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362B1 - 취반기 - Google Patents

취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362B1
KR100385362B1 KR10-2000-0017498A KR20000017498A KR100385362B1 KR 100385362 B1 KR100385362 B1 KR 100385362B1 KR 20000017498 A KR20000017498 A KR 20000017498A KR 100385362 B1 KR100385362 B1 KR 100385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main body
top plate
plate
inn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7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0708A (ko
Inventor
가나야사다오
고구레에이지
츠카하라히로아키
가와무라요시히로
후지모토와타루
다카기가즈히코
후쿠시마다다시
나카지마도시오
가토미키오
시모다마사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42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874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3027499A external-priority patent/JP3538751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끼 홈기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0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4Cooking-vessels with integral electrical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취반기에 있어서의 본체 및 뚜껑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및 뚜껑체의 표면의 더러움을 경감시키고 더러움의 손질을 용이하게 하고 청소성이 좋으며 취사시의 가열온도에 의한 뚜껑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뚜껑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체; 이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체; 본체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내부솥 및; 이 내부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본체는 측면을 구성하는 비자성금속재의 외측벽과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을 갖는 구성으로 하였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본체 및 뚜껑체의 표면의 더러움을 경감시키고 더러움의 손질을 용이하게 하고, 청소성을 좋게 하고, 취사시의 가열온도에 의한 뚜껑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뚜껑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취반기{A Rice Cooker}
본 발명은 취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취반기에 있어서의 본체 및 뚜껑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종래의 유도가열식 취반기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상부가 개구된 취반기본체, (2)는 취반기본체(1)의 후방 상부에 마련된 힌지부(hinge)(1a)를 거쳐서 취반기본체(1)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자유롭게 덮도록 부착된 뚜껑체, (3)은 취반기본체(1)내에 수용되는 내부솥, (4)는 취반기본체(1)내에 마련되어 내부솥(3)을 전자유도가열하는 유도가열코일이다.
(5)는 취반기본체(1)의 본체케이스로서, 취반기본체(1)의 외측벽(6a), 상부틀(6b) 및 내측벽(6c)를 형성하고, 이들은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이하, PP라 한다)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된 상부케이스(6), 예를 들면 PP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상부케이스(6)의 외측벽(6a)의 하단부에 결합된 취반기본체(1)의 바닥판(7a)를 형성하는 하부케이스(7) 및 예를 들면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내부솥(3)의 하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단부가 상부케이스(6)의 내측벽(6c)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하면측에 유도가열코일(4)가 배치된 코일대(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케이스(6)의 앞면측에는 조작패널(9)가 마련되고, 하부케이스(7)의 후방 바닥면에는 전원공급용 전원코드릴(10)이 마련되어 있다.
또, 본체케이스(5)의 코일대(8)의 대략 중심부에는 내부솥(3)의 바닥부와 접촉해서 내부솥(3)의 온도를 검지하는 내부솥 온도센서(11)이 마련되어 있고, 취반기본체(1)의 내부에는 유도가열코일(4)의 외측에 마련되어 유도가열코일(4)의 자기의 바깥쪽(외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페라이트(12), 유도가열코일(4) 및 페라이트(12)의 외주부를 덮어 양자(4), (12)로부터의 자기누설을 더욱 방지하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과 같은 비자성 금속재에 의해서 구성된 원통형상의 자기방지판(13) 및 제어기판(14a) 등을 갖고 취반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를 구비하고 있다.
(15)는 뚜껑체(2)를 구성하는 뚜껑케이스로서, 예를 들면 PP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대략 중심부에 증기구(17a)가 마련되어 뚜껑체(2)의 상면측을 형성하는 상부판(16) 및 예를 들어 PP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대략 중심부에 상부판(16)의 증기구(17a)와 연통하는 통형상의 증기배출로(18a)가 마련되어 뚜껑체(2)의 하면측을 형성하는 하부판(18)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19)는 금속재료에 의해 구성되고, 대략 중심부의 하부판(18)의 증기배출로(18a)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구멍(19a)를 갖고, 상면에 보온을 실행하고 또한 이슬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예를 들면 니크롬선과 같은 저항선을 이용한 코드히터로 이루어지는 뚜껑히터(20)이 마련된 방열판으로서, 하부판(18)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다. (21)은 금속재에 의해서 구성되고, 대략 중심부에 하부판(18)의 증기배출로(18a)와 연통하는 증기구멍(21a)를 갖는 내부뚜껑으로서, 방열판(19)를 덮도록 하부판(18)의 하면측에 착탈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내부뚜껑(21)의 외주 가장자리부에는 내부솥(3)의 플랜지(3a)에 대해 압접해서 내부솥(3)내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뚜껑패킹(22)가 부착되어 있고, 방열판(19)의 개구구멍(19a)에는 뚜껑체(2)내로의 증기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패킹(seal packing)(23)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취반기에 있어서 취사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우선 소정량의 쌀과 물이 넣어진 내부솥(3)을 취반기본체(1)내(본체케이스(5)의 상부케이스(6)의 내측벽(6c) 및 코일대(8)의 내측)에 수용하고 뚜껑체(2)를 닫는다. 이 때, 내부솥(3)의 바닥면과 내부솥 온도센서(11)의 상면은 밀접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취반기의 전원을 넣고 취반기본체(1)의 앞면측에 마련된 조작패널(9)의 취사키(도시하지 않음)를 누르면 취반기본체(1)내에 마련된 제어부(14)는 유도가열코일(4)로 통전해서 내부솥(3)의 바닥면에 와전류를 발생시키고, 내부솥(3)을 발열시켜 취사공정을 개시한다. 그리고, 내부솥 온도센서(11)의 검지온도에 따라서 예열, 취사, 뜸들이기의 각 공정을 실행하여 내부솥(3)내의 쌀을 다 익히고(밥이 다 되어) 취사공정이 종료하면, 뚜껑히터(20)으로 통전해서 보온공정을 실행시킨다.
