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3352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3352B1
KR102643352B1 KR1020160066813A KR20160066813A KR102643352B1 KR 102643352 B1 KR102643352 B1 KR 102643352B1 KR 1020160066813 A KR1020160066813 A KR 1020160066813A KR 20160066813 A KR20160066813 A KR 20160066813A KR 102643352 B1 KR102643352 B1 KR 102643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lothing
input port
main body
fri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2110A (ko
Inventor
권용우
용승지
최재훈
박정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70082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3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3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04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D06F37/10Doo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44Opening, closing or locking of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방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를 막도록 이루어지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며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 수용부, 의류 수용부를 구성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및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도어는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고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이 경우에, 의류처리장치의 디자인적 제약으로 인하여, 도어의 개방각도가 한정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어,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실1999-0029441 등에서는 개방각도를 확대할 수 있는 드럼 세탁기 도어의 개폐구조를 제시하고 있으나, 사각형의 도어와 경첩구조의 고정판을 이용하여 외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가 있고, 단순한 경첩구조이므로 개방 신뢰도나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의류처리장치의 전면과 도어의 외면간에 단차가 없는 함몰형 도어의 경우에, 심플한 외관을 구현하면서도 도어의 개방 각도를 구현하고, 동작 신뢰도를 가져야 하는 등의 복합적인 기술적 특징이 필요하므로, 기존에 제시된 도어의 개폐구조를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나아가,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되는 원형 도어와 같이, 의류 투입구와 비대칭인 도어인 경우에는 개폐 메커니즘에 대한 보다 많은 고려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도어의 개폐구조에서, 의류처리장치의 심플한 외관을 확보하면서도, 동작 신뢰도를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상기 도어가 전방으로 개폐되는 프론트 타입 의류처리장치의 도어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90도 이상으로 개방되지 않아 사용자가 의류를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투입하는 것이 번거로울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프론트 타입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가 개방될 때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는 벽, 가구, 기타 가전제품과 충돌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외면이 본체에 대하여 돌출되지 않는 함몰형 도어임에도, 의류 투입구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어의 회전 범위를 유지하면서도,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힌지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가 부착된 원형 도어를 지지하면서 동작 신뢰도를 가지는 힌지 메커니즘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방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를 막도록 이루어지는 도어,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연결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연결부는 직선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는 곡선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2연결부에는 전기배선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을 덮는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은 상기 도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의 경계까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에서 상기 제2연결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돌출부분과 제2돌출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착부와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의류 투입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원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돌출부분과 상기 제2돌출부분에는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샤프트가 구비되어 상기 제 1연결부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삽입홀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연결부가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바디부이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마주하는 곳에 돌출되어 구비된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장부의 외곽과 상기 제2연장부의 외곽에 돌출되어 구비된 회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멈춤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멈춤힌지는 상기 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마찰샤프트와, 상기 마찰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마찰고리와, 상기 마찰고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마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마찰고리는 상기 마찰샤프트의 외주면의 일부만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마찰샤프트가 노출되는 마찰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마찰샤프트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윤활유가 수용될 수 있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회전돌기와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부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싱은 일측이 개방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는 배면에 상기 제2연결부과 결합할 수 있는 힌지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홀더는 상기 부싱을 수용하는 부싱수용부와 상기 도어마찰판과 결합하는 마찰판 결합대를 더 포함하고, 강기 도어마찰판은 관통되어 구비되는 마찰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마찰판 결합대는 상기 마찰관통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까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의류 투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와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재과,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원형의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의류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회전 중심이 이동하는 이중 힌지 구조에 의하여, 심플한 도어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원형의 함몰형 도어임에도 개방 각도가 확보되는 도어의 개폐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도어와 의류처리장치의 본체가 일체화된 심미감을 부여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간에서 꺽인 형태의 연결부재가 도어와 함께 회전하는 구조를 통하여, 힌지 유닛의 구조가 개방 각도를 증가하면서도 컴팩트한 형태를 가지게 될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연결부재 및 주변의 구성요소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 구조에 대한 내구성과 동작신뢰도가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하여, 의류처리장치에서 직경이 보다 큰 원형 도어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 유닛이 의류 투입구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도어, 원형의 도어와 의류 투입구가 중심이 서로 다른 위치인 경우에 적합한 도어의 개폐 구조를 구현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 유닛에 전기배선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됨에 따라, 의류처리장치의 내외부를 연결하는 전기배선의 경로를 보다 용이하게 확보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방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를 막도록 이루어지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새로운 형태의 이중 힌지 구조를 통하여, 함몰형 도어임에도, 의류 투입구를 완전히 개방하도록,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제1연결부 및 제2연결부는 각각 상기 제1회전축 및 제2회전축을 이용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까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의류 투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재과, 상기 제1부재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는 직선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부재는 곡선의 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형성하여, 상기 제2회전축이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은 상기 도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의 경계까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에서 상기 제2연결부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축이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특정 각도까지 회전한 후에,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상기 제2회전축으로 옮겨가게 된다.
