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45742A -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 - Google Patents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45742A
KR20110045742A KR1020090102437A KR20090102437A KR20110045742A KR 20110045742 A KR20110045742 A KR 20110045742A KR 1020090102437 A KR1020090102437 A KR 1020090102437A KR 20090102437 A KR20090102437 A KR 20090102437A KR 20110045742 A KR20110045742 A KR 201100457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hinge
link
opening
dishwas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호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45742A/ko
Publication of KR20110045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7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59Arrangements of locking or security/safety devices for doors, e.g. door latches, switch to stop operation when door is op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42Details
    • A47L15/4251Details of the casing
    • A47L15/4257Details of the loading door
    • A47L15/4261Connections of the door to the casing, e.g. door hinges

Landscapes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Abstract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이 제공된다. 개시된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는 일측부가 식기세척기의 도어 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부에는 소정 길이의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는 접속링크, 일단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홀에 접속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는 링크연동 힌지, 상기 본체에 연결된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링크의 타측부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1차 개방을 유도하는 링크푸시 힌지, 및 상기 링크연동 힌지와 상기 본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지며, 상기 도어의 상기 1차 개방 이후 일시적으로 상기 도어의 지지 기능을 하는 스프링 힌지를 포함하며, 사용자가 상기 스프링 힌지의 탄성력을 극복할 정도의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도어를 2차적으로 개방하는 경우 상기 스프링 힌지, 링크연동 힌지 및 접속링크가 상호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기세척기, 도어, 힌지, 링크, 다단, 슬라이딩, 스프링

Description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Multi Step Hinge Structure Applied to Dishwasher Door and Opening Method of Dishwasher Door}
본 발명은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기세척기의 도어 잠금을 해제하는 경우에 복수 단계로 이루어진 도어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식기세척기는 식기의 세척을 보다 용이하고 위생적이고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세척기의 하부 세척조에 담겨진 세척수에 전용세제를 용해시켜 물분사 세척방식이나 브러쉬 세척방식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음식찌꺼기나 이물질이 묻어 있는 식기나 수저 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식기세척기는 일반적으로 일면에 개구부를 가진 본체, 상기 개구부를 개방 또는 폐쇄하는 도어, 및 상기 도어의 원활한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도어개방장치 등을 구비한다. 도어개방장치는 링크, 힌지, 스프링 등이 연동하여 도어의 개방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일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에 구비된 버튼을 조작하여 상기 도어와 본체의 걸림을 해제하면, 도어개방장치는 자동으로 도어의 열림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은 도어개방장치는 일반적으로 종래에는 복잡한 다수의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거나, 도어의 개방과정에서 급작스러운 열림작용으로 인하여 식기세척기 내부의 잔존하는 습기가 열 등이 갑작스럽게 외부로 토출되어 사용자에게 불쾌한 느낌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어의 개방이 다단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갑작스러운 도어 열림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는 일측부가 식기세척기의 도어 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부에는 소정 길이의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는 접속링크, 일단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홀에 접속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는 링크연동 힌지, 상기 본체에 연결된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링크의 타측부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1차 개방을 유도하는 링크푸시 힌지, 및 상기 링크연동 힌지와 상기 본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지며, 상기 도어의 상기 1차 개방 이후 일시적으로 상기 도어의 지지 기능을 하는 스프링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힌지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져 상기 도어의 2차 개방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스프링 힌지, 링크연동 힌지 및 접속링크가 상호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푸시 힌지가 구동하는 상기 도어의 1차 개방시에, 상기 스프링 힌지는 상기 1차 개방 이전의 위치가 유지된다.
상기 접속링크에 접하는 상기 링크푸시 힌지의 상측부는 유선형 또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링크푸시 힌지의 상측부를 둘러싸도록 제1마찰방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마찰방지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상기 접속링크의 타측부 외면에는 제2마찰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속링크의 일측부는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개방구 하측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다단 힌지 구조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의 도어의 개방 방법은 상기 도어의 상단에 구비된 누름판이 가압되어 상기 도어의 상측부가 상기 본체에 연결된 고정걸쇠로부터 해제되는 단계,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링크푸시 힌지가 작동하여 상기 접속링크를 상기 슬라이딩홀의 내부길이만큼 운동하게 하여 상기 도어의 상기 1차 개방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스프링 힌지에 의해 일시적으로 상기 도어의 개방이 멈추는 단계, 및 상기 스프링 힌지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도어의 2차 개방이 진행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은 도어를 개방하는 과정에서 1차적으로 링크푸시힌지를 이용하여 소정각도만을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급작스러운 열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식기세척기 내부에 잔존할지 모르는 열이나 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스프링 힌지, 링크연동 힌지 및 접속링크의 연동시스템을 이용하여 2차적으로 사용자가 직접 적절한 힘을 가하여 최적 각도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적은 수의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다단 힌지구조를 구성할 수 있게 함으로서 구동의 효율성 및 정비성을 높이게 되는 부가적인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힌지구조가 구비된 도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다단힌지구조를 나타내는 A 부분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링크푸시힌지가 작동하여 도어의 1차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도면, 및 도 4는 스프링 힌지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는 과정에서 도어의 2차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2를 참조하여, 식기세척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살핀다.
