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2008A - 식기세척기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2008A
KR20090122008A KR1020080048195A KR20080048195A KR20090122008A KR 20090122008 A KR20090122008 A KR 20090122008A KR 1020080048195 A KR1020080048195 A KR 1020080048195A KR 20080048195 A KR20080048195 A KR 20080048195A KR 20090122008 A KR20090122008 A KR 200901220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oor
locking member
guide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현
도영진
문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22008A/ko
Priority to CN2008101296799A priority patent/CN101332072B/zh
Publication of KR20090122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200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3Door sealing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제 2 링크를 고정하는 걸림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의 전방에는 상기 제 2 링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링크는 제 2 도어부에 연동되어 상기 제 2 도어부를 개폐하도록 작용력을 가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 2 도어부가 차폐되면, 상기 제 2 링크를 고정하여 상기 제 2 도어부가 열리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부의 차폐 시, 상기 걸림부재에 의하여 상기 제 2 링크가 지지되므로 상기 제 2 도어부는 캐비닛의 개구부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가 차폐되므로 식기들을 세척한 후 발생하는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식기세척기{Dish cleaning device}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제 2 도어부의 차폐 시, 상기 제 2 도어부를 걸림부재로 가이드하여 상기 제 2 도어부와 캐비닛의 개구부를 밀착시키는 식기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제 2 도어부의 차폐 시, 제 1 도어부가 상기 제 2 도어부를 지지하여 캐비닛의 개구부를 차폐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식기세척기는 상기 제 1 도어부만으로 상기 제 2 도어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 1 도어부와 상기 제 2 도어부에 의하여 캐비닛의 개구부를 차폐하는 효율이 떨어지므로 식기들의 세척시 또는 세척이 종료된 후에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캐비닛의 개구부에서 외부로 유출되는 수분을 차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제 1 도어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제 1 도어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 도어부와, 상기 제 1 도어부가 개폐될 때, 상기 제 1 도어부에 작용력을 가하고, 상기 제 1 도어부와 연동되도록 체결되는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연동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 2 도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 2 도어부를 개폐하도록 작용력을 가하는 제 2 링크와, 상기 제 2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면, 상기 제 2 링크를 고정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제 2 링크를 상기 걸림부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 시,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중심이 가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캐비닛의 개구부를 제 2 도어부가 차폐 시, 제 2 도어부에 연동하는 제 2 링크를 가이드부재로 가이드하여 걸림부재에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제 2 도어부가 효과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도어부가 효과적으로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므로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100)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100)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2 링크(13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식기세척기(100)는 캐비닛(110)과, 캐비닛(1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터브(120)와, 터브(120)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도어부(112,113)와, 도어부(112,113)의 개폐하도록 작용력을 전달하는 링크부(미도시)와, 외부로부터 터브(12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장치(미도시)와, 터브(121) 내부에 배치되어 식기가 올려지는 선반들(미도시)과, 상기 선반들로 세척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된 노즐들(미도시)을 포함한다.
도어부(112,113)는,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배치되는 제 1 도어부(113)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제 1 도어부(113)와 상응하도록 배치되는 제 2 도어부(112)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부는 제 1 도어부(113)가 개폐될 때, 제 1 도어부(113)에 작용력을 가하고, 제 1 도어부(113)와 연동되도록 체결되는 제 1 링크(140)와, 제 1 링크(140)와 연동되도록 체결되고, 제 2 도어부(112)와 연동되어 제 2 도어부(112)를 개폐하도록 작용력을 가하는 제 2 링크(130)와, 터브(121)와 체결되어 제 1 링크(140)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제 1 탄성체(160)와, 터브(121)에 형성되는 고정축(122)과 체결되어 제 2 링크(130)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제 2 탄성체(161)를 포함한다.
제 2 링크(130)는, 회전중심이 가변하는 바디부(132)와, 바디부(13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2 도어부(112)가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면, 걸림부재(150)에 고정되는 걸림부(133)를 포함한다. 또한, 터브(121)에는 제 2 링크(130)의 회전중심을 형성하도록 고정축(122)을 포함하고, 제 2 링크(130)는 고정축(122)이 삽입되어 제 2 도어(112)의 회전 시, 고정축(122)을 따라 제 2 링크(112)가 회전이 가능 하도록 가이드홀(131)이 형성된다.
