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5271B1 - 식기 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5271B1
KR100385271B1 KR10-2001-0004159A KR20010004159A KR100385271B1 KR 100385271 B1 KR100385271 B1 KR 100385271B1 KR 20010004159 A KR20010004159 A KR 20010004159A KR 100385271 B1 KR100385271 B1 KR 100385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upper door
dishwasher
lower door
op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0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8140A (ko
Inventor
마쯔노도모히꼬
하라다데쯔오
후꾸이야스히사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2246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1205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1711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99661A/ja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78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81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5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52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Abstract

본 발명의 식기 세척기는 세정실의 개구를 덮는 도어가 상하로 이분할된 상부 도어(16) 및 하부 도어(17)를 갖는다. 상부 도어(17)는 축(20)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된다. 하부 도어(17)는 축(2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된다. 상부 도어(16)는 완전 개방으로 약 180도 개방된다. 하부 도어(17)는 대략 수평 상태까지 개방된다. 그리고, 그 상태에서 세정실(3) 내의 바구니(4)를 하부 도어(17) 상으로 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기 세척기{A Bowl Washer}
본 발명은 접시 등의 피세정물을 세정하는 식기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가정용 식기 세척기는 밀폐 가능한 세정실을 갖고, 이 세정실 내에서 접시는 바구니에 보유 지지된다. 또, 세정실에 접시를 꺼내고 넣기 위해서 세정실의 전방면에는 개구가 형성되고, 이 개구를 덮는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도어는 직사각형의 한 장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 회전축은 도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도어는 전방으로 개방되어 대략 수평이 된다. 접시의 꺼내고 넣기는 바구니를 세정실 내로부터 개방된 도어 상으로 인출하여, 바구니의 전체를 도어 위에 적재하여 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 세척기는 도어를 개방하기 위해서 큰 공간을 필요로 하고, 설치 장소와 설치 방향이 한정된다. 예를 들어, 싱크 플레이트 상에 횡방향으로는 설치하지 못한다. 왜냐하면, 횡방향으로 설치하면 도어를 개방하려고 해도 도어가 수도 꼭지 등에 부딪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여 설치 장소나 설치 방향이 제한을 받기 어려운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식기의 꺼내고 넣기가 행하기 쉬운 식기 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식기 세척기의 측면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식기 세척기의 정면도.
도3은 상하 도어를 개방하는 조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4는 세정실 및 하부 도어의 일부 단면 사시도.
도5 내지 도8은 하부 도어를 개방할 때의 로크 기구 및 스위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9는 상부 도어의 지지 구조 및 부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10 내지 도12는 상부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의 정지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3 및 도14는 오일 댐퍼의 구성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15는 상부 도어를 분리할 때의 조작을 설명하는 모식도.
도16은 상부 도어와 하부 도어 사이를 밀봉하는 밀봉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7은 밀봉 부재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분해 사시도.
도18은 하부 도어의 단면 측면도이며,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9 및 도20은 바구니가 하부 도어 상으로 인출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식기 세척기
3 : 세정실
4 : 바구니
7 : 스프레이 아암
8 : 노즐
10 : 세정 펌프
14 : 배수 펌프
16 : 상부 도어
17 : 하부 도어
27 : 스위치 기구
33 : 물 저장소
42, 43 : 손잡이
63 : 누름 버튼
P : 피세정물
본 발명에 관한 식기 세척기는 세정실의 개구를 덮기 위해서 상하로 이분할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갖는다. 상부 도어는 그 상부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된다. 하부 도어는 그 하부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된다.
하부 도어는 대략 수평 상태까지 개방할 수 있고, 개방한 상태에서 그 위에 세정실로부터 인출한 바구니의 일부를 적재할 수 있다. 상부 도어는 완전 개방으로 약 180도 회전한 상태까지 개방되는데, 180도 미만의 각도 예를 들어 약 15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도 정지된다.
상하 도어는 우선 하부 도어를 개방할 수 있고, 다음에 상부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구성이다. 폐쇄하는 경우는 그 반대로 상부 도어를 닫고, 그 후에 하부 도어를 닫는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및 구성은 이하의 도면을 참조하여 행하는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한 식기 세척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식기 세척기의 정면도이다. 각 도면에는 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XYZ)가 도시되어 있다. 도3 이후에 있어서도 필요에 따라 화살표(XYZ)가 도시되어 있다.
식기 세척기(1)는 캐비넷(2)을 갖고, 이 캐비넷(2) 안에 접시 등의 피세정물(P)을 세정하기 위한 세정실(3)이 형성되어 있다. 세정실(3) 내에는 접시를 보유 지지하는 바구니(4)가 취출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다. 세정실(3)은 전방면(31)에 개구(30)를 갖고, 개구(30)를 통하여 접시를 꺼내고 넣을 수 있다. 또한, 상부 도어(16) 및 하부 도어(17)가 설치되어 있다. 상하 도어(16, 17)에 의해, 세정시에는 개구(30)가 밀폐된다. 세정실(3)의 내부에는 바구니(4)의 하방에 2개의 스프레이 아암(7)이 배치되어 있다. 각 스프레이 아암(7)에는 노즐(8)이 구비되고, 각 노즐(8)로부터 세정수가 분사된다.
