의 광디스크의 경우나 기록을 하는 경우에 부분형 디스크의 기록 가능 영역의 경우에 있어서는 다음에 도시하는 섹터 포맷을 구성하는 각 데이타는 디스크의 제조시에 기록된다.
제 6A도, 제 6B도 및 제 6C 도에 있어서 i 는 코드 워드(도면에 있어서는행)를 도시하고, j 는 각각 바이트를 도시하고 실선의 화살표는 기록방향을 도시하고 DO∼D2047 로 표시되는 데이타는 유저 데이타를 표시하고 (P1, P2)∼(P35, P36)로 표시되는 데이타는 각각 i = 130∼123, ....i = 10~3 으로 표시되는 유저 데이타 DO-D127, ....D1920~D2047 에 대한 패리티를 표시하고 (Q1, Q2)로 표시되는 데이타는 패리티 P1∼P36 에 대한 패리티를 표시하고 (Q3, Q4)로 표시되는 데이타는 패리티 P1∼P36 및 패리티(Q1, Q2)에 대한 패리티를 표시하고 CRC1∼CRC8 로 표시되는 데이타는 유저 데이타 DO∼ D2047 에 대한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를 표시한다.
또한, (E1, 1)∼(E16, 16)로 표시되는 데이타는 각각 j = 0∼j = 15로 표시되는 유저 데이타 DO∼D2047, 패리티 P1∼P36 및 CRC1∼CRC8 에 대한 리드·솔로몬 부호의 패리티이다. 즉, 패리티(E1, 1)∼(E1, 16)로 형성되는 j = 0 의 패리티는 데이타 DO, D16, ....D2032, 및 j = 0, i = 130~0에 표시되는 데이타에 대한 패리티이다. 또한, 패리티(E2, 1)∼ (E2, 16)가 형성되는 j = 1, i = -1~-16에 표시되는 데이타는 j = 1, i = 130∼0에 표시되는 데이타에 대한 패리티이다.
그 밖의 행에 대해서도 동일한 패리티가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i = 130∼-16 으로 표시되는 각 행의 데이타에 대해 각각 리드·솔로몬 부호를 구성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턴스는 각각 17 이다. 따라서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속해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최대로 8 개까지 에러를 검출하고 정정할 수가 있으나 9 개 이상 연속해서 에러가 발생한 경우 에러의 정정을 할 수는 없다.
거기에서 본 예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i=130, j=0 - i=3, j=15 및i=-1, j=0 ∼ i=-16, j=15 로 표시되는 각 데이타에 대한 에러 체크, 정정용의 2nd ECC 로서의 패리티 P1∼P36 을 생성하고 이것을 재생시에 사용한다.
여기에서 패리티(E1, 1)∼패리티(E16, 16)는 각 세로 방향의 모든 데이타가 147 바이트, 패리티의 대상이 되는 유저 데이타 DO∼D2047 의 각 세로방향의 데이타 거리가 131 바이트, 패리티의 각 세로방향의 데이타 길이가 16 바이트이므로 디스턴스는 17로 된다. 따라서 리드·솔로몬 부호는 (147, 131, 17)이다. 또한, 1 부호어는 1 바이트이다.
여기에서 1 섹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16 바이트 x 147 = 2352 바이트로 된다.
G.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의 데이타에 대한 8 행 패턴의 경우의 패리티의 대응하는 설명 (제 7 도)
제 7 도는 광디스크(4)가 판독 전용 디스크의 경우나 부분형 디스크인 경우(ROM 영역만이)에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 포맷을 채용하였을 때에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데이타나 패리티에 대해 어떻게 패리티 P1∼P36 이 생성되는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 제 7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패리티는 예를 들자면 P1, P2 와 같이 쌍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패리티(P1, P2) ∼(P35, P36)까지는 각각 8 행분의 데이타에 대한 패리티로 되어 있다. 패리티(Q1, Q2)는 패리티 P1∼P36 에 대한 패리티이다. 패리티(Q3, Q4)는 패리티 P1∼P36 및 패리티 Q1 및 Q2 에 대한 패리티이다.
즉, 패리티 P1∼P36 의 생성에 의해 (130, 128, 3)의 리드·솔로몬 부호가 형성되고 패리티 Q1 및 Q2 의 생성에 의해 (38, 36, 3)의 리드·솔로몬 부호가 형성되고 패리티 Q3 및 Q4 의 생성에 의해 (40, 38, 3)의 리드·솔로몬 부호가 형성된다.
H. 섹터내의 특정 영역에 한 섹터 전의 섹터에 대한 패리티를 기록하는 방법의 설명(제 8 도)
제 8 도는 광디스크(4)가 판독 전용 디스크의 경우나 부분형 디스크의 경우(ROM 영역만)에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 포맷에 있어서 각 섹터의 특정 영역에 그것의 섹터의 1 개 앞의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생성된 패리티 P1∼Pn(n은 최대로 40)을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 제 8 도에 있어서 S1∼SN+1 는 각각 섹터 번호를 표시하고 섹터 S1은 일련의 유저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때의 선두 섹터이고, 섹터 SN 은 일련의 유전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때의 최후미의 섹터이고, 섹터 SN+1 은 일련의 유저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을 때의 부가 섹터이다.
Da1∼DaN+1 로 표시되는 데이타는 각각 유저 데이타를 표시하고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있어서는 데이타 DO ∼ 데이타 D2047 에 대응한다. E1-EN+1 로 표시되는 데이타는 각각 2 섹터 S1∼SN+1 의 각 유저 데이타 Da1∼DaN+1의 패리티이다. Pn-2∼PN 으로 표시되는 데이타는 각각 제 6A 도, 제 6B 도, 제 6C 도 및 제 7 도에 도시한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표시하고 있다. C1∼CN+1로 표시되는 데이타는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를 표시하고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도에 있어서는 패리티 CRC1∼CRC8 에 대응한다. 또한, 섹터 S1 은 일련의 유저 데이타가 기록되는 경우의 선두 섹터이고 이 섹터 S1 의 사선으로 표시하는 영역은 선두 섹터이므로 패리티가 기록되지 아니한 것을 표시한다. 다음에 그 이유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이 제 8 도에 도시하는 부호에는 각각 선두의 부호에 이어서 1∼N+1 까지의 값이 각 부호에 대해서 각각 보조적으로 부가되어 있다. 이 값은 각각 섹터 S1∼SN+1 에 대응하고 있다.
예를 들면, 데이타 Dan-1 은 섹터 Sn-1 에 기록되어 있는 유저 데이타임을 표시하고 패리티 Cn-1 은 섹터 Sn-1 에 기록되어 있는 유저 데이타 Dan-1 의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임을 표시하고 패리티 En-1 은 섹터 Sn-1 에 기록되어 있는 유저 데이타 Dn-1 의 에러 정정용의 패리티임을 표시하고 있다.
그런데, 특정 영역중 제 6A 도, 제 6B 도, 제 6C 도 및 제 7 도에서 설명한 2nd ECC로서의 패리티의 부호는 이 섹터 Sn-1 과 다른 부호 즉 1 개 앞의 섹터의 값 "n-2"가 붙여져 있다. 이는 앞의 섹터 Sn-2 의 데이타 Dan-2 에 대해서 생성한 패리티임을 표시하고 있다. 이 도면에 도시하는 다른 섹터도 같고 예를 들면 섹터 Sn 의 특정 영역의 패리티 Pn-1 은 섹터 Sn-1 의 데이타 Dan-1 에서 생성된 패리티이다.
또한, 섹터 S1 의 특정 영역의 일부 사선 영역은 패리티가 기록되어 있지 아니하고 선두 섹터임을 표시하는 식별 데이타, 예를 들면, 고정 데이타(모두 "0"등)가 기록되어져 있다. 이 데이타 섹터 S1 에만 패리티를 기록하고 있지 아니한 것은 섹터 S1 이 일련의 유저 데이타를 기록한 때의 선두 섹터이기 때문에 이 섹터 S1 의 앞의 섹터에 대한 패리티가 불필요한 이유이다.