상기 의류 투입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원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된다. 이러한 구조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장착부는 폭이 점차적으로 좁아지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착부와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의 제2부재에는 전기배선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을 덮는 커버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에 대하여 편심된 위치에서 도어가 힌지 유닛에 결합되어, 비대칭 이중 힌지 유닛의 구조를 구현한다. 비대칭 이중 힌지 유닛을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는, 원형의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의류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도어가 1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3는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가 2차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6는 도 3의 힌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
도 7 내지 도 10은는 도 4의 힌지 유닛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도16은 다른 실시예의 힌지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11 내지 도14는 도16의 힌지 유닛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0)가 각각 1차 및 2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20a)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즉, 상기 1차회전은 상기 도어(10)가 상기 의류 투입구(20a)을 상대적으로 작은 각도로 개방한 것이며, 상기 2차회전은 상기 도어(10)가 1차회전한 상태에서 더 큰 각도로 상기 의류투입구(20a)를 개방한 것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본체(20) 및 도어(10)를 포함한다.
본체(20)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형을 이루며, 의류가 투입되는 의류 투입구(20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20)의 전면부에 의류 투입구(20a)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즉, 상기 본체(20)는 전방에 상기 의류투입구(20a)를 구비한 전면패널(22)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다.
본체(20)의 내부에는 의류 투입구(20a)를 통하여 세탁물이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구비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함께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에는 드럼(4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드럼(40)을 회전시키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유닛은 상기 터브의 배면에 구비되어 상기 드럼(40)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본체(20)에는 세제공급부(미도시)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를 커버하는 커버(21)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에는 전원 버튼(22)이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가 터치스크린(12)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2)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터치스크린(12)를 통해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경우 상기 전원버튼(22)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에는 윈도우부(11) 및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윈도우부(11)는 투명한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11)는 의류 투입구(20a)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드럼(4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윈도우부(11)를 통하여 드럼(40)에 수용된 의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2)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구동되는 행정(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어(10)는 힌지 유닛(30, 또는 힌지부, 힌지 모듈)에 의해 본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 투입구(20a)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도어(10)의 일측에 힌지 유닛(30)이 장착된 구조에서, 도어(10)의 타측에는 도어(10)를 본체(20)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로킹장치가 구비된다. 로킹장치는 누름식으로 구성되어, 도어(10)의 타측을 한번 누르면 도어(10)가 잠금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도어(10)가 잠금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는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내부에 의류 투입구(20a)를 구비하는 도어 수용부(20b)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수용부(20b)는 상기 전면 패널(22)애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단차를 형성하여 구비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도어수용부(20b)는 상기 전면패널(22)과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도어(10)가 상기 의류투입구(20a)를 를 패쇄하면, 상기 도어(10)는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고, 상기 도어(10)가 상기 의류투입구(20a)를 개방하면 상기 도어 수용부(20b)를 벗어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도어(10)는 열린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20a)를 개방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20a)를 막게 된다.
이처럼 도어(10)가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는 구조상, 도어(10)의 개방시 도어(10)가 본체(20) 또는 상기 전면패널(22)에 접촉하여 회전이 제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 유닛(30)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이중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1차 회전에 의해 도어(10)가 도어 수용부(20b)로부터 이격된 후, 다른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2차 회전에 의해 도어(10)가 더 회전하여 상기 의류투입구(20b)를 완전히 개방할 수 있다.
이러한 이중 힌지 구조에 의하여,
상기 도어(10)가 상기 의류투입구(20b)를 패쇄하였을 때, 상기 도어(10)와 상기 전면패널(22)의 외면이 같은 평면상에 구비되어 단차가 없거나,도어(10) 외면이 상기 도어 수용부(20b)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함몰형 도어에서도, 상기 도어(1)가 90 도 이상으로 회전하여 의류 투입구(20b)를 개방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이중 힌지 구조와 더불어 상기 도어(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의류처리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이다. 의류 투입구(20a)는 상기 전면패널(22)을 관통하여 구비된 관통홀로서 원형(정원형, 타원형 포함)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도어(10)가 이에 대응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류 투입구와 도어(10)는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5를 참조하면, 도어(10)는 도어 프레임(110), 도어 윈도우(120) 및 도어 커버(140)를 포함한다.
