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3327B1 - 화상 처리 장치, 복사장치,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장치,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복사장치,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장치,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3327B1
KR100383327B1 KR10-2000-0055655A KR20000055655A KR100383327B1 KR 100383327 B1 KR100383327 B1 KR 100383327B1 KR 20000055655 A KR20000055655 A KR 20000055655A KR 100383327 B1 KR100383327 B1 KR 100383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storage device
value
amoun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50577A (ko
Inventor
다나카토모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10050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3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33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0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 G03B35/12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recording involving recording of different viewpoint images in different colours on a colour fil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44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with asynchronous operation of the image input and output devices connected to the memo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459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for changing the arrangement of the stored data
    • H04N1/32464Changing the arrangement of pages or documents, e.g. for producing pages to be b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8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2201/3287Storage of at least one complete document page or image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8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2201/3288Storage of two or more complete document pages or image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85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2201/3298Checking or indicating the storage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oring Facsimile Image Data (AREA)
  • Image Input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화상 데이터의 가공, 편집 처리 기능을
유지하며, 동시에 반도체 메모리를 소형화한다.
화상 메모리(603)와 하드 디스크(HD)(605)를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에 대해
외부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할 때, 화상 메모리(603)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양과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HD(605)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 양을 취득함과
동시에 양자의 차분(差分)을 산출하고, 차분과 미리 설정된 소정값을 비교하여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메모리 제어부(602)를 마련한다.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복사 장치,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APPARATUS,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ROCESSING IMAGE INFORMATION}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복사 장치, 팩시밀리 장치, 프린트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근년, 복사기 등 화상 처리 장치의 디지털화가 진척되고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의 디지털화에 따라 화상에 근거하여 작성된 데이터(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메모리(화상 메모리)를 이용하여 가공, 편집하는 것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화상 데이터를 가공, 편집하는 기능으로서 예컨대, 전자 분류, 화상 분할을 들 수 있다. 이하, 전자 분류, 화상 분할의 종래 기술에 관하여 각각 복사 장치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전자 분류)
전자 분류는 복수매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에 기억하고, 지정된 부수만큼 복사된 원고(복사 원고)묶음을 1부씩 출력하는 기능이다. 전자 분류의 기능에 의하면, 복사 원고를 분류하는 작업을 없애고 복사 원고 묶음을 복수 작성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자 분류 기능을 실현하는 경우, 복사 장치는 복수매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전부 화상 메모리에 기억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복사 장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부속하는 1차 기억 장치(주기억장치라고도 한다)인 반도체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단, 반도체 메모리가 비교적 비싸기때문에 일반적인 복사 장치는 1차 기억 장치와 2차 기억 장치 양자를 화상 메모리로서 사용하고 있다. 2차 기억 장치는 하드 디스크, MO(Magnetic Optical disk)라고 하는 반도체 메모리보다도 염가인 디스크 형식의 기억 매체로 구성된다.
반도체 메모리는 2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속도와 복사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속도 차이를 흡수하는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된다. 또한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시 주소 조작에 의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된 화상을 회전한 상태로 출력하는 처리에 사용된다. 또 화상을 회전한 상태로 출력하는 기능을, 이하 화상 회전 기능이라고 한다.
복사 장치는 2차 기억 장치의 화상 데이터 전송 속도가 복사 장치의 화상 데이터 입출력 속도에 비하여 충분히 빠른 경우, 입출력하는 화상 데이터를 2차 기억 장치가 직접 기억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또한화상 회전 기능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라도 반도체 메모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단, 2차 기억 장치는 순차로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이 회전하도록 임의로 판독하는 경우, 순차로 출력하는 경우에 비하여 액세스 속도가 대폭 저하하여 복사장치에 요구되는 화상 출력 속도를 만족시킬 수 없게 된다.
가공, 편집 기능에 따라 화상 메모리를 조작하고, 반도체 메모리의 기억 용량으로보다 작은 것으로 하는 기술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6-168183호에 기재된 발명이 있다. 상기 공보에 기재된 발명은 프레임 버퍼 메모리로서의 반도체 메모리마다의 속성을 관리하는 테이블과, 반도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2차 기억 장치에 일시 퇴피시키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공보에 기재된 발명은 반도체 메모리의 나머지 프레임 버퍼 메모리 사이즈보다도 큰 프레임 버퍼 메모리 사이즈가 필요될 때, 테이블 중의 반도체 메모리 속성을 참조하여 반도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2차 기억 장치에 퇴피시켜 새로운 작업에 필요한 프레임 버퍼 메모리 사이즈를 확보한다. 또한 상기 공보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테이블에는 작업 상태가 기술되어 있고, 이 상태에 따라 반도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2차 기억 장치에 퇴피시킬 수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있다.
(화상 분할)
화상 분할은 스캐너에 의한 1회의 주사로 판독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복수로 분할하여 복수의 화상으로서 출력하는 처리이다. 화상 분할의 처리는 판독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반도체 메모리에 일단 기억시키고, 기억된 화상 데이터의 주소를 지정하여 판독함과 동시에 프린터로 출력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행해진다.
이하, 전자 분류, 화상 분할 등 화상의 편집, 가공 처리에 있어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 관하여 각각 설명한다.
상술한 이유에 의해 전자 분류를 실현하는 디지털 복사기에 반도체 메모리와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한 구성이 많이 이용되어 있다. 반도체 메모리의 용량으로서는 출력 가능한 최대 전사지 분의 양을 갖고 있는 것이 관용적이다. 그러나 최대 전사지 사이즈 만큼의 양을 갖고 있어도 출력 가능한 최대 전사지 사이즈로 화상 회전을 행하는 경우는 적고, 또한 2차 기억 장치의 액세스 속도가 복사기의 복사 속도에 대응한 화상 전송 속도에 아주 접근한 경우는 그 이하의 메모리 양으로 속도차 흡수 기능도 완수하여 반도체 메모리가 불필요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또 상기 공지 기술은 메모리 사이즈의 크기를 비교하여 일시 퇴피시킬 수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있고, 실질적으로는 전송되어 온 데이터를 출력할 때까지의 동안에 일시적으로 퇴피시킬 수 있을 만큼의 메모리 사이즈가 있으면 되지만, 메모리 사이즈의 절대량으로 비교하므로 어떻게 해도 큰 메모리 사이즈의 확보가 가능한 용량의 큰 메모리가 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화상 분할의 처리에서는 1회의 주사로 판독된 화상 데이터(1화면 분의 화상 데이터)를 일단 기억할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현상태의 화상 분할 기능은 CPU에 부속하는 주기억장치 이외의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에 대해 적용할 수 없다. 이 때문에 복사 장치는 스캐너가 1회로 주사할 수있는 최대 사이즈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반도체 메모리를 구비할 것이 필요되며, 분할 기능이 반도체 메모리를 소형화하는 것에 지징을 주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에 감안한 것으로, 1차 기억 장치로서의 반도체 메모리와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 복사 장치, 팩시밀리 장치, 프린트 장치에 있어서 반도체 메모리를 이용하여 행해지는 화상 데이터의 가공, 편집의 처리 기능을 유지하고, 동시에 반도체 메모리를 소형화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화상 처리 장치, 복사 장치, 팩시밀리 장치, 프린트 장치에서 사용 적합한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 서술하는 목적을 달성한다.
우선, 2차 기억 장치로부터 반도체 메모리를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하여 데이터를 일시 퇴피시키는 형식의 기억 수단을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 복사 장치, 팩시밀리 장치, 프린트 장치에서 사용 적합한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한 버퍼 메모리 양을 변경하는 경우에, 비교 대상으로 되는 소정값을 변경 가능하게 함으로써 각종 시스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복사 장치, 팩시밀리 장치, 프린트 장치에서 사용 적합한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또한 2차 기억 장치와 주고 받는 데이터 양을 감소하고, 2차 기억 장치로의 기억 처리 시간을 감소하며, 또한 축적 가능한 원고의 매수를 증가시켜 적은 버퍼 메모리 양으로도 고속으로 액세스 가능한 생산성이 높은 화상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제3목적으로 한다.
또한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여 출력하는 경우, 화상 데이터의 전개에 사용되는 1차 기억 장치를 1페이지 분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기억 용량 이하로 소형화할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복사 장치, 팩시밀리 장치, 플린트 장치 및 이상의 각 구성에서 사용 적합한 화상 처리 방법,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제4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화상 처리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화상 처리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 공통의 화상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원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나타낸 IPU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동기 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
도 6은 도 3에 나타낸 기억부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나타낸 메모리 제어부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2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화상 메모리로 외부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경우의 데이터 기록과 판독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화상 메모리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의 데이터 기록과 판독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설정값을 갱신하는 처리를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 기억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제3실시예의 메모리 제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잘라낸 화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화상 분할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화상 처리 장치
102 입력 장치
103 출력 장치
104 화상 입출력부
105 1차 기억 장치
106 압축 신장부
107 2차 기억 장치
110 화상 입출력부
310 판독부
311 원고대
316 스캐너 제어부
317 노광 램프
318 선 설정부
321 선택부
322 기억부
323 시스템 제어부
324 주소 선택자
330 화상 형성부
331 기록부
332 용지받이
333 정착 장치
334 클리닝 장치
335 방전기
336 대전기
337 감광체
338 현상 장치
339 용지 배출 롤러
340 분리기
341 전사기
342 레지스트레이션 롤러
343 급지 롤러
350 팩시밀리부
360 조작부
601 화상 입출력부
602 메모리 제어부
603, 1106 화상 메모리
604 압축 신장부
605 하드 디스크 장치
701 차분(差分) 산출부
702 선 설정부
703 차분 비교부
704 요구 마스크부
705 아비터
706, 1202 입출력 화상 주소 카운터
707, 1203 전송 화상 주소 카운터
708, 1204 주소 선택자
709, 1205 액세스 제어 회로
1101 화상 입출력부
1102 메모리 제어부
1103 압축 신장부
1104 하드 디스크 장치
1105 화상 절취(切取)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외부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과, 상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1 차분 데이터량 산출 수단과,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1값과 이 제1값보다 큰 제2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1 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2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2값보다 큰 제3값과, 상기 제1값보다 작은 제4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3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4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 신호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한편,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2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한다. 나아가 양자의 차를 취함으로써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제1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제1차분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수단과, 이 변동량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3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실행중의 제1차분 데이터량의 변동에 근거하여 제3값을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 및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은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으로부터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을 감산한 값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과, 상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2 차분 데이터량 산출 수단과,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5값과 이 제5값보다 큰 제6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5 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6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수단과,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6값보다 큰 제7값과, 상기 제5값보다 작은 제8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7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8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 신호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한편,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한다. 나아가 양자의 차를 취함으로써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제2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제2차분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5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에 미리 제5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 후,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 출력 수단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제4항 내지 제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수단과, 이 변동량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7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이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화상 처리 실행중의 제2차분 데이터량의 변동에 근거하여 제7값을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제4항 내지 제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 및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은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으로부터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을 감산한 값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한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절취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낸 화상 데이터만을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제9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변경하여 절취 범위를 화상 처리 및 화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에 최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2차 기억 장치에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판독시에 신장할 수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2차 기억 장치가 자기 디스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2차 기억 장치를 하드 디스크, MO 등 자기 디스크 장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제1항 내지 제1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반도체에 의해 구성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RAM 등 반도체 메모리로 전송할 수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기 신호와 함께 프린트 실행 수단으로 출력하는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한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절취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낸 화상 데이터만을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제14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변경하여 절취 범위를 프린트 처리 및 프린터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에 최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2차 기억 장치에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판독시에 신장할 수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제14항 내지 제1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가 자기 디스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2차 기억 장치를 하드 디스크, MO 등 자기 디스크 장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제14항 내지 제1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1차 기억 장치가 반도체에 의해 구성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RAM 등 반도체 메모리로 전송할 수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복사 장치는 화상을 판독하고, 이 화상에 근거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되어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실행 수단을 구비한 복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하는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19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복사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낸 화상 데이터만을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청구항 2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복사 장치는 제19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0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복사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변경하여 절취 범위를 복사 처리 및 복사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에 최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복사 장치는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복사 장치에 있어서 2차 기억 장치에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판독시에 신장할 수 있다.