또한, 섹터 SN+1 의 데이타 기록용의 영역인 사선 영역에는 예를 들면, 모두 "0"이 기록된다. 따라서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 CN+1 은 이 섹터 SN+1 에 기록되는 "0"의 체크용으로서 생성된 패리티이다. 또한, 패리티 EN+1 도 이 섹터 SN+1 에 기록되어 있는 "0"으로 생성된 패리티이다. 한편 특정 영역의 일부의 영역에는 앞의 섹터 SN 의 데이타 DaN 에 대해서 생성한 패리티 PN 이 기록되어 있다.
이 섹터 SN+1 에 앞의 섹터 SN 의 데이타 DaN 에 대해서 생성된 패리티 PN이 기록되어 있는 것은 데이타의 것의 기록은 앞의 섹터 SN 에서 완결하고 있으나 본 예에 있어서는 2nd ECC 로서의 패리티는 그 패리티의 기본이 되는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섹터의 다음의 섹터에 기록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최후의 데이타의 패리티를 기록하는 섹터가 필요하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제 8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련의 데이타를 기록한 때의 최후미의 섹터가 SN 이었던 경우 이 섹터 SN 의 데이타 DaN 의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부가 섹터로서의 섹터 SN+1 의 특정 영역에 기록할 필요가 있다. 통상, 일련의 데이타의 데이타량은 1 트랙 분의 데이타의 데이타량보다도 크므로, 트랙마다 패리티 섹터를 설치하는 것보다 처리 효율의 관점에서 볼 때 효과적이다.
I 제 8 도에 도시한 특정 영역의 설명(제 9 도)
제 9 도는 제 8 도에 도시한 특정 영역을 확대한 설명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N+1 섹터의 특정 영역으로 한다. 제 9 도에 있어서 P1∼P36은 제 6A 도, 제 6B 도, 제 6C 도 및 제 7 도에서 설명한 2nd ECC 로서의 패리티이고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2nd ECC로서의 패리티 P1∼P36 은 N 섹터의 데이타 128 바이트(8 행분의 데이타 x 16)에 대한 2 바이트씩 합계인 36 바이트분이 된다. Q1 및 Q2 는 N+1 섹터의 특정 영역내의 패리티 P1∼P36 으로 되는 합계 36 바이트의 패리티 데이타에 대한 패리티, Q3 및 Q4 는 N+1 섹터의 패리티 P1∼P36 및 패리티 Q1 및 Q2 로 형성되는 합계 38 바이트의 데이타에 대한 패리티이다.
결국,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N+1 섹터에 대해 데이타를 기록할 때 N 섹터의 데이타 DO∼D2047 로부터 패리티(E1, 1)∼(E16, 16)을 생성하고,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 CRC1∼CRC8 을 생성하고, 다시 N 섹터의 유저 데이타 DO∼D2047 로 생성된 2nd ECC 로서의 패리티 P1∼P36, Q1∼Q4 를 N+1 섹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한다. 그래서 재생시에 있어서는 N 섹터의 유저 데이타 DO∼ D2047 를 재생하고 재생한 유저 데이타 DO∼D2047 에 대해서 대응하는 패리티(E1, 1), (E16, 16)을 사용해서 에러 정정 처리를 하고 에러 정정이 불능으로 된 경우 및 패리티 CRC1∼ CRC8 에서 에러 체크를 하고 에러 체크가 불능으로 된 경우에는, N+1 섹터에서 2nd ECC 로서의 패리티 P1∼P36 및 Q1∼Q4 를 판독 출력하고, 이 판독한 패리티 P1-P36 및 Q1∼Q4 에서 에러 체크를 하여 에러 소실 정보를 얻는다. 여기에서 에러 소실 정보란 이 에러 소실 정보가 부여되어 있는 행단위의 데이타가 에러에 의해 소실한 것을 표시하는 데이타이고, 이 에러 소실 정보의 부여에 의해 뒤의 처리에 있어서 어느 위치의 데이타가 에러에 의해 소실한 데이타인가를 인식할 수가 있다.
그래서, N 섹터의 유저 데이타 DO∼D2047 의 패리티(E1, 1)∼(E16, 16)을 사용해서 N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신드롬의 연산을 하고 그것의 연산 결과와 에러 소실 정보에 의거해서 에러 위치 정보를 구하고 다음에 에러의 값을 구한다. 그래서 에러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N 섹터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해당 N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 에러의 값을 가산해서 에러 정정을 한다.
예를 들면, 제 6A도, 제 6B도 및 제 6C도에 도시한 데이타중 DO∼D120 까지가 에러의 경우는 1st ECC 로서의 패리티에서는 15 바이트 혹은 16 바이트(> 8 바이트)의 버스트 에러가 발생한 것으로 된다. 따라서 에러의 위치를 검출하고 검출한 에러에 대해서 정정 처리를 실시하는 검출 정정은 불능으로 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턴스가 "17", 에러 검출 개수가 "0"인 경우에는 8 심블까지 밖에 정정되지 아니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패리티 P1 및 P2 를 사용해서 데이타 DO∼D128 즉 8 행분의 데이타를 소실로 보고서 에러의 발생 위치를 표시하는 에러 소실 정보를 얻는다. 에러 소실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소실 정정되는 심볼수는 d-1이다. 따라서, 디스턴스 d가 17 인 경우에 있어서는 16 바이트까지의 소실 정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어떤 섹터에 기록되는 데이타의 2nd ECC로서의 패리티는 광자기 디스크, 추기형 디스크 및 부분형 디스크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에 있어서는 광디스크 드라이브에 의해 다음의 섹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되고 판독 전용의 광디스크나 부분형 디스크의 판독 전용 영역에 있어서는 디스크의 제조시에 다음의 섹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된다.
또한, 포맷은 광자기 디스크, 추기형 디스크, 분할 디스크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의 어느 것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단, 광자기 디스크 등에 있어서는 디스크의 사용시등에 섹터에 디펙트가 발생한 경우 섹터에 기록해야 할 데이타를 디펙트 섹터의 교체 전용의 영역의 섹터에 기록하는 LRA(Linear Replacement Algorithm), 및 디스크의 제조시에 섹터에 디펙트가 발생한 경우 그것의 디펙트 섹터에 기록해야할 데이타를 해당 섹터의 다음의 섹터에 기록하는 SSA(Sector Slipping Algorithm)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디펙트 섹터가 있는 경우에 그 섹터의 데이타가 교체 섹터에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빈번한 픽크업의 이동이 필요케 되므로 2nd ECC 를 다음의 섹터에 기록하면 액세스 속도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거기에서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섹터에 데이타를 기록할 때에 생성하고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다음의 섹터에 기록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그 섹터에 기록하도록 한다.
따라서, 다음의 설명에서는 판독 전용의 광디스크에 대해서는 2nd ECC로서의 패리티를 다음의 섹터의 특정영역에 기록하고 광자기 디스크 등에 대해서는 2nd ECC로서의 패티리를 다음의 섹터는 아닌 자기의 섹터 즉 그 패리티의 생성원인 데이타가 기록되어 있는 섹터에 기록하는 것으로 한다.
J.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의 데이타에 대한 8 행 패턴의 경우의 패리티의 대응하는 설명 (제 10 도)
제 10도는 제 6A도 및 제 6B도 및 제 6C도에 도시한 섹터 포맷을 채용한 경우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데이타나 패리티에 대해 어떻게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사용하느냐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이 제 10 도에 있어서 「행수」라고 있는 것은 제 7 도와 같이 제 6A 도, 제 6B도 및 제 6C도에 도시한 i 에 대응한다.