도어 프레임(110)에는 도어(10)가 상기 의류투입구(20b)를 패쇄한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20a)와 마주하는 개구부(110a)가 형성되고, 도어 윈도우(120)는 상기 개구부(110a)에 대응되어 상기 개구부(110a)를 밀폐하도록 도어 프레임(110)에 구비된다. 도어 윈도우(120)는 투광성 재질(유리, 합성수지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10)은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어 프레임(110)에는 도어(10)의 표면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140)가 결합된다.
즉, 상기 도어커버(140)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의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140)는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도어(1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과 도어 커버(140)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시에 의하면, 도어 프레임(110)은 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힌지 유닛(30)이 도어 프레임(110)과 본체(20)에 각각 결합된다. 이 경우에, 상기 힌지 유닛(30)은 상기 도어프레임(110)의 중앙 또는 상기 의류 투입구(2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으로 치우쳐 상기 본체(20)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 유닛(30)은 상기 의류 투입구(20a)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10)와 상기 의류 투입구(20a)가 모두 원형이나,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디스플레이부(12)가 배치되므로, 상기 도어(10)는 상기 의류 투입구(20a)와 중심이 서로 다른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엄밀하게는 상기 도어(10)의 일측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2)를 제외한 부분에 윈도우부(11)가 원형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윈도우부(11)의 중심과 상기 의류투입구(20a)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프레임(110)의 개구부(110a)와 상기 의류투입구(20a)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비대칭 구조에서 도어(10)가 원할하게 개방되도록 상기 힌지 유닛(30)은 상기 의류 투입구(20a)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힌지 유닛(30)의 구조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힌지 유닛(30)은 도어 수용부(20b)에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도어 수용부(20b) 내부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 유닛(30)은 그 일부가 상기 도어 수용부(20b)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힌지 유닛(30)은 나머지 일부가 상기 전면 패널(22) 또는 도어수용부(20b) 관통하여 상기 도어(1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상기 전면 패널(22)에는 의류 투입구(20a)와 함께, 도 1 및 도 2, 도3를 참조하여 전술한 도어 수용부(20b)가 형성될 수 있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0)는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고, 도어(10)의 표면 이에 인접한 전면패널(22)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수용부(20b)의 측벽에는 관통홀(23)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 유닛(30)은 일부가 상기 본체(20) 내부 또는 상기 도어 수용부(20b) 내부에 구비된 힌지 브라켓(미도시)에 장착되고, 나머지 일부가 상기 관통홀(23)을 통하여 상기 도어 수용부(20b)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본체(20) 내부에서 지지되어 상기 관통홀(23)을 통회 상기 본체(2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힌지 브라켓은 의류처리장치와 힌지 유닛(30)을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힌지 브라켓은 의류 투입구(2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힌지 유닛(30)은 상기 의류 투입구(20a)에 대하여 편심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유닛(30)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이중 힌지 구조를 가지며, 이를 통하여 상기 도어(10)가 90 도 이상으로 회전하여 도어 수용부(20b)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힌지 유닛(30)의 구조에 대하여 도 1 및 도 2와 함께, 도 6, 도 7, 도 8,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는 도 4의 힌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 도 8, 도 9 및 도 10는 도 5의 힌지 유닛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유닛(30)은 베이스부재(3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재(310)는 도어(10)를 지지할 수 강도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10)가 회전하더라도 변형이 되지 않도록 내구성을 가지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부재는 장착부(311)와 돌출부(312)를 구비한다.