식기세척기(100)는 세척을 요하는 식기류가 수용되는 본체(101), 본체(101)내부 하면에 마련되며 식기류로의 세척수를 저장하거나 세척이 이루어진 세척수가 배수되는 세척조(103), 본체(101)의 하부에 배치되는 기계실(105), 및 본체의 개방된 일측에 장착되는 도어(110)를 구비한다. 기계실(105)의 하부로는 바닥부(102)가 추가로 설치되어 기계실(105)에 장착되는 구동모터(미도시)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진동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기세척기(100)는 도어(110)의 개방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갑작스런 개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어(110)의 개방이 일정한 시간 차를 두고 행해질 수 있게 다단힌지구조를 구비한다.
다단힌지구조는 일측부가 도어(110) 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부에는 소정 길이의 슬라이딩홀(124)이 형성되는 접속링크(120), 일단은 식기세척기(100)의 본체(101)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슬라이딩홀(124)에 접속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는 링크연동 힌지(130), 본체(101)에 연결된 탄성체(160)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접속링크(120)의 상기 타측부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도어(110)의 1차 개방을 유도하는 링크푸시 힌지(140), 및 링크연동 힌지(130)와 고정바(107)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지는 스프링 힌지(150)를 포함한다.
도어(110)의 1차 개방은 사용자가 직접 손을 사용하여 2차 개방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정도의 개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특별히 그 개방각도가 정해진 것은 아니지만 최소한 사용자의 손이 여유있게 삽입될 정도의 틈이 도어(110)와 본체(101) 사이에 형성될 정도의 각도면 충분할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1차 개방으로 인해 도어(110)가 개방되는 각도를 예비개방각도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접속링크(120)의 일측부는 도어(110)의 하단부에 부설된 연결축(122)에 회동 가능하게 접속되고, 도어(110)가 그 하단에 마련된 도어회전축(112)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상기 일측부는 연결축(122)이 이루는 포물선의 궤적을 따라서 이동을 한다.
링크연동 힌지(130)는 그 일단에 연동힌지 회전축(132)이 부설되고, 그 타단에는 슬라이딩 돌기(134)가 구비된다. 상기 연동힌지 회전축(132)은 본체(101) 내에서 골조를 이루는 프레임(140) 상에 장착된 연결고리(104a)를 관통하여 체결된 다. 마찬가지로 슬라이딩 돌기(134)는 슬라이딩홀(124)을 관통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슬라이딩홀(124)의 궤적을 따라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링크푸시 힌지(140)는 그 외면이 유선형 또는 직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측부(141)와 하단이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진 하측부(143)로 구성될 수 있고, 상측부(141)와 하측부(143) 사이의 중앙부(142)에는 연결고리(144)가 구비되어져 탄성체(160)의 일단에 접속된다. 더불어, 상기 상측부(141)는 접속링크(120)의 타측부 외면으로의 원만한 가압을 위해서 테이퍼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측부(141)는 슬라이딩홀(124)이 형성된 접속링크(120)의 타측부 외면에 직접 맞닿는 구조이므로, 상측부(141)를 둘러싸도록 제1마찰방지부재(145)가 구비되고, 상기 제1마찰방지부재(145)에 대응되도록 타측부 외면에는 제2마찰방지부재(162)가 구비될 수 있다. 링크푸시 힌지(140)의 하측부(143)는 링크박스(A)의 내부 하단에 접촉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고, 링크푸시 힌지(140)의 측면은 링크박스(A)에 형성된 지지리브(115)에 지지되어진다. 상기 링크푸시 힌지(140)는 탄성체(160)에 의해 당겨지는 경우에 상측부(141)는 좌측으로 이동하고 하측부(142)는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 경우에 링크푸시 힌지(140)는 그 측면이 지지리브(115)의 외주면을 따라서 운동하게 되고 전체적으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형태를 띠게 된다.
