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9256A -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 Google Patents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9256A
KR20160069256A KR1020140174999A KR20140174999A KR20160069256A KR 20160069256 A KR20160069256 A KR 20160069256A KR 1020140174999 A KR1020140174999 A KR 1020140174999A KR 20140174999 A KR20140174999 A KR 20140174999A KR 20160069256 A KR20160069256 A KR 201600692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supply
supply tank
stea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4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면식
Original Assignee
오면식
수공아이엔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면식, 수공아이엔씨(주) filed Critical 오면식
Priority to KR1020140174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69256A/ko
Publication of KR20160069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2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2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electrical he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8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 F24F6/1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heated wet elements heated electr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가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임시저장하며, 일측이 용수공급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용수공급조로부터 공급된 용수가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하며, 낙하하는 용수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커버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팀발생부의 외면에 용수를 공급하여 용수가 스팀발생부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하고, 낙하하는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다량의 스팀을 발생함에 따라 넓은 공간의 작업현장에서도 효율적인 습도조절성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Humidifier having improved steam generation efficiendy for industry}
본 발명은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짧은 시간내에 다량의 스팀을 발생함으로써 넓은 공간의 작업현장에서도 효율적인 습도조절성능을 가질 수 있는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공기 중에 포함된 습도를 조절하기 위해 물분자의 내부에너지를 증가시켜 수증기를 발생함으로써 습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서, 주택 또는 사무실과 같이 주거 및 생활에 필요한 습도유지를 위한 소형가정용과, 정전기에 예민한 물품, 즉 습도에 민감한 생산품목을 생산하는 산업현장의 습도유지를 위한 대형산업용으로 대분될 수 있다.
이 중 산업현장에 적용되는 산업용 가습기는 생산물품의 수율향상을 위해 광범위한 작업공간의 습도를 단시간 내에 조절해야 함으로써 다량의 연무발생성능과 신속한 연무발생성능이 주된 성능으로서 요구된다.
도1은 종래의 산업용 가습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산업용 가습장치(P)는 일측이 외부로부터 용수가 공급되는 용수유입라인(L)과 연결되고 내부에 공급된 용수을 저장하는 용수저장탱크(T)와, 용수저장탱크(T)의 내부에 설치되어 용수저장탱크(T)에 저장된 용수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히터(H)와, 용수저장탱크(T)에 저장된 적정수위를 제어하기 위한 수위센서(S)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산업용 가습장치(P)는 용수유입라인L)을 통해 외부로부터 용수저장탱크(T) 내부로 미리 설정된 양의 용수가 공급됨에 따라 용수저장탱크(T) 내에 일정량의 용수가 저장된 상태에서 히터(H)가 구동되고, 히터에 의해 용수저장탱크 (T)내에 수용된 용수가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며, 발생된 스팀이 작업공간에 공급됨으로써 작업현장의 습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산업용 가습장치(P)는 용수저장탱크(T) 내에 저장된 용수를 기화점까지 가열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기화점에 도달하였다 하더라도 저장된 용수의 량에 따라 많은 양의 연무를 발생하는데까지 시간이 추가적으로 소요되면서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다량의 연무발생성능과 신속한 연무발생성능에 부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산업용 가습장치(P)는 용수저장탱크에 수용된 용수의 양이 미리 설정된 수위 미만인 경우 외부로부터 낮은 온도의 용수가 보충됨에 따라 이를 다시 기화점까지 상승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면서 스팀발생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0385271호 "산업용 가습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짧은 시간내에 다량의 스팀을 발생함으로써 넓은 공간의 작업현장에서도 효율적인 습도조절성능을 가질 수 있는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팀발생부를 통과하는 용수를 스팀을 발생하기 위한 공급용수로서 재활용하여 스팀발생부에 공급되는 용수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스팀발생시간 및 스팀발생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가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임시저장하며, 일측이 용수공급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용수공급조로부터 공급된 용수가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하며, 낙하하는 용수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하는 스팀발생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커버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여기서, 상기 스팀발생부는 내열처리된 유리섬유실로 직조한 유리섬유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내부 일측에 용수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용수유입라인이 연결되어 상기 용수유입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수가 상기 용수저장공간 내에 일정시간 저장되는 용수보급탱크 및 일측이 상기 용수보급탱크와, 상기 공급조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용수보급탱크에 수용된 용수를 상기 공급조로 압송하는 압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수보급탱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용수보급탱크 내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부 및 상기 용수유입라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용수보급탱크로 