상기 장착부(311)는 의류처리장치의 본체(20)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예를 들어 힌지 브라켓(미도시)에 장착된다. 이 경우에, 상기 힌지 유닛(30)이 상기 의류 투입구(20a)의 중심에서 상측 또는 하측에 편심되어 위치하므로, 상기 베이스부재(310)도 상기 의류투입구(20a)의 중심에서편심되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착부(311)는 판형부재로 이루어지며, 일측이 상기 의류투입구(20a)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곡률을 구비할 수 있다. 이 때에, 상기 베이스부재(310)가 상기 의류투입구(2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장착부(311)의 일측은 상기 의류투입구(20a)의 좌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장착부(311)는 상기 의류투입구(20a)에 인접하여 구비되어, 상기 의류투입구(20a)에 인접한 부분은 상기 의류투입구(20a)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곡률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2)는 상기 장착부(311)에서 돌출되는 외팔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돌출부(312)는 상기 장착부(311)와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돌출부(312)는 상기 장착부(311)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20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312)는 상기 본체(20)의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전면 패널(22)의 관통홀(23)을 관통하여 도어 수용부(20b)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312)는 상기 장착부(211)에서 서로 이격되게 돌출되는 제1돌출부분(313)과 제2돌출부분(314)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분(313)과 제2돌출부분(314)은 모두 상기 의류 투입구(20a)의 중심보다 상측에 편심되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장착부(311)는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장착부(311)의 일측이 곡률을 구비하기 때문이다. 즉, 상기 장착부(311)는 상기 제1돌출부분(313)이 구비된 곳에서 상기 제2돌출부분(314)이 구비된 곳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상기 장착부(311)의 일측이 원호를 형성하고 상기 장착부(311)의 타측은 상하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상기 의류 투입구(20a)의 중심에 대하여 상측에서 상기 중심을 향할수록 상기 장착부(311)의 폭이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분(313)과 제2돌출부분(314)의 각 단부에는 샤프트(321)이 삽입되는 삽입홀(315)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321)은 이중 힌지 구조의 어느 하나의 회전축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힌지 유닛(30)은 상기 제1돌출부분(313)과 상기 제2돌출부분(314)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돌출부(312)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샤프트(321)는 상기 삽입홀(315)과 상기 연결부재(330)에 결합되어 상기 연결부재(33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고정축이 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321)와 상기 삽입홀(315)과 상기 제 1연결부(331)의 일단은 제 1 회전축(321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30)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도어(10)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30)는 타단에 상기 도어(10)을 회전시킬 수 있는 제 2회전축(3212)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10)가 상기 의류 투입구(20a)를 개방할때 상기 도어(10)의 회전중심을 변화시킬 수 있다.즉, 상기 도어(10)는 회전하면서 제1 회전축(321)을 중심으로 먼저 회전한 후 제 2회전축(32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0)가 개방되면서 상기 도어(10)의 회전중심이 제1 회전축에서 상기 제2 회전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330)의 일단에는 상기 제1회전축(321)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331)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10)의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10)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연결부재(330)의 타단에는 상기 도어(10)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332)가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2연결부(332)에는 제2회전축(322)이 장착되며, 상기 도어(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도어(10)의 회전중심은 상기 제1연결부(또는 제1회전축)에서 상기 제2연결부(또는 제2회전축)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제 1 연결부(331)과 상기 제 2 연결부(33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연결부(332)는 상기 제 1 연결부(331)에서 경사지게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이때, 상기 제 2 연결부(332)는 상기 제 1 연결부(331)와 예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부(331)은 일단이 상기 삽입홀(315)에 결합될 수 있다. 이‹š, 상기 제 1연결부(331)의 일단과 상기 삽입홀(315)은 상기 샤프트(32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의 타단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바디부(3321), 상기 바디부(3320)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3321)와, 상기 바디부(3320)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33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3321)와 상기 제 2연장부(3322)는 상기 바디부(3320)가 상기 제 1 연결부(331)에서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3321)와 상기 제2연장부(3322)는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체결부(3363)가 구비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지 않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구비되는 회전돌기(33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회전돌기(3321)는 상기 제 2 회전축(3212)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3363)과 상기 회전돌기(3321)는 제 2 회전축(3212)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363)는 원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3363)는 내부에 절개되어 구비된 체결슬릿(3366,336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슬릿(3366,3367)는 일정한 두께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3363)은 상기 제1연장부에서(3321)에서 상기 제 2연장부(3322)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 1 체결부(3364)와, 상기 제2체결부(3365)에서 상기 제 1 연장부(3321)를 향해 돌출되어 구비되는 제 2체결부(33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슬릿(3364)는 제1체결부(3364)에 구비되는 제1체결슬릿(3366)과, 상기 제 2체결부(3365)에 구비되는 제 2체결슬릿(337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서, 상기 베이스부재(310)가 상기 본체(20)에 결합되고, 상기 제1연결부(310)가 상기 베이스부재(310)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10)가 상기 제 2 연결부(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10)가 상기 의류 투입부(20b)를 개방하도록 회전되면, 먼저 상기 제 1연결부(331)가 상기 제1회전축(321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이후 상기 제2 연결부(332)가 제2회전축(321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이로써, 상기 도어(10)는 1차적으로 상기 제1회전축(321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 2차적으로 상기 제2회전축(321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0)는 상기 제 1회전축(3211)에서 상기 제 2 회전축(3212)으로 회전중심이 이동하면서 회전반경이 커지게 되므로 상기 도어수용부(20a)에서 용이하게 이탈할 수 있고, 상기 도어(10)는 90도 이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 일실시예의 의류처리장치는 벽, 다른 가전제품, 가구 등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10)가 개방되는 방향에 벽이나 다른 가전제품 또는 가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10)가 90도 이상으로 회전되면 상기 벽등에 상기 도어(10)가 충돌 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도어커버(110) 및 디스플레이부(12)가 파손되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상기 도어(10)가 90도 이상으로 개방되더라도 빠른 속도로 상기 도어(1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일실시얘의 힌지 유닛(30)은 상기 도어(10)가 회전할 ‹š 빠른속도로 갑자기 회전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멈춤힌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도어(10)가 빠르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멈춤힌지(400)를 설명한다.