세정실(3)에는 수도 등의 외부의 급수 설비(도시 생략)로부터 세정수가 공급된다. 이를 위한 관이나 밸브 등(도시 생략)이 세정실(3)의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세정실(3)의 바닥부(32)는 세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세정실(3)의 바닥부(32)는 한층 낮은 물 저장소(33)를 갖고, 이 물 저장소(33)의 입구에는 필터(6)가 설치되는 동시에, 물 저장소(33)는 관(9)을 거쳐서 세정 펌프(10)에 접속되고, 이 세정 펌프(10)의 토출구는 관(11, 12)을 거쳐서 스프레이 아암(7)에 연결되어 있다. 모터(13)에 의해 세정 펌프(10)가 운전되면, 세정수는 물 저장소(33)로부터 흡입되고 스프레이 아암(7)으로 압력을 가하여 보내진다. 각 스프레이 아암(7)은 연직축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세정수가 분사될 때의 반력, 특히 그 수평 방향 성분에 의해 회전한다. 세정수는 접시에 분무되고, 접시는 얼룩없이 세정된다. 그 후, 세정수는 세정실(3)의 바닥부(32)로 복귀하여 세정 펌프(10), 스프레이 아암(7)으로 순환하면서 세정이 행해진다. 세정 종료후, 세정수는 배수 펌프(14)에 의해 배수관(15)을 통해서 배수된다.
그런데, 본 식기 세척기(1)의 외형은 평면으로 보아 대략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외형은 전후 방향(화살표 Y방향)으로 짧고, 폭방향(화살표 X방향)으로 길다. 또, 식기 세척기(1)의 외형에 맞추어 세정실(3) 및 바구니(4)도 폭방향으로 길고 전후 방향으로 짧다. 캐비넷(2)의 전방면은 약간 상방향으로 경사져있고, 여기에 상하 도어(16, 17)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스프레이 아암(7)은 폭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되어 있다. 관(11)은 분기하여 2개의 스프레이 아암(7)과 세정 펌프(10)의 토출구를 연결하고 있다.
식기 세척기(1)를 상술한 외형으로 함으로써, 전후 방향이 박형인 식기 세척기(1)를 실현할 수 있다. 그 결과, 종래의 평면으로 본 외형이 대략 정사각형인 식기 세척기를 설치할 수 없던 공간에도 본 식기 세척기(1)를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식기 세척기(1)를 싱크 플레이트의 구석에 횡방향으로 설치할 수 있다.
식기 세척기(1)는 상하로 이분할된 상부 도어(16) 및 하부 도어(17)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상하 도어(16, 17)를 개방하기 위한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하부 도어(17)에는 바구니(4)가 적재되므로, 접시를 꺼내고 넣기가 쉽다.
개구(30)의 주위 엣지부와 상하 도어(16, 17) 사이를 밀봉하는 가스켓(18, 19)(도10, 도18에 일부를 도시함)이 설치되어 있다. 가스켓(18)은 개구(30) 상방의 주위 엣지부에, 그리고 가스켓(19)은 개구(30) 하방의 주위 엣지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양자는 협동하여 개구(30)를 에워싼다. 또한, 상부 도어(16) 및 하부 도어(17)의 사이에도 밀봉 부재(81)(도16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밀봉 부재(81)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하게 기술한다.
상부 도어(16)는 한 쌍의 상부 힌지(24)에 의해, 그리고 하부 도어(17)는 한 쌍의 하부 힌지(25)에 의해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하부 힌지(25)는 축(22) 및 지지 앤빌(23)을 갖는다. 각 상부 힌지(24)는 축(20), 제1 지지 부재(73) 및 제2 지지 부재(74)를 갖는다(도9 참조).
하부 도어(17)는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축(22)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된다. 축(22)은 하부 도어(17)의 하측에 고정되고, 좌우로 수평하게 돌출되어 있다. 지지 앤빌(23)은 개구(30)의 하방 양측에 고정되고, 각각이 축(2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부 도어(16)는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축(20)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된다. 하부 도어(17)는 상부 도어(16)보다도 상하 방향의 길이가 약간 짧다.
상부 도어(16) 및 하부 도어(17)는 각각 손잡이(42, 43)를 갖는다.
상부 도어(16)의 손잡이(42)는 상부 도어(16)의 하단부에 있고, 손가락을 거는 오목부(51)를 갖는다.
하부 도어(17)의 손잡이(43)는 하부 도어(17)의 상단부에 있고, 손가락을 거는 오목부(54)를 갖는다.
또, 하부 도어(17)를 개방하고 나서 상부 도어(16)를 개방하도록, 즉 하부 도어(17)보다도 먼저 상부 도어(16)가 개방되지 않도록 하부 도어(17)의 손잡이(43)에는 상부 도어(16)의 손잡이(42)의 오목부(51)를 덮는 덮개(57)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57)는 상하 도어(16, 17)가 폐쇄되어 있을 때, 상부 도어(16)의 손잡이(42)에 손가락을 걸지 못하도록 손잡이(42)의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도3을 참조하면서, 상하 도어(16, 17)를 개방하는 조작을 설명한다.
