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8373B1 -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8373B1
KR100888373B1 KR1020080125245A KR20080125245A KR100888373B1 KR 100888373 B1 KR100888373 B1 KR 100888373B1 KR 1020080125245 A KR1020080125245 A KR 1020080125245A KR 20080125245 A KR20080125245 A KR 20080125245A KR 100888373 B1 KR100888373 B1 KR 100888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dial shaft
furniture door
tension
fluid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철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정밀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5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8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8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8373B1/ko
Priority to PCT/KR2009/003072 priority patent/WO2010067932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05F5/10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with piston 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6Buffers or stops limiting opening of swinging wings, e.g. floor or wall 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20Adjustable with specific transmission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장착되어 상기 가구도어의 닫힘충격력을 흡수하는 댐퍼브래킷에 관한 것으로;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볼트결합되는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에 결합되면서 유체댐퍼(35)를 수용하는 댐퍼하우징(20) 및, 상기 유체댐퍼(35)에 의해 왕복이동하고 상기 가구도어에 접촉하는 접촉부재(30)로 이루어진 가구도어용 완충장치로서, 상기 댐퍼하우징(20)의 내부공간에 장착되면서 그 내주면에 나선홈(55)이 형성된 다이얼축(50) 및, 상기 다이얼축(50)의 나선홈(55)에 결합되어 나사식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접촉부재(30)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유체댐퍼(35)를 수용한 이동체(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부측에 장력조절수단의 회전기구가 구성되므로 상기 유체댐퍼의 장력조절에 따른 편리성 및 정밀도가 형상되고, 상기 장력조절수단이 외부하중에 의해 유동하지 않으므로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상기 장력조절수단이 육안으로 확인되므로 장력조절작업의 편리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고정브래킷, 댐퍼하우징, 유체댐퍼, 다이얼축, 이동체