청구항 2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복사 장치는 제19항 내지 제2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2차 기억 장치가 자기 디스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복사 장치에 있어서 2차 기억 장치를 하드 디스크, MO 등 자기 디스크 장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복사 장치는 제19항 내지 제2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반도체에 의해 구성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복사 장치에 있어서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RAM 등 반도체 메모리로 전송할 수 있다.
청구항 2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는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 데이터 수신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되어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실행 수단을 구비한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한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낸 화상데이터만을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청구항 2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는 제24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변경하여 절취 범위를 화상 처리 및 팩시밀리 장치가 적용되는 시스템에 최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는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2차 기억 장치에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판독시에 신장할 수 있다.
청구항 2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는 제24항 또는 제2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가 자기 디스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2차 기억 장치를 하드 디스크, MO 등 자기 디스크 장치로 할 수 있다.
청구항 2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는 제24항 내지 제27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반도체에 의해 구성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RAM 등 반도체 메모리로 전송할 수 있다.
청구항 2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외부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1 차분 데이터량 산출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에서의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1값과 이 제1값보다 큰 제2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1 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2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과,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2값보다 큰 제3값과, 상기 제1값보다 작은 제4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3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또는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4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29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한편,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2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한다. 나아가 양자의 차를 취함으로써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제1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제1차분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3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공정과, 이 변동량 기록 공정에서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3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0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실행중의 제1차분 데이터량의 변동에 근거하여 제3값을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3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 및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으로부터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을 감산한 값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3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2 차분 데이터량 산출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에서의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5값과 이 제5값보다 큰 제6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5 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6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과,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6값보다 큰 제7값과, 상기 제5값보다 작은 제8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7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8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신호 출력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한편,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한다. 나아가 양자의 차를 취함으로써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제2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제2차분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3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5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에 미리 제5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 후,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청구항 3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상기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제32항 내지 제3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공정과, 이 변동량 기록 공정에서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7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화상 처리 실행중의 제2차분 데이터량의 변동에 근거하여 제7값을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3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제32항 내지 제3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 및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으로부터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을 감산한 값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3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판독하여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한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에서 절취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방법 있어서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낸 화상 데이터만을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청구항 3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제37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공정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변경하여 절취 범위를 화상 처리 및 화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에 최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3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제28항 내지 제3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공정을 포함한 것을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39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2차 기억 장치에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판독시에 신장할 수 있다.
청구항 4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외부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시키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1 차분 데이터량 산출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에서의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1값과 이 제1값보다 큰 제2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1 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2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과,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2값보다 큰 제3값과, 상기 제1값보다 작은 제4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3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4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0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장치에 외부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한편,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2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한다. 나아가 양자의 차를 취함으로써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제1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제1차분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4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공정과, 이 변동량 기록 공정에서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3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실행중의 제1차분 데이터량의 변동에 근거하여 제3값을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4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 및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으로부터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을 감산한 값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4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2 차분 데이터량 산출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에서의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5값과 이 제5값보다 큰 제6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5 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6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과,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6값보다 큰 제7값과, 상기 제5값보다 작은 제8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7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8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한편,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한다. 나아가 양자의 차를 취함으로써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제2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제2차분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청구항 4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5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에 미리 제5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 후,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청구항 4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제43항 내지 제4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공정과, 이 변동량 기록 공정에서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7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화상 처리 실행중의 제2차분 데이터량의 변동에 근거하여 제7값을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4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제43항 내지 제4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 및 외부 출력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7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으로부터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이 취득한 데이터량을 감산한 값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다.
청구항 4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화상 처리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한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에서 절취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8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낸 화상 데이터만을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청구항 4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제48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공정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49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변경하여 절취 범위를 화상 처리 및 화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시스템에 최적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청구항 5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제39항 내지 제4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서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0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2차 기억 장치에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키고, 판독시에 신장시킬 수 있다.
청구항 5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수단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1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1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에 미리 제1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 후, 1차 기억 장치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청구항 5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오류 신호 출력 수단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2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1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3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에 미리 제1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 후, 1차 기억 장치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청구항 5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상기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4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에서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1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5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에 미리 제1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 후, 1차 기억 장치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개시할 수 있다.
청구항 5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상기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청구항 56에 기재한 발명에 의하면, 1차 기억 장치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방법의 적합한 실시예인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 도2는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기본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며, 도 2A는 1차 기억 장치(105)로부터 2차 기억 장치(107)로의 화상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고, 도2B는 2차 기억 장치(107)로부터 1차 기억 장치(105)로의 화상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 도 1에 나타낸 화상 처리 장치(101)는 스캐너 등 입력 장치(102)와, 프린트를 실행하는 프린트 실행부나 플로터 등 출력 장치(103)와 조합되어 복사 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화상 처리 장치(101)는 인터페이스(I/F)등 화상 입출력부(104), 1차 기억 장치(105), 2차 기억 장치(107)를 구비하고 있다. 1차 기억 장치(105)는 화상 입출력부(104)를 통하여 입력 장치(102)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A를 기억한다.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나아가 2차 기억 장치(107)로 출력되고(화상 데이터B), 압축 신장부(106)에서 압축되어 2차 기억 장치(107)에 기억된다.
또한 2차 기억 장치(106)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판독되고(화상 데이터D), 압축 신장부(106)에서 신장된 후에 1차 기억 장치(105)에 입력된다. 화상 데이터는 1차 기억 장치(105)에 있어서 가공, 편집되고, 화상 입출력부(104)를 통하여 출력 장치(103)로 출력된다(화상 데이터C). 또 도 1에 나타낸 1차 기억 장치(105)는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되고, 2차 기억 장치(107)는 반도체 메모리보다도 대량으로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는 하드 디스크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데이터를 1차 기억 장치(105)로부터 2차 기억 장치(107)로 입력하는 경우, 입력 장치(102)에 의해 입력된 화상 데이터A는 도2A와 같이, 화상 입출력부(104)를 통하여 1차 기억 장치(105)로 입력하고 비트 맵으로 전개된다. 즉, 화상 데이터A는1차 기억 장치(105)에 있어서 각 화소의 화상 데이터를 원고 판독시의 주 주사 방향으로 배열함으로써 형성된 선이 나아가 부 주사 방향으로 평행으로 배열된 상태로 기억된다.
1차 기억 장치(105)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A는 1차 기억 장치(105)로부터 화상 데이터B로서 판독되고, 압축 신장부(106)에 있어서 압축된 후에 2차 기억 장치(107)에 기억된다. 또 이상 서술한 화상 데이터의 입력 동작은 예컨대, 1차 기억 장치(105)를 입력 장치(102)와 2차 기억 장치(107)의 화상 데이터 전송 속도의 버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행해진다.
도 2A에 나타낸 동작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A는 1차 기억 장치(105)에 입력되어 전개된다. 또한 전개와 병행하여 화상 데이터B가 1차 기억 장치(105)로부터 출력된다. 이 때, 화상 데이터A가 1차 기억 장치(105)로 전송되는 속도와 화상 데이터B가 압축 신장부(106)로 전송되는 속도가 상이함으로써 1차 기억 장치(105)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A의 데이터 양이 화상 데이터B의 데이터 양보다도 많아지는 것이 고려된다.
화상 데이터A의 데이터 양이 화상 데이터B의 데이터 양보다도 큰 경우, 1차 기억 장치(105)에 있어서 아직 출력되지 않은 화상 데이터는 새로 입력한 화상 데이터A에 겹쳐 기록됨으로써 상실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제1실시예는 화상 데이터 입력시에, 화상 데이터A의 데이터 양이 화상 데이터B의 데이터 양보다도 소정 데이터 양 이상으로 큰 경우, 오류 신호를 발생하여 화상 데이터의 일부가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화상 데이터를 2차 기억 장치(107)로부터 1차 기억 장치(105)로 입력하는 경우, 2차 기억 장치(107)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D는 압축 신장부(106)에 있어서 신장된 후에 1차 기억 장치(105)에 전개된다. 그리고 1차 기억 장치(105)로부터 판독되고 화상 데이터C로서 화상 입출력부(104)를 통하여 출력 장치(103)로 출력된다. 또 이와 같은 화상 데이터의 출력 동작은 예컨대, 2차 기억 장치(107)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데이터 일부씩 1차 기억 장치(105)에 전개하여 프린트하는 경우에 행해진다.
도 2B에 나타낸 동작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D가 1차 기억 장치(105)에 전송되는 속도와 화상 데이터C가 화상 입출력부(104)로 전송되는 속도가 상이함으로써 1차 기억 장치(105)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D의 데이터 양이 화상 데이터C의 데이터 양보다도 많아지는 것이 고려된다. 화상 데이터D의 데이터 양이 화상 데이터C의 데이터 양보다도 큰 경우, 1차 기억 장치(105)에 있어서 아직 출력되지 않은 화상 데이터는 새로 입력한 화상 데이터A에 겹쳐 기록됨으로써 상실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화상 데이터 출력시에, 화상 데이터D의 데이터 양이 화상 데이터C의 데이터 양보다도 소정 데이터 양 이상으로 큰 경우, 오류 신호를 발생하여 화상 데이터의 일부가 상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소정 데이터 양 설정을 1차 기억 장치(105)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입력, 출력 상태에 맞추어 갱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의해 화상 처리 상태에 맞춰 오류 신호의 발생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고, 보다 효율적으로 1차 기억 장치(105)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후술하는 제3실시예는 도 2B에 나타낸 화상 데이터 출력 동작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D를 원고 1화면 분의 화상 데이터 일부만의 데이터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제3실시예에 의해 1차 기억 장치(105)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혹은 1차 기억 장치(105)의 일부만을 화상 데이터의 전개에 사용하여 나머지 기억 용량을 화상 데이터의 가공, 편집에 사용할 수 있다.
(제1실시예)
도 3은 제1실시예∼제3실시예에 공통인 화상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3중에 나타낸 원고 M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3의 IPU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동기 신호를 나타낸 타이밍도, 도 6은 도 3의 기억부를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7은 도 6의 메모리 제어부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2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구성을 상세히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화상 메모리에 대한 데이터 기록과 판독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1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원고를 판독하는 판독부(310)와, 용지상에 화상을 형성하여 출력하는 화상 형성부(330)와, 팩시밀리부(350)를 구비한 디지털 식의 복합 화상 형성 장치(이하, 단순히 화상 형성 장치라고 한다)를 구성하고 있다.
판독부(310)는 원고대(311)상에 원고M를 세트하여 원고M의 화상을 판독하고 있다.
원고대(311)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로 12인치, 가로 17인치의 크기를 갖고 있고, 그 맨 위쪽 가장자리부와 오른쪽 가장자리부에 원고 M의 기준부S를 맞추어 세트하도록 되어 있다. 원고대(311)에는 원고 M의 위치 등을 검출하는 센서(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노광 램프(317)는 원고대(311) 밑에서 이동하여 원고 M를 주사 노광한다. 이 반사광은 반사경(314)에 의해 CCD센서(313)에 유도되고, 여기서 광전 변환되어 반사광의 강약에 따른 아날로그 전기 신호로 되며, IPU(이미지 프로세스 유닛)(312)에 입력된다. IPU(312)는 아날로그 전기 신호를 8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A/D변환하여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에 음영(shading) 보정 처리, 배율 변환 처리, 디더(dither) 처리 등 처리를 행하고 처리된 화상 데이터를 동기 신호와 함께 선택자(321)를 통하여 기억부(322) 또는 화상 형성부(330)내 기록부(331)로 화상 데이터 선 마다 보낸다.