상기 멈춤힌지(400)은 상기 체결슬릿(3366,3367)에 삽입되어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부(410), 상기 지지부(410)에서 원기둥 형상으로 연장되는 마찰샤프트(420), 상기 마찰샤프트(42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마찰고리(440) 상기 마찰고리(400)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도어마찰판(4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410)는 상기 제1체결슬릿(3366)에 결합되는 제 1지지부(411)과 상기 제2체결슬릿(3367)에 결합되는 제2지지부(4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샤프트(420)는 상기 제1지지부(411)에서 연장되는 제1샤프트(421)과 상기 제2지지부(412)에서 연장되는 제2샤프트(4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2샤프트(421,422)는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샤프트(420)과 상기 마찰고리(440) 사이의 마찰력을 조절하기 위해 각각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2샤프트(421,422)는 외주면을 따라 구비된 홈(423)을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2샤프트(421,422)와 상기 마찰고리(440) 사이에 윤활유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찰고리(440)는 상기 제1,2샤프트(421,422)의 외주면을 둘러 쌓는 형식으로 구비되되, 일측에 마찰슬릿(441)을 구비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마찰고리(440)는 상기 샤프트(410)의 외주면의 일부만을 둘러 쌓아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마찰고리(440)가 상기 마찰슬릿(441)이 구비된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 회전하되, 상기 마찰슬릿(441)이 구비되지 않은 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 마찰고리(440) 자체의 탄성력 또는 소성력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힘이 필요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상기 마찰슬릿(441)은 상기 의류 투입구(20a), 본체, 또는 드럼(40)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마찰판(430)은 상기 마찰고리(440)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10)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도어마찰판(430)은 상기 도어(10)의 정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마찰관통홀(4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으로 인해, 상기 도어(10)가 개방되기 시작하면 상기 마찰고리(440)에 상대적으로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어 상기 멈춤힌지(400)가 상기 도어(10)가 빠른속도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도어(10)가 패쇄되기 시작하면, 상기 마찰고리(440)에 상대적으로 적은 힘이 필요하게되어 사용자는 손쉽게 상기 도어(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6를 다시 참조하면, 상기 제2회전축(322)에는 3(334)이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부(3364,3365), 상기 회전돌기(3321)에 부싱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부싱(334)은 상기 제2 회전축(322)이 상기 도어(10)에서 회전할 때 마찰력을 최소화 하도록 하여 상기 도어(10)가 원할하게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싱(344)는 상기 체결부(3363)에 상기 지지부(410)가 이탈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부싱(344)은 상기 제 2회전축(322)에 원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절개부(33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7을 참조하면, 상기 도어(10)의 배면에는 상기 제2연결부(332)와 결합을 위한 힌지홀더(34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홀더(341)는 상기 도어(10)와 별개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도어(10)의 배면 즉, 도어프레임(110)에 일체로 구비될 수 있다.
