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167B1 - 세탁물 처리기기 - Google Patents

세탁물 처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167B1
KR101716167B1 KR1020090099404A KR20090099404A KR101716167B1 KR 101716167 B1 KR101716167 B1 KR 101716167B1 KR 1020090099404 A KR1020090099404 A KR 1020090099404A KR 20090099404 A KR20090099404 A KR 20090099404A KR 101716167 B1 KR101716167 B1 KR 101716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top cover
hole
lid assembly
b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9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3132A (ko
Inventor
김동윤
배종득
김지맹
박영배
심태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10013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3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8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8Doors; Security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42Safety arrangements, e.g. for stopping rotation of the receptacle upon opening of the casing do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8Friction devices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at a considerable distance from the edges of the wing, e.g. for balanced wings
    • E05D7/086Braking devices structurally combined with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1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washing machines or laundry dr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탑커버에 리드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된 탑커버와, 상기 탑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여닫는 리드 어셈블리와,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회전을 지지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와 상기 탑커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한다.
탑커버, 리드 어셈블리, 샤프트, 샤프트 브래킷, 탄성부재, 부쉬

Description

세탁물 처리기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리드 어셈블리의 회전을 지지하는 샤프트가 상기 리드 어셈블리와 탑커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세탁물 처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물 처리기기는, 물과 세제의 화학적 분해 작용과 물과 세탁물간의 마찰 등 물리적 작용 등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약칭함)에 묻은 오염물질을 분리해내는 세탁장치와, 젖은 세탁물을 탈수하여 건조시키는 건조장치, 세탁물을 가열된 증기를 분사하여 세탁물로 인한 알러지를 방지하고, 세탁물을 간편하게 세탁하는 리프레셔 등, 세탁물에 물리적 화학적 작용을 가하여 세탁물을 처리하는 각종 장치를 통칭한다.
이러한 세탁장치는, 통상 세척 행정, 헹굼 행정 및 탈수 행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면서 세탁물을 세탁하게 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한 행정 중에서 소정의 행정만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세탁방법으 로 세탁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탑커버에 리드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된 탑커버와, 상기 탑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여닫는 리드 어셈블리와,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회전을 지지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와 상기 탑커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는, 리드 어셈블리의 회전을 지지하는 샤프트가 상기 리드 어셈블리와 탑커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상기 탑커버에 상기 리드 어셈블리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효과가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W)는 캐비닛(10)과, 캐비닛(10)의 상측에 배치된 탑커버(200)와, 탑커버(200)의 상측 중 전방에 배치된 리드 어셈블리(100)와, 탑커버(200)의 상측 중 후방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세탁물 처리기기(W)를 조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컨트롤 패널(400)을 포함한다.
캐비닛(10)의 내부에는 지지부재(20)를 통해 매달려 있는 외조(30)가 배치되고, 외조(30)의 내부에는 내조(35)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지지부재(20)의 하단에는 내조(35)의 회전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한 외조(30)의 흔들림을 완충하는 댐퍼(25)가 배치되고, 내조(35)의 바닥에는 회전 수류를 형성하기 위한 펄세이터(40)가 배치된다.
또한, 외조(30)의 하측에는 내조(35)와 펄세이터(4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인 모터(50)가 배치된다. 모터(50)는 회전축(55)을 통해 내조(35)에 연결되어 내조(35)를 회전시킬 수 있고, 내조(35)와 펄세이터(40) 사이에는 모터(50)의 회전력을 내조(35)와 펄세이터(40)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는 클러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내조(35)와 펄세이터(40)는 상기 클러치를 통해 내조(35)만 회전하 거나, 펄세이터(40)만 회전하거나, 내조(35)와 펄세이터(40)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탑커버(200)에는 세제가 수용되는 세제박스(60)가 입출 가능하게 배치되고, 외부 수원과 연결되어 세제박스(60)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호스(미도시)와, 급수호스(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급수 밸브(75)가 배치된다. 급수 밸브(75)가 개방되어 외부 수원으로부터 세탁수가 급수되면, 급수된 세탁수는 세제박스(60)로 유입된 후, 내조(35)로 급수된다.