스캐너 제어부(316)는 상기한 판독부(310)의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미도시한 각종 센서로부터 검지 신호a를 입력한다. 그리고 검지 신호a에 근거하여 CCD(313)를 구동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모터 등 제어를 행하고, 또한 IPU(312)에 대해 각종 매개 변수를 설정한다.
화상 형성부(330)에서는 일정 속도로 시계 바늘 방향으로 회전하는 감광체(337)의 표면이 대전기(336)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된다. 다음에 기록부(331)가 화상 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 광에 의해 감광체(337)의 표면에 잠상을 형성한다. 형성된 잠상은 현상 장치(338)에 의해 토너로 현상되어 토너 화상으로 된다. 토너 화상은 전사기(341)에 의해 전사지에 전사된다.
다음에, 감광체(337)의 표면은 클리닝 장치(334)에 의해 잔존 토너가 제거되고, 방전기(335)에 의해 잔존 전하가 제거된다. 또한 기록부(331)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레이저 다이오드, 폴리건 미러, 폴리건 모터, fθ렌즈, 동기 검지 소자 등공지의 레이저 기록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급지 트레이(334)에 미리 세트되어 있는 미도시한 전사지는 급지 롤러(343)에 의해 급지되며, 다음 레지스트레이션 롤러(342)에 의해 감광체 (337)상의 토너 화상 이동에 맞춘 타이밍으로 이송된다. 전사지는 전사기(341)에 의해 토너 화상이 전사된 후, 분리기(340)에 의해 감광체(337)로부터 분리되고, 다음 토너 화상이 정착 장치(333)에 의해 정착되며, 용지 배출 롤러(339)에 의해 용지 받이(332)위로 배출된다. 플로터 제어부(345)도 상기한 화상 형성부(330)의 프로세스를 실행하기 위하여 미도시한 각종 센서로부터 검지 신호a를 입력한다. 그리고 검지 신호a에 근거하여 기록부(331)를 구동하는 미도시한 구동 모터 등의 제어를 행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화상 처리 장치는 시스템 제어부(323)와, 조작부(360)와, 기억부(322)와 팩시밀리부(350)를 구비하고 있다. 시스템 제어부(323)로의 지시는 조작자가 조작부(360)에 키 입력하여 복사 동작을 지시함으로써 행해진다. 키 입력이 행해지면, 시스템 제어부(323)는 복사 동작의 지시 내용을 검지한다. 그리고 검지한 지시 내용에 따라 기억부(322), 판독부(310)의 스캐너 제어부(316), 화상 형성부(330)의 플로터 제어부(345)에 대한 각종 매개 변수의 설정, 혹은 프로세스 실행을 지시한다. 또한 시스템 전체 상태를 예컨대, 조작부(360)에 마련된 표시 화면에 나타낸다.
기억부(322)는 IPU(312)로부터 선택부(321)를 통하여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반복 복사, 회전 복사, 전자 분류, 화상 분할 등 화상을 편집, 가공하는 복사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또한 팩시밀리부(350)가 수신한 2치화상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는 버퍼 메모리로서도 사용된다. 또 기억부(322)에 있어 데이터의 기억 동작은 시스템 제어부(323)에 의해 제어된다.
선택부(321)는 시스템 제어부(323)로부터의 지시에 의거하여 화상 형성부(330)의 화상 형성에 사용되는 화상 데이터의 소스로서 판독부(310), 기억부(322)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또한 기억부(322)에 따라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의 소스로서 판독부(310), 팩시밀리부(350)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IPU(312)는 도 5에 나타낸 각종 동기 신호에 동기하여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도 5에 나타낸 동기 신호 중, 프레임 게이트 신호(/FGATE)는 화상 구역의 부 주사 방향의 화상 유효 범위를 나타낸 신호이며, 프레임 케이트 신호가 저레벨인 동안에 화상 데이터가 유효(저활동:low active)하게 된다. 또한 프레임 게이트 신호는 선 동기 신호(/LSYNC)의 상승에서 표명(assert), 또는 부정(negate)된다. 선 동기 신호가 화소 클록(PCLK)의 상승 에지(edge)로부터 소정 수의 화소 클록만 표명되어, 선 신호가 상승한 후, 소정 클록 후에 주 주사 방향의 화상 데이터가 유효하게 된다.
IPU(312)는 화소 동기 신호의 1주기에 1개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1 개의 화상 데이터란, 도 2에 나타낸 기준부S로부터 원고 전체의 화상 데이터를 예컨대, 주, 부 주사 방향으로 400DPI상당으로 분할한 중의 한 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분할된 화상 데이터를 기준부S의 위치에 있는 화상 데이터를 선두로 하여 래스터 형식으로 송출한다. 화상 데이터의 부 주사 방향의 유효 범위는 통상 전사지의 사이즈에 의해 결정된다.
팩시밀리부(350)는 시스템 제어부(323)의 지시에 의해 보내온 화상 데이터를 G3,G4 팩스의 데이터 전송 규정에 의거하여 2치 압축하여 전화 회선으로 전송한다. 또한 전화 회선으로부터 팩시밀리부(350)로 전송된 데이터는 복원되어 2치 화상 데이터로 되고 화상 형성부(330)의 기록부(331)로 보내져 현상화된다.
기억부(322)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 제어부(602)와, 메모리 제어부(602)에 의해 제어되는 화상 입출력부(601), 압축 신장부(604), 반도체 메모리로 구성된 1차 기억 장치인 화상 메모리(603)와, 압축 신장부(604)와 데이터를 수수하는 2차 기억 장치인 하드 디스크 장치(HD)(605)로 구성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입출력부(601), 압축 신장부(604), 메모리 제어부(602)는 어느 것도 CPU 및 논리(logic)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제1실시예는 화상 메모리(603)를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등 반도체 기억 소자로 구성하고, 또한 메모리량 합계를 400DPI, 2치 화상 데이터의 A4사이즈 분인 2M로 했다. 한편, 하드 디스크 장치(605)는 자기 기록 매체로 이루어지고, 화상 메모리(603)보다도 큰 화상 데이터의 기억 용량을 가지고 있다.
또한 2차 기억 장치는 대량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고 데이터 액세스 속도가 어느 정도의 속도이면, 광 자기 기록 장치 등 하드 디스크 장치 이외의 정보 기록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화상 입출력부(601)는 메모리 제어부(602)와 통신하여 명령을 수신하며 수신한 명령에 따라 동작 설정을 행한다. 또한 화상 입출력의 상태를 알리는 상태 정보를 메모리 제어부(602)로 송신한다. 화상 입출력부(601)는 메로리 제어부(602)로부터 화상 입력의 명령을 받은 경우, 입력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동기 신호(입력 프레임 게이트 신호, 입력선 동기 신호, 입력 화소 동기 신호)와 함께 IPU(312)로부터 화상 데이터(도면에서 절선으로 나타냄)를 선마다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한 화상 데이터를 입력 화소 동기 신호에 따라 8화소 단위의 메모리 데이터로서 메모리 제어부(602)로 입출력 메모리 액세스 신호c와 함께 수시로 선마다 출력한다.
화상 입출력부(601)는 화상 데이터를 입력했을 때,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 양을 취득하고 취득한 데이터 양을 메모리 제어부(602)로 출력한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데이터 양을 입출력한 화상 데이터의 선 수를 계수함으로써 취득하고, 계수에 의해 얻어진 선 수를 메모리 제어부(602)로 출력한다.
실시예1과 같이, 화상 데이터를 선 마다 입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양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구성은 예컨대, 입력선 동기 신호를 계수함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양을 취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 데이터 양을 취득하기 위한 전용 구성을 별도로 마련할 필요 없어 부품수 증가를 억제하는데 유리하다.
또한 화상 입출력부(601)는 메모리 제어부(602)로부터 화상 출력 명령을 받은 경우, 메모리 제어부(602)를 통하여 입력한 화상 데이터를 출력 타이밍을 결정하기 위한 동기 신호(출력 프레임 게이트 신호, 출력선 동기 신호, 출력 화소 동기 신호)에 동기시켜 기록부(331)로 출력한다.
압축 신장부(604)는 메모리 제어부(602)와 통신하여 명령을 수신하며 그 명령에 따라 동작 설정을 행한다. 또한 압축 신장 처리 상태를 알리는 상태 정보를 메모리 제어부(602)로 송신한다. 메모리 제어부(602)로부터 압축 명령을 받은 경우, 압축신장부(604)는 메모리 제어부(602)로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를 출력하고, 메모리 제어부(602)로부터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e를 받는다.
그리고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e가 액티브인 경우, 화상 데이터를 받아 압축 처리하고, 압축 데이터로서 하드 디스크 장치(605)에 기억시킨다. 이 때, 압축 신장부(604)는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 양을 취득하여 메모리 제어부(602)로 출력한다. 데이터량은 화상 데이터의 선 수(즉,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선 수)를 계수함으로써 취득된다.
또한 압축 신장부(604)는 메모리 제어부(602)로부터 신장 명령을 받은 경우, 하드 디스크 장치(605)에 기억된 압축 데이터를 판독하여 신장 처리하고, 메모리 제어부(602)로 출력한다. 또한 신장 처리에 있어서도 압축 신장부(604)는 메모리 제어부(602)와의 사이에서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e를 교환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하드 디스크 장치(605)와 화상 메모리(603)의 사이에 압축 신장부(604)를 마련함으로써 하드 디스크 장치(605)에 기억되는 데이터량을 삭감하고, 하드 디스크 장치(605)가 보다 대량의 데이터를 기억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메모리 제어부(602)는 시스템 제어부(323)와 통신하여 명령을 수신하며, 그 명령에 따른 동작 설정을 행한다. 또한 기억부(322)의 상태를 알리는 상태 정보를 송신한다.
시스템 제어부(323)는 화상 입력, 화상 출력, 압축 신장 등에 관한 동작 명령을 출력한다. 화상 입력, 화상 출력의 명령은 화상 입출력부(402)로 송신된다. 또한 압축 신장의 명령은 압축 신장부(403)로 송신된다.
메모리 제어부(602)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분 산출부(701), 선 설정부(702), 차분 비교부(703), 요구 마스크부(704), 아비터(705), 입출력 화상 주소 카운터(706), 전송 화상 주소 카운터(707), 주소 선택자(708), 액세스 제어 회로(709)를 구비하고 있다.
차분 산출부(701)는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버퍼로서 화상 메모리(603)를 사용한 경우, 화상 메모리(603)에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선 수(입력선 수)C1로부터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선 수(출력선 수)C2를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얻어진 차분 선 수를 산출하는 구성이다.
선 설정부(702)는 차분 비교부(703)에 있어서 차분 선 수와 비교되는 선 수를 시스템 제어부(323)로부터 입력하여 메모리 제어부(602)에 설정하는 구성이다. 또한 설정되는 선 수(설정선 수)는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선 설정부(702)를 구비함으로써 제1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의 선 주기, 하드 디스크 장치(605)와의 전송 속도 등 시스템 조건에 따라 차분 선 수와 비교되는 값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제1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적용되는 시스템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차분 비교부(703)는 차분 산출부(701)가 산출한 차분 선 수와, 선 설정부(702)에 의해 설정된 설정선 수를 비교하는 구성이다. 요구 마스크부(704)는 차분 비교부(703)에 의한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를 마스크(사용불가능한 상태로 한다)하는 구성이다. 아비터(705)는 압축 신장부(604)가 화상 메모리(603)에 액세스하기 위한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e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e는 주소 비교 신호가 액티브이고, 동시에 입출력 메모리 액세스 신호c가 비 액티브인 조건으로 출력된다.