링크푸시 힌지(140)는 탄성체(160)의 복원력만을 이용하여 접속링크(120)를 도어(110)측 방향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할 수 있다. 즉, 도어(110)가 닫힌 상태에서는 접속링크(120)가 본체(101) 내측으로 밀리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접속링 크(120)의 타측부 외면이 링크푸시 힌지(140)의 상측부(141)를 밀어내면서 이에 연결된 탄성체(160)를 늘어나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탄성체(160) 내에 원위치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을 만들게 된다. 따라서, 도어(110) 상단부의 걸림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체(160)의 복원력이 작용하여 자연스럽게 도어(110)의 1차 개방을 유도한다. 한편, 탄성체(160)는 그 일단(161)이 본체(101)에 형성된 고정리브(108)에 연결되고, 그 타단은 링크푸시힌지(140) 중앙부(142)의 연결고리(144)에 결합된다.
스프링 힌지(150)는 도어(110)의 1차 개방 이후 일시적으로 도어(110)의 지지 기능을 하게 된다. 즉, 도어(110)가 예비개방각도만큼 개방된 경우 더이상 열리는 것을 일시적으로 멈추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그 일측단은 고정바(107)에 접속하고 그 타측단은 링크연동힌지(130)의 중앙에 형성되는 연결돌기(136)에 접속한다. 상기 고정바(107)의 일측은 프레임(104)에 체결되고, 타측은 본체(101)에 고정되는 연결지지부(106)에 체결된다. 여기에서, 고정바(107)에는 다단으로 형성된 관통홀 형상의 조절구(107a)가 배치된다. 스프링 힌지(150)의 일측단이 접속되는 조절구(107a)의 단을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서 스프링 힌지(150)의 안정적인 위치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도어(110)의 1차 개방 이후에, 사용자는 스프링 힌지(150)의 탄성력을 극복할 정도의 힘을 가함으로써 도어(110)의 2차 개방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스프링 힌지(150), 링크연동 힌지(130) 및 접속링크(120)가 상호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단힌지구조를 구비한 식 기세척기에서 도어(110)가 다단으로 개방되는 과정을 정리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도어(110) 상단의 누름판(111)을 하방으로 가압함으로써 도어(110)의 상단이 본체(101)에 고정되는 고정걸쇠(109)로부터 해제되도록 한다. 그다음으로, 링크푸시 힌지(140)는 탄성체(160)에 저장된 복원력을 이용하여 접속링크(120)를 도어(110)측 방향으로 밀어낸다.이 과정에서 슬라이딩 돌기(134)와 슬라이딩홀(124)의 결합관계에 의해서 접속링크(120)의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링크연동힌지(130)는 스프링힌지(150)에 의해 일시적으로 고정되는 상태를 유지한다.
도 2는 링크푸시 힌지(140)에 의해 도어(110)가 예비개방각도만큼 회전하여 1차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어(110)가 도 1에서와 같이 1차 개방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은 도어(110)의 갑작스런 열림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충격이나 식기세척기 내부에 잔존할 수 있는 열이나 증기의 갑작스러운 배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것에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어(110)가 1차 개방된 이후에 사용자는 도어(110)에 적절한 힘을 가하여 2차 개방을 유도한다. 도어(110)를 당기게 되면 그 일측과 연결축(122)에 의해 연결된 접속링크(120)는 도어(110) 측으로 이동하고, 접속링크(120)와 슬라이딩 돌기(134)에 의해 연결된 링크연동힌지(130)는 연동힌지 회전축(13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피벗운동을 한다. 연결돌기(136)에 그 일측단이 고정된 스프링힌지(150)는 일정한 탄성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상기 링크연동힌지(130)의 피벗운동과정에 일정한 부하로서 작용하게 된다. 즉, 도어회전축(112)을 중심으로 도어(110)를 개방할때 접속링크(120)와 링크연동힌지(130)를 거쳐 연동하 는 스프링힌지(150)는 결과적으로 예상치 못한 빠른 도어(110)의 빠른 개방을 방지하게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110)의 1차 개방 과정에서 링크푸시힌지(140)를 이용하여 예비개방각도 만을 개방하도록 함으로써 도어(110)의 급작스러운 열림을 방지하는 동시에 식기세척기(100) 내부에 잔존할지 모르는 열이나 습기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스프링 힌지(150), 링크연동 힌지(130) 및 접속링크(120)의 연동시스템을 이용하여 도어의 2차 개방을 유도함으로써 직접 적절한 힘을 가하여 최적의 개방속도로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단 힌지구조가 구비된 도어를 포함하는 식기세척기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2는 도 1에서 다단힌지구조를 나타내는 A 부분의 부분확대도,
도 3은 링크푸시힌지가 작동하여 도어의 1차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의 도면, 및
도 4는 스프링 힌지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는 과정에서 도어의 2차 개방이 이루어진 상태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식기세척기 101 : 본체
102 : 바닥부 103 : 세척조
104 : 프레임 105 : 기계실
106 : 연결지지부 107 : 고정바
109 : 고정걸쇠 110 : 도어
111 : 누름판 112 ; 도어회전축
115 : 지지리브 120 : 접속링크
122 : 연결축 124 : 슬라이딩홀
130 : 링크연동힌지 132 : 연동힌지 회전축
134 : 슬라이딩 돌기 136 : 연결돌기
140 : 링크푸시 힌지 141 : 상측부
142 : 중앙부 143 : 하측부
144 : 연결고리 145 : 제1마찰방지부재
150 : 스프링 힌지 160 : 탄성체
A : 링크박스

Claims (6)