폐쇄 상태에서는 도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6) 및 하부 도어(17)가 협동하여 개구(30)를 밀폐하고 있다.
개방 조작은 도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하부 도어(17)를 개방하고, 다음에 상부 도어(16)를 개방한다. 하부 도어(17)는 축(22) 주위로 대략 90도 회전되어 개방된다. 개방 상태에서는 하부 도어(17)의 이면[폐쇄 상태에서 세정실(3)측이 되는 면]이 대략 수평이 된다.
하부 도어(17)가 개방됨으로써, 상부 도어(16)의 손잡이(42)를 잡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손잡이(42)를 전방으로 잡아당겨서 상부 도어(16)를 개방한다.
상부 도어(16)는 도3의 (c)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축(20) 주위로 약 180도 회전되어 개방된다.
상부 도어(16)는 또한 도3의 (c)에 일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약 150도 회전된 상태에서도 정지시킬 수 있다.
상부 도어(16) 및 하부 도어(17)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도3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실(3)로부터 하부 도어(17)의 이면 상에 바구니(4)를 인출할 수 있다. 또한, 인출한 바구니(4)를 꺼낼 수 있다.
그런데, 개방할 때 상부 도어(16)의 이면에 물방울이 부착되어 있어, 물방울이 낙하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우선 하부 도어(17)가 개방되므로, 상부 도어(16)를 개방할 때 상부 도어(16)로부터 물방울이 낙하한다고 해도 물방울은 하부 도어(17)로 받아진다.
또, 상부 도어(16)를 개방할 때 상부 도어(16)의 최전방 엣지가 되는 부분이 개방된 하부 도어(17)의 최전방 엣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부 도어(16)의 축(20)은 하부 도어(16)의 축(22)보다도 수평 방향으로 보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도4는 세정실(3) 및 하부 도어(17)의 일부 단면 사시도이다.
하부 도어(17)에는 좌우에 설치된 한 쌍의 로크 기구(26)와, 개방될 때 세정 동작을 정지시키는 한 쌍의 스위치 기구(27)를 갖는다. 또, 스위치 기구(27)는 우측 또는 좌측에만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손잡이(43)의 근방에는 누름 버튼(63)이 배치되어 있다. 이하, 우측 로크 기구(26)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좌측 로크 기구도 동일한 구성이다.
누름 버튼(63)은 손잡이(43)의 오목부(54) 내에 배치되어 있다. 누름 버튼(63)은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64)과 접속되어 있고, 축(64)을 회전시킬 수 있다. 축(64)은 하부 도어(17)의 지지부(6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축(64)의 우측 단부에는 아암(66)이 연결되어 있다. 아암(66)은 축(64)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아암(66)의 후방부(67)는 세정실(3)의 리브(35)의 절결구(36)보다도 안으로 들어가 있다. 아암(66)은 축(64)의 회전에 의해 후방부(67)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하방 위치와, 후방부(67)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상방 위치로 변위한다. 또한, 축(64)에는 아암(66)을 하방 위치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44)이 설치되어 있다.
로크 기구(26)는 아암(66)에 형성된 하방향의 갈고리(68)와, 세정실(3)의 리브(35)의 하방 결합부(37)를 포함한다.
리브(35)는 세정실(3)의 전방 측면에서 상하 방향(화살표 Z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리브(35)에는 상술한 절결구(3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구(36)를 아암(66)이 통과한다. 절결구(36)의 하방에 하방 결합부(37)가 위치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도어(17)의 폐쇄 상태에서는 하방 위치에 있는 아암(66)의 갈고리(68)와 리브(35)의 하방 결합부(37)가 결합되어 있다. 누름 버튼(63)이 눌리면 아암(66)이 상방 위치로 이동하고,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갈고리(68)는 하방 결합부(37)로부터 분리된다. 그 결과, 도시하지 않은 가스켓의 탄성 팽창력에 의해 하부 도어(17)는 약간 개방된다(도7).
스위치 기구(27)는 세정 펌프(1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는 마이크로 스위치(45)와, 마이크로 스위치(45)의 작동기(75)를 압박하는 아암(66)의 후방 단부 돌기부(70)를 포함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방 위치에 있는 아암(66)의 돌기부(70)는 작동기(75)를 압하하고 있다. 아암(66)이 상방 위치가 되면,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기부(70)는 작동기(75)로부터 이격된다.
마이크로 스위치(45)의 작동기(75)가 압하되어 있으면, 세정 펌프(10)가 운전 가능해진다. 작동기(75)의 압하가 해제되면, 세정 펌프(10)를 구동하는 모터(13)에의 통전이 차단되어 세정 운전은 정지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 기구(26)의 로크가 해제되어도 결합 기구(28)에 의해서 하부 도어(17)가 즉시 개방되는 것이 정지된다.
결합 기구(28)는 아암(66)의 후방부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71)와, 세정실(3)의 리브(35)의 상부 결합부(39)를 포함한다. 아암(66)이 상방 위치가 되면 돌기(71)가 상부 결합부(39)에 결합된다(도7 참조).