외조(30)에는 세제박스(60)로부터 내조(35)로 급수되는 세탁수가 내조(35)에 형성된 복수개의 수공(36)을 통해 출입하여 담기고, 내조(35)에는 세탁물이 수용된다.
또한, 외조(30)의 하단에는 외조(30) 내의 세탁수를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배수호스(80)와, 배수호스(80)를 통해 유출되는 세탁수를 단속하는 배수 조절 밸브(85)가 배치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탑커버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하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탑커버(200)에는 리드 어셈블리(1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 중 전방이 하측으로 함입되어 리드 어셈블리 안착부(210)가 형성되고, 세제박스(60)가 결합되는 삽입판(미도시)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측 중 후방이 하측으로 함입되어 삽입판 안착부(220)가 형성된다. 또한, 리드 어셈블리 안착 부(210)와 삽입판 안착부(220) 사이에는 컨트롤 패널(400)이 결합되는 컨트롤 패널 결합부(230)가 형성된다.
또한, 탑커버(200)의 전방에는 리드 어셈블리 안착부(210)보다 하측으로 더 함입되어 사용자가 리드 어셈블리(100)를 들어 올릴 때 사용자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 삽입부(214)가 형성된다.
리드 어셈블리 안착부(210)에는 세탁물이 출입하는 세탁물 출입홀(211)이 형성되고, 세탁물 출입홀(211)로부터 전방으로 이격되어 잠금장치 커버 결합홀(215)이 형성되며, 세탁물 출입홀(211)로부터 전방 좌측으로 이격되어 표백제박스 결합홀(216)이 형성되고, 세탁물 출입홀(211)이 형성된 후방 양쪽에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가 형성된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의 상세도, 도 7는 도 6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의 배면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드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의 맞은편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탑커버, 리드 어셈블리,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는 리드 어셈블리 안착부(210)로부터 하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고, 리드 어셈블리(100)의 후방 하측은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 내에 수용될 수 있도록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에는 리드 어셈블리(100)와 걸림되어 리드 어셈블리(100)의 회전각도를 제한할 수 있는 스토퍼(212a)가 배치된다. 따라서, 리드 어셈블리(100)는 스토퍼(212a)에 걸림되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리드 어셈블리(100)가 컨트롤 패널(40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스토퍼(212a)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 둘다에 형성될 수도 있고, 어느 한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는 세탁물 출입홀(211)에 가까워질수록 높이가 낮아지게 형성되어,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에 물이 들어갔을 경우에 그 물은 내조(35)로 흘러 떨어지게 된다.
또한, 탑커버(200)에는 리드 어셈블리(100)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결합부재(700)가 배치된다. 결합부재(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리드 어셈블리(100)와 탑커버(2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재(700)는 리드 어셈블리(100)와 탑커버(200)의 좌측만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또한, 결합부재(700)는 탑커버(200)에 배치되지 않고, 리드 어셈블리(100)에 배치되어 탑커버(200)의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결합부재(700)는 탑커버(200)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이, 탑커버(200)에 배치된 결합부재(7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리드 어셈블리(100)와 탑커버(2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면, 리드 어셈블리(100)를 탑커버(20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결합부재(700)는 탑커버(200)에 배치된 샤프트 브래킷(240)과, 샤프트 브래 킷(240)에 의해 지지되는 샤프트(350a,351b)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결합부재(700)에 대해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의 측면에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이 각각 형성되고,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는 리드 어셈블리(100)가 회전 가능토록 연결된 샤프트(350a,351b)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리드 어셈블리(100)는 샤프트(350a,351b)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고, 샤프트(350a,351b)는 리드 어셈블리(100)가 샤프트(350a,351b)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리드 어셈블리(100)를 지지한다.