Description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Device for absorbing the door impact having tension adjusting mean}
본 발명은 가구도어의 닫힘충격력을 흡수하는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완충장치의 장력조절에 따른 정밀도를 향상하고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한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이하 고정브래킷이라 함)는 싱크대나 옷장 등과 같은 가구도어가 개폐되는 지점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브래킷의 수용공간에는 상기 도어의 닫힘과정에서 발생하는 외부하중을 흡수함은 물론 개폐소음을 완충하기 위한 수단으로 유체댐퍼가 장착된다.
예컨대, 도 1에서와 같이, 본원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고정브래킷"(등록번호: 10-731336호)은,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장착되는 고정판(10)과, 고정판(10)에 결합되는 댐퍼하우징(20) 및, 댐퍼하우징(20)에 슬라이딩식으로 결합됨은 물론 유체댐퍼(35)를 수용하는 접촉부재(30)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고정브래킷(1)을 설치하면, 상기 접촉부재(30)에 가해지는 상기 가구도어의 닫힘하중이, 상기 접촉부재(30)의 후진과정에서 상기 유체댐퍼(35)의 완충력에 의해 흡수되므로, 상기 가구도어의 닫힘하중으로 인한 충격력이나 개폐소음이 흡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고정브래킷(1)의 개량발명으로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댐퍼하우징(20)의 후방측에 장력볼트(40)를 체결하면, 상기 장력볼트(4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상기 댐퍼하우징(20)에 수용된 접촉부재(30)가 전/후진하여 도 1과 같은 유체댐퍼(35)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
그런데, 도 2의 고정브래킷(1)은, 상기 댐퍼하우징(20)의 후방측에 단지 장력볼트(40)가 체결된 상태로서, 상기 장력볼트(40)의 공회전을 방지할만한 마땅한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서, 상기 고정브래킷(1)에 외부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서서히 풀려지면서 헐거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브래킷(1)은, 상기 댐퍼하우징(20)의 후방측에 상기 장력볼트(40)가 위치하는 구조로서, 상기 장력볼트(40)의 조절과정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므로, 상기 장력볼트(30)의 회전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장력조절에 따른 정밀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정브래킷(1)은, 상기 유체댐퍼(35)의 장력조절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인하여 상기 장력볼트(40)가 풀려져 바닥으로 낙하하는 경우 찾기가 어려워 분실의 염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으로서, 댐퍼브래킷에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하여 유체댐퍼의 장력조절에 따른 정밀도를 절감시킴은 물론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한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볼트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에 결합되면서 그 내부에 가구도어완충용 유체댐퍼를 수용하는 댐퍼하우징 및, 상기 유체댐퍼에 의해 왕복이동함은 물론 상기 가구도어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재로 이루어진 가구도어용 완충장치로서,
상기 댐퍼하우징의 내부공간에 폭방향을 따라 장착되면서 그 내주면에 나선홈이 형성된 다이얼축 및, 상기 다이얼축의 나선홈에 결합되어 나사식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접촉부재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유체댐퍼를 수용한 이동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이얼축의 정역회전과정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상기 이동체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댐퍼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기 고정브래킷의 상부측에 장력조절수단의 회전기구가 구성되므로, 상기 유체댐퍼의 장력조절에 따른 편리성 및 정밀도가 향상된다.
둘째, 상기 고정브래킷에 구성된 장력조절수단이 외부하중에 의해 유동하지 않으므로 분실염려가 없음은 물론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셋째, 상기 고정브래킷에 구성된 장력조절수단이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되므로 상기 유체댐퍼의 장력조절에 따른 편리성이 향상된다.
넷째, 상기 고정브래킷의 내부공간에 외부조절이 가능한 장력조절수단이 내장되므로 상기 고정브래킷의 부피가 줄어들고 소형화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래킷의 사시도와 분해사시도 및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볼트결합되는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에 결합되면서 그 내부에 가구도어완충용 유체댐퍼(35)를 수용하는 댐퍼하우징(20) 및, 상기 유체댐퍼(35)에 의해 왕복이동함은 물론 상기 가구도어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재(30)로 이루어진 가구도어완충장치로서, 상기 댐퍼하우징(20)의 내부공간에 폭방향을 따라 장착되면서 그 내주면에 나선홈(55)이 형성된 다이얼축(50) 및, 상기 다이얼축(50)의 나선홈(55)에 결합되어 나사식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접촉부재(30)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유체댐퍼(35)를 수용한 이동체(6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래킷(1)은 고정판(10)과 댐퍼하우징(20)과 접촉부재(30)와 다이얼축(50)과 이동체(60)가 결합되어 구성되며, 특히 상기 다이얼축(5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상기 이동체(60)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댐퍼(35)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고정판(10)은, 가구의 내벽면 즉,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보울트를 통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몸체의 양측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걸림돌기(15)가 형성되면서, 그 몸체의 중심부에 상기 가구에 체결되는 보울트를 끼우는 다수개의 볼트공(14)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판(10)의 두께는 가구의 외관미를 고려하여 가능한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그 소재로는 철구조물이나 경화플라스틱 등과 같이 외부하중에 의해 견딜정도의 경질소재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댐퍼하우징(20)은, 상기 고정판(10)의 상면에 원터치식으로 결합 또는 분해되는 것으로서, 그 내부에 상기 다이얼축(50)과 이동체(60) 및 상기 유체댐퍼(35)를 수용하는 공간부(21)가 형성된다.
또한, 댐퍼하우징(20)은, 그 천정면의 폭방향에 상기 다이얼축(50)이 끼워지는 한 쌍의 고정돌기(22)가 나란히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21)의 내벽면 양측에 상기 걸림돌기(15)가 걸려 고정되는 끼움돌기(23)가 형성된다.
또한, 댐퍼하우징(20)은, 그 상면에 상기 다이얼축(50)의 둘레면 일부가 돌출되어 상기 다이얼축(50)을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놓여지는 개방공(25)이 형성된다.
그리고, 다이얼축(50)은, 상기 고정돌기(22)의 사이에 끼워지면서 상기 공간부(21)에 폭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으로, 그 둘레면에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돌기(51)가 형성되며, 그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규칙적으로 나선홈(55)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동체(60)는, 상기 다이얼축(5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과정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는 것으로서, 그 둘레면에 상기 다이얼축(50)의 나선홈(55)에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또다른 나선홈(61)이 형성되며, 그 선단부에 상기 유체댐퍼(35)를 수용하는 공간부(65)가 형성된다.
그리고, 유체댐퍼(35)는, 상기 가구도어의 개폐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력을 완충하는 것으로서, 피스톤에 의해 외부하중을 흡수하는 모든 댐퍼가 본원의 기술범주에 포함되며, 특히 그 일단부가 상기 이동체(60)의 공간부(65)에 수용되어 상기 다이얼축(50)의 회전과정에서 압축 또는 리턴된다.
그리고, 접촉부재(30)는, 상기 댐퍼하우징(20)에 워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왕복이동하는 것으로서, 상기 유체댐퍼(35)의 선단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가구도어와 직접 접촉한다.
따라서, 유체댐퍼(35)는 그 일단부가 이동체(60)의 공간부(65)에 끼워지면서 그 타단부에 접촉부재(30)가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래킷(1)의 설치구조는 공지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브래킷(1)의 사용과정에서 유체댐퍼(35)의 장력을 조절하려는 경우, 일단 댐퍼하우징(20)의 개방공(25)을 따라 돌출된 다이얼축(50)을 손가락을 눌러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상기 다이얼축(5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다이얼축(50)의 중심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되어 있던 상기 이동체(60)가 역회전하면서 전진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이동체(60)의 전진과정에서 상기 유체댐퍼(35)의 피스톤이 압축되어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한편, 댐퍼하우징(20)의 상부측에 돌출된 다이얼축(50)을 손가락으로 눌러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다이얼축(50)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상기 이동체(60)가 역회전하면서 후진하는 것이다.
이에 의해, 상기 이동체(60)의 후진과정에서 상기 유체댐퍼(35)의 피스톤이 리턴하므로 장력이 조절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실시예,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도 1의 응용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래킷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브래킷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고정브래킷 10 : 고정판
20 : 댐퍼하우징 21 : 공간부
25 : 개방공 30 : 접촉부재
35 : 유체댐퍼 40 : 장력볼트
50 : 다이얼축 55,61 : 나선홈
60 : 이동체 65 : 공간부