도7의 상태에서는 로크 기구(26)의 로크는 해제되어 있지만, 결합 기구(28)에 의해 하부 도어(17)는 거의 폐쇄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가스켓에 의해 하부 도어(17)와 세정실(3)의 전방면(31) 사이는 밀봉 상태가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누름 버튼(63)을 누르는 것을 멈추면, 스프링(44)의 힘에 의해 아암(66)은 하방 위치로 복귀하려고 한다. 그러나, 가스켓의 탄성 팽창력에 의해 하부 도어(17)는 약간 개방되어 있으므로, 로크 기구(26)는 로크 상태로 복귀하지 못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누름 버튼(63)을 누름과 동시에 손잡이(43)에 손가락을 걸어 하부 도어(17)를 개방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그 이유는 스위치 기구(27)에 의해 모터(13)에의 통전이 차단되어도 세정 펌프(10)는 타성 운전하고 있는 경우가 있고, 이 세정 펌프(10)의 타성 운전에 의해 물이 분사되고 있는 동안에 하부 도어(17)가 개방되어 물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누름 버튼(63) 및 손잡이(43)의 동시 조작 방지는 도5 내지 도8에 도시한 저지판(76)에 의해 실현되고 있다.
저지판(76)은 누름 버튼(63)에 연결되고, 하부 도어(17)의 손잡이(43)의 오목부(54) 내에 위치하고 있다. 저지판(76)은 누름 버튼(63)을 누르면 축(64)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6 및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목부(54) 안으로 손가락을 넣어 손잡이(43)에 손가락을 걸지 못하게 한다. 또, 누름 버튼(63)을 누르는 것을 멈추면,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44)의 힘에 의해 축(64)이 회전하여, 저지판(76)은 오목부(54)의 안으로 들어가며 손잡이(43)에 손가락을 걸 수 있다. 따라서, 하부 도어(17)는 전방으로 개방된다.
다음에, 상부 도어(16)에 대하여 설명을 행한다. 상부 도어(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상부 힌지(2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지만, 이하에서는 한 쪽의 상부 힌지(24)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설명을 생략한 다른 쪽 상부 힌지도 동일한 구성이다.
상부 도어(16)를 지지하는 축(20)은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D자 형상인 회전 규제부(49)를 포함하고, 이 회전 규제부(49)가 제1 지지 부재(73)의 D자 형상의 삽입 관통 구멍(733, 734)에 끼워 넣어진다. 따라서, 축(20)은 그 축선 주위의 회전이 저지된 상태에서, 제1 지지 부재(73)를 거쳐서 세정실(3)의 상부(34)에 부착되어 있다. 또, 축(20)은 제2 지지 부재(74)의 원형의 삽입 관통 구멍(744 내지 746)에 끼워 넣어지고, 제2 지지 부재(74)를 거쳐서 상부 도어(16)에 부착되며, 축(20)과 상부 도어(16)의 상대 회전이 허용되어 있다.
상부 도어(16)는 도3의 (c)로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로 개방되었을 때 그 상태로 정지할 수 있다. 즉, 상부 도어(16)의 중심 위치가 지지축(20)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제1 회전 위치(약 180도)와, 상부 도어(16)의 이면이 경사 하방향이 되는 제2 회전 위치(150도)에서 정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부 도어(16)에는 상기 회전 위치에서 상부 도어(16)의 회전 저항을 크게 하는 정지 기구(21)가 설치되어 있다.
정지 기구(21)는 도9 내지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6)의 회전과 연동하여 상대 변위하여 서로 결합되는 판 스프링(52) 및 캠(53)을 포함한다.판 스프링(52)은 상부 도어(16)에 나사못(56)에 의해 고정되어 있고, 반원형의 볼록부(651)를 갖는다. 캠(53)은 D자 형상의 삽입 관통 구멍(682)을 갖고, 이 삽입 관통 구멍(682)에 축(20)의 회전 규제부(49)가 끼워 넣어져서 축(20)과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캠(53)의 외주면(683)에는 두 군데에 단면이 반원형인 오목부(681)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681)의 위치는 상부 도어(16)의 정지 위치에 대응하고 있다. 판 스프링(52)의 볼록부(651)와 캠(53)의 오목부(681)가 끼워 맞춰짐으로써 상부 도어(16)의 회전을 규제한다. 판 스프링(52)의 탄력은 상부 도어(16)의 자중에 의한 회전 토크에 대하여, 오목부(681)와의 끼워 맞춤을 유지할 수 있는 강도로 설정되어 있다.
또, 정지 기구(21)를 상기의 구성으로 하면 조작자에게 클릭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 클릭감에 의해, 조작자는 상부 도어(16)가 회전을 정지할 수 있는 위치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 상부 힌지(24)에는 회전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오일 댐퍼(61)가 설치되어 있다. 오일 댐퍼(61)는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축(20)과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회전체(62)와, 회전체(62)와 끼워 맞춰져서 상부 도어(16)에 고정된 통 부재(50)를 갖고 있다.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체(62)는 캠(53)과 일체로 형성되고, 축(20)의 축방향으로 인접하여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다. 회전체(62)의 외주면은 한 쌍의 평면과, 한 쌍의 평면끼리를 접속하는 원주면을 갖고 있다. 통 부재(50)에 회전체(62)가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통 부재(50)의 내주면과 회전체(62)의 평면 사이에는 작동 유체를 수용하는 오일 저장소(612)가 형성된다. 이 오일저장소(612)에는 윤활유 등의 작동 유체가 주입되어 있다. 통 부재(50)와 회전체(62)의 상대 회전에는 작동 유체의 점성에 의해 회전 저항이 부여된다. 또, 상부 도어(16)의 회전 속도가 커질수록 회전 저항은 커진다.