  1. 일측부가 식기세척기의 도어 상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부에는 소정 길이의 슬라이딩홀이 형성되는 접속링크;
    일단은 상기 식기세척기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홀에 접속되어 슬라이딩 운동하는 링크연동 힌지;
    상기 본체에 연결된 탄성체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상기 접속링크의 타측부 외면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도어의 1차 개방을 유도하는 링크푸시 힌지; 및
    상기 링크연동 힌지와 상기 본체에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지며, 상기 도어의 상기 1차 개방 이후 일시적으로 상기 도어의 지지 기능을 하는 스프링 힌지;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힌지의 탄성력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져 상기 도어의 2차 개방이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스프링 힌지, 링크연동 힌지 및 접속링크가 상호 연동하여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푸시 힌지가 구동하는 상기 도어의 1차 개방시에, 상기 스프링 힌지는 상기 1차 개방 이전의 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링크에 접하는 상기 링크푸시 힌지의 상측부는 유선형 또는 직선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푸시 힌지의 상측부를 둘러싸도록 제1마찰방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마찰방지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슬라이딩홀이 형성된 상기 접속링크의 타측부 외면에는 제2마찰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링크의 일측부는 상기 도어의 하단부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의 개방구 하측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6. 상기 제 1항의 다단 힌지 구조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의 도어의 개방 방법에서 있어서,
    상기 도어의 상단에 구비된 누름판이 가압되어 상기 도어의 상측부가 상기 본체에 연결된 고정걸쇠로부터 해제되는 단계;
    상기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링크푸시 힌지가 작동하여 상기 접속링크를 상기 슬라이딩홀의 내부길이만큼 운동하게 하여 상기 도어의 상기 1차 개방이 이루어지는 단계;
    상기 스프링 힌지에 의해 일시적으로 상기 도어의 개방이 멈추는 단계; 및
    상기 스프링 힌지의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도어의 2차 개방이 진행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단 힌지 구조를 이용한 식기세척기의 도어의 개방 방법.
KR1020090102437A 2009-10-27 2009-10-27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 KR2011004574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437A KR20110045742A (ko) 2009-10-27 2009-10-27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437A KR20110045742A (ko) 2009-10-27 2009-10-27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742A true KR20110045742A (ko) 2011-05-04

Family

ID=44240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437A KR20110045742A (ko) 2009-10-27 2009-10-27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4574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509A (ko) * 2014-02-20 2015-08-28 주식회사 동양매직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방장치
KR102421277B1 (ko) * 2021-03-16 2022-07-18 호성테크 주식회사 간이 좌석을 구비한 신발 제균건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8509A (ko) * 2014-02-20 2015-08-28 주식회사 동양매직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방장치
KR102421277B1 (ko) * 2021-03-16 2022-07-18 호성테크 주식회사 간이 좌석을 구비한 신발 제균건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9660B2 (en) Dishwasher
US9873973B2 (en) Washing machine
EP3254599B1 (en) Dishwasher
US9057151B2 (en) Door assembly of a drum type washing machine
AU2016385300B2 (en) Washing machine and home appliance
US20110187246A1 (en) Dish Washer
EP2862495B1 (en) Dishwasher
KR20110045742A (ko) 식기세척기 도어의 다단 힌지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식기세척기 도어의 개방방법
JP4893785B2 (ja) 食器洗い機
US10047474B2 (en) Washing machine
KR100892672B1 (ko) 식기 세척기용 디스펜서
KR20170011056A (ko) 식기세척기
KR100444122B1 (ko) 식기 세정기
JP3933166B2 (ja) 食器洗い機
KR102060076B1 (ko) 롤러 유닛 및 그를 갖는 가전제품
JP4474819B2 (ja) 食器洗浄機
KR10171616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200142970A (ko) 식기 세척기
KR101290506B1 (ko) 식기 세척기
KR102106599B1 (ko) 식기세척기의 도어 개방장치
JP2013158513A (ja) 食器洗い機
JP3985808B2 (ja) 食器洗い機
JP3985715B2 (ja) 食器洗い機
KR101193262B1 (ko) 식기 세척기
KR20110045741A (ko) 식기세척기의 도어래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