이 제 10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패리티(P1, P2)∼ (P31, 32)까지는 각각 8 행분의 데이타에 대한 패리티로 되어 있다. 또한, 패리티(Q5, Q6, Q7, Q8)는 패리티 P1 에서 P32 및 패리티 Q1∼Q4 에 대한 패리티이다.
즉 패리티 P1∼P32 의 생성에 의해 각 행에 대해서 각각 (130, 128, 3)의 리드·솔로몬 부호가 형성되고 패리티 Q1∼ Q4 의 생성에 의해(36, 32, 5)의 리드·솔로몬 부호가 형성되고 패리티 Q5∼Q8 의 생성에 의해(40, 36, 5)의 리드·솔로몬 부호가 형성된다.
K. 재생시의 동작 설명(제 11 도∼제 13 도) 제 11 도∼제 13 도는 재생시에 있어서 콘트롤러의 제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제어 동작의 주체로 되는 것은 제 3도에 도시하는 CPU(60) 및 RAM 콘트롤러(57c)이다.
리드(read) 명령은 리드를 표시하는 데이타, 논리 어드레스 데이타 및 길이 데이타로 형성된다. 재생시에 있어서 호스트 컴퓨터(3)는 이 리드 명령을 입출력 단자 io1, 인터페이스 회로(71) 및 입출력 포트(64)를 거쳐서 CPU(60)에 통지한다.
단계 S1 에서는 CPU(60) 이 리드 명령이 호스트 컴퓨터 (3)에서 통지되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 S2로 이행한다.
단계 S2 에서는 CPU(60) 이 리드 명령중의 길이 데이타를 추출하고 추출한 길이 데이타를 CPU(60) 의 내부 레지스터 L 에 격납한다. 또한, CPU(60) 은 CPU(60)의 내부 레지스터 N 에 선두 섹터 번호 데이타를 격납한다. 또한, CPU(60)은 CPU(60) 의 내부 레지스터 S 에 데이타 "1"을 격납한다. 내부 레지스터 S 에 격납된 값은 1 섹터분의 데이타가 리드되고 송출될 때마다 "1"씩 증가(increment)된다. CPU(60) 은 내부 레지스터 S 에 격납되어 있는 값과 내부 레지스터 L 에 격납되어 있는 값을 비교하고 내부 레지스터 S 에 격납되어 있는 값이 내부 레지스터 L 에 격납되어 있는 값보다도 클 때에 길이 데이타가 표시하는 분의 데이타의 리드를 종료한 것을 인식한다.
단계 S3 에서는 CPU(60) 이 디코더(67)에 대해 플래그(1)를 공급하도록 요구한다. 그래서 디코더(67)에서 공급되는 프래그 (1)의 데이타의 값이 온(ON)을 표시하는 값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 S50 으로 이행하고 「NO」면 단계 S4 로 이행한다. 이 플래그(1)는 후술하는 단계 S26 이나 S31 에서 온으로 되므로 N 섹터의 데이타가 그 섹터의 ECC 에서 에러 정정 불능으로 N+1 섹터의 2nd ECC에 의해 소실 정정이 가능해졌을 때에 온으로 되는 것이다.
단계 S4 에서는 CPU(60)이 리드 명령을 제 2 도에 도시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에 공급한다.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제 1 도에 도시한 광학 블록(8)의 위치가 광자기 디스크(4) 위의 목표한 위치가 되도록 광학 블록(8)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광디스크(4)에서 N 섹터의 데이타가 판독된다. 광디스크(4)에서 판독된 N 섹터의 데이타는 판독/기록 회로(38) 및 입력 단자(65)를 거쳐서 스위치(66)에 공급된다. CPU(60)은 스위치(66) 및 스위치(69)에 각각 스위칭 제어 신호를 공급해서 스위치(66 및 69)의 각 가변 접점(c) 를 각 고정접점(a)에 접속시킨다. 이에 따라 스위치 (66)에 공급된 재생 데이타는 이 스위치(66)를 거쳐서 디코더 (67)에 공급된다.
단계 S5 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RAM(67a)에 기억되어 있는 j=0∼15, i=130∼0 의 데이타를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서 도시하는 순서로 판독함과 함께 이들 세로방향의 데이타에 각각 대응하는 패리티(E1, 1)∼(E16, 16)을 차례로 판독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76c)는 j = 0∼15, i = 130∼0 의 데이타에 대해서 각각 대응하는 패리티(E1, 1)∼(E16, 16)을 사용해서 차례로 신드롬의 연산을 한다.
단계 S6 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 S7 로 이행하고 「NO」면 단계 S16 으로 이행한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검출 정정을 할 수 있는 심볼수는 "8"이므로 연속되는 에러의 수가 8 바이트 이하면 에러의 위치를 검출할 수가 있다.
단계 S7 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의 값을 구하고 이어서 에러가 발생한 데이타를 RAM(67a)에서 판독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67c)는 RAM(67a)에서 판독한 에러가 발생한 데이타에 대해 에러의 값을 가산(모듈로 2 가산)하여 에러 정정을 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67c)는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한 데이타를 RAM(67a)의 원래의 영역에 기록한다.
단계 S8 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가 발생한 모든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하였는가 아닌가 판단하고 「YES」면 단계 S9 로 이행하고 「NO」면 단계 S7로 이행한다.
단계 S9 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RAM67a 에서 N 섹터의 데이타를 판독함과 함께 N 섹터의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 CRC1∼CRC8 을 판독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67c)는 N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 CRC1∼CRC8 을 사용해서 에러 체크를 한다.
단계 S10 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를 사용해서 행한 에러 체크 결과 에러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S16)로 이행하고 「NO」면 단계 (S11)로 이행한다.
단계 S11에서는 CPU(60)이 RAM 콘트롤러(67c)에 대해 RAM(67a)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의 판독을 개시하는 것을 표시하는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RAM 콘트롤러(67c)는 RAM(67a)에 대해 판독 제어 신호를 공급하고 RAM(67a)에서 N섹터의 유저 데이타의 판독을 개시한다. RAM(67a)에서 판독 출력된 N 섹터의 유저 데이타는 스위치(69)를 거쳐서 버퍼(70)에 공급되고, 이 버퍼(70)에서 일단 보존된 후에 인터페이스 회로 (71) 및 입력 단자 io1 를 거쳐서 제 1 도에 도시한 호스트 컴퓨터(3)에 공급된다.
단계 S12 에서는 CPU(60) 이 내부 레지스터 S 및 L 에 각각 격납되어 있는 데이타에 각각 "1"을 가산한다.
단계(S13)에서는 CPU(60) 이 내부 레지스터 S 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타의 값이 다른 편의 내부 레지스터 L 에 격납되어 있는 데이타의 값보다도 큰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면 종료하고 「NO」면 단계 S15 로 이행한다. 이 단계(S14)는 전체 섹터의 데이타에 대한 재생 처리가 종료하였는가 아니하였는가에 대해서 판단하는 단계이다.
단계(S14)에서는 CPU(60) 이 디코더(67)에 대해 플래그 (2)를 공급하도록 요구한다. 그래서 디코더(67)에서 공급되는 플래그(2)의 데이타의 값이 온을 표시하는 값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S50)로 이행하고 「NO」이면 다시 단계 S4 로 이행한다. 이 플래그(2)는 후술하는 단계 S26에서 온으로 되는 것으로 N섹터의 데이타가 그 섹터의 ECC 로 에러 정정 불능으로 N+l 섹터의 2nd ECC 에 의해 소실 정정이 행해진 경우에 있어서는 N+1 섹터의 데이타는 이미 리드되고 RAM(67b)에 보존되고 있으므로 재차 N+1 섹터의 데이타를 리드하지 아니하고 그대로 송출할 수가 있도록 하기 위해 N+1 섹터의 데이타를 리드하거나 RAM(67b)에 보존되어 있는 N+1 섹터의 데이타를 송출하느냐를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단계(S15)에서는 RAM 콘트롤러 (67c)가 프래그(2)의 값을 오프를 표시하는 값으로 한다.