공급되는 용수의 공급로를 개폐하면서 상기 용수보급탱크로 공급되는 용수의 양을 단속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수위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용수의 공급로를 개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의 일측 중 상기 스팀발생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발생부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한 용수이 저장되는 저수조 및 양측단부가 상기 저수조와, 상기 용수보급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용수이 상기 용수보급탱크로 유입되도록 유입로를 제공하는 연결호스를 포함하되, 상기 저수조는 저면이 상기 연결호스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용수공급조는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수이 일정시간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보조가습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스팀발생부의 외면에 용수를 공급하여 용수가 스팀발생부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하도록 하고, 낙하하는 용수를 가열하여 스팀이 발생되도록 함으로써 단시간 내에 다량의 스팀을 발생함에 따라 넓은 공간의 작업현장에서도 효율적인 습도조절성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팀발생부를 통과하는 용수를 스팀을 발생하기 위한 공급용수로서 재활용하여 스팀발생부에 공급되는 용수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스팀발생시간 및 스팀발생량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산업용 가습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의 평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의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수보급탱크로 외부의 용수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수보급탱크에 저장된 용수가 저수조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로부터 스팀발생부로 용수를 공급하여 스팀이 발생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로 용수가 낙하되어 용수보급탱크로 회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의 평단면도이며,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2 내지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1)는 하우징(10)과, 용수공급조(20)와, 스팀발생부(30)와, 가열수단(40)과, 용수보급탱크(50)와, 압송수단(60)과, 수위검출부(70)와, 개폐밸브(80)와, 저수조(90) 및 연결호스(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우징(10)은 대략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에 가습공(11b)이 형성된 본체(11)와, 본체(11)의 일측 중 가습공(11b)이 형성된 일측으로부터 외측 상방으로 연장형성되는 스팀공급관(12)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팀이 발생되는 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본체(11)는 내부에 설치공간(11a)이 형성되고, 측면 일측에 가습공(11b)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스팀발생부(30)에 의해 내부에서 발생된 스팀이 가습공(11b)으로 배출되어 스팀공급관(12)을 따라 스팀공급공간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스팀공급관(1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습공(11b)이 형성된 본체(11)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습공(11b)으로 배출되는 스팀의 공급방향을 상방으로 안내하여 배출되는 스팀의 온도로 인해 스팀공급공간, 즉 작업현장에서 작업중인 작업자가 피해를 입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용수공급조(20)는 대략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후술하는 압송수단(60)에 의해 용수보급탱크(50)로부터 유입되는 용수가 일정시간 저장되는 임시저장공간(21)이 형성되며, 하부 일측에 복수개의 용수공급공(22)이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본체(11) 내부에 설치되는 스팀발생부(30)의 외면에 용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용수공급조(20)는 상면 일측에 보조가습공(23)이 형성되어 후술하는 스팀발생부(30)의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내부에 저장된 용수가 동반하여 가열되어 발생된 스팀이 보조가습공(23)을 통해 스팀공급공간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팀발생량이 보다 증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팀발생부(30)는 하우징(10)의 내부에 후술하는 가열수단(40)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외면이 하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용수공급조(20)로부터 공급된 용수가 하방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낙하영역을 제공하며, 후술하는 가열수단(40)에 의해 낙하영역을 따라 이동되는 용수가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스팀발생부(30)는 내열성이 높은 포직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특수내열처리된 유리섬유실로 직조한 유리섬유직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스팀발생부(30)는 유리섬유직물이 사용되어 가열수단(40)에 의한 열적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직물의 공극에 의해 낙하하는 용수의 이동시간이 증대되도록 함으로써 스팀발생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가열수단(40)은 하우징(10)의 내부 중 스팀발생부(30)의 내측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열을 발생하여 스팀발생부(30)를 가열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열수단(40)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게는 상용적으로 공급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공지된 것임이 자명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구성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용수보급탱크(50)는 내부에 용수저장공간(51)이 형성된 통체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용수가 저장되는 용수저장공간(51)이 형성되며, 일측에 용수유입라인(52)이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용수가 유입되면서 스팀발생부(30)로 용수를 공급하기 전에 이를 일정시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압송수단(60)은 일측이 용수보급탱크(50)와 연결되고 타측이 용수공급조(20)와 연결되어 용수보급탱크(50)에 저장된 용수를 미리 설정된 양만큼 용수공급조(20)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수위검출부(70)는 용수보급탱크(50)의 일측에 설치되고, 용수보급탱크(50)의 내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게 제어할 수 있도록 용수보급탱크(50) 내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역할을 한다.