상기와 같은 취반기는 일반 가정 등에서 사용되는 경우, 개수대, 렌지대, 냉장고, 출창(出窓:bay window) 또는 테이블 등의 위 등 부엌의 여러장소에 설치되고, 가스렌지의 근방에 설치되는 경우도 많다. 이 경우, 공기중에는 먼지는 물론이고 요리에서 사용된 기름 등이 많이 부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합성수지에 의해서 구성된 취반기본체(1)의 본체케이스(5) 및 뚜껑체(2)의 뚜껑케이스(15)의 표면에는 먼지가 정전기에 의해서 흡착되어 약간 더러워진 상태로 되어버림과 동시에 부유하고 있는 기름이 유막상태로 되어 달라붙어 끈적끈적하게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 경우에 따라서는 표면에 부착된 먼지가 기름과 함께 달라붙어 표면의 더러움을 더욱 악화시켜 버리는 경우도 있었다. 그래서, 더러워진 표면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젖은 천 등으로 닦아는 보지만 그다지 깨끗하게는 되지 않고, 또 금속수세미 등으로 문지른 경우에는 표면에 흠집이 나버려 오히려 더러워져버림과 동시에 취반기에 손상을 주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또, 뚜껑체(2)의 상부판(16)이 PP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강도적으로 약하고, 취사시의 가열온도에 따라 뚜껑체(2)가 휘어져 변형하는 경우가 있고, 이 상태가 현저하게 되었을 때에는 내부뚜껑(21)의 뚜껑패킹(22)에 의한 내부솥(3)으로의 압접력이 약해져 증기누설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또, 뚜껑체(2)의 변형은 외관적으로도 좋은 것은 아니었다.
또, 취반기본체(1)에 있어서는 페라이트(12)만으로는 유도가열코일(4)로부터의 자기누설을 방지할 수 없다는 우려가 있기 때문에 자기방지판(13)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취반기본체(1)내에서는 그 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있고, 취반기본체(1)을 소형(compact)으로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취사공정이 개시되어 내부솥(3)내가 비등하면 그 증기는 내부뚜껑(21)의 증기구멍(21a)에서 하부판(18)의 증기배출로(18a)를 통해서 상부판(16)의 증기구(17a)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증기의 열에 의해서 증기구(17a)의 주변의 뚜껑케이스(15)(특히 증기구(17a)의 근방의 상부판(16))가 국부과열되고, 뚜껑체(2)의 외주부측에 맞닿는 뚜껑케이스(15)와의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고, 이때문에 뚜껑케이스(15)가 변형해서 뚜껑체(2)의 개폐동작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있음과 동시에 뚜껑케이스(15)의 특히 상부판(16)의 증기구(17a) 주변이 무르게 되어(약하게 되어) 파손될 우려가 있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체 및 뚜껑체의 표면의 더러움을 경감시킬 수 있고, 더러움의 손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잘 더러워지지 않으며 청소성이 좋은 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취사시의 가열온도에 의한 뚜껑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증기누설이 없는 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누설방지의 자기방지판을 불필요하게 하고, 본체를 소형으로 한 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뚜껑체가 받는 열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해서 뚜껑체의 변형을 방지하고, 뚜껑체의 개폐조작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없고 뚜껑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취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취반기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취반기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관한 베이스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관한 취반기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에 관한 취반기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취반기의 정면 일부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취반기의 뚜껑체의 종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유도가열식 취반기의 구성을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취반기본체, 2; 뚜껑체, 3; 내부솥, 4; 유도가열코일,
17; 증기배출장치, 17a; 증기구, 20; 뚜껑히터, 32a; 외측벽, 32A; 케이스,
33a; 바닥판, 35; 뚜껑케이스, 36; 제1 상부판, 37, 37A; 제2 상부판,
37B; 연결부, 40; 제1 방열판, 43; 커버부재, 44; 방열시트, 45; 제2 방열판,
51; 수지층, 52; 베이스재(基材).
[1] 본 발명에 관한 취반기는 본체; 이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체; 본체내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내부솥 및; 이 내부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본체는 측면을 구성하는 비자성금속재의 외측벽과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을 갖는 것이다.
[2] 또, 본체의 측면 및 바닥면을 비자성금속재로 일체로 구성하였다.
[3] 또, 본체의 측면을 적어도 가열수단의 최상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가열수단의 최하단부보다 아래쪽까지 비자성금속재로 구성하였다.
[4] 또, 본체의 적어도 가열수단과 대향하는 부분을 비자성금속재로 구성하였다.
[5] 또, 상기 [1]∼[4]중 어느 하나의 뚜껑체의 상면의 일부를 금속재로 구성하였다.
[6] 상기 [5]의 뚜껑체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중심부에 증기구를 갖는 증기배출장치가 착탈자유롭게 장착되는 오목부를 구비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1 상부판과;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제1 상부판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7] 상기 [6]의 제1 상부판의 하면을 제2 상부판에서 연속하는 합성수지로 피복하였다.
[8] 상기 [6] 또는 [7]의 증기배출장치의 상면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를 마련하였다.
[9] 상기 [5]의 뚜껑체는 윤곽이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제1 상부판과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제1 상부판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갖는 뚜껑케이스 및; 이 뚜껑케이스와 내부솥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내부뚜껑 사이에 마련된 뚜껑케이스와 대향하는 면에 제2 가열수단이 배치된 방열판을 구비한 것으로 하였다.
[10] 상기 [9]의 뚜껑케이스의 제1 상부판을 비자성금속재로 구성하고, 방열판을 자기투과재로 구성함과 동시에 내부뚜껑을 자성금속재로 구성하고, 제2 가열수단을 유도가열코일로 구성하였다.