단계(S16)에서는 CPU(60) 이 RAM 콘트롤러(67c)에 대해 에러 소실 정보를 요구한다. RAM 콘트롤러(67c)는 에러 소실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그것의 에러 소실 정보를 에러 신호로서 CPU(60)으로 공급한다. CPU(60)은 RAM 콘트롤러(67C)에서 공급되는 데이타에서 에러 소실 정보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 S18로 이행하고 「NO」면 단계(S17)로 이행한다.
단계(S17)에서는 CPU(60) 이 광 디스크의 장착시에 광 디스크에서 판독되고 RAM(62)에 보존되어 있다. 재생 전용 디스크 즉 ROM 인지, 고쳐 쓸 수 있는 디스크 즉 RAM 인지 등의 디스크의 종류를 판독하고 해당 디스크 종별 데이타에 의해 ROM 인지 아닌지 판단하고, 「YES」이면 단계(S20)로 이행하고 「NO」면 단계(S32)로 이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RAM 의 경우에는 N 섹터의 유저 데이타에 대한 2ndECC 가 N 섹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되어 있고 또한, ROM의 경우에는 N 섹터의 유저 데이타에 대한 2nd ECC 가 N+1 섹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단계(S17)에 있어서 ROM 인가 RAM 인가의 판단을 하고, 그 판단 결과에 따라서 다른 처리, 즉, RAM 의 경우에는 2nd ECC 를 N 섹터에서 ROM 의 경우에는 2nd ECC 를 N+1 섹터에서 판독하는 처리를 한다.
또한, 추기형 디스크의 경우는 디스크 종별 데이타는 추기형 디스크임을 표시하는 데이타로 되어 있으나, 단계 S17 에 있어서의 판단에서는 ROM으로 볼 수 있다.
단계(S18)에서는 CPU(60) 이 RAM 콘트롤러(67)로부터의 에러 신호를 인터페이스 회로(71)에 공급한다. 에러 신호가 인터페이스 회로(71)에 공급되면 인터페이스 회로(71)는 그 에러 신호를 입출력 단자(i01)를 거쳐서 제 1 도에 도시한 호스트 컴퓨터(3)에 공급한다. 호스트 컴퓨터(3) 위에서 기동하고 있는 소프트웨어는 에러 신호가 공급되면 그 뜻을 표시하는 화상을 호스트 컴퓨터(3)의 모니터 위에 표시한다.
단계(S19)에서는 CPU(60) 이 리드명령을 제 2 도에 도시한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에 공급한다. 디지탈 신호 처리 회로(53)는 제 1 도에 도시한 광학 블록(8)의 위치가 광자기 디스크(4) 위의 목표한 위치가 되도록 광학 블록(8)을 제어한다. 이에 따라 광 디스크(4)에서 N+1 섹터의 데이타가 판독된다. 광 디스크(4)에서 판독된 N+1 섹터의 데이타는 판독/기록 회로(38) 및 입력 단자(65)를 거쳐서 스위치(66)에 공급된다. CPU(60)은 스위치(66) 및 스위치 (69)에 각각 스위칭 제어신호를 공급해서 스위치(66 및 69)의 각 가동접점(C)을 각 고정 접점(a)에 접속시킨다. 이에 따라 스위치(66)에 공급된 재생 데이타는 이 스위치(66)를 거쳐서 디코더(67)에 공급한다.
단계 S20 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RAM(67b)에 기억되어 있는 N+1 섹터의 데이타를 차례로 판독함과 함께 이들의 데이타에 각각 대응하는 패리티(E1, 1)∼(E16, 16)을 차례로 판독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76c)는 N+1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각각 대응하는 패리티(E1, 1)∼(E16, 16)을 사용해서 차례로 신드롬의 연산을 한다.
단계(S21)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의 위치의 검출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S22)로 이행하고 「NO」면 단계(S18)로 이행한다.
단계(S22)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의 값을 구하고 이어서 에러가 발생한 데이타를 RAM67b 에서 판독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67c)는 RAM67b 에서 판독한 에러가 발생한 데이타에 대해 에러의 값을 가산(모듈로 2 가산)하여 에러 정정을 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67c)는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한 데이타를 RAM(67b)의 원래의 영역에 기록한다.
단계(S23)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가 발생한 모든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하였는가 아니 하였는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S24)로 이행하고 「NO」면 단계(S22)로 이행한다.
단계(S24)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RAM(67b)에서 N+1 섹터의 데이타를 판독함과 함께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 CRC1∼ CRC8 을 판독한다. 그래서 RAM콘트롤러(67c)는 N+1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 CRC1∼CRC8 을 사용해서 에러 체크를 한다.
단계(S25)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를 사용해서 행한 에러 체크의 결과 에러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S18)로 이행하고 「NO」면 단계(S26)로 이행한다.
또한, CPU(60) 이 단계(S21 및 S25)에 있어서, 「NO」로 판단된 때에 단계(S18)로 이행하고 RAM 콘트롤러(67c)로부터의 에러 신호를 인터페이스 회로(71) 및 입출력 단자(io1)를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3)에 부여하는 것은 N 섹터에서 판독한 데이타에도 N+1 섹터에서 판독한 데이타에도 그 섹터내의 데이타에 의한 정정이 불능인 에러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단계(S26)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플래그(1) 및 플래그(2)의 값을 각각 온을 표시하는 값으로 한다. 플래그 (1) 및 플래그(2)는 에러의 위치 검출이 가능하고 또한, CRC 를 사용한 에러 체크로 에러가 발생하지 아니한 때에 각각 온으로 된다.
단계(S27)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RAM(67a)에서 J=0, i=130 ∼ 123 과 같이 N 섹터의 유저 데이타를 8 행 분씩 판독함과 함께 8 행 분씩의 데이타에 각각 대응하는 N+1 섹터의 2nd ECC 로서의 패리티(P1∼P2)∼(P35∼P36)를 RAM (67b)에서 판독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67c)는 8 행분의 유저 데이타에 대해서 N+1 섹터의 2nd ECC 에 의한 N 섹터의 데이타의 에러 체크를 한다. 이 에러 체크에 의해 상술한 N 섹터에 대한 에러 소실 정보가 얻어진다.
단계(S28)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2nd ECC 를 사용해서 행한 에러 체크의 결과 에러 소실 정보가 얻어졌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S29)로 이행하고 「NO」면 단계(S18)로 이행한다. 또한, 여기에서 소실 정보가 얻어지지 아니한 경우란 에러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러의 발생을 검출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에러를 검출하는 것마저도 할 수 없으므로 단계(S18)로 이행해서 에러 신호의 출력을 행한다.
또한, CPU(60) 이 단계(S28)에 있어서 「NO」로 판단되었을 때에 단계(S18)로 이행해서 RAM 콘트롤러(67c)로부터의 에러 신호를 인터페이스 회로(71) 및 입출력 단자(io1)를 거쳐서 호스트 컴퓨터(3)에 부여하는 것은 N 섹터에서 판독한 데이타에 정정 불능의 에러가 발생하였을 때에 N+1 섹터에서 2nd ECC를 판독하고 해당 2nd ECC 를 사용해서 N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를 하여 에러 소실 정보를 얻고 이어서 1st ECC 를 사용해서 에러 정정을 할 때에 N+1 섹터의 데이타에도 또한, 그것의 섹터 내에 있어서 정정 불능의 에러가 발생하였기 때문이다. 거기에서 이와 같은 경우에는 호스트 컴퓨터(3)에 대해 그 의미를 표시하는 에러 신호를 공급하는 것이다.