오일 댐퍼(61)의 회전체(62)는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에 복수의 오일 저장소(612)를 갖고 있어도 좋다.
또, 약 150도 개방되었을 때의 상부 도어(16)의 최상부의 높이[도3의 (c)의 L2)는 완전 개방(약 180도)시의 최상부의 높이[도3의 (c)의 L1]에 비해 낮다(L2<Ll). 그 결과, 식기 세척기(1)의 상부 도어(16)를 완전 개방으로 할 수 없는 경우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또, 상부 힌지(24)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부 도어(16)를 세정실(3)로부터 분리하기 쉽게 지지하고 있다.
제1 지지 부재(73)를 고정하기 위해서 세정실(3)의 상부(34)에 형성된 고정부(77)와, 제2 지지 부재(74)를 고정하기 위해서 상부 도어(16)의 상부(58)에 형성된 고정부(78)가 설치되어 있다. 양고정부(77, 78)에는 암나사가 형성되고, 이들 암나사에 제1 지지 부재(73) 및 제2 지지 부재(74)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못(56, 86, 87)이 나사 삽입된다. 제1 지지 부재(73) 및 제2 지지 부재(74)는 축(20)을 거쳐서 서로 연결되고, 축(20)을 그 축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제1 지지 부재(73)는 축(20)이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733, 734)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부(731, 732)를 갖고 있다. 이들 한 쌍의 지지부(731, 732)는 축(20)의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다.
제2 지지 부재(74)는 축(20)이 삽입 관통하는 삽입 관통 구멍(744 내지 746)이 형성된 예를 들어 3개의 지지부(741 내지 743)를 갖고 있다. 각 지지부(741 내지 743)는 축(20)의 축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지지부(742)와 지지부(743) 사이에 제1 지지 부재(73)의 한 쌍의 지지부(731, 732)가 배치된다.
축(20)은 제2 지지 부재(74)의 양단부에 있는 지지부(741, 743)의 간격보다도 길다. 또한, 축(20)은 캠(53) 및 오일 댐퍼(61)의 회전체(62)를 부착한 상태로 제1 지지 부재(73)로부터 분리가 가능하다.
축(20)이 제2 지지 부재(74)에 의해 지지되면서 축(20)의 축방향으로 변위함으로써, 축(20)과 제1 지지 부재(73)의 연결 및 분리가 가능하다. 이에 따라, 제1 지지 부재(73)와 제2 지지 부재(74)의 연결 및 분리를 행할 수 있다. 즉, 상부 도어(16)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축(20)의 각각을 그 축방향의 일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축(20)을 제1 지지 부재(73)로부터 분리하여 상부 도어(16)를 세정실(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 각 축(20)을 그 축방향의 다른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축(20)을 제1 지지 부재(73)에 연결할 수 있고, 상부 도어(16)를 세정실(3)에 부착할 수 있다.
도9 및 도1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부 도어(16)의 상부(58)의 이면에는 축(20)을 축방향으로 변위시킬 때 사용하는 서비스 해치(60)가 형성되어 있다.
서비스 해치(60)는 상부 도어(16)를 폐쇄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세정실(3)의개구(30)의 주위 엣지부에 대향하여 후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서비스 해치(60)는 상부 도어(16)를 완전 개방 상태로 하면, 전방 방향으로 되어 전방으로부터 조작 가능해진다. 서비스 해치(60)는 통상 덮개(55)에 의해 피복되어 있다[도15의 (a) 참조). 덮개(55)는 소정의 공구에 의해 분리 가능해지고, 잘 모르는 사용자가 서비스 해치(60)를 개방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상부 도어(16)를 완전 개방으로 한 후, 덮개(55)를 분리하고 서비스 해치(60)를 개방하면, 한 쌍의 축(20)의 각 단부(201)가 노출된다. 축(20)의 단부(201)를 공구 등에 의해, 축방향의 일방향[좌우의 축(20)이 접근하는 방향으로]으로 이동시킨다[도10의 (b) 참조). 이에 따라, 축(20)은 제1 지지 부재(73)의 지지부(731, 732)로부터 이탈하지만, 제2 지지 부재(74)의 2개의 지지부(741, 742)로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73)와 제2 지지 부재(74)의 연결은 해제된다. 이 조작을 좌우의 축(20)에 대하여 행하면[도10의 (c) 참조), 상부 도어(16)를 세정실(3)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도10의 (d) 참조].
이와 같이 상부 도어(16)의 착탈을 행할 때, 캐비넷(2)이나 상부 도어(16)의 분해를 행하지 않아도 된다. 또, 반대의 순서에 의해 상부 도어(16)를 부착한다.
또, 각 축(20)에는 축(20)이 제1 지지 부재(73) 및 제2 지지 부재(74)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부재(552, 747, 202)가 설치되어 있다.