[11] 상기 [1]∼[10]중 어느 하나의 금속재 또는 비자성금속재는 동이 함유된 것이다.
[12] 상기 [1]∼[10]중 어느 하나의 금속재 또는 비자성금속재는 동이 1. 3%∼4. 0% 함유된 스테인레스재이다.
[13] 상기 [1]∼[12]중 어느 하나의 금속재 또는 비자성금속재의 베이스재의 외표면에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된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14] 상기 [13]의 가공성형전에 베이스재의 한쪽면에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된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15] 상기 [13] 또는 [14]의 수지층을 무착색층으로 하였다.
[16] 상기 [1]∼[4] 또는 [10]∼[15]중 어느 하나의 비자성금속재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재를 사용하였다.
[17] 또, 상기 [1]∼[4] 또는 [10]∼[15]중 어느 하나의 비자성금속재로서 알루미늄재를 사용하였다.
[18] 또, 본체;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고 증기배출부를 갖는 뚜껑체; 본체내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내부솥 및; 내부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뚜껑체에 이 뚜껑체를 구성하는 상부판의 증기배출부 근방 및 외주 가장자리부 내측과 당접하는 방열판을 마련한 것이다.
[19] 또, 상기 상부판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기배출부를 갖는 제1 상부판과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상부판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된 평면에서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판이 상기 제1 상부판의 증기배출부 근방 및 제2 상부판의 내벽면과 당접하는 것이다.
[20] 상기 상부판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중심부에 증기구를 갖는 증기배출장치가 착탈자유롭게 장착되는 오목부를 구비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1 상부판과;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상부판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판이 상기 제1 상부판의 오목부 하면과 당접하고 또한 상기 제2 상부판의 내벽면과 당접(끼워맞춤 포함)하는 것이다.
[21] 또, 상기 제1 상부판의 외주 가장자리부 내측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방열시트를 마련한 것이다.
[22] 또, 상기 방열판 및 방열시트를 열전도성이 좋은 금속재에 의해서 구성한 것이다.
[23] 또, 상기 방열판 및 방열시트를 알루미늄재에 의해서 구성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취반기의 종단면도, 도 2는 그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9에서 설명한 종래예와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 있어서, (31)은 상부케이스(32)와 하부케이스(33)과 코일대(8)로 이루어지는 취반기본체(1)의 본체케이스이다.
상부케이스(32)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면 즉 외표면에 예를 들면 불소수지, 아크릴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의 무착색(투명)의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된 수지층(51)을 갖는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304재와 같은 비자성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52)에 의해서 구성된 통형상의 취반기본체(1)의 외측벽(32a), 예를 들면 PP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취반기본체(1)의 상부틀(32b) 및 예를 들어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430재와 같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차열판으로서의 기능을 갖는 취반기본체(1)의 내측벽(32c)가 각각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하부케이스(33)은 예를 들면 PP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단부가 상부케이스(32)의 외측벽(32a)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취반기본체(1)의 바닥판(33a)를 형성하고 있다.
외측벽(32a)는 상단과 하단에 컬(curl)부를 갖고, 상부틀(32b)의 외측 끝부에 수개소 형성된 발톱부 및 바닥판(33a)의 외주부의 수개소에 형성된 발톱부에 그의 컬부를 끼워맞추는 것에 의해 적어도 유도가열코일(4)와 대향하는 부분, 바람직하게는 유도가열코일(4)의 상단부보다 위쪽에서 하단부의 아래쪽에 이르는 범위에 걸쳐서 고정되어 있다. 또, 외측벽(32a)의 표면은 상술한 바와 같이 지문 등의 더러움의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클리어 코팅처리되어 있다. 또한, 바닥판(33a)는 외측벽(32a)를 상부틀(32b)에 부착하고, 본체 내부부품을 조립한 후 마지막에 부착된다.
취반기본체(1)의 외주부분은 유도가열코일(4)에서 본체 외부로 자기누설되기쉬운 부분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외측벽(32a)를 비자성금속재로 구성했으므로, 자기누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외측벽(32a)를 유도가열코일(4)의 최하단부보다 아래쪽까지 연장시키면 자기누설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 외측벽(32a)가 자성금속재이면 유도가열코일(4)에서 누설된 자기에 의해서 가열되어 뜨거워지지만, 비자성금속재로 구성했으므로 자기로 가열되는 일은 없다.
또, 취반기본체(1)의 측면부분은 평면 또는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금속재라도 가공이 용이하다. 또, 외측벽(32a)를 금속재로 형성했으므로, 합성수지로 구성된 것에 비해서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기름 등이 잘 부착되지 않고, 부착된 경우에도 젖은 천 등으로 닦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깨끗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비자성금속재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재를 사용하면 취반기본체(1)의 강도가 강해진다. 즉, 취반기는 밥이 다 된 후에 있어서 취반기본체(1)을 들고 이동시키는 경우가 있지만, 이동중의 충돌에 대해서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알루미늄재를 사용하면 취반기본체(1)의 중량이 가벼운 취반기를 제공할 수 있다.
코일대(8)은 예를 들면 나일론 등의 내열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내부솥(3)의 하부를 덮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상단부가 상부케이스(32)의 내측벽(32c)의 하단부에 결합되어 있고, 하면측에 유도가열코일(4)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체케이스(31)의 상부케이스(32)의 앞면측 상부에는 취사스위치나예약스위치 등의 조작패널(9)가 마련되어 있고, 상부케이스(32)의 내측벽(32c)의 외면측에는 코드히터로 이루어지는 보온용 본체히터(34)가 부착되어 있다. 또, 전원코드릴(10)은 취반기본체(1)내의 후방측의 상부케이스(32)에서 하부케이스(33)에 걸쳐 세로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2)는 힌지부(1a)에 의해 취반기본체(1)에 개폐가 자유롭게 부착되어 그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체이고, (35)는 제1 상부판(36), 제2 상부판(37), 부착부재(38) 및 하부판(39)로 이루어지는 뚜껑케이스이다.