한편, 제 1 도어부(113)에는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면, 제 1 도어부(113)를 개폐하도록 형성되는 입력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외력을 가하면, 제 1 도어부(113)가 열리게 된다. 제 1 도어부(113)가 열리면, 제 1 도어부(113)에 연동되어 있는 제 1 링크(140)가 상측으로 이동한다. 제 1 링크(140)가 상측으로 이동할 때, 제 1 탄성체(160)는 탄성체지지부(123)쪽으로 제 1 링크(140)에 복원력을 가하여 제 1 링크(140)를 탄성체지지부(123)로 움직인다.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제 1 링크(140)는 상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제 1 링크(14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제 2 링크(130)를 운동시킨다. 제 2 링크(13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 제 2 도어부(112)도 상기 개구부를 이탈하여 개방하게 된다. 제 2 도어부(112)가 회전하게 되면, 고정축(122)을 중심으로 제 2 링크(130)가 회전하게 된다. 제 2 링크(130)가 회전하게 되면, 고정축(122)과 제 2 링크(130) 상이에 배치되는 제 2 탄성체(161)에 의하여 복원력을 받는다. 상기 복원력에 의하여 제 2 링크(130)는 상기 복원력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면서 회전운동을 병행한다. 즉, 제 2 링크(130)는 고정축(122)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제 2 탄성체(161)에 의하여 복원력이 발생하면, B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반면, 제 2 링크(130)에 형성되는 가이드홀(131)은 고정축(122)을 따라서 B방향으로 가이드된다. 따라서 제 2 링크(130)는 제 2 도어(112)가 개방될 때,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동시에 수행한다.
한편, 사용자가 제 1 도어부(113)에 외력을 가하여 제 1 도어부(113)를 차폐 하면, 상기와 반대의 과정이 수행된다. 즉, 사용자가 제 1 도어부(113)에 외력을 가하면, 제 1 링크(140)가 하측방향으로 이동한다. 제 1 링크(140)가 하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 1 탄성체(160)는 압축된다. 또한, 제 1 링크(140)가 하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제 2 링크(130)를 회전시킨다. 제 2 링크(130)는 회전하면서 제 2 도어(112)를 상기 개구부로 이동시키고 차폐시킨다. 한편, 제 2 링크(130)가 회전할 때, 고정축(12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가이드홀(131)은 고정축(122)을 따라 B의 반대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한다. 또한, 제 2 탄성체(161)는 가이드홀(131)이 고정축(122)을 따라 이동할 때,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따라서 제 2 링크(130)는 회전운동과 직선운동을 병행하면서 회전중심이 변하게 된다.
또한, 제 2 링크(130)가 소정각도 회전하게 되면, 걸림부(133)는 걸림부재(150)와 체결된다.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진입하면, 걸림부재(150)는 걸림부(133)를 접촉면의 수직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힘에 의하여 걸림부(133)는 접촉면의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걸림부재(150)는 걸림부(144)가 걸림부재(150)에 가하는 힘을 지지하게 된다. 계속해서 제 2 링크(130)가 회전하게 되면, 걸림부(144)는 걸림부재(150)에 안착하게 되어 고정된다. 걸림부(144)가 걸림부재(150)에 안착하게 되면, 걸림부재(150)가 걸림부(144)를 누르는 힘에 의하여 제 2 도어(112)가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게 된다. 따라서 제 2 도어부(122)가 상기 개구부를 효율적으로 차폐하여 터브(121) 내에 존재하는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식기세척기(100)는 터브(121)가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제 2 도어 부(112)가 상기 유선형으로 가이드되어 제 2 링크(130)가 회전할 때, 회전중심이 가변할 수 있다. 즉, 터브(121)가 유선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 2 도어(112)가 상기 유선형을 따라 가이드 되는 경우 제 2 링크(130)의 회전중심이 변화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 2 링크(130)에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이드홀(131)을 형성하여 제 2 링크(13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걸림부재(15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걸림부재(150)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미표기)와 , 제 2 링크(130)를 누르는 걸림부재바디부(15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는 복수개를 구비하고, 복수개의 가이드들(152a,152b)은, 제 1 가이드(152a)와, 제 1 가이드(152a)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제 2 링크(13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가이드(152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접촉하기 시작하면, 제 1 가이드(152a)에 의하여 걸림부재바디부(151)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를 이동하게 되면, 제 2 링크(130)가 충돌 등에 의하여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제 1 가이드(152a)를 벗어나서 걸림부재(150) 외측으로 벗어나려고 하면, 제 1 가이드(152a)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 가이드(152b)에 의하여 걸림부재(150)에 안착된다. 따라서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를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고, 걸림부재(150)에 정확하게 안착하여 제 2 도어(112)가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가이드들(152a,152b)은 걸림부재바디부(151)로부터 멀어질수 록 반지름이 커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가이드들(152a,152b)은 걸림부재바디부(151)로부터 멀어질수록 반지름 커지는 원통형을 형성한다. 상기 원통형으로 형성되면, 복수개의 가이드들(152a,152b)의 외주방향으로 걸림부(133)가 진입하는 경우에도 상기 반지름에 의하여 경사가 형성되므로 걸림부재바디부(151)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정확하게 안착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바디부(151)는 반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될 수 있다. 걸림부재바디부(151)는 중앙부분의 반지름이 작게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바디부(151)는 중앙부분의 반지름이 크게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걸림부재바디부(15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걸림부재바디부(151)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효과적으로 안착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걸림부재바디부(151)의 중앙부분의 반지름을 다른 부분보다 작게 형성하여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용이하게 안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재바디부(151)의 중앙부분의 반지름을 다른 부분보다 크게 형성하는 경우에는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용이하게 안착하더라도 제 2 도어(112)가 상기 개구부를 효과적으로 차폐하도록 필요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즉, 걸림부재바디부(151)의 중앙부분의 반지름을 크게 형성함으로써 걸림부재바디부(151)가 걸림부(133)에 효과적으로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걸림부재바디부(151)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에 한정하지 않고, 걸림부(133)를 걸림부재(150)에 효율적으로 안착하여 제 2 도어(112)가 개방되지 않도록 힘을 가하는 모든 형상을 포함한다.