규제 부재(552)는 상술한 덮개(55)에 설치되어 있다. 서비스 해치(60)에 덮개(55)가 부착된 상태에서는 규제 부재(552)가 각 축(20)의 단부(201)[분리시킬 때의 축(20)의 이동 방향의 전방측이 되는 단부]와 접촉하여 축(20)의 이동을 규제한다.
규제 부재(747)는 제2 지지 부재(74)의 지지부(741)와 일체로 형성되고, 축(20)의 소정 위치에 끼워 넣어진 플랜지(규제 부재)(202)와 결합함으로써, 축(20)이 축방향의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에, 상부 도어(16)와 하부 도어(17)의 사이를 밀봉하기 위한 밀봉 부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6 및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 도어(16)의 하부 엣지와 하부 도어(17)의 상부 엣지 사이에 밀봉 부재(81)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도어(17)의 상부 엣지에는 밀봉 부재(81)를 고정하는 고정부(46)가, 그리고 상부 도어(16)의 하부 엣지에는 밀봉 부재(81)를 협지하는 협지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도어(16) 및 하부 도어(17)를 폐쇄하면, 상부 도어(16) 및 하부 도어(17)에 의해 밀봉 부재(81)가 협지되어 죄어지고, 상부 도어(16)와 하부 도어(17) 사이를 액체 밀폐식으로 밀봉한다.
밀봉 부재(81)는 고무 등의 탄성재로 형성되어 있다. 밀봉 부재(81)는 좌우 방향(X방향)으로 연장되는 주요부(83)와, 이 주요부(83)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되고, 주요부(83)로부터 후방(Y방향)으로 연장되어 돌출한 한 쌍의 단부(84)를 갖고 있다. 이들 한 쌍의 단부(84) 및 주요부(83)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부(46)는 하부 도어(17)가 폐쇄된 상태에서 하부 도어(17)의 최상부에 있으며 대략 수평한 상면(47)과, 상면(47)의 후방 엣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받침면(48)을 갖는다. 상면(47)에는 밀봉 부재(81)를 끼워 넣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 구멍(471)이 형성되어 있다. 협지부(41)는 상부 도어(16)가 폐쇄된 상태에서 대략 수평한 하면(411)과, 하면(411)의 후방 엣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협지면(412)을 갖고 있다. 협지면(412)은 하부 도어(17)의 받침면(48)과 대향하고, 그 사이에 밀봉 부재(81)를 개재시킨다. 하면(411)은 하부 도어(17)의 상면(47)과 후방(Y방향)을 향해 간격이 좁아지도록 대향한다.
밀봉 부재(81)는 주요부(83)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고정 구멍(471)에 끼워지는 리브(833)와, 받침면(48)에 접촉하는 리브(832)와, 리브(832)의 후방에 형성된 만곡 리브(834)를 갖는다.
하부 도어(17)의 받침면(48)과, 밀봉 부재(81)의 리브(832) 및 만곡 리브(834)와, 상부 도어(16)의 협지면(412)은 폐쇄된 상태에서는 중합된다. 밀봉 부재(81)의 만곡 리브(834)는 하부 도어(17)가 폐쇄되면, 탄성 변형하여 리브(832)와 함께 받침면(48)과 협지면(412) 사이를 밀봉한다.
하부 도어(17)의 상면(47)의 단부는 후방으로 연장되고, 그 부분에 끼워 맞춤 구멍(47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워 맞춤 구멍(472)에는 밀봉 부재(81)의 갈고리(844)가 끼워 넣어지고, 밀봉 부재(81)의 단부(84)는 하부 도어(17)에 확실하게 고정된다. 밀봉 부재(81)의 단부(84)의 상면에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아들어가도록 세워 설치된 리브(841)가 구비되어 있다. 리브(841)는 측방으로의 물의 누설을 방지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밀봉 부재(81)의 밀봉성을 높이기 위해 하부도어(17)를 이하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도16 및 도18을 참조한다.
하부 도어(17)에는 노즐(8)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밀봉 부재(81)에 직접 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해서, 밀봉 부재(81)보다도 후방으로 L4만큼 돌출된 방벽(98)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8)로부터 밀봉 부재(81)를 향해 분사되는 물은 방벽(98)으로 차단되어 직접 밀봉 부재(81)에 닿지 않는다. 그 결과, 밀봉 부재(81)의 밀봉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벽(98)은 선단이 볼록 돌기로 되어 있어, 하부 도어(17)를 개방했을 때 내측에 부착된 물방울이 전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 도16, 도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 도어(17)의 내측 좌우에는 노즐(8)로부터 분사되는 물이 밀봉 부재(81)의 단부(84)에 직접 튀는 것을 저지하는 규제판(99)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식기 세척기에서는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실(3)로부터 하부 도어(17) 상으로 바구니(4)를 인출할 수 있다. 즉, 세정실(3)의 측면에는 바구니(4)가 적재되는 레일(40)이 형성되어 있다. 이 레일(40)은 세정실(3) 내를 전후 방향으로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어 있다. 또, 하부 도어(17)의 이면에는 바구니(4)를 적재하는 레일(88)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도어(17)의 레일(88)은 세정실(3)의 레일(40)의 전방 단부에 근접하고, 또한 대략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세정실(3)의 레일(40) 및 하부 도어(17)의 레일(88)이 연속적으로이어져서 바구니(4)를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하부 도어(17)의 레일(88)에는 스톱퍼(82)가 설치되어 있다. 스톱퍼(82)에 의해 바구니(4)의 인출 위치가 규제되어, 바구니(4)를 인출해도 식기 세척기는 전방으로 기울지 않는다.