샤프트(350a,351b)는 탑커버(200)에 배치되어 리드 어셈블리(100)에 결합될 수도 있고, 리드 어셈블리(100)에 배치되어 탑커버(2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샤프트(350a,351b)는 리드 어셈블리(100)의 우측에 배치되어 탑커버(200)의 우측에 형성된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결합되는 제1 샤프트(350a)와, 탑커버(200)의 좌측에 형성된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배치되어 사용자 조작에 의해 축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됨으로써 리드 어셈블리(100)의 좌측에 형성된 샤프트홀(354)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샤프트(351b)를 포함한다.
리드 어셈블리(100)의 우측에는 제1 힌지부(300a)가 삽입 배치되어 고정되고, 리드 어셈블리(100)의 좌측에는 제2 힌지부(300b)가 삽입 배치되어 고정된다.
제1 힌지부(300a)는 제1 샤프트(350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샤프트(350a)는 탑커버(200)의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회전되지 않도록 삽입된 다. 또한, 제2 힌지부(300b)에는 샤프트홀(354)로 삽입된 제2 샤프트(351b)가 삽입되고, 제2 힌지부(300b)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회전되지 않도록 삽입된 제2 샤프트(351b)를 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리드 어셈블리(100)는 샤프트(350a,351b)를 축으로 회전하여서 세탁물 출입홀(211)을 여닫는다.
제2 힌지부(300b)는 리드 어셈블리(100)가 세탁물 출입홀(211)을 여닫기 위해 회전할 때, 제2 힌지부(300b)에 삽입되는 제2 샤프트(351b)에 의해 내부에 충진된 유체가 압축되어 리드 어셈블리(10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토크를 발생시키는 축댐퍼(300b)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사용자가 리드 어셈블리(100)를 들어올리거나 내릴 때에 반대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토그에 의해 사용자의 작동감이 향상된다.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은 서로 마주보는 상하측면이 제1 직선부(213a) 및 제2 직선부(213b)로 이루어지고, 전후방측면은 제1직선부(213a) 및 제2 직선부(213b)와 연결된 라운딩부(213c,213d)로 이루어진다.
또한, 샤프트(350a,351b)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각각 삽입되어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과 2면에서 접촉되어 회전되지 않도록 걸림된다. 샤프트(350a,351b)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되는 부분이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1 샤프트(350a)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샤프트(350a)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의 제1 직선부(213a) 및 제2 직선부(213b)와 각각 접촉되는 제3 직선부(350c) 및 제4 직선부(350d)와, 제3직선부(350c) 및 제4 직선부(350d)를 연결하는 라운딩부(350e,350f)로 이루어진다. 따 라서, 제1 샤프트(350a)가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되면 제3 직선부(350c)와 제1 직선부(213a)가 서로 접촉되어 걸림되고, 제4 직선부(350d)와 제2 직선부(213b)가 서로 접촉되어 걸림됨으로써, 제1 샤프트(350a)는 회전하지 못한다.
이와같이, 샤프트(350a,351b)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각각 삽입되면 2면에서 걸림되어 회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1면에서 걸림되어 회전하지 못하는 경우에 비해, 리드 어셈블리(100)가 샤프트(350a,351b)를 축으로 회전하여 세탁물 출입홀(211)을 여닫을 때 샤프트(350a,351b)에 전달되는 힘을 2면에서 분산하여서,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의 마모로 인한 샤프트(350a,351b)와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 사이에 유격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리드 어셈블리(100)의 작동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탑커버(200)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50a,351b)의 축방향을 따라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이 탑커버(200)의 외측을 향해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된 샤프트(350a,351b)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는 접촉면(213e)이 형성된다. 따라서, 리드 어셈블리(100)가 샤프트(350a,351b)를 축으로 회전하여 세탁물 출입홀(211)을 여닫을 때 샤프트(350a,351b)에 전달되는 힘을 분산하여서,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의 마모로 인한 샤프트(350a,351b)와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 사이에 유격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리드 어셈블리(100)의 작동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접촉면(213e)은 샤프트(350a,351b)와 면접촉할 수 있도록, 리드 어셈블리 결 합홀(213)의 둘레를 따라 연속되어 형성된다.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샤프트 브래킷의 사시도, 도 12는 도 5의 A부 상세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부쉬의 상세도이다.