입출력 화상 주소 카운터(706)는 입출력 메모리 액세스 신호c에 따라 계수하는 주소 카운터로, 화상 데이터가 화상 메모리(603)에 저장될 때의 주소를 나타내는 22비트의 메모리 주소를 주소 선택자(708)로 출력한다. 주소 선택자(708)의 메모리 주소는 메모리 액세스 개시시에 일단 초기화된다.
전송 화상 주소 카운터(707)는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e에 따라 계수하는 주소 카운터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603)에 기억시킬 때의 주소를 나타내는 22비트의 메모리 주소를 주소 선택자(708)로 출력한다. 주소 선택자(708)의 메모리 주소는 메모리 액세스 개시시에 주소는 일단 초기화된다.
주소 선택자(708)는 아비터(705)에 의해 입력 화상 또는 전송 화상 주소 중의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선택자이다. 또한 액세스 제어 회로(709)는 화상 메모리(603)를 구성하는 DRAM의 주소를 주소 선택자(708)에 있어서 선택된 물리 주소에 따라 대응한 행 주소(row address), 열 주소(column address)로 분할하여 11비트의 주소 버스로 출력한다. 또한 아비터(705)로부터의 액세스 개시 신호에 따라 DRAM 제어 신호(RAS, CAS, WE)를 출력한다.
다음, 이상 서술한 구성을 구비하는 메모리 제어부(602)에 의한 화상 메모리(603) 제어를 화상 메모리(603)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할 때와 화상 데이터를 출력할 때로각각 나누어 설명한다.
1. 화상 데이터 입력시
스캐너 등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메모리 제어부(602)에 있어서, 차분 산출부(701)는 화상 메모리(603)으로 입력하는 외부 입력선 수C1로부터 내부 출력선 수C2를 감산하여 차분 선 수를 얻는다. 차분 비교부(703)는 차분 선 수와 미리 정해진 제1값, 제2값, 제3값, 제4값을 비교한다.
메모리 제어부(602)는 화상 입출력부(601), 압축 신장부(604)를 제어하고, 차분 선 수가 제1값 이하의 값에 이른 경우에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한다. 또한 메모리 제어부(602)는 차분 선 수가 제2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한다. 나아가 메모리 제어부(602)는 차분 선 수가 제3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제4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한다.
또, 상기한 제1값, 제2값, 제3값, 제4값의 크기 관계는 이하와 같다.
제3값 > 제2값 > 제1값 > 제4값 차분 선 수와의 비교에 이용되는 제1값 ∼ 제4값은 선 설정부(318)에 의해 차분 비교부(703)에 설정된다. 이 소정 값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하, 제1값 ∼ 제4값의 값에 근거하여 행해지는 오류 신호 출력 처리와 화상 데이터 전송 정지, 재개시 처리에 관하여 각각 설명한다.
(1) 오류 신호의 출력 처리
요구 마스크부(704), 아비터(705), 입출력 화상 주소 카운터(706), 전송 화상 주소 카운터(707), 주소 선택자(708), 액세스 제어 회로는 차분 비교부(703)의 판단에근거하여 동작한다. 그리고 차분 비교부(703)의 판단에 따른 동작에 의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주소 버스 및 제어 신호선을 통하여 출력되고, 화상입출력부(601), 압축 신장부(604)를 제어한다.
또한 차분 비교부(703)는 차분 선 수를 제3값과 비교하며, 차분 선 수가 제3값 이상으로 된 경우, 오류 신호f를 출력한다. 오류 신호f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신호로서 사용되고,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던 화상 데이터가 새로 입력된 화상데이터에 의해 겹쳐 씌어짐으로써 소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분 비교부(703)은 차분 산출부(701)가 출력하는 차분 선 수(C1-C2)와, 선 설정부(702)가 출력하는 설정선 수(제1값v1, 제2값v2, 제3값v3, 제4값v4)의 크기를 비교한다. 그리고
C1-C2≥v3 ···조건①
C1-C2≤v4 ···조건②
인 경우에 오류 신호f를 출력한다.
조건①에서 오류 신호f를 출력하는 동작은 화상 메모리(603)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소실을 방지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이다. 오류 신호f에 의해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소실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예컨대, 오류 신호f를 조작부(360)로 입력하고, 오류 신호f가 발생한 것을 조작부(360)의 표시 화면에 표시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작자는 표시 화면의 표시에 의해 화상 메모리(603)가 현재 새로운 화상 데이터를 기럭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것을 인식하고, 화상 처리 장치의 시스템 전체를 정지시키거나 혹은 시스템전체의 제어부에 오류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전체의 제어부에 판독부(310) 판독 동작을 일시 정지시키거나 하여 화상 데이터 중첩 기록에 의한 소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오류 신호f를 스캐너 제어부(316)로 입력하고, 오류 신호f에 의해 스캐너를 정지시키는 구성에 의해 자동적으로 화상 메모리(603)에 대한 화상 데이터 입력을 중단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혹은 스캐너 제어부(316)를 제어하여 스캐너
판독 속도를 저하시켜도 좋다.
조건②에서 오류 신호f를 출력하는 동작은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전송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가 화상 메모리(603)에 없다는 것을 출력하기 위해서 수행되는 것이다.
또한 제4값을 0으로 설정한 경우, 차분선 수가 부의 값으로서 산출되는 시스템 오류가 발생한 것을 화상 처리 장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부에 알릴 수 있다.
(2) 화상 데이터 전송 정지, 재개시 처리
또한 차분 비교부(703)는 외부 입력선 수C1와 내부 출력선 수C2를 비교하여 양자의 관계가
C1-C2≤v1 ···조건③
인 경우에 요구 마스크부(704)로 출력되는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h를 액티브로 한다. 차분 비교부(703)가 출력한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h는 요구 마스크부(704)로 입력된다.
요구 마스크부(704)에는 동시에 압축 신장부(604)로부터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가 입력되어 있다. 요구 마스크부(704)는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h가 액티브인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액티브인 경우에는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를 마스크(사용 불가능한 상태로 함)한다. 이 처리에 의해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가 마스크되어 있는 동안은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가 정지한다.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가 정지한 후, 차분 비교부(703)는 외부 입력선 수C1와 내부 출력선 수C2를 비교한다.
그리고 양자의 관계가
C1-C2≥v2 ···조건④
로 된 경우에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의 마스크를 해제한다. 마스크가 해제된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는 아비터(705)로 입력된다.
이때, 아비터(705)에는 화상 입출력부(601)가 출력한 입출력 메모리 액세스 신호c가
입력되어 있다. 아비터(705)는 입출력 메모리 액세스 신호c가 비 액티브이고 동시에
요구 마스크부(704)를 통하여 입력된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h가 액티브인 경우,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에 따라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e를 압축 신장부(604)로 출력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가 재개시된다.
또한 이 때 아비터(705)는 입출력 화상 주소 카운터(706)를 입출력 메모리 액세스 신호c에 따라 계수하는 한편, 전송 화상 주소 카운터(707)를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e에 따라 계수한다. 이 계수는 모두 주소 주소 선택자(708)로 입력되며, 주소 선택자(708)는 입력된 계수 및 아비터(70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j에 근거하여 입력화상, 전송 화상의 주소 중 어느 한쪽을 선택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실시예에서는 메모리 제어부(602)의 정지·전개 처리를 시분할로 병행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런데, 화상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화상 메모리(603)로 입력하는 경우, 화상 데이터의 입력 개시 직후, 화상 메모리(603)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양은 0이다. 이 때,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605)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외부로부터 화상 메모리(603)에 대해 제1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시킨다. 또한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도록 차분 비교부(703)를 제어한다.
여기서, 도 8을 이용하여 실시예1의 화상 데이터 입력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8A는 화상 입력 동작 도중에 화상 메모리(603)에 메모리 액세스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 총량을 나타내고, 도 8B는 화상 메모리(603)에 액세스되어 있는 주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8중에 A,B로 나타낸 화상 데이터 흐름은 도 1에 A,B로 나타낸 화상 데이터 흐름에 대응하고 있다.
차분 산출부(701)는 화상 데이터A의 데이터량을 선 수로 나타내는 외부 입력선 수C1, 화상 데이터B의 데이터량을 선 수로 나타내는 내부 출력선 수C2의 차분 선수를 산출하고, 그 값이 v3을 초과하는 경우에 오류 신호f를 출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① 2차 기억 장치로의 전송이 입력 화상 데이터의 입력 속도와 비교하여 극단적으로 늦다.
② 버퍼 메모리량이 적절하지 않다.
③ 전송 처리의 이상 상태
등 이유로 제2순회에서 주소 추월이 발생한 경우, 이 추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처리선 수의 차로 관리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화상 메모리(603)가 2M바이트의 반도체 메모리임에도 불구하고, 4M바이트의 화상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기억부(322)로 입력하고 있다.
또한 주소 카운터가 최상위의 주소를 액세스하면 주소 0으로 복귀하도록 한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액세스하는 데이터량이 2M바이트를 초과하면 동일 주소를 2순회하게 된다.
또한 메모리 제어부(602)는 차분 산출부(701)가 산출한 차분 선 수의 값이 v1이하로
되면,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를 정지한다. 또한 차분 선 수의 값이 v2이상으로 되면, 재차 전송 처리를 재개시한다. 나아가 차분 선 수의 값이 v4이하로 되면, 오류 신호를 출력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는 화상 입력시에 상술한 조건①, 조건②에 따라오류 신호f를 시스템 제어부(323)로 송신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비교 대상의 소정값을 잘못 설정한 경우나, 시스템상의 문제로 전송 처리가 입력 처리에 추월되는 경우에 조기에 문제를 발견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실시예에 있어서 기억부(322) 전체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시스템 제어부(323)의 화상 입력 지시에 의해, 메모리 제어부(602)가 초기화되어 화상 데이터 대기 상태로 된다. 또한 판독부(310)의 스캐너가 동작함으로써 기억부(322)로 화상 데이터가 입력된다.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메모리(603)로출력되고, 일단 화상 메모리(603)에 기록된다. 기록된 화상 데이터의 외부 입력선 수C1는 화상 입출력부(601)에서 계수되어 메모리 제어부(602)로 입력된다.
압축 신장부(604)는 메모리 제어부(602)가 출력한 화상 전송 명령을 받아서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를 출력한다. 이 때, 메모리 제어부(602)에 있어서 요구 마스크부(704)에 의해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가 마스크되어 화상 메모리(603)로 메모리 액세스는 행해지지 않는다.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603)로 전개하는 처리가 화상 입출력부(601)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의 1선 분이 종료함으로써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의 마스크가 해제된다. 그리고 화상 메모리(603)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압축 신장부(604)로 전송하는 동작이 개시된다. 또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603)로 입출력하는 동작중에도 차분 산출부(701)가 외부 입력선 수C1, 내부 출력선 수C2의 차를 산출하고 양자의 차를 제1값∼제4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오류 신호를 발생하거나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에 마스크를 씌우거나 혹은 마스크를 해제하고 있다.