도15은 상기 힌지홀더(341)가 도어프레임(110)에 일체로 구비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힌지홀더(341)는 상기 제2연결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힌지홀더(341)는 상기 부싱(344)를 수용할 수 있는 부싱수용부(510), 상기 도어마찰팔(430)과 결합하는 마찰판 결합대(5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판결합대(520)에는 상기 마찰관통홀(431)에 삽입될 수 있는 돌기부(521)가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연결부(332)가 상기 힌지홀더(341)의 정위치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힌지 홀더(341)를 가리기 위하여, 상기 도어에는 홀더 커버(342)가 상기 힌지 홀더(341)를 덮도록 장착될 수 있다.(도4참조)
상기 내용을 다른 관점에서 설명하면, 상기 연결부재(33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331)와, 상기 제1연결부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연결부(3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연결부(331)는 직선의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2연결부(332)는 곡선의 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연결부(331)에는 전기배선을 수용하는 수용홈(337)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을 덮는 커버(338)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수용홈(337)은 상기 제 2 연결부의 일단의 단면을 따라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커버(338)는 상기 수용홈(337)을 덮어 상기 수용홈(337)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제1연결부(331)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10)의 회전중심은 상기 도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의 경계까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에서 상기 제2연결부로 이동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가도록 형성된다고 볼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를 가진 연결부재(330)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도 6a)로부터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연결부(331)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연결부(331)는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상기 연결부재가 기설정된 각도까지 회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재(3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가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2연결부(332)와 제1연결부(331)가 차례로 상기 돌출부를 지나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부재(332)와 제1부재(331)가 차례로 상기 돌출부(312)를 지나서 회전하면, 이는 상기 기설정된 범위의 경계(본 예시에서는 75도)까지 열린 상태(도 8, 이하, 중간 열린 상태라 한다)가 된다. 이 때에, 상기 제1연결부(331)에는 상기 경계에서 상기 연결부재가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중간 열린 상태는 상기 도어(10)가 상기 의류 투입구(20a)를 정면에서 일부 가리는 상태가 된다.
이 때에, 상기 제2회전축(322)은 상기 도어(10)가 상기 중간 열린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기설정된 각도까지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의류 투입구(20a)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중간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도어(10)가 계속 회전하면, 전면 커버(21)와 도어(10) 외면의 사이에 단차가 없으므로 상기 도어의 일측이 상기 전면 커버(21)에 걸림될 수 있다. 본 예시의 이중 힌지 구조는, 상기 도어(10)의 회전중심은 상기 중간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331)에서 상기 제2연결부(332)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상기 도어(10)의 회전이 제한되므로, 도어(10)에 외력이 가해지면 도 6d와 같이 상기 도어는 상기 제2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2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한 도어(10)의 회전이 특정각도(본 예시에서는 45도)만큼 가능하다면, 상기 도어(10)는 상기 중간 열린 상태로부터 상기 특정각도만큼 더 회전하여 상기 의류 투입구를 정면에서 가리지 않는 상태(열린 상태)까지 개방시킨다.
이상에서는, 도어(10)를 여는 동작을 중심으로 이중 힌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도어(10)를 닫는 동작은 상기 설명과 역으로 성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린 상태에서 도어(10)를 닫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중간 열린 상태까지는 상기 도어(10)가 상기 제2회전축(322)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외력이 계속 가해지면, 상기 중간 열린 상태에서 상기 닫힌 상태까지는 상기 연결 부재(330)가 상기 도어(10)와 함께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된다.
상기에서 설명된 구조 및 동작에 의하여 본체에 대하여 돌출되지 않는 함몰형 도어임에도, 의류 투입구를 개폐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된 힌지 유닛의 구조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변형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힌지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1, 도 12, 도 13 , 도 14는 도 16의 힌지 유닛에 의하여 도어가 개방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동작도들이다.
본 예시의 힌지 유닛은 도 6를 참조하여 전술한 힌지 유닛과 마찬가지로, 베이스부재(310), 연결부재(330), 제1회전축(321) 및 제2회전축(322)을 구비하며, 이들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으로 갈음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재(310)는 장착부(311)와 돌출부(312a)를 구비하고, 연결부재(330)는 제1부재(335)와 제2부재(336)를 구비하며, 제1회전축(321)이 제1연결부(331)를 형성하고, 제2회전축(322)이 제2연결부(332)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12a)는 제1돌출부분(313)과 제2돌출부분(314a)을 구비한다. 또한,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도어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중심이 제1회전축(321)에서 제2회전축(322)으로 이동하게 된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힌지 유닛은 회전 가이드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부재(335)와 제2부재(336)가 각각 바 형태로 연장되는 구조이므로 도어의 중량으로 인하여 상기 제1연결부(331)에서 큰 굽힘 모멘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 가이드부(340)는 상기 제1연결부(331)에 대한 강도를 보강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돌출부(312a), 구체적으로는 제2돌출부분(314a)에는 가이드 홈(34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2돌출부분(314a)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베이스부재(310)의 돌출부(312)보다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상기 제1부재(335)와 상기 제2부재(336)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상기 가이드 홈(341)에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34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341)은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연결부재(330)는 상기 가이드 돌기(342)가 상기 가이드 홈(341)의 단부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홈(341)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며, 상기 연결부재(330)의 회전량을 결정하게 된다.