한편, 걸림부재(150)는 제 2 링크(130)가 접촉하여 고정될 때, 제 2 링크(130)가 걸림부재(150)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을 저감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2 링크(130)가 걸림부재(150)와 결합하여,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안착하게 되면, 제 2 링크(130)의 회전운동에 따라 걸림부(133)가 걸림부재바디부(151)를 이동하게 된다. 걸림부(133)가 걸림부재바디부(151)를 이동하게 되면, 걸림부재바디부(151)의 표면과 접촉하면 마찰력이 발생한다. 상기 마찰력에 의하여 걸림부(133)의 이동이 방해받으므로 걸림부재(150)는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재(150)가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면, 걸림부(133)가 걸림부재바디부(150)를 이동할 때, 상기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2 링크(130)의 움직임을 구속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도어부들(112,113)의 차폐가 가능하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걸림부재(150)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이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걸림부재(150′)는 제 2 링크(130)가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미표기)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153′)를 포함한다. 이탈방지부(15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의 외측에 형성된다. 이탈방지부(153′)는 걸림부재바디부(151)로 굴곡을 형성하며 형성될 수 있다. 즉, 이탈방지부(15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이탈방지부(153′)는 굴곡을 갖는다. 상기 굴곡은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안착하려고 할 때. 걸림부(133)가 상기 굴곡에 체결되어 이동한다. 즉,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접촉하여 이동하면, 걸림부(133)의 일부분이 이탈방지부(153′)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133)는 이탈방지부(153′)에 의하여 가이드들(152)을 벗어나지 못한다. 한편, 이탈방지부(153′)는 상기 도 6에 한정되지 않고 걸림부(133)를 가이드들(15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모두 포함한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부재(170)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A부분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부재(170)는 제 2 링크(130)와 접촉하는 면이 경사를 형성한다. 또한, 걸림부(133)는 적어도 하나의 면이 태핑된다. 즉,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와 체결되어 고정되는 경우, 걸림부(133)는 걸림부재(150)를 이탈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체결이 개시될 때, 걸림부재(150)의 높이와 상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재(170)가 제 2 링크(130)와 접촉하는 면이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제 2 링크(130)가 가이드부재(170)에 의하여 가이드 되어 걸림부재(150)의 가이드들(152a,152b) 사이로 정확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또한, 걸림부재(150)에 안착하기 전에 걸림부(133)는 가이드부재(170)의 평평한 면을 지나기 때문에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정확하게 안착할 수 있다.