2. 화상 데이터 출력시
다음으로 화상 데이터 출력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 출력 동작의 설명중 상기한 화상 데이터 입력 동작과 공통인 부분은 일부 약한다. 화상 형성부(330)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메모리 제어부(602)에 있어서, 차분 산출부(701)는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부터 화상 메모리(603)로 입력하는 내부 입력선 수C1'로부터 외부 출력선 수C2'를 감산하여 차분 선 수를 얻는다. 차분 비교부(703)는 차분 선 수와 미리 정해진 제5값, 제6값, 제7값, 제8값을 비교한다.
메모리 제어부(602)는 화상 입출력부(601), 압축 신장부(604)를 제어하고, 차분 선 수가 제5값 이하의 값에 이른 경우에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한다. 또한 메모리 제어부(602)는 차분 선 수가 제6값 이상으로 된 경우에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한다. 나아가 메모리 제어부(602)는 차분 선 수가 제7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제8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한다.
또, 상기한 제5값, 제6값, 제7값, 제8값의 크기 관계는 이하와 같다.
제7값 > 제6값 > 제5값 > 제8값
차분 선 수와의 비교에 이용되는 제5값 ∼ 제8값은 선 설정부(318)에 의해 차분 비교부(703)에 설정된다. 이 소정 값은 필요에 따라 변경 가능하다. 이하, 제5값 ∼ 제8값의 값에 근거하여 행해지는 오류 신호 출력 처리와 화상 데이터 전송 정지, 재개시 처리에 관하여 각각 설명한다.
(1) 오류 신호의 출력 처리
요구 마스크부(704), 아비터(705), 입출력 화상 주소 카운터(706), 전송 화상 주소 카운터(707), 주소 선택자(708), 액세스 제어 회로는 차분 비교부(703)의 판단에 근거하여 동작한다. 그리고 차분 비교부(703)의 판단에 따른 동작에 의해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제어 신호는 주소 버스 및 제어 신호선을 통하여 출력되고, 화상 입출력부(601), 압축 신장부(604)를 제어한다.
또한 차분 비교부(703)는 차분 선 수를 제7값과 비교하며, 차분 선 수가 제7값 이상으로 된 경우, 오류 신호f를 출력한다. 오류 신호f는 화상 처리 장치의 제어 신호로서 사용되고, 화상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던 화상 데이터가 새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해 겹쳐 씌어짐으로써 소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차분 비교부(703)는 차분 산출부(701)가 출력하는 차분 선 수(C1'-C2')와, 선 설정부(702)가 출력하는 설정선 수(제5값v5, 제6값v6, 제7값v7, 제8값v8)의 크기를 비교한다. 그리고
C1'-C2'≥v7 ···조건⑤
C1'-C2'≤v8 ···조건⑥
인 경우에 오류 신호f를 출력한다.
조건⑤에서 오류 신호f를 출력하는 동작은 화상 메모리(603)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의 소실을 방지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이다. 또한 조건⑥에서 오류 신호f를 출력하는 동작은 화상 형성부(330)로 전송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가 화상 메모리(603)에 충분히 없다는 것을 출력하기 위해 행해지는 것이다.
(2) 화상 데이터 전송 정지, 재개 처리
또한 차분 비교부(703)는 내부 입력선 수C1'와 외부 출력선 수C2'를 비교하여 양자의 관계가
C1'-C2'≤v5 ···조건⑦
인 경우에 요구 마스크부(704)로 출력되는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h를 액티브로 한다. 차분 비교부(703)가 출력한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h는 요구 마스크부(704)로 입력된다.
요구 마스크부(704)에는 동시에 압축 신장부(604)로부터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가 입력되어 있다. 요구 마스크부(704)는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h가 액티브인지 어떤지를 판단하고, 액티브인 경우에는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를 마스크(사용 불가능한 상태로 함)한다. 이 처리에 의해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가 마스크되어 있는 동안은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가 정지된다.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가 정지한 후, 차분 비교부(703)는 내부 입력선 수C1'와 외부 출력선 수C2'를 비교한다.
그리고 양자의 관계가
C1'-C2'≥v6 ···조건⑧
로 된 경우에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의 마스크를 해제한다. 마스크가 해제된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는 아비터(705)로 입력된다.
이때, 아비터(705)에는 화상 입출력부(601)가 출력한 입출력 메모리 액세스 신호c가 입력되어 있다. 아비터(705)는 입출력 메모리 액세스 신호c가 비 액티브이고 동시에 요구 마스크부(704)를 통하여 입력된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h가 액티브인 경우,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d에 따라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e를 압축 신장부(604)로 출력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해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가 재개시된다.
그런데,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외부로 출력하는 경우에도,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부터 화상 메모리(603)로 화상 데이터를 입력 개시한 직후, 화상 메모리(603)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 양은 0이다. 이 때,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화상 형성부(330)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처리를 개시하면, 화상 메모리(603) 내부에서 화상 형성부(330)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가 부족하여 조건⑦이 만족되어 화상 데이터 전송이 정지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는 메모리 제어부(602)가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화상 형성부(330)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하드 디스크 장치(305)로부터 화상 메모리(603)에 대해 제5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시킨다. 또한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화상 형성부(330)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도록 차분 비교부(703)를 제어한다.
여기서, 도 9를 이용하여 실시예1의 화상 데이터 출력시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9A는 화상 입력 동작 도중에 화상 메모리(603)에 메모리 액세스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 총량을 나타내고, 도 9B는 화상 메모리(603)에 액세스되어 있는 주소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9중에 C,D로 나타낸 화상 데이터 흐름은 도 1에 D,C로 나타낸 화상 데이터 흐름에 대응하고 있다.
차분 산출부(701)는 내부 입력선 수C1', 외부 출력선 수C2'의 차분 선 수를 산출하고, 그 값이 v7을 초과하는 경우에 오류 신호f를 출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① 화상 형성부로의 전송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입력하는 화상 데이터의 입력 속도와 비교하여 극단적으로 늦다.
② 버퍼 메모리량이 적절하지 않다.
③ 전송 처리의 이상 상태
등 이유로 제2순회에서 주소 추월이 발생한 경우, 이 추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처리선 수의 차로 관리하고 있으므로 간단한 구성으로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서술한 제1실시예의 처리를 흐름도로 하여 도 10, 도 11에 나타내어 아래에 설명한다. 도 10은 화상 처리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입력할 때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도 11은 화상 처리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입력할 때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경우, 도 10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 제어부(602)는 우선 외부 입력선 수C1를 입력하고(스텝S1001), 다음 내부 출력선 수C2를 입력한다(스텝S1002). 그리고 외부 입력선 수C1로부터 내부 출력선 수C2를 감산하여 그 값을 C로 한다(스텝S1003).
다음으로 차분 비교부(703)는 C가 v3이상의 값을 갖는지 여부를판단한다(스텝S1004). 이 판단 결과, C가 v3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스텝S1004:예), 오류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1005). 한편, C가 v3이상의 값을 갖지 않는 경우(스텝S1004:아니오), C가 v4값 이하의 값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05).
스텝S1005의 판단 결과, C가 v4값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인 경우(스텝S1005:예), 차분 비교부(703)는 오류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1006). 또한 C가 V4값 이하의 값을 갖지 않는 경우(스텝S1005:아니오), 메모리 제어부(602)는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 출력 동작이 실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07). 그리고 이 판단 결과, 화상 출력 동작이 실행되어 있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스텝S1007:아니오), 메모리 액세스 허가 신호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12).
한편, 스텝S1007의 판단에서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 출력 동작이 실행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스텝S1007:예), C가 v2이상의 값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08). 이 판단 결과, C가 v1이상의 값을 갖는 것인 경우에는(스텝S1008:예),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를 액티브로 하여 화상 데이터 출력을 정지한다(스텝S1010). 또한 C가 v1이하의 값을 갖는 것인 경우에는(스텝S1008:아니오), C가 v2이상의 값을 갖는 것인지 판단하고(스텝S1009), v2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스텝S1009:예),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를 마스크하지 않고 메모리 액세스 허가 신호를 출력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S1012).
또한 C가 v2이상의 값을 갖는 것이 아닌 경우(스텝S1009:아니오),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 액티브, 전송 요구 신호 마스크 처리를 계속 행한다 (스텝S1010,스텝S1011). 전송 요구 신호가 마스크되지 않고 메모리 제어부(602)로 입력된 경우, 메모리 제어부(602)는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에 따라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12).
스텝S1012의 판단 결과,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 경우에는(S1012:예), 메모리 제어부(602)는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를 출력한다(S1013). 한편 조건이 만족되어 있지 않는 경우에는(S1012:아니오), 처리에 따라 입출력 화상 주소 카운터(706), 전송 화상 주소 카운터(707)를 계수한다(S1014). 그리고 주소 선택자(708)에서 입력 화상, 전송 화상의 주소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S1015), 화상 메모리(603)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선 신호로부터 출력한다(S1016).
다음으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의 처리를 도 11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단, 도 11의 흐름도 처리는 도 10의 흐름도에서 설명한 처리를 포함하기 때문에 도 11의 흐름도 설명에 있어서는 도 10의 흐름도와 상이한 처리에 관해서만 서술하고 동일한 처리에 관해서는 설명을 일부 생략한다.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도 11의 흐름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메모리 제어부(602)는 우선,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부터 화상 메모리(603)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내부 입력선 수C1'를 입력하고(S1101), 계속하여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화상 형성부(330)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나타내는 외부 출력선 수C2'를 입력한다(S1102). 그리고 내부 입력선 수C1'로부터 외부 출력선 수C2'를 감산하여 그 값을 C'로 한다(스텝S1103).
다음으로 차분 비교부(703)는 C'가 v7이상의 값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104). 이 판단 결과, C'가 v7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스텝S1104:예), 오류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1106). 한편, C'가 v7이상의 값을 갖지 않는 경우(스텝S1104:아니오), C'가 v8값 이하의 값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105).
스텝S1105의 판단 결과, C'가 v8값 이하의 값을 갖는 것인 경우(스텝S1105:예), 차분 비교부(703)는 오류 신호를 출력한다(스텝S1106). 또한 C'가 v8값 이하의 값을 갖지 않는 경우(스텝S1105:아니오), 메모리 제어부(602)는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 출력 동작이 실행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107). 그리고 이 판단 결과, 화상 출력 동작이 실행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스텝S1107:아니오), 메모리 액세스 허가 신호를 출력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112).
한편, 스텝S1107의 판단에서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 출력 동작이 실행되어 있다고 판단된 경우(스텝S1107:예), C'가 v5이상의 값을 갖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108). 이 판단 결과, C'가 v5이상의 값을 갖는 것인 경우에는(스텝S1108:예),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를 액티브로 하여 화상 데이터 출력을 정지한다(스텝S1110). 또한 C'가 v5이하의 값을 갖는 것인 경우에는(스텝S1108:아니오), C'가 v6이상의 값을 갖는 것인지 판단하고(스텝S1109), v6이상의 값을 갖는 경우에는(스텝S1109:예),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를 마스크하지 않고 메모리 액세스 허가 신호를 출력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S1112).
또한 C'가 v6이상의 값을 갖는 것이 아닌 경우(스텝S1109:아니오), 전송 요구 마스크 신호 액티브, 전송 요구 신호 마스크 처리를 계속 행한다(스텝S1110,스텝S1111). 전송 요구 신호가 마스크되지 않고 메모리 제어부(602)로 입력된 경우, 메모리 제어부(602)는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에 따라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조건이 만족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S1112).