도 5,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탑커버(200)의 저면에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각각 삽입된 샤프트(350a,351b)를 지지하는 샤프트 브래킷(240)이 배치된다.
샤프트 브래킷(240)에는 탑커버(200)에 가체결되기 위한 가체결홈(244)이 형성되고, 탑커버(200)에는 가체결홈(244)에 삽입되는 가체결돌기(244')가 형성된다. 따라서, 가체결돌기(244')가 가체결홈(244)에 삽입되도록 샤프트 브래킷(240)을 탑커버(200)에 가체결시킨 후,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샤프트 브래킷(240)을 탑커버(200)에 조립하기 때문에 샤프트 브래킷(240)의 조립이 용이해진다.
샤프트 브래킷(240)은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되는 제1 샤프트(350a)를 1점에서 지지하고,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된 제2 샤프트(351b)를 2점에서 지지한다. 즉, 제2 샤프트(351b)를 지지하는 샤프트 브래킷(240)에는 제2 샤프트(351b)를 2점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제1 지지부(241)와, 제1 지지부(241)와 이격된 제2 지지부(242)가 형성된다. 한편, 제1 샤프트(350a)를 지지하는 샤프트 브래킷(240)에는 제2 샤프트(351b)를 지지하는 샤프트 브래킷(240)에 비해 제2 지지부(242)가 형성되지 아니하고 제1 지지부만(24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샤프트 브래킷(240)은 제1 샤프트(350a)를 지지하는 것과 제2 샤프트(351b)를 지지하는 것이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 2샤프트(351b)를 지 지하는 것만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지지부(241) 및 제2 지지부(242)에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된 제2 샤프트(351b)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홀(243)이 형성된다. 샤프트 지지홀(243)은 제1 지지부(241)에 형성된 것과 제2 지지부(242)에 형성된 것이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제1 지지부(241)에 형성된 것만 도시하였다.
샤프트 지지홀(243)은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된 제2 샤프트(351b)를 지지할 수 있도록,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된 제2 샤프트(351b)는 샤프트 브래킷(240)의 제1 지지부(241)와 제2 지지부(242)에 각각 형성된 샤프트 지지홀(243)에 삽입되어 2점에서 지지되기 때문에, 제2 샤프트(351b)가 리드 어셈블리(100)와 탑커버(200)를 결합 또는 분리시키기 위해 축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될 때 흔들리지 않으므로, 제1 샤프트(350a) 및 제2 샤프트(351b)가 항상 동일 축상에 있게 되어서, 리드 어셈블리(100)의 작동감을 향상 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지지부(241)에는 탑커버(200)의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되는 부쉬(246)가 더 배치된다. 제1 지지부(241)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을 향하는 면 중 샤프트 지지홀(243)이 형성된 부분이 함입되어 부쉬 장착부(249)가 형성된다.