제1 상부판(36)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면 즉 외표면에 예를 들면 불소수지, 아크릴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의 무착색(투명)의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된 수지층(51)을 갖는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304재와 같은 비자성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52)에 의해서 구성되고, 대략 중심부에 증기구(17a)를 갖는 증기배출장치(17)이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바닥면에는 부착구멍(36a)를 구비한 오목부(36b)가 마련되어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뚜껑체(2)의 상면측을 형성하고 있다.
제2 상부판(37)은 예를 들면 PP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상부판(36)의 외주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뚜껑체(2)의 상면측을 형성하고 있다. (37a)는 제2 상부판(37)의 외주 가장자리부 내측에 형성된 여러개의 걸림부재, (37b)는 제2 상부판(37)의 내주 가장자리부 내측에 형성된 돌출부이다.
부착부재(38)은 예를 들면 PP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대략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1 상부판(36)의 내주가장자리부(부착구멍(36a))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하부판(39)는 예를 들면 PP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 상부판(37)의 하면측에 부착되어 뚜껑체(2)의 하면측을 형성하고 있다.
(40)은 금속재에 의해서 구성되고, 부착부재(38)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구멍(40a)를 갖고, 상면에 보온을 실행하고 또한 이슬부착을 방지하기 위한 코드히터로 이루어지는 뚜껑히터(20)이 마련된 제1 방열판으로서, 그의 외주가장자리부가 하부판(39)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41)은 금속재에 의해서 구성되고, 제1 방열판(40)의 개구구멍(40a)에 대응하는 위치에 증기구멍(41a)를 갖는 내부뚜껑으로서, 제1 방열판(40)을 덮도록 외주가장자리부가 하부판(39)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또, 내부뚜껑(41)의 외주가장자리부에는 내부솥(3)의 플랜지(3a)에 대해 압접해서 내부솥(3)내를 기밀하게 유지하는 뚜껑패킹(22)가 부착되어 있고, 부착부재(38) 및 제1 방열판(40)의 개구부(40a)의 내주가장자리부에는 뚜껑체(2)내로의 증기 등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패킹(42)가 부착되어 있다.
증기배출장치(17)은 예를 들면 PP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단면이 대략 역 L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의 하부측을 제1 상부판(36)의 오목부(36b)의 부착구멍(36a), 부착부재(38) 및 제1 방열판(40)의 개구구멍(40a)에 밀봉패킹(42)를 거쳐서 부착하는 것에 의해, 상부측이 오목부(36b)내에 수용된다. 또, 증기구(17a)가 마련된 상부측의 상면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면 즉 외표면에 예를 들면 불소수지, 아크릴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의 무착색(투명)의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된 수지층(51)을 갖는 예를 들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304재와 같은 비자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52)에 의해서 구성된 커버부재(43)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증기배출장치(17)은 취사공정에서 비등했을 때 내부솥(3)의 내압의 상승에 의해 발생하는 밥물과 증기를 내부뚜껑(41)의 증기구멍(41a)를 거쳐서 내부솥(3)내와 연통한 도입통(17b)에서 도입하고, 도중에 여러개의 장벽(17c)에 의해 밥물과 증기를 분리해서 증기만 증기구(17a)에서 뚜껑체(2)의 바깥쪽으로 배출하고 남은 밥물을 탱크부(17d)에 저장하고, 비등이 멈추고(안정되고) 내부솥(3)의 내압이 저하했을 때 귀환밸브(17e)에서 밥물을 내부솥(3)내로 되돌려 보내는 것에 의해 끓어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취반기본체(1)의 외측벽(32a) 등을 구성하는 베이스재(52)로의 합성수지에 의한 코팅은 외측벽(32a) 등의 프레스가공전 또는 가공후에 실행해도 좋고 또는 코팅을 생략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1에 있어서, 취사를 실행하는 경우에 우선 소정량의 쌀과 물이 들어간 내부솥(3)을 취반기본체(1)내(본체케이스(31)의 상부케이스(32)의 내측벽(32c) 및 코일대(8)의 내측)에 수용하고 뚜껑체(2)를 닫는다. 이 때, 내부솥(3)의 바닥면과 내부솥 온도센서(11)의 상면은 밀접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취반기의 전원을 넣고 취반기본체(1)의 앞면측에 마련된 조작패널(9)의 취사키(도시하지 않음)를 누르면 취반기본체(1)내에 마련된제어부(14)는 유도가열코일(4)로 통전해서 내부솥(3)의 바닥면에 와전류를 발생시키고, 내부솥(3)을 발열시켜 취사공정을 개시한다. 취사중에 내부솥 온도센서(11)은 내부솥(3)의 온도를 검지하고 있고, 이 검지온도에 따라서 제어부(14)는 유도가열코일(4)로의 통전을 제어하고, 예열, 취사, 뜸들이기의 각 공정을 실행해서 내부솥(3)내의 쌀을 다 익힌다.
또, 취사공정에서 내부솥(3)내의 물이 비등했을 때 발생한 밥물과 증기는 증기배출장치(17)내로 보내져 분리되고, 증기만이 증기구(17a)에서 뚜껑체(2)의 바깥쪽으로 배출되고, 남은 밥물은 비등이 멈추고 내부솥(3)의 내압이 저하했을 때 귀환밸브(17e)에서 내부솥(3)내로 되돌려 보내진다.