이상의 처리 이후로 진행되는 처리인 스텝S1110∼S1116의 처리는 앞서 도 10에서 설명한 스텝S1010∼S1016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이상 서술한 제1실시예1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화상 메모리(603)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과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과의 차분을 취득하고, 취득한 차분을 제1값∼제4값의 4개 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차분이 제1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제2값 이상의 값으로 되면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한다. 이 처리에 의해 제1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 입력시, 외부로부터 입력한 화상 데이터를 장치 내부로 전송하는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차분이 제3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혹은 제4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여 시스템을 정지하는 등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 처리에 의해 제1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 입력시, 화상 메모리(603)에 있되 하드 디스크장치(605)로 출력하지 않은 화상 데이터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량의 차분이 부의 값으로서 검출되는 등 시스템적인 오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실시예에 의하면,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부터 화상 메모리(603)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과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과의 차분을 취득하고, 취득한 차분을 제5값∼제8값의 4개 값과 비교한다.
그리고 차분이 제5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제6값 이상의 값으로 되면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한다. 이 처리에 의해 제1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 입력시, 장치 내부로부터 전송되어 온 화상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는 처리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차분이 제7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혹은 제8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여 시스템을 정지하는 등 제어를 행하고 있다. 이 처리에 의해 제1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 출력시, 화상 메모리(603)에 있되 외부로 출력하지 않은 화상 데이터가 소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량의 차분이 부의 값으로서 검출되는 등 시스템적인 오류를 검출할 수도 있다.
(제2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제2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를 적용한 화상 구성 장치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와 마찬가지 구성을 갖고 있다.이 때문에,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마찬가지 구성에 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락하고, 제1실시예와 상이한 점만 설명한다.
도 12는 제2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구성은 외부로부터 화상 메모리(603)로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고, 화상 메모리(603)로부터 하드 디스크 장치로 출력하는 과정에 있어서, 화상 메모리(603)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한다. 그리고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고,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3값을 갱신하는 것이다.
즉, 제2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차분 산출부(701)가 외부 입력선 수C1와 내부 입력선 수C2와의 차분을 산출하는 과정에 있어서, 산출된 차분 선 수를 순차 기록하는 차분 기록부(1201)를 구비하고 있다. 차분 기록부(1201)는 차분을 소정의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고, 선 설정부(702)로 출력한다. 선 설정부(702)는 차분 기록부(1201)가 기록한 차분을 시스템 제어부(323)로 출력한다.
차분 선 수는 소정의 페이지수 범위에 있어서, 시간 경과와 함께 변동한다. 시스템 제어부(323)는 차분 기록부(1201)가 기록한 차분 선 수 중의 소정 페이지수 범위에서 가장 큰 값(최대변동값)을 검출하고, 선 설정부(702)로 출력한다. 선 설정부(702)는 시스템 제어부(323)로부터 입력된 최대변동값을 차분 비교부(703)로 출력하고, 차분 비교부(703)는 최대변동값을 새로운 제3값으로서 설정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다음의 소정 페이지수 범위에서 화상 데이터를 처리할 때, 미리 설정되어 있던 제3값은 최대변동값으로 갱신된다.
또한 차분 기록부(1201)는 본 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602)로부터 외부로 출력하는 경우에도 차분 산출부(701)에 의해 산출된 차분 선 수를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순차적으로 기록한다. 기록된 차분 선 수는 선 설정부(702)로 출력된다. 선 설정부(702)는 차분 기록부(1201)가 기록한 차분 선 수를 시스템 제어부(323)로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323)는 앞서 설명한 화상 데이터 입력시와 마찬가지로 기록된 차분 선 수 중의 최대변동값을 새로운 제7값으로서 설정한다.
도 13은 제2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 도 13은 화상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반도체 메모리(602)로 입력하는 경우를 예로서 제3값을 갱신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도 13A는 화상 입력 동작 도중에 화상 메모리(603)로 메모리 액세스하고 있는 화상 데이터 총량을 나타내고, 도 13B는 화상 메모리(603)에 있어서 액세스되어 있는 주소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3에 있어서도 A,B로 나타낸 화상 데이터의 흐름은 도 1에 A,B로 나타낸 화상 데이터 흐름에 대응하고 있다.
화상 메모리(603)에 있어서 액세스되어 있는 주소는 시간 경과와 함께 예컨대, 화상
데이터A와 화상 데이터B와의 차분이 d1인 도13B의 상태로부터 화상 데이터A와 화상 데이터B와의 차분이 d2인 도 13C의 상태로 변화한다. 제2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소정 페이지수의 범위에서 화상 데이터A와 화상 데이터B와의 차분 최대값을 검출한다. 그리고 검출된 최대값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3값(v3)에 대신하여 다음번의 화상 데이터 처리시에 사용한다.
이상의 동작에 의해 제2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메모리(603)에 있어서 항상 화상 데이터를 겹쳐 씀에 의해 소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요한 용량만을 확보하고, 화상 데이터의 기억에 불필요한 기억 용량을 다른 처리에 충당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제2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메모리(603)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4는 제2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 행해지는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또 이하 서술하는 처리는 소정 페이지수의 화상 데이터 처리가 진행될 때마다 행해지는 것이다.
제2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우선, 화상 데이터 입력이 개시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S1401). 그리고 화상 데이터 입력이 개시되었다고 판단한 경우(스텝S1401:예), 메모리 제어부(602)는 화상 메모리(603)로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를 실행함과 동시에 화상 메모리(603)에서의 화상 데이터 변동량을 기록한다.
또 스텝S1401의 판단에서 화상 데이터 입력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에는(스텝S1401:아니오), 화상 데이터 입력이 개시될 때까지 대기한다.
또한 메모리 제어부(602)는 시스템 제어부(323)와 통신하여 소정 페이지수(제2실시예에서는 1페이지)의 원고의 화상 데이터가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403). 이 판단 결과, 소정 페이지수(제2실시예에서는 1페이지)의 원고의 화상 데이터가 아직 하드 디스크 장치(605)로 입력되지 않은 경우에는(스텝S1403:아니오), 재차 스텝S1402로 복귀하여 화상 데이터 입력 처리를 계속한다.
또한 스텝S1403에 있어서, 원고 1페이지 분의 화상 데이터 입력이 종료했다고 판단된 경우, 시스템 제어부(323)는 기록된 변동량 중의 최대값 M을 검출한다(스텝S1404). 선 설정부(702)는 시스템 제어부(323)와 통신하여 M의 값을 화상 데이터의 선 수로서 입력한다. 그리고 미리 설정되어 있던 제3값 v3을 M으로 갱신하고(스텝S1405), 모든 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이상 서술한 제2실시예는 화상 데이터를 외부로부터 화상 메모리로 입력하는 처리에 관해서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처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로부터 외부로 출력하는 처리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진행되는 것이다.
(제3실시예)
다음,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 제3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를 적용한 화상 구성 장치는 앞서 설명한 제1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 및 화상 처리 장치가 적용된 화상 형성 장치와 마찬가지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3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도시를 일부 생략하고 그 설명을 일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도 15는 제3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기억부(32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3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기억부(322)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선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한다.
제3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기억부(322)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 2차 기억 장치인 하드 디스크 장치(HD)(1104)와, 하드 디스크 장치(1104)에 기억된 후에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에 있어 소정 영역에 상당한 범위에서 잘라 내는 화상 절취부(110)와,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기록하는 1차 기억 장치인 화상 메모리(1106)와, 하드 디스크 장치(1104)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판독 처리,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1106)로 전송하는 전송 처리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110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2차 기억 장치는 하드 디스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MO등 자기 디스크 장치이면 된다.
제3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의 기억부(322)는 나아가 하드 디스크 장치(1104)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고 또한 하드 디스크 장치(1104)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압축 신장부(1103)와,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제1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메모리 제어부(1102)는 화상 절취부(1105)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할 수 있다. 또 제3실시예의 화상 입출력부(1101), 메모리 제어부(1102), 압축 신장부(1103), 화상절취부(1105)는 어느 것이나 CPU와 논리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 중, 메모리 제어부(1102)는 시스템 제어부(323)와 통신하고 시스템 제어부(323)로부터 명령을 수신한다. 명령은 화상 데이터의 입출력에 관한 명령, 압축 신장에 관한 명령, 절취에 관한 명령을 포함하며 내용에 따라 기억부(322) 각부로 송신된다.
도 16은 메모리 제어부(1102)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메모리 제어부(1102)는 아비터(705), 입출력 화상 주소 카운터(1202), 전송 화상 주소 카운터(1203), 주소 선택자(1204), 액세스 제어 회로(1205)를 구비하고 있다.
아비터(705)는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o를 출력하는 구성이다. 아비터(705)는 입출력 메모리 액세스 신호l가 비액티브이며 동시에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m가 액티브인 경우에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o를 출력한다.
입출력 화상 주소 카운터(1202)는 입력 메모리 액세스 요구 신호l에 따라 계수하는 주소 카운터로, 입력된 화상 데이터가 화상 메모리(1106)에 기억될 때의 메모리 주소를 출력한다. 또한 전송 화상 주소 카운터(1203)는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m에 따라 계수하는 주소 카운터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하드 디스크 장치(1104)의 메모리 주소를 출력한다. 입출력 화상 주소 카운터(1202), 전송 화상 주소 카운터(1203)는 어느 것이나 메모리 액세스 개시시에 주소는 일단 소정값으로 초기화된다.
주소 선택자(1204)는 아비터(705)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u에 의해 입출력 화상 데이터, 전송 화상 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자이다. 액세스 제어 회로(1205)는 입력된 물리 주소를 주소 선택자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상 메모리(1106)를 구성하는 DRAM에 대응한 행 주소, 열 주소로 분할한다. 그리고 11비트의 주소 버스(1206)로 출력한다. 또한 아비터(70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DRAM 제어 신호(RAS, CAS, WE)를 출력한다.
화상 입출력부(1101)는 메모리 제어부(1102)와 통신하여 메모리 제어부(1102)로부터 명령을 수신한다. 그리고 수신한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 입출력의 상태를 알리는 상태 정보를 메모리 제어부(1102)로 출력한다.
또한 화상 입출력부(110)는 메모리 제어부(1102)로부터 화상 입력의 명령을 받은 경우, 각종 동기 신호와 함께 입력한 화상 데이터(입력 화상 데이터)를 입출력 메모리 액세스 신호l와 함께 8화소를 단위로서 출력한다. 또한 화상 입출력부(110)는 메모리 제어부(1102)로부터 화상 출력 명령을 받은 경우, 메모리 제어부(1102)를 통하여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각종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한다.
압축 신장부(1103)는 메모리 제어부(1102)와 통신하며 메모리 제어부(1102)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명령에 따라 동작한다. 또한 화상 데이터의 압축 또는 신장 상태를 알리는 상태 정보를 메모리 제어부(1102)로 출력한다. 압축 신장부(1103)는 압축 명령을 수신한 경우, 메모리 제어부(1106)에 신장한 화상 데이터 전송을 요구하는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m를 출력한다.
압축 신장부(1103)가 메모리 제어부(1102)로부터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o를 입력하면, 신장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데이터를 메모리 제어부(1102)를 통하여 화상 메모리(1106)로 출력되어 전개된다. 또한 압축 신장부(1103)는 압축 명령을 수신한 경우, 전송 액세스 요구 신호m를 출력하며, 전송 액세스 허가 신호o가 액티브인 경우에 메모리 제어부(1102)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그리고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여 하드 디스크 장치(1104)에 기억시킨다.
또한 압축 신장부(1103)는 메모리 제어부(1102)와 통신하여 신장된 화상 데이터의절취를 지시한다. 이 때, 압축 신장부(1103)는 신장한 화상 데이터를 화상 절취부(1105)로 출력한다. 이 때, 메모리 제어부(1102)는 화상 절취부(1105)로 제어 신호q를 출력하며, 잘라낸 화상의 시점 및 종점에 해당하는 화상 데이터 주소를 지시한다.