개폐밸브(80)는 용수유입라인(52) 일측에 설치되고, 수위검출부(70)로부터 검출되는 용수보급탱크(50)의 수위에 따라 외부로부터 용수보급탱크(50)로 이동되는 용수의 유입로를 개폐함으로써 용수보급탱크(50)로 유입되는 용수의 양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수위검출부(70) 및 개폐밸브(80)를 통해 용수보급탱크(50) 내의 용수 수위가 미리 설정된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는 이유는 수위감지센서 및 개폐밸브(80)를 통해 스팀발생부(30)로부터 회수된 용수와 열교환하는 외부의 용수 용량, 즉 용수보급탱크(50)로 유입된 용수의 용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스팀발생부(30)로부터 회수된 용수와, 용수보급탱크(50)로 유입된 용수의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향상된 스팀발생효율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저수조(90)는 상면에 개방되고, 내부 하면이 용수보급탱크(5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하우징(10)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어 스팀발생부(30)로부터 낙하한 용수가 용수보급탱크(50)로 회수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호스(100)는 양측단부가 각각 저수보의 일측과 용수보급탱크(50)의 일측에 연결되어 저수조(90)로부터 용수보급탱크(50)로 회수되는 용수의 회수로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데, 이러한 연결호스(100)는 일반적인 호스가 사용될 수 있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수보급탱크로 외부의 용수가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수보급탱크에 저장된 용수가 저수조로 유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로부터 스팀발생부로 용수를 공급하여 스팀이 발생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수조로 용수가 낙하되어 용수보급탱크로 회수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4 내지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된 용수보급탱크(50)의 수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수위 미만인 경우 검출신호가 발생되고, 검출신호에 의해 개폐밸브(80)가 용수유입라인(52)의 이동로를 개방함으로써 용수보급탱크(50) 내에 용수가 유입되도록 한다.
다음, 압송수단(60)이 구동되어 용수보급탱크(50) 내에 수용된 용수를 용수공급조(20)로 압송하고, 용수공급조(20)로 압송된 용수는 용수공급조(2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용수공급공(22)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다.
용수공급공(22)을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용수는 하우징(10) 내부에 설치된 스팀발생부(30)의 외면으로 공급되고, 스팀발생부(30)의 외면, 즉 낙하영역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하는 용수가 가열수단(40)에 의해 가열됨에 따라 스팀이 발생된다.
이때, 스팀발생부(30)의 외면으로 공급된 용수는 용수공급공(22)으로부터 스팀발생부(30)의 외면을 공급되는 과정에서 스팀발생부(30) 외면에 충돌하여 분산될 뿐 아니라 표면적 대비 적은 량의 용수가 스팀발생부(30)의 외면을 따라 낙하하면서 스팀의 발생시간이 매우 짧을 뿐 아니라 스팀발생량이 크게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다음, 스팀발생부(30)를 따라 낙하하는 용수 중 증발하지 않은 용수는 스팀발생부(30)의 하방으로 낙하하여 저수조(90)로 이동되고, 저수조(90)의 경사진 하면을 따라 용수보급탱크(50) 방향으로 이동되며, 연결호스(100)에 의해 용수보급탱크(50)로 회수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팀발생부(30)에 의해 가열되어 저장조로 낙하한 용수를 용수보급탱크(50)로 회수하여 용수보급탱크(50)에 저장된 용수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외부의 용수, 즉 용수보급탱크(50) 내에 유입되는 용수와, 스팀발생부(30)로부터 회수된 용수가 상호 열교환되도록 하여 스팀발생부(30)로 공급될 용수의 온도가 상승하도록 함으로써 스팀발생부(30)에 의한 용수의 증발시간이 보다 짧아지도록 하여 스팀발생시간이 보다 단축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스팀발생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위감지센서 및 개폐밸브(80)를 통해 회수된 용수와 열교환하는 외부의 용수 용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열교환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여 향상된 스팀발생효율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스팀발생부(30)가 가열되면서 스팀발생부(30) 상부에 위치한 용수공급조(20)가 동반하여 가열되는데, 용수공급조(20)가 가열됨에 따라 용수공급조(20)로 유입된 용수 또한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며, 용수공급조(20) 내에서 발생된 스팀이 보조가습공(23)을 통해 스팀공급공간으로 공급됨으로써 스팀발생효율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산업용 가습기 10 : 하우징
11 : 본체 11a : 설치공간
11b : 가습공 12 : 스팀공급관
20 : 용수공급조 21 : 임시저장공간
22 : 용수공급공 23 : 보조가습공
30 : 스팀발생부 40 : 가열수단
50 : 용수보급탱크 51 : 용수저장공간
52 : 용수유입라인 60 : 압송수단
70 : 수위검출부 80 : 개폐밸브
90 : 저수조 100 : 연결호스

Claims (6)

  1.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가습공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수를 임시저장하며, 일측이 용수공급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측방향으로 용수를 공급하는 용수공급조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발열하는 히터부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 일측 중 상기 히터부의 외측에 설치되고, 상기 용수공급조로부터 공급된 용수가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하는 낙하영역을 제공하여 상기 낙하영역으로 낙하하는 용수가 상기 히터부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발생되도록 하는 스팀발생부;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가열커버부를 가열하는 가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팀발생부는 내열처리된 유리섬유실로 직조한 유리섬유직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내부 일측에 용수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용수유입라인이 연결되어 상기 용수유입라인을 통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수가 상기 용수저장공간 내에 일정시간 저장되는 용수보급탱크; 및