또, 배출되는 증기의 열에 의해서 고온으로 되는 증기배출장치(17) 근방의 제1 상부판(36)의 오목부(36b)는 그의 바닥면의 하면과 당접된 제2 방열판(45)에 의해서 열이 확산되고, 그 열은 제2 방열판(45)의 외주측벽(45a) 및 제2 상부판(37)을 거쳐서 외부로 방출된다. 또, 제1 상부판(36)의 외주가장자리부 내측에 부착된 방열시트(44)에 의해서 제1 상부판(36)의 열이 확산되고, 제1 상부판(36) 특히 오목부(36b)에 있어서의 국부과열이 방지된다.
그리고, 취사공정이 종료하면 제어부(14)에 의해서 보온공정으로 이행하고, 뚜껑히터(20) 및 본체히터(34)가 발열해서 내부솥(3)내의 밥을 보온시킨다.
이와 같이, 취반기본체(1)의 본체케이스(31)의 상부케이스(32)의 외측벽(32a) 및 뚜껑체(2)의 뚜껑케이스(35)의 제1 상부판(36)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표면에 예를 들면 불소수지, 아크릴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된 수지층(51)을 갖는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304재와 같은 비자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52)에 의해서 구성하고, 증기배출장치(17)의 상부측의 상면에 상부케이스(32)의 외측벽(32a) 등과 동일재료로 구성된 커버부재(43)을 마련한 취반기로 했으므로, 사용시 및 미사용시에 관계없이 예를 들면 가스렌지의 근방 등에 설치한 경우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기름이 상부케이스(32)의 외측벽(32a), 제1 상부판(36) 및 증기배출장치(17)의 커버부재(43)에 잘 부착되지 않게 됨과 동시에 부착된 경우에도 젖은 천 등으로 닦아내는 등의 간단한 작업으로 표면에 흠집을 내는 일없이 깨끗하게 할 수 있다. 또, 정전기도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중의 먼지가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지문 등도 거의 묻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잘 더러워지지 않는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또, 취사시에는 종래예와 마찬가지로 가열온도가 뚜껑체(2)에 가해지지만,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304재와 같이 비자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52)에 의해서 구성된 제1 상부판(36)과 PP 등의 합성수지에 의해서 구성된 제2 상부판(37)을 일체로 성형해서 형성된 뚜껑케이스(35)에 의해 뚜껑체(2) 그 자체의 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상부판(36)과 제2 상부판(37)을 일체로 성형해서 뚜껑케이스(35)를 형성했으므로, 그들을 접합하는 나사나 접합제 등을 생략할 수 있다.
또, 증기배출장치(17)은 뚜껑체(2)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므로, 증기배출장치(17) 및 제1 상부판(36)의 오목부(36b)를 용이하게 깨끗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제1 상부판(36)과 제2 상부판(37)을 일체 성형으로 했으므로, 이음매에 틈새가 없어져 이음매로 먼지 등이 들어갈 우려가 없는 청소성이 양호한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또, 비자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상부케이스(32)의 외측벽(32a)는 유도가열코일(4)의 자기의 외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하는 자기방지판으로서 기능한다.
또, 외측벽(32a)를 비자성 금속재로 구성했으므로, 종래 유도가열코일(4)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던 자기누설방지용 자기방지판을 생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도가열코일(4)와 외측벽(32a) 사이의 공간을 적게할 수 있어 취반기 본체(1)을 소형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종단면도이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에 관한 취반기의 본체케이스(31)에 있어서 비자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측면을 구성하는 외측벽(32a) 및 예를 들면 PP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33a) 대신에 외측벽과 바닥판의 2개의 부품을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304재와 같은 비자성 금속재로 일체로 형성하고, 1부품의 케이스(32A)로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지고, 비자성 금속재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케이스(32A)에 의해서 취반기본체(1)의 바닥면으로부터의 자기누설을 더욱 개선할 수 있음과 동시에 부품점수를 적게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의 종단면도로서, 이 실시예 3은 실시예 1에 관한 취반기의 뚜껑체(2)의 뚜껑케이스(35)에 있어서 제2 상부판(37A)를 실시예 1의 제2 상부판(37)과 부착부재(38)을 제1 상부판(36)에 대응한 형상의 연결부(37B)로 연결해서 일체로 성형하고, 제1 상부판(36)의 하면을 연결부(37B)에 의해 피복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제2 상부판(37A)에 의해서 제1 방열판(40)의 상면에 마련된 뚜껑히터(20)의 복사열이 뚜껑체(2)의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판으로서의 기능을 얻을 수 있어 내부솥(3)내의 밥의 보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4
실시예 4는 실시예 1에 관한 취반기의 취반기본체(1)의 상부케이스(32)의 외측벽(32a), 뚜껑체(2)의 뚜껑케이스(35)의 제1 상부판(36) 및 증기배출장치(17)의 커버부재(43)에 있어서 예를 들면 프레스가공 등의 가공성형전에 한쪽면에 코팅 등에 의해 예를 들면 불소수지, 아크릴수지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 등의 무착색(투명)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수지층(51)을 형성한 베이스재(52)를 사용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가공성형전에 코팅된 수지층(51)을 갖는 베이스재(52)는 수지층(51)을 대략 균일한 두께로 코팅할 수 있으므로, 성형시의 금형과의 마찰을 작게할 수 있어 수지층(5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프레스가공성이 양호한 취반기를 얻을 수있다.