단계(S29)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단계(S27)에 있어서 얻은 N 섹터에 대한 에러 소실 정보를 RAM(67a)에 기록한다. 즉, RAM 콘트롤러(67c)는 에러 소실 정보를 N섹터의 데이타에 부가한다.
단계(S17)에 있어서 「NO」로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 (S30)로 이행한다. 단계(S30)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RAM67a 에서 J=0, i=130 ∼ 123 과 같이 N섹터의 유저 데이타를 8 행 분씩 판독함과 함께 8 행 분씩의 데이타에 각각 대응하는 N 섹터의 2nd ECC로서의 패리티(P1, P2)∼(P35, P36)를 판독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67c)는 N 섹터의 8 행분의 유저 데이타에 대해서 긴 섹터의 2nd ECC 에 의한 에러 체크를 한다. 이 에러 체크에 의해 상술한 N 섹터에 대한 에러 소실 정보가 얻어진다. 그래서 단계(S31)로 이행한다.
단계(S31)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플래그 데이타의 값을 온을 표시하는 값으로 한다.
다음에 제 13 도를 참조하여 제 11 도에 도시한 소실 정정 루틴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단계(S51)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플래그(1)의 값을 오프로 표시하는 값으로 한다.
단계(S52)에서는 RAM 롤러(67c)가 에러에 의해 소실한 N 섹터의 데이타가 16 바이트 이하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S35)로 이행하고 「NO」면 단계(S18)로 이행한다.
단계(S53)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RAM(67a)에 기록되어 있는 N 섹터의 데이타를 차례로 판독함과 함께 이들의 데이타에 각각 대응하는 패리티(E1, 1)∼(E16, 16)을 차례로 판독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76c)는 N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각각 대응하는 패리티(E1, 1)∼(E16, 16)을 사용해서 차례로 신드롬의 연산을 한다.
단계(S54)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의 위치의 검출이 가능한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S55)로 이행하고 「NO」면 단계(S18)로 이행한다.
단계(S55)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의 값을 구하고 이어서 에러가 발생한 데이타를 RAM(67a)에서 판독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67c)는 RAM67a 에서 판독한 에러가 발생한 데이타에 대해 에러의 값을 가산(모듈로 2 가산)하여 에러 정정을 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67c)에는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한 데이타를 RAM(67a)의 원래의 영역에 기록한다.
단계(S56)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가 발생한 모든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하였는가 아니하였는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S56)로 이행하고 「NO」면 단계(S57)로 이행한다.
단계(S57)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RAM(67a)에서 N 섹터의 데이타를 판독함과 함께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 CRC1∼CRC8 을 판독한다. 그래서 RAM 콘트롤러(67c)는 N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 CRC1∼ CRC8 을 사용해서 에러 체크를 한다.
단계(S58)에서는 RAM 콘트롤러(67c)가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를 사용해서 행한 에러 체크 결과 에러가 있는가 없는가를 판단하고, 「YES」면 단계(S18)로 이행하고, 「NO」면 단계 (S11)로 이행한다.
이와 같이 본 예에 있어서는 기록시에 있어서는 N 섹터의 유저 데이타 DO~D2047 로부터 1st ECC 로서의 패리티 (E1, 1)∼(E16, 16), 에러 체크용의 패리티 CRC1∼CRC8 을 생성하고 이들의 패리티를 N 섹터의 유저 데이타 DO∼D2047 과함께 N 섹터에 기록함과 함께 N 섹터의 유저 데이타 DO∼ D2047 로부터 8 행분마다 2nd ECC 로서의 패리티 P1∼P36 및 Q1∼Q4(혹은 P1∼P32 및 Q1∼Q8)를 생성하고 이들의 패리티를 N+1 섹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한다.
그래서, 재생시에 있어서는 N 섹터의 유저 데이타 DO∼D2047 에 대해, 1st ECC 를 사용해서 에러 정정 처리를 실시하고 1st ECC 로서의 패리티(E1, 1)∼(E16, 16)을 사용해서 에러의 위치의 검출이 안될 때 혹은 CRC 에 의한 에러 체크시에 에러가 검출된 때에는 N+1 섹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된 2nd ECC 로서의 패리티 P1∼P36 및 Q1∼Q4 를 사용해서 에러 체크를 행하여 에러 소실 정보를 얻는다. 그래서, 에러 소실수가 16 이하인 경우에는 N 섹터의 패리티(E1, 1)∼(E16, 16)을 사용해서 N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신드롬의 연산을 하고 이 신드롬의 연산 결과와 에러 소실 정보에 의거해서 에러 위치 정보를 얻고 이어서 에러의 값을 구하고 에러 위치 정보에 의거해서 N 섹터의 데이타를 판독하고 이 N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 에러의 값을 가산(모듈로 2 가산)하여 에러가 발생한 데이타의 정정을 한다.
따라서, 통상의 고속 처리(예를 들자면 캐쉬(cash)를 사용해서 고속으로 데이타를 재생하는 처리등)나 실시간 처리(동화상의 재생등)는 종래대로 행할 수가 있고, 또한,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사용함으로써 버스트 에러 발생등 이상 발생시에 있어서 데이타의 재생, 재생 데이타의 신뢰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이는, 특히 상술한 LRA 나 SSA 에 의한 교체 처리를 행할 수가 없는 판독 전용의 광 디스크 등의 판독 전용 디스크에 있어서 특히 유효해지는 것과 함께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가능한 디스크에 있어서 고속 처리가 요구되는 등에 의해 LRA 나 SSA를채용할 수 없는 경우에 있어서도 유효해진다.
또한, 판독 전용의 광 디스크나 부분형 디스크의 판독 전용 영역에 대해서는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그 패리티의 생성 원인 데이타를 기록하는 섹터의 다음 쎈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하고, 광자기 디스크, 추기형 및 부분형 디스크의 기록이 가능한 영역에 대해서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그 패리티의 생성원인 데이타를 기록하는 섹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하도록 함으로써, 1 개의 광 디스크 드라이브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와 판독 전용 디스크와 기록 및 판독 전용 영역을 갖춘 디스크를 사용할 수가 있다.
[제 2 실시의 형태]
L.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의 데이타에 대한 7 행 -8행 - 7 행 패턴의 경우의 패리티의 대응하는 설명(제 14 도)
제 14 도는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 포맷에 있어서 7 행 - 8 행 - 7 행 패턴을 채용한 경우에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데이타나 패리티에 대해 어떻게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사용하느냐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한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8 행분의 데이타에 대해서 각각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제 14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7 행 - 8 행 - 7 행 패턴을 판독 전용의 광 디스크에 채용할 수 있다.
이 제 14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 패리티는 예를 들자면 P1, P2 와 같이 쌍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패리티(P1, P2)∼(P39,∼40)까지는 7 행 혹은 8행의 데이타에 대한 패리티로 되어 있다.
즉 패리티 P1∼P40 의 생성에 의해 (114, 112, 3)의 리드 솔로몬 부호와(130, 128, 3)의 리드·솔로몬 부호와(114, 112, 3)의 리드·솔로몬 부호의 조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제 2 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패리티 P1∼P40 의 생성에 의해(114, 112, 3)의 리드·솔로몬 부호와 (130, 128, 3)의 리드·솔로몬 부호와 (114, 112, 3)의 리드·솔로몬 부호의 조가 교대로 형성되므로, 버스트 에러가 발생하여 도 7 행과 8 행, 7 행과 7 행의 조합 밖에 없으므로 7 행과 8 행의 경우는 합계 15행이므로 디스턴스에 "2" 만큼 여유가 있고, 7 행과 7 행의 경우는 합계로 14 행이므로 디스턴스에 "3"만큼 여유가 있다. 즉 제 7 도에 도시한 판독 전용 디스크나 판독 전용 영역의 경우의 8 행 패턴과 비교해서 디스턴스의 여유분으로 에러 체크를 할 수가 있으므로 그만큼 에러에 강하게 할 수가 있다.