화상 절취부(1105)는 메모리 제어부(1102)로부터 입력된 제어 신호q에 근거하여 압축 신장부(1103)로부터 입력된 화상 데이터를 잘라낸다. 잘라낸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부(1102)를 통하여 화상 메모리(1106)로 입력하여 전개된다. 또한 화상 절취부(1105)도 메모리 제어부(1102)와 통신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 처리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메모리 제어부(1102)로 출력하고 있다.
화상 메모리(1106)는 DRA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로 구성되어 있다. 화상 메모리(1106)의 기억 용량은 2M바이트로 400DPI의 2치 화상 데이터를 A4사이즈 만큼 기억할 수 있다.
화상 입출력부(1101)는 IPU(312)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한다. 이 때, 제3실시예에 있어서도 화상 데이터는 도 5에 나타낸 각종 동기 신호와 함께 입력된다. 입력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 제어부(1102)를 통하여 압축 신장부(1103)에 입력하고, 압축된 후에 하드 디스크(HD)(1104)에 일단 기억된다. 또 이 때, 화상 메모리(1102)는 속도 완충용 버퍼에 사용된다.
제3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분할의 기능을 구비한다. 이하, 하드 디스크 장치(1104)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작을 화상 분할하는 경우와 화상 분할하지 않는 경우(통상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1. 통상 동작
통상 동작에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경우, 화상 데이터는 압축신장부(1103)에서 신장되고, 메모리 제어부(1102)를 통하여 화상 메모리(1106)로 출력된다. 그리고 화상 메모리(1106)에 있어서 전개된 후, 화상 입출력부(1101)를 통하여 프린터 제어부(345)로 입력된다.
2. 화상 분할 동작시
화상 분할 동작을 실행하는 경우, 화상 데이터는 통상 동작과 마찬가지로 압축 신장부(1103)에서 신장된다. 화상 분할을 하는 경우, 메모리 제어부(1102)는 압축 신장부(1103) 및 화상 절취부(1105)와 통신하여 화상 절취 처리를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유효하게 한다. 또한 제어 신호q에 따라 절취되는 화상 사이즈 및 절취 시점, 종점을 지정한다.
또 시점, 종점, 화상 사이즈는 화상 절취부(1105)로부터 화상 메모리(1106)로 전송할 수 있는 화상 데이터의 최소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화상 절취부(1105)는 지정된 시점, 종점에 따른 주소로 화상 데이터를 분할하고, 메모리 제어부(1102)를 통하여 메모리 주소p와 함께 화상 메모리(1106)로 출력한다.
분할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메모리(1106)로 입력하여 메모리 주소p로 지정된 주소에 전개된다. 또한 화상 입출력부(1101)를 통하여 프린터 제어부(345)에 입력된다. 화상 형성부(330)는 분할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화상을 형성한다. 이 결과, 제어 신호p에 따라 지정된 시점, 종점에서 절취된 상태의 화상이 형성된다.
도 17A, 17B는 잘라낸 화상(분할된 화상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17A는 하드 디스크 장치(1104)로부터 판독되고 화상 절취부(1105)로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또는 도17B는 화상 절취부(1105)에 있어서 절취되어 화상 메모리(1106)에 전송되는 화상 데이터의 상태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하드 디스크 장치(1104)로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는 도 1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Ps를 시점으로 하는 선으로 구성되며, 선은 주 주사 방향으로 1선 분의 길이를 갖는다. 도 17A에 나타낸 화상 데이터는 원고 1매 분의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데이터이다.
화상 절취부(1105)에서 잘라낸 화상 데이터는 도 1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 17A에 나타낸 화상 데이터를 잘라내고, 1매 분의 원고 화상으로부터 주 주사 방향으로 길이 X, 부 주사 방향으로 길이 Y를 갖는 화상 Q를 잘라낸다. 이 때, 화상 P는 파기된다. 제3실시예는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1106)에 전개하기 전에 잘라내져 있으므로 화상 메모리(1106)가 1매 분의 원고를 전개하는 용량을 가질 필요 없어 화상 메모리(1106)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화상 메모리(1106)의 기억 용량 중의 화상 데이터 기억에 사용되는 용량이 작아짐으로써 화상 데이터의 기억에 사용되지 않는 기억 용량을 다른 처리(화상 회전 등)에 사용하여 화상 메모리(1106)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8은 제3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에서 행해지는 화상 분할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제3실시예의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 판독이 요구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S1801). 그리고 화상 데이터의 판독이 요구되었다고 판단하면(스텝S1801:예), 화상 분할을 하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S1802). 화상 절취부(1105)는 메모리 제어부(1102)로부터 절취하고자는 화상 시점, 종점, 사이즈를 입력하고(스텝S1803), 화상의 절취 처리를 실행하여(스텝S1804), 프린터로 출력한다(스텝S1805). 그리고 잘라낸 화상의 화상 데이터를 화상 메모리(1106)로 전송한 후, 프린터로 출력하여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S1801의 판단에서 화상 데이터의 판독이 요구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스텝S1801:아니오), 판독 요구가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또한 스텝S1802의 판단에서 화상 분할을 하지 않는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스텝S1802:NO), 절취 처리를 행하지 않고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로 출력한다(스텝S1805).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해 온 화상 처리 방법을 프로그램화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하여 컴퓨터 상에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처리 방법의 일부를 네트워크 상에 구비하여 통신 회선을 통하여 실현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상 서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제1실시예, 제3실시예는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를 디지털식 화상 형성 장치로서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의 화상 처리 장치는 프린트 장치(프린터), 복사 장치, 팩시밀리 장치 중의 어느 것에도 적용할 수 있다.
청구항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청구항 1에 기재한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 입력시에 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소실하거나, 화상 데이터의 입력 속도가 출력 속도보다도 늦음으로써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도체 메모리를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하는 형식의 기억 수단을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처리 상태에 따라 제3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필요한 용량만을 확보할 수 있고, 1차 기억 장치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고, 특히 화상을 선으로서 취득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관리나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청구항 4에 기재한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데이터 출력시에 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소실하거나, 화상 데이터의 입력 속도가 출력 속도보다도 늦음으로써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도체 메모리를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하는 형식의 기억 수단을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2차 기억 장치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의 화상 데이터 입력 개시시, 1차 기억 장치로 제5값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가 아직 입력되어 있지 않을 때에 화상 데이터 입력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데이터 출력시, 화상 처리 장치를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에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없애어 화상 처리 장치가 오류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화상 처리 상태에 따라 제7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필요한 용량만을 확보할 수 있고, 1차 기억 장치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고, 특히 화상을 선으로서 취득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관리나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2차 기억 장치로 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 전부를 전개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필요없어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의 범위를최적화하고, 보다 화상 처리 기능이 높은 화상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삭감하고, 1차 기억 장치에 보다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시에 신장할 수 있으므로 화상 처리 기능을 유지하면서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1차 기억 장치를 하드 디스크, MO등 자기 디스크 장치로 하고, 1차 기억 장치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에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전개하여 화상 데이터의 전개를 위해 반도체 메모리에 필요되는 기억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 메모리를 소형화하고, 반도체 메모리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의 기억 용량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2차 기억 장치로 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 전부를 전개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필요없어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의 범위를 최적화하고, 보다 화상 처리 기능이 높은 화상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삭감하고, 1차 기억 장치에 보다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시에 신장할 수 있으므로 화상 처리 기능을 유지하면서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1차 기억 장치를 하드 디스크, MO등 자기 디스크 장치로 하고, 1차 기억 장치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에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전개하여 화상 데이터의 전개를 위해 반도체 메모리에 필요되는 기억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 메모리를 소형화하고, 반도체 메모리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의 기억 용량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복사 장치는 2차 기억 장치로 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 전부를 전개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필요없어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복사 장치는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의 범위를 최적화하고, 보다 화상 처리 기능이 높은 화상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복사 장치는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삭감하고, 1차 기억 장치에 보다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시에 신장할 수 있으므로 화상 처리 기능을 유지하면서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복사 장치는 1차 기억 장치를 하드 디스크, MO등 자기 디스크 장치로 하고, 1차 기억 장치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복사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에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전개하여 화상 데이터의 전개를 위해 반도체 메모리에 필요되는 기억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 메모리를 소형화하고, 반도체 메모리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의 기억 용량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는 2차 기억 장치로 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 전부를 전개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필요없어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는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의 범위를 최적화하고, 보다 화상 처리 기능이 높은 화상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는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삭감하고, 1차 기억 장치에 보다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시에 신장할 수 있으므로 화상 처리 기능을 유지하면서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는 1차 기억 장치를 하드 디스크, MO등 자기 디스크 장치로 하고, 1차 기억 장치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팩시밀리 장치는 반도체 메모리에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전개하여 화상 데이터의 전개를 위해 반도체 메모리에 필요되는 기억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반도체 메모리를 소형화하고, 반도체 메모리에 드는 비용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메모리의 기억 용량을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2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 데이터 입력시에 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소실하거나, 화상 데이터의 입력 속도가 출력 속도보다도 늦음으로써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도체 메모리를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하는 형식의 기억 수단을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 처리 상태에 따라 제3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필요한 용량만을 확보할 수 있고, 1차 기억 장치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고, 특히 화상을 선으로서 취득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관리나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 데이터 출력시에 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소실하거나, 화상 데이터의 입력 속도가 출력 속도보다도 늦음으로써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도체 메모리를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하는 형식의 기억 수단을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2차 기억 장치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의 화상 데이터 입력 개시시, 1차 기억 장치로 제5값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가 아직 입력되어 있지 않을 때에 화상 데이터 입력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데이터 출력시, 화상 처리 장치를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에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없애어 화상 처리 장치가 오류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화상 처리 상태에 따라 제7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필요한 용량만을 확보할 수 있고, 1차 기억 장치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고, 특히 화상을 선으로서 취득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관리나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2차 기억 장치로 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 전부를 전개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필요없어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의 범위를 최적화하고, 보다 화상 처리 기능이 높은 화상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삭감하고, 1차 기억 장치에 보다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시에 신장할 수 있으므로 화상 처리 기능을 유지하면서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4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1차 기억 장치에대해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 데이터 입력시에 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소실하거나, 화상 데이터의 입력 속도가 출력 속도보다도 늦음으로써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도체 메모리를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하는 형식의 기억 수단을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화상 처리 상태에 따라 제3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필요한 용량만을 확보할 수 있고, 1차 기억 장치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고, 특히 화상을 선으로서 취득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관리나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를 감산한 화상 데이터량에 따라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정지, 재개시, 오류 신호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상 데이터 출력시에 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가 소실하거나, 화상 데이터의 입력 속도가 출력 속도보다도 늦음으로써 시스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반도체 메모리를 버퍼 메모리로서 사용하는 형식의 기억 수단을 구비한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2차 기억 장치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의 화상 데이터 입력 개시시, 1차 기억 장치로 제5값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가 아직 입력되어 있지 않을 때에 화상 데이터 입력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데이터 출력시, 화상 처리 장치를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에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없애어 화상 처리 장치가 오류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화상 처리 상태에 따라 제7값을 설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는데 필요한 용량만을 확보할 수 있고, 1차 기억 장치를 보다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7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할 수 있고, 특히 화상을 선으로서 취득하는 구성에 있어서의 화상 데이터 관리나 처리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8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2차 기억 장치로 부터 판독된 화상 데이터 전부를 전개할 수 있는 용량을 가질 필요없어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용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9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의 범위를 최적화하고, 보다 화상 처리 기능이 높은 화상 처리를 실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0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1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는 화상 데이터의 데이터량을 삭감하고, 1차 기억 장치에 보다 대량의 화상 데이터를 기억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된 상태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시에 신장할 수
있으므로 화상 처리 기능을 유지하면서 1차 기억 장치를 소형화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1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의 화상 데이터 입력 개시시, 1차 기억 장치로 제1값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가 아직 입력되어 있지 않을 때에 화상 데이터 입력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데이터 출력시, 화상 처리 장치를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2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장치는1차 기억 장치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에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없애어 화상 처리 장치가 오류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3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외부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의화상 데이터 입력 개시시, 1차 기억 장치로 제1값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가 아직 입력되어 있지 않을 때에 화상 데이터 입력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데이터 출력시, 화상 처리 장치를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4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화상 처리 방법은 1차 기억 장치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에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없애어 화상 처리 장치가 오류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5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외부로부터 1차 기억 장치로의 화상 데이터 입력 개시시, 1차 기억 장치로 제1값에 상당한 화상 데이터가 아직 입력되어 있지 않을 때에 화상 데이터 입력이 정지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데이터 출력시, 화상 처리 장치를 원활하게 동작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6에 기재한 발명에 따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1차 기억 장치로부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있지 않을 때에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없애어 화상 처리 장치가 오류 동작하는 것을 방지하고, 화상 처리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4)

  1.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외부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과, 상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1 차분 데이터량 산출 수단과,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1값과 이 제1값보다 큰 제2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1 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2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수단과,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2값보다 큰 제3값과, 상기 제1값보다 작은 제4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3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4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 신호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수단과, 이 변동량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3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 및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은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과,
    상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2 차분 데이터량 산출 수단과,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5값과 이 제5값보다 큰 제6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5 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6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수단과,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6값보다 큰 제7값과, 상기 제5값보다 작은 제8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7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8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 신호 출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5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 출력 수단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수단과, 이 변동량 기록 수단에 의해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7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 및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수단은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9.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한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절취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가 자기 디스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반도체에 의해 구성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14.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기 신호와 함께 프린트 실행 수단으로 출력하는 프린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한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절취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가 자기 디스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반도체에 의해 구성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19. 화상을 판독하고, 이 화상에 근거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와,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되어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근거한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실행 수단을 구비한 복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하는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장치.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사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가 자기 디스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반도체에 의해 구성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장치.