실시예 5
실시예 5는 실시예 1에 관한 취반기의 취반기본체(1)의 상부케이스(32)의 외측벽(32a), 뚜껑체(2)의 뚜껑케이스(35)의 제1 상부판(36) 및 증기배출장치(17)의 커버부재(43)을 구성하는 한쪽면에 수지층(51)을 갖는 비자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52) 대신에 한쪽면에 수지층(51)을 갖고 동이 1. 3%∼4. 0% 함유된 스테인레스(비자성 금속재료)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로 한 것이다. 또한, 동의 함유량이 1. 3% 미만이면 동이 갖는 항균효과가 얻어지지 않고, 4. 0%를 초과하면 스테인레스가 갖는 녹방지성을 저하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동의 함유량은 1. 3%∼4. 0%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동이 함유된 베이스재를 사용하므로, 동에 의한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어 취반기 본체(1) 및 뚜껑체(2)의 표면을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실시예 6
실시예 6은 실시예 1에 관한 취반기의 뚜껑체(2)에 있어서 저항선을 이용한 코드히터로 이루어지는 뚜껑히터(20) 대신에 유도가열코일로 이루어지는 뚜껑히터로 함과 동시에 제1 방열판(40)을 내열성을 갖는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로 구성하고, 내부뚜껑(41)을 자성을 갖는 예를 들면 페라이트계 스테인레스430재로 구성한 것이다. 또, 뚜껑케이스(35)를 구성하는 제1 상부판(36)을 실시예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304재와 같은 비자성 금속재로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에 의해,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한쪽면에 수지층(51)을 갖는 비자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재(52)에 의해서 구성된 뚜껑체케이스(35)의 제1 상부판(36)에 의해서 뚜껑체(2)의 유도가열코일로 이루어지는 뚜껑히터의 자기의 외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어 새로이 자기방지판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는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7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7에 관한 취반기의 정면 일부단면도, 도 7은 그의 주요부의 확대도, 도 8은 그의 뚜껑체의 종단면도이다.
(44)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박과 같은 열전도성이 양호한 시트형상의 금속재에 의해서 구성되고, 제1 상부판(36)의 외주가장자리부 내측의 제2 상부판(37)의 돌출부(37b) 근방에 접착제에 의해 부착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방열시트로서, 제1 상부판(36)의 열을 확산시킨다. (45)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재와 같은 열전도성이 양호한 박판형상의 금속재에 의해서 구성되고, 증기배출장치(17)의 하부측에 대응해서 개구부(45b)가 마련된 제2 방열판으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방열판(45)의 외주측벽(45a)가 제2 상부판(37)의 걸림부재(37a)와 돌출부(37b) 사이의 내벽면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대략 중심부가 제1 상부판(36)에 마련된 오목부(36b)의 바닥면의 하면을 따르도록 당접되어 있다. 또, 제2 방열판(45)의 개구부(45b)의 내주가장자리부는 부착부재(38)의 외주면과 당접되어 있다. 또한, 외주측벽(45a)는 제2 상부판(37)의 내벽면을 따르도록배치(당접)해도 좋다.
이와 같이, 뚜껑체(2)를 구성하는 뚜껑케이스(35)에 있어서 방열시트(44)를 제1 상부판(36)의 외주가장자리부 내측에 부착함과 동시에 제2 방열판(45)를 제2 상부판(37)의 내벽면에 끼워맞추고 또한 제1 상부판(36)의 오목부(36b)의 바닥면의 하면과 당접시켜 마련했으므로, 취사공정중에 내부솥(3)내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의 배출시의 증기에 의해서 고온으로 된 뚜껑케이스(35), 특히 증기배출장치(17) 근방의 제1 상부판(36)의 오목부(36b)의 열을 확산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오목부(36b)의 국부과열을 방지할 수 있어 뚜껑케이스(35)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유도가열코일(4)에 의해서 내부솥(3)을 가열하는 유도가열식 취반기에 있어서 본 발명을 실시한 경우를 예시해서 설명했지만, 유도가열코일(4) 대신에 발열체(시스히터;sheath heater)에 의해 내부솥을 가열하는 취반기에 본 발명을 실시해도 좋다. 이 경우도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1] 본 발명에 관한 취반기는 본체, 이 본체의 상부개구부를 덮는 뚜껑체, 본체내에 착탈이 가능하게 수용되는 내부솥 및 이 내부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본체는 상부를 구성하는 상부틀, 측면을 구성하는 비자성 금속재의 외측벽 및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을 갖는 것이고,
[2] 또, 본체의 측면 및 바닥면을 비자성 금속재에 의해 일체로 구성하고,
[3] 또는 본체의 측면을 적어도 가열수단의 최상단부와 대향하는 위치에서가열수단의 최하단부보다 아래쪽까지 비자성 금속재로 구성하고,
[4] 또, 본체의 적어도 유도가열수단과 대향하는 부분을 비자성 금속재로 구성했으므로, 가열수단으로부터의 자기누설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종래 본체내에 마련되어 있던 자기방지판을 생략할 수 있어 본체를 소형으로 할 수 있다.
[5] 상기 [1]∼[4]중 어느 하나의 뚜껑체의 상면의 일부를 금속재로 구성했으므로,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먼지나 기름 등이 본체 및 뚜껑체의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취반기 전체의 더러움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더러워진 경우에도 간단한 작업으로 깨끗하게 할 수 있어 청소성이 양호한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6] 상기 [5]의 뚜껑체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중심부에 증기구를 갖는 증기배출장치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오목부를 구비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1 상부판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제1 상부판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구비한 것으로 했으므로, 특히 더러워지기 쉬운 뚜껑체의 상면이 잘 더러워지지 않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더러워진 경우의 청소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 제1 상부판과 제2 상부판을 일체로 성형했으므로, 이음매에 틈새가 없어져 이음매로 먼지 등이 들어갈 우려가 없는 청소성이 양호한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7] 상기 [6]의 제1 상부판의 하면을 제2 상부판에서 연속하는 합성수지로 피복했으므로, 상기한 바와 같은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뚜껑체의 보온용 가열수단의 복사열이 뚜껑체의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하는 차폐판으로서의 기능을 얻을수 있어 내부솥내의 밥의 보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8] 상기 [6] 또는 [7]의 증기배출장치의 상면에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커버부재를 마련했으므로, 뚜껑체와 마찬가지로 특히 더러워지기 쉬운 증기배출장치의 상면을 잘 더러워지지 않게 할 수 있고 더러워진 경우의 청소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9] 상기 [5]의 뚜껑체가 윤곽이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제1 상부판과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제1 상부판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갖는 뚜껑케이스 및; 이 뚜겅케이스와 내부솥의 상부개구부를 덮는 내부뚜껑 사이에 마련된 뚜껑케이스와 대향하는 면에 제2 가열수단이 배치된 방열판을 구비한 것으로 했으므로, 뚜껑체의 강도가 향상하고, 이 때문에 취사시의 가열온도에 의한 뚜껑체의 휨이 없어져 증기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 상부판과 제2 상부판을 일체로 성형했으므로, 이들을 접합하는 나사나 접착제 등을 생략할 수 있다.