[제 3 의 실시 형태]
M.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의 데이타에 대한 7 행 - 8 행 - 7 행 패턴의 경우에 패리티의 대응하는 설명(제 15도)
제 15 도는 제 6A 도, 제 6B 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섹터 포맷에서 제 14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7 행 - 8 행 - 7 행 패턴을 채용한 경우 제 6A도, 제 6B도 및 제 6C 도에 도시한 데이타나 패리티에 대해 광자기 디스크 등의 RAM 의 경우에 어떻게 패리티를 사용하는가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한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8 행분의 데이타에 대해서 각각 2ndECC 로서의 패리티를 생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으나 제 15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7 행 - 8 행 - 7 행 패턴을 광자기 디스크 등의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에 대해서 채용할 수 있다.
이 제 15 도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각 패리티는 예를 들자면 P1, P2 와 같이 쌍을 이루고 있다. 그래서 패리티(P1, P2)∼(P35, P36)까지는 각각 7 행 혹은 8 행분의 데이타에 대한 패리티로 되어 있다. 패리티(Q1, Q2)는 패리티 P1∼P36 에 대한 패리티이다. 패리티(P3, P4)는 패리티 P1∼P36 및 패리티 Q1 및 Q2 에 대한 패리티이다.
즉 패리티 P1∼P36 의 생성에 의해 (114, 112, 3)의 리드 솔로몬· 부호와(130, 128, 3)의 리드·솔로몬 부호와 (114, 112, 3)의 리드· 솔로몬 부호의 조가 교대로 형성되고 최후만이 (114, 112, 3)의 리드·솔로몬 부호와 (130, 128, 3)의 리드·솔로몬 부호와(50, 48, 3)의 리드·솔로몬 부호의 조가 형성되고 패리티 Q1∼Q4 의 생성에 의해 (40, 36, 5)의 리드· 솔로몬 부호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한 경우는 버스트 에러가 발생하여도 7 행과 8 행, 7 행과 7 행의 조합밖에는 없으므로 7 행과 8 행의 경우는 합계로 15 행이므로 디스턴스에 "2"만큼 여유가 있고 7 행과 7 행의 경우는 합계 14 행이므로 디스턴스에 "3" 만큼 여유가 있다. 즉, 제 10 도에 도시한 기록이 가능한 디스크나 기록이 가능한 영역의 경우의 8 행 패턴과 비교해서 디스턴스의 여유분으로 에러 체크를 할 수가 있으므로 2 분만큼 에러에 강하게 할 수가 있다.
[변형예]
N. 부가 섹터의 1 개 앞의 섹터의 데이타의 제 2 ECC 로서의 패리티를 부가 섹터의 특정 영역 이외의 영역에 기록하는 경우의 설명.
또한,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8 도에 도시한 일면의 데이타를 기록하였을 때에 최후의 데이타가 기록되는 섹터 SN 의 데이타로 생성한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부가 섹터로서 섹터 SN+1 의 특정 영역에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섹터 SN 의 2nd ECC 로서의 패리티 및 체크용의 패리티 CRC1∼CRC8을 섹터 SN+1 의 다른 영역에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한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이 섹터 SN+1 의 데이타용의 기록 영역을 "0"으로 하기로 하였으나 예를 들자면 이 기록 영역에 2nd ECC 로서의 패리티와 체크용의 패리티 CRC1∼CRC8 을 기록하면 올 "0"으로 하지 아니하여도 이 섹터 SN+1 이 부가 섹터인 것을 광 디스크 드라이브에 인식시킬 수가 있다.
이와 같이한 경우 제 1 의 실시예의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에 더해서 다시 효과가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0. 부가 섹터의 데이타 영역에 모든 섹터의 데이타의 단순 패리티를 기록하는 경우의 설명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8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부가 섹터로서의 섹터 SN+1 의 데이타용의 기록 영역을 올 "0"으로 하기로 하였으나 예를 들면 이 기록 영역에 섹터 S1∼섹터 SN 까지의 각 데이타의 단순 패리티를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이 단순 패리티를 사용해서 다시 에러 정정을 할 수 있고 보다 한층 더 에러에 강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 단순 패리티란 유저 데이타를 모두 가산한 가산 결과이다. 재생시에 있어서 이 패리티는 그 패리티의 부가되어 있는 유저 데이타의 가산 결과와 비교된다.
에러가 발생하고 있지 아니하면 재생시에 행해지는 유저 데이타의 가산 결과와 패리티의 값이 같아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한 경우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에 대해서 더욱 효과가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P. 패리티 P1∼P36 에 대해서 패리티 Q1∼Q4 를 사용하는 경우의 설명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9 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광 디스크(4)가 판독 전용 디스크라 부분형 디스크(ROM 영역만)의 경우 특정 영역에 기록하는 패리티 Q1 및 Q2 를 앞의 섹터의 특정 영역의 전체 패리티 36 바이트의 데이타에 대한 패리티, Q3 및 Q4 를 이 섹터의 패리티 P1∼P36 과 패리티 Q1 및 Q2 외 합계 38 바이트의 데이타에 대한 패리티로 하였으나 패리티 Q1∼Q4 를 앞의 섹터의 특정 영역의 전체 패리티 36 바이트의 데이타에 대한 패리티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패리티 P1∼P36 에 대해서 4 바이트의 패리티 Q1∼Q4 를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2 바이트의 경우와 비교해서 보다 에러에 대해서 강하게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한 경우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에 더해서 더욱 상기한 효과가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Q. 특정 영역의 전체 데이타에 대해서 패리티를 부여하는 경우의 설명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j = 2∼0 까지의 전체 데이타에 대해서는 패리티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으나 이 j = 2∼0 까지의 전체 데이타에 대해서 패리티를 생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 패리티 P33 및 P34 의 생성시에 있어서는 j = 2∼0 까지의 전체 바이트 수는 48 바이트 밖에 없고, 다른 패리티 생성시에는 128 바이트에 대해서 행하고 있으므로 선두 80 바이트를 모두 "0"으로 할 필요가 있다.
즉, 패리티 P1∼P38 의 생성에 의해 (130, 128, 3)의 리·솔로몬 부호가 형성되고 패리티 Q1 및 Q2 의 생성에 의해 (40, 38, 3)의 리드·솔로몬 부호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한 경우는 특정 영역의 전체 데이타에 대해서도 패리티를 부여할 수가 있으므로 보다 에러에 대해서 강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이와 같이한 경우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에 더해서 더욱 상기한 효과가 있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R. 처리의 완결을 블록이나 클러스터로 하는 경우의 설명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 8 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섹터의 선두와 최후미를 일련의 기록 데이타로 결정하는 가변 길이로 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예를 들면, 블록 단위, 클러스터 단위 등의 고정 길이로 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고정 길이가 됨에 의해 처리 대상이 되는 섹터 수가 항상 일정하게 되므로 처리를 간단히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한 경우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에 더해서 더욱상기한 효과가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S. 홀수 섹터 및 짝수 섹터간에서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서로 특정 영역 UD 에 기록하는 경우의 설명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N 섹터의 데이타에 대해서 생성한 2nd ECC 로서의 패리티를 N+1 섹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짝수 섹터와 홀수 섹터의 바꾸어 넣기를 해도 좋다. 예를 들자면 홀수 섹터의 데이타 DO∼데이타 127 의 패리티 P1, P2 를 짝수 섹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하고 짝수 섹터의 데이타 DO∼ 데이타 D127 의 패리티 P1, P2 를 홀수 섹터의 특정 영역에 기록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일련의 데이타를 기록한 때의 선두 섹터의 특정 영역을 모두 "0"로 하거나(또는 고정 데이타를 기록하고), 부가 섹터의 특정 영역을 모두 "0"으로 할 필요가 없으므로, 1 섹터의 기록용량이 절약됨과 함께 모두 "0"으로 하는 등의 불필요한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한 경우 제 1 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효과에 더해서 더욱 상기한 효과가 있음은 말할 나위도 없다.