  24. 송신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 데이터 수신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와,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되어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의한 화상을 프린트하는 프린트 실행 수단을 구비한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한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낸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수단에 의해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수단에 의해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장치.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압축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장치.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가 자기 디스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장치.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반도체에 의해 구성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장치.
  29.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외부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1 차분 데이터량 산출 공정과,
    기 1차 기억 장치에서의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1값과 이 제1값보다 큰 제2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1 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2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과,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2값보다 큰 제3값과, 상기 제1값보다 작은 제4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3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4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공정과,
    변동량 기록 공정에서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3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1. 제29항 또는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 및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2.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2 차분 데이터량 산출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에서의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5값과 이 제5값보다 큰 제6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5 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6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과,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6값보다 큰 제7값과, 상기 제5값보다 작은 제8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7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8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신호 출력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5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4. 제32항 또는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공정과, 이 변동량 기록 공정에서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7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6. 제32항 내지 제3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 및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7.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과, 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한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에서 절취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8. 제37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공정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39. 제29항 내지 제3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40.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외부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시키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 의해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1 차분 데이터량 산출 공정과,
    기 1차 기억 장치에서의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시키고, 동시에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1값과 이 제1값보다 큰 제2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1 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2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과,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2값보다 큰 제3값과, 상기 제1값보다 작은 제4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3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4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공정과, 이 변동량 기록 공정에서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3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2. 제40항 또는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외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 및 내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3.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출력되는 화상 데이터량을 취득하는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과,
    상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으로부터 상기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취득된 데이터량을 감산하고, 이 감산에 의해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산출하는 제2 차분 데이터량 산출 공정과,
    상기 1차 기억 장치에서의 화상 데이터 입력과 출력을 시분할로 실행하고, 동시에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5값과 이 제5값보다 큰 제6값과 비교하며,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5 값 이상의 값에 이르면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정지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6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상기 1 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를 재개시하는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과,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을 상기 제6값보다 큰 제7값과, 상기 제5값보다 작은 제8값과 비교하고,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7값 이상의 값에 이르거나, 또는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이 상기 제8값 이하의 값에 이르면,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2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5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 매체.
  45. 제43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외부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의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상기 제2 차분 데이터량의 변동량을 검출하고, 이 변동량의 최대값을 소정 페이지수 단위로 기록하는 변동량 기록 공정과, 이 변동량 기록 공정에서 기록된 변동량의 최대값에 근거하여 먼저 설정되어 있는 상기 제7값을 갱신하는 설정값 갱신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화상 데이터를 래스터 형식으로 순차적으로 선마다 입출력하고, 상기 내부 입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 및 외부 출력 데이터량 취득 공정에서 화상 데이터량을 선 수로서 취득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8. 화상 데이터가 기억되는 1차 기억 장치 및 2차 기억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동기 신호와 함께 출력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적용되는 화상 처리 방법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이 화상 데이터에 근거하여 형성되는 화상의 소정 영역에 상당한 범위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에서 절취된 화상 데이터를 상기 1차 기억 장치로 전송하는 화상 데이터 전송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49. 제48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화상 데이터 절취 공정에서 잘라내는 화상 데이터 범위를 상기 화상 데이터 전송 공정에서 전송할 수 있는 최소 화상 데이터량을 단위로서 변경하는 절취 범위 변경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50. 제40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서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51.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수단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1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 출력 수단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3.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1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5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55.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액세스 제어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기 앞서 미리 외부로부터 상기 1차 기억 장치에 대해 상기 제1값에 상당한 양의 화상 데이터를 입력시키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56.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57. 제9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수단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수단에 의해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2차 기억 장치가 자기 디스크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9.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기억 장치가 반도체에 의해 구성된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0. 제43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서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1. 제48항에 있어서,
    나아가 상기 2차 기억 장치에 기억되기 전의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화상 데이터 압축 공정과, 상기 화상 데이터 판독 공정에서 상기 2차 기억 장치로부터 판독된 후의 화상 데이터를 신장하는 화상 데이터 신장 공정을 포함한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6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 출력 수단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3. 제53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방법.
  64. 제55항에 있어서,
    상기 오류 신호 출력 공정은 상기 1차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2차 기억 장치로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처리 실행중에만 오류 신호를 출력하는 화상 처리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0-0055655A 1999-09-24 2000-09-22 화상 처리 장치, 복사장치,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장치,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03833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133099 1999-09-24
JP11-271330 1999-09-24
JP2000-284293 2000-09-19
JP2000284293A JP4011276B2 (ja) 1999-09-24 2000-09-19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577A KR20010050577A (ko) 2001-06-15
KR100383327B1 true KR100383327B1 (ko) 2003-05-12

Family

ID=26549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5655A KR100383327B1 (ko) 1999-09-24 2000-09-22 화상 처리 장치, 복사장치,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장치,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6900906B1 (ko)
JP (1) JP4011276B2 (ko)
KR (1) KR100383327B1 (ko)
CN (2) CN1298153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1966B2 (ja) * 2000-12-06 2010-08-25 東芝テック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027133B2 (ja) * 2002-03-22 2007-12-2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3958141B2 (ja) * 2002-07-31 2007-08-1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133526B2 (ja) * 2003-04-11 2008-08-1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形成装置
JP4063207B2 (ja) * 2003-12-04 2008-03-1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検査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709139B1 (en) * 2004-01-15 2008-07-09 Element Six Limited Method of coating abrasives
US20060080330A1 (en) * 2004-10-08 2006-04-13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857207B2 (ja) * 2006-09-07 2012-01-18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および入出力制御方法
KR101102533B1 (ko) 2006-12-12 2012-0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의 정착기 오염 방지 장치 및 그 방법
JP4875483B2 (ja) * 2006-12-26 2012-02-15 ソフトバンクモバイル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4862807B2 (ja) * 2007-11-30 2012-01-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JP5257751B2 (ja) * 2008-04-07 2013-08-0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メモリ管理方法並びにメモリ管理プログラム
KR100956783B1 (ko) * 2008-10-14 2010-05-12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메모리 장치
US8064077B2 (en) * 2008-10-31 2011-11-22 Infoprint Solutions Company Llc Automatic print job cancellation mechanism
JP5768540B2 (ja) * 2011-01-14 2015-08-2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転送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20118B1 (en) * 1989-11-14 2002-04-24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and method
TW376491B (en) * 1991-06-22 1999-12-11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system with a buffer memory
JPH06168183A (ja) 1992-11-27 1994-06-14 Fuji Xerox Co Ltd フレームバッファメモリ管理方法およびフレームバッファメモリ管理装置。
US6067408A (en) * 1993-05-27 2000-05-23 Advanced Micro Devices, Inc. Full duplex buffer management and apparatus
US6323958B1 (en) * 1993-11-19 2001-11-27 Canon Kabushiki Kaisha Printing apparatus
JP3292575B2 (ja) * 1993-12-14 2002-06-1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装置
US6449056B1 (en) * 1997-08-15 2002-09-10 Minolta Co., Ltd. Image formation apparatus displaying the capacity of data of image to be formed
JPH11155062A (ja) * 1997-11-19 1999-06-08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US6621592B1 (en) * 1998-05-13 2003-09-16 Canon Kabushiki Kaisha Data storage control apparatus and data storage control method
US6128094A (en) * 1998-07-08 2000-10-03 Hewlett-Packard Company Printer having processor with instruction cache and compressed program store
US6429949B1 (en) * 1998-10-15 2002-08-06 Electronics For Imaging, Inc. Low memory printer controller
US6345345B1 (en) * 1999-01-26 2002-02-05 Advanced Micro Devices, Inc. Data communications device and associated method for arbitrating access using dynamically programmable arbitration scheme and limits on data transf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34981A (zh) 2004-10-06
US7218412B2 (en) 2007-05-15
CN1298153C (zh) 2007-01-31
JP4011276B2 (ja) 2007-11-21
JP2001160899A (ja) 2001-06-12
CN1274132C (zh) 2006-09-06
US6900906B1 (en) 2005-05-31
KR20010050577A (ko) 2001-06-15
US20050024680A1 (en) 2005-02-03
CN1292620A (zh) 2001-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3327B1 (ko) 화상 처리 장치, 복사장치, 팩시밀리 장치, 프린터 장치,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하는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7336386B2 (en) Image processor including a data compression unit having a switch and image processing method thereof
US6708234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and DMA data transfer method
US4905097A (en) Image processing system capable of processing both binary and multivalue image data and having converters for converting each type of image data into the other type of image data
US20050200915A1 (en) Image information apparatus
JP3030967B2 (ja) 画像処理装置
US735248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5535017A (en) Parallel image processing system
KR20010051552A (ko) 화상 처리 장치, 화상 처리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에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5764370A (en) Enlargement and reduction apparatus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9275479A (ja) デジタル複写機
JP4024749B2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転写制御方法
JP435904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69257A (ja) 画像処理装置
JP426138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60846A (ja) 画像情報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転送方法
JP200507964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3198815A (ja) 画像処理装置
JPH09212410A (ja) 画像データ記憶装置
JP4076224B2 (ja) 画像形成装置
JPH11146159A (ja) 画像形成装置
JP3982982B2 (ja) 画像処理装置
JP2003283791A (ja) 画像処理装置
JP2005236578A5 (ko)
JP2004112692A (ja) 画像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3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