한편, 걸림부(133)의 끝단은 적어도 하나의 면이 태핑된다. 즉, 가이드부 재(170)가 경사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경사에 상응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면이 태핑된다. 또한, 걸림부재(150)에는 홈 등이 형성되므로 상기 홈 등에 정확하게 안착하도록 상기 홈에 상응하도록 태핑될 수 있다. 따라서 걸림부(133)는 태핑됨으로써 걸림부재(150)에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안착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33)가 걸림부재(150)에 안착함으로써 제 2 도어부(112)가 상기 개구부를 효율적으로 차폐하여 내부의 수분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식기세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식기세척기의 단면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 2 링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걸림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Ⅳ-Ⅳ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걸림부재의 변형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가이드부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3에 도시된 A부분을 보여주는 부분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략한 설명>
100 : 식기세척기 132 : 걸림부
112 : 제 2 도어부 150 : 걸림부재
113 : 제 1 도어부 151 : 걸림부재바디부
120 : 터브 152 : 가이드
123 : 고정축 160 : 제 1 탄성체
130 : 제 2 링크 170 : 가이드부재
131 : 바디부

Claims (16)

  1. 개구부가 형성되는 캐비닛과,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구부에 배치되는 제 1 도어부와,
    상기 개구부를 개폐하며, 상기 제 1 도어부와 대응되도록 배치되는 제 2 도어부와,
    상기 제 1 도어부가 개폐될 때, 상기 제 1 도어부에 작용력을 가하고, 상기 제 1 도어부와 연동되도록 체결되는 제 1 링크와,
    상기 제 1 링크와 연동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제 2 도어부와 연동되어 상기 제 2 도어부를 개폐하도록 작용력을 가하는 제 2 링크와,
    상기 제 2 도어부가 상기 개구부를 차폐하면, 상기 제 2 링크를 고정하는 걸림부재와,
    상기 제 2 링크를 상기 걸림부재로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 시, 회전중심이 가변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걸림부재에 가이드되어 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적어도 하나의 면이 태핑된 식기세척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도어부는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 도어부에 연동하는 제 2 링크는 상기 유선형을 따라 이동하면서 회전중심이 가변하는 식기세척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와,
    상기 제 2 링크를 누르는 걸림부재바디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는 복수개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들은,
    제 1 가이드와,
    상기 제 1 가이드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링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2 가이드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는 상기 걸림부재바디부로부터 멀어질수록 반지름이 커지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는,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바디부는 상기 걸림부재바디부의 반지름이 일정하지 않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바디부는 중앙부분의 반지름이 작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바디부는 중앙부분의 반지름이 주위보다 크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링크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제 1 탄성체와,
    상기 제 2 링크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제 2 탄성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2 링크와 접촉하는 면이 경사를 형성하는 식기세척기.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 2 링크가 접촉하여 고정될 때, 상기 제 2 링크가 상기 걸림부재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력을 저감시키도록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터브는 상기 제 2 링크의 회전축을 형성하도록 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링크는 상기 고정축에 삽입되어 상기 제 2 도어의 회전식 상기 고정축을 따라 상기 제 2 링크가 회전가능하도록 가이드홀이 형성되는 식기세척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어와 상기 제 2 도어가 개폐될 때, 본원력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탄성체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탄성체들은,
    상기 터브와 체결되어 상기 제 1 링크에 복원력을 전달하는 제 1 탄성체와,
    상기 고정축과 체결되어 상기 제 2 링크에 본원력을 전달하는 제 2 탄성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
KR1020080048195A 2008-05-23 2008-05-23 식기세척기 KR2009012200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195A KR20090122008A (ko) 2008-05-23 2008-05-23 식기세척기
CN2008101296799A CN101332072B (zh) 2008-05-23 2008-08-05 洗碗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8195A KR20090122008A (ko) 2008-05-23 2008-05-23 식기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2008A true KR20090122008A (ko) 2009-11-26

Family

ID=40195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8195A KR20090122008A (ko) 2008-05-23 2008-05-23 식기세척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90122008A (ko)
CN (1) CN101332072B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623492A (zh) * 2000-01-31 2005-06-08 三洋电机株式会社 洗碗机
JP3913710B2 (ja) * 2003-05-14 2007-05-09 三洋電機株式会社 扉開閉機構およびこれを備えた食器洗い機
JP3988742B2 (ja) * 2004-04-12 2007-10-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食器洗い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332072B (zh) 2010-06-02
CN101332072A (zh) 2008-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611E1 (en) Washing machine
US8800325B2 (en) Washing machine
US7543465B2 (en) Detergent box, detergent box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EP3263757B1 (en) Washing machine
US8444234B2 (en) Washing machine
US20110120195A1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hinge units
US20080072632A1 (en) Washing machine
KR101727897B1 (ko)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
US11427951B2 (en) Wall mounted washing machine
KR101000058B1 (ko) 식기세척기
KR20090122008A (ko) 식기세척기
KR10213953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643352B1 (ko) 의류처리장치
JP4561681B2 (ja) 食器洗い機
KR20060047169A (ko) 식기 세척기
KR10160266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05095669A (ja) 食器洗い機
KR101396969B1 (ko) 세탁기의 순환수 분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KR102437482B1 (ko) 록킹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의류처리기기
KR20110045742A (ko)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
KR10157562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JP2007126837A (ja) 建設機械の扉ロック装置
KR102207654B1 (ko) 드럼세탁기 도어용 팝업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JP2006255277A (ja) 食器洗浄機
KR100719846B1 (ko) 세탁물 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01206

Effective date: 2011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