Claims (2)

  1. 가구도어의 닫힘경로에 볼트결합되는 고정판(10)과, 상기 고정판(10)에 결합되면서 그 내부에 가구도어완충용 유체댐퍼(35)를 수용하는 댐퍼하우징(20) 및, 상기 유체댐퍼(35)에 의해 왕복이동함은 물론 상기 가구도어에 직접 접촉하는 접촉부재(30)로 이루어진 가구도어용 완충장치로서,
    상기 댐퍼하우징(20)의 내부공간에 폭방향을 따라 장착되면서 그 내주면에 나선홈(55)이 형성된 다이얼축(50) 및, 상기 다이얼축(50)의 나선홈(55)에 결합되어 나사식으로 왕복이동하면서 상기 접촉부재(30)와의 사이공간에 상기 유체댐퍼(35)를 수용한 이동체(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다이얼축(50)의 정역회전과정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는 상기 이동체(60)를 이용하여 상기 유체댐퍼(35)의 장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하우징(20)은,
    그 상면에 상기 다이얼축(50)의 둘레면 일부가 돌출되어 회전과정에서 이용하는 개방공(2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
KR1020080125245A 2008-12-10 2008-12-10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 KR100888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45A KR100888373B1 (ko) 2008-12-10 2008-12-10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
PCT/KR2009/003072 WO2010067932A1 (en) 2008-12-10 2009-06-09 Buffer device having built-in tension adjustment means for furniture do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45A KR100888373B1 (ko) 2008-12-10 2008-12-10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8373B1 true KR100888373B1 (ko) 2009-03-13

Family

ID=40698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245A KR100888373B1 (ko) 2008-12-10 2008-12-10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888373B1 (ko)
WO (1) WO201006793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132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937252B (zh) * 2018-07-16 2023-09-29 广东星徽精密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缓冲闭合抽屉滑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687A (en) * 1987-09-16 1989-05-23 Tong Lung Metal Industry Co., Ltd. Door closer with a concealed mounting
KR100466957B1 (ko) 2004-06-04 2005-01-24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온열치료기용 장력조절 어셈블리
JP2006104680A (ja) * 2004-09-30 2006-04-20 Shimodaira:Kk ダンパホル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31687A (en) * 1987-09-16 1989-05-23 Tong Lung Metal Industry Co., Ltd. Door closer with a concealed mounting
KR100466957B1 (ko) 2004-06-04 2005-01-24 주식회사 세라젬의료기 온열치료기용 장력조절 어셈블리
JP2006104680A (ja) * 2004-09-30 2006-04-20 Shimodaira:Kk ダンパホル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13132A (ko) * 2009-07-31 2011-02-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KR101716167B1 (ko) * 2009-07-31 201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처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67932A1 (en)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3543B2 (ja) 減衰要素
US9125546B2 (en) Domestic appliance
RU2437996C2 (ru) Мебельная петля
JP7174725B2 (ja) ヒンジ及びヒンジを開閉する方法
KR20130097774A (ko) 도어 클로저, 특히 유리 도어용 도어 클로저
CN110080643B (zh) 铰链及具有该铰链的家居装置
US9879462B2 (en) Hinge assemblies
GB0701263D0 (en) Door closer
KR100888373B1 (ko) 장력조절수단을 내장한 가구도어용 완충장치
KR101268957B1 (ko) 댐핑 장치
KR200437900Y1 (ko) 가구도어 충격 흡수 구조
KR20080101050A (ko) 가구용 댐핑 힌지
US20220018174A1 (en) Furniture hinge for upward-opening cabinet doors
JP3129172U (ja) 蝶番の緩衝装置
KR101290252B1 (ko) 자체 압력조절기능을 갖는 가구힌지용 내장댐퍼
JP7111750B2 (ja) ヒンジ
KR200271109Y1 (ko) 가구용 댐퍼
CA3118384A1 (en) Shower door sliding mechanism for soft positioning
CA3027768C (en) Apparatus for minimizing closing force of a door
KR200233054Y1 (ko) 도어용 완충기
ES2430321T3 (es) Dispositivo de apertura de puertas
KR200435106Y1 (ko) 도어용 충격 완화장치
KR101267339B1 (ko) 세탁기 도어의 힌지장치
JP5336719B2 (ja) 緩衝装置
TW200821446A (en) Hinge buf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