또한, CRC1∼CRC8 의 체크 대상을 재생후의 유저 데이타 혹은 1st ECC 에 의한 에러 정정 처리후의 유저 데이타 혹은 2nd ECC 에 의해 에러 체크를 하고 더욱 1st ECC 에 의해 소실 정정을 한 후의 유저 데이타로 하였으나 1st ECC, 2nd ECC도 CRC1∼CRC8 에 의해 체크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보다 에러 검출 능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데이타 기록 재생 방법, 데이타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는, 예를 들면, 광 디스크 드라이브 등에 적합하고, 버스트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도 효율적으로 처리를 하고 데이타의 기록 용량을 감소시키는 일없이 양호한 재생을 할 수가 있다.

Claims (24)

  1. 데이타 기록 방법에 있어서:
    (a) 소정량의 일련의 데이타에 대해 각각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b) 상기 소정량의 일련의 데이타에 대해 각각 제 2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c)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그 생성원이 되는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부가하고,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를 그 생성원이 되는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부가하고,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를 그 생성원이 되는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 이외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하여 부가함으로써,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와;
    (d) 상기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타 기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제 1 기록 단위의 데이타의 기록 위치의 다음의 기록 위치에, 상기 제 1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된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한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된 제 2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기록하는 데이타 기록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일련의 복수의 소정량분의 데이타에 있어서 최후의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한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에 대해서는,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로서 식별 데이타를 부가함으로써,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데이타 기록 방법.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일련의 복수의 상기 소정량분의 데이타에 있어서 선두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서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로서 식별 데이타를 부가하는 데이타 기록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관해서 각각 에러 체크 부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계(c)는 에러 체크 부호를 관련된 소정량의 데이타에 부가함으로써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데이타 기록 방법.
  6. 데이터 기록 방법에 있어서:
    고쳐 쓰기가 가능한 제 1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각각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소정량으로 이루어지는 데이타에 대해 각각 제 2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관련된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부가하고,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를 제 2 에러 정정 부호에 관련된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 이외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서 부가함으로써,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기록 매체가 고쳐 쓰기가 불가능한 제 2 기록 매체에 대해서는:
    상기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하여 각각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하여 각각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 및 상기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를 관련된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부가함으로써,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기록 매체에 기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타 기록 방법.
  7. 데이터 재생 방법에 있어서:
    (a)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각각 생성된 제 1 에러 정정 부호가 그 생성원이 된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부가되고, 상기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각각 생성된 제 2 의 에러 정정 부호가 그 생성원이 된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 이외의 데이타에 부가됨으로써 생성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진 기록매체로부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재생하는 단계와;
    (b) 재생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된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에 기초한 검출 정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와;
    (c) 검출 정정이 가능한 경우는, 검출 정정을 행하는 단계와;
    (d) 검출 정정이 불가능한 경우는,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한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된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한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e) 상기 소실 정보 및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 소실 정정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타 재생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는 그 기록 단위에 포함된 데이타에 대한 에러 검출 부호가 더 부가되고,
    (f) 그 기록 단위의 상기 에러 검출 부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계(c)에서 검출 정정된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를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타 재생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f)에서 에러를 검출한 경우에는, 상기 단계(d)로 진행하는 데이타 재생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는 그 기록 단위에 포함된 데이타에 대한 에러 검출 부호가 더 부가되고,
    (g) 그 기록 단위의 상기 에러 검출 부호에 기초하여, 상기 단계(e)에서 소실 정정된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를 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타 재생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로부터 상기 기록 단위분의 데이타를 재생하는 단계와;
    재생한 상기 기록 단위분의 데이타에 대해, 재생한 상기 기록 단위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상기 에러 검출 부호에 의해 에러 체크를 행하는 단계와;
    상기 에러 검출 부호에 의해 에러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한 소실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타 재생 방법.
  12. 데이타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생성된 제 1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이 되는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부가되고, 상기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생성된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이 된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 이외의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서 부가됨에 의해 생성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지는 기록 매체로부터, 기록 단위로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재생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된 제 1 에러 정정 부호에 기초하여 검출 정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정정이 가능한 경우에는 검출 정정을 행하고, 검출 정정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된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한,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실 정보 및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소실 정정을 행하는 에러 정정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는 그 기록 단위에 포함된 데이타에 대한 에러 검출 부호가 더 부가되어 있고,
    상기 에러 정정 수단은, 그 기록 단위의 상기 에러 검출 부호에 기초하여 상기 검출 정정된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를 행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정정 수단은, 상기 에러 체크에 의해 에러가 있다고 검출한 경우에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된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한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실 정보 및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소실 정정을 행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는 그 기록 단위에 포함된 데이타에 대한 에러 검출 부호가 더 부가되어 있고,
    상기 에러 정정 수단은 그 기록 단위의 상기 에러 검출 부호에 기초하여 소실 정정된 데이타에 대해서 에러 체크를 행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16. 제 12 항에 있어서,
    검출 정정이 불능인 경우에,
    상기 에러 정정 수단은,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된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된 상기 기록 단위 분의 데이타에 대해, 재생한 상기 기록 단위분의 데이타에 포함된 상기 에러 검출 부호에 의해 에러 체크를 행하고,
    상기 에러 검출 부호에 의해 에러가 발견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한 소실 정보를 생성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재생 전용 기록 매체인 데이타 재생 장치.
  18.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있어서: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각각 생성된 제 1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이 되는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부가되고, 상기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각각 생성된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이 되는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 이외의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서 부가됨에 의해 생성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진 제 1 기록 매체와,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생성된 제 1 에러 정정 부호와, 상기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생성된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을 이루는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부가되어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진 제 2 기록 매체를 식별하는 식별 수단과;
    상기 제 1 및 제 2 기록 매체로부터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를 재생하는 재생 수단과;
    상기 식별 수단이, 상기 제 1 기록 매체라고 검출한 경우에는, 재생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된 제 1 에러 정정 부호에 기초하여 검출 정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정정이 가능한 때는, 검출 정정을 행하고, 검출 정정이 불능인 때는,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단위로부터 재생한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응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실 정보 및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소실 정정을 하고, 상기 식별 수단이 상기 제 2 기록 매체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재생한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 1 에러 정정 부호에 의거해서 검출 정정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출하고, 검출 정정이 가능한 때는, 검출 정정을 행하고, 검출 정정이 불가능한 때는,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포함되는 제 2 에러 정정 부호에 의해 소실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소실 정보 및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를 사용해서 상기 어떤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 대해서 소실 정정을 행하는 에러 정정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타 재생 장치.
  19. 기록 매체에 있어서: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각각 생성된 제 1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으로 되는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부가되고, 상기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각각 생성된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생성원으로 되는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 이외의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부가됨으로써 생성된,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진 기록 매체.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어떤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해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된 기록 위치의 다음 기록 위치에, 상기 제 1 에러 정정 부호와 관련된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가 포함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진 기록 매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서의 최후의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한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에 관해서는,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로서 식별 데이타가 부가되어 형성된 상기 기록 단위의 데이타가 기록되어진 기록 매체.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일련의 소정량의 데이타에서의 선두의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관해서는, 상기 제 2 에러 정정 부호로서 식별 데이타가 부가되는 기록 매체.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기록 단위의 데이타에는, 그 기록 단위에 포함된 상기 소정량의 데이타에 대한, 에러 체크 부호가 포함되는 기록 매체.
  24.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매체는 판독 전용의 기록 매체인 기록 매체.