부쉬 장착부(249)에는 샤프트 지지홀(243)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부쉬 지지홀(245)이 각각 형성되고, 부쉬(246)에는 부쉬 지지홀(245)에 삽입되는 부쉬 지 지돌기(247)가 형성된다. 따라서, 부쉬(246)는 부쉬 지지돌기(247)가 부쉬 지지홀(245)에 삽입되어 고정되면 부쉬 장착부(249)에 합입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부쉬(246)가 샤프트 브래킷(240)에 함입되어 배치되게 되면, 리드 어셈블리(100)가 세탁물 출입홀(211)을 여닫을 때 샤프트(350a,351b)에 전달되는 힘에 의해 부쉬(246)가 비틀어지면서 샤프트 브래킷(24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쉬(246)에는 부쉬 지지돌기(247)가 형성된 맞은편에 탑커버(200)의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되는 삽입부(248)가 형성된다. 삽입부(248)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중공체로 이루어져서, 접촉면(213e)과 충분한 면접촉을 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샤프트(350a,351b)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된 부쉬(246)의 삽입부(248)와, 샤프트 브래킷(240)에 형성된 샤프트 지지홀(243)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와 같이, 부쉬(246)의 삽입부(248)부가 탑커버(200)와 샤프트(350a,351b) 사이에 삽입되어 샤프트(350a,351b)의 둘레면을 감싸게 되므로, 리드 어셈블리(100)가 세탁물 출입홀(211)을 여닫을 때 샤프트(350a,351b)에 전달되는 힘에 의해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쉬(246)는 샤프트(350a,351b)에 전달되는 힘을 흡수할 수 있도록 탄성재질(Flexible)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제2 샤프트(351b)를 지지하는 샤프트 브래킷(240) 에는, 제1 지지부(241)와 제2 지지부(242) 사이에 탄성부재(243a)가 더 배치된다. 탄성부재(243a)는 제2 샤프트(351b)에 탄성력을 제공하고, 제2 샤프트(351b)는 탄성부재(243a)에 의해 탄성적으로 위치가 가변된다.
제2 샤프트(351b)는 탄성부재(243a)를 관통하여 슬라이딩 가능토록 배치된다. 따라서, 제2 샤프트(351b)는 제2 지지부(242)에 형성된 샤프트 지지홀(243)과, 탄성부재(243a)와, 제1 지지부(241)에 형성된 샤프트 지지홀(243)과,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된 부쉬(246)를 차례로 관통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로 돌출된다.
즉, 제2 샤프트(351b)는 리드 어셈블리(100) 결합시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로 돌출된 부분이 눌림되어 샤프트 브래킷(240)의 외측으로 이동한 후, 사용자가 놓으면 탄성부재(243a)의 탄성력에 의해 샤프트 브래킷(240)의 내측으로 이동하여 리드 어셈블리(100)에 결합된다. 또한, 제2 샤프트(351b)는 리드 어셈블리(100) 분리시에는 사용자 조작에 의해 샤프트 브래킷(24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리드 어셈블리(100)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제2 샤프트(351b)는 제1 지지부(241)와 제2 지지부(242) 사이의 부분에 탄성부재(243a)가 걸림되는 탄성부재 걸림부(352b)가 형성된다. 탄성부재 걸림부(352b)는 탄성부재(243a)와 샤프트 지지홀(243)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샤프트(351b)의 둘레가 확장되어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다.
이와 같이, 제2 샤프트(351b)가 샤프트 브래킷(240)을 통해 탑커버(200)에 슬라이딩 가능토록 배치되기 때문에, 리드 어셈블리(100)를 탑커버(20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탑커버(200)에 리드 어셈블리(100)를 결합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드 어셈블리(100)의 우측에 배치된 제1 샤프트(350a)를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의 우측에 형성된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끼우면, 제1 샤프트(350a)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 삽입된 부쉬(246)와, 샤프트 브래킷(240)의 제1 지지부(241)에 형성된 샤프트 지지홀(243)을 차례로 관통함으로써, 리드 어셈블리(100)의 우측은 탑커버(200)에 결합된다.
이 후,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로 돌출된 제2 샤프트(351b)를 누르거나, 탑커버(200)의 바닥면에서 제2 샤프트(351b)를 잡아당기면, 제2 샤프트(351b)는 탄성부재(243a)를 압착시키면서 슬라이딩되어 탑커버(200)로 삽입되고, 이후 리드 어셈블리(100)의 좌측을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에 안착시킨 뒤 제2 샤프트(351b)를 놓으면, 제2 샤프트(351b)는 탄성부재(243a)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탑커버(200)로부터 돌출되면서 리드 어셈블리(100)의 좌측에 형성된 샤프트 홀(354)로 삽입됨으로써, 리드 어셈블리(100)의 좌측은 탑커버(200)에 결합된다.