[10] 상기 [9]의 뚜껑케이스의 제1 상부판을 비자성 금속재로 구성하고, 방열판을 자기투과재로 구성함과 동시에 내부뚜껑을 자성금속재로 구성하고, 제2 가열수단을 유도가열코일로 구성했으므로, 뚜껑케이스의 제1 상부판에 의해서 방열판에 배치된 유도가열코일의 자기의 외측으로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어 새로이 자기방지판 등을 마련할 필요가 없는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11] 상기 [1]∼[10]중 어느 하나의 금속재 또는 비자성 금속재는 동이 함유된 것이므로, 동에 의한 항균효과를 얻을 수 있어 취반기 본체 및 뚜껑체의 표면을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12] 상기 [1]∼[10]중 어느 하나의 금속재 또는 비자성 금속재는 동이 1. 3%∼4. 0% 함유된 스테인레스재이므로, 항균성이 높은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13] 상기 [1]∼[12]중 어느 하나의 금속재 또는 비자성 금속재의 베이스재의 외표면에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된 수지층을 형성했으므로, 공기중에 부유하고 있는 먼지나 기름 등이 본체 및 뚜껑체의 표면에 잘 부착되지 않게 함과 동시에 지문 등도 잘 묻지 않게 할 수 있으므로, 잘 더러워지지 않고 청소성이 양호한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14] 상기 [13]의 가공성형전에 베이스재의 한쪽면에 합성수지에 의해 코팅된 수지층을 형성했으므로, 수지층을 대략 균일한 두께로 코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성형시의 금형과의 마찰을 작게할 수 있어 수지층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프레스가공성이 양호한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15] 상기 [13] 또는 [14]의 수지층을 무착색층으로 했으므로, 사용중에 만일 흠집이 난 경우에도 그 흠집이 눈에 띄지 않는다.
[16] 상기 [1]∼[4] 또는 [10]∼[15]중 어느 하나의 비자성 금속재로서,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재를 사용했으므로, 유도가열코일로부터의 자기누설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외면강도가 강한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17] 또, 상기 [1]∼[4] 또는 [10]∼[15]중의 어느 하나의 비자성 금속재로서 알루미늄재를 사용했으므로, 유도가열코일로부터의 자기누설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본체 중량이 가벼운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18] 또, 본체, 본체의 상부개구부를 덮고 증기배출부를 갖는 뚜껑체, 본체내에 착탈이 가능하게 수용되는 내부솥 및 내부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뚜껑체에 이 뚜껑체를 구성하는 상부판의 증기배출부 근방 및 외주가장자리부 내측과 당접하는 방열판을 마련했으므로, 이 방열판에 의해 취사중에 내부솥내에서 발생한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때의 뚜껑체가 받는 증기의 열을 확산시켜 뚜껑체의 온도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열에 의한 뚜껑체의 변형을 방지해서 뚜껑체의 개폐동작에 지장을 초래할 우려가 없는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19] 또, 뚜껑체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증기배출부를 갖는 제1 상부판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제1 상부판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구비하고, 뚜껑체에 제1 상부판의 증기배출부 근방 및 제2 상부판 내벽면과 당접하는 방열판을 마련했으므로, 이 방열판에 의해 취사중에 발생하는 증기의 열을 특별히 받는 제1 상부판의 증기배출부 근방의 국부과열을 방지할 수 있어 뚜껑체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취반기가 얻어진다.
[20] 또, 뚜껑체는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중심부에 증기구를 갖는 증기배출장치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오목부를 구비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1 상부판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제1 상부판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된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뚜껑체에 제1 상부판의 오목부 하면과 당접하고 또한 제2 상부판의 내벽면에 끼워맞추어지거나 또는 당접하는 방열판을 마련했으므로, 이 방열판에 의해 취사중에 발생하는 증기의 열을 특별히 받는 제1 상부판의 오목부의 국부과열을 방지할 수 있고 열을 확산시켜 뚜껑체의 변형 및 파손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취반기가 얻어진다.
[21] 또, 제1 상부판의 외주가장자리부 내측에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방열시트를 마련했으므로, 제1 상부판이 받는 증기의 열을 확산시킬 수 있어 국부과열을 방지할 수 있는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22] 또, 방열판 및 방열시트를 열전도성이 양호한 금속재에 의해 구성했으므로, 증기의 열의 확산을 효율좋게 또한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다.