바구니(4)의 바닥부에는 차륜(29)이 설치되어 있다. 차륜(29)은 바구니(4)의 좌우에 각각 3개 설치되어 있다. 차륜(29)은 바구니(4)가 세정실(3)과 하부 도어(17)에 걸쳐 있는 상태에서 바구니(4)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최전방열과 중간열의 각 차륜(29)의 간격(L1)은 축(22)과 세정실(3)의 레일(40)의 전방 단부의 거리(L3)보다도 길게 되어 있다. 중간열과 후방열의 각 차륜(29)의 간격(L2)은 이들 차륜(29)만에서, 즉 최전방열의 차륜(29)이 레일에 접촉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바구니(4)를 안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바구니(4)의 전후 방향의 치수(L4)의 대략 절반 이상으로 되어 있다.
통상, 바구니(4)가 하부 도어(17) 상에 가장 전방으로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접시를 꺼내고 넣는다. 이 때, 바구니(4)의 전방측 절반 이상 부분은 상방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큰 직경의 접시라도 꺼내고 넣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식기 세척기(1)에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세정 펌프(10)가 식기 세척기(1)의 후방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식기 세척기(1)를 기울어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정 펌프(10)의 중앙부의 위치는 캐비넷(2)의 전후 방향의 대략 중앙 위치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또, 모터(13)의 위치도 세정 펌프(10)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세정 펌프(10)와 모터(13)는 무거우므로후방측에 배치함으로써, 상하 도어(16, 17)를 개방하여 바구니(4)를 전방으로 인출해도 식기 세척기(1)가 전방으로 기울지 않아 안정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을 실현할 수 있다.
그런데, 바구니(4)의 하방에는 차륜(29) 대신에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활주부(skid)(89)를 설치해도 좋다. 활주부(89)의 형상은 도시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하부가 R형상으로 된 다리라도 좋다. 또, 활주부 또는 R형상의 다리와 차륜을 함께 이용해도 좋다. 그리고, 차륜, 다리의 전후 방향의 위치는 좌우가 달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장소나 설치 방향이 제한을 받기 어렵고, 또한 식기의 꺼내고 넣기가 행하기 쉬운 식기 세척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전방면에 개구를 갖는 세정실과, 이 세정실의 개구를 덮는 도어를 갖는 식기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를 갖고,
    상부 도어는 그 상부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상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되고,
    하부 도어는 그 하부에 설치된 축을 중심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하부 도어가 개방된 후 상부 도어가 개방되고, 상부 도어가 폐쇄된 후 하부 도어가 폐쇄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부 도어는 그 하방부에 개폐시에 조작하는 손잡이를 갖고,
    하부 도어에는 하부 도어가 폐쇄되어 있을 때 상부 도어의 손잡이를 조작하지 못하게 하는 조작 저지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4. 제3항에 있어서, 하부 도어에는 하부 도어를 폐쇄 상태로 유지하는 로크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기구의 로크/해제에 연동하여 세정실 내에서의 세정 동작을 가능/중단하기 위한 스위치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6. 제5항에 있어서, 하부 도어에는 개폐시에 잡는 손잡이와, 로크 기구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 부재가 구비되고, 조작 부재의 조작중에 손잡이를 잡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저지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7. 제1항에 있어서, 하부 도어는 대략 수평 상태까지 개방할 수 있고, 개방한 상태에서 세정실 내에 수용한 바구니를 인출하여, 그 위에 바구니의 일부를 적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도어는 복수의 개방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정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부 도어는 약 180도 회전한 개방 상태와, 약 150도 회전한 개방 상태에서 정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기구는 서로 결합하는 한 쌍의 결합 부재를 포함하고, 한 쪽 결합 부재는 세정실의 개구측에 설치되고, 다른 쪽 결합 부재는 상부 도어측에 설치되고, 상부 도어의 회전 상태에 따라서 한 쌍의 결합 부재의 결합 상태가 변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결합 부재는 상부 도어의 상기 축에 끼워 넣어진 캠과, 그 캠의 주위면에 압접되는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기구에는 회전 저항을 증가시키기 위한 오일 댐퍼가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도어에는 축을 그 축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킴으로써, 상부 도어를 개구로부터 착탈 가능한 부착 구조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도어 및 하부 도어의 사이에는 밀봉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부 도어의 하부 엣지의 일부와 하부 도어의 상부 엣지의 일부는 폐쇄된 상태에서 중합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그 중합되는 부분 사이에 밀봉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실 내에는 상기 밀봉 부재에 분사되는 물이 직접 튀는 것을 방지하는 방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실은 좌우 방향으로 길고, 전후 방향으로 짧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18. 제1항에 있어서, 상부 도어가 개방될 때 상부 도어의 최전방 엣지가 되는 부분은 개방된 상태의 하부 도어의 최전방 엣지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부 도어의 축은 하부 도어의 축보다도 후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 세척기.