한편, 리드 어셈블리(100)를 탑커버(200)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탑커버(200)의 바닥면에서 제2 샤프트(351b)를 잡아당기면, 제2 샤프트(351b)는 탄성부재(243)를 압착시키면서 슬라이딩되어 리드 어셈블 리(100)의 좌측에 형성된 샤프트 홀(354)을 빠져 나와 탑커버(200)로 삽입된다.
이후, 리드 어셈블리(100)의 좌측을 들어올려서 리드 어셈블리(100)의 좌측을 탑커버(200)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리드 어셈블리(100)의 우측에 배치된 제1 샤프트(350a)를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212)의 우측에 형성된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213)에서 빼면, 리드 어셈블리(100)의 우측도 탑커버(200)로부터 분리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탁물 처리기기(W)는, 리드 어셈블리(100)의 회전을 지지하는 샤프트(여기서는, 도면부호 351b로 예시한 제2 샤프트를 의미함)가, 리드 어셈블리(100)와 탑커버(200)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기 때문에, 리드 어셈블리(100)를 탑커버(200)에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탑커버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면에서 바라본 평면도,
도 5는 도 3의 하면에서 바라본 저면도,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 결합부의 상세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의 배면 형상을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세탁물 처리기기의 리드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리드 어셈블리의 맞은편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탑커버, 리드 어셈블리, 제1 힌지부 및 제2 힌지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5에 도시된 샤프트 브래킷의 사시도,
도 12는 도 5의 A부 상세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부쉬의 상세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리드 어셈블리 200:탑커버
210:리드 어셈블리 안착부 212:리드 어셈블리 결합부
240:샤프트 브래킷 243a:탄성부재
244:가체결홈 244':가체결돌기
245:부쉬 지지홀 246:부쉬
247:부쉬 지지돌기 300b:축댐퍼
350a:제1 샤프트 351b:제2 샤프트
352b:탄성부재 걸림부 700:결합부재

Claims (16)

  1.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된 탑커버;
    상기 탑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여닫는 리드 어셈블리;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회전을 지지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와 상기 탑커버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축방향을 따라 위치가 가변되는 샤프트; 및
    상기 탑커버와 상기 리드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샤프트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브래킷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는
    제3 직선부와,
    상기 제3 직선부와 마주보는 제4 직선부와,
    상기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를 연결하는 라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지지홀은 상기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와 면 접촉되는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 지지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리드 어셈블리에 배치되고,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는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은,
    서로 마주보는 상하측면이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로 이루어지고, 전후방측면은 상기 제1 직선부 및 제2 직선부와 연결된 라운딩부를 이루고,
    상기 샤프트 지지홀은 상기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세탁물 처리기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와 상기 리드 어셈블리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와 상기 샤프트 사이에 삽입되는 부쉬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쉬는,
    상기 샤프트 브래킷에 결합되도록 형성된 부쉬 지지돌기와,
    상기 탑커버와 상기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샤프트에 의해 상기 탑커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는 삽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리드 어셈블리 결합홀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세탁물 처리기기.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쉬는 탄성재질(Flexible)을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브래킷에는 상기 부쉬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함입된 부쉬 장착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브래킷에는 상기 부쉬가 결합되는 부쉬 지지홀이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10.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걸림되는 탄성부재 걸림부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브래킷과 상기 탑커버 중 어느 하나에는 가체결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가체결홈에 삽입되는 가체결돌기가 형성된 세탁물 처리기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드 어셈블리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회전시 압축되는 유체에 의해 상기 리드 어셈블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토크를 발생시키는 축댐퍼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 걸림부는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 사이에 상기 탄성부재가 걸림되도록 형성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4. 세탁물 출입홀이 형성된 탑커버;