[23] 또한, 방열판 및 방열시트를 알루미늄재에 의해서 구성했으므로, 증기의 열의 전도성 및 확산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저렴한 취반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체;
    상기 본체내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내부솥 및;
    상기 내부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측면을 구성하는 비자성 금속재의 외측벽 및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을 갖는 것이고,
    상기 뚜껑체를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중심부에 증기구를 갖는 증기배출장치가 착탈자유롭게 장착되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1 상부판 및;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상부판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되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구비한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2.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뚜껑체;
    상기 본체내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내부솥 및;
    상기 내부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본체는 측면을 구성하는 비자성 금속재의 외측벽 및 바닥면을 구성하는 바닥판을 갖는 것이고,
    상기 뚜껑체를
    윤곽이 대략 원형상으로 형성되며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제1 상부판과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상부판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되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갖는 뚜껑케이스 및;
    상기 뚜껑케이스와 내부솥의 상부 개구부를 덮는 내부뚜껑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뚜껑케이스와 대향하는 면에 제2 가열수단이 배치된 방열판을 구비한 것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3.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고 증기배출부를 갖는 뚜껑체;
    상기 본체내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내부솥 및;
    상기 내부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에 상기 뚜껑체를 구성하는 상부판의 상기 증기배출부 근방 및 외주가장자리부 내측과 당접하는 방열판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판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증기배출부를 갖는 제1 상부판과,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상부판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되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제1 상부판의 증기배출부 근방 및 제2 상부판의 내벽면과 당접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4.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 개구부를 덮고 증기배출부를 갖는 뚜껑체;
    상기 본체내에 착탈가능하게 수용되는 내부솥 및;
    상기 내부솥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에 상기 뚜껑체를 구성하는 상부판의 상기 증기배출부 근방 및 외주가장자리부 내측과 당접하는 방열판을 마련하고,
    상기 상부판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대략 중심부에 증기구를 갖는 증기배출장치가 착탈자유롭게 장착되는 오목부를 구비하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1 상부판과,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상부판의 외주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성형되며 평면에서 보아 대략 링형상인 제2 상부판을 구비해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판은 상기 제1 상부판의 오목부 하면과 당접하고 또한 상기 제2 상부판의 내벽면과 당접(끼워맞춤을 포함)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반기.
  5. 삭제
KR10-2000-0017498A 1999-07-13 2000-04-04 취반기 KR100385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42299A JP3538749B2 (ja) 1999-07-13 1999-07-13 炊飯器
JP1999-198422 1999-07-13
JP23027499A JP3538751B2 (ja) 1999-08-17 1999-08-17 炊飯器
JP1999-230274 1999-08-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708A KR20010020708A (ko) 2001-03-15
KR100385362B1 true KR100385362B1 (ko) 2003-05-27

Family

ID=265109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7498A KR100385362B1 (ko) 1999-07-13 2000-04-04 취반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385362B1 (ko)
CN (2) CN1191780C (ko)
TW (1) TW50260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22883B2 (ja) * 2003-05-06 2007-12-19 三菱電機株式会社 誘導加熱調理器
CN102008225B (zh) * 2006-03-15 2013-12-25 虎牌热水瓶株式会社 电饭锅
JP2007244558A (ja) * 2006-03-15 2007-09-27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炊飯器
JP5025154B2 (ja) * 2006-03-30 2012-09-12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CN102613878B (zh) * 2012-03-29 2015-04-29 九阳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高电磁兼容性的电磁加热锅
WO2017145414A1 (ja) * 2016-02-24 2017-08-31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JP6523993B2 (ja) * 2016-02-29 2019-06-05 三菱電機株式会社 炊飯器
CN107898327B (zh) * 2017-09-05 2020-04-17 浙江苏泊尔家电制造有限公司 烹饪器具
CN108577501A (zh) * 2018-06-07 2018-09-28 中山市掌声电器有限公司 一种智能炊饭器及其使用方法
KR102399986B1 (ko) 2020-10-30 2022-05-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이물질 제거 유닛을 포함하는 다단식 취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8221U (ko) * 1987-08-10 1989-02-20
JPH0194808A (ja) * 1987-10-07 1989-04-13 Sanyo Electric Co Ltd 炊飯器
JPH0810136A (ja) * 1994-07-01 1996-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KR20000007213A (ko) * 1998-07-01 2000-02-07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28221U (ko) * 1987-08-10 1989-02-20
JPH0194808A (ja) * 1987-10-07 1989-04-13 Sanyo Electric Co Ltd 炊飯器
JPH0810136A (ja) * 1994-07-01 1996-01-16 Mitsubishi Electric Corp 炊飯器
KR20000007213A (ko) * 1998-07-01 2000-02-07 구자홍 전기 압력밥솥의 뚜껑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55070C (zh) 2006-05-10
CN1606948A (zh) 2005-04-20
CN1191780C (zh) 2005-03-09
KR20010020708A (ko) 2001-03-15
TW502601U (en) 2002-09-11
CN1279926A (zh) 2001-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362B1 (ko) 취반기
CA2563919C (en) Kettle for beverage, electric water kettle and cableless electric kettle for beverage
JP3538749B2 (ja) 炊飯器
JPH10201621A (ja) 炊飯保温釜
JP3170826B2 (ja) 電気炊飯器
JP3538751B2 (ja) 炊飯器
JPH0366313A (ja) 電気炊飯器
JP3027683B2 (ja) 電気炊飯器
JPH0443143Y2 (ko)
JPH05207928A (ja) 電磁調理器
KR200305018Y1 (ko) 넘침방지 기능을 구비한 전골냄비겸용 찜솥
JPH10211091A (ja) 調理器
JP2003070629A (ja) 炊飯器
JP2003070630A (ja) 炊飯器
JP2002177142A (ja) 保温釜
JP2002355170A (ja) 炊飯器
JPH0538691Y2 (ko)
JPH053284B2 (ko)
JPH0723869A (ja) 加熱調理器
JPH068838Y2 (ja) 電気調理器の内鍋
JPH1043045A (ja) 炊飯器
JPH02140111A (ja) 炊飯器
JPH0240326B2 (ko)
JPH10229940A (ja) 電磁誘導加熱式炊飯器
JPH0668968A (ja) 誘導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