KR10-2001-0004159A 2000-01-31 2001-01-30 식기 세척기 KR1003852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22460 2000-01-31
JP2000022460A JP2001212059A (ja) 2000-01-31 2000-01-31 食器洗い機
JP2000117117A JP2001299661A (ja) 2000-04-18 2000-04-18 食器洗い機
JP2000-117117 2000-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140A KR20010078140A (ko) 2001-08-20
KR100385271B1 true KR100385271B1 (ko) 2003-05-27

Family

ID=26584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4159A KR100385271B1 (ko) 2000-01-31 2001-01-30 식기 세척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578587B2 (ko)
KR (1) KR100385271B1 (ko)
CN (2) CN1623492A (ko)
TW (1) TW47256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256A (ko) 2014-12-08 2016-06-16 오면식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586B1 (ko) * 2002-11-28 2004-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폐장치
DE10259087B4 (de) * 2002-12-17 2004-11-25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schirrkorb für eine Geschirrspülmaschine sowie Griff für einen Geschirrkorb
JP2004321464A (ja) * 2003-04-24 2004-11-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食器洗い機
US7850784B2 (en) * 2005-11-29 2010-12-14 Maytag Corporation Lid seal for a drawer-type dishwasher
US20070131258A1 (en) * 2005-12-13 2007-06-14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Dishwasher including a first door and a second door
US8500917B2 (en) * 2007-02-09 2013-08-06 Premark Feg L.L.C. Warewasher and associated door construction
EP2016883A1 (en) * 2007-07-20 2009-01-21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handle assembly of a door of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in particular of a dishwasher
KR20090122008A (ko) * 2008-05-23 2009-1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식기세척기
DE202009004799U1 (de) * 2009-05-11 2010-09-23 Hettich Holding Gmbh & Co. Ohg Spülmaschine
JP4893785B2 (ja) * 2009-07-08 2012-03-0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2014069025A (ja) * 2012-10-02 2014-04-21 Panasonic Corp 食器洗い機
CN107019479B (zh) * 2017-04-28 2019-05-31 佛山市顺德区美的洗涤电器制造有限公司 洗碗机
CN110680260B (zh) * 2018-07-04 2022-05-27 青岛海尔洗碗机有限公司 一种洗碗机
CN109854106A (zh) * 2019-03-28 2019-06-07 广东万和电气有限公司 铰链机构及洗碗机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50503B2 (ko) * 1973-03-15 1976-10-08 Calor Sa
KR910005120B1 (ko) * 1988-12-31 1991-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도어 개폐용 댐퍼스위치 장치
JP3421894B2 (ja) 1995-12-15 2003-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食器洗浄機
JPH09206268A (ja) * 1996-01-31 1997-08-12 Toto Ltd 食器洗浄機
JP2001299661A (ja) * 2000-04-18 2001-10-30 Sanyo Electric Co Ltd 食器洗い機
JP3505471B2 (ja) * 2000-05-16 2004-03-08 三洋電機株式会社 食器洗い機
JP2001327453A (ja) * 2000-05-22 2001-11-27 Hitachi Ltd 食器洗浄機
JP3839233B2 (ja) * 2000-09-04 2006-11-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食器洗浄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256A (ko) 2014-12-08 2016-06-16 오면식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8140A (ko) 2001-08-20
US20010013357A1 (en) 2001-08-16
US6578587B2 (en) 2003-06-17
CN1257697C (zh) 2006-05-31
CN1623492A (zh) 2005-06-08
CN1316226A (zh) 2001-10-10
TW472564U (en) 200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5271B1 (ko) 식기 세척기
US10206553B2 (en) Hydraulically actuated diverter for an appliance
EP2457489B1 (en) Table top dishwasher
US10813530B2 (en) Rack mount for a dishwasher appliance
EP1842477A1 (en) Dish washer
KR100444122B1 (ko) 식기 세정기
JP3505531B2 (ja) 食器洗い機
KR20200001120U (ko) 2단 힌지식 식기세척기 디스펜서
JP3505532B2 (ja) 食器洗い機
JP4609367B2 (ja) 食器洗い機
JP2006346314A (ja) 食器洗浄装置
US20180092506A1 (en) Hydraulically Actuated Diverter for an Appliance
JP2001327452A (ja) 食器洗浄機
KR0176680B1 (ko) 승강가능한 식기바스켓을 갖는 식기세척기
JP3421894B2 (ja) 食器洗浄機
JP2001299661A (ja) 食器洗い機
JP4449937B2 (ja) 食器洗い機
JP4260179B2 (ja) 食器洗い機
US11771300B2 (en) Universal bracket for supporting racks in a dishwasher appliance
JP2510607Y2 (ja) 食器洗浄機
JP2001275913A (ja) 食器洗い機
KR100378709B1 (ko) 서랍식 식기 세척기의 밀폐 구조
JP2004121312A (ja) 食器洗い機
KR20210059274A (ko) 식기 세척기
JP2007282750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