    상기 탑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세탁물 출입홀을 여닫는 리드 어셈블리;
    상기 탑커버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리드 어셈블리를 상기 탑커버에 안착한 뒤 상기 탑커버로부터 돌출되어서 상기 리드 어셈블리를 상기 탑커버에 결합하고, 상기 리드 어셈블리를 상기 탑커버로부터 분리시에는 상기 탑커버에 다시 삽입되도록 위치가 가변되는 샤프트; 및
    상기 탑커버에 배치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샤프트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 브래킷은,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제1 지지부와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에는 상기 샤프트를 지지하는 샤프트 지지홀이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는,
    제3 직선부와,
    상기 제3 직선부와 마주보는 제4 직선부와,
    상기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를 연결하는 라운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샤프트 지지홀은 상기 제3 직선부 및 제4 직선부와 면 접촉되는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샤프트 지지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탄성적으로 위치가 가변되는 세탁물 처리기기.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에 의해 상기 탑커버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탑커버와 상기 샤프트 사이에 구비되는 부쉬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90099404A 2009-07-31 2009-10-19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161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71059 2009-07-31
KR1020090071059 2009-07-31
KR20090071057 2009-07-31
KR1020090071057 2009-07-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132A KR20110013132A (ko) 2011-02-09
KR101716167B1 true KR101716167B1 (ko) 2017-03-27

Family

ID=4377295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405A KR101640406B1 (ko) 2009-07-31 2009-10-19 세탁물 처리기기
KR1020090099404A KR101716167B1 (ko) 2009-07-31 2009-10-19 세탁물 처리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9405A KR101640406B1 (ko) 2009-07-31 2009-10-19 세탁물 처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6404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791B1 (ko) * 2011-02-18 2019-11-07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WO2017152943A1 (en) * 2016-03-08 2017-09-14 Arcelik Anonim Sirketi Locking claw assembly for laundry drying or washing-drying machine do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373B1 (ko) * 2008-12-10 2009-03-13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7624U (ko) * 1997-07-31 1999-02-25 배순훈 세탁기의 도어힌지 고정구조
KR100440052B1 (ko) * 2002-04-02 2004-07-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대형차량의 가이드암 보호장치
KR100924589B1 (ko) * 2002-11-28 2009-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 후크 어셈블리
WO2007094523A1 (en) * 2006-02-15 2007-08-23 Lg Electronics Inc. Door supporting device for refrigerator
KR100832648B1 (ko) * 2007-06-04 2008-05-27 삼성전기주식회사 드럼세탁기 도어용 힌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8373B1 (ko) * 2008-12-10 2009-03-13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3132A (ko) 2011-02-09
KR20110013133A (ko) 2011-02-09
KR101640406B1 (ko) 201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037214A1 (en) Washing machine
KR102627713B1 (ko) 세탁기
CN107771229B (zh) 洗衣机
KR102597821B1 (ko) 의류처리장치
US9611582B2 (en) Clutch assembly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CN108368663B (zh) 洗衣机
EP3339488B1 (en) Washing machine
CN110857512B (zh) 用于处理衣物的设备
EP3505673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34732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20170082109A (ko) 세제 투입 도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
KR20150055512A (ko) 세탁기
KR10171616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CN108291350A (zh) 洗衣机和家用电器
KR101631440B1 (ko) 세탁물 처리기기
US9644309B2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1602669B1 (ko) 세탁물 처리기기
CN107385763B (zh) 洗衣机
KR20080064763A (ko) 드럼세탁기
KR20070002285A (ko) 드럼 세탁기
KR101661977B1 (ko) 세탁물 처리기기
KR101962132B1 (ko) 세탁장치
KR101586539B1 (ko) 세탁기의 구동부 구조
KR20180120472A (ko) 세탁물 처리기기
JP7460618B2 (ja) ダンピング構造及び衣類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