이를 통하여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돌기(342)는 상기 가이드 홈(341)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제1회전축(32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중간 열린 상태의 사이에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회전 가이드부(340)에 의하여 상기 도어의 회전이 가이드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제1연결부(331)에 가해지는 굽힘 모멘트가 분산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본 예시에 의하면, 보다 컴팩트한 힌지 구조에서도 함몰형 도어의 개폐 신뢰도가 향상된 의류처리장치가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의류처리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재 330
제1연결부 331
제2연결부 332
회전돌기 3321
부싱334 절개부 3341
제1부재
제2부재 336
바디부 3360
제1연장부 3361 제1체결부 3364 체결슬릿 3366
제2연장부 3362 제2체결부 3365 체결슬릿 3367
멈춤힌지 400
지지부 410
마찰샤프트 420 제1샤프트 421 제2샤프트 422 홀 423
도어마찰판 430 마찰관통홀 431
마찰고리 440
마찰슬릿 441
힌지홀더 500
부싱수용부 510
마찰판 결합대 520 돌기부 521
마찰판 결합홀
힌지커버 결합홀 530

Claims (22)

  1.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방하고,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를 막도록 이루어지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베이스부재; 및
    상기 닫힌 상태와 상기 열린 상태의 사이에서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도록, 상기 베이스부재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부를 구비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부와, 상기 제1연결부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부는 직선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부는 곡선의 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결부에는 전기배선을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을 덮는 커버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연결부를 중심으로 기설정된 범위에서 회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은 상기 도어가 상기 기설정된 범위의 경계까지 열린 상태에서 상기 제1연결부에서 상기 제2연결부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도어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기설정된 범위내에서 상기 베이스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지나가도록 형성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상기 장착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연결부재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돌출부분과 제2돌출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장착부와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류 투입구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재는 상기 원형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분과 상기 제2돌출부분에는 상기 제1연결부의 일단과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홀이 구비되고,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는 샤프트가 구비되어 상기 제 1연결부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삽입홀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의 타단에는 상기 제2 연결부가 경사지게 연장되고,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의 타단에서 연장되는 바디부와, 상기 바디부의 일단에서 연장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바디부이 타단에서 연장되는 제2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는 상기 제1연장부와 상기 제2연장부가 마주하는 곳에 돌출되어 구비된 체결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연장부의 외곽과 상기 제2연장부의 외곽에 돌출되어 구비된 회전돌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회전돌기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멈춤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힌지는
    상기 체결부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서 연장되어 구비되는 마찰샤프트와,
    상기 마찰샤프트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마찰고리와,
    상기 마찰고리에서 연장되어 상기 도어에 결합되는 도어마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고리는 상기 마찰샤프트의 외주면의 일부만 감싸도록 구비되어 상기 마찰샤프트가 노출되는 마찰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샤프트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윤활유가 수용될 수 있는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회전돌기와 상기 체결부의 외주면에 결합하는 부싱을 더 포함하고,
    상기 부싱은 일측이 개방된 절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배면에 상기 제2연결부과 결합할 수 있는 힌지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홀더는
    상기 부싱을 수용하는 부싱수용부와
    상기 도어마찰판과 결합하는 마찰판 결합대를 더 포함하고,
    강기 도어마찰판은 관통되어 구비되는 마찰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마찰판 결합대는 상기 마찰관통홀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0.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에 배치되는 제1회전축;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 배치되며, 상기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회전축; 및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2회전축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기설정된 각도까지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의류 투입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회전축와 연결되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부재과, 상기 제2회전축과 연결되며, 상기 일 방향과 다른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2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22. 원형의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를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의류 투입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측에서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는 도중에 상기 도어의 회전중심이 이동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66813A 2016-01-05 2016-05-30 의류처리장치 KR102643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01184 2016-01-05