    일측이 상기 용수보급탱크와, 상기 공급조 일측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용수보급탱크에 수용된 용수를 상기 공급조로 압송하는 압송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보급탱크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용수보급탱크 내에 수용된 용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검출부; 및
    상기 용수유입라인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로부터 상기 용수보급탱크로 공급되는 용수의 공급로를 개폐하면서 상기 용수보급탱크로 공급되는 용수의 양을 단속하는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수위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수위가 미리 설정된 수위 미만인 경우 상기 용수의 공급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일측 중 상기 스팀발생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발생부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낙하한 용수이 저장되는 저수조; 및
    양측단부가 상기 저수조와, 상기 용수보급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용수이 상기 용수보급탱크로 유입되도록 유입로를 제공하는 연결호스를 포함하되,
    상기 저수조는 저면이 상기 연결호스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수공급조는 내부에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용수이 일정시간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보조가습공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KR1020140174999A 2014-12-08 2014-12-08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KR201600692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99A KR20160069256A (ko) 2014-12-08 2014-12-08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4999A KR20160069256A (ko) 2014-12-08 2014-12-08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256A true KR20160069256A (ko) 2016-06-16

Family

ID=56354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4999A KR20160069256A (ko) 2014-12-08 2014-12-08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6925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16A (ko) * 2017-04-25 2018-11-02 하이에어코리아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용 전기히터식 가습기
KR102185450B1 (ko) * 2020-05-01 2020-12-01 주식회사 세광테크 가습기 유닛
KR102430997B1 (ko) * 2021-12-10 2022-08-11 주식회사 한은팩 정전기로 인한 화재의 예방이 가능한 필름 인쇄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271B1 (ko) 2000-01-31 2003-05-27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5271B1 (ko) 2000-01-31 2003-05-27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식기 세척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216A (ko) * 2017-04-25 2018-11-02 하이에어코리아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용 전기히터식 가습기
KR102185450B1 (ko) * 2020-05-01 2020-12-01 주식회사 세광테크 가습기 유닛
KR102430997B1 (ko) * 2021-12-10 2022-08-11 주식회사 한은팩 정전기로 인한 화재의 예방이 가능한 필름 인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69256A (ko) 스팀발생효율이 향상된 산업용 가습장치
CN104975447B (zh) 一种纺织物清洗烘干一体式处理装置
KR20090072142A (ko) 순환식 수막보온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202051511U (zh) 一种蒸作设备
CN104525282A (zh) 一种新型恒温恒湿试验箱
CN205272437U (zh) 水冷式冰水机
KR20170137677A (ko) 지열수에 의한 비닐하우스의 설치방법 및 시스템
CN102537925A (zh) 一种自带蒸汽加热的蒸汽发生设备
KR101165351B1 (ko) 해수 가열장치
CN106308476A (zh) 一种具有快速升温和保持恒温功能的食物蒸箱
CN105180522B (zh) 蒸发冷凝器
KR101797384B1 (ko) 연속 가동이 가능한 스팀보일러
CN105240816A (zh) 带有水位控制器的加热系统
JP2006349272A (ja) 木材乾燥室内の湿球温度の調整方法および調整装置
JP6697117B1 (ja) 水蒸気の滴下防止を制御する製紙用乾燥機
JP2012189305A (ja) 高効率暖房機
CN102718273B (zh) 一种含油废水蒸发浓缩设备及其浓缩方法
CN207471520U (zh) 一种热量储备装置
CN207162508U (zh) 一种自动水路循环装置
KR20180119216A (ko) 원자력 발전소용 전기히터식 가습기
JP6208113B2 (ja) 空調装置
CN105297193A (zh) 一种纺织用的具有蒸汽回收功能的蒸汽加湿器
CN105274659A (zh) 一种纺织用的蒸汽加湿器
KR101753482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건 습열 난방장치
CN209399337U (zh) 一种新型节能蒸汽发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457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806

Effective date: 2016101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601 Decision to reject again after remand of revo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2085;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28

Effective date: 201708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