KR1019960702381A 1994-09-09 1995-09-06 데이타기록재생방법,데이터재생장치및기록매체 KR100385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631594 1994-09-09
JP94-216315 1994-09-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706168A KR960706168A (ko) 1996-11-08
KR100385386B1 true KR100385386B1 (ko) 2003-08-27

Family

ID=16686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2381A KR100385386B1 (ko) 1994-09-09 1995-09-06 데이타기록재생방법,데이터재생장치및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81565A (ko)
EP (1) EP0729150B1 (ko)
JP (1) JP3694895B2 (ko)
KR (1) KR100385386B1 (ko)
CN (1) CN1252715C (ko)
DE (1) DE69532231T2 (ko)
WO (1) WO19960080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270B1 (ko) * 2002-03-12 2005-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러 정정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19491A (en) * 1995-12-04 2005-06-30 Sony Corp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data, data reproduc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KR100229015B1 (ko) * 1996-08-06 1999-11-01 윤종용 디지탈 처리시스템의 에러정정장치 및 방법
US5917837A (en) * 1996-09-11 1999-06-2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decoding of codes with the use of side information associated with the encoded data
CN1106641C (zh) 1996-09-30 2003-04-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一种在盘上记录av数据的记录方法和信息处理系统
US6219814B1 (en) * 1996-12-23 2001-04-1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vely varying error correcting code (ECC) power in a direct access storage device (DASD)
US5991911A (en) * 1997-11-14 1999-11-23 Cirrus Logic, Inc. Concurrent generation of ECC error syndromes and CRC validation syndromes in a DVD storage device
US6058420A (en) * 1998-02-27 2000-05-02 Netsolve, Inc. Alarm server systems, apparatus, and processes
JP4224875B2 (ja) * 1998-07-17 2009-02-18 ソニー株式会社 光ディスク、光ディスク記録装置、光ディスクの記録方法、光ディスクの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の再生方法
US6625774B1 (en) * 1999-10-29 2003-09-23 Stmicroelectronics, Inc. Redundancy system and method for locating errors in interleaved code words
JP4218168B2 (ja) * 2000-02-18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ディスクフォーマット方法
EP1378066A1 (en) * 2001-03-30 2004-01-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s and devices for converting as well as decoding a stream of data bits, signal and record carrier
ATE309643T1 (de) * 2001-04-19 2005-11-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Verfahren und gerät zur informationscodierung, verfahren und gerät zur informationsdecodierung, speichermedium und signal
JP3760899B2 (ja) * 2002-07-23 2006-03-29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記録再生装置及びデータ記録再生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TWI309776B (en) * 2003-10-24 2009-05-11 Hon Hai Prec Ind Co Ltd Secure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solid memory
GB2407946A (en) * 2003-11-05 2005-05-11 Nokia Corp Forward Error Correction decoder suitable for use with data comprising variable padding
KR100584614B1 (ko) * 2004-02-14 200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한번 기록 디스크에 데이터 기록 장치, 그 방법 및 그한번 기록 디스크
KR100716972B1 (ko) * 2004-02-19 2007-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재생 방법
US7418644B2 (en) * 2004-03-01 2008-08-2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ystem for error correction coding and decoding
TWI266181B (en) * 2004-04-09 2006-11-11 Mediatek Inc Apparatus for accessing and outputting optical data
KR100717067B1 (ko) * 2007-02-01 2007-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기록/재생 장치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1543245B1 (ko) * 2009-03-18 2015-08-11 삼성전자주식회사 에러 교정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메모리 장치와 데이터 처리 시스템
US8898541B2 (en) * 2011-11-30 2014-11-25 Sony Corporation Storage controller, storage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storage controlling method
US9294133B1 (en) * 2013-01-29 2016-03-22 Marvell International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rror corre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0764A (en) * 1984-03-24 1987-07-1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KR940008494B1 (ko) * 1991-12-20 1994-09-15 주식회사 금성사 Cd-그래픽 디스크의 자동 검색장치와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4774A (en) * 1978-06-27 1980-01-14 Sharp Corp Pcm-system signal recording system
CA1258134A (en) * 1985-04-13 1989-08-01 Yoichiro Sako Error correction method
AU594995B2 (en) * 1986-01-24 1990-03-22 Sony Corporation Data transmission method suitable for a disc
JPS62271535A (ja) * 1986-12-12 1987-11-25 Sony Corp 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
JPS63157374A (ja) * 1986-12-19 1988-06-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符号誤り訂正方法
JP2543519B2 (ja) * 1987-04-10 1996-10-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回転形外部記憶装置のデ―タエラ―検出・訂正方法
JP2829963B2 (ja) * 1988-05-16 1998-12-02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H03122870A (ja) * 1989-10-05 1991-05-24 Ricoh Co Ltd データ記録方式及びその再生方式
US5517477A (en) * 1990-01-19 1996-05-14 Sony Corporation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producing apparatus
US5216656A (en) * 1990-06-15 1993-06-01 Sony Corporation Method for recording a cd-ram which is compatible with a conventional cd recording format while allowing fast accessing
JPH04139664A (ja) * 1990-09-28 1992-05-13 Nec Eng Ltd 磁気ディスク装置のトラックフォーマット
JPH04159661A (ja) * 1990-10-24 1992-06-02 Olympus Optical Co Ltd 再生専用光ディスク
JPH0652630A (ja) * 1991-03-28 1994-02-25 Sony Corp データ記録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0764A (en) * 1984-03-24 1987-07-1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igital data
KR940008494B1 (ko) * 1991-12-20 1994-09-15 주식회사 금성사 Cd-그래픽 디스크의 자동 검색장치와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270B1 (ko) * 2002-03-12 2005-0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러 정정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32231D1 (de) 2004-01-15
KR960706168A (ko) 1996-11-08
EP0729150B1 (en) 2003-12-03
DE69532231T2 (de) 2004-10-21
JP3694895B2 (ja) 2005-09-14
CN1252715C (zh) 2006-04-19
EP0729150A4 (en) 1998-05-20
EP0729150A1 (en) 1996-08-28
CN1137322A (zh) 1996-12-04
US5781565A (en) 1998-07-14
WO1996008010A1 (fr) 199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386B1 (ko) 데이타기록재생방법,데이터재생장치및기록매체
KR100378249B1 (ko) 데이터기록재생방법및장치,데이터전송방법및장치
US6385744B1 (en) Data recording medium, data recording method and data reproducing method
EP0474428B1 (en) Optical disk data storage system with error correction
US6646969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which records information that pertains to integrity
KR100452570B1 (ko) 데이터기록/재생장치및방법과데이터기록매체
JP3480057B2 (ja)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再生方法及び記録媒体
JPS6358672A (ja) 情報処理装置
US6661758B2 (en) High speed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with increased sector access speed
KR950014671B1 (ko) 광 정보기록재생장치, 매체 및 기록재생방법
JP3520576B2 (ja) 誤り訂正方法
JP2856072B2 (ja) 情報記録方法、情報再生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US7376066B2 (en) Information recording method and an information recording apparatus
JP3551494B2 (ja) データ記録方法及びその装置、データ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データ記録再生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01196775A (ja) データ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交替処理方法
KR100388412B1 (ko) 광 디스크의 기록 방법, 광 디스크 기록 장치, 광 디스크재생 장치, 및 광 디스크
JP3671470B2 (ja) データ記録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データ伝送方法及びその装置
US6724700B1 (en) Optical rotating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address information and corresponding error correction code
JPH08195033A (ja) 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再生方法、データ記録再生方法及びディスク状記録媒体
JPH1186462A (ja) 光ディスク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JPH0554561A (ja) 光デイスクのデータ記録再生方式
US20110022929A1 (en) Error correct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memory of error correcting apparatus, and optical dis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H05159471A (ja) 光ディスクのデータ記録再生方式
JPH0950678A (ja) ディスク状記録媒体の再生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143397A (ja) データ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