KR1020160001184 2016-01-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110A KR20170082110A (ko) 2017-07-13
KR102643352B1 true KR102643352B1 (ko) 2024-03-07

Family

ID=58741892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57A KR101815103B1 (ko) 2015-11-02 2016-04-01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40455A KR101815101B1 (ko) 2015-11-02 2016-04-01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40456A KR101815102B1 (ko) 2015-11-02 2016-04-01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66813A KR102643352B1 (ko) 2016-01-05 2016-05-30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457A KR101815103B1 (ko) 2015-11-02 2016-04-01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40455A KR101815101B1 (ko) 2015-11-02 2016-04-01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40456A KR101815102B1 (ko) 2015-11-02 2016-04-0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3) JP7136698B2 (ko)
KR (4) KR101815103B1 (ko)
AU (3) AU2016350669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48100B (zh) * 2019-02-15 2023-06-13 重庆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壁挂式洗衣机
JP7329369B2 (ja) * 2019-06-18 2023-08-18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機器
WO2022065288A1 (ja) * 2020-09-23 2022-03-31 シャープ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946B1 (ko) 2007-05-28 2008-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2471A (en) * 1959-11-16 1962-07-03 Gen Motors Corp Flexible conduit hinge for domestic appliances
KR100260581B1 (ko) * 1998-06-05 2000-07-01 심명섭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하는화상형성장치
KR200228519Y1 (ko) * 1998-06-18 2001-09-17 윤종용 드럼세탁기의도어힌지
KR200245382Y1 (ko) * 2001-05-25 2001-10-29 정창덕 콤팩트디스크 보관대
US7581414B2 (en) * 2002-01-09 2009-09-01 Lg Electronics Inc. Door for washing machine and dryer and washing machine and dryer having the same
KR200281165Y1 (ko) * 2002-04-12 2002-07-13 정두영 주방가구용 힌지의 마운팅풀레이트
JP3801167B2 (ja) * 2003-11-14 2006-07-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DE602005025229D1 (de) * 2004-08-27 2011-01-20 Arcelik Anonim Sirketi Tuzla Haushaltsgerät
DE102005015551B4 (de) * 2005-04-04 2008-08-07 Miele & Cie. Kg Front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Waschmaschine, Wäschetrockner oder Waschtrockner
CN101333753B (zh) * 2007-06-29 2011-09-14 海尔集团公司 一种可以实现洗衣机门体大角度打开的铰链装置
CA2610078A1 (en) * 2007-11-09 2009-05-09 Mabe Canada Inc. Clothes dryer door hinge
JP4907627B2 (ja) * 2008-10-16 2012-04-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GB0902619D0 (en) * 2009-02-17 2009-04-01 Xeros Ltd Cleaning apparatus
KR101643633B1 (ko) * 2009-07-30 2016-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WO2011014018A2 (en) * 2009-07-30 2011-02-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2127719B1 (ko) * 2013-07-08 202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102158689B1 (ko) * 2013-11-04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4946B1 (ko) 2007-05-28 2008-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103B1 (ko) 2018-01-05
AU2016350669B2 (en) 2019-01-31
KR101815101B1 (ko) 2018-01-05
JP2018532551A (ja) 2018-11-08
JP7136698B2 (ja) 2022-09-13
KR20170051149A (ko) 2017-05-11
AU2016350668A1 (en) 2018-05-17
AU2016350670B2 (en) 2019-10-17
AU2016350670A1 (en) 2018-05-24
KR101815102B1 (ko) 2018-01-05
JP2018532549A (ja) 2018-11-08
JP6892453B2 (ja) 2021-06-23
JP6938522B2 (ja) 2021-09-22
JP2018532550A (ja) 2018-11-08
KR20170051148A (ko) 2017-05-11
AU2016350668B2 (en) 2019-04-18
KR20170051147A (ko) 2017-05-11
KR20170082110A (ko) 2017-07-13
AU2016350669A1 (en) 2018-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9179B1 (en) Washing machine
EP316566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327824B1 (en) Drum washing machine with hinge units
US10815602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0845290B1 (ko) 드럼세탁기
KR101156707B1 (ko) 드럼 세탁기와 드럼 세탁기 도어의 조립 방법
US20080053159A1 (en) Laundry machine
EP3168359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43352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115004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KR100465690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JP6123075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2257624B1 (ko) 의류처리장치
KR100452355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힌지 어셈블리
EP3899126B1 (en) A laundry washing and/or drying machine comprising a hinge group
RU268951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KR101073905B1 (ko) 건조기의 도어구조
KR100686002B1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회전장치
KR20070057564A (ko) 드럼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30010654A (ko) 세탁장치
KR20040046915A (ko) 드럼세탁기의 도어 힌지 어셈블